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톨릭교육자 ‘되어가기’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율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s is to "educate the whole person" and "evangelize" which is realized through Catholic educators who live out the educational mission of Catholic schools. This study uses a narrative inquiry method to explore how Catholic teachers' religious identity influences thei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ir school communities, and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s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monly used a Christian view of the human person as the foundation and starting point for their educational practice, i.e.,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Catholic educator, they understood themselves based on the biblical view of the human person as an image of God and as a being breathed by God. Their self-understanding becam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ir learners. Their belief that learners are images of God led them to respect their uniqueness and awaken their potential.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y led learners to practice the common good through human freedom and responsibility. In doing so, they led learners to move beyond an interest in the "visible" world to an "invisible" spirituality and a search for truth. The liv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served as models for learners and fellow teachers in the school community,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mselves were committed to and served the communion of the school community. Through this, the Catholic school teacher has lived a process of "becoming" changing, and growing into a "Catholic educator" who participates in the evangelizing mission of the Catholic school. I realized that this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growth does not happen in a single moment, but is a journey through life, leading 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 Catholic school can only become a Catholic school when each one of its teachers accepts and internalizes the purpose of the Catholic school as their own and put it into practice in concrete educational settings. Therefore,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mission and purpose of the Catholic school for all teachers in a Catholic school, as was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and study participants can be seen as a journey of "becoming" a Catholic educator. This suggests that all those who internalize the philosophy of Catholic education in their lives and practice it in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can become Catholic educator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support to help teachers in Catholic schools internalize the philosophy of Catholic education. Keywords: Catholic schools, Catholic school teachers, Catholic educators, teacher identity, narrative inquiry, Christian humanistic perspective 본 연구는 가톨릭학교에서 교직을 시작한 교사들이 가톨릭교육자로 되어가 는 과정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이해하고자 한다. 가톨릭학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정신을 기초로 ‘복음화’와 ‘전인교육’의 사명을 살아간다. 가 톨릭학교는 가톨릭교육자를 통해 이 사명을 실현한다. 근대 이후 학교는 학생의 학습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교사는 교육 의 변화를 일으키는 데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의 학교 교육 상황에서 교사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것은 낮은 교직 만족도 로 나타나고 있다. 현대 사회의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은 교사 정체성 관련 연구물의 급증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교사 정체성의 문 제는 ‘한 인간으로서의 나’와 ‘교사로 요구되는 나’ 사이의 균형있고 통합적인 관계를 모색하는 일이다. 하지만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적 주체 개념의 영향 에서 비롯된 한 개인 안에 공존하는 다양한 주체로 인한 혼란, 신자유주의 영 향으로 인한 극심한 경쟁과 교사 소진의 증가, 변화하는 교육환경과 정책 등 과 같은 시대적 상황은 교사 정체성 형성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한국의 교육 현실 속에서 가톨릭학교는 가톨릭학교 정체성 구현의 어려움, 사립학교로서의 자율성 확보의 어려움, 가톨릭적인 교육의 부재, 교회 내 관심 부족, 가톨릭 교원양성 기회 부족, 종교교육의 어려움 등의 도전을 받고 있다. 특히 한국의 교사 양성은 국가의 통제를 받는 상황으로 가톨릭학교를 위한 별 도의 교사 양성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가톨릭 고등교육기관에서도 가톨릭 학교 교육철학에 바탕을 두고 교사를 양성하지 않으며 교직과정에서 가톨릭교 육을 소개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 결국 가톨릭교육을 위한 교사 양성은 가톨 릭학교가 교사를 임용한 이후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는 많은 가톨릭교육자들 이 가톨릭학교 임용 이후에야 가톨릭학교가 추구하는 ‘전인교육’과 ‘복음화’의 교육목표를 접하데 되므로, 가톨릭학교가 갖는 교회적 특성을 이해하고 가톨 릭학교의 사명을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하는 것이 그들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됨 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의 가톨릭학교가 갖는 교사교육의 어려움 속에서도 가톨릭학교가 추구하는 복음화 사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가톨릭교육자들이 가톨릭학교의 정체성과 교육이념을 어떻게 내면화하여 이해하는지, 이러한 이 해를 교육활동에서 어떻게 실천하는지의 과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 이 ‘가톨릭학교 교사-이기’에서 ‘가톨릭교육자 되어가기’의 과정일 것으로 보았 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자가 가톨릭학교에서 교직을 시작한 ‘가톨릭교사-이기’에서 가톨릭학교의 교육철학을 내면화하는 과정을 통해 ‘가 톨릭교육자’로 변화․성장해온 삶의 경험 이야기에서 출발한다. 또한 연구참여 자들의 삶의 경험 이야기에 담긴 ‘가톨릭교육자 되어가기’의 과정을 이해하고, 성경과 교회 문헌을 통해 ‘가톨릭교육자 되어가기’의 의미를 탐구했다. 즉, 가 톨릭교육자의 삶의 경험 이야기 속에서 전인교육과 복음화의 사명을 지닌 가 톨릭학교의 교사들이 가톨릭 교육철학을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하는 과정을 살 펴보았다. 또한 가톨릭교육자가 자신의 삶에서 내면화한 가톨릭 교육철학을 그의 교육활동에서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의 경험 이야기를 탐구하였다. 교사 정체성의 기반이 되는 ‘교사의 자기 이해’는 교육활동의 기반이 된다. 이에 교사의 직무수행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는 영역 즉, ‘학습자와의 관계’, ‘교수-학습 운영’, ‘학교 공동체에 대한 이해’, ‘교직에 대한 이해’의 범주와 연 결하여 교사의 경험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경험 이야기를 기반으 로 연구참여자가 자기 삶에서 내면화한 가톨릭교육철학을 자신의 교육활동에 서 어떻게 실천하는지의 경험의 이야기를 탐구하는 내러티브 탐구를 방법론으 로 수행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관계적 맥락에서 자기 경험에 담긴 정체성의 의미를 발견하고 이해를 깊게 하는 데 유용한 연구 방법이기 때문이다. 연구참여자의 내러티브를 통해 이해하게 된 ‘가톨릭교육자 되어가기’는 가 톨릭교육자 한 명 한 명이 가톨릭학교의 사명과 목적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 여 내면화하고 이를 구체적인 교육활동에서 실천하는 과정이었다. 그 과정에 서 가톨릭교육자가 자신의 신앙을 바탕으로 인간이 ‘하느님의 모상’이라는 그 리스도교 인간관을 지니는 것은 그의 교육활동의 기반이며 출발점이었다. 즉, 가톨릭교육자가 갖는 그리스도교 인간관에 대한 믿음과 그를 통한 자기 이해 는 학습자 이해, 교수-학습활동, 동료 교사와의 관계 등의 학교 공동체, 교직 에 대한 이해의 바탕이 되었다. 연구참여자는 가톨릭학교라는 상황에서 ‘인간 을 사랑하시는 하느님’에 대한 믿음을 자기 삶과 활동을 통해 증거함으로써 가톨릭학교가 갖는 ‘복음화’와 ‘전인교육’의 사명을 실천하는 ‘생명의 교육자’가 되어가고 있었다. 이를 통해 ‘가톨릭교육자 되어가기’의 여정은 한 순간에 완 성되는 것이 아니라 삶을 통해 늘 이어지는 과정이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가톨릭교육자 되어가기’의 과정은 가톨릭교육자가 갖는 종교적 정체성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가톨릭교육자의 삶 의 경험에서 자신이 하느님의 사랑을 받는 존재이며, 자신에게 주어진 모든 것이 하느님의 은혜라는 것을 알고 감사하며, 이를 자기 교육활동의 기반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즉, 그의 정체성의 근원에는 인간을 사랑하시는 하느님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 그 믿음은 가톨릭교육자로서의 소명을 실천하 는 기반이 되었으며, 자신을 둘러싸고 생겨나는 다양한 상황 속에서도 흔들리 지 않는 정체성을 지니고 자신의 교육활동을 실천하는 힘이 되었다. 그그런 점에서 가톨릭교육자 되어가기의 과정은 그리스도교 신앙이 중요한 의미를 매 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주제어 : 가톨릭학교, 가톨릭교육자, 내러티브 탐구, 교사 정체성, 그리스도교 신앙, 그 리스도교 인간관.

      •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

        조민환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실천신학 전공 <지도 : 이 경 상 교수> 조 민 환 제 삼천 년 기에 들어선 지금, 대한민국 공교육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입시라는 굴레와 사교육의 확대 속에 학교교육은 그 고유의 본질적 목적과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아울러 일부 사립학교의 교육 부조리나 재단 내의 경영상 횡포로 인한 사립학교법 개정은 가톨릭 학교와 같이 모범적인 사학의 건학이념을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안에서 본 소고는 가톨릭 학교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을 고찰하고자 했다. 그런데 학교교육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은 교회 내 학교 당국 및 관계자들에게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지역교회 구성원 모두의 몫이고 결국 그 지역교회를 돌보는 교구장 주교의 의무이자 책임으로 이어진다고 하겠다. 필자가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로 논제(論題)를 선택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본고는 ‘교회법’이라는 학문의 범주 아래에서 “가톨릭 학교교육과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대한 고찰을 하고 있으므로, 그 내용을 전개하기 위한 방식은 ‘교회법’이 지닌 3가지의 고유한 연구 방법론-연대적 분석(Chronological Analysis), 이론적 접근(Theoretical Approach), 사목적 제언(Pastoral Proposal)-을 택하였다. 본문은 Ⅰ부와 Ⅱ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Ⅰ부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시했다. 제1장에서는 『1917년도 교회법전』의 교육과 관련된 법령들을 ‘교육의 중요성’, ‘가톨릭 대학교와 학위’, ‘학교 감독에 관한 주교의 권리’라는 주제로 알아보았다. 제2장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의 「그리스도인 교육에 관한 선언」을 필자가 ‘교육의 원리와 목적’, ‘교육의 의무와 책임’, 그리고 ‘가톨릭 학교’라는 주제로 분류한 후, 공의회가 선언하는 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1983년도 교회법전』을 ‘교육의 책임’과 ‘교육의 수단’이라는 주제로 나누어 ‘교육의 책임’에서는 <부모>와 <국가> 그리고 <교회>라는 소제목으로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단’에서는 법전이 제시하는 학교에 대한 조항들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가톨릭 교육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들 가운데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 「학교 내의 가톨릭 평신도 :신앙의 증인들」, 「제삼천년기의 문턱에 서 있는 가톨릭 학교」,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을 살펴봄으로써, 가톨릭 학교교육과 관련된 교구장 주교의 역할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Ⅱ부의 제1장은 본격적으로 교구장 주교의 법적 책임과 권리에 대해 1983년도 법전을 근간으로 논하며, ‘학교의 설립’과 ‘감독과 시찰’ 그리고 ‘가톨릭 학교에 관한 명명권과 인재양성’이라는 주제에 따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미국과 독일의 가톨릭 학교교육 실황을 제시하면서, 외국의 선험 사례를 참고로 하여 가톨릭교회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학교교육을 개선시켜야 되는지를 모색했다. 제3장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의 사명에 위배되는 한국의 공교육 현실의 배경인 여러 사회적 문제들 중 중추적이고 대표적인 문제인 ‘사학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사학의 공공성과 자주성’에 대하여 고찰했다. 그리고 사립학교법이 현장에서 어떠한 양태로 드러나는지 ‘사립학교법의 현실’에 관한 제목으로 ‘학교 운영권에 대한 제한’과 ‘종교교과목에 대한 제한’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을 위한 교회의 노력과 대응들에 대해서, 먼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권리를 ‘천부적 권리’라는 제목으로 간략히 설명하고, 한국 교회의 대응책을 공시적 접근과 통시적 접근으로 강구해보았다. 이어서 한국에서 가톨릭교회가 시행하고 있는 몇 가지 노력들을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 헌장’과 ‘가톨릭 학교교육 포럼’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현실의 제도가 가톨릭 학교교육의 영성을 막고 있다면, 교구장 주교의 힘 있는 발언과 교회 내의 신자들이 힘을 모아, 그 제도를 가톨릭 학교교육의 영성을 실현하는 쪽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바로 제도적 투신으로 가톨릭적 입법들을 제시하고 그러한 법률들을 발판삼아 본질적 의미에서의 가톨릭 학교교육을 구현하자는 것이다. 아울러 “장학금 제도”를 통하여, ‘가난하고 소외된 어린이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함’이라는 가톨릭 학교의 본질적 목적을 이행하고 귀족교육의 한정성을 경계하자고 언급하였다. 그 결과, 가톨릭 학교교육이 이 사회의 학교교육에 정향(正向)을 제시하고, 공교육의 모범적 사례로 본(本)을 보여줌으로써 이 사회에서 계속 벌어지는 양극화 현상의 극복에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A Study on the Role of a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Cho, Min-Hwan Department of Practical Theology, Graduate Schoo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irector : Prof. Lee, Kyung-Sang> At the entrance of the third millenium, people show a high degree of concern about Korean public education. The school education seems to be losing its own essential purpose and identity, with the pressure of entrance exams and increasing private education for students. Moreover, irregularities and injustice in running of some private schools has caused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s law, which obstructs the establishment of exemplary private school with appropriate foundation including Catholic school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thesis studies the Catholic church's efforts to realize the ultimate goals of Catholic school education. Such efforts, however, are not a matter limited to the school authorities. These efforts should be responsibility of all members of a parish church and eventually, of the diocesan in charge of the diocese. This opinion has named this thesis as "the role of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This thesis explores the Catholic schooling and a diocesan's role in it under the discipline of Canon Law. Therefore, three characteristic methodologies of Canon Law are used to develop the content: chronological analysis, theoretical approach, and pastoral proposal. The body of the text consists of Part I and II. In Part I, the legal foundation of Catholic schooling is presented. Chapter one examines the laws related to education in The code of Canon Law(BenedictⅩⅤ )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and degree' and 'a bishop's right to supervise schools.' Chapter two studies Documents of the Vatican Council Ⅱ - Declaration on Christian Education, Gravissimum Educationos under the headings of 'the principle and purpose of education,' 'the duty and responsibility of education,' and 'the Catholic school' and points out the basic facts of education strategy declared by the Council. Chapter three explores The code of Canon Law (John PaulⅡ) under the two subjects: one is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where the discussion develops through the headings of 'parents,' 'nation,' and 'church'; the other is the 'means of education,' which examines legal articles from the Code mention Catholic schooling. Chapter four refers to such documents as The Catholic School, Lay Catholics in Schools : Witnesses to Faith, The Catholic School on the Threshold of the Third Millennium, and Apostolic Constitution of the Supreme Pontiff John PaulⅡ on Catholic Universities, among the various instructions of church on Catholic education, to learn the role of a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Based on The code of Canon Law (BenedictⅩⅤ ), c hapter one of Part II discusses the legal responsibility and right of a diocesan in depth, under the subjects of 'foundation of a school,' 'supervision and inspection,' and 'right to name Catholic schools and nurturing of human resource.' Chapter two provides the reality of American and German Catholic school education and searches for the right direction for our Catholic church to improve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precedents of other countries. Chapter three shows how the fundamentals of "private schools law" is against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ing, and how such laws generate various social problems within i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s on both public and independent nature of private schools, sometimes referred to be a double-edged sword. In addition, this chapter examines restrictions on school administration and religious subjects under the subtitle of 'the reality of private schools law' in order to demonstrate how the current law reveals its weakness. Finally, chapter four discusses the church's effort and counterplan to improve Catholic school education. Chapter begins with brief explanation of the human rights to be educated as 'God-given rights' and deliberated the counterplan of Korean church through synchronic and diachronic approaches. Subsequently, it presents ‘Charter of The Korea Catholic school Education’ and ‘Catholic School Education Forum’ as examples of the efforts made by Korean Catholic church. In conclusion, the author argues that if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hinders spirituality of Catholic school education, the system should be redirected to fulfill the spirituality through voicing enthusiastic opinions of the diocesan bishop and all church members. This effort can be done by offering Catholic legislation as institutional countermeasures and stepping-stone; such legislation will guide the church to accomplish the fundamental sense of Catholic education. Furthermore, the author suggests that Catholic schools should enlarge scholarship to persue its essential goal of 'offering educational opportunity to poor, neglected children' and stay wary of the limitations of aristocratic education. As a result, the author hopes Catholic school education would become a solution to alleviate the increasing socioeconomic polarization by providing the right direction of education and setting an outstanding example for public education in this society.

      • 가톨릭학교의 조직풍토와 교사응집성과의 관계연구

        고요섭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87

        이 연구는 가톨릭학교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응집성과의 관계에서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조직풍토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것이 교사집단의 응집성과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에 가톨릭계 학교 10개교를 선정하여 281명을 대상으로 노종희의 한국판 학교조직풍토질문지와 이상호가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가톨릭학교의 조직풍토는 교사집단의 응집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집성이 강하면 조직의 생산성도 높으며, 직무만족도도 높고, 이직율이 낮으며, 낮은 수준의 단위로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구성원의 응집성이 높은 집단은 구성원들이 집단에 머무르고자 하는 확률이 높을 뿐 아니라 집단의 유지와 목표달성에 적극적인 임무와 기능을 다하게 되고 구성원들에게 집단규범에 동조시키는 밀착력과 집단에 대한 적극적 참여를 조장하고 충성심을 강화시킨다. 집단응집성은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기를 평가하게 되고 다른 성원에게 자신이 수용되며 상호신뢰를 높이고 자기 발전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톨릭학교 조직풍토의 긍정적 조성을 위하여 교사 집단의 응집성을 강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가톨릭학교의 조직풍토는 교사 집단의 목표에 대한 동의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가 없으면 일에 대한 매력도 없고 유인력도 없다. 교사가 하는 일의 목표가 집단의 목표와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분명하게 앎으로서 개인업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며 일에 대한 적극성이 생기고 집단에 대한 응집성이 강해진다. 셋째, 교사의 소속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친교적, 헌신적, 방관, 관료지향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교사가 집단과 동일한 규범을 가지게 되면교사는 마음의 안정을 가지게 되며 동류의식이 생겨 응집성이 강해진다 넷째, 학교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집단의 분위기를 서로 친애롭게 하며 학교장과 교사들 사이에 상강하애의 기풍을 지니는 집단분위기는 응집성을 강하게 한다. 다섯째, 교사의 응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친교적, 헌신적, 방관적, 인간지향 및 관료지향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that teachers perceived between catholic school's organizational climate and the cohesiveness of teachers in the schools and to judge if catholic school's organizational climate and the cohesiveness of their teachers' group are related or not. For attaining this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0 catholic schools and 281 teachers in Korea. To survey this study, the resercher used No jong-hee's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SPSS 10.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schools is clearly related to the cohesiveness of teachers' groups. If the cohesiveness of teacher's group is strong, the productivity of organization an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is high, and separation rate is low. In addition, even a low standard of the cohesiveness of teacher's group can attain its goal. It is quite probable that a strong sense of cohesiveness will remain in the teacher's group. The teacher's group with strong cohesiveness can perform its duty and keep its group together and accomplish its goal. Also, the group has strong power to cooperate with the group's role, it encourages them to participate within the group actively and strengthens their loyalty to the group. The cohesiveness of teacher's group made their estimation of themselves through their interaction. Each member in the group interacts with other members building confidence in each other, so that each member will show his growth. As a result, the authority of school must strengthen the cohesiveness of teacher's group to make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schools positive.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schools is closely related to the agreement to the goal of teacher's group. If teacher's group has no goal, they don't feel attracted to their job The teachers must know their own goal and group's goal clearly and how they are related with each other. Knowing this , the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ach individual's job and perform their job with dedication. So that the cohesiveness of the teacher's group is strengthened. Third, to raise teachers' sense of belonging , we have to promote close friendship, devotion to each other, forgiving, bureaucracy as important. If the teachers have their groups and some rules they remain stable emotionally, and also the consciousness of co-workers is achieved and cohesiveness of teachers becomes strong. Fourth,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the atmosphere of school should be good. The atmosphere and the spirits of a school should be respect higher ranking persons and love lower ranking persons, which makes the cohesiveness of teachers strong.. Fifth, for teachers' future we have to consider close friendship, devotion to the profession, caring, reaching out to mankind and bureaucratic support as important. When teachers are better treated and possibility of promotion can be seen, they remain stable and without stress and problems, the cohesiveness of teachers becomes strong.

      • 가톨릭계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 교사들의 암묵적 가정에 대한 비교

        심원택 동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암묵적 가정이 집합적으로 드러난 교사집단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분석과 가톨릭계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 교사들의 암묵적 가정에 대한 차이점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사집단의 문화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문헌자료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연구를 통해 드러난 문화적 특성인 암묵적 가정의 패턴을 부산광역시내의 가톨릭계 고등학교 3개교와 일반 고등학교 3개교에 재직중인 고등학교 교사 24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질문지에 의한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문화적 가정의 5가지 범주와 교육적 가정의 8가지 범주를 하위요인으로 하는 암묵적 가정의 측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일관된 패턴의 문화적 가정에 기초한 강력하고 특징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는데, 다만 문화적 가정의 범주인 인성의 본질에 대한 가정과 진리의 원천에 대한 가정에서 가톨릭계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가톨릭계 고등학교 교사들은 인성의 본질을 선한 것으로 가정하고 있으며, 진리의 원천에 있어선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서 진리가 드러난다고 인식하고 있다. 반면 일반 고등학교 교사들은 인성의 본질을 선·악 이전의 상태로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고 가정하고 있으며, 진리의 원천은 초자연적인 실재를 통해서 주어진다고 인식한다. 둘째,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인간 존재의 특성은 생각하고 판단하는 이성적 존재로 보며,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인격을 지닌 상호 주체적인 관계이고, 인간과 환경은 서로 조화를 이루며 살아간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교육의 내용에 대한 가정에서 가톨릭계 고등학교 교사들은 정신과 지성의 훈련에 적합한 과목을 중점으로 하는 교양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일반 고등학교 교사들은 인간의 정서 및 심미적 성향과 도덕적 성향을 계발하기 위한 인문학과 예술에 초점을 맞춘다. 넷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의 특성은 대체적으로 자유로운 선택을 통해 개인의 삶을 만들어 가는 존재라고 가정하고 있다. 이러한 학생들에 대하여 교사들은 학생들 스스로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안내하는 조력자라고 인식한다. 다섯째, 학교가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관심사에 대하여 교사들은 학생들의 흥미와 욕구를 존중하는 전인적 교육을 제공하는데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학교의 교육적 환경은 현실생활의 한 장면이 아니라 미래의 삶을 위한 준비와 지적 잠재력을 개발하는 곳이라고 가정한다. 여섯째, 교육의 본질은 선택과 선택에 대한 책임 의식을 일깨우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교육은 문제의 해결을 통하여 현재의 경험을 재구성함으로써 학생들의 성장을 목적으로 한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한 교육의 방법은 풍부한 의사소통과 평등한 참여를 통한 협동적·집단적 문제해결에 있다고 가정한다. 일곱째,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암묵적 가정이 집합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교사들의 패턴은 대체적으로 실존주의와 진보주의적인 경향을 지니고 있다. 특히 교육의 목적이나 방법, 그리고 교사의 역할에 대한 가정에 있어선 다소 높은 진보주의적 성향을 띄고 있다. 여덟째, 교사들의 암묵적 가정으로서의 문화가 학교 유형별로 큰 차이점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는 것은 교사문화 형성에 학교의 설립별 특성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학생선발부터 교과편성까지 정부의 간섭아래 있으면서 오랫동안 평준화 제도에 순치되어 온 결과이다. 공교육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우리 나라 사립학교의 특성상 독자적인 학교의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학교문화를 구성하는 집단으로서의 교사들에게서 학교별 특성의 교사문화를 찾는다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아홉째, 교사들의 암묵적 가정의 패턴을 통해서 드러난 바람직한 교육에 대한 가정은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질문을 통한 풍부한 의사소통과 개인차에 따라 분화된 교육과정의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개성을 살리고, 학생들을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하면서, 학생들의 전인적인 성장을 진심으로 바라는 데 있다. 이러한 교사들의 기본적 가정이 현실화되고 구체화 될 때 바람직한 학교문화 형성의 기초가 되는 교사들의 문화가 자리잡게 될 것이다. This research purposes to analyze cultural characteristic of teacher group where tacit assumptions are collectively shown and to examine closely difference for Catholicism-based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tacit assump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literature data for elements that compose culture of teacher group being selected as theoretical background, investigation is implemented by questionnaire method to 240 high school teachers who are holding office at 3 Catholicism-based high school and 3 general high school of Busan city about tacit assumptions pattern of cultural characteristic that is detected through research. As investigation tool, measurement questionnaire paper on tacit assumptions are used, which includes cultural assumption 5 category and educational assumption 8 category for low rank factor. Conclusion that is gained based on result that analyze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teachers were forming strong and diagnostic culture based on cultural assumption of being consistent pattern in general,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Catholicism-based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in assumption for resource of truth and for essence of human nature that is cultural assumption category only. Catholicism-based high school teachers being supposing essence of human nature by meek thing, are recognizing that truth through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 is detected on resource of truth. Whereas,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being supposing that essence of human nature is decided depending on environment in prior state to virtue and evil, are recognizing that resource of truth is given through supernatural being. Second, teachers commonly think characteristic of human being as rational existence that think and judge, and teacher and student's relation is independent mutually that have personality, and are recognizing that human and environment harmonize with each other. Third, Catholicism-based high school teachers are focusing in culture education that do subject that are suitable in training of psychiatry intelligence in assumption for contents of education by emphasis, but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focus literae humaniores and art to develop human's emotion, sensuous habit and moral inclination. Fourth, it is supposed that student's characteristic which teachers recognize is existence that make individual's life through free selection in general. Teachers recognize that they are helpers to assist and lead students to study voluntarily and independently by themselves. Fifth, teachers suppose that concerns that school must focus are supposed to be offering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at respect students' interest and desire. And suppose that educational environment of school is not place of current real life but place that develop ready for future life and intellectual potential energy. Sixth, they are thinking that essence of education is making aware of sense of obligation about choice and choice, and are having awareness which education do students' growth by purpose reconstituting current experience through solution of problem. Method of education for this is supposed to be solving problems cooperatively and collectively through rich communication and equal participation. Seventh, teachers' pattern where tacit assumptions about education is detected collectively has existentialism and progressive tendency in general. Specially, in the assumption about objective or way of education, and teacher's role, progressive inclination of high quantity is seen. Eighth, it is proving that establishment characteristic of school is not influencing greatly in teacher culture formation that culture as teachers' tacit assumptions are not showing big difference in school type. This is as result that is brought about in equalization system for a long time being under governmental control from selecting students and organizing curriculum. In our private school's characteristic that has inclination of public education, it was impossible that form independent school culture and it is on difficult condition that find teacher culture according to school characteristic from teachers group who compose school culture. Ninth, assumption about desirable education which is become known through teachers' tacit assumption pattern is developing students' personality through rich communication through question that stimulate intellectual curiosity and operation of curriculum that is erupted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tion and respecting students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and desiring students to be well-rounded sincerely. when these teachers' basic assumptions are actualized and materialized, teachers' culture which become draft of desirable school culture formation may situate.

      •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대한 연구 : 대전교구 내 가톨릭학교를 중심으로

        박지목 대전가톨릭대학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71

        청소년은 교회의 미래이며 우리 사회의 미래이다. 청소년은 자신들의 삶을 아름답게 설계하고 가꾸어 갈 권리와 의무를 갖는 사회적 주체이다. 그러나 최근에 나타난 청소년 폭력실태로 인해 많은 청소년들이 피해를 입고 있으며 그 수준도 가히 상상을 초월할 정도이다. 청소년들의 폭력은 더욱 조직화, 지능화, 저연령화 되어 가고 있으므로 교회와 사회는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이미 심각한 문제로 제기된 청소년들의 폭력문제를 천주교 대전교구 내 가톨릭학교들에 국한시켜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요인, 가정적 요인, 학교 환경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의 측면을 중심으로 실태분석을 통한 대안제시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제1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학교 폭력의 개념과 유형, 청소년 폭력의 원인을 청소년기의 신체적·심리적 요인, 가정적 요인, 학교 환경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청소년 폭력 가해 · 피해실태, 물질적 폭력 가해 · 피해실태, 심리적 폭력 가해 · 피해실태, 언어적 폭력 가해 ·피해실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신·구약성서와 교부들의 문헌, 교황 문헌을 통해 나타난 폭력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을 살펴보아 청소년의 학교 폭력이 교회의 가르침에 어떻게 위배되는가를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학교 폭력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대안으로서 신체적·심리적 측면에서는 첫째, 인간의 존엄성을 체득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둘째, 자아를 사랑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가정적 측면에서는 첫째, 부모들이 자녀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둘째, 부모들이 올바른 가정교육관을 가져야 한다. 셋째, 자녀들과 대화하도록 부모들이 노력해야 한다. 넷째, 부모들이 자녀들의 여가시간을 지도해야 한다. 학교 환경적 측면에서는 첫째, 학생들이 학교에 머물고 싶어하도록 생활의 장으로서의 학교를 만들어야 한다. 둘째, 바람직한 교사상이 확립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 상담체계 및 교사 여건의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성적 중심주의를 지양하고 특별활동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 내 시설물의 개선과 확충이 필요하다. 사회 환경적 측면에서는 첫째, 비폭력 지향과 인간중심의 가치관의 사회적 확산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청소년들에게 유해한 환경 제거와 대중매체의 폭력에 대한 자율을 규제해야 한다. 셋째, 사회의 이타적인 윤리와 도덕성이 회복되어야 한다. 넷째, 청소년 폭력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보급과 폭력 치료센터의 설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청소년의 건전한 놀이 문화와 전용 문화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청소년 폭력 문제는 어느 한 측면만의 해결로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전 사회와 교회, 구성원 모두가 인식을 갖고 노력할 때 그 때 비로소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매우 복합적인 문제이다. 우리 모두의 관심이 절실하다. Youth is the future of the Church and our society. He is the social subject who has the right and duty to plan his life and take care of it beautifully. But many of them are being damaged by youthful violence appeared recently, and the its level is something unimaginable. For the violence of youth is getting more and more organized, intellectualized, and younger, the Church and society have to prepare a positive policy for it. Therefore this inquiry aims at suggestion of devices through the analysis of reality centered on the aspect of their physical-psychological, home, school-environmental,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confining the problem of their violence already proposed seriously to the Catholic schools in Daejon Diocese. Chapter 1, as a theoretic ground, examined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 of youth, the concept and the type of school violence, and the reason for youthful violence, distinguishing them into physical-psychological, home, school-environmental,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of an adolescent period. Chapter 2 suggested the method and the process of this study. Chapter 3 analyzed the results by study, distinguishing them into the general character of study object, the reality of injurer and injured in physical ,material, psychological, and linguistic violence, and suggested the interrelation among them. Chapter 4 examined how the school violence of youth runs counter to the teachings of the Church in view of the Scripture, the documents of the church fathers and the Holy See. Chapter 5 suggested devices for the school violence of youth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 As the precautionary measure against the school violence, in physical-psychological aspect first of all they should be educated to realize human dignity and then to love themselves. In family aspect, first, parents should have time to stay together with them. Second, parents should have a right viewpoint on family education. Third, parents should try to converse with them. Fourth, parents should direct their leisure time. In school-environmental aspect, first, school should be made into the place where they wish to stay. Second, a right image of teacher should be established. Third, an improvement of counseling system in school and teachers' condition is needed. Fourth, record-centricism should be sublated,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be activated. Fifth, improvement and expansion in school facility are demanded. In social environmental aspect, first, a social spread of nonviolent inclination and human-centric value should be attained. Second, harmful environment for them should be removed, and violence of the mass media should be restricted. Third, social and altruistic ethics and morality should be recovered. Fourth, development and spread of remedy for youthful violence and establishment of the clinic for their violence should be attained. Fifth, a sound culture for their leisure and security of the space for their own culture are demanded. The youthful violence problem is not something to be solved just in one aspect. When the whole society and the Church, all the members make effort with full consciousness, it can be solved. All our concern is urgent.

      • 가톨릭 중학교 종교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연구 : 동성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권오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재단에서 설립한 중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종교교육이 실제적으로 중학교 학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 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이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첫째, 가톨릭 중학교의 종교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가톨릭 중학교의 종교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가톨릭 중학교의 종교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교육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종립학교들 중 가장 종교내부적인 차이점이 적은 가톨릭 종립학교 그 중 중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종교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종교교육에 포함되는 종교교과수업, 종교행사, 종교의 자유 침해에 대한 인식과 종교교육에 대한 실제 학생들이 느끼는 만족도와 효과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조사된 인식, 효과, 만족도 연구를 통해 학생들에게 실제 필요한 종교교육의 내용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그 다음 이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과연 현 종교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문제점이 있다면 그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종교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국가와 사회 차원에서 종립학교 종교교육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지만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접점과 핵심가치는 ‘실제로 종교교육을 받고 있는 중학생들이 종교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제인 중학생들의 종교교과에 대한 인식, 효과, 만족도에 대한 조사는 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하는 데도 중요할 뿐 아니라 종교선택의 자유와 종교교육의 자유의 충돌에 대한 논의에서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영성증진집단상담이 가톨릭주일학교 교사의 영성,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김성화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8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pirituality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on spirituality,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Sunday school teachers. 16 Sunday school teachers at L Catholic church in Busan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the program, pre-tests was executed with Spirituality,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o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pirituality improvement train program for 100 minutes in twice a week (total 9 times). But the control group didn't take part in any program. Both groups took a post-test after the program by utilizing the same inventor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as obtained by using SPSS/WIN 12.0 and ANCOVA was utilized to mak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spirituality improvement train program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spirituality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above, the spirituality improvement train program are very effective to improve spirituality,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Sunda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finding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offered.

      • 신학대학교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 가톨릭 신학대학교를 중심으로

        김주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1

        이용자의 정보요구 변화와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로의 전환 그리고 도서관의 심화된 경쟁 등의 도서관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는 이용자 기대의 변화와 도서관 경영의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이용자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그들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노력이 도서관 경영에 필요하게 되었으며, 도서관 품질 평가에 있어 수치적인 측면에서 탈피하여 고객중심의 품질평가로의 전환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이러한 상황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 서브퀄, 라이브퀄의 평가척도들을 분석·재구성하여 S 가톨릭신학대학교 도서관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가톨릭 신학대학교 도서관 서비스 품질 구성차원으로 직원, 자료 및 정보자원, 이용 및 서비스 지원, 시설을 제시하였다. 각 차원에 대한 이용자가 인식하는 중요성 정도를 점수화 한 경우의 순위는 자료 및 정보, 직원, 이용 및 서비스, 시설 및 장비로 나타났고, 이용자 기대치의 순위는 시설 및 장비, 직원, 이용 및 서비스지원, 자료 및 정보자원으로 나타났다.둘째,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용자의 기대치와 지각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용자의 기대치는 시설 및 장비, 직원, 이용 및 서비스 지원, 자료 및 정보자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대치는 예상보다 매우 높은 기대치이며, 기대치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이에 반해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용자의 지각치는 직원, 이용 및 서비스 지원, 시설 및 장비, 자료 및 정보자원 순으로 나타났다. 각 부문별로 이용자들은 주로 직원과 서비스 지원 및 이용에 대해 비교적 높은 지각치를 보이고 있다.셋째,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품질(도서관 직원, 이용 및 서비스 지원, 자료, 시설 및 장비)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전반적인 이용자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 모형에 대한 검증결과, 가톨릭 신학대학교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중 직원을 제외한 시설 및 장비, 자료 및 정보자원, 이용 및 서비스 지원 차원은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넷째, 이용자의 지각치와 재이용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서비스 품질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지각치)가 높을수록 재이용의도도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상관계수를 기준으로 재이용의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변수를 파악하여 보면 직원>자료 및 정보자원>시설 및 장비>이용 및 서비스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인구 통계적 요인 중 성별과 종속변수 간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종속변수인 고객만족도는 남・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인구 통계적 요인 중 소속집단과의 분석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인 서비스차원 중 자료・정보와 시설・장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른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파악되지 않았다.본 연구는 신학대학교 도서관 중 가톨릭 신학대학교 도서관 서비스에 한정하여 그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그 한계가 있으나 신학대학교 도서관도 이용자의 변화와 도서관 경영의 변화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그 품질평가 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겠다. The changes of the information requirements by users, transformation of services focused on the user, the rising competition between libraries and other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libraries have brought forth changes in the user expectations and management of libraries. Therefore, efforts to promote interest in the user and to recognize their demands have become necessary in library management. In addition, when evaluating the quality of libraries, there is a need to avoid numeric values but to make evaluations based on the customer.In order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and reconstructed previous research as well as the SERVQUAL and LIBQUAL values at the S Catholic Theological University library.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as constituents of the quality of services at the Catholic Theological University library, staffs, materials and information resources, use and service support and facilities were selected. By scoring points according to the gravity felt by the users, results came in the following order: materials and information resources, staffs, use and services, followed by facilities and equipment. Rankings for user expectancy were shown in the order of facilities and equipment, staffs, use and service support, with materials and information resources at the bottom.Secondly, the user's expectancy and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services are as follows. The user expectancy of service quality came in the order of facilities and equipment, staffs, use and service support, and materials and information resources. These expectancies are much higher than predicted and influenced notably the statistics. In contrast, the user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services was shown in the order of staffs, use and service support, facility and equipment, and materials and information resources. Results showed that users had a relatively high perception of staffs and service and uses.Thirdly, this study has designated service quality (library staffs, use and service support, materials and information resources, facilities and equipment)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general user satisfaction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is model, facilities and equipment, materials and information resources, use and service support all had a noteworthy a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statistics.Fourthly,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perception and intent for reuse, all the service qualities had a close relationship to it. Henc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perceived) of the quality of services were, it was apparent that they were more prone to reuse it. Meanwhile, when recognizing the variables that had high relationships with intent to reuse, it came in the order of staffs > materials and information resources > facilities and equipment, use and services support.Fifthly, results of the analyses of gender and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population statistics factors, showed that there was no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statistics for customer satisfaction between men and women. When taking a look at the analyses of groups,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in services such as materials and information resources as well as facilities and equipment. There were no recognizable differences between other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Though there are limitations of this study of services at the Catholic Theological University library, which was conducted via investigative research with the objective to evaluate its quality, this is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it presents the need for changes in management and that it provides a model for quality evaluation.

      • 한국 가톨릭계 중등학교 종교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조영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32319

        In this research I put emphasis on surveying a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in which the religious education in the catholic secondary schools in Korea is carried out. Then I proposed some improvements for the problems discovered by th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To achieve these purposes I in this entity divided the object of study into the the study of the literature and the statistical questions. In the study of the literature, I prescribed the notions for the 'catholic school' and the 'religious education', traced the history of the secondary schools and the religious educ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dealed with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the catholic secondary schools and the necessity for religious education in them. In the statistical questions which was executed at the catholic high schools in Korea,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is study, I analyzed the actual states and the problems the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faced with, and offered some solutions for them. In this abstract, I am not going to the details, but just say briefly about my analysis on the statistical questions. To start with, the statistical questions were offered to thirty six catholic high schools in Korea, and twenty nine religion teachers and one thousand four hundred five students in twenty nine high schools answered the questions. My analysis base on them. 1) The purpose of the religious education: 34.5% of the schools regarded 'the formation of the overall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catholic ideal' 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for the religious education. And 79.3% of the teachers thought of it likewise. Thus, we can conclude that for most catholic high schools, 'the formation of the overall personality'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purpose for the religious education. 2) The contents of the religious education: When we look at the specific gravity the subjects of the religious education enjoy, then we can find out that the rate of the education of the morals, the ethics, and the human understanding is 30-35%, the understanding for the catholicism is 20-25%, and the understanding for the general religions and other religions is 10-15%. On the other hand, it appeared that 20.7% of the schools did not use the religious textbooks in the religion classes, leading us to the assumption that the religious textbooks were not much used in classes, and that many religion teachers had not much faith in the religious textbooks. Also they hoped that more of the human understanding programms and a variety of contents that are easy and interesting to the students would be added to the religion textbooks. 3) The method of proceeding the class: Teaching religion, the most used method is the lecture, the average rate being 28.0%. And the rate of the audio-visual method is 25.6%, the group work 23.1%, and the method of conversations and discussions 17.4%. And 74.1% of the religion teachers took the trouble to take considerations for the students with other religions in the class. Concretely 48.1% of the teachers said that they do not force the catholic belief to them, explaining every religion with objectivity, and respecting the other religions rather than criticizing them. 4) The conditions of the religion teachers: The average number of the religion teachers in a school was about 1.6, and only 66.7% of the catholic schools had teachers with the certification. Also the education and the training for the religion teachers were not effective, and the rate of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religious education was an average of 38.1%, reflecting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actual religious education. The most difficult things which the the teachers had to experience were 'the lack of a systematic educational course' and 'the shortage of the materials for religious educations', 'the absense of lasting special educations for religion teachers' and 'the passive attitude of the students'. 5)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Twenty seven of the twenty nine high schools had the religion classes during the regular school hours, while two high schools were teaching philosophy instead of the religion. The average time the students were taught the religion was 1.9 hours. As a place for the religious class, 'the religion class-room' was most often used, the rate being 74.1%. 6) The valuation of the education: Schools that practices valuation for the religious classes were just 33.3%, showing evidently that most of the schools did not have valuations for the religion classes. As the methods of the valuation the test in question ans answer form, the test in form of the discourse, the valuation of the assignments, the valuation through the percentage of attendance or the class manner, and the group works were used. And the results of the valuations were written in a record book of school life, or, regardless of the valuations, they were fulfilled by just writing down 'completion'. 7)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to the religion classes: 53.9% among the students thought that the religious education was necessary, but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about the religion classes was just 49.0%. And while the students who answered the religious classes were helpful to their life was 62.6%, and 7.1% answered they were of no use. The parts religion classes were helpful to the students were 'the reflec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life' (23.2%), 'the improvement of living attitude' (17.5%), 'the formation of the positive sense of value' (18.8%), and 'getting the fundamental knowledge about religion'(17.0%). And the reasons that made the students to dislike the religion classes or think it as a burden were 'because of the stereotyped contents'(27.0%), 'because they are originally not interested in religion'(20.6%), and 'as only the religious contents about the catholics were emphasized'(20.6%). To the question, whether the different religions are taken consideration, 69.9%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respected, in the religion classes the conversations and the cooperation with them being emphasized. 8) Other matters: 33.7% of the teachers only knew about the organisations of the church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religious education.. And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got baptised as a catholic was in average thirty per year. And the religious events or activities performed with the religious education were 'all kinds of Masses' (100%), 'the Night for the Virgin Mary' (92.6%), 'classes for those who are preparing for the baptism' (81.5%), 'pilgrimages on foot' (44.4%), 'training activities' (45.1%), 'baptismal ceremonies'(44.4%), 'Easter services'(44.4%), and 'cell activities' (48.1%). The problems which we found out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about the religious education are as follows. 1) Many religion teachers did not have a balanced outlook on the purpose of the religious education which holds 'the church's character' and 'the school's character' in common. 2) The religious textbooks were not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actual classroom and many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m. 3) In giving the lessons, one teacher among five teachers did not consider at all for those with other beliefs. 4) The circumstances for the religion teachers were not good. For example, there were insufficient religion teachers who could take charge of the religious education, and the teachers' study and training were not accomplished well enough. 5) By the heavy gravity given to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the university, the religion classes were carried out passively, being assigned to only minimal times per week. 6) Many religion teachers did not carry out valuation over their religion classes. 7)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the field of the religious education. The improvements for these problems I want to propose are as follows. 1) The religious education of the catholic schools must hold the church's character and the school's character in common and should not emphasize only one of them. 2) The contents of the religion textbooks must be improved. It must be able to awaken the motivation and the studying will of the students, and add to the contents reflections on the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ality and the teachers' requests. 3) It is not contrary to fulfill the christian duty and at the same time to respect other religions or to take considerations for those with other religions. To accomplish the religious education with success, it is essential to have an open-minded attitude to the other religions. 4) The church should do their best to cultivate the professional teachers who have a teacher's certification, and must give chances of a consisted special education for the present teachers. 5) The religion class is to be extended to more than two units as the minimum and to be proceeded continuously through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in the high schools. 6) To develop the religious education a little more, the valuation of the religion classes must be enforced. As the method of the valuation, I recommend to avoid the form of the question and the answer, and to use the form of the discourse or the valuation through homeworks and the method of presenting one's group works, etc. 7)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ligious education, the foundation of the catholic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and the training of the catholic professional education experts must be accomp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