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안전시설물 설치에 따른 차량속도 영향권 분석

        최영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68

        도로교통법개정(2020년 3월 25일 시행, 일명: 민식이법)에 따라 어린이보호구역 내 신호등과 과속단속카메라 설치 의무화 등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법안이 시행되었다.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은 보호구역 내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의무화와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어린이 치사상의 가중처벌을 담고 있어 운전자에게 경각심과 보호구역에서의 교통안전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또한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단속장비와 교통안전시설물의 확대 설치로 시설물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고원식횡단보도, 과속방지턱 등 시설물 특성에 맞는 설치는 부족하여 짧은 구간 내 중복된 시설물 설치 역시 늘어나고 있다. 교통단속장비는 속도위반, 신호위반 등 주행차량의 법규위반을 단속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억제시키고 과속방지턱은 도로노면을 돌출시켜 턱이 지게 만든 부분을 통해 차량의 과속주행을 방지하며 고원식교차로는 고원식횡단보도와 동일한 제원으로 설치하되 차량의 주행속도 감속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 고원식교차로 등은 모두 차량의 속도를 강제적으로 낮춤으로서 안전사고로부터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나 어린이보호구역내 설치된 시설물을 보면 짧은 구간 내 같은 시설물이 중복으로 설치되어 차량 감속 효과를 떨어뜨리고 어린이보호구역 전 범위를 포함하지 못하고 설치된 시설물에서만 감속이 나오는 주행이 계속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되어있는 교통안전시설물의 차량속도 영향권을 설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영향권이란 어린이보호구역 내 주행하는 차량이 교통안전시설물을 통과하기까지 전 구간을 분석하여 차량 주행속도 40km/h 이하의 구간을 분석하여 설정하고자 한다. 분석에 설정된 교통안전시설물은 차량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고원식교차로, 과속방지턱 및 교통단속장비를 설정하였으며 고원식횡단보도는 과속방지턱과 그 제원 및 목적이 같아 제외하였다. 차량 속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설물은 미끄럼방지시설로 한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조사대상지점 선정은 어린이보호구역으로 편도 2차로 및 통행속도 30km/h로 노면표시, 안전표지, 미끄럼방지시설이 설치되어있으며 교통단속장비 또는 교통안전시설물이 설치되어있고 조사 진행 중 교통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지역으로 한정하되 조사구간 내 다른 교통안전시설물이 설치되지 않은 지점을 선정하였다. 차량 통행속도조사는 시험차량주행법을 채택하여 진행하였으며 총 8회 주행을 통해 주행속도 최고, 최저 값을 제외한 6회 측정값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점은 교통안전시설물을 기준으로 전후 150m씩 총 300m구간을 선정하여 지점 당 50m 간격을 지면에 표시하여 주행차량의 영상녹화와 각 구간별 통과하는 시간을 기록하여 속도를 산출하였다. 영향권의 기준이 되는 차량속도 40km/h는 선행 연구 자료를 참조하여 중상가능성 30% 이하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교통안전시설물별 차량속도 영향권 자료로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되는 교통단속장비와 교통안전시설물의 효율적인 설치 위치를 결정하고 어린이보호구역을 통행하는 차량의 통행속도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되리라 기대되며 추가적인 교통안전시설물의 영향권을 분석하여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Under the revision of the Road Traffic Act (Enforcement on March 25, 2020), a bill was implemented to install traffic lights and speed cameras in child protection zones. The Act on the Weighted Punishment of Specific Crimes has made it important for drivers to be alert and traffic safety in protected areas as it includes mandatory installation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protected areas and aggravated punishment of children's deaths in protected areas. In addition, the number of facilitie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due to the expansion of traffic enforcement system and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child protection zones, but the installation of redundant facilities in short sections is also increasing due to lack of facilities such as plateau-type crosswalks and speed bumps. Traffic enforcement system is designed to curb the driving speed of vehicles by cracking down on violations of laws such as speeding and signal violations, and speed bumps protrude on the road surface to prevent speeding of vehicles, and plateau intersections are installed with the same specifications as plateau crosswalks. Speed bumps, plateau crosswalks, and plateau intersections all forcefully reduce the speed of vehicles to ensure pedestrian safety from safety accidents, but the same facilities in the children's protection zone are installed in duplicate.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establish a vehicle speed influence zone for traffic safety facilities installed in child protection zones. In this study, the sphere of influence is to analyze all sections of the vehicle driving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until the vehicle passes through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to analyze and set sections with a driving speed of 40km/h or less. Traffic safety facilities established in the analysis were plateau-type intersections, speed bumps and traffic enforcement system, which directly affected vehicle speed, and plateau-type crosswalks were excluded because they had the same specifications and purposes as speed bump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ly for facilities that indirectly affect vehicle speed as non-slip facilities. The children's protection zone was selected as a one-way secondary lane and 30km/h traffic speed, with road markings, safety signs and anti-slip facilities installed, traffic enforcement system or traffic safety facilities installed, and no other traffic safety facilities were installed during the survey. The vehicle speed survey was conducted by adopting the test vehicle driving metho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six measurements excluding the highest and lowest driving speed through a total of eight trips. Based on traffic safety facilities, the station selected a total of 300m sections, 150m before and after, and displayed 50m intervals per point on the ground, recording the video recording of the driving vehicle and the time passing by each section to calculate the speed. The vehicle speed of 40km/h, which is the standard of influence, was selected as less than 30% chance of serious injury by referring to prior research data.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determine the efficient location of traffic enforcement system and traffic safety facilities installed in children's protection zones, and to efficiently maintain the traffic speed of vehicles passing through children's protection z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