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통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 : 한방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를 중심으로

        이연화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방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요통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상관관계 연구이다. 요통 치료를 위해 경기도 소재 2개 한의원, 인천광역시 소재 1개 한의원 외래를 이용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59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삶의 질(한국판 SF-36), 요통(VAS), 지각된 스트레스(KPSS-10), 우울증상(한국판 CES-D)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version 22.0을 사용하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과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성별, 직업상태, 재발유무는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 8개 하부척도(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일반적 통증, 일반적 건강, 활력, 사회적 기능, 정서적 역할, 정신적 건강) 평균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연속형 변수인 연령, 유병기간, 요통,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증상은 건강관련 삶의 질 8개 하부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직업이 있는 경우가 직업이 없는 경우 보다 유의하게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으며, 재발유무는 건강관련 삶의 질 하부척도 중 사회적 기능이 재발한 경우가 재발하지 않은 경우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단순 상관관계 분석결과, 요통,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증상은 건강관련 삶의 질 8개 하부척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연령은 사회적 기능, 정신적 건강을 제외한 6개 하부척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병기간은 건강관련 삶의 질 8개 하부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낸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 하부척도의 가장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지각된 스트레스였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건강관련 삶의 질 하부척도 6개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요통과 연령은 5개 영역, 성별은 3개 영역, 우울증상은 2개 영역, 재발유무는 1개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요통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증진을 위해 선별적으로 고령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요통, 우울증상 완화를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노년의 신체적 기능과 심리적 정서상태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자기결정성 이론(SDT)을 기반으로 한 건강운동프로그램(Health Exercise Program)-

        최석립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For the past year, all citizens have suffered from daily life due to Corona 19, and elderly people with underlying disease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have been sacrificed due to Corona 19. The vaccine has been introduced, but it is not yet at a stage of relief. If there is an underlying disease, corona 19 infection leads to secondary disease, causing complications, and if the disease worsens, it leads to death. Korea, an aging society, needs repeated exercise every day to promote and maintain the normal health of the elderly. As we enter old age, the balance of the body is distorted and the physical function is deteriorated, resulting in anxiety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and increased stress. Therefore, a health exercise program was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To test this, 195 participants with high participation rate and active participants among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were measured as a sample. In this study, the mean, variance, and reliability (Cronbach alpha) were tested by dividing the health exercise program into before (comparative group) and after (experimental group). Muscle strength was mean=21.03, variance=5.128, reliability=. 702, mean = 18.84, variance = 5.95, reliability = .760 in the experimental group. Flexibility was mean=20.53, variance=5.549, reliability=.848 in the control group, and mean=18.79, variance=6.126, and reliability=.885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balance was found to be mean=21.33, variance=5.636, reliability=.847 in the control group, mean=19.02, variance=5.933, and reliability=.856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for the stress, in the control group, mean=20.85, variance=5.498, reliability=.817,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mean=19.08, variance=5.607, reliability=.855. All of the coefficients of reliability were tested to be 0.6 or higher, indicating that the reliability was highly valid. This study divided the natural healing peristaltic therapy and relaxation therapy into participation (before=comparison group) and (after=experimental group) and classified them into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as tested to determine the impact relationship. Physical function and stress were measured before the experiment (comparative group) and after the experiment (experimental group), and muscle strength, flexibility, balance, and stress were tested. In the case of muscle strength, in the comparative group, mean = 1.75, standard deviation =.800, error = .057,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mean = 3.94, standard deviation =.627, error = .045.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2.190, and t=-28.458 (p=.000), which was found to be 21.9% strong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results of flexibility were shown as mean=2.25, standard deviation=.762, error=.055 in the comparison group, and mean=3.99, standard deviation=.650, and error=.047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1.738, and t=-22.814 (p=.000), indicating that the flexibility was 17.3% more flexibl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balance, the comparison group showed mean=1.45, standard deviation=.726, error=.052,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3.76, standard deviation=.622, error=.045.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2.318, and the balance was improved by 23.1%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with t=-32.512 (p=.000). As a result of measuring stress, the comparison group showed mean = 1.93, standard deviation =.685, error = .049,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 = 3.70, standard deviation =.762, error = .055.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1.774, t=-23.698 (p=.000), and the stress was 17.7%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is as follows. The correlation between muscle strength and stress was 75.4%, the correlation between flexibility and stress was 34.9%, the correlation between balance and stress was 27.9%, the correlation between tension and stress was 43%, the correlation between fatigue and stress was 29.9%, The correlation between confusion and stress was found to be 25.9%.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function of old age, muscle strength, and stress was the highest. And confusion, a state of psychological emotion, had the lowest correlation on stress. The correlation between peristaltic therapy and stress, a health exercise program, was 42.6%, and the correlation between relaxation therapy and stress was 46.9%.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able of this study was correlated with stres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physical function on stress, the effect of muscle strength on stress was the greatest, followed by flexibility and balance. Physical function in old age was found to be related to stres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on stress, the effect of tension was the greatest on stress, followed by confusion and fatigu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of old age was confirmed to be related to stres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physical function on peristaltic therapy, the effect of muscle strength on peristaltic therapy was greatest, followed by flexibility and balance. Physical function in old age has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peristalsi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physical function on relaxation therapy, the effect of muscle strength on relaxation therapy was greatest, followed by balance. However, flexibility was found to be ineffective in relaxation therapy.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only muscle strength and balance of physical function in old age were related to relaxation therap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on peristaltic therapy, it was confirmed that tens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peristaltic therapy, and then fatigue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peristaltic therapy. However, it was found that confusion affects peristaltic therap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on relaxation therapy, it was confirmed that confus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relaxation therapy, followed by tension and fatigue in order of peristalsis therapy.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peristaltic therapy between physical function and stress, it was confirmed that peristaltic therapy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physical function on stress in old 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physical functions of old age, such as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were reduced by peristaltic therapy (spine exercise).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relaxation therapy between physical function and stress, it was confirmed that relaxation therapy has a completely mediated effect in the effect of physical function on stress in old 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physical functions of old age, such as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were reduced by relaxation therapy (breathing, gradual relaxation, cardiovascular therap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peristaltic therapy mediating betwee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and stress, it was confirmed that peristaltic therap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on stress in old age. It was confirmed that tension, fatigue, and confusion i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of old age were partially reduced by peristaltic therapy (spine exercis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laxation therapy betwee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and stress, it was confirmed that relaxation therap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in old age on stress. It was confirmed that tension, fatigue, and confusion, which ar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s in old age, were partially reduced by relaxation therapy (breathing, gradual relaxation, cardiac therapy). To summarize the above, health, which is a problem in old age, is a healthy exercise program that can improve physical func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ly, if peristaltic therapy and relaxation therapy are systematized as a health exercise for the elderly and activated as a health exercise program for the elderly, it will be a program that solves the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Accordingly, it is believ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지난 1년간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모든 국민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었고 COVID-19로 인한 고혈압, 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있던 노인이 죽는 경우도 생겨나게 되었다. 백신이 도입되었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 COVID-19가 감염되면 2차 질환이 발생해 합병증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질병이 악화되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 고령사회인 우리나라는 평상시 노인의 건강을 증진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일 반복되는 운동이 필요하다. 노년에 접어들면서 몸의 균형이 틀어지는 현상과 신체적 기능이 떨어지면서 심리적 정서상태가 불안해지고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검정하기 위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 중 참여율이 높고 적극적인 참가자 195명을 표본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노년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사 건강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횟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사 연동요법에 대한 인식도는 잘 알고 있다(51.0%), 보통이다(23.6%), 매우 잘 알고 있다(15.4%), 잘 모른다(9.2%) 순으로 확인되었다. 유사 이완요법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이다(42.1%), 잘 알고 있다(23.6%), 잘 모른다(28.2%), 매우 잘 알고 있다(6.2%)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연치유적 연동요법과 이완요법을 참여하기 (전=비교군)과 (후=실험군)로 나누어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류하였으며, 대응차로 평균과 표준편차, t값, 상관관계 그리고 유의확률을 검정하여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신체적 기능과 스트레스의 측정은 실험전(비교군), 실험후(실험군)으로 분류하여 근력, 유연성, 균형성, 스트레스를 각각 검정하였다. 측정결과는 근력의 경우 비교군에서 평균=1.75, 표준편차=.800, 오차=.057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에서는 평균=3.94, 표준편차=.627, 오차=.045로 나타났다. 비교군과 실험군의 평균차이는 –2.190으로 나타났으며, t=-28.458(p=.000)로 근력은 비교군보다 실험군에서 21.9%가 더 강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연성의 측정결과는 비교군에서 평균=2.25, 표준편차=.762, 오차=.055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에서 평균=3.99, 표준편차=.650, 오차=.047로 나타났다. 비교군과 실험군의 평균차이는 –1.738로 나타났으며, t=-22.814(p=.000)로 유연성은 비교군보다 실험군에서 17.3%가 더 유연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균형성의 측정결과 비교군은 평균=1.45, 표준편차=.726, 오차=.052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은 평균=3.76, 표준편차=.622, 오차=.045로 나타났다. 비교군과 실험군의 평균차이는 –2.318로 나타났으며, t=-32.512(p=.000)로 균형성은 비교군보다 실험군에서 23.1%가 더 호전되었다. 스트레스의 측정결과 비교군은 평균=1.93, 표준편차=.685, 오차=.049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은 평균=3.70, 표준편차=.762, 오차=.055로 나타났다. 비교군과 실험군의 평균차이는 –1.774로 나타났으며, t=-23.698(p=.000)로 스트레스는 비교군보다 실험군에서 17.7%가 더 낮아졌다.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근력과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75.4%, 유연성과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34.9%, 균형성과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27.9%, 긴장감과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43%, 피로감과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29.9%, 혼란감과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25.9%로 나타났다. 노년기 신체적 기능인 근력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상관관계는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정서상태인 혼란감은 스트레스에 미치는 상관관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건강운동프로그램인 연동요법만족도와 스트레스 간에 미치는 상관관계는 42.6%, 이완요법만족도와 스트레스 간에 미치는 상관관계는 46.9%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변인은 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검증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신체적 기능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검증 결과 근력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컸으며, 그 뒤로는 유연성, 균형성 등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신체적 기능은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심리적 정서상태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검증 결과 긴장감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컸으며, 그 뒤로는 혼란감, 피로감 등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심리적 정서상태는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신체적 기능이 연동요법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검증 결과 근력이 연동요법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컸으며, 그 뒤로는 유연성, 균형성 등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신체적 기능은 연동요법만족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신체적 기능이 이완요법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검증 결과 근력이 이완요법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컸으며, 그 뒤로는 균형성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연성은 이완요법만족도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노년기 신체적 기능이 근력과 균형성만 이완요법만족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심리적 정서상태가 연동요법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검증 결과 긴장감이 연동요법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컸으며, 그 뒤로는 피로감이 연동요법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혼란감은 연동요법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심리적 정서상태가 이완요법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검증 결과 혼란감이 이완요법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컸으며, 그 뒤로는 긴장감, 피로감 순으로 연동요법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신체적 기능과 스트레스 간의 연동요법만족도 매개효과 검증 결과 노년기 신체적 기능은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연동요법만족도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노년기 신체적 기능인 근력, 유연성, 균형성은 연동요법만족도(척추운동)에 의해서 스트레스는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덟째, 신체적 기능과 스트레스 간의 이완요법만족도 매개효과 검증 결과 노년기 신체적 기능은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이완요법만족도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노년기 신체적 기능인 근력, 유연성, 균형성은 이완요법만족도(심호흡, 점진적 근육이완법, 심상요법)에 의해서 스트레스는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홉째, 심리적 정서상태와 스트레스 간의 연동요법만족도 매개효과 검정결과 노년기 심리적 정서상태는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연동요법만족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노년기 심리적 정서상태의 긴장감, 피로감, 혼란감은 연동요법만족도(척추운동)에 의해서 스트레스는 부분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열째, 심리적 정서상태와 스트레스 간의 이완요법만족도 매개효과 검정결과 노년기 심리적 정서상태는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이완요법만족도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노년기 심리적 정서상태인 긴장감, 피로감, 혼란감은 이완요법만족도(심호흡, 점진적 근육이완, 심상요법)에 의해서 스트레스는 부분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을 요약해보면 노년에 문제가 되고 있는 건강은 건강운동프로그램으로 신체적 기능과 심리적 안정상태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노년의 건강운동으로 연동요법만족도과 이완요법만족도를 체계화한다면, 노년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 노년의 건강문제를 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소 해결 될 것으로 판단된다.

      • 가족건강성이 부모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진희정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이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M시 지역의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209명에게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SPSS WIN 21.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종합 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부모의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 중 가족원간의 유대의식, 가치관의 목표 공유, 긍정적 의사소통, 문제해결 수용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의 각 하위요인에서는 훈육, 놀이, 애정, 일상체계 조직,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양육 스트레스는 부모의 고통, 부모-유아간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가족건강성의 하위 요인 중 가족원간의 유대의식과 문제해결수용능력은 다소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원간의 유대의식과 가치관의 목표공유, 가족원간의 유대의식과 긍정적 의사소통, 가치관의 목표공유와 긍정적 의사소통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처럼 가족건강성은 가족원 개개인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고, 가족원간의 상호작용(의사소통, 의사결정과정, 스트레스 대처방안)이 원만하여 집단으로서의 가치체계를 공유하고 있으며, 친족 사회체계와도 원활한 상호작용을 이루면서 생활해 가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즉, 가족건강성은 가족구성원의 개인적 특성은 물론 가족원의 유대 안에서 긍정적인 대화를 나누며 가족문제나 위기를 잘 해결하고 가족공통 문제와 가치관을 서로 공유하여 의사소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효능감을 종속변수로 취하고 가족건강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가족건강성이 양육효능감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46.2%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인 가족건강성 하위요인에서 가치관의 목표공유와 문제해결 수용능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를 지도할 때 이성적이고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양육하며, 유아의 기질과 무관하게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한다. 또 자녀에게 애정표현, 도움, 자율성에 대한 칭찬, 격려 등과 같은 긍정적인 행동을 지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살펴 볼 때 부모의 특성에 따른 가족의 건강성이 자녀의 양육효능감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부모교육 방향과 이를 위한 부모의 가족건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즉, 건강한 가족생활을 형성하기 위한 가족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고 긍정적인 가족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가족을 돌보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을 필수화 하는 것이 시급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9 parents having early childhood children in M city in order to examine the parental perceptions and influences on parental self-efficacy and parenting-distress. So as to analyze the data,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in order: family consciousness, goal sharing, positive communication,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al family-health. In each sub-factor of parenting-efficacy, discipline, play, affection, daily system organization, education were shown in order. Parenting-distress appeared in the order of parents' pain, dys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infants, and difficult temperament of infants.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family-health of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family consciousness and problem-solving ability were somewhat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As a result, family-health is promoting the healthy development of each family member, sharing the value system as a group by mutual interaction(communication, decision making process, stress coping plan) among family members,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ystem that maintains smooth interaction. In other words, family-health can be said to suggest a necessity of communication by positively communicating within family members' bonds as well a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family members, resolving family problems or crises, sharing common problems and values of family members. Thir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parenting-efficacy as a dependent variable and family-health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influence of family-health on the parenting-efficacy of early childhood parents was 46.2%. In the sub-factor of family health, purpose sharing of value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meaningful influenc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higher the parenting-efficacy of the parents, the more they were rational, logical and reasonably nurturing when teaching the children, and the more they maintained a sensitive or harmonious relation regardless of the temperament of the child. They should also support their children with positive behaviors such as expressing affection, helping them, praising their child for autonomy, and encouraging them. Through these studies, it was examined how family-health according to each family had an influence on parental self-efficacy and, based on this, I tried to use it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for parents and family-health of parents. That is, it is essential for whole family to make a healthy family life and it is urgent to make systematic education for parents and children to take care of the family so that they can maintain a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 국민건강보험 재정 변화추이 분석

        김영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With the integration in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on July 1, 2000, health insurance finances were also fully integrated on July 1, 2003. Health insurance was originally operated as a low-cost low-payment system, but it was converted into an appropriate pay system.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expansion of protection, the non-payment is raising concerns about health insurance finances from some perspectives.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financial income, financial expenditure, management and labor cost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analyzed the trends and factors of the changes. As of 2019, the annual premium is 59.1328 trillion won, and the monthly average premium is 120,152 won for workplace insurance premiums and 86,160 won for local insurance premiums. Insured income was 25.93 trillion won in 2009, but increased by 126.5 percent over the next decade to 5,8742.8 billion won in 2019. On the other hand, under Article 108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20% of the estimated income of health insurance premiums for the relevant year (14% of state subsidy and 6% of health promotion fund) are supported by the National Treasury. However, from 2001 to 2019, the average support is only 16.3%, and even this is on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until 2022. At the end of 2019, the number of people covered by domestic health care is 52.88 million, of which 51.39 million are covered by health insurance. This accounts for 97.2% of the population of the medical care, and 1.49 million people are eligible for medical benefits. In addition, among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population, 37.23 million jobs and 14.16 million localities. The ratio of workplace and local subscribers has changed from 49.9:50.1 in 2001 to 72.4:27.6 in 2019. This is due to the transition of workplaces with less than five employees to workplace subscribers. The number of people aged 65 and over is 7.46 million, accounting for 14.5% of the total. Therefore, it is related to the increase of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The increase in premium income (1.1%) is similar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subscribe to health insurance (1.0%), and the more the number of people who subscribe, the more the proportion leads to the increase in premium income. From 2001 to 2019, the total premium income is 583.8 trillion won, while the total expenditure of insurance benefits is 652,176.5 billion won, which is 111.7% of the premium income. Among them, the insurance benefit cost in 2019 is 68.7286 trillion won, of which spot benefit cost is 66.83 trillion won and cash benefit cost is 1.897 trillion won. The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s increased from 62,714 in 2001 to 94,865 in 2019. Therefore, as the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s increased, the amount of insurance benefits was increased. The conversion index by type, which is one of the expenditures factors, increased the average 2.5% from 2001 to 2019. Among them, the expenditure of insurance benefits in 2007 was 24.56 trillion won, up 14.3% from 21.48 trillion won in the previous year, which is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3.5% in 2006 and 2.3% in 2007. In 2001, the management and operating expenses accounted for 5.1% of the total expenditure cost of 710.1 billion won, but the ratio gradually decreased due to regulation of labor costs and reduction of current expenses, which decreased by more than half to 2.5% in 2019. The number of employees was 10,579 in 2001, but 14,706 in 2019, but only health insurance was managed at the time of integration. However, since 2007,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and integration of collection in 2011 are the reasons for strengthening protection and diversification of work. Comparing the future premium income forecast (2002-2019) with the actual premium income status in 2010, it was confirmed that 109.5% of the income was higher than the estimate. In addition, the estimated expenditure of insurance benefits (2012-2019) and actual expenditure of insurance benefits showed that the total expenditure of 403,122.9 billion won decreased by an average of 6.3% compared to the estimated amount of 430,216.4 billion won in 2010. In 2001, the deficit was 2.40 trillion won, but in 2019, the deficit was 2.82 trillion won, but the cumulative balance was 17.77 trillion won. The results of the health insurance financial estimates of each institution are various, which depends on which estimation method is applied among the time series method, factor prediction method, and composition method. In 2020, the actual expenditure is 73.77 trillion won, which is the closest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hich is expected by the time series law, at 73.83 trillion w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time series method predominates the advantage in terms of accuracy, ease of use, and utilization compared to other factors' prediction methods or composition methods. Looking at the status of insurance benefits compared to the premium burden, the hospital cost benefit compared to the health insurance premium is 113%, which is more benefited than the lifetime premium. This means that the premium burden is large for young people, but the benefits of hospital expenses increase as they get older. Recently, health insurance has been aimed at strengthening the protection,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protection but also the efficiency of medical expenses at the same time for the smooth use of medical services. 2000년 7월 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통합되면서 건강보험재정 또한 2003 년 7월 1일에 완전 통합되었다. 건강보험은 당초 저부담 저급여 체계로 운영 되었으나 적정부담 적정급여 체계로 전환되었고, 보장성 확대 요구에 따라 비 급여의 급여화로 일부 시각에서는 건강보험 재정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따라서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수입과 재정지출, 그리고 관리운영비 및 인건비 규모 등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의 변화추이와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2019년 현재 연간 보험료 부과액은 59조 1,328억 원이며, 월평균 보험료는 직장보험료 120,152원, 지역보험료 86,160원이다. 보험료 수입은 2009년 25조 9,352억 원이었으나 2019년에 58억 7,428억 원으로 10년 사이에 126.5% 증가 하였다. 한편, 「국민건강보험법」제108조 제1항에 따라 해당연도 건강보험료 예상수입액의 20%(국고지원금 14%, 건강증진기금 6%)를 국고에서 지원받고 있다. 하지만 2001년부터 2019년까지 평균 16.3% 지원에 그치고 있으며, 이마 저도 2022년까지만 국고지원이 되므로 법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2019년도말 국내 의료보장 적용인구는 5,288만 명으로 이 중 건강보험 적용 인구는 5,139만 명이다. 이는 의료보장 인구의 97.2%를 차지하며, 의료급여수 급권자는 149만 명이다. 또한 건강보험 적용인구 중 직장가입자가 3,723만 명, 지역가입자가 1,416만 명이다.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비율은 2001년 49.9 : 50.1 비율에서 2019년 72.4 : 27.6 비율로 변했다. 이는 5인 미만 사업장이 직장 가입자로 전환됨에 따른 것이다. 65세 이상 건강보험 적용인구는 746만 명으 로 전체의 14.5%를 차지한다. 따라서 노인의료비 증가와 연관 있음을 말해준 다. 건강보험 가입인구 증가율(1.0%) 대비 보험료 수입 증가율(1.1%)은 비슷 하게 나타나 가입인구가 많아지는 만큼 보험료 수입이 증가하는 추세를 볼 수 있다. 2001년부터 2019년까지 보험료 총수입은 583조 8,415억 원인데 반해 보험 급여비 총 지출액은 652조 1,765억 원으로 보험료수입 대비 보험급여비 지출 액은 111.7%로 나타났다. 이 중 2019년 보험급여비는 68조 7,286억 원이며, 이 중 현물급여비가 66조 8,308억 원, 현금급여비는 1조 8,978억 원이다. 의료기관도 2001년 62,714개 이었던 것이 2019년에 94,865개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의료기 관수가 증가함에 따라 보험급여비 지급액도 동반하여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지출요인의 하나인 유형별 환산지수를 보면, 2001년부터 2019년까지 평균 2.5%를 인상하였다. 이 중 2007년도 보험급여비 지출액이 24조 5,614억 원으 로 전년도 21조 4,893억 원에 비해 14.3% 증가하였는데, 이는 2006년도에 3.5%, 2007년도에 2.3% 의료수가를 인상한 것이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2001년 관리운영비는 7,101억 원으로 총지출 비용의 5.1%를 차지하였으나, 인건비 규제와 경상경비 절감으로 점차 그 비율이 줄어들었고, 2019년에는 2.5%로 절반 이상 감소하였다. 직원수는 2001년 10,579명이었으나 2019년 14,706명으로 늘어났다. 통합 당시 공단의 업무는 건강보험업무에 국한되었으 나 2007년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 업무가 추가되었고, 2011년 징수통합 등 보 장성 강화와 더불어 업무가 다양해지면서 관리인력이 그만큼 늘었기 때문이 다. 2010년에 내다본 향후 보험료 수입 전망(2002∼2019년) 금액과 실제 보험료 수입 현황을 비교해보면 추계치보다 109.5% 수입이 더 들어온 것으로 확인되 었다. 또한 보험급여비 지출추계(2012∼2019년)와 실제 지출된 보험급여비를 보면, 총 지출액인 403조 1,229억 원이 2010년 당시 추계금액인 430조 2,164억 원에 비해 평균 6.3% 가량 지급 규모가 줄어들었음이 확인되었다. 당기수지를 보면 2001년에 2조 4,008억 원 적자였고, 2019년에도 2조 8,243 억 원의 적자가 발생했으나, 2019년까지 누적수지는 17조 7,712억 원의 흑자재 정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기관별 건강보험 재정추계 결과가 다양하게 나오는데 이는 각 기관에서 시계열법, 요인별 예측법, 조성법 중 어떠한 추계방법을 적용하는지에 따라 달 라진다고 볼 수 있다. 2020년의 경우 실 지출액이 73조 7,716억원인데, 시계열 법으로 전망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73조 8,371억원으로 가장 근접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시계열법이 다른 요인별 예측법이나 조성법에 비해 정확성, 용이성, 활용성 측면에서 우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보험료 부담 대비 보험급여비 현황을 살펴보면, 건강보험료 대비 병원비 혜 택은 113%로, 평생 부담하는 보험료보다 더 많은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젊어서는 보험료 부담이 크지만, 나이가 들어서는 병원비 혜택 이 커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최근 건강보험은 보장성 강화에 역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국민들의 원활한 의료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보장성 강화뿐만 아니라, 동시에 의료비 효율화 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 한국 중장년층의 건강행태와 식생활 및 식품섭취에 따른 정신건강상태 : 제5, 6,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12-2016)

        이소현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정신건강문제는 개인에 따라 신체적, 유전적, 사회환경격 요인이 복합적인 양상을 띄는 질환이다. 중년기는 사회적, 신체적으로 큰 변화가 나타나 정신건강문제가 대두되는 시기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며, 정신건강상태는 건강행태와 식생활, 식품섭취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건강행태, 식생활 및 식품섭취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자살 생각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를 비교하여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대상자들의 올바른 건강행태와 식생활 관리 및 식품섭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제5, 6,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2-2016)에 참여한 만 40-46세의 중장년층 9,349명을 성별로 나누어 남성 3,549명, 여성 5,800명을 분석을 하였으며 정신건강 상태의 판단 기준은 설문 중 스트레스 인지 여부, 2주간 우울 경험, 자살 생각을 이용하여 각 ST군, DP군, SC군으로 정의하였다. 건강설문조사, 검진조사, 영양조사 자료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영양조사 자료는 112개의 음식항목으로 구성된 식품섭취빈도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0.0 ver을 사용하였으며, 차이와 연관성을 보기 위하여 T-test 또는 Chi-square test를 통하여 Mean±SD 또는 Numbers(percentage)을 확인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05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한국 중장년층은 ST군, DP군, SC군 순으로 건강행태가 점점 더 나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여성은 비만인 경우 정신건강문제가 많이 나타나는 반면 남성은 반대 양상을 보였다. 식생활에서는 정신건강문제가 있는 경우 외식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표시를 인지조차 하지 않는 경우의 비율이 높았으며, 경제적인 이유로 식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식품선택에 있어서 성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공통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난 식품군으로는 채소류였으며, 정신건강문제가 있는 경우 섭취가 적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채소 섭취가 정신건강을 위한 중요한 식품류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중장년층의 건강행태와 식생활 및 식품섭취가 정신건강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신건강을 위해 올바른 식생활과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와 식품 선택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Mental health problems are disorders in which physical, genetic,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re complex. Middle-aged generations is a time when major social and physical changes occur and mental health problems emerge,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are reported to be closely related to health behavior, diet and food intake. This study is conducted for the middle aged generation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helpful for the subjects with mental health problem to have proper health behavior and dietary management and food intake by compare mental health problem such as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health behavior, dietary life, and food intake. It is analyzed 3,549 male and 5,800 female by dividing 9,349 people’s gender who aged 40-64 and participated in the 5th, 6th,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nd evaluation standard for determining status of mental health was defined as ST group, DP group, and SC group by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for 2 weeks,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survey.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data of the health survey,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And the nutrition survey were used food intake frequency survey data composed of 112 food item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s 20.0 ver and checked Mean±SD or Numbers(percentage) through T-test or Chi-square test for the association with differences.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based on P<0.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iddle-aged Koreans saw their health behavior increasingly bad in the order of ST, DP, and SC. While women showed many mental health problems when they were obese, while men showed the opposite side. In dietary life, it was found that people eat out less if they have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 proportion of cases where they do not even recognize nutrition indications was high, and meals were not well done for economic reasons. In food selection, it was different by gender. The common food group was vegetables. In the case of mental health problems, vegetables appear to be an important food item for mental health because consumption is low.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a proper diet, balanced nutrient intake and food selection are necessary for mental health because middle-aged people’s health behavior, dietary habits, and food intake can affect their mental health.

      • 자기통제력 및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에 따른 외식소비자의 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박정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Nowadays,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or hypertension, are the leading cause of mortality in the world. Research indicated that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eating out may be a key contributor to such chronic diseases. Menu labelling law has been implemented as a means to fight against the health issue in many countries. Although menu labelling has been positively perceived by restaurant customers, more than fifty percent of restaurant customers did not use the menu labels for menu selection. Research suggested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factors in eating out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elf-control and hedonic responses to food in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selection.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lf-control, hedonic responses to food,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sele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to identify the impact the levels of self-control has on the gap between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selection, and (3)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gap by the levels of hedonic responses to food. An online, self-administrated survey was distributed by a research company in November, 2015. The sample of the study was restaurant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menu label in the three months at the time of the survey. Among the 2,280 surveys distributed to the panels of the online research company, 512 surveys were returned, and 471 complete responses were enter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revealed that hedonic responses to food,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selection, respectively, i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elf-control, hedonic responses to food, and healthy menu selection, respectively, is different according to age. Besides, self-control and hedonic responses to food, respectively, is different according to frequency of eating out, while menu label use is different according to BMI. While menu label us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s of self-control, healthy menu selec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s of hedonic responses to food. In addition, participants showed a gap between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selection, which is differed by the levels of self-control and hedonic responses to food. The findings from the study offer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The results from the study extends the body of knowledge in healthy eating behaviors and public health by examining psychological factors in relation to menu label use and healthy menu selection. The study results may offer the basis for policy makers in developing guideline for menu labeling, such as the number of nutrients to be stated in menu labels. Restaurateurs may formulate strategies to increase the revenues for healthy menus by adding hedonic values to healthy menus, while menu labels are provided. 현대 사회에서 비만,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의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외식은 이러한 만성질환 유발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외식행동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을 이해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통한 국민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외식소비자들의 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간의 차이 및 관계를 파악하고, 두 변수 간의 차이에서 자기통제력과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세부목표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통제력,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 외식영양정보표시 이용, 건강메뉴 선택의 차이를 파악하고, 둘째, 자기통제력이 외식 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간의 차이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며, 마지막으로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이 외식 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간의 차이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5년 11월 3일부터 11월 6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Survey)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최근 3개월 이내에 외식영양정보표시를 이용한 적이 있는 만 18세 이상의 외식소비자이며, 표본의 추출은 우리나라 외식인구 조성을 기준으로 한 할당표집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2,280명에게 메일로 발송되었고, 그 중 512부가 회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47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유효응답률 20.7%). 분석 결과, 자기통제력,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 외식영양정보표시 이용, 건강메뉴 선택은 성별, 나이, 외식빈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외식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통제력과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에 따라 이 차이의 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이 높은 집단과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이 낮은 집단은 외식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간의 차이가 적었으나, 자기통제력이 낮거나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이 높은 사람들은 외식영양정보표시 이용과 건강메뉴 선택 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메뉴의 판매를 증진시키고, 이에 외식영양정보표시 제도가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자기통제력 및 음식에 대한 쾌락적 반응을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다. 영양 정책적으로는 외식영양정보표시 제도를 꾸준히 확대하되, 외식영양정보표시 제공 방식에 대한 숙고가 필요하며, 영양교육 및 홍보가 지속적으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외식업체 입장에서는 외식영양정보표시를 제공함과 동시에 건강메뉴에 쾌락적인 가치를 부여한다면, 건강메뉴 판매로 인한 소비자들의 긍정적 인식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에 따른 의료이용 행태 분석 : 치과 임플란트 보험급여의 확대를 중심으로

        박정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1989년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건강보험을 실시하였지만, 주요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수준인 건강보험 보장성의 강화가 매 정권의 중요한 국정과제 중 하나이다. 특히 치과치료 분야의 건강보험 보장률은 치과병원과 치과의원의 경우 각각 23.4%, 34.9%에 불과한 지경으로 건강보험 보장성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치과치료의 보장성 강화를 위하여 201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건강보험 확대를 시작하여 2014년부터는 세계최초의 치과 임플란트 보험 적용을 시작한 바 있다. 2014년, 만 75세 이상을 대상으로 50%의 급여화로 시작하여 2016년에는 만 65세 이상으로 대상 연령을 확대하였고, 2018년에는 70%를 급여화하여 본인부담비율이 30%로 낮아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치과 임플란트의 보장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타 진료과목과 비교하여 높은 의료비 부담으로 인해 치과의료 보장성 확대에 대한 기여도가 명확하지 않고, 이용자당 금액이 높은 만큼 국가에 재정적 부담이 되며, 비용대비 효과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치과 임플란트 정책이 실제로 환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분석하는 것은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과 국민의 건강향상과 사회보장 증진을 위한 정책의 방향성을 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치과 임플란트 보험급여의 확대가 만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진료 이용률과 의료비 경감에 영향을 미쳤는가?”의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임플란트 관련 정책의 방향의 설정 및 향후 정책의 효과성 예측을 위해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연간데이터 ver1.6 (2008~2017)을 활용하여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1,087명을 만 65세 이상 여부와 정책시행 전·후로 구분하여 총 의료비, 총 본인부담금, 총 비급여 의료비, 총 의료이용량의 증감현상을 살펴보았다. 정책 수혜여부에 대한 선택편의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하였고, 해당 정책의 순수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중차이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임플란트 정책 시행이 만 65세 이상의 환자의 총 의료이용량 증가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임플란트 정책 시행에 따른 시점 간, 집단 간의 차이를 제거한 순수한 임플란트 보험급여 확대 정책의 영향력은 해당 정책 시행으로 인해 총 의료이용량이 2.701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책 시행으로 인한 총 의료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임플란트 보험 급여의 확대 이후 실질적인 연구와 분석이 부족한 상황에서, 해당 정책의 시행이 만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의료이용량 증가로 이어진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향후 치과 임플란트 급여 정책의 보완 근거를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앞으로 노인인구의 증가와 2018년 이후 더욱 강화된 보장성으로 인해 치과 임플란트 이용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치과 분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방향의 설정 시 빈도적인 측면 뿐 아니라 금액적인 부분을 포함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Korea has been providing health insurance for the entire nation since 1989, but strengthening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which is lower than that of major advanced countries, is one of the important national tasks of each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the dental treatment field is only 23.4% and 34.9% in dental hospitals and dental clinics, respectively, so health insurance coverage is very insufficient.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ment started to expand health insurance in earnest from the 2010s to strengthen the coverage of dental treatment, and started applying the world's first dental implant insurance in 2014. In 2014, it started with a 50% benefit for those aged 75 and over, and in 2016, the age of coverage was expanded to those over 65. However,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coverage of dental implants, the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of dental care is not clear due to the high medical cost burden compared to other medical fields. There is a need to think about it. Therefore, a detailed analysis of the impact of dental implant policies on patients is of great importance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policies for the sustainability of health insurance finances and the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and social security.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research question of “Did the expansion of dental implant insurance benefits affect the use rate and reduction of medical expenses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over 65?” It was intended to be used for predi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total medical expenses, total co-payments, total uninsured medical expenses, total medical expenses, total co-payments, and total medical expenses by dividing 1,087 patients who received implant treatment by using the Korea Medical Panel annual data ver1.6 (2008~2017), whether they were 65 years of age or older, and before and after policy implementation. The increase/decrease in total medical usage was investigated.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choice convenience in whether or not to benefit from a policy, and double differenc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net effect of the poli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implant polic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crease in the total medical use of patients over the age of 65. The impact of the pure implant insurance benefit expansion policy, which removed the time difference and group difference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implant policy, was found to increase the total medical use by 2.701 cas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However, the total medical expens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did not decreas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supplementary basis for future dental implant benefit policies by empirically verifying that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leads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edical service use for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when there is not much substantial research and analysis following the expansion of implant insurance benefits. Given that dental implant usage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due to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and increased coverage since 2018,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y directions to strengthen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the dental sector could be derived not only in terms of frequency but also in terms of cost.

      • 健康機能食品의 副作用에 대한 法的 規制

        진성만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age of well-being food has gone, and that of healing food has come. This means the food safety system should also be able to give a sense of psychological and mental stability to people. Reflecting this change of the social concept of food safety, this study examined what health functional food means in our society, analyzed its legal definition, types, and status, and learned what kind of social risks are taking place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side effects caused by it. Furthermore, this study could find out three legal regulation improvements for resolving these social problems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nutrients such as vitamin and mineral that are presently registered as notified health functional food in our country is totally 28 items. Of them, reports for adverse events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are the most frequent. They mostly don’t have a clear boundary between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The reality is that these raw-materials or ingredients exist in the form of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indiscreetly. They are the main cause of ambivalence in regulations. Second, the side effects caused by new functional materials extracted by the state-of-the-art food technology arise from ingredients themselves, which leaves no avoidability for consumers. The present science technology can hardly prov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ide effects and products, and in most cases, efficacy, the degree of side effects, or manufacturing/processing methods of them are not clearly known. These are becoming new causes that make preemptive response to side effects very difficult. Third, the health functional food distribution and sale system is being excessively dependent on multilevel marketing and call sales. This health functional food distribution and sale system is not only causing distrust of consumers but making actual compensations for side effects of health functional food so difficult. Next, this study looked into health functional food side effect regulation laws and experience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European Union, Japan, etc. to resolve these problems. And it deducted regulation basis from the existing law related to side effects of health functional food. In addition, it tried to comprehensively compare theoretical grounds of health functional food in our country, reviewed earlier, and problems found in this industry, with foreign discussions. Through this, it suggested three specific improvements on legal regulations against health functional food side effects. First, the health functional food regulatory regimes of the U.S., European Union, and Japan have developed through processes of providing scientific bases for discussions about whether it is possible to mark nutritional functions of vitamin, mineral, etc. on food products, and establishing them more firmly on a legal basis. Therefore, nutrients of notified health functional food in our country also should be Premarket approval through more strict procedures. For this, discussions of the European Union that provide more detailed categories based on subjects who are supposed to take in nutrients, nutritional purposes, etc. need to be considered. Second, regulatory regime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European Union, Japan, etc. provide scientific bases for health functional food and focus on securing safety of raw-materials and ingredients of products. And even the U.S. that actively guarantees autonomy of companies in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dustry made application of the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standard to dietary supplements mandatory in 2008. Thus, our country also needs to make approved health functional food manufacturers apply the GMP standard obligatorily in no time to efficiently regulate side effects of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ed with new functional materials. It can help in grasping severity of side effects of health functional food in our society and be a tool to procure data needed for quick responsive measures. Considering the Health Functional Food Law of our country that only obligates businesses that apply the GMP standard to report side effects of health functional food, it will be a good means to secure effectiveness of regulations. Third, comparing with the follow-up management system of Japan and the pharmaceutical management system of our country, education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s for health functional food sellers must be reinforced in stages. At this point, institution of the pharmaceutical surveillance system, partial application of the quality control management system to the personnel qualification standard, or introduction of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related to health functional food sales approved by the nation can be considered. Eventually, it is needed to enhance legal regulations concerning side effects of health functional food by rationally correct and complement shortcoming parts of the law in phases. Key-words : health functional food, side effect, legal regulation, Premarket Approval for nutrient, Mandatory of GMP standard,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이 글에서는 우선 우리사회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지 즉, 그 법적 정의와 종류, 현황을 살펴보았고, 이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부작용의 특수한 성질로 말미암아 어떠한 사회적 위험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적합한 수준의 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을 마련·강화하고, 건전한 유통·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후 관리를 강화하는 건강기능식품 부작용규제의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건강기능식품법상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은 의약품은 아니지만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와 성분을 사용하여 생리활성이나 질병발생위험감소 등의 기능을 하도록 제조된 특수한 식품으로서 용기·포장에 첨부물 및 내용물을 포함한 기능성표시를 할 수 있다. 사전적으로 부작용이란, 어떤 일에 부수적으로 일어나는 바람직하지 못한 일을 말하는데, 본래 모든 식품과 의약품은 그 종류에 상관없이 원하는 효능·효과 이외의 원치 않은 작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작용은 일과성이면서 가벼운 임상증상 등의 것이 있는가 하면 인간의 생명과 직결되는 심각한 위해를 초래하는 것이 있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부작용이란 본래 꼭 좋지 않은 효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닐 수도 있고, 해당 제품과의 인과관계가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규명되기 이전까지는 부작용이라고 단정질 수도 없다는 특징이 있다. 때문에 법적 정의의 대상으로서 부작용은 처분의 존재여부와 규제기관의 권한을 설정하기 위한 행정규제의 요건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즉, 부작용의 개념적 본질을 파악하는 문제가 아닌 그 원인과 법적 판단의 대상으로서 부작용의 정도를 분명히 하여 규제의 척도를 설정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건강기능식품 부작용의 개념은 건강기능식품 부작용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규명하는 문제로 귀결되는데, 이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 부작용은 사용상의 부적절성, 지연성 및 입증곤란성, 예견곤란성 및 회피곤란성, 중대성 및 대량성 등 일반식품과 의약품에서의 그것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건강기능식품 부작용의 발생현황과 관련지어 살펴보건대, 건강기능식품 부작용은 그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야기되는 다음과 같은 차별화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첫째, 건강기능식품법상 건강기능식품은 아니지만 식이섬유보충용 제품과 같이 현실적으로 제품에 건강효과를 표시하고 있는 식품 즉, 식품과 건강기능식품 사이에서 불명확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제품들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대부분 현 시점의 과학기술로는 부작용과 제품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기 어렵고,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첨단식품기술에 의해 추출된 새로운 기능성 물질들은 이의 효능, 부작용의 정도, 제조·가공법 등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도 않은 경우가 많아 심각한 위험의 발생가능성도 매우 높다. 셋째, 다단계 및 방문 판매를 통해 구입한 건강기능식품에서 부작용이 가장 많이 신고 되었는데, 이처럼 과용, 오남용 등의 방지를 위한 소비자 교육, 판매방식이나 피해구제 등 건강기능식품 영업규제영역의 문제들에서 현행 건강기능식품 부작용규제의 법과 제도들은 건강기능식품 소비자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 선진국들의 건강기능식품 부작용규제 관련 법제와 경험들을 참조해 보았다. 또 건강기능식품의 부작용에 대한 현행법상 규제근거를 도출하고, 이어서 앞서 검토한 핵심과제들을 외국의 논의와 종합적으로 비교검토 및 적용을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건강기능식품 부작용에 대한 법제도적 규제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중 영양소도 더욱 엄격히 사전승인의 대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새로운 기능성 물질로 제조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효과적인 부작용규제를 위해서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들에 대한 GMP기준의 의무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우리나라의 건강기능식품 판매자에 대한 교육 및 전문자격제도는 단계적으로 강화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