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의 골다공증 지식,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 및 골밀도

        김성혜 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375

        골다공증은 사람의 활동성을 제한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며 조기 사망에 이르게 하는 심각한 대사성 질병이며,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의 골다공증 지식,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 행위, 골밀도에 대해 연구함으로서 골다공증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 일 지역주민 중 골밀도 측정행사를 통해 연구 참여에 동의한 145명 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7일부터 2013년 10월 11일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Waller 등(2002)이 개발한 골다공증 관련 지식측정도구를 선광순(2003)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는 윤은주(2001)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χ2-test, t-test,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골감소증 군은 전체 대상자 중 59.3%이었다. 골감소증군은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χ2=6.72, p=.010) 2. 골다공증 관련 특성에서 골감소증군과 정상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것은 흡연이었고(χ2=5.18, p=.023),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흡연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골다공증 지식에서 골감소증군은 평균 15.99±4.0점, 정상군은 평균 16.17±4.3점으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 행위에서는 골감소증군이 평균 2.52±.33점이였고, 정상군은 평균 2.59±.42점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위영역에서 기호식품이 골감소증군은 평균 3.00±.60점, 정상군은 평균 3.29±.4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3.26 , p=.002). 5. 골밀도 관련 영양소 섭취정도는 골감소증군과 정상군 모두 단백질, 인, 나트륨은 비교적 과다 섭취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나트륨은 충분섭취량의 약 3배 이상 과다 섭취하였으며 칼슘, 비타민C는 권장량에 비해 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의 차이는 없었다. 6. 로지스틱 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골감소증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30대)(OR=3.43,CI=1.08-10.94),직업(생산노무직)(OR=2.85, CI=1.08-7.85)이었고, 골다공증 지식 문항 중에서는 ‘흡연은 골밀도에 영향을 준다.’(OR=0.10, CI=0.02-0.66), '뼈는 20-30세 정도에 뼈가 가장 단단한 최대 골밀도에 도달한다.'(OR=0.52, CI=0.27-1.02), ‘여성 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뼈를 강화시키는 것을 방해한다.’(OR=0.19, CI=0.06-0.59)였고,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 중에서는 ‘소다수를 자주 마신다.’(OR=0.40, CI=0.22-0.73), ‘술을 자주 마신다’(OR=0.46, CI=0.24-0.90), ‘흡연을 한다.’(OR=0.21, CI=0.06-0.75)이었다. 이상으로 볼 때,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에서 차이가 있었던 성별, 흡연, 기호식품과 골감소증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고려하여 성인의 골다공증 지식을 향상시키고,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 행위의 적극적 실천을 유도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 및 건강증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