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 해설자의 공신력이 시청몰입, 시청만족 및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대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방송 해설자의 공신력이 시청몰입, 시청만족 및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강 대 림 본 연구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방송 해설자의 공신력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시청몰입, 시청만족 및 재시청의도를 규명하여 이를 통해 비 선수 출신 해설자의 공신력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축구 동호회, 인천광역시 소재 축구 동호회,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 소재 축구 동호회 및 대학 동아리 구성원 중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 방송을 주 1회 이상 시청하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회수된 설문지는 262부였으며,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 등을 한 12부를 제외한 250부를 최종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방송 해설자의 공신력과 시청몰입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신력의 전문성, 신뢰성요인은 시청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방송 해설자의 공신력과 시청만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신력의 전문성, 신뢰성 요인이 시청만족 하위요인 중 내재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신력의 역동성, 전문성 요인이 시청만족 하위요인 중 외재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방송 해설자의 공신력과 재시청의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신력의 전문성, 신뢰성 요인이 재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스포츠 크리에이터의 공신력이 시청몰입, 시청만족,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스포츠 크리에이터의 공신력이 시청몰입, 시청만족,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돌아보고 향후 스포츠 크리에이터에 의해 제작될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실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 연구에서는 스포츠 크리에이터의 영상을 시청한 적이 있는 이용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목적표본추출법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였다. 총 3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중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 등을 한 11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49부를 최종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PSS WIN 25.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 크리에이터의 공신력 요인 중 전문성, 신뢰성 역동성 요인은 시청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크리에이터의 공신력 요인 중 전문성, 신뢰성 역동성 요인은 시청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크리에이터의 공신력 요인 중 전문성, 신뢰성 역동성 요인은 재시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스포츠 크리에이터들의 공신력이 시청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점점 커지는 뉴미디어 시장의 한 영역으로써 시청자들이 스포츠 크리에이터들에 대해 역동적으로 느끼고 거부감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스스로 신뢰도를 갖추고 전문적인 제작 과정을 성실히 성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In the recent years, ‘new media’ has increasingly gained popularity and has become a new type of entrepreneurship. Consequently, the influence of media content creators is on the constant rise as well as becoming a highly recognized occupation(Park, 2020). Recognized creators and their productions are expanding their territory to the traditional televised channels and vice-versa, which displays their increased influence on the overall media industry(Lee, 2019). Sport channels are also in align with such trend, with thousands of individual channels on YouTube, producing various contents related to sports. Also, well established channel such as ESPN actively distribute contents on YouTube to its 8 million subscribers(YouTube, 2021). Yet, in times where little gatekeeping or requirements are present in creating sports contents, the issue of trust on creators must be a construct of interest within such platforms, which has been widely neglect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ublic’s trust on sports content creators, and its effect on their overall level of immersion, satisfaction, and viewing intention, and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Public trust is defined as receiver-aware expertise and reliability as communicator characteristics that affect communication effects(Hovland & Kelly, 1953). Provocative, uncensored contents on platforms in the sole purpose of attracting views and profiting have the potential to jeopardize this type of trust, degrading the overall quality of contents. While trus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consumers’ immersion and satisfaction(Zhao & Kim, 2020), literature on trust contends that it is also predicts attitudes and purchase (Bickart et al., 2001).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rust may be the key factor that viewers value when consuming sport contents on online platforms. Adults who regularly consume sport contents over online platform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pril 2021, South Korea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Total of 350 sampl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for analysis, using SPSS.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to assess the effect of public trust on immersion, satisfaction, and viewing intention was significant(R2 ranging from 31.2% to 46.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ctors of public trust (reliability, trustworthiness, dynamism)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outcome variables. Additionally,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 on variables. Overall, with the exception of dynamism factor, male viewer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reliability(t=2.85, p=.005), trustworthiness(t-2.51, p=.013), immersion(t=2.35, p=.020), satisfaction(t=3.56, p<.001), and viewing intention(t=2.650, p=.009). The results confirm our assumption that public trust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desired outcome variables. Thus, it can be said that creators can consider establishing a good trust with their viewers in the long-term, rather than focusing on volatile subjects to lure in viewers. Such trust can be expected to play a foundational role in increasing subscribers and number of views. Furthermore, specific measures are called for to attract female viewers who are relatively distant from sports contents. Addition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에 관한 연구 : 인쇄신문과의 비교관점

        김광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6

        새로운 매스미디어로 떠오르고 있는 인터넷신문은 급속도로 빠른 파급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정착되지 못한 미완의 미디어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포지셔닝 작업은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여겨지며 그 한 분야로서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은 더욱 강조되어야 할 영역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공신력 구성요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인터넷신문의 모태가 인쇄신문이면서도 두 매체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이 매우 차별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차이는 인터넷신문의 능동적인 이용자 개념에서 비롯된다고 여겨져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공신력 구성요인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은 매체의 어떠한 속성 즉 매체적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고 이 특성과 공신력 구성요인간의 상관성을 규명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설정했다. <연구문제1>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공신력 구성요인의 차이는 어떠한가? 가설 1-1.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전문성(expertness)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2.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신뢰성(credibility)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문제2> 이용자들의 이용동기에 따라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신뢰성과 전문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가설 2-1. 관행적(ritualized) 이용동기를 가진 이용자들은 인터넷신문 보다 인쇄 신문을 신뢰할 것이다. 가설 2-2. 도구적(instrumental) 이용동기를 가진 이용자들은 인쇄신문 보다 인터넷신문을 전문적이라고 인식할 것이다. <연구문제3>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에 기여하는 요인은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이는 공신력 구성요인과 어떠한 상관성을 맺는가? 3-1. 인터넷신문의 공신력 기여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3-2. 각 인터넷신문은 공신력 구성요인과 매체적 특성간에 어떤 상관성을 가지는가? 이상의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01년 4월13일 광주지역 대학생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대상은 중앙일보 인터넷신문인 조인스닷컴(www.joins.com), 오마이뉴스(www.ohmynews.co.kr), 광주일보 인터넷신문(www.kwangju.co.kr) 등 3개의 인터넷신문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공신력 구성요인간 차이검증 결과 <가설1-1>과 <가설1-2>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아 모두 기각되었다. 그러나 가설검증에 앞서 두 매체의 공신력 측정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인쇄신문은 기존의 매체공신력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나 인터넷신문에서는 새로운 요인이 파생되었다. 연구자는 이를 '공개성'으로 별도로 유목화 했다. 또한 평균값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측정항목간 차이를 보여 가설과 일치하는 방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인터넷신문 이용자의 이용동기에 따라 매체 공신력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가설2-1>과 <가설2-2> 모두 지지되었다. 이로써 관행적 이용 동기를 지닌 이용자들은 미디어의 내용적인 특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내용 외적 가치에 중심을 두고 매체를 활용하고 있어 인터넷신문 보다 인쇄신문을 더 신뢰하게 될 것이며 도구적 이용 동기를 지닌 이용자는 정보의 다양성 및 활용도 등이 높은 인터넷 신문을 인쇄신문에 비해 더욱 전문적인 매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추론을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매체공신력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지는 매체 특성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기여요인은 기술적 특성, 내용적 특성, 상호작용성 등 모두 3가지가 도출되었다. 넷째, 이러한 세 요인과 연구대상 인터넷신문들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체가 안고 있는 내외적 특성에 따라 그 상관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조인스닷컴의 경우 신뢰성과 기술적특성이 정적 상관성을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마이뉴스의 경우 기술적특성과 공개성, 내용적특성과 전문성이 각각 정적 상관성을 맺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광주일보 인터넷신문의 경우 기술적 특성과 신뢰성, 공개성이 상관성을 맺고 있었으며 또한 상호작용성이 신뢰성과 상관성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결과적으로 인터넷신문 이용자들은 그 매체가 갖고 있는 특성에 따라 공신력 기여요인을 달리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공신력 구성요인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이용자/수용자들이 두 매체의 공신력 구성요인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를 유발하는 변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부분적인 지형도를 그려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ternet newspapers have emerged as the new form in the mass media. But even with its rapidly growing influence, it is still being regarded as an incomplete media form. Therefore, positioning internet newspapers in diverse areas has a very significant meaning and one of those areas that must be most emphasized is the source credibility, that is, as regarded by the public in general. In this research, I have compared the factors that form the source credibility of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Internet newspapers are developed from printed newspapers although the communication forms of those media are very different. Also, these differences may be derived from the concept of active users of internet newspapers, so I decided to look into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form source credibility perceived by users. In addition, I investigated what qualities of the media constitute credibility for the internet newspaper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rties and the factors of the perceived credibility.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I set for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Q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form source credibility for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respectively? <H 1-1>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rtness of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H 1-2>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rustworthiness of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Q2> What trustworthiness and expertise differences are there in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depending upon the difference of users' motivation? <H 2-1> Users with ritualized motivation show more credibility on printed newspapers than on internet newspapers. <H 2-2> Users with instrumental motivation will think that internet newspapers are more expertly produced than printed newspapers. <Q3> What factors help contribute the source credibility for internet newspapers and what correlation do they have with the factors that form source credibility? <Q 3-1> What factors are there that help improve source credibility for Internet newspapers? <Q 3-2> What kind of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factors that form source credibility and the media properties of each Internet newspap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I surveyed 248 college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on April 13, 2001. The internet newspapers that were used for research were Joins.com (www.joins.com), an internet newspaper of Choongangilbo Daily, Oh My News (www.ohmynews.co.kr), and Kwangju Ilbo internet Newspaper (www.kwangju.co.kr).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form source credibility for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we found that <Hypothesisl-1> and <Hypothesisl-2> produc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o they was rejected. However, prior to verifying these hypotheses, a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in measuring source credibility for the two media showed that printed newspapers had the same source credibility as research results of the past, but new factors were derived for internet newspapers. I have termed this separately as 'openness'. In addition, comparing the average values between the two media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tems, which supports the hypothesis. Second,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source credibility between the media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the Internet newspaper users, <Hypothesis2-1> and <Hypothesis2-2> were supported. From this, the two hypotheses are supported: Users with ritualized motivation used the media with their focus on the other factor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nd therefore, they rely more on printed newspapers. On the other hand, users with instrumental motivation thought that the Internet newspapers, which is variability and usefulness of information, was a more expert media compared to printed newspapers. Third, after analyzing the responses to the media characteristics that contributes to the media's source credibility, it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factor, which are technical characteristic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vity. Fourth, after performing a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above three characteristics and the researched Internet newspapers, we found that the correlation showed up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side and outsid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n the case of Joins.com, trustworthiness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seemed to be statically related, and in the case of Oh My News, technical characteristics, opennes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expertise all seemed to be statically related. In the case of the Kwangju Ilbo Internet newspaper, technical characteristics, credibility, and openness were all related and interactivity was related to trustworthiness. These analyses show that internet newspaper users evaluate the factors differently that contribute to source credibi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a. This study examined how the users/receivers perceive source credibility-forming factors of the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source credibility-forming factors of the two media, and it is meaningful that we attempted to find out which factors cause these differences.

      • 감정평가업의 공신력 제고를 위한 연구

        송계주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6

        감정평가업은 부동산산업중에서도 핵심격이라 할 수 있으며, 부동산투자․개발․금융과 같은 부동산 결정분야의 활동을 지원하며 그러한 부동산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끔 하는 윤활유 역할을 해오고 있다. 과거의 농경사회에서는 부동산활동이 단순했지만, 현대와 같은 복잡한 산업구조로 변모하면서 부동산활동 역시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부동산활동은 부동산의 경제적 가치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부동산의 경제적 가치를 화폐액으로 표시하는 감정평가사는 그 역할과 기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국가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감정평가사는 전문자격자수의 희소성, 인지도의 부족 등으로 인해 다수 국민들로 부터 사회적으로 주목 받지 못한 직업군에 자리잡고 있었지만, 최근 감정평가사가 전문자격사로서 국가 부동산 정책의 근간인 표준지공시지가, 표준주택 등의 조사․평가업무를 담당하면서 그 중요도가 새롭게 부각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종래 국민들로 부터 부동산업에 종사하는 공인중개사 등에 대한 전통적인 부정적인식에 감정평가사도 예외가 될 수 없는 실정에 있다. 이에 정부에서도 감정평가업계에 대한 국민들의 전반적인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감정평가업계도 협회를 중심으로 감정평가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 제고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자격자의 대량배출로 인한 감정평가업자간의 과당경쟁으로 말미암아 부실감정 등 부적절한 업무수행으로 정부와 국민들로 부터 감정평가업계가 불신을 받고 있어 정부에서는 감정평가에 관한 기본법이라 할 수 있는 부동산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 등의 개정으로 통하여 감정평가사에 대한 공적규제를 크게 강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감정평가업계를 둘러싼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고자 감정평가의 공신력의 저하현상 및 원인을 분석하고, 공신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감정평가업자의 대국민 공신력과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The real estate appraisal business can be said as the core of real estate business. It supports all sorts of activities in the real estate decision, such as investment, development and finance, and also has served to smooth the real estate activities. In an agrarian society, the real estate activities were simple, however, they have become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as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changing more intricately in the modern society. Furthermore, since they have been affected largely by the economic value of the real estate,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appraisers, indicating it as the monetary value, have been more important than before. Despite of the fact that the appraisers have played key roles in the national economy, they were under notice due to the scarcity of the qualified appraisers and the lack of recognition. However, as the appraisers have recently taken charge of review and appraisal of the Officially Assessed Reference Land and Housing Price, their importance has been newly acknowledged. The appraisers, however, have been affected by the conventional negative recognition about the real estate agents. Accordingly, the real estate appraisal business have strived to raise the trust in the appraisal with the association, as well as the government has made efforts to improve the general recognition of the appraisal business. However, since a large number of appraisers have been recently produced, which has boosted the excessive competition among them, it is true that the appraisal business has lost its credit by the inadequate job performances, like an unreliable appraisal. Consequently, the government is strengthening official regulation on the appraisers by revising the Act on Public Notice of Real Estate Price and the Property Appraisal,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fundamental law in the property appraisal. This research aims to inquire into the decline of trust in appraisal, and its reason behind the phenomenon, and further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trust and reliability in appraisers by drawing up the plans to enhance trust.

      • 인터넷뉴스의 공신력에 관한 연구 : 인터넷뉴스 유형간 비교를 중심으로

        유자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6

        인터넷 매체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정보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사람들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획득하는 일 뿐 아니라 인터넷뉴스의 기사를 통해 정보를 얻고 있다. 게다가 인터넷뉴스의 상호작용성과 같은 특징은 타인의 견해나 여론의 기후까지 예측하게 할 만큼 강력한 힘을 갖게 되었다. 최근에는 기존 오프라인 신문사가 운명하는 종속형 인터넷뉴스나 대안언론의 성격을 띠고 출범한 독립형 인터넷뉴스 외에 포털 사이트가 운영하는 포털형 인터넷뉴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그곳의 뉴스와 정보의 진실성과 같은 것들은 더욱 중요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잘못된 정보나 신뢰와 같은 것들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게 된다.많은 인터넷 이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포털 뉴스 서비스에 대한 평가나 이용자의 이용 행위 등에 관한 연구는 포털의 그 이용수준에 비해 아직 미흡하다. 그 이유는 포털 뉴스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한지 기간이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인데, 포털 뉴스에 관한 연구들은 최근 다양한 방면에서 진행 중에 있을 것이며 본 연구도 그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종속형 인터넷뉴스, 독립형 인터넷뉴스, 포털형 인터넷뉴스를 구분하여 매체 이용자들이 이들 공신력을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터넷 이용량과 의존도, 정보확인성이 매체 공신력 지각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첫번째 연구문제는 포털 뉴스의 공신력은 존재하는가. 그리고 그 수준은 어떠한가에 대한 것이다. 연구결과 종속형 인터넷뉴스의 공신력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독립형 인터넷뉴스, 포털형 인터넷뉴스 순이었다. 포털형 인터넷뉴스의 공신력은 ‘보통이다’ 보다도 낮은 수준이었다. 공신력 구성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에도 포털형은 각 항목 모두 가장 낮은 공신력 지각을 나타냈으며 특히 심층성과 윤리성에 있어서는 더욱 공신력이 낮았다. 물론 본 연구에서, ‘매체의 공신력이 낮다.’는 것은 ‘이용자들이 그 매체의 공신력을 낮게 지각하였다.’를 의미한다.두 번째 연구문제를 통해 매체 이용량과 공신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공신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관한 연구들 중 매체를 많이 이용하면 이용할수록 그 매체의 공신력이 상승한다는 결과들이 있다. 그러나 연구결과는 포털형 인터넷뉴스에서만 이용량과 공신력만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른 인터넷뉴스 매체에서는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포털형 인터넷뉴스를 많이 이용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포털형 인터넷 뉴스의 공신력을 높게 지각한다고 말할 수 있다.셋째로, 태도에 해당하는 의존도를 변인과 공신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응답자들은 뉴스를 얻기 위해 매체 선택으로 종속형 인터넷뉴스를 가장 선호했으며, 심리적으로 가장 많이 의지하고 있는 매체는 포털형 인터넷뉴스라고 답하였다. 또 의존도와 공신력의 상관관계는 선호와 공신력의 상관관계가 현재 의존하고 있다는 심리적 의존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사람들은 공신력이 높은 매체를 앞으로 선택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정보확인성(Verification)이 공신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사를 작성한 언론사의 권위를 확인하느냐는 질문에 종속형 인터넷 뉴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업데이트나 기사의 정확성 확인에 대해서는 포털형 인터넷뉴스일수록 더 많은 정보확인 행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형과 독립형의 공신력은 정보확인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포털형의 경우 정보를 많이 확인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 매체 공신력을 높이 평가하는 것은 아니었다. Internet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information resource. People not only search th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ut also get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news using dependent internet news, independent internet news, portal internet news. Lately, portal internet news become indispensable source to people. The more people use the internet news, the more important the credibility of the internet is. Therefore we should charge the media with responsibility on providing wrong information.In this research, I divided internet news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dependent internet news, independent internet news, portal internet n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kind of credibility factors are seen as prominent factors and to find the correlation of uses, reliance, and verification of internet news. This three variables are closely related with credibility of media.RQ1: How does user perceive the credibility of the internet news?1-1 : How does user perceive the credibility depending on media type?1-2 : How does user perceive the factors of credibility depending on media type ? RQ2: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internet news uses and credibility?RQ3: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internet news reliance and credibility?RQ4: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internet news verification and credibility?To resolve these questions, I surveyed 305 undergraduate students in university. The finding is that dependent internet news is perceived highly credible, and portal internet news is the lowest credibility among three types of the media. Moreover, when I look over the factors including believability, accuracy, bias, depth, and ethical, people checked the lowest point on the portal internet news. Naturally, 'Low credibility' means that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media low' in this paper.On second research question, 'only portal uses' has positive relation with credibility. Third, reliance is about attitude and it is divided into preference and psychological reliance. Preference has more positive relation with credibility than reliance meaning 'I rely on the media now.' Users say if they have to choose a medium for news, they want a dependent internet news. But they think they rely on portal news the most psychologically.Finally the relation between credibility and verification is found on dependent and independent news. But in case of portal, for verifying the information more doesn't mean high credibility.Based on the result, users consider dependent internet news, managed by off-line newspaper companies highly credible. However, they actually rely on (use) portal internet news even though they think those portal internet news are less credible.

      •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기능성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박은숙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6

        이 연구 논문은 기능성 화장품 제품군에서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에 따른 광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의도로 쓰여졌다.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원(source)은 크게 제품 옹호인(모델)과 기업으로 나뉘어 질 수 있는데, 모델의 공신력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가 많았던 반면, 상대적으로 기업이라는 정보원이 광고 및 브랜드에 대한 평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골드스미스 등(Goldsmith, Lafferty and Newell 2000)은 모빌(Mobil)이라는 석유회사 광고를 활용한 실험 연구를 통해, 모델의 공신력이 광고태도에는 직접적으로, 제품태도에는 광고태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기업의 공신력은 광고태도와 제품태도, 구매의도 각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혀 기업의 공신력 또한 모델의 공신력 못지않게 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부각시켰고, 김정현과 김자경(2002)은 저관여 제품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모형을 국내에서 검증하여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화장품은 여성들에게 있어 고관여, 감성적 제품에 속한다. 따라서 기존의 많은 화장품 광고에서는 제품의 기능적 속성보다는 유명인, 특히 연예인 모델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정서적 동화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어왔고, 그만큼 모델의 중요성이 크다고 인식되어져 왔다. 따라서 화장품 광고에 관한 연구 역시 대개 유명인 모델의 공신력과 이에 따른 광고 효과에 초점을 두고 연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등장하여 확산되고 있는 기능성화장품의 경우, 정부기관 및 관련 업계로부터 기존의 일반화장품보다 기능적 효과가 뛰어나다고 인정받고 있고, 여성들이 구입시 제품의 효능·효과를 가장 중요시하는 등 이성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어 기존 화장품과 차별화되므로, 단순히 유명인 모델의 등장만으로 구매의도까지 유발시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오히려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 대한 신뢰도가 제품의 기능에 대한 신뢰도에 더 크고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질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능성화장품이라는 제품군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 옹호인, 그 중에서도 유명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능성화장품 제품군을 중심으로, 기존 유명 기업의 브랜드인 경우와 신규 무명 기업의 브랜드인 경우를 구분하여 유명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모델의 공신력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연구문제 2> 기업의 공신력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연구문제 3>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의 영향력 중 어느 요인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인가? <연구문제 4> 유명 기업과 무명 기업의 경우,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의 영향은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능성화장품의 주요 대상인 25∼54세 주부 16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무명 기업의 유명 모델 광고, 유명 기업의 유명 모델 광고 2편을 임의로 제작하여 주부들에게 광고를 보여준 다음 해당 광고에 대한 설문(모델의 공신력 및 기업 공신력,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등 소비자 반응에 관한 항목들)을 실시하였는데,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실제로 존재하는 기업 브랜드 '태평양'과 무명의 가상 브랜드 '월드코스메틱'을 선정하였다. 본 실험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을 통해 모델의 공신력이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결과 모델의 공신력은 광고 태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는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를 통해서는 기업의 공신력이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기업의 공신력은 광고태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브랜드태도에는 대체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매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연구들과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령대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기업의 공신력은 상대적으로 젊은 소비자에게 중요한 고려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되는 또 다른 점은 광고태도가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는 점으로, 이는 기존 연구들이 저관여 제품만을 대상으로 실시된 반면 기능성화장품은 조사대상인 여성들에게 고관여 제품에 속하므로 소비자들이 구매 의사 결정에 더 신중을 기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문제 3>을 통해서는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 중 어느 것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요인인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광고태도에는 모델의 공신력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는 모델의 공신력보다 기업의 공신력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태도에 대해 모델의 공신력은 광고태도를 통한 간접효과만을 지니지만, 기업의 공신력은 직접효과 및 광고 태도를 통한 간접효과를 동시에 갖는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문제 4>를 통해서는 기업의 유명도에 따라 모델의 공신력과 기업의 공신력 중 상대적으로 어느 쪽이 더 중요한 요인이 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는데, 무명기업일 경우 기업 공신력이 광고 태도 및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 그 중요도가 크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실증적 분석 결과,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는 모델 공신력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는 기업 공신력의 영향이 모델의 공신력보다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능성 화장품이라는 제품군의 속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화장품 광고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어떤 기업의 제품이냐 라는 것보다 누가 모델로 출연하였느냐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되지만, 화장품 광고를 통해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거나 구매의도까지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공신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날로 성장하는 기능성화장품 제품군과 광고에 대한 이해를 높여 보다 효과적인 화장품 광고 제작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dorser credibility and corporate credibility on advertisements; on attitude-toward-the-ad(Aad), attitude-toward-the-brand(Ab), and purchase intentions(PI). Advertisers frequently use endorsers as credible sources to influence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Endorser or spokesperson credibility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academic literature. In this context, endorser credibility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the source is perceived as possessing attractiveness, expertise relevant to the communication topic and can be trusted to give an objective opinion on the subject. Corporate credibility-the reputation of a company for honesty and expertise- is another type of source credibility that can influence consumer reactions to ads and shape bran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Goldsmith, Lafferty and Newell(2000) showed that corporate credibility works through all of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variables, while endorser credibility works only through its impact on Aad and Aad's effects on other variables. Kim and Kim(2002) demonstrated their study in the context of 4 low involvement products in Korea, and met with the same results. Their study, however, did not test for high involvement products. This study extends their findings by using two fictitious but realistic ads in testing simulation to test a model of the simultaneous relationship among corporate and endorser credibility and measure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This study seeks to test a model of the combined effects of endorser and corporate credibility on reaction to advertising. To this end,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H1 : Endorser credibility influences positively on attitude-toward-the-ad, attitude-toward-the-brand, and purchase intentions. H2 : Corporate credibility influences positively on attitude-toward-the-ad, attitude-toward-the-brand, and purchase intentions. H3 : Endorser credibility and corporate credibility make different impacts on attitude-toward-the-ad, attitude-toward-the-brand, and purchase intentions. H4 : The advertising effects of endorser credibility and corporate credibility are different in the context of high and low credibility of companies. I surveyed 161 female consumers in the age of 25~54. Two advertising copies of a new brand 'Miracle' with the same model 'Kim Hee-ae' were sampled for this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ir corporate credibility: ① Ad of Taepyungyang, the most famous cosmetics company in Korea, that is assumed of more credibility, ② Ad of World Cosmetics, a not-known company, of less credibility. They rated the credibility of the ad's endorser, the credibility of the companies, and Aad, Ab, and PI.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ath analysis confirmed that endorser credibility had the most direct and strong impact on Aad, while corporate credibility had its strongest impact on Ab. The findings suggest that corporate credibi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s' reactions to brands, independent of the equally important role of endorser credibility. But corporate credibility did not influence on PI, and there was no direct effect on PI of Aad in comparison with the preceding studies. It might be accounted for the difference of product involvements. The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consumers' age was found. It was found that the older a consumer was, the advertising effect of endorser credibility was higher. In contrast, those in their 20's and 30's were affected more by corporate credibility in terms of their Ab. And the advertising effects of endorser credibility and corporate credibility were partially different in the different type of ads. Corporate credibility played more important role in consumers' reactions to ads and brands in the ad of World Cosmetics which had less credibility. From these results, we can see that endorser credibility and corporate credibility influence on Aad, Ab, and PI in a little different ways. Future studies should attempt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impact of both corporate credibility and endorser credibility in models containing a variety of additional constructs.

      • 모델의 공신력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배준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의 목적은 모델의 공신력이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독립변인은 모델의 공신력이고 종속변인은 광고효과로 하여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은 국내 신사복의 경우를 대상으로 하여 모델의 공신력과 광고효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문제1] 광고모델의 공신력은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가설1] 광고모델의 공신력은 상품명 회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광고모델의 공신력은 광고 회상에 영향을 긍정적인 미칠 것이다. [가설3] 광고모델의 공신력은 브랜드 태도(호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 광고모델의 공신력은 브랜드 태도(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5] 광고모델의 공신력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문제2] 모델에 대한 정보가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가설 1] 모델에 대한 정보가 광고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독립 변인으로 사전 조사에 의해 입증된 공신력 순서대로 패션기업 최고경영자, 패션 디자이너, 유명 연예인, 일반 직장인 각 한명씩을 선정하여, 똑같은 신사복 광고에 모델만 달리한 인쇄광고를 만들어 조사하였다. 조사의 대상은 고급 기성복 신사복을 직, 간접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수도권 직장인 200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빈도분석, 신뢰도 검사,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 0.0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검정하였다. 또한 설문 문항간 사이에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F-test를 실시하였으며, 공신력에 따른 광고효과별 영향 분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순서형 로짓 모형(Ordinal Logit Model)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모델의 공신력과 광고효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공신력의 4가지 구성요소(신뢰성, 전문성, 매력, 유사성)중에서 특정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광고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고모델의 인물정보에 따른 광고효과는 무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실험집단에 사용한 인쇄광고물에는 모델에 대한 직업을 기입하였고, 통제집단에 사용한 인쇄광고물에는 모델에 대한 직업을 기입하지 않고 설문자들에게 노출 시킨 결과, 두 집단의 광고효과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목적은 거시적으로는 광고 효과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광고 모델에 대한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광고 전략을 수립하는데 전략적 제언을 하고자 함이며, 세부적으로는 광고모델의 공신력의 어떠한 부분들이 광고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세부적인 광고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whether the credibility of a the model exerts any effect on advertising. In this study, the dependence variable is the effect of advertising, and the independence variable is the credibility of the models. The credibility is composed of trustworthiness, expertise, attractiveness, similarity elements. The effect of advertising is measured by the levels of the product name recall, advertisement recall, brand attitude, and purchase. Through a pilot survey, models with different level of credibility are selected in the field of men's suit. The order of credibility level is (1) CEO of fashion business, (2) fashion designer, (3) celebrity entertainer and (4) clerical worker. Four models are selected from each category. Four posters advertising fictitious men's suit are provided with one model from each credibility level category. For the survey, 200 interviewees are randomly sampled from those living in the metropolitan, who are presumed to be capable of purchasing expensive ready-made men's suit. For the experiment groups, the advertising posters with model's job title was showed, while the advertising posters without model's job title was showed to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re is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bout the effect of advertising. The completed interview schedules are statistically analyzed to fi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odel's credibility and the effect of adverti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Ordinal Logit Model, F-test for independent samples, and were conduct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Collected questionnaire analyzed using SPSS 12.0 statistics packag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In advertising men's suit, model's credibility has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ffect of advertising. Among the four elements of credibility,(i.e. trustworthiness, expertise, attractiveness, similarity), the similarity has direct effect in the product name recall, most effective in the advertisement recall, and the highest influence on brand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 trustworthiness is the most important main cause of purchase that is ultimate purpose of advertis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ls showed no influence on the effect of advertising.

      • 뉴스앵커와 연예오락프로그램진행자의 공신력에 대한 인식차이연구

        신영일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6

        뉴스앵커의 공신력은 그동안 여러차례 연구가 진행되었다 여기서는 공신력의 영역을 확장해 연예오락 진행자의 그것을 살펴보고 양자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