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령에 따른 골프 수행 중 생리적 특성 연구

        柳鳳桓 목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골프 수행은 적절한 에너지 소비를 통한 산소운반기능이 폐환기량 및 폐포확산능력 등을 신장시키는 폐기능적 요인과 심박출량, 심박수 등의 심장 기능적인 요인, 혈액의 산소포화능력, 활동근에 공급되는 혈류량 및 활동근 자체의 산소섭취능력 증가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건강체력 중 심폐기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심폐기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데 최대심박수는 정상인의 경우 10~15세부터 매 1년마다 1박 정도 감소하고, 최대산소섭취량은 10대 47~56ml/kg/min에서 나이가 들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60대에는 31~38ml/kg/min정도가 된다. 이러한 연령에 따른 심폐기능의 변화는 참여하는 운동에 따라 환기량, 호흡교환율, 에너지 소비량 등의 생리적 특성에도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연령에 따른 운동수행 중 심폐기능의 변화를 관찰하여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연구는 중요하다. 그러나 골프에 관련된 최근 연구들은 기능적 향상을 위한 운동 역학적 연구와 심리학적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어 생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골프운동 중 생리적 변화를 관찰하여 건강체력 증진에 효과적인 운동강도를 제시하고 운동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과학적인 운동수행과 운동처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본 심박수, 운동강도, 환기량, 호흡교환율이 운동 초기 40대와 50대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인 원인은 중년남성의 신체활동부족으로 인한 심폐능력의 저하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골프참여에 관한 연구자료에 의하면 골프 라운딩을 주1회 이상 실시하는 빈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경제적, 시간적인 요소에 의한 것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골프를 규칙적인 운동으로 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고 골프와 함께 장시간 걷기, 조깅, 달리기 등의 유산소성운동을 병행하는 복합적인 운동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골프라운딩 중 운동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연령, 체중, 신장, 개인의 심폐지구력, 피로, 골프코스의 구성 등을 들 수 있는데 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골프는 비교적 운동강도의 변화가 적은 종목이다. 골프와 같은 걷기운동의 효과에 대한 최근연구들은 혈당, 지질대사, 인슐린(insulin)민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비만남성들에게 10주 동안 걷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CAD의 위험요인을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골프 수행 중 장시간 걷게 됨으로 골프는 40대, 50대의 운동부족증의 개선과 신체조성에 효과적인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프시작 후 3시간부터 40대와 50대는 심박수, 운동강도, 환기량, 호흡교환율, 에너지소비량의 현저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장시간의 운동으로 인한 피로에 의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40대와 50대는 5시간이 소요되는 18홀의 골프 라운딩보다 약 2시간 30분에서 3시간이 소요되는 9홀의 골프수행이 운동 수준에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change related with the age among golf players. Subjects were divided 3 groups, 30's years-old(n=10), 40's years-old(n=10)and 50's years-old(n=10). And measurement times are distinguished 5 times for 5 hours. This study measured the factors(Heart rate, Exercise Intensity, Oxygen intake, Ventilation, Respiratory exchange ratio and Energy consumption) The major results based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 of this study were: 1. Heart rate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2. Exercise intensity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3. Oxygen intake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4. Ventilation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5. Respiratory exchange ratio was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during 5 hours golf-playing 6. Energy consumption was significant change in rest 4 hours golf-playing but was not significant change in each group in third hours golf-playing

      • 골프 스트레스와 극복력과의 관계 : 경기력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정현수 호서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골프 참가자 누구나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자신의 최적의 상태에서 골프 경기에 참여하여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를 원하지만 다양한 이유로 실패하는 경험을 받는다. 이러한 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골프 스트레스와 극복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경기력 수준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이는 골프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학문적 자료를 수준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 이를 위해 충남 및 대전 지역의 실외 골프연습장에서 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일반 골퍼와 지도자 대상으로 목적표집법을 적용하여 사전에 완성된 조사도구를 이용하여 216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맞게 통계처리를 하였고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을 .05로 설정하고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퍼의 스트레스에서 동반자 무례(연령대, 경기력, 운동경력), 경제적 부담(경기력, 운동경력) 요인은 개인적 특성에서 일부 차이를 보였다. 또한 골퍼의 극복력에서는 관계적(경기력), 상황적(연령대, 경기력, 운동경력) 요인이 개인적 특성에서 일부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골퍼의 스트레스와 극복력과의 관계에서는 스트레스의 동반자 무례(상황적), 경제적 부담(철학적, 관계적, 상황적), 경기수행력(관계적, 상황적) 요인이 극복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골퍼의 극복력 능력을 통해 스트레스 일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골퍼의 스트레스와 극복력과의 관계에서 경기력 수준의 차이에서는 스트레스의 동반자 무례와 극복력의 상황적 요인의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프로에 비해 아마추어의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기 때문에 아마추어 골퍼들이 동반자의 예의를 더 중시 여기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결론적으로 골프 스트레스와 극복력과의 관련성에 유의미하여 골퍼의 극복력 증진을 위한 개인적 노력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골프 참여의 지속성이 결정된다. 동반자 예의는 프로에 비해 아마추어들이 더 중요시 여기고 있어 아마추어들에게는 골프 규칙 및 에티켓에 관한 학습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무엇보다 경기력 수준에 따른 차별적인 접근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경기력 수준에 따른 대학 골프선수의 승부근성이 경기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김민수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첫째, 성별에 따라 대학 골프선수의 승부근성에 차이를 보였으며 투혼과 승부욕 요인에서 남자 대학 골프선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2학년, 5-10년 미만의 경력을 지닌 대학 골프선수들의 승부근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에 4학년, 10년 이상의 대학 골프선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적 특성에 따라 대학 골프선수들의 승부근성에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맞춤식 심리적 처치를 제공하여 대학 골프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승부근성 훈련 프로그램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남자이면서 고학년 그리고 골프경력이 상대적으로 많은 대학 골프선수들이 심리적 경기수행능력에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 처치 훈련은 여자이면서 저학년, 골프경력이 낮은 대학 골프선수들에게 적극적으로 권장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 골프선수의 투혼과 승부욕 요인은 심리적 경기수행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투혼 요인은 기술적 경기수행능력까지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대학 골프선수의 승부근성 중 투혼 요인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넷째, 승부근성의 투혼 요인은 경기력 수준별 대학 골프선수들의 기술적 경기수행능력에 차이를 보이면서 경기력이 우수한 집단들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 프로 선수들처럼 기술적 능력이 우수할수록 투혼이 발현될 가능성이 있어 심리 처치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대학 골프선수들은 기술적 경기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선행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승자에게 특권이 주어지는 현대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대학 운동선수들은 승리를 위한 승부근성이 현 시점의 삶을 영위하는 측면에서 절대적 요소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승부근성 수준에 따라 성공과 실패에 대한 기대치가 다르기 때문에 대학 골프선수들에게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반드시 규명하여 자료로 활용되어져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력 수준에 따른 대학 골프선수들의 승부근성이 경기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여 객관적인 승부근성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018년 10월에 옥스필스 컨트리클럽에서 대학골프연맹이 주최한 횡성한우배 전국대학골프대회 참가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집락표집방법에 의해 217명을 대상자로 선정하고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사용된 자료는 개인적 특성을 묻는 4개 문항(성별, 학년, 골프경력, 경기력 수준)과 승부근성, 경기수행능력 척도가 포함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검사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최종 질문지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연구목적에 맞게 SPSS 18.0과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사용된 통계적 방법에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변량분석, 공변량구조분석에 의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골프연습장 서비스 및 레슨 품질이 소비자 만족과 재등록의사에 미치는 영향

        황세빈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the driving range at the driving range and the service quality of the lessons conducted by golf instructors on the satisfaction of golf lessons and the re-registration of the members of the golf cour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80 people taking golf lessons,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m.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ase of access factor and the human factor amo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golf driving rang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golf lesson satisfaction, and the service quality_accessibility factor, and service quality_human fact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register golf lessons. Second, it is shown that the quality factor of golf lesson service qua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golf lesson satisfaction and golf lesson re-registration inten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the driving range and the satisfaction of golf lessons, the service quality of golf lessons is the service quality_facility factor, service quality_access factor, service quality_human factor, service quality_promotion factor, etc. Influence Relationships There are mediating effects such as service quality_facility factor, service quality_accessibility factor, service quality_human factor, service quality_promotion factor, etc. Fourth, it has been shown that golf lesson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register golf lesson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the golf practice range and the service quality of golf lessons are also important factors for users who use the driving range. Is that the improvement of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quality factors such as sincerity, enthusiasm, judgment from a member's point of view, favorable attitude, equitable lessons, and appropriate qualifications among the factors of golf lesson instructors are emphasized. In order to improve the relationship, sufficient value for quality improvement should be given, and not only individual golf lesson instructors but also golf driving range managers should strive to improve their quality through reinforcement of interest and rewards.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에서 골프연습장의 서비스 품질과 골프지도자들이 실시하고 있는 레슨의 서비스 품질이 골프레슨 만족과 회원들의 골프장 재등록과의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서울과 경기 지역 골프연습장에서 현재 골프레슨을 받는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골프연습장의 서비스품질 중 접근용이성요인과 인적요인이 골프레슨 만족도에, 서비스품질_접근용이성 요인, 서비스품질_인적요인이 골프레슨 재등록의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레슨 서비스품질 중 자질요인이 골프레슨 만족도와 골프레슨 재등록 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골프연습장의 서비스품질이 골프레슨 만족도의 영향관계에서 골프레슨 서비스품질은 서비스품질_시설요인, 서비스품질_접근요인 서비스품질_인적요인, 서비스품질_프로모션요인 등에, 골프레슨 재등록의사의 영향관계 서비스품질_시설요인, 서비스품질_접근용이성요인, 서비스품질_인적요인, 서비스품질_프로모션요인 등에 매개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넷째, 골프레슨 만족도는 골프레슨 재등록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골프연습장의 서비스품질과 함께 골프레슨 서비스품질 또한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골프연습장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골프연습장의 서비스품질과 골프레슨 서비스품질의 향상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골프레슨 지도자에 요인 중 성실성, 열정, 회원 입장에서의 판단, 호의적 태도, 형평성 있는 레슨, 적절한 보유 자격 등과 같은 자질요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골프레슨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골프레슨 지도자와 이용자 간 관계의 향상을 위해 자질향상에 대한 충분한 가치를 부여하고 골프레슨 지도자 개인은 물론 골프연습장 경영자도 관심과 보상의 강화를 통해 자질향상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 골프 안전의식에 대한 인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지헌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안전의식에 대한 인식과 이러한 인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포천시 소재 B, D골프클럽 회원 중 400명을 편의표본 추출방식으로 수집하였다. 그 중 130명은 대면접촉이 가능하였으며 270명에 대한 설문은 E-mail을 통한 조사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5월28일부터 6월9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총 400부를 배포하여 352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한 설문지와 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설문지 34부를 제외한 31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for 21.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집단에 대한 특징 과 수집된 자료의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시에 변수들 간의 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직업, 소득, 골프숙련도, 경력, 타수, 보험 등의 변수에 따른 골프안전사고 인식요소들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t-검정(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안전사고 의식이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성별, 학력, 직업, 보험보유유무 및 안전사고경험에 따라 안전의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perception of golf safety consciousness and the effect of this percep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embers of B and D golf clubs located in Pocheon-si, Gyeonggi-do.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May 28 to June 9, 2020, and a total of 4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352 copies were collected. Analysis shows that first, women have a stronger sense of safety than men. Second, there is a strong awareness of safety in the order of university, college, graduate, and high school graduates. Third, awareness of safety awareness was shown to be strong in the order of sales (sales service), professional, office, other, students, housewives, and business/self-employed. Fourth, in golf experience, awareness of safety awareness is strong in order of less than 10 to 20 years, more than 20 years, less than one year, and less than one to five years.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in the occupation, the safety consciousness of full-time housewives and business/self-employed persons was weak. Also, the safety awareness of beginners was weaker than that of golfers. For this reason,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in the introductory course is not trained or the importance of safety awareness is not recognized.

      • 골프용품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 고객기반 브랜드자산, 고객가치, 고객만족, 구매행동간의 구조관계

        이상명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943

        본 연구는 골프용품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 고객기반 브랜드자산, 고객가치, 고객만족, 그리고 구매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은 구청 및 관할 행정처에 등록되어 운영되고 있는 특별시 및 광역시 지역구별 골프연습장, 용품점 이용고객을 모집단으로 편의표본추출 방식에 의해 표본을 선정하였다.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400명을 표집하여 응답내용이 부분적으로 누락되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응답(47명; 11.7%)은 제외한 3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 따른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골프용품에 대한 구매의사결정 요인과 고객가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즉, 골프용품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소재나 기능이 우수한 품질과 색상과 디자인, 그리고 브랜드별 제품홍보나 광고모델을 중요하게 여길수록 골프용품에 대한 고객가치가 높게 인식됨을 보여주었다. 둘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구매결정 요인과 고객만족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즉, 소비자의 골프용품에 관련한 구매의사결정 요인에 신중한 탐색과 중요성을 높게 인식할지라도 골프용품에 따른 고객만족이 직접적으로 향상되는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소비자의 골프용품에 대한 구매결정 요인과 구매행동 간에는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즉, 소비자들이 골프용품에 대한 품질이나 디자인 그리고 광고내용에 긍정적이고 중요시하는 인식이 클수록 골프용품에 대한 타인권유나 구매행동이 보다 많이 나타난 결과였다. 넷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과 고객가치 간에는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즉, 골프용품 소비자들은 골프용품의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이 우수하여 믿음이 가는 브랜드 신뢰도, 그리고 상징이나 로고를 바탕으로 널리 알려진 브랜드 인지도가 높게 인식될수록 사용하는 골프용품을 통해서 보다 큰 즐거움이나 자신의 높은 가치를 느낀다는 결과를 보였다. 다섯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과 고객만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가 없었다. 즉, 골프용품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나 신뢰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해도 실제 구매 후 체험을 토대로 한 고객만족은 높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여섯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과 구매행동 간에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었다. 즉, 소비자가 느끼는 골프용품의 브랜디 이미지나 신뢰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재구매 의도나 타인권유의 행동을 많이 하게 된다는 결과를 보였다. 일곱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고객가치와 고객만족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선호하는 골프용품 사용이 가격에 비하여 자신의 가치를 높여준다고 생각하고 편안하고 즐거움을 갖게 하는 경험으로 느낄수록 품질이나 구매에 대한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고객가치와 구매행동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즉, 소비자가 골프용품에 대해 갖는 믿음과 신뢰가 가치를 높이고 자신에게 적합함을 높게 지각할수록 구매에 관한 의사결정 및 실행행동은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아홉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고객만족과 구매행동 간에는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즉, 골프용품에 대한 품질이나 만족수준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ing decision factors, customer-based brand equity, customer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golf products. The subject of study was to select a sample of convenience samples based on a population of local golf practice areas and supply store customers. The survey included 400 people who voluntaril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353 respondents with the exception who(47; 11.7%) found that the response was partially missing or insinc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factors for golf products and customer value. In other words, consumers of golf products showed that the more important a material or function i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o purchase products, the better the quality, color and design, and the more product promotion or advertising model by brand, the higher the customer's value for golf product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urchasing decision factors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golf products consumers. In other words, although careful exploration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urchasing decision factors related to golf products by consumers did not directly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with golf products. Third, there wa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urchasing decision factors and the purchase behavior of the consumers for golf products. In other words, the more positive and important consumers are to the quality, design, and advertising of golf products, the more human rights abuses and purchasing behaviors are to be found. Fourth, there wa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based brand equity and customer values of golf products consumers. In other words, consumers of golf products showed that the more they perceived as a brand with a differentiated brand image and product excellence, the more reliable the brand is, and the more well-known brand recognition based on symbols or logos, the more enjoyment or self-worth is felt through the golf products they use.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based brand equity of consumers of golf product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even if the company recognizes positive image or credibility of the golf product brand,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actual experience after purchase did not show high results. Sixth, there was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based brand equity of consumers of golf products and the purchasing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brand image or reliability of golf products that consumers feel, the more they intend to buy back or act on other human rights. Seventh, there was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 value of golf products consumers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more comfortable and enjoyable experience you feel, the more satisfied you are with quality or purchase, the more you think the use of your preferred golf product increases your value compared to the price. Eighth, there w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 value of golf products consumers and their purchasing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value of the trust and confidence consumers have in golf products and the higher they perceive fit, the more likely decisions and actions they make regarding purchases are to be affected. Ninth,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behavior of golf products consumers. In other words, the quality and level of satisfaction for golf products did not affect purchasing behavior.

      • 골프장 이용속성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스코어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아련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43

        전 세계적으로 걸쳐 확산된 COVID-19는 여러 분야로 큰 영향과 어려움을 겪게 하였지만, 골프의 경우 다르다고 할 수 있다. COVID-19가 확산되기 이전(2018년 5월)과 COVID-19 이후(2020년 9월)의 그린피 인상을 살펴본 결과, 1년 3개월 사이 무려 14.9%나 증가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집단적으로 감염이 되는 COVID-19 현상을 우려하여 불특정 다수가 집합하게 되는 장소 또는 모임을 기피하게 되었으며, 소수로 모여서 할 수 있고 밀폐된 공간이 아닌 탁 트여진 자연 환경을 벗 삼아 건강과 비즈니스에 도움이 되는 활동의 집합체인 골프에 집중되었다. 국외 골프 관광을 즐기던 골퍼들도 더 이상 해외로 갈 수 없는 실정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국내로 유입되었고, 여성 골퍼들의 증가 등의 이유로 국내 골프장의 과부하 상태가 발생하였다. 이는 나아가 그린피 인상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골프장의 경영에서도 사회적 변화에 따라 하락세와 상승세의 양면의 모습을 맞이하게 되는데, 하락의 경우 가격인하 경쟁이 치열해 질 것이고, 상승의 경우 골프장의 과잉공급으로 수요에 대한 부분을 걱정해 볼 수 있다. 반면, 상승세 또는 하락세를 불문하고 어떠한 환경에 마주하더라도 각 골프장에서는 업체 스스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각각의 차별화 부분을 검토해 보고 시도해야 하며, 공급자 중심의 정책으로 부터 탈피하여 수요자 중심에서의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영정책을 비롯하여 골프장 이용의 서비스, 필드에서의 경험 등이 수요자 중심으로 이루어 졌을 때 비로소 고객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나아가 고객의 행동의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는데, 필드 내에서 심리적인 부분과 가장 밀접하다고 할 수 있는 경기에서의 결과물인 스코어에 대한 만족도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 동안 골프 스코어에 관련하여 선행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바 있지만, 스포츠 과학에서만 중점적으로 연구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서비스업이 공존하고 있는 골프장의 특성상 관광학 연구에서의 관점을 두고 스코어 만족도를 조절 변수로 설정하여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골프장 이용속성에 따른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용속성과 만족도 사이에서 스코어 만족도가 조절효과로써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골프장 이용속성으로 코스관리, 경기진행, 클럽하우스 시설, 식음료를 독립변수로 구성하였고, 스코어 만족도를 조절효과로 설정하여 고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개월 내 이용한 골퍼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 하였으며, 표본은 편의 표본 추출방식을 사용하였고, 온, 오프라인에서 동시에 자료 수집 방법을 실시하였다. 기간은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4월 8일까지 약 3개월간 진행하였으며, 총 회수한 338부 중에서 불성실한 답변 또는 통계에 사용 불가한 설문을 제외한 유효부수는 323부로 실증 분석에 대한 통계 자료로 사용되었다. 실증에 대한 분석은 SPSS 22.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표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골프장 이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수에 해당하는 골프장 이용속성, 만족도, 행동의도에 대한 타당성은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구조모형 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대한 결과 요약은 아래와 같다. 첫째, 국내 골프장을 이용하는 골퍼들 대상으로 골프장 이용 후 골프장의 이용속성으로 설정한 코스관리, 경기진행, 클럽하우스 시설, 식음료에 대한 부분이 골프장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았다. 가설 1-1 골프장 이용속성 중 코스관리는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H1-1: β = .304, t = 3.378, p < .001) 가설 1-1은 채택되었다. 가설 1-2 골프장 이용속성 중 경기진행은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H1-2: β = .067, t = .972, p < .001) 가설 1-2는 기각되었다. 가설 1-3 골프장 이용속성 중 클럽하우스 시설은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H1-3: β = .273, t = 2.981, p < .001) 가설 1-3은 채택되었다. 가설 1-4 골프장 이용속성 중 식음료는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H1-4: β = .192, t = 2.207, p < .001) 가설 1-4는 채택되었다. 따라서, 가설 전체 1에 해당하는 이용속성은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과 관련하여 골프장 이용속성 중 코스관리, 클럽하우스 시설, 식음료는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으로 미치는 반면, 경기진행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장 이용 후 고객들이 느끼는 만족도와 향후 행동의도에까지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설 2 만족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H2: β = .844, t = 18.408, p < .001)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셋째, 골프장 이용속성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로 설정한 스코어만족도가 미치는 작용에 대한 결과로는, 가설 3 스코어만족도는 골프장 이용속성과 만족도 관계에서 조절효과는 모수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으나, 코스관리와 만족도의 관계에서의 값은 △χ²(1)=.029, 경기진행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χ²(1)=.175, 클럽하우스 시설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χ²(1)=2.627, 그리고 식음료와 만족도의 관계에서는 △χ²(1)=1.775의 값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기에 기각되었다.

      • 한국 골프산업을 통한 중국 골프산업 발전방안 연구

        신슬이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strategies of promoting golf industry in China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China's golf industry. The investigation is mad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Korean case in which golf industry has experienced rapid growth and popularization in recent year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e comparison on status is done through literature review with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Then in-depth interview is carried out with selected persons involved with golf industry in Korea and China to examine and supplement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uccess of elite players at individual level, and the support of golf associations with corporate sponsorships at institution level has contributed for the popularization of golf in Korea. The achievements of Se-ri Park and Se-ri Kids have prompted golf in Korea and served as a momentum for many Koreans to start enjoying golf. Following the increase in public interest towards golf, corporate's sponsorship has escalated. Thus the encouraging environment enabled Korean golf players to develop their skills and performance, which as a result created a virtuous circle of the golf industry development in Korea. On the other hand, costliness caused by overladen taxation at policy level militates against further popularization of golf in Korea. Second, golf is still perceived as 'loyal sports' only for the rich by most Chinese. In Korea, the sport has become popular as it is easily accessible through driving ranges and screen golf places all around the country. Whereas, in China, it remains as a sport for the privileged in industrialized cities of East Coast. Third, the deterre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golf industry in china is the followings: the lack of elite golf players and tournament opportunities, corporate's indifference to the sport, and hostile government policies towards golf industry. Lastly, in order to develop golf industry in China, the following measures are required: elite players should be cultivated, who could change the image of golf in the minds of chinese and promote the sport. The institutional roles to provide more competitions and sponsorships should be reinforced. Such support would enable junior golf players to grow into successful elite players who could draw attentions of chinese middle class whose disposable income is rapidly increasing. Furthermore, supportive policies towards golf and its industry would be necessary to achieve popularization of golf in China. 본 연구는 골프산업의 성장과 대중화를 경험한 한국의 사례를 통해 중국 골프산업의 현황을 진단하고 그 발전방안을 고찰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차 자료와 2차 자료의 문헌 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골프산업 현황을 비교하였고 한·중 골프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수준에서 엘리트선수의 활약, 제도 수준에서 협회의 지원과 기업의 후원은 한국 골프 대중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이다. 박세리와 세리키즈의 활약은 한국의 위력을 세계에 알렸고, 한국인들이 지속적으로 골프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인기와 관심에 따라 기업의 후원이 증가하였고, 선수들이 경쟁을 통해 역량을 쌓을 수 있는 골프 발전의 선순환을 가능케 하였다. 반면 정책 수준에서 정부의 조세정책은 골프의 고비용 구조를 지속시켜 골프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둘째, 한국과 달리 중국에서 골프는 아직 소수의 부유층만 누리는 '귀족스포츠'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에서 골프는 골프장 외에도 골프 연습장과 스크린 골프장 등 다양한 형태의 이용 장소를 통해 대중들이 어려움 없이 접근할 수 있는 스포츠가 되었다. 반면 중국에서는 높은 비용과 낮은 접근성으로 인해 일부 고소득 도시의 부유층만 누릴 수 있는 상위 1%의 스포츠로 남아있다. 셋째, 중국 골프의 대중화 저해요인으로 엘리트 선수층의 부족과 대회수의 부족, 기업의 후원 확대, 그리고 정부의 골프산업에 대한 정책현황을 논의하였다. 넷째, 중국 골프산업의 발전을 위해 귀족스포츠라는 골프의 이미지를 전환시키고, 중국 인민들에게 골프라는 스포츠를 널리 알릴 수 있는 스타 선수의 존재와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제도적 역할의 강화가 요구된다. 제도적 지원이 강화되어 주니어 선수들의 교육과 스타선수의 배출을 돕는다면, 경제성장과 소득증가를 거듭하고 있는 중국 중산층이 골프에 관심을 갖게 되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더불어 상위 1%의 스포츠가 대중 스포츠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정부의 입장 변화와 제도적 지원, 협회의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웨이트 트레이닝이 주니어 골프 선수들의 드라이버 비거리에 미치는 영향

        김현욱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study conducted 12 week weight training on 12 male middle school student golfer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trengthening the physical strength and improving the driving distance in golf to provide systematic and effective training methods in teaching golfers in the future.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10 mal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Kyunggi-do who are registered in Korea Golf Association and competing in competitions hosted by Korea Junior Golf Association. Weight training was conducted on subjects for 12 weeks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physical strength on driving distance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weight training on male junior high gol players, the body compositions as weight, muscle mass, and body fat did not show statis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ly, as a result of conducting weight training on male juior high golf players, the physical factors as muscular strength, muscle endurance, and flexibili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ly, when weight training was conducted on male junior high golf players, a driving distance factor, the maximum driving distance of driver,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본 연구는 남자 중학교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웨이트트레이닝의 적용에 따른 체력의 강화와 골프에서의 비거리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향후 골프 선수들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으며 대한골프협회에 선수등록이 되어있고 한국 중‧고등학교 골프연맹에서 주관하는 시합에 출전하고 있는 남자 중학교 선수들 10명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에게 12주 동안 웨이트트레이닝을 적용하여 체력과 비거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중학교 골프선수들에게 웨이트트레이닝을 적용한 결과 체성분 요인인 체중, 근육량, 체지방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남자 중학교 골프선수들에게 웨이트트레이닝을 적용한 결과 체력 요인인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남자 중학교 골프선수들에게 웨이트트레이닝을 적용한 결과 비거리 요인인 드라이버 최대비거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스크린골프 이용자의 게임플레이 선호도 연구

        이소진 가천대학교 게임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43

        골프 산업은 2000년 이후 실내 골프 연습장, 골프 의류, 골프 장비 등 꾸준히 성장하는 추세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 세계적 대유행 팬데믹 선언으로 비대면 문화가 활발해지며 골프 방송 및 실내 스크린골프가 인기를 끌고 있다. 기존 스크린골프 관련 연구는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 및 하드웨어에 관련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스크린골프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젊은 세대의 유입과 비대면 문화가 활발해짐에 따라 실내 콘텐츠인 스크린골프 관련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크린골프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스크린골프 게임플레이 선호도 및 선호 항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기업에서 스크린골프 시스템, 콘텐츠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설문조사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스크린골프 게임플레이 구성요소를 크게 하드웨어, 시스템, 콘텐츠, 아이템, 연출로 구분하고 설문 항목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설문조사 항목을 토대로 총 104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1년 05월 18일부터 05월 30일까지 13일간 조사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구성요소의 빈도 분석, 요인 간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 분석을 시행하였고, 사용한 척도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 계수를 기반으로 산출하였다. 설문 결과, 게임플레이 선호도는 1위 시스템, 2위 연출, 3위 하드웨어, 4위 콘텐츠, 5위 아이템 순으로 도출되었다. 결과로 볼 때, 스크린골프는 현실감에 집중하되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시스템 및 콘텐츠 제작이 요구된다. 향후 연구로는 스크린골프 경험이 없는 이용자를 유입시킬 방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Golf industry is growing since 2000 with indoor golf driving range, golf wear, golf equipment and all other golf related business. Also, golf broadcast and indoor screen golf becomes extremely popular with untact culture that because of COVID19 pandemic case in 2020. Existing indoor screen golf related research are mostly about physical,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hardware related, so it makes lack of research for improving indoor screen golf. Therefore, it is required researching systematically about indoor screen golf for inflow of young generation players and popularizing of untact culture.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it aims to more popularizing of indoor screen golf. So, I did survey and analyze preference and preference list from indoor screen golf players. Based on analyzing result, I would like to suggest foundational data set for develop system and content for indoor screen golf, maintenance that utilize at golf industry. For survey, I made up components of indoor screen golf game play such as hardware, system, contents, item, effects and sound. I did survey from 18th May, 2021 to 30th May, 2021 for 104 survey targets. Also it enforces cross tabulation to compare demographics character and frequency analysis of components, characteristic between factors. For reliability, I use Cronbach’s α coefficient based. As a survey result, game play preferences are as following. 1st System, 2nd Effect and Sound, 3rd Hardware, 4th Contents, 5th Item. Therefore, simulator character effects result of it so indoor screen golf is focusing on reality but require system and contents for fun to improve skill. For future research, I will focus inflowing new players into indoor screen go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