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자유주의 시대 고등학생의 주체성 연구 : 부산시내 일반계 P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황정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 시대에 고등학생의 주체성이 어떤 모습인지 신자유주의적 통치성과 신자유주의적 주체와 관련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런 목적에 따라 첫째, 우리 사회의 일반계 고등학생들은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일반계 고등학생들이 스스로 만들어 가는 학생으로서의 모습은 신자유주의와 관련하여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푸코의 통치성(governmentality)과 주체에 대한 개념을 전체적인 이론적 틀로 삼아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생활과 좋은 학생에 대한 생각을 들여다봄 으로써 학생들 스스로 인식하고, 규정하는 학생으로서의 모습을 살펴보려 하였고, 이러한 연구를 위해 2012년에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부산광역시 일반계 고등학교 남학생 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녹음 된 인터뷰 자료를 전사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에서 생활하는 모습과 좋은 학생관을 바탕으로 살펴본 일반계 남자 고등학생들은 스스로를 첫째, 일상을 계획하고 자신을 관리하며 생활 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습계획을 세우고, 독서를 기록하며,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는 활동을 만들고, 대입을 위해 철저하게 스스로를 관리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렇듯 자기 자신을 관리하는 학생을 이상적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능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인문계 고등학교의 ‘능력’이라 할 수 있는 성적에 의한 배치와 차별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었으며, 타인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부끄럽지 않은’ 성적과 ‘좋은’ 성격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경쟁으로 인해 불안을 느끼지만 열심히 노력해야 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만들어 가는 존재로 스스로를 간주하고 있었다. 따라서 수업시간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다양한 기회를 활용하며, 현재의 직업인 공부를 수단과 과정으로 사용하고, 미래의 꿈을 위해 지금을 투자하는 모습을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런 인식의 모습들은 스스로를 관리하며, 자신의 선택에 대한 책임을 지고, 경쟁으로 불안하지만, 미래를 위해 자신의 삶을 기획해 나가는 일반계 고등학생으로서의 주체성을 학생들이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듯 학생들이 스스로 규정하고 만들어가는 학생 주체성은 경제적인 생존과 사회적인 생존을 요구받으며 스스로의 생존을 기획하도록 하는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신자유주의가 요구하는 논리를 내면화한 주체로 성장하도록 두기 보다는 타인과 함께 하는 삶의 즐거움을 아는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고등학생의 성격강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우관계 및 교사관계의 매개효과

        황서유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격강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관계와 교사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남녀 고등학생 333명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척도, 교우관계 척도, 교사관계 척도, 학습몰입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으로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성격강점,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몰입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 매개효과분석과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학년에 따라 성격강점과 교사관계에는 차이가 있다. 남학생이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인 용기와 교사관계에서 여학생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인 용기와 절제, 그리고 교사관계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성격강점과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몰입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이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성격강점이 하위요인인 지혜와 지식, 용기, 인간애, 정의, 절제, 초월성과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몰입은 모두 정적 상관이 있다. 셋째, 고등학생의 성격강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관계는 완전매개 효과와 부분매개 효과가 있다.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인 인간애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관계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고,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인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 절제, 초월성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관계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다. 넷째, 고등학생의 성격강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관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인 지혜와 지식, 용기, 인간애, 정의, 절제, 초월성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관계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격강점과 교우관계 및 교사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상담 및 교육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on learning flow in high school students and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fellow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path of character strengths as they influence learning flow.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33 coedu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by means of a questionnaire used to measure 4 scales: learning flow index, character strengths index, relationships with peers index,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index.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to assess the criteria of character strengths, quality of relationships with fellow students, quality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learning flow level, which were evaluated on these 4 scales. The software employed to analyze the research data was the SPSS Statistics 23.0 program. The Sobel Mediation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mediated correlation among the various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 showed that male students exhibited higher levels of the factor of courage as a component of character and also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an did female students. When analyzed in terms of high school year, the factors of courage and moderation which have been demonstrated to influence status in relationships, as well as quality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hool year attained, with seniors showing the highest levels. Secondly, an overall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haracter strengths, relationships with friend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learning flow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irdly, as fo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haracter strengths on the path of learning flow, this study showed that character strengths display both direct an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path by which relationships with peers affect learning flow.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philanthropy as a character parameter in its influence on learning flow, we find that the relationship with fellow students has a direct mediating effect; whereas the character components knowledge and wisdom, courage, justice or righteousness, moderation, and transcendence all exhibit a partial (indirect) mediating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learning flow. Fourthly, in regard to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 strengths on learning flow in high school students, it is found that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has a partial (indirect) mediating effect. The components of character strength including knowledge and wisdom, courage, philanthropy, justice or righteousness, moderation, and transcendence likewise show a partial (indirect)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which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have on learning efficacy. In conclusion, these results would indicate that an efficacious approach to raising learning effectiveness in high school students would be to implement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the character strengths, peer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 일반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의 신뢰의식, 스트레스, 사회풍토지각 및 일탈행동 차이 분석

        김정관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일반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의 신뢰의식, 스트레스, 사회풍토지각 및 일탈행동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신뢰의식은 가정, 학교, 사회에서 사람에 대한 신뢰와, 공공기관 신뢰를 다루었다. 분석대상은 인천지역 일반계와 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 300명(남 150명, 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2004)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일반계와 실업계의 신뢰의식, 스트레스, 사회풍토지각 및 일탈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의 신뢰의식을 분석한 결과, 일반계 고등학생이 실업계 고등학생보다 부모를 더욱 신뢰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실업계 고등학생이 일반계 고등학생보다 학교 선생님을 더욱 신뢰하였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생이 국회의원과 대통령 그리고, 공무원을 더욱 신뢰하였다.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에서도 실업계 고등학생이 국회와 대기업, 정당과 법조계, 공공관서를 더욱 신뢰하였다. 둘째, 학교유형별 사회풍토지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업계 고등학생이 일반계 고등학생보다 한국사회의 풍토가 정의와 평등을 더욱 지향하고 있다고 보았고, 일반계 고등학생은 실업계 학생보다 사회풍토가 인맥과 배금, 학력과 능력을 더욱 지향하고 있다고 보았다. 셋째, 학교유형별 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일반계와 실업계 고등학생 모두 신체적, 심리적으로 약간의 스트레스 증상이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넷째, 학교유형별 일탈행동의 차이를 보면, 실업계 고등학생이 일반계 고등학생보다 음주, 흡연을 더 많이 하였으며, 무단결석과 가출, PC방 가기도 실업계 고등학생이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Korean society, trust, stress, and delinquent behavior among high school students. Trust consciousness was dealt with the trust in people at home, school and society. A total of 300 preparatory and vocational students (150 male and 150 female) in the Incheon area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and Kim (2004). The results of the findings of trust, stress, social support and delinquent behavior are as follows. First, preparatory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trust of their parents.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trust of teachers, president, civil servants, representative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institutions such as the National Assembly, arge conglomerates, political parties, and legal institu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Second, students from vocational high school are more likely to perceive Korean society as just and equal w]rile preparatory high schoo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see it as relationship and money centered and credential-oriented. Third, both groups experience low levels of stress an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not found. Fourth, students from vocational high school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 고등학생의 간접외상 수준에 따른 사회적 관심, 정서표현, 정서인식의 차이 :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이수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direct trauma experience of sewol ferry disaster and the difference of social interest, emotional expression and mood awareness by indirect trauma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f indirect trauma level, social interest, emotional expression, mood awareness depending on gender of high school students?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f indirect trauma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frequency of exposure to the accident?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f social interest by indirect trauma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4.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f emotional expression by indirect trauma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5.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f mood awareness by indirect trauma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3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ven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four different instruments : an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korean version(IES-R-K), a social interest inventory(SII), an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EEQ) and a trait meta-mood scale(TM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 independent sample t-test(t-test),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using SPSS 22.0 for Windows software. The result from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tal 37%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has experienced indirect trauma symptoms by sewol ferry disaster. 19.6% students were in full PTSD and 17.3% students were in partial PTSD.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direct trauma and social interest, indirect trauma and emotional expression. Third, the result of t-test indicates that gender significantly affect indirect trauma level and girls had higher level than boys. Fourth, the result of a one-way ANOVA indicat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irect trauma level between group of 10times a day and group of 4~6times a day. Fifth, it is verified by one-way ANOVA that social interest and emotional expression has significant difference by indirect trauma level. It shown that group of high indirect trauma level has higher level and group of low indirect trauma level has lower level in both variables. Also, Sub-categories of variables(behavior and attitud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mood repair) has significant difference by indirect trauma level. mood awareness hasn’t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indirect trauma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experience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is caused by indirect traumatic experience like media as well as direct traumatic experience.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figures out differences of social interest, emotional expression and mood awareness according to indirect trauma level. It is meaningful to be proved that social interest, emotional expression and mood awareness could has dysfunctional effects on indirect trauma.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ways to relieve effect of indirect trauma from media are discussed. Also various and sustained program for treating symptom of indirect trauma using social interest, emotional expression and mood awareness could be developed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세월호 사건을 통해 고등학생들에게 간접외상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간접외상 수준에 따라 사회적 관심, 정서표현, 정서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 고등학생의 간접외상 수준, 사회적 관심, 정서표현, 정서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간접외상 노출 빈도에 따라 고등학생의 간접외상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고등학생의 간접외상 수준에 따라 사회적 관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고등학생의 간접외상 수준에 따라 정서표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고등학생의 간접외상 수준에 따라 정서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는 7개 시‧도 남, 여 고등학생 44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IES-R-K), 사회적 관심 척도(SII), 정서표현 척도(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EEQ), 정서인식 척도(TMMS)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 22.0을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을 통해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월호 사건을 간접적으로 경험한 고등학생 중 완전 PTSD가 19.6%, 부분 PTSD가 17.3%로 전체 연구대상자의 약 37%에서 간접외상이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간접외상과 사회적 관심, 간접외상과 정서표현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간접외상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라 간접외상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 집단 보다 여학생 집단의 간접외상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출빈도에 따른 간접외상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하루에 10회 이상 노출된 집단과 하루 4~6회 이상 노출된 집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세월호 사건을 겪은 고등학생들의 간접외상 수준에 따라 사회적 관심, 정서표현, 정서인식과 각 변인의 하위요인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간접외상 수준에 따라 사회적 관심, 정서표현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접외상 수준이 높은 집단의 사회적 관심, 정서표현 점수가 높고 간접외상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두 변인 모두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행동, 태도, 긍정적 정서표현, 정서 개선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냈다. 정서인식은 간접외상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매체 등과 같은, 직접적 외상 경험이 아닌 간접적 외상경험을 통해서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간접외상 수준에 따른 사회적 관심, 정서표현, 정서인식의 차이를 세부적으로 파악하였으며, 개인의 사회적 관심, 정서표현, 정서인식이 그 정도나 양상에 따라 간접외상에 긍정적 영향뿐만 아니라 부정적 영향 또한 미칠 수 있다는 역기능적 효과를 밝혔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매체 등을 통한 간접외상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논의되길 바라며, 간접외상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회적 관심과 정서표현, 정서인식을 활용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이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영어 어휘 학습 책략 연구

        최진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고등학생들이 영어 어휘 학습 책략을 어떻게 생각하고, 실제 학습에서 어떤 학습 책략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어휘 학습 책략 사용 정도에 있어 어휘 평가를 통해 상·하 집단 간에 차이점을 살펴보고, 학습자 스스로가 생각하는 자신의 영어 어휘 실력과 어휘 학습 책략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전남 중·고등학생 학습자들이 영어 어휘 학습 과정에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어휘 학습 책략은 무엇인가? 둘째, 학습자의 어휘 평가 수준에 따라 선호하는 어휘 학습 책략은 무엇인가? 셋째, 광주·전남 중·고등학생 학습자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어휘 실력과 어휘 책략은 상관관계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과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광주·전남 소재 중학생 407명과 고등학생 300명 총 707명을 대상으로 어휘 학습에 대한 인식 및 방법을 설문조사로 실시하였고, 학습자의 영어 어휘 평가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영어 어휘 평가지’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얻은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들의 영어 어휘 책략 사용 평균은 2.75이였고 총 46개의 책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반면 다양한 학습 책략을 사용하기 보다는 특정 몇 개의 책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그중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휘 학습 책략은 영한사전을 찾아보기, 입으로 소리 내어 반복하기, 손으로 쓰기 등 인지책략과 기억책략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주·전남 중·고등학생 학습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책략들은 기억강화 인지책략, 의미발견책략중 사회적 책략, 기억강화 사회적 책략, 상위인지책략, 의미발견결정책략 순으로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어휘성적과 학습자 본인이 생각하는 자신의 어휘실력이 어휘 학습 책략에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면 어휘성적이 높은 집단과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어휘실력을 높게 평가하는 학습자들은 어휘 학습 과정에서 학습 책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학습 책략이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 교사와 학습자는 어휘 학습 책략 사용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해야한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들의 특성과 수준 및 목적에 맞는 어휘 학습 책략을 학습자에게 지도해야 하고, 학습자는 다양한 어휘 학습 책략을 스스로 계획하고 학습한 후 평가하는 자기 주도적 어휘 학습을 해야 할 것이다.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애착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규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애착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The Relations among Parental Rearing Attitudes,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교육심리 및 상담전공 한 규 미 지 도 교 수 김 종 운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애착 및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성별의 차이와 관계 및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애착, 학교생활적응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애착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금정구와 사하구에 소재한 2개의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여 미회수 및 불성실한 답변을 한 12부을 제외한 388부를 통계처리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부모양육태도 척도, 애착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고,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통계처리는 t검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애착 및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고등학생의 애착 및 학교생활적응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나, 부모양육태도에서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애착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다. 부모양육태도가 애정, 자율, 성취, 합리적일수록 학교생활적응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모와의 애착 하위요인인 의사소통, 신뢰감, 소외감 등은 학교생활적응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는 학교생활적응에 19.7%의 설명력을 가진다. 특히 부 양육태도에서는 성취요인이 모 양육태도에서는 성취, 합리요인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16.3%의 설명력을 가진다. 특히 모 애착에서 의사소통요인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 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애착, 학교생활적응은 성별의 차이가 나타나며, 부모양육태도와 애착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따라서 부모양육태도와 애착정도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은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주요어 : 고등학생, 부모양육태도, 애착, 학교생활적응

      • 中.高等 學生의 睡眠樣狀 : 광주직할시 소재 중학생과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주중 수면양상

        신만식 全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반인의 수면양상과 수면장애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의 중·고등학교 학생의 수면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1992년 5월초부터 동년 7월말까지의 기간동안에 광주직할시 소재의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 2, 3학년 학생 2300명을 대상으로, 수면양상중 주중의 취침시각, 기상시각, 밤잠의 길이, 낮잠의 길이 및 총수면시간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주중 평균 취침시각은 11시:35분土00:57분이고, 남녀 모두 각학년별 취침시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중1, 중3과 고1은 성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중1, 중3 p<0.0001, 고1 p<.01). 주중 평균 기상시각은 06시:15분土00:38분이고, 남녀 모두 각학년별 기상시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중3, 고2와 전체 남녀에서 성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중3 p<.0001, 고2 p<.01, 전체 p<.001). 평균 밤잠의 길이는 399.86분土71.14분이고, 남녀 모두 각학년별 밤잠의 길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01), 중1, 중3, 고1, 고2와 전체 남녀에서 성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중1, 중3 p<.0001, 고1, 고2, 전체 p<.05). 낮잠의 평균 지속시간은 6.62분土11.94분이고, 남녀 모두 각학년별 낮잠의 지속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남 p<.0001, 여 p<.01), 중1, 고2, 고3과 전체남녀에서 성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중1, 고2, 고3. 전체 p<.01). 평균 총수면시간은 406.43분土71.64분이고, 남녀 모두 각학년별 총수면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01), 중3, 고2와 전체남녀에서 성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고2, 중3 p<.001, 전체남녀 p<.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때,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각각 학년이 올라갈수록 늦게 자고, 밤잠의 양이 적었고, 총수면양은 적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bedtime, awakening time, main sleep length, duration of nap, and total sleep length of the sleep patterns of mi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one of the studies on sleep patterns and sleep disorders of the general adult popul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wangju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May 1992 to July 199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 for the time of going to bed was 11:35±00:57 hours and there were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in both males and females(p<.0001) and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p<.01),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G3 p<.0001), and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p<.01). 2) The mean value for the time of awakening was 06:15±00:38 hours and there were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in both males and females(p<.0001) and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G3 p<.0001).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p<.01), and total students(p<.001). 3) The mean value for main sleep length was 399.86±71.14 minut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in both males and females(p<.0001) and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p<.05).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p<.0001),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p<.05),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p<.05), and total students(p<.05). 4) The mean value for duration of nap was 6.62±11.94 minut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in both males(p<.0001) and females(p<.01) and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p<.01),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p<.01),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p<.01), and total students(p<.01). 5) The mean value for total sleep length was 406.43±71.64 minut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in both males and females(p<.0001) and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p<.0001),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p<.01), and total students(p<.01).

      •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자기조절능력과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우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자기조절능력 및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조절능력, 비행행동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는 자기조절능력과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 고등학교와 I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ㆍ여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37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조절능력, 비행행동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구체적으로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능력, 비행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다. 사회적 지지와 자기조절능력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고, 사회적 지지와 비행행동은 유의미한 상관이 없다. 둘째,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수용-거부, 비과잉-과잉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보적 지지는 영향을 미친다. 셋째,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수용-거부가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는 자기조절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비행행동에는 부모양육태도만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수용적인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고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을 높여주고 비행행동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비행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양육태도와 관련된 전문화된 부모교육이 필요하며, 고등학생의 높은 자기조절능력을 갖추기 위해서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체계가 형성 될 수 있도록 개인 내적, 가족, 환경적 자원이 모두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과 비행행동의 예방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부모의 직업유형, 성역할 정체감, 성취동기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중심으로

        김현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모의 직업 유형, 고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취동기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부모의 교육수준, 가정의 수입)에 따른 진로선택의 차이와 성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성취동기 및 진로선택의 차이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191명의 남학생과 207명의 여학생, 총 398명으로서, 성역할 정체감은 Bem의 간략형 성역할 측정도구(Short Fonn BSRI)를, 성취동기는 박성주(1986)가 제작한 질문지를, 그리고 희망 전공계열과 희망 직업 유형은 각각 김민경(1995)과 김희정(1987)의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직업 유형에 따라, 아버지의 직업 유형과 고등학생 자녀의 희망 직업 유형 간에는 유사성이 나타났으나 어머니의 직업 유형과 고등학생 자녀의 희망 직업 유형 간에는 유사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즉 아버지가 남성적인 직업을 가진 경우와 성중립적인 직업을 가진 경우 남학생은 각각 그러한 직업을 더 많이 희망하였다. 또한, 아버지가 성중립적인 직업을 가진 경우 여학생 역시 그러한 직업을 더 많이 희망하였다. 둘째,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남녀 고등학생이 희망하는 전공계열 및 직업 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희망 전공계열은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녀 고등학생은 성취동기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이과계열을, 성취동기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문과계열과 예체능계열을 더 많이 희망하였다. 또한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희망 직업 유형은 남학생과 달리 여학생의 경우에만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즉, 남학생은 남성적 직업과 성중립적 직업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으며, 여학생은 양 성취동기 수준에서 동일하게 성중립적 직업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성취동기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남성적 직업을, 낮은 경우에는 여성적 직업을 희망하였다. 넷째, 아버지 교육수준에 따라 희망 전공계열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어머니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여학생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남학생은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인 경우 문과계열을, 고등학교 졸업인 경우 이과계열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여학생은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인 경우 이과계열을, 고등학교 졸업인 경우 문과계열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고,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인 경우 이과계열을, 고둥학교 졸업인 경우 문과계열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또한 아버지 교육수준에 따른 희망 직업 유형의 차이는 남학생에게는 유의적이 아니었지만, 여학생에게는 유의적이었고, 어머니 교육수준에 따른 희망 직업 유형의 차이 역시 여학생의 경우에만 유의적이었다. 즉, 여학생은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대학원 졸업 이상인 경우, 남성적 직업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고,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인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다섯째, 가정의 수입에 따라 희망 전공계열과 희망 직업 유형은 남학생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여학생의 경우에는 유의적으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상류층의 경우는 세 가지 계열을 비슷한 정도로 희망하였으며, 중류층과 하류층인 경우는 각각 이과계열과 문과계열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또한 상류층과 중류층은 남성적 직업을 하류층은 성중립적 직업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취동기 및 진로선택의 성차는 성역할 정체감과 성취동기, 그리고 희망 전공계열에서는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희망 직업 유형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남학생은 대부분 남성적인 직업과 성중립적인 직업을 희망하고 여성적 직업을 거의 희망하지 않는 반면, 여학생은 성중립적인 직업, 남성적 직업, 여성적 직업 순이지만 각 직업 유형을 어느 정도 비슷한 분포로 희망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about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job types, high school students' sex role identities, achievement motives and S.E.S.(parents' educational level, monthly earning). Also, it was to examine about sex role identities, achievement motives and career-choosing according to sex. The subjects were 398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191 boys and 207 girls) living in Seoul, using the Bern's Short Form BSRI(Ina Choi, 1988), Achievement Motive questionnaire(Sungju Park, 1986), Pursuing major field(Minkyung Kim, 1995) and Pursuing job type(Heejung Kim, 1987).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milarity between fathers' job types and their high school sons and daughters' pursuing job types, but not with mothers'. When fathers' present jobs were male-dominated or sex-balanced, boys pursued the same job type with their fathers'. And when fathers' present jobs were sex-balanced, girls also pursued the same job type with their fathers'. Second, sex role identities were not associa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pursuing careers. Third, achievement motives were associa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pursuing major field. It means that both boys and girls pursued the science department when their achievement motive levels are high. It also means that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the department of art-sports when their achievement motive levels are low. Also, achievement motives were associated with girls' pursuing job types, not with boys'. It indicates that boys mostly pursued male-dominated and sex-balanced job type regardless with achievement motive levels. But girls pursued sex-balanced job type in all achievement motive levels, and male-dominated job type when achievement motive levels are high and female-dominated job type if achievement motive levels are low. Forth, fathers' educational levels were associa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pursuing major field, but mothers' were just for girls. For boys, when their fathers graduated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they tended to pursue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when their fathers graduated high schools, they tended to pursue the science department. Girls tended to pursue the science department when their fathers graduated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Girls also tended to pursue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when their fathers graduated high schools. And they tended to pursue the science department when their mothers graduated universities and pursue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when their mothers graduated graduate schools or high schools. Besides, parents' educational levels were associated with girls' pursuing careers, but not with boys'. Girls pursued male-dominated job type when their parents graduated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Fifth, monthly earning in family has associated with girls, but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boys. In upper-level income class, girls pursued three departments with similar rate, but in middle and lower-level class, they in both cases pursued the science department and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Many girls in upper-level class and middle class pursued male-dominated job type, and in lower-level class they pursued sex-balanced job type. Final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x role identities, achievement motives, and pursuing major field according to sex,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suing job types. Mostly boys pursued male-dominated and sex-balanced job type, but did not pursue female-dominated job type. Whereas, girls pursued three job types in proper rate.

      •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송영준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산업사회에서는 빠르게 성장하는 물질문명과 이를 따르지 못하는 정신문명 사이의 격차로 인하여 야기되는 갈등과 괴리가 점점 더 심각한 문제로 드러나고 있다. 게다가 급격히 증가하는 지식과 정보의 홍수 속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 현대인들은 가치관의 상실과 정체감의 혼미로 '정체성의 위기'를 겪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정체감의 형성은 일생을 통하여 이룩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기는 하지만 특히 청년기는 정체감의 확립에 있어서 결정적인 시기로 간주되고 있다. 왜냐하면 자아정체감의 혼란 상태는 결정적인 진로결정이나 직업선택 등의 상황에 직면하게 될 때 더욱 명백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진로를 결정하지 못했거나, 결정했지만 준비가 보다 필요한 상황에 있는 학생들에게 자아정체감의 형성에 따른 진로미결정에 대한 관계 변인을 해결할 방안을 찾아 진로를 선택할 단계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중요한 심리적 변인중 하나인 자아정체감과 진로미결정의 하위 요인들을 파악하여, 그들 상호간에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며, 나아가 고등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어떤 특정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와 그 수준을 알아봄으로써 진로상담 시 그와 같은 다양한 미결정 문제로 어려움을 안고 있는 학생들에게 이해를 증진시키고, 차별적 개입의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은 성, 학년, 학교유형,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중요한 타인(교사, 친구, 부모)의 영향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은 성, 학년, 학교유형,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중요한 타인(교사, 친구, 부모)의 영향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상·하 수준에 따라 진로미결정 요인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넷째,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그 하위요인들에 따라 진로미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그 하위요인들에 따라 진로미결정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울산광역시의 고등학생들 중에서 성·학년·계열을 고려하여 총 396명을 임의 표집하였으며, 8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지와 진로 요인 질문지(Career Factor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이와 함께 개인적 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병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test, F검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등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치는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은 3학년이 1·2학년보다, 일반계 고등학생이 실업계 고등학생보다,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상류층이 하류층보다, 중요한 타인(교사, 친구,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생들이 그렇지 못한 학생들보다 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생의 발달단계를 통해 점차적으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저학년, 실업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하류층 가정의 학생들에게 자아의 올바른 인식을 통해 자아정체감을 형성·발달시킬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 요인 중 '진로 정보에 대한 필요'와 '자기 인식에 대한 필요'요인에 있어서 3학년이 1·2학년보다, 일반계 고등학생이 실업계 고등학생보다 진로나 자기에 대한 정보의 필요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진로선택불안'과 '일반적 미결정' 요인에 있어서 3학년이 1·2학년보다, 일반계 고등학생이 실업계 고등학생보다, 중요한 타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진로선택 시 불안을 느끼며, 자신감이 부족한 보편적 미결정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미결정에 대한 요인들을 해결함으로서 진로선택 및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이 부여되며, 진로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을 해소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상·하 수준에 따라 진로미결정 요인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정체감이 낮은 집단일수록 진로선택 시 두려움과 불안감을 많이 느끼며, 진로정보와 자기인식에 대한 필요도는 낮게 인식되었으며, 자아정체감이 높은 집단일수록 진로선택 시 두려움과 불안감을 적게 느끼며, 진로나 자기에 대한 정보의 필요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아정체감의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진로 결정에 대해 보다 더 적극적임을 알 수 있다. 넷째,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은 그 하위 요인에 따라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주도성'과 '정체감유예', '목표지향성'의 순으로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과 주변의 일을 주도적으로 실행하고, 자신의 사고와 행동에 대한 유연성과 융통성 결여가 적고, 미래에 대한 확신의 정도가 높은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적게 겪음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의 진로 결정을 돕기 위하여, 자아정체감 중 '주도성'과 '목표지향성'은 발달시키고 정체감 유예 부분은 감소시킬 수 있는 진로지도와 진로상담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다섯째,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하위요인과 진로미결정 요인간에는 정적 혹은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진로미결정 요인과 자아정체감의 긍정적 측면을 나타내는 하위요인(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과는 부적인 상관을 보이는 반면에, 자아정체감의 부정적 측면을 나타내는 하위요인(정체감유예, 정체감혼미)과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이 발달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진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덜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아정체감 정립의 결정적인 시기인 청소년기에 올바른 자아정체감이 형성되도록 개인이 겪고 있는 진로미결정 상태와 수준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진로와 관련된 실제적인 진로선택 및 진로결정을 유도하는 진로지도나 진로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차별적인 진단과 처치를 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자아정체감과 진로에 대한 결정은 단기간에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닌 만큼 고등학생들이 학교교육을 통하여 서서히 자신에 대해 탐색하고,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미래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는 교육적 배려가 요구된다. In our modern society, the material civilization develops rapidly, while the spiritual civilization almost stagnates. The conflicts resulting from such a gap between two civilizations emerge as a serious problem. In addition, our modern men are exposed to or unarmed against the flood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therefore, we face "a crisis of our identity" with our value system astray. An identity should be formed through one's life, and in particular decisively during the juvenile period. If a youth is confused about his or her self identity, he or she would also be confused about his or her decision on future jobs or courses. Hence, it may well be essential to help our youth who have yet to decide on their future jobs or who are unprepared for their future jobs to solve the problems impeding formation of their self identity, and thereby, choose their own ways for their future by themselve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determining the subfactors affecting our youth's self identity and their choice of future jobs and thereupon,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identity and future jobs, and in addition, reviewing the variables or problems impeding their decisions on their future jobs or courses, and ultimately, providing for some data useful to counselling services or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for them. To this end,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First, how much do high school students' senses of self identity differ depending on their sexes, grades, school types, socio-economic status of their parents, and influences from others (teachers, friends and parents)? Second, how much do high school students' indecisions on their future jobs differ depending on their sexes, grades, school types, socio-economic status of their parents, and influences from others (teachers, friends and parents)? Third, how do high school students' indecisions on their future jobs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s of their self identity (high, middle and low)? Fourth, how do the subfactors of high school students' self identity affect their indecision on future jobs? Fifth, how are the subfactors of high school students' self identity related with the indecision on their future jobs? In order to test the above hypotheses, a total of 396 students attending the high schools in Ulsan were sampled randomly in consideration of their sexes, grades and school types to be subject to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a self identity scale consisting of 8 subfactors and a career factory inventory. Sample students demographic variables were reviewed simultaneously.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8.0)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T-test, F-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etc. All statistical data were test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sense of their self identity was more conspicuous in third grade, grammar school students being affected much by others (teachers, friends, parents) with higher socio-economic family background than their counterparts. Given the fact that high school students' sense of self identity develops gradually throughout their life, it is deemed essential to guide the lower-grad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ith lower socio-economic family background to form a desirable self identity through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self egos. Second, it was found that third grade, grammar school students were more aware of 'necessity of the information on future jobs' and 'necessity of self identity' than first or second grad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Moreover, it was also found that third grade, grammar school students being influenced by others were more anxious or less confident about decisions on their future jobs than first or second grad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our high school students will be relieved of fear or anxiety about their future jobs if the problems impeding their decisions on future jobs have been solved. Third, there wa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decision on future jobs depending on the levels of their sense of self identity. Namely, those groups with lower level of self identity feared more about their decision on future jobs, being less aware of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and self understanding, while those groups with higher level of self identity feared less about their decision on future jobs, being more aware of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and self understanding. Accordingly,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ose students with higher level of self identity were more positive about their decisions on future jobs. Fourth,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sense of self identity affected much their indecision on future jobs depending on its subfactors. The subfactor affecting the indecision most was 'initiative', followed by 'less developed sense of self identity' and 'goal orientation'.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ose students who are taking initiative for their affairs, who are more flexible about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and who are more confident in their future experience less difficulty in deciding on their future jobs or courses. Accordingly, it is deemed necessary to help our high school students develop their 'initiative' and 'goal orientation' through effective counselling and guidance, while encouraging them to form a sense of self identity, in order to assist them in deciding on their future jobs. Fifth,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determining high school students' self identity were positively 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actors affecting their indecision on future jobs. Whil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indecision on future job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ubfactors determining their self identity positively (self-reliance, self accommodation, confidence in future, goal orientation, initiative, familiarity), while the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ubfactors determining their self identity negatively (retarded sense of self identity, confused sense of self identity).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ose students with their self identity developed more experience less difficulty in deciding on their future jobs than their counterparts.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to job counselling or differentiated guidance for our high school students who may suffer from their confused sense of self identity, based on correct understanding of their difficulty in deciding on their future jobs. Since sense of self identity is not 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decision on future jobs is not made instantly, it is necessary to help our high school students to meditate on their potential and adaptation over time through professional counselling programs, and thereby, assist them in preparing themselves for thei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