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교회 구조적 양태에 관한 연구 : 1907년 대부흥과 3.1운동을 중심으로

        이승영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구조적 양태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특별히 1907년 대부흥 운동과 1919년 일어난 3·1운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4가지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첫째 한국의 종교들 가운데 기독교가 지니는 특성은 무엇인지, 둘째 에반젤리칼과 에큐메니칼로 대변되는 한국 개신교의 두 흐름이 과연 분리될 수 있는지, 셋째 교회 분열과 성장 사이의 함수관계는 어떤 것인지, 그리고 넷째 21세기를 맞아 한국교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성은 무엇인지에 관한 것이었다. 본 논문의 “서론”에서는 1907년 대부흥 운동과 1919년 일어난 3·1운동에 대한 그간의 연구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그간의 연구들이 대부흥 운동에 대해 일반적으로 에반젤리칼에 입각한 비정치적 성격이며, 3·1운동을 에큐메니칼에 입각한 정치적 성격으로 규정하였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에반젤리칼과 에큐메니칼의 용어가 역사적으로 사용된 흐름을 정리하였다. 제2장 “한국인의 종교적 사유 구조와 기독교의 방향성”에서는 불교, 유교, 도교와 무속신앙이 한국사에서 고대, 중세, 근세에서 수행한 정치적, 종교적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종교적 토양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역사적 단계에서 이들 종교가 수행한 역할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사에서 종교와 정치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과, 종교가 지나친 기복신앙에 몰두하거나 성리학처럼 교조화 될 때 중요한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제3장 “한국에 유입된 기독교의 유형과 사회적 상황”에서는 17세기 후반 천주교의 유입과정과 19세기 후반 개신교의 유입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천주교가 한국의 근대사에 미친 영향과 기독교가 한국의 현대사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천주교와 기독교 모두 당시의 정치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닐 수밖에 없었음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독교가 구한말 전개한 적극적인 사회참여운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4장 “1907년 대부흥과 3·1 운동의 역사적 고찰”에서는 두 운동이 모두 에반젤리칼과 에큐메니칼 정신에 함께 입각하여 전개되었음을 분석하였다. 이는 기존의 통설과는 대치되는 부분이다. 또한 두 운동의 분석을 통해 기독교와 정치, 신앙과 사회참여, 에반젤리칼과 에큐메니칼 등이 교회 내에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5장 “한국교회 구조적 양태의 전개”에서는 두 운동에 참여한 인물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해방이후 한국교회의 구조적 양태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교회는 초기부터 현재까지 신앙과 현실 참여의 노력에 충만하여 한국종교로 발전해 왔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이 두 노력이 동시에 강화될 때, 교회는 물론 사회 전반에 큰 파급효과가 있음을 분석하였는데, 핵심적인 추진력은 교회의 일치를 향한 노력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제6장 “한국교회 구조적 양태의 영향과 전망”에서는 해방 이후 한국교회의 구조적 양태가 어떠한 형태로 전개되었으며, 그 결과 어떠한 성과와 문제를 양산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향후 민족통일과 민족복음화를 위해 필요한 목회의 방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방향성은 강력한 교회의 일치를 향한 노력 속에 신앙의 뜨거움을 강화시키면서 동시에 적극적인 사회참여에 나서야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인식과 노력은 교파를 초월하여 공유되고 시도되어야만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임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에서는 전체적인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한국교회가 세계선교를 감당해야 하는 당위성과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적극적인 세계 교회 간 일치와 단합을 위한 노력 속에 복음의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사회의 문제를 타개하는데 더욱 노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의 교회들 간에 초교파적인 유대가 더욱 강화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 基督敎 倫理에 立脚한 敎會와 國家에 관한 硏究 : Abraham Kuypers 의 領城主權을 中心으로

        황진욱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807

        Brunner argued that the source of Christian ethics lies in God's imperative, and that God's imperative is th love. Indeed, his argument obtains Biblical support by our Lord's definition of the greatest commandment which He gave in answer to a pharisees' question: it is to love God and to love the neighbor.(Mt. 22:35~40). Another Bible passage(Mt. 5:43~48) shows that love for the neighbor is subdivided by our Lord Himself into the special love for the brothers(or the Church) and the common love for the gentiles(or the State), thus to sum up, it remains for us to define and form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Terms of Christian ethics as centered around the above defined love for God, love for the Church, and love for the State. The So-called Principle of separation of the church and the State, at first advocated by the Reormed Church and later adopted by the State, was the outcome of the vitter and undesirable experience humanity suffered in the course of his history of conflict for supremacy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addition to the conclusions drawn by Biblical reinterpretation and theolgical reflections concerning the Church and the State. Further to take Abraham Kuyper's theory of sphere sovereignty into our detailed consideration of the Church and the State will b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thesis. The sphere sovereignty is Kuyper's social and political theory emphasizing the autonomy of the various social spheres, thus attempting to give an intellectual justificaiton to pluralism and create structural means of limiting the power of the State. Nevertheless, not to be ignored here is the fact that Kuyper and his Anti - Revolutionary party opposed "organic spheres of creation" against the individualism of the capitalists and the collectivism of the socialists. That is, the absolute independence and autonomy or the absolute sovereignty of the various social spheres is not to be admitted, because absolute autonomy leads to the extreme individualism as well as absolute heteronomy to the extreme collectivism. Hence, it meets our deepest interest to get to the bottom of the ture nature of the "organic" character said to exist among the socaial spheres. Organism is defined in dictionary as the interdependence relations of the individual parts to the parts and/or of the individual parts to the whole, in this context then, the church and the State as social spheres can be said to stand in at least some part-to-part or part-to-whole interdependence relations. In systematic theology, it is said that God's revelation has the two aspects of general and special revelation the general revelation is given through such instruments as natural phenomena, historical events(including the State), and men's consciousness, where as the special revelation is given on the basis of theophany(including the Church), prophecy, and miracles, the special revelation is phenomenologically immanent in the general revelation, and at the same time ontologically transcendental as the upper sphere over the geneal revelation as the lower sphere. For example, when Jesus walked on the surface of the sea, the miracle happened in the sphere of the nature of w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law of the nature of water was governed by the law of the miracle, hence the sphere of miracle belonging to the upper sphere hierarchically higher than the sphere of the nature. Here it is clearly to be seen that in general the whole spheres of creation are mutually interdependent in an organic, hierarchical structure. With Kuyper's "sphere sovereignty" reconsidered as "organic sphere soverignty" in the light of our theory of revelation, it becomes ivident that the Church and the State are not only independent in terms of sphere sovereignty but also organically interdependent upon one another in the structure of the hierarchical order of creations, in as much as the Church occurs in the upper sphere of theophany of the special revelation while the State occurs in the lower sphere of history of the general revelation. As with the relation of the special to the general revelation, the Chruch is immanent phenomenologically in the sphere of the State and at the same time transcendental as the upper sphere ontologically over the lower sphere of the State. Then the sphere of religion or faith representative of the Church must be higher in terms of sphere hierarchy than the sphere of execution or action representative of the State. And there is a vast hierarchical gap between the two extremities of sphere, with some kind of intermediate spheres presumably existing between the Church(or faith) belonging in the highest sphere and the State(or action) in the lowest sphere. In such a structure of hierarchical order of spheres, inclusive of the intermediate spheres, the higher sphere represents higher degree of authonomy or freedom from the laws of the lower spheres(or lower degree of dependence), while on the other the lower sphere represents lower degree of authonomy or freedom from the laws of the higher spheres(or higher degree of dependence on the higher). The upperness of lowerness in the hierarchy of spheres may well be explained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laws of the lower spheres are governed by the laws of the higher spheres. In order to find out what intermediate sphere occurs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sphere, it is to be taken notice that the highest sphere(faith) is spiritual in the nature of things and the lowest sphere(action) physical. According to the Bible(Gen. 1:26~28), God created man in His own image, telling him to rule over the whole world of physical creation. It becomes very clear here that the divine image or moral consciousness in man occurs in the intermediate sphere higher than the lowest sphere of the physical world in view of God's command for man to rule over the physical world, the intermediate sphere defined as such may best be called the normative sphere, since various normative entities such as morality, ideology, values, logic, etc. derive from man's consciousness. In this context, the interdependence relation in the ontological hierarchy formed by the religious, the normative, and the actional sphere is made clear. Faith governs norm, and norm governs action, from which it follows that faith governs action through the medium of norm. Faith without norm is void, and action without norm is disorderly ; faith must blossom in norm, and the blossom of norm must fruit in action. In the same way, the Church at the highest social sphere must have control over the State at the lowest social sphere, yet only through the medium of the normative aspects, the Church' s direct control over the State, exercised form physicalistic or actionalistic posture other than from normativistic one, will result in the medieval degradation of the chruch into another State or secularization without fail. On the contrary, if the Church persists in sitting idly in his own sphere of faith refusing to have control over the normative sphere, the Church is not only in danger of being accursed as the fruitless fig tree but also fo incurring counter- influence from the lower spheres of the anormative norms as well as of the anormative State. Nevertheless, the interdependence control of the Church to exercise over the State is intrinsically internal. After all, we can say that the strict principle of separation of the Church and the State holds only externally or physically, but internally or normatively the principle of interdependecne of the church and the State holds. Hence, we have external separation and internal interdependence of the Church and the State. God's special revelation is redemptive in its character. The Church's end of existence lies in the fulfillment of this order of redemption, while that of the State lies in the presertation of the order of creation. The redemption is a manifestation of God's love, so that the true aspect of Christian ethics as based on God's imperative seems to be more specified by the two terminologies : redemption and preservation. This is, the eithics of special love to perform for the Church centers around the fulfillment of redemptional order, while the ethics of general love to perform for the State centers around preservation of the order of creation. The Church is under the obligation to do its primary endeavor to carry out redemption but as well to perform the secondary ethics of general love for preservation of the State. However, even if the Church's general ethical effort should be offered in the service for the preservation of the State, nevertheless done merely from physicalistic or actionalistic standpoint quite apart form normativistic standpoint, then such a well-intended deed with various anormative disorders and social anony left to take their course would quicken destruction, far from preservation, of the State. therefore, normativization of various social orders such as morality, ideology, values, and logic in the normative sphere must precede every other physicalistic or actionalistic deed in order ot promote preservation of the State, this normativization lies in redemptional theological motivation. It is to provide with christian religious basic motive for the normative spheres, that the Biblically normativized morality, ideology, values, and logic may be presented, which is to promote preservatio of the state by being conformed to the Christian redemption-motivated norms. On the other hand, the State's ethical effort should be confined to its own preservation. No power is granted the State ot make a contribution directly to the redemptional order of the Church, only its own preservation may serve to make indirect contribution. The State persisting in a refusal to conform to the Christian redemption-motivated norms of morality, ideology, values, and logic will be finally visited with punishment of destruction for having disobeyed God's preservational as well as redemptional providence of love. The Church starting from Christian love ethics as based on Biblical redemptional basic motive must exercise control over the State for preservation only through the Medium of Christian normativism, and the State starting from the motive of its own preservation must learn to be governed by the norms defined by Christian normative basic motive.

      • 한국교회 설교 위기와 극복 가능성 연구

        전만영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바우만(Daniel Baumann)은“설교에 따라 기독교의 성패는 결정된다.” Daniel J. Baumann, An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Preaching, 정장복 역,『성공적인 설교자를 위한 길잡이』(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8), 131쪽. 고 강조했다. 이 의미는 설교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설교자들에게 일깨워 주는 말이며, 설교자라면 설교의 중요성에 대하여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설교자는 설교에 대한 중요성을 알기에 하나님의 말씀을 바르게 전하고자 하는 목자의 심정으로 많은 노력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열심과 열정으로 준비하고 강단에 서지만 많은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다. 그 문제는 무엇일까? 본 논문의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회의 공예배에서 가장 비중이 큰 설교사역의 위기 극복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설교 사역의 중심 역할을 하는 설교자의 바른 자기 인식을 위한 설교의 이해에서 출발해서 한국 교회의 위기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그 위기 극복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시대에 한국교회에 찾아오는 가장 큰 문제를 꼽는다면 풍부한 설교 가운데 진정한, 진실한 설교, 생명을 살리는 설교, 하나님의 말씀을 바르게 선포하는 설교의 부재이다. 그리고 교회의 공동화 현상, 신앙의 형식화와 생명력 없는 형식적 예배, 구령에 대한 열정 상실과 젊은이들 사이에 만연한 교회에 대한 회의감 등일 것이다. 그로 인하여 한국교회는 성장에 대한 기대는 있지만 그 결과는 찾을 수 없는 현실로 접어들게 되었고 한국 교회의 성장이 둔화 내지 감소하고 있다는 보고가 나타나고 있다. Donald A. McGavran, 이요한 역, 『교회성장이해』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국, 1987), 17쪽. 한국 근대화의 초기에 사회 변혁의 주체로 자리매김 되어‘민족의 교회’로 지칭되던 그 삶의 양태와 의식은 어디로 갔는가? 왜 오늘날의 한국 교회가 이렇게 무기력하게 되었는가? 한국 교회가 물질 만능주의 가치 지향과 자기중심적인 폐쇄된 사고로 비그리스도인과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만 그 위기의 원인을 다 찾을 수는 없을 것이다. 우리는 이 위기의 한 면을 목회의 중심 사역 중의 하나인 설교 사역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목회자에게 있어 하나님의 말씀을 바르게 전달하기 위해 준비하는 설교 사역은 목회 사역의 핵심 중의 하나이다. 특별히 한국적 교회 상황에서 목회에서 설교가 차지하는 비중은 부인할 수 없게 만든다. 하지만 이 시대에 설교사역은 큰 위기를 맞았다. 곳곳에서‘강단이 비어있다’는 탄식이 들려오는데, 여기서 말하는‘강단이 비어있다’는 말은 목회자의 부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설교자를 통해 선포되는 설교사역의 부재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Clyde Reid, The Empty Pulpit, 정장복 역,『설교의 위기』(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3쪽. 즉 목사가 강단을 지키며, 그에게 주어진 설교의 권한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좌석에 앉은 청중들은 설교의 의미를 찾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삶에서의 적용을 통한 그 열매도 거두지 못하는 심각한 위기가 오늘날 강단의 현실이다는 지적인 것이다. 이러한 설교의 위기에 대하여 정장복은“설교란 택함 받은 설교자가 당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회중에게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의 진리를 선포하고, 해석하고, 이 진리를 회중들의 삶에 적용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반드시 성령의 감화하심(under dynamic of the Holy Spirit)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정장복, 『설교학 서설』 (서울: 엠마오, 1992), 58쪽. 고 정의 하였다. 그는 『설교사역론』에서 설교사역의 기초적 이론을 제시하고, 설교사역에 대한 역사와 그 실상을 고찰하면서 설교사역의 회복을 위한 제언을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설교자가 본문을 통해 하나님의 음성을 듣기 위해 본문을 연구하고 성령의 감화를 받아 회중들에게 하나님의 뜻을 바르게 전하여 그 말씀대로 살아가도록 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박근원은 『오늘의 설교론』에서 한국교회 설교의 위기 요인을 네 가지로 분석한다. 박근원, 『오늘의 설교론』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5), 11-19쪽. 첫째, 목회적 비중의 왜곡, 둘째, 이 시대의 문화적 상황, 셋째, 성서적 설교의 결핍, 넷째, 비신학적 설교이다. 특히 그는 비신학적 설교야말로 오늘의 한국교회의 설교의 위기의 주범이라고 주장한다. 설교자가 성경을 통한 바른 신학을 확립하고 설교를 준비해야 함을 지적한 것이다. 라이드(C. Reid)는 그의 책 『설교의 위기』에서 새로운 상황에 직면한 설교의 위기를 지적하면서, 설교가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고,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에서 설교를 볼 필요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커뮤니케이션”이라는, 설교자와 회중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위기 극복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C. Reid, 정장복 역, 위의 책, 42-43쪽. 그의 저서는 설교의 위기에 대한 문제제기와 문제 인식에 근거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통찰력을 제공해 주고 있다. 다니엘 바우만(D. Baumann)은“설교는 행위의 변화를 일으키려는 명백한 목표를 가지고 한 사람이 다수의 사람들에게 성경의 진리를 전달함이다” Daniel J. Baumann, An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Preaching, 정장복 역, 『현대 설교학 입문』 (서울: 양서각, 1983), 15쪽.라고 정의 하였다. 그는 설교의 요소를 첫째,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둘째, 성서의 진리(Biblical truth), 셋째, 행동의 변화(Behavioral change)의 세 요소로 밝히고 있다. 특히 바우만은 고전적인 연설과 그로 인하여 발전된 설교가 얼마나 현대의 다원화된 사회에 무력한가를 지적하면서 그 대안으로써 강력하게 회중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제시하고 있다. 카톨릭 신학자였던 칼 라너(Karl Rhaner)는“많은 사람들이 교회를 떠나는 것은 강단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말들이 그들에게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설교는 그들 자신의 생활과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그들을 위협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을 그냥 지나치고 있기 때문” 이동원, 『청중을 깨우는 강해설교』 (서울: 요단출판사, 1993), 16쪽에서 재인용. 이라고 했다. 진정한 설교는 청중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의 자리에서 민감한 도전들에 응전하면서 삶을 위협하는 많은 문제들의 대답을 찾아가도록 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설교자가 위기를 만난다면 교회도 그 위기 가운데 서게 된다는 것이 현재의 설교사역의 더 큰 위기라고 할 수 있다. 헬무트 틸리케(Helmut Thielicke)는“오늘날의 설교는 이제 임종의 단계에 왔을 정도로 쇠하고 붕괴 되었다” Daniel J. Baumann, 정장복 역, 위의 책, 11쪽. 고 말했다 이 선언 속에는 오늘날 설교가 위기의 극에 달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시대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설교의 선포와 관계가 단절되는 시대적 상황에서의 관계 회복적 메시지의 선포를 갈구하고 있는 청중들에게 전혀 적응하지 못하는 설교들 채워지고 있다. 청중들의 필요와는 동떨어진 설교자의 설교 인식이 생명력이 없는 메시지를 양산하고 있는 것이다. 설교자와 회중들 간에 언어적 소통이 중요함을 일깨워 주는 말이다.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언어를 통해서 회중이 설교를 이해하고 그래서 적용할 수 있는 복음을 전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 설교자의 언어 소통에 대한 바른 인식이 있어야 하겠다. 틸리케(Helmut Thielicke)는 오늘의 설교가 곤경에 빠졌음을 주장하면서“설교는 오늘날 매우 분주하여 사무적이 되어버린 교회의 일과 중의 하나로, 그 위치가 변두리로 밀려나고 말았다. Helmut Thielicke, 심일섭 역, 『현대교회의 고민과 설교』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2), 8쪽. ”고 진단한다. 틸리케에 의하면 설교가 위기에 빠진 것은‘탈 설교적’시대상뿐만 아니라 설교의 내용을 따르지 못하는 설교자의 빈약한 삶, 즉“설교 그대로 실존하지 못하는 설교자의 위선적인 삶” 위의 책, 131쪽. 을 더 본질적인 문제로 보았다. 존 스토트(J. Stott)는 1992년에 출판된 『현대 교회와 설교』에서 현대의 설교자들을 위한 설교사역의 본질과 정의, 그 중요성을 다루고 있으며, 설교의 역사를 통하여 성서적인 근거에 입각한 설교사역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설교는 이제 사라지고 없다”고 단언하는 과격한 주장까지도 거부하지 않는다. 스토트의 이러한 주장이 나오게 된 원인은 첫째, 반 권위적인 분위기, 둘째, 인공두뇌학의 혁명, 셋째, 복음에 대한 확신의 상실이다. John Stott, Between Two Worlds, The Art of Preaching in the Twentieth Century (Grand Rapids, Michigan: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2), 정성구 역, 『현대교회와 설교』 (서울: 풍만출판사, 1985), 59쪽. 그 가운데에도 스토트는 복음에 대한 확신의 상실이야말로 가장 큰 문제이며,“복음에 대한 확신을 먼저 회복하지 않고는 설교를 회복할 기회가 없다” 위의 책, 96쪽. 고 선언한다. 본 논문은 이미 언급한 연구의 업적을 근거해서 한국교회 강단의 위기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과제로 삼고, 이 부분을 심도 있게 다루고자 한다.

      •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성장 연구

        조성철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개념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여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 성장에 관해 살펴보았다. 교회 성장을 단순히 교인의 양적 성장이나 교회의 재정의 축적을 교회 성장으로 보는 현 시대에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 성장의 관계를 살펴 보는 것은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하나님의 선교 신학은 1952년 빌링겐 회의에서부터 구체화된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선교신학 사상은 빌링겐에서 갑자기 나온 것이 아니라 그 이전 에딘버러회의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W.C.C.를 중심으로 선교 신학의 사조가 복음의 사회성을 강조하며 개인 구원보다 사회 구원에 더 역점을 두는 경향과 그리스도인의 현존성과 역사성을 강조해 온 흐름의 특징이 집약된 것임을 알수 있게 되었다. 하나님의 선교 신학은 단순히 주님의 말씀을 향한 복종이나 공동체의 의무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선교란 구원받은 전 피조물 위에 그리스도의 주권을 세우려는 포괄적인 목표를 가지고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한 지체로서 참여하게 되는 선교 운동의 원천은 하나님 자신 이라는 것이다. 교회를 위한 교회가 아니고 교회를 위한 선교가 아니라 하나님 스스로가 선교의 주인이자 주체가 된다는 것이다. 즉 선교는 하나님께 속한 일이며 하나님이 선교의 주체일 뿐 아니라 하나님 자신의 활동이 된다는 뜻이다. 하나님의 선교 신학은 기존의 전통 개념에서의 선교의 개념과는 전혀 다른 구원이란 오늘의 사회적 도전과 역사적 조건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전통적인 선교 개념에 있어서는 세상에 대한 교회의 사명보다 교회의 본질이 더 중요시하며 교회의 전통성과 순수성에 더 역점을 두나 하나님의 선교 개념은 교회가 선교의 도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지금까지 선교를 교회의 도구로 생각해 온 전통적인 선교 이해와 교회관을 뒤집어 놓는 것이다. 따라서 선교하는 교회의 구조는 교역자 중심의 교회가 아닌 평신도를 중심으로 구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선교 신학은 역사와 세계에 대한 이해로서 즉 역사 속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의 활동이 중심이 된다. 이와 같이 역사와 세계에 대한 이해는 결과적으로 하나님의 신학이 교회보다는 세상을 하나님의 활동 무대로 중요시하는 이유이다. 바로 여기에 하나님의 신학이 현 역사만을 강조함으로 내재주의적인 역사관을 가지고 있다는 평을 듣기도 하는 것이다. 요즈음에 와서 하나님의 선교 신학의 한계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다. 성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활동은 초월성과 내재적이라는 긴장과 통합의 관계에서 이해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선교 신학은 하나님의 활동의 내재성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서 하나님의 활동을 제약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혁명이나 사회 정의를 위한 인간의 행위를 곧 하나님의 행위요 동시에 하나님의 선교로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은 역사 이해와 해석에 너무 지나친 단순 논리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또한 하나님의 선교 신학은 선교에서 수단을 배제함으로 말미암아 선교가 궁극적으로 하나님이 주체이지만 인간을 수단으로 사용하는 점에서 신과 인간의 공동적인 사역이라는 것을 외면했다. 파송이나 선교에 대한 성서의 본문을 해석함에 있어서 세상으로 파송 개념을 채택하고 교회가 특별히 선발한 사람을 특정 지역에 파송하는 사명에 대한 본문을 등한히 했다. 그러나 성서는 특별히 선발된 사람들을 선교지에 파송했으며 그들 모두가 하나님의 선교사업의 동역자들이었다. 결론적으로 하나님의 선교 신학과 교회 성장의 두 관계 속에서 하나님의 선교 신학의 새로운 종합적인 이해와 한국의 현실 속에서의 다변적인 견해를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성서는 초월성과 내재성, 수직적인 차원과 수평적인 차원, 개인 구원과 사회 구원, 영혼 구원과 사회 정의의 실현, 복음화와 인간화라는 양극화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성서는 극단적인 양극화의 분열된 사고가 아니라 이 양극화를 극복한 종합적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선교 신학에서 이야기 하고 있는 물질적 가난과 불의로 인한 투옥 등의 비 인간화된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교회 공동체는 그것에 항의하고 그들과 함께 그 고통을 나누어 가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은 복음화 및 구원의 복된 소식의 선포인 것이다. 우리는 사회 정의의 실현이 구원으로 여기지는 것을 원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구원의 복된 소식의 선포만이 사회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책임을 다했다고 말하는 것 역시 모든 것은 아닐 것이다.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양극의 길을 걷고 있는 이분법적인 사고의 틀을 깨고 복음화와 인간화, 개인 구원과 사회 구원, 영혼 구원과 사회정의 구현, 교회 갱신과 성장 둥에 우리의 양발을 함께 내밀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선교란 두 개의 수레바퀴 처럼 종합되어질 때 비로소 참 길을 가게 된다는 것이다. 한국의 교회는 수레바퀴 하나만을 가지고 이제껏 길을 왔다. 어느쪽은 오른 쪽의 수레바퀴만을 어느 쪽은 왼쪽의 수레바퀴만을 가지고 달려왔다. 오른쪽의 수레바퀴만을 가진 교회는 복음화와 개인구원, 영원구원 그리고 오로지 교회성장만을 위해 지금껏 달려왔고, 왼쪽 수레바퀴만을 가진 교회는 인간화와 사회구원, 사회정의와 교회갱신의 길만을 달려 왔다. 그러나 진정한 수레를 만들려면 두 개의 수레바퀴가 모두 필요하듯이 이제 한국 교회는 온전한 하나님의 수레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 양측면의 종합적인 이해와 수용이 필요한 것이다. 오늘날에 있어서 참교회는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성장하는 교회라고 할 수 있다. 고통 당하며 억눌린 자를 향해 복음을 전파하고 인간으로 하여금 인간답게 살게 즉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 회복을 추구하며 그들에 의해 만들어져 가며 성장하는 교회가 참 교회의 모습인 것이다. 그래서 올바른 하나님의 선교에 의한 교회 성장의 노력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선교의 일꾼으로 땅끝까지 복음을 전파하며 나아가는 참교회의 모습이 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외방선교회의 선교 영성에 관한 연구

        김학현 수원가톨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 교회는 이웃교회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아오다가, 상당수의 해외 선교사를 파견하기에 이르렀다. 한국 교회의 해외 선교는 1975년 한국외방선교회의 창설과 1981년 한국외방선교회의 첫선교사 파견을 그 시작으로 한다. 이와 같은 한국외방선교회는 본회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선교 영성를 확립해 나가는 도정에 있다. 교회의 선교 활동은 그 지역과 범위, 대상자들이 다양하게 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선교의 방법 또한 다양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복음 선포자들 또한 자신의 문화와 언어, 나라와 민족을 떠나,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더욱 근본적으로 선교사의 영성, 즉 선교 영성의 중요성은 더욱 더 부각되고 있다. 선교 영성이란 선교사들이 하느님과 일치하고 하느님께 나아가는 방법이며, 복음 선포에 투신한 이들을 위한 영성이다. 선교사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삶, 성령에 일치하는 삶, 목자적 사랑을 실천하는 삶을 살아가는데, 이러한 삶의 양식은 결국 그리스도와의 일치를 말하며,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영성이 된다. 특히 외방 선교에 임하는 선교사들에게 이러한 영성이 더욱 요구된다. 사도생활단 선교회들은 역사적으로 고유한 선교 영성을 드러냈는데, 파리 외방선교회는 박해의 위급한 상황에서도 목자적인 사랑으로 복음을 증거하는 순교 영성으로, 메리놀 외방선교회는 교회와 사회를 돌보는 자선과 사랑의 영성으로, 골롬반 외방선교회는 가난한 사람들과의 연대를 통해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는 영성으로 선교하였다. 이와 같은 선교회들의 삶과 영성은 한국외방선교회의 모델이 되었다. 평생을 감사와 보은, 기도와 미사, 가난과 겸손으로 살았던 최재선 주교는 한국 교회가 세계 복음화에 동참하고, 시대적 징표를 깨달으며, 한국 교회 성숙의 표지를 드러내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외방선교회를 설립하였다. 이러한 설립 목적에 따라 한국외방선교회는 다음의 선교 영성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첫째, ‘감사와 보은’의 영성으로 모든 일에 감사하고, 투철한 봉사의 정신으로 선교 활동에 임해야 한다. 둘째로, ‘순교와 열성’의 영성으로 어떠한 어려움도 극복하고 기쁘게 선교 활동에 임해야 한다. 셋째, ‘기도와 순명’의 영성으로 하느님의 뜻에 따르는 선교 활동에 임해야 한다. 이같은 선교 영성은 활발한 해외 선교를 하고 있는 한국 교회에 새로운 활기를 넣어주고, 모든 선교사들이 행복한 선교사로 기쁘게 살 수 있는 길을 제시할 것이다.

      • 교회학교 중등부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장로교 통합교회 「하나님의 나라」 교재를 중심으로

        장재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교회는 교육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설계해야한다. 교육과정은 학습내용으로 구체화되므로 교회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교육과정의 문제는 언제나,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는 곧 교육과정이란 '무엇을'(내용) '어떻게'(과정)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는 연구분야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기독교 교육의 목적·목표와 기독교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에 관해 다루었으며 교회학교 중등부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1960년 대 중반 이후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지속되고 있는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원리"에 관한 세 가지 차원의 비판적 연구인 전통주의학파, 개념-경험주의 학파, 재개념주의학파의 이론들 가운데 긍정적인 개선방안들을 수용하는 입장에서 쓰여졌다. 지금까지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들은 교육과정의 한 영역을 지엽적으로 다루었거나 교육과정의 유형과 이론에 치중한 연구들이었다. 한 교재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전 영역(요구사정, 목적·목표 설정, 내용 선정, 조직, 평가)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다룬 연구들은 미진할 뿐 아니라, 아직까지 거의 수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학교 중등부 교육과정의 전 영역에 관한 이론적인 틀을 제시하고, 장로교 통합교회의 새 교육과정인 「하나님의 나라: 부르심과 응답」교재를 분석함으로써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또 다른 연구의 목적은, 교회학교 중등부 교육과정에 관한 논문들은 학습경험을 중요시하려는 최근의 시도는 있으나, 아직까지도 전통주의 입장에 머물러 있으면, 사회과학적 방법을 경시하고, 많은 부분에 잠재적 교육과정의 내용을 담고 있었기 때문에, "기독교적 바른 앎과 기독교적 바른 삶"을 연결을 위한 실천적인 교육과정의 연구가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내용분석법을 통해, 첫째, 교육과정의 일반적인 이해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육과정의 유형을 고찰하였다. 둘째, 기독교 교육과정의 이해를 위하여 위코프의 이론과 교회 교육과정 이론의 최근의 동향(협동교육과정계획안 : C.C.P. / 공동교육개발 커리큘럼 : J.E.D. / 미국 장로교회의 새 커리큘럼 : P.R.E.M. / Maria Harris의 교육목회 교육과정)을 고찰하였다. 셋째, 중등부(청소년)라는 학습자의 계층을 고려하여 이 시기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 특히 발달과업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넷째, 기독교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목적·목표 설정 및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의 원리를 고찰하였다. 다섯째, 장로교 통합교단의 3번의 교육과정의 변천사를 알아보고, 이 3번의 교육과정의 특징을 고찰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문헌비판법을 통한 실증적 연구에서는 위의 이론들을 근간으로 하여 『하나님의 나라 : 부르심과 응답』중등부 교재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요구사정과 기독교교육의 목적·목표 설정의 분석에서는 성서적 신학적인 적절성과 타당성, 행동 변화 가능성, 개방성과 공유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기독교교육 내용의 선정분석에서는 교육내용 선정의 일반적인 원리인 타당성과 유의미성, 유용성, 학습가능성, 체계적 위계성 및 비판적 성찰에 의한 정당성의 원리에 따라 내용이 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셋째, 기독교 교육내용의 조직분석에서는 수직적인 조직원리인 계열성(sequence)과 계속성(continuity)의 원리와 수평적인 조직원리인 범위(scope)와 통합성(integration) 및 균형성의 원리에 입각하여 교육내용(학습 경험과 학습 내용)을 구체적으로 조직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교회학교 중등부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교육에서와 같이 기독교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모형으로 교회, 교과전문가(교사집단과 기독교교육학자), 학습자의 "요구"를 실제적으로 반영하는 요구사정을 통하여 교육과정이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는 교육목적인 「하나님 나라 : 부르심과 응답」이 교육내용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점이다. 따라서, 기독교 교육과정의 개선과 개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문가의 양성이 시급히 요청된다는 점이다. 셋째는 목표진술에 있어서 세 가지 고정된 표현만으로 학습목표를 진술하여 형식적인 면에서 개념-경험주의 접근을 반영하고 있는 듯 보이나, 실제적으로는 교육의 효율성의 측면을 고려하지 않는 진술이므로 블름과 메이거의 이론을 참조하여 재구성해야할 필요가 있다. 넷째는, 하나님의 속성과 신학적 명제에 대해 조직신학적인 설명 체계가 요청된다. 다섯째는 청소년의 경험 안에서 유용하고 실제적인 발달과업을 돕는 내용을 많이 선정해야 할 필요가 요청된다. 여섯째는, 중등부 교회학교 교육 과정에 "재개념주의학파"의 시각에서 성찰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일곱 번째는 새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선정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91 : 9로 나타났으므로, 여성이 절대적으로 많은 교회 현실을 감안하여 여학생들의 삶에 구체적으로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실천적 차원의 해석을 제공할 필요가 요청된다. 여덟 번째는 학습내용을 조직함에 있어서, 교사-학습자의 관계에 있어서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주도적이며, 교사의 역할은 다양한 해석의 틀을 소개해 주면서 학생들의 '비판적 성찰'을 격려하는 대화나 토론 같은 상호 의견 교환 형식을 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아홉 번째는 해리스의 교육목회 교육과정을 이론적인 기초로 하였으며 이 전 영역이 학습되도록 하기 위해서 기본 지침서가 다섯 권으로 나와야 하지만, 겨우 디다케 영역(가르침과 훈련)의 한 권의 공과책만 발행하였다는 점이다. 다른 네 가지 영역의 교육자료를 개발하여 빨리 보급하여야만 종래의 교회학교 중심의 기독교교육의 패러다임을 깨고 신앙공동체가 지닌 역동적이고 형성적인 힘을 기독교 교육의 핵심 요소로 이해하면서 신앙공동체의 삶과 예전을 통한 경험들이 회중의 삶 속에 커리큘럼이 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에도 기독교 교육의 목적·목표 설정과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에 있어서 각기 다양한 사회 문화적 환경에 있는 학습자들의 발달적 특성에 관한 사회과학적 연구와 그에 따른 검증이 요청된다 하겠다. The church is to design the curriculum in order to perform the mission of education. What and how to teach in the church rises as the important subject as the curriculum is concretized as the contents of the study. The subject of curriculum is what and how to teach all the time. It is because curriculum can be said as the field of study looking for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contents) and 'how'(course) to teach. Therefore this dissertation has handled aim and objectives of Christian education and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of Christian education at the same time with the students of secondary school department of Sunday school as the objects of the study. And this dissertation has been written in the viewpoint of accepting affirmative ways of improvement among the theories of Traditionalists, Conceptual-Empiricists, and Reconceptualist which are the studies critical in the dimension of 3 kinds on "The Selecting and Organizing Method of Curriculum" which has been continued in the actual sight of Christian education since the mid-1960s. Until today the studies on curriculum have handled only one area of curriculum as the side issue or they have put weight on the type and theory of curriculum. The studies which handled the whole area of curriculum(needs assessments, establishment of the aim and objectives, selection, organization and evaluation of the contents)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concretely analyzing one teaching material have been not only unsatisfactory but also in the situation that such studies have been performed very little.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purposed to suggest the theoretical frame on the whole area of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department of Sunday school and find the ways of improvement through analyzing the teaching materials of 「The Kingdom of God : The Call and The Answer」which are the new curriculum of The Presbyterian United(Tonghap) Church.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s of improvement of the teaching materials since the recent dissertations on curriculum of the secondary school department of Sunday school still have had the contents of hidden curriculum in many parts by sticking to the traditional position disregarding social and scientific methods though they showed the trials of putting importance on the experience of the study. In order to achieve such purposes this dissertation has studied the following contents. Through the ways of analyzing contents centered on the study of bibliography; 1) Studied the significance and the types of curriculum for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2) Studied the theory of D. Campbell Wyckoff and recent trends of the theory of church curriculum(Cooperative Curriculum Project, C.C.P., 1960-1964, Joint Educational Development Curriculum, J.E.D., 1967-1978, American Presbyterian and Reformed Educational Ministry, P.R.E.M., and The Curriculum in the Church of Maria Harris). 3)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of the youth especially centered on the development subject considering the classes of the learners of the secondary school department(the youth). 4) Studied the establishment of the aim and objectives of Christian education and the principle of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to constitute again the Christian curriculum. 5) Studied,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s of 3 curricular after examining the history of changes of 3 curricular of the religious body of The Presbyterian United Church. In the positive studies through the ways of criticizing bibliography this dissertation analyzed the teaching materials of the secondary school department concretely,「The Kingdom of God : The Call and the Answer」 based on the above theories. 1) In analyzing the needs assess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aim and objectives of Christian education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pertinence and propriety, possibility of the change of action, and the openness and joint ownership have been analyzed. 2) In the selectio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hristian education the analysis has been performed whether the selection of curriculum has been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priety and significance, usefulness, and the ability of learning which are the general principle in selecting curriculum and the principle of justice by systematic order and critical reflection. 3) In the analysis of the system of curriculum of Christian education the analysis has been conducted whether the educational contents(learning experiences and the contents of the study) has been concretely organized based on the principle of sequence and continuity, the vertical principle of the system and the principle of scope, integration and balance, the horizontal principle of the system. In the conclusi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secondary school department of Sunday school has been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bove studies and the contents are as the follows; 1) The curriculum is requested to be made through needs assessment by practically reflecting 'the needs' of the church, the subject professionals (Teachers group and Christian educators), and the learners as the model for improving Christian curriculum like general education. 2)「The Kingdom of God : The Call and the Answer」has not been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as it should be while it is the aim of the education. Therefore more than anything else nurturing professionals is urgently requested to improve and develop Christian curriculum. 3) In the statement of the objectives there are the only 3 fixed expressions about it making us think that it reflects the approach of Conceptual-Empiricism in its formal aspect but actually it is the statement not considering the effective side of education, so it is requested to be reconstituted by referring to the theory of B. S. Bloom and R. F. Mager. 4) The systematic theological explanation and system on the attribute of God and theological proposition are requested. 5) It is needed to select the contents useful in the experience and helpful in actual development of the youth. 6) The curriculum of the secondary school department of Sunday school is needed to be reflected in view of Reconceptualists. 7) It is requested to provide the girl students with the interpretation in practical dimension to be able to bring the concrete change in their life considering the church realities which show the absolute number of female believers as there appeared the ratio to be 91:9 between man and woman in the selection of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of the new curriculum. 8) In organizing contents of the study an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learners the students should be participating actively while the teachers should do the role of introducing the frame of diverse interpretations in the form of mutual exchange of the opinion like the dialogue or the discussion encouraging 'the critical reflection' of the students. 9) The curriculum of educational ministry of Maria Harris has been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the basic guide books should be 5 for the whole areas to be taught, but there was only one book of Didache area(teaching and training) which has been published. By providing urgently the other 4-area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development the experience through the life and sacrament of religious community can be the curriculum in the life of congregations by understanding the dynamic and spiritual strength which the religious community has as the key essence of Christian education by breaking the paradigm of Christian education centered on the traditional Church school. Additionally what are really requested are the social and scientific study and the verification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situated in divers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establishing the aim and the objectives of the Christian education and in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 대안교회의 성찰적 근대성에 관한 연구 : 일산 C교회 공동체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김현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대안교회의 성찰적 근대성에 관한 연구이다. 여기서 목적하는 것은 현실의 한국교회가 성원들의 ‘능동적 신뢰’를 받아내는데 실패한 이유와 앞으로 이를 극복하려면 어떤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드러내기 위해 대안교회 성원들을 교회 시스템에 대한 단순 정보제공자로 대상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행위자로 보면서 위의 문제의식에 주목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교회를 “공공성”과 “친밀성”의 영역 중 하나를 더 강조하는 경향이 있어서, 교회 성원들이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입장에서 경험들을 해석하며 행위해 가는지를 드러내기에는 불충분하였다. 즉, 1990년대 이후로 수적 감소를 나타내는 20-30대 젊은 기독교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처한 시대적 변화 맥락과 교회 공간의 조건을 분석하고 그 안에서 그들이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삶을 조직하며 실천하는가를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대안 교회 성원들이 거대주의로서 기존교회 시스템을 경험하게 되는 맥락을 살펴본다. 동시에 그들이 대안교회 시스템으로 옮겨온 과정과 실제로 대안교회 시스템에서 자아정체성을 어떤 방식으로 구성해 가는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그들이 처한 시대적 변화 맥락을 살펴보면서 그들이 교회라는 공간에 대해 어떠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한국교회는 그 동안 큰 것이 아름답다는 양적 성장의 이데올로기를 밑바탕에 깔고 발전을 거듭해왔다. 이러한 양적 성장의 중심에 교회 건물이 놓여진다. 스펙타클한 사회와 맥락을 함께 하여 세워지고 있는 교회 건물은 교회 지도자와 성원 모두를 그에 맞게 조직한다. 교회지도자는 권력 집중화된 목회 방식을 중심으로 외적으로 드러나는 건물을 향해 모든 자원을 동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성원들은 크고 웅장하며 화려한 건물을 올리는데 동원되는 타율적 정체성을 갖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동원식 타율’ 정체성은 그들의 ‘존재론적 안전감’을 파괴하는 결과를 낳는다. 그들은 자율적 자아 정체성을 구축하려는 욕구가 가득하여 대안교회 시스템으로 옮아온다. 대안교회 시스템은 그 동안 동원식 타율 정체성을 주조해냈던 기존 교회 시스템과 몇몇 군데서 차이를 드러낸다. 즉,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것이 대안교회 시스템의 밑바탕에 깔린 의식이다. 이로 인해 건물이 아닌 관계로서 교회를 추구하며 이에 맞게 목회 방식 또한 권력이 분산되는 쪽을 선택한다. 이제 ‘타율식 자율’을 추구하는 대안교회 시스템이 그들 앞에 놓여있다. 이 시스템을 선택한 성원들은 자신의 내면을 바라다 볼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이 ‘동원식 타율’이나 ‘자율식 타율’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다. 또한 대안교회 시스템에서 성원들은 어떤 식으로든 ‘능동적 신뢰’를 획득해 가는 데 참여하게 된다. 공공성과 함께 친밀성을 강조하는 C교회 공동체가 형성될 수밖에 없는 원인은 단순히 성원들의 존재론적 안전을 갈구하는 욕구에서만 찾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20-30대 젊은 기독교인들이 자아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고 있는 것은 그들이 처한 시대 상황과 관련이 깊다. 즉, 대량 생산 체제적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국민국가주의에서 전지구적 시대로 이행하는 길목에서 교회가 어떤 공간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에서 비롯되는 것이라 보아야 할 것이다. 결국 새로운 시대적 변화 앞에서 기존 교회가 성원들을 관리해온 시스템으로는 지탱할 수 없는 한계에 봉착했음과 아울러 앞으로 교회가 성원들과 함께 어떤 방식으로 능동적 신뢰를 구축할 것인가에 대해 대안교회의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분명한 것은 교회 성원들은 더 이상 ‘동원식 타율’에 얽매어 있고자 하지 않고 ‘자율’ 원리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This dissertation is on the reflexive modernity of the alternative church.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explain why Korean churches don't have 'the active trust' of their congregations and to also suggest ways to overcome this problem. In doing this I don't want to objectify the congregations of the alternative church as simple information-providers but want to treat them as social actor s concerned with the above problem. Previous researchers have tended to emphasize only one of the two factors 'familarity' or 'public accountability', thus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how the congregations interpreted their own experiences and acted from their own viewpoint. To understand the trend of declining number of young christian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since 1990's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se the historical context, the conditions of the church space, and the lives and the behavior of the congregations. First, this dissertation explains how the congregations of the alternative church experience the ideology of big is beautiful within the previous church system. Second, it investigated how the congregation of the alternative church construct and experience their identity within the alternative system. Finally, it explains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congregations of the alternative church live as well as their expectations for the church space. The results of the thesis are as follow : The Korean churches developed emphasizing quantitative growth. Within this development the size of the church buildings became a symbol of the tower and glory of the church. The bigger the buildings, the greater the power. Accordingly, the church leaders mobilized all their resources towards the construction of church building which visualized concentrated power. As a result, little resource was left for the identity development of the congregations. So the members of the congregations simply adopted the identities provided by churches without developing their own. Sometimes, this even resulted in a sense of existential crisis. The congregations who gathered within the alternative church system long to actively construct their own identities. One of the two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and the alternative churches is in their attitude toward their church development. The consciousness of the alternative church is based on the idea that 'Small is beautiful'. It is oriented toward build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gregation members not on constructing great buildings. The other major difference is the emphasis within alternative churches on the equal distribution of power and an ethic of caring, thereby providing a space where the congregations of the alternative church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own identity development. These two differences also become a way for the alternative church to win the active trust of their congregations. For example, by examining "C-church" some of the changes within the alternative church system are highlighted. The leaders of C-church not only emphasize the principles of 'familiarity and public accountability' in the running of the church, they also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is sues of young christians. As the world transforms from an industrial system to information society, from nation state to a globalized world, the role of the churches has to change in oder to meet the changing identities and needs of their congregations. In conclusion, the previous churches have shown the limit of using the principle of mobilizing the church congregations. So the churches now need to win the active trust of their congregations. This can only be done is the members of the congregation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anagement of the church affair and the construction of their own identities.

      • 교회법 제245조 1항에 나타난 신학생 "영적 양성"에 관한 고찰 : 수원 가톨릭 대학교 사제 양성 지침서 "못자리 2000년"과의 비교

        김우정 水原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금까지 살펴 본 영적 양성에 관한 모든 것을 보면 지향할 바는 자명해진다. 그리스도를 닮는 것, 제2의 그리스도가 되는 것이 바로 영적 양성이 지향하는 바이며, 미래의 사제인 신학생들의 제1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본문에서 살펴본 영적 양성의 원칙과 요소들은 그 하나하나가 사제의 삶과 직결된다. 이 모든 것들은 현대의 어느 시점에서 만들어져 강조되어 온 것이 아니다. 이것은 2000년을 이어오는 그리스도교의 역사 안에서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가며 만들어지고 다듬어져 온 것이다. 특히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제시된 영적 양성의 네 가지 원칙은 보편교회와 개별교회를 막론하고 강조되고 있으며, 그 안의 모든 요소들은 그 원칙들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신학생들은 양성의 목표인 그리스도를 지향할 수 있게 되고, 개별 교회와 양성의 요람인 각 신학교는 올바른 영적 양성을 통해 전체 교회에 활력을 불어 넣어 줄 수 있는 것이다. 이 네 가지의 원칙은 근본적으로 공의회의 개념인 친교(communio)를 지향한다. 이 개념은 영적 양성의 모든 원칙과 요소들 안에서 드러나고 있으며, 공의회 이후의 문헌들은 신학생들이 올바른 영적 양성을 받는 것이야말로 그리스도를 포함한 삼위일체와의 친교임을 말하고 있다. 이 친교는 그리스도께서 자신을 내어주시는 미사성제 안에서 정점을 이룬다. 미사에는 지금까지 본문을 통해 설명해온 영적 양성의 대원칙들과 그 세부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모든 것이 망라되어 있다. 곧 신학생들��미사를 가르��체험하게 하는 것은 영적 양성의 모든 것을 가르치는 것인 동시에 공의회의 정신인 친교를 지향하는 것이다. 미사에 대해 가르칠 때 신학생들은 그 안에서 온전한 사랑이신 성부와, 말씀이 되어 우리��오신 성자와, 교회 안에서 활동하시며 우리��힘을 부여해주시는 성령과의 친교를 나누고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신앙인으로서 살아나갈 힘과 용기를 얻게 된다. 이 친교 안에서 신학생들은 자신을 발견하고, 하느님의 끝없는 사랑을 체험한다. 이 체험은 미래의 사제들을 양성의 원천이자 목표인 그리스도께 인도한다. 더불어, 개별 교회와 각 신학교에서는 공의회가 제시하는 원칙들을 충실히 지향하면서 자신이 속해 있는 나라의 정서와 문화, 그리고 각 교회별로 가지고 있는 특성들에 기인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독자적인 양성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 교회가 발표한 "한국 사제 양성 지침"과 수원 가톨릭 대학교의 "못자리 2000년"이 주요 실천과제로 순교자들의 영성을 따를 것을 강조하며 토착화를 지향하고, 교구 사제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국 교회의 실정에 맞추어 교구 사제 영성의 확립을 내세운 것은 장차 한국 교회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이처럼 희망적인 전망이 존재함에도 신학교의 영적 양성은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오늘날 확산되는 여러 가지 문화적인 요소들은 오랜 시일과 노력이 요구되는 영적 양성의 기간보다도 몇 배나 빠르게 신학생들에게 침투하고 있다. 더불어 많은 신학생들이 사제로서의 삶에 필수적으로 따르는 "고통과 십자가"를 회피하려 한다. 그 결과 많은 신학생들이 그릇된 자유와 개성을 강조하고, 교회가 수호하는 신앙과 객관적 진리를 마치 중세 교회의 유물이나 기성세대의 사고처럼 여기는 경향이 늘어��있다. 더불어 오늘날 교회 안에서 만연하는 여러 형태의 다원주의적, 세속적 사고들은 한창 비판과 토론을 촉구하는 젊은 신학생들의 정신과 사고에 영향을 주어, 영적 양성의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이 상황 안에서 교회와 신학교가 지향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그리스도를 강조하고 그 안에서 진리를 찾는 것이다. 영적 양성은 원천이자 친교이기에 진리를 가르쳐 주고 진리이신 그분과 만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서 교회는 신학생들의 영적 양성에 지금보다 더욱 힘써야 한다. 영적 양성의 1차적인 대상자는 모든 신학생들이지만, 여기에는 교회의 장상과 양성자들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양성자들은 양성의 대상인 신학생들이 그리스도와 친교를 이루도록 인도하고, 자신도 그 모범이 되어야 한다. 더불어 전체 교회도 사제 양성에 대한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영적 양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때, 신학생들은 자신의 삶을 통해 그리스도를 드러낼 수 있게 된다. 그리스도께서는 "나를 보았으면 곧 아버지를 본 것이다"(요한 14, 9)라고 말씀하신다. 신학교에서 적극적이고 올바른 영적 양성이 이루어질 때, 미래의 사제인 신학생들은 자신의 삶 안에서 모든 신자들에게 그리스도를 보여주고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게 될 것이다. 신학교는 예로부터 "교회의 심장"으로 불려왔다. 심장이란 온 몸에 피와 산소를 공급하여 생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중요한 기관이다. 심장이 멈추면 인간은 그 생명을 다한다. 그런 이유에서, 신학교는 미래의 사제인 신학생들의 영적 양성에 온 힘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영적 양성은 모든 신학교 양성과정의 근본이며, "심장 안의 심장"이다. 만일 신학교의 영적 양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신학생들은 양성의 목표인 그리스도와 일치하지 못할 것이고, 이는 결국 전체 교회의 문제로 나타난다. 영적 양성은 신학교를 신학교이게 하는 것이다. 그것은 곧 신학교의 정체성이다. 영적 양성을 통해 신학교는 그 정체성을 확립하고, 신학생들은 그리스도를 포함하는 성삼위와의 근본적인 일치와 친교를 이룬다. 이 친교를 통해 미래의 사제들은 인간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기꺼이 내어 주신 그리스도의 모습을 온 세상에 드러내고 하느님의 모상을 지닌 모든 인류와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다.

      • Spreading the holiness fire : a history of the OMS Korea holiness church, 1904-1957

        홍용표 Fuller Theological Seminary 1996 해외박사

        RANK : 247807

        성결교회와 그 신학은 어디서 기원했나? 성결교회는 미국교회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초교파성을 뛰며 선교운동으로 생성되었다. 이 운동은 성경중심, 사도적, 신약적, 하나님의 교회관, 초대교회적 성령의 체험, 은사, 역사를 강조한다. 그 신학은 여러 교리가 초교파적으로 교차되며 복음주의적으로 상황화된 성령세례운동이었다. 1904년 단기 선교사 나카다 주지가 한국에 와서 도쿄신학교를 소개하고, 한국의 장로교, 감리교 신자들이 일본 도쿄성서학원 에 찾아가닌 성결사역자로 훈련받게 되었다. 한국성결교회는 훈련받은 한국 사역자와 선교사들이 1907년 5월 2일 부산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 1910년정주 선교사가 내한하면서, 한국성결교회는 급성장하였다. 1921년 성결교회 선교사 수는 1.5교회에 1명 꼴이었다. 한국성결교회의 태동은 북미, 구라파 의 복음주의 교회들과 기존 한국교회가 만들어낸 협력작품이었다. 이 교회의인력, 재정, 정책, 신학은 주로 북미 성결교회에서, 일부 인력과 제도는 기존한국교회에서 간접적으로 제공되었거나 상황화되었다. 기존 교회와의 차이점은 근복주의적인 성경운동, 생생한 성령체험운동, 계층과 교파를 초월한 전도본위 운동이었다. Ⅰ. 만국성결교회의 선교운동과 한국성결교회 태동 만국성결교회의 창설자 마틴 웰스 냅 (Martin Wells Knapp)은 1888년 하나 님의 부흥자를 창립하였고, 1895년에는 신시내티에 성경학교를 1897년에는 만국성결연맹을 창설하였다. 이 교단은 대체적으로 가난한 사람, 좀 배움이 약한 사람들로 초교파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교단신학은 예수 및 사도적 성경적 복음원리, 성령운동으로 되돌아가, 기존교회를 부흥갱신하고, 잃은 영혼을 공격적으로 구령하는 오순절 순복음 곧 사중복음 (중생, 성령세례, 신유, 재림)으로 집약된다. 이 교단의 선교정책은 성령세례받고, 기도, 찬양, 헌신으로 충만한 성결인들의 직접전도, 선교사를 파송하여 성경신학교를 세움, 현지인 교역자의 양성으로 교회개척, 현지인교역에 중점을 두었다. 이 교단 은 증거와 봉사를 위해 평신도, 여성의 교역과 성령의 모든 은사를 최대로 개방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