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교사역할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조절효과

        김미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내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3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최종적으로 257부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 문제행동 지도전략, 교사역할 수행능력의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개인배경변인(연령, 학력, 자격취득경로, 근무경력, 담당반연령, 근무기관유형, 자녀양육경험)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인 교사의 보육효능감, 조절변수인 문제행동 지도전략, 종속변수인 교사역할 수행능력의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개인배경변인(연령, 학력, 자격취득경로, 근무경력, 담당반연령, 근무기관유형, 자녀양육경험)에 따른 교사역할 수행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test)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 문제행동 지도전략, 교사역할 수행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변수간의 상관성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는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역할 수행능력은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은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하위요인에 따라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효능감 및 문제행동 지도전략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적게 이뤄졌거나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조절효과를 분석해보는 연구를 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보육현장에서 교사들의 내적 변인인 보육효능감의 수준에따라 교사가 계획한 보육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문제행동을 하는 영유아에게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을 문제행동 지도전략으로 적절히 사용하는 교사일수록 교사역할 수행능력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역할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영유아를 지도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을 검토할 수 있는 실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기대한다.

      • 특수교사의 근무환경과 정체성이 역량 형성에 미치는 영향

        문성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배경변인별 근무환경과 자아정체성의 차이를 분석하고, 근무환경과 자아정체성이 역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사의 근무환경과 정체성 그리고 역량 형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 서울, 인천 지역 281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배경변인별 근무환경, 정체성, 역량 형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차이를 검증하였고, 근무환경 인식, 정체성 인식, 역량 형성 간의 상관을 분석하였으며, 근무환경과 자아정체성이 역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교사의 근무환경, 정체성, 역량 형성 인식 차이 첫째, 특수교사의 근무환경 인식에는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교직경력에 따른 근무환경 인식의 평균값을 살펴보면 교직경력 5년 미만의 교사가 가장 낮고 15년 이상~20년 미만의 교사가 가장 높아 연차가 높아질수록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드러나다가 교직경력 20년 이상의 교사에서 소폭 감소하였다. 그러나 성별, 학력, 직위 등 다른 배경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둘째, 특수교사의 정체성 인식은 직업정체성, 역할정체성, 자아정체성을 종합하여 특수교사로서의 정체성이란 단일개념으로 접근하였을 때는 배경변인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직업정체성은 성별과 설립형태에 따라, 역할정체성은 성별과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남성 교사가 사립 학교에서 근무하는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직업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사후검정에 따르면 공립 학교 및 기관 소속 교사에 비해 사립 학교 교사가 높은 직업정체성을 보였다. 이와 달리 역할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여성 교사가 남성 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근무환경 인식과 마찬가지로 교직경력이 높아질수록 역할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나다가 교직경력 20년 이상의 교사에서 소폭 감소하였다. 셋째, 특수교사의 역량 형성에 대한 인식은 학력과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드러났다. 최종학력 대학원 석, 박사 졸업이 대학 학사 졸업 교사보다 높은 역량 형성 정도를 보였으며, 교직경력 5년 미만의 교사가 가장 낮고 15년 이상~20년 미만의 교사가 가장 높아 역량 형성에 대한 인식이 연차에 따라 높아지다가 20년 이상 교사에서 소폭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넷째, 역량 형성 관련 문항 중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도구의 이해와 활용, 상담 이론의 이해 및 활용, 장기적인 업무계획 수립 및 수행에서 근무기관별 차이가 드러났다.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도구의 이해와 활용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특수교육대상자를 진단·평가 및 선정·배치하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고유한 업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상담이론의 이해 및 활용 역량에 대한 인식 역시 특수학교보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소속 교사가 다양한 연령대의 특수교육 대상 학생과 학부모를 만나며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교 관리자 및 장학사 등 다양한 기관 및 인력과 협업하거나 이들을 지원하여 상담 역량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인 업무계획 수립 및 수행 역량 역시 특수교육지원센터가 특수학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정민, 임해주, 김경화(2014)의 연구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이 모호하며 다양하고 방대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의 계획 수립과 수행이 중요하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나. 특수교사의 근무환경, 정체성, 역량 형성 간의 상관 첫째, 변인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결과, 특수교사의 근무환경 인식과 정체성 인식 간의 상관, 근무환경 인식과 역량 형성 간의 상관, 정체성 인식과 역량 형성 간의 상관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때 근무환경 인식과 정체성 인식 간의 상관이 가장 높았다. 둘째, 특수교사의 정체성을 직업정체성, 역할정체성, 자아정체성으로 세분화하여 근무환경 인식 및 역량 형성 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근무환경 인식과직업정체성, 역할정체성, 자아정체성, 역량 형성 간 상관은 모두 정(+)적으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역할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역량 형성간의 상관이 가장 높았으며, 근무환경 인식과 직업정체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근무환경 인식과 역할정체성에 대한 인식 순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즉, 특수교사의 근무환경 인식과 직업정체성, 역할정체성 및 자아정체성 등 정체성 인식, 역량 형성은 모두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 특수교사의 근무환경과 정체성이 역량 형성에 미치는 영향 첫째, 특수교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역량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근무기관별 역량 형성 인식 차이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교사 집단에서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도구의 이해와 활용, 상담이론의 이해 및 활용, 장기적인 업무계획 수립 및 수행 등의 역량에서 다른 근무기관의 교사 집단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해당 역량이 유의하게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의 정체성은 역량 형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그 중에서도 역할정체성과 자아정체성이 역량 형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역할정체성의 경우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수교사로서의 정체성이 잘 형성되어 있을수록 교직 생활에서 특수교사로서의 역량 또한 잘 형성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직업정체성은 특수교사의 역량 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 수준과 어머니-교사 관계 및 교사역할기대의 관계

        신인정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 수준과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관계 및 보육교사 역할기대 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 교권에 대한 어머니들의 이해를 도와 보다 올바른 사회적 인식을 확립하고 영유아에게 안정적인 보육환경을 조성하여 질 높은 영유아 보육이 이뤄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보육교사에 대한 교권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가 인식하는 보육교사와의 관계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역할기대 수준은 어떠한가? 넷째, 어머니의 교권인식과 보육교사와의 관계 및 보육교사의 역할기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부천시, 성남시, 시흥시, 수원시, 안산시, 오산시, 의왕시, 평택시, 화성시에 소재하고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0세 부터 만5세 까지 영유아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총 486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 분석을 위하여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먼저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과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관계 및 보육교사 역할기대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반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t 검정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 수준과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관계 및 보육교사 역할기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분석결과를 연구문제 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보육교사에 대한 교권인식 전체 수준은 높은 결과를 보이는 경향이었고, 교권보장의 구성요인 중에서는 노동․휴식권이 가장 높은 결과가 나타났지만, 교권의미에 대한 이해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경 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최종학력에 따른 어머니의 교권인식 수준은 교권의미에 대한 이해와 신분․지위권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월 소득에 따른 결과는 교권인식 전체에서 유의미 하게 나타났으며, 교권의미에 대한 이해와 신분․지위권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따른 결과에서는 재산권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용시간이 7시간 이상일수록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 수준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외의 배경 변인인 연령, 취업여부, 자녀연령, 자녀 성별, 자녀 형제순위, 어린이집 설립유형, 어린이집 다닌 기간, 어린이집 규모 등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교사에 대한 교권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어머니가 인식하는 보육교사와의 전반적인 관계 경향을 살펴보면, 전체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관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하위 관계요인 중에는 신뢰관계, 협력하는 관계, 존중하는 관계가 높게 나타났고 의사소통 관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른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가 보육교사를 존중하는 관계에서 최종학력이 4년제 졸업 보다 대학원 이상인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 설립 유형에 따라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존중하는 관계에서 법인․직장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어린이집에 다닌 기간에 따른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관계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이외의 배경 변인인 연령, 취업여부, 월 소득, 자녀 연령, 자녀 성별, 자녀 형제순위, 어린이집 규모 등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교사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역할기대 전체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 역할기대 하위요인 중에는 상담 및 정서 지원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았고, 연구 및 반성적 실천에 대한 기대가 가장 낮았다. 배경 변인별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역할기대를 살펴보면 어린이집 다닌 기간에 따른 보육교사 역할기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외의 배경 변인인 연령, 최종학력, 취업여부, 월 소득, 자녀 연령, 자녀 성별, 자녀 형제순위, 어린이집 설립유형, 어린이집 규모, 어린이집 이용시간 등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교사 역할기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교권인식과 보육교사와의 관계 및 보육교사의 역할기대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교권인식과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관계 전체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교권인식이 긍정적인 어머니는 보육교사와의 관계에서 신뢰가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머니의 교권인식과 보육교사 역할기대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교권인식이 긍정적인 어머니는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관계와 보육교사 역할기대의 관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큰 어머니는 보육교사의 관계에서 신뢰가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초등교사교사목표가 학교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영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교사목표가 학교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교조직몰입을 높이는 교사목표요인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목표와 학교조직몰입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의 교사목표와 학교조직몰입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초등교사의 교사목표는 학교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 공립초등학교 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의 내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초등교사 교사목표 척도(신종호 외, 2016), 학교조직몰입척도(박용진, 2009)를 수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는 직위, 경력, 학력에 따라 교사목표 인식에 차이를 보였다. 부장교사는 일반교사에 비해 교사목표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교사목표에 대한 높은 인식을 보였다. 둘째, 초등교사는 성별, 직위, 경력에 따라 학교조직몰입에 차이를 보였다. 경력이 높을수록 학교조직몰입도가 높았으며 여교사보다 남교사가, 일반교사보다 부장교사가 높은 학교조직몰입도를 보였다. 셋째, 교사목표 중 성장목표, 관계목표, 승진목표, 공헌목표는 학교조직몰입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반면, 여가목표는 학교조직몰입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관계목표, 승진목표, 공헌목표는 학교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가목표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교사목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초등교사의 학교조직몰입을 높이는 관계목표, 승진목표, 공헌목표 인식을 높이는 교사지원 정책이 마련될 수 있길 기대한다.

      • 敎師의 自律蘚學運營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부천시 소재 고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지춘갑 安養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장학은 교사와 직접 상호작용을 하고 기술적·심리적 지원을 해주고 수업의 계획에 참여하고, 수업의 과정에 도움을 줌으로써 수업개선을 가져온다. 따라서 장학은 교육발전·학교발전 그리고 교사들의 성장·발달을 위해서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에 의하여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고 경기도에 소재한 7개 고등학교 교사 310명(4개 인문계 고등학교 교사 : 171명, 3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 139명)을 대상으로 학교 자율장학에 따른 인식 실태 조사를 통하여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장학 활동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 실태 분석 둘 이상의 교사가 동료적인 입장에서 서로의 수업 관찰하고 토의하는 동료장학을 유익하고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교내 자율장학의 저해요인은 ‘행정업무 위주의 학교운영으로 인한 교내 자율장학의 위축’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2)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율장학의 실태 분석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위해 가장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을 ‘교육 기자재 및 학습자료 제공’ 이라고 응답하였고, 교내 자체연수가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형식적이고 실적 위주로 운영되기 때문에’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3) 자율장학의 활성화를 위한 동료장학의 실태 분석 동료장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 ‘동료교사들의 협조적이며 친밀한 인간관계 조성’ 과 ‘교육현장에 맞는 동료장학의 모형 개발’ 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4) 자율장학의 활성화를 위한 임상장학의 실태 분석 임상장학에서의 중요도에 대해 ‘재투입 및 수업 반성’, ‘환류를 위한 평가 협의’가 중요하다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5) 자율장학의 활성화를 위한 자기장학의 실태 분석 자신의 수업이나 특별활동 지도, 생활지도 그리고 학급경영 등에 관하여 학생들과의 면담이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의견조사를 통하여 자기반성·자기 발전의 자료를 수집한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6) 교내 자율장학의 활성화를 위한 운영에 따른 실태 분석 교내 자율장학에 어느 정도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고, 자율 장학이 교사의 수업 기술과 같은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자율장학(교내 장학)에 대한 선생님의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개념과 형태에 대한 정립이 필요하다. 학교현장에 함께 생활하고 있는 교장, 교감, 부장교사, 일반교사들이 서로 상호 신뢰 및 협력관계 속에서 참여할 수 있는 장학활동이 되어야 할 것이다. 교사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제가 필요하다. 둘째, 교내 자율장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장·교감의 역할과 노력도 중요하다. 먼저 교내-학습 활동에 도움이 되는 환경과 여건을 마련해 교사들이 자유롭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장과 교감은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근무 부담을 줄여주고, 후생 복지 증진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교수-학습 계획을 위시한 학교 전반의 경영 계획을 평가해야 할 것이다. 학교 경영의 개선을 위한 관리자의 전문성이 필요하며 교사들과의 인간적 신뢰를 바탕으로 한 경영이 되어야한다. 셋째, 교내 자율장학에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고민해야 할 것이다. 우선 교사들간의 상호 정보 교환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내 자율장학의 실시는 학교 구성원(교장, 교감, 부장교사)간의 상호 정보 교환 및 협의를 통해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발전 방향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우선 교내 자율장학 활동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조직이 필요하다.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장학 기능을 갖추고 충실하게 장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이나 단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aimed at looking for ways to promote and improve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it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it. First, teachers need to establish the conceptions of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Most of teachers don't know the exact conception and definition to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Autonomous supervision is the activities that support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Teachers should change their negative and passive perception about the autonomous supervision. They should increase their leadership on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order to utilize it in school effectively. Autonomous supervision should be the activity which principal, vice principal, chief teachers and teachers take part in with cooperation and reliance. Programs which teachers can participate in need to be inven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ism. Second, principal and vice principal's efforts and rules can activate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activate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is the supervisors' will and effort as well as their professional disposition and attitude. First of all, supervisors try their best to make environment and condition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autonomous supervision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learning situation. They try to reduce the administrative work and promote compensation and welfare system. Next, the school management is evaluat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re needs the professionalism of the supervisor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management. Third, the ways to activate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should be designed. It is needed the interaction of information about teaching methodology among teachers. One of the purposes of autonomy supervision is that we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interacting all personnel : principal, vice-principal, chief teachers and teachers. Fourth, we don't have organization of carrying out the activities of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The professional or specific organization is needed to make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effective and autonomous. Finally, the negative and passive attitude of teachers about autonomous supervision should be changed. Also,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will be activated by correct understanding and constant practices of teachers as well as their positive understanding and spontaneous will.

      • 제7차 교육과정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3-가, 3-나 단계를 중심으로

        심민아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등 수학 교과의 내용을 아동들에게 정확하게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 교사에게 제공되는 교수-학습 자료 지침서로서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목표 달성의 성공 여부는 교육과정의 기본정신을 바르게 해석하고 이를 충실히 반영하는 잘 제작된 교재의 사용 여부와 더불어 교사가 얼마나 수업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교사용 지도서는 교사가 효과적으로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하도록 지침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지도서는 수학을 전문적으로 전공하지 않은 초등교사의 입장에서 볼 때 각 차시별로 전개되는 내용들 사이의 연관성이나 위계성에 대한 보다 더 상세한 안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 3-가, 3-나 단계를 중심으로 각 차시별로 전개되는 내용들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보다 더 상세한 지도내용 뿐만 아니라, 이론적 배경, 수학사 및 실생활 관련자료, 동기유발 자료 등을 이용하여 교사용 지도서를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 함 으로써 향후 보다 더 개선된 교사용 지도서를 만들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제 7차 교육과정의 준비시기에 실시한 제 6차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실태 및 현행 제 7차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실태를 연구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제 7차 초등수학 3-가, 3-나 단계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고 필요한 부분을 재구성 하였다. 그 후 재구성된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일선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시켜 본 뒤, 수업을 진행한 교사의 의견과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재구성된 교사용 지도서를 사용한 교사와 아동들의 반응은 재구성된 지도서가 현행 지도서보다 더 흥미롭고 활동적인 수학 수업을 이끌 수 있는 자료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이것은 교사용 지도서가 현장에서 지도서를 사용하는 고객인 교사 입장에서 더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eacher's manual plays a very important role as a reference to teaching material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teaching kids the elementary math courses. This is why the achievement of course objectives depends on the well-designed materials and how efficiently teachers conduct the courses. In this process, teacher's manual should accomplish its role as a reference to the efficient teaching-learning activities. However, current manuals need to provide more detailed guides about the correlation and hierarchy between items for the teachers who didn't major in mathematics.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the ideas on making an improved teacher's manual by using the materials about detailed teaching contents, theoretical background, mathematical history, practical application in everyday life and motivations focused on 3-a and 3-b. For this, I studied the preceding studies about the real application of the 7th elementary math teacher's manual and that of the 6th manual surveyed during the preparation of 7th education. In addition, the texts and teacher's manual of the 7th elementary math 3-a, 3-b levels were analyzed and necessary parts were modified. Later, opinions from teachers and students were analyzed after I applied the modified teacher's manual to the elementary teaching. The survey showed that the modified manual is better than the current manual for the more interesting and active math class. This shows that teacher's manual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more materials from the standpoint of teachers who are teaching in class.

      • 敎師의 經歷에 따른 效果的 校內裝學指導의 특성에 관한 硏究

        안희숙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교내 장학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조건과 방법을 탐색하고 교내장학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여 교내장학의 실제상황을 분석하고 장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 경력에 따른 효과적 장학지도 형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내장학의 이론적 기초를 분석하고, 교내장학과 관련하여 학교교사의 요구가 어떤지를 살펴 보기위해 교내자율장학 운영의 실태를 분석하고, 교사는 경력에 따라 어떠한 장학 형태를 선호하며 어떤 도움의 출처를 선호하는가를 규명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내 장학에 대한 교사의 지각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한 설문지는 교장의 교내 장학행위 영역 10문항, 교사의 장학현황인식 영역 6문항, 자율장학지도영역 3문항, 선호하는 지도형태영역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시내 거주하는 중등교사 650명을 무선표집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 경력별, 급지별로 분류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은 교내장학에서 교장의 장학 행위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하고 있는 편이다. 교장의 의사결정 행위와 교사평가 행위가 교사들의 교수학습을 통한 효과증대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2) 교내장학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준다. 남교사보다 여교사에게, 경력이 높은 교사보다 경력이 낮은 교사에게, 급지가 높은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급지가 낮은지역에 근무하는 교사에게 더욱 도움을 준다. 3) 교사들은 교내장학 프로그램 운영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경력이 높은 교사와 급지가 높은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는 더욱 적극적으로 장학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4) 현재 교내장학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은 교내장학의 운영의 방법이나 기술이 미비하여 교사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교사로서 교내 장학 활동에 참여 할 수 있는 시간도 제약되어 있기 때문이다. 5) 교사들은 교내 장학을 통하여 수업효과를 높일 수 있고 교과지도에 관련된 구체적인 지식과 기술을 연수 받기를 원하고 있다. 6) 교사들이 선호하는 장학형태는 장학담당자가 수업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지식이나 조언을 제시하는 학교조직의 공식적인 기능으로 전개되는 수업장학이다. 7) 교사는 교장, 교감, 주임교사나 외부장학 전문가에게 장학지도를 받는 것보다, 경력이 높은 교사 일수록 동료교사를 통해서 상호협력적으로 도움을 주고받는 장학 형태를 선호하고 있다. 8) 대부분 교사들은 전문가가 시범을 보여주는 시범적 장학 형태보다 교사자신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기를 원하고 있으며 경력이 짧은 교사들은 필요시에만 적절한 시범이나 지도를 받기를 원하고 있다. 9) 교사들은 경력의 높고 낮음과 관계없이 지시적 장학이나 비지시적 장학보다 상호협동적 장학이 실시되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경력이 낮은 교사들이 절충적 장학의 방법을 선호하고 있는데 반하여 경력이 비교적 높은 교사들은 교사주도적으로 교내장학이 운영되기를 선호한다. This study aims to delve into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ditions and methods of autonomous school supervision, and to explore way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school supervision, and to analyze aspects of effective supervision according to teachers' careers with a view to an analysis of its actual occurrence and its degree of efficiency. To carry out this study, 1 try to analyze the theoretical basis of autonomous school supervision and its realities in order to see what is needed in its practical application at school, and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what type of school supervision and what kind of help teachers prefer in their teaching careers. This thesis used a questionnaire on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supervision for school teachers which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10 questions about the area of principal's school supervision, 6 questions about teachers, knowledge of school supervision, 3 questions about autonomous school supervision, and 4 questions about teachers, preferable type of supervision. This questionnaire sampled 650 middle school teachers in Pusan who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ex, teaching careers, and the location of their school. The results of the survey this thesis conclude the following: 1) Most school teachers considerably satisfied with their principal's decisions and their evaluation of teachers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ir effective teaching. 2) An autonomous school supervision helps to foster teachers' professional abilities. This supervision is also more useful to less experienced teachers than more experienced teachers, to female teachers than male teachers, and to those who are teaching in areas of low income earners than those who are teaching in ares of high income earners. 3) Most teachers take a positive role in conducting this program, in which much experienced teachers and those who are teaching in areas of high income earners also participate. 4) But now this type of school supervision is not well managed because of poor ways to manage it and no time to have teachers carry it out. 5) Most of them want to learn the knowledge and skills of teaching methods so that they can teach more efficiently. 6) Most of them want school supervisior to give necessary knowledge and official advice for improvement in teaching. 7) More experienced teachers prefer school supervision by their fellow teachers to that by their principal, vice principal, head teachers, or professional inspectors out of school. 8) Most teachers prefer to demonstrate themselves voluntarily rather than follow professional supervisior's instructions,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among them want to look to professional inspection for supervision. 9) They prefer cooperative school supervision to instructive inspection regardless of their teaching experience, Less experienced teachers desire eclectic school supervision while more experienced teachers do self-leading school supervision for themselves.

      •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교사정서와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김희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교사정서와 교사-영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던 학력과 경력의 영향을 통제한 후 살펴보았으며, 연구대상은 서울·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만 0, 1, 2세 영아반 담임교사 372명이다. 교사정서를 측정하기 위하여 Frenzel, Pekrun, Goetz, Daniels, Durksen, Becker-Kurz과 Klassen (2016)이 개발한 TES(Teacher Emotions Scales) 척도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고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김명순, 김온기, 이완정(2014)이 개발한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를 자기평가 척도로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보육효능감의 측정도구는 三木知子(미키토모코)・櫻井茂男(사쿠라이시게오) (1998)가 개발하고 현정환(2003)이 번안한 척도를 본 연구자가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측정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독립표본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ANOVA), Scheffé 사후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교사정서와 보육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마지막으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 (1986)의 3단계 매개효과검증 절차에 따라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변인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즐거움’의 정서는 교사의 경력과 팀티칭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분노’는 교사의 경력과 기관유형 및 담당연령, ‘불안’의 정서는 학력, 기관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보육효능감은 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가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긍정정서는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정적 관계에 있으며 부정정서는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효능감은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교사정서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서 보육효능감은 ‘즐거움’, ‘분노’, ‘불안’에 대하여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즐거움’의 정서는 보육효능감의 수준을 높이고, 보육효능감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수준을 높이는 정적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분노’와 ‘불안’은 보육효능감을 낮추게 되고, 낮아진 보육효능감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수준도 떨어뜨리게 되어 부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보육활동 수행 중 경험하는 교사정서는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교사정서와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의 보육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care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otion and the teacher–infant/child interaction that occurs during child care. Such effect was unraveled after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careers on the aforementioned interaction. The sample comprised 372 teachers who worked in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who handled classes for infants as well as 1- and 2-year-old children. To measure teacher emotion, the current research adapted the Teacher Emotions Scales (TES) developed by Frenzel, Pekrun, Goetz, Daniels, Durksen, Becker-Kurz, and Klassen (2016). To determin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present research used Kim Myeong-Soon, Kim On-Gi, and Lee Wan-Jeong's (2014) scale as a self-evaluation scale that features the third version of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Ascertaining child care efficacy involved the revision and use of a scale created by Miki and Sakurai (1998) and translated by Hyun Jung-Hwan (2003). The present work also involved calculat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scores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to illuminate the general tendenc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derived from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analysis of variance, Scheffés post-hoc test, and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measurement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quire into how teacher emotion and child care efficacy influence the engagement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e mediating role of child care efficacy was demonstrated via a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three-step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1986). Finally,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o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joyment as an emotion experienced during child care varied depending on the careers of the teachers and whether such educators used team teaching or not. Anger also differentially occurred in accordance with teacher career, institution type, and infant age. Anxiety emerged to varying degrees contingent 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type of institution. The same variance was observed i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child care efficacy, which hinged 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teacher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teacher career, and institution type, respectively.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 positive emotion(enjoyment) that teacher is experiencing during child care has positive relation with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negative emotion(anger, anxiety) influences negative relation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addition, it found that care efficacy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eacher-children correlation. Third, child care efficacy exhibi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joyment, anger, and anxiety as teacher emotion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Specifically, enjoyment positively affected child care efficacy, which increased the degree of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their infant. By contrast, anger and anxiety negatively influenced child care efficacy, thereby reducing the level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emotions teachers experience during child care bears on their interaction with infants. The findings likewise indicated that the child care efficacy of teachers mediates the link between teacher emotion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요인과 운영과정의 특징과 어려움 : 융합교과 중심으로

        김예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동교과와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요인을 비교하고,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 운영과정의 특징과 어려움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에 융합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참여요인과 운영과정에서 경험한 특징과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교과 참여요인은 교수 내용과 방법에 대한 학습 욕구, 협업 및 분업 결과에 대한 만족, 폐쇄적인 학교 문화의 극복이 나타난 반면, 융합교과 참여요인은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교수학습 개선의 욕구, 융합 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 및 가치관의 공유, 교실 안 전문성과 교과 간 단절의 극복이 나타났다.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 운영과정은 도입, 학습, 실천, 마무리 시기로 분석되었다. 도입에서는 교사들의 융합 교육에 대한 가치관을 반영하여 공동체를 조직한다. 학습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고 교과별 내용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 간 연결 가능 맥락을 찾는다. 실천에서는 학습을 통해 개발된 융합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시기이며, 마무리에서는 공동체 활동 및 결과에 대한 개인적 반성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동교과와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요인을 반영한 활성화 방안과 융합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다.

      • 初等敎師의 敎職觀이 職務動機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고헌철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교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직관에 따라 직무동기가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성공적인 교사 교육은 바람직한 교직관 형성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는 연수의 방향 제시에 목적을 두고, 초등교원의 교직관과 직무동기는 개인별 배경요인에 따라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교직관은 직무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교원의 교직관은 개인적 배경 요인에 따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 2. 초등교사의 직무동기는 개인적 배경 요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초등교사의 교직관이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제주도내에 근무하는 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표집하여 최종적으로 274명의 사례를 사회조사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직관에 대한 인식은 직급별, 성별로 같은 수준에서 인식하고 있으며, 경력별로는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교직을 더 성직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노동직관에 대한 인식은 직급별, 성별, 경력별로 같은 수준에서 인식하고 있다. 셋째, 전문직관에 대한 인식은 교사가 보직교사보다 교직을 더 전문직으로 보고 있다. 경력별로는 경력이 낮은 교원이 교직을 가장 전문직으로 보고 있고, 그 다음이 고경력자이며, 중간 경력자가 가장 낮게 지각하고 있다. 넷째, 초등교원들은 직급별로 보직교사가, 성별로는 남교사의 직무동기가 더 적극적이다. 다섯째, 성직관, 노동직관, 전문직관에 관계없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긍정적인 직무동기를 가지고 있다. 여섯째, 전문직관을 가진 교원들은 보직교사가 교사보다 직무동기가 더 적극적이다. 전문직관을 가진 보직교사들은 경륜과 연찬의 기회가 많음으로 해서 학습지도와 업무처리 능력이 탁월하며 승진을 염두에 두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일곱째, 교직관에 따라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직관을 가진 교원들이 가장 긍정적인 직무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관, 노동직관을 가진 교원들의 순서이다. 따라서 교원들로 하여금 교직을 성직 내지는 전문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원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겠으며, 학부모는 물론 사회의 분위기도 교직을 전문직으로 인정하고 교원들을 존경하며 협조하는 교육풍토 조성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하겠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might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heir job motivation. It aims at directing the teachers training in order to establish a more desirabl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o determine how their unique backgrounds influence their views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their job motivation. In order to prove that their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fluence their job motivation, the following issues will be investigated. 1. How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ir unique backgrounds. 2. How the specific background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influence their job motivation. 3. How the view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fluence their job motivation. In order to prove the abovementioned hypotheses, 360 teachers employed in Cheju Island, were used in this study. In the fihal analysis 274 cases were tested through the social survey method. Firstly, according to the sacred vacational approach, it is being recognized as having the same value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and gender. In terms of their career, more experienced teachers regard the teaching profession as being more sacred. Secondly, the working vacational approach regards it as having the same value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gender and career. Thirdly,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vacational approach, ordinary teachers regard it as being more professional than assigned teachers. In terms of their career less experienced teachers regard it as being the highest profession. More experienced teachers have less regard for the teaching profession whilst average experienced teachers regard it as being the lowest profession. Fourthly,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assigned teachers possess more job motivation. In terms of gender male teachers are more positively inclined to the teaching profession. Fifthly, having no relation to the above mentioned views (sacred, working, and professional vacational views) male teachers possess more job motivation than female teachers. Sixthly,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vacational approach, assigned teachers have more job motivation than odinary ones, because assigned teachers possess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having high professional value. They are well experienced and have more opportunities to gain more experience. Therefore they are good at teaching and performing administrational duties and their chances are more favorable in terms of being promoted.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t views hel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 about the teaching profession, definitely influence their job motivation. The teachers possessing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having sacred value have a higher degree of job motivation than the teachers possessing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having a professional value. The ones supporting the working vacational approach have the lowest degree of job motivation. In conclusion, teacher training progrounds should be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teachers regard their teaching profession as being sacred and professional. There should be more open discussions to change the social atmosphere in order for parents to regard the teaching profession as a professional vacation. The community should respect teachers and cooperate with them in order to establish a more favo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