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항분석과 학교 현장과의 상관성 : 2014학년도 이후 가정과를 중심으로

        이은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 placement test of secondary school for the candidates from 2014 to 2019. Also,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s appointment test to see if the test materials reflect the contents of actual school site. Finally, we analyzed the linkage with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College of Education, which is a teacher training institute, and tried to confirm whether the principle of "setting the questions that can be solved if a person who has faithfully completed the curriculum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The researching method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questionnaire for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placement test (the first examination) conducted for the last 6 years from 2014 to 2019 is divided into 『Teacher eligibility criteria, assessment area, and evaluation content elements of 「Home Economics」』Were analyzed in detail. Secondly,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test items for the Home Economics employment examination, the examination was stimulated for the 2019 school year from the 2014 school year compares the 2009 curriculum with the yearly question items. In addi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2017 to 2019 was further analyzed with the 2015 curriculum. Thirdly, we examined whether the basic courses that domestic tutors in the home economics department should take a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the five national universiti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linkage between the rate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ruitment test and the rate of opening of lectures in the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placement test conducted from 2014 to 2019,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hich is a pedagogical pedagogy, showed the highest rate of 25% or more in all years. Among the subjects of the curriculum contents, the dietary area questions appeared in the range from 15% to 22.5%. Other areas showed a similar ratio, and the rate of consumption area questions in the 2016 school year was 7.5%, which was the lowest among the analysis period. As a result of analyzing by region, it showed similar number of items similar to the number of items every year in all areas.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sumer life area, it was felt that one question in the 2015 school year and two questions in the 2016 school year were not enough to evaluate the professionalism. As a result of the detailed analysis according to the detailed criteria, most of the evaluation areas showed the same ratio, but in the content of the evaluation, there was a variation between the items in the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details so that students can measure teachers' professionalism evenly in various fields. Secondly,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Home Economics test items,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2014 school year and the 2019 school year examination with the 2009 curriculum and the 2015 curriculum. As a result, the correlation was high overall, Even within the subcategories, the rate of exams was high only at certain attendants and the frequency of exams was low at some attendants. In addition, three items were presented in the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ection, but it was found that the devia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sustainable main life and residential space decorating' section. Teachers 'professionalism is a factor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iculum of the five universities of the National College of Education, the basic courses were properly established at all the colleges of education. However, depending on the university, there was a large deviation in the opening of lectures by area. In addition,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and pedagogy, Home Economics education, home teaching materials research and teaching methods, home economics education logic and essay courses were examined at five national universities. In the case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33.34% of the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rate of lectures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and pedagogy. While the rate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ruitment test was the highest in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and Education, the ratio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was 33.33% for the university and 20% for the whole university. The rate of opening lecture in the field of clothing was also high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8.26%).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opening lecture in the main life area was low overall, and the main life lecture opened at Kongju University was limited to residential courses. Family lectures were also held in the family lecture. Secondary teacher placement tests are not simply assessing the level of knowledge, but evaluating the quality of teachers who will train future talents. Theref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a direction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that is helpful for the growth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not merely providing information. I hope that all of these effort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overall secondary school home education. 본 연구는 2014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의 가정과 중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 문항을 분석하여 우수한 교사 후보자를 선발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등학교 교육과정과 중등교사 임용시험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임용시험 문항이 실제 학교현장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원양성기관인 국립대학 사범대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중등학교 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자면 풀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한다.”는 출제원칙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4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 최근 6년간 실시된 중등교사 임용시험(제1차 시험) 가정과 출제 문항을 『표시과목 「가정」의 교사 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따라 배점 및 비율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중등학교 교육과정과 가정과 임용시험 출제문항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2014학년도부터 2019학년도 임용시험은 2009 교육과정과 연도별 출제문항을 비교하였다. 또한 2015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7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의 임용시험은 2015 교육과정과 추가적으로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교육부에서 고시한 가정 과목의 가정교사가 이수해야 할 기본 과목이 가정교육과가 있는 국립대학 사범대학 5곳의 교육과정에 제대로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율과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강의 개설비율 간의 연계성을 파악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4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 실시된 중등교사 임용시험 가정과 출제 문항을 연도별로 분석한 결과, 교과교육학인 가정과교육론 영역이 모든 해에 25% 이상의 출제율을 보이며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교과내용학 영역 중에는 식생활 영역이 15%에서 22.5%까지 출제되며 높은 출제율을 보였다. 그 외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 가족생활 영역은 비슷한 출제율을 보였으며, 2016학년도 소비생활 영역이 7.5%의 출제율로 분석 기간 중 가장 낮은 출제율을 보였다. 내용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매년 비슷한 문항 수와 비슷한 출제율을 보였다. 다만, 소비생활 영역의 경우 2015학년도에 1문항, 2016학년도에 2문항이 출제되어 전문성을 평가하기에 부족함이 느껴졌다. 상세기준에 따라 상세히 분석한 결과, 대부분 평가영역에서는 고른 출제율을 보였지만 평가 내용요소에서는 출제문항 간 편차가 나타났고, 가정경영 영역의 경우 전체적으로 출제율이 매우 저조하였다. 상세 기준까지도 세세하게 파악하여 다방면에서 고르게 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문항이 출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중등학교 교육과정과 가정과 임용시험 출제문항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2014학년도부터 2019학년도 임용시험을 2009 교육과정, 2015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상관성이 높고 대부분의 단원에서 골고루 출제가 되었으나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대단원 내에서도 특정 중단원에서만 출제율이 높고 일부 중단원에서는 출제 빈도가 저조하였다. 또한,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에서는 3문항이 출제된 반면 ‘지속가능한 주생활과 주거 공간 꾸미기’ 단원에서는 출제가 되지 않아 같은 주생활 영역 안에서도 편차가 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의 전문성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전체 단원에 대한 고른 문항 출제로 다면적으로 교사의 능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립대학 사범대학 5곳의 교육과정을 분석할 결과 모든 사범대학에서 기본 이수과목은 제대로 개설이 되어 있었다. 하지만, 대학에 따라 내용영역별 강의 개설 편차가 심했다. 또한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율과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강의들과의 연계성을 살펴보았을 때, 가정 교과교육학 교육학 영역에서는 가정교육론, 가정교재연구 및 지도법, 가정과교육 논리 및 논술 과목이 5곳의 대학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개설되어 있었고, 공주대학교의 경우 전체의 33.34%가 가정 교과교육학 영역의 강의로 가장 높은 개설비율을 보였다.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출제율은 가정 교과교육학이 가장 높았지만, 사범대 강의 개설비율은 식생활 영역이 공주대학교 33.33%, 전체대학 20% 이상의 개설비율을 보이며 골고루 높았다. 의생활 영역의 강의 개설비율도 전남대학교 28.26%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반면, 주생활 영역의 강의 개설비율은 전체적으로 저조하였으며, 공주대학교에 개설된 주생활 강의는 주거학 한 과목으로 선택이 제한적이었다. 가족생활 영역의 개설 강의도 가족학 한 과목이었다. 중등교사 임용시험은 단순히 지식의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인재를 양성할 교사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닌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 모든 노력이 모여 중등학교 가정교육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교사효능감과 벌의 인식 및 행위와의 관계연구

        김민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들의 교사 효능감, 벌에 대한 인식, 벌의 행위 등의 변인들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으며, 교사의 효능감이 학생에 대한 벌의 인식과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 실시되었다.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첫째, 교사 효능감과 벌에 대한 인식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가?둘째, 교사 효능감이 벌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셋째, 교사 효능감에 따른 벌의 행위에 차이가 있는가?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 경기도 내 소재 M 고등학교, S 고등학교, K 외국어고등학교, J 중학교, I 중학교의 교사 154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 회귀 분석, 빈도 분석, 교차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교사 효능감의 각 하위 요인인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 요인과 벌에 대한 인식 간에는 -.070~-.202 범위의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효능감의 각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자신감 요인이 벌에 대한 인식 평균과 -.202(p<.05)의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교사 효능감은 벌에 대한 인식에 5.2%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교사 효능감의 하위 요인들 중 벌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요인은 자신감인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교사 효능감 점수로 상위 20% 집단을 상 집단, 하위 20% 집단을 하 집단으로 분류하여 교사 효능감에 따른 벌의 행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벌의 경험에 대한 분석 결과, 자기조절 효능감 점수 상 집단에서는 직접적인 벌 행위를 되도록 하지 않는 편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하 집단에 비해 많았다. 자신감 점수 집단 또한 같은 양상을 보였다. 과제난이도 선호 점수 상 집단과 하 집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벌의 상황에 대한 분석 결과, 자기조절 효능감 점수 상 집단에서는 남에게 위해를 가했을 때 벌의 행위를 한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고 하 집단에서는 학생이 불량한 행동을 했을 때 벌의 행위를 주로 하게 된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자신감 점수 집단 또한 같은 양상을 보였다. 과제난이도 선호 점수 상 집단과 하 집단은 모두 불량한 행동을 했을 때 벌의 행위를 한다는 교사가 많았다.벌의 시기에 대한 분석 결과, 자기조절 효능감 점수 상 집단과 하 집단 모두에서 반복된 잘못이 몇 번 거듭된 후에 벌의 행위를 한다는 교사들이 가장 많았다. 자신감 점수 집단 또한 같은 양상을 보였다. 과제난이도 선호 점수 상ㆍ하 집단 역시 위의 두 요인 집단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벌의 장소에 대한 분석 결과, 자기조절 효능감 점수 상 집단에서는 남들이 보지 않는 곳에서 벌의 행위를 한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고 하 집단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 주로 벌의 행위를 한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자신감 점수 집단 또한 같은 양상을 보였다. 과제난이도 선호 점수 상 집단과 하 집단은 모두 남들이 보지 않는 곳에서 벌의 행위를 한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벌의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자기조절 효능감 점수 상 집단에서는 큰 소리를 치며 꾸짖는 것으로 벌의 행위를 한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고 하 집단에서신체부위를 때리는 직접 벌의 방법을 사용한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자신감 점수 집단 또한 같은 양상을 보였다. 과제난이도 선호 점수 상 집단과 하 집단은 모두 신체부위를 때리는 직접 벌의 방법을 사용한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핵심되는 말 : 교사 효능감, 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on perception on punishment and an act of punishment, and also,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ose.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are th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perception on punishment?Second, does teacher efficacy have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perception on punishment?Third, do teacher efficacy influence an act of punishment?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80 teachers from 5 different schools and 154 were finally analyzed. And the data was analyzed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cross-tab through SPSS 12.0 statistical package.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s' perception on punishment.Second, teacher efficac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eachers' perception on punishment. Specifically, self-confidence in job- teacher had effect on teachers' perception on teacher efficacy.Third, teacher efficac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unishment behavior. Teacher efficacy influenced the experience of punishment behavior, the situation of punishment behavior, the times of punishment behavior, the place of punishment behavior, the method of punishment behavior.Key words : teacher efficacy, punishment

      •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사립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분석

        곽승훈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사립고등학교 교사의 인식분석을 통해 사립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과 구성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었으며,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운영위원에 대한 인식 및 관심의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조직과 구성의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의 정도는 어떠한가? 넷째, 사립학교 운영위원회의 운영 및 구성 정도는 어떠한가? 다섯째, 학교운영위원회의 개선방향의 정도는 어떠한가?를 조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이며 연구대상은 구미시 관내 사립고등학교 5개교에 재직하고 있는 249명 전체를 전집조사(population survey)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다음,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x^(2)_test), 다중응답분석(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관심 분석 첫째, 사립학교 운영위원회 제도에 대해 교육경력이 21년 이상이며 보직교사의 경험이 있고 연령이 40세 이상인 교사들이 운영위원회 제도에 대해 잘 인식 하고 있었다. 둘째, 대부분의 교사는 2000년 3월부터 의무 시행되고 있는 사립학교 운영위원회는 필요한 조치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학교운영위원회 교원위원 선출에 대한 사립학교 교사들은 관심은 있었으나 경쟁은 없었다에 대해 상대적 높은 응답을 보였다. 2. 학교운영위원회 조직과 구성에 대한 인식 분석 첫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조직과 구성, 임기의 적정성에 대해서 사립고등학교 교사들은 교육경력과 연령이 많을수록 적정하다에 높은 반응을 보였다. 둘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위원 선출 방식과 과정의 민주성에 대해 사립고등학교 교사들은 긍정적 인식과 상대적으로 높은 관심을 나타내었다. 셋째,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심의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교사 간에 활발한 논의와 의견수렴 잘 이루어지고 있다는 반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3.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에 대한 인식 분석 첫째, 학교운영위원회의 활동은 교과학습 및 클럽활동에 참여, 학칙 및 규정의 제정 개정에 대하여 교사들은 직간접적으로 도움이 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경력과 연령이 높을수록 더 높은 관심을 가졌다. 둘째, 학교운영위원회가 학교운영의 민주화와 자율화 도모하는데 기여정도에 대해서 학교운영위원회의 경력이 없는 교사보다 학교운영위원회 경력이 있는 교사가 학교운영위원회가 학교운영의 민주화에 기여하는 정도가 더욱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실시이후 나타난 효과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은 '교사와 학부모의 학교경영에의 적극참여', '단위학교의 개방적 풍토', '지역사회와 학교와의 관계증진', '학교 예. 결산 수립 및 집행의 투명성', '단위학교의 자율성 신장' 순으로 나타났으며, 부작용은 '학부모의 부당한 간섭'에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넷째, 교사들은 학교운영위원회에서 논의된 결과의 공개와 자문이 이루어진 안건의 학교교육에 반영여부가 충분히 공개가 되지 않고 있으며 학교교육에 반영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4. 사립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및 구성에 대한 인식 분석 첫째, 교사들은 사립학교 운영위원회의 성격은 국·공립학교와 같이 심의기구로 운영되어야 하며 의무 설치와 운영이 사립학교 자율성 침해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그러지 않다'에 상대적으로 높게 응답 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사립학교운영위원회 조직과 운영은 정부의 간섭 없이 자율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원의 구성 비율을 높이는 것이 좋다' 것에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을 보였다. 5. 사립학교 운영위원회의 개선방향에 대한 인식 분석 첫째, 교사들은 사립학교운영위원회 성격에 대해 전체적으로 '자문기구', '심의기구', '의결기구'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위원들의 바람직한 선출 방법에 대해서 교원위원은 '교직원회의에서 무기명 투표로 결정한다'에 높은 응답을 보였고, 학부모위원, 지역위원의 선출 방법은 현행 사립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등 교육 전문성에 관한 운영위원회의 역할에 대해서 '교육전문성에 관한 내용은 별도의 소위원회를 조직, 운영하는 것이 좋다'에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을 보였다.

      • 교사평가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만수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교원평가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는 현행 교원 근무평정제도의 운영실태 파악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시안) 및 각 교직단체별 대안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을 토대로 교원평가제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사평가의 운영 실태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은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현행 교사평가의 문제점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은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시안) 및 각 교직단체별 대안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은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성한 설문지 250부 중 유효설문지 237부를 SPSS for Windows(Vr. 12.0)로 χ^(2)(Chi-Square)검증, t검증, F검증, 빈도 분석, 다중 응답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총 32문항 중 21문항이 성별, 직위별, 연령별, 경력별, 교직단체별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들을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사평가 제도의 공정성에 대하여 만족스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연공서열(나이나 경력)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다. 둘째, 교사평가에서 가장 중요시 되어야 하는 것은 교사 개개인의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한 자료 확보로 인식하고 있으나, 교사평가 제도가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교사평가 평정 요소별 배점의 합리성은 만족스럽지 않으며, 평정자(교감)와 확인자(교장) 이외의 동료 교사 또는 부장 교사도 참여시키고 일정 비율을 할당해야 한다. 넷째, 근무성적 평가점수가 승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현행유지가 바람직하며, 근무성적 평정점은 강제배분 방식에서 절대평가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 다섯째, 교사평가 결과의 반영기간은 현행유지가 좋으며, 평가 결과는 교사 본인에게만 공개해야 한다고 본다. 여섯째, 교사평가 횟수는 현행대로 당해 연도 말에 1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서적 안정과 합리적 사고, 품위유지, 교육적 사명감, 교사로서의 자부심,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교수-학습에 관한 학생들의 신뢰, 학생지도의 충실도 등이 교사평가 내용으로 합당한 반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결과 및 각종 사무분장 업무 처리의 능력을 포함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있다. 일곱째,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시안)에서 학부모와 학생을 평가자로 참여시키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으며, 교사의 수업개선 및 능력개발에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것은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여덟째,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시안)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한 교원단체 총연합회의 현행 근무평정 제도의 개선 및 수석교사제도 도입과, 전국교직원 노동조합의 학교교육 종합평가제 실시 및 교장 보직제 도입, 한국교육개발원의 목적에 따른 평가시스템 도입 등은 교직단체별 입장 차이가 크기 때문에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홉째, 교원평가제도의 정착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 평가 기준의 설정의 주체, 평가위원회 주체는 교사를 중심으로 관리자, 교육전문가, 장학사, 교육인적자원부의 관계자가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째, 교원평가 내용의 적용은 전국적인 공통 항목과 시·도 교육청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고, 평가 결과의 활용은 전문성 향상에 중점을 두어야 대외적으로 교사의 전문성과 교사 자질의 우수성이 인정될 것이다. 끝으로 교원평가제도의 발전방향은 단기적으로는 현행 교사평가 제도의 공정성과 전문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장기적으로는 평가 대상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교사를 중심으로 교육공동체의 합의를 이끌어내야 하며, 종합적인 안목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본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grasping the actual state and analyzing the issues of the current teaching personnel evaluation system in part of teacher evaluation and proposing a guide lines for teacher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ing personnels' recognitions of the teacher evaluations system improvement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alternative proposals of various teachers' organizations. There are established research issu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personnel's recognitions for the current teacher evaluation management state depend on the variables?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personnel's recognitions for the current teacher evaluation issues depend on the variables? Third, what are the difference of the teacher evaluations system improvement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alternative proposals of various teachers' organizations depend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ing personnel's variables? The 250 surveys has been made to solve the research issues above and processed 237 valid surveys into χ^(2)(Chi-Square) inspection, t inspection, F inspection, frequency analyzation, and multiple responds analyzation with SPSS for Windows(Vr. 12.0). The analyzed results represented meaningful partial or general dissimilarities from 21 questions out of 32 questions by gender, age, working status, career, and teaching organizations. The conclusion from synthesizing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 First, due to precedence of age or career, the elementary school teaching personnels do not satisfy of equity of the current teacher evaluation system. Second, although in the teacher evaluations, it has been recognized to collect data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 quality of teachers,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cannot contribute improving professionalism. Third, the rationality of teacher evaluation distribution of marks on the evaluation factors is not satisfied and fellow teachers and senior teachers' participation should be included other then just an evaluator(a deputy principal) and a confirmor(a principal)'s participation. Fourth, it is desirable to keep the current portion of evaluation assessment on the promotion, however,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evaluation marks of the current compulsory distribution of evaluation assessment into absolute evaluation. Fifth, the current amount of time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teacher evaluation should be kept and the result should only be opened the teachers themselves. Sixth, the current frequency of teacher evaluation as conducting it at the end of the every year is proper and it is adequate to include emotional stability, rational consideration, dignity, educational sense of duty, pride as a teacher, effort for professional improvement, trust of students in teacher and class, fidelity in student coaching etc. however, there are negative responds for including result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management ability in various official businesses. Seventh, it is not suitable parents and students participating as evaluators in the teacher evaluations system improvement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Moreover,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detailed research applying evaluation results of teachers' reforming classes and development. Eighth, the alternative proposals of the teacher evaluations system improvement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improving the current evaluation on work rating system and importing chief teacher system of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 enforcement of school education general evaluation system and assignment of principal of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and importing evaluation system regarding purpose of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ion etc. need to have more discussions since there are many different standpoints from the educational organizations. Ninth, teachers as central force, supervisors, educational experts, the school inspectors, and the official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hould participate in development evaluation equipments, establishment evaluation standards and evaluation committee as subjects for settling the teaching personnel evaluation system. Tenth, it is necessary to adjust ways of applying both national-wide items and regional focused items on teaching personnel evaluation contexts. Also, the application of results of evalu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improvements of professionalism for external authoriz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uperiority of teachers. In conclusion, the developing ways of school teaching personnel evaluation system should head toward managing the current teacher evaluation system to improve the equity and professionalism in a short term, and eliciting agreement among educational communities with teachers' participation, most of an evaluated objects from evaluation, as the central figure and promoting overall view of the evaluation in a long term.

      • 초등영어교과 담당현황과 적응실태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임용교사들을 대상으로

        이현순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등교사양성과정에서 초등학교 아동에 대한 이해나 초등교육과정의 지도를 위한 사전 준비는 모든 교과목을 대상으로 필요하지만 영어교과에 대해서는 특히 학교현장의 지도상태에 대한 더 많은 이해와 준비가 필요하다. 1997년에 초등학교 정규교과로 도입된 이래 10년째를 맞이하고 있는 초등영어교과는 가장 최근에 정규교과목으로 도입된 교과로, 담당교사제도나 교수방법 등이 여전히 미확립된 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현장지도실태에 대한 정보가 일반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비교사들 중에는 영어사용능력이 뛰어난 소수의 교사들이 교과전담교사로서 영어교과를 지도할 것이라고 여기는 경우가 많아 영어교과 지도에 대한 준비의 소홀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과정에서 초등영어교육을 위한 훈련과정을 거치고 배출된 2000년 이후 임용교사들의 초등영어 담당실태와 일선현장에서 영어교과지도에 적응하는 과정을 조사하여 초등영어교과 담당교사제도와 관련된 제반사항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돕고자 실시하게 되었다. 본 조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Ⅰ. 2000년 이후 2005년까지 발령받은 교사들이 학교현장에서 영어교육 심화전공자와 비영어교육 심화전공자 간의 영어지도 담당경험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Ⅱ. 2000년 이후 2005년까지 발령받은 교사들이 영어교과를 담당하게 된 원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Ⅲ. 2000년 이후 2005년까지 발령받은 교사들이 영어지도에 대해 갖는 두려움이나 기피정도는 영어지도 경험에 따라 변화하는지 여부와 변화원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Ⅳ. 영어지도에 대해 두려움이나 기피성향을 느끼는 예비교사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에 대한 조사를 위해 제주시내 초등학교 27개교에 근무하는 2000년 이후 임용된 교사, 즉 교직경력 1년에서 6년차까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초등영어교과 담당현황과 적응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00년은 제주교육대학교에서 초등영어교과 심화전공이 생긴 1996년 신입생들이 졸업한 해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현장에서 영어교육 심화전공자와 비영어교육 심화전공자간의 영어교과 담당경험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각각 영어교과 담당경험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서 대학 재학시 심화전공에 관계없이 저경력 교사들이 영어교과를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대상 중 영어교과 전담교사는 교직발령 첫해인 교사들을 주로 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의 교사들이 영어교과를 담당하게 된 원인으로는 담당학년 영어지도를 교과전담제가 아닌 학급담임제 또는 교환수업제로 운영하기로 결정하였거나 본인의 희망에 의해서, 그리고 근무경력이 짧은 교사에게 영어지도를 맡기는 추세 등이 주요원인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교사들이 영어교과지도에 대해 갖는 두려움이나 기피성향 조사결과, 첫해에는 두려움이나 기피성향을 가진 교사들이 많았으나 해를 거듭하며 영어교과 지도경험이 쌓이면서 영어수업기술이 향상되는 등의 원인으로 절반이상의 교사들이 두려움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반면 기피성향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아동들의 수준이 높아지고 교과준비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등의 이유가 제시되었다. 넷째, 영어지도에 대해 두려움이나 기피성향을 느끼는 예비교사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으로는 평소에 영어공부를 지속적으로 하고 영어관련 프로그램에 많이 참가해야 한다 등 영어교육에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준비할 것과 자신감과 도전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가르친다 등 영어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를 갖춰야 하며, 영어실력과 영어지도능력은 다르므로 뛰어난 영어실력을 갖추지 못했다고 영어교과지도를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등 예비교사들이 갖고 있는 선입견을 없애는 것이 우선과제임을 지적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대상이었던 2000년 이후 임용된 교사들의 설문조사내용에 따르면, 극히 소수를 제외하고는 대학 재학시 심화전공에 관계없이 일선 학교현장에서 영어교과를 담당하게 되며 본인의 희망여부에 반하여 영어교과 전담을 담당하기도 한다. 특히, 교직발령 첫해에 영어교과전담을 담당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따라서 준비된 교사로 아동들 앞에서 당당하고 자신감있는 교사가 되기 위하여 예비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의 영어교과 담당제도의 운영실태를 바르게 인식하고 좀더 충실한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른 교과목과 마찬가지로 영어교과 또한 지도경험이 쌓이면서 영어수업기술이 쌓이는 등 영어교과지도가 용이해지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은 영어교과지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 선입견을 버리고 좀더 적극적인 자세로 초등영어교과 지도에 대한 준비를 충실히 하고 현장지도에 임할 필요가 있다. It needs to proceed with preliminary matters of understanding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r primary education course in a course of fostering elementary teachers, but in particular, it needs to understand and prepare for the school field of English lesson. At this time when we have seen for 10 years since English lesson introduced it as formal course at the elementary schools from 1997, the primary English lesson could be in a status of non-established teacher system in charge and teaching method, etc. as a course introduced to the formal course most recently, for the information of guidance status in the field was not generalized. Among the preliminary teachers, there were a lot of cases that a minority of teachers who had excellent skills in using English taught English lesson as teachers in charge of courses exclusively, so it could be followed as neglect of preparation for teaching English less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ployed teachers´ status in charge of primary English and process of adapting to the guidance of English lesson in the front-line field, and help the preliminary teachers to have righteous recognition of general state of affairs related to the teacher system in charge of primary English lesson after they finished the training course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a course of training the preliminary teachers since 2000. The research question in this survey research i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Ⅰ. Which differences were in the teachers announced officially to 2005 since 2000´ experiences in charge of English guidance between the intensive majors of English education and the ones of non-English education in the front-line field? Research question Ⅱ. What was the cause that the teachers announced officially to 2005 since 2000 took charge of English lesson? Research question Ⅲ. As to the degree of fear or evasion which the teachers announced officially to 2005 since 2000 had for English guidance, what was the cause to be changed, or whether was it changed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of English guidance? Research question Ⅳ. What were you wanted to give the preliminary teachers who had a tendency of felt fear or evasion for English guidance advice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questionnaire of adaptive conditions and status in charge of primary English lesson as an object of employed teachers since 2000 who worked at 27 elementary schools in Jeju city, that is the teachers who had teaching career from a year to six years. Because 2000 was a year the freshmen in 1996 when it began the intensive major, a primary English lesson came to be graduated.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re were rather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in charge of English lesson between the intensive majors of English education and the ones of non-English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but each experience in charge of English lesson took over half of all the lessons. Accordingly,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teachers with the low career took charge of English lessons more regardless of intensive majors while students at their universities. In particular, it h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eachers among the research samples took charge of English lessons exclusively in the first year when they were ordered to do teaching posts. Second, as for the cause that the teachers above took charge of English less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ief causes like the determination of English guidance at the grade in charge as homeroom teacher system or shift school system, not exclusive course system, by their own desires, and taking exclusive charge of English guidance by the teachers with the low employment history, etc.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eachers´ tendency of fear or evasion for English course guidance,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had tendency of fear or evasion in the first year, but over hal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fear decreased due to the improvement of skills in English lesson while they filed the teaching experiences of English lesson as the time went b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cases that it increased the tendency of evasion. Also, this study was to suggest that it needed to take the substantial amount of time for the preparation of lesson and it raised the children´s level, etc. Fourth, as for the advices for the preliminary teachers who felt the tendency of fear or evasion for English guidance, this study was to emphasize the preparation of necessary items for English education in details like it needed to be trained like English study·English program·English training more as they usually were. In addition, it needed to have positive attitude of English education like the active teaching them with confidence and consciousness of challenge, etc. Also,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capacity of teaching English and skills in English differed, so the priority was to eliminate the preconceived ideas that the preliminary teachers had as there was no need to be afraid for English lesson guidance although they did not equip the excellent skills in English.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for the employed teachers after 2000 as an object of this research, they came to take charge of English lessons in the forefront of school regardless of intensive majors while students at their universities except for very few teachers. Also, they came to take charge of English lessons contrary to their own desires. In particular, there were not the least cases that the teachers took charge of English lessons in the first year when they were ordered to do teaching posts. Accordingly, to be teachers with the rough and tough attitude and confidence in front of the children as prepared teachers the preliminary teachers have to recognize the system in charge of English lesson and status of management in the front-line field of school and prepare for something more conscientiously. In addit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re were a lot of cases that English lesson guidance could be easy as they filed the skills in English lesson while they experienced English lesson more as well as the other courses of study. Therefore, the preliminary teachers have to discard the negative preconceived opinions like vague fear for English lesson guidance, and get themselves up for the guidance in the field while they have to prepare for the guidance of primary English lesson in more positive attitudes.

      • 초등교사의 교직선택 시기 및 동기와 조직헌신도의 관계

        최소영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교직선택 시기와 교직선택 동기를 알아보고, 교직선택 시기 및 동기와 조직헌신도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직선택 시기는 어떠한가? 둘째,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는 어떠한가? 셋째, 교사의 조직헌신도는 어떠한가? 넷째, 교사의 교직선택 시기 및 교직선택 동기에 따라 조직헌신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연구는 서울, 경기도, 인천 지역의 공립학교 초등교사 308명을 무선 표집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χ2(Chi-square),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와 단순 상관관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등교사의 교직선택 시기는 대체로 고등학생 때가 가장 많았고, 성별에 따라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초등학생 때 교직선택을 결정한 경우가 많았다. 이외에 경력, 교직선택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그리고 가족 내 교직 종사자의 유무별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초등교사의 교직선택 동기를 살펴보면 교직선택시 적성과 안정성을 고려한 수준이 높은 편이었고, 자아실현, 우발적 동기, 사회적 존경을 고려한 수준은 낮은 편이었다. 교직선택 시기가 이를수록 적성과 사회적 존경, 자아실현에 의한 교직선택 수준이 높았고, 우발적 동기에 의한 교직선택 수준은 여교사, 교직선택 시기가 늦을수록, 교직선택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가까운 친척 중 교직종사자가 있는 경우일 때 높게 나왔고, 안정성에 의한 교직선택 동기 수준은 여교사, 저경력 교사, 가족 내 교직종사자가 없는 경우일 때 높았다. 셋째, 교사의 조직헌신도 수준은 그다지 높지 않았고,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자발성, 가치수용, 충성심 순으로 자발성 영역이 가장 높았다. 교사의 개인 변인별 교사의 조직헌신도 수준은 경력이 많을수록 높았다. 하위 영역별 교사의 조직헌신도 수준을 보면 충성심, 자발성, 가치수용 영역 모두 그다지 높지 않았고, 경력이 많을수록 교사의 조직헌신도 각 하위영역 수준이 높게 나왔다. 넷째, 초등교사의 교직선택 시기와 조직헌신도의 관계는 교직선택 시기가 이를수록 조직헌신도 하위요인 중 자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충성심, 가치수용, 조직헌신도와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교직선택 동기와 교사의 조직헌신도의 관계에서는 적성과 사회적 존경, 자아실현을 위해 교직을 선택한 교사는 조직헌신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발적 동기에 의해 교직을 선택한 교사는 전체 조직헌신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하위영역인 자발성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초등교사의 교직선택 시기 및 동기는 교직입문 후 조직헌신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교사 개인마다 교직선택 시기 및 동기는 모두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초등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교 입학시 교사의 자질을 검증할 수 있는 적성검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선발기준에 있어 중요성을 더 크게 부여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교직선택 시기 및 동기를 지니고 교직에 입문한 교사들이 교직에 대해 열정과 신념을 갖고 교육활동에 임하며 학교교육의 목표달성을 위해 헌신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동기화 시킬 수 있는 내실 있고 효과가 큰 현직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현직 연수에 적극 활용하여 교사의 자질을 높인다면, 교육의 질은 한층 높아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school.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1. When di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cide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2. What was the major motivation for them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3. How high is their committment to their school?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school and the time for them to decide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ommittment to school and the motivation for the teaching profess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308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randomly sampl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for Windows in terms of Chi-Square, t-test, One-way ANOVA with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cided to enter the profession during their high school years or right after the graduation of high school. In terms of gender, female teachers tended to make up their mind to choose teaching profession earlier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o-economic status(SES) and the time for them to decide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The time for them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was not related with whether his or her parents teachers or not.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de a choice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consideration of the aptitude for teaching job and its safety. The earlier they made a decision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the more consideration of the aptitude for teaching, self-realization, and social respect for teachers. Female teachers, teachers from low SES, those whose parents were teachers tended to choose the teaching profession by contingent occasions comparing to their counterparts. Female teachers, those with little teaching experiences, and those whose parents were not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select the teaching profession in terms of the safety of teaching job than their counterparts. Third, the level of teachers' commitment to their school was found to be not so high. More specifically, spontaneity was most high and value acceptance and sincerity were following. The more experiences they have, the higher level of commitment to school they showed. Fourth, the earlier teacher decided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the higher level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of spontaneity factor was found. However, the time for them to decide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not related significantly. Teachers who chose the teaching profession in terms of the aptitude for teaching, self-realization tended to have high organizational commitment. Teachers who decided to enter the teaching job by contingent reason were likely to show low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in case of spontaneity. The tim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ecide to be teachers and the reasons to select the teaching profession were different teacher by teacher. The time to make a decision to be teacher was found to b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otivations for to be teacher, however,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us, it is recommended that when they get into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y need to be tested to have the aptitude for teaching.

      •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개인연수에 관한 연구

        백재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개인연수에 관한 인식 및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개인연수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개인연수에 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 교사의 개인연수 수행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유치원 교사의 개인연수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인가? 넷째, 유치원 교사의 개인연수 발전 방향은 무엇인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립유치원의 25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인이 직접 기입하도록 하는 자기기입법을 사용하여 최종 23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김경철(1997)과 고미라(2000)가 개인연수에 대한 실태 및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제작한 설문지로 본 연구자가 응용하여 재구성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s version 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 검증, One-Way ANOVA, Scheffe의 다중비교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76.7%)의 교사들이 개인연수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 연수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교육에 관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서'(77.6%)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교직경력에 따라 ‘교육에 관한 새로운 지식과 정보 습득을 위해' 개인연수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교직경력이 3~5년 또는 6~8년인 유치원 교사들에게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 ‘교육에 관찬 새로운 지식과 정보 습득을 위해' 개인연수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전문대졸과 대졸의 유치원 교사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교육전문지나 전공서적 탐독 활동(평균 2.80점)을 가장 많이 하고 있으며, 교육과 관련된 인터넷 활용(평균 2.74점), 대학원 과정 및 4년제 대학 수강 활동(평균 2.55점), 워크샵·세미나·학술발표회의 참석 활동(평균 2.55점), 수업활동의 녹음·녹화를 이용한 자기수업 분석 활동(평균 2.52점) 순으로 개인연수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에 따라 대학원 과정 및 4년제 대학 수강 활동(p<.01), 전문 교육연구기관의 방문 및 면담 활동(p<.05), 워크샵·세미나·학술발표회의 참석 활동(p<.05), 우수 유아교육기관의 견학 활동(p<.001) 둥의 개인연수는 교직경력이 9년 미만인 유치원 교사들이 9년 이상인 교사들보다 더욱 소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활용(p<.01)을 통한 개인연수는 교직경력이 5년 이하인 유치원 교사들이 6년 이상인 교사들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 교육전문지나 전공서적 탐독 활동(p<.001), 수업활동의 녹음·녹화를 이용한 자기수업 분석 활동(p<.001), 대학원 과정 및 4년제 대학수강 활동(p<.001),·전문·교육연구기관의 방문 및 면담 활동(p<.001), 워크샵·세미나·학술발표회의 참석 활동(p<.001), 방송매체 시청 활동(p<.001), 교육연구 팔동(p<.001), 학원수강을 통한 자기발전 도모 팔동(p<.001), 우수 유아교육기관의 견학 활동(p<.001) 등의 개인연수는 대학원졸의 유치원 교사들이 전문대졸과 대졸의 교사들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개인연수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과중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이나 건강문제(27.6%), 경제적 부담(23.7%), 연수기회의 부족(23.3%)을 지적하였다. 개인연수의 유형별로 교육전문지나 전공서적 탐독활동(77.1%), 수업활동의 녹음·녹화를 이용한 자기수업 분석 활동(61.2%), 전문 교육연구기관의 방문 및 면담 활동(45.8%), 방송매체 시청 활동(32.1%),교육연구 활동(49.1%), 학원수강 활동(58.9%), 교육과 관련된 인터넷 활용(41.4%)을 통한 개인연수가 소극적으로 수행되는 이유에 대해 대부분의 유치원 교사들이 수업 및 업무 부담으로 인한 시간 부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였으며, 대학원 과정 및 4년제 대학 수강 활동에 대해서는 교육기관의 원거리로 인해 통학의 어려움(22.2%)을, 워크샵·세미나·학술발표회의 참석 활동은 참여시간의 제한(40.9%)을, 우수 유아교육기관의 견학 활동(58.2%)은 견학기회의 제한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교직경력에 따라 대학원 과정 및 4년제 대학 수강 활동의 소극적 수행 이유가 ‘원장의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인식은 교직경력이 2하 이하인 유치원 교사들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 워크샵, 세미나, 학술발표회의 참석 활동의 소극적 수행 이유가 ’참여시간의 제한 때문'이라는 인식은 교직경력이 9년 이상인 유치원 교사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연구 활동의 소극적 수행 이유가 ‘수업 및 업무 부담으로 인한 시간 부족 때문'이라는 인식은 교직경력이 2년 이하, 6~8년, 9년 이상인 유치원 교사들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과 관련된 인터넷의 소극적 활용 이유가 '수업 및 업무 부담으로 인한 시간 부족 때문'이라는 인식은 교직경력이 2년 이하 또는 6~8년인 유치원 교사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 방송매체 시청 활동의 소극적 수행 이유가 '수업 및 업무 부담으로 인한 시간 부족 때문'이라는 인식은 전문대졸과 대학원졸의 유치원교사들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연수시 가장 큰 애로사항이 ‘과중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이나 건강문제'라는 인식은 전문대졸의 유치원 교사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사들은 워크샵, 세미나, 학술발표회의 참석활동(52.2%)을 가장 효과적인 개인연수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개인연수의 활성화를 위해 원운영자가 개인연수를 위한 수강 기회를 장려해야 한다(37.5%)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연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에 대해 유치원 교사들의 38.4%가 연수 참여기회와 시간의 다양성이 시급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상설 교원자료 센터의 설치시 거의 대부분의 교사들(82.3%)이 이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교사들은 개인연수의 결과가 교육현장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71.7%)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에 따라 상설 교원자료 센터를 ‘기회가 있으면 꼭 이용하겠다'는 의향은 교직경력이 2년 이하 또는 3~5년인 유치원 교사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 효과적인 개인연수 방법에 대해 ‘워크샵, 세미나, 학술발표회의 참석활동'이 가장 효과적인 개인연수 방법이라는 인식은 전문대졸과 대졸의 유치원 교사들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연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원운영자에게 요구되는 노력에 대해 '개인연수를 위한 수강 기회 장려'를 해야한다는 인식은 대학원졸의 유치원 교사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개인연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연수 참여기회와시간의 다양성'을 위해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는 인식은 전문대졸과 대졸의 유치원 교사들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유아교사관련 학위논문 경향분석 : 1974년∼1998년

        고선미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관련 논문을 연구문제별로 연구내용, 연구변인, 연구방법을 분석함으로서 현재까지 이루어진 유아교사에 관한 연구동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앞으로 유아교사관련 논문의 바람직한 연구방향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교사에 관한 학위논문의 연구내용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1-1. 연구문제별로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1-2. 연구내용은 시기상으로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2. 유아교사에 관한 학위논문에서 사용된 연구변인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2-1. 연구 문제별로 개인적 연구변인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2-2. 연구 문제별로 기관적 연구변인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3. 유아교사에 관한 학위논문의 연구방법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본 연구의 분석 대상논문은 1974년부터 1999년 2월까지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중 유아교사와 관련된 총 292개 논문의 연구문제 976개였다. 연구문제의 내용분류기준은 Yarger와 Smith(1990)의 기준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연구방법 분류기준은 Crowl(1993)의 기준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기준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내용에 따른 연구문제의 경향을 살펴보면 교사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의 행동이 연결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사의 행동에 대한 연구와 교사교육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며 교사교육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교육과정 및 교사의 행동이 모두 연결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단일체계범주의 연구보다는 연결체계의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졌으나 주로 교사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의 행동이 바로 연결된 연구가 많아 교사에게 나타난 행동을 교사 개인적인 자질이나 근무기관 특성의 책임으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 또한 교사의 행동을 연구하는 연구문제 중에서 교사의 행동을 교사에게 직접 알아보는 방법이 유아의 반응을 통해서 알아보는 방법보다 더 많았다. 연구문제의 시기별 경향은 각 시기별로 연구특징을 보이지 않고 교사의 일반적인 특징·인성·태도, 교사의 행동과 학생의 학습결과의 관련성, 교사의 신념 및 사고과정에 관한 연구가 시대별 구분 없이 거의 같은 비율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에 관한 학위논문에서 사용된 연구변인의 경향은 개인적 연구변인이 기관적 연구변인보다 조금 더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개인적 연구변인들의 내용 중에서는 경력, 학력, 연령, 결혼여부와 같은 인구 통계학 적인 외적 요인에 편중되어 있으며, 기관적 연구변인의 내용 중에서는 설립 유형(공/사립), 기관유형(유치원/유아원/어린이집/초등학교), 유아수, 학급수 등이 다른 기관적 연구변인에 비해 편중되어 있었다. 셋째, 국내 연구동향은 유아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인성·태도에 대한 연구, 교사의 행동적인 면에 관한 연구, 그리고 교사의 신념이나 사고과정과 같은 연구내용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유아교사 관련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방법에서는 양적연구에 편중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basis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trend in master thesi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and also to guide more availably for students who are going to prepare for the master - doctor thesi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research, the research variables, th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items are follows. 1. What is the major trend of research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1-1.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by research items? 1-2. What is the trend of the contents of research by the timing? 2.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variabl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2-1. What is the trend of the individual research variable? 2-2. What is the trend of the institutional research variable? 3.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method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Totally 292 master, doctor thesis and 976 research items among rel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which are published from 1945 to Feb 1999 are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Yarger and Smith (1990)'s theory, I classify the contents of research and in case of research method's standard, I use Crowl's(1993) theory. By the analysis standard, all data are processed with a frequency and a hundred percent.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t first, in the trend of research item by research contents, most research is about the connected one - antecedent conditions and outcomes, the research in outcomes and antecedent conditions-outcomes are also a lot. but only a few is about research in process. Research that is totally connected with antecedent, the process and outcomes is few. The quantity of research that is about connected system is more than that of simple system. Mainly the thesis is researched on the connection with antecedent condition and outcomes, so it seems easily to misunderstand that personal ability and institutional feature are responsible for teacher's behavior. In the research item of teacher's behavior, the method by asking directly to teacher is more used than the method through children's react. In the trend of period in research items, each period doesn't have any speciality in research and has almost the same research items - those are about teacher's general feature, character, attitude, behavior. belief, thinking process and the relation with the result of student's study. The second, personal research variables are more used than institutional research variables in the trend of research variables in the thesi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Among the contents of personal research variables, it is biased on the population - statistical outside elements such as business career, academic career, age, marriage and so on. Among the contents of institutional research variables, it is biased on the kinds of establishments (public / private), the kinds of institution (kindergarten/ nursery/ day care center/ elementary school), the number of children, the number of class and so on. The third, in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there are various of things about research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general feature, character and attitude, on teacher's behavior and on teacher's belief and thinking process, but still most research method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are quantitative one. It means our research method is not properly used in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contents.

      •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이 실제학습시간에 미치는 영향

        하치균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체육교수 효과에 관한 연구 즉, 교사행동과 학습자의 학습성취, 교사-학습자 상호작용, 특히 학습자가 체육수업시에 학습과제에 실질적으로 참여하여 소비하는 시간에 대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이 우리나라 학교체육의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체육수업의 실제현장에서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을 파악하고자,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행동을 실제학습시간과 관련지어 체육수업을 면밀히 관찰, 분석하여 그 효용성을 검정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원지역 교사 10명과 피험교사가 지도하는 학급 학생 중 1명을 대상으로, 교수행동분석은 체육교수행동 관찰기록지를 사용하였고 학습행동은 실제학습시간 관찰기록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V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자료분석 결과를 기초로 얻어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은 강의·안내(18.11%), 수업운영(17.44%), 감독(15.72%), 교정적피드백(7.78%), 교사시범(7.11%), 정적기술피드백(5.06%), 부적기술피드백(4.78%) 등의 순으로 수업시간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교사들의 안내·강의, 수업운영, 감독 등의 교수행동변인에서 수업의 51.27%를 할애한 것은 학생들에게 부적절한 발문, 다양한 보조자료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도계획의 구조화와 체계적인 시간운영이 미숙하며, 긍정적이고 과제집중적인 학습활동을 제공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학생의 학습행동은 지식(28%), 운동수행(26.17%), 대기(21.28%), 이동(13.61%), 운영(9.11%), 비과제행동(1.8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생들의 실제학습시간이 낮은 결과는 교수행동인 강의·안내와 감독, 수업운영에 많은 시간(51.39%)을 할애함으로써 체육실제학습시간에 결정적인 변인인 학생의 합류와 교정적기술피드백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셋째, 체육교사의 교수행동과 학습자의 체육실제학습시간과의 관계에서는 독려, 정적기술피드백, 교정적기술피드백, 학생과 합류 변인에서는 정적상관으로 나타났고, 강의·안내, 질문, 태만, 대답 변인은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학습과제와 관계없는 활동인 소극적인 감독과 일상적인 학습자 활동(효율적인 출석점검, 기구 및 자료의 신속한 이동배치와 정리, 간단하고 명확한 지시, 주의집중 신호의 개발)을 확립하지 못하여 학급조직 등의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외국에 비하여 교사 대 학생의 비율이 높음으로 인하여 통제하기 힘든 운동장 수업에서 교사의 의사전달과 감독의 범위가 넓어 학습활동을 하기 힘든 점과 현실적 악조건인 교구 및 시설의 부족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장소 이동과 학습활동의 기회를 기다리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대기시간이 길어짐으로써 수업의 흐름을 유지하지 못하여 질적인 면에서 밀도가 낮은 체육수업을 운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체육실제학습시간을 증가시키고 학습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교수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체육교수기술의 개발과 감독, 수업운영, 강의·안내 부적행동피드백의 시간을 최소화하여 그 시간을 독려, 교정적기술피드백, 정적기술피드백, 학생과 합류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간으로 전환하여 운동수행시간을 높임으로써 체육실제학습시간을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In our country, little research has been made on the instruction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including a teacher's activities,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teacher-learner interaction, and students' participation and time consumption in an actual class of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on activities by analyzing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testifying the instruction's efficiency. For this objective, 10 teachers and 10 students in Changwon took part in the record analysis of instruction activities and practical learning tim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SPSS/PC+ V11.0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A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on activities were in the order of teaching & guiding(18.11%), class management(17.44%), supervision(15.72%), corrective feedback(7.78%), demonstration(7.11%), positive technical feedback (5.06%), and negative technical feedback(4.78%). More than a half(that is, 51.27%) in the first three parts means no diverse use of supplementary materials, unsystematic use of time operation, and no provision of task-oriented learning. 2.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ppeared in the order of knowledge(28%), athletic performance(26.17%), waiting(21.28%), movement(13.61%), operation (9,11%), and non-task activities(1.83%). The low amounts of actual learning time brought about a relative decrease of students' joining and corrective feedback. 3.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 teacher's instruction activities and learners' academic learning time,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in encouragement, positive technical feedback, corrective feedback, and students' joining. However, negative correlation turned up in teaching & guiding, asking, being idle, and answering. In conclusion, systematic and organic instruction activities were missing because of passive supervision and routine learner activities. That's why we need efficient roll call, quick movement and cleanup, simple and clear directions, and so forth. Among other negative variables are the higher teacher-student ratio compared with some advanced countries, tough instruction conditions in the playground, insufficient teaching aids and facilities, and the longer waiting time. For the increase of students' academic learning time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learning achievement, we may have to develop instruction techniques. In addition, the time for class operation, supervision, instruction & guide, and negative activity feedback should be minimized for the time for encouragement, corrective feedback, positive feedback, and joining with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