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피안을 기반으로 한 통합 멀티미디어 검색엔진

        노희중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서 기존의 텍스트 중심의 검색엔진의 한계성을 뛰어넘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통합 멀티미디어 검색엔진의 구조를 제안한다. 우리는 먼저 기존 텍스트 중심의 검색엔진을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검색을 수행하고 있는 구조의 문제점에 대해 논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통합 랭킹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제로 이러한 검색엔진을 구현하기 위해서 우리가 사용한 자피안의 구조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어서 어떤 방식으로 자피안을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통합 검색엔진을 구현하였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마지막에서는 멀티미디어 통합 검색엔진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이 검색엔진이 기존의 검색엔진 구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검색엔진구조임을 증명한다. In this paper and we propose a new system structure for multi-media data search engine where the ranking for non-text data can be vastly improved. We first discuss why current search engines are not enough to search for multi-media data, and then introduce the new form of a database, called Integrated Database. And we explain the working flow of Xapian in detail, on which we built our new search engine. And then we show the way we built our Integrated multimedia search engine on it. In the last part, as we valuate our new search engine, we assert that our search engine is superior to the existing ones.

      • 특정문헌의 내용구조에 의한 특허정보 검색시스템 설계

        권영숙 中央大學校 2000 국내박사

        RANK : 247807

        오늘날 기술개발의 성패여부는 기술의 변화를 미리 예측하고 이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달려있다. 기술변화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접할 수 있는 가장 좋은자료는 바로 문헌적인 성격과 권리적인 성격을 겸비한 특허정보라 할 수 있다. 특허정보는 창조적인 기술개발에 의하여 산업의 지식집약화를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정보의 속성상 정확성과 최신성이 보장되는, 기술개발에 절대적인 가치를 지닌 정보이다. 한편, 정보이용자는 특허에 대한 기술정보 뿐만 아니라 권리정보도 함께 탐색해야하는 이중의 부담이 있다. 특히 권리정보에 대한 사항은 법률 지식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특허정보검색시스템은 탐색기법에 대한 지식과 법률지식이 부족한 이용자들도 쉽게 검색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상의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특허의 출원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어 현재 전세계적으로 년간 500여만 건 정도의 특허정보가 발생되고 국내에서는 년간 25만 건 정도가 발생하고 있다. 특허청. 특허청연보 1998, 서울 특허청, 1998. 특허정보검색은 각 국가에서 출원된 특허정보 모두가 빠짐없이 수록된 방대한 양의 정보원에서 탐색해야 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부적합한 특허정보의 검색을 억제하고, 적합정보만을 선별하여 검색해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현재 특허정보검색을 위한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국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는 산업기술정보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KINITI-IR이 있고, 해외 데이터베이스시스템으로는 미국의 DIALOG, ORBIT, BRS, 영국의 INFOLINE, 프랑스의 QUESTEL, 독일의 INKA, 일본의 PATOLIS, 오스트리아의 INPADOC 및 미국, 독일, 일본이 공동 운영하고 있는 STN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데이터베이스들은 특허정보를 탐색하는 이용자의 다양하고 독특한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부분을 노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국내 온라인 특허정보검색시스템들의 공통적인 문제점들은 첫째,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점이 이용자가 찾고자 하는 검색사항 모두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 둘째,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데이터요소는 기본서지사항, 출원인코드, 등록사항, 색인어 및 특허청구범위로 한정되어 있고 특허내용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는 텍스트(원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 셋째, 이용자요구에 적합한 특허정보를 선택하는데 있어 중요한 판단자료가 되는 텍스트, 도면, 표, 화학식 등의 검색이 불가능하다는 점 등이다. 따라서 특허정보의 기본적인 서지사항 및 기술사항 이외에 특허내용을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는 텍스트, 도면, 표 및 화학식을 포함한 특수문자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수록하여 검색해 낼 수 있는 검색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허정보의 정보적 특성, 특허출원 양식에 의한 기술항목 및 특허내용을 구조화하여 이용자 중심의 특허정보검색시스템을 설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has been proved that full-text retrieval system is much effective and useful in comparison with bibliographic retrieval system. Accordingly, it can be hypothesized that searchers of patent information are not satisfied with a performance of existing bibliographic retrieval system and therefore, they would prefer to use full-text retrieval system. On the basis of this hypothesis, the study developed full-text patent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based on content structure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under the experimental set up. This study investigated special features of patent information, descriptions of data elements and contents of patent. The study also gathered information on user's search behavior, user's information needs for patent and disadvantages of existing patent database by questionare and interview with users. Finally, the study developed full-text retrieval system by using content-based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with an efforts to reflect users' needs. And the performance of newly developed system was tested by measuring its recall and precision ratio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A retrieval by logic items such as sentences or paragraphs has shown that it is unlikely to apply as a retrieval method in dealing with patent information because low precision and low recall rates were found as a results of the study. 2) The newly designed system based on content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provided an effective search results by showing a close adjustment between precision and recall ratios in comparison with that of existing system.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proved that users searching patent information will be satisfied with the newly designed patent retrieval system.

      • 效率的인 超音波 診斷을 위한 動影像 檢索시스템에 관한 硏究

        오태석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247807

        Information with the various patterns such as character, static image, video and speech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recent multimedia technology. Such an information is stored through mass storage like CD-Rom and reproduced through computer. In the recent information society, the information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sset. And There are th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which are very massive in it quant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put, store, process and retrieve the various and massive information efficiently.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find out an interrelation among information. Ultrasonograph is more useful than X-ray because it dose not harm to human body and look at the image unceasingly. It is also smaller and cheaper than other equipments. Nowadays, these images can be stored in very large storage memory unit and seen through computer replay. For this, the static image suggested by users is structured as Bitmap and the retrieved object is selected from this entire Bitmap. And the comparing rate is set as key-value and the memory data extracted from each frame of entire video is compared to video memory of retrieved image in each pixel. From this, the position value of image data which users desire as point value and the comparing rate are stored. Storage as point value is ordered according to comparing rate and stored in database. Then the candidate images is represented through the above rate. This proposed system can retrieve the desired image easily and rapidly.

      • 키워드 검색광고의 효과적인 운영전략에 관한 연구

        장종희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키워드 검색광고 시장이 1조 규모로 성장하게 되면서 국내 기업의 웹사이트 홍보와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하는데 중요한 광고매체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4대 매체는 매스타겟 유효성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키워드 검색광고는 고객의 의도가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타깃 광고로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광고 채널로 인정을 받고 있다. 키워드 검색광고는 노출형 디스플레이 광고 시장규모를 한참 앞서가고 있으며, 인터넷 광고의 최대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배경으로 키워드 검색광고의 특징과 서비스 특성에 대하여 문헌위주로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키워드 검색광고의 개념과 특성, 키워드 검색광고의 현황, 키워드 검색광고 상품분석, 키워드 검색광고의 주요서비스, 키워드 검색광고의 효과적인 운영 전략, 키워드 검색광고가 기업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기업에서 키워드 검색광고 서비스를 통해 효과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키워드 검색광고 운영 전략을 제시하고, 키워드 검색광고가 기업의 인터넷마케팅 효과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부분이 연구 배경이다. 이를 통해 인터넷 키워드 검색광고를 집행하는 기업들에게 실용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 효과적인 키워드 가중치를 이용한 웹문서 검색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전동표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정보검색은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수많은 정보 중 특정 목적에 적합한 정보만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아내어 수집, 분류, 축적하는 과정이다. 대부분의 정보이용 형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검색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웹 2.0으로 변화하면서 사용자 개인의 지식이 중요시되고, 정보에서 관계로, 분류에서 태깅으로 변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웹 기술의 변화와 발전에 따른 정보검색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웹 문서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벡터 공간모델인 TF-IDF와 형태소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키워드 가중치를 사용한 검색방법을 제안하였다. TF-IDF 모델은 문서 내에서 정보검색, 색인과 유사도를 계산하고 검색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단어 개수가 많아지고, 문서에 포함된 양이 많을수록 검색의 효율성은 떨어지며 키워드가 정확히 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형태소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질의어에 대하여 형태소 분석을 통해 중요한 단어만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질의어에 사용되는 단어는 대부분 명사 위주로 형태소 분석을 통해 중요 단어추출이 가능하다. 이 논문에서는 형태소 분석과정으로 분리된 음절을 이용하여 전진분석과 후진분석을 통해 단어를 추출하고, 자모를 분리하였다. 단어 추출 방법은 구축된 사전을 기반으로 불필요한 조사나 용언들을 제거하고 명사만을 추출하여 웹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색인어와 비교함으로써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순위 결정은 질의어와 질의어가 포함된 웹 문서들 간의 가중치 및 유사도를 계산하여 높은 값을 가진 가중치를 정렬함으로써 순위가 결정된다. 제안된 시스템 모델의 효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워크넷에서 제공하는 기존모델 검색 방법과 제안된 모델에 대하여 실험을 통해 제안 방법에 대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취업 정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활용가치가 없기 때문에 정확한 검색이 요구된다. 질의된 1단어 길이에 따른 정확도 평균은 기존모델 77.75%, 제안모델 84.75%의 정확도로 제안모델이 7.25%의 정확도 향상을 보였으며, 단어 길이가 2단어일 경우는 기존모델 70.75%, 제안모델 88.50%의 정확도로 제안모델이 17.75%의 정확도 향상이 나타났다. 질의 된 단어 길이에 따라 나타난 웹 문서 검색 결과의 유사도 감소율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1단어의 경우 제안모델 26%, 기존모델 16%로 나타났다. 2단어의 경우는 제안모델 33%, 기존모델 29%로 나타났다. 제안모델의 검색 정확도는 기존모델보다 13%의 향상을 보였으나, 검색 유사도에 대한 감소율 표준편차는 기존모델이 제안된 모델보다 편차율이 더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안모델의 유사도 감소율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formation search is a process that accurately searches for, collects, classifies and accumulates only information suitable for particular purpose among numberless information scattered in various places. While most of information are used through information search based on the internet, recently, web 2.0 starts to change, uplifting the importance of user's personal knowledge, and switching from information to relations, and from categories to tagging, and information search by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web technology is rising in its importance. This paper proposed a search method that used keyword weight by using TF-IDF which is a vector space model, and morpheme analysis technique as a method to search web documents that include Korean letter information. TF-IDF model has the function to calculate information search, index and similarity and determine search priority within document. However, it has the problem that the more amount the document includes, the more the efficiency of the search drops, and keyword should be matched accurately. Therefore, by solving such problem and using morpheme analysis technique, this paper extracted and used only important words through morpheme analysis for inquired word. The words used as inquired word can be extracted as important words through morpheme analysis with emphasis mostly on nouns. In this paper, words were extracted and vowels and consonants were separated through forward analysis and backward analysis by using the syllables separated in the course of morpheme analysis. As for words extracting method,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by comparing the index words included in web document after removing unnecessary pose-positions or conjugated words and extracting only nouns based on established dictionary. Priority is determined by arranging the weight of higher values after calculating the weight and similarity among the inquired words and the web documents in which inquired words are included. To survey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system model, the significance of the proposed method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 for the existing model search method and the proposed model. Since the information provided by employment information sites lose utilization value after certain time, accurate searches are required. The accuracy averages by the inquired 1 word length were 77.75% accuracy for existing model and 84.75% accuracy for the proposed model, with the proposed model showing 7.25% accuracy improvement, and in case the word length is 2 words, existing model accuracy was 70.75% and the proposed model accuracy 88.50% with the proposed model showing 17.75% accuracy improvement. Examining the similarity reduction rate standard deviation of the web documents search results shown according to inquired words lengths, in the case of 1 word, proposed model was 26% and existing model 16%. In the case of 2 words, the proposed model was 33% and existing model 29%. The proposed model search accuracy showed 13% improvement over existing model, however as for the reduction rate standard deviation for search similarity, existing model showed smaller deviation rate than the proposed model. Therefore, it was shown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oposed model similarity reduction rate.

      • 情報檢索 能力 向上을 위한 웹 코스웨어 設計 및 구현 : 初等學生을 中心으로

        이교진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는 이른바 정보화 사회이다. 즉 情報가 사회를 움직이는 原動力이 되며, 국가 경쟁력의 源泉이 되고 있다. 최근 인터넷 서비스가 量的, 質的인 면에서 크게 개선되어 일반 가정에서도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손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해 필요한 정보를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은 소위 「정보의 바다」로 불릴 만큼 엄청난 양의 정보가 散在해 있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만을 골라낼 수 있는 情報 檢索 능력이 필요하다. 특히, 키보드나 마우스 조작이 未熟하고, 컴퓨터에 대한 理解가 부족한 초등 학생의 경우에는 이러한 정보검색 능력을 向上시키기 위한 不斷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초등학생의 정보 검색 능력 향상을 위한 웹 코스웨어 (Web Courseware)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초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검색 방법을 가르쳤을 때 가장 힘들었던 점은 학생들이 아직 컴퓨터에 대한 지식(특히 용어)이 부족하다는 것과 컴퓨터 작동이 서툴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집중력이 떨어지며, 학생간 수준차 등으로 인해 효과적인 학습이 매우 어려웠었다. 특히, 인터넷 정보 검색에서 디렉토리 검색이 아닌 키워드 검색의 경우 적당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초등 학생의 경우 검색어를 제대로 입력하지 못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 검색 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마우스 및 키보드 조작을 flash를 사용한 애니메이션 기법을 도입하여 알기 쉽게 설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이사이 등장하는 인터넷과 관련된 용어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하여 초등 학생들이 어려운 용어 때문에 부담을 갖지 않도록 배려하였다. 또한, 검색에 대한 기본 지식이 갖춰진 학생들이 정보 사냥 대회 문제 등을 풀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 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개별적이고 자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정보검색 능력 향상을 위한 웹 코스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정보검색 능력을 교육적으로 활요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배울 수 있는 기회와 인터넷에 대한 흥미를 부여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Nowadays is so called information society. That means an information is a driving force for our community and a great source for national power. As an internet service has been improv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 use of internet in our real life becomes more familiar. Thus, we can easily access any kind of information in the internet as you want at any time. However, the ability to retrieve the information that you want in the internet, or so called the sea of information, should be needed. Particularly for th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y must learn how to search and practice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retrieve the information in the internet. In this research,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 web courseware for improving the searching ability in the internet. When I taught the elementary students as an instructor of after school, I have known that because they lack of the knowledge of computer(especially terminology) and most of them are novice for computer, it was very difficult for me to explain a process of searching information in the internet. Besides, since they have a little concentration and the knowledge level among them is quite different, it was not possible to teach them as good as I have expected. For example, entering a proper keyword when keyword-based search instead of directory search is very important to get a good(promising) result. However, a little of them could do that. Most of them have entered the wrong one. Thus, in our research, we have divided the whole process of searching into a set of individual steps. At each step, we have explained how to use keyboards and mouses by using an animation with the aid of FLASH. Also, we have tried to explain the various terminologies used in the internet. After that, the students who have mastered a basic process of searching have a chance to solve the well-known problems.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web courseware for individual and self-study for the elementary students to increase their searching ability. Their ability will have been used to find some materials related to the course they have taken. Also it will give some interests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 개선된 구조적 용어 가중치 기법에 기반한 문헌 클러스터링과 정보 검색

        신광철 中央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대규모 의학논문 관련 데이터베이스인 MEDLINE에 대한 향상된 자연어 검색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자연어 문서에 대한 클러스터링 기법 두 가지와 MEDLINE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가중치 재부여 기법에 기반한다. 먼저 향상된 점층적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기법인 Dynamic ART를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대규모 고차원의 문헌들을 클러스터링할 수 있는 공간 k 분할(Spherical k-means) 알고리즘과 점층적인 방식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퍼지 ART(Adaptive Resonance Theory)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공간 k 분할 알고리즘에서 사용한 벡터 공간모델의 개념 벡터와 퍼지 ART의 경계 변수 개념을 사용한다. 결과적으로 제안한 알고리즘은 점층적인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뿐 아니라, 자동으로 적절한 수의 클러스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CLASSIC3 데이터 집합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평균 응집도에서 공간 k 분할 알고리즘에 비해 8%의 향상이 있었고, 퍼지 ART에 비해서는 14%의 향상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정보 조직화를 위한 빠른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정보 조직화는 효과적인 인터넷 문헌 검색과 검색된 결과의 브라우징(browsing)을 위한 것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휴리스틱(heuristic) 정보 조직화 알고리즘은 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면서 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는 기존의 스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과 비슷한 결과를 도출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클러스터의 개념 벡터를 이용하였고, 가장 많은 0이 아닌 값을 갖는 벡터를 초기 클러스터 중심 값으로 설정하였다. TIME, MEDLINE, CLASSIC3 데이터 집합에 대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스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보다 훨씬 빠른 시간 안에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MEDLINE에 대한 클러스터링과 정보 검색을 위한 용어 가중치 재부여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MEDLINE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연어로 이루어진 대규모 의료 데이터베이스이며, 의학 관련 연구 논문들의 요약을 주로 저장하며, 각 문헌에 MeSH 용어 사전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키워드를 포함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eSH와 요약을 벡터 공간 모델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MeSH 용어에 추가적인 가중치를 부여함을 통해 현재 MEDLINE에서 사용하고 있는 불리언 모델 보다 약 2.4배의 향상된 결과를 입증한다. 또한 MeSH용어와 요약을 결합하는 방식이 MeSH 혹은 요약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더 나은 성능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연관성 피드백을 통한 자동 질의 확장에서도 이와 같은 MeSH 용어 가중치 조절은 현재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벡터 모델 기반의 시스템에 비해 17%의 성능향상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위의 방법들을 결합하여 가중치를 조절한 MEDLINE 데이터에 대해 클러스터링 하는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이는 가중치가 조절된 MEDLINE 문헌을 Dynamic ART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입력 데이터로 이용한 것으로, 평균 응집도 측면에서 공간 k 분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비해 3.8%, MeSH 용어 가중치 조절을 하지 않은 Dynamic ART에 비해 3.2%의 향상을 보여 준다.

      •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동종·대량(同種·大量) 기록물 검색도구에 관한 연구

        이승은 부산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동종·대량(同種·大量) 기록물은 ‘동일한 성격의 업무 하에서 같은 형식과 내용으로 대량생산되는 기록물’이다. 이러한 기록물 유형의 예시로는 케이스 파일(case file)이나 등록부, 도면, 명부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기록물들은 유형별로 하나의 기록 시리즈(series) 계층 또는 기록철을 이루는 기록 동일한 형식과 구조를 취하므로 기록철·건의 목록만을 통해서는 원하는 기록을 찾고 접근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동종·대량 기록물을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는 기술(description) 외에 별도의 색인어 검색서비스가 필요하다. 별도의색인어 검색도구로서 동종·대량 기록물 검색도구는 각 기록물의 유형에 맞는 색인어를 선정해야 하며, 이용자가 색인어를 포함한 검색도구의 존재 및 이용법을 잘 알 수 있도록 일반적인 검색도구인 계층별 검색도구, 검색가이드(research guide)와 연결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국가기록원은 ‘기록 데이터베이스’라는 특정한 색인어를 포함한 검색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기록원에서 동종·대량 기록물과 같이 특정한 색인어 유형을 설정해야만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한 기록들을 위한 검색도구는 개발된 숫자가 지나치게 적으며, 검색도구 간 연계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각각의 기록 데이터베이스가 기록물 유형별로 별도로 구축되어 있어 통일되지 않은 형식과 항목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물 검색에 있어서 특정한 색인어가 설정될 필요가 있는 ‘동종·대량 기록물’ 개념에 대해 정리하였다. 해당 기록물에 포함되는 기록물 유형을 살펴본 다음, 유형별 구성요소와 필수적인 색인어를 파악했다. 그리고 특정한 색인어가 포함되어 있는 해외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동종·대량 기록물 검색도구 사례를 찾아 검색가이드(research guide), 색인(index), 계층별 기술인 3가지 검색도구 간의 연계 관계를 분석했다. 그리고 해외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는 국내 동종·대량 기록물 검색도구 사례를 찾아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했다. 검색가이드, 색인, 계층별 기술인 3가지 검색도구 간의 연계 관계를 중심으로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했다. 그리고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동종·대량 기록물을 위한 검색도구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의견을 정리하여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동종·대량 기록물 검색도구 개선 방안을 최종 제시했다. 본 연구는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동종·대량 기록물 검색도구의 구체적인 개선안을 제안하여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정책 설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케이스 파일(case file), 등록부, 도면, 명부 등 특정한 색인어가 필요한 기록들의 검색서비스 강화를 위한 검색도구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제안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기록물 검색도구는 계층별 검색도구에 비해 기록 유형별로 별도의 색인어가 필요한 기록물의 검색도구에 대한 고려는 미약하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특정한 색인어가 필요한 기록물을 위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검색서비스 강화 필요성을 재고함에 의의가 있다.

      • 검색엔진 사용성 평가 모델

        김민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웹 검색엔진 사용성의 정량적이고 체계적인 측정 및 평가를 위한 품질 평가 모델을 제시한다. 품질 평가 모델은 품질특성과 측정 매트릭을 포함한다. 기존의 연구를 기반으로 품질특성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품질특성을 사용자 관점에서 선정하기 위해 설문지 조사 방법을 수행한 후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을 통해 적합성, 정확성, 운영성, 안전성, 효율성, 이해성, 학습성의 7개 품질특성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들 품질특성의 평가를 위해 측정 매트릭을 제시하였다. 품질 측정 매트릭은 측정식과 측정항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품질 측정 및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새롭게 제안된 품질 평가 모델은 기존의 시스템 관점이 아닌 사용자 관점에서 웹 검색엔진 사용성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정량적이고 체계적인 측정 및 평가를 통해 품질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검색엔진의 사용자에게 검색엔진 선정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공해줄 수 있으며, 개발자 및 관리자에게는 품질 향상을 위한 기준을 마련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ovides quality evaluation model for systematical measurement and quantitative evaluation in usability of a web search engine. The quality evaluation model is consist of quality properties and evaluation metrics. We extracted quality properties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by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after conducting survey in order to select quality properties in the user´s point of view.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we selected seven quality properties, suitability, accuracy, operability, safety, efficiency, understandability, and learnability. In addition, a quality measurement metric is provided for estimating these quality properties. The measurement metric includes measurement expressions and measure items. It enables us to perform a objective and quantitative quality measurement-evaluation. This new quality evaluation model will provide not only the estimation of search engine's usability in the user's point of view, in contrast to the previous viewpoint involving with system, but also the improvement in quality reliability. Lastly, for users, the quality evaluation model will be a role as an objective criteria to compare search engines and ,for developers and managers, it will establish a standard to improve its qualities.

      • 지식검색서비스에 관한 이용연구

        박주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지식검색서비스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등 지식검색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요구를 보다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검색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계층과 연령에 관계없이 지식검색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모든 일반인을 대상으로 국내 대표적인 세 개의 지식검색서비스인 네이버 지식iN, 엠파스 지식거래소, 야후!코리아 지식검색에 일주일간 자체 제작한 설문지를 게시하여 그 응답을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34문항으로 이용자의 일반적 배경, 정보요구, 이용행태, 이용만족도 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253개의 설문지는 통계패키지 SPSS 11.0으로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검색서비스 이용자들의 주된 정보이용의 목적은 취미나 흥미와 관련된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며, 주로 이용하는 지식의 내용별·형태별 종류로는 생활상식에 관련된 안내성 지식과 전문적 지식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지식검색서비스의 이용빈도는 1주일에 3-4회로 나타났으며, 2개 이상의 사이트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이용자가 가장 많았다. 또한 이용성향은 질문을 등록하거나 답변을 제공하기보다는 주로 지식을 검색하는 편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질문을 등록한 경우에는 보통 하루 이내에 답변을 받았다. 셋째, 지식검색서비스 이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국내 포탈사이트의 지식검색서비스는 네이버의 지식iN으로 그 이유는 습관적 이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지식검색서비스를 통한 검색 및 답변 결과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스러워 했으며, 특히 간단한 사실관계를 확인할 때 가장 만족스럽다고 답했다. 또한 불만족스러운 부분에 대해서는 지식의 양이나 유용성을 지적했다. 넷째, 이용자들은 지식검색서비스가 정보요구 해결방안으로서 비교적 중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지식검색서비스의 등장으로 정보요구 해결방식에서의 변화가 크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소원해진 정보요구 해결방식은 도서관/서점의 이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검색서비스가 인터넷 일반검색보다 효과적이며, 정보매체로서의 효용성도 높다고 응답했다. 다섯째,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지식검색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은 사용의 편리성이었으며, 단점으로는 전문지식보다 신변잡기적 지식이 많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지식검색서비스 이용자들은 향후 서비스 이용의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답변인의 전문성을 선택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바를 기초로 하여 이용자들의 요구를 보다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검색서비스 개선 방안을 지식의 효과성과 검색서비스의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요소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지식자체의 효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답변의 전문성, 정확성, 주제의 특성 및 다양성을 향상시켜야 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 방안으로 전문가의 서비스를 통해 답변인을 제한하는 것과 검증된 자료에 기초하거나 전문 편집그룹의 심사를 통해 답변내용을 제한하는 것, 그리고 이용자나 전문가들로 하여금 지식자체의 가치를 정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검색서비스의 효율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쌍방향성, 즉시성, 편리성의 측면을 강화시켜야 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 방안으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확대와 질문처리과정 확인 기능, 질문자나 답변자의 로그온 상태 표시, 지능형 검색 방식의 도입 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 behavior of a web-based question-answer service for a more efficient question-answer service plan. For the empirical survey, the resulting 253 users' responses were collected by posting the formulated questionnaire to three major question-answer services in Korea and measured utiliz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version 11.0. The study finds out the following: First, users typically use question-answer services primarily for pleasure and interest purposes(30.1%), while the type of information they use the most is related to living(36.0%) and expertise(30.4%). Second, the use frequency of question-answer service is three to four times a week(31.6%), and most users have experience with two different services(36.0%). The disposition of use is mainly in the order of searching for information in the DB(92.5%), whereas the amount of posted questions(3.6%) and answered questions(1.6%) is much less. Users receive answers within a day after their initial questioning(32.0%). Third, the most popular question-answer service in Korea is the KIN of N aver(68.8%) with habit being the primary reason (32.0%). Users feel mostly satisfied (50.2%) with the results of retrieved information and answers excepting insufficiency(17.6%) and inappropriateness(16.4%) of results. Forth, most users have more or less changed the solution method of information needed due to the question-answer services(37.9%) and they are unlikely to go to libraries/bookstores(39.1%) afterwards. Users regard question-answer services to be a little more efficient than internet search engines(52.6%) and they believe usefulness of question-answer services to be a comparatively higher information medium(53.0%). Fifth, the merit of using question-answer services is convenience and facility(43.1%), and the demerit is responses lacking in expertise(46.6%) and correctness(30.0%). For this reason, users would think the answerer's qualification(49.8%)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these servic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r the question-answer service in respect of reinforcing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itself and the efficiency of question-answer services. First, the speciality, accuracy, and specificity including the variety of themes should be improved for more effective information by screening participants or checking answers and setting payment for services rendered. Specifically, they could hire experts of various fields or train qualified researchers for answering questions. Also, they could provide answers based on verified resources only, or constitute own special editing team for evaluating general users' responses, which should help users choose the better answers. Second, interactivity, readiness, and convenience should be improved for a more efficient service by expanding communication channels, verifying the answering process, displaying users' log-on conditions, using an intelligent retrieval method, and providing experts profiles in detail. Even though many different styles of question-answer services in Korea have not been dealt with due to a low number of users, the results and proposal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providing more efficient question-answer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