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혈압 환자의 건강생활실천 및 약물복용이행과 혈압조절과의 관계

        한경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6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conducted to provide a basic data to the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program for the hypertension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their healthy lifestyle practice,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The research subjects are 317 random samplings from the adult hypertensive patients who are diagnosed as hypertensive at a healthcare institution located in Cheonbuk province and taking antihypertensive drug. The study instruments were collected that health lifestyle practice(Park, 1995), medication adherence(Morisky, Green, & Levine, 1986), as a self-questionnaire and blood pressure taking and data collected from October 7 to October 30, 2008.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WIN 12.0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x²-test, t-test, ANOVA & Sheffe test.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KR-20 value. Major study result is as follows. : 1) The level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healthy lifestyle practice is 3.03±.52 (out of full 4) and in the score between the contentment regular eating is the highest with 3.38±.70 while self-regulation is the lowest with 2.56±.74. 2) The level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who perform medication adherence well is 59.6%. 3) The level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blood pressure control are 49.2% for the hypertension controlled group and 50.8% for the hypertension uncontrolled group. 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y lifestyle practice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5)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blood pressure level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and their healthy lifestyle practice and medication adherence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y lifestyle practice level depending on their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employment status, and whether or not there being family members with cardiovascular disease(p<.05).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dication adherence depending on educational level (p<.05), but blood pressure control does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 result of this study about the hypertensive patients’ healthy lifestyle practice,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shows that the patients’ self-regulation of the healthy lifestyle practice level is very low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are not performed well. Therefore the strategy to promote their healthy lifestyle practice shall include an intervention to promote self-regulation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ctive and efficient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is necessary to induce a change in their behavior for a professional health management for the patients who cannot control blood pressure well.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건강생활실천, 약물복용이행과 혈압조절 정도를 파악하여 고혈압환자들의 혈압관리와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북도에 위치한 J시 소재 보건의료기관에서 고혈압 진단을 받고 항고혈압제를 복용하는 성인 고혈압환자 317명을 임의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건강증진생활양식(박인숙, 1995), 약물복용이행(Morisky, Green, & Levine, 1986)으로 이루어진 자기기입식 설문지와 혈압측정을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08년 10월 7일부터 2008년 10월 30일까지였다.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 7일부터 2008년 10월 30일까지였으며 자가기입식 설문지와 혈압측정을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317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²-test, t-test, ANOVA &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수와 KR-20 값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혈압 환자의 건강생활 실천정도는 3.03±.52점(4점 만점)이었으며, 건강생활실천 하위영역별 점수는 규칙적 식사 영역(3.38±.70점)이 가장 높았으며, 자아조절 영역(2.56±.74점)이 가장 낮았다. 2) 고혈압 환자의 약물복용이행율은 59.6%였다. 3) 고혈압 환자의 혈압조절 정도는 고혈압 조절군이 49.2%였으며, 고혈압 비조절군이 50.8%로 나타났다. 4) 고혈압 환자의 건강생활실천, 약물복용과 혈압조절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5) 고혈압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생활실천, 약물복용이행, 혈압조절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건강생활 실천정도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정도, 직업유무, 가족 중 심혈관질환자에 따라, 약물복용이행은 교육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혈압조절은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본 연구에서 고혈압환자의 건강생활실천, 약물복용이행과 혈압조절에 관한 실태를 확인한 결과, 고혈압 환자들은 건강생활실천의 자아조절 정도가 매우 낮았으며, 약물복용이행과 혈압조절이 잘 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혈압환자들의 건강생활실천을 증진시키는 전략에는 자아조절을 증진시키는 중재와 약물복용이행을 증진시키는 중재를 포함하여야 하며, 혈압조절이 잘 안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건강관리를 위해 행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및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

      • 한국인 남녀에서 이상지질혈증 관련 건강생활 실천 규명 : 국민건강영양조사 2012년 자료 이용

        이선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이상지질혈증군과 정상군을 구분하여 한국인 남녀에서 이상지질혈증 발생과 건강생활 실천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제5기(2010년∼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공개된 제3차년도(2012년) 자료 중에서 건강 설문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는 우리나라의 질병 발생 양상 및 의료 환경 등을 고려해 만든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KSLA: Korean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2009)의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을 적용하여 만 19세 이상 이상지질혈증군 2,092명(남자 1,042명, 여자 1,050명)과 정상군 1,944명(남자 740명, 여자 1,204명)인 4,03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설문지와 영양설문지, 검진조사 중 일반적 특성을 포함한 건강설문 24문항, 검진조사 5문항, 영양조사 5문항으로 총 34문항을 토대로 인구사회학적인 특성과 흡연, 음주, 신체활동, 정신건강, 식습관에 대한 건강생활 실천에 대해 측정하였고, 지표정의는 국민건강통계(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2013)를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 분석 시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표본자료로부터 산출한 결과가 우리나라 전체를 대표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여야 하므로, 편향이 없는 추정결과를 얻기 위하여 가중치, 층화변수, 집락변수를 고려한 각 단위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남녀에서 이상지질혈증 유무에 따른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상지질혈증 위험요인(임상적 진단기준), 건강생활 실천의 차이는 서술적 통계와 t-test, χ2-test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남녀에서 이상지질혈증 유무에 따른 건강생활 실천의 영향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총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44.34(±0.65)세였으며, 표준인구 대비 가중치를 부여하면 남자 51.2%, 여자 48.8%로, 모집단 추정인원은 27,300,737명이었다. 이 중 본 연구 기준에 의한 만 19세 이상 한국인의 이상지질혈증 추정인원은 13,504,571명으로, 남자는 58.3%인 7,869,248명, 여자는 41.7%인 5,635,323명이었다. 남자의 경우 이상지질혈증군은 56.3%, 정상군이 43.7%였고, 평균 나이는 이상지질혈증군이 46.40(±1.17)세로 정상군 41.35(±1.46)세보다 5.05세 높았으며, BMI(체질량지수)는 이상지질혈증군에서 비만이 50.0%로 가장 많았고, 정상군에서는 정상이 75.3%로 가장 많았다. 연령대는 이상지질혈증군에서 40∼49세(24.4%)가 가장 많았고, 정상군에서는 19∼29세(31.7%)로 가장 많고 연령과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에서는 이상지질혈증군과 정상군 모두 유배우자 기혼자가 가장 많았다. 여자의 경우 이상지질혈증군은 42.3%, 정상군이 57.7%였고 평균 나이는 이상지질혈증군이 52.45(±1.27)세로 정상군 38.64(±1.02)세보다 13.81세 높았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이상지질혈증군과 정상군의 나이차가 컸다. BMI(체질량지수)는 이상지질혈증군에서 정상이 53.6%로 가장 많았고, 정상군에서도 정상이 72.1%로 가장 많았으며, 연령대의 경우 이상지질혈증군에서 50∼59세(27.2%)가 가장 많았고, 정상군에서는 남자에서와 마찬가지로 19∼29세(24.9%)가 가장 많고 연령과 반비례하였다. 결혼상태는 이상지질혈증군과 정상군에서 유배우자 기혼자가 가장 많았는데, 이상지질혈증군에서 별거,·사별·이혼 기혼자가 21.4%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교육수준에서는 이상지질혈증군과 정상군 모두 고졸이 가장 많았다. 월평균 가구 총소득에서는 이상지질혈증군과 정상군 모두 300만원 초과에서 가장 많았으나, 이상지질혈증군에서 200만원 이상 300만원 이하부터 이상지질혈증 발생이 총소득과 반비례하는 비율을 보였다. 폐경여부는 이상지질혈증군에서 폐경은 59.4%였고, 정상군에서 월경은 81.8%였다. 2) 이상지질혈증 위험요인의 차이에서 각 진단항목의 차이 정도를 살펴보면, 남녀의 이상지질혈증군 비교 시 여자가 남자보다 총콜레스테롤은 13.26㎎/㎗, HDL-콜레스테롤은 5.76㎎/㎗, LDL-콜레스테롤은 10.96㎎/㎗ 높게 나타났으며, 중성지방은 35.96㎎/㎗ 낮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임상진단의 차이에서는 남자의 경우 0에 해당하는 정상군은 43.7%이며, 1개 해당은 30.1%로 이상지질혈증군에서 가장 높았고, 여자의 경우에는 0개 해당하는 정상군은 57.7%, 1개 해당이 19.5%로 이상지질혈증군에서 가장 많았으나, 2개 해당도 17.9%였다. 3) 이상지질혈증 유무에 따른 건강생활 실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복합표본 단순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남자에서는 하루평균 흡연량, 금연실행 여부,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 여부, 걷기운동 실천 여부, 근력운동 실천 여부, 자살 생각 유무, 적정 에너지 섭취 여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에서는 하루 평균 흡연량, 월간 음주 여부, 1회 음주량, 걷기 운동 실천 여부, 수면시간, 지방표시 인지, 아침식사 여부, 외식 횟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다른 설명변수들에 대한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서 단순회귀분석 시 유효했던 변수들이 함께 포함된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남자에서는 최종적으로 흡연량과 BMI(체질량지수)가 이상지질혈증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량이 5개비 증가함에 따라 이상지질혈증이 발생될 승산비가 1.320배, BMI(체질량지수)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발생은 ‘비만’이 ‘정상’의 3.424배로 나타났다.여자의 경우 흡연량, 걷기 운동 실천 여부, 수면 시간, 아침식사 여부가 이상지질혈증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량’이 5개비 증가함에 따라 이상지질혈증이 발생될 승산비가 2.965배였고, ‘걷기 운동 실천 여부’에서는 ‘실천 안함’이 ‘실천함’보다 7.983배였으며, ‘수면시간’에서는 ‘8시간 이상’이 ‘6시간 이상 8시간 미만’보다 0.138배, ‘아침식사 여부’에서는 ‘아침식사 안함’이 ‘아침식사함’보다 0.088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상지질혈증 관련 건강생활 실천 프로그램은 혈청 지질 농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 한국인 남녀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용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 및 건강생활 실천의 효과를 적용한 체계적인 국가 차원의 맞춤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생활실천에 미치는 영향

        이순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4

        In Korea, the first-generation baby boomers, born in 1955, entered the elderly population in 2020, and Korean society is predicted to reach a super-aged society in 2025. As the aging of the Korean population is intensifying, now is the time to discuss health care for the elderly. Studies that have identified the associ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 core competency in the information age, and health indicators and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are sparse among existing studies. This is a secondary study that analyzed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the Elderly, which was done on elderly persons aged 65 and older, to assess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y life practices of the elderly. Data from a total of 10,097 elderly persons identified nationwide were evaluated, excluding cases where cohabitants and non-cohabitants responded on behalf of the elderly persons, missing values, and non-response to digital literacy questions. SAS version 9.4 was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the Rao-Scott chi-square test reflecting the Elderly Survey feature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degree of usage of information devices, the difficulty in using the information offered online, and the inconvenience of using information devices were the three groups classified as constituting digital literacy. Among the 8,664 participants, 4,471 identified themselves as healthy, accounting for 51.1%, 48.9% of the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they were unhealthy, whereas 3,945 participants (46.9%) stated that they were practicing a healthy lifestyle and 4,719 (53.1%) stated that they were no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spective questions among the participants, the group (64.8%) with an average score of at least 3 in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information devices was 1.73 times more likely to perceive themselves as healthy than the group with a lower than average (33.8%) (aOR=1.73, 95% CI: 1.50-1.99), and the probability of practicing a healthy lifestyle was 1.51 times higher (aOR=1.51, 95% CI: 1.33-1.72). The group (65.6%) that did not have difficulties utilizing online information was 1.41 times more likely to regard themselves as healthy than the group (45.6%) that experienced difficulties in using online information and practiced healthy living (aOR=1.41, 95% CI: 1.24-1.61), while the likelihood of practicing a healthy lifestyle was 1.03 times greater (aOR=1.03, 95% CI: 0.92-1.16), these finding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more cumbersome the use of information devices, the lower the likelihood of recognizing oneself as healthy (aOR=0.84, 95% CI: 0.82-0.87), and the likelihood of practicing a healthy life was 0.94 times lower (aOR=0.94, 95% CI: 0.92-0.97). According to a gender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of the elderly, in both genders, the higher the digital literacy, the greater the probability of identifying themselves as healthy; the higher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information devices and the less difficulties of using information devices,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practicing a healthy life.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elderly’s digital literacy has an effect on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y life practices, and improving the elderly’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is proj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health manag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nefit health care for the elderly by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enhance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as well as patient guidance and education using information devices at medical institutions. 우리나라의 경우 베이비붐 세대의 첫 세대인 1955년생이 2020년부터 고령인구로 편입되었으며,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된다. 이처럼 한국은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노인 건강관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기존 연구 중 정보화시대의 핵심역량인 디지털 리터러시와 노인의 건강지표 및 건강상태의 연관성을 파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생활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2020년 노인실태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2차 연구이다. 전국적으로 파악된 노인 총 10,097명의 데이터 중에서 동거인 및 비동거인이 대리응답 한 경우와 디지털 리터러시 문항의 결측치 및 미응답 등을 제외하여 총 8,66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4를 사용하여 기술분석, 노인실태조사 특성을 반영한 라오스콧 교차검정(Rao-Scott chi-square test),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정보화 기기 활용 정도, 온라인 제공정보 이용의 어려움 정도, 정보화 기기 이용의 불편함 세 가지 항목으로 세분화하였다. 연구대상자 8,664명 중 자신이 건강하다고 인지한 대상자는 4,471명으로 51.1%. 건강하지 않다고 인지한 대상자는 48.9%였으며 건강생활실천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3,945명으로 46.9%, 실천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4,719명으로 53.1%였다. 연구대상자 중 각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 정보화 기기 활용 정도가 평균인 3점 이상인 집단(64.8%)이 평균 미만인 집단(33.8%)보다 스스로 건강하다고 인지할 가능성이 1.73배 높았으며(aOR=1.73, 95% CI: 1.50 –1.99), 건강생활실천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1.51배 높게 나타났다(aOR=1.51, 95% CI: 1.33 –1.72). 온라인 제공정보 이용을 어려워하지 않는 집단(65.6%)이 어려워하는 집단(45.6%)보다 스스로 건강하다고 인지할 가능성이 1.41배(aOR=1.41, 95% CI: 1.24 –1.61), 건강생활실천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1.03배(aOR=1.03, 95% CI: 0.92 – 1.16)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정보화 기기 이용이 불편할수록 자신이 건강하다고 인지할 가능성이 0.84배 낮았으며(aOR=0.84, 95% CI: 0.82 –0.87), 건강생활을 실천할 가능성은 0.94배 낮았다(aOR=0.94, 95% CI: 0.92 –0.97). 성별에 따른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두 성별 모두 디지털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스스로 건강하다고 인지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정보화 기기 활용정도가 높을수록, 정보화 기기 이용의 불편함이 없을수록 건강생활을 실천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생활실천에 영향을 미치며,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향상은 노인의 건강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건강관리에 기여하며,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의료기관에서 정보화 기기를 통한 환자 안내 및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청소년의 건강생활실천과 성관계 경험 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현희경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4

        Objective: While the health risk behaviors of Korean Youth are high, the increas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s low, and it is analyzed that the onset of sexual intercourse among teenagers is becoming less ag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link between health life style and sexual intercourse in adolescents. Methods: In this study, 62,276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final study using the 2017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Using PASW Statistics ver 18.0, the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with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verified with p<.05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increases with smoking experience(OR 6.317), and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decreases with the later the beginning of the smoking experience. As the number of days of smoking increased and amount of smoking increased, the higher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Also,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increases(OR 3.977) when drinking, and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decreases with the later the beginning of the drinking experience. As the number of days of drinking increased and amount of drinking increased, the higher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In addition,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increases(OR 15.420) when experiencing drugs habitually or deliberately. It was found that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increases when the stress is greater than when there is no stress at all(OR 1.209) and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increases when experiencing sadness and despair enough to stop daily life for two weeks(OR 2.103). In addition,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increases when there is a serious desire to commit suicide(OR 2.233). Average hours of use of Smartphones during the week over 3 hours increases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OR 1.760).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decreases(OR 0.768) when people eat breakfast more than five days a week, and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increases when they eat fast food more than once a day(OR 3.501).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decreases when there are sexual education(OR 0.909), smoking prevention education(OR 0.867), and drinking prevention education(OR 0.993) in school.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increases when the number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is more than three times a week(OR 1.317).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increases(OR 1.619) when physical activity lasts more than 60 minutes a day and five to seven days a week That is, the main factors of health life sty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of adolescents in this study were ever smoking(OR 6.317), smoking daily(OR 5.238), smoking more than 20 cigarettes a day(OR 5.956) and ever drinking(OR 3.977), drinking daily(16.577), drinking more than two bottles of soju or beer 8 bottles(OR 3.869), and habitually or intentionally drug usage(OR 15.420), eating more than fast food at least once a day(OR 3.501). Besides, serious levels of sadness and despair(OR 2.103) and suicidal ideation(OR 2.233) increased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while decreasing the risk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when the beginning of the smoking and drinking experience are delayed and when adolescents eat breakfast more than five days a week(OR 0.768) or when experiencing sex education(OR 0.909), smoking prevention education(OR 0.867) and drinking prevention education(OR 0.993) in schoo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re systematic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are required, including prevention of smoking, prevention of drinking, prevention of drugs misuse, dietary, and mental health, which are suitable for the age and gender of adolescents. Based on this research, we look forward to contributing to the provision of basic data for sexual education and the promotion of health programs.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건강위험행위는 높은 양상을 보이는 반면, 건강증진행위는 낮은 양상을 보여, 고등학생이 될수록 건강행태가 나빠지고,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시작 시기는 점차 저연령화 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생활실천과 성관계 경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이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2,276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통계처리는 PASW Statistics ver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검정,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을 p<.05으로 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흡연 경험이 있을 때 성관계 경험 위험도는 6.317배 증가(OR 6.317)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흡연 경험 시작 시기가 늦어질수록 성관계 경험 위험도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흡연일수가 증가할수록, 흡연량이 많을수록 성관계 경험 위험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음주 경험이 있을 때 성관계 경험 위험도가 3.977배 증가(OR 3.977)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주 경험 시작 시기가 늦어질수록 성관계 경험 위험도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음주일수가 증가할수록, 음주량이 많을수록 성관계 경험 위험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습관적 또는 일부러 약물 경험이 있을 때 성관계 경험 위험도는 15.420배 증가(OR 15.420)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전혀 없을 때보다 대단히 많이 느낄 때 성관계 경험 위험도는 1.209배 증가(OR 1.209) 증가하고, 2주 내내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슬픔과 절망감을 경험할 때 성관계 경험 위험도는 2.103배 증가(OR 2.103)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각한 자살 생각이 있을 때 성관계 경험 위험도는 2.233배 증가(OR 2.233)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중 스마트폰사용 평균시간은 3시간 이상일 때 성관계 경험 위험도가 1.760배 증가(OR 1.760)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식사를 주 5일 이상 자주 섭취할 때 성관계 경험 위험도가 0.768배 증가(OR 0.768)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일 1회 이상 패스트푸드를 섭취할 경우 성관계 경험 위험도는 3.501배 증가(OR 3.501)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내 성교육(OR 0.909), 흡연예방교육(OR 0.867), 음주예방교육(OR 0.993) 경험이 있을 때 성관계 경험 위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체육시간 수가 주 3회 이상일 때 성관계 경험 위험도는 1.317배 증가(OR 1.317)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루 60분 이상, 주 5-7일간 신체활동을 할 때 성관계 경험 위험도는 1.619배 증가(OR 1.619)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과 관련된 건강생활실천특성의 주요 영향요인은 평생 흡연 경험(OR 6.317), 매일 흡연할 때(OR 5.238), 하루 20개비 이상의 흡연량(OR 5.956)와 평생 음주 경험(OR 3.977), 매일 음주할 때(OR 16.577), 소주 2병 이상 또는 맥주 8병 이상의 음주량(OR 3.869), 습관적 또는 일부러 약물 경험(OR 15.420), 매일 1회 이상의 패스트푸드 섭취(OR 3.501)이었다. 그 외에 심각한 수준의 슬픔과 절망감(OR 2.103)과 자살생각(OR 2.233)은 성관계 경험 위험도가 증가한 반면, 흡연과 음주 시작 시기가 늦어질 때, 아침식사를 주 5일 이상 자주할 때(OR 0.768), 학교 내 성교육(OR 0.909), 흡연예방교육(OR 0.867), 음주예방교육(OR 0.993)을 경험할 때 성관계 경험 위험도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연령과 성별 특성에 맞는 흡연예방, 음주예방, 약물 오·남용 예방, 식생활, 정신건강 등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교육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더욱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성교육과 건강증진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대학생의 사상체질유형별 식품·영양 섭취도와 건강생활실천

        성유진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9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상체질유형별 식품·영양 섭취도와 건강생활실천도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의 건강을 위한 사상체질별 식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자는 대학생 총 140명을 대상으로 한국사상체질의학 임상 전문가에 의한 사상체질 감별 결과, 소양인 54명(38.6%), 소음인 52명(37.1%), 태음인 31명(22.1%), 태양인 3명(2.1%)으로 분류되었다. 이중 태양인은 그 숫자가 매우 적기 때문에 통계분석상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제외하고 나머지 세 체질에서 13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3.0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상체질유형별 신체적 특성에 있어서, 태음인의 신장(p<.01), 체중(p<.001), BMI(p<.001), 허리둘레(p<.001), 최저혈압(p<.05)이 소음인과 소양인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체중(p<.001), BMI(p<.001), 허리둘레(남: p<.01, 여: p<.001)의 수치에서 남녀 모두 태음인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질별 식품섭취빈도조사에 따른 91개 다빈도 식품섭취도 분석 결과에서는 체질별 식품섭취빈도조사에 따른 식품섭취도 분석 결과 태음인이 소음인과 소양인에 비해 단빵(p<.05), 닭백숙(p<.05), 나박김치나 동치미(p<.05)를 유의하게 많이 섭취하였고, 조기는 소양인, 소음인, 태음인 순으로 유의하게 섭취량이 늘었다(p<.05). 된장국이나 청국장찌개는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순으로 유의하게 섭취량이 많아졌고(p<.05), 커피는 소음인, 태음인, 소양인 순으로 유의하게 섭취량이 늘어났다(p<.05). 남자 대상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자 대상자는 단빵(p<.01)과 고구마(p<.05), 당근(p<.05)을 태음인이 유의하게 많이 섭취하였고, 된장국이나 청국장찌개는 소음인이 소양인에 비해 많이 섭취했다(p<.05). 셋째, 체질별 식품섭취빈도조사에 따른 열량 및 영양소 섭취상태 분석 결과는 소음인이 소양인과 태음인에 비하여 식물성 단백질(p<.05), 식이섬유(p<.05), 식물성칼슘(p<.05), 식물성철분(p<.05), 엽산(p<.01)을 유의하게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차이를 살펴보면 남자 대상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여자 대상자는 비타민A(p<.05), β-카로틴(p<.05)을 소음인이 다른 체질에 비해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질별 비적합 식품 섭취도는 소양인이 소음인과 태음인에 비해 유의하게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남자 대상자는 소양인(-16.00±16.39)이 소음인(-38.89±32.57)과 태음인(-47.38±37.94)에 비해 유의하게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여자 대상자는 소음인이 소양인에 비해 많이 섭취하였다(p<.05). 체질별 적합한 식품섭취도는 소양인이 소음인과 태음인에 비해 유의하게 많이 적합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적합식품 섭취에서 성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라이프 스타일 점검표를 이용한 건강생활실천점수의 체질간 차이에서는 소음인이 소양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냈다(p<.05). 성별 중 여자 대상자에서만 소음인이 다른 체질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5). 주관적 건강상태는 체질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일반 건강한 대학생들의 건강에 유의한 차이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여섯째, 체질별 비적합 식품섭취 이분위 점수에 따라 전체 대상자에서 소양인의 경우는 비적합식품 섭취점수가 높은군이 낮은 군보다 주관적 신체건강상태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p<.05), 태음인은 허리둘레에서 비적합식품 섭취점수가 높은군이 낮은 군보다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5). 성별 차이에 있어서 남자 대상자는 체질별 비적합식품 섭취도에 따라 신체적 특성, 건강생활실천,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자 대상자의 비적합 식품섭취점수가 높은군이 낮은군에 비해 체중(p<.05), BMI(p<.05), 주관적 신체건강상태 점수(p<.01)가 유의하게 높았고, 여자 소양인에서 체중(p<.01), BMI(p<.05), 허리둘레(p<.05), 주관적 신체건강상태 점수(p<.05)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자 태음인에서는 허리둘레(p<.01), 주관적 신체건강상태 점수(p<.05)가 유의하게 높았다. 일곱째, 체질별 적합 식품섭취 이분위 점수에 따라 적합식품 섭취점수가 높은군이 낮은 군보다 전체 대상자(p<.05)와 소음인(p<.01)에서 건강생활실천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 차이에 있어서 남자 대상자는 체질별 적합식품 섭취도에 따라 신체적 특성, 건강생활실천,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자 대상자는 적합 식품섭취점수가 높은군이 낮은군에 비해 건강생활실천점수가 여자 전체와(p<.05), 여자 소음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1). 연구 결과 사상체질유형별 주관적 건강상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신체적 특성과 식품·영양섭취도와 건강생활실천도에는 사상체질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연령대와 환경을 고려하여 사상체질별 식이와 건강과의 관련성을 연구한다면 사상체질별 식이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고혈압 노인환자에게 실시한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 일 보건소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중심으로

        정정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se management program through Customized Visiting Home Health Care Program, now conducted by regional public health cent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wo. The first is to present the effect of case management program that is adjusted for changing demand of patients toward comprehensive care to figure out of change between initial phase, 8 weeks later and 6 months later. The second is to present the effect by comparing the control group who don't participate in case management program, followed by ordinary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Study design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 with longitudinal sample. Twenty five patients participating in hypertension case management program were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and another twenty five patients participating in ordinary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25 case management group subjects were who finished the process completely after voluntary agreement to participating in elderly hypertension case management model program. 25 control group subjects were who participate in our research project faithfully in the same time with ordinary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All subject were registered in public health center in 2007. We evaluated changes in blood pressure, serum cholesterol and lipids, knowledge on hypertension and practi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at baseline, 8 weeks later and 6 months later in both group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X^(2) test were used as a descriptive statistics Change of case management group by period was analysed using ANOVA and Scheff&eacute; test. Comparative analysis of both group was carri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case management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was lowered and significantly changed compared to control group. Though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not lowered in 8 week period in the case management group, case management group shows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control group. Both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 reduced over time in the case management group. Change of knowledge on hypertension is remarkably great after 8 weeks than initial stage, but further, slightly lessened. Health promoting behaviors such as blood pressure check up, restriction of fatty diet and salt, ability to control stress were improved in the case management group. 2. In comparative analysis of two groups, systolic and diastolic pressure of case management group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decrease by measured period but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Therefore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is obvious in case management group. Concerning a blood lipid level, total cholesterol level and LDL cholesterol level diminished in case management group although difference of both group i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knowledge about disease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However prohibition of smoking, alcohol abstinence, self monitoring of blood pressure, restriction of fat diet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oups. Health promoting behavior change by management period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8 weeks according to decrease of alcohol abstinence, regular exercise, self-monitoring of blood pressure, restriction of fat diet and salinity. In conclusion, case management program was effective to control blood pressure in hypertensive patients as well as to improve blood cholesterol level,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 美容室 勤勞者의 健康增進 生活實踐에서의 影響要因

        윤정순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미용실 근무자들의 건강증진 생활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미용실 근무자들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자료는 2002년 2월부터 3월까지 2개월간 부산, 서울 및 대구, 안동, 강릉 등지의 임의 선정한 남녀 미용실 근무자 4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하였고,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335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실천 정도는 연령이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 결혼상태별로는 기혼군, 미혼군의 순으로, 종교별로는 기독교, 불교 군이 기타 종교나 종교가 없는 군보다 건강증진 생활실천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조사 대상자들의 업무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실천 정도는 근무 경력이 오래된 군이, 미용실내의 지위에서는 원장이 높았고, 미용실 소재위치에서는 도심(번화가)의 경우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고 상가, 거주지역, 기타의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건강증진 생활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기효능감, 결혼, 지각된 장애성(-), 건강지각 상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미용실 근무자들의 건강증진 생활실천 정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지각된 장애성을 줄여줄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깃이다. 특히 소규모 서비스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업주와 종업원의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체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n practi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HPL) among beauticians. Data were collected from 335 beauticians working at beauty parlor in nationwide Korea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racticing HPL was significantly variated by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uch as age(high at senior), marital status(high at married), and religion(high at christian and buddhist) and by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tenure(high at long working career), job rank(high at higher rank), work site location(low at downtown area).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were self-efficacy, marital status, perceived impedimen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ll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except perceived impediment showed positive effect on practicing HPL.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health promotion programme for heauticians encouraging self-efficacy and minimizing perceived impediment should be carefully developed, especially considering beauty parlor characteristics of small service business.

      • 재한 중국 유학생의 건강 식생활 실천에 관한 연구 : 유학 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기반 정도의 관련성 중심으로

        풍진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0

        인간은 누구나 새로운 환경에 생활을 시작하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하여 대처해 나가야 하며 개인이 경험하는 사건들은 그 자체가 스트레스 요인이 된다. 이방인에게는 새로운 환경적응에 따른 스트레스가 쉽게 발생한다. 재한 중국 유학생들에게는 유학을 온 후 한국 환경에 적응해야 하고 학업을 위한 학교생활과 한국사회도에서 적응하는 과정에 있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지원이 없거나, 지원이 있더라도 지원 정도가 장애환경 극복에 도움이 되지 않는 수준으로 제공되며, 이러한 스트레스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이로 인해 심리적 물리적인 생활 수행에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중국 유학생 경우는 유학적응 과정에서 식생활 변화와 관련된 현상으로 향후 건강상태 및 질병의 유병율과 관련성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새로운 문화 환경으로의 이주하는 이주민들의 식습관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고, 궁극에는 이민자들의 문화적 적응 과정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건강한 식생활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학업과 그 밖의 학교생활에서 느끼는 적응 스트레스와 이의 식생활과의 관련성 및 사회적 지지기반의 정도와 그 관련성을 분석하고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생활습관 개선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스트레스 해소와 사회적 지지기반 조성 그 방향 개발의 기초자료로 그 활용을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수도권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생 472명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의 한하며,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구조화된 설문지는 건강 식생활 실천과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기반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7월부터 10월 초까지이며 설문에 대한 자가 기입 방식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으로 기술 및 추론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개인의 인구적인 특성, 건강 식생활 실천, 스트레스 정도 및 대사자 주변의 사회적 지지기반 등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조사 대상자의 사회 인구적인 특성은 남학생 39.6%, 여학생이 60.4%로 조사되었고, 조사 대상자 중 한국 거주기간이 ‘1~3년’인 집단이 51.7%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는 ‘기숙사’ 50.8%, ‘자취형태’가 43.2%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자의 한국어 수준은 TOPIK 기준으로 할 때 중급 수준 학생들이 50.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초급과 고급이 수준의 학생들이 각각 25.2%와 24.6%였다. 생활환경으로 시장이나 마트까지 소요된 시간은 ‘10분미만’의 집단이 49.4%로 가장 많은 반면 ‘30분 이상’ 집단은 14.4%로 조사되었다. 거주지의 주방의 유무는 ‘개인주방’ 응답하는 비율이 47.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방 없음’ 비율이 12.5%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생활비지원은 ‘부모지원’이 48.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부모의 절반지원’이 41.1%과 ‘본인 부담’이 10.2%로 제시되었다. 조사대상자의 자기 자신에 대한 건강평가로는 ‘매우 건강’흑은 “건강한 편”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69.3%이였다. 2. 사회 인구적인 특성에 따른 건강 식생활 실천 분석 결과는 한국에 거주기간이 높은 집단의 건강 식생활 실천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한국어 수준과 건강 식생활 실천 수준은 연관성이 있으며, 초급 수준 집단의 건강 식생활 실천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고급 수준 집단의 점수는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 식생활 실천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조사 대상자의 자신 건강평가에서 ‘매우 건강’로 응답하는 집단의 점수가 67.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조사 대상자의 BMI수준에 따른 건강 식생활 실천의 차이가 보면 정상 체중군의 건강 식생활 실천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체중, 비만 및 저체중 집단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3. 사회 인구적인 특성과 스트레스의 연관성은 한국어 수준에 따른 개인적인 스트레스에 경우 초급수준 집단의 개인 스트레스 점수가 31.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급 수준 집단과 중급 집단은 초급집단에 비하여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시장이나 마트까지 소요된 시간이 짧은 집단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 집단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자가의 건강 평가의 경우 ‘매우 건강’으로 응답한 집단의 개인 스트레스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재한 거주기간에 경우 한국에 거주기간이 긴 집단은 거주기간 적은 집단에 비하여 학업스트레스 점수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한국에 거주형태에 보면 ‘기숙사 거주’ 집단의 학업스트레스가 29.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모 같이’ 거주하는 집단의 학업스트레스 점수가 26.4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거주유형 집단 간에 학업스트레스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 No matter who the new environment to start a new life, then, in the face of the usual variety of events in everyday life, and these events will be the source of their stress. Especially for outsiders,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the new environment, the pressure is more likely to occur. The chinese college students are not only to adapt to the climate and environment in korea, but also to adapt to the Korean society and school life in the process of complete their education, they do not get support or support for them does not help under the circumstances, If the stress is not alleviated in a long time, it will lead to chaos of moral and material aspects of life. The report said, the Chinese college students's change of dietary behavior with heath status and rate of illness is related in korea. There are also studies that immigrated to the new cultural environment of immigrants's eating habits change towards bad direction, and ultimately, the stress led to an unhealthy of dietary behavior in th process of accultu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utritional statu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to investigate perceived stress and dietary habits and def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in then after residing in Korea. Look forward to this study can improve the Chinese college student's living habits, and maintain their health, and relive the stress of student life, and provides the basic data of dietary life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living in South Korea. The subjects included 472(187 male, 285 female) Chinese college students currently studying at University of the metropolitan area in South Korea from July 1 to the end of October, 2013. The questionnaires administered consisted of Stress Scale of learning life and personal stress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Dietary habit scale questionnaires, The student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by themselv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win 19.0 statistics program, which was used to calculate the frequencies, percentage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is study of the general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re 39.6% of male students and 60.4% of female students, and the 51.7% of living in korea for ‘1~3years’ of the respondents, this respondents are greatest groups, and the proportions of the form of living are 50.8% of ‘dormitory’, 43.2% of ‘alone’ . The most intermediate level students are 50.2% of Survey respondents, and beginning and advanced level students calvary are 25.2% and 24.6%. The time of from residence to the market ‘less than 10 minutes’ of the group is 49.2% at most, ‘more than 30 minutes’ of the group is 14.4% . the answer is ‘personal kitchen’ 's ratio is 47.7% at most, ‘No Kitchen’ is 12.5%. The percentage of the responders's cost of living support, ‘parents support’ is the most highest by 48.7%, ‘half of parental support’ and ‘burden by oneself’ is 41.1% and 10.2%, and 69.7% of respondents evaluation about their health is ‘very healthy’ or ‘healthy’ . 2. The results of health dietary behavior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group of longer reside in Korea dietary practices score was higher(p<0.01), and the group of higher Korean level dietary practices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The score of health dietary practices of the group for responsive to the ‘very healthy’ is highest by 67.0 points,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s. The score of health dietary practices of nounal weight group was the highest, the overweight group and underweight group's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p<0.05). 3. The Relevance of stress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score of personal stress of beginner level by korean was the highest of 31.3 points, and above the intermediate group's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p<0.05). The score of personal stress for group of short time to marke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ake a long time group(p<0.05), and personal stress score of the group in response to the ‘very healthy’ was significantly lower(p<0.05). The academic stress scores of the group of a long time resident in Korea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short time resident group (p<0.05). ‘Dormitory residence’ group's academic stress score was the highest by 29.1 points, ‘living with parents’ group's score was lowest by 26.4 points, there was 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p<0.01), and the group of higher Korean level academic stress was significantly lower(p<0.01). The ‘less than 10 min’ group's academic stress score was 27.4 points to the lowest, ‘more than 30min’ group's score was the highest by 30.5 points to market,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4. The results of social support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group's of ‘less than a year’ reside in Korea score of social support was the least by 65.6 points, ‘more the 3 years’ group's score was highest by 69.1 points,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Answer ‘have a personal kitchen’ of the group's social support score was the highest point as 68.2, answer ‘no kitchen’ of the group's score was the lowest as 64.8points,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5. The results of the health dietary behavior with stress and social support's Correlation are as follows: The respondents's personal stress(r=-0.37, p=0.00)and academic stress(r=-.0344, p=0.00) with healthy dietary practi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that is higher stress, the more difficult to achieve a healthy diet. the personal stress and academic stress with social suppor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cor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