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과의 연관성 및 유전적 다형성과의 상호작용

        조민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Dyslipidemia may raise the risk of death or non-communicable diseases. Ultra-processed food, as defined in the NOVA classification, contains food additives and is produced by industrial food processing, exhibiting low nutritional quality.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reported associations between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the risk of non-communicable diseases including dyslipidemia. In addition, the association between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dyslipidemia risk may vary by genetic varian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isk of dyslipidemia is associated with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whether this association is modified by the polygenic score related to dyslipidemia in three Korean prospective cohort studies. A poole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ree Korean cohort studies included in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which were the Health Examinees (HEXA) study, Cardiovascular Disease Association Study (CAVAS), and the Korea Association Resource (KARE) study. Daily ultra-processed food intake was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5%E, 5%E to <10%E, 10%E to <15%E, 15%E to <20%E, and ≥20%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the risk of dyslipidemia were calcul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e ORs were combined using either a random or fixed effects model based on heterogeneity across the studies. Subgroup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to assess whether associations between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dyslipidemia risk were altered by polygenic scores, age, sex, body mass index, smoking status, alcohol drinking, and education level using a meta-regression model. A total of 9,849 cases of dyslipidemia were diagnosed among 20,044 participants during the follow-up.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the risk of dyslipidemia. Compared with <5%E of daily ultra-processed food intake, pooled ORs (95% CIs) were 1.02 (0.94-1.11) for 5%E to <10%E, 1.09 (0.99-1.19) for 10%E to <15%E, 0.97 (0.87-1.08) for 15%E to <20%E, and 1.01 (0.90-1.13) for ≥20%E of daily ultra-processed food intake (pooled p trend=0.83). This lack of a significant association persisted when the analysis was stratified by the polygenic score of dyslipidemia (pooled p interaction=0.90). In summary, there was no evidence of an association between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dyslipidemia risk, which did not vary according to the polygenic score of dyslipidemia among Koreans aged 40 years or older. Further replication studies in young Asian populations are required. 이상지질혈증은 사망률 혹은 만성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NOVA 체계에서 제시된 식품 유형인 초가공식품(Ultra-Processed Food, UPF)은 각종 식품첨가물이 이용되고 산업적 가공 공정을 거쳐 생산된 식품으로서 영양적 질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국내외 역학 문헌에서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을 포함한 비전염성 만성질환 발생 위험이 연관 있음이 보고되었다. 또한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은 유전적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개의 전향적 한국인 코호트 연구에서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고, 이 연관성이 이상지질혈증의 다유전적 위험도에 따라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 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에 포함된 세 개의 한국인 코호트 연구, 곧 도시기반 코호트 연구(the Health Examinees, HEXA), 농촌기반 코호트 연구(Cardiovascular Disease Association Study, CAVAS), 지역사회기반 코호트 연구(the Korea Association Resource, KARE)를 통합 분석(pooled analysis)하였다. 식품섭취빈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일일 총 섭취 열량 대비 초가공식품으로부터의 일일 섭취 열량(%E/day)을 계산하였고, 연구 대상자를 일일 초가공식품 섭취 열량 비율에 따라 5%E 미만, 5%E 이상 10%E 미만, 10%E 이상 15%E 미만, 15%E 이상 20%E 미만, 20%E 이상인 집단으로 범주화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초가공식품 섭취의 오즈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추정하였다. 세 코호트 연구 간의 이질성 여부에 따라 이질성이 있는 경우에는 확률효과모형(random effects model)을, 이질성이 없는 경우에는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s model)을 사용하여 통합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메타회귀(meta-regression)를 통해 이상지질혈증의 다유전적 위험도,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흡연력, 음주력, 교육수준에 따라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이 다른지를 조사하기 위해 하위 집단 분석을 수행하였다. 추적조사 기간에 연구 대상자 2만 44명 중 총 9,849명의 연구 대상자에게서 이상지질혈증이 발생하였다. 세 코호트 연구를 통합 분석한 결과,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은 없었다. 일일 초가공식품 섭취 열량 비율이 5%E 미만인 대상자와 비교하여 일일 초가공식품 섭취 열량 비율이 5%E 이상 10%E 미만인 대상자의 통합 오즈비(95% 신뢰구간)는 1.02(0.94-1.11), 10%E 이상 15%E 미만인 대상자의 경우 1.09(0.99-1.19), 15%E 이상 20%E 미만인 대상자의 경우 0.97(0.87-1.08), 20%E 이상인 대상자의 경우 1.01(0.90-1.13)이었다(pooled p trend=0.83). 또한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은 이상지질혈증의 다유전적 위험도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pooled p interaction=0.90). 따라서 초가공식품 섭취량이 비교적 적은 40세 이상 한국인에게서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은 없었고, 이 연관성은 이상지질혈증의 다유전적 위험도에 따라서도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가공식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 및 유전적 다형성에 따른 상호작용을 더욱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아시아 인구집단을 포함한 역학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부산지역 직장인들의 식생활태도 및 영양지식과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

        윤미경 고신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요약 바람직한 식생활태도는 올바른 영양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올바른 식습관과 식품선택에 의해 이루어 질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식생활태도와 영양지식과 가공식품의 인식에 대해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부산지역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여 식생활태도 및 영양지식과 가공식품인식에 대한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식생활태도와 영양지식이 가공식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의 발전과 산업화가 되어가고 여성의 사회진출도 많아지면서, 가공식품의 발달과 함께 가공식품의 이용 빈도도 늘어났으며, 많은 직장인들이 가공식품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지만, 선호도는 보통의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공식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여자보다는 남자의 선호도가 더 높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가공식품 선호도가 높았으며, 가공식품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간편하기 때문이고, 그 다음이 맛있어서 많이 이용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셋째, 가공식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표시사항확인이나 구매행동정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표시사항확인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나 여자보다는 남자가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이 더 좋다고 할 수 있다.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은 구매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는 결론이 나왔다. 넷째, 식생활태도 조사에서 78.3%가 식생활태도가 좋다고 나왔으며, 영양지식 정답률도 66.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영양지식이 식생활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왔지만, 조사자들의 식생활태도 점수는 높게 나타났고, 영양지식점수도 14.33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가 나왔으므로 직장인의 영양지식 정도가 많이 상승하였고, 식습관에 대해 관심이 높아져 식생활 태도도 좋아진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영양지식은 가공식품 인식과 가공식품 구매행동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식생활태도는 가공식품 인식과 가공식품 구매행동에 상관관계가 있어, 식생활 태도가 좋을수록 구매행동은 좋고,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직장인들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점수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가공식품을 이용하는 이유가 편리함과 간편함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었다. 편이성 때문에 가공식품을 많이 이용하지만, 선호도에 있어서는 보통으로 선호도가 그다지 높진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공식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초가공식품섭취에 따른 대사증후군과 우울증의 연관성조사: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최명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가공식품의 섭취는 전세계 식품 시스템에서 에너지 공급의 주요 기여자로 인식되고 있으며 한국의 초가공식품의 섭취량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초가공식품에 만 사용하는 성분과 가공법이 존재하며 이러한 초가공식품은 다른 식품들과 비교하여 단백질, 식이섬유의 함량이 낮고 열량과 지방, 당류 함량이 높은 경우가 많다. 이러한 초가공식품의 섭취는 대사증후군과 우울증의 발생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국내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초가공식품의 섭취와 대사증후군, 우울증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16년, 2018년,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19세 이상의 참가자 9,14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식이 데이터는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얻었으며 초가공식품의 분류는 NOVA분류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대사증후군은 허리둘레를 제외하고 NCEP-ATPⅢ지침을 기준으로 허리둘레는 한국 비만 협회의 기준으로 정의하여 3점 이상일 경우 대사증후군이라 판정하였다. 우울증은 PHQ-9 점수를 이용하여 10점 이상일 경우 우울증으로 정의하였다. 통계분석은 로지스틱 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초가공식품의 섭취량을 기준으로 오분위수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보정변수로는 성별, 나이, 비만, 교육 수준,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흡연, 음주를 사용하였으며, 성별은 남성과 여성 두 그룹으로 나이는 19~44세, 45~64세, 65세 이상의 세 그룹으로, 비만은 한국비만학회의 기준으로 BMI 23 미만. BMI 23~24.9, BMI 25 이상의 세 그룹으로, 교육 수준은 중학교 졸업, 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이상 졸업의 세 그룹으로 정의하였다.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또는 중강도와 고강도 신체활동을 섞어서(고강도 1분은 중강도 2분) 각 활동에 상당하는 시간을 실천하는지, 안 하는지의 두 그룹으로 정의하였다. 흡연은 평생 비흡연, 과거엔 흡연하였으나 현재는 금연과 흡연자의 두 그룹으로, 음주의 경우 평생 비음주, 최근 1년간 월 1잔 미만 음주와 최근 1년간 월 1잔 이상 음주의 두 그룹으로 정의하였다. 한국인의 초가공식품의 섭취량은 31.94%였으며,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25.5%, 우울증의 유병률은 4.7%였다. 통계분석 결과 대사증후군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우울증의 경우 40세에서 65세 사이의 인원들의 경우 odd ratio는 2.057 (CI95% : 1.107, 3,825)였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초가공식품의 섭취는 대사증후군과 연관성이 존재하지 않으며, 우울증은 40세에서 65세 사이의 인원들에게서만 연관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섭취 영양소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지 않았으므로 섭취 영양소를 보정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consumption of ultra-processed foods is recognized as a major contributor to energy supply in the global food system, and the consumption of ultra-processed foods in Korea is on the rise. There are ingredients and processing methods used only for super-processed foods, and these super-processed foods often contain lower protein and dietary fiber content and higher calories, fat, and sugar content than other food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intake of these ultra-processed foods can increase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depression, but domestic studi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of ultra-processed foods, metabolic syndrom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16, 2018, and 2020 were used, and 9,146 participants aged 19 or older were conducted. Dietary data were obtained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and the NOVA classification system was used to classify ultra-processed foods.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as the standard of the Korean Obesity Association based on the NCEP-ATP III guidelines, excluding waist circumference, and if the waist circumference was 3 points or higher, it was determined as metabolic syndrome. Depression was defined as depression when it was 10 or higher using the PHQ-9 score.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ar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dividing it by the quintile based on the intake of ultra-processed foods. As correction variables, gender, age, obesity, education level, aerobic physical activity practice rate, smoking, and drinking were used. Gender was two groups, male and female, 19-44, 45-64, and 65 years of age or older, and obesity was less than BMI 23 based on the Korean Obesity Association. The three groups were BMI 23-24.9 and BMI 25 or higher, and the educational level was defined as three groups: middle school graduation, high school graduation, and university or higher graduation. The aerobic physical activity practice rate was defined as two groups of whether or not medium-intensity physical activity is practiced for more than 2 hours and 30 minutes a week,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for more than 1 hour and 15 minutes, or medium-intensity and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for 2 minutes. Smoking is defined as two groups: non-smoking for life and non-smoking for the past, and smoking for now, non-drinking for life, less than one drink a month for the past year, and more than one drink a month for the past year. Koreans consumed 31.94%,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25.5%, an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4.7%.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metabolic syndrome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but in the case of depression, the od ratio was 2.057 (CI95%: 1.107, 3,825) for people aged 40 to 65.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ake of ultra-processed foods was not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depression was only associated with people aged 40 to 65. Since this study did not confirm the effect on the ingested nutrients, further studies that corrected the ingested nutrients are considered necessary.

      • 가공식품 수출지원을 위한 FTA 원산지기준 개선방안

        이보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가공식품분야는 농업분야의 FTA에 대한 적극적 자세를 유도하기에 가장 적합한 부분이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미가공 농산물보다 가공식품의 수출비중이 4배 가량 높다. 가공식품의 수출이 증가할 수 록 국내 농산물의 해외시장이 넓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런 의미에서 정부는 가공식품 수출진흥을 위해 수많은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FTA를 활용한 수출지원은 전무한 상태인데 이는 FTA에서 농업은 늘 피해를 보는 분야라는 소극적 인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극적 시각이 농산물을 주요원재료로 하는 가공식품분야에까지 영향을 미쳐 가공식품에 대한 원산지기준은 농업분야와 마찬가지로 국내여론의 흐름에 따라 엄격성과 복잡성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 우리나라가 가공식품 주요수출상대국과 체결한 FTA에서 품목별로 그 원산지기준을 어떻게 규정하여 왔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원산지기준 엄격성의 일관성과 규정의 복잡성면에서 평가하고자 한다. 원산지기준이 일관성을 상실하고 시류에 따라 휘둘리는 듯한 상황에서 FTA를 활용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FTA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원산지기준이 일관되게 유지되고 복잡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직접적인 수출지원이 되지는 않겠지만, FTA활용을 위한 바탕을 조성해 줌으로써 간접적으로 수출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고 본다.

      • 식품 가공 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냉동가공식품을 중심으로

        황은경 전북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seek the activation plans of food processing industry focusing on fresh cut foods and frozen processed foods. Fresh cut foods have been positioned as the growing industry in the advanced countries like USA and Europe, and continuously growing. In case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 market, they had grown rapidly since 2000 and the trend has been shifted from the pattern mainly with meal service ingredients for the existing group meal services and the vegetables into the expansion of customized products such as HMR, fresh cut agricultural products, and so on. According to the status report on the detailed market of processed foods (2015), the convenience of the frozen foods has been empathized more in the modern society upon the importance of time saving, and the consumers’ usages of frozen processed foods have been increased by expansion of their specialized retail channels. Semi-processed agricultural food market has been expanded by quick freezing through the seasoning process for preprocessed products which had been processed by simple cutting or peeling in the past, and the launches of scratch-cooked products have been increasing. In addition, the activities are required to open the product production process and to inform the consumers of their safety profiles actively in order to secure the product credibility. Multiple domestic foods and dining companies supply a variety of processed foods depending on the changes of market environment, and they rely on more than half of the raw materials from import due to the high cost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and difficulties in securing required volume and quality stably. This means weak connection was bonded between the expansion of domestic agricultural processed food market and the domestic farm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table supply system of the domestic raw materials and food ingredients by strengthening the linkage between semi-processed food industry, especially agricultural food industry and farming. This system establishment is anticipated to result in the seamless advancement of agricultural product productions and processed food industry by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and value-added services. This study has the goal to seek the market activation plan and establish the project direction of fresh cut foods and frozen processed foods industries by studying new paradigm of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onsumers’ environment and analyzing overall agricultural processed food market.

      • 가공식품의 유통과 소비행태 분석 : 돈육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윤동노 建國大學校 農畜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1.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Study This study was carried on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processed meat food marketing and consumption pattern on the domestic market. The processed meat food industry has changed food consumption pattern due to increased income, double-income families, the reduction of housework-hour and the consumption market change such a s increased chain stores, family restaurants, fast food store, discount store and department store. Therefore, the sales of the processed meat food industry will continuously increase in the future. 2. The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 The meat processing industry is divided into first meat processing like a fresh meat and second meat processing such a s ham, sausage, can, bacon, frozen food. First of all,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ed meat food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product, price, distribution and promotion. Product strategies were developing various fusion menu and health food, upgrading packaging design, diversifying raw meat such as chicken and mixed vegetable. Price strategies were to strengthen brand power, to pursue high quality and high price, and to build flexible price depending on product, geography, and income. Distribution strategies were conversion of market from traditional market to TV home shopping, internet-commerce and discount store. Promotion strategies were to strengthen promotion through major media such as TV, radio, newspaper and magazine and corporation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the consumer behavior on processed meat food. The portion of ham and sausage were still high in processed meat food and choice depending on manufacturing date is same regardless of income level. The lower income was, the higher dependence on price is, and the higher income is, the higher the dependence on brand is. Final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onsumer's consumption tendency, to manufacture high quality product with freshness and taste, to improve cold chain system, comsumer's convenience and sanitary of food process through HACCP.

      • 서울 일부지역 중학생들의 가공식품 구매행동 및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 서울 일부지역 남, 여 중학생 대상

        조현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서울 일부지역 남, 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공식품 섭취유형과 빈도를 알아보고 구매행동 및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파악하여 청소년들이 건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고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서울 지역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중학생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는 SPSS 12.0v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rosstabs, Chi-square-test,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공식품 섭취실태는 다음과 같다. 가공식품군별 섭취횟수는 아이스크림류(주3,4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자류는 여자가, 면류는 남자의 섭취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 장소는 주로 동네 슈퍼마켓으로 나타났고 먹는 장소는 집, 구입시간은 방과 후, 구입이유는 간편하게 먹을 수 있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구입 시 맛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2. 중학생들의 가공식품 구매행동은 다음과 같다. 과반 수 이상이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것에 대해 좋아한다고 나타났고 남자가 여자 보다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정도의 학생들이 가공식품을 구입 할 때 식품표시를 확인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이유는 관심이 없어서, 식품첨가물의 표기사항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한다, 불만인 이유는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가공식품 구입 시 식품첨가물이 적게 든 것을 구입하려고 노력하는 편이 가장 높게 나왔다. 3.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및 지식은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식품첨가물의 필요성과 장점에 대한 인식은 높은 반면, 위험성에 관한 인식이 낮았다. 인공색소가 가장 관심 있는 식품첨가물로 나타났고 식품첨가물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이 높았다. 시판되는 간장이나 된장에 합성 보존료를 사용하면 안 된다는 문항과 아질산나트륨은 과실음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발색제이다라는 문항이 다른 문항보다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고 안전성과 관련된 문항들은 높게 나타났다. 4. 식품첨가물 교육은 다음과 같다. 식품첨가물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고 주로 대중매체를 통해서 정보를 얻으며 식품첨가물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로 나타났다. 교육 횟수는 2~4회, 교육시간은 30분~1시간미만, 배운 교과는 기술, 과정으로 나타났고 대체로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필요한 정보는 안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5. 인식이 높을수록 식품첨가물이 적게 든 식품을 구매하려고 노력했으며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지식의 정답률이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어머니가 식품성분표를 확인 할 때 학생도 노력하는 편이라는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공식품에 대한 부모님의 태도에 따른 학생의 가공식품 구입 시 노력 여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학생들이 바람직한 가공식품 구매행동을 하기 위해 올바른 지식과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학교 수업을 통해 정확한 지식을 제공하고 인식을 심어 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가정에서 부모님의 관심과 행동도 중요하여 학교수업과 가정교육이 병행한다면 학생의 가공식품 구매행동 개선에 더욱 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

      • 유기가공식품 인증제의 효과 분석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김혜경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9년 유기가공식품 인증제가 본격 시행된 후 1년의 시간이 지난 지금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의 현황에 대해 많은 우려들이 나오고 있는 현실이다. 여전히 유기가공식품 표시제와 병행 운영되어 법적 강제성을 가지지 않아 생산자들은 유기가공인증 받는 것을 유보하고 있다. 인증되고 있는 품목에 대해서도 지역별 품목별 편중으로 인해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품목의 인증품이 나오지 않고 있다. 실제 인증되고 있는 품목의 상당수는 대기업의 자체개발품이거나 유통업체의 OEM제품으로서 입점 및 유통을 하기위해 해당 품목에 한에서만 인증을 받는 경우도 많아 실질적으로 유기가공식품 시장을 활성화하고 소비자 인지도를 높이고자 하는 제도의 본래 취지에서 벗어나고 있다. 실제 유통업체의 소비데이터를 분석해본 결과로도 인증품의 소비 및 품목 다양성에 대한 성장 역시 전체 친환경 시장의 성장세에 비하면 더딘 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유기가공식품 표시제의 업체와 품목들을 인증제로 전환 시킬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며 유통업체별로 유기가공식품 인증품의 취급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 따르면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인증품을 주변에서 찾아보기 어렵다는 결과가 나왔다. 유기가공식품의 주 구매 장소는 백화점 및 대형마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증품을 선택하는 주요 기준은 국내외의 유기인증표시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인증품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로는 비싼 가격과 인증제도에 대한 정보 부족과 신뢰도의 문제를 들어 이후 인증품의 적절한 가격에 대한 논의와 소비자에게 인증제도 자체를 알리는 노력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유기가공식품 표시품과 비교하여 유기가공식품 인증품의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묻는 질문에는 대체로 비교적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라는 답변을 하였고 친환경성에 비해 안전성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였다. 인증제가 구매에 도움이 되었는지 묻는 질문과 인증품에 대한 향후의 구매의향에 대한 질문에는 구매에 도움이 되었다는 답변과 구매의향이 있다는 답변의 비중이 높았다. 유의 할만 한 점으로는 유기가공식품을 주로 구매하는 장소에 따라 인증품의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으로 친환경 전문매장 소비자의 경우 여타 장소의 소비자들보다 안전성에 대해 낮게 평가하였으며 생협의 소비자 일수록 비교적 친환경성을 높게 평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유기 가공식품 인증제의 중요한 인증기준에 대한 질문에서는 소비자들이 총 원재료 중 유기재료의 함량만을 표시하는 유기가공표시제와 차별화된 다양한 인증기준에 대해서 다양한 선호도를 나타냈다. 때문에 향후 유기가공식품 인증제의 소비자 홍보는 환경 친화적인 생산과 유통, 이물질의 혼입 방지, 유기적 가공방법등과 같은 다양한 인증제의 인증 기준을 알리는 것이 보다 중요해질 것이다. 유기가공식품의 가중평균 프리미엄을 살펴보면 녹차/우유/설탕에 대해 가중 평균 프리미엄을 조사한 결과 기준가격인 유기“표시” 제품에 비하여 녹차는 평균 10.5% 우유는 13.6% 설탕은 10.6%의 금액을 추가 지불 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녹차와 설탕의 가중 평균 프리미엄은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우유는 상대적으로 지불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가 가지고 있는 안전성에 대한 가치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며 녹차와 설탕에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부여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러한 결과는 우유와 같이 축산물, 위생 속성을 가진 식품은 소비자들에게 높은 프리미엄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일부 생협과 친환경 매장의 소비데이터를 전체 유기가공식품 인증제의 실태로 결론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유기가공식품의 법제도적 강제성이 담보된 시점에서 재조사를 하였을 때에는 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국내 유기가공식품 인증제가 시행된 이후 인증제의 판매 현황과 소비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소비자 차원의 조사가 이루어진 것에 의의를 가진다. 법제도적 논의 차원으로만 이루어졌던 유기가공식품 인증제에 대해 실제 POS 자료를 활용하여 진행한 연구로서 유기가공식품과 유기가공식품 인증품의 매출과 품목수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인증제 실시 후 판매 실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유기가공식품 인증제 실시 후 소비자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 소비자들이 인증제를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 지와 어떤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기가공식품 인증제의 속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는 향후 마케팅과 인증품의 홍보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며 이후의 구매의향과 프리미엄을 조사하여 유기가공식품 생산, 유통에서의 유의점과 유기가공식품 인증제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중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초등학생 학부모의 가공식품 구입패턴과 트랜스지방/포화지방에 대한 인식도

        이은경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식품섭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학부모의 가공식품 구입패턴과 트랜스지방/포화지방에 대한 인식도와 트랜스지방/포화지방의 지식정도가 가공식품 구입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모의 BMI와 자녀의 비만도는 연관성이 있었으며, 초등학교 자녀 1명을 위한 가공식품 구입비용은 10만원 이하가 가장 많았다. 자주 구입하는 가공식품은 ‘우유 및 유제품’, ‘과자류’, ‘제과제빵류’, ‘라면류’ 순이었고 주로 구입하는 장소는 ‘대형마트’와 ‘슈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을 구입할 때 가장 고려하는 요인은 ‘맛’, ‘열량 및 영양소 성분과 함량’, ‘가격’ 순이었다. 영양성분표시에서 유심히 보는 항목은 ‘열량’, ‘트랜스지방’, ‘지방’ 순이었고 ‘포화지방’이 가장 낮았다. 또한 포화지방보다 트랜스지방을 확인하는 비율이 높았다.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 학부모가 80%이상이었으며, 그 경로는 대중매체를 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이 인체에 미치는 가장 위험한 질환은 ‘심혈관계질환’ 다음으로 ‘비만’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의 지식조사결과 대체로 잘 알고 있었지만 영양성분표시에서 트랜스지방에 비해 포화지방을 확인하는 비율이 낮았고 선호가공식품 조사 결과 포화지방함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공식품이 많았다. 포화지방을 과다 섭취할 경우 심혈관계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영양성분표시에서 포화지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urchasing patterns for processed foods and the understanding of trans fatty acid/saturated fatty acid by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showed that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BMI and their children's fatness. Many parents purchase the processed foods less than 100,000 won per an elementary school child a month, frequently by order of ‘milk and dairy product’, ‘confectionary’, ‘bakery’ and ‘instant noodles’, and in the ‘large-sized supermarket’ and ‘store.’ They consider the purchasing for processed foods by order of ‘flavor’, ‘calorie, element and content of nutrient’ and ‘price’, have a good look at items in the sign of nutritive element by order of ‘calorie’, ‘trans fatty acid’ and ‘saturated fatty acid’, checking the trans fatty acid than the saturated fatty acid. More than 80% of them have heard about trans fatty acid and saturated fatty acid via mass media. The diseases related with trans fatty acid and saturated fatty acid were ‘fatness’ and ‘heart's blood-related disease’ by the parents. Many of them have an enough knowledge of trans fatty acid and saturated fatty acid. The processed foods they prefer are rich in saturated fatty acid.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parents for right consumption and choice of the processed f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