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대학생의 건강관심도,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역량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김세시라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ABSTRACT Effect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Health Cognitions, Self 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and Self-care Agen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Kim, Se Si Ra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Eun A) This research study, based on the survey conducted with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attempted to describe the relevance between health cognitions, self 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and self-care agen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iguring out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is research study can be the basement for establishing curriculum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225 students from 4 nursing colleges in G city and J Province were involved in this research study as subjects. Data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ne 7 to June 20, 2022.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26 questions in total, measuring 13 questions regarding general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5 questions regarding health cognitions, 24 questions regarding self 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34 questions for self-care agency, and 50 questions regard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ost hoc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s the subjects showed were 4.27 out of 5 in health cognitions, 3.75 out of 5 in self 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4.63 out of 6 in self-care agency, and 2.42 out of 4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2. The scores of health cognitions by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frequency(F=4.86, p=.001) and drinking frequency(F=3.55, p=.015); that of self 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dence(F=5.78, p=.004), exercise frequency(F=5.47, p<.001), the present illness(t=-3.24, p=.001), and the number of visits to medical institutions(within 3 months)(F=5.64, p=.00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are agency according to grade(F=3.69, p=.013) and the present illness(t=-2.69, p=.008). Health promoting behaviors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year)(F=3.60, p=.029), exercise frequency(F=15.68, p<.001), and the number of breakfast(week)(F=4.55, p=.001). 3. It was identified that health promoting behaviors have correlation with health cognitions(r=.48, p<.001), self 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r=.60, p<.001), and self-care agency(r=.50, p<.001). The higher the scores of health cognitions, self 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and self-care agency are, the higher tha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is. 4. This research study identified several factors affect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n nursing college students.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higher the scores of self-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40) and health cognitions(=.19) were, the higher th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Meanwhile, among dummy variables, th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higher in case the subjects are over 40, they eat breakfast more than six times a week, and they exercise more than six times a week. The explanatory power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from these variables was 53%.(F=20.72, p<.001). Therefore, there needs to be active changes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belief that healthcare can be practiced by elevated level of self 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in terms of health cognitions and concerns, to prevent disease treatment from being the sole concern with the increase of health cognition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aily practices and prevention for improving health, based on the knowledge the students have learned in school; to find some ways to improve their health. In addition, the implement of specific curriculum that complement the age gap and more studies related to health promoting behaviors are requir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xercise and eating breakfast. Keywords : health cognitions, self 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self-care agen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국문초록 간호대학생의 건강관심도,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역량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김 세 시 라 동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김은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관심도,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역량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교육전략과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 및 J도에 소재한 대학교 4곳의 간호학과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55명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2년 6월 7일부터 6월 20일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일반적 및 건강관련 특성을 측정하는 13문항, 건강관심도 5문항,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24문항, 자가간호역량 34문항, 건강증진행위 50문항으로 총 126문항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사후분석,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건강관심도,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평균은 5점 만점에 건강관심도는 평균 4.27점,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은 평균 3.75점이었다. 자가간호역량은 평균 6점 만점에 평균 4.63점이었고,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4점 만점에 평균은 2.42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심도는 운동(F=4.86, p=.001), 음주(F=3.55, p=.01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은 거주형태(F=5.78, p=.004), 운동(F=5.47, p<.001), 질병유무(t=-3.24, p=.001), 의료기관방문(F=5.6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가간호역량은 학년(F=3.69, p=.013), 질병유무(t=-2.69, p=.00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증진행위는 연령대(F=3.60, p=.029), 운동(F=15.68, p<.001), 아침식사(F=4.55, p=.0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건강증진행위는 건강관심도(r=.48, p<.001), 건강관리 자기효능감(r=.60, p<.001), 자가간호역량(r=.50,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건강관심도,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역량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독립변수에서는 건강관리 자기효능감(=.40)과 건강관심도(=.19)가 높을 경우 건강증진행위 수준이 높았고, 더미변수에서는 40세 이상 연령대에서 그리고 주 6회 이상 운동 및 아침식사를 하는 경우 건강증진행위 수준이 높았으며,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3%였다(F=20.72, p<.001).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해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건강관리를 실천할 수 있다는 믿음을 고취시키고, 건강관심도를 높여 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질병 치료에만 편중되지 않게 해야 한다. 더불어 실제로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근간으로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습관과 예방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자신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법을 찾는 적극적인 행동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연령대 차이를 반영한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시행 및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운동과 아침식사의 중요성 등을 포함한 건강증진행위 관련 연구들이 추후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주요 개념어 : 건강관심도,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역량, 건강증진행위

      • 대학생의 영양교육경험에 따른 건강관심도와 성인 영양지수(NQ)가 배달앱을 이용한 식품선택에 미치는 영향

        김호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0

        최근 코로나 19와 1인 가구의 증가로 배달앱 사용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배달앱을 이용한 식품 선택 시 영양교육경험에 따라 건강관심도와 성인 영양지수(NQ)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배달앱을 이용하여 식품구매경험이 있는 서울 소재 대학생 1~4학년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영양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건강관심도가 높았고(3.43, p〈0.001), 바람직한 식생활에 대한 지표를 나타내는 성인 영양지수도 유의적으로 높았다(54.7, p〈0.001). 식품선택속성요인으로 경제성, 서비스품질, 영양, 신뢰성이 조사되었고, 이중 여성이 남성보다는 신뢰성을, 기숙사 거주 대학생이 부모와 거주하는 대학생보다 영양을, 저체중인 대학생이 과체중 & 비만보다 신뢰성을 더 고려하였다. 이들 배달앱 식품선택속성에 영향을 주는 성별, 거주형태, BMI(Body mass index)를 보정 후 결과, 영양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영양교육경험이 없는 대학생보다 배달앱 이용 시 영양을 고려하여 식품선택을 하였다. 건강관심도와 성인 영양지수가 높을수록 배달앱을 이용할 때 영양 고려 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영양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배달앱을 통한 식품 선택 시 영양적 측면의 고려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건강관심도와 성인 영양지수가 높아질수록 배달앱을 이용할 때 영양 고려 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배달앱을 통한 식품 구매가 증가하는 현대에, 앞으로 영양교육의 중요성 및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use of delivery applications has increased due to COVID19 and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nutritional education experience, health interest, and nutrition quotient (NQ) for adults when selecting food using delivery applicat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who had experience in purchasing food using delivery applications. First, university students with nutritional education experience had higher health interests than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 (3.43, p<0.001), and the NQ for adults, which is an indicator for desirable eating habits,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54.72, p<0.001). Economic feasibility, service quality, nutrition, and reliability were investigated as factors for selecting food. Among these factors, when selecting food, women considered reliability more than men, students living in dormitories considered nutrition more than those living with their parents, and underweight students considered reliability more than overweight and obese students. As a result of correcting gender, residence type, and body mass index (BMI), which affect food selection attributes of these delivery applications, university students with experience in nutritional education considered the nutrition while selecting food using delivery applications than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health interest and NQ for adults, the more they considered nutritional aspects when selecting food using delivery applications. This study showed that nutritional education experience leads to an increased consideration of nutritional aspects when selecting food using delivery applications.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health interest and NQ for adults, the more they considered nutritional aspects when selecting food using delivery applic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future direction in the modern era where food purchases using delivery applications are increasing.

      • 경로당 이용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 건강관심도및 건강행위간의 관계

        전해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0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 지역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관심도 및 건강행위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유지하는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는 2006년 11월 21일부터 12월 20일까지 G시 일개 구 지역에 등록되어 있는 경로당 299개소 중 20개소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2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지역보건소의 협조를 얻어 훈련된 조사원이 각 경로당을 방문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5문항, 경로당 이용 특성 3문항, 건강관련특성 9문항, 주관적 건강상태 3문항, 건강관심도 5문항, 건강행위 33문항 등 총 5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건강관심도는 박인혜 등(200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건강행위는 최영희와 김순이(1997)가 노인의 건강행위를 사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을 이용하여 경로당 이용 노인의 제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관심도 및 건강행위는 평균과 표준편차 범위를 구한 후 제 특성에 따른 관련성은 t-test, ANOVA로 검정한 후, 사후 분석으로 Tukey를 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관심도, 건강행위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 대상자는 평균 연령 75세 정도였으며, 여자노인이 85.6%로 대다수였다. 63.2%가 종교를 가지고 있었으며, 용돈은 6 ~ 10만원 수준이 32.0% 로 가장 많았다. 경로당 이용은 평균 7.7년이었으며, 평균 10년 이상 이용하고 있는 대상자가 38.7%였고, 한달평균 22.3일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5.1%의 대상자가 경로당 이용에 ‘만족 한다’ 이상으로 응답하였다. 대상자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6.3시간으로 나타났으며, 대다수가 흡연, 음주를 하지 않고 있었으나, 운동 실시율이 낮았고, 2년에 한번 실시하는 정기 건강검진을 실시하지 않은 대상자가 24.1%였다. 진단받은 질병은 고혈압 26.8%, 관절염 21.8%, 당뇨 9.6% 순으로 나타났다. 경로당 이용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59% 수준이었고. 건강관심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89%)이었으며, 건강관심도는 나이가 작을수록, 종교를 가지고 있을 때 건강관심도가 높았다. 건강행위도 비교적 높은 수준(75%)이었는데 나이가 작을수록, 종교를 가지고 있을 때, 그리고 용돈이 많을 때 건강행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특성인 총 수면 시간, 음주, 이동어려움, 식사 어려움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을 실시하는 군과 2년에 한번 실시하는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대상자의 건강관심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건강행위는 운동을 하는 군과 이동과 식사의 어려움이 없는 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관심도는 건강행위와 정상관 관계를 보여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건강행위를 잘한다고 할 수 있으며 유의한 상관관계였다. 결론 경로당 이용 노인들의 연령은 비교적 높은 데 비해, 생활수준은 비교적 낮았다. 경로당을 이용하는 한달 평균 일수가 많았고, 경로당 이용에 대해 상당수가 만족하고 있었다.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건강에 대한 건강행위가 높은 것으로, 주관적 건강 상태가 높을수록 건강행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경로당을 노인 건강관리 시설로 활용하여 노인들의 생활습관 개선이나, 만성질환관리 프로그램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면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 concer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ly in senior center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in developing community base health promotion program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230 elderly from 20 senior centers located in G metro cit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 by trained interviewer using questionnaires from Nov. to Dec. 2006.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2.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Tukey as multiple range test, and the Pearson' corelation coefficient were done.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 was 75years old. And the average duration of attending senior centers were 7.7years.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 was 59%, health concern 89%, and health behavior 75%.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and health concern and health behavior.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ose whom with better health status and more health concern, practise health behavior well. Health promotion program should carry on continuously to improve the health behavior of elderly attending senior health centers.

      • 20대의 건강관심도 및 태도가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830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health interest and attitudes of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a primary consumer group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underst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s of such products. Upon examining the usage patterns of health functional foods, it was found that while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se products, many lacked experience in health education. They purchased health functional foods primarily for aesthetic purposes, such as acquiring proteins for beauty, via online platforms or home shopping channels based on personal judgment. They also tended to verify the labeling of health functional foods during purchase and believed in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ducts after consump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revealed that consumers in their twenties showed more interest in health interest rather than functional interest, and their focus leaned toward health management attitudes over dietary attitudes.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indicated a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s in the order of health management attitudes, dietary attitudes, health interest, and functional interest.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health interest among consumers led to increased purchase intentions. Among the sub-factors of consumer health interest, it was observed that health interest had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s compared to functional interest. Within consumer attitudes, health management attitudes had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s compared to dietary attitudes. Hence, it was evident that both consumer health interest and attitudes significant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s among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There is a need to contemplate strategies to elevate the health interest and attitudes of consumers in their twenties to boost their purchase intentions towards health functional foods. Additionally, proactive promotion of appropriate health functional food choices tailored to individuals and advocating correct consumption methods through various mediums such as the internet, television, radio, and social media is crucial. This will enable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to select and consume health functional foods certified as safe by the authorities.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의 주요 소비계층으로 성장한 20대를 대상으로 건강 관심도와 태도를 알아보고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주 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강기능식품 이용행태를 살펴본 결과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알고 있 었고, 건강교육의 경험은 없는 경우가 더 많았다. 본인의 주관적인 판단 에 의해 미용을 위해 단백질류를 직접 홈쇼핑이나 인터넷에서 건강기능 식품을 구입하였다. 구입 시 건강기능식품 표시 여부를 확인하였고, 건강 기능식품 섭취 후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통계 분석 결과는 소비자 건강관심도는 기능성 관심도 보다는 건강관심도에 더 많은 관심이 있고 건강식품에 대한 태도 보다는 건강관리에 대한 태 도가 더 평균이 높아 20대의 소비자들은 건강관심도와 건강관리에 대한 태도에 중점을 두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구 매의도에 건강관리에 대한 태도, 식품관리태도, 건강관심도, 기능성 관심 도 순으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소비자 건강 관심도가 높으면 구매의도가 높았고, 소비자 건강관심도의 하위변인 중 에서 기능성 관심도 보다 건강관심도가 구매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 다. 소비자 태도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이 건강을 증진해 줄 뿐만 아니라 유익하다는 건강관리에 대한 태도가 건강기능식품으로 건강 을 관리할 수 있다 생각하는 건강식품에 대한 태도보다 구매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소비자 건강관심도와 소비자 태도는 구매의 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소비자의 건강관심도와 소비자 태도를 높여 건강기능식품 구매의 도를 높이는 방안에 대하여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자들이 본 인에게 적합한 건강기능식품을 구입하고 올바른 섭취 방법에 대해 적극 적으로 홍보하고 SNS와 같은 인터넷, 텔레비전, 라디오 등 다양한 광고 또는 홍보물 발행, 교육을 실시하여 국가로부터 안전하다고 인증받은 건 강기능식품을 20대가 선택하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고등학생의 건강관심도와 가족 기능이 흡연 및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양순정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고등학생 대상으로 건강관심도와 가족기능에 따른 흡연과 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D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에서 1학년과 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 343명 대상으로 2016년 6월 1일부터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조사에서 성별은 남학생 299명(87.2%), 여학생 44명(12.8%)으로 여학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학년별로 구분할 때 1학년이 167명(48.7%), 2학년이 176명(51.3%)으로 조사되었다. 부모님의 관심이 높은 학생들의 흡연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낮았으며(p=0.040),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보통이상 집단에서 흡연, 음주율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p=0.001). 2. 전체 건강관심도의 점수는 5점 만점에 3.135점으로 이를 각 항목별로 살펴보면 건강에 관심이 많음 3.47, 운동실천 3.43, 질병으로 인한 의료기관 방문 3.38, 정상 체중 위해 노력 3.20, 건강 관련정보 관심 2.88, 영양보충제 복용 2.42를 하고 있다. 3. 조사 대상자의 가족 기능에서 결속력 평균이 33.70, 적응력 평균이 30.35로 결속력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4. 부모님의 관심이 높은 학생들의 흡연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낮았으며(p=0.040),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보통이하로 응답한 군의 흡연 , 음주 비율이 다른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5. 흡연군에 비해 비흡연군의 전체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으며(p=0.001), 음주여부에 따른 건강관심도는 비음주군이 음주군보다 건강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p=0.001). 6. 가족 기능 중 가족 결속력과 흡연 여부와의 연관성을 보았을 때 P값(<0.001)이고 음주 여부와의 연관성을 보았을 때 P값(<0.05)은 흡연과 음주 여부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7.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흡연 행위가 약 0.6배 더 낮고, 또한 가족기능 분류 중 부정적인 상태군이 다른 군보다 흡연 경험 약 2.3배, 음주경험이 약 2.1배 더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인 건강상태의 경우 건강하지 못한 편에 비해 보통인 경우 흡연 행위가 약 2.3배, 음주 경험이 약 2.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가 비흡연군에 비해 흡연군일때 현재 음주 경험이 약 3.9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현재 흡연 음주교육은 가족요인을 고려하기보다는 획일적이고 집단적인 교육으로 제한되어 가족기능과 연관한 교육방식이나 상담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와 학교와 가정이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학생 건강관심도를 높이고 가족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생들의 흡연, 음주를 낮추기 위하여 종합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level of interest in health and family functions on their smoking and drinking.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 1 to Jun. 30, 2016 on 343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s in D city.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shown below. 1. As for the demographics of the survey, there were 299 boys (87.2%) and 44 girls (12.8%) and 167 first-year students (48.7%) and 176 second-year students (51.3%). The student group with highly involved parents had lower smoking rate (p=0.040) compared to other groups. Both smoking and drinking rates (p=0.001) were the high in groups with above average level of health, in subjective sense. 2. The overall interest level in health was 3.135 out of 5. More specifically, highly interested in health was 3.47, exercises was 3.43, visits hospital due to disease 3.38, makes efforts to stay in normal body weight was 3.20, interested in health information was 2.88, and takes health supplements was 2.42. 3. As for family function, the mean values of family bonding was 33.70, which was somewhat high, and adaptability was 30.35. 4. The student group with highly involved parents had a lower smoking rate (p=0.040)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group who subjectively considered their health below aver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 smoking and drinking rates compared to other groups (p=0.001). 5. The non-smoking group (p=0.001) and non-drinking group (p=0.001) were more interested in health compared to the smoking group and drinking group, respectively. 6. When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bonding and smoking, the p-value was less than 0.001. When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bonding and drinking, the p-value was less than 0.05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smoking and drinking. 7. The higher the interest level in health, smoking rate was lower by about 0.6 times, and the group with negative family function had 2.3 times more experience in smoking and 2.1 times more experience in drinking. The subjectively healthier group had 2.3 times higher smoking rate and 2.3 times higher drinking rate compared to other groups. It was revealed that if the mother smoked, student's experience in drinking was about 3.9 times higher. Based on the results, current education programs on smoking and drinking are rather standardized and restricted in group format and fail to consider family factors. There is virtually no education programs or counseling incorporating family func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schools and families to organically work together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increase the students' level of interest in health and reduce their smoking and drinking rates.

      • 식물성 HMR 선택속성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건강관심도, 환경관심도 중심으로

        정성은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29

        외식문화는 빠르게 변화하고 발전해 왔다. 그 중 가정 간편식의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코로나 19로 사람들의 건강과 환경에 대한 문제점이 계속 대두되면서 그에 발맞춘 식물성 HMR 시장이 점차 성장해나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두고 식물성 HMR의 선택속성을 규명하고 세분화하고자한다. 세분화된 집단의 건강관심도와 환경관심도를 분석하고 그 정도를 파악하여 식물성 HMR이 국내시장이나 해외시장 진출, 상품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연구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해 표본추출은 식물성 HMR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업체의 의뢰하여 진행하였고 조사 기간은 2023년 4월1일부터 4월30일까지 수행되었다. 수집된 설문지 중 식물성 HMR 이용경험이 없거나 불성실 답안은 제외한 281부를 최종적으로 코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소비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들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된 식물성 HMR 선택속성 요인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군집들을 세분화하였고, 군집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소비특성 파악을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군집별 건강관심도와 환경관심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군집의 평균차이를 비교하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식물성 HMR 선택속성으로 편리성, 실속성, 유행성, 안전성, 윤리성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식물성 HMR 선택속성의 요인을 바탕으로 군집 분석한 결과 유행성과 안전성, 윤리성을 중요시하는 “트렌드추구집단”과 윤리성요인을 가장 중요시하는 “윤리적가치추구집단”, 모든 요인을 중요시하는 “복합적추구집단”, 다른 요인은 모두 중요시하지만 윤리성요인만 중요시 하지 않는 “효용성추구집단”으로 4개의 군집이 분류되었다. 셋째, 세분화된 군집별 건강관심도와 환경관심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관심도를 보인 군집은 복합적추구집단으로 건강관심도와 환경관심도 모두 높은 값을 나타냈고, 윤리적가치추구집단은 환경관심도는 높은 값을 나타났고 건강관심도는 중간 값을 나타냈다. 트렌드추구집단은 건강관심도, 환경관심도 둘 다 중간 값으로 높지도 낮지도 않은 값으로 나타났다. 효용성추구집단은 건강관심도, 환경관심도 모두 낮은 값을 나타났다. 넷째, 세분화된 군집별 인구통계학적특성과 소비형태 특성을 교차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인구통계학적특성에서는 결혼여부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나타났고 소비형태에서는 제품형태, 평균지출금액, 구매 장소, 구입용도, 정보처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를 통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매체를 통한 마케팅 홍보가 절대적으로 시급하다. 각 채널에 맞는 제품형태를 전시하고 지속적인 개발을 통하여 고객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제품개발과 마케팅전략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Eating out culture has changed and developed rapidly. Among them, the market for home meals has continued to grow, and as problems with people's health and environment continue to emerge due to COVID-19, the Plant HMR market is gradually growing in line with it.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subdivide the selective properties of plant HMR. It is to analyze the Health concerns and environmental concerns of the subdivided group and to understand the degree to provide research data for plant HMR to enter the domestic or overseas market,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To this end, sampling was conducted at the request of an online survey company targeting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using Plant HMR, and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April 30, 2023.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281 copies were finally coded, excluding those with no experience in using Plant HMR or insincere answers.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variables were measured. Based on the extracted plant HMR selection attribute factor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subdivide the clusters, and cross-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concern and environmental concern by 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mean of the cluster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five factors of convenience, practicality, prevalence, safety, and ethics were extracted as Plant HMR selection attributes. seco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factors of the plant HMR selection attributes, a “trend pursuit group” that values epidemic, safety, and ethics, an “ethical value pursuit group” that values ethical factors the most, and a “complex pursuit group” that values all factors , 4 clusters were classified as the “utility-seeking group” that considered all other factors as important, but not only the ethical factor.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concerns in health and the level of concerns in the environment by subdivided clusters. Interest showed a high value, and Health concerns showed a medium value. In the trend-seeking group, both Health concerns and environmental concerns were medium, neither high nor low. The utility-seeking group showed low values in both Health concerns and environmental concerns. Fourth, as a result of cross-analyz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type characteristics by subdivided clust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 type, average spending amount, purchase place, and purchase purpose in consumption typ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tems of information sources. Through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Marketing promotion through various media is absolutely urgent. Product types suitable for each channel were exhibited, and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y plans were presented to meet customer needs through continuous development.

      • 중국 유학생의 건강관심도에 따른 편의식 선택동기에 대한 연구

        백송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29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health consciousness of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South Korea to understand their health consciousness levels as well as identify the purchase motives, selection attributes, and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 according to health consciousnes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30 to July 31, 2021, with 296 respondents from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cludi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residing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on health consciousness, convenience food purchase motives, selection attributes, consumption pattern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5.55 points, n=108) and a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3.13 points, n=188) based on the average health consciousness score (4.01 poi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all general characteristics except for perceived economic status. The proportion of women in the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40.7%) was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that in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23.9%, p=0.002), and the age was lower within the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21.3 years) than in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22.0 years, p<0.001). In addition, the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possessed a higher Korean proficiency than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p<0.001). The average residency period for the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in South Korea was 28 months, which was longer than that of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corresponding to 18 months (p<0.001). The average monthly income in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1.18 million w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0.85 million won observed for the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p<0.001). From factor analysis on convenience food purchase motive, three factors were identified, namely 'taste motive', 'quality motive', and 'convenience motive'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From factor analysis on convenience food selection attributes, five factors were identified, namely 'quality', 'trend', 'economical', 'convenience', and 'visuality'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5.50 points) scored higher than the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5.31 points) in the taste motive (p=0.031), and the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5.70 points) scored higher than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in the quality motive. When purchasing convenience fo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venience motivation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the selection attributes, the score of the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6.21 points) for quality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5.56 points, p<0.001). In the trend, the score of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6.14 points) was higher (p<0.001) than that of the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5.60 poin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other factors.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 per week in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3.95 tim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0.76 times, p<0.001). The maximum amount that the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could pay for a convenience meal was 8,779 won, which was less than the 9,768 won that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could pay (p<0.001).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was found to have a preference for ‘ready to eat’ and ‘ready to heat’, which are simple to prepare (p<0.001). Regarding the improvement points for convenience food, the high-health consciousness group had a relatively high demand for quality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The low-health consciousness group was found to have a high demand for menu diversification (p<0.001).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convenience food among Chinese students who were less interested in health was higher than those who were more interested in health in China, and the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rriving in South Korea. These results show that Chinese students who are less interested in health are more likely to consume a higher quantity of convenience food within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easily purchase convenience food. The Chinese students who were less interested in health tended to consist of primarily men and younger individuals. Moreover, they had relatively poor Korean language skills and had experienced a shorter period of residence within South Korea while possessing a higher monthly income. Therefore, education programs on healthy eating behaviors are required to support Chinese students with thes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assist them in selecting healthier convenience food options.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differentiated convenience food for Chines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food labels that can support healthy food choices for foreign students with low Korean language skills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 유학생의 건강관심도를 분석하여 그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관심도에 따른 편의식 구매동기, 편의식 선택속성과 편의식 소비형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 유학생(학부생, 대학원생 포함) 296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30일부터 7월 31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건강관심도, 편의식 구매동기, 편의식 선택속성, 편의식 소비형태, 일반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건강관심도 점수 평균(4.01점)을 기준으로 고관심도군(5.55점, n=108)과 저관심도군(3.13점, n=188)으로 구분하였다. 건강관심도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일반 특성을 살펴보면, 주관적 경제 상태를 제외한 모든 특성에서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성별은 고관심도군에서는 여자의 비율(40.7%)이 저관심도군(23.9%)보다 높았으며(p=0.002), 연령은 고관심도군(21.3세)이 저관심도군(22.0세)보다 낮았다(p<0.001). 건강관심도가 높은 중국 유학생 중에 식품관련 전공자가 많았다(p<0.001). 고관심도군의 한국어 능력이 저관심도군보다 높았다(p<0.001). 고관심도군의 한국 평균 거주기간은 28개월로 저관심도군의 거주기간 18개월보다 길었다(p<0.001). 저관심도군의 월평균 소득 118만원은 고관심도군 85만원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p<0.001). 편의식 구매동기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총 3개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의 특성에 따라 ‘미각동기’, ‘품질동기’, ‘편의동기’로 명명하였다. 편의식 선택속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총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의 특성에 따라 ‘품질’, ‘트렌드’, ‘경제성’, ‘편리성’, ‘시각성’으로 명명하였다. 건강관심도에 따라 편의식 구매동기를 살펴보면, 미각동기에서는 저관심도군(5.50점) 점수가 고관심도군(5.31점)보다 높았으며(p=0.031), 품질동기에서는 고관심도군(5.70점) 점수가 저관심도군(5.03점)보다 높았다(p=0.037). 편의동기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지 않았다. 건강관심도에 따른 편의식 선택속성을 살펴보면, 품질에서는 고관심도군(6.21점) 점수가 저관심도군(5.56점)보다 높았다(p<0.001). 트렌드에서는 저관심도군(6.14점) 점수가 고관심도군(5.60점)보다 높았고(p<0.001), 나머지 요인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지 않았다. 건강관심도에 따른 편의식 소비형태를 살펴보면, 저관심도군은 주당 편의식 이용빈도(3.95회)가 고관심도군(0.76회)보다 많았고(p<0.001) 한국에 오기 전에도 저관심도군은 주당 편의식 이용빈도(0.87회)가 고관심도군(0.23회)보다 많았다(p<0.001). 고관심도군이 편의식으로 한 끼를 해결할 때 최대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8,779원으로 저관심도군의 9,768원보다 적었다(p<0.001), 상대적으로 고관심도군은 준비가 복잡한 RTEC, RTC의 이용이 많았고, 저관심도군은 준비가 간단한 RTE, RTH의 이용이 많았다(p<0.001). 편의식에 대한 개선점에서는 고관심도군은 저관심도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품질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저관심도군은 메뉴의 다양화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p<0.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건강에 관심이 적은 유학생들은 중국에서도 편의식 이용빈도가 건강에 관심이 높은 유학생보다 높았으며, 한국에 온 이후로 편의식 섭취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에 관심이 적은 중국 유학생은 편의식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환경에서 편의식을 더 많이, 더 자주 섭취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인구통계학적 차이를 살펴보면, 건강에 관심이 적은 유학생은 남성이 많았으며, 연령이 젊고, 한국어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한국 거주기간이 짧았으며, 월 평균 소득이 많은 특성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인구학적 특성을 가진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올바른 편의식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과 건강한 식생활 관련 교육이 필요해 보인다. 한편, 건강에 관심이 높은 사람들은 편의식을 구매하는 동기가 품질이 일정하고 영양적으로 우수해서(품질동기)였으며, 편의식 구매 시 위생, 맛, 영양 등 ‘품질’ 요인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반면에 건강에 관심이 적은 사람들은 편의식을 구매하는 동기가 상대적으로 새로운 맛의 경험과 광고에 의한 호기심 때문(미각동기)이었으며, 편의식 구매 시 포장디자인, 기업 이미지, 유행 등 ‘트렌드’ 요인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편의식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해 건강한 식품 선택을 유도할 수 있는 식품 표시 등의 개발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남 ․ 여 대학생의 건강관심도와 영양지식 및 식습관의 차이

        노진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28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건강관심도, 영양지식과 식습관을 조사하였다. 건강관심도와 영양지식, 식습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대학생들의 건강관심도 증가와 영양개선 및 식습관 개선 등 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5점 만점에 여학생의 점수가 3.13점으로 남학생의 2.81점 보다 높게 나타났고(p<.001), 영양지식의 점수결과는 100점 만점에 여학생 74.06점으로 남학생 71.40점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p<.05) 많은 점수 차를 보이지는 않았다. 식습관의 조사결과는 10점 만점에 여학생 4.44점, 남학생 4.19점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식습관 점수가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남·여 모두 그리 높은 점수를 받지는 못하였다. 건강관심도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건강관심이 높은 그룹은 관심이 낮은 그룹보다 영양지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건강관심도에 따른 식습관 점수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건강에 관심이 높은 그룹은 관심이 낮은 그룹 보다 식습관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p<.001), 남․여학생 마찬가지로 건강에 관심이 높은 사람이 식습관 점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양지식 점수에 따른 식습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영양지식이 높은 그룹은 낮은 그룹보다 식습관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건강관심도와 영양지식 및 식습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건강관심도가 높아질수록 영양지식과 식습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영양지식이 높아질수록 식습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남․여 대학생들의 건강관심도 및 영양지식이 낮지 않은 편이었으며, 식습관은 그다지 좋은 점수를 받지는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각 요인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어 건강관심도가 높을 수록 영양지식 점수와 식습관 점수가 높았고, 영양지식이 높으면 식습관 점수도 높았다. 대학생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바람직한 영양지식 습득, 식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 식습관 변화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영양교육의 기회 부여가 더 많이 생겨나야겠고, 본 연구가 서울 일부지역의 남․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는 제한점이 있었던 것을 고려해, 후속연구에서는 더 많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The aim of research thesis is to study factors, such as, 'concerns about health',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among college students, and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of such factors. To do it,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of 310 boy and girl college students in an university in Seoul. The another aim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analyze how effects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can have on eating nutrients, and reexamine the relevant problems from macro-perspective, and to improve nutrit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gather pertinent basic data. For 'concerns about health', girl students have scored 311.3 points higher than boy students scoring 2.81 points(P<.001). For 'nutrition knowledge', girl students have scored 74.06, out of total 100 points, and higher than boy students scoring 71.40(P<05). But, there has been not much difference in their points. With regard to 'food habit', girl and boy students have scored 4.44 and 4.19 points, respectively, showing girl students have accounted for the higher rate of food habit, compared with body students.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in 'nutrition knowledge' based on 'concerns about health', the group with higher concerns about health has taken up with the higher rate of nutrition knowledge than the group with lower concerns about it, as a whole. But, there have been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erning the difference in 'food habit' based on concerns about health, the group with higher concerns about health has reached the higher rate of food habit compared with the group with lower concerns about it(p<001) Regarding the difference in 'food habit' based on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there has bee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higher group with nutrition knowledge has accounted for the higher rate of food habit scores, compared with the lower group with it. As to correlations between concerns about health,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 proportional correlations have been made. This demonstrates that the higher concerns about health is, the higher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 becomes. The higher nutrition knowledge is, the higher food habit becomes. These research results evidence that the concerns about health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boy and girl students have had not at the low level, while food habit among them have had not been scored relatively high. Each factor has had the proportional correlations, which led the higher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as concerns about health became higher and higher. The higher nutrition knowledge was, the higher food habit scores became. The subsequent research and study need to focus on numerous students, taking into the allowance that a growing number of college students show concerns about health, they acquire proper nutrition knowledge, and that they are given greater opportunities to receive 'education on nutrition' which can induce the changing food habits, and this research thesis conducted a limited survey of boy and girl students in a few of Seoul regions.

      • 20세부터 39세까지 성인남녀의 건강관심도가 식습관과 영양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 및 영양교육 필요성 인식조사

        성휘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28

        본 연구는 20세부터 39세까지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관심도가 식습관과 영양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영양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대해 조사하여 건강한 식습관과 올바른 영양지식의 중요성을 알게 함으로써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조사 대상자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식습관과 식품섭취빈도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건강관심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건강관심도에 따른 식습관과 건강관심도에 따른 영양교육 필요도 현황과 영양지식에 따른 영양교육 필요도 현황과 식습관에 따른 영양교육 필요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건강관심도에 따른 식품섭취빈도와 건강관심도에 따른 영양지식수준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102명(47.0%), 여자가 115명(53.0%)으로 비슷한 비율 이였으며, 20대는 62명(53.0%), 30대는 155(71.4%)명으로 나타났다. 건강관심도는 건강관심도13문항을 100점으로 환산 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상, 중, 하로 분류한 결과 관심도가 ‘하’인 경우는 34명(15.7%), ‘중’인 경우는 142명(65.4%), ‘상’인 경우는 41명(18.9%)로 나타나 조사대상자의 과반수가 건강관심도가 ‘중’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건강관심도에 다른 식습관 차이에서 식사량과 짜게 먹는 경우, 간식을 먹는 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건강관심도가 ‘상’인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식사를 약간 배부르게 먹고, 짜게 먹지 않았고, 간식 횟수도 가장 적게 나타났다. 식품섭취빈도에서도 건강관심도가 ‘상’인 경우 과일, 채소, 생선, 두부와 콩, 견과류 에서 가장 높은 섭취 빈도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건강관심도가 ‘상’인 경우, 영양지식수준의 점수가 높고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만 영양지식의 수준이 높은 경우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느낀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강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올바른 영양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좋은 식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일 것이다.

      •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건강관심도와 식습관이 영유아 식생활 지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13

        본 연구는 전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322명을 대상으로 건강 관심도와 식습관, 식생활 지도 현황을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일반적 요인들과 건강관심도, 식습관이 영유아 식생활 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에게 올바른 식습관을 갖게 하고 개인 건강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영양 및 식생활 지도 교육의 내용을 수정하고 보완할 수 있는 계기와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40세 이상이 32.3%, 미혼인 경우가 50.9%, 최종학력은 ‘전문대졸(2년제)’이 45.3%로 가장 많았다. 근무 지역은 서울특별시가 85.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고용된 형태는 정규직이 88.8%, 경력은 ‘1년-3년’이 29.8%로 가장 많았다. 보육시설 유형은 국공립이 59.6%, 시설의 현원 수는 ‘100인 이상’이 46.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영유아의 식생활 지도 담당자는 보육교사가 82.6%이었고, 담당자가 취득한 자격증 역시 보육교사가 75.8%로 가장 많았다. 보육교사들의 식생활 지도 평균은 5점 만점에 4.07점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사지도를 가장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건강관심도는 5점 만점에 3.58으로 나타났고, 식습관 점수는 3.17로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보육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경력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식생활지도 평균이 높았다. 가정어린이집 일수록, ‘20인 미만’어린이집 일수록 식생활지도 평균이 높았으며, 식생활지도 담당자가 영양사인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식생활지도 평균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또한 보육교사의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식습관이 좋을수록 식생활지도 평균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육교사의 건강관심도, 식습관과 식생활지도(위생지도, 영양지도, 식사지도, 전체)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식생활지도 전체와 영양지도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습관이 좋을수록 영양지도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건강관심도, 식습관이 식생활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관심도와 식습관은 위생지도, 식사지도, 식생활지도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건강관심도는 영양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건강관심도와 식습관이 영유아 식생활지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보육교사의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을 교정하고 개인 건강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영양 및 식생활 지도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