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이 남녀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김정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요 약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이 남·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 본 연구는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이 대학생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과 대학생의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고, 자살생각 및 자살예방을 위한 상담 개입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충청도, 전라도 소재 대학생 578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유무, 가족기능, 자살생각에 대하여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은 남자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를 경험한 남자 대학생은 자살생각을 더 높게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은 여자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를 경험한 여자 대학생은 자살생각을 더 높게 한다고 해설할 수 있다. 셋째,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이 남자 대학생 자살생각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가족기능이 부적으로 조절효과를 갖는다. 가족기능이 높을 경우에는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이 있더라도 남자 대학생의 자살생각은 경험이 없을 때 보다 낮았고, 가족기능이 낮을 경우에는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이 없을 때보다 경험이 있을 때 남자 대학생의 자살생각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가족기능이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경험과 남자 대학생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이 여자 대학생 자살생각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가족기능이 부적으로 조절효과를 갖는다. 가족기능이 높을 경우에는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이 있더라도 여자 대학생의 자살생각은 경험이 없을 때 보다 낮았고, 가족기능이 낮을 경우에는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이 없을 때보다 경험이 있을 때 여자 대학생의 자살생각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가족기능이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경험과 여자 대학생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심각한 대학생 자살에 있어서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을 직접적으로 높이고, 가족기능이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대학생 자살생각 감소를 위하여 현장에서 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앞으로 자살생각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로써 앞으로 한계점을 더욱 보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한다면 자살에 초석이 되는 자살생각의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주제어: 대학생, 친구의 자살 및 자살시도 경험, 가족기능, 자살생각 The Influence of Friends Suicide and Suicide Attempts o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uicidal Ideation - Focus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 - Kim Jung Hee Dept. of Family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This study is to give a fundamental data to those interfering with counselling by identifying influences of experiencing suicide or suicide attempt of one’s companion on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by investigating the regulation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companion’s suicide or suicide attempt and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do so, 578 University students from capital area, Chung-Cheong do, Jeolla do are participated in to hav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on sociodemographic variable, perceived stress, depression, experi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companion’s suicide and suicide attempt, family function, suicidal ideation. Listed below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experience of suicide and suicide attempt of one’s companion have influenced male university students positively. It may be interpreted as one may obtain more ideas of suicide. Second, Suicide and suicide attempt experience one’s companion have influence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ositively. It may be interpreted as one may obtain more ideas of suicide. Third, family function affects negatively on the positive influence of companion’s suicide and suicide attempt experience on male university students. When the value of family function is marked high, although there is an experience of a companion’s suicide and suicide attempt, a value of suicidal ideation was even lower than those who don’t have the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where the value of family function is marked low, ideation of suicidal of 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the experience of companion’s suicide and suicide attempt have increased remarkably than those who don’t have the experience. This indicates that the family function may regulate the relation between suicide and suicide attempt and the suicidal ideation of male university student. Fourth, family function affects negatively on the positive influence of companion’s suicide and suicide attempt experience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en the value of family function is marked high, although there is an experience of a companion’s suicide and suicide attempt, the value of Suicidal ideation was even lower than those who don’t have the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where the family function value is marked low, ideation of suicidal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the experience of companion’s suicide and suicide attempt have increased remarkably than those who don’t have the experience. This indicates that the family function may regulate the relation between suicide and suicide attempt and the suicidal idea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 This study, by identifying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y be directly increased by companion’s suicide and suicide attempt and family function regulates in between the relation of companion’s suicide and suicide attempt and the suicidal ideation, is meaningful that it gave a theoretical basis to let counsellor intervene in fields to decrease the suicidal ideation. Therefore, if it is studied further and complement its limitation, then the decrease of suicidal ideation, which is a foundation of suicide, will be affected.

      • 실업계 고등학생의 가족기능과 진로태도 성숙도와의 관계

        조화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진로태도 성숙도가 성별, 학년별, 그리고 환경적 요인, 즉 가족의 기능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이를 필요로 하는 실업계 고등학교 재학생들, 교사들, 학부모들 등에게 진로지도의 자료를 제공하고, 또한 실업계 고등학생의 가족에 대한 개입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의 유용성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방법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실업계 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97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방법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계열, 가족형태, 대화시간, 대화대상, 경제수준에서 가족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 여학생이, 계열에서는 상고생이 높게 나타났고 가족형태에서는 부모가정의 가족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화시간이 2시간이상 일 때 가족기능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 효과적안 가족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변수임을 시사해 준다. 대화대상은 부모일 때, 경제수준은 상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남학생은 1학년, 여학생은 3학년에서 가족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성별, 계열, 대화시간에서 진로태도 성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태도 성숙도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상고생이 공고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대화시간이 2시간이상 일 때 진로태도 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기에 가족과의 의사소통이 진로태도 성숙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가족기능에서 성별은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고 학년으로는 남학생 중에서는 3학년이, 여학생은 2학년의 가족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족기능에 대한 성별과 학년별 상호작용에 따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지만 성별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로는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고 학년별로는 남학생은 1학년, 여학생은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진로태도 성숙도에 대한 성별과 학년별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단순주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년별에 따른 성별의 주효과에서 2학년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가족기능과 진로태도 성숙도와의 관계에서 먼저 남학생은 가족기능의 하위요인 중 일반기능과 진로태도 성숙도의 하위요인 중 준비성이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여학생의 경우 가족기능과 진로태도 성숙도와의 정적 상관은 거의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학년에 따른 가족기능과 진로태도 성숙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1학년의 경우 가족기능이 진로태도 성숙도에서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거의 없었고 2학년의 경우, 1학년보다는 2학년이 가족기능과 진로태도 성숙도 사이에 더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으나 거의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3학년의 경우를 보면, 학년별 통계 중에서 3학년의 가족기능과 진로태도 성숙도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가족기능은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서 자신의 주체성을 가지고 결정하는 것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실업계 고등학교 진로지도의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어 본 연구가 주는 사회복지 실천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접근함에 있어서 개인 뿐 아니라 가족의 차원에서 접근이 시도되어야 함으로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적절한 개입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부모-자녀 관계증진 프로그램,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 가족역할 프로그램 등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들의 학습 및 진로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고, 어려움이 있을 때 해결방안이나 도움을 제공하는 역할, 그리고 그들에게 정서적지지의 역할 등, 학교-가정-지역을 연계하는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학교사회복지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들이 바람직한 진로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성장기 이전부터 가족과 함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복지관 내 상담실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가족 및 아동 상담 프로그램, 가족치료 프로그램, 진로 및 적성검사 프로그램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는 성별과 학년에 따른 가족기능과 진로태도 성숙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함에 있어서 각 개인의 차별화된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various career attitude maturity by sex, school year,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amily type to provide a career development data for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the level of social welfare that can serve the families of the vocational school students. Total of 297 survey questionnaires from the vocational school students in Daegu city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Frequency 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estimate research results. Our analysis indicates that; First, the variable of family function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variables of sex, major, family type, discussion type, discussion partners, and economic levels. Higher family function was shown in business major female students, the family with father and mother variables. Family discussion time with two hours more shows a higher family function. The highest family functions are shown in the 1st grade male students, and the 3rd grade female students. In career attitude maturity by general characteristics, sex, major, discussion tim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career attitude maturity are shown in female than male, business major than engineering major students, and in discussion time with 2 hours more. Second, a higher family function is shown in female students with the 3rd grade male students and the 2nd grade female students. The main effect of sex variabl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sex for family function and mutual effect of school year are not. Third, a significant correlation is shown between general function in the lower level of family function and readiness in the lower level of career attitude maturity. Fourth, there is statistically little correlations between family fun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e 1st grade students, but more important correlation is found in the 3rd grade students. In results we estimate a family function affect on the decision process of the career maturity. Finally, our research findings recommended as follows. 1. Not only personal level approach but family level approach are necessary to accomplish students' career management. Therefore, developments of various programs and activitie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family function. 2. Activation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better relation program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ommunication program, and family role program are necessary. 3. Active school social welfare programs that can provide an assistance to students for career management, solving problems, and supports are required. 4. Activation of discussion room in local social welfare house is necessary for convenient visiting on the purpose of family and children care program, family cure program, and other career test program. 5.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by sex and school year is analyzed.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for students' career management by using personalized approach data.

      •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의 가족기능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몽골 대학생의 비교 연구

        ADIYAJANTSAN OTGONBAYAR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의 가족기능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몽골 대학생의 비교 연구- ADIYAJANTSAN OTGONBAYAR 인제대학교 대학원 가족소비자학과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몽골 대학생이 지각하는 원가족의 가족기능이 그들의 결혼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한국과 몽골 대학생들의 미래의 결혼생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부산?김해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교, 몽골 올란바토르에 소재하는 2개 대학교 남녀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한 뒤 49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고, 응답에 누락이 있거나 불성실한 답안으로 판단된 설문지 7부를 제외시키고 491부(한국대학생 248명, 몽골학생 243명)를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및 백분율, 평균, t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 Duncan 사후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몽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의 전반적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1) 한?몽 대학생의 가족기능 전반적 경향 한국과 몽골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은 총체적 가족기능과 가족응집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가족적응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각 문항별로 모두 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한?몽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가족기능 차이 한?몽 대학생의 5개 배경변인에 따라 가족기능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먼저 총체적가족기능에서는 한국학생은 가족형태와 종교에 따라서, 몽골 학생은 종교와 경제수준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요인 별 차이를 살펴보면 ‘가족응집성’에서는 한국학생은 배경변인 중 가족형태와 종교에서, 몽골 학생은 가족형태와 종교 그리고 경제수준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의사소통’에서는 한국학생은 배경변인 중 가족형태와 종교에서, 몽골 학생은 종교와 경제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가족적응성’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한?몽 대학생이 지각하는 결혼관 1) 한?몽 대학생의 결혼관의 전반적 경향 한국과 몽골 대학생이 지각하는 결혼관은 총체적 결혼관과 제도적필요성 영역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정서적안정성 영역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그의 각 문항별로 모두 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한?몽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결혼관의 차이 한·몽 대학생의 5개 배경변인에 따라 대학생의 결혼관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총체적 결혼관’에서 한국학생은 성별과 종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몽골 학생은 가족형태에 따라 총체적 결혼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정서적 안정성’영역에서는 한국학생은 성별과 종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몽골 학생은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제도적 필요성’에서는 한국 학생은 성별과 종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몽골 학생은 가족형태와 종교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3) 한?몽 대학생의 가족기능에 따른 결혼관의 차이 대학생의 결혼관은 가족기능의 정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가족적응성을 제외하고는 가족응집성, 가족의사소통 영역에서 비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학생들은 가족기능의 ‘가족적응성’을 제외하고 결혼관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몽골학생들도 ‘가족적응성’을 제외하고 결혼관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한?몽 대학생의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1) 한?몽 대학생의 총체적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 대학생의 총체적 결혼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족기능 하위요인 중 가족응집성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성별, 종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3개 변인의 설명력은 19.8%였다. 몽골 대학생들의 총체적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변인은 가족기능의 하위요인 중 가족응집성이었으며, 이 1개 변인의 설명력은 11.9%였다. 2) 한?몽 대학생의 결혼관 중 정서적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 대학생의 정서적안정성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족기능 하위요인 중 가족응집성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성별, 종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3개 변인의 설명력은 21.7%였다. 몽골 대학생들의 정서적안정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변인은 가족기능의 하위요인 중 가족응집성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성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2개 변인의 설명력은 10.1%였다. 3) 한?몽 대학생의 결혼관 중 제도적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 대학생의 제도적 필요성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족기능 하위요인 중 가족응집성, 종교, 성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3 개 변인의 설명력은 10.9%였다. 몽골 대학생의 제도적 필요성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족응집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1개 변인의 설명력은 9.9%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원가족의 가족기능 중 가족응집성이 한국학생과 몽골학생 모두의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 중에는 한국학생은 성별과 종교가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몽골학생은 성별이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대학생, 원가족, 가족기능, 결혼관. ABSTRACT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f Family of Origin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Marriage Perspectives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ADIYAJANTSAN OTGONBAYAR (Advisor: Prof, Jeon, Young Ja)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Department of Family Studies and Consumer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f family-of-origin perceived by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marriage perspective and to search the method to advance their future married life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To perform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00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two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and Kimhae-si and Mongol Ulaanbaatar and 49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491 questionnaires (248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243 Mongolian students) excluded 7 questionnaires which were judged insincere answers or omitted answers were analyzed. As for data analysis, it was carried out frequency and percentage, averag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Duncan post hoc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ifference according to overall tendency and background variables of family function perceived by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1) The overall tendency of family function of Korean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As for the family function perceived by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it h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otal family function and family cohesion, and as for family adaptation, it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all of them hav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per each question. 2) The difference of family function according to background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family function according to five background variables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First, as for the total family function, Korean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family types and religion and Mongolian students according to religion and economic standard. To examine the difference per sub factors, as for ‘family cohesion’, Korean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family type and religion and Mongolian students have according to family type, religion and economic standard. As for ‘family communication’, Korean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y type and religion and Mongolian students according to religion and economic standard among background variables. Otherwise, as for ‘family adaptability’, it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2. The marriage perspective perceived by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1) The overall tendency of marriage perspective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As for the marriage perspective perceived by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it h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otal marriage perspective and institutional necessity, and it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area of emotional stability, but all of them hav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per each question. 2) The difference of marriage perspectiv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to investigate to the difference of concept of marriage according to five background variables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As for ‘total marriage perspective’, Korean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religion, and Mongolian students according to family type. As for the area of ‘emotional stability’, Korean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religion and Mong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s for ‘institutional necessity’, Korean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religion and Mongolian students according to family type and religion. 3) The difference of marriage perspective according to family function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As for the concept of marriage of university students, it has significant difference partial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mily function and it has similar difference in the area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communication except for family adaptability. While Korean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very area of marriage perspective except for ‘family adaptability’ of family function, Mongolian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very area of concept of marriage except of ‘family adaptability’. 3. The variables to affect the marriage perspective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1) The variables to affect the total marriage perspective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The most powerful variable to affect the total marriage perspectiv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as family cohesion among sub factors of family function, and in the order of gender and religion,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above-mentioned three variables was 19.8%. The most powerful variable to affect the total marriage perspective of Mongolian students was family cohesion among sub factors of family function,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this single variable was 11.9%. 2) The variables to affect the emotional stability of marriage perspective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The most powerful variable to affect the factor of emotional stability of Korean students was family cohesion among sub factors of family function, and in the order of gender and religion,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above-mentioned three variables was 21.7%. The most powerful variable to affect the factor of emotional stability of Mongolian students was family cohesion among sub factors of family function, and next was gender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these two variable were 10.1%. 3) The variable to affect institutional necessity among the marriage perspective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The most powerful variable to affect the factor of institutional necessity of Korean students was family cohesion, religion and gender among sub factors of family function,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above-mentioned three variables was 10.9%. The most powerful variable to affect the factor of institutional necessity of Mongolian students was family cohesion,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this single variable was 9.9%. In conclusion, family cohesion among family functions of family-of-origin was the variable to affect the marriage perspective of both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is study. Among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nd religion affect the marriage perspective of Korean students and gender affects the marriage perspective of Mongolian students. Key words: university students, family-of-origin, family function, marriage perspective.

      • 고등학생이 지각한 주관적 가족기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정유경 수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Career-Maturity on Family Function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The measurement scale were used Olson's FACES(1985) and Rosenberg's RES(1962), Im-Sun-Hee's Career-Maturity(2009). The data and was used with SPSS WIN 18.0 program, and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adopt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aron & Kenny's(1986) stepwise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has performed to find out correlation of Career Maturity, Family Functions perceived subjective and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Func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grade, academic record, monthly income. And Self-esteem was different to gender, school type, grade, academic record, monthly income. Career Maturity was different to lower factor depending on gender, grade, monthly income. Secon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comes ou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whole Family Function and Self-esteem(.47), between Self-esteem and whole Career Maturity(.51), between whole Family Function and whole Career Maturity(.35). Finally, it was founded that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s and Career-Maturity have shown the partial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e great importance of Family Functions in Career-Maturity, and could improve Family Functions as well as Self- esteem for Career-Maturity. And paper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in order to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of adolescent children.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주관적 가족기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경상남도에 소재한 K시 K고등학교, C시 C기계공업고등학교, J시 S여자고등학교 3개 고등학생 12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가족기능은 학년, 성적, 월수입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성별, 학교형태, 학년, 학업성적, 월수입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에서는 성별, 학년, 성적에 따라 하위 요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 가족기능과 가족기능 하위 요인인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과 자아존중감 간에는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전체 가족기능이 전체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가족기능 하위 요인인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과 진로성숙도 하위 요인인 독립성,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자기이해에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전체 진로성숙도와 진로성숙도 하위 요인인 독립성,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자기이해에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주관적 가족기능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체 가족기능이 전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가족기능 하위 요인인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이 진로성숙도 하위 요인인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자기이해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가족기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밝혀냈다.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가족기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에서는 가족의 기능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가족기능, 자아존중감, 진로성숙을 위해 학교,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해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척수장애인의 가족기능이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정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주된 관심은 척수장애인의 자녀의 경우 갑작스런 부모의 장애로 인해 가족 기능의 변화가 클 수 있으므로, 척수장애인의 가족기능이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척수장애인의 가족기능을 파악하고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탐색하여, 청소년 자녀의 건전한 정서형성과 자아존중감 수준의 향상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척수장애인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연관되어 있는 변수를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 및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으로 보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척수장애인의 청소년 자녀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시행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모두 84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로서 가족기능으로는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척도로, Olson 등(1983)이 제작한 FACESⅡ를 사용했으며, 의사소통은 Barnes와 Olson(1982)이 제작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1965)가 개발한 RSES(Rosenberg Self-Esteem Scale)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포, 백분율,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Chi-Square 검증, Pearson 적률 상관계수, ANOVA, T-test, 사후검증으로 Duncan 다중범주 겁증법, 이원 변량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산출되었다. 1. 척수장애인의 가족기능 1) 본 연구에서 나타난 척수장애인의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의 정도는 전체적으로 중간 점수를 상회하는 정도로서, 이는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고, 국내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의사소통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자녀와 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 부와 모 모두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하는 집단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부모 모두 개방적 의사소통을 하는 집단이었다. 또한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간에 척수장애인 아버지보다 더 긍정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기능의 경우 부모장애 요인 중, 자조집단 참석은 가족응집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학업성적과 친구수 및 부의 직업은 각각 응집성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출생순위 및 종교의 유무는 응집성과 적응성 및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경제수준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척수장애인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 1) 자아존중감의 전체 평균은 중간점수를 상회하는 정도이며, 남학생보다 여학생 자아존중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동일한 척도의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척수장애인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서울 시내 일반 청소년과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2)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여학생일수록, 종교가 있으며, 학업성적이 우수할수록, 친구수가 많아 또래지지가 클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3. 척수장애인 가족기능이 청소년 자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1) 가족응집성 수준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었다. 가족응집성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으며, 응집성의 점수가 높은 집단 일수록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2) 가족적응성의 수준에 따라 청소년 자녀 자아존중감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적응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으며, 종속변인인 자아존중감에 가족적응성 수준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긍정적이며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청소년들이, 부정적이며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보다 높았다. 또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척수장애인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가족기능과 개인적 요인 및 부모장애 (이후원문잘림) This research study closely examines the example of when a parent suddenly gets disabled and how his parental functional ability is changed as a result including how this reformed ability influences his adolescents self-esteem.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a general case study concerning a typical spinally disabled person will be used as a model. With this, this persons condition and how it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adolescents self -esteem[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ts emotional status and self-esteem level will also be probed. Moreover, this study looks at the youths self-esteem issue and the relevance with the familys cohesiveness and adaptability as well as the parent-adolescents understanding of one anothers situation. In the middle of area in Seoul, a questionnaire concerning this subject matter was conducted, with the last count being a total of 84 different peoples responses being utili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yielded. 1. Spindly disabled family function 1)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family cohesiveness and adaptability level generally fell within the middle region. 2) The handicapped familys understanding level results came out as such: The group that was non-sympathetic comprised of the largest, group, while the next largest group was the open and candid group. 3 ) Amongst the societal factors that were relevant to the case, the ones that should be given attention to because of the influence they have on parental ability are self-help group participation, school marks and number of friends, the order of birth, gender, economic class, and the fathers occupation. 2. The spinally disabled adolescent self-esteem 1) While the total self-esteem average for the spinally disabled adolescents exceeded the average for all people taken as a whole, the female student self-esteem was discovered to be higher then the male student one (2.88 versus 2.67). 2) Among the societal factors, the elements affecting self-esteem are gender, the existence of religion, school marks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friends one has. Rather than the family environment factor or the social economic status or the familys shape, what most influences the self-esteem of the adolescents is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consisting of family ambience and the parent-adolescents relationship. 3. Spinally disabled family function influence on adolescents self -esteem 1) There is an important fixed relevanc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elf-esteem and family functional ability. In addition, as the familys cohesiveness and adaptability increase and as the parent-adolescent understanding levels get increasingly more candid and affirmative, the more the young childrens self-esteem will rise. 2) Depending on the family cohesiveness level factors, disengagement, separation, and connection, statistically the average self -esteem disparity is barely (p<.00l) paid heed, while the higher the cohesiveness mark is the greater is the adolescents self-esteem level. 3) As the adaptability increases to higher levels, so too does the self-esteem increase as a result. Statistically, though the mothers understanding level is higher than the fathers level (M=52.21), it was discovered that the father had a greater impact on the adolescents self-esteem. Also, depending on the pattern of understanding between the parents and adolescen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elf-esteem level. If a adolescents is to his parents quite affirmative and open-minded, then the self-esteem was recorded to be greater than if the adolescents was close-minded. In this, there was a disparity of 0.001. 4) Therefore, one can see that the cohesiveness factor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elf-esteem, following by the fathers understanding level, adaptability, and then finally the mothers understanding level, In conclusion, the adolescents self -esteem strengthens the family members psychological bond with one another and as the family systems ability to change rises so too does the adolescents self-esteem. Although the results do no coincide with Olsons conclusion that the extreme cohesiveness and adaptable family is non-functional, what springs forth is a model truly worthy of following and developing. Should this family structure be recognized and accepted, then the issue of the family functional ability would not be a problem. In order to attain a higher self-esteem, the family members must adopt a mature compassion and trust in one another to raise the family functional level as well. Also, through a concerted effort on both parts, mutual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should be attempted. In particular, in the fathers case, in spite of the fathers influence on the adolescents self-esteem, in general because of the fathers scanty level of understanding,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two parents to be affirmative and open-minded in order to give their adolescents self-respect and for all involved to be supportive in order to achieve a healthy family. Furthermore, through self-help group participation and other such activities, depending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amily functional ability and self-esteem, the burdens of being disabled along with the hindrances related to being

      • 가족유형에 따른 가족기능수행도 비교 연구

        이건우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al performance by family type, to grope the way to strengthen family function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data from the Korean Family Welfare Needs Survey by Korean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was used. Specially, the family functional performance was divided by seven to compare with each family type.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the function of economic support which had a big effect on family functional performance to stabilized family. It means that family functional performance get higher when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 would be stabilize. Secondly, the function which had a big effect on family functional performance to instabilized family was social security. Thirdly, the function which had a big effect on family functional performance to single-father family was also social security. Fourthly, the function which had a big effect on family functional performance to single-mother family was economic support. It was similar to stabilized family, but different with instabilized family and single-father family. Fifthly, it was a function of child care, socialization, social security, economics, economic support, physical support and leisure and rest which was close correlated with family functional performance to other type famil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t first, through this study, the function which had a big effect on family functional performance to stabilized family and single-father family was economic support. Therefore, it needs to grope the way which can build up a function of economic support. Secondly, in case of stabilized family and instabilized family, it needs to support strengthening social security which had a big effect on family functional performance. Thirdly, it needs to support strengthening emotional function to all instabilized family. fourthly, in Korea where the sense of value which people have a few children had been established, rearing of children is becoming a big burden. However, this function is indispensable for continued existence of society. Therefore, it needs to support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socialization and rearing of children which had a big effect on family functional performance to stabilized family. 본 연구의 목적은 약화된 한국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서 가족유형별 가족기능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설계한 &#65378;2001년 가족복지욕구조사&#65379;의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가족기능 수행도를 7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가족유형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가족의 가족기능수행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경제적 부양기능(0.315) 변인이었다. 즉 가장 기본적인 의식주가 제대로 안정되어 있어야 가족기능수행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전체 해체가족의 가족기능수행도에 가장 영향력을 미친 변인은 사회보장기능(0.319)으로, 이는 일반가족과는 약간 다른 양상으로 일반적으로 전체해체가족은 친·인척이나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이 가족기능수행도를 높이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부자가족의 가족기능수행도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으로는 사회보장기능(0.422)이었다. 이는 부자가족이기 때문에 친·인척과 지역사회와의 교류에 있어 적극적이지 못할 수밖에 없는 현실 속에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갖게 한다. 넷째, 모자가족의 가족기능수행도에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변인은 경제적 부양기능(0.310)으로 이는 일반가족과 같은 양상이며, 부자가족과 전체 해체가족과는 다른 양상이다. 따라서 모자가족의 가족기능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부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안정된 일자리 등을 제공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기타가족의 가족기능수행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변인으로는자녀양육 및 사회화기능, 사회보장기능, 경제적 기능, 경제적 부양기능, 신체적부양기능, 그리고 여가휴식기능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 및 제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일반가족과 모자가족의 가족기능수행도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인은 경제적 부양기능으로 밝혀졌으므로, 경제적인 부양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여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일반가족과 해체가족 등에서 가족기능수행도에 있어 영향력이 높았던 사회보장 기능을 강화하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부자가족, 모자가족 뿐 아니라 전체 해체가족의 정서적 기능의 강화를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소자녀관이 정착되어 있는 우리사회에서 자녀양육이 가족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며, 이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는 사회가 존속할 수 없는 기능이기도 하다. 따라서 일반가족의 가족기능수행도에 영향력이 큰 자녀양육 및 사회화기능의 강화를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가족기능과 아동 소외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보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가족기능과 아동의 소외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아동에게 일차적 발달의 장이 되는 가족의 심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부각시켜서 아동의 정서적인 안녕과 정신건강을 지지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내 지역에 소재한 일반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185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가족기능 측정도구인 FACES Ⅲ와 Dean의 소외감 척도를 사용하여 가족기능에 따른 아동 소외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은 연결 집단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분리 집단, 이탈 집단, 밀착 집단의 순이었다. 가족 적응성의 수준은 구조 집단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융통 집단, 혼돈 집단, 경직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소외감은 규범상실을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사회적 고립, 무력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기능과 소외감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가족 응집성과 가족 적응성 모두 아동의 소외감과 상당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가족 응집성이 가족 적응성에 비해 아동 소외감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회귀분석을 통해 가족기능이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 아동이 느끼는 소외감은 가족이 당면하는 상황적‧발달적 스트레스에 대응해서 변화할 수 있는 능력이나 융통성을 의미하는 가족 적응성보다는 가족원들이 서로에 대해서 가지게 되는 정서적 연대감을 의미하는 가족 응집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가족 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나타내는 가족 응집성과 생활주기의 발달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나타내는 가족 적응성은 아동으로 하여금 소외감을 덜 느끼게 함으로써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긍정적인 정신건강에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아동의 소외감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가족의 유대감을 강화시키는 노력과 함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아동의 발달적 변화요구를 수용하려는 가족전체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alienation of chil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support the children's emotional welfare and mental health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family which is the first stage in the development of child. The objects of survey were 185 children who were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of the general elementary schools in Busan City. To measure the degree of alienation and family function of child, I used the FACES III Scale and the Dean's Alienation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nected group’ showed the highest family cohesion among 4 groups, and then followed by the ‘separated group’, ‘disengaged group’ and ‘enmeshed group’. The ‘structured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he family adaptability among 4 groups, and followed by ‘flexible group’, ‘chaotic group’ and ‘rigid group’ in order. Second, the children felt the normlessness of alienation most highly and the next was social isolation and powerlessness. Third,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were highly related with the alienation of child.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cohesion and alienation of child was higher than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adaptability and alienation of child. Fourth, by the analysis of regression, I could find that the family cohesion which means the emotional feeling of solidarity between members of a family is more influential to the alienation of child than the family adaptability which means the ability of family to cope with the situational stresses faced to the family. In conclusion, the family cohesion and the family adaptability contribute to the emotional stability and positive mental health of children by making children feel less sense of alienation. Therefore, we need to make efforts to strengthen the family bond and to accept child's changing demands to lessen the feeling of alienation and to support the desirable mental health of children.

      • 장기 입원 노인의 외로움, 사회적 지지 및 가족기능간의 관계 연구

        전문희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장기입원 노인의 외로움과 사회적 지지 및 가족기능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해 봄으로써 장기입원노인의 외로움을 줄이는 방법을 모색하고, 성공적인 병상생활과 노후를 보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부천을 중심으로 경인지역 2개의 노인병원과 4개의 요양병원에 1개월 이상 장기 입원해 있는 65세 이상 남 · 녀 노인 187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통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 t-test, ANOVA, Scheffe test, Pe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등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외로움의 평균은 44.3/80점으로 중정도의 외로움을 나타냈으며, 사회적 지지도는 평균 20.5/50점으로 낮은 지지율을 나타내었다. 가족기능은 평균 6/10 점으로 비교적 중상정도의 지지율을 보였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외로움의 정도를 보면 남자노인이 여자노인에 비해 외로움의 정도가 높았으며 배우자와 동거한 노인보다는 배우자 및 기혼 자녀들과 동거한 노인들에서 외로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가 나쁘면 외로움이 더 높게 나타났다. 3. 사회적 지지도는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낮았고 동거상태는 미혼자녀나 친척과 살고 있는 노인이 가장 낮았고, 종교가 없으며, 한 달 용돈이 2만 원 이하이며, 주관적 건강평가가 나쁘다고 느낄 때 사회적 지지도가 낮게 나타났다. 4. 가족기능 점수는 주관적 건강평가가 나쁘다고 생각할 때 가장 낮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외로움의 정도, 사회적 지지, 가족기능과의 관계는 사회적 지지가 높으면 외로움은 감소함을 보여 주었으며, 가족기능과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6. 외로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도와 가족기능, 건강상태, 성별, 과거직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장기입원 노인의 외로움의 정도는 중등도 수준이며 외로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서 건강평가, 성별, 과거의 직업이 외로움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변수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장기입원 노인의 외로움 해소를 위해서는 가족기능의 활성화 및 사회적 지지를 확충 할 수 있도록 개별 노인의 가족과 친지 및 지역사회 내 지지 연결망 구축이 간호중재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1. 간호현장에서 노인들의 외로움을 경감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방안으로 가족기능의 활성화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망의 확충을 위한 노력과 자조그룹의 형성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노인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와 가족 기능에 대한 질적 연구가 시행될 것을 기대한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among loneliness,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of the long-term admitted elderly patients, and suggest the methods about lowering down loneliness. This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87 elderly persons from 2 elderly care hospital and 4 skilled nursing home which were placed in Seoul, and Kyoungin province. Analysis of data was made by using SPSS(WIN 12.0) for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 The study result are as follows: 1. The score of loneliness was 44.2/80, social support was 20.5/50 and family function was 6/10. 2. Level of lonelin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was higher in male elderly than female. And elderly living with spouse and/ adult child, and elderly perceived poor health showed low scores. 3. Level of social support was lower in male than female, and the elderly living with single child or relatives, non religion group, less than 20,000 pocket money, and perceived poor health showed low scores. 4. Level of family function showed the lowest score in the elderly who perceived poor health. 5. The relationship among loneliness,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showed that loneliness was lowering when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was going up and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ocial support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6. Social support was a strong variable which explained 45% of elderly loneliness and family function, perceived health, gender, past occupation, added 12.8%, So above variables explained 57.8% of loneliness. Based on above result,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long-term admitted elderly should be conceder social network formation which activate family function and social support.

      • 기독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영적안녕감 매개효과

        오혜영 한국성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영적안녕감의 매개효과로 살펴보고 검증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으로 가족기능성의 하위요인들이 기독청소년의 영적안녕감, 자기효능감의 관련성을 설명하고 그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 분석하였다. 또한 가족기능성이 자기효능감 사이에서 영적안녕감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가족기능성, 영적안녕감, 자기효능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행하여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관계를 설명하고 영적안녕감이 매개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기독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성은 영적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기독청소년의 영적안녕감이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기독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성이 자기효능감 사이에서 영적안녕감이 매개적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12개 교회, 경기, 인천 2개 교회 등 총 14개 교회의 중고등부 청소년 402명을 표집하고, 가족기능성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영적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단순 및 중다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척도 별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모델에 근거하여 회귀분석, 매개효과 설명을 위해 Sobel(1982)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성은 기독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가족기능성이 기독청소년의 영적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셋째, 영적안녕감이 기독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넷째, 기독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적안녕감이 직간접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구원의 확신이 있는 청소년은 가족기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적지지, 시간공유, 가족친밀, 의사소통이 종교적 안녕감에 부분매개 하였다. 이는 구원의 확신이 종교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성, 자기효능감, 영적안녕감의 직접적 영향을 검증하였다. 둘째, 기독청소년의 가족기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영적안녕감의 매개효과로 검증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구원의 확신이 종교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로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가족기능성과 영적안녕감이 긍정적일수록 자기효능감도 증가한다. 이에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증진이 가정과 교회의 역할에 의해 향상됨을 인식하고 기독상담분야에 적용하여, 축소된 교회로서의 가정의 역할을 강화시키고,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증진을 위해 영적안녕감을 향상시켜서 기독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데에 활용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