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촌락형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청촌마을 문화 동아리를 중심으로

        정주은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고령화 심화와 인구이탈로 침체 위기에 놓여있는 촌락 공동체가 문화 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활성화 된 문화예술교육의 실제적 사례를 분석한 논문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촌락에 적합한 활동 운영구조를 모색하고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주체자로서의 마을 주민의 역할과 매개자로서의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 정책 방향은 ‘지역’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지역주민’은 문화예술교육의 주체자로서 활동에 대한 자발적 선택과 주체적 역할이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 전남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밀착’ ‘지역특성’을 키워드로 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지역 주민의 선택권과 주체성을 담아낼 수 있는 운영 구조를 갖추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우며 지자체와 운영 단체의 협력구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현재까지 도시와 차별화된 촌락에 특화된 문화예술교육 운영구조를 적용한 사례를 찾기가 어렵고 이에 대한 연구도 미비하다. 촌락 공동체의 인적자원의 한계, 문화예술교육의 다양성 부재, 중앙기관 중심의 운영구조로 문화예술교육의 지속성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촌락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서는 문화 공동체를 기반으로 주민이 문화 활동의 선택권과 결정권을 가진 주체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방식이 적합하며 김지현,허준,이예지(2022)의 논문의 분석 내용과 같이 ‘공동의 목표설정과 공유’, ‘활동 주체들의 수평적 협력구조 구축’, ‘마을주민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촌락 공동체 활성화를 기대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전남 가사문학면 청촌마을에서 진행한 <2023 청촌시화교실>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문화예술교육 강사로 참여하였다. 청촌마을 문화 동아리는 공동체 구성원간의 협력을 통한 성취의 경험을 쌓아나가고 있었으며 주민들의 마을과 마을 공동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마을의 문화 공동체인 ‘청촌 문화 동아리’를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 공동체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을의 리더 그룹은 마을 주민 공동체를 세심하게 살피는 따뜻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주민들의 지속적인 동아리 활동 참여를 독려하고 강사와 주민, 주민과 주민의 소통의 매개자로서 청촌 문화 동아리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청촌 문화 동아리 참여주민은 구성원들에 대한 신뢰와 마을 문화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마을 공동체 활동 전반에 적극적인 참여율을 보였다. 청촌 문화 동아리 활동에서 외부강사로 참여한 연구자는 문화예술교육 협력 주체의 일원으로서 참여 주민과의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함께 협력하는 파트너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마을 주민과의 회의를 통해 결정된 마을의 문화적 바람을 활동 과정에 수용하고 더 나은 활동 수행 방향을 함께 고민해 나가는 경험을 통하여 촌락 문화 활동에 적합한 운영구조와 매개자로서의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맺었다. 촌락 주민 자치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있어서는 다양한 문화 활동의 변화가능성을 수용할 수 있는 문화 공동체 기반의 운영 구조가 바람직하며 마을 주민들이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하고 논의하여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가 갖추어져야 한다. 이때 매개자로서의 마을 내 리더 그룹과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특히 대부분의 촌락에 투입되는 문화예술교육사는 외부 인력으로서 마을 공동체와의 라포(Rapport) 형성에 더욱 힘써야 하며 일반 주민 그룹과 리더 주민 그룹의 소통의 균형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중재하여야 한다. 또한 활동 주체자인 주민의 의견을 열린 마음으로 수용하고 이를 활동 과정에서 적절하게 반영하여 활동 주체자인 마을 주민들의 문화 향유의 선택과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practical cases of cultural and arts education that have revitalized community engagement in rural villages that are facing crises due to aging and population decline. It explores an operational structure suitable for village activities and proposes a role for residents as participants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s well as a facilitation role for cultural and arts educators. Cultural and arts education poli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have a “ local” focus and direction, with an emphasis on the voluntary choices and proactive roles of “local residents” as participants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ctivities. However, current culturalandartseducation initiatives in Jeollanam-do province, which focus on “local adherence” and “local characteristics,” can hardly be considered to have operational structures that encompass residents’ choices and identities. They tend to focus on collaborative structure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operating organizations. Furthermore, few best practices and associated studies have applied operational structures for cultural and arts education that are tailored to rural villages, as distinct from urban settings. The sustainability constraints of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re evident, due to the limited human resources available to the community, lack of diversity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ctivities, and operational structures centered on central agencies. To revitalize villagecommunities , a suitable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pproach would be to empower residents to be cultural decision-makers. As suggested by the analyses of Ji-hyunKim,JunHeo,andYe-jiLee , such an approach involves “setting and sharing common goal activityamongparticipants ,” “establishing a horizontal cooperation structure among activity participants,” and “active and participatory involvement of village residents.” As a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nstructor, this author organized and participated in the 2023 Cheongchon PoetryandPainting Classroom program conducted in Cheongchon Village, Damyang, Jeollanam-do. The “Cheongchon Village Cultural Club” has been accumulating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collaboration among community members, based on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village and its community gained through various cultural activities. The village leaders provided warm leadership, encouraging residents’ continuous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and playing a positive role in revitalizing the Cheongchon Village Cultural Club as a venue for communication. The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heongchon Village Cultural Club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active participation in overall community activities, based on trust in members and a positive perception of cultural activities in the village. As an external instructor participating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ctivities in Cheongchon Village, this author formed a trusting relationship with participating residents and played the role of collaborative partner. Furthermore, based on the experience of incorporating the Village’s cultural wishes as decided through villagersrating the Villagemoactivity process, as well as brainstorming about better directions for carrying out activitie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regarding the operating structure suitable for village cultural activities and the mediation role of cultural and arts educators. It is important that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ctivities of self-governing communities have an operational structure based on the cultural community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possibilities for cultural activities. To that end,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s that allow village residents to freely express and discuss their opinions o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ctivities are crucial. Leadership groups play essential roles in village life, and cultural and arts educators play essential roles as mediators. In particular, cultural and arts educators, who are often outsiders to the community, need to make more effort to build rapport with the village community. They should also mediate between ordinary residents and resident leadership to ensure a good balance of communication. Furthermore, respecting the choices and decisions of village residents who are affected by activities, cultural and arts educators should embrace the opinions of village residents regarding cultural enjoyment and appropriately include them in the activity process.

      • 유아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 구성 및 적용 효과

        고정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의 공동체의식을 함양하여 공동체적 삶의 능력인 공동체의식, 민주시민의식,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방법 및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공동체의식을 함양하여 공동체적 삶의 능력의 발달을 도모하는 유아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을 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통해 활동의 목적, 내용, 교수학습 활동 및 평가와 관련 내용들을 추출하였다. 유아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의 목적은 공동체의식의 함양이고 교육목표는 공동체의식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로 추출된 인지적 측면에서의 자율성과 공공의식 이해하기, 정의적 측면에서의 친밀성과 소속감, 일체감 및 상호영향의식 느끼기, 행동적 측면에서의 조화와 단결, 자발적 참여 및 의사표현의 능력 기르기이다. 교육 내용은 다섯 가지 구성요소의 하위개념인데 자율성과 공공의식 이해하기의 하위개념은 우리 반의 규칙을 알고 남이 보지 않아도 스스로 지키기, 나도 우리 반의 주인이 될 수 있음을 알기, 우리 반의 물건을 내 것처럼 소중하게 다루어야 함을 알고 다루기, 우리 반에서 맡은 일을 알고 끝까지 잘하기이다. 친밀성 소속감 느끼기의 하위개념은 내가 우리 반에 속해있다고 느끼기, 나는 우리 반에서 친구들끼리 함께 살아간다고 느끼기, 내가 우리 반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내려는 마음, 우리 반 친구들과 서로 도우며 살려는 마음과 돕기이다. 일체감 및 상호영향의식 느끼기의 하위개념은 친구들이 잘하면 나도 기쁘다는 것 느끼기, 우리 반이 좋아지면 나에게도 좋은 점이 있다는 것 느끼기, 우리 반 친구들과 서로 도우려는 마음을 가지고 협동하기, 우리 반의 일에 최선을 다하려는 마음과 열심히 실천하기이다. 조화와 단결하기의 하위개념은 우리 반에서 결정한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우리 반에서 지켜야 할 규칙을 지키지 않았다면 나의 행동을 고치기, 우리 반이 더 좋아지기 위해 우리 반 모두 힘을 합하기, 나는 우리 반에 피해주는 행동은 하지 않기이다. 자발적 참여 및 의사표현 능력 기르기의 하위개념은 우리 반 활동에 참여하기, 우리 반 회의에서 나의 생각을 자유롭게 말하기, 우리 반 활동에 누가 말하지 않아도 나 스스로 참여하기, 내가 우리 반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스스로 찾아서 하기이다. 교수학습 활동은 이야기나누기와 추후활동으로 이루어졌고 평가는 유아 평가로써 체크리스트와 일화기록을 하였고, 교사자기 평가로써 교사이야기나누기 자기평가 체크리스트를 하였다. 둘째, 연구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 준거로써 공동체와 유아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공동체의식 함양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활동의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 활동, 평가를 고찰하였다. 실천적 준거로써 현장관찰과 교사면담을 통한 사전 연구를 통해 현장실태 및 유아 공동체의식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유아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 요구도 및 활용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활동의 시안이 구성되었다. 시안에 대한 검토는 전문가협의와 예비연구를 통해서 이루어졌고 이 단계에서 활동의 적절성 및 현장적용가능성을 점검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활동 수정 및 구성을 하였다. 구성한 활동은 유치원 만 5세 학급의 20명의 유아들에게 적용되었다. 실험집단은 4달 동안 30회기의 이야기나누기와 추후활동의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이 이루어졌고 통제집단의 유아들은 일반적인 유치원 교육과정을 하였다. 활동 적용에 따른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4가지로 정리된다. 검사도구는 유아 공동체의식 검사도구, 유아 민주시민의식 검사도구, 유아 정서지능 검사도구, 유아 친사회적 행동 검사도구이다. 첫째,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이 유아의 공동체의식에 미친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공동체교육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공동체의식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동체의식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소속감, 조화, 자발적 참여, 공공의식 요인에서 공동체의식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처럼 공동체의식에 대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평균 증가 정도는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사 평균 증가 정도 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이 유아의 공동체의식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이 유아의 민주시민의식에 미친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민주시민의식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민주시민의식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책임의식, 준법정신 요인에서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처럼 민주시민의식에 대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평균 증가 정도는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사 평균 증가 정도 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이 유아의 민주시민의식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친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정서지능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지능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타인정서 인식 및 조절 요인에서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처럼 정서지능에 대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평균 증가 정도는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사 평균 증가 정도 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친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친사회적 행동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협동성, 타인 이해성, 자율성, 또래 간 상호작용 요인에서 공동체교육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처럼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평균 증가 정도는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사 평균 증가 정도 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신앙소공동체를 장으로 하는 청소년 기독교교육

        한성욱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현재의 많은 교회와 현대사회와 청소년의 특성에 맞지 않은 수직적이고 학교식 구조를 지니고 있는 것을 비판하면서 성경적이고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면서도 유동성을 지닌 소그룹을 교회의 청소년 교육의 구조로 삼을 것을 제안하면서 시작했다. 제 Ⅱ장에서는 현재 학교교육의 방법을 따른 주입식 청소년 기독교교육의 현상황을 교육의 구조적 측면과 사회 문화적 측면, 그리고 교회 교육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거기서 발견되는 청소년 기독교교육의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의 대상인 청소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인간 경험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적 지식의 도움을 받아 발달심리학적 접근 방법과 사회 문화적 지식의 도움을 받아 인지적 특성, 정서적 특성, 사회적 특성, 종교적 특성 등 청소년기의 특성과 그리고 청소년기의 발달과제와 자아정체감을 살펴본 다음 청소년 기독교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제 Ⅱ장에서 살펴 본 청소년들의 발달과제와 자아정체감 형성에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신앙소공동체 이론에 근거한 소그룹을 통한 기독교교육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먼저 신앙소공동체의 역사적 이해를 살펴 본 다음 신앙소공동체의 개념과 신앙소공동체 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이어서 신앙소공동체 교육의 도구로서의 소그룹에 대하여 정의와 장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소그룹이 과연 무엇인지, 소그룹의 성경적 근거는 무엇이며 소그룹이 지니는 특징 및 장점은 무엇인지, 소그룹 활동에 있어 다양한 영역으로서의 구성요소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소그룹은 적은 수의 사람이 얼굴을 맞대고, 그리스도의 풍성한 삶을 살고자 하는 목적을 이루고자 하는 집단으로 성경에서 이러한 소그룹의 예를 많이 찾을 수 있다. 무엇보다 구성원의 참여와 인격적 만남이 가능한 소그룹의 장점은 성경공부에서만이 아니라 교회의 다양한 사역, 즉 가르침과 예배, 공동체적 교제와 선교 및 봉사활동에 적용 가능하다. 효율적인 소그룹 운영을 위해서 무엇보다 구성원의 참여를 이끌고 민주적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제 Ⅳ장에서는 소그룹 활동을 통한 교회 청소년교육의 실제를 소개하고 있다. 앞에서 제시한 원리에 입각하여 어떠한 교육목표를 가지고 조직을 이루어 모임을 진행할 수 있는지 실제 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각 구성요소별로 소그룹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도 함께 제시하였다. 소그룹의 운영은 12주를 기준으로 1년에 4회 반복할 수 있는데 청소년의 선택에 따라 학년과 연령을 초월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진행할 수 있다. 소그룹 활동은 배움과 예배와 나눔과 헌신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행한다. 청소년들은 배우기도 하고 예배하며 서로 친교를 나누면서 뭔가 할 일이 있을 때 의미를 느끼고 참여하게 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criticise the fact that many current churches had the vertical and school-type structure ill-suited to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teenagers' characteristics and propose the adoption of the flexible small group as the structure for youth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Biblical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Chapter Ⅱ attempt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cramming type of youth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schooling method by dividing it into the structural aspect, the sociocultural aspect and the church educational aspect and address the problem of youth Christian education and attempts to inquire into youth, the object of education. It seek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task and self-identity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emotional characteristics, religious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with the help of social-science knowledge aimed at research on human experiences and of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approach and sociocultural knowledge. And it attempts to address the need for youth Christian education. Chapter Ⅲ seeks to identify Christian education through the small group based on the theory of faith small-community theory regarded as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al task and self-identity of adolescents. First of all, it inquires into a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faith small-community and its concept and the importance of its education. Then it seeks to investigate the definition, advantage and limitation of the small group as the instrument for education of the faith small-community. Chapter Ⅳ seeks to investigate what is this small group, what is the Biblical grounds of the small group, the what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 the small group has, and what is the components as diverse domains in small-group activity. And this small group can be defined as the group of a few persons formed to attain the aim of Christ's fruitful life face to face and many examples of it can be found in the Bible. Among other things, the advantages of the small group for its members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and meet each other in a personal fashion applicable to diverse ministry such as teaching and worship, community fellowship and sermon, and social service activity as well as Biblical study. It is necessary to lead the members of the small group to participate and use a democratic way in order to run the small group in an efficient manner. Chapter Ⅴ addresses the entity of church youth education through small group activity. It attempts to present the actual model related to with what purpose the organization should be formed and progress the meeting on the basis of the earlier presented principles. And it presents the specific methods of activating the small group by component. The small group can be operated four times a year on the basis of 12 weeks. Depending on youth's choice, they can form and run a group regardless of school year and age. The activity of the small group should be run so that its member may achieve learning and worship and sharing and devotion. Adolescents come to feel a certain meaning and participate in the group when they can learn, worship and have something to do while having fellowship with each other.

      • 일반 사회 이론으로서의 공동체주의

        임영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글은 현대 사회에서 공동체주의의 주장이 타당한 것인가에 대해서 알아보려는 것이다. 공동체주의자들의 주장은 산업화되기 이전의 사회에서나 적합한 주장이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비판받거나 특정한 공동체의 전통이나 규범을 절대시하여 다수주의나 전체주의 등의 특수주의로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비판받는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공동체주의의 주장이 일반성과 보편성을 가지기 때문에 과거에서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도 주장될 수 있으며 특정 사회의 규범을 절대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힘으로써 공동체주의가 현대 사회에 필요한 주장임을 말하려 한다. 이것을 위해 철학 영역에서 시작된 공동체주의의 주장은 사회 이론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그것의 성격은 일반성과 보편성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그래서 공동체주의는 첫째로 다차원 이론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둘째로 그 이데올로기가 보편성을 지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셋째로 그것이 사회 이론이기 위해서는 추상 수준에서의 논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경험 세계에서도 가능한 주장이어야 한다. 첫째로 다차원 이론으로서의 공동체주의를 살펴보기 위해서 철학에서 먼저 시작된 공동체주의자들의 주장을 알렉산더가 제시한 이론 연속선의 전제 수준에서 행위와 질서에 대한 논쟁으로 보았다. 이들의 주장은 우선 질서에 대한 것에서 집합주의의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들의 주장은 물질 질서보다는 규범 질서로 많이 기울어 있는 듯이 보였다. 그리고 이것은 행위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처럼 보였다. 이들의 주장이 규범 질서와 규범 행위로 많이 치우친 것처럼 보였던 것은 이들이 이데올로기에 대한 주장을 많이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것이 한 쪽으로 치우친 주장같이 보이며 다차원 이론의 특성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 이론의 성격을 갖지 않는다고 주장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사회학에서 공동체주의의 주장은 물질 질서와 합리 행위의 부분도 포함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공동체주의자들의 주장에서 물질 질서와 합리 행위를 주장하는 지를 살펴보면서 그들이 경험 세계의 다차원성을 받아들이며 전제 수준에서도 다차원성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다차원성을 가짐으로써 일반 이론의 성격을 가지는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둘째로 공동체주의의 주장이 일반성과 보편성을 갖기 위해서는 이들이 전제 수준에서 다차원성을 갖는 것 이외에 이데올로기가 보편성을 지향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것은 이론 분석 수준에서 이데올로기에 대한 것이다. 그래서 이것을 문화 분석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 때 보편을 지향한다는 것은 단지 초월 영역에서 보편을 지향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보편성은 도덕성을 지향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공동체 구성원들의 참여와 그에 터한 합의에 의해 가능하다. 따라서 보편성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에 공공 담론을 구성할 수 있는 공공 영역이 있어야 하며 이에 터해 공공 담론이 형성될 수 있다. 공동체주의의 일반성을 가진 이론으로서의 모습과 보편을 지향하는 이데올로기는 상대 자율성을 가지고 존재하면서 전통 사회에서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에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이것을 잘 보여주는 보기가 우스노우의 연구이다. 그의 연구는 공동체주의가 현대 사회에 적용되기 위해서 가져야 하는 전제의 다차원성과 이데올로기의 보편성, 그리고 공공 담론으로서의 형성 가능성과 현실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우스노우는 공동체의 문화가 전통이나 초월 영역에서 단순히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 구성원들의 참여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유지되고 변형되어지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참여는 특수 이익을 위한 참여가 아니라 도덕성을 가진 개인들이 보편을 지향하고 신성한 것을 지향하는 마음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보편을 지향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주장은 공동체주의가 이론 차원뿐만 아니라 현실에서도 적용 가능한 주장임을 우스노우는 또한 보여준다. 남을 도우려는 마음과 그것을 위한 실천, 그리고 공동체를 추구하는 마음과 공동체를 실제로 이루어 가는 것들이 현대 미국 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경험 연구를 통해서 밝히고 있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현대 사회에 적합한 공동체는 느슨한 관계에 터한 공동체라고 주장한다. 공동체주의의 주장이 이론의 일반성과 이데올로기의 보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하는 주장은 단순히 어느 특정 사회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회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이 추구하는 이상은 개인이 진정으로 자유로울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상을 추구하고 또 이것을 이루려고 애쓰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정당화되며 또한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이것을 현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고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공동체주의를 사회학 영역에서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argue for the validity of Communitarianism in modern society. Communitarian’s perspective is often considered as a thought suitable only for pre-industrialized society. So liberals, critics of Communitarianism, claim that it is irrelevant to modern society. And it has been criticized as particularism rather than universalism because it cannot be applied cross-culturally. But this study suggests that Communitarianism is not only relevant but also valid in modern society in the sense that it is a general and universal thought necessary to modern society. To do this, Communitarianism, though having started from the sphere of philosophy, should be constructed into a social theory in a way that achieves generality and universality. To begin with, Communitarianism has to be constructed in multi-dimensional theoretical terms. Second, its ideology should be oriented toward universality. Third, it should become a social theory empirically applicable. Concerning the first problem, I regard the philosophical arguments of Communitarianism as an argument of action and order on the presupposition of theoretical continuum suggested by Alexander. Their position is collectivism in an analytical level of social order. Communitarians seems to be a normative approach to action and order. Because their argument is mostly about an ideological orientation, they seemed to be a normative approach in action and order. As a result, philosophical Communitarianism tends to be a one-dimensional theory short of generality. Yet sociological Communitarianism, in my view, includes both instrumental action and material order. This study examines if Communitarians deal with the aspects of instrumental action and material order, It suggests that they are multi-dimensional theory on a presuppositional and empirical level, so that they have some possibility of being a general social theory. Concerning the second problem, Communitarian ideology should be oriented to universalism. This is analytically related to the ideological level. And this can be studied through the analysis of culture. To head for the universality is not a metaphysical matter but a sociological one. It is possible through active involvement of the members in the community who are capable of knowing and evaluating public issues. Therefore, to head for the universality, there should be a public sphere in which public discourse is produced. Concerning the third problem, the social theory that has generality and universalism can influence modern society as well as pre-modern society through the relative autonomy of culture. Wuthnow's study is a good example of this. His study shows how Communitarianism can achieve multi-dimensionality of presuppositional level, universality of ideology and empirical applicability of public discourse. Wuthnow suggests that the culture of the community can be produced by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rather than being come out of the tradition. And communal culture is not for the special interest but for the common interest. Wuthnow shows that this is possible not only in a theoretical but also in an empirical level. His empirical study illuminates the way in which the community was established by the minds and practices inclined to help others, and desires seeking for the community. He insists that community based on the ‘loose connections’ is suitable for the modern society. Because Communitarianism have generality and universality, it is possible to be applicable to modern society. And it is not the particularism characterized as the majoritarianism and the totalitarianism. Communitarian ideal is to make a good society where the individuals can be free. Therefore, it is legitimate and needed that we are trying to achieve Communitarian ideal, and this can be done and should be done through sociological work.

      • 마가공동체와 사도계 공동체의 제자도 : 마가복음서 10장 32-52절을 중심으로

        기준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마가복음서에서 중요한 논제 중의 하나인 제자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예수를 '선생'으로 묘사하며 그가 제자들을 '가르친다'는 것에 집중하여 연구하였다. 이런 이전의 연구들은 마가복음서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역할이나 마가공동체의 사회적 정황을 간과하였다. 본 논문은 이전의 연구들에서 간과했던 이야기들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역할을 논의하고 그것을 통해 드러나는 공동체의 사회적 정황을 고찰할 것이다. 본 논문은 사회학적 성서 해석의 중수준적 접근 방법 (meso approach)을 사용하여 예수의 세 번째 수난 예고 (막 10:32- 34) 다음에 나오는 마가복음서 10장 35- 52절에 기록된 보아너게 (세베대의 두 아들들)와 소경 바디매오의 이야기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보아너게 이야기와 바디매오 이야기에 대한 이전의 논의들은 두 이야기가 서로 관련이 적은 독립된 이야기들로 연구되어 왔으며, 전자는 예수의 세 번째 수난 예고에 부가되는 제자들 간의 자리다툼의 이야기로, 후자는 예수가 소경 거지에게 베푼 기적적인 치유 이야기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면적으로 긴밀한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두 이야기를 주인공들 (보아너게와 바디매오)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들의 숨겨진 의도를 조명했다. 그리고 그들 각각의 역할을 중심으로 본문을 고찰해 볼 때, 이 두 이야기들에는 보아너게와 바디매오라는 인물들의 역할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이것을 확장시켜 이해하면 이 두 이야기들은 제자도와 예수에 대한 이해의 차이로 인한 사도계 공동체와 마가공동체 사이의 갈등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도계 공동체를 보아너게 그룹과 베드로 그룹 (베드로를 포함한 열 제자들)으로 구분하고, 보아너게 그룹을 베드로 그룹과 경쟁하고 우위를 점하려 했던 그룹으로 본다. 그리고 보아너게와 상대적인 인물로 마가공동체의 중심인물 중의 하나로 제시되는 바디매오를 상정한다. 또한 각 이야기 단락에서 시사되는 것처럼 사도계 공동체와 마가공동체의 갈등은 예수의 수난에 대한 그들 간의 서로 다른 이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마가공동체는 보아너게 이야기와 바디매오의 이야기를 통해서 사도계 공동체의 권세 지향적이고 영광 지향적인 태도에 대해서 비판하면서, 한편으로는 보아너게 그룹에게는 따름에 있어서 권세에 집착하는 그들의 모습을 비판하고 또 한편으로는 베드로 그룹에게는 제자로서 버림에 있어서 철저하지 못했음을 비판한다. 결국 마가공동체는 현재의 핍박 상황 속에서도 수난을 회피하지 않고 그들 자신이 예수의 수난에 동참했다는 것을 강조하고, 사도계 공동체의 수난 거부 (영광지향)를 비판하며, 이로 인해 자신들이야말로 예수의 길을 따르는 진정한 제자들이라는 것과 "예수와 복음을 위해서 버린 것"과 "수난 받는 예수를 따름"에 있어서도 자신들이 사도계 공동체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The current research on discipleship in Mark has focused on describing Jesus as "Teacher" of his disciples. Previous studies have failed to notice the roles of the characters in Mark and the social context of the Markan community. This thesis focuses on the characters in the narrative, overlooked by previous studies, and these characters' roles in the social context of the community. This thesis intends to select a sociological method of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specifically the meso-approach, to examine the stories of Bartimaeus and Boanerges in Mark 10:35- 52, after the third prediction of Jesus' passion (Mark 10:32- 34).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ndependent nature of the two stories. The Boanerges story has been studied as a story of the disciples' request to occupy important positions, and as an addition to the third prediction of Jesus' passion. The Bartimaeus story has been studied as the miraculous healing of a blind beggar by Jesus. This study will illuminate the hidden purpose of the stories, focusing on the character s' (Boanerges and Bartimaeus) roles. I will demonstrate in each story that it is dominated by the roles of the characters, Boanerges and Bartimeus, and illustrate how the two stories reflect the conflict between the Apostles' community and the Markan community,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under standing of discipleship and Jesus' role. I have classified the Boanerges group and the Petrine group in the Apostles' community. The Boanerges' group competes with the Petrine group to occupy a dominate position within the Apostolic group. Bartimaeus, a typical character in the Markan community, holds a similar position to the Boanerges group in the Apostles' community These two stories illustrate the conflict between the Apostles' community and the Markan community under standing of Jesus passion. Through the stories of Boanerges and Bartimeus, the Markan community criticizes the Apostles' community pur suit for honor and authority. On the one hand, the Markan community criticizes the Boanerges group for it s pur suit positions of honor and authority, but on the other hand they criticize the Petrine group for their unwillingness to"cast away all things to be a disciple of Jesus. At this time the Markan community was being persecuted. The community accept ed this persecution as its participation in the passion of Jesus. They also criticized the Apostles' community for rejecting the Passion of Jesus. More over, the Markan community asserts that they are true disciples following Jesus way and they were more devote their to discipline than the Apostles' community were, because they were willing to give up worldly pursuits and follow Jesus and the gospel, even to participate in Jesus Passion.

      •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역적 실천 양상과 대안의 전망 : 안동시 송천초등학교와 미래교육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구가은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안동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실천 양상을 분석하여 그 대안적 성격과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 실천을 이어온 안동시 송천초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2021년 ‘안동미래교육지구’ 사업의 전개에서 나타나는 교육현장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들이 교육을 매개로 협력 및 연대하는 공동체이다. 현대사회의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협력적 관계에 기반한 교육 실천을 통해 대안의 전망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를 커먼즈 체계 내 공동체문화 실천의 한 양상으로 바라보며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이 가지는 대안적⋅미래지향적 측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혁신교육의 흐름과 마을교육공동체의 부상에 대하여 이론적 정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안동지역 교육공동체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며 송천초등학교의 교육 실천사례를 서술한다. 이어 ‘안동미래교육지구’ 사업을 통해 드러난 각 주체들의 공동체문화 실천사례를 바탕으로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의 의의와 대안의 전망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은 해체된 관계성을 다시 연결하고 재생산하며 미래적 가능성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더불어 지역사회와 마을이 품고 있는 민속적 가치를 교육현장 속에서 새롭게 재발견⋅재구성해내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민속의 현대적 양상에 주목하여 마을교육공동체가 지니는 대안적⋅민속적 가치를 조망하였다는 의의를 담고 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aspects of practicing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Andong and considered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 an alternative. For that, with the case of Songcheon Elementary School in Andong that has continued its educational practice, this author has examined concrete aspects found at the site of educ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Andong Future Education District Project’ in 2021.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a group of people in which various types of agents from schools or the local community cooperate in unity with education as a medium. In order to solve educational problems arising in contemporary society, we are producing the prospect of alternatives through educational practice grounded on cooperative relationship. Viewing it as an aspect of practicing community culture within the commons’ system, this researcher has attempted to understand alternative and future-oriented perspectives which the practi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equipped with. Concrete discussion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of all, this author arranged theories about the trends of innovative education and the ris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Next,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education community in Andong, this study described educational practice with the example of Songcheon Elementary School. After that, based on the cases of practicing community culture by different types of agents found in ‘the Andong Future Education District Project’,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practi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its prospect as an alternative.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s practice reconnects dismantled relationships and reproduces relationships and also extends future possibilities. Moreover, it rediscovers and reconstructs ethnological value that the community and village are equipped with at the site of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nvestigated alternative and ethnological value that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has focusing on the modern aspects of folklore.

      • 생태 마을공동체의 실제와 성과에 관한 연구 : 고한마을, 선애마을, 대티골을 중심으로

        정희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Abstract In the process of promoting an eco-village community, a community created by people who have a purpose or a common center (spirituality, religion, meditation, etc.) like an association is gradually expanding. Above all, they are a little uncomfortable, but even if they experience such inconvenience, they have great significance in conserving the ecology, thinking about the environment, and laying a social foundation with a network for communication. This has been established as an example of social movement practice and has led to the numerical expansion of the eco-village community. They seem to pursue an essential life where humans and nature harmonize and live together with nature. Through these efforts, they intend to practice the path of restoring the environment due to global warming and ecological destruc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ecological village community and is interested in revealing the significance of the ecological village. This is because they believe that the significance of an eco-village can be properly revealed when the practice of an eco-village community is revealed as it is by explor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nd environment for the settlement of an eco-village community that is being developed in various regions. The ecological village community was divided into sub-categories and analyzed into existing, planned, and mixed communitie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in accordance with the symbiotic, ecological, and solidarity theories. From the most basic of running a village, the reality and performance of the ecological village community were analyzed, and the process by which the village was successful was found. Currently, all eco-village communities in Korea rely on subsidies from the state to manage villages,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y are culled. Therefore, this researcher tried to reveal the method of sustainable management of villages through examples of villages that were successful in the ecological village community. In case the village has stabilized and cannot receive state subsidies, make good use of village governance and the contacts between indigenous peoples and migrants as well as the elderly and young to develop. A business plan for the village and their own efforts to build the infrastructure.

      • 마태공동체의 정황과 산상수훈의 윤리적 규범 형성의 관계 : 마태복음 6:19-21을 중심으로

        김도형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목적은 마태복음에 기록된 산상수훈인 마태복음 6:19-21절이 마태공동체의 정황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면서 윤리적 규범으로 여겨지게 되는지를 연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연구 과정으로 본 논문은 사회학적 신약연구방법을 통해 마태공동체가 처했던 정황을 분석하고 재구성하는 작업을 하였고 마태복음에 나타난 사건들을 분석함으로 구체적으로 마태공동체의 정황 속에서 요청되는 윤리적 규범들을 검출하여 마태공동체의 정황 속에서 차지하는 윤리적 의미를 서술하였다. 이 전체적인 과정을 통해 마태복음 6:19-21절이 마태공동체의 정황 속에서 요청되는 윤리적 요구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연구하였다. 마태공동체는 당시 유대교 공동체와 대립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내부적으로는 부유한 구성원과 가난한 구성원들 사이의 분열을 극복해야 할 처지에 놓여 있었다. 유대교와 동일한 신앙의 유산을 가지고 있었던 마태공동체의 구성원들은 기독교적인 신앙 안에 유대교적인 율법주의 신앙을 접목시키려는 시도들이 있게 되었고 이러한 와중에 마태복음의 저자는 그들의 공동체와 유대교 공동체를 분리시켜 그들만의 공동체 정체성을 확립시켜 나가야 할 필요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마태공동체는 그안에 포함된 부유한 구성원들과 가난한 구성원들 사이의 갈등이 있었다. 이러한 공동체의 정황 속에서 마태복음의 저자는 두가지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윤리적 지침이 필요했던 것이다. 마태복음 6:19-21절에 기록된 산상수훈은 그것을 읽는 독자들에게 “하늘에 재물을 쌓으라”는 권고를 한다. 이 구절을 통해 마태공동체는 나눔의 윤리적 규범을 행할 것을 요청받는다. 그러나 마태공동체에게 요청된 나눔은 단순히 재물만을 나누는 것이 아니었다. 근심하고 돌아간 부자청년의 사건(마19:16-26)을 분석하여 나온 사랑의 윤리적 가치는 나눔의 윤리적 규범이 위선적이고 이중적인 행위로 전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오천명을 먹이신 사건(마 14:13-21)에서 검출되는 공존의 윤리적 가치는 나눔의 윤리적 규범을 통해 하나되기 시작한 공동체의 각기 다른 구성원들이 공존을 위해서 필요한 긍휼히 여김과 자족함의 윤리적 의미를 제시한다. 향유를 부었던 여인의 사건(마 26:6-13)에서는 나눔의 윤리적 규범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나누는 자와 나눔을 받는 자가 서로를 존중하며 또 다른 분열과 소외를 피하며 온전한 공동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섬김의 윤리가 검출된다. 이 같이 복음서의 사건들을 통해 검출되는 나눔과 사랑과 공존, 섬김의 윤리는 마태복음 6:19-21절의 윤리적 틀 안에 포함되는 세부적인 윤리들이 되며 6:19-21절의 산상수훈의 구절은 앞의 네가지 윤리적 가치를 포함하면서 마태공동체의 정황 속에 나타난 대립과 갈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윤리적 방향을 지시하는 커다란 지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Sermon on the Mountain(Matt 6:19-21) and how it was considered by the Matthean community.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analyzes and reconstructs 'Sits im Leben'(the life circumstance) of Matthean community by the use of sociological method of the New Testament. Also, by analyzing the events in Matthew, this study concretely tries to find ethical norms(rules) and describe ethical meanings which were needed in the life circumstances of Matthean community. Through these approaches, this study shows how Matthew 6:19-21 is applied to ethical demands which were needed in the life circumstances of Matthean community. During those periods, Matthean community had conflicts with the Jewish community while internally they had to overcome the obstacles of disunion between rich and poor members. Also, members of the community who had common religious assets (inheritances) tried to graft Jewish laws(the law of Moses) with christian faith.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the writer of Matthew to separate their community from the Jewish community in order to establish an identity of their own. As mentioned above, there were internal conflicts between rich and poor members in the Matthean community. For these reasons, the writer of Matthew needed an ethical norm(rule) to solve these two problems simultaneously. As recorded in the Sermon on the Mountain found in Matt 6:19-21, readers are advised to store up treasures for themselves in heaven. In this passage, the Matthean community was asked to do ethical norms of sharing. However, this did not mean simple sharing of material wealth. The ethical value of love prevents the ethical norm of sharing from falling over hypocrisy and double-minded behaviors, which was found in the case of the rich young man in Matt.19:16-26. The ethical value of coexistence, which is found in the event of Jesus feeding 5000 people, recorded in Matt. 14:13-21, suggests that ethical meanings of compassion and self-satisfaction are critical for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o become united for their coexistence through the ethical value of sharing. In the event of Jesus being anointed in Bethany by a woman(Matt. 26:6-13), it is shown that mutual respect is present between the giver and the receiver through the ethical norm of sharing. Also, the event above demonstrates the ethics of serving, which prevents another disunion and alienation, instead it builds wholesome(complete) community. As written above, the ethics of sharing, love, coexistence and serving found in the Gospel are the particular ethics of the ethical framework in Matt. 6:19-21. And Matt. 6:19-21, the Sermon on the Mountain includes the four ethical values and becomes important guidelines in solving problems of confrontations(disunion) and conflicts in the Matthean community.

      • 마을공동체 미디어 활동가들의 확장학습 경험 연구 : ‘커뮤니티 플랫폼 이유(理由)’ 사례를 중심으로

        김명숙 아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의 미디어 활동을 통해 나타난 확장학습 경험을 살펴보고, 그 학습경험이 어떠한 평생학습적 의미를 지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마을공동체가 활발히 전개되며 연구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지역에 위치하고, 독특한 성장과정으로 연구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며, 지인의 소개로 심리적 부담감이 적어 빠른 연구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커뮤니티 플랫폼 이유(理由)’를 연구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연구 참여자들을 둘러싼 상황과 배경이 미디어 활동으로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가에 주목해 참여맥락을 살펴보고, 연구 참여자들은 어떠한 마을미디어 활동을 전개하였는지 활동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또한 확장학습이론의 관점에서 그들이 전개한 미디어 활동은 어떻게 학습경험으로 연계되며, 그 학습경험은 어떠한 학습의미를 지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의 인터뷰, 발간물, 미디어 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연구현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기 위해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사례인 ‘커뮤니티 플랫폼 이유’는 마을잡지를 발간하는 ‘마을콕’이라는 비영리민간단체로 시작해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발전하였다. 마을라디오 ‘삐틀스’, 마을TV, 마을공동체 연구, 문화공간 ‘삐지트’,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까지 활동영역을 확장하는 독특한 성장과정을 보였다. 연구 참여자는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연구에 관심을 갖으며 자신이 경험한 연구현상에 대해 구체적이고 충분한 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다고 판단되는 사람으로 사례 구성원들 중 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인터뷰, 마을잡지 등 공동체 발간물, 라디오 방송, 마을TV 유튜브 영상, 신문기사 등 다양하게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현상학적 분석절차와 확장학습이론의 틀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절차를 반복적으로 수행해 학습경험과 학습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 첫째,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은 자신의 상황에서 마을을 바라보고, 당연시 하던 일들에 의문을 제기하며 미디어를 매개로 마을 활동에 참여하였다. 둘째,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의 미디어 활동과정은 우리이웃의 이야기 담아내기, 마을 현안을 톺아보며 비판적인 문제 제기하기, 마을 연대를 강화하는 활동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셋째,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은 미디어 활동과 학습을 연결해 이웃의 이야기로 새로운 세상을 만나고, 매듭 엮기를 발판으로 삼아 배움의 관계맺음으로 경계를 넘나들며 넓어진 세상에서 함께 성장하고 있었다. 마을미디어 활동은 미디어에 의해 마을공동체의 가치를 시간적, 공간적, 개념적으로 확장하고, 평생학습을 촉매하고 있었다. 논의사항은 첫째,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은 미디어 활동을 통해 새로운 매개체를 창출하였고, 매개체는 경계의 모호성을 이끌어 활동체계의 급속한 체계 접변으로 이어졌다. 둘째, 미디어 활동을 통한 확장학습은 매듭 엮기(knotworking) 형태의 매개도구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도구는 인쇄매체, 음성매체, 공동체 공간이었다. 셋째, 미디어를 매개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은 협력적 관계 맺음을 기반으로 학습주체로 성장해 가고 있었다. 이때의 관계 맺음은 공동체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활동은 지역활동가로 성장해가는 되어감의 의미를 지니는 동시에 실존적 만남의 의미가 나타났다. 즉,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은 자신의 삶에서 ‘실존적 순간’을 만나면서 미디어 활동에 참여하고, 미디어 활동은 정신적 존재를 만나는 창조적 활동의 일이었으며, 타자와의 만남을 통해 ‘나-너’의 만남의 학습을 실천해 더불어 성장하는 삶의 근원을 찾고 있었다.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의 미디어 활동을 통한 확장학습 경험에서 도출된 평생학습적 의미는 첫째. 시공간을 넘어 깊이 동감하며 함께 하려는 생각이 확장되는 공명 학습의 의미를 지닌다. 둘째. 마을에서의 미디어 활동은 배움의 관계를 맺으며 공동체 공유지식을 창출하는 활동이었다. 셋째. 자신이 가진 시간과 공간에서 주체적 존재를 드러내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고, 일상에서 소외를 극복하는 소통학습을 촉진한다. 넷째. 미디어 활동은 존재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아 어떠한 실체를 확인하기 어렵지만 자신들의 공동체를 넘어 암묵적 학습공동체를 형성하도록 촉진하는 과정이었다. 본 연구는 첫째, 일상의 평생학습에 대한 간학문적 연구를 시도하고, 둘째, 미디어, 마을공동체, 평생학습 측면에서 간과되었던 마을미디어 활동과 학습의 연계점을 찾고, 셋째, 미디어 활동을 통한 확장학습경험의 의미를 드러내 평생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특정한 사례를 분석해 확장학습 모형으로 일반화하기에 어렵고, 마을공동체의 다양한 주제 중 하나의 학습과정을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은 후속연구로 제언하였다. 후속연구는 첫째, 비판주의, 구조주의, 상호작용론 등 다양한 관점으로 마을미디어 활동이 주는 평생학습적 의미를 해석하는 연구, 둘째,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학습에 대한 연구, 셋째, 마을미디어 활동을 통해 공동체성 및 개인의 정체성을 어떻게 정립하는지에 대한 연구, 넷째, 공간이 평생학습에 어떠한 의미와 변화를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심층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공유공간 활성화를 통한 마을공동체 계획안 : 북가좌 제4주택 재건축 사업 해제 지역을 중심으로

        박대선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빠른 속도로 진행된 산업화로 인해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었다. 대도시의 인구수용을 위해 대량생산의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공간 구조를 가진 형태들이 개발사업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물리적 개발을 중심으로 개발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지역공동체가 배제되어 지역 정체성이 상실되었고 그로 인해 지역사회가 스스로 지역경쟁력을 유지하는 자생력을 키우지 못해 쇠퇴가 반복되는 양상을 보여 왔다. 이러한 현상에서 벗어나기 위한 움직임으로서 일시적 철거 후 개발이 아닌 점진적 개선의 형태가 필요함이 제기되고 있으며, 해당 지역에서 살고 일하는 사람들이 중심이 되어 지역사회의 가치를 스스로 지속 가능하도록 발전시키고 유지·관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일상생활 속에서 겪는 사회적 상호관계의 지속성과 회복을 바탕으로 지역을 중심으로 그 안에서 일어나는 사회·문화·경제·물리·환경 등 삶의 모든 측면이 지역개발의 대상이 되며, 공동체 회복을 통한 지속적 지역공동체 형성을 추진하려 한다. 이처럼 도시개발의 패러다임은 공간중심 개발 측면에서 사람 중심의 개발로 도시개발의 시각이 바뀌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의 정의와 흐름을 파악하고 공유의 개념을 분석하고, 공유주택, 코워킹 스페이스의 배경과 공간공유의 필요성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한다. 국내외 공유주택, 코워킹 스페이스 그리고 공동체 사례를 통해 특징적 요소, 추구하는 방향성 그리고 공동체적 특성을 분석한다. 이에 본 연구는 주요 이슈를 재개발 주택의 1순위인 단독, 다가구주택과 사회적 자원인 공동체와 그리고 공동체를 이끌 인적자원으로 1인 가구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재개발 해제 구역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가좌2동의 북가좌 제4주택 재건축 해제 지역 일대를 중심으로 1인 가구와 기존 주민들이 마을의 발전에 기여하며 마을의 지속성과 주민 간의 상생 가능성을 공유공간 활성화로 보며 이를 통한 마을공동체 계획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을을 유지, 발전 시킬 방안으로 공유주거, 공유생산, 공유자산의 3가지 주요 개념으로 잡았다. 첫 번째, 공유주거는 노후주택인 단독, 다가구주택을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1인 가구들에게 임대하여 안정적인 주거권을 부여한다, 그리고 집주인에게는 노후주택을 정비할 수 있는 기금을 보조해주며, 1인 가구는 주택을 정비하는 주체로 인력을 제공한다. 두 번째, 공유생산은 코워킹 스페이스를 통해 주민들이 모여 마을 프로그램을 기획 또는 생산품을 통해 마을의 공적 자산을 축적하며, 주변 사람들과의 유대감 및 공동체성을 형성시켜 마을의 정체성을 확립시킨다. 세 번째, 공유자산은 마을 내에 유휴공간과 단독, 다가구주택의 저층을 마을의 공유자산으로 등록하여 마을 주민 모두가 관리, 감독의 주체가 된다. 물리적 공간으로는 휴식 공간, 생산 공간, 문화 공간, 공유 주거가 있으며 인적자원으로는 주민들이 되며 이를 통해 마을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공동체성을 확립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마을 만들기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주민들과 함께 1인 가구들이 마을에 살면서 서로가 소통하는 장소로 공유공간이 주민들의 네트워크, 소속감, 유대감의 형성 및 유지된다면 행정의 역할을 대신하여 주민들이 마을의 문제를 찾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주체적이고 지역에 맞게 해결할 수 있으며, 지역의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Fast moving industrialization led to fast moving urbanization. Accordingly, standardized and close-spaced housing units were mass produced to accommodate the city populations. In this course of physical development and pursuit of profit, regional communities were ignored, resulting in loss of regional identity and decline by being unable to nurture self-sustenance and maintain regional competitive edge. As a part of movements to break bound from such occurrence, rather than the previously executed demolitions and developments, people are raising the need of a more gradual form of development, where the residents of relevant area converge to develop and maintain sustainable regional values. On the basis of sustainability and recovery of all social interactions, all aspects of life, including social, cultural, economic, physical and environmental, are subjects to regional development and we plan to form a sustainable regional community through community recovery. As such, the paradigm of urban development is shifting from a space-centric to a human-centric one.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to determine the definition and flow of urban renewal, analyze the concept of sharing, and theoretically contemplated on the need of shared housing, co-working space and shared space. Shared housing, co-working space and shared space cases from around the world were analyzed by their characteristics, dire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ccordingly, this study converged on single and multiple-unit housings, no. 1 in redevelopment housing units, communities, a social resource, and one-person households, human resource that will lead the communities. Therefore, a community plan is proposed centering on the Bukgajwa fourth housing reconstruction restriction zone in Bukgajwa 2-dong, Seodaemun-gu, Seoul, where one-person households and resident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town and the sustainability of town and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among the residents are perceived as the initiation of shared space. As means to develop and maintain the town, shared housing, shared production and shared property were established as 3 key concepts. First, shared housing leases single-unit and multi-unit housings to single-person households at cheaper rates in the area for a more stable housing right. Current home owners will be granted funds to maintain old housing units. Personnel will be provided to single-person households for housing maintenance. Second, shared production enables residents to plan town programs or products through co-working spaces to accumulate communal properties and establishes community identity by forming a sense of fellowship among the people. Third, in shared property, unused spaces and lower floors of single-unit and multi-unit housings are registered as shared properties of the town, managed by all residents. Physical spaces include rest areas, productive areas, cultural areas, and shared housing units and human resources include the residents who should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town and the sense of comm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revious town building projects, this study enables the town resident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to identify and resolve the issues of their own town by utilizing shared spaces as place of communication and building and maintaining resident network, sense of belonging and bonding. Moreover, in the event a problem occurs, the people will be able to resolve the issues as they see fit and strengthen regional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