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특성화고 학과명 개편에 따른 교육과정 분석 : 전기전자계열 중심으로

        정현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공업계 전기 전자 계열 특성화고 학과 개편 동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실제 각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편성이 학과 개편의 교육 목표와 같은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의 학과명은 시대적 산업 동향과 국가 정책이 반영된다. 2015년도에는 정보, 2022년도에는 4차 산업 기술에 관련된 학과명이 주도하거나 등장하였다. 둘째,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토픽 분석하였을 때 기초 전공 지식을 기반으로 전공 실무 능력을 강화하고 산업 현장에서 자기 주도적인 전문 기술자를 양성하는 기본적인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변함없이 도출되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디지털’이라는 새로운 키워드가 등장하였다. 셋째, 2022년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과 개편의 명칭은 4차 산업 혁명의 기술을 다루는 AI, IoT, 스마트 팩토리 등 시대적 흐름에 맞춰 학과명이 개편된 학과가 존재하였다. 교육과정은 학과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인력 양성의 목표에 맞게 교과목이 구성된 학교도 있었지만, 학과 명칭만 형식적으로 변경하고 교육과정은 크게 차이가 없는 학교도 있었다. 4차 산업 혁명의 신기술 시대가 열렸고, 사회, 경제, 산업, 교육 등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학과 개편 체제를 제언하고 변화에 대응하여야 한다. 학과를 신설하거나 체제 개편을 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충분한 시간을 두고 개발하여야 하며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학과 개편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파이데이아 제안’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구성원리

        김자경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학교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는 학교교육의 근본 목적이 무엇이고 무엇을 가르쳐야 하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즉 학교 교육의 본질적 문제, 특히 교육과정의 문제를 다시 살펴보아야 할 시점에 있다. 이러한 기본적 문제에 관한 충분한 논의와 합의를 토대로 할 때 교육개혁도 비로소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Adler의 ‘파이데이아 제안’ 속에 나타난 기본학교 교육이론을 고찰하고, ‘파이데이아 프로그램’에서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부분을 심도 있게 분석하며,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구성원리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우리 초등학교 교육과정 구성에의 의미 있는 논의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파이데이아 제안’에 나타난 기본학교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우리 초등 교육과정의 발전적 구성을 위한 많은 논의점을 얻을 수 있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할 수 있다. 첫째, Adler의 기본학교 교육과정 이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기초, 기본 학습의 강조는 우리 초등 교육과정에서도 의미 있게 논의될 수 있다. 여기서의 기초, 기본교육이란 단순한 읽기, 쓰기, 셈하기의 강조가 아닌 학습자가 평생에 걸쳐 학습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학습의 습관을 형성하고 주도적인 탐구자세를 갖게 하는 교육을 말한다. 둘째, 초등 교육과정은 다양한 교육방법과 교재의 사용을 통해 교과과정 내에서의 창의력 신장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창의성 교육을 교과 이외의 활동으로 간주하게 되면 또 다른 형식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셋째, 현재의 흥미 위주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이론이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자 존중 교육과정’ 원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초등교육에 있어서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이 자칫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이 교육의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부분인 양 지나치게 강조되어 교육의 본질에서 벗어난 교육과정 운영의 우려가 있다. 넷째, 교육과정이 교육을 위한 필수적인 규준으로서의 위상을 가지기 위해 심도 있는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교육과정은 교육을 위한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규준으로서의 위상을 가지기 위해 각 교과별로 다양한 지침과 안내가 자세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우리 교육활동에 있어서의 교육과정의 위상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있어 학교 급간의 연계성 확보가 필요하다. 이는 Adler의 기본학교 교육과정 이론에서 특히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논의점들은 우리가 보다 발전된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하여 반드시 심도 있게 살펴보아야 할 몇 가지 점들이다. 공교육의 초기 단계이며, 또한 학습 세계의 입문단계인 초등 교육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그 본질적 성격에 적합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교육과정 구성에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o solve the problem of school education in these days, we are in the point of time to re-examine what is the basis purpose of school education, what item is educated and how to teach for this, namely, substantial problem of school education, specially regarding the curriculum. An education innovation is to be able to own meaning for the first time when based on these enough discussion and consensus about these basic things. Consideration of basic schooling theory to have appeared in Adler's Paideia proposal, analysis of a part corresponding in program on 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rocess and abstraction from composition principle of 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rocess, these are on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Our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mposition through this suggestion may find out meaningful discussion point. Through analysis of the basic school education process that was appeared with Paideia proposal, it was able to get a lot of discussion points for development of our elementary education process. A summary is going to arrange by the results as follows. The first, emphasis for foundation or basis of study on the core of basic schooling process that was appeared with Adler's theory, it can be discussed meaningful in an elementary education process. In this sentence, foundation or basis of study does not mean emphasis for a simple reading, writing, counting. It lays an emphasis on education for acquisition of study habit and positive Investigation that can be continued in study over lifetime The second, an elementary education process must put emphasis in the extension in curriculum through various education ways and use of teaching material. If originality education is regarded as activity of curriculum outside, cause another formalization is worried. The third, a discussion for principle of a learner-esteem education process is necessary for a plan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is able to cause by a learner-centered education process theory for getting an interest in these days. It is extremely natural work that a learner-centered education process must be composed in an elementary education. However, as for this, it has a possibility of over-emphasis may lead misunderstanding that seems as if the interest and concern of learner is core of education. In this regards, we can point out the concerns to operate education process without a trustworthy view or philosophy of education process. The fourth, a study and the discussion in depth are indispensable so that an education process has a phase as a canon for education. Various and detailed manuals and guidance according to each subject must be provided so that an education process have a phase as a canon which is indispensable and essential. A discussion in depth for education process phase in our education activity is also required. The fifth, in development and operation for educa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acquire a close liaison between school classes. This can especially get hint point in basic schooling process theory of Adler. Until now, the discussion points that we presented are providing several sides for us to look over in depth so that we compose an education process developed more. Finally, a discussion in depth for education process composition is indispensable in order to firm phase for an elementary education that is the early days of public education, and, also, is a beginner in elementary world and to perform proper education to be suitable for the essential character.

      • 직업탐구 영역 내 정보·컴퓨터 관련 교과들의 교육과정 분석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류민완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실업 교육의 육성 방안으로 수학능력시험에 '직업탐구' 영역이 신설되었으나, 그 동안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전문교과가 포함된 적이 없었고 현재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은 국가수준에서의 평가기준이 미비하여 학생들의 성취평가에 전문교과 교사들이 나름대로 설정한 기준으로 평가하고 있어 학교 교육의 질 관리에 소홀하고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그 과목의 평가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중에서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신설될 직업탐구 영역 중 정보·컴퓨터 관련 교과들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을 모색하였고 그 평가기준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새로운 교육과정 모색을 위한 공통 내용 요소를 설계하였고 정보·컴퓨터 특성에 기반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개발 방안을 구안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예시 평가도구를 과목별 특성에 부합되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교육과정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과의 계열성은 고려되지 않는 제한점은 있으나 새로운 시각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차기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구안된 성취기준, 평가기준, 예시평가도구는 정보·컴퓨터 관련 교과들의 교육과정의 제반활동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vocation inquiry' section was added to the Scholastic Ability Test as a method of promoting industrial education. Because specialized subjects have never been included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however,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hese subjects. Currently the high school education curriculum of specialized subjects lacks assessment criteria on the national level, so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ized subjects are establishing assessment criteria arbitrarily to evaluate students' achievements. This lowers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under this situation, it is almost impossible to test students on specialized subjects at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in education curriculum of subject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puter in the vocation inquiry section, which will be added to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rom 2005, sought for new education curriculum, and studied the assessment criteria. So, this study was designed a common contents element to search new education curriculum, designed a method of developing achievement and assessment criteria to test students in the aspect of achieving the characters and goals of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developed sample assessment tools fit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to utilize the criteria. Education curriculum developed as new point of view and contribute to suggest followed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designed achievement and assessment criteria and sample assessment tools helps to improve all activity of education curriculum of subject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puter.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교과서 분석연구 : 중학교 1학년 감상영역을 중심으로

        장명인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감상교육은 음악적 정서와 음악의 애호심을 기르고 음악의 가치를 내면화하여 심성을 계발함으로써 정서적이고 창조적인 인간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학교 수업에서의 음악 감상교육은 학생들이 음악의 미적 가치를 알게 하는데 있어 근본이 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우리나라 음악교육에 있어서 교과서는 가장 중요한 학습자료이며 매체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교육 자료가 미비한 감상 학습에 있어서 교과서의 역할은 막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감상 교육은 가창 중심의 학습과 방송 매체에서 파생된 대중음악의 범람으로 소외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상교육의 현실을 인식하고 2001년부터 중학교 1학년에 적용되고 있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을 분석하여 교육 과정의 감상영역에서 제시한 항목이 충실히 구현되었는지와 그 문제점을 파악하여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관련 문헌을 통해 제7차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배경과 중점사항, 구성체계에 대해 알아보았고, 또한 음악감상 교육의 중요성, 본질, 방법 그리고 감상지도를 위한 교재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전체 악곡 중 감상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의 비율, 감상곡 수록현황, 시대별, 작곡가별, 장르별, 연주 형태별로 중학교 1학년 5종 음악교과서의 감상 영역을 분석하였다. The goal of appreciation music is to form emotional and creative human beings by developing sensitivity through foster the musical emotion and the love of music and internalizing the value of music. The education for music appreciation at school lessons is very important course to be base in enabling students to know the aesthetic value of music. Textbooks in the music education of our country are playing the most important role as the most important data and media for study. Especially, in the appreciation study that education data are incomplete, the role of textbooks is very important. Nevertheless, it is the actuality that current appreciation education is being alienated due to the study centering around singing and the overflow of mass music derived from broadcasting media. S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at should be opened by grasping the point at issue as to whether the items that the appreciation domain of curriculum presented were realized completely after recognizing the actuality of appreciation education and analyzing the appreciation domain of the 7th curriculum of music subject which had been applied to the 1st grade at middle school since 2001. First, this researcher examined about the background, priority fact, and composition system of the 7th curriculum of music subject of middle school through relevant literature and examined about the importance, essence and method of the education for music appreciation and the teaching material for appreciation guidance.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rate that appreciation domain occupies out of whole musical piece, the rate betwee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 music, the present situation of record of appreciation record, and the appreciation domain of 5 kinds of music textbooks of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by period, composers, genre, and performance forms on the basis of this theoretical background.

      • 敎育課程의 패러다임에 따른 初等學校 建築計劃에 關한 硏究

        이경혜 弘益大學校 敎育經營管理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등학교는 교육과정 중에서도 가장 기초가 되는 교육의 장소이다. 교육법에서도 초등학교가 설치. 운영되는 목적을 「학생들에게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초등교육을 하기 위한 것」 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초등교육을 「모든 국민이 누구나 받아야 하는 의무교육이고 민주국가 국민으로서의 필요한 자질을 기르는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교육이며 더 나아가 초등학교 교육은 후속하는 모든 학교교육의 바탕을 마련하는 교육이며 학생의 성장의 제 측면을 풍부하게 하고 바람직한 태도를 기르는 전인교육」 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제도와 시설, 그리고 교재와 교육 방법은 교육받는 사람들의 인격을 존중하고 개성을 중시하여 그들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하며, 점차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사교육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최근의 추세에서 초등학교는 아동들에게 가장 필요한 인성교육의 장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학교의 교육과정은 그 자체가 학교시설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함축하게 된다. 이러한 속성상 교육과정이 변하는 것에 따라 학교시설 역시 그에 걸맞게 변화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볼 매 교육 제도와 교육방법, 그리고 학교의 시설은 총체적으로 함께 변화해 가야 할 것이며 초등학교 시설 역시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적응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즉, 이제는 학생들의 개성을 존중하고 세계화의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교수 학습과 교수 학습 공간의 후진성에서 벗어날 시점이라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시설을 계획하는 입장에서 근래의 사회적 변화에 부응하고 다양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활동을 수용하며 더 나아가 미래의 교육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육환경조성과 함께 환경 친화적 요소를 고려한 새로운 초등학교 건축의 방향을 제시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초등학교 건축의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은 서론으로서 본 연구를 실행하게 된 배경과 목적 및 연구 범위, 각 장별 연구 진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2장은 교육과정과 학교시설의 이론적 고찰로서 교육과정의 변화과정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의 교육학적 근거를 제시한다. 또한 초등학교 시설측면에서 기존의 시설계획기준령의 변화과정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초등학교건축의 변화특성을 분석하고, 초등학교시설계획의 개념과 절차, 기존의 건축계획의 각론적 요소들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3장의 사례분석을 위한 틀을 마련한다. 3장은 초등학교시설에 관한 현황연구로서 통계적 지표분석과 최근의 국내외 초등학교들의 배치, 공간구성, 평면유형을 비교 분석을 통하여 건물의 모듈체계와 학습공간의 치수, 면적 및 구조와의 상관관계 및 공간의 합리성과 공간의 가변성(Flexibility), 교구의 배치, 이용 실태 등을 종합 분석한다. 또한 설문을 통한 현재 학교시설의 문제점 및 개선의 요구를 파악한다. 4장은 3장에서 다루어진 분석의 내용을 토대로 향후 초등학교 계획 시 건축계획의 적용 방향과 더불어 새로이 요구되는 학교건축의 개념과 검토 가능한 디자인 언어를 제안한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계획모형을 제시하였다. 5장은 전술한 형식으로 진행한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였다. 본 연구자는 위와 같은 연구의 진행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건축계획의 방향으로서 (1) 학교 입지선정온 해당 지역지구의 인구밀도틀 고려하여 상급학교들과의 교육시설망을 구축해야하며 장래의 시설수요에 대한 대웅성 및 적정한 형상인지 여부, 학교주변 환경의 안전성 및 적정한 통학거리의 확보가 가능한 최적의 입지를 선택하여야 한다. (2) 대도시의 경우 인구과밀과 택지의 부족에 따라 대규모의 학교보다는 소규모 학교위주로 지어져야하며 기존 학교건물의 리모델링을 권장해야한다. (3) 교사배치 측면에서 초등학교의 교사는 대지 조건과 경제여건이 허락하는 한 4층 이하로 저층화 함이 적당하며, 배치형태는 학년별 클러스터형태로 유치원, 저학년, 고학년의 교육공간으로 나누어 몇 개의 교실을 하나의 군으로 집합시킨 배치형태를 채택하여 대집단 수업 등 다양한 교실운영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교의 대외 개방의 검토로써 담장을 없애고 자연 녹지 형태 식물군을 통해 자연스런 경계를 줌으로써 지역사회의 개방적 활용과 평생교윽의 장으로서의 역할에 적극적으로 지역주민의 참여를 이끌 수 있다. (4) 평면계획에 있어서 먼저 동선계획에 대해 알아보면 동선분리를 적극 고려한 배치계획을 적용하여 진입공간의 계획을 대지 축을 설정하여 주 진입축을 따라 학생들의 진입을 유도하고 진입광장을 설치하여 공간의 개방감을 마련하고 지역개방 시 시설이용자와 학생들의 동선이 서로 방해 받지 않게 계획한다. (5) 각 실별 계획은 저학년인 경우 두 공간이 통합되거나 공간적으로 밀접한 연결 관계가 필요해서 저학년은 소규모 놀이 공간의 필요와 작업공간에서 직접 옥외 공간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며 중정녹화 공간의 활용을 할 수 있게 배치한다. 저학년은 보통교실 내에 교사실을 두거나 작업 공간간의 UNIT별로 위치하되 시각적 개방감이 요구 되게 계획 배치한다. 고학년인 경우 보통교실과 작업공간이 서로 밀접한 관계의 공간으로 계획해야하며, 교사실은 별도의 폐쇄적인 곳으로 계획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공동 출입구를 통해 옥외공간으로 연결이 가능하게 배치함이 좋다. (6) 초등학교 공간계획에서는 중고등 학교와는 달리 아동 놀이 활동은 아동의 심신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건축 공간의 다양한 다목적 스페이스의 적극적인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열린 교실의 크기로 학생1인당 약 3-4㎡가 제안되며, 40명 기준 1학급크기는 120㎡-160㎡가 필요하며 기존의 복도폭 2.5m를 최소 4.5m-7.5m로 확장하여 오픈 스페이스로 구성한 크기가 필요하다. 또한 열린 교실은 팀 티칭을 위한 학습코너의 관점에서 공간 배치가 이투어져야 한다. 둘째, 학교 system화의 대안으로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철골 구조에 의한 건축의 시스템화를 학교 건물에 도입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대안이다. 철골조의 기대효과는 획일화된 모듈에서 다양한 모듈의 사용을 설계요소로 사용할 수 있으며 평면 계획의 합리성과 경제성을 기할 수 있다. 특히 환경 친화적 측면에서 자재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단열 성능이 우수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천연 목재의 사용량의 감소로 세계 환경 기준을 고려해 볼 때 크나큰 생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구조물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며 시공성과 공기 단축을 이률 수 있다. 셋째, 환경친화적 측면에서 창호의 고밀도화를 통한 단열 성능의 증가와 더불어 공조 및 환기시스템과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에너지 절약을 극대화한 시스템을 도입하여야 한다. 공조 설비에 의한 냉난방외에 자연 환기를 도입하여 실내 온열환경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식물이나 물 둥의 요소를 가진 자연 공간을 확보하여 생태계를 보존하는 것으로 옥상녹화, 중정녹화, 벽면녹화 둥 바이오톱에 의한 녹화 운동을 적극 적용하여 초등학교 시설에 도입함으로써 학교가 생태 교육의 장으로서 수공간의 재생과 순환이용 또는 우수를 활용한 방화 수조의 이용으로 생태 건축의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교 주변의 녹화는 자연스럽게 방재림의 역할을 수행하며 환경 문제에 대한 시민의 교육계몽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제시한 초등학교 시설 모형(도시형 초등학교 계획안)은 미래의 교육과정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기본전제로 철골조 건축시스템 도입과 제7차 교육과정과 앞으로의 교육과정 변화에 대응한 시설의 가변성이나 융통성 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업을 진행할 수 있고, 학년 간 혹은 교과별 협력 학습에 필요한 다목적 공간을 적절히 배치하여, 적극적인 학습자 참여를 유도 할 수 있는 열린 교실 형태의 교실 배치틀 구상하였다. 또한 정보 통신화에 따른 학교시설 내에서의 네트워크화의 적용과 환경친화적인 재료 선택과 생태건축의 도입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의 정서 함양과 더불어 건강하고 전인적이고 조화로운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학교 시설 계획안을 제시해 보았다. 최근의 초등학교시설계획에 있어서 하드웨어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성과나 실제로 건립된 시설자체의 발전은 어느 정도 갖추어져 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새로운 교육과정이나 교육시스템, 그리고 이에 따른 초등학교 시설의 변화와 발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시설의 사용자 즉, 현장에서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는 일선교사들이 인식변화와 새로운 교육시스템에 대한 적응력을 갖추고자 하는 노력일 것이다. 이상의 교육과정, 교육시스템, 교육시설, 그리고 일선교사들의 인식이 총체적으로 서로 연동되어 변화 발전해야만 우리나라의 초등교육의 진정한 발전이 이룩될 것이다. Among educational curriculums a elementary school is the basic place of education. The purpose that elementary school is established and run is provided as 「to do the basic and necessary education in life」in the education law and elementary education is defined as 「the obligatory, education for people and the basic and necessary education to raise a needed quality to be a democratic man, and the background education for next education and the comprehensive education making a desirable attitude」. Therefore, the system, facitities, educational materials and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elementary education should be made to maximize one's 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ir personalities and characters and elementary school should be the most necessary place of "human education" under the situation that parents gradually lay stress on private educations. The school curriculum itself impose how it's facilities are. By these attribution according to changing curriculum school facilities should be changed. It is natural that the education systems, methods and facilities must be changed and adopted totally. It's the time to respect students' characters and to change educational materials and spaces with the globalization. Therefore, this study purposes to suggest the architectural direction of a elementary school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which properly responses to the future education and study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element. To propose the architectural direction for a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processed as following. The first chapter looks at the background, the purpose, the scope and the device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will provide the educational basis taking a look at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school facilities theoretically. Also in the aspect of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it analyzes the changing process of existing standards for facilities and changes of elementary school characters. It will give the frame for an analysis on examples in the 3rd chapter through concepts, process and detailed elements. In 3rd chapter the module system of building, the relation of it's size, the area of class rooms, structures and the rationality and the flexibility of it's space will b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comparison between plans of recent schools, the organization of space and typology. The 4th chapter will provide the adoptable direction, the newly demanded concepts for the school building and also the design language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3rd chapter. Then it'll suggest the model of plan of a elementary school. In 5th chapter conclusion will be given as following: 1. a direction of plan (1) In selection of school site the population density of it's district should be considered and it's site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pond to demanded facilities in the future, the proper shape, the safety environment and the distance between home and school. (2) In big cities a small schools are more desirable than a large school because of the dense population and the lack of land. And the remodeling of existing building should be recommended. (3) Low story building below four is suitable. According to their grade - a kinder garden, low grade and high grade - education areas should be divided. And class rooms being assembled like a cluster, various type of classes should be able to happen. The using trees as a boundary wall gives a open image and lead for a school to be able to be a place of neighbors. (4) An independent circulation should be considered not to mix between students and neighbors using school facilities and open space that gives a open sight. (5) For low grade two class rooms should be able to be united as one or to be intimated. In theses class rooms small play spaces is need. Also it is needed for students to move from working space to out-door space and it can makes green patio used. A teacher room in low grade class is placed in a class room or inbetween working spaces and should get a open sight. For high grade planning a class room and a working space intimately is desirable and a teacher room is better to locate in enclosed place (6) Because the play activity in child period affects on body and spirit, a elementary school should be included various multi-performing spaces. This study suggests that about 3m-4m per a student is proper in the size of class room, therefore a class room taken 40 students requires 120 ㎡~160㎡ and a open space of minimun 4.5m-7.5m depth including 2.5m existing corridor should be needed. A open class room should be distributed in consideration of team teaching. 2. The module system using the steel frame is a good alterative in a school building. It gives a rationa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in making a plan. Especially, it can be reused and because of it's adiabatic quality reduce the energy use. After all it contributes to preserve nature and makes a school to be built safe and easy in a short period. 3. Energy saving system, for example windows of improved adiabatic quailty and appropriated ventilation, should be used. It is important to make nature space with trees and water and it helps to preserve ecology. Tree-planting makes a school play a role as an ecological architecture by using sewage. These trees will have people real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The suggested elementary school model above that uses steel frames with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is able to correspond various and effective classes and facilities should be distributed according to grade and class and organizes for students so as to participate to 'a open class' in the 7th curriculum and the future curriculum. And the study suggests a net working and ecological school plan which can raise a sound and harmonized student, by us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materials.

      • 효과적인 컴퓨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국내외 실태 비교 분석 연구

        강은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우리보다 먼저 컴퓨터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국외의 컴퓨터 교육과정과 우리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대비한 컴퓨터 교과의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제7차 교육과정과 초·증등 정보기술 수준체계안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미국, 영국, 일본, 호주등의 정보화 선진국에서 컴퓨터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기술하여 이들 각 교육과정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컴퓨터 교육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컴퓨터 전공 선생님의 부족으로 전문적인 컴퓨터 교과의 질의 저하를 자져올 수 있다. 들쩨, 초등학교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배우는 내용들 중 중복된 부분이 너무도 많아 학생들의 흥미도를 낮게 만든다. 셋째, 실습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S/W의 개발 보급이 미흡하여 실제 교육과정 운영 면에서 이론과 실제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국의 컴퓨터 교육의 동향을 비교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효과적인 컴퓨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을 하였다. 첫째, 정보사회에서 국가 경쟁력과 국민의 적응력을 길러주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정보과학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에서 모든 국민이 알아야하는 정보기술능력의 기초지식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고등학교에서는 다양한 직업수요를 만족시키고 진로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다양한 전문과정을 준비하여야 한다. 둘째, 정보과학 교과의 편제는 독립교과와 통합교과가 병행되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컴퓨터 교육과정이 독립된 이질적인 교과가 아닌 타 교과와 자연스럽게 친화, 통합될 수 있도록 탄력적이고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정보과학 교육은 단순히 컴퓨터교육, 과학적 이론만이 아니라 과학, 기술, 사회와의 연관성, 기술적 설계 등의 내용을 연계시킴으로서 첨단 과학화·정보화 시대에 대비한 인재 양성에 대비해야 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knowledge-based society by comparing our curriculum with the ones adopted in other countries that started the computer education earlier than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the paper looks at some problems of our curriculum in our country by analyzing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information technology level syste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then it goes to some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in the U.S., England, Japan, and Australia, which are advanced in information science, by describing how their computer educations are done. Considering the computer education in our country with the 7th curriculum centered, problems are appeared as following; First, because of insufficient numbers of computer-majored teachers, the quality of specialized computer subjects might be lowered. Second, students may lose an interest in the computer subject for they learn so many repeated contents from the elementary to secondary school. Third, because of lack of spread of software for education that can be used in practice, theories and practice are not able to make a harmony in actual curriculum operation. As the result from the comparison and analyzation of trends of computer education in each country, and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omputer curriculum in our country, the study offers several proposals as following; First, the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to nurtur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national adaptive power in information-driven society, should be designed as to grow the basic knowledge for manipulating information technology that needs be taught in elementary school, and in high school, diverse special subjects are required to meet various career demands and help students set up their future plan. Second, it is desirable that curriculum of information science be realized with independent subjects and synthesized ones being applied in parallel. That is, it is necessary that the computer education be developed and operated flexibly so as to integrate the computer-related classes naturally into existing subjects. Third,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science should be associated with not only the computer education and scientific theories, but also science, technologies,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and the technical design in order to cultivate men of talent for the age of information and advanced technologies.

      •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대안학교 교육과정 개발

        박영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positive self-formational condition of students, and suggest a principle of devising curriculum for the students' maladjustment of students. For the purpose of doing this, this study selected a public K alternative reform school. Based on Carl Rogers' 'The theory of positive self-concept', employed participation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methods, the positive self-conception condition of students was analysed. In this paper positive self-conception was divided and analysed into three subdivisions : social self, emotional self, and academic self, and succeeded in finding the formational condition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is paper analysed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find the social self-formational condition. As a result students and teachers were dealing with each other just officially. The power was among the students. Students were not forming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lassmates. Second, whether the students were observing the rules of the school, conscious of their goals after their graduation. The students lacked goals for the future when they entered the alternative schools. As it were, both of them were having identity problems. Because originally they chose the alternative school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y may have easy school lives in the school, and teachers too threw up their hands. Third, in relation to academic accomplishments, the class participation, the students lacked the goals and reasons of their studying, and the teachers were leading their classes at their conveniency, and were even letting the students know the questions of an examination in advance and take it. When the students were sleeping in the class, the teachers did not interfere with it. The teachers were habitually teaching the student regardless of the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As shown above, the alternative school did not contribute to the self-formation of students in each aspect social, emotional, and academic. The conditions for molding positive self-conception should be the basis of curriculum design principle in 'reforming Alternative School'. On the foundation of this, alternative schools' curriculum plan theory for forming positive self-conception are as follows : First, the aims of education in alternative schools should target the students' adjustment to the school. To achieve this goal, the aims of education should be created from the process of educational activities on the ground of exact understanding about alternative school students. Second, it should be possible for the students to select learning experiences. And, experience learning focused on in-service training is more effective than theory- centered learning (to them). Also, learning experiences should be the ones which students can realize. Third, the learning experiences should be framed to help the students' integrated thinking and to satisfy the students' needs. At the same time, They has to be composed diversely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ourth, concerning the evaluation method, self-evaluation by the students themselves along with narrative evaluation is effectual.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 조건을 발견하여, 학교부적응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원리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재적응학교형 대안학교’인 공립 K대안고등학교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Carl Rogers가 제시한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 이론을 근거로 이 학교에서 실천되어지고 있는 교육과정을 참여관찰, 심층면담, 문헌자료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학생들의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 조건을 분석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긍정적 자아개념을 구체화하여 사회적 자아, 정서적 자아, 학문적 자아의 3가지 하위 영역으로 설정하여 그 형성 조건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의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아의 형성 조건을 발견하기 위해 교사와의 관계와 교우와의 관계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을 불신하고 학생들을 의례적이고 형식적으로 대하고 있었으며, 또한 학생들 간에는 권력 관계가 존재하였고 이들은 처지가 비슷한 경우의 친구와 어울리고 있어, 서로 신뢰하며 심층적이고 폭넓은 교우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정서적 자아의 형성 조건을 발견하기 위해 진로설정, 교칙준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대안학교 입학 시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목표의식이 없었으며, 학교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요구나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하였고, 교사들은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진로지도 보다는 학생들의 학업중단 예방에만 관심이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규범의식이 희박하여 학교의 교칙이 준수 되고 있지 않았으며, 교사들은 학생들의 일탈적 태도에 무기력하게 수긍하고 있거나 체념하여 대안학교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혼란 속에서 교사와 학생들은 적당히 시간만 보내고 있었다. 셋째, 학문적 자아의 형성 조건을 발견하기 위해 학업성취와 수업참여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학습 목적과 참여 이유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었으며, 학업성취에 대한 평가에 있어 교사들은 시험 문제를 사전에 학생들에게 가르쳐 주어 학생들은 진정한 학업성취에 대한 만족 기회가 없었다. 또한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책상에 엎드려 잠을 자도 교사들은 못 본 척 하였고, 교사가 제지를 가하면 교사와 학생 사이에 언어폭력이 오갔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과 능력에 대한 고려 없이 관성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대안학교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에 효과적으로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적 자아개념의 형성 조건은‘재적응학교형 대안학교’의 교육과정 설계 원리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 이를 근거로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대안학교 교육과정의 설계원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학교의 교육목표는 학생들의 적응에 두어야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교육목표는 대안학교 학생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기초로 교육활동 과정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학습경험 선정은 학생들이 학업성취에 대한 성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참여 속에 현장 체험학습 중심으로 실현 가능성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셋째, 학습경험의 조직은 학생들로 하여금 통합적 사고가 가능하고, 학생들 개개인에 적합하도록 종적·횡적으로 다양하게 조직되어야 한다. 넷째, 평가는 학생들의 능동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서술식 자기평가이어야 한다.

      • 우리나라 의학 전문직업성의 핵심요소 규명과 교육과정 평가 연구

        허예라 연세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의과대학 수준에서의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에 대하여 상황, 투입, 과정, 산출평가 모형을 적용하여 의학 전문직업성의 핵심요소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 의과대학에서 제공되는 의학 전문직업성 관련 교육내용을 분석하고 규명된 핵심요소의 적절한 학습시기와 교수·학습방법 그리고 의과대학 학생들의 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첫째,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의 현 상황은 어떠한가(상황평가)? 둘째,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가(투입평가)? 셋째,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가(과정평가)? 넷째,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의 성과는 어떠한가(산출평가)?상황평가에서는 우리나라 의과대학 교육목표에 나타난 의학 전문직업성의 내용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의과대학 입학생들이 갖추고 있어야 할 의학 전문직업성의 핵심요소와 졸업생들이 갖추어야 핵심요소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투입평가에서는 의학 전문직업성 핵심요소들의 중요도와 학습단계 그리고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을 분석하고, 의과대학 입학생들의 의학 전문직업성의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과정평가에서는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이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 그리고 의학 전문직업성의 전문적 기술영역과 태도영역의 핵심요소들의 습득방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산출평가에서는 의과대학생의 학년별 의학 전문직업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학년에 따른 의학 전문직업성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며, 의과대학생들의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의학 전문직업성 수준에 대한 교수와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의과대학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의학 전문직업성의 수준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이와 같은 연구내용의 분석은 문헌분석과 함께 의과대학 교수인 전문가 집단 250명을 대상으로한 델파이 조사와 2,590명의 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검정,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이원분산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이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우리나라 의과대학 교육목표에 나타난 의학 전문직업성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봉사정신’과 ‘윤리관’ 그리고 ‘책임감’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학 전문직업성의 핵심요소로 규명된 요소들과 중복되는 것이 많았다. 우리나라 의과대학 입학생들이 갖추고 있어야 할 의학 전문직업성의 요소는 총 27개의 요소로 정리되었으며,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되어야 할 의학 전문직업성의 요소는 31개의 요소로 정리되었다.둘째, 의학 전문직업성 핵심요소들의 학습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의과대학 입학생과 졸업생에게 1순위로 요구되는 요소는 ‘평생학습 능력’으로 나타났다. 의과대학 졸업생들의 의학 전문적업성 수준에 대한 교수들의 평가는 대부분 평균 3.0점 이하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의학 전문직업성 요소들에 대한 학습시기를 분석 한 결과 많은 요소의 경우 의예과를 포함한 전 학년에 걸쳐 습득이 가능하다는 의견으로 모아졌다. 의학 전문직업성 요소들의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역할모델’, ‘소그룹 토의학습’, ‘인사 초청 강연’, ‘동아리와 같은 과외활동’ 등이 가장 빈번히 언급되었다. 우리나라 의과대학 입학생들의 의학 전문직업성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전문적 지식의 수준이 가장 낮았고, 전문적 태도영역이 가장 높았으나 학생들의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한 전반적인 수준은 교수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의과대학에서 제공되는 의학 전문직업성 교과목에 대한 분석 결과 ‘문제바탕학습(PBL)’과 ‘통합강의’는 강의시간과 실습시간에 비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적 태도영역에 대한 교과목은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영역 학습에 비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일차 진료의 수련을 위한 기본 지식’과 ‘일차 진료의 수련을 위한 기본 술기’ 요소에만 집중적인 학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적 기술영역과 태도영역의 핵심요소들에 대한 습득 방법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응답으로는 ‘동아리 활동’과 ‘교우·대인관계’ 그리고 ‘선배 또는 교수님의 모범적인 모습’을 통해 습득한다는 의견이었다.넷째, 의과대학생의 학년별 의학 전문직업성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의예과 학생들의 전문적 지식영역이 가장 낮은 수준(평균=2.84)으로 나타났고, 전문적 태도영역이 보통 수준 이상(평균=3.47)으로 나타났다. 의학과 학생들의 경우 전문적 지식영역이 평균 2.55점으로 가장 낮았다. 의과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의학 전문직업성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예과의 경우 전문적 지식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학과의 경우, 전체적으로는 4학년이 1, 2, 3학년의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문적 태도의 경우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교육과정을 마치면 그 수준이 명확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분석에서는 의예과의 경우 평균 2.86점으로 나타났고, 의학과 학생들 역시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은 평균 2.83점으로 전반적으로 ‘불만족스럽다’는 결과가 나왔다. 의학 전문직업성 수준에 대한 교수와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과대학 입학생들의 경우, 전문적 기술영역과 전문적 태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과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의학 전문직업성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예과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의학과의 경우, 전체 평균과 전문적 기술영역에서 남학생의 수준이 여학생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첫째, 우리나라 의과대학 목표에는 의학 전문직업성 관련 핵심요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러한 핵심요소들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충분히 제공되고 있지 않다. 또한 의학 전문직업성과 관련한 구체적인 교과목 개설이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둘째,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의학 전문직업성 요소인 ‘평생 학습 능력’, ‘윤리의식·의료윤리’, ‘타인존중’, ‘봉사정신’,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교육이 현재 의학교육 과정에서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우리나라 의과대학 입학생들과 졸업생들의 의학 전문직업성 수준은 높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의학 전문직업성 핵심요소들에 대한 학습을 의학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실시해야 함을 시사한다.셋째, 의학 전문직업성을 갖추는 데 있어, 정규 교육과정 외의 활동을 통한 학습이 중요하다. 따라서 의과대학에 전공과 대학간의 연합동아리와 종교활동, 봉사활동 관련 동아리가 보다 많이 개설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에서 ‘역할모델’이 매우 중요시되므로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역할 모델’로서 학생들에게 어떻게 전문직의 가치를 심어줄 수 있는지에 대한 교수개발이 요구된다.넷째, 정규교육과정을 통한 의과대학생들의 의학 전문직업성의 수준향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개선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정규교육과정을 통해 의학 전문직업성 관련 자질을 교육시켜야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내용은 교과목간 그리고 학년간 연계된 교과과정으로 개설될 필요가 있다.연구의 제안점과 관련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으로는 지역사회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의사양성을 위한 의학 전문직업성의 자질을 규명하기 위해서 개업의사, 환자, 병원 직원 등 보다 다양한 집단의 의견을 함께 수렴하는 델파이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학 전문직업성 학습에 있어 ‘역할 모델’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바, 의과대학생들이 인식하는 ‘바람직한 의사상’과 ‘역할 모델’에 대한 연구와 의학 전문직업성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심층적 연구와 의학 전문직업성 학습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의과대학생들과 교수들이 가지고 있는 의과대학생들의 의학 전문직업성의 수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어디서 비롯되는 지 그 원인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의학 전문직업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되어야 하므로 의과대학생들의 의학 전문직업성 수준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종단적인 연구와 더불어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한 다양한 평가 방법과 평가지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 과정의 변천에 관한 연구 : 미학적인 관점으로

        정윤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시대가 변화하면서 교육 과정이 몇 차례 개정되었고, 그에 따라 음악과 교육 과정도 개정되었다. 교육 과정은 철학, 심리학, 사회환경, 그 시대의 문화적 배경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소의 영향을 받아 왔다. 그 중에서 철학의 한 분야인 미학은 음악과의 특성상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해왔다. 음악과 교육 과정에는 미학적 관점이 암시적으로 내재되어 있고 그 미학적 관점이 교육 현장에서 교사 및 학교의 여러 제반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속에 내포되어 있는 미학적 관점을 1차 교육 과정부터 7차 교육 과정까지의 목적과 목표를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일반적인 미학의 역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미학적 관점 중에서 리머(B. Reimer)가 음악 교육의 여러 가지 부분을 고려해서 제시한 지시주의, 형식주의, 절대 표현주의와 여기에 표현주의와 실천주의를 더하여 5가지의 미학적 관점을 토대로 진행하였다. 또한 1차 교육 과정부터 7차 교육 과정까지의 각 교육 과정의 전반적인 형식을 고려하여 각 교육 과정의 연구 범위를 다르게 정하였고, 정한 범위 안에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음악과 교육 과정의 미학적 관점의 특징의 변천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교육 과정에서는 플라톤의 사상, 루터의 사상 등과 함께 진보주의의 도구주의적 관점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1차 교육 과정에서는 이들 사상을 넓게 포괄할 수 있는 지시주의적 미학적 관점이 지배적이라고 보여진다. 둘째, 2차 교육 과정은 형식주의적 관점과 지시주의적 관점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으나 진보주의의 영향으로 인하여 도구주의적 관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넓게 보면 지시주의적 관점이 우세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3차 교육 과정에서는 지시주의적 관점, 표현주의적 관점, 실천주의적 관점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으나 1차 교육 과정과 마찬가지로 지시주의적 미학적 관점이 우세하다고 여겨진다. 넷째, 4차 교육 과정에서는 지시주의적 관점과 형식주의적 관점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으나 '음악성'을 기르는 것을 통하여 음악 그 자체를 중요하게 다루었으므로 형식주의적 관점이 거의 지배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다섯째, 5차 교육 과정은 지시주의적 관점과 절대 표현주의적 관점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으나 절대 표현주의적 입장이 조금 더 우세하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6차 교육 과정은 심미적 음악 교육을 통한 심미적인 안목을 중시하였으므로 리머의 절대 표현주의적 관점이 다른 관점에 비해 우세하게 나타난다고 보여진다. 일곱째, 7차 교육 과정은 여러 가지 미학적 관점이 혼재하여 있지만 음악적 감수성과 심미적 안목을 기르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어 6차 교육 과정과 마찬가지로 리머의 절대 표현주의적 관점이 다른 관점에 비해 우세하다고 보여진다. 여덟째, 7차 교육 과정의 음악과 생활은 실천주의적 관점이 밑바탕이 되어 표현주의와 절대 표현주의적 관점 등이 내포되어 있는 교육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음악과 교육 과정에서의 미학적 관점은 정확히 구분되기보다는 혼합되어서 나타난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 교사는 여러 가지 미학적 관점이 그 나름대로의 기능을 하면서 혼합되는 것을 인정하고 그에 따라 다양한 관점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The music curriculum has been revised as the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revised for several times as time goes by. The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influenced by many factors, for example, the philosophy, the psychology, the social surroundings, and the backgrounds of those periods. The aesthetics, which is one part of among them, has operated importantly upon education process as musical features. It is suggestively included the aesthetic point of view in music curriculum also it influences the teacher and all the school actions on the education groun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rough the purpose and the goal of the aesthetic point of view included in the education process from the first to the seventh. This study will present you the aesthetic history first and it proceeds on being based on all the next five aesthetic point of view, the referential, the formalism, the absolute expressionism, and the expressionism plus activism, which B. Reimer presented considering many parts of music education. Also the study range of each education process was determined differently considering general range and it was studied in that range. It presents the transition of the music curriculums aesthetic point of view that is cleared up through this study as the followings. Firstly, it shows in the first music curriculum that instrumental point of view of progressivism with Platonic thought and the Lutheran thought. Accordingly it is showed that the referential point of view, which can include widely, controls in it. Secondly, it seems to show the formalistic point of view and the referential point of view in the second musical process but it remarkably shows instrumental point of view by the influence of progressivism. Accordingly referential point of view is superior in a broad sense. Thirdly, it seems to show the referential point of view, the expressional point of view, and the activist point of view but the referential aesthetic point of view is superior as the same that of the first music curriculum. Fourthly, it seems to show the referential point of view and the formal point of view in the fourth music curriculum but the formal point of view is almost controlling since it importantly dealt with the music itself throughout training the musicality. Fifthly, it almost similarly can show the referential point of view and the absolute expressionist point of view but the absolute expressionist point of view is a little bit more superior. Sixthly, in the sixth music curriculum, B. Reimers absolute expressionist point of view is superior to the other point of view since the aesthetic eye was seriously considered through the aesthetic music education. Seventhly, there are many mixed kinds of aesthetic points of view together in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but it is importantly regarded training musical sensibility and the aesthetic eye so B. Reimers absolute expressionist point of view is superior to the other point of view alike the sixth music curriculum. Eighthly,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life includes the expressionism and the absolute expressionism which are based on the activist point of view. However, generally, the aesthetic point of view of the music curriculum appears to be mixed but not to be recognized. Therefore, each teacher needs to admit that many kinds of aesthetic points of view are mixed as function their works and it is desirable to have various points of view accordingly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