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음파 검진에서 간질환의 유병률 및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이미연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간질환은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질환으로 최근 사회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식생활 양식의 변화로 발생 위험요인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간질환의 유병률과 발병요인 인자를 파악하는 것은 보건학적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 6개 도시 종합건강검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중·상류 소득층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간질환에 대한 유병률을 파악하고 성별, 연령, 체질량 지수, 흡연, 고혈압, 당뇨 및 생화학검사 소견과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한다. 본 연구 결과 초음파로 진단된 간질환 유병률은 43.1%로 나타났고, 성별로는 남성(23.3%)이 여성(19.8%)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유병률은 4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지역별로는 대전이 4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간질환 유병률 순위는 지방간 75.9%으로 가장 높았고, 간내낭종 14.4%, 간내석회화 10.5%, 간내혈관종 4.9%, 간내종양 1.6%, 미만성간질환 1.1%, 간경화 0.6% 순이었다(p<0.001). 간질환의 성별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지방간과 미만성간질환은 남성에서 높았고, 간내낭종, 간내석회화, 간내혈관종은 여성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 분포에서 부산지역은 지방간, 대전지역은 간내낭종, 간내혈관종, 간내석회화, 간내종양, 서울지역은 미만성간질환이 타 지역에 비하여 높은 유병률로 나타났다(p<0.001). 간질환과 관련요인 BMI에 따른 유병률은 비만군(BMI ≥ 25)에서 지방간만이 48.3%로 높은 유병률을 보였으며(p<0.001), 흡연에 따른 유병률은 전 간질환이 흡연자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방간이 53.5%(남성 24.2%, 여성 29.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여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남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당뇨에 따른 유병률은 당뇨 군에서 전 간질환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생화학검사에 따른 간질환 유병률은 AST(GOT), ALT(GPT), r-GTP, Total cholesterol, Triglyc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에서 정상인 군에서 전체 간질환의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HBsAg에 따른 유병률은 양성인 군에서 전체 간질환의 유병률이 높았고, 지방간이 7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간질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 비만도, 당뇨는 유병과 연관성이 있게 나타났으나(p<0.05), 고혈압과 흡연 여부는 유의하지 않은 요인으로 나타났다(p>0.05). 간질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생화학검사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남성, 여성 모두에서 AST(GOT)를 제외하고, ALT(GPT), r-GTP, HBsAg,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Triglycerol 요인들은 모두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이상의 본 연구 결과는 간질환 유발 원인 인자를 알아내고, 이를 조기에 발견하여 제거해 주는 간질환의 효과적인 대책 마련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국민보건향상에서 이바지할 것으로 사료 된다. Liver diseases are the commonly encountering diseases in clinic and the factors of the development risk shows increasing trend due to the improvement of socioeconomic level and the changes in diet patterns. So, the evaluation of the prevalence of liver diseases and its development factors has significant importance in the study of health science. The study evaluated the prevalence of liver diseases and propo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ship with the following factors of sex, age, body mass index (BMI), smoking,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and with other biochemical analysis findings in healthy adults who received a diagnosis at health diagnosis centers located at 6 cities around the n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liver diseases diagnosed by using ultrasound revealed to show 43.1% of prevalence, and the occur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23.3%) than in female (19.8%). The disease revealed to show highest prevalence rate in 40s and regionally, Dae-jeon was found to record the highest prevalence by showing 49.6% (p<0.001). The order of hepatic disease prevalence was the highest in fatty liver (75.9%), which was followed by intrahepatic cysts (14.4%), intrahepatic calcification (10.5%), intrahepatic hemangioma (4.9%), intrahepatic tumor (1.6%), chronic liver disease (1.1%),and liver cirrhosis (0.6%) (p<0.001). The distribution of the liver diseases by sex revealed to show the higher occurrence of the fatty liver and the diffuse liver diseases in male, but the intrahepatic cysts, intrahepatic calcification and intrahepatic tumors were highly distributed in female. In the regional evaluation, the fatty liver was mostoften found in Busan, and intrahepatic cysts, intrahepatic hemangioma, intrahepatic calcification and intrahepatic tumors were highly found in Dae-jeon and Seoul revealed to show higher occurrence of diffuse liver disease than other regions (p<0.001). The prevalence of hepatic diseases related to the BMI revealed to show highest prevalence of the fatty liver in obese group (BMI ≥ 25) by recording 48.3%. Smoking contributed the high prevalence of all liver diseases. Although the fatty liver was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form of liver diseases by recording the prevalence of 53.5% (24.2% in male, 29.3% in femal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emale (p<0.05), but mal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high prevalence of all liver diseases was related to diabetes mellitu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The prevalence of liver disease by the following biochemical tests revealed high in the following categories of AST(GOT), ALT(GPT), r-GTP, Total cholesterol, Triglyc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in normal healthy adults, the prevalence of liver diseases by HBsAg was high in positive adult subjects with the highest prevalence of the fatty liver by recording 75.9% (p<0.001).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lated factors which affect the prevalence of the liver diseases resulted to show the higher prevalence by age. Sex, obesity and diabetes mellitus revealed the positive relationship to the prevalence(p<0.05), but hypertension and smoking resulted to show no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prevalence of the disease (p>0.05).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biochemical test results that affect the prevalence of the liver diseases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of ALT(GPT), r-GTP, HBsAg,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ol factors excluding the AST (GOT) (p<0.05). The current study result is consider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preparation of effective liver diseases countermeasures by early detection of the diseases an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of the liver diseases from the aspect of national health.

      • B형 만성 간질환에서 HBV pre-S 유전자 부위 돌연변이에 대한 고찰

        이상욱 仁濟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목적 : Pre-s 유전자 부위는 숙주의 면역압력을 가장 심하게 받는 유전자 부위들 중 하나로 이 부위에서의 변이가 중한 간질환으로의 이행과 연관성이 있으며 HBV 감염의 병태생리와 예후파악에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HBV 관련 간질환들에서 HBV DNA의 pre-S 부위 유전자 변이의 양상과 간질환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HBV DNA의 pre-S 부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re-S 영역에서 발생되는 각 질환별 변이 양상을 비교 관찰하였으며 특히 CCAAT box에서 발생되는 변이의 형태와 간질환과의 관계도 동시에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무증상 바이러스 보유자 11예, 만성간염 환자 19예, 간경변증 12예 및 간암 16예 동 총 58예의 환자들로부터 혈청을 채취하여 PCR 증폭하고 subcloning 후 염기 서열 결정법으로 변이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점돌연변이가 빈번한 위치는 pre-S 1에서 codon 32, 33, 51, 60, 70, 91, 108 및 112번이었고 pre-S2에서는 codon 4, 6, 8, 12 및 13번이었다. 2) 유전자 결손은 pre-S1에서는 12예에서, 그리고 pre-S2에서는 12예에서 관찰되었다. 3) 각 질환군별로 점돌연변이와 결손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 pre-S1 부위에는 무증상 HBN 보유자군에서는 14건의 점돌연변이와 5건의 결손변이가, 만성간염군에서는 26건의 점돌연변이와 1건의 결손변이가, 간경변증군에서는 19건의 점돌연변이와 2건의 결손변이가 그리고 간암군에서는 27건의 점돌연변이와 4건의 결손변이가 관찰되었다. 4) Pre-S2 부위는 무증상 HBV 보유자군에서는 14건의 점돌연변이와 5건의 결손변이가, 만성간염 군에서는 21건의 점돌연변이와 2건의 결손변이가, 간경변증군에서는 18건의 점돌연변이만이, 그리고 간암군에서는 15건의 점돌연변이와 5건의 결손변이가 관찰되었다. 5) S promoter 부위에서 유전자 변이 형태로는 CCAAT에서 점돌연변이가 2예 (CCAAT가 CCGAT 또는 CTAAT로 변이)에서 관찰되었는데 2예 모두 간경변증이었고 CCAAT를 포함한 결손변이는 3예(모두 87bp 결손)에서 나타났으며 모두 무증상 보유자들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HBV 관련 만성간질환에서 pre-S 부위에 다양한 종류의 변이가 관찰되어 pre-S 부위의 점돌연변이나 결손이 간질환의 정도 사이에 관련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으나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S promoter 부위의 변이와 결손 역시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Pre-S region in HBV DNA is one of the genes seriously suppressed by host immune suppression and might be suggested as the indicators for pathophysiology and progno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HBV pre-S mutations and chronic liver diseases, the DNA sequences of pre-S region of HBV were analysed We studied the variations in the pre-S region of HBV, especially in CCAAT box in relation with the clinical patterns of liver diseases. Method: The author performed the PCR amplification, subclomng and direct sequencing and sequence analysis with the sera of the patients. This study included 58 patients consisting of 11 subjects with non-symptomatic carrier, 19 chronic hepatitis, 12 liver cirrhosis and 16 hepatocellular carcinoma. Results: 1) Point mutation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codon 32, 33, 51, 60, 70, 92 108 and 112 of pre-S 1. In pre-S2, codon 4, 6, 8, 12 and 13 also revealed frequent point mutations. 2) Gene deletions were observed at pre-S 1 region in 12 cases, and pre-S2 in 12 cases. 3) Analysis of point mutations and deletions of 7 locations in pre-S1 revealed that 27 point mutations and 4 deletions occurred in hepatocellular carcinoma, 19 mutations and 2 deletions in liver cirrhosis, 26 mutations and 1 deletion in chronic hepatitis, 14 mutations and 5 deletions in asymptomatic carriers. 4) Analysis of 5 locations in pre-S2 showed that 15 point mutations and 5 deletion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18 mutations without deletions in liver cirrhosis, 21 mutations and 2 deletions in chronic hepatitis, and 14 mutations and 5 deletions in asymptomatic carriers. 5) Two point mutations at CCAAT of S promoter region were observed at only liver cirrhosis (CCAAT to CCGAT or MAT). Conclusion: Various kinds of mutations could be observed in the pre-S region of HBV in the subjects with the chronic liver disease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elucid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int mutations and/or deletions in pre-S region of HBV and the degree of chronic liver diseases.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mutations and deletion in S promoter region(CCAAT box) would be needed.

      • 독립적 심혈관계 위험인자로서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 프래밍햄 위험 점수 및 경동맥 경화로 평가

        금신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AFLD)은 비만, 제2형 당뇨, 고지혈증과 흔히 동반되어 나타나며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복부초음파검사를 통해 진단된 NAFLD가 심혈관계 위험인자로서 가지는 의미를 프래밍햄 위험 점수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 측정으로 평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영남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수진자중 심혈관계 질환이나 간질환의 과거력이 없고 하루 20g이상 알코올 복용력이 없으며 상복부초음파와 경동맥초음파를 동시에 시행한 20세 이상 성인남녀 238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생화학적 검사와 프래밍햄 위험 점수를 산출하였고 경동맥초음파검사로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구하여 NAFLD군과 대조군에서 차이를 분석하였다. NAFLD군에서 체질량지수와 수축기혈압 및 요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HDL 콜레스테롤은 낮았다. 프래밍햄 위험 점수 총점은 NAFLD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11.5±4.7 vs 10.2±4.3, P&#8806;0.04), 관상동맥질환의 10년 위험도 또한 NAFLD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8.7±7.3% vs 4.9±5.0% P<0.001). 양측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평균도 NAFLD군(0.72±0.18 mm)에서 대조군(0.63±0.15 mm)보다 두꺼워져 있었으며(P<0.001), 교란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8806;0.003). 다변량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Odds ratio는 NAFLD의 존재가 2.95(95% CI 1.495-5.812), 대사증후군의 항목 중 중성지방이 2.06(95% CI 1.041-4.066)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NAFLD는 단순히 간질환적 측면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서 고려하여야 한다. Background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LD)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obesity, type 2 diabetes and dyslipidemia, and highly related with metabolic syndrom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at NAFLD i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found through the measurement of framingham risk score and the carotid intima media thickness . Method : We examined 189 Korean adults above the age of 20 years, who participated in a health screening test and has experienced both the carotid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Patient with viral hepatitis and history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alcohol consumption(&#8807;20g/day) were excluded. We compare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framingham risk score, and carotid intima media thicknes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Results : Framingham risk score and estimated 10 year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were higher in subjects with NAFLD(11.5±4.7 vs 10.2±4.3 P&#8806;0.04, 8.7±7.3% vs 4.9±5.0% P<0.001). Carotid intima media thickness was higher in subjects with NAFLD(0.72±0.18mm) than to the controls(0.63±0.15mm)(P<0.001). This result persisted significantly after adjusting for age, sex, and 5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sence of NAFLD (OR 2.95, 95% CI 1.495-5.812), and high triglyceride(OR 2.06, 95% CI 1.041-4.066) were independently related with carotid atherosclerosi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FLD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refore patients with NAFLD need to be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their cardiovascular disease.

      • 간질환의 종류와 간섬유화 등급에 따른 비침습적인 간섬유화 평가법의 유용성 분석

        남지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Purpose: To predict of liver fibrosis in patients with diffuse liver disease is very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rognosis and treatment of patients. Liver biopsy is the gold standard for diagnosing liver fibrosis, but it is causes pain and complications through invasive procedure. In addition, errors can occur for readings because only a small amount of tissue is acquired.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in this study, evaluating the usefulness and suggesting a practical cut-off value of non- invasive liver fibrosis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ype of diffuse liver disease and fibrosis stage.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240 hepatitis C patients who underwent Fibroscan(Echosens, Pairs, France) using the principle of transient elastography and serum test in the same period at the B hospital in Busan from January 2018 to May 2018. The classification of liver diseases was normal state, fatty liver, chronic hepatitis and liver cirrhosis, and the liver fibrosis stage was divided from F0 to F4 based on the results of Fibroscan. Serologic liver fibrosis markers examined age, AST, ALT, ALP, albumin, bilirubin, platelet and prothrombin time us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EMR). Through this, FIB-4 is age(years)×AST(U/L)/ [platelet count(109/L)×ALT(U/L)1/2], APRI is [AST(U/L)/AST(AST upper limit of normal)(U/L)]/platelet count(109/L), AAR is AST(U/L) /ALT(U/L).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data is used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for WindowsTM release ver. 25.0 (SPSS Inc., Chicago, IL, USA). One way ANOVA was performed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correlation and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iver fibrosis markers and liver function test variables. In addition, the ROC curve using MedCalc ver. 18.11.6 (MedCalc software, Ostend, Belgium) was analysed to evaluated the usefulness and suggested practical cut-off value. Result: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ype of liver disease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except age(p<0.05). Cut-off values were increased in order of fatty liver, chronic hepatitis and liver cirrhosis, and AUC for Fibroscan in all diseases were over 0.8, indicating high usefulness. AUC of FIB-4 and APRI for fatty liver were relatively low for chronic hepatitis and liver cirrhosis, whereas AAR was relatively high.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liver fibrosis stage class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Fibroscan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variables except age and AAR(p<0.05), Cut-off values were increased from F0∼1 to F2, F3 and F4.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FIB-4, APRI, AAR and indirect markers used for liver function test were common to ALP, albumin and platelet as influencing variables. The AUC for FIB-4 and APRI were the highest in F2 which is a moderate liver fibrosis, and the AUC values over 0.7 for all stage showed high usefulness. On the other hand, The AAR was not enough to prove useful with an AUC value of around 0.5 for all stage.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can be applied as preliminary data for selective use of useful methods depending on the type of diffuse liver diseas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as analysis usefulness for non-invasive evaluation of diffuse liver disease and liver fibrosis stage. Furthermore, the benefits of non-invasive methods of economic and repeatable measurement can be used to reduce the period for follow up, it is expected that mild liver fibrosis patients can be prevented from developing liver cirrhosis and liver cancer. 목적: 미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간섬유화 정도를 예측하는 것은 환자의 예후 및 치료 결정에 매우 중요하다. 간섬유화를 진단하는 최적의 방법은 간 조직생검이지만, 침습적인 시술로 통증 및 합병증을 유발한다. 또한 소량의 조직만을 획득하므로 판독에 대하여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미만성 간질환 종류와 간섬유화 등급에 따라 비침습적인 간섬유화 평가방법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 실질적인 Cut-off 값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2018년 1월부터 5월까지 부산소재 B병원을 내원한 환자 중 C형 간염으로 진단 받았으며, 순간탄성측정법의 원리를 이용한 Fibroscan(Echosens, Pairs, France)을 시행하고 동일한 기간에 혈액 검사를 한 환자 24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간질환의 분류는 정상군, 지방간, 만성간염, 간경변군으로 하였으며, 간섬유화 등급은 Fibroscan의 결과를 바탕으로 F0에서 F4까지로 구분하였다. 혈청학적 간 섬유화 표지자는 전자의무기록(EMR)을 통하여 나이,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T),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 알부민, 빌리루빈, 혈소판 수, 프로트롬빈 시간(PT)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FIB-4는 나이(년)×AST(U/L)/[혈소판 수(109/L)× ALT(U/L)1/2], APRI는 [AST(U/L)/AST(정상의 상한치)(U/L)]/혈소판 수(109/L), AAR은 AST(U/L)/ALT(U/L)의 식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각 자료에 대한 통계처리는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sTM release ver. 25.0(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였다.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시행하였으며, 혈청학적 간섬유화 표지자들과 간 기능검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MedCalc ver. 18.11.6(MedCalc software, Ostend, Belgium)을 통하여 구해진 ROC곡선을 분석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 Cut-off 값을 제시하였다. 결과: 간질환의 종류에 따른 분석에서는 나이를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Cut-off 값은 지방간, 만성간염, 간경변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모든 질환에서 Fibroscan의 AUC 값이 0.8 이상을 보이며 높은 유용성을 나타내었다. FIB-4와 APRI에서는 지방간에 대한 AUC 값이 만성간염과 간경변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이와 반대로 AAR에서는 지방간의 AUC 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Fibroscan의 결과를 바탕으로 분류한 간섬유화 등급에 따른 분석에서는 나이와 AAR을 제외한 변수에서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05), Cut-off 값은 F0∼F1, F2, F3, F4 순으로 증가하였다. FIB-4, APRI, AAR과 간 기능검사에 이용되는 간접표지자와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에서는 공통적으로 ALP, 알부민, 혈소판 수가 영향을 미치는 변 수로 분석되었다. FIB-4와 APRI의 AUC값은 중등도의 섬유화를 나타내는 F2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든 등급에서 0.7 이상의 AUC 값을 나타내며 높은 유용성을 보였다. 반면에, AAR은 모든 등급에서 0.5 정도의 AUC 값을 보이며 유용성을 입증하기에는 부족하였다. 결론: 미만성 간질환의 종류와 간섬유화 등급에 따라 비침습적인 간섬유화 평가방법에 대한 유용성을 분석함으로써 질환의 종류 및 중증도에 따라 평가방법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기초자료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가진다. 나아가 경제적이며, 반복측정이 가능하다는 비침습적인 간섬유화 평가방법들의 장점을 이용하여 경과 관찰에 대한 기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미한 간섬유화 환자들이 간경변 및 간암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만성 간 질환 환자 가족원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안득숙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만성 간 질환은 만성 간염으로부터 간경변증, 원발성 간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과를 짧으며, 질병의 완치보다는 질병을 조절하며 살아가야하기 때문에 환자와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은 건강상의 문제를 비롯한 의료비 등 여러 부담감과 직면하면서 삶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만성 간 질환자 가족원이 지각하는 부담감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2004년 9월15일부터 11월6일까지 강릉시에 위치한 1개 종합병원에서 만성 간 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 후 외래에 내원한 관자와 소화기내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의 가족원 1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만성 간 질환자 가족원이 지각하는 부담감을 측정하기 위해 서미혜와 오가실(1993)이 개발한 만성 질환자 가족원의 부담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가족원이 지각하는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노유자(1988)가 개발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만성 간 질환자 가족원과 환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가족원이 지각하는 부담감과 삶의 질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가족원과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담감과 살의 질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으며 부담감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만성 간 질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이 지각한 부담감과 삶의 질 정도는 각각 평균평점 3,02±0.64점과 2.92±0.52점이었다. 2. 만성 간 질환자 가족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담감 정도는 가족원의 성별(t=3.981, p=.049), 연령(F=5.66, p=.000), 교육정도(F=5.096, p=.001), 결혼상태 (F=2.993, p=.035),환자와의 관계 (F=2.194, p=.042), 월평균 의료비(F=2.518, p=.02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만성 간 질환자 가족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정도는 종교(F=2.965, p=.027), 의료비 부담자의 월수입(F=2.434, p=.038), 민간 보험 가입여부(t=5.126, p=.027)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삶의 질 하위영역에서는 정서상태 영역이 결혼상태(F=3.903, p=.011), 의료비 부담자의 월수입(F=2.735, p=.017)에서, 경제생활 영역이 종교(F=3.804, p=.007), 의료비 부담자의 월수입(F=2.273, p=.043), 월평균 의료비(F=2.255, p=.037)에서, 자아 존중감 영역이 결혼상태(F=3.136, p=.029)에서, 신체상태와 기능 영역이 결혼상태(F=4.005, p=.010), 종교(F=3.615, p=.009)에서, 이웃관계 영역이 종교(F=4.864,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만성 간 질환자 가족원이 인지한 부담감과 삶의 질 간에는 중정도의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36, p=.000). 이상의 결과 만성 간 질환자 가족원은 중간수준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부담감을 경험하고 있으며, 삶의 질 정도는 보통 정도임을 알 수 있었고, 가족원의 부담감이 클수록 삶의 질이 저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만성 간 질환자를 간호함에 있어 환자뿐만 아니라 간호 대상자를 환자 가족원까지 포함한 간호계획을 수립하고 환자 및 가족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부담감을 감소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계획하여야 한다.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chronic liver diseases, including chronic active hepatitis, liver cirrhosis and hepatoma.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are bound to have various difficulties keeping controlling the diseases without expecting to be cured completely, and their families also have to face the burden of similar difficulties as the careg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family caregivers with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100 peoples whose family members were diagnosed with chronic liver diseases at a general hospital in the city of Gangneung.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given to the family caregivers between September 15 to November 6, 2004. An instrument developed by Seo Mi-hye and Oh Ga-sil(1993) was used in this study to measure perceived burden in family caregivers and the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by Nho Yu-ja(1988) was also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10.0 program and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level of perceived burden was 3.02±0.64. 2. The mean score for level of quality of life was 2.92±0.52. 3. Perceived burde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s and monthly medical spending. 4.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religion, income and existence of private insurance. 5. The data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burden and the quality of life.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nurses who take care of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should map out nursing plans for not only the patients but family caregivers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both groups to lead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be less burdened.

      • Comparison of imaging features of intrahepatic mass-forming cholangiocarcinoma on gadoxetic acid-enhanced MR imaging with and without chronic liver disease만성 간질환 환자와 비질환자에서 종괴 형성형 간내담관암의 Gadoxetic acid 조영 증강 자기공명영상 소견의 차

        Kim, Jae Min 연세대학교 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목적: 비질환자와 비교하였을 때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발생하는 종괴 형성형 간내담관암의 Gadoxetic acid 조영제를 사용한 자기공명영상 소견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 방법: 후향적 설계로 간 절제술로 진단된 총 65명의 종괴 형성형 간내담관암 환자 중 20명은 만성 간질환 환자로 확인되었으며, 45명은 비질환자로 분류됨. 두 군에서 다양한 Gadoxetic acid 조영 증강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비교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단변량 분석 결과에 대하여서는 다변량 분석을 시행함.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발생하는 종괴 형성형 간내담관암은 비질환자에 비해 더 원위부에 위치하였으며, 동맥기 조영 증강이 20%를 초과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나 종괴 주위 및 전반적인 담관 확장을 동반하는 경우는 더 적었음. 이 네 가지 소견의 다변량 분석 결과 동맥기 조영증강이 종괴 면적의 20%를 초과하는 경우 (P = .028, B = 1.552, odds ratio = 4.719) 및 종괴 주위 담관 확장이 없는 경우 (P = .028, B = 1.721, odds ratio = 5.589) 가 만성 간질환 환자의 종괴 형성형 간내담관암을 유의미하게 시사하는 소견이었음. 결론: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발생하는 종괴 형성형 간내담관암은 비 간질환 환자에 비해 Gadoxetic acid 조영 증강 자기공명영상에서 동맥기에 더 넓은 영역에서 조영 증강을 보이며 T2 강조영상에서 종괴 주위 담관 확장이 없는 소견을 보임. Objective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gadoxetic acid-enhanced MR imaging features of intrahepatic mass-forming cholangiocarcinomas (ICCs) between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chronic liver disease (CLD). Methods: Sixty-five patients (M:F=39:26, mean age, 63 [range, 35-80]) with ICCs who underwent preoperative gadoxetic acid-enhanced MRI retrospectively formed our study population. Among them, histopathology of the background liver revealed chronic hepatitis or liver cirrhosis in 20 patients, and no such diseases in 45 patients. Three observers independently reviewed imaging findings including (1) morphology; (2) pattern of enhancement; (3) appearance of T2-weighted image and diffusion weighted imag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by univariable analyse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or Mann-Whitney test) entered into multivariable analysis performed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Univariable analyses revealed that peripheral location and proportion of arterial enhancement >20% of the tumor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although peritumoral bile duct dilatation and diffuse bile duct dilatation were significantly less frequent in ICCs in CLD patients than those without CLD. On multivariable analysis, lack of peritumoral bile duct dilatation (P = .028, B = 1.721, odds ratio (OR) = 5.589) and proportion of arterial enhancement >20% (P = .028, B = 1.552, OR = 4.719) turned out to be the only independently significant differential feature. Conclusion: ICCs arising in CLD patients more frequently show large area of arterial enhancement on gadoxetic acid-enhanced MR imaging and no peritumoral bile duct dilatation on T2-weighted MR image as compared to those developed in patients without CLD.

      • 공혈자 및 B형과 C형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TT 바이러스 및 G형 간염바이러스 검색에 관한 연구

        전미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702

        최근에 발견된 G형 간염바이러스와 TT 바이러스는 분자생물학적 기법에 의해 그 구조가 기존의 바이러스와 상이한 새로운 바이러스로 분류되었으나 아직까지 원인 병원체로서의 역할과 전파경로 및 다른 바이러스와의 중복감염여부 등이 명확히 정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한국인에서 TT 바이러스와 G형 간염바이러스의 양성율을 각각 공혈자군과 B형 및 C형 만성 간질환 환자군에서 구하고 둘째, B형 및 C형 간염바이러스와의 중복감염율을 알아보며 셋째, 이 바이러스들의 수혈전파 가능성을 조사하고, 넷째, 이들 두 바이러스가 간 손상을 일으키는지를 밝혀서 이를 토대로 공혈 혈액에서 TTV 및 HGV에 대한 선별검사의 필요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1999년 8월부터 10월사이 광주·전남적십자혈액원에서 헌혈을 실시한 28,750명 중 건강한 공혈자 113예, 공혈자 중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자 112예, 공혈자 중 C형 간염항체 양성자 69예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총 291예의 공혈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군으로는 전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한 B형 만성 간질환 환자 81예 및 C형 만성 간질환 환자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TTV DNA의 검출에는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을, HGV RNA의 검출에는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을 이용하였고, B형간염 표면항원(HBsAg)과 C형 간염바이러스 항체(anti-HCV)를 효소면역법과 면역블롯법을 이용하여 검사하였으며, alanine aminotransferase(ALT)와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를 측정하였다. 건강 공혈자군에서 TTV 양성율은 8.2%(9/110)이고 HGV 양성율은 1.8%(2/110)로 TTV의 양성율이 약 5배정도 더 높았다. TTV 검출율은 건강한 공혈자군에서 8.2%(9/110), 공혈자 중 B형 간염표면항원 양성자군에서 16.1%(18/112), 공혈자 중 C형 간염항체 양성자군에서 20.3%(14/69), B형 만성 간질환 환자군에서 21.0%(17/81), C형 만성 간질환 환자군에서 22.2%(2/9)로 나타나 B형이나 C형 간염바이러스 감염자군에서 건강 공혈자에 비해 더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HGV의 검출율은 건강 공혈자군에서 1.8%(2/110), 공혈자 중 B형 간염 표면항원 양성자군에서 1.8%(2/112), 공혈자 중 C형 간염항체 양성자군에서 17.4%(12/69), B형 만성 간질환 환자군에서 13.6%(11/81), C형 만성 간질환 환자군에서 11.1%(1/9)로 나타났다. TTV와 HBV의 중복감염율은 18.1%를 나타내었고, TTV와 HCV의 중복감염율은 20.5%, HGV와 HBV는 6.7%, HGV와 HCV는 16.7%의 중복감염율을 보였다. TTV가 검출된 간질환 환자중 66.7%(12/18)와 HGV가 검출된 예중 80%(8/10)에서 과거수혈경험이 있는 반면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은 환자군에서의 수혈경력은 42.9%, 41.0%로 TTV와 HGV 양성자중 과거 수혈경력자가 많았다(P<0.05). 건강 공혈자군에서 TTV 및 HGV 검출에 따른 ALT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고, B형 및 C형 간염바이러스 감염자군에서 TTV나 HGV와 중복감염된 경우에도 ALT 및 AST의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TTV와 HGV 양성인 간질환 환자의 많은 수에서 수혈경력이 있었으므로 이들 바이러스가 수혈로 인해 전파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한편 수혈경력이 없는 공혈자 및 간질환 환자에서도 TTV나 HGV가 검출된 점으로 보아 혈액 이외의 다른 전파경로가 공존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TTV와 HGV의 감염과 간 손상간에 직접적인 유의한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공혈 혈액에서 TTV와 HGV에 대한 선별검사는 불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Objectives : TT virus(TTV) and hepatitis G virus(HGV) were newly identified, but their relation to the liver disease, transmission mode and double-infection rate with other hepatitis viruses were not clarified ye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TTV and HGV in the blood donors and the patients with type B and C chronic liver disease, 2) to observe the double-infection rates of TTV or HGV with hepatitis B or C viruses 3)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ransfusion associated infection of these viruses, 4)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with hepatic damage of these viral infections, and 5) to evaluate the necessity of the screening test for TTV and HGV on donated blood. Methods : Total 381 sera were examined in this study. 291 blood donors, including 110 healthy donors, 112 HBsAg positive donors, and 69 anti-HCV positive donors, were selected randomly at Kwangju-Chonnam red cross blood center from August to October, 1999. 81 patients with type B chronic liver diseases and 9 patients with type C chronic liver diseases were selected at Chonnam University Hospital. TTV DNA was detected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nd HGV RNA was detected by the reverse transcription-PCR(RT-PCR). HBsAg, anti-HCV,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 TTV DNA was detected in 9(8.2%) of 110 healthy blood donors, 18(16.1%) of 112 HBsAg positive donors, 14(20.3%) of 69 anti-HCV positive donors, 17(21.0%) of 81 type B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and 2(22.2%) of 9 type C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HGV RNA was detected in 2(1.8%) of 110 healthy blood donors, 2(1.8%) of 112 HBsAg positive donors, 12(17.4%) of 69 anti-HCV positive donors, 11(13.6%) of 81 type B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and 1(11.1%) of 9 type C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Among blood donors, TTV exhibits about 5-fold greater prevalence compared with that of HGV. Double-infection rate of TTV and HBV, TTV and HCV, HGV and HBV, and HGV and HCV was respectively 18.1%, 20.5%, 6.7%, and 16.7%. 66.7%(12/18) of TTV DNA positive patients and 80%(8/10) of HGV RNA positive patients had transfusion history(p<0.05). ALT was not increased in healthy donors with TTV or HGV. The increase of ALT and AST was not observed also in the patients with type B or C chronic liver disease infected with TTV or HGV.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detection rates of these viruses and the severity of hepatic diseases. Conclusion : In this study, many patients with TTV or HGV showed previous transfusion history,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transmission of TTV or HGV through transfusion. Another transmission mode was suggested, for TTV or HGV positive patients without transfusion history was also observed. However, the pathogenic effects of TTV and HGV on hepatitis seem to be limited, for these viral infection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epatic damag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creening test for TTV and HGV on donated blood is not necessary.

      •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연구를 위한 세포 및 동물실험 모델 개량연구

        성승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알코올성 간질환은 과도한 양의 알코올을 단시간에 마시거나 (음용) 또는 장기간에 걸쳐 일정량 이상의 알코올을 섭취함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범주의 간 손상 및 질환을 의미하며, 중증도에 따라 단순 지방간, 지방간염, 간섬유화증/간경변증 등이 만성 염증 소견과 함께 다양하게 나타난다. 과음 또는 폭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간질환에 의한 사망 요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알코올성 간질환의 병리적 기전과 치료 작용점에 관한 연구가 오래전부터 이어져 오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알코올성 간손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타겟의 발굴 및 유효성 평가에 관한 연구는 불충분한 실정이다. 특히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의약품은 아직 승인된 바가 없으므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가 절실하다.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타겟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실제 알코올성 간질환 소견을 갖는 환자에게서 관찰되는 임상병리학적 특징 및 중증도를 유사하고 재현성 있게 구현할 수 있는 동물 및 세포실험 모델 구축과 활용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통용되고 있는 알코올성 간손상 in vitro 실험모델을 살펴보면, 대다수 실험모델이 과량의 알코올을 단독으로 세포 배양 배지에 처치 후 장시간 배양시키면서 간세포 손상을 유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In vivo의 경우, 알코올이 포함된 식이를 장기간 자발적으로 섭취시키거나 경구를 통해 일정 과량의 알코올을 직접 투여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사람과 동물과의 종 차이에 기인하는 알코올에 의한 조직 손상의 감응성, 알코올 섭취량 및 빈도 등에서의 차이 등으로 인해 실제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간손상 정도를 유사하게 구현하는 것이 한계가 있으며, 또는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 매우 과도하게 인위적인 조건으로 알코올을 투여하거나 장기간 섭취시켜야 하기 때문에 실험모델로서 노동집약적이면서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 특히 알코올 경구 투여의 경우 단시간에 혈중 알코올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특성으로 인해 다른 실험모델에 비해 실험 동물 개체의 사망 위험이 큰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알코올성 간질환 연구모델의 특징을 분석하고 개량하여 효율성과 재현성 측면에서 기존 실험모델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실제 알코올성 간질환 소견을 진단받는 환자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단순히 과음, 폭음의 형태로 알코올만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고열량의 영양소를 함께 섭취하는 경향에 착안하여 실제 알코올 투여 모델에서도 일정량의 지질을 함께 섭취시키는 in vitro 및 in vivo 모델로 변형하여 기존 실험법과 비교하였다. In vitro 모델에서는 알코올과 함께 포화지방산의 일종인 팔미트산(palmitic acid)을 정상 간세포주인 AML12에 처리하였다. 기존 고농도 (200 ~ 300 mM)의 알코올을 세포에 단독으로 처치했을 때는 충분한 세포 손상 효과가 안정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재현성 측면에서도 불규칙적인 실험 결과를 얻었지만, 더 낮은 농도의 알코올 (100 ~ 200 mM)과 팔미트산 (200 μM)을 함께 처치했을 때, 알코올 단독 처치보다 더 안정적으로 간세포 손상이 유도되는 것을 세포사멸 지표인 cleaved caspase-3 활성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in vitro 결과를 바탕으로, In vivo에도 알코올 경구 투여 (binge drinking)와 고지방식이 (high fat diet, HFD - 총열량의 60%가 지질로부터 제공됨)를 함께 섭취시켜 섭취 기간에 따른 간손상 수치를 비교·분석하였다. 7일간의 연속적인 알코올 binge 투여에 의한 실험동물들의 몸무게 감소로 인하여 간 손상을 유도 실험 기간의 연장이 어려웠던 부분과 AST, ALT 수치 측정에서 실험 개체 간의 편차를 줄여, 알코올성 간질환의 개량된 실험모델로써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상기 실험들에서 설정한 조건의 in vitro, in vivo 실험모델에 대표적인 간 보호제 중 하나인 실리마린을 처치하였을 때, 알코올과 지방산의 병용 처치로 상승했던 cleaved caspase-3 단백 발현을 감소시키고, 세포 손상이 완화되었음을 in vitro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실리마린 투여 용량을 달리하여 실험군 설정 시, 제조한 실리마린 용액을 고지방식이를 급여하며 알코올을 병용 투여하는 마우스 실험모델에서 적용하였을 때, 실리마린의 투여 용량에 의존적으로 ALT, AST 수치가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합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알코올성 간질환 실험모델들의 실험 수행 방법을 수정·개량하고 현대인의 실제 음주 소비 패턴을 고려한 과량의 지질 섭취를 함께 적용하여 실제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가 나타내는 임상병리적 증상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는 실험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실험모델의 유효성을 고지방식이와 알코올의 병용에 실리마린의 추가 처치로 확인함으로써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치료연구를 위한 실험모델 구축의 토대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Alcoholic liver disease (ALD) refers to various categories of liver damage and diseases caused by consuming excessive amounts of alcohol over a short or long period of time. Depending on the severity, alcoholic steatosis(simple fatty liver), alcoholic steatohepatitis, alcoholic fibrosis/cirrhosis, etc. appear in various ways accompanied with chronic inflammation. ALD caused by binge drinking is currently reported to account for the highest rate of deaths due to liver disease worldwide. Accordingly, studies on the pathogenesis and therapeutic targets of ALD have been conducted for a long time. However, studies on the discovery and validation of effective treatment targets that can improve alcoholic liver damage are still insufficient. In particular, since medicines that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ALD have not yet been approved, studies are urgently needed to develop effective treatments. In order to identify therapeutic targets for AL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utilize experimental models both in vitro and in vivo that can similarly and reproducibly implement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observed in patients with ALD. Looking at the in vitro models for ALD that have been used to date, most of experimental models use a method of inducing hepatocellular damage by culturing for a long time after treatment with excess alcohol alone in culture medium. In the case of in vivo experimental models, there are methods such as voluntarily consuming a diet containing alcohol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directly administering oral a certain amount of alcohol. However, there is a limit to similarly implementing the level of liver damage seen in patients with ALD in terms of the sensitivity of tissue damage because of differences in species as well as the frequency and the amount of alcohol intake. Alternatively, to meet this, alcohol is administered under very artificial conditions or long-term administration is required, which is labor-intensive and economically ineffici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ral alcohol administration, the risk of uncontrolled death of the experimental animals is high compared to other experimental models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blood alcohol concentration(BAC) in a short tim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LD research model were analyzed and improv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experimental models in terms of efficiency and reproducibility. We focused on the notion that ALD patients usually consume a substantial amount of foods rich in fat when drinking alcohol. Based on this, in vitro and in vivo models were modified and compared with exsiting experimental methods. In in vitro model, palmitic acid, a type of saturated fatty acid, was treated with AML12 along with alcohol. Existing treatment with high concentration (200 mM ~ 300 mM) alcohol alone did not show a significant cell damage effect and irregular experimental results in terms of reproducibility. When treated with lower concentration of alcohol (100 ~ 200 mM) and palmitic acid (200 μM) together, that hepatocellular damage was induced more stably than alcohol alone as confirmed by increased cleaved form of caspase-3 (i.e., an apoptosis marker). Based on these in vitro results, alcohol gavage (binge drinking) and high fat diet (HFD; 60% of total calories provided from lipids) were consumed together in vivo, and the liver damage lev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intake period. In comparison to previous alcohol administration alone model, alcohol plus HFD feeding model represented more enhanced liver damage as shown by elevated ALT and AST level, increased cleaved caspase-3 expression in the liver tissue. Finally, silymarin, one of the representative hepatoprotective agents, was treated in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al models under the conditions established in the above experiments. The expression of cleaved caspase-3 protein, which was elevated by the combination of alcohol and palmitic acids, was reduced and cell damage was alleviated. In addition, when setting up the experimental group by varying the dose of silymarin, ALT and AST levels improved depending on the dose of silymarin when the silymarin solution was administered orally. In summary,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n experimental model that can similarly implement clinicopathologic symptoms of patients with AL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existing experimental models of ALD through applying excessive lipid intake in consideration of actual alcohol consumption patterns of ALD patients. This finding can be utilized as a fundamental knowledge for establishing a novel experimental mode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