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組職內 集團間葛藤에 관한 實證的 硏究 : 學校組職의 一般職과 專門職을 中心으로

        오명환 檀國大學敎 行政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807

        葛藤은 인류의 歷史와 더불어 발생되어 온 人間生活의 보편적인 現狀이며, 특히 서로다른 背景과 理解關係. 그리고 個性을 가진 사람들로 構成된 集團의 경우, 葛藤은 必須不可缺하다. 이러한 葛藤은 組織의 目標達成에 順機能的인 役割도 하지만 一般的으로 逆機能的으로 作用한다. 本 硏究는 異質的인 학교조직을 대상으로 一般職과 專門職間의 葛藤水準을 調査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要因을 實證的으로 파악하여 葛藤解消方案을 代案的으로나마 찾고자 하는데 硏究의 目的을 두었다. 이와같은 硏究의 目的을 達成하기 위하여 理論的 硏究와 實證的 硏究를 竝行하였다. 理論的 考察 分野에서, 먼져 葛藤의 이해를 넓히고자, 組織 一般的인 水準에서 葛藤의 槪念, 葛藤을 보는 觀點, 發生原因, 葛藤의 管理方案 등을 살펴보았고. 實證分析 對象인 學校組織의 特性, 一般職의 役割, 一般職과 專門職 間의 關係 및 葛藤을 中心으로 考察하였다. 實證的 硏究에서는 이러한 理論的 背景을 基礎로 實證調査를 위한 分析模型을 도출하여 專門職 190명, 一般職 100명을 대상으로 設問調査를 實施하였다. 이러한 硏究의 實證的 分析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葛藤水準의 分析結果, 葛藤水準은 그리 높지 않으나 存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分析模型에서 說定한 葛藤要因을 獨立變數로 하고 葛藤水準을 從屬變數로 하여 分析한 結果, 意思疏通의 障碍, 目標의 差異, 知覺과 認知의 差異, 課業의 相互依存性, 組織構造的 要因 등 5개 要因이 葛藤에 영향을 미치는 要因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實證分析 結果를 바탕으로 제시된 葛藤管理方案은 즉, 對面을 통한 문제해결, 上位目標의 設定, 制度의 改善, 業務에 대한 相互理解, 敎育을 통한 態度나 認識의 變化, 圓滿한 人間關係 造成 등을 代案的으로 계시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은 結果는 本 硏究의 대상인 標本集團의 數가 충분치 못하였고, 變數의 選定과 客觀的인 測定方法의 不備로 一般化되기는 限界가 있을 것이다. 結論的으로 異質的인 擧校組織에서 葛藤을 적절히 管理하기 위해서는 專門職은 一般職을 단순히 敎壇支援 業務에 從事하는 從屬的인 存在로만 보지말고 그들이 맡고 있는 업무의 重要性을 理解하고 同僚職員으로서 人格的으로 待遇하여야 하며, 一般職 또한 法規나 節次의 硬直性에서 脫皮하여 事務自體의 效率性보다 敎育活動의 效率性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두어 專門職들이 滿足하는 방향으로 業務를 遂行해야 할 것이다. A conflict is a common phenomenon of human life which sprang up with the history of man. Especially it is inevitable in an organization when each member has different interests backgrounds, and marked individuality. Though such conflicts can sometimes be helpful in attaining the purpose of the organization, they usually act as undesiravle factors on it. This study aims at finding the way of removing conflicts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conflict in school organizations between generalists and professionalists and by grasping the factors causing the canflict based on practical survey. To attain such an aim of this study, theoretical study and actual research were carried out side by side. In the field of theoretical study, first, in order to make clear understanding of conflict, the general concept of conflict in an organization, the point of view concerning conflict, the cause of its occurrence and the device to control conflict were investigated. And then investigations were made centering around the special character of school organization which is the subject of analysis, the role of generalists, and the relation and conflict between generalists and professionalists. In the field of empirical study, a guestionnaire comprising many analytic items for the inductive research un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de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190 professionalists and 100 generalists.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s as follows ; 1) The level of conflict exists, though it is not so high.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which was made regarding the factors causing the conflict as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level of confict as dependent variable, next five factors such as insufficient mutual understanding, difference of interests,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and recognition, mutual dependency of work, and structural factors of organization have an effect on conflict. The devices administrating conflict drawn from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s as follows ; 1) It must be solved by meeting face to face. 2) Rank of aim must be set clearly. 3) There must be mutual understanding about their work. 4) There must be change in their thought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5) Harmonious human relations must be built up between them. But there can be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is result, because the number of sample is not enough and there is no objective method of measurement and proper variable. In conclusion, for the proper administration of conflict in varied school organizations ; Professionalists should not see generalists as surbordinate beings who work only for supporting schooling but treat them as companions who have character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ir work. And generalists should also carry out their work in the way that professionalists can satisfy at their work by promoting efficiency of schooling not by promoting efficiency of managing business itself or avoiding strict application of the rule or procedure.

      • 조직 내 갈등요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노세군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은 여러 형태의 조직 속에서 각자의 이익과 가치창출 및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조직 활동 과정에서 인간은 필연적으로 다양한 갈등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것은 각 자의 인생과 자신이 속한 조직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조직은 이러한 이유로 구성원들에게 복잡한 인간관계와 조직의 목표달성을 요구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변화인 갈등의 해소방안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갈등은 피할 수 없는 보편화된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조직이라는 틀 속에서 많은 사람들과 생활하다 보면 갈등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과 업무를 추진할 경우에 갈등의 빈도 및 심도는 더 깊어진다. 개인 및 집단 간에 발생하는 갈등의 원인은 다양하다. 주로 개인 혹은 집단 간에 발생하는 갈등의 원천은 과제관계 및 자원의 결핍 등에서 많이 발생한다(정우일, 2005). 본 연구는 조직 내 갈등과 조직유효성의 상관관계를 실증적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세부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내 갈등과 갈등이 일어나는 요인이 무엇인지 갈등이론을 바탕으로 실증조사를 통하여 알아보고, 둘째, 이러한 조직 내 갈등요인들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집단응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고찰을 통한 조직 내 갈등요인과 조직유효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른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조직 내 갈등요인과 조직유효성의 학문적, 실증적 시사점과 조직 내 조직유효성 제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며 향후 바람직한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제언함에 본 연구의 가치가 있다할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분산분석으로부터 조직 갈등에 대한 5가지 요인들에 있어서 “규정 및 절차”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고, “리더십”은 연령대와 직급 수준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은 직렬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유형”과 “보상체계”는 직급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유효성에 대한 3가지 요인들에서는 “집단응집력”이 근무경력과 직급 수준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상관관계분석으로부터 보상체계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대해 (+)의 관계가 존재하였고, 리더십은 조직몰입, 집단응집력, 직무만족에 대해 (+)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의사소통 역시 조직몰입, 집단응집력, 직무만족에 대해 (+)의 관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규정 및 절차는 집단응집력에 대해 (+)의 관계가 존재하였고 관리유형은 조직몰입에 대해 (-)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셋째, 조직몰입에 대한 회귀분석으로부터 보상체계, 리더십, 의사소통 및 규정 및 절차에 대한 수용정도가 높을수록 조직몰입 정도가 높아지고, 남성일수록 조직몰입 정도가 높아지며, 관리유형에 대한 수용 정도와 직급이 높을수록 조직몰입 정도는 감소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동시에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보상체계이고, 다음으로 리더십이며, 성별, 직급, 의사소통, 규정 및 절차, 관리 유형 순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집단응집력에 대한 회귀분석으로부터 리더십, 의사소통, 규정 및 절차에 대한 수용정도가 높을수록 집단응집력 정도가 높아지고, 직급이 높아질수록 집단등집력 정도는 증가하며, 학력은 높을수록 집단응집력 정도가 감소하며, 직렬은 요양직일수록 집단응집력이 높아진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집단응집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직급이고, 다음으로 규정 및 절차이며, 리더십, 학력, 의사소통, 직렬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만족에 대한 회귀분석으로부터 리더십, 의사소통 및 보상체계에 대한 수용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 정도가 높아지며, 여성일수록 직무만족의 정도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의사소통이고, 다음으로 리더십, 성별, 보상체계 순으로 분석되었다.

      • 대인갈등의 불공정 지각이 관계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감정의 완충작용

        오선영 성균관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갈등이 관계손상을 초래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갈등이 관계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는 완충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인갈등에서 대립한 상대방으로부터 지각된 상호작용 불공정이 잔여감정의 감정적 경로를 통해 상대방과의 관계를 손상시키고, 이러한 매개 경로의 강도가 긍정감정에 의해 완화되는 조절된 매개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긍정감정의 완충작용에 기여하는 개인의 심리적 자원을 알아보기 위해, 갈등사건 경험 후 일상생활에서 긍정감정을 촉진하는 회복탄력성 대처자원으로 자기자비와 인지적 재평가 그리고 자아탄력성 특성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전체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에 앞서 연구 1에서는 단면조사 연구를 실시하여 갈등의 불공정 지각이 잔여감정을 매개로 관계손상 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감정의 완충작용을 검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불공정 지각이 잔여감정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감정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Preacher, Rucher 그리고 Hayes(2007)의 검증방식을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 모델을 분석한 결과, 갈등사건의 불공정 지각이 잔여감정을 매개로 하여 관계손상에 미치는 간접효과 강도는 긍정감정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유의하게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14일 동안 일지연구를 실시하여 연구 1의 발견을 재확인하고, 자기자비, 인지적 재평가, 자아탄력성 특성에서의 개인차를 포함한 전체모델을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경로분석과 조절된 매개 검증 결과, 연구 1에서와 마찬가지로 불공정 지각이 관계손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긍정감정의 완충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인지적 재평가와 자아탄력성 특성에서의 개인차는 긍정감정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긍정감정과 불공정 지각으로 인한 부정감정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손상 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자비에서 개인차는 긍정감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3에서는 실험 연구를 실시하여 자기자비와 인지적 재평가의 조작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기자비와 인지적 재평가 조작 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 통제 조건과 더불어 자기비난과 반추 조건 조작이 도입되었다.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갈등에서 지각된 불공정이 잔여감정을 통해 관계손상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자비 인지적 재평가 조건에서 각각 유의하지 않은 반면, 자기비난과 반추 그리고 통제 조건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본 연구 결과는 갈등 사건에서 지각된 상대방 불공정이 상대방과의 관계 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긍정감정이 약화시키고, 이런 긍정감정 작용에서 회복탄력성 대처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한 본 연구의 조절된 매개 모형을 전반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에서 갈등관리와 팀효과성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학문적, 응용적 시사점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 사회갈등해소를 위한 경찰 정보 역량의 강화방안 연구 : 국정이슈 관련 사회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홍은호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록) 사회갈등은 현대사회가 다원화되면서 공공시설을 비롯한 국책사업 등 여러 분야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발현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갈등은 국가정책 집행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으며, 막대한 사회적 손실과 피해를 낳고 있다. 그러나 사회갈등을 단순히 부정적 시각으로만 인식하고 치부할 것이 아니라 효율적 관리를 통해 사회발전의 원동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만큼, 관리능력 배양을 통한 합리적 대안 마련 절실하다. 본 연구는 성수 사드 배치와 대구공항 통합 이전, 영덕 원전 건설, 청도 송전탑 등 우리 사회 갈등 현장 최 일선에서 조정 촉진자(faciltation)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정보경찰의 역할에 대해 착안하여 구상하고 진행하였다. 우선 정보경찰이 직·간접적으로 각종 사회갈등에 개입하고 있음에도 법규 미비와 일부 정보경찰 역량 부족 등으로 단순히 집회 상황관리에 그치는 등 그 활용 가치가 크게 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경찰법과 경찰관 직무집행법에 치안 정보란 사회갈등, 안전사고, 범죄 등 제반 사회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 대비하여 질서를 유지하고 공공복리에 기여하는 모든 형태의 정보라고 정의, 사회갈등과 관련한 법적 근거 마련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 공공정책이 입안되거나 예고될 경우 사회갈등의 발생 여부와 그 파급효과 및 대책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경찰 의견 청문제도를 비롯해 정책 담당자의 경찰 정책정보에 대한 피드백 의무화, 각종 사회갈등 문제를 해결한 활동 사례의 정보공유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경찰 내부적으로는 정보경찰의 전문화를 위한 갈등 전문 인력 양성(인력풀)과 정보 연수원 설치, 민간위탁교육 등 교육기관의 다양화를 통한 교육훈련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2019년 6월 행정학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것임 (Abstract) Social conflicts have manifested over various different fields, including national project initiatives like public facilities, with the diversification of modern society, and these social conflicts have become the greatest barrier to the execution of national projects, resulting in enormous social loss and damage. However, social conflicts are not to be perceived and dismissed as a negative phenomenon, as they can be converted to a greater driving force for social development through effective management, which calls for urgent preparation of rational alternatives through the cultivation of management capabilities. This study was conceived, planned and executed regarding the role of intelligence police, who are acting as facilitators in the frontline of conflicts in our society, such as the THAAD deployment in Seongju, integration and relocation of Daegu Airport, construc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in Yeongdeok, the transmission tower in Cheongdo and more. Firstly, although intelligence police have been intervening directly and indirectly in various social conflicts, their value has been insignificant with inadequate laws and the incompetence of some intelligence police, merely managing the situation of rallies. To this end, provisions for legal basis regarding social conflicts must be prioritized, defining public order intelligence in the Police Act and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as information of all forms that helps to maintain order and contribute to the public welfare by anticipating various social risk factors, such as social conflicts, safety accidents and crimes. Also, different measures are necessary, including the sharing of information regarding cases that resolved various social conflict problems; making it mandatory for the person responsible for a certain policy to provide feedback on police policy information; and establishing a hearing system to receive opinion from the police regarding the expected social conflicts, the subsequent impact and countermeasures, when a public project in formulated or plann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police to improve its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raining conflict specialist workforce for the specialization of intelligence police (talent pool), establishment of intelligence training center, and private commissioned education. ※ This paper was submitted to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Committe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June 2019 as a thesis for master's degree in public administration.

      • 갈등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친사회적 행동이 미치는 영향

        김민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교육 매체로서의 가치가 인정되고 있는 갈등 그림책을 활용하여 구체적이고 단계적인 이야기꾸미기를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갈등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소재한 A 유치원 만 5세 유아 25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고 B 유치원 만 5세 유아 25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선정된 10권의 갈등 그림책을 10주 동안 총 20회 이야기꾸미기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실험집단과 같은 그림책으로 회상하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양옥승(2006)이 교사용으로 개발한 <3-6세 자기조절력 측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자기조절력을 인지조절과 정서조절로 나누고 있으며, 인지조절 36문항, 정서조절 50문항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영옥(2003)이 개발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척도(PBSYC)>를 사용하였으며 친사회적 행동 하위영역은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공분산 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 자기조절력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t=.74***,p﹥.001), 유아의 자기조절력 하위요인 ‘계획하기’, ‘점검 및 평가하기’, ‘정서 인식하기’, ‘정서 억제하기’, ‘대처하기’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갈등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설명해주고 있다. 둘째, 갈등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t=.03, p﹥.05), 친사회적 행동 하위요인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갈등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설명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유아들은 갈등이 포함된 그림책을 듣고 그림책 속 갈등해결 방안을 자신이 경험에 비추어 사고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로 이야기를 꾸며봄으로써 상황에 적합한 자신의 행동과 감정을 조절하게 되었고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하며 배려하는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갈등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갈등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서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TV 토크쇼에 나타나는 지배적 신화와 이데올로기 분석 : <웰컴 투 시월드>의 담론 및 신화 분석을 중심으로

        강금량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논문요약 TV 토크쇼에 나타나는 지배적 신화와 이데올로기 분석 - <웰컴 투 시월드>의 담론 및 신화 분석을 중심으로 - 이 논문은 TV 토크쇼에 나타나는 고부갈등을 통해 이 시대의 시어머니와 며느리세대간에 존재하는 이항대립적 이데올로기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했다. 분석대상은 종합편성채널 채널A에서 방송중인 토크쇼 <웰컴 투 시월드>로 하였다. 회차별로 제시되는 다양한 주제들 중에 한국의 전통성이 잘 드러나며 일상의 고부갈등으로 표면화되는 문제이자 세대간 갈등을 명확히 볼 수 있는 주제를 분석대상으로 선택하였다. 한국은 가족관계의 특수성으로 인해 내부집단 안에서도 위계질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발화 제한의 우려가 있어 한가지의 분석방법으로는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어려울 거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이에 다양한 기호학적 방법의 통합적 모델을 구성해 분석을 진행했다. 범주화, 담론분석, 신화분석, 이데올로기 도출 등 기호학의 대표적인 분석틀을 사용해 논리적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토크쇼 특성상 가장 중요하다 판단된 담론분석에 가장 큰 비중을 두었다. 하지만 고부관계의 위계적 상황으로 인해 담론분석의 결과가 예상보다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판단하에 신화분석에서 이항대립적 신화를 찾아냄과 동시에 함의 도출을 시도하여 담론분석에서 부족할 수 있는 부분을 보완하였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찾고자한 내재된 이데올로기를 도출해 내었다. 각 개체집단에 미치는 대립관계의 이데올로기를 찾아낼 수 있었으며 두 집단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이데올로기도 있어 매우 흥미로웠다. 담론분석의 결과 지배적 담론과 대안적 담론이 모두 형성되고 있었다. 그러나 지배적 담론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대안적 담론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지배적 담론은 대부분 남성우월론, 남아선호 합리화, 성역할 수용론, 부모부양 당위성 등으로 가부장제 유지와 전통적 사고를 전이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 대립담론으로 표출된 것은 남아선호비판론 부모의 노년 경제력 필요 담론 등으로 매우 제한적이었다. 신화분석의 결과는 지배적 신화와 대립적 신화가 동일수준의 이항대립적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담론분석에서는 대안적인 입장이 거의 드러나지 않았지만 신화분석을 통해서는 대립계열체들이 실제로 대립되는 사고를 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시어머니들의 사고를 통해 지배적 신화들이 도출되었고, 며느리들의 사고를 통해 대안적이거나 대립적인 신화가 도출되었다. 시어머니들의 지배적 신화는 부모와 남편을 공경하며 순종적인 며느리로서의 본분을 지키는 전통적인 성역할을 강조하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었다. 반면 며느리들의 경우는 불평등과 불합리에 대해 불만족하다는 것을 전제로 이들에 대한 타협점을 찾기를 원하고 있었다. 전통적인 사상과 현대적인 사상의 충돌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립신화를 중심으로 내재된 이데올로기 도출해 내었다. 시어머니들 사고의 기저에는 가부장 이데올로기와 효 이데올로기가 지배적으로 자리하고 있었으며, 며느리들 사고의 기저에는 양성평등 이데올로기와 합리주의 이데올로기가 자리하고 있었다. 표면적으로 권력의 불균형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한 집안의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대립되는 이데올로기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의미가 크다. 극단적으로 대립되는 이데올로기에서 기인한 가치관의 차이로부터 한가정내에서 세대간에 다양한 논쟁과 갈등 행위가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 가능하며 같은 맥락에서 향후 다양한 갈등이 야기될 수 있는 잠재적 상황을 배재할 수 없다는 것도 유추 가능하다. 주제어 : 고부갈등 , 담론 , 신화 , 이데올로기 , 토크쇼

      • 호텔 종사원이 지각하는 역할갈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후원인식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방한승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We are living in this age making groups or organizations regardless of the scale of composition and utilizing talents of individuals through interactions among members. However, such interactions occasionally cause multi-dimensional conflicts in personal relationships or works of members. The reason for such conflict is that the purpose in the maximum performance from a role of each individual by creating values according to various inputs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as every company desire. Especially, such part is highlighted in hotels. The cause for this would be that, unlike the past organization of hotel which processed detailed works in detailed departments based on in-depth professionalisms, multi-talented capabilities and complex roles are assigned according to multi-talented capabilities are assigned due to the duplication of roles following the temporal change as mentioned earlier. This part, if viewed simply from the perspective of employee, would be a factor causing the feeling of burden or pressure on their organization's achievement or other psychological changes. However, since the maximization of achievement and profit of the hotel that they are belong is connected to their securities and the continuation of their work place, the part may be perceived as the inevitably occurring inseparable relation. However, until now, most discussions have been regarding measure to reduce the role conflict caused by and among the organization's members. However, from the perceptive of members in the organization, such discussions transfer the effort to resolve such conflicts assign another roles to employees or managers so that, from an individual employee's point of view, the individual him or herself is being ended up experiencing another role conflict. This study reviews the control effect of the organization support awareness on the organization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role conflict. Results are drawn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empirical study on what influences from the role conflicts are made on the job satisfacti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transfer intention, variables of the organization achievement by classifying the role conflict to the individual-role conflict, the conflict between roles, the conflict in the deliver and the conflict between delivers. Then, according to the previous assertion that the role conflict should be resuced and managed in the organizational aspect, the control effect of organization support awareness is verified. And, through the study result, the necessity of the role conflict management in the organizational aspect is presented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employees at special class 1 and 2 hotel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area are analyzed by using questionaries, First, employees at special class 1 and 2 hotel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area are classified in the parent and sample groups. An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s used for sampling and the questionnaire method is used for the survey. The survey is conducted for 25 days from September 16 to October 10, 2013 and total 350 copies of questionnaire are distributed and 337 copies are returned. Finally, after discarding 32 copies with any omitted response or written unilaterally, total 305 copies are used for the main analysi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first, for Hypothesis 1 to check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the role conflict and the organization achievement, only the conflict in delivery is influential in the negative (-) direction as the significance level (p<.05) .004 in the influence of role conflict to the job satisfaction. And in the influence of role conflict to the organization commitment, only the individual-role conflict is shown to be influential in the negative (-) direction with the significance level (p<.05) .005. Along with this, in the influence of the role conflict to the transfer intension, the conflict in deliverer is influential in the positive (+) direction with the significance level (p<.05) .004 as in the influence of the role conflict to the job satisfaction. Second, for Hypothesis 2 to check the control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in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the role conflict and the group achievement, the influence from the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to the organization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role conflict is not shown. According to such study result, it is found that the role conflict is influential in the negative (-) direction to the organization members and the support of organization is not able to control the role conflict of members. Therefore, measures to minimize the role conflict among members of organiza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in the future, related studies should be performed as well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구성의 크기의 유무와 상관없이 집단이나 조직을 이루고 상호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각자의 재능을 유용하게 활용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작용은 구성원의 인간적 관계 혹은 업무에서 다원적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는 모든 기업에서 바라는 것과 같이 다양한 투입에 따른 가치를 창출하고 생산성을 향상 시켜 개개인이 지니고 있는 역할을 최대한 발휘하게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호텔의 경우 이러한 부분이 두드러지게 되는데 이는 과거 세분화된 부서에서 세분화된 업무를 진행하며 깊이 있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었던 과거의 호텔 조직 구성과 다르게 앞서 언급한 부분과 같이 시대적 변화에 따라 역할의 중복성으로 인해 다재다능한 능력과 그에 따른 복합적 역할이 부여됨을 그 이유로 들 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을 단순히 종사자 입장에서 바라볼 때에는 그들의 조직성과에 부담감 혹은 압박 등 심리적 변화를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지만 그들이 속해 있는 호텔기업의 성과와 이윤 극대화는 그들의 안위와 직장에 대한 존속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불과분의 관계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 조직 구성원 간에 의한 역할갈등을 구성원 간에 감소시키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조직 구성원간의 관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종사자 혹은 관리자에게 또 다른 역할을 주는 것으로 종사자 한 개인으로 보았을 때 그 개인 자체가 또 다른 역할갈등을 겪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역할갈등에 따른 조직성과에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역할갈등을 개인-역할 갈등, 역할 간 갈등, 전달자내 갈등, 전달자간 갈등으로 구분하여 조직성과 변수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역할갈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 조직적 관점에서 역할갈등을 감소 및 관리 하여야 한다는 앞선 주장에 따라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통해 조직적 관점에서의 역할갈등 관리의 필요성을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주․전남권에 위치한 특 1, 2급 호텔에 종사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모집단 및 표본집단은 광주․전남권에 특 1·2급호텔에 종사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표본추출방법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조사는 설문지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설문지는 2013년 09월 16일부터 10월 10일까지 25일간 실시 하였으며 총 350부를 배포하여 337부를 회수하였고 그 중 설문응답에 대한 누락이나 일방향으로 기입한 32부를 제외한 총 305부를 최종적으로 본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는 첫째, 역할갈등과 조직성과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가설 1의 경우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달자 내 갈등 만이 유의수준(p<.05) .004로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역할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개인-역할갈등만이 유의수준(p<.05) .005로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와 같이 전달자 내 갈등이 유의수준(p<.05) .004로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역할갈등과 조직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가설2의 경우 역할갈등에 따른 조직성과에 조직후원인식이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역할갈등은 조직구성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으며 조직의 후원은 그들의 역할갈등에 대한 조절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조직구성원들 간의 역할갈등을 최소화 시킬 방안을 고민해보아야 할 것이며, 이후 이와 관련된 추가적 연구 또한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 고부갈등과 시어머니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신은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고부갈등과 시어머니의 정신건강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데이터는 전주시 거주 시어머니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수에 있어서 동거여부와 배우자유무가 정신건강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둘째, 고부갈등의 평균점수는 권력구조적 갈등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고, 애정구조적 갈등이 가장 낮았다. 셋째, 정신건강의 평균점수는 강박증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편집증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넷째, 권력구조적 갈등이 정신건강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다섯째, 정신건강의 하위요인별로는 권력구조적 갈등이 우울증, 적대감, 정신증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고, 생활구조적 갈등이 신체화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또한 역할구조적 갈등이 정신증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고, 애정구조적 갈등이 불안, 적대감, 편집증, 정신증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the conflict and the mental health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Data are analyzed from a sample of 200 mother-in-law and living in Chon-Ju. SPSS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data were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iving together and a spouse existence ar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variables in mental health. Second, the average scores of power structural conflict were highest and affection structural conflict were lowest. Third, the average scores of obsessive were highest and paranoid were lowest. Fo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power structural conflict.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pression, hostility, psychosis according to the power structural conflict, and the somatization according to the life structural conflict, and the psychosis according to the role structural conflict, and the anxiety, hostility, paranoid, psychosis according to the affection structural conflict.

      • 의견 차이, 방해 행동, 부적 정서가 갈등 전이에 미치는 효과

        이승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인 간 갈등이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이 요소를 대표하는 의견 차이, 방해 행동, 부정적 정서가 과업 갈등과 관계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갈등의 행동적, 정서적 요소가 개인이 지닌 가치지향성에 따라 관계 갈등에 미치는 서로 다른 영향의 검증을 시도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갈등 요소가 개인의 창의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총 141명의 실험 참가자들은 세 가지 조건(의견 차이 조건, 방해 행동 조건, 부적 정서 조건)에 무선적으로 할당되어 집단 브레인스토밍 과제에 참여하였으며, 과제 도중 실험자에 의해 집단 상호작용이 각 조건에 맞게 조작되었다. 그 결과, 개인의 창의적 수행은 의견 차이만이 있는 갈등 상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방해 행동과 부적 정서는 창의적 수행을 감소시켰다. 과업 갈등은 방해 행동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부적 정서에 의해 증가하였다. 관계 갈등은 갈등 요소가 포함됨에 따라 일차 선형 추세를 보이며 증가하였으며, 부적 정서는 집합주의적 가치지향성을 지닌 개인의 경우 관계 갈등을 더 큰 폭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제한점,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 부부갈등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모 통제의 매개적 역할

        조아람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부부갈등 및 부모의 통제가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부부갈등이 부모의 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부모의 통제가 부부갈등과 아동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243명의 남녀 아동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부부갈등은 권영옥·이정덕(1997)의 척도를 아동 행동 문제와 관련된 4개 변인으로 수정한 김경민(2010)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행동적 통제는 Barber, Stolz와 Olsen(2005)의 척도를 번안한 조주연(2010)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동의 우울은 Radloff(1977)의 척도를 정안숙(200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기초분석을 위해 t-test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의 내용이 아동 자신과 관련된 것일수록 아동의 우울은 높았다. 반면, 부부갈등의 빈도, 강도, 해결은 아동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모가 심리적 통제를 많이 할수록 아동의 우울은 높았다. 하지만 부모의 행동적 통제는 아동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부부갈등의 내용이 아동 자녀와 관련된 것일수록 부모 모두 심리적 통제를 많이 하였고, 부부갈등이 자주 나타날수록 어머니는 심리적 통제를 많이 하였으며, 부부간의 갈등의 내용이 아동 자녀에 관한 것일수록 부모 모두 행동적 통제를 적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는 부부갈등의 내용과 아동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였으며,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부부갈등의 내용과 아동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적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부부갈등 및 부모의 통제가 아동의 우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부갈등과 아동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모 통제의 매개적 역할을 발견함으로써, 부모의 통제가 아동의 우울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부부갈등 예방을 위한 부부 관계 향상 교육 및 부부 갈등 관리 방법과 부모 자녀 관계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중 특히 아버지 교육의 개발과 보급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parental control and children’s depres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and a mediating role of parental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243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rs in Gyeonggi-do by questionnaire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marital conflic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arental behavioral control, and children’s depression.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was more related to children, they showed more depressed.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intensity, and resolution did not have noticeable effects on children’s depression. Second, as the level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as higher,children showed more depressed. On the other hand, parental behavioral control did not have a noticeable effect on children’s depression. Third, as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was more related to children, both parents exerted more control psychologically. As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showed more, mother exerted more control psychologically. On the other hand, as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was more related to children, both parents exerted less control behaviorally. Finally,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depressio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dep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d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have important effects on children’s depression. A mediating role of parental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depression showed parental control is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on of children’s depression by parental control. It indicates that development and propagation of parental education program are needed for desirable marital relationship and improvemen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