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체중 직장암 환자의 복강경 수술 회복성과

        우상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전통적 개복수술 보다 복강경 수술을 선호하는 과체중 직장암 환자를 위한 수술방법 선택의 의사결정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004년 9월부터 2007년 3월까지 화순군 소재 C대학교 H병원에서 복강경 수술(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을 받은 76명(과체중군: 27명, 정상체중군: 49명)의 환자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수술 및 수술 후 회복관련성과 지표를 비교하였다. 수술관련 성과지표는 수술 소요시간, 수술 중 출혈량이었으며 수술 후 회복관련 성과지표는 회복실 체류시간, 장운동 회복 시기, 수술 후 입원기간, 합병증 발생률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12.0을 이용하였으며 동질성 검증은 빈도, 백분율, test를, 성과지표 비교는 test, t-test,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정상체중군의 경우 42.9%가 여성이었고, 50-60대의 연령 군은 52.1%이었고 과체중군의 경우 63.0%가 여성이었으며 50-60대가 85.1%였다. 질병관련 특성에 있어서는 과체중군의 경우 59.2%가 3기 직장암이었으며 63.0%가 고혈압이나 당뇨 등 기저질환을 갖고 있었고 정상체중군의 경우 대상자의 57.2%가 3기 직장암이었으며 34.7%가 고혈압이나 당뇨 등 기저질환을 갖고 있어 기저질환에서는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나머지 일반적 ● 질병관련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수술관련 성과지표를 비교해 본 결과 수술소요시간(정상체중군: 303.4±50.3분, 과체중군: 314.3±65.6분, t=-0.81, P=0.421)과 수술 중 출혈량(정상체중군: 373.5±275.0ml, 과체중군: 385.2±214.3ml, t=-0.19, P=0.849)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수술 후 회복관련 성과지표인 회복실 체류시간(정상체중군: 66.0±20.8분, 과체중군: 73.5±30.0분, t=-1.17, P=0.248), 장운동 회복시기(정상체중군: 4.6±2.1일, 과체중군: 5.0±2.0일, t=-0.70, P=0.484), 수술 후 입원기간(정상체중군: 9.5±2.4일, 과체중군: 9.5±3.6일, t=-0.10, P=0.920), 합병증 발생률(정상체중군: 18.4%, 과체중군: 25.9%, x²=3.05, P=0.217)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복강경 수술 및 수술 후 회복성과지표는 과체중 환자와 정상체중환자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과체중 환자에게 복강경 수술은 안전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임상간호사는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복강경 수술 전 과체중 환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peration-related outcome index between the normal and overweighted rectal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to offer the development of decision guideline for the overweighted rectal cancer patients. A retrospective review of data from 76 people’s medical records who received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in the H Hospital of C University during from September 2004 to March 2007. The outcome index related with the operation were operation time, the amount of bleeding during the operation. The outcome index related with condition of recovery after the operation were the length of recovery-room stay, first bowel movement, the length of hospital stay, complication rate. The outcome index related with recovery after operation was compared classifying normal weighted group(BMI<25) with overweighted group(BMI.25).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Win SPSS 12.0.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patients, 35.5% of patients were overweighted group, and 63.0% were female and 85.1% were in their fifties or sixties. I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diseases, although 59.2% of patients were the third stage of rectal cancer and 63.0% had the underlying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and etc. The demographic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doe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comparison with normal and overweighted group. The outcome index related with the recovery in terms of BMI(Body Mass Index, Kg/㎡) were as follows(normal weighted group vs overweighted group); operation time(303.4±50.3minutes vs 314.3±65.6minutes, t=-0.81, P=0.421), the amount of bleeding during operation(373.5±275.0ml vs 385.2±214.3ml, t=-0.19, P=0.849), the length of recovery-room stay(66.0±20.8minutes vs 73.5±30.0minutes, t=-1.17, P=0.248), first bowel movement(4.6±2.1days vs 5.0±2.0days, t=-0.70, P=0.484), the length of hospital stay(9.5±2.4days vs 9.5±3.6days, t=-0.10, P=0.920), complication rate(18.4% vs 25.9%, χ2=3.05, P=0.217). The outcome index were statistically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ltogether. In conclusion, The recovery of overweighted patients who had a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does not seem to be different from normal patients in terms of the outcome index. Foundation-oriented nursing information for the recovery and convalescence after operation can be offered to help the effective decision before the operation of the overweighted rectal cancer patients who are faced with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 과체중이 중학생의 자아상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학생의 과체중이 자아상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여 과체중의 청소년의 정서적 측면을 이해하고 보다 나은 학교생활과 교우관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남·여 중학생 1, 2, 3학년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받은 후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하고, 성별과 학년별 체질량 지수에 따른 자아상과 교우관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ANOVA) 후 유의한 차가 있을 시 Scheffe를 이용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별과 학년별 체질량 지수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two way-ANOVA)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체질량 지수에 따른 자아상, 교우관계의 정도를 파악한 후, 자아상과 교우관계와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질량 지수의 분포는 저체중 32.4%, 정상체중 48.8%, 과체중이 18.8% 이었다. 2. 중학생 체질량 지수에 따른 자아상의 차이는 정상군이 저체중군과 과체중군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 하위항목에서 정서상태, 친구관계, 신체상은 정상군이 과체 중군보다, 가족관계는 정상군이 저체중군보다 점수가 높았다. 3. 남자 중학생의 체질량 지수에 따른 자아상 차이는 정서상태, 가족관계, 신체상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정상군이 저체중군과 과체중군에 비해 자아상 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여자 중학생의 체질량 지수에 따른 자아상 차이는 정 서상태, 친구관계, 신체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정상군이 저체중군과 과체중군보다 자아상의 점수가 더 높았다. 4. 학년별 체질량 지수에 따른 자아상의 차이는 1학년에서는 정서상태, 가족관 계, 친구관계, 신체상 4가지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2학년에서는 친 구관계, 신체상 2가지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3학년에서는 가족관 계 한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학년별에서도 정상군이 저체중군 과 과체중군에 비해 높은 자아상의 점수를 보였다. 5. 성별과 체질량 지수에 따른 자아상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정서상태 요인에 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남학생 과체중군이 저체중군과 정상군에 비해 점수 가 낮았다. 또한 학년에 따른 자아상의 정서상태와 신체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1학년이 2학년과 3학년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 상호작용 효과 에서는 정서상태와 신체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1학년 과체중군 이 저체중군과 정상군에 비해 점수가 낮았다. 6. 중학생 체질량 지수에 따른 교우관계의 긍정적 특성인 도움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저체중군이 정상군과 과체중군에 비하여 점수가 높았다. 7. 남자 중학생의 체질량 지수에 따른 교우관계 차이는 긍정적 특성인 도움 요 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학생은 긍정적 특성인 인정 요인에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도움과 인정 요인에서 정상군이 저 체중군과 과체중군에 비해 교우관계의 긍정적 특성의 점수가 더 높았다. 8. 학년별 체질량 지수에 따른 교우관계의 차이는 1학년이 긍정적인 도움, 친밀 요인과 부정적인 갈등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도움과 친밀 요인에 서는 저체중군이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갈등 요인에서는 과체중군이 가장 높 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2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3학년에서는 부정적인 경쟁 요인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저체중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9. 성별에 따른 교우관계의 도움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여학생이 남학 생에 비해 도움 요인의 점수가 높았다. 또한 성별과 체질량 지수에 따른 상호 작용 효과는 도움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남학생 과체중군이 저체중 군과 정상군에 비해 도움 요인의 점수가 낮았다. 학년과 체질량 지수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학년에서 과체중군이 정상군 과 저체중군에 비해 갈등 요인의 점수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했을 때 체질량 지수에 따라 저체중군과 정상군에 비해 과체중군이 자아상과 교우관계의 점수가 낮아 과체중일수록 자아상과 교우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체중이 정상군일수록 자아상 점수가 높아 자아상과 체질량 지수가 관련이 있었으며, 교우관계에서는 저체중군이 교우관계의 점수가 높아 교우관계와 체질량 지수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의 올바른 자아상 확립과 긍정적인 심리상태 및 신체적 체중조절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활동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2018 유니세프 다중지표군집 조사(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데이터를 활용한 몽골 5세 미만 아동 과체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김미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과체중 아동 수는 전 세계 모든 대륙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5세 미만 과체중 아동 수가 4천만 명에서 2025년에는 4,3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그 동안 과체중은 일부 부유한 국가의 문제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중저소득 국가에서도 과체중 비율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UNICEF, 2019). 과체중은 섭취한 에너지에 비해 신체 활동으로 소비하는 에너지가 적을 경우 지방이 축적되어 발생하며(WHO, 2016), 잘못된 식습관, 비만을 조장하는 사회문화적 환경, 소득수준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WHO, 2016). 아동기 과체중이 천식, 인지 손상 등으로 이어지고, 청소년기 자존감 저하, 학업 성적 부진(UNICEF, 2016), 성인기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등의 부정적인 건강 결과를 초래한다(Reily & Kelly, 2011; Park and et al., 2012). 몽골은 모성, 영유아 사망률 및 5세 미만 아동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아동 영양실조를 개선하여 새천년 개발목표를 달성하였으나, 5세 미만 아동의 과체중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8년 현재 10.5%에 달하며(NSO , 2019), 높은 체질량지수로 인한 질병 부담 역시 크게 증가하였다(IHME database, 2019). 아동기 과체중으로 인한 부정적인 건강결과를 감안할 때 몽골 5세 미만 아동의 과체중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8년도에 국가 수준에서 수집된 몽골 유니세프 다중지표군집조사(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MICS) 데이터를 이용하여 몽골의 5세 미만 아동 과체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계속해서 증가하는 5세 미만 아동 과체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책적 제언을 위한 실증적인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AS 9.4를 활용한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 수행을 통해 5세 미만 아동의 과체중 및 일반적 특성의 분포를 빈도 및 백분율로 확인한 후, 5세 미만 아동 과체중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종속 변수는 아동이 과체중인 경우 1, 과체중이 아닌 경우 0으로 설정하고, 통제변수를 포함하여 보정된 오즈비(Adjusted Odds Ratio)를 산출하였다. 또한 5세 미만 아동의 과체중에 유의한 변수를 확인하고, 아동의 월령별 식이 및 신체적 특성이 과체중에 미치는 요인이 상이한 지 확인하기 위해 6개월 미만 아동 집단, 6개월 이상 24개월 미만 아동 집단, 24개월 이상 60개월 미만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가구 소득 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가구 소득 변수를 제외하고 다시 한 번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95% 오차범위 내 1이 포함되지 않는 오즈비 값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확인된 변수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생물학적 요인을 살펴보면, 여아보다 남아의 과체중 확률이 높았고, 아동의 출생 당시 몸무게가 평균 이상인 경우 과체중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식이행동 측면에서는 모유수유 여부를 하지 않는 아동의 과체중 확률이 높았다. 부모 요인으로는 어머니의 나이가 40대 미만인 경우 과체중 확률이 높았고, 동거 중 또는 한부모 가정, 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의 아동의 과체중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주거환경 중에서는 게르가 아닌 주택, 아파트, 콘도미니엄에 거주하는 아동의 과체중 확률이 높았다. 부모의 미디어 활용 요인에서는, 휴대폰, TV, 라디오를 자주 사용하지 않는 부모를 둔 아동의 과체중 확률이 유의하게 낮은 반면, 신문 혹은 잡지를 읽는 부모를 둔 아동의 과체중 확률이 낮았다. 가구 소득 변수를 제외한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R제곱 값이 소폭 감소하였고, 이전 분석 시 통계적으로 유의했던 변수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거주 지역(도시, 시골), 부모의 인터넷 사용 빈도가 유의한 변수로 추가되었다. 시골에 거주하는 아동에 비해 도시에 거주하는 아동의 과체중 위험이 낮았고, 인터넷을 매일 사용하는 부모를 둔 아동에 비해 주 1회 사용하는 부모를 둔 아동의 과체중 위험이 낮았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한 연구이므로 회상 비뚤림(recall bias), 사회 바람직성 편향(social desirability) 등이 작용했을 수 있으며, 선행 연구를 통해 주요한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나 가용 데이터가 없어 분석 시 포함시키지 못한 변수 누락 비뚤림 오류(misspecification bias) 등의 제한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몽골 5세 미만 아동 및 월령별 아동 집단의 과체중 영향 요인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 결과는, 몽골 5세 미만 아동의 과체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수립 시 몽골의 지역적 특성과 맥락 및 각 가정의 사회경제적 위치 등을 충분히 반영하고 현재 수립되어 있는 과체중 및 비만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들을 수정 및 보완하는 일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산전 검진 시 영양교육 및 예비 부모 대상 부모 교육을 신설하고, 모유수유 장려 제도 마련 및 이행 여부 모니터링 메커니즘을 마련한다. 또한 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에서도 야채 및 과일을 섭취할 수 있도록 야채 및 과일 바우처 지원을 시행하고 장기적으로는 태양열 온실 설치, 복잡한 야채 유통망 개선을 통해 국민들의 가격 부담을 낮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실내에서도 실천 가능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밝혀낸 몽골 5세 미만 아동 과체중 영향 요인이 실제로 유의한 지 검증하기 위하여 지역 내 사회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누락된 변수들을 대체 변수를 통하여 재구성하여 보고, 질적 연구 및 혼합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언한다. The number of overweight children is increasing all over the world, with an estimated 40 million overweight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worldwide, expected to reach 43 million by 2025. In the meantime, overweight has been seen as a problem in some rich countries, but now the rate of overweight is increasing even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UNICEF, 2019). Overweight is caused by accumulation of fat out of energy not fully consumed by physical activity(WHO, 2016), poor eating habits, sociocultural environments that promote obesity, and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household income levels(UNICEF, 2016). Child overweight leads to asthma, cognitive impairment, and negative health consequence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hat can appear in adulthood(Park and et al., 2012; Reily & Kelly, 2011). If overweight persist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it can lead to hypotension, low academic performance, etc. (UNICEF, 2016). Mongolia achieved it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by reducing maternal, infant, and mortality and by improving child malnutrition, but the overweight rate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has continued to increase, reaching 10.5% as of 2018(NSO, 2019), and the burden of disease due to high body mass index also increased significantly(IHME database, 2019). Given the negative health outcome of being overweight in childhood, research is needed on factors associated with overweight in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in Mongolia. Using Mongolian UNICEF MICS data collected at the national level in 2018, the research seek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overweight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thereby increasing understanding of overweight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and establishing an empirical basis for policy recommendations. In this study, SAS 9.4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overweigh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children under five years of age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overweight in children under five years of age. The dependent variable was “overweight” and set to 1 if the child was overweight, 0 if the child was not overweight. Then the adjusted Odds Ratio was calculated by including controlled variables. In additio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group into 3 according to dietary patter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y month, which are with children under 6 months, children under 6 months to 23 months, and groups under 24 to 59 month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overweight by each group. Then, ad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out household wealth-related variables to see whether household wealth status was associated with child overweight.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e adjusted Odd Ratio value are as follows: Looking at the biological factors of the child, the odds of being overweight in the boy were higher than the girls’, and the odds of being overweight were higher if the child's birth weight was above average. In terms of dietary behavior, children who are not breastfed were more likely to be overweight. Parental factors showed a higher probability of being overweight if the mother was under 40s, and higher odds of being overweight in cohabitation or single-parent families, and children from household with lower income levels. Children living in apartments, and condominiums had a higher probability of being overweight than those who living in Ger. In parental media utilization factors, children with parents who didn't frequently use mobile phones, TV, and radio had a significantly lower probability of being overweight, while children with parents reading newspapers or magazines were less likely to be overweight. Conduct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out household wealth-related variables, R square value was decreased and residential area(urban or rural) and frequency of parents’ internet acces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hild overweight. Child living in urban area was less likely to be overweight than those who living in rural area, and child raised under parents who access internet once a week was more likely to be overweight compared to parents who access internet on daily basis. Using data, this study has limitations of recall bias, social desirability, and misspecification bias by excluding important variables due to unavailability of relevant data. Regardless of limitation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this is the first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verweight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in Mongolia, divided by 3 sub-groups according to dietary patter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Results from this study implies that policymakers need to fully consider Mongolia'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ontext,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each family in designing and improving policy and programs to prevent overweight and obesity. In particular, the policymakers need to 1)plan and implement education program for to-be parents(both mother and father)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utilizing prenatal check-up time, 2)establish an enabling system to promote breastfeeding and mechanism to monitor whether or not it is actually implemented, 3)consider vegetables and fruits voucher program so that child from low income household could have better access to vegetables and fruits, in the long run, build solar greenhouses to increase low vegetable intake, and improve complex vegetable supply chain so the price burden can be also minimized, and 4)develop physical activity programs that can be practiced indoors. In a further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the missing variables be reconstructed through including alternative variables and conduct qualitative studies and mixed studies, taking into account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ommunity to verify that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verweight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in Mongolia are actually significant.

      • 여성의 과체중 유무집단 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위험행동과의 차이 비교 분석

        진기영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6

        우리사회는 사회?경제적 발전으로 인간의 삶이 보다 편리하고 풍요로워진 반면에 고지방 고칼로리의 식습관, 운동부족으로 인하여 비만율이 크게 증가하여 사회적 우려가 되고 있다.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동맥경화, 담석증, 통풍, 악성종양 및 내분비계 이상 등의 만성질환 발생 및 진행, 뼈와 관절의 통증 및 장애와 관련이 있다. 비만은 여러 합병증을 유발시키고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비만의 유병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지출될 사회경제적 비용 부담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므로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파주시 20세 이상의 여성 주민 634명을 대상으로 과체중유무 집단 간의 인구사회적 특성, 건강관련행동 및 건강위험행동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주시 여성의 키와 체중으로 비만도(BMI)를 계산해 본 결과 과체중 19.0%, 비만 17.9%, 고도비만 2.9%로 조사되어 체중관리 대상이 39.8%이었으며, 51.5%가 정상체중, 8.6%가 저체중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과체중 및 비만율은 연령(p=.000)이 높아질수록, 교육수준(p=.000)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p=.000)는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하여, 직업은 농어민/생산직이 다른 직업이 있는 집단 보다 과체중 및 비만율이 높았다. 셋째, 건강행동에 따른 과체중 및 비만율에서 체중관리경험(p=.000), 규칙적 식습관(p=.029)은 과체중이상군이 높았고 유의하였다. 질환경험, 신체활동 및 운동, 예방접종 및 암검사도 과체중이상군이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과체중이상군이 앓고 있는 질환에서 고혈압, 관절염, 당뇨 등 비만과 관련된 질환이 나타나고 있었다. 규칙적 식습관은 과체중이상군이 정상체중군보다 약간 높았고 유의하였다. 넷째, 건강위험행동에 따른 과체중 및 비만율에서 흡연은 정상체중군이, 음주는 과체중이상군이 높았으나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음주자 중 음주행태에서 중간정도 음주, 과음자, 그리고 문제음자의 비율은 정상체중군보다 과체중이상군이 더 높았다. 음주운전과 음주운전 차량탑승의 경우 과체중이상군이 더 높았고, 전국 평균과 비교해서도 더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p=.021)의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있는 비율이 전체 1/3 정도이며, 과체중이상군이 약간 높았다. 과체중이상군에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음식을 먹거나 폭식, 음주, 흡연 등의 비율이 1/3로 나타나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계획과 자살시도에서 과체중이상군이 약간 낮았고,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평균에 근접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과체중 및 비만은 인구사회적 특성(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과 다른 건강관련행동(체중관리, 규칙적 식생활) 및 건강위험행동( 음주, 스트레스)과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체중 및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체중이 될 수 있는 요인을 조기에 파악하여 이를 통제하고 다른 건강생활습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Human life has become more convenient and affluent with the evolution of the economy and society. There is a serious problem, however, with the increase in the obesity rate in our population due to the habit of eating high-fat and high-calorie foods and lack of exercise. Obesity is considered a cause of chronic systemat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emia, artery hardening, colelithasis, and gout, as well as malignant tumors and endocrine system ailments. Obese people with health problems are common all over the world. Serious economic and social costs are consistently predicted with the continued rise in the rate of prevalence of obesity.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aid of health promotion by perform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cio-demographical variables and health-risk taking behaviors of 634 overweight and normal-weight 20-year-old women in Pa-joo City. First, the BMIs of the subjects were calculated from their height and weight. Nineteen percent of them were found to have been just overweight; 17.9%, obese; and 2.9%, severely obese. Thus, 39.8% of the subjects were obese, 51.5% had normal weights, and 8.6% had low BMIs. Second, there was a pattern of increase in the BMI with age,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less income, according to the subject’s socio-demographical variables. In addition, single female farmers and factory workers were highly ranked as overweight and obese. Third, those who had been hospitalized, controlled their weight, exercised, vaccinated, and diagnosed with cancer related to obesity were not concerned with their obese condition. The group of overweight women showed medical complications such as hypertension, arthritis, and diabetes, as usual. Interestingly, these women had more regular dietary habits compared to those in the normal-weight group. Finally, the rate of cigarette smoking was higher in the normal group, whereas the rate of alcohol drinking was higher in the overweight group. The rates were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though. According to the drinking habit, more people who drink moderately, drink heavily or drink too much are belonging to the overweight group. In addition, the rate of drunk drivers and the passengers in the car driven by drunken driver was higher in the overweight group, and it was also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One-third of the group felt seriously stressed, and they fought stress through overeating,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Thus, this group needs social care. Generally, suicide intentions and attempts were relatively low in the overweight group, and were close to the national average.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incid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was seen to be associated with the socio-demographical variables(age, marital status, education), health activity(weight control, regular diet) and health-risky behavior(alcohol drinking, stress). Therefore, to prevent overweight and obesity, health training should be given and maintained to improve life habits and thus, eliminate the causes of these problems at an early stage.

      • 청소년의 저체중, 과체중, 비만 관련 요인 비교

        문진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5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of adolescents cause serious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stress, depression, and inferiority, and are highly likely to lead to an adult abnormal wei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evidence-based weight management policies and programs for adolescents through a detailed and comprehensive analysis and exploration of adolescents' BMI.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secondary data using the raw data of the 17th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3,414 adolescents from th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o the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Sub-factors related to BMI were demographic factors, mental health, dietary habit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education. By using the SPSS 26 program, chi-squar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Looking at the main results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rst, in middle school boys, underweight increased in case of eating breakfast every day, but de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fat, moderate physical activity(more than 3 days a week). Overweight in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fat and enough consumption of fruit. Obesity in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fat, high economic status, and moderate physical activity(more than 3 days a week), but de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healthy, high academic performance, college graduate or higher of father's education, and high level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econ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girls, underweight de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fat, high academic performance, and high-intensive physical activity(more than 3 days a week). Overweight in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fat, and moderate physical activity. Obesity in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fat, high economic status, good economic status, eating breakfast, and high-intensive physical activity(more than 3 days a week), but de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healthy, college graduate or higher of mother's education, higher level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eating of fruit and fast food. Third, in high school boys, underweight de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healthy, subjective thought of fat, and high-intensive physical activity. Overweight in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healthy, subjective thought as fat, excessive consumption of sweet beverages, but decreased in the case of depression and loneliness. Obesity in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healthy and eating breakfast, but decreased in case of college graduate or higher of father's education, higher level of loneliness. Fourth, in high school girls, underweight de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thought as fat, high economic status, and high-intensive physical activity in 1 to 2 days a week. Overweight in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fat and strengthening exercise in 1 to 2 days a week, whereas decreased in case of partial intake of fast food. Obesity increased in case of subjective recognition as fat, good academic performance, medium economic status, moderate physical activity of more than 3 days a week and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of 1-2 days a week, whereas decreased in case of higher level of loneliness and excessive consumption of fast foo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roblems of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adolescents from the perspective of health equ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on the appropriate amount and frequency rather than instilling an excessively negative perception of a specific food. Thir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program to strengthen physical activity for the risk group before adolescents become overweight or obese. Fourth, to ensure the continuity and effectiveness of health education, a practical health education program customized for each gender and age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청소년기의 저체중, 과체중, 비만은 성인기까지 연결되기 때문에 사회 적, 국가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청소년기는 성장과 발달이 활발한 시기로 저체중, 과체중, 비만은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신체 이미지, 자 신감, 사회적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회적, 정신적 건강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산업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발전은 청소년의 저체중, 과체중,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다양함을 초래하고 있다. 저체중, 과체중,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음식의 다양함과 풍부함, 과식뿐만 아니라 스트 레스 등과 같은 정신건강, 신체활동 등 다양하고 복잡한 여러 요인이 상 호작용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 19’와 같은 사회적 재난은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저체중, 과체중, 비만과도 상당 한 관련성이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중·고등학교와 성별에 따른 저체중, 과체중, 비만 관련 요인에 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분석과 탐구를 통해 청소년 의 근거 중심 체중 관리 정책과 프로그램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질병관리청 제17차(2021) 청소년건강행태 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이다. 연구대상자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청소년 53,414명이었다. 하위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정신건강 요인, 식생활습관 요인, 신체활동 요인, 보건교육 요인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SPSS 26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카이제곱 분석(χ 2-test), 상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 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첫째, 중학교 남자의 경우 저체중은 아침식사(결식없음)의 경우에 증가 한 반면, 주관적으로 살찐 편으로 생각한 경우, 중등도 신체활동(주3일 이상)하는 경우에 감소하였다. 과체중은 주관적으로 살찐 편으로 생각한 경우, 과일은 충분히 섭취한 경우에 증가하였다. 비만은 주관적으로 ‘살 찐 편’으로 생각한 경우, 경제상태가 ‘상’인 경우, ‘주3일 이상’의 중등도 신체활동의 경우 증가한 반면, 주관적으로 ‘건강하다’고 인지한 경우, 학 업성적이 ‘상’인 경우, 부의 학력이 ‘전문대졸 이상’의 경우, 범불안장애가 있는 경우에 감소하였다. 둘째, 중학교 여자의 경우 저체중은 주관적으로 살찐 편으로 인지할 경우, 학업성적이 ‘상’일 경우, 주3일 이상의 고강도 신체활동의 경우에 감소하였다. 과체중은 주관적으로 살찐 편으로 인지할 경우, 중등도 신체 활동의 경우에 증가하였다. 주관적으로 살찐 편으로 인지할 경우, 경제상 태가 좋은 경우, 아침식사를 하는 경우, ‘주 1∼2일’의 고강도 신체활동의 경우에 증가한 반면, 건강이 좋다고 주관적으로 인지한 경우, 모학력이 높은 경우, 범불안장애가 높은 경우, 과일과 패스트푸드를 섭취하는 경우 비만이 감소하였다. 셋째, 고등학교 남자의 경우 저체중은 주관적으로 건강하다고 인지할 경우, 주관적으로 살찐 편으로 인지할 경우, 주1∼2일의 고강도 신체활 동, 주3일 이상의 고강도 신체활동의 경우에 감소하였다. 과체중은 주관 적으로 살찐 편으로 인지할 경우, 단맛 나는 음료를 과다 섭취한 경우 증가하는 반면 우울감과 외로움이 있는 경우에 감소하였다. 비만은 주관 적으로 살찐 편으로 인지할 경우, 아침식사를 하는 경우에 증가한 반면, 부의 학력이 ‘전문대졸 이상’의 경우, 외로움이 높은 경우에 감소하였다. 넷째, 고등학교 여자의 경우 저체중은 주관적으로 살찐 편으로 인지할 경우, 경제상태가 ‘상’일 경우, 주 1∼2일의 고강도 신체활동의 경우에 감 소하였다. 과체중은 주관적으로 살찐 편으로 인지할 경우, 주 1∼2일의 근력강화운동의 경우에 증가한 반면, 패스트푸드를 부분적으로 섭취한 경우 감소하였다. 비만은 주관적으로 살찐 편으로 인지할 경우, 학업성적 이 좋은 경우, 경제상태가 ‘중’인 경우, ‘주3일 이상’의 중등도 신체활동과 ‘주1∼2일’의 고강도 신체활동의 경우 증가한 반면, 우울감이 있는 경우, 패스트푸드(과다)의 경우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한 보건정책적 제언은, 첫째, 저체중, 과체중, 비만과 관련된 요인은 매우 다양하므로 건강 형 평성의 관점에서 청소년의 체중 관리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정 식품에 대한 지나친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기보다는 적절한 양과 빈도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이 과체중과 비만이 되기 전에 위험군에 대한 신체활동 강화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보건교육의 지속성과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해 성별, 연령별 맞춤 형의 실천적 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 Influence of plasma fatty acid profiles and dietary medium-chain diacylglycerol on cardiometabolic risk : 4 year's follow-up and crossover designed studies

        이아영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47768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상승시키는 비만은 한국인의 주요 건강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혈중 지방산 및 중성지방의 지질변화와 밀접 한 상관관계가 있다. 지방산 대사의 이상, 증가된 혈중 지방산 및 중성 지방 수치는 비만인 사람들에게서 발견된다. 혈중 지방산 프로파일은 식이지방 섭취를 통한 지방산 구성성분과 체내 지방산 대사와 관련 있 는 내인성 지방산 합성을 반영한다. 또한 혈중 중성지방의 수준은 식이 섭취를 통한 지방의 영향을 주로 받으며, 증가된 식후 중성지방의 수치 는 비만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흥미롭게도 과체중/비만인 사람들 중에 서 정상범위의 대사적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있으며, 이들을 “대사적으로 건강한 과체중/비만”으로 일컫는다. 더 나아가, 과체중/ 비만인 사람들의 대사적인 건강상태의 변화는 심혈관계 질환 위험도 상 승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과체중/비만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 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식이 소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앞서 언급한 식후 중성지방 및 혈중 지방산의 수준은 비만 발생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억 제하기 위한 식이 소재의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1) 대사 적으로 건강한 과체중 대상자의 4년간의 추적연구를 통해서 대사적 건 강상태의 변화와 혈액 내 지방산 및 혈관경직도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2) medium-chain diacylglycerol(MCDG)를 함유한 기능성 유 지의 식후 중성지방 및 지방산 상승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4년간의 추적연구에서는, 대사적으로 건강한 과체중 대상자의 4년 후 대사적 건강 상태의 변화와 혈액 내 지방산 및 혈관경직도의 변화와 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대사적으로 건강한 과체중 대상자 92명을 추적 연구하여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4년 후에도 대사적으로 건강한 과체중 대상자는 MHO군으로 명명하였으며 총 58명이였다. 반면, 대사적 으로 건강한 과체중에서 4년 후에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과체중으 로 발전한 대상자는 모두 34명이였으며 MUO군으로 명명하였다. 상환 발 목 맥파속도(ba-PWV)와 혈액 내 지방산은 4년 전후로 모두 측정되었다. MUO군은 MHO군에 비해서 몸무게, 허리둘레, 혈당, 인슐린, 중성지방, 상환 발목 맥파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HDL 콜레스테롤은 유 의적으로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MUO군에서 총 14개의 지방산 이 MHO군에 비해서 증가하였다. MHO군은 MUO군에 비해서 △5- desaturase이 증가한 반면 MUO군은 C16 △9-desaturase가 증가하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상환 발목 맥파속도의 변화량이 수축기 혈압 의 변화량, C16:1n-7 (palmitoleic acid)과 C18:1n-9 (oleic acid)의 변화량, C16 △9-desaturase의 변화량과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분석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4년간의 추적연구를 통해서 대사적인 건강상태 의 변화가 혈액 내 지방산 및 혈관 경직도의 변화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교차설계연구에서는, MCDG를 함유한 기능성 유지의 식후 중성지방 및 지방산 상승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교차시험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long-chain triacylglycerols (LCT) 을 함유한 유지와 비교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건강한 정상체중의 대상자 28명은 본 연구를 위해 총 2번 방문하였으며, MCDG와 LCT가 15g 포함된 머핀을 각각의 방문에서 한번씩 모두 섭취하였다. 매 방문에서 공복 (0시간)과 머핀 섭취 2, 3, 4, 6시간 후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MCDG가 함유된 머핀은 LCT가 함유된 머핀에 비해 섭취 3시간과 4시간 후의 중성지방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유사하게도 MCDG가 함유 된 머핀은 LCT가 함유된 머핀에 비해 섭취 4시간 후의 킬로미크론 중성 지방의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후 중성지방과 킬로미크론 중 성지방의 그래프 아래의 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은 LCT가 함 유된 머핀 섭취에 비해 MCDG가 함유된 머핀 섭취에서 13% 더 낮게 측정 되었다. 식후 혈액 내 지방산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의 상승은 LCT가 함유된 머핀 섭취에 비해 MCDG가 함유된 머핀 섭 취에서 그 수치가 낮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MCDG의 섭취가 LCT의 섭취에 비해서 식후 중성지방혈증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밝힐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사적으로 건강한 과체중/비만”인 사람들은 생활방식(특히, 체중증가와 식이지방의 섭취 증가와 관련된 생활방식)에 따라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상승시키는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과체중/비만”의 표현형으로 발전될 수 있다. 따라서 대사적인 표현형의 개선 및 잠재적인 질병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에너지 소비의 증가와 식이지방 섭취의 감소는 필요하다. 또한 “대사적으로 건강한 과체중/비만”표현형은 몸무게와 허리둘레를 관리함으로써 그 표현형을 유지할 수 있다. 식이지방의 섭취를 줄이는 것 외에도, MCDG 를 함유한 기능성유지 (식이지방 대체 소재)의 섭취는 혈중 지질 프로파일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MCDG 의 지방산 구성 성분과 소화기관에서의 대사적 특징 덕분에 중성지방 대사와 관련 있는 인슐린 저항성과 대사증후군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Obesity, which increases the risks of cardiovascular diseases (CVD), is one of the major health issues among Korean. The prevalence of obesity is associated with blood lipid alterations such as fatty acid and triglycerides (TG). In obese individuals, there are several abnormalities of free fatty acid metabolism and increased levels of blood fatty acids and TG. Plasma fatty acid profiles reflect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dietary fat and the endogenous fatty acid synthesis. Increased postprandial TG levels, which are mainly influenced by dietary fat,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obesity. Interestingly, there is a subgroup of overweight/obese individuals with normal metabolic features, described as “metabolically healthy overweight/obesity”. Further, changes in metabolic health status in metabolically healthy overweight/obese individuals influence an increased risk of CVD, hence there is a need for the study of dietary fat substitutes to prevent obesity. Especially, increased postprandial triglyceride and plasma fatty acid levels as described above a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obesity. Therefore, the study of dietary fat substitutes lowering postprandial TG and fatty acid levels is needed. According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conducted in two parts: (1)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s in metabolic health status and the changes in plasma fatty acids and arterial stiffness in metabolically healthy overweight (MHO) participants over a 4-year period; and (2) to assess the ability of a novel lipid structure including medium-chain diacylglycerol (MCDG) oil to lower postprandial TG and plasma fatty acid levels under a crossover design. In the first part, the 92 MHO participants recruited in the cohort study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MHO-maintained group (n=58) and the metabolically unhealthy overweight (MUO)-developed group (MHO at baseline but developed incident MUO during the 4-year follow-up; n=34).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which is an index of arterial stiffness, and plasma fatty acids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fter 4 years. Compared with the MHO-maintained group, the MUO-developed group showed a trend toward an increase in fat intake. The MUO-developed group showed greater increases in body weight, waist circumference, glucose, insulin, TG and ba-PWV as well as a greater reduction in HDL cholesterol than the MHO-maintained group. Compared to the MHO-maintained group, the MUO-developed group showed greater increases in 14 plasma fatty acids. In addition, the MHO-maintained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5-desaturase than the MUO-developed group, whereas the MUO-developed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C16 △9-desatura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vealed that changes in ba-PWV were correlated with changes in systolic blood pressure, C16:1n-7 (palmitoleic acid), C18:1n-9 (oleic acid), and C16 △9-desaturase (standardized β=0.914, p<0.001). Consequently, this study foun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metabolic health status and those in plasma fatty acids and arterial stiffness over the 4-year study period. In the second part, the double-blind, randomized, crossover trial evaluated the effects of an oral fat load containing MCDG compared with equivalent intakes of longchain triacylglycerols (LCT) on the postprandial metabolic responses of healthy men and women with normal weight (n=28). During two visits, each subject consumed a single oral fat load on each test day. The fat loads were delivered in muffins that contained 15 g of one of the two test oil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in a fasting state (0 hr) and at 2, 3, 4, and 6 hrs after ingestion of the muffin. Mean TG levels were lower at 3 (P=0.019) and 4 hr (P=0.023) after the consumption of MCDG muffin, compared to LCT muffin. Similarly, the mean chylomicron-TG levels were lower at 4 hrs (P=0.033) after the consumption of MCDG muffin, compared to LCT muffin. Both the postprandial TG and chylomicron-TG incremental areas under the curve after the consumption of MCDG muffin were 13% lower, compared with the response after the consumption of LCT muffin. Postprandial elevations in plasma levels of palmitic acid, stear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much smaller at the MCDG muffin consumption than the LCT muffin consumption. This study verified that dietary MCDG decreased postprandial triglyceridemia compared with LCT. In conclusion, the MHO can develop into MUO phenotype associated with accelerated arterial stiffness, depending on one’s lifestyle (especially with regard to weight gain and increased dietary fat intake). Thus, there must be an increase in energy expenditure and a reduction in dietary fat intake, to improve metabolic phenotype and reduce potential disease burden. Further, the MHO phenotype can be sustained by maintaining healthy body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In addition to reducing dietary fat intake, the intake of MCDG, a dietary fat substitute, can improve lipid profiles. The intake of MCDG can be a potential method for preventing TG metabolism related to the insulin resistance/metabolic syndrome, due to its metabolic characteristics in the digestive tract and/or different fatty acid composition.

      •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에게 적용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 무작위대조연구의 체계적고찰과 메타분석

        이미진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759

        과체중·비만 아동의 관리는 성인비만으로 이환되지 않도록 예방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하며, 단기적 체중 감소보다는 과도한 체중증가를 예방하면서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고 올바른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교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지행동중재는 여러 가지 인지행동기술을 통해 일상적인 식습관과 신체활동 습관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꾸어 아동의 습관을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의 관리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학령기의 과체중·비만 아동에게 적용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를 규명하고 학령기 아동의 비만관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2019년 4월 16일부터 4월 25일까지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CENTRAL, KISS, KoreaMed, KMbase, NDSL, KiSTi의 core DB 등을 이용하여 검색하였고, 미리 마련된 기준에 따라 29개의 연구문헌을 선정하였다. ROB 2.0에 따라 연구의 방법론적 질을 평가한 후 자료를 추출하였다. 모든 과정은 두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수행하고 RevMan 5.3과 CMA 3.0을 이용하여 메타분석하였다.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중재 29편 중 신체활동과 영양을 주제로 수행된 교육 단독 중재가 20편(69.0%), 교육과 운동의 병행 중재가 7편(24.1%)이었고, 사용된 인지행동기술은 목표 설정이 27편(93.1%), 자극 제어가 22편(75.9%), 자기 관찰이 20편(69.0%), 강화가 12편(41.4%)의 순이었다. 메타분석결과 인지행동중재는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의 체질량지수(SMD 0.48, 95% CI=0.31∼0.66), 신체활동(SMD 0.71, 95% CI=0.61∼0.81), 식습관(SMD 0.60, 95% CI=0.35∼0.84), 자기효능감(SMD 0.56, 95% CI=0.34∼0.79), 및 삶의 질(SMD 0.42, 95% CI=0.28∼0.5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메타회귀분석 결과 인지행동중재의 1회 운영시간은 60∼90분, 기간은 24∼28주에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운영횟수가 증가할수록 효과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학령기 아동의 과체중·비만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신체활동과 영양에 대한 교육 중재 또는 교육과 운동수행의 병행 중재이 요구되고, 목표 설정, 자극 제어, 자기 관찰 및 보상의 인지행동기술을 활용한 인지행동중재를 적용해야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인지행동 비만관리 중재는 1회기를 60∼90분, 지속기간은 6개월 이상 적용하면 효과적이었다. 확인된 근거들을 바탕으로 학령기 아동의 비만관리를 위한 인지행동중재의 표준실무지침 개발의 기초가 될 것을 기대한다.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should be emphasized to prevent adult obesity. It should be aimed at providing adequate nutrition for growth and development and correcting eating habits and exercise habits while preventing excessive weight gain rather than short term weight loss.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 is an effective way of managing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school age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changing the daily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habits of the child by using variety of cognitive behavioral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pplied to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school age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obesity management of school aged children. The research data were searched from April 16 to 25, 2019 using the core DBs of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CENTRAL, KISS, KoreaMed, KMbase, NDSL and KiSTi. Twenty-nine articl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pre-established criteria.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y was evaluated according to ROB 2.0 and data were extracted. All the procedures were performed independently by two researche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and meta-analyzed using RevMan 5.3 and CMA 3.0. Among the 29 articles on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s for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school age, 20 (69.0%) were educational interventions on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and 7 (24.1%) were concurrent interventions in education and exercise. The cognitive behavioral techniques used in the intervention were 27 (93.1%) goal setting, 22 (75.9%) stimulus control, 20 (69.0%) self-monitoring and 12 (41.4%) reinforcements respectively. The pooled effect sizes of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dy mass index (SMD 0.48, 95% CI=0.31-0.66) physical activity (SMD 0.71, 95% CI=0.61-0.81), eating habit (SMD 0.60, 95% CI=0.35-0.84), self-efficacy (SMD 0.56, 95% CI=0.34-0.79), and quality of life (SMD 0.42, 95% CI=0.28-0.55). Meta-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was greater in the period of 60-90 minutes per session and in the period of 24-28 weeks. In conclusion, in order to manage the overweight and obesity of school-aged children, it should be necessary to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or education and exercise, and to using cognitive behavior skills such as goal setting, stimulus control, self- monitoring and reinforcemen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applying for 60-90 minutes in one session and 6 months or longer in duration. Based on the confirmed evidences, we expect to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tandard guidelines for cognitive behavior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 in school aged children.

      •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20대 남,여의 최대 운동부하 검사 후 심박수 회복률과 맥파속도 비교

        신세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740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20대 남,여의 최대운동부하 검사후 심박수 회복률과 맥파속도 비교 본 연구는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20대 남, 여의 각각 과체중과 저체중 집단에게 운동부하 검사를 한 후 심박수 회복률과 맥파속도를 비교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분석도구로는 Polar와 PWV 3.0를 이용하여 운동부하 검사 후 최대심박수에서 30sec단위로 심박수의 회복률을 측정하고, 심박수 측정 완료 후, 맥파 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값에 따라 심혈관계의 위험인자인 심박수 회복률과 맥파속도를 통해 각 남성 집단에서의 과체중과 저체중, 여성 집단에서의 과체중과 저체중간의 비교 분석하려 한다. 집단 간의 심박수회복률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ANOVA repeated measure)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은 Duncan Test를 실시하였으며, 맥파속도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독립표본 T-검증(T-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의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에 측정한 결과는 첫째, 남성과 여성의 저체중과 과체중 집단 간의 최대 운동 부하검사 후, 심박수 회복률은 과체중집단이 빠른 회복률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둘째, 남성과 여성의 저체중과 과체중 집단 간의 최대 운동 부하검사 후, 맥파속도는 과체중집단이 약간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 결과,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심박수 회복률은 관련성이 있었으며, 맥파속도는 관련성이 없었다. 심혈관계의 질환의 예측인자인 심박수 회복률과 맥파속도의 측정을 통해 남성과 여성 집단 모두 과체중집단이 심혈관계가 건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맥파속도에서의 결과값은 유의한 차이가 존재 하지 않았지만, 심박수 회복률에서의 결과값이 과체중 집단이 더 빠른 회복률을 나타났음으로, 신체질량지수에 따라 심박수 회복률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국내에선 저체중과 과체중간의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므로 많은 연구들 실시하여 후속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Longitudinal interaction between APOA5 -1131T>C and overweight in the acceleration of age-related increase in arterial stiffness through the regulation of circulating triglycerides

        이화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47740

        Longitudinal interaction between APOA5 -1131T>C and overweight in the acceleration of age-related increase in arterial stiffness through the regulation of circulating triglycerides Hwa Jin Lee Department of Science for Aging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longitudinal interaction between APOA5 -1131C variants and overweight could accelerate age-related increases in arterial stiffness and circulating triglycerides (TG) in healthy subjects.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was measured in 503 healthy subjects at baseline and within a mean follow-up period of 3 years. triglycerides, APOA5 -1131T>C SNPs, apolipoprotein (apo) A-V levels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 particle size were measured. At the 3-year follow-up, the overweight group with the C allele showed increases in triglycerides and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relative to the baseline. Additionally, in the overweight group, there was a genotype effect on the changes in triglycerides: subjects with the C allele had greater increases in triglyceride concentrations than those with the TT genotype. Furthermore, overweight subjects with the C allele had greater increases in triglycerides concentrations than normal-weight subjects with the C allele (P-interaction=0.013). Overweight subjects with the C allele had greater increases in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than normal-weight subjects with the C allele (P-interaction=0.047). Changes in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were affected by age, baseline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and changes in systolic blood pressure (BP) and triglycerides. Changes in triglycerides were affected by the APOA5 -1131T>C genotype, age, baseline triglyceride levels, and changes in body mass index (BMI) and apolipoprotein A-V. In the overweight group, changes in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were affected by changes in systolic blood pressure, low density lipoprotein particle size and triglyceride. This prospective study shows that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APOA5 -1131C variants and overweight can accelerate age-related increase in arterial stiffness through the regulation of circulating triglycerides in healthy subjects. 노화에 따른 혈관 경직도와 혈류 내 중성지방에 APOA5 -1131T>C와 과체중의 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노화에 따른 혈관경직도의 가속화와 혈류 내 중성지방에 APOA5 -1131T>C와 과체중이 미치는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 3년 추적 코호트 연구로 설계되었으며, 건강한 성인 503명을 정상체중군 (349명)과 과체중군 (154명) 두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 관찰하였다. 혈관 경직도는 brachial-ankle PWV (baPWV)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중성지방, APOA5 -1131T>C SNP, apo A-V, LDL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C allele (86명)을 지닌 과체중군에서 3년 후, 혈중 중성지방과 baPWV의 증가를 나타냈다. 또한 과체중군 (154명)에서 혈중 중성지방의 변화는 risk C allele을 가진 대상자에서 TT 유전자형 (68명)을 가진 대상자보다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risk C allele을 가진 과체중군에서 C allele (181명)을 가진 정상체중군보다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더 많이 증가했다. baPWV 변화에서도 risk C allele을 지닌 과체중군에서 C allele을 가진 정상체중군보다 변화의 폭이 더 컸다. 분석 결과 모든 대상자에서 baPWV의 변화는 나이, 기준 baPWV, 수축기 혈압의 변화에 영향을 받았으며, 혈중 중성지방의 변화는 APOA5 -1131T>C 유전자형, 나이, 수축기 혈압의 변화, 기준 중성지방의 변화 및 BMI와 apo A-V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체중군에서 baPWV의 변화는 수축기 혈압, LDL 입자 크기 및 중성지방의 변화에 영향을 받았다. 연구 결론: 본 연구에서는 APOA5 -1131T>C 유전자형과 과체중 사이의 상호 작용이 건강한 대상자에서 혈중 중성지방 농도에 영향을 미치며, 연령 증가에 따른 혈관 경직도를 가속화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학령기 체중 이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최경임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725

        초록 학령기 체중 이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최 경 임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지도교수 김 대 곤 연구목적 : 학령기에는 신체적 성장이 왕성하고 심리적, 사회적 성숙이 일어나는 시기이므로 성장발달에 요구되는 영양 필요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 시기는 청소년이 성인기로 전환되는 과도기로 신체적인 변화가 일생을 통해 가장 많은 영양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영양 섭취의 불균형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영양적 균형과 식품에 대한 올바른 식생활 형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성과 외모에 관심이 많아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일반 환경요인과 식생활 요인 등을 조사하여 체중이상에 관련된 요인들을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전주시 완산구에 거주하는 어린이의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BMI(Body Mass Index : 체질량지수)를 조사 하였고 저체중과 과체중에 관련된 요인, 즉 식습관에 대한 내용과 식품기호도 그리고 일반사항을 알아보고 학령기의 과체중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종합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분포는 저체중 37.6%, 정상체중 51.1%, 과체중 11.3%로 나타나 정상체중의 아동과 체중이상 아동의 비율은 <51.1 : 48.9>로 비슷한 비율의 결과를 보였다. 체중이상에서는 저체중이 과체중에 비해 높은 수치로 나타나 저체중도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 식사횟수는 정상체중 84.1%, 저체중 90.4%는 3회로 나타났고 과체중은 평균 85.1%이하의 수치 72.0%로 나왔으며 반면 과체중인 경우 2회가 타 집단 대비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하루 3식을 일정량 균등하게 먹어야 정상체중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정 식사시간 여부는 정상체중 52.2%, 과체중 52.0%인 반면 저체중은 43.4%로 다른 집단 아이에 비해 식사시간이 일정치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식사와 간식횟수, TV를 보는 습관에서는 p<0.05로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님의 경제력과 학력, 직업 그리고 식사 때 주로 먹는 음식과 좋아하는 음식, 맛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정상체중 유지에는 하루 3식 일정량을 균등하게 먹어야 하며 식사와 간식횟수, TV를 보는 습관이 학령기 체중 이상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과체중 보다 저체중이 더욱 높은 빈도로 관찰되어 사회적으로 건강한 적정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중심단어 : 정상체중, 저체중, 과체중, 식습관, 신체활동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