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골프의류 소비자의 럭셔리 소비가치가 브랜드 에반젤리즘에 미치는 영향

        강다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43

        The golf industry in South Korea is steadily expanding each year, with the country ranking first worldwide in spending on golf apparel. As a result, the prices of South Korean golf apparel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more than 150 golf apparel brands have emerged, marking an unprecedented era of competition in the industry. Therefore, golf apparel brands must implement a strategy that enables them to gain an advantage in the competitive structure by securing loyal customers. This study examines consumer behavior and its effect on securing loyal customers. This study focuses on the purchase behavior of luxury golf apparel, which is indicative of consumers' loyalty and passion for the brand. The research examines the consumption value of golf apparel and the process by which consumers demonstrate advocacy and strong brand loyal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dicating that golf apparel is generally perceived as luxurio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ormation of luxury consumption value for golf apparel brands through online information searches(i.e., ZMOT) and consumers' brand engagement prior to purchase. This study demonstrates how brand evangelism occurs via the mediating influence of ZMOT, as well as consumer brand engagement with luxury consumption values - including functional, economic, symbolic, and experiential - in relation to golf apparel brands. The research u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collect data from 270 South Korean consumers who had previously purchased golf apparel.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a survey instrument featuring a structured self-assessment writing methodolog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ediating analysis were all conducted with statistical software Jamovi 2.3.28.0 and AMOS 21.0.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unctional values and economic values among luxury consump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rand evangelism, whereas experiential values and symbolic valu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rand evangelism. Second, experiential value, symbolic value, and economic value among luxury consump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ZMOT, whereas functional value did not. Third, luxury consumption values, experiential, symbolic, and economic value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consumer brand engagement, while functional value did not. Fourth, ZMOT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evangelism. Fifth, consumer brand engagement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brand evangelism. Sixth, ZMO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luxury consumption value on brand evangelism. Specif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symbolic and economic values.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mediating effect on experiential values, an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functional value. Lastly, consumer brand engagemen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luxury consumption value on brand evangelism. In detail, experiential value, symbolic value, and economic value had positi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while functional value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process of brand evangelism of golf apparel consumers was identified as a solution to overheated competition in golf apparel brands. Despite the fact that brand evangelism is an essential concept in consumer contexts, brand evangelism has rarely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a number of studies conducted on golf. Therefore, bringing a new perspective to the field of golf research i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measurement of luxury consumption value, ZMOT, and consumer brand engagement of golf apparel consumers, the research was able to gain significant insights into their behavioral patterns. This study recogn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values and brands, and exploratory behavior in the context of golf apparel consumption, the foundation for market segmentation was established and strategic measures were develop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골프의류 구매에 가장 많은 금액을 지출하는 국가이며, 매년 산업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 골프의류 가격이 점점 고가를 갱신하는 한편, 150여 개가 넘는 브랜드가 등장함에 따라 유례없는 경쟁 시대가 도래하였다. 따라서, 골프의류 브랜드는 충성 고객 확보를 통해 경쟁 구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충성 고객 확보를 위해 고가의 골프의류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럭셔리 소비가치가 브랜드에 헌신적인 태도와 열정을 보이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골프의류 브랜드의 럭셔리 소비가치가 구매 전 온라인을 통한 정보 탐색 행위(i.e., ZMOT)와 소비자 브랜드 인게이지먼트를 각각 거쳐 브랜드 에반젤리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에 골프의류 브랜드에 대한 럭셔리 소비가치(기능적가치, 경험적가치, 상징적가치, 경제적가치)가 ZMOT와 소비자 브랜드 인게이지먼트의 매개 효과를 통해 브랜드 에반젤리즘을 형성하는 과정을 실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골프의류 구매 경험이 있는 국내 소비자 30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270부의 유효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표집 방법은 편의 표본 추출법을, 조사 도구로는 구조화된 자기평가기입법을 이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Jamovi 2.3.28.0과 AMOS 2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모형을 통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럭셔리 소비가치 중 기능적가치와 경제적가치는 브랜드 에반젤리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경험적가치와 상징적가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럭셔리 소비가치 중 경험적가치, 상징적가치, 그리고 경제적가치는 ZMOT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기능적가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럭셔리 소비가치 중 경험적가치, 상징적가치, 그리고 경제적가치는 소비자 브랜드 인게이지먼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기능적가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ZMOT는 브랜드 에반젤리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소비자 브랜드 인게이지먼트는 브랜드 에반젤리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ZMOT는 럭셔리 소비가치가 브랜드 에반젤리즘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적으로 가설을 지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징적가치와 경제적가치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매개 효과가 나타났으나, 경험적가치에서는 부(-)적으로 유의한 매개 효과가 나타났으며, 기능적가치에서는 유의한 매개 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일곱째, 소비자 브랜드 인게이지먼트는 럭셔리 소비가치가 브랜드 에반젤리즘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적으로 가설을 지지하였다. 구체적으로, 경험적가치, 상징적가치, 그리고 경제적가치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매개 효과가 있었으며, 기능적가치에서는 유의한 매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골프의류 소비자의 브랜드 에반젤리즘 형성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브랜드 에반젤리즘이 소비 맥락에서 주요한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골프를 주제로 진행된 다수의 연구에서 브랜드 에반젤리즘을 주요 변수로 다룬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본 연구는 골프의류 소비자 행동에 참신한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골프의류 소비자의 럭셔리 소비가치와 ZMOT, 소비자 브랜드 인게이지먼트를 측정함으로써 소비자의 행동 경향을 파악하여 실증 연구를 통한 전략적 방안을 마련하였다.

      • 골프선수의 성격유형에 따른 경쟁불안 심리에 관한 연구

        윤성연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골프선수의 성별, 연령, 경기능력수준, 핸디캡, 구력에 따른 성격유형의 차이를 검증하고, 이러한 성격유형에 따라 경쟁불안수준의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부선수, 고등부선수, 프로선수 등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조사도구로는 MBTI From GA 성격유형 검사지와 골프 스트레스 측정 CGSI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t-test 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골프선수는 ESTJ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성격유형의 차이 분석 결과 성별, 경기능력수준(아마추어, 프로), 핸디캡, 구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배경변인에 따른 경쟁불안수준의 차이 분석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인지적 불안과 신체적 불안 수준이 높게 나타나 성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마추어가 프로보다 신체적 불안수준이 높게 나타나 경기능력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핸디캡일수록 신체적 불안과 인지적 불안이 높게 나타나 핸디캡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력이 적을수록 신체적 불안과 인지적 불안이 높게 나타나 구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골프선수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경쟁불안수준의 차이 분석 결과, 신체적 불안 수준에서는 INFJ 유형이 높은 불안을 나타냈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인지적 불안수준에서 INTJ 유형이 높은 불안을 나타내 성격유형에 따라 인지적 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differences in personality type in accordance to the sex, age, game performance, handicap, and experience for golf players. Such understanding will be used to clarify on the differences in competitive fear trials in accordance to such personality types. A total of 30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including university players, high school players, and professional golfers while the MBTI From GA personality test and golf stress measurement CGSI were used as the research tool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PSS and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ESTJ type was most frequent among golf players while differences in personality types in accordance to background variable showed sex, game performance (amateur, pro), handicap, and experience to posses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differences of competitive fear trial in accordance to background variable showed females to have higher cognitive stress and physical stress compared to males, showing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Amateurs also showed higher physical stress levels compared to professionals,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ue to game performance levels. In addition, higher physical and cognitive stress was shown as handicaps were higher,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handicaps. Lower experience also showed higher levels of physical and cognitive stress,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experience.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for competitive fear trial in accordance to personality types of golf players showed that physical stress was highest in INFJ types, although results were no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Cognitive stress was highest in INTJ types, showing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for cognitive stress in accordance to personality types.

      • 실내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시설 및 이용형태에 따른 만족도 요인 분석

        채상인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실내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시설 및 이용형태(이용경력, 선택 영향요인, 이용목적, 정보출처, 이용빈도, 연습시간, 교통수단)에 따른 만족도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용인에 있는 실내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대상으로 추출된 실내골프장 이용고객들의 설문지 응답결과를 바탕으로 자료를 정리한 후,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방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연령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나타났으나 학력, 직업, 소득, 거주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중 성별과 학력 간 그리고 연령과 학력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따른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과 학력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별과 학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실내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개인적 특성 중 구력과 핸디캡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구력과 핸디캡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실내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이용형태에 따른 만족도 조사 결과 이용경력과 빈도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고 골프장 선택요인, 이용목적, 정보출처, 연습시간, 교통수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research aims to analyse the satisfaction factor of the indoor golf range facilities and usage (years of experience, factors of selection, purpose of use, source of information, frequency of use, training time, and transportation). The indoor golf range users in Yongin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the results of a survey was generat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two-way ANOVA in SPSS 20.2 program. First, from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by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of gender and age was show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vel of education, occupation, income and residence. Second,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by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level of education was emerged, but the satisfaction between gender and level of education was distinguished. Third,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satisfaction by ball-history and handicap. Finally, th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year of experience and frequency of use, though there was no distinction of the satisfaction in factors of selection, purpose of use, source of information, training time, and transportation.

      • 골프규칙재정에 적용된 형평성 조항의 사례분석

        최진하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The equity rule, "if any points in dispute is not covered by the Rules, the decision should be made in accordance with equity.",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rule" as mentioned by K. Chapman. Also it must be the "catch-all rule" in order to accommodate all the unpredicted situations in the rule as emphasized by A. Palmer. Nevertheless, the established discussions on the equity rule are still on the introductive and metaphysic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insight on how the principle of equity in the rule of golf applies to what situations by analyzing Decisions on the Rules of Golf. 2014 - 2015 Decisions on the Rules of Golf is composed of 1,252 Decisions. It has been found that 98 decisions were applied by the equity rule through content analysis for all the Decisions. Also it has shown that 98 decisions were related to 21 articles of the rules of golf, which is 62% of 34 articles of the rules of golf. By examining the template of every article in the rules of golf, we know the equity rule (paragraph 4 of article 1) belongs to 124 paragraphs. However it (0.8% as of 124) is applied to 98 cases(7.83% as of 1,252 decisions). These figures reveal why the equity rule is so critical in the rules of golf. In Korea, 11 volumes of Decisions on the Rules of Golf has been published since 1996. 1,252 decisions in 2014 book has increased 13.1% from 1,107 decisions in 1996. While decisions applied by 1-4 has increased 78.2% from 55 cases to 98 cases, which is 6 times in the increasing rate of the Decisions. In addition, decisions applied by 1-4 has increased 57.5% from 4.97% to 7.83% during 18 years. These tendencies indicate that the importance of the equity rule has been increasing constantly. This study has analysed, through the categorization among decisions applied by 1-4, in what situation the equity rule could be applied. This study shows 98 decisions applied by 1-4 could fall within one of 8 categories, which are composed of such as "the application of the rule by treating like situation alike", "the protection of the 2 major principles in playing golf", "the application of multiple penalties", "the correction of committee's mistakes", "the establishment of relief procedure." If this study could be going forward with further researches in comparative and historical perspectives, a general theory on "the equity rule" could be possible. “분쟁의 쟁점이 규칙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형평의 이념에 따라 재정하여야 한다”는 형평성 조항은 Chapman의 지적처럼 “가장 중요한 규칙” 중의 하나이고, Palmer가 강조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규칙에서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다목적용 규칙”임에는 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평성 규칙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개론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형평성 조항이 적용된 재정사례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형평의 원리가 골프규칙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에 관한 통찰력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4-2015 골프규칙재정은 1,252개의 재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재정들을 내용분석함으로써, 98개의 재정들이 형평성 조항을 적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내었다. 또한 98개의 재정들은 골프규칙 34개조 중에서 62%인 21개 규칙들과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규칙의 조별 구성요소를 살펴볼 때, 전체 124개 항의 한 조항에 불과한(0.8%) 1조 4항의 적용 사례수가 98개로 총재정수에서 7.8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바, 이 지표는 형평성 조항이 골프규칙에서 핵심적 조항이라는 사실을 입증해주고 있는 것이다. 한국에서 1996년 이래로 총11권의 재정집이 발간되었다. 총재정수는1996년 재정집에서 1,107개, 2014 재정집에서 1,252개로 13.1% 증가하였으나 1-4적용 재정사례수는 55개에서 98개로 78.2% 증가하여 6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1-4적용 재정사례수가 총재정수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8년 동안에 4.97%에서 7.83%로 57.5%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지표들은 형평성 조항이 골프규칙재정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계속 증대되어 왔다는 사실을 증명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형평성 조항이 어떠한 상황에서 적용되는지를 적용사례별 범주화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98개의 1-4적용 재정사례들을 8가지의 범주 속으로 귀속시켜 살펴봄으로써, 형평성 조항의 적용 유형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범주로는 “유사한 상황으로 환원하여 규칙 적용”, “골프의 2대 원칙 보호”, “여러 번의 벌 적용”, “위원회의 잘못 시정”, “구제절차의 확립”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가 역사적이고도 비교분석적인 후속 연구들로 보완된다면 “형평의 이념”에 대한 일반론의 정립도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 한국 골프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 충청권지역 대상으로

        지훈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943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충청권 골프장 산업의 시대적 변화와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최근 급증하고 있는 골프장의 수와 골프인구의 증가가 가져올 전망에 대하여 파악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프장산업과 관련된 각종 참고문헌 및 통계자료와 전문기관들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고 이용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권 골프장 발전 방안으로 연구하였다. 충남 당진·아산탕정·세종시로 연결되는 '충남권 삼각 경제벨트'는 충청남도 도청이전 계획과 세종시 건설과 맞물려 대한민국 산업지도를 새롭게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세종시는 충청권 삼각 경제벨트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정부가 세종시에 기초과학, 녹색기술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데다 중이온가속기 등 민간 기업들이 투자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설비까지 조성돼 세종시가 과거 정보기술(IT)을 뒷받침해왔던 대전 대덕연구단지를 능가할 첨단 기술의 '메카'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세종시는 대덕연구단지의 연구기관 및 오송, 천안, 아산 등 유사분야 공장 등과 연계될 경우 지리적 인접성이 유리해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클러스터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충청권은 서해안 고속도로로 인해 빠른 교통편은 경기도 서울 수도권 지역의 사람들이 쉽게 빠른 시간에 골프장을 갈수 있는 지역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특성으로 인하여 충청권의 골프장은 많은 성장을 할 것으로 보여 진다. 한국골프가 이 땅에 들어온 지 100여 년의 세월이 흘러서 이제는 세계 골프계의 주축으로 위치하고 있지만, 1900년경부터 한국전쟁을 지나 1950년대 중반까지는 한국골프계의 암흑기라 할 수 있다. 1960년경부터 이후 급속한 경제적성장과 더불어 골프산업도 많은 발전을 하였다. 1970년대, 80년대를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골프인구가 증가하고 골프장의 수도 크게 증가하였다. IMF 위기였던 1998년을 제외하고 한국골프장의 수와 골프인구는 매년 10%이상의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2000년도 이후에 들어오면서 프로골퍼 선수들의 활약과 인기로 한국골프장과 내장객은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충청권의 내장객수와 골프장수를 연구하였다. 충청권의 골프장은 운영 중인 골프장은 32 개소이며 공사 중인 중인 골프장은 17개소정도 추정되며. 충청권의 내장객은 2,384,025명이며 1홀당 내장객은 4,223명으로 추정 된다. 충청권 골프인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502만명 정도 골프를 즐기고 있다. 충청권의 내장객 현황은 회원제 4,190, 대중제 4,357로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골프장의 수와 인구수는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왔으나, 베이비붐시대를 지나면서 점차적인 증가율의 감소에 반하여 골프장을 매면 20개소 이상 증가하여 약 2009년부터는 골프장의 공급과잉으로 인하여 영업수익 가동률에 적신호가 들어오는 골프장이 다수 등 잘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충청권의 현재 운영 중인 골프장과 건설 중인 골프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골프인구 감소는 골프장 영업수익과 골프장 회원권의 가격 등에 큰 변화 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경쟁시대에 맞는 골프장 전문경영인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거품 없는 그린피로 인해 골프장의 내장객 증가로 인한 주변의 지역발전이 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부, 지방자치단체, 골프장 순으로 활성화 방안 역할 과 체계적인 관리 등을 인식하여 경쟁적 우위전략을 수립하여 충청권 골프장의 성장에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 골프광고모델 속성과 골프제품 신뢰도에 따른 광고효과

        방현기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에서는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골프동호인을 대상으로 골프광고모델의 속성과 골프제품의 신뢰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광고모델과 신뢰도에 따라 광고모델의 속성과 제품의 신뢰도, 광고효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골프광고모델의 속성과 골프제품의 신뢰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광고모델과 신뢰도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광고모델과 신뢰도에 따른 광고모델 속성 차이검증에서 골프광고모델과 광고 방송의 신뢰도에 따른 광고모델 속성의 신뢰성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골프광고모델과 광고 방송의 신뢰도에 따른 광고모델 속성의 신뢰성은 광고모델이 티칭프로인 집단이나 투어프로인 집단에서는 공신력 있는 방송이 일반방송 보다 높게 나타났다. 광고모델, 신뢰도에 따른 광고모델 속성의 신뢰성에 대해 살펴보면, 제품에 영향력이 큰 광고모델일수록 광고모델 속성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광고모델과 광고 방송의 신뢰도에 따른 광고모델 속성의 전문성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골프광고모델과 광고 방송의 신뢰도에 따른 광고모델 속성의 전문성은 광고모델이 티칭프로인 집단과 투어프로인 집단에서 공신력 있는 방송이 일반방송보다 높게 나타났다. 광고모델, 신뢰도에 따른 광고모델 속성의 전문성에 대해 살펴보면, 제품에 영향력이 큰 광고모델일수록 광고모델 속성의 전문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광고모델과 신뢰도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 차이검증에서 티칭프로인 집단, 투어프로인 집단 모두 공신력 있는 방송이 일반방송보다 높게 나타났다. 광고모델, 신뢰도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에 대해 살펴보면, 제품에 영향력이 큰 광고모델일수록 제품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모델과 신뢰도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검증에서 골프광고모델과 광고 방송의 신뢰도에 따른 광고 태도는 광고모델이 티칭프로인 집단과 투어프로인 집단 역시 공신력 있는 방송이 일반방송보다 높게 나타났다. 광고모델, 신뢰도에 따른 광고 태도의 결과를 살펴보면, 제품에 영향력이 큰 광고모델일수록 광고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광고모델과 광고 방송의 신뢰도에 따른 브랜드 태도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광고모델이 티칭프로인 집단이나 투어프로인 집단 역시 공신력 있는 방송이 일반방송보다 높게 나타났다. 광고모델, 신뢰도에 따른 브랜드 태도의 결과를 살펴보면, 제품에 영향력이 큰 광고모델일수록 브랜드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광고모델과 광고 방송의 신뢰도에 따른 구매 태도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골프광고모델과 광고 방송의 신뢰도에 따른 구매 태도는 광고모델이 티칭프로인 집단과 투어프로인 집단 모두 공신력 있는 방송이 일반방송보다 높게 나타났다. 광고모델, 신뢰도에 따른 구매 태도의 결과를 살펴보면, 제품에 영향력이 큰 광고모델일수록 구매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고모델의 속성, 제품의 신뢰도와 광고효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본 결과에서, 광고모델 속성과 광고효과의 상관관계 결과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고, 모델의 전문성 요인역시 광고효과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상관의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제품의 신뢰성 요인도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 태도에 유의한 상관의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광고모델의 속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골프동호인들이 인지하는 광고모델의 속성(모델의 신뢰성, 모델의 전문성)이 광고효과의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모델의 신뢰성 요인은 광고 태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델의 전문성 요인은 광고 태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동호인들이 인지하는 광고모델의 속성(모델의 신뢰성, 모델의 전문성)이 광고효과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에서 모델의 신뢰성 요인은 구매 태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모델의 속성이 광고효과의 하위요인인 구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골프동호인들이 인지하는 광고모델의 속성(모델의 신뢰성, 모델의 전문성)이 광고효과의 구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모델의 신뢰성 요인과 구매 태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제품의 신뢰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골프제품의 신뢰성과 광고효과의 광고 태도 요인에서 신뢰성 요인은 구매 태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동호인들이 인지하는 골프제품의 신뢰성이 광고효과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신뢰성 요인은 브랜드 태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동호인들이 인지하는 골프제품의 신뢰성이 광고효과의 구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뢰성 요인은 구매 태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much impact commercial model’s attribute and golf product brand’s credibility have on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 Survey was performed and collected among members of golf clubs. First of all, ‘two-way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del’s attribute and the product’s credibility, the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ok place to analyze their impact on the advertisement’s effectivenes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performed difference verification based on each model and the credibility. Difference verification’s result shows that when the credibility of the product and model is higher, especially when the advertisement model is a professional, public confidence on the broadcasting system is also higher. Also, when the model’s effectiveness is higher, the credibility of the model’s attribute is also higher. The result of difference verification result shows that the professional gold model’s advertisement’s credibility is higher than that of a general model’s on broadcasting system with higher public confidence than the lower. When we examined the professionalism of each model’s, an advertising model who has higher effectiveness on the model has much bigger impact on their attribute. In sequence, broadcasting system with higher public confidence than general broadcasting system shows higher credibility of the model and the product from the professional players and professional golf teachers. When the model is bigger impact on the product, the credibility of the product is higher. When the model is a professional golfer or a teacher, the advertisement’s public confidence was higher than of regular models. Also they have bigger impact on the attitudes of advertisement viewers. Difference verification was also performed on the viewers’ attitudes toward the model and the advertisement. It shows that professional golfer model or professional golf teacher model’s advertisement has higher public confidence. When the model has bigger effectiveness on the product, it also impacts on the viewers’ attitude toward the brand. The result of difference verification on the viewers’ attitude of purchase based on the model and the advertisement’s credibility shows that professional model has higher public confidence. Viewers’ purchase attitude based on the model’s credibility is also influenced by the model who has higher influence on the product. Secondly,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l, product’s credi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 shows that they show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other and the model’s professionalism also makes difference. Also the product’s credibility shows positive correlation on the viewers’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the brand and to purchase. Thirdly, the study on influence of the model’s attribute on effectiveness of the advertisement shows that golf club members’ recognition(credibility on the model and professionalism of the model) of the model’s credibility is correlated with their attitude towards the advertisement. Recognition of golf club members of the advertisement model(model’s credibility and professionalism) also impacts their purchase attitude towards the brand. The research on how attributes of the model impacts on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sub factor; purchasing attitude, golf club members’ recognition of the model’s attribute(credibility, professionalism) shows positive correlation. The research on the credibility of the product’s impact on the advertisement shows positive correlation on the purchasing attitude. Golf club members’ recognized credibility also has positive correlation on their attitudes toward the brand. Their recognized credibility of the product also influences positively on their purchasing attitudes.

      • 골프연습장 이용객의 고객만족도가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

        조위위 용인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 이용객의 고객만족도가 재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골프연습장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별, 결혼유무, 연령, 핸디 등 총 4가지 선택형 문항과 고객만족도를 묻는 총 4개의 하위 요인인 시설 만족, 서비스 만족, 지리적 만족, 경제적 만족 등 총 16문항의 5점 Likert 척도문항과 재이용을 묻는 5점 Likert 척도 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7개의 골프연습장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3일부터 11월 10일까지 설문지를 배포하여 무선추출법을 통한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stration method)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최종 289부의 설문지를 Windows Program SPSS/PC Version 17.0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연습장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고객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지리적 만족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경제적 만족에서 미혼이 기혼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지리적 만족에서 31-40세가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으며, 핸디에 따라서는 시설만족에서 10-19그룹과 25이상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각 고객만족 요인과 재이용을 Pearson의 상관관계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시설만족, 서비스만족, 지리적 만족, 경제적 만족 모두 p<.01에서 정(+)의 관계가 형성되었으며,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고객만족도가 재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골프연습장 이용객의 특성에 따라 고객들이 느끼는 서비스 품질이 다르며, 고객들은 골프연습장의 이미지와 환경, 그리고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받았을 때 골프연습장을 재이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at learning the effect of customer’s satisfaction of a golf driving range on reusing the range. In order to find out the demographic properties of customers of the range, we carried out surveys with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has 16 items using 5-point Likert scale that consist of 4 multiple-choice questions about gender, marital status, age, and handicaps, and other questions falling into 4 categories: satisfaction on facilities, service, location, and price, followed by 4 items using 5-point Likert scale. In 7 golf driving ranges in Yongin-si of Kyungki-do,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Sep. 3rd, 2011 to Nov. 10th, 2011 using random sampling and self-administration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a total of 289 questionnaire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Windows Program SPSS/PC Version 17.0. The result of our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male custom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than female customers did in location of the ranges, and single custom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than married customers did in price. 31~40 years of ag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in location, and the facility satisfaction of the group with 10~19 handy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group with over 25 handy. Second, all causes of customer satisfaction like facility, service, location, and price influenced positively with revisiting the ranges when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method (p<.01). This suggest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was related positively with revisiting the ranges. In conclusion,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that customers feel differs by the properties of customers of a golf driving range, and we can expect that customers will revisit the range when they feel satisfaction on the image, environment, and service of the range.

      • 골프지도자의 자격유형에 따른 골프회원 만족도 비교분석

        김현승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지도자의 자격유형에 따른 골프 회원들의 만족도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이용자가 가장 만족하는 자격유형과 회원만족도를 제시함으로서 골프연습장 회원들의 기능향상과 만족도를 높이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프회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골프 관련특성, 그리고 골프지도자의 자격유형에 따른 골프회원들의 만족도(기술향상 만족, 실전 라운딩 만족, 지도자의 전문성 만족, 지도자의 자질 만족, 골프회원 심리적 만족, 골프회원 휴식적 만족, 지도만족)분석을 하였다. 연구 대상자은 대구광역시 실외골프연습장 회원 총 340명으로 표집 하였다. 자료 수집 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특성 및 골프 관련 특성 7문항, 기술향상 만족도(연습장 기술, 라운딩 기술)13문항, 지도자 만족도(심리적, 지도)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성별, 학력 간 모든 요인에서 골프지도 만족도(연습장 기술, 라운딩 기술, 심리적, 지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40세 이상이 40세 미만보다 골프지도 만족도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소득수준에 따른 골프지도 만족도(연습장 기술, 라운딩 기술, 심리적, 지도)분석 결과, 라운딩 기술 만족도는 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월소득 500만원 이상 회원이 300만원 미만 회원 보다 골프지도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골프경력에 따른 골프지도 만족도(연습장 기술, 라운딩 기술, 심리적, 지도)분석 결과, 라운딩 기술 만족도는 1년 미만이 1-3년 미만의 골프경력을 가진 회원들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연습장 기술, 심리적, 지도만족도는 3년 이상 회원이 1-3년 미만 경력을 가진 회원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골프회원의 평균타수에 따른 골프지도 만족도(연습장 기술, 라운딩 기술, 심리적, 지도)분석 결과, 연습장 기술 만족도는 89타 이하가 90타 이상의 평균타수를 가진 회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라운딩 기술, 심리적 만족도는 89타 이하가 100타 이상 평균타수를 가진 회원들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지도자 만족도는 99타 이하가 100타 이상 평균타수를 가진 회원들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성별, 연령, 소득, 학력, 경력, 평균타수를 공변량 으로 자격유형(KPGA, 유사협회)에 따른 만족도 차이검증 결과, KPGA자격증 소지 지도자가 유사협회 자격증 소지 지도자 보다 연습장 기술만족도, 심리적 만족도, 라운딩 기술만족도, 지도 만족도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골프회원들의 골프지도자 만족도는 KPGA자격증 소지 지도자가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런 전문성을 검정 받은 자격증 소지 지도자들로 인해 골프회원들의 스포츠 참여 활성화와 운동효과의 극대화를 이끌어 내어 골프 대중화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전문성을 입증하는 객관적인 자료인 지도자의 자격 검증 기준은 엄격한 선발 기준으로 발급 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satisfaction of golf trainees by qualification types of golf instructors and by suggesting ideal qualification and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trainees (skill improvement, field rounding satisfaction, specialty of instructors, personality of instructors,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trainees, leisure satisfaction of trainees and instruction satisfac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general and golf related characteristics of trainees and qualification of golf instructors. Total 350 members in outdoor driving range golf were selected. Questionnaire was used with 32 questions including 7 for demographical and golf related characters, 13 for skill improvement satisfaction (range and rounding skill) and 12 for instructor satisfaction (psychological and instruction) The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study. No difference in instruction satisfaction (range skill, rounding skill, psychological and instruction) by sex and education level was shown. All sub-factors under golf instruction satisfaction category had higher for over 40 years old than under 40 years old. No difference in instruction satisfaction (range skill, rounding skill, psychological, and instruction) by income level was shown. Trainees with over 5 million won of monthly income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less than 3 million Won of monthly income. As to instruction satisfaction by career (range skill, rounding skill, psychological and instruction), trainees with less than one year had higher satisfaction in rounding skill than 1-3 years career, but those with over three years career had higher satisfaction in range skill, psychological and instruction than those with 1-3 years career As to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by average par (range skill, rounding skill, psychological and instruction), those with under 89 had higher satisfaction in range skill than those with over 90, and those with under 89 had higher satisfaction in rounding skil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over 100. The trainees with under 99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over 100. As to the satisfaction by qualification (KPGA, and related association) as sex, age, income, career, average par being variables, trainees had higher satisfaction in all areas (range skill, rounding skill, psychological and instruction) to instructors having KPGA qualification than other qualification. To sum up, instructor satisfaction of trainees in golf had higher for KPGA instructors than others in all area. Such specialized instructors enabled to popularize golf by maximizing physical effect and by revitalizing sports participation. Therefore, qualification, as objective resource to guarantee specialty should be strictly controlled.

      • 골프장 운영기업의 종합적 재무분석 : 수도권과 비수도권 골프장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권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및 비 수도권 골프장 운영기업들간의 정부 조세정책에 대한 이견 대립이 타당한지의 여부를 재무적 관점에서 2008년 10월 조세특례제한법 시행 전후 (2007년~2009년)의 회원제 골프장 운영기업의 재무자료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법 시행 이후 비 수도권 골프장 운영기업의 재무안정에 긍정으로 작용하였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2009년 말 기준 국내 회원제 골프장 운영기업 193개소 중 연구대상 기간인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재무제표상 자본잠식이 한 해라도 있는 업체와 재무자료가 분석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로 공개된 업체를 제외하고, 최종 93개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조세특례제한법 시행 전후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9년까지로 정하였다. 이와 같이 조세특례제한법 시행이 수도권 및 비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운영기업에 미친 재무적인 결과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으로 비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운영기업들의 수익률이 2007년부터 매년 증가세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운영기업들은 매출 영업 익 율이 2007년부터 매년 감소세를 보여 비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운영기업이 상대적으로 조세특례제한법의 혜택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효율성 측면에서 비유동자산회전율의 양 지역간 3년간 평균값 차이에서 유의적인 수치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비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운영기업의 비 유동자산을 이용한 수익창출이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운영기업보다 높지 않아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 자산 운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안정성 측면에서 비 유동 장기 적합 율이 비 수도권 골프장 운영기업의 3년간 평균이 유의적으로 수도권 골프장 운영기업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고, 유동비율은 비 수도권 골프장 운영기업이 수도권 골프장 운영기업보다 낮은 수치를 보여 단기 채무 상환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적으로 불안정한 비 수도권 골프장 운영기업에 정부차원의 조세특례 조치가 타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비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운영기업에 대한 조세특례제한법 시행은 재무적 관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아직까지 비 수도권 지역의 재무상태가 조세특례제한법으로 개선되고 있었으므로, 관련 법안을 폐지하는 것은 시기상조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조세감면 폐지는 비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운영기업의 그린 피 인상으로 이어져 수요 고객이 감소되고, 이에 따른 수익의 감소로 경영환경이 악화되는 악순환으로 인하여 도산 위험성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앞으로 수도권과의 완전(자유)경쟁이 될 수 있도록 비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운영기업들의 경영기반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부차원의 추가적 보조 지원 및 시급한 제도보완이 요구된다. This research was established to measure objective validity in financial point of view in disagreement betwee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membership golf clubs regarding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RSTA) which was effected on October, 2008. The research group was within 193 domestic membership golf clubs, excluding those have least one year impaired capital period or insufficient financial status, and the total of 93 membership golf clubs were selected with subject to financial statement for 3 years from 2007 to 2009. According to specified research group, we concluded financial effects that RSTA would have caused between two regions. First, RSTA lead non-metropolitan membership golf clubs increased rate of profits per each year from 2007 to 2009, the year RSTA became effective. In contrast, metropolitan membership golf club's profit to sales ratio appeared decreased in consecutive years from 2007 to 2009, which leads to conclude that RSTA may benefited non-metropolitan than metropolitan membership golf clubs. Secondly, a remarkable mean value difference of two regions within 3 years appeared in terms of efficiency of non-current assets turnover. This is a result of non-current assets turnover rate in non-metropolitan membership golf club are not effective enough compare to those in metropolitan and shows relatively inefficient financial status. Thirdly, in terms of safety ratio, fixed assets to net worth and fixed liabilities ratio of non-metropolitan membership golf clubs are statistical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metropolitan within 3 years which shows financial instabilities and current ratio of non-metropolitan is lower than those in metropolitan so that short-term redemption of debts also seemed to be lowered. This means that RSTA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financial stabilities for non-metropolitan golf club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RSTA to companies operating a non-metropolitan membership golf clubs has a positive effect from the financial perspective. Since the financial state of non-metropolitan membership golf clubs have still been improved by the RSTA, it seems that abolishing related measures may be premature. Abolishing that tax exemption will lead to the increase of green fee of non-metropolitan membership golf clubs. And this will reduce customers and thereby decrease their profit. This vicious cycle that deteriorates their managerial environment is expected to even increase the risk of their insolvency. It is urgently needed for the government to give additional support and complement related systems so that it can help non-metropolitan membership golf clubs establish their managerial foundation and compete with those in the capital area within complete freedom afterwards.

      • 기업의 아마추어 골프대회 타이틀 스폰서십 활동이 기업이미지와 브랜드태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안형국 한국체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아마추어 골프 선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기업의 아마추어 골프대회 타이틀스폰서십 활동이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아마추어 골프대회 시장의 마케팅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개최되고 있는 아마추어 골프대회를 1차적으로 검색한 후, 기업이 아마추어 골프대회를 후원하는 대회를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질문지로 Cronbach's α 값은 .737~.848 이었으며, 2009년 6월 9일부터 10일까지 제주도 오라 골프장에서 진행된 '2009 박카스배 SBS GOLF 전국시도학생골프팀선수권대회'에 참가한 아마추어 골프선수 183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1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아마추어 골프대회 스폰서십 하위요인인 이미지제고활동은 활동은 기업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커뮤니케이션활동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아마추어 골프대회 스폰서십 하위요인인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이미지제고 활동은 브랜드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이미지는 브랜드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태도는 기업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업이미지는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브랜드태도는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ffect of Title Sponsorship to Amateur Golf Championship on Corporate Image, Brand Attitude and Loyalty. To achieve the purpose, the total 183 subjects, were sampled from amateur golf players who are currently enrolled at Korea Sport Council on 2009, and answered the given questionnair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5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due to insincere responses and thus 178 were analyzed for the study. SPSSWIN Ver. 14.0 was used for processing the data. In order to deter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ose subjec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was used and Simple &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activities had not a statistically influence on corporate image. Second, Image enhancement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influence on corporate image. Third, communication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influence on brand attitude. Fourth, Image enhancement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influence on brand attitude. Fifth. corporate image had a statistically influence on brand attitude. Sixth, brand attitude had a statistically influence on corporate image. Seventh, corporate image had a statistically influence on brand loyalty. Eighth, brand attitude had a statistically influence on brand loyalt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title sponsorship of amateur golf championships could positively enhance corporate image, brand attitude and loyalty. In particular, since the sponsorships to the amateur were highly effective on amateur golf championships, the study suggest that persistent interest and utilization of title sponsorship activities have value and afford a chance to be utilized as a strategic tool on the target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