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폐기물매립장 선별토사에 적용된 동다짐공법의 개량심도에 관한 연구

        남홍기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1

        국내에서 사용이 종료된 폐기물매립장의 정비를 위한 굴착, 선별, 이적, 소각 등 이른바 Landfill mining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남게 되는 선별토사를 어떻게 얼마나 안정화시키고, 어떠한 지반개량을 하여야 타매립장 복토재 또는 성토재로 재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동다짐공법(Dynamic Compaction Method)은 지반에 가하는 다짐에너지가 크므로 느슨한 사질토 지반, 버력매립층, 광산폐석매립층, 준설매립지반 또는 폐기물매립장 표층부 등에 널리 적용되어 왔다. ○○시에서는 사용이 종료된 관내 폐기물매립장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실트질 성분의 선별토사를 부지복원토로 성토하면서 동다짐공법으로 지반개량을 시행한 바 있는데, 이는 선별토사로만 성토층에 동다짐공법을 적용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정비사업에서 발생한 선별토사에 대한 특성을 국내 타지역에서 발생한 모래질 선별토사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적용할 지반개량공법의 검토 및 선정, 동다짐공법의 설계․시공, 동다짐 전⋅후의 표준관입시험에 의한 N치의 변화와 평판재하시험에 의한 지지력 확보 여부 확인, 동다짐 전⋅후의 N치 증가량과 타격에너지를 이용한 역해석에 의한 연구대상 선별토사의 개량심도계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선별토사 성토층의 지반개량에 적용할 공법을 검토함에 있어, 함수비가 큰 실트질 선별토사 성토층을 일반적인 층다짐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한 점과 다짐의 효율성, 경제성, 현장여건 등을 고려하여 검토한 결과 동다짐공법을 선정하였다. 유기물을 함유한 선별토사로만 성토된 지반의 동다짐을 위하여 현장조사 및 시험, 설계, 시공 과정에서의 다짐의 적정성 및 다짐 효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동다짐 전・후에 수행한 표준관입시험(SPT)에서 N치는 평균 6.7에서 평균 13.6으로 목표 N치 12 이상을 확보하였으며, 평판재하시험(PBT) 에서는 동다짐 전 허용지지력은 평균 83kN/m2를 나타냈으나, 동다짐 시공 후에는 150∼227kN/m2으로 산출되어 최소 80%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동다짐 설계시 개량목표심도인 1구간 7m, 2구간 6m를 초과한 8m 이하까지 개량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다짐 시공에 대한 확인시험과 역해석을 통해 본 연구대상 선별토사에 적용할 수 있는 개량심도계수를 α=0.38∼0.57 범위로 산정하고, 확률통계분석에 의해 대표값 α=0.51를 제안하였다.

      • 動다짐工法의 打擊에너지에 따른 改良深度에 관한 硏究

        이승일 昌原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0

        This study performed to decide suitable an empirical coefficient at our country field using the results of dynamic compaction on six sites. The coefficient is distinguished and determined according to 3 kinds of soil of silty sand, waste and rubber. The coefficient is presented suitable at our country field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is results and existing results.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An empirical coefficient must be distinguished an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oil types. (2) In silty sand ground an empirical coefficient must be distinguished an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o be containing at this soil. The case which the gravel is contained a=0.60 is suitable, the case which the clay is contained a=0.45 is suitable and the case to be genuine silty sand a=0.50 is suitable. (3) The case of the waste ground a=0.50 is suitable. (4) The case of the rubber ground a=0.75 is suitable but this result must be supply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ducts to be the app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