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포츠 크리에이터의 공신력이 시청몰입, 시청만족,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스포츠 크리에이터의 공신력이 시청몰입, 시청만족,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돌아보고 향후 스포츠 크리에이터에 의해 제작될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실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 연구에서는 스포츠 크리에이터의 영상을 시청한 적이 있는 이용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목적표본추출법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였다. 총 3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중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 등을 한 11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49부를 최종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PSS WIN 25.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 크리에이터의 공신력 요인 중 전문성, 신뢰성 역동성 요인은 시청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크리에이터의 공신력 요인 중 전문성, 신뢰성 역동성 요인은 시청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크리에이터의 공신력 요인 중 전문성, 신뢰성 역동성 요인은 재시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스포츠 크리에이터들의 공신력이 시청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점점 커지는 뉴미디어 시장의 한 영역으로써 시청자들이 스포츠 크리에이터들에 대해 역동적으로 느끼고 거부감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스스로 신뢰도를 갖추고 전문적인 제작 과정을 성실히 성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In the recent years, ‘new media’ has increasingly gained popularity and has become a new type of entrepreneurship. Consequently, the influence of media content creators is on the constant rise as well as becoming a highly recognized occupation(Park, 2020). Recognized creators and their productions are expanding their territory to the traditional televised channels and vice-versa, which displays their increased influence on the overall media industry(Lee, 2019). Sport channels are also in align with such trend, with thousands of individual channels on YouTube, producing various contents related to sports. Also, well established channel such as ESPN actively distribute contents on YouTube to its 8 million subscribers(YouTube, 2021). Yet, in times where little gatekeeping or requirements are present in creating sports contents, the issue of trust on creators must be a construct of interest within such platforms, which has been widely neglect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ublic’s trust on sports content creators, and its effect on their overall level of immersion, satisfaction, and viewing intention, and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Public trust is defined as receiver-aware expertise and reliability as communicator characteristics that affect communication effects(Hovland & Kelly, 1953). Provocative, uncensored contents on platforms in the sole purpose of attracting views and profiting have the potential to jeopardize this type of trust, degrading the overall quality of contents. While trus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consumers’ immersion and satisfaction(Zhao & Kim, 2020), literature on trust contends that it is also predicts attitudes and purchase (Bickart et al., 2001).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rust may be the key factor that viewers value when consuming sport contents on online platforms. Adults who regularly consume sport contents over online platform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pril 2021, South Korea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Total of 350 sampl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for analysis, using SPSS.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to assess the effect of public trust on immersion, satisfaction, and viewing intention was significant(R2 ranging from 31.2% to 46.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ctors of public trust (reliability, trustworthiness, dynamism)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outcome variables. Additionally,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 on variables. Overall, with the exception of dynamism factor, male viewer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reliability(t=2.85, p=.005), trustworthiness(t-2.51, p=.013), immersion(t=2.35, p=.020), satisfaction(t=3.56, p<.001), and viewing intention(t=2.650, p=.009). The results confirm our assumption that public trust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desired outcome variables. Thus, it can be said that creators can consider establishing a good trust with their viewers in the long-term, rather than focusing on volatile subjects to lure in viewers. Such trust can be expected to play a foundational role in increasing subscribers and number of views. Furthermore, specific measures are called for to attract female viewers who are relatively distant from sports contents. Addition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 해설자의 공신력이 시청몰입, 시청만족 및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대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방송 해설자의 공신력이 시청몰입, 시청만족 및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강 대 림 본 연구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방송 해설자의 공신력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시청몰입, 시청만족 및 재시청의도를 규명하여 이를 통해 비 선수 출신 해설자의 공신력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축구 동호회, 인천광역시 소재 축구 동호회,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 소재 축구 동호회 및 대학 동아리 구성원 중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 방송을 주 1회 이상 시청하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회수된 설문지는 262부였으며,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 등을 한 12부를 제외한 250부를 최종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방송 해설자의 공신력과 시청몰입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신력의 전문성, 신뢰성요인은 시청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방송 해설자의 공신력과 시청만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신력의 전문성, 신뢰성 요인이 시청만족 하위요인 중 내재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신력의 역동성, 전문성 요인이 시청만족 하위요인 중 외재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국내 중계방송 해설자의 공신력과 재시청의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신력의 전문성, 신뢰성 요인이 재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에 관한 연구 : 인쇄신문과의 비교관점

        김광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6

        새로운 매스미디어로 떠오르고 있는 인터넷신문은 급속도로 빠른 파급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정착되지 못한 미완의 미디어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포지셔닝 작업은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여겨지며 그 한 분야로서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은 더욱 강조되어야 할 영역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공신력 구성요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인터넷신문의 모태가 인쇄신문이면서도 두 매체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이 매우 차별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차이는 인터넷신문의 능동적인 이용자 개념에서 비롯된다고 여겨져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공신력 구성요인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은 매체의 어떠한 속성 즉 매체적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고 이 특성과 공신력 구성요인간의 상관성을 규명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설정했다. <연구문제1>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공신력 구성요인의 차이는 어떠한가? 가설 1-1.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전문성(expertness)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2.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신뢰성(credibility)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문제2> 이용자들의 이용동기에 따라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신뢰성과 전문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가설 2-1. 관행적(ritualized) 이용동기를 가진 이용자들은 인터넷신문 보다 인쇄 신문을 신뢰할 것이다. 가설 2-2. 도구적(instrumental) 이용동기를 가진 이용자들은 인쇄신문 보다 인터넷신문을 전문적이라고 인식할 것이다. <연구문제3>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에 기여하는 요인은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이는 공신력 구성요인과 어떠한 상관성을 맺는가? 3-1. 인터넷신문의 공신력 기여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3-2. 각 인터넷신문은 공신력 구성요인과 매체적 특성간에 어떤 상관성을 가지는가? 이상의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01년 4월13일 광주지역 대학생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대상은 중앙일보 인터넷신문인 조인스닷컴(www.joins.com), 오마이뉴스(www.ohmynews.co.kr), 광주일보 인터넷신문(www.kwangju.co.kr) 등 3개의 인터넷신문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공신력 구성요인간 차이검증 결과 <가설1-1>과 <가설1-2>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아 모두 기각되었다. 그러나 가설검증에 앞서 두 매체의 공신력 측정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인쇄신문은 기존의 매체공신력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나 인터넷신문에서는 새로운 요인이 파생되었다. 연구자는 이를 '공개성'으로 별도로 유목화 했다. 또한 평균값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측정항목간 차이를 보여 가설과 일치하는 방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인터넷신문 이용자의 이용동기에 따라 매체 공신력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가설2-1>과 <가설2-2> 모두 지지되었다. 이로써 관행적 이용 동기를 지닌 이용자들은 미디어의 내용적인 특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내용 외적 가치에 중심을 두고 매체를 활용하고 있어 인터넷신문 보다 인쇄신문을 더 신뢰하게 될 것이며 도구적 이용 동기를 지닌 이용자는 정보의 다양성 및 활용도 등이 높은 인터넷 신문을 인쇄신문에 비해 더욱 전문적인 매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추론을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매체공신력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지는 매체 특성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기여요인은 기술적 특성, 내용적 특성, 상호작용성 등 모두 3가지가 도출되었다. 넷째, 이러한 세 요인과 연구대상 인터넷신문들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체가 안고 있는 내외적 특성에 따라 그 상관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조인스닷컴의 경우 신뢰성과 기술적특성이 정적 상관성을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마이뉴스의 경우 기술적특성과 공개성, 내용적특성과 전문성이 각각 정적 상관성을 맺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광주일보 인터넷신문의 경우 기술적 특성과 신뢰성, 공개성이 상관성을 맺고 있었으며 또한 상호작용성이 신뢰성과 상관성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결과적으로 인터넷신문 이용자들은 그 매체가 갖고 있는 특성에 따라 공신력 기여요인을 달리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인터넷신문과 인쇄신문의 공신력 구성요인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이용자/수용자들이 두 매체의 공신력 구성요인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를 유발하는 변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부분적인 지형도를 그려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ternet newspapers have emerged as the new form in the mass media. But even with its rapidly growing influence, it is still being regarded as an incomplete media form. Therefore, positioning internet newspapers in diverse areas has a very significant meaning and one of those areas that must be most emphasized is the source credibility, that is, as regarded by the public in general. In this research, I have compared the factors that form the source credibility of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Internet newspapers are developed from printed newspapers although the communication forms of those media are very different. Also, these differences may be derived from the concept of active users of internet newspapers, so I decided to look into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form source credibility perceived by users. In addition, I investigated what qualities of the media constitute credibility for the internet newspaper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rties and the factors of the perceived credibility.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I set for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Q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form source credibility for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respectively? <H 1-1>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rtness of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H 1-2>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rustworthiness of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Q2> What trustworthiness and expertise differences are there in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depending upon the difference of users' motivation? <H 2-1> Users with ritualized motivation show more credibility on printed newspapers than on internet newspapers. <H 2-2> Users with instrumental motivation will think that internet newspapers are more expertly produced than printed newspapers. <Q3> What factors help contribute the source credibility for internet newspapers and what correlation do they have with the factors that form source credibility? <Q 3-1> What factors are there that help improve source credibility for Internet newspapers? <Q 3-2> What kind of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factors that form source credibility and the media properties of each Internet newspap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I surveyed 248 college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on April 13, 2001. The internet newspapers that were used for research were Joins.com (www.joins.com), an internet newspaper of Choongangilbo Daily, Oh My News (www.ohmynews.co.kr), and Kwangju Ilbo internet Newspaper (www.kwangju.co.kr).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form source credibility for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we found that <Hypothesisl-1> and <Hypothesisl-2> produc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o they was rejected. However, prior to verifying these hypotheses, a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in measuring source credibility for the two media showed that printed newspapers had the same source credibility as research results of the past, but new factors were derived for internet newspapers. I have termed this separately as 'openness'. In addition, comparing the average values between the two media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tems, which supports the hypothesis. Second,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source credibility between the media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the Internet newspaper users, <Hypothesis2-1> and <Hypothesis2-2> were supported. From this, the two hypotheses are supported: Users with ritualized motivation used the media with their focus on the other factor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nd therefore, they rely more on printed newspapers. On the other hand, users with instrumental motivation thought that the Internet newspapers, which is variability and usefulness of information, was a more expert media compared to printed newspapers. Third, after analyzing the responses to the media characteristics that contributes to the media's source credibility, it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factor, which are technical characteristic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vity. Fourth, after performing a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above three characteristics and the researched Internet newspapers, we found that the correlation showed up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side and outsid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n the case of Joins.com, trustworthiness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seemed to be statically related, and in the case of Oh My News, technical characteristics, opennes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expertise all seemed to be statically related. In the case of the Kwangju Ilbo Internet newspaper, technical characteristics, credibility, and openness were all related and interactivity was related to trustworthiness. These analyses show that internet newspaper users evaluate the factors differently that contribute to source credibi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a. This study examined how the users/receivers perceive source credibility-forming factors of the Internet newspapers and printed newspapers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source credibility-forming factors of the two media, and it is meaningful that we attempted to find out which factors cause these differences.

      • 보험을 활용한 부동산등기 공신력 부여 효과 연구

        황세은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6

        As real right over immovable has an absolute effect from its nature and it can be set up against a third person, a public record, registration is prepared and used for the safety and promptness of transaction which we aims at, by making a public notice of legal relation on it. As the registration system in Korea grants public notice effect, but doesn't grant public trust effect and also it adopts formal review system, there are possibilities of incorrect registration. It means that the person who trusts the details officially notified by a registration and transacts is not protected.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dynamic safety is not protected. At early stage,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in Korea was proceeded in a manual process and so it had the limitation to grant public trust. However, due to the streams of times and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the awareness that it is necessary to protect a third person acting in good faith by granting public trust in current real estate registration which has imperfections of various types institutionally is growing. It means the measure which protects static safety(protecting a person privileged to registration) with dynamic safety(protecting a third person who trusts in registration and transacts), that is, it is to keep in check an incorrect registration and grant public trust. Therefore, the reviews on various systems are being done in a market. The Owner's Title Insurance which was already introduced to the country is a private system among these systems. As Title Insurance keeps the current registration system and protects a third person acting in good faith who trusts in registration and transacts, the effect on granting public trust occurs. Consequentially, it is to protect dynamic safety together with static safety. If a product which covers only 'the authenticity of the principal and the facts of sales' (so called, 'registration insurance') among various coverage area of Title Insurance is developed and insured obligatorily, the effect on granting public trust occurs. Also, if it is managed as an integrated system such as Car Insurance or Indemnity Health Insurance for actual medical expense, dual transactions and dual registrations can be augmentatively blocked. Therefore, it is judged as the measure to minimize national cost and social confusion and show maximum effect with keeping the current legal system(not granting public trust). 부동산물권은 성질상 절대적 효력을 가져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법률관계를 공시함으로써 거래안전과 신속을 기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편으로 등기라는 공적 장부를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등기제도는 효력에서는 공시력은 인정하나 공신력을 인정하지 않고, 절차에서는 형식적 심사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부실등기의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등기로 공시된 내용을 신뢰하여 거래한 자를 보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동적 안전을 보호 하지 않는다. 우리나라 부동산 등기부는 초기에는 수작업으로 작성이 되어 등기의 공신력을 인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는데, 이제는 시대적 흐름과 사회적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제도적으로 미비한 점이 많은 현행 부동산등기에 공신력을 인정하여 선의의 제3자를 보호할 필요가 있음을 점점 인식하고 있다. 이는 동적 안전을 보호(등기를 믿고 거래한 제3자 보호)하면서 정적 안전을 보호(부동산물권에 관한 진정한 권리자 보호)하는 방안 즉, 부실등기를 방지하면서 공신력을 인정하는 것인데 이와 관련하여 대법원 및 학계에서는 여러 가지 제도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국내에 기 도입된 소유권용 권리보험이란 사적제도가 있다. 권리보험은 현행 등기체제를 유지하면서 등기를 믿고 거래한 선의의 제3자를 보호하므로 등기에 공신력을 부여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정적 안전을 보호 하면서 동적 안전도 보호하는 것이다. 권리보험의 여러 가지 보장영역 중‘본인의 진정성 및 매매사실’만 보장하는 상품(일명‘등기보험’)을 개발하여 이를 의무보험화하면 등기에 공신력을 부여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자동차보험이나 실손의료보험처럼 통합시스템으로 관리하면 부가적으로 이중거래 및 이중등기도 차단하게 되어, 현행 법체계를 유지(공신력을 부정)하면서 국가적 비용 및 사회적 혼란을 최소화하고 최대의 효과가 발휘되는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 不動産登記의 公信力에 관한 硏究

        김인철 漢陽大學校 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7806

        無權利者로부터 權利를 讓受하면 無權利者가 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公信의 原則이 채택되면 無權利者로부터 讓受하더라도 公示를 신뢰하여 거래한 자는 權利를 갖게 되는 것이며 이것은 결국 公示에다 眞實의 權利關係와는 상관없이 獨自的인 效力을 인정하는 것이다. 우리民法上 動産物權의 公示方法인 占有에는 公信力이 인정되나 不動産物權의 公示方法인 登記에는 公信力이 인정되고 있지 않다. 독일, 스위스, 그리고 미국의 토렌스 登記制度에 있어서는 登記의 公信力이 인정되고 있으며 프랑스에서는 登記의 公信力은 인정되지 않으나 原因證書의 公證制度의 활용으로 去來安全이 보호되고 결과적으로 登記의 公信力이 인정된 것과 동일하며 일본민법은 登記에 公信力은 인정하지 않으나 일본민법 제94條 2항 類推適用論 등의 이론을 전개하여 이를 補完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不動産去來安全과 抵當權의 流通을 위해 登記에 公信力을 인정하여야 하지 않을까하는 것이 立法論上 중요한 문제가 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登記에 公信力을 인정함에 있어 不實登記 발생의 가능성이 가장 큰 장애가 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登記公務員의 實質的 審査權, 原因證書의 公證制度등이 채용되지 않았고 登記簿와 臺帳에도 문제가 있으며 登記主義가 跛行的으로 운영되는 것 등이 그 원인이라 하겠다. 現行法下에서도 不動産物權去來의 제3자 보호규정이 있으나 不完全함을 알 수 있다. 實質的 審査主義, 登記原因證書의 公證, 國家補償制度 등의 制度의 整備가 公信力 인정의 前提的 基礎이냐에 대해서는 견해의 대립이 있으나 어쨌든 이러한 制度의 整備없이 現實에 있어서 不實登記의 가능성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登記에 公信力을 인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원래 登記의 公信力은 登記가 특별한 예외적 사정이 없는 한 眞實한 權利關係에 부합한다는 신뢰에 기초하여 인정되는 것이며 登記와 實體的 權利關係가 一致하지 않는 데 公信力을 부여하면 사기꾼만을 보호하는 것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登記에 公信力을 인정하여 去來의 安全을 도모하는 것이 理想이라 하겠으나 現實的으로는 이러한 制度의 整備없이는 그 施行에 어려움이 많으므로 우선적으로 登記公務員에게 實質的 審査權을 부여하고 登記原因證書의 公證制度를 채택하여 不實登記의 가능성을 최소로 하고 결국에 登記의 公信力을 인정하여 去來의 安全을 도모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Generally, one who inherits a right from nonrightful person could not get a real right. But in case of adopting the principle of public confidence (Prinzip des o¨ffentlichen Glaubens), the assignee relying on public notification shall be guarranted by the authorities even if the assigner were not a substantial right-holder. By Korean civil law, 'occupation' is public notification method of movable estate while 'registration' is that of real estate. According to the law, the right of 'occupied' movables could get the force of public confidence (o¨ffentlicher Glaube). While the right of 'registrated' realties could get none. It means that the registration itself as a method of public notification could not hole the force of public confidence. In short, the force of public confidence by registrating real estate is not acknowledged under Korean civil law. According to TORRENS SYSTEM of the U.S., the right of real estate could be publicly confied. And the principle of public confidence is adopted in Germany and Switzerland. Meanwhile, in France, for the purpose of safeguarding business transactions, notary system of contracts has been put to practical use. Japanese civil law does not adopt the principle of public confidence, but in practice, article 94 clause 2 of it is analogically applicated. It is knotty legislative problem whether to institutionalize the principle of public confidence or not in relevance to circulation of mortgage and safeguarding business transaction. There are so many hurdles in the way to adoptation of the principle of public confidence; lack of substantial screening system, unequipment of notary system of contracts and limping operation of procedure caused by formalism in registration. And even though current civil law has got some weapons of articles to guarrantee business transactions security, it seems noway sufficiciently equipped. There are two major streams of viewpoint on this problem, The first one is this; it is necessary that full equipment of relevant systems mentioned above should precede adopting the principle of public confidence. And the second one is this; it does not put a premise that full equipment of relevant system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in advance to adopting the principle of pubic confidence. In my opinion, it is difficult in reality without institutional arrangement to adopt the principle of public confidence in real estate registration. Hence I think that first of all the officer of registration should be endowed with substantial screening competence and the notary system of contracts be adopted to minimize the probability of incomplete registrating. And then we can find the way authorization of the force of public confidence in real estate registration.

      • 인터넷뉴스의 공신력에 관한 연구 : 인터넷뉴스 유형간 비교를 중심으로

        유자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6

        인터넷 매체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정보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사람들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획득하는 일 뿐 아니라 인터넷뉴스의 기사를 통해 정보를 얻고 있다. 게다가 인터넷뉴스의 상호작용성과 같은 특징은 타인의 견해나 여론의 기후까지 예측하게 할 만큼 강력한 힘을 갖게 되었다. 최근에는 기존 오프라인 신문사가 운명하는 종속형 인터넷뉴스나 대안언론의 성격을 띠고 출범한 독립형 인터넷뉴스 외에 포털 사이트가 운영하는 포털형 인터넷뉴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그곳의 뉴스와 정보의 진실성과 같은 것들은 더욱 중요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잘못된 정보나 신뢰와 같은 것들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게 된다.많은 인터넷 이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포털 뉴스 서비스에 대한 평가나 이용자의 이용 행위 등에 관한 연구는 포털의 그 이용수준에 비해 아직 미흡하다. 그 이유는 포털 뉴스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한지 기간이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인데, 포털 뉴스에 관한 연구들은 최근 다양한 방면에서 진행 중에 있을 것이며 본 연구도 그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종속형 인터넷뉴스, 독립형 인터넷뉴스, 포털형 인터넷뉴스를 구분하여 매체 이용자들이 이들 공신력을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터넷 이용량과 의존도, 정보확인성이 매체 공신력 지각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첫번째 연구문제는 포털 뉴스의 공신력은 존재하는가. 그리고 그 수준은 어떠한가에 대한 것이다. 연구결과 종속형 인터넷뉴스의 공신력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독립형 인터넷뉴스, 포털형 인터넷뉴스 순이었다. 포털형 인터넷뉴스의 공신력은 ‘보통이다’ 보다도 낮은 수준이었다. 공신력 구성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에도 포털형은 각 항목 모두 가장 낮은 공신력 지각을 나타냈으며 특히 심층성과 윤리성에 있어서는 더욱 공신력이 낮았다. 물론 본 연구에서, ‘매체의 공신력이 낮다.’는 것은 ‘이용자들이 그 매체의 공신력을 낮게 지각하였다.’를 의미한다.두 번째 연구문제를 통해 매체 이용량과 공신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공신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관한 연구들 중 매체를 많이 이용하면 이용할수록 그 매체의 공신력이 상승한다는 결과들이 있다. 그러나 연구결과는 포털형 인터넷뉴스에서만 이용량과 공신력만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른 인터넷뉴스 매체에서는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포털형 인터넷뉴스를 많이 이용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포털형 인터넷 뉴스의 공신력을 높게 지각한다고 말할 수 있다.셋째로, 태도에 해당하는 의존도를 변인과 공신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응답자들은 뉴스를 얻기 위해 매체 선택으로 종속형 인터넷뉴스를 가장 선호했으며, 심리적으로 가장 많이 의지하고 있는 매체는 포털형 인터넷뉴스라고 답하였다. 또 의존도와 공신력의 상관관계는 선호와 공신력의 상관관계가 현재 의존하고 있다는 심리적 의존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사람들은 공신력이 높은 매체를 앞으로 선택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정보확인성(Verification)이 공신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사를 작성한 언론사의 권위를 확인하느냐는 질문에 종속형 인터넷 뉴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업데이트나 기사의 정확성 확인에 대해서는 포털형 인터넷뉴스일수록 더 많은 정보확인 행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형과 독립형의 공신력은 정보확인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포털형의 경우 정보를 많이 확인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 매체 공신력을 높이 평가하는 것은 아니었다. Internet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information resource. People not only search th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ut also get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news using dependent internet news, independent internet news, portal internet news. Lately, portal internet news become indispensable source to people. The more people use the internet news, the more important the credibility of the internet is. Therefore we should charge the media with responsibility on providing wrong information.In this research, I divided internet news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dependent internet news, independent internet news, portal internet n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kind of credibility factors are seen as prominent factors and to find the correlation of uses, reliance, and verification of internet news. This three variables are closely related with credibility of media.RQ1: How does user perceive the credibility of the internet news?1-1 : How does user perceive the credibility depending on media type?1-2 : How does user perceive the factors of credibility depending on media type ? RQ2: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internet news uses and credibility?RQ3: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internet news reliance and credibility?RQ4: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internet news verification and credibility?To resolve these questions, I surveyed 305 undergraduate students in university. The finding is that dependent internet news is perceived highly credible, and portal internet news is the lowest credibility among three types of the media. Moreover, when I look over the factors including believability, accuracy, bias, depth, and ethical, people checked the lowest point on the portal internet news. Naturally, 'Low credibility' means that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media low' in this paper.On second research question, 'only portal uses' has positive relation with credibility. Third, reliance is about attitude and it is divided into preference and psychological reliance. Preference has more positive relation with credibility than reliance meaning 'I rely on the media now.' Users say if they have to choose a medium for news, they want a dependent internet news. But they think they rely on portal news the most psychologically.Finally the relation between credibility and verification is found on dependent and independent news. But in case of portal, for verifying the information more doesn't mean high credibility.Based on the result, users consider dependent internet news, managed by off-line newspaper companies highly credible. However, they actually rely on (use) portal internet news even though they think those portal internet news are less credible.

      • 감정평가업의 공신력 제고를 위한 연구

        송계주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6

        감정평가업은 부동산산업중에서도 핵심격이라 할 수 있으며, 부동산투자․개발․금융과 같은 부동산 결정분야의 활동을 지원하며 그러한 부동산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끔 하는 윤활유 역할을 해오고 있다. 과거의 농경사회에서는 부동산활동이 단순했지만, 현대와 같은 복잡한 산업구조로 변모하면서 부동산활동 역시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부동산활동은 부동산의 경제적 가치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부동산의 경제적 가치를 화폐액으로 표시하는 감정평가사는 그 역할과 기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국가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감정평가사는 전문자격자수의 희소성, 인지도의 부족 등으로 인해 다수 국민들로 부터 사회적으로 주목 받지 못한 직업군에 자리잡고 있었지만, 최근 감정평가사가 전문자격사로서 국가 부동산 정책의 근간인 표준지공시지가, 표준주택 등의 조사․평가업무를 담당하면서 그 중요도가 새롭게 부각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종래 국민들로 부터 부동산업에 종사하는 공인중개사 등에 대한 전통적인 부정적인식에 감정평가사도 예외가 될 수 없는 실정에 있다. 이에 정부에서도 감정평가업계에 대한 국민들의 전반적인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감정평가업계도 협회를 중심으로 감정평가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 제고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자격자의 대량배출로 인한 감정평가업자간의 과당경쟁으로 말미암아 부실감정 등 부적절한 업무수행으로 정부와 국민들로 부터 감정평가업계가 불신을 받고 있어 정부에서는 감정평가에 관한 기본법이라 할 수 있는 부동산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 등의 개정으로 통하여 감정평가사에 대한 공적규제를 크게 강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감정평가업계를 둘러싼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고자 감정평가의 공신력의 저하현상 및 원인을 분석하고, 공신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감정평가업자의 대국민 공신력과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The real estate appraisal business can be said as the core of real estate business. It supports all sorts of activities in the real estate decision, such as investment, development and finance, and also has served to smooth the real estate activities. In an agrarian society, the real estate activities were simple, however, they have become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as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changing more intricately in the modern society. Furthermore, since they have been affected largely by the economic value of the real estate,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appraisers, indicating it as the monetary value, have been more important than before. Despite of the fact that the appraisers have played key roles in the national economy, they were under notice due to the scarcity of the qualified appraisers and the lack of recognition. However, as the appraisers have recently taken charge of review and appraisal of the Officially Assessed Reference Land and Housing Price, their importance has been newly acknowledged. The appraisers, however, have been affected by the conventional negative recognition about the real estate agents. Accordingly, the real estate appraisal business have strived to raise the trust in the appraisal with the association, as well as the government has made efforts to improve the general recognition of the appraisal business. However, since a large number of appraisers have been recently produced, which has boosted the excessive competition among them, it is true that the appraisal business has lost its credit by the inadequate job performances, like an unreliable appraisal. Consequently, the government is strengthening official regulation on the appraisers by revising the Act on Public Notice of Real Estate Price and the Property Appraisal,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fundamental law in the property appraisal. This research aims to inquire into the decline of trust in appraisal, and its reason behind the phenomenon, and further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trust and reliability in appraisers by drawing up the plans to enhance trust.

      • TV 뉴스 앵커의 공신력 요인에 관한 연구

        임정섭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6

        급속한 매체환경의 변화속에서 우리 나라 수용자들은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로 TV를 꼽고 있다. 더욱이 다른 어떤 매체보다 TV 뉴스에 대해 높은 신뢰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TV 뉴스는 앵커라는 최종전달자가 전달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TV 뉴스 앵커의 공신력은 그만큼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우리 나라의 TV 뉴스 앵커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흐름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수용자들의 TV 뉴스 채널 선택과 관련해서 TV 뉴스 앵커가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와 다른 하나는, TV 뉴스 앵커의 공신력에 관한 것이다. 그 중 TV 뉴스 앵커의 공신력에 관련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개 TV 뉴스 앵커의 공신력 구성요인으로 '전문성'과 '신뢰성'이라는 두 요인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논의들은 TV 뉴스 앵커 공신력의 두 구성요인 즉 TV 뉴스 앵커의 '전문성'과 '신뢰성'에 대해 수용자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무런 논의가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즉 공신력의 구성요인으로 측정된 항목들은 연구시기에 따라, 연구지역에 따라 수용자들의 평가기준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그 구성요인에 대해 수용자들의 인지적 합의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각 TV 뉴스 앵커의 공신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1-1. TV 뉴스 앵커의 공신력은 개인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1-2. TV 뉴스 앵커의 성별에 따라 공신력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2. 수용자들은 TV 뉴스 앵커의 성별에 따라, TV 뉴스 앵커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1. TV 뉴스 앵커의 성별에 따라, TV 뉴스 앵커의 전문성과 앵커의 공신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과의 관계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2-2. TV 뉴스 앵커의 성별에 따라, TV 뉴스 앵커의 신뢰성과 앵커의 공신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과의 관계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이 연구는 137개의 문항에 대해 2000년 11월 1일부터 11월 3일까지 3일간 광주지역 대학생 3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대상은 <MBC 뉴스데스크>의 김은혜, 이인용 앵커, <KBS 뉴스 9>의 김종진, 황현정 앵커를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공신력 평가에서 이인용, 김종진, 황현정, 김은혜 앵커의 순이었다. 공신력 구성요인별로 보자면, '전문성'은 이인용, 김종진, 김은혜, 황현정 앵커의 순이었으며, '신뢰성'은 이인용, 황현정, 김은혜, 김종진 앵커의 순이었다. 둘째, 앵커의 성별에 따라 공신력을 비교해 본 결과, 남성 앵커가 여성 앵커보다 높은 공신력을 얻고 있었다. 또한, 이를 토대로 구성요인별로 비교 해본 결과, '전문성'에서 남성 앵커가 여성 앵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성' 역시 남성 앵커가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셋째, 남녀 앵커에 '전문성'에 있어서 '언어적 특성 인지', '뉴스 프로그램 보도 내용 인지', '방송국 이미지' 등 세 가지 변인이 중복됨으로써, 수용자들은 남녀 앵커의 전문성을 거의 동일한 기준에 의거해서 판단하고 있었으며, 그 중 남녀 앵커의 '전문성'은 무엇보다도 '언어적 특성 인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녀 앵커의 '신뢰성' 판단에 있어서는 세 가지 항목 즉 '뉴스 프로그램 보도 내용', '언어적 특성', '취재 기자 활동 경험' 등에 대한 인지 변인 등이 중복되는 것으로 보아 수용자들은 앵커의 신뢰성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들을 남녀 앵커의 성별에 따라 그렇게 큰 차이를 두고 있지는 않았다. 앵커의 '신뢰성' 판단에는 앵커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인지보다는 '뉴스 프로그램의 보도 내용에 대한 인지'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아울러서 여성 앵커의 '신뢰성' 판단에 '용모적 특성'이 가미됨으로서, 기존의 여성 앵커에 대한 외모 중심적 사고가 그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보자면, 수용자들은 남녀 앵커의 공신력 평가에 대한 구성요인별 기준은 앵커의 성별에 따라 큰 차이가 나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공신력의 구성 요인 중 '전문성'은 뉴스 리더(reader)적인 특성이 강하게 부각되었으며, '신뢰성' 은 시청하고 있는 뉴스 프로그램의 보도 내용과 자신의 입장과의 동의 여부가 중요한 요소임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TV 뉴스 앵커의 공신력을 구성요인별로 살펴봄으로써, 수용자들이 TV 뉴스 앵커의 공신력에 대해 구성요인별로 합의하고 있는 인지구도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Since Korean audience regards TV as the most influential media, they tend to trust TV news more than any other types of media news. As TV news is delivered by TV news anchor, TV news anchor's credibility is still more important. There are generally two types of research about TV news anchor in Korea. One is about TV news anchor's effect on viewer's selection of channels, the other is of TV news anchor's credibility. Most studies on the TV news anchor's credibility include two factors called "expertness" and "trustworthiness" which construct TV news anchor's credibility. But there are no arguments over how audience recognizes TV news anchor's "expertness" and "trustworthiness". In the other words, it can change for audience to judge the items that are checked as the construction factors of TV news anchors' credibil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look into the cognitive agreements to find out about how audience recognizes TV news anchor's "expertness" and "trustworthiness". For this, I suggest ones to consider the questions as follows, 1. How is each TV news anchor's credibility revealed? 1-1. Is the credibility of one TV news anchor different from credibilities of other TV news anchors? 1-2. Does sex create differences in credibility for anchor? 2. How audience recognizes TV news anchor's "expertness" and "trustworthiness" by the sex of TV news anchor? 2-1. What is the differences between "expertness" that constructs TV news anchors' credibilities and the variables that affect TV news anchors' credibilities by individual of TV news anchor? 2-2. What is the differences between "trustworthiness" that constructs TV news anchors' credibilities and the variables that affect TV news anchors' credibilities by individual of TV news anchor? To satisfy the subjects, this study was based on analysis of surveys of TV news anchors' credibilit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university students in Kwanju area.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Kim Eun Hye, Lee In Yong, anchor of <MBC Newsdesk> and Kim Jong Jin, Hwang Hyun Jung, anchor of <KBS News 9>.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ee In Yong was ranked the highest Kim Jong Jin, Hwang Hyun Jung and Kim Eun Hye came in after in terms of TV news anchors' total credibility. To be more concrete, "Expertness" was evaluated Lee In Yong, Kim Jong Jin, Kim Eun Hye and Hwang Hyun Jung in the order named. And Lee In Yong, wa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Hwang Hyun Jung, Kim Eun Hye and Kim Jong Jin in the "trustworthiness" order. Second, male anchors are more credible than female anchors. Male anchors' "expertness" is higher than females'. Also male anchors' "trustworthiness" is higher than females' even though it is no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re are similar criterium of judgement on TV news anchors' "expertness" regardless of TV news anchors' sex. Because there are three duplicated variables: "the recognition of the verbal characteristics", "the recognition of news programs' contents", and "the recognition of broadcasting stations' image" in the judgements of male and female anchors'"expertness". Fourth, there aren't many differences to judge TV news anchors' "trustworthiness" by TV news anchors' sex. The duplicated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recognition of news programs' contents", "the recognition of the verbal characteristics", and "the recognition of activity as a reporter". In addition, we can find that `the recognition of anchors' features' is used to judge female anchors' "trustworthiness". In conclusion, there aren't many differences in criterium of judgements on TV news anchors' "expertness" and "trustworthiness" regardless of TV news anchors' sex. Specially, it is appeared that audiences judge TV news anchors' "expertness" with characteristics of news reader. And audience has a tendency to judge TV news anchors' "trustworthiness" with `the recognition of news program contents'. Finally, this study tried to find audience recognition agreements by factors which construct TV news anchors' credibility.

      • 다이어그램이 정보 공신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창규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6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미디어의 발달로 우리 사회는 점점 고밀도 정보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새롭게 생산ㆍ유통되는 정보의 양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증가했고, 그 속에서 꼭 필요한 정보를 꼭 필요한 시기에 믿을 만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다이어그램이 갖고 있는 본질적 속성이 정보 공신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대상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다이어그램이 정보 공신력 형성에 영향을 미침을 증명하고, 구체적으로 다이어그램의 어떤 속성이 정보사용자들이 느끼는 공신력에 영향을 주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공신력이 높은 다이어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준거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먼저 문헌조사와 사례연구를 통해 다이어그램의 속성 12가지(압축ㆍ요약, 재미ㆍ흥미, 이해, 기억, 관계, 구조, 상황, 메시지, 과정, 순서, 흐름, 변화)를 간추려내고, 그 동안 논의돼 왔던 공신력 구성요인 가운데 다이어그램이라는 시각적 메시지에 적용 가능한 7가지 요인(신뢰성, 전문성, 역동성, 명확성, 객관성, 매력, 친밀성)을 추출하였다. 실험은 일반인 그룹과 정보디자인 전문가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는데, 일반인 그룹에게는 다이어그램에 적용 가능한 7가지 공신력 요인을 이용해 설문하고 예시로 제시한 다이어그램 중 어떤 것이 어떤 공신력 요인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지 살펴보았다. 또한 전문가 그룹에게는 다이어그램의 12가지 속성을 이용해 설문하고 그 결과를 가지고 일반인 그룹이 공신력 요인을 높게 평가한 다이어그램이 어떤 속성들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발견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일반인 그룹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 앞서 거론한 7가지 공신력 요인 중 전문성과 역동성 두 가지 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내었다. 예상과는 달리 공신력의 제1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신뢰성과 나머지 요인들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둘째, 일반인 그룹이 전문성과 역동성에서 가장 높게 평가한 다이어그램에 대해 전문가 그룹은 다이어그램의 12가지 속성 값들이 다른 다이어그램에 비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일반인 그룹과 전문가 그룹 사이에 다이어그램을 보는 시각 차이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미를 종합해보면, 전문가 그룹은 정보생산자로서 정보의 다양한 속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디자인하지만, 일반 정보사용자들은 시각적 표현력의 전문성과 역동성에 주안점을 두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보디자인 종사자들은 다이어그램의 효용성을 높이는 다양한 요소 가운데 전문적인 속성을 드러내는 변인을 그들의 디자인에 포함하고, 더불어 역동적인 디자인 컨셉을 적용하는 것이 다이어그램의 공신력을 높이는 유의미한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Our society toward to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of high density influenced by developments of digital-technology and media. A light of prior tendency, it has significant concern to offer a necessary information while they are produced and circulated constantly. This study discusses nature of diagram which expected important factor affected to information credibility. This paper attempts to verify the information credibility which affected by diagram through experiment, specifically, explore what causes of the diagram are affected to information consumers. In according to results of hypothesis, this study present a base frame for diagram with high credibility. To achieve the purpose, distribute 12 parts of the nature of the diagram (compression, interest, understanding, memory, relationship, structure, situation, message, process, sequence, flow, transition) through paper research and case study, it can conduct 7 leading figures to applicate the diagram (trustworthiness, expertise, dynamism, clarity, objectivity, attraction, familiarity) that discussed precedence for a component of credibility. An object of experimentation for this study were based on 2 groups: what diagram has estimated high credibility among the presented diagram, and questioned to ordinary people about 7 leading figures to applicate the diagram. Also, inquired to expert group about 12 parts of the nature of the diagram, based on that results, explored what peculiar pattern in the diagram which got high credibility determined by preceding group.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is derived as follows. First, in group of ordinary people has surfac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nly 2 parts statistically, speciality and activity. Contrary to expectation that required primary concern, credibility and the other has any differences. Secondly, the diagram which obtained high value in the 2 parts by ordinary group, has low valuation in the 12 parts by expert group. This result present, between 2 groups has got a different point of view to the diagram. To sum up this study, expert group has designed the diagram by considering general factor on variety of aspects as a practician, on the contrary, ordinary consumer group tends to concentrate on speciality and activity of visual expres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 that the diagram which gain a high credibility, contains a speciality exposed by practician of information design and activity among multiple aspects of the dia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