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문정보검색시스템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향상을 위한 연구

        한영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현재 원문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도서관의 원문정보검색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조사하고 보다 이용자 지향적인 시스템이 되기 위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향상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원문정보검색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정보검색시스템에서의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 출력, 이용자 지원, 화면 디자인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용자 인터페이스 평가를 위한 기준을 작성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작성된 평가기준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원문정보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디지털도서관의 일곱 개 정보검색시스템을 대상으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였다. 대상 시스템은 국내외적으로 원문정보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일곱 개 정보검색시스템을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2001년 10월 25일에서 11월 10일 사이 15일 동안 인터넷을 통해 직접 이용한 결과를 평가 분석하였다. 각 사례를 평가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검색방식에 있어 초보 이용자와 숙련 이용자를 위한 검색방식을 동시에 제공하는 시스템은 다섯 개였다. 검색기능에 있어 이력검색은 한 개 시스템에서 제공하였고, 출력물 제어기능은 네 개 시스템에서 제공하였다. 그리고 검색지원을 위한 브라우징 기능은 여섯 개 시스템에서 제공하였다. 둘째, 검색결과 출력에 있어 검색어에 대한 강조기겁은 두 개 시스템에서 제공하였다. 검색결과물 제어를 위한 정렬기능은 네 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상세도 조절기능은 세 개, 재검색기능은 네 개 시스템에서 제공하였다. 원문제공에 있어 최초 결과제공화면에서 원문에 대한 연결은 네 개, 원문파일에 대한 정보는 세 개, 미리보기는 한 개, 뷰어 설치정보는 두 개 시스템에서 제공하였다. 셋째, 검색결과 출력에 있어 검색어에 대한 강조기법은 두 개 시스템에서 제공하였다. 검색결과물 제어를 위한 정렬기능은 네 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상세도 조절기능은 세 개, 재검색기능은 네 개 시스템에서 제공하였다. 원문제공에 있어 최초 결과제공화면에서 원문에 대한 연결은 네 개, 제공될 원문파일에 대한 정보는 세 개, 미리보기는 한 개, 뷰어 설치정보는 두 개의 시스템에서 제공하였다. 넷째, 화면 디자인에 있어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용어, 레이아웃, 색의 사용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시스템마다 다양한 네비게이션 기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각 검색시스템에서 이용자 인터페이스 향상을 위한 요소를 다양하게 적용시키고 있지만, 아직 보강해야 할 점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향상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보 이용자와 숙련 이용자를 위한 검색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도록 한다. 숙련 이용자를 위해 키워드 검색방식을 제공하고, 초보 이용자를 위해 메뉴 검색방식을 제공한다. 둘째, 이력검색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전에 사용했던 검색식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인접어 검색, 초록, 목차 등에 대한 검색, 이미지의 검색, 자연언어에 의한 검색 등을 통해 검색기능을 강화하도록 한다. 또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력화면을 조정하여 볼 수 있도록 정렬, 출력건수, 상세도 조절의 제어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셋째, 자신의 정보요구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이용자의 검색지원을 위해, 서명, 저자명, 주제명에 의한 색인어 목록을 제공하고, 자료별 특성에 따른 브라우징 기능을 다양하게 제공하도록 한다. 넷째, 이용자의 요구와 검색결과와의 관련성 인식을 돕기 위해 검색어에 대한 강조기법을 적용하도록 한다. 다섯째, 검색결과를 이용자가 원하는 형식으로 조작하여 볼 수 있도록, 정렬기능, 선택기능, 상세도 조절기능 등을 제공하도록 한다. 여섯째, 원문은 최소한의 상조작용 내에서 획득할 수 있도록, 최초 검색결과 출력화면에서 원문과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원문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하여 빠른 관련성 판단을 지원하도록 한다. 텍스트 자료의 경우에는 목차, 초록, 요약문을 제공하고, 이미지 자료의 경우 썸네일을 제공하도록 한다. 일곱째, 시스템 안내를 통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종류와 양, 탐색구조, 샘플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멘탈 모형 구축을 지원하도록 한다. 여덟째,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도움말을 제공하도록 한다. 우선, 현 상황의 문제 해결을 위한 도움말을 요구하는 이용자를 위해 상황적 도움말을 제공하고,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확장을 통해 상세한 기능적 도움말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상세한 정보를 요구하는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홉째, 오류 메시지는 이용자가 오류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도록 오류의 원인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한다. 열째, 이용자가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중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한다. 열한번째, 이용자가 서사나 정보시스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게시판을 설치하거나, 전자메일 주소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미리 정의된 질의 양식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문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할 수 있도록 한다. 열두번째, 시스템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사용하는 용어, 레이아웃, 색에 있어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열세번째, 네비게이션에서의 방향상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자가 시스템 내에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페이지간의 연결을 통해 페이지간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uggestion the user-interface improvement in designing the Full-text DB Retrieval System with user-centered interface. For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performed. In the literature review investigated user interface i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in search, display, user assistance and general interface. And made out criteria for user-interface evaluation. Analyzed interface to seve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of home and aborad digital library which construct and provide Full-text DB with the evaluation criteria. Analyzed result that object system chose seve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that offer constructing Full-text DB home and aboard of researcher's own accord, and uses work to internet for November 10 interval 15 days October, 2001 through 25 estimation. Accordingly,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designing of system with user-oriented interface. 1. In order to construct a classification of dialogue mode, for the novice and the experienced user. The system should be provide the browsing search for novice user, and provide the keyword search for experienced user. 2. The system should be provide function of history search to reuse the search query formulation using before, and should perform proximity operator search, natural language search, search for contents of table and abstract, and search for image. And on the result screen, sorting, display, and detail options should be manipulat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 3. To support the user, who cannot express his information need, offers indexing list of title, author, subject. and applying browsing function by material characteristic. 4. Emphasis techniques should be provide in order to help relevance decision between the user's needs and results. 5. The displayed results' sorting, detail options should be provide to customize according to user's need form. 6. In the first resulting display, a full-text direct link should be provide. And preview of primary resource should be provide to rapid relevance decisions. In the case of text provide a table of contents, abstract, summary, and in image provide thumbnail image. 7. The system introduction provides resources, search strategies, and sample to support the user's mental model creation. 8. Help should be included in a help facility should satisfy the needs of at least on level of users of the system. When help is displayed, the implicit-specific help should first be displayed and then offer an extension function by hyper-text which will display explicit help. 9. Error message should be indicate the cause of error exactly, and provide a link to definite method for solving the error. 10. Progressing message should be provide to that user can recognize progress situation of system. 11. When the user needs help, he able to contact a librarian or information system expert. by providing question & answer board or E-mail address. By providing a question form, the user will be able to state their problem concretely. 12. The system should overall be consistent for improving efficient. The term, color, and layout of the system must be consistent. 13. For solving disoriented problem, context clue in system should be provide so that the user will know his location and system should be easily navigational.

      • 검색광고의 표현형태가 클릭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품별 차이를 중심으로

        송희원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is paper, demonstrated how products' difference and advertising method are effects on click rate in online advertisement market. Previous research focused on advertising banners' location (position) on the web page and its effects, but this paper studied more detailed and a variety of cases such products, advertising methods, search conditions, and screen types, can actually effects on advertising result. Through the test, pre-oriented search engine was given to testers. Within this test showed when the key word search preformed, word related products' click rate is much higher than unrelated product search result. Also, key word search advertising click rate was unrelated to screen advertising type from the test. But, knowledge search - text-text+image, advertising method resulted the highest click rate. thus, this mixed advertising method could be one of the online ads guideline. Previous study and statistic data demonstrated the top position search result's click rate was higher than lower position; however, in this research, interestingly the position was not the matter of the click rate result. But, mid section of the search result click rate had the highest click rate, which the result was unexpected. From the test result, not only testers' personal internet environment experience, but also, screen formation may exerted to test result. Especially, ordinary search engine formed multiple conditions. But in this test, there were only three screen formation conditions (text, image+text, knowledge search), thus testers were able to read search result without scroll down functions. As a result, this paper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search result limitations could satisfy both user (reliable search result) and advertisers (click rate).

      • 패션상품 소비자의 인터넷 검색광고에 대한 태도형성과정 연구

        제은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인터넷 광고시장에서는 멀티미디어 요소를 통한 다양한 크리에이티브의 창출이나 개인의 특성에 적합한 광고를 제시하는 개인화와 같은 인터넷 매체만의 특성을 활용하는 다양한 광고 기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검색광고는 즉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며 뚜렷한 정보검색 목적을 가진 이용자에게만 노출되어진다. 하지만 인터넷의 특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광고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다양한 차원에서 연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광고속성요인들과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광고위치, 표현형태, 관여 등에 따라 태도형성과정에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관계를 검증하여 실증적 분석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구매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검색광고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년 이내 인터넷 쇼핑몰 구매경험이 있으면서 검색광고를 이용해본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2011년 5월 25일부터 5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519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 분산분석과 사후검증으로 scheffe test를 실시하였으며, AMOS 18.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상품 소비자들의 인터넷 검색광고에 대한 태도형성과정에서 검색광고속성 중 신뢰성이 광고태도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불편성은 광고를 회피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성이 증가되더라도 광고를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매의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락성과 신뢰성의 감소는 광고를 회피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검색광고 속성요인 중 정보성과 신뢰성에 대한 수준 높은 광고를 제작하여 소비자들이 검색 후 나타나는 광고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불편성 요인은 최대한 감소시켜야 할 것이며, 정보성에 대해서도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전략적 접근 방법이 요구된다. 둘째, 광고위치가 검색광고 태도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상단광고에서 오락성은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지치 않는 변수로 나타났다. 검색광고가 상단에 노출될 경우 소비자들은 정보성과 신뢰성이 긍정적인 광고태도를 형성하게 되며, 구매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하단광고는 정보성이 증가하더라도 광고회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상단광고는 정보성과 신뢰성을, 하단광고는 오락성과 신뢰성을 줄 수 있는 광고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광고형태가 검색광고 태도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텍스트 광고는 오락성, 정보성, 신뢰성이 구매의도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며, 이미지&텍스트 광고는 정보성과 신뢰성이 광고태도,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미지&텍스트 광고는 정보성과 신뢰성을, 텍스트광고는 오락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본다. 넷째, 의복관여가 검색광고 태도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의복 고관여 집단은 오락성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성은 광고태도를 통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인지적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 저관여 집단은 정보성과 신뢰성이 광고태도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제공하고, 기계적 회피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는 의복 고․저관여에 상관없이 구매의도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복 고관여 집단은 검색광고에서 나타나는 정보를 모두 수용하기 보다는 일부는 정보로 또한 일부는 광고로 인식해 호의적인 광고태도를 형성함과 동시에, 검색 과정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신뢰성이 줄어들 경우 광고를 회피하게 된다. 하지만 의복 저관여 집단은 불편과 신뢰성 감소로 인해 광고에서 벗어날 수 있으므로 흥미를 주고 집중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다섯째, 광고관여가 검색광고 태도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광고 고관여 집단은 오락성, 정보성, 신뢰성은 호의적인 광고태도 형성을 통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락성, 불편성, 신뢰성은 구매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고관여 집단은 오락성이 감소하고, 정보성과 불편성이 증가하면 인지적 회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단지 회피를 한다는 것이지 구매의도가 없다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광고 저관여 집단에서 오락성은 광고태도와 구매의도 영향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성과 신뢰성이 구매의도 영향변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광고 고관여 집단은 검색결과에 대해 의구심이 많으므로 모든 요소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며, 광고 저관여 집단은 정보와 신뢰만이 높은 광고태도를 형성하므로 좀 더 집중할 수 있는 흥미요소를 부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검색광고에서 중요한 광고위치, 광고형태, 관여에 따라 광고 태도형성과정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검색광고속성이 중심이 되어 광고태도와 광고회피,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정립하는데 일조하였다고 판단하며, 검색광고 진행 시 소비자 접근방법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고 본다.

      • 공항운영자의 특별 보안검색 방법에 관한 법적 연구

        김영천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보안검색(Security Screening)에서 주목할 부분이 있다.「항공보안법 시행령」제13조에 특별 보안검색 방법에 대한 규정이 있다. 특별 보안검색의 대상물품은 특별한 방법으로 보안검색을 실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일반적인 보안검색과 좀 다르다. 특별한 방법으로 하는 이유는 이렇다. 특별 보안검색 대상물품의 특성상 항공보안장비 X-Ray 검색장비 등에 의하여 보안검색을 하는 경우, 본래의 형질이 손상되거나 변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특별 보안검색 대상물품을 공항운영자는「항공보안법」제15조에 따라, 개봉검색을 하거나 증명서류로 확인 및 폭발물흔적탐지장비에 의한 검색 등의 방법으로 특별 보안검색을 할 때도 항공보안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특별 보안검색 대상자인 의료보조장치를 착용한 장애인, 임산부 또는 중환자 등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사람의 신체나 휴대물품(위탁수하물 포함)을 보안검색 장소 외의 별도의 장소에서 보안검색을 할 수 있다. 특별 보안검색 대상자에게 사용하는 항공보안장비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항공보안장비를 별도의 장소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항공보안의 중요성은 교통약자 등 승객이 성숙한 보안의식을 보일 때,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ICAO 부속서 17과「항공보안법」의 목적인 불법방해행위 방지 및 민간항공의 보안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동시에 교통약자 등 승객 불편 해소에 부응해야 한다. 이는 세계적인 항공보안 강화 추세와 교통약자 등 승객 편의가 조화를 이루기 위한 항공보안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특별 보안검색 관련 법령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임무를 지켜나가야 할 것이다. 안전한 국가, 행복한 사회의 건설은 국가의 책무이자 목표가 되어야 한다. 국민의 생명보다 높은 가치는 없다. 그러므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된 테러리즘(Terrorism) 범죄 예방은 국가 최고의 목표가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국가는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항공에 대한 불법방해행위로부터 항공의 안전을 유지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의 안전에 위해를 가하거나 항공기 안전에 대한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위해물품과 위험물품의 불법적인 반입행위를 사전에 방지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국가는 사전예방적인 측면에 중점을 둔 특별 보안검색 관련 입법을 보완하고, 이를 근거로 시행함으로써 항공의 안전을 보장하고 항공질서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항공안전과 보안을 위해 테러리즘 범죄를 스스로 자제하는 예방적인 기능을 효과적으로 달성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특별 보안검색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일반적으로 세계 어느 공항이나 특별 보안검색 등에 문제점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항공기의 안전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다양한 범죄행위에 의해 위협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많은 나라가 이를 최소화하여 승객의 증가에 따른 테러리즘 범죄 행위로부터 교통약자 등 승객 및 항공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특별 보안검색 대상에 대한 향후 예상되는 테러리즘 범죄를 사전에 예방함과 동시에 민원 발생 또한 줄여야 한다. 다만, 특별 보안검색에서 항상 유념해야 하는 것이 바로 개인의 사생활 침해라는 인권 침해적이지 않으면서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항공보안 접근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특별 보안검색 규정과 방법 등을 살펴보면서, 항공기 안전을 위해 특별 보안검색이나 일반적인 보안검색은 더 철저하고 완벽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미국 9.11 테러리즘 범죄 당시 보안검색 영상을 분석해 보면, 분명 보안검색에 문제가 있었다. 보안검색을 담당하는 검색요원은 너무 나태했고, 보안검색 절차는 미흡했다. 보안검색을 철저히 했더라면 발생하지 않았거나 적어도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을지 모른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공항운영자의 특별 보안검색 방법에 대한 법적 초점을 맞추어 합리적인 해결책 제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특별 보안검색의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교통약자 등 승객과 항공기 안전의 불법방해행위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민간항공의 안전과 보안을 확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현실적인 항공보안 감각에서 형식적인 대처보다는 공항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전 방안을 제시했다고 본다. 따라서 항공보안 확보를 구축하기 위해서 그동안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항공보안의 발전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따른 특별 보안검색 방법의 측면에서 볼 때, 항공보안 위험관리 강화, 승객불편 최소화, 교육훈련의 표준화 및 체계화, 항공보안장비 첨단화, 검색요원 역량 강화로 보안 효율성 제고가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첨단 보안장비와 함께 다양한 보안시스템을 도입한다 해도 완벽한 보안은 없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항공보안검색요원의 보안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실효성 있는 실무교육과 함께 신기술 등장에 따른 항공보안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특별 보안검색 방법의 항공보안 확보 마중물 역할 등 기반을 마련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특별 보안검색 구축이 가능하기를 기대한다. 결론적으로, 항공보안을 선도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국가 항공보안체계 확립을 위해 미래지향적 특별 보안검색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특별 보안검색 방법을 이해하면, 보안검색은 국민의 기본권 침해와 직결되므로 충분한 법적 근거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항공보안 안전성은 높이고 불편은 줄여야 한다. 결국, 항공보안은 모든 사람에게 중요하다.

      • 지식검색서비스에 관한 이용연구

        박주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지식검색서비스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등 지식검색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요구를 보다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검색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계층과 연령에 관계없이 지식검색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모든 일반인을 대상으로 국내 대표적인 세 개의 지식검색서비스인 네이버 지식iN, 엠파스 지식거래소, 야후!코리아 지식검색에 일주일간 자체 제작한 설문지를 게시하여 그 응답을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34문항으로 이용자의 일반적 배경, 정보요구, 이용행태, 이용만족도 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253개의 설문지는 통계패키지 SPSS 11.0으로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검색서비스 이용자들의 주된 정보이용의 목적은 취미나 흥미와 관련된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며, 주로 이용하는 지식의 내용별·형태별 종류로는 생활상식에 관련된 안내성 지식과 전문적 지식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지식검색서비스의 이용빈도는 1주일에 3-4회로 나타났으며, 2개 이상의 사이트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이용자가 가장 많았다. 또한 이용성향은 질문을 등록하거나 답변을 제공하기보다는 주로 지식을 검색하는 편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질문을 등록한 경우에는 보통 하루 이내에 답변을 받았다. 셋째, 지식검색서비스 이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국내 포탈사이트의 지식검색서비스는 네이버의 지식iN으로 그 이유는 습관적 이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지식검색서비스를 통한 검색 및 답변 결과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스러워 했으며, 특히 간단한 사실관계를 확인할 때 가장 만족스럽다고 답했다. 또한 불만족스러운 부분에 대해서는 지식의 양이나 유용성을 지적했다. 넷째, 이용자들은 지식검색서비스가 정보요구 해결방안으로서 비교적 중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지식검색서비스의 등장으로 정보요구 해결방식에서의 변화가 크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소원해진 정보요구 해결방식은 도서관/서점의 이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검색서비스가 인터넷 일반검색보다 효과적이며, 정보매체로서의 효용성도 높다고 응답했다. 다섯째,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지식검색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은 사용의 편리성이었으며, 단점으로는 전문지식보다 신변잡기적 지식이 많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지식검색서비스 이용자들은 향후 서비스 이용의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답변인의 전문성을 선택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바를 기초로 하여 이용자들의 요구를 보다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검색서비스 개선 방안을 지식의 효과성과 검색서비스의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요소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지식자체의 효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답변의 전문성, 정확성, 주제의 특성 및 다양성을 향상시켜야 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 방안으로 전문가의 서비스를 통해 답변인을 제한하는 것과 검증된 자료에 기초하거나 전문 편집그룹의 심사를 통해 답변내용을 제한하는 것, 그리고 이용자나 전문가들로 하여금 지식자체의 가치를 정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검색서비스의 효율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쌍방향성, 즉시성, 편리성의 측면을 강화시켜야 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 방안으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확대와 질문처리과정 확인 기능, 질문자나 답변자의 로그온 상태 표시, 지능형 검색 방식의 도입 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 behavior of a web-based question-answer service for a more efficient question-answer service plan. For the empirical survey, the resulting 253 users' responses were collected by posting the formulated questionnaire to three major question-answer services in Korea and measured utiliz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version 11.0. The study finds out the following: First, users typically use question-answer services primarily for pleasure and interest purposes(30.1%), while the type of information they use the most is related to living(36.0%) and expertise(30.4%). Second, the use frequency of question-answer service is three to four times a week(31.6%), and most users have experience with two different services(36.0%). The disposition of use is mainly in the order of searching for information in the DB(92.5%), whereas the amount of posted questions(3.6%) and answered questions(1.6%) is much less. Users receive answers within a day after their initial questioning(32.0%). Third, the most popular question-answer service in Korea is the KIN of N aver(68.8%) with habit being the primary reason (32.0%). Users feel mostly satisfied (50.2%) with the results of retrieved information and answers excepting insufficiency(17.6%) and inappropriateness(16.4%) of results. Forth, most users have more or less changed the solution method of information needed due to the question-answer services(37.9%) and they are unlikely to go to libraries/bookstores(39.1%) afterwards. Users regard question-answer services to be a little more efficient than internet search engines(52.6%) and they believe usefulness of question-answer services to be a comparatively higher information medium(53.0%). Fifth, the merit of using question-answer services is convenience and facility(43.1%), and the demerit is responses lacking in expertise(46.6%) and correctness(30.0%). For this reason, users would think the answerer's qualification(49.8%)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these servic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r the question-answer service in respect of reinforcing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itself and the efficiency of question-answer services. First, the speciality, accuracy, and specificity including the variety of themes should be improved for more effective information by screening participants or checking answers and setting payment for services rendered. Specifically, they could hire experts of various fields or train qualified researchers for answering questions. Also, they could provide answers based on verified resources only, or constitute own special editing team for evaluating general users' responses, which should help users choose the better answers. Second, interactivity, readiness, and convenience should be improved for a more efficient service by expanding communication channels, verifying the answering process, displaying users' log-on conditions, using an intelligent retrieval method, and providing experts profiles in detail. Even though many different styles of question-answer services in Korea have not been dealt with due to a low number of users, the results and proposal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providing more efficient question-answer services.

      • 항공보안검색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병석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various factors of the airport security checks and examine their improvements in comparison with foreign airports and thereby, analyze the conditions of the airport security checks and suggest the ways to improve the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relevant literature theoretically and there upon, analyzed the cases and conditions to suggest the ways to enhance the airport security check capacity. The problems and their improve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oblems can be addressed as follows; First, the airport operation authority is responsible currently for the security checks, while the airline companies are responsible for both air shipments and airplanes. Namely, the security responsibilities are not centralized. Second, the checking equipments are obsolete, while the security checks facilities against the passengers are poor. Third, since airport operation authority and airline companies are responsible for security checks at the airports, the security checks are too limited to be effective, and therefore, the security checks are not perfect enough. Fourth, passengers and their baggages are not sufficiently checked, while the PR activities for the security checks are still poor. The reform measures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can be put forwards as follows; First,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for security checks should be clearly stipulated. In this regard, the management capacity of the airport operation authority need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primarily in economic terms, while the government agencies should take a share of responsibility for security checks in a longer term. Second, security checking equipments should be reinforced, while obsolete ones should be replaced with high-end ones. Third, the relevant codes need to be amended. First of all, 「Security Business Code」 needs to be reviewed. In addition, 「Terrorism Prevent Code」 should be reviewed, too. All in all, it is deemed necessary to supplement 「Integrated Defense Code」.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among security authorities, together with an effective international cooperative system. Fifth, it is also necessary to enhance awareness of the air shipment security, while reforming the security education & training and PR. Sixth, it is essential to enhance security personnels' professionalism. To this end, security check experts need to be fostered, and able security personnels need to be recruited, while the security training be reinforced. Since South Korea still confronts North Korea, it is required to discuss the airport security carefully. If not, our national economy as well as our national security and people' life would be adversely affected. Being aware of such problems, not only government and security personnels but also every citizen is obliged to be more concerned with the airport security checks.

      • 인터넷 사용자의 검색엔진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김도영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글초록:1994년 국내에 인터넷이 상용화된 이후 10년 만에 약 3천만명의 국민이 매월 1회 이상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6세부터 20대까지의 경우에는 95% 이상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처럼 인터넷 사용자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일상생활의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발전하였다.인터넷 사용자의 73.8%는 자료 및 정보검색의 목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검색엔진을 통해 정보를 검색하고 있다. 기업은 검색결과 페이지에서 그들의 웹사이트가 경쟁사보다 더 좋은 위치에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이렇듯 검색엔진은 인터넷 사용자에게 정보검색의 도구인 반면에 기업에게는 마케팅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검색결과는 사용자에게 정보인 반면에 기업에게는 마케팅 채널로 가치를 갖게 되었다.그러나, 기업은 검색엔진 마케팅을 추진하기 위한 적정한 비용을 책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검색엔진과 마케팅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결과도 찾아보기가 힘들다. 다만 검색엔진 개발과 구현, 분류체계, 성능향상 등 공학적인 관점에서의 연구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본 논문은 인터넷 사용자들의 검색엔진 이용방법과 검색결과에 대한 반응을 연구하였다. 검색엔진 이용방법은 정보 검색방법과 키워드 입력방법을 조사하였으며, 검색결과에 대한 반응은 검색결과 순위에 따른 클릭율과 검색결과 페이지에 따른 노출율을 조사하여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근거자료로 활용되도록 하였다 영문초록:About 30 million people use Internet more than one time in a month after the Internet was commercialized in Korea, 1994. Especially it was investigated that more than 95% of people between six and twenty of age are using Internet in daily lives.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s increased exponentially and greater use Internet mainly for communication with others.The 70.8% of people use Internet for the purpose of finding appropriate and relevant information quickly and most of them search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the search engines. Companies invest time and efforts for their homepage to be located on better position comparing to the homepages of other competitive companies on the search results. Search engines serve as an aid to information searching for common Internet users and Internet marketing tool for companies. The search results are valuable for both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marketing channels of companies. However, companies have trouble to find reasonable cost with search engines for marketing and to show whether and how using the search engines influence marketing effects. Usually, engineering researchers study search engines in the view of search engine development, implementation, classification, and performance enhancement. This paper proposes the web search behavior of Internet users and the reactions for web search results. Searching type and keywords type method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user behaviors. The users’ reactions for search results were suggested by click-through rate of website according to the website ranking and impressions of website by page ranking. This approach can be further used for business database to set marketing strategy of companies

      • 위키피디아에 기반한 영어-한국어 간의 교차언어 정보검색에서의 질의어 번역 및 확장

        김성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위키피디아에 기반한 영어-한국어 간의 교차언어 정보검색에서의 질의어 번역 및 확장 Wikipedia Based Query Translation and Query Expansion Techniques for English and Korean Cross-Language Information Retrieval 컴퓨터공학과 김 성 호 공동지도교수 고 영 중 공동지도교수 허 성 우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한 전통적인 정보검색(Information retrieval) 시스템은 질의어(Query)로 표현된 사용자의 정보 의도(Inforamtion needs)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적합한 문서를 찾아주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하지만, WWW(World Wide Web)의 특성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가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그에 따라서 각 국의 사용자 언어로 표현된 문서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통적인 정보 검색 시스템은 단일 언어로 작성된 문서만을 다루기 때문에 다른 언어로 표현된 유용한 문서는 검색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교차언어 정보검색(Cross-language information retrieval) 시스템은 이러한 전통적인 정보검색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서 질의어에 적합한 유용한 다국어 문서(Multilingual document)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 변화로 인해서 점차적으로 다국어(Multilingual)를 처리할 수 있는 교차언어 정보검색 시스템(Cross-language information retrieval)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차언어 정보검색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비교적 널리 연구되어지고 있는 질의어 번역(Query translation)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단순한 질의어 번역의 경우에는 질의 단어의 번역 모호성(Translation ambiguity)이 존재하며, 이는 질의어 번역의 고질적인 문제로 교차언어 정보검색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키피디아가 다국어로 서비스되고 있으며, 신뢰성이 높고, 단어나 구, 고유명사 등의 정보를 방대하게 포함하고 있다는 장점을 활용하여 한국어와 영어 간의 이중 어휘 목록(Bilingual lexicon) 및 동의어(Synonym), 다의어(Polysemy) 정보를 자동으로 구축하여 질의어 번역을 수행한다. 그리고, 질의 번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번역의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의미를 가진 후보 단어들 중에 최적의 단어를 선정하기 위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번역된 질의어를 얻게 된다. 번역된 질의어에 대한 검색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위키피디아의 본문 단어의 연결(Link) 정보를 바탕으로 무작위 행보 알고리즘(Random walk algorithm)을 활용하여 질의어 확장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질의어 번역과 질의어 확장을 적용한 교차언어 정보검색기의 실험 성능 비교를 위해서 NTCIR-5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어-한국어 간의 성능을 테스트 하였다. 그 결과 여러 가지 상황의 조합된 실험에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시스템이 다른 비교 시스템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주요어 : 정보검색, 질의어 선택, 질의어 번역. 질의어 확장, 위키피디아

      • 자피안을 기반으로 한 통합 멀티미디어 검색엔진

        노희중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서 기존의 텍스트 중심의 검색엔진의 한계성을 뛰어넘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통합 멀티미디어 검색엔진의 구조를 제안한다. 우리는 먼저 기존 텍스트 중심의 검색엔진을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검색을 수행하고 있는 구조의 문제점에 대해 논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통합 랭킹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제로 이러한 검색엔진을 구현하기 위해서 우리가 사용한 자피안의 구조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어서 어떤 방식으로 자피안을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통합 검색엔진을 구현하였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마지막에서는 멀티미디어 통합 검색엔진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이 검색엔진이 기존의 검색엔진 구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검색엔진구조임을 증명한다. In this paper and we propose a new system structure for multi-media data search engine where the ranking for non-text data can be vastly improved. We first discuss why current search engines are not enough to search for multi-media data, and then introduce the new form of a database, called Integrated Database. And we explain the working flow of Xapian in detail, on which we built our new search engine. And then we show the way we built our Integrated multimedia search engine on it. In the last part, as we valuate our new search engine, we assert that our search engine is superior to the existing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