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웨이트 트레이닝과 디트레이닝이 성장관련인자, 염증지표 및 골 마커에 미치는 영향

        박규민 강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97

        Abstract Effect of Detraining after Resistance Training on Growth Related Factors, Inflammatory Markers, and Bone Markers. Park Kyu-Min Sports Science Depart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is research reports on the influence of 12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followed by six weeks of detraining performed on able-bodied male college students. Its scope includes the effects on body compositions, body circumferences, basal physical fitness, 1RM, subcutaneous fat, growth related factors (growth hormone, insulin-like growth factors-1, testosterone), inflammatory factors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α, C-reactive protein), and bone markers (Osteocalcin, Alkaline phosphatase) occurring before, after six weeks, 12 weeks, and 18 weeks from the outset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also shows the disparity of the maintenance period for six weeks of detraining and resistance training. Twenty-two participants were selected among male students in K University with participation consent. Twelve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was conducted at first, and the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resistance training group and the detraining group with random assignment. The exercise intensity of the research was adjusted every four weeks. The first level of the exercise intensity was 70%, second level was 80%, and third level was 90%, and after these, the fourth level of exercise intensity for the resistance training group was 80%, and exercise was terminated for the detraining group. Measurements and blood samples were taken before, six weeks after, twelve weeks after, and eighteen weeks after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SPSS Version 18.0 was used to compute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surement items average for data processing. To analyze the interactions among group times, a Two-way Repeated ANOVA was used, and when a significance between the times appeared, LSD was conducted for a posteriori test.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results was set as α=.05. 1. In the body composition variable, body fat percentages tended to decrease, and the amount of body fat tended to increas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lso, no change was shown during the six weeks of the detraining period. 2. In the body circumference variable, no change of chest, upper arm, abdomen, buttocks, and thigh was detected. 3. In the basal physical fitness variable during all periods, both the resistance training and detraining group showed positive changes in back strength, sit-ups, instant response, and anaerobic power per body weight. The increased basal physical fitness during the six weeks of detraining did not decrease. 4. In the 1RM variable, the results of the squat and dead lift variable in the six week period , twelve weeks, and eighteen weeks showed an increase compared to the pre-test results. And the bench press variable showed an increase in the 12 and 18 week period compared to the pre-test. The increased 1RM during the six weeks of detraining did not decrease. 5. In the subcutaneous fat variable, after the training, subcutaneous fat decreased in triceps and thigh. Subcutaneous fat did not increase during the six weeks of detraining. 6. In growth related factors,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s from the resistance training group increased after the training. A similar tendency was shown in the detraining group as well. The increased factors did not decrease during the six weeks of detraining. 7. In inflammatory factors,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variable showed a decrease after the 12 week training. No increase was detected during the six week detraining period. 8. In the bone marker variable, Alkaline phosphatase showed an increase after the training compared to the pre-test results. No decrease was shown during the six weeks of training. Consequently, 12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showed a positive effect on basal physical fitness, 1RM, subcutaneous fat, growth related factors, inflammatory factors, and bone density. Resistance training was especially effective on subcutaneous fat, growth related factors, and inflammatory factors after 12 weeks of training. Also, even after termination of the 12 week exercise, the effect of the training continued to appear. Therefore, when conducting resistance training on 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in the climax of their physical development period, it will take over 12 weeks to bring a change to growth related factors, inflammatory factors, and bone markers. The maintenance period of the effect from detraining after 12weeks of resistance training can be assumed to last over six weeks. 웨이트 트레이닝과 디트레이닝이 성장관련인자, 염증지표 및 골 마커에 미치는 영향 박 규 민 강원대학교대학원 스포츠과학과 본 연구는 신체 건강한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 웨이트 트레이닝 이후 6주간의 디트레이닝을 시킨 후 사전, 6주후, 12주후 나타나는 신체구성, 신체둘레, 기초체력, 1RM, 피하지방, 성장관련인자(성장호르몬, 인슐린유사성장인자-1, 테스토스테론), 염증지표(인터루킨-6, 종양괴사인자-α, C-반응성 단백질), 골 마커(오스테오칼신, 알카라인포스파타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6주간의 디트레이닝 및 웨이트 트레이닝 유지기간에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K대학교 남자 대학생 중 22명을 선정 후 참가동의서를 받고 실시하였다. 12주간 웨이트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무선배정에 의해 지속 트레이닝 집단과 디트레이닝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운동 강도는 4주마다 재 처방되었으며 1단계; 70%, 2단계; 80% 3단계; 90%로 설정하여 12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이후 4단계는 웨이트 트레이닝 지속집단; 80%, 디트레이닝 집단; 운동중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 및 채혈은 사전, 6주후, 12주후, 18주후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Ver/18.0을 이용하여 측정항목별 평균(M)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집단 내 시기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시기 간 유의성이 나타날 경우 LSD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디트레이닝 기간 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wo-way repeated ANOVA를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의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1. 신체구성의 변인은 체지방률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제지방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6주간의 디트레이닝 기간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신체둘레의 변인은 가슴, 상완, 복부, 엉덩이, 대퇴에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6주간의 디트레이닝 기간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3. 기초체력 변인은 배근력, 윗몸일으키기, 순간반응, 체중당 무산소성 최대파워에서 모두 시기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 6주의 디트레이닝 기간에 윗몸일으키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4. 1RM의 변인은 스쿼트, 데드리프트, 벤치프레스에서 사전에 비해 6주와 12주에 증가를 보였으며, 6주의 디트레이닝 기간 스쿼트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5. 피하지방의 변인은 삼두에서 트레이닝 12주 후 피하지방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주의 디트레이닝 기간 대퇴의 시기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6. 성장관련인자의 변인은 인슐린유사성장인자-1과 테스토스테론에서 트레이닝 이후 감소되었으며 6주의 디트레이닝 기간 테스토스테론의 시기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7. 염증지표의 변인은 종양괴사인자-α에서 트레이닝 12주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주의 디트레이닝 기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8. 골 마커의 변인은 오스테오칼신과 알카라인포스파타제에서 사전에 비해 트레이닝 이후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주의 디트레이닝 기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12주간의 웨이트 트레이닝은 기초체력, 1RM, 피하지방성장관련인자, 염증지표와 골밀도에 긍정적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피하지방과 성장관련인자, 염증지표의 경우 12주 이후의 트레이닝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주 이후에 운동을 중단하더라도 운동의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의 발달 고조기에 있는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웨이트 트레이닝을 실시할 경우 성장관련인자, 염증지표, 골 마커의 변화를 가지고 오는 데 12주 이상의 기간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며, 12주간의 웨이트 트레이닝 이후 디트레이닝 기간의 효과유지는 6주 이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디트레이닝 기간 윗몸일으키기와 스쿼트 항목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효과적인 트레이닝을 위해 적절한 트레이닝 중지기간 이후 재트레이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태권도 수련 정도에 따른 남자 중학생의 기초체력, 등속성 근기능, 혈중 지질과 성장관련인자에 대한 비교

        김기조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47

        이 연구는 현재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련수준별 기초체력, 등속성 근기능, 혈중 지질 성분 및 성장관련 인자들을 비교함으로서 중학생들의 지속적인 태권도 수련이 성장 및 발육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태권도 수련 수준은 현재 태권도 선수로 활동하는 집단(7명)과 체육관 수련생 집단(7명) 및 비수련생 집단(8명)으로 구분하여 총 22명의 연구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측정변인들은 기초 체력(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등속성 근기능(각속도 60°/sec의 슬관절 신근력과 굴근력), 혈중지질성분(TC, LDL-C, HDL-C) 및 성장관련인자(GH, IGF-1, 칼시토닌) 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측정변인들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이용하였으며, 사후검증은 Bonferroni 방법으로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초체력에서는 좌․우 악력 및 윗몸일으키기에서는 태권도 선수와 체육관 수련생 그룹이 비 수련생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p<.05), 배근력 및 서전트 점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등속성 근기능에서는 좌측. 우측 슬관절 등속성 중 좌측 슬관절 최대근력 신근에서 그룹 간 태권도 선수와 체육관 수련생 그룹이 비 수련생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5). 체중 당 신근력에서에서는 체육관 수련생 그룹이 비 수련생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p<.05), 우측 슬관절 등속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혈중지질성분에서는 TC는 태권도 선수와 도장 수련생 그룹이 비 수련생그룹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5). LDL-C는 태권도 선수 그룹이 체육관 수련생과 비 수련생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HDL-C는 태권도 선수와 체육관 수련생 그룹이 비 수련생 그룹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넷째, 성장 관련인자에서는 GH과 IGF-1 모두 태권도 선수와 체육관 수련생 집단이 비수련생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5), 칼시토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장기간 규칙적인 태권도 수련은 청소년기의 남자 중학생들의 기초체력 및 혈중지질 성분과 성장 관련인자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며, 성장 및 발육 발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주암 코호트에서 초기 6년간 건강관련인자와 사망의 관련성

        김상용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34

        목적:이 연구는 주암 코호트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농촌 주민에서 건강관련인자와 사망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1995년도에 구축된 주암 코호트 중에서 통계청 사망자료를 이용하여 사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던 남자 1,447명, 여자 1,889명, 총 3,36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1995년4월 15일부터 2001년 1월 1일까지 약 68.5개월이었고 이 기간 중 총 289명의 사망을 확인하였다. 생존분석에는 Cox의 비례위험회귀모형을 이용하였다. 결과:단변량분석에서 유의했던 건강관련인자는 연령, 의료보험종류(사회경제적 상태), 음주, 흡연, 비만도이었다. 생존분석 결과, 연령의 사망위험비는 남자에서 1.07(95% 신뢰구간:1.04-1.09), 여자에서 1.10(95% 신뢰구간:1.07-1.12)으로 유의하였다. 의료급여의사망위험비는 여자에서 1.53(95% 신뢰구간:1.05-2.23)으로 건강보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음주와 흡연의 사망위험비는 여자에서 각각 1.74(95% 신뢰구간:1.01-3.03), 1.57(95% 신뢰구간:1.04-2.35)로 유의하였다. 저체중의 사망위험비는 남자에서 1.69(95% 신뢰구간:1.10-2.60)로 유의하였다. 65세 이상의 남자인구에서 저체중, 과체중, 비만의 사망위험비는 각각 1.71(95% 신뢰구간:1.03-2.84), 0.73(95% 신뢰구간:0.36-1.52), 1.64(95% 신뢰구간:0.87-3.10)로 나타나 체질량지수와 사망의 U자형 관련성이 일부 관찰되었다. 여자에서 비만도의 사망위험비는 체질량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역으로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사망위험을 높이는 건강관련인자는 남자에서는 연령, 저체중, 여자에서는 연령,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 음주, 흡연으로 관찰되었다. 건강관련인자와 사망의 장기간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향후에 더 많은 추적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related factors and mortality in Juam cohort. Materials and Methods:Juam cohort, previously constructed in 1995, had been followed up for 68.5 months to 1 January 2001. A total of 1,447 males and 1,889 females were confirmed with the mortality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 total of 289 persons among them died during the follow up period. The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was used for survival analysis. Results:In univariate analysis, significant risk factors were as follows;age, type of health insurance(socioeconomic state), alcohol drinking, smoking, and body mass index. In Cox's regression model, the hazard ratio of age was 1.07(95% CI:1.04-1.09) in male, 1.10(95% CI:1.07-1.12) in female. Compared with health insurance, medical aid had higher risk of mortality in female(HR 1.53, 95% CI 1.05-2.23). The hazard ratios for current alcohol drinking and current smoking were respectively 1.74(95% CI:1.01-3.03), 1.57(95% CI:1.04-2.35) in female, but not significant in male. Underweight had higher risk of mortality than normoweight in male(HR 1.69, 95% CI 1.10-2.60). The hazard ratios for underweight, overweitght, and obesity were respectively 1.71(95% CI:1.03-2.84), 0.73(95% CI:0.36-1.52), 1.64(95% CI:0.87-3.10), that supported the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mortality among the older males. In female, the hazard ratio of body mass index decreased linearly with greater body mass index, but not significant. Conclusions:The health related factors increasing mortality risk were age, underweight in male, age, lower socioeconomic state, current alcohol drinking, current smoking in female. To evaluate long-term association between health related factors and mortality, further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 인체 모낭배양에서 모낭성장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에 대한 substance P의 영향

        오탁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32

        모낭은 피부 내 구조물 중에서 신경섬유의 밀도가 가장 높게 분포되어 있는 기관이며, 이러한 신경섬유로부터 유리되는 신경펩타이드는 모발성장과 모발주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모발성장과 주기에 있어 다양한 성장인자와 세포고사 관련 분자들의 발현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모낭에 대한 신경펩타이드의 영향과 다양한 성장인자들의 발현에 대한 상관관계를 모낭과 모낭을 구성하는 세포수준에서 분석하는 일이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인체 모낭기관배양을 이용하여substance P(SP)가 인체 모발의 길이성장에 미치는 영향 및 인체 모낭기관배양과 모유두세포 배양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신경펩타이드인 SP를 처리한 후 분자적 수준에서 모낭성장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에 대한 SP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안드로겐 호르몬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정상 성인의 후두부 두피조직에서 생장기 모낭과 모유두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대조군(SP를 첨가하지 않고 기본배지에 배양), SP군(기본배지에 10-6M SP를 첨가)으로 분류하여 입체현미경으로 각각 모낭의 배양소견과 길이성장을 측정하였다. 또한 SP를 처리한 후, 모낭의 길이성장과 모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중 모발성장 촉진인자인 fibroblast growth factor(FGF)-7, insulin-like growth factor(IGF)-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및 모발성장 억제인자인 interleukin(IL)-1α, IL-1β의 발현과 세포고사 관련 분자인 p53, caspase-3의 발현 변화를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SP는 모발의 길이성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나 대조군 보다 더 오랫동안 성장하게 함으로써 생장기의 기간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었다.2. Reverse transcription -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시행한결과, 인체 모낭에서SP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FGF-7의 발현은 증가되었고, caspase-3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또한 모유두 세포에서 SP를 처리했을 때 뚜렷한 형태학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모발 성장인자나 세포고사 관련 분자의 발현은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모발 성장을 저해하는 인자인 IL-1β의 발현은 대조군 보다 감소되었다.이상의 결과로 인체모낭과 모유두세포에 SP를 처리하게 되면 모발의 길이 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생장기 기간의 연장과 함께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P에 의한 모발의 성장 촉진 효과를 분자적 수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Among constituents of the skin, the hair follicle is the organ in which nerve fibers are distributed with the highest density.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neuropeptides, which are secreted by nerve fibers, have important roles in hair growth and hair cycle change. Also, in the hair growth and hair cycle change, the expression of various growth factors and apoptosis-related molecules are importa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es by neuropeptides and expression of various molecular factors at the level of hair follicles and hair follicle ce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ubstance P on hair growth in human hair follicle organ culture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es by neuropeptides and expression of various hair growth-related factors at the molecular level of hair follicles after pretreatment with SP used by hair follicle organ culture and dermal papilla cell culture.Normal human scalp samples were obtained from occipital scalp not affected by androgen, and anagen hair follicles and dermal papilla cells were isolated and cultured. We divided the culture plates into two groups, i.e. control group(DMEM only), SP group(10-6M SP dissolved in DMEM).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linear hair growth and hair follicle morphology with light microscopy. Also, after pretreatment with SP of cultured hair follicles and dermal papilla cells, we examined the change of expression of hair growth factors(FGF-7, IGF-1, VEGF) and hair growth-inhibitory factors(IL-1α, IL-1β) and apoptosis-related molecules (p53, caspase-3).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1. SP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linear hair growth in cultured hair follicles. However, it prolonged the anagen stage of the hair cycle.2. By RT-PCR, in hair follicles, the expression of FGF-7 is increased over the controls, while the expression of caspase-3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s. Also, in the dermal papilla cells no morphological changes were found after pretreatment with SP, and there was no change in expression of hair growth factors and apoptosis-related molecules. However the expression of IL-1β, a hair growth-inhibitory factor,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s.These results showed that SP has growth-stimulatory effect and especially prolongs the duration of the anagen phase without affecting linear hair growth after pretreatment with SP of cultured hair follicles and dermal papilla cells. Also we found that SP shows hair growth-stimulatory effect at the molecular level.

      • 물리적인 자극과 신경전달물질이 뼈 재형성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 물리적인 자극과 신경전달물질의 관계

        곽지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5

        인체에서 뼈는 재형성(remodeling)을 통해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는 매우 민감한 영역으로, 뼈 대사(metabolism)를 조절하는 다양한 뼈 조절자(bone regulation)의 연구에 많이 집중되고 있다. 물리적 자극은 뼈 생성과 뼈 흡수 과정을 조절하여 생체 내에 뼈 기능을 유지시키는 뼈 조절자이다. 물리적 압축력이 뼈 조직에 가해졌을 때,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켜 유체의 흐름을 일어나게 함으로써 세포에 유체전단응력을 주게 되며, 이로 인하여 세포 안의 미세환경을 조절하여 뼈 재형성 관련 기능 유전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뼈 조직 내에 존재하는 신경조직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s)이 뼈 재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조골세포에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및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의 receptor가 발견되었으며, 뼈 재형성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체 내 물리적 압축력을 뼈 조직에 가하였을 때 신경전달물질의 발현과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물리적인 자극과 신경전달물질이 직접적으로 뼈 재형성 인자를 조절하는 지 확인하고자 유체전단응력과 신경전달물질을 조골세포에 함께 가하여 뼈 재형성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생체 내 및 생체 외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1) 생체 내 물리적 자극을 쥐의 오른쪽 ulna 부위에 가하였을 때, 신경전달물질의 발현 여부를 물리적 자극이 가해지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확인하였으며, (2) 생체 외 유체전단응력과 신경전달물질을 조골세포에 가하였을 때, 뼈 재형성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생체 내 실험에서는 물리적인 자극을 가했을 때 신경전달물질의 발현이 빈번하게 일어남을 물리적인 자극이 가해지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확인되었으며, 이는 물리적인 자극의 신호가 신경전달물질인 화학적인 신호를 자극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생체 외 실험에서는 신경전달물질이 물리적인 자극과 유사하게 뼈 흡수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의 억제를 나타내었다. 다시 말하면, 물리적인 자극과 신경전달물질이 뼈 흡수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의 억제를 나타내어 뼈 흡수 활성을 감소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Bullying Behaviors in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 한국 초등학생에서의 집단 괴롭힘의 유병률과 관련 인자

        Yang, Su-Jin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48714

        Objectives: Bullying is described as an aggressive behavior characterized by repetition and imbalance of power. School bullying emerges as an international issue, but is faced with difficulties in finding terms in different languages to correspond to English word bullying in Western setting. School bullying is related to various emotional, academic, behavioral and social problems both in bullies and victim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school bullying in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Methods: In a cross-sectional study, 1,344 elementary school children 4th grades filled out a questionnaire on bullying behavior,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depression, anxiety, body esteem & body image, coping strategies, self-esteem and the Strength-Difficulties Questionnaire self-report (SDQ-SR). Par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demographic data,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and the Korean version of Strength-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Kr).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Prevalence of bullies, victims, and bully/victims were 12.0%, 5.3%, 7.2%, respectively. Multivaraite analysis indicated that bullying was associated with gender, child’s height, child depression, child trait anxiety, child self-esteem, total difficulties of SDQ-SR. In boys,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observed between bullying and lower academic achievement and more depressed state. In girls,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observed between bullying and more depressed state, higher trait anxiety level, more emotional symptoms and total difficulties of SDQ-SR. Multivarate analysis indicated that victimized boys were associated with more depressed state, poorer body satisfaction, lower self-esteem, and total difficulties of SDQ-SR. Victimized girls were associated with more depressed state, higher trait anxiety level, and total difficulties of SDQ-SR.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in victimized boys and hyperactivity of SDQ-Kr. Conclusions: School bullying is common in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ose who had experienced school bullying, either as bullies or as victims, have considerable similarities in the emotional, academic, behavioral and social problems across South Korean and Western cultural contexts. 목적 : 집단 괴롭힘은 반복적이며 힘의 불균형을 특징으로 하는 공격적인 행동으로 묘사된다. 학교의 집단 괴롭힘은 전세계적인 문제가 되었으나 국가마다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 서구에서 쓰이는 ‘bullying’에 적합한 용어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학교의 집단 괴롭힘은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의 다양한 정서적, 학업적, 행동적, 사회적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초등학생에서의 집단 괴롭힘의 유병률과 관련 인자를 찾고자 함이다. 방법 : 1344명의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횡단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학생들은 집단 괴롭힘, 사회인구학적 정보, 우울, 불안, 신체상, 대처방식, 자아 존중감, 자기보고 장점난점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부모들은 인구학적 특성, 일반건강 설문지, 아동의 장점난점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결과 : 가해자, 피해자, 가해/피해자의 유병률은 각각 12.0%, 5.3%, 7.2% 이었다. 가해행동은 성별, 아동의 신장, 아동 우울, 아동 특성 불안, 아동 자아 존중감, 총 문제 행동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남아에서는 가해행동과 낮은 학업 성취, 우울감등과 관련이 있었으며, 여아에서는 가해행동과 우울감, 높은 특성 불안, 정서 증상, 총 문제행동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남아에서는 피해 행동과 우울감, 낮은 신체 만족도, 낮은 자존감, 총 문제 행동과 관련이 있었으며, 여아에서는 피해 행동과 우울감, 높은 특성 불안, 총 문제 행동과 관련이 있었다. 부모 보고 중 산만 행동이 남아의 피해 행동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 학교 집단 괴롭힘은 한국 초등학교 학생에게 흔하게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가해 행동과 피해 행동은 아동의 성별, 신장, 낮은 학업 성취, 아동 우울, 아동 특성 불안, 낮은 신체 만족도, 낮은 자존감, 총 문제 행동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집단 괴롭힘을 경험하는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에서 정서적, 학업적, 행동적, 사회적 문제들이 한국과 서구 문화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대사증후군과 염증관련인자로서 C-반응단백의 역할

        박전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2

        연구배경: 최근 한국의 급속한 사회경제적 발전으로 대사증후군 유병율의 증가와 이에 대한 보건사회학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s-CRP와 대사증후군의 여러 인자들을 요인분석을 하여, 대사증후군에서 염증관련인자로서 hs-CRP 역할을 밝혀, 대사증후군의 복잡한 질병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4년 5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중 20세 이상 성인 5689명(남자 2875명, 여자 28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가된 연구대상은 신체계측과 혈액검사를 시행하였고, 아시아-태평양 보고서 기준을 적용하여 대사증후군 집단을 추려내어, 이들에서 대사증후군의 변수들의 상관관계와 hs-CRP를 포함한 변수들의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중 대사증후군은 총 533명(남 247명, 여 286명)으로 유병률은 11.60%(남자 10.76%, 여자 12.45%)이었다. 남성에서 여성보다 대사증후군에 관련된 여러 심혈관계 인자들이 다소 나쁜 쪽으로 나타났으며(중성지방, HDL-C, 공복혈당, 공복 인슐린, 인슐린저항성,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 LDL-C의 경우 여성에서 남성보다 상이하게 높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상 여성에서 hs-CRP는 인슐린저항성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변수들과도 유의할만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남녀 모두에서 총 5가지 요인(혈압요인, 비만요인, 이상지질혈증요인, 인슐린저항성요인, 염증관련요인)이 얻어졌으며, 이들은 남녀 모두에서 인슐린저항성요인을 중심으로 다른 4가지 요인들이 유기적으로 군집을 이루었으며, 남녀 모두에서 혈압요인은 다른 요인과 독립적으로 형성되었다. 결론: 대사증후군에서 염증관련인자가 기존의 여러 인자들과 함께 중요한 축을 이루는 것으로 보여 지고, 고혈압요인이 독립적으로 구분되어 대사증후군의 인종적 특이성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s the rapid growth of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become the important medical and social issue in the Korean socie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role of hs-CRP as a inflammation-related factor in metabolic syndrome by factor analysis. Methods: A cross 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in 2875 men and 2814 women(over 20 years) who had an examination at a center for health promotion of a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1, 2004 through March. 31, 2005. Anthropometric and blood test were done and the Asian-Pacific adjusted criteria was used to obtain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hs-CRP variables and used factor analysis. Result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11.60%(men 10.76%, women 12.45%). Men had less favorable results than women in the most of baseline characteristics. In age-adjusted correlation analysis, we found that hs-CRP was highly statistically correlated and the most other variables was correlated with it in women. In factor analysis, total 5 factors were obtained from 11 variables in both sex. And those factors were clustered each other and the insulin resistance factor was located centrally. The blood pressure factors were separated alone in both sex. Conclusions: The inflammation-related factor may have the another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metabolic syndrome. The isolated blood pressure factor shows the ethnic difference in metabolic syndrome.

      • 서울시 여학생의 초경관련인자에 관한 단면연구

        오창모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85

        국 문 요 약 목적: 초경의 시작 시기가 유전 및 체지방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졌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초경의 시작 시기에 관련된 인자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한 결과는 드물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일부 한국 사춘기 여학생들의 초경의 시작시기와 관련된 인자를 찾는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초경 가능 연령대인 만 7세부터 13세까지 즉 초등학교 1학년생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의 여아 2,19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동의를 얻은 서울 내 9개 학교를 선정하여 전 학년 학생들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나누어주었다. 설문지에 응답한 학생 중에, 동의서에 동의한 학생들 만 10세부터 12세까지를 분석대상으로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의 만 나이와 출생체중, 일주일간 평균 수면 시간과 일주일간 중등도 이상 활동을 한 날짜, 부모님의 월평균 수입 및 어머니의 초경 시작나이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하여, 체질량지수를 구하였다. 초경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기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여 다중 로지스틱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만 나이를 보정한 결과, 체질량지수가 클수록 초경을 경험할 오즈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OR=1.29 95% CI: 1.20-1.39), 평균 수면시간이 길수록 초경을 경험할 오즈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for trend). 어머니의 초경 나이가 클수록 자녀가 초경을 경험할 오즈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for trend). 그 밖에 부모님의 월평균 수입과 자녀의 출생체중과 선호하는 식사의 종류 및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여부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무작위선택을 통한 표본추출이 아니기 때문에 비록 우리나라 전체자료를 대표할 수 없지만, 우리나라 여학생의 초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여러 가지 변수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체질량지수 및 어머니의 초경 나이가 우리나라 여학생의 초경 시작시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다만, 출생체중 및 식습관과 신체활동이 유의하지 않게 나온 점에 대해서는 추가로 무작위추출을 통한 코호트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Cross-sectional study of factors associated with menarche of adolescent girls in Seoul Directed by professor, Joong-Myung Choi Graduate student, Chang-mo Oh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timing of menarche of adolescent girls in Seoul. Methods: Cross-sectional study of 938 adolescent girls aged 10 to 12 years in Seoul, who provided informed consent, were selected. We measured their body composition, and used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or data collection from November 2008 to July 2009. Results: Body fat percen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were higher in menarcheal girls than with same age of non-menarcheal girls (p<0.05). In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ge of adolescent girls, maternal menarcheal age, body mass index and average sleep time remained associated factors with age at menarche of girls. And age of adolescent girls, maternal menarcheal age and average sleep time showed a significant linear trend (p<0.05). Conclusions: Age of adolescent girls, maternal menarcheal age, body mass index and average sleep time were associated with age of menarche of girls. Although this study does not represent all Korean adolescent girls, this study is one of the few studies that have investigated the impact and trend of associated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age at menarche of adolescent girls in Seoul.

      • 여성노인의 규칙적인 수중운동이 신체구성, 대사호르몬 및 면역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강영훈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8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rovement and betterment process of the body composition, metabolic hormones, immune related factors in the obese elderly women after they had undergone the aquatic exercise regularly. They exercise program used consisted of each 60 minutes aquatic exercise program, and was conducted for 12 weeks; in the pre-/post training of aquatic exercise program, body composition, metabolic hormones, immune related factors of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The subjects were 37 obese elderly women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among them the group was divided into the exercise participant group who could participate in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for more than 60 minutes a day, three times per week. All the measurements have been processed by the SPSS (ver. 18.0) program to derive the mean by the group and period, and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by the group and period has been performed to analyz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test items. In case an interaction occurs among the main effects, the independent t-test by the period between the group and the paired t-test by the group between the periods have been performed,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α=.05.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body composition, the body weight and BMI test h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group and by the period. In the aquatic exercise group, the %body fat and waist has show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re-/post-training respectively. Second, in the metabolic hormones, the insulin and HOMA-IR test h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group and by the period. The body T4 test has shown main effect by the group and by the period. Third, in the immune related factors, CD3 test h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group and by the period. In conclusion,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was indica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body composition, metabolic hormones, immune related factors of obese elderly women. Therefore, the aquatic exercise could be effective for elderly women by not only lengthening one's life with health but also promoting the quality of life for one's old age; better quality-wise exercise program of the aquatic exercise should continue to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