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근무환경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이은실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근무환경,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간의 관계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근무환경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근무환경,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요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근무환경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근무환경,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정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근무환경,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근무환경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M시와 M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이 연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회수되지 않거나 회수된 설문지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14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3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지는 데이터 코딩을 거친 후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Davis(1980)가 제작하고, 박성희(2004)가 번안한 대인관계 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척도를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Bloom(1996)이 개발한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ECWES)를 토대로 이지연(2021)이 수정한 척도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진숙(2009)이 개발하고, 김정화(2014)가 수정ㆍ보완하여 구성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를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근무환경,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근무환경,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근무환경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근무환경,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정도를 평균점수로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근무환경,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은 보통 점수인 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근무환경,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하루일과존중, 아동최선이익 두 하위요인 모두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근무환경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관계를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하루일과존중, 아동최선이익 모두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공감능력과 근무환경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에서도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은 근무환경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근무환경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조직환경과 교사사기, 의사소통과 합리적규정, 기관내 상호작용 모두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근무환경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공감과 근무환경의 하위요인인 조직환경과 교사사기, 기관내 상호작용, 의사소통과 합리적규정 전체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근무환경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보육교사와 공감능력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매우 중요한 개인적인 요소이고,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또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매우 중요한 환경적인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유아들이 많은 시간을 어린이집에서 활동함으로 인하여 보육교사는 부모를 대신하는 양육자로서의 역할이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근무환경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자료를 구성하는데 활용되어지고,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working environment, and child 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rights, and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work environment on child 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rights.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empathy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child 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right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analyzed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work environment on child 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rights.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empathy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right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working environment, and infant rights respect child care practice?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working environment on the practice of childcare that respects infant righ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5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M-si and M-gun, Jeollanam-do, and 436 copi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14 questionnaires that were not retrieved or faithfully answered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retrieved questionnair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subjected to data coding and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27.0 program. To measure the empathy of childcare teachers,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IRI) scale produced by Davis(1980) and adapted by Park Sung-hee(2004) was used, and the scale revised by Lee Ji-yeon(2021) based on the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ECWES) developed by Bloom(1996)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measure the level of child care teachers' child care practice respecting rights, developed by Kim Jin-sook(2009)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Kim Jung-hwa(2014).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using the SPSS 27.0 program are as follow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empathy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rights.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working environment, and infant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working environment affect infant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average score of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working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rights,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working environment, and respecting infant right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of three point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working environment, and infant rights respect child care practice, child 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ant rights respect child care practice, and among the sub-factors of infant rights respect child care practice, both day and respect and child best interes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practice of respecting infant rights, the working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actice of respecting infant rights, and among the sub-factors of respecting infant rights, daily work, respect, and children's best interests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The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bility and work environment also showed that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ork environment, and among the sub-factors of work environment,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teacher fraud, communication and rational regulations, and interactions within the institution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mpathy and working environment on the practice of respecting infant righ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 care teachers' empathy,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teacher fraud, intra-institutional interaction, communication, and rational regulations, which are sub-factors of cognitive empathy and work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actice of respecting infant rights.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empathy ability and working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affect the practice of respecting infant rights. Childcare teachers and empathy are very important personal factors in the practice of respecting infant right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child care teachers is also a very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in the practice of respecting infant rights. In particular, as infants and toddlers spend a lot of time working at daycare centers, the role of childcare teachers as caregivers on behalf of their parents has increased.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hat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athy ability and working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are important variables in the practice of respecting infant right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to construct educational materials to improve the practice of respecting infant rights, and studies to improve the practice of respecting infant rights will be continuously conducted.

      •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배순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공감능력에 의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부산시에 위치한 두 개 대학교의 대학생 286명(남학생 129명, 여학생 156명)이었다.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Navran(1967)가 부부 의사소통 검사를 위해 개발한 PCI(Primary Communication Inventory)의 내용을 모의회(2001)가 고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으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공감능력은 Mehrabin과 Epstein(1972)의 정서공감 척도, Davis(1980)가 제작한 IRI검사, Bryant(1982)가 정서공감 척도를 제작하였고 박성희(1994)가 번안한 것을 전병성(2003)이 재구성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대인관계능력은 Buhrmester, Furman, Wittenberg과 Reis(1988)가 개발한 대인관계 능력 검사(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를 김창대와 김수임(1999)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를 분석한 방법으로는 측정 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각 변인별로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보다 객관적으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과 그 하위변인인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의 변인 간에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은 대인관계 유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공감능력은 두 변인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감능력의 두 하위 변인인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보면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이 각각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두 변인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그 하위변인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히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담 및 교육환경에서의 시사점과 제안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ediating roles of empathic ability in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what effect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empathic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had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examine if the effec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mediated by the empathic ability. The subjects were 286 university students(men: 129, women: 156) of two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Busan. In order to measur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the tool that Eui-Hee Mo(2001) adapted the contents of PCI(Primary Communication Inventory) developed by Navran(1967) for the conjugal communication test into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by high school students was used. The emotional empathy criterion by Mehrabin and Epstein(1972), IRI test made by Davis(1980), emotional empathy criterion by Bryant(1982) were used for the empathic ability, and the test tool that Byeong-Seong Jeon(2003) reorganized what Seong-Hee Park(1994) adapted was used. Chang-Dae Kim and Soo-Lim Kim(1999) adapte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developed by Buhrmester, Furman, Wittenberg & Reis(1988), which was us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the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each variable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test valve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mediating roles verification. Also,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roles of empathic ability more objec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statistically among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empathic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nd its sub-factors: cognitive empathic ability, emotional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it was show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ha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 empathic ability had the partial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of two variables. Also, given the mediating roles of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which were two sub-factors of empathic ability, it was revealed the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had the partial mediating roles each in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basis of the result abo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at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has the posi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 empathic ability and its sub-factors had the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of both variables. A proposal was suggested for the consultation for improving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for the implications, follow-up stud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오영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의 학교생활의 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주목하였다.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아동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체계적인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공감능력, 친사회적 행동, 학교생활적응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 있어 친사회적 행동이 매개 하는가? 연구문제를 밝히기 위해 서울에 소재한 S초등학교 5,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339명의 아동들이 참여하였으며 이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323명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공감능력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 친사회적 행동척도의 3가지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첫째, 아동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2개의 검사 도구 즉, Davis(1980)의 대인관계 반응성 지수(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척도(조망 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와 Bryant(1982)의 정서공감 척도(공감적 각성)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공감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둘째, 학교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임정순(1993)의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검사를 바탕으로 우소연과 박경자(2008)가 24문항으로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셋째,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는 정희원과 김경연(2005)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 통계 처리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 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 친사회적 행동의 문항 간의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연구변인들의 기술통계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등을 산출하였다. 셋째,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 친사회적 행동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넷째, 연구문제인 초등학생들의 공감능력, 친사회적 행동,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EM)을 실시하였으며 모수 추정방법으로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을 사용하였다. 또한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친사회적 행동의 간접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하위영역인 인지적 공감능력(조망취하기, 상상하기)과 정서적 공감능력(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이 모두 학교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감능력의 정서적 요인 중 공감적 관심은 교사와 교우 관계에 있어 모두 상대적으로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공감 능력의 하위 요인인 인지적 공감능력(조망취하기, 상상하기)와 정서적 공감능력(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친사회적 행동 역시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과 친사회적 행동 역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영역인 친사회적 가치지향, 아픈 사람 돌봐주기, 위한 및 사회 평등 실천, 돕기, 인화, 협동, 양보 및 자기희생 등의 변인 등은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하는 변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변인들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초등학생들의 공감능력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를 통해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의 선행 연구들은 개인적인 특성으로서의 공감 능력이 대인관계, 갈등해결, 학교생활적응과 같은 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기능을 한다는 결과들은 있었으나 그 과정에 대한 설명은 미흡하였으며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공감능력이 높은 아동들은 타인을 이해하고 돕고자 하는 친사회적 행동을 함으로써 학교생활적응도를 높여간다는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것은 매우 의미가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초등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맞춘 실증적인 문항 연구와 학년별로 체계화된 공감 및 친사회적 행동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학교 현장에서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교사들을 위한 다양한 생활지도 및 상담 심리 관련 연수 프로그램의 개설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시·도 교육청, 지역사회 유관 대학과 전문가들이 공동 연구하고 참여하는 제도적인 협력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통합적 공감교육의 원리와 방법에 대한 연구

        조민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통합적 공감교육의 원리와 방법에 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합적 공감교육은 공감능력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학적 요인, 사회인지적 요인, 상황맥락적 요인들을 고려한다. Ⅰ장에서는 학생들의 사회정서적 발달을 위해 공감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고 통합적인 방법으로 공감능력을 발달시켜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공감을 ‘타인이 생각하거나 느끼는 것을 파악하고 그들의 사고와 기분에 적절한 감정으로 대응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공감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들을 네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통합적 공감교육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통합적 공감교육은 자기공감을 근원으로 타자공감을 발달시키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고 공감의 구성요소들인 신경학적· 사회인지적· 상황맥락적 요인들을 균형적으로 발달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통합적 공감교육의 사례로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이 프로그램은 공감발달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지만 우리나라 중등교육에서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레스트의 도덕성 4구성요소 모델을 참고하여 통합적 공감능력 발달을 위한 학습방안을 제안하였다. 공감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통합적으로 작용하며 공감능력을 발달시킨다. 신경학적 요인은 공감 회로와 호르몬의 작용 등이다. 이 요인들은 공감과 정서적 작용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이해를 돕는다. 사회인지적 요인은 자기개념의 발달, 자존감과 정체성 등이다. 사회인지의 발달 과정에서 타인의 감정과 행동에 대한 이해가 공감능력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상황맥락적 요인은 관계적· 환경적 요인들이다. 부모와의 애착관계, 따뜻한 공동체 환경 등이 상황맥락적 요인에 포함된다. 이 세 가지 요인들은 개별적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통합적으로 공감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학교에서 이루어진 공감교육은 인지적이고 잠재적인 교육 중심이었다. 사회적 역량으로서의 공감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공감발달 요인들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성숙한 공감은 도덕적인 측면에서의 공감행동을 목표로 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공감이 공감적 상황의 인식 및 해석, 상황에 맞는 바람직한 공감행동 추론, 다른 가치보다 공감을 더 우위에 두려는 동기부여, 외부 압력에도 용기 있게 행동하는 공감의 품성화의 네 가지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질 때 공감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사회적 역량 발달을 고려한다면 친사회적 역량이 악화되는 중학생 시기에 공감능력 발달을 위한 적극적인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

      • 인권기반 공감능력향상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폭력태도와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선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mpathy-based human rights program on the school violence attitude and empath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s set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a program that enhances empathy based on human rights affect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on the school violence? Second, how does a program that enhances empathy based on human rights affect the empathy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hypothesis, students with high aggressiveness among first year students in H-specialized high school in B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nd allocat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y random allocation, respectively. The school violence attitude and the empathy ability measure were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nd the covariance analysis (ANCOVA)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that enhance empathy based on human rights appropriately changed the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on school violence. This program seems to have affected the attitude of the victim and the offender, especially in the school violence attitude. Second, programs that enhance empathy based on human rights improve the empathy of high school students. It also infiuenced share perspective of cognitive empathy, imagine, empathic interest in emotional empathy, personal suffering which are sub-factor of empathy ability,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found the program that enhance empathy based on human right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o change their attitudes on school violence and to empathize. In addition, we have shown that the combination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cognitive and emotional sympathizers i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o empathize in this study. Finally, it is important to confirm that the program that enhance empathy based on human rights is effective in chang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on school viol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 - up research to improve the empathy of high school students.

      • 유아의 공감능력과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송승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의 공감능력, 어머니의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능력,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의 공감능력, 어머니의 공감능력,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의 공감능력, 어머니의 공감능력,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유아의 공감능력과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23명과 그들의 어머니,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 도구는 김영옥(2003)이 개발하고 윤경선(2006)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교사용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최수랑(2002)의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한 강민주(2010)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공감능력은 Davis(1980)의 IRI검사와 Bryant(1982)의 공감적 각성 검사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공감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먼저 유아에게 연구자가 1:1의 면담방식으로 공감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검사는 각각 유아의 어머니와 담임교사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문제 1]에서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 2]에서는 독립표본 t검증을 [연구문제 3]에서는 상관관계 분석, [연구문제 4]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모두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가정의 월평균수입, 어머니의 최종학력, 유아의 공감능력, 어머니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능력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모형 1에서는 유아의 성별만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 2에서 추가된 유아의 공감능력 또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3에서는 어머니의 인지적 공감능력을 추가적으로 투입한 결과 이 또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empathy, prosocial behavior and mother’s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nd to examine ways of enhanci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by analyzing factors affecting its development. Research 1.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children’s and mothers’ empathy? Research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ir gender? Research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children’s and mothers’ empathy? Research 4. How do children’s and mothers’ empathy influenc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targeted 223 5-year-old pre-school children, their mothers, and teachers. In order to retriev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questionnaire was created by Young-Oak, Kim (2002). Kyung-sun, Yoon’s (2006) PBSYC was used, which is teacher-based questions that analyze pro-social behavio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as measured by Min-Joo, Kang’s (2010) edited version of Soo-Rang, Choi’s (2002) questionnaires. Mother’s empathy was tested by using a Davis’ (1980) IRI test and a Bryant’s (1982) sympathy arousal exam, which were translated, edited, and supplemented by Sung-Hee, Park (2002). Research procedure was 1:1 consultation between an examiner and a child to analyze empath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as measured through a survey. and was analyzed through SPSS 18.0, a statistical program. Cronbach’s α was us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t study,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basic summary of study is followed under three main ideas. First, girls had higher level of empathy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than boys. Second,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depended on family income and parent’s educational degree.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the mothers’ cognitive empathy ability. However, the mothers’ emotional empathy ability had no association with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ird, only the youth’s gender influenced the pro-social life, activities, and behaviors. In addition, youth’s empathy ability was voluntarily affected with their pro-social behavior. When mothers’ cognitive empathy was added, its effect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여성 피부미용 종사자의 공감능력과 상담서비스품질,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감정조절의 매개효과

        우은주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modern centuries the advance technology of media and internet ease to access and share a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various subject. Accordingly, in modern information age, individuals’ preferences and desire has become relatively complex compared to the past. Thus, individuals’ expectation standards of the skin care professionals’ knowledge and service quality has become further. As a result, industry should not offer simply selling skills and services, but also considerate relationship marketing strategy to leverage customer value. The skin care professionals were perceived as “physical labor in the past”. However, in recent years, skin care professionals requi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s they are treating skin; one of the human organs and having relationship within their customers while providing skin 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relevant preceding studies, the empathic ability, counseling service qua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job satisfaction research is constantly conducting. However,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of each element; ‘empathic ability’ and ‘skin care professionals’, ‘counseling service quality’, ‘emotion regula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relatively insufficient. The skin care industry has labor dependent characteristic, since it offers a therapy which physical contact with professionals and customers is inevitable. Hence, for market competitiveness, securing and controlling labor force are signific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e correlation of the elements above and provide suggestion of the way to enhance and control labor force in skin care industry. Accordingly, the verify method is based on the self-regulat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skin care professionals.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has been used to analyz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one-way vari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rametric regression. First,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factor.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control were derived by one factor. The quality of counseling was derived from three factors: Professionalism, Kindness and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was derived from two factor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Second, the influence of the empathic ability on counseling service qu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represented correlation and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in factors.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regulation on counseling service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represented counseling service quality has correlation within sub-factors except environmental factors. Lastly, the mediation effect when the empathic ability influences counseling service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represents emotional regulation has a medial effect in relation of the factors of professionalism and kindness of counseling service quality, and that emotional regulation has a medial effect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As mentioned above, the industry is labor dependent where enhancing and securing professional labor force is crucial for profitability and competitiveness. The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ability, counseling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represents it is recommendable to develop training program to enhance empathic ability to develop customer responses of the labor force. It is meaningful that this paper has demonstrated the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ability, counseling service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n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to suggest industry to consider those factors for develop its labor force. 현 시대는 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화 시대이다. 고객의 욕구가 다양해졌으며 단순히 기술을 팔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영마케팅이 아닌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고객가치를 끌어올리는 관계마케팅이 필요하다. 소비자들의 지식과 요구하는 서비스의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의 피부미용 종사자는 단순노동으로 인식되어졌지만 현대의 피부미용 종사자는 신체 기관 중 하나인 피부를 다루는 업종인 만큼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고 있다. 피부미용 산업은 고객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높은 산업이기 때문에 기업경쟁력을 위해 전문적인 인력의 확보와 지속적인 인적자원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양한 분야에서 공감능력, 상담서비스품질, 감정조절,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가 꾸준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피부미용 산업에 관련하여 공감능력과 종사자들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상담서비스품질, 감정조절,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공감능력, 감정조절, 상담서비스품질,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분석하고 감정조절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피부미용 산업에서 상담이 갖는 중요성을 인지하여 피부미용 종사자의 전문성을 증진시키고, 종사자의 직무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직무 불만족으로 인한 이직률을 감소시켜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조사 방법으로는 피부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하여 조사한 총 380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으로 사용되었고,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이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각 요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 한 결과, 공감능력과 감정조절은 각각 단일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상담서비스품질은 ‘전문성’, ‘친절성’, ‘환경성’ 세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직무만족은 ‘심리적 만족’, ‘근무환경 만족’ 두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공감능력이 감정조절, 상담서비스품질 그리고 감정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감정조절이 상담서비스품질,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상담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환경성 요인 외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공감능력이 상담서비스품질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때 감정조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상담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인 전문성 요인, 친절성 요인과의 관계에서 감정조절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심리적 만족 요인과의 관계에서 감정조절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피부미용 종사자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이용하고, 내담자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켜 차별화된 브랜드 가치를 구축해 나가면 소비자와의 신뢰관계가 형성되어 기업의 수익 창출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종사자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전문적인 인력확보와 관리를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 산업 경영관리의 구축과 고급인력 육성과 확보를 위해 공감능력, 상담서비스품질과 직무만족이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에 감정조절이 가지는 매개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정가영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current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thers as main caregiver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Moreover, this study aimed to develop future educational program and various measures for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studie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1. What is correlational relationship among mothers’ empathy,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2. Does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2-1. Does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cooperation? 2-2. Does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others? 2-3. Does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autonomy? 2-4. Does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330 3-, 4-, and 5-year-old young children currently attending private, public, and employer-sponsored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vis’s (1980)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and Bryant’s (1982)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dapted and revised by Park (1997), were used to assess mothers’ empathy. To examine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e present study used Cho’s (2007) modified questionnaire, which referred the previous studies claiming emotion regulation is a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Moon, 1996; Salovey & Mayer, 1990). Also, Vineland’s (1979) Social Maturity Scale, which was revised by Hong (2012), was used to assess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First, descrip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participants’ socioeconomic status. Based on the study question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Lastly,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tatistical investigation suggested by Baron & Kenny (1986) was used,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mothers’ affective and cognitive empathy increased, sub-factors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ooperation, understanding of others, autonomy, and peer interaction, also increased. Furthermore, mothers’ empathy influenced children’s general regulation abilities, including self-regulation and others-regulation abilities. This indicates that mothers’ empath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influence each other.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empathy, mediated by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us, mothers’ empathy can foster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rough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highlighted the role of mothers as important caregivers who foster young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suggested the future studies on educational program for mothers. 본 연구에서는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정서조절능력을 매개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촉진시키는 어머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어머니에 대한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을 촉진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이나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과 후속 연구를 마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1.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유능감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유아정서조절 능력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2-1.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협동심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2-2.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타인이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2-3.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자율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2-4.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에 위치한 민간, 국공립, 직장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3,4,5세 유아 330명과 그들의 어머니 33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로는 어머니의 공감능력측정은 Davis(1980)의 IRI검사와 Bryant(1982)의 공감적 각성검사를 박상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공감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Goleman(1995), Saarni(199), Salovey와 Mayer(1990)의 정서지능 척도의 4개 하위영역중 자기조절과 타인조절 2개 하위척도를 예비조사를 거쳐 사용하였다. 이는 정서조절이 정서지능의 구성요소로서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조절할 줄 아는 능력이라는 선행연구(문용린, 1996; Salovey & Mayer, 1990)에 기초한 것을 조인영(2007)이 수정한 것이다.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측정은 Vineland(1979)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홍진영(2012)이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통해 빈도와 백분율을 한 후 본연구에서 사용한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값을 산출했다.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을 통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에서 유아 정서조절능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한 후 통계의 유의성 검증을 위한 Sobel Test를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능력과 인지적 공감능력이 증가 할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협동심, 타인이해성, 자율성, 또래 간 상호작용은 모두 높아진다. 또한 어머니의 공감능력은 유아의 자기조절, 타인조절을 포함한 정서조절능력 전체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유아의 정서조절은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어머니의 공감능력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매개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발달시키는 것이 검증되었다. 즉 어머니의 공감능력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적 관계에 있어서 매개변수인 유아정서조절능력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더욱 증진 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의 정서·사회성 증진을 위한 변인으로서의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하고 어머니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놀이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허가영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Empathy and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ects on Play Execution Competency Heo, Ga-Yeong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execution ability, a comprehensive ability expressed in playing with infants, and to find out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nd resilience correlate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execution ability. Research problems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general trend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resilience, and play execution capabilitie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nd resili ence,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execute play? 3. What i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nd resilience on earl y childhood teachers' play execution capabilities? 3-1. What i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nd resili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execution capabilities? 3-2. What is the impa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nd resili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nderstand the play-oriented curriculum among their play execution capabilities? 3-3. What is the impa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nd resili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execute play-oriented curriculum among their ability to execute play? This study randomly sampled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Jeollanam-do and Gwangju to find out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nd resilience affect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execution capabilities.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the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in person or by pho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11 homeroom teachers aged 3, 4, and 5 at 56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ith consent. Among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300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excluding 11 questionnaires that were omitted or did not respond reliably during the organization process.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resilience, and play execution abil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nd resilience. The overall play execution abilit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elf-regulation ability, a sub-factor of resilience, followed b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order of empathy,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and interpersonal ability, a sub-factor of resilience. As a result, the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lso affects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field, and among them, self-regulation, a sub-factor, solves positive problem situations in conflict situations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s with infants. As such, resilience affects not only individual teachers but also infant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bility to cope with negative situations. Second, among the sub-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resilience, the "self-regulation ability" variable and the "cognitive empathy" variable among the sub-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the overall play execution ability, play-oriented curriculum understanding ability, and play-oriented curriculum execu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ognitive empathy, which is a sub-factor of empathy, and self-regul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resilience, are important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to strengthen their play execution cap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ontinuous and diverse education is needed to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gnitive empathy and self-regulation skills as it can be seen that play execution skills increase when early childhood teachers' cognitive empathy and self-regulation skills are high. Keywords: empathy, resilience, play execution competency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놀이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유아들과 놀이를 하는 데 있어 발현되는 포괄적인 능력인 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역량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더 나아가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역량과 어떤 상호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회복탄력성, 놀이실행역량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 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역량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2.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역량 중 놀이중심 교 육과정 이해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3.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역량 중 놀이중심 교 육과정 실행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라남도 및 광주광역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서 종사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임의로 표집하였다. 해당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본 연구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직접방문 혹은 전화를 통해 설명한 후, 동의를 얻어 유아교육기관 56개소의 만 3, 4, 5세 담임교사 311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중 정리과정에서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확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300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회복탄력성, 놀이실행역량 간의 관계는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회복탄력성은 놀이실행역량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실행역량 전체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공감능력 전체,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공감과 정서적공감,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능력 순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이 교육현장에서 질적인 측면에서도 영향을 미치며 그 중에서도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은 갈등상황에서 긍정적인 문제상황을 해결하고 유아와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렇듯 회복탄력성은 교사 개인뿐만 아니라 유아에게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부정적인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회복탄력성이 놀이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하위변인 중 ‘자기조절능력’ 변인과 공감능력의 하위변인 중 ‘인지적공감’ 변인이 놀이실행역량 전체,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역량,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가 놀이실행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공감,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소임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인지적공감과 자기조절능력이 높을 때 놀이실행역량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유아교사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 공감능력, 회복탄력성, 놀이실행역량

      • 군 병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능력을 중심으로

        김형래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서부지역 병사를 대상으로 군 병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실시 이전과 이후의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능력 수준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 병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실시하지 않은 집단 보다 공감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 될 것이다. 둘째, 군 병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실시하지 않은 집단 보다 대인관계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군 병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서부지역 A부대 병사 200명을 실험집단으로 군 병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는 서부지역 B부대 병사 200명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집단은 후기 청소년 대상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재)푸른나무 청예단이 개발한 군 병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병사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공감능력에 관한 28개 문항과 대인관계능력에 관한 17개 문항, 총 45개 문항을 설문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후 설문은 사전설문의 순서 및 나열을 재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군 병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병사의 공감능력은 통제집단의 공감능력보다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따라서 군 병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실시하지 않은 집단 보다 공감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라는 연구가설1은 지지되었다. 둘째, 군 병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병사의 대인관계능력은 통제집단의 공감능력보다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따라서 군 병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실시하지 않은 집단 보다 대인관계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라는 연구가설2은 지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the effectiveness of military sociality improvement program that was conducted with Western military soldiers. It is to find out the the level difference of empathy and interpersonal abil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earch hypothesi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group which executed military sociality improvement program will have significant on empathy ability compared to the group that has not executed the program. Second, the group which executed military sociality improvement program will experience significant development on interpersonal ability than the group that has not executed the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is research hypothesis, 200 soldiers from the Western area military A troop where military interpersonal sociality program is being executed, were set as experimental group. Another 200 soldiers from western area B military troop where military sociality improvement program is not being executed, was set as controlled group. Experimental group analyze post teenager advance research, and execute military sociality improvement program that was developed by NGO group named Purun Namu Cheong Ye Dan. In order to learn the difference of soldiers after the program execution, survey that consist 17 questions regar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28 questions regarding empathy ability, total 45 questions have been surveyed. After program execution, the order of survey questions were reorganized and survey was re-executed. To summarize conclusion of study, first, soldiers’ empathy ability from the group where military sociality improvement program has been executed showed significant development of empathy skills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soldier’s empathy ability. Therefore the research hypothesis- the troop where military sociality improvement program has been executed will have significant development on empathy ability than the troop where the program is not executed- has been supported. Second, soldiers’ interpersonal ability from the troop where miliary interpersonal sociality program was executed showed significant development compared to the ones from controlled group. Therefore the hypothesis of the troop where military sociality improvement program was executed will have significant development on interpersonal ability has been sup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