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일 공적개발원조(ODA) 비교연구 : 기초교육원조를 중심으로

        노윤선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5년에는 초등학교에 갈 수 없는 아이들이 전 세계에서 약 7,200만 명에 다다를 것이며, 대부분이 개발도상국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2008년 기준으로 세계 성인 인구의 약 17%에 해당하는 약 7억 9,600만 명은 기초적인 능력(읽기·쓰기·계산)조차 없으며, 그 중 3분의 2는 여성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기초적인 능력이 없으면 불안정하고 수입이 적은 일 밖에 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악순환을 끊지 못한다면 빈곤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따라서 공적개발원조(ODA)와 관련하여 기초교육은 중요하다. 기초교육에 대한 지원의 중요성은 새천년개발목표(MDGs)의 두 번째 목표에도 직접 명시되어 있으며,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가 제창하는 모든 이를 위한 교육(EFA)도 이와 맥락을 같이 한다. 세계은행 역시 기초교육개발의제(Fast Track Initiative, FTI)를 천명하면서 개발도상국의 빈곤 완화와 지속 가능한 경제사회 발전을 지원하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이렇듯 기초교육 ODA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경우에는 기 초교육에 대한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2011년 한국의 교육 ODA 중 기초교육 ODA의 규모는 9.6%에 불과하다. 미국이나 영국의 전체 교 육 분야 지원 대비 기초교육 분야 지원이 70%이상인 것에 비해 한국 은 기초교육 지원에 거의 비중을 두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국 ODA의 추진체제와 정책 틀, 기초 교육 ODA 목표에서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 일본의 기초교육 분야 ODA를 비교분석하여 그 현황과 특징을 드러내어 한국과 일본의 기 초교육 ODA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한국 기초교육 ODA에 제시하는 시사점을 논의해야 된다고 본다. 한국은 일본의 ODA 추진체제, 정책 틀, 기초교육의 목표와 유사한 반면에, 이에 관한 구체적인 전략이나 기술이 없는 것은 한국이 일본의 것을 충분한 고민 없이 차용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 중심에는 일본의 ‘인간안보(Human Security)’에 대한 외교정책적인 내용도 빠질 수가 없을 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기초교육 ODA의 개선을 위한 쟁점을 도출하였다. 한국의 기초교육 ODA의 개선을 위해서는 한국의 분절화되어 있는 ODA체계를 통합하여 대외원조 시스템을 효율화해야 한다. 또한, 기초교육 부문의 재원비중을 증대하는 것뿐만 아니라, 단순한 하드웨어 위주를 벗어나 소프트웨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원조역량을 고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 ODA 전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국회차원의 제도적 장치에 대한 검토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와 오스트레일리아 중학교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비교 분석

        변유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draw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centered on the development unit of Korean and Australian geography curriculum and textbooks, suggesting improvement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South Korean development education. Each of middle School(Year 9 of South Korea and Year 10 of Australia) Geography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selected and conducted by literature analysi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perspective of developmen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indicators measuring development, spatial differences and issues at various scales(global and local), and practical dimensions of variety of subjects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both countries were presented with differences in regional development levels, spatial inequality, and international efforts at the global scale and local scale, and aimed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However, the Australian curriculum presented various and detailed achievement criteria, used development as the term well-being, and looked at issues affecting well-being. Thu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quality learning is possible in Australia's curriculum and textbooks, which develop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development education in various and detailed ways, and emphasize geographical thinking and application skills such as exploring and organizing geographical knowledge. In the future, we hope to revise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in Korea based on this. Lastly, development education serves as a bridge to enhance the link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course of geography education and to realize happiness education in geography education. It can clearly show that development education can be realized in geography education. This requires continuous research on development education and efforts to revise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본 연구는 한국과 오스트레일리아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 단원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을 통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여, 한국의 개발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과 시사점을 제언한 연구이다. 개발을 정의하고 바라보는 인식과 관점의 차이, 개발을 측정하는 지표의 유사점과 차이점,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공간적 차이와 쟁점 논의의 차이, 글로벌 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주체의 실천적 차원 논의 여부의 차이를 분석 준거로 삼고, 이를 토대로 한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선정하여 문헌 비교 분석하였다.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두 국가 모두 글로벌 스케일과 로컬 스케일에서 지역별 발전 수준의 차이와 공간적 불평등, 국제사회의 노력이 제시되었고, 글로벌 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하였다. 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 다양하고 자세한 성취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발전을 웰빙이라는 용어로 사용하였고,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전 교육의 구성과 내용을 다양하고 자세하게 전개하며, 지리 지식의 탐구 및 구성 능력, 지리적 문제 인식 및 해결 능력 등 지리적 사고력과 응용력을 강조하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수준 높은 학습이 가능하다. 향후 우리나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개정할 때 이를 토대로 개정되었으면 한다. 둘째, 개발교육은 지리 교육과정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 간 학습 내용의 연계성을 높이고, 지리교육에서 행복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가교 구실을 한다. 개발교육이 지리교육에서도 행복 교육 실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히 보여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개발교육에 대한연구와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정 노력이 필요하다.

      •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의 인식

        황현숙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초등학교 동학년회의에서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그러한 활동에 대하여 교사들은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 알아보고 교사들이 인식하는 바람직한 동학년회의의 교육과정개발 방향을 전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의 의미를 교육과정 재구성과 숙의의 측면에서 고찰하였고 교사의 교육과정개발 참여의 필요성과 참여수준을 다루었다. 그리고 동학년회의의 성격과 동학년회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교육과정개발의 장으로서의 동학년회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의 실태는 무엇인가?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교사가 인식하는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교육과정개발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서울시내 초등학교 교사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개발의 실태와 바람직한 교육과정개발은 학교유형별, 담당학년별로 분석하였고 만족도는 학교유형별, 담당학년별, 직위별, 교직경력별로 분석하였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의 실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동학년회의에서 주로 하는 일을 학교일정과 업무의 전달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개발이라는 인식은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교육과정개발은 상부의 지시라기 보다는 동학년 교사들의 자발적인 활동으로 전원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학년회의에서는 매주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발하며 교육과정개발에 할애되는 시간은 전체 회의중에 20-50%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소재를 수정·보완하는 1주일 분량의 교육과정개발이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개발의 논의를 시작하게 하는 사람이 정해져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립학교의 교사들이 공립학교의 교사들보다 동학년회의에서 교육과정개발이 더 많이 이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공식적이고 정기적으로 정해진 동학년회의 이외에 티타임이나 방과후의 모임과 같은 비공식적인 동학년회의에서도 일주일에 평균 2.4시간의 동학년교육과정개발이 이루어진다고 교사들이 응답하여 공식적인 동학년회의에서 교육과정개발이 이루어지는 시간보다 비공식적인 동학년회의에서 교육과정개발이 이루어지는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학년 담당교사들이 고학년 담당교사들보다 비공식적인 동학년회의에서 교육과정개발이 더 많이 이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만족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의 전체 만족도는 중간 수준이었다. 동료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학교지원에 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학교유형별로 보면, 사립학교 교사들이 교육과정개발의 운영방식, 학교지원, 자기준비의 측면에서 공립학교 교사들보다 더 만족하고 있었다. 담당학년별로 보면, 저학년 교사들이 교육과정개발의 운영방식, 학교지원, 자기준비의 측면에서 고학년 교사들보다 더 만족하고 있었다. 직위별로 보면, 부장 교사들이 평교사들보다 학교지원에 더 만족하고 있었다. 교직경력별로 보면, 교육과정개발의 운영 방식, 학교지원, 동료관계, 자기준비의 만족도 모두에서 6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5년 이하의 경력교사보다 더 만족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매주 동학년회의에서 20-50%미만의 시간이 소재를 수정·보완하는 1주일 분량의 교육과정개발에 할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실태와 비교하여 큰 차이는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현재보다 동학년회의에서 더 많이 교육과정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과정개발은 정보의 공유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교사들의 시간이 부족하면 교육과정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교사의 업무가 경감되고 시간적인 여유가 필요하다고 교사들은 응답하였다. 동학년회의와 함께 학교중심 교육과정을 개발을 위한 바람직한 장은 교과협의회로 나타났다. 또 교사들은 현재와 같은 동학년회의 방식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육과정개발을 위하여 방학이나 퇴근시간 후에도 동학년회의에 참여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 연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했기 때문에 동학년회의에서 실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의 모습을 파악하기에는 제한점이 따른다. 따라서 실제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질적연구를 통해 보다 생생한 교육과정개발의 모습과 문제점을 밝혀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o make School- Based-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Grade Level Articulation Meetings at an elementary school, to know how many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is activity and to prospect the reasonable direction of the Grade Level Articulation Meetings [GLAM] over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vestigate the meaning of School-Based-Curriculum development in terms of the curriculum restructure and deliberation. 2. Study the necessity of teacher's participation and degree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GLAM. 3. Review characteristics of the GLAM and key factors for the GLAM and finally investigated it as a field of curriculum development. Main questions dealt wit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realities about curriculum development doing in the GLAM at the elementary school? 2. How many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GLAM? 3. What is a desirabl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GLAM? To answer the questions raised above, a survey was conducted on 307 teachers, serving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realities over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rable direction recognized by teachers are categorized by school- type and teaching grade. The satisfaction level are researched by school-type, teaching grade, duty, teaching career.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over the realitie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GLAM are as follows. While many Teachers recognize the GLAM's main role as school schedules and affairs, reorganization GLAM a s a curriculum development was not so much.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curriculum development is not a direction of the upper part but all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GLAM voluntarily. In the GLAM, teachers develop a curriculum development every meeting or on occasion of demands. The time used for a curriculum development is less than 20- 50% of the meeting time. Teachers recognize that modifying one week's job of curriculum development occurred a t the GLAM and the person who initiates the subject of curriculum development was not dedicated at the meeting. And they understand that a private school is more advanced than a public school in the field of curriculum development a t the GLAM. Except for the GLAM, teachers reply that a curriculum development has been occurred about 2.4 hours per week at the unofficial meeting such as teatime or meeting after school. This fact shows that unofficial meeting has been used more than official meeting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ny teachers in charge of lower grade think that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unofficial meeting is important than teachers in charge of upper grade.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abou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GLAM are as follows. The total satisfactions of teachers are middle level. The satisfaction level of relationship among teachers is highest. Whereas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support for the meeting is lowest. In the sight of school-type, private school teachers are more satisfactory than public school teachers such as operation type, school- support, self-readines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sight of charged grade, teachers in charged of lower grade are more satisfactory than teachers in charged of upper grade in the areas of operation type, school-support, self-readines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sight of duties, high ranked teachers are more satisfactory than general teachers in the field of school support. In the sight of teaching career, in the fields of operation type, school-support, colleague relationship, self-readines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s have more than 6-year are more satisfactory than less than those of having experience of 5-year. The study results that how do teachers recognize reasonable the GLAM doing a curriculum development are as follows. Teachers are recognizing that it is necessary for curriculum development per every week to allocate less than 20-50% of the meeting time shared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to amend a subject. The merit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s sharing an information but the demerit is the shortage of time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he question to reduce this problem, teachers reply tha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get a reduction of work and room of time. And teachers recognize current GLAM is good role but they also said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GLAM after school or vacations to develop a curriculum. And they also recognize the curriculum development is reasonable in parallel with Discipline Council together GLAM. This study has a restriction to understand real curriculum development because this is based on survey. Therefore high level of research for the subsequent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take a view of developing curriculum and analyze it. In consequence of this study, a curriculum development that connects a real field and the GLAM's problems may be revealed.

      • 유엔 글로벌 교육의제에 나타난 교육개발협력 이슈에 대한 비판적 고찰 : Ivan Illich의 교육개발협력 사상에 근거하여

        황자옥 부산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모두를 위한 교육(EFA)’이 채택된 지 20년이 지난 지금 그간의 여러 공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교육의제 자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뿐 아니라 ‘개발협력’ 거대담론에 대한 회의적 이슈 및 UN을 포함한 국제기구에 대한 비판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UN 글로벌 교육의제에 나타난 교육개발협력 이슈에 대한 고찰은 내적 분석 및 미시적 고찰을 넘어서서 ‘교육’과 ‘개발협력’이라는 거대한 담론에 대한 근본적 재고찰이 필요한데, 이러한 탈 체제적 관점에서 UN 글로벌 교육의제에 나타난 교육개발협력 이슈에 대한 근본적 재고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사상가가 Ivan Illich이다. Illich는 첫째, 현대사회에 드러난 개발협력의 부정적 결과들을 이미 60여 년 전 예측하여 그 근본 목적 및 동기와 진행 과정에 대해 예리하게 비판하였다. 둘째, 그는 개발협력의 출발 시점부터 유럽과 미국, 멕시코에서까지 그 확대 과정 속 상황을 직접 겪으며 자체적 교육개발협력을 실천한 인물이다. 그는 거대한 체제나 제도화된 것들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사회와, 그것을 개발협력이라는 명목으로 악용하는 선진국의 본질적 문제들을 비판하였고, ‘빈곤’, ‘개발’, ‘교육’, ‘인간의 삶’ 등 교육개발협력에서의 주요한 주제들에 대해 탈체제적 관점에서의 근본적 이슈들을 제기하였다. 최근, 많은 글로벌 리더들과 학자들 사이에서 Illich에 대한 재조명이 이뤄지고 있는 현상은 고무적이나, 그런데도 국내에는 아직 그의 사상을 교육개발협력과 연관하여 분석한 연구가 극히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Illich의 교육개발협력 사상에 근거하여 UN 글로벌 교육의제에 나타난 교육개발협력 이슈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의 네 가지 과정을 거쳤다. 첫째, UN 글로벌 교육의제 관련 비판적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이슈를 찾아내고, UN 글로벌 교육의제 자체에 포함된 주요 주제 및 방향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Illich의 생애 속 관련 활동과 그의 관련 저서 7권을 분석하여 Illich의 교육개발협력에 대한 주요 사상을 정리하였다. 셋째, 분석된 Illich의 사상에 근거하여 UN 글로벌 교육의제에 나타난 교육개발협력 이슈를 재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분석 결과와 재고찰 결과의 타당도를 점검하기 위해 전문가 검증의 과정을 거쳐 결과를 종합하고 대안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UN 글로벌 교육의제 분석을 위해 관련 비판적 선행연구의 문헌분석을 하고, 3대 글로벌 의제, EFA, MDGs, SDGs의 교육 관련 목표와 세부 내용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NTA)을 실시하였다. 둘째, lllich의 교육개발협력에 대한 사상을 고찰하기 위해, 그의 생애 속 활동과 선행연구 속 주요 이슈를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관련 저서 7권, 『깨달음의 혁명(1970)』, 『학교 없는 사회(1971)』, 『절제의 사회(1973)』, 『전문가들의 사회(1977)』,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1978)』, 『그림자 노동(1981)』, 『반자본 발전사전(1992)』을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된 Illich의 교육개발협력 사상을 근거로 UN의 글로벌 교육의제 분석 결과를 비교분석 및 재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개발협력 주요 행위자 및 전문가 5명에게 5점 척도 문항 및 오픈 서술형 형식의 설문지를 제시하고 설문 응답지 분석 및 전화 인터뷰의 과정을 거쳐 연구 결과의 타당도 및 전문가로서의 UN 글로벌 교육의제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논의 및 결론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 및 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향성면에서 UN 글로벌 교육의제는 내적 수정 및 미시적 보완이 아닌 개발협력 및 ODA 체제 자체의 거시적 근본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적인 면에서 UN 글로벌 교육의제는, 정형화된 학교 교육, 보편교육 및 의무교육에서 벗어나 개인의 자율적·자발적 학습을 존중하고 현대교육의 대안적 패러다임을 반영한 교육으로의 전반적 교육형식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전반적 지원 방식 면에서, UN 글로벌 교육의제는 자본주의 및 산업사회 관점에서의 필요와 성장이 아닌 각국의 사회문화적 환경을 고려한 토착적 삶에서의 활기찬 자율적 공생 ‘Conviviality’를 실현할 ‘지역 맞춤형’ 지원으로의 방향성 전환이 필요하다. 넷째, 목표 달성 방법 면에서, UN 글로벌 교육의제는 개인적이고 개별적인 학습의 목표 달성 및 성취와 함께, 공유 및 상호협력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 직업능력개발교육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참여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 연구 : 대구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남미란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With the knowledge-based society, knowledge has emerged as a critical factor in production. Creating and distributing knowledge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competitiveness in production sites. Thus, it has become a very important task at work place to create knowledge through continuous learning. Meeting the human needs for food, clothing and shelter was a significant facing task throughout the human history and it is a work and job that satisfy these needs. Human being’s work and job have changed over time. Hunting and collecting were the primary industries in the primitive ages, agriculture in the agricultural ages, the secondary industry in the industrial ages, and service and knowledge information industry in modern society.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today, knowledge ha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in human’s jobs and work. The current society, thus, calls for us to discover the potential for employment by preparing our own careers through continuous study and continuously developing job capabilities. With the rapid change of current work place, all workers are asked for ability to create, share and utilize knowledge and information. Due to the dramatic structural reorganization in Korean society started after IMF foreign currency crisis, a national policy to encourage re-employment of those who changed careers or lost their jobs and to facilitate the workplace mobility has been strong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dapted. Continuous development of job capabilities for ordinary people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the nation. From the nation’s perspective, the more skilled and competent labor a nation has, the higher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gross production the nation can have. From an individual’s perspective, it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to continue developing one’s own job capability not as ‘a lifelong workplace’ but as ‘a lifelong career’. Increasing interest in lifelong job trainings is also resulted from the advent of aging society. Because of longer lifespan, people have now longer years to live after retirement. With that, the importance of job trainings to help the elderly re-enter new careers has become even greater. Also, job trainings and continuous development of job capability for the young and midlife who are currently at work have received more and more attention. With the various backgrounds like above, lifelong training to develop job capabilities has increasingly become important. The researcher intends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motives, participation features, and satisfaction of Job Capability Development Training(JCDT) learners through empirical studies on JCDTs currently in operation,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based on the findings, to propose a method to upgrade the quality of trainings designing the JCDTs more professional, systematical, and learner and on-site oriented and to improve the operation of job capability lifelong training programs. To achieve these study goal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against JCDT institutions in Daegu region. In order to examine JCDT, participation motives, participation, participation features, training satisfaction and set related variabl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and internet researches on related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prior to setting related variables. The research revealed that learners participating in JCDT had different training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and sociological population features. Research assumptions about gender, education, employment status, and monthly income were applie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JCDT learners’ training satisfaction by different participation features was also analyz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participants’ training satisfaction varied depending on the features participating in JCDT: number of participation, duration, attitude, difficulties, and support from families or friends. In addition, analysis on participation motives by individual differences of JCDT learners demonstrated disparate participation motives whether the learners were employed or not; however, other variabl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s to the effect which JCDT participants’ motives had on training satisfaction, goal-oriented motive and learning-oriented motive were adapte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earch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raining course should be designed with careful consideration on the individual features of training institutions and grouping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course by their levels and capabilities can also be a way. Second, learners who receive more cooperation for participating in trainings from people around them have more positive attitude as well as higher satisfaction on trainings. Third, among the satisfaction categories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training, the instructor category earned the highest satisfaction compared to other categories. In particular, ‘the instructor has the expert knowledge on training contents’ was most answered followed by satisfaction on the instructor’s passion and commitment on teaching. Forth, learners participate in training only once or twice and fail to continue attending trainings. The unemployed should continue learning the job-related training after finding jobs and the employees also should work hard to keep updating their knowledge and information by attending job-related training. Finally, the ages of training participants vary from in their 20’s to 60’s with the majority of 20’s and 30’s. The learners in 20’s and 30’s take part in the course for employment, 30’s and 40’s for job transfer, and the soon-to-be-the elderly, the 50’s and 60’s, for various reasons such as re-employment, self-realization, making use of free time, and supporting themselves in aging society. The research result suggests the followings to improve JCDT. First, studies on JCDT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on a nation level. Second, further studies on more training institutions are needed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of study results. Third, in order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n JCDT programs, a study focusing on the variables of JCDT training providers or training operators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Fin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JCDT programs, a study which looks at the changes of learners caused by training programs while focusing on the training program variable itself will be needed. 지식기반사회를 맞아 지식이 생산의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지식을 창출하고 유통하는 것이 생산현장의 경쟁력 향상에 있어서도 중요하다. 지속 적 학습을 통하여 지식을 창조하는 것은 직업세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인류사의 전시대에 걸쳐 인간의 의식주 해결은 중대한 당면과제였으 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일과 직업이다. 인간의 일과 직업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원시시대에는 수렵과 채집, 농경시대에는 농업, 산업시대에서는 2차 산업, 현대사회에는 서비스, 지식정보산업이 주요 산업이 되었다. 그리고 오늘날과 같은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는 인간의 직업과 일에 있어서 지식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 같은 시대에는 지속적인 학습을 통하여 자신 의 직업적 삶을 준비하고 직업능력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고용가능성을 개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늘날 직업세계는 급속히 변화하여 지식과 정보를 창출·공유·활용하는 능력 이 모든 직업인에게 요구된다. 한국사회는 IMF 외환위기 이후로 진행된 급격 한 구조조정으로 인하여 전직자·실직자의 재취업을 촉진하고 노동이동을 원활 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국가의 중요한 정책과제가 되었다. 일반인 들의 지속적인 직업능력 개발교육은 국가적 차원에도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볼 때 숙련되고 유능한 노동인력이 많을수록 해당 국가의 산업경쟁력이 증가 하고 국가 총생산도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사람들에게도 평생직장 개념보 다는 평생직업 개념으로의 자신의 직업능력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중 요한 과제가 되었다. 평생 직업교육에 대한 관심은 고령화 시대의 도래에서도 기인한다. 인간의 수명연장으로 인하여 직업 은퇴이후에도 살아가야 하는 기간이 늘어나게 되었 다. 그러므로 노년들의 직업세계의 재진입을 위한 직업교육의 중요성이 증대 되고 있다. 또한, 현재 직업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청장년청의 직업교육과 지속 적 능력개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다양한 시대적 배경으로 인하여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점 점 더 증가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교육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직업능력개발교육 학습자들의 참여동기, 참여특성, 만족 도 등을 조사하여 이들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능력개 발 교육이 보다 전문적, 체계적, 학습자와 현장 중심의 교육으로 질적으로 향 상되며, 직업능력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운영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이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지역의 직업능력개발교 육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직업능력개발교육, 참여동기, 참여특성, 교육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변인을 설정하기 위하여 관련 이 론과 선행연구에 관한 문헌고찰과 인터넷자료 등을 통해 자료수집을 하고 관 련 변수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직업능력개발교육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개인적 인구사회학적 특성 에 따라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별, 학력, 재직상태, 월 소득에 대한 연구가설이 채택되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능력개발교육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참여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횟수, 참여시간, 참여태도, 참여의 어려운 점, 주변인 의 지원 등 직업능력개발교육의 참여 특성에 따라 참여자의 교육만족도가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능력개발교육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재직상태에 따라 참여동 기에 차이가 있었으며, 다른 변인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직업능력개발 교육 참여자들의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에 대하 여 그 결과 목표지향적 동기와 학습지향적 동기가 채택되었으며 유의미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기관들의 개인적 특성을 잘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해야할 것이 며,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수준편차와 실력을 차별화하여 분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둘째, 교육참여에 주변인들이 협조적일수록 참여태도가 더 적극적이다. 또한 교육 참여에 대한 주변인들이 협조적일수록 교육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만족도 중 강사 영역 만족도가 다른 영역 에 비해 제일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강사는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강사의 열정과 성실 한 강의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은 1회 또는 2회의 참여로 끝나고, 지속적인 교육참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실업자들은 취업을 하고 계속적인 직업에 관 련된 교육으로 이루지고, 재직자들도 직업에 관련된 새로운 기술과 정보들을 교육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연령을 보면 2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하며 특히, 20대 30대의 연령이 가장 많으며 20대, 30대는 구직 을 위하여, 30대, 40대는 이직을 위하여, 그리고 50대, 60대의 준고령자들이 참 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령화 사회에서의 재취업 또는 자아실현, 여가시간 활 용, 생활비 마련 등의 여러 이유로 직업을 찾고 있는 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직업능력개발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노 력이 필요하다. 첫째, 전국을 대상으로 직업능력개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향후 더 많은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게 함 으로써 연구결과의 타당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직업능력개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확충하기 위해서는 직업능 력개발교육의 교육제공자 혹은 교육운영자 변인에 초점을 둔 연구도 향후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직업능력개발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 자 체의 변인에 초점을 두고 교육프로그램 투입의 효과로 학습자의 변화가 어떻 게 나타나는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 개혁주의생명신학에 근거한 청소년 인성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

        박예진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청소년들의 범죄와 사회적 문제에 대한 원인으로 많은 사람들이 ‘인성’의 부재임을 제기하며 ‘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청소년기는 정체성과 가치관이 형성되는 성장의 시기로, 교육이 가진 관점과 가치는 그들의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무엇보다 인간이 인간다움을 강조하는 인성교육에서 인간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는 무척 중요한 부분이다.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제시되는 인간상은 인성교육의 목적과 방향성을 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인간을 바라보았을 때 인간의 근본은 하나님으로부터 시작된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하셨기 때문이다. 이에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기독교적 관점이 아닌 다른 관점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기독교적 인성교육에서는 가장 먼저 성경에 근거하여 인간에 관한 올바른 탐구가 있어야 한다. 인간은 하나님의 자녀이지만 하나님께 불순종한 죄인이기에 기독교적 인성교육에서 중요한 핵심은 죄로 인해 부패한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회복’이다. 그리고 피조물과 끊어진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복을 통해 청소년들이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자로서 부르신 소명을 깨닫고 모든 삶의 영역에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며 자신과 교회, 세상을 변화시키는 역동적인 실천의 삶을 사는 것이 기독교적 인성교육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 잃어버린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력을 회복하고자 실천적 운동을 추구하는 개혁주의생명신학에 근거하여 타바(Taba)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따라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적 인성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인간의 내면은 하나님의 말씀이 임하였을 때 진정한 변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진정한 내면의 변화는 행위의 변화까지 가져올 것이다. 이에 하나님의 말씀이 함께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력이 있는 인성교육이 필요하다. 청소년들이 하나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믿음을 갖고 지키며, 인간의 존재 그 자체의 존귀함을 깨닫고, 하나님의 소명을 발견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을 닮아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삶이 되길 소망한다.

      • 공립 대안학교 교육과정 개발 참여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 C교육청 공립 대안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김현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C교육청의 공립 대안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교 사들의 경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일반 공립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경험한 학습에 집중할 수 없는 환경 에 있는 학생들, 삶과 괴리된 교육과정, 행정 체계에 의해 움직이는 학 교, 교사의 개인 역량에 의존하는 학교 문화 등의 문제는 새로운 교육 체제의 필요성을 야기했다. 대안교육은 구성원 사이의 민주적인 체제와 협력적인 문화 안에서 학습자를 중심에 두고, 맞춤 교육을 지향하고 있 었다. 공립 대안고등학교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실현하는 방안으로 민주적인 체제, 협력적인 학교 문화에서 삶과 연계된 교육과정을 실현하 고자 했다. Walker는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진 과정을 기록하여 자연주의 모형 이라 이름 붙였다. 자연주의 모형은 숙의를 중시하고, 숙의에서 논한 대 화 내용에 초점을 맞춘다. 공립 대안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은 구성원 사이의 민주적인 의사소통의 실천, 협력적인 문화에서 숙의를 중시하였 다. 따라서 공립 대안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Walker의 자연주의 모형 에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개발은 정책적 지원 위에서 가치공유→숙의→교육과정 설계 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전(全)과정에서 법령 및 제도, 도서 및 연수 자료 집, 대안학교 교육과정, 컨설팅 등의 자료가 분석 및 활용되었다. 제도권 내의 대안학교 설립에 관한 교육부의 법적 제도 마련과 교육청의 조례 제정, 정책연구 및 포럼 개최 등은 정책의 기반이 되었다. 가치 공유 단 계에서 교사 모집 후 독서 토론 및 연수, 실행을 통한 가치 내면화가 이 루어졌다. 숙의 단계에서 공립 대안고등학교가 지향하는 가치와 철학, 교 육 목표 및 내용을 구체화 해 나갔다. 공립 대안고등학교가 지향하는 가 치의 핵심은 학습자의 자립과 공동체성의 실현이었다. 이를 위해 교사들 은 교육 철학 및 목표와 교과가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숙의했다. 교육 내용은 학습자의 삶과 일치시키고자 하였으며, 학습자의 상황과 요구를 반영하여 변용을 예상하였다. 또한 교사의 변혁적 전문성 을 구축하기 위해 협력적 관계를 추구하였으며, 민주적인 행정과 의사소 통 체계가 구축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공립 대안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세 가지 논의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교사들은 교육이 자신의 삶과 태도를 보여주는 것 으로 학생과의 교변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지금까지 교육과정에서 학생요인의 반영이 소홀했는데, 학생 요인의 적극적 반영이 필요하다. 둘 째,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교원양성기관과의 협력, 체계적 인 부모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대안적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해 학교의 제도, 문화 등의 변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청의 적극 적인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통해 공립 대안고등학교의 교육 과정 실행 및 운영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공립 대안고등학교 에서 강조한 민주적인 체제와 협력적인 학교 문화 안에서 교육과정이 유 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 어 학교가 스스로 서서 서로를 살리며 배움을 펼치는 장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적응적 교육용 게임 개발을 위한 Learning Analytics 모형 개발 : 한국어 독해교육을 중심으로

        김, 춘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ing analytics model for adaptive educational game development. Recently the interes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interest of the korean wave, and the importance of korean reading has been emphasized. Many games related to the korean reading has been developed and been used in education, but these existing games are been played with the simple fun of the users, they can not be able to utilize the large amounts of data generated by the digital devices. So, this study aims to develop learning analytics model for developing an adaptive educational game that can improve the achievement of study by enhancing the learner’s interes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presenting the adaptive feedbacks through accurate analysis and prediction of learner’s related data. For doing thi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we extracted the factors influencing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and derived a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learning structure model. Second, the design principles for model development were derived by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learning structure model, learning analytics, adaptive learning, educational games. Third, developed learning analytics model based on design principles. Fourth, afte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odel through expert review and formation evaluation process, completed a learning analysis model for development of adaptive educational game .Finally, based on information utilization ethics phase, the final model is constructed to have a cyclical approach with the phase of measure and collect the learner’s related data, analyze and predict steps for adaptive feedback, and take remedial steps for personalization. This will help learner’s to improve their learning effectively by collecting data from learner’s who are playing a Korean reading gam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the learner’s, and providing adaptive feedback according to the individual level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 공적개발원조(ODA)사업으로서의 캄보디아 새마을운동에 관한 연구 : 사회경제적 영향을 중심으로

        Cheng Sreytom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is a study on the Cambodia Saemaul Undong Movement(SUM), focusing on social and economic impacts, as 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rocess, effectiveness and plan of the rural development movement in Cambodia in light of the successful case of Korea SUM. In other words, it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s and changes brought by SUM in Cambodia socially and economically, and whether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will be possib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ambodian farmers, civil servants and village leaders who participated in rural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The spatial target is the rural area and the temporal range is from 2000 to 2018, taking the rural Cambodia SMU as the scope of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biggest achievement of 2014~2018 Cambodia SUM is building Cambodia Korea Rural Development Center (CKRDC) and conducted rural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s for in the rural society.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suggestions should be complemented to improve Cambodia SUM Project from 2014-2018 as below. First, the level of education of Cambodian farmer trainees is limited. At present, the illiteracy rate of the Cambodian people is still high. Especially, it seems to be a major task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to increase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the text. The most urgent issue in the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Cambodia is the education of the people, and the related institutions should establish more local village libraries and improve the subjects such as Reading Class or Khmer literature class in the rural society. Second, is the problem of how to share information on rural development education. Although nowadays using internet, smart phones and social media is common in Cambodia, but the ODA 2014~2018 Cambodia SUM is still recruiting trainees through village leaders as the old way of 1970's SUM in korea. The government needs to create advertising such as public service ads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education and promote it on TV or on the Intern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a SUM form suitable for the a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o develop a community of face-to-face contact to one of cyber space. Third, sharing the experiences and know-how of Korea's rural development process with the developing countries such means that it can contribute to not only rural development but also to economic development of thar country. Cambodia which has tropical climate, flat land, and rich water resources, is still lacking in agricultural technology 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In light of the economic development experience of developed countries, the Cambodian government should first inves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 & D), establish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s and schools, and cultivate local agricultural experts to brighten the future of agricultural development in Cambodia. The SUM has become a driving force behind Korea's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It was introduced in 1970 as a way 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rural development, and has been successful in solving poverty in rural areas in a short period of time based on three minds; Diligence, Self-help, Cooperation. This has had a major impact on the rural communities of major developi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from Southeast Asia to Africa. The SUM is an important tool to promote Korea to the world as a national brand, like Korean language, especially korean culture such as k-pop. However, in order for the Rural Development Education SUM Project to be more effective, the SUM should be presented as a reformed model featu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current trend. 본 연구는 공적개발원조(ODA)사업으로서의 캄보디아 새마을운동(사회 경제적 영향을 중심)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과 캄보디아의 농촌개발운동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나아가 한국 새마을운동과 캄보디아 농촌개발운동의 추진배경, 목적과 내용, 추진방식, 성과 간의 주요점을 분석하였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새마을운동 성공 사례에 비추어 캄보디아의 농촌개발운동의 진행과정, 효과성 그리고 개선방안은 무엇인지를 총체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나아가 한국의 새마을운동이 지역사회 개발 모형의 하나로 캄보디아에 적용가능한지, 그리고 어떤 부분을 보완해야 하고 어떤 부분을 조정해야 할지를 모색하였다. 또한 새마을운동으로서 캄보디아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어떤 영향 및 변화가 일어나는지, 즉 소득증대 측면에서 민간의 발전과 더 나아가 농촌사업으로 국가 경제발전이 가능할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 농촌새마을운동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한국새마을운동에 비추어 캄보디아 새마을운동의 시대적 배경, 추진목적, 사업내용, 사업진행과정, 효과성, 문제점 등을 다루었다. 연구 대상자는 농촌개발운동에 참여한 캄보디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농촌개발교육에 함께 참여한 캄보디아 농민, 공무원, 마을지도자를 비롯한 캄보디아 새마을운동에 관련된 대상자를 포함하였다. 공간적 대상은 농촌(캄보디아 캄풍스프주에 위치한 캄한농촌개발교육센터)이며 시간적 범위는 2000년 이후 캄보디아의 농촌새마을운동을 연구 범위로 삼고자 하였다.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진행해온 캄보디아 새마을운동에 관한 부분은 문헌연구 연구방법론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사업을 진행 중인 2014-2018년의 캄보디아 새마을운동에 관한 부분은 문헌연구 및 현지조사 방법론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본 연구에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새마을운동 농촌개발교육에 대해 문헌연구, 인터뷰,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서 집중적으로 모색하고 분석하였다. 전체 내용을 요약하자면 제 1장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선행연구 검토(한국 새마을운동에 관한 선행연구, 캄보디아 새마을운동에 관한 선행연구), 그리고 연구대상 및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제 2장은 새마을운동의 배경(새마을운동의 이해, 공적개발원조(ODA)로서의 새마을운동 및 지구촌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에 관한 한국의 정치적 현황)에 관한 내용이다. 제 3장은 캄보디아 정치·경제·사회적 현황(캄보디아 정치·경제·사회적 상황, 캄보디아 농업 개발 분야, 발전국가론)에 관한 내용이다. 제 4장은 캄보디아 새마을운동(캄보디아 새마을운동의 역사, 2014-2018 캄보디아 새마을운동)에 관한 내용이다. 제 5장은 농촌개발교육 진행과정(ODA사업으로 농촌개발교육 실행자의 관점(인터뷰), ODA사업으로 농촌개발교육 연수생 관점(설문조사))에 관한 내용이다. 그리고 마지막 6장은 요약 및 결론 내용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