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슈만 《빌헬름 마이스터 가곡집》의 분석 및 효과적인 반주 고찰

        길혜신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740

        본 논문은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빌헬름 마이스터 가곡집, Op.98a》(Lieder und Gesänge aus Wilhelm Meister, 1849)에 수록된 아홉 개의 곡을 대상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 고찰한 것이다. 이 가곡집은 문학적 소양을 갖춘 슈만이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의 소설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Wilhelm Meisters Lehrjahre)에 수록된 시에 곡을 붙인 미뇽의 노래 네 곡, 하프너의 노래 네 곡, 그리고 필리네의 노래 한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곡집을 분석한 결과 아홉 개의 곡은 등장하는 인물의 특징과 맞물려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인물이 노래하는 곡의 뉘앙스는 다음과 같다. 미뇽은 동경과 그리움, 다짐과 희망을 가지고 있는 인물로 각 곡의 전주, 간주, 후주에 미뇽의 애달픈 심경이 잘 표현되어 있다. 하프너는 예술의 긍지, 고독, 번민, 고통과 그리움으로 표현되는 인물로 다양한 반주 음형들 속에서 하프너의 심리를 엿볼 수 있다. 필리네는 명랑함과 쾌활함을 가진 긍정적 인물로 가곡집에서 분위기를 전환하는 효과를 가지며, 곡 전체에 쓰인 스타카토를 통해 경쾌하게 밤을 예찬한다. 이 작품은 일반적인 가곡집과 다르게 세 명의 성악가가 등장하는 소규모 음악극의 성격을 갖고 있다. 반주자의 관점에서 《빌헬름 마이스터 가곡집》의 전곡 연주는 뚜렷한 캐릭터를 가진 세 명의 인물과 함께하는 흥미로운 작업이다. 이를 위해 소설과 시에 나타난 배경 및 텍스트를 살펴보고, 각 곡의 구성, 박자, 빠르기, 지시어, 반주음형 등을 분석하고, 연주 방법에 따른 반주법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and reviews the nine songs from Lieder und Gesänge aus Wilhelm Meister, Op.98a (1849) by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from various aspects. The collection of songs consist of four songs from Mignon, written by 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 based on his literary literacy for poems that appeared in the novel 『Wilhelm Meister's Apprenticeship』, four from Harfner, and one from Philin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ion of songs, it can be seen that the nine songs are interlock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The nuances of the songs sung by each character are as follows. Mignon is a person with longing, missing, commitment, and hope. Therefore, the accompanist should express Mignon's heartbreaking feeling from prelude to bridge and postlude. Hafner is a person who expresses his pride in art, solitude, misery, pain and longing. Hafner's psychology is expressed in various accompaniment sounds. Philine is a positive person with cheerfulness and merriness. He brings a new vibe to the collection of songs and celebrates the night cheerfully through the staccato used throughout the song. Unlike other general collections of songs, this work has the character of a small music play featuring three vocalists. From the accompaniment's point of view, the entire performance of Lieder und Gesänge aus Wilhelm Meister is an interesting work where he or she can meet three characters with distinct traits. To this end, the background and text of the novels and poetry were reviewed, and the composition, beat, speed, directives, and accompaniment patterns of each song were analyzed, and accompani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method were considered.

      • 클라라 슈만의 <6개의 가곡집>(Sechs Lieder,Op.13)에 관한 연구

        이가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724

        클라라 슈만(Clara Schumann, 1819-1896)은 19세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독일 여성 작곡가이다. 이 시기의 여성 작곡가들은 대개 가곡이나 짧은 피아노곡들을 작곡했다. 클라라 역시 예술가곡뿐만 아니라 피아노 작품 등의 기악 작품을 작곡하였다. 가곡에는 <3개의 노래>(Drei Lider, Op.12)와 <6개의 가곡집>(Sechs Lieder, Op.13), 그리고 <유쿤테에 의한 6개의 노래>(Sechs Lieder aus Jucunde, Op.23) 등이 있다. 이 중에서 <6개의 가곡집>은 클라라 슈만이 덴마크의 캐롤린 아말리에(Caroline Amalie, 1821-1879) 여왕에게 선사했던 작품으로, 엠마누엘 가이벨(Emanuel Geibel, 1815-1884)과 하인리히 하이네(Heinrich Heine, 1797-1856), 그리고 프리드리히 뤼케르트(Friedrich Rückert, 1788-1866)의 시를 토대로 작곡한 가곡집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라 슈만의 예술가곡 작품 중 <6개의 가곡집>(Sechs Lieder, Op.13)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먼저 작품 배경으로 낭만주의 음악의 특징과 <6개의 가곡집> 분석을 연구하였다. 또한 제2장에서는 작곡 배경과 각곡의 가사, 형식, 화성 그리고 선율을 분석하였다. <6개의 가곡집>은 사랑, 청춘, 자연 등을 주제로 모두 총 6개의 곡으로 구성되며 형식은 2부분형식과 3부분형식, 그리고 변주형식으로 나타난다. 이들 곡에서는 시의 느낌을 더욱 잘 표현하기 위하여 전타음, 경과음, 계류음 등의 비화성음과 반음계적 선율 진행이 많이 사용된다. Clara Schumann(1819-1896) is a German female composer representing the romantic era of the 19th century. Most of the Female Composers in this period composed music or short piano music. Clara not only create the artist's music, but also create piano works and other instrumental works. The songs include (Drei Lider, Op.12), (Sechs Lieder, op.13), and (Sechs Lieder aus jucunde, Op.23). Among them, six anthologies is the representative song of Clara Schumann, the work of Queen Caroline Amalie (1821-1879), Emanuel geibel (1815-1884), heirich Heine (1797-1856) and Friedrich Rückert(1788-1866) collection of songs arranged in music.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study Clara Schumann's "Six Songs" (Sechs Lieder, Op.13). To this end, Chapter 2 first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Romantic music and Clara Schumann's life and major works as a theoretical setting. Later in Chapter 3, he studied the background of the composition and the lyrics, form, harmony, and melody of each song. The "Six Songs" (Sechs Lieder, Op.13) consists of a total of six songs under the theme of love, youth, and nature, and features two-part, three-part, and variational forms. In order to express the feeling of poetry better, these songs are often used to perform non-harmonic and semi-tone melodies such as Appoggiatura, Passing Tone, and Suspension. The melody of the vocal part and the piano accompaniment also deliver the lyrics romantically. Through these musical features, these six songs are formed into one complete piece.

      • 볼프의 『아이헨도르프 가곡집』 No. 3, No. 12, No. 14, No. 16, No. 18 분석 연구 : : 가사와 음악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이통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709

        볼프는 후기 낭만주의의 대표적인 예술가곡 작곡가이다. 『아이헨도르프 가곡집』에는 볼프가 1880-1888년에 완성한 아이헨도르프 시를 가사로 하여 지은 작품 20곡이 수록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볼프의 『아이헨도르프 가곡집』중 ‘침묵의 사랑’(Verschwiegene Liebe), ‘향수’(Heimweh), ‘절망하는 연인’(Der verzweifelte Liebhaber), ‘사랑의 행복’(Liebesglück), ‘기대’(Erwartung)의 인간의 다양한 감정을 주제로 사용한 다섯 작품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볼프는 예술가곡 창작 시, 시적 화자의 감정에 중점을 두어, 성악 선율의 특징을 이야기하듯 낭독 스타일로 작법하였고, 시의 언어 리듬, 악센트 등의 운율적 특징을 성악 선율에 적용하여 가사의 의미와 내재된 정서를 더욱 효과적으로 강조하였다. 볼프는 성악 선율에 동음 반복, 반음계 진행, 나폴리 화음, 부딸림화음, 증6화음 등을 사용하여 성악 선율 내 색채적 변화를 함양시켰다. 볼프의 예술가곡에서 피아노 반주는 성악 선율과 독립적으로 시의 분위기와 정경, 시적화자의 내면세계 등을 리듬 어법이나 주된 선율 동기, 풍부한 다이내믹 변화, 세심한 아티큘레이션 등의 사용을 통해 시에 내재된 의미를 더욱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볼프의 예술가곡은 불협적 음향과 반음계적 변화화음의 광범위한 화성 어법 사용을 통해 시적화자의 깊은 감정을 더욱 암시적으로 잘 전달하였다. Hugo Wolf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art songs of late Romanticism. The "Eichendorff Liederbuch" contains 20 songs written by Wolff in lyrics of Eichendorf poems completed in 1880-1888. In this paper, five songs from Wolf’s “Eichendorff Liederbuch”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various human emotions such as ‘Silent Love’(Verschwiegene Liebe), ‘Homesick’(Heimweh), ‘Desperate Lovers’(Der Verzweifelte Liebhaber), ‘Happiness of Love’(Liebesgluck), and ‘Expect’(Erwartung). Wolf's art songs of poetic creation, focus on the speaker's feelings, vocal melody characteristic of reading style, as if talking sound and rhythm of language, accent the prosodic features of vocal music melody, lyrics by applying the inherent meaning and sentiment of emphasizing more effectively. Wolf used homophonic repetition, chromatic progression, N6, dissonant chords, and six chords to cultivate color changes in vocal melody. In Wolf's art songs with piano accompaniment vocal melody a city atmosphere and scene independently, poetic narrator's inner world, etc. The main melody rhythm or incorrect usage motive, abundant dynamic change, meticulous Artie at study through the use of calibration and inherent meaning more specifically described. Wolf's artistic songs convey the poetic speaker's deep feelings more implicitly through the extensive use of Mars diction in dissonant sound and chromatic variations.

      • Hugo Wolf 藝術歌曲의 獨自性에 관한 硏究 : 그의 5개의 代表的 歌曲集에서 1曲씩 발췌한 5作品을 중심으로

        손명자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708

        One of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 of Romantic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the birth of the art song. The art song, as we know it, today was a product of the romantic era. It was created by the union of romantic poetry and music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is union was consummated with such artistry by Schubert and his successors, notably Schumann and Brahms, that the new genre came to be known all over Europe by the German word for song - Lied. The Lied was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romantic forms of music. Late 18th - century and 19th - century romanticism gave great impetus to serious popular poetry, and many poems of such masters as Goethe and Heine were set by Lied composers. Schubert, who composed more than 600 Lider, Schumann, Brahms are famous among the 19th - centruy Lider composers, and Hugo Wolf succeeded them. The Lied brought to flower the romantic desire for the union of music and poetry. The Lied ranged from ender sentiment to dramatic balladry. Its favorite themes were love and longing, the beauty of nature, and the transience of human happiness. Within a short time the Lied achieved immense popularity and made a durable contribution to world art. This thesis aimed at studying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Hugo Wolf's Lider by examin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German Lied, his techniques and originality of composing Lider, and the relationships of music and poetry in Lied, and by analysing five Lider in his five representative songbooks. "Morikelider" - more than fifty songs, composed within a few months, - it is above all this astonishing musical wealth that captivates us, together with the breath of nature, fields, woods and hills. The traditional, folksong- influenced style of earlier German song is clearly still one element in the Morike volume. In the Eichendorff songs, Wolf laid emphasis on the more manly and humorous aspects of the poet, which Schumann had neglected. This volume is full of captivating things, but occupies a relatively modest place in Wolf' s greater song collections. After Morike, Eichendorff and goethe Wolf found no further inspiration in German poetry. Wolf had had Morike, fortunately, almost to himself ; he could share Eichendorff with Schumann, but already, in the Goethe volume, he had been driven largely to repress the natural lylical side of his nature, to emphasize his intellecuual approach. Wolf's Spanish Songbook is a wonderful series of portrait - sketches of men and women in every phase of love's troment and delight. In Spanish Song Book he lays less emphasis on felicities of verbal accentuation than on rhythmic vitality and passionate expression. Wolf in his search for dramatic truth is seen at his most uncompromising in some of the religious songs with which the Spanish Songbook opens. Wolf's Italian Songbook is full of the liveliest portraiture of the most varied types. Here Wolf allowed himself complete freedom in interpreting his poetic material and produced his most exquisite and original work. There is nothing Italian about these songs ; everything has been refined and transfigured in the composer's imagination. The musical. style is a marvel of simplicity and limpid beauty. In Wolf's Italian Songs the Lied attains its consummation. Wolf's songs were very original, in the finest tradition of the German Lied ; they are unique in their poetic insight and in the richness of their evocative accompaniments. He placed emhpasis on the poem itself, so he was very faithful to his poets and treated their words scrupulously. He expressed much deeper ideal of art not only musically but also poetically on the basis of the balance of poetry, melody and barmony with the treatment of recitative voice melody and emphasizing the parts of contents of words. His style of piano accompaniment leads content of a poem showing dramatic dialogue forms with poetry through intimate interdependence of poetry, m lody and harmony. His harmony of songs shows a chromatic scale of R. Wagner, but has very original styles which differ from those of R. Wagner's music. In the Lied Hugo Wolf attained a new and intimate union between music and poetry. Wolf was the composer who brought the 19th-century German Lied to its highest point of development.

      • Hugo Wolf의 가곡연구 : 뫼리케·아이헨도르프·괴테·스페인·이탈리아 가곡집을 중심으로

        양주리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90

        낭만주의 시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독일예술가곡은 슈베르트, 슈만, 브람스, 볼프 등을 거치면서 절정을 이루었다. 특히 볼프는 가곡사의 흐름에 비추어 시와 음악과의 합일이라는 측면에서 모든 음악어법을 계승, 발전시켰다. 이 논문에서 본인은 독일 예술가곡의 역사적인 배경을 기초로 볼프 가곡이 가곡사에 지닌 의미를 독일 예술가곡의 음악삳적 흐름과 볼프가 작품 활동을 하던 19세기의 독일의 철학사상· 문학 사조· 사회적 배경 그리고 볼프의 생애와 그의 가곡이 지닌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볼프는 시에 대한 특별한 이해를 통하여 멜로디와 시의 완벽한 조화를 이루어 냈다. 그리하여 가곡의 선율은 시의 운율볍과 감정의 기복에 의해 이루어졌고, 시어들이 내포한 의미를 다양한 선율로 표현하였다. 둘째로 볼프는 극적인 것· 서정적인 것· 발라드적인 것· 서사적인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음악 형식을 사용하였다. 불협화음과 전조를 통하여 표현이 풍부한 7도· 중5도 음정· 감화음 그리고 해결되지 않은 불협화음 등을 사용하여 시어와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볼프는 당김음과 쉼표의 사용으로 시의 리듬효과를 다양성 있게 구사했으며, 피아노 성부는 그 풍부한 구성과 정묘함으로 이미 반주가 아니라 시의 극적인 주해(註解)로서 노래와 동등한 위치에서 연주되어졌다. 그리고 악상표현은 섬세히 처리되어 극단적인 fff나 ppp 등 과 피아노의 상징적 표현으로 음성적 의성어가 자주 등장함을 볼 수 있다. Hugo Wolf, German composer, established himself as the one of the best and last Ramantic Lied composer after Schubert, Schumann and Brahms. But in his poetic mind, he gave poetry first place, and more truly and more fully than any of his predecessors he permitted the poem to shape the song, not only in the large but particularly in the small details. in this thesis I research the trend of the 19th century's German philosophy, literature, social and music history before I moved on the Wolf lieder. Wolf was the admirer of Schumann for his thorough understanding of poems he wrote on his songs. But no one including Schmann, had been fair to the poem. Secondly, Wolf adapted varous style of music on his lieder, i. e. drama, lyricism, ballard and folklore. He frequently put the syncopation on his music for better poetic expression, while using 7th, 5th and discords. He considered the piano part as not just accompanying to the melody but played the interpretation of song, and not hesitating using extreme fff or ppp on his lieder.

      • Gustav Mahler(구스타프 말러)의 초기가곡집 Lieder und Gesänge aus der Jugendzeit(젊은 날의 가곡과 노래) Volume1에 대한 작품분석 및 연구

        김현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Gustav Mahler (1890-1911) was a late 19th-century composer and representative of romanticism. He is also a conductor. He left countless vocal and symphonies, so he undertook important role for connecting chromatic scale and atonality. He left over 50 vocal and nine symphonies, both of which included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tendencies. His early works were close to romanticism and combined folk music with romanticism to use folk melodies. Mahler mainly composed poems with romantic and conservative characteristics, which are also revealed in Lieder und Gesänge aus der Jugendzeit. Lieder und Gesänge aus der Jungendzeit, which consists of a total of 14 songs, consists of volume I, volume II, and volume III, and Des Knaben Wunderhorn's. The poet Hans und Grete, written by Mahler himself, was the first song to be released among Lieder und Gesänge aus der Jugendzeit. In music, the 4th degree leap is the most prominent, and sequential progression appears repeatedly. He also linked the lyrics to music very closely. So if you look at his music, you can see that he has often tried to express the sounds of nature with music. The rhythm is relatively stable, and it can be seen that it appears repeatedly while expressing the lyrics, such as three syllables and decorations. In Lieder und Gesänge aus der Jugendzeit, Mahler's late romantic that Both the characteristics of compos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ism can be found. Gustav Mahler(1890-1911)는 19세기 말 후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지 휘자이기도 하다. 그는 무수히 많은 성악곡과 교향곡들을 남겼다. 그는 20세기의 반음계와 무조성의 시대를 여는 데에 아주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였다. 그는 50여곡에 달하는 성악곡과 9곡의 교향곡을 남겼는데, 그의 작품들은 진보적인 성향과 보수적인 성향, 이 두 가지의 성격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그의 초기 작품들은 대체로 낭만주의라 볼 수 있으며, 민요풍의 음악을 낭만주의와 연결시켜서 민속적인 선율을 구사하였다. 말러는 주로 낭만적이면서도 보수적인 성격이 드러나는 시를 선택하여 작곡했는데 《Lieder und Gesänge aus der Jugendzeit》에서도 그 특징이 잘 드러난다. 총 14곡으로 구성 된 《Lieder und Gesänge aus der Jugendzeit》는 volumeⅠ, volumeⅡ, volumeⅢ로 구성되어 있으며 Ⅱ와 Ⅲ는 《Des Knaben Wunderhorn》의 민요집에서 채택하였다. 말러 본인이 직접 쓴 시인 〈Hans und Grete(한스와 그레테)〉는 이 가곡집에 가장 먼저 발표가 된 곡이다. 음악적 특징은 4도 도약이 가장 두드러지며 반복적으로 순차진행이 나타난다. 또한 그는 가사와 음악을 아주 밀접하게 연결시켰다. 그래서 그의 음악을 보면 자연의 소리를 음악으로 나타내려고 자주 시도한 것을 엿볼 수 있다. 박자는 비교적으로 안정적이며 셋잇단음표와 꾸밈음 등, 가사를 표현하면서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Lieder und Gesänge aus der Jugendzeit》에서는 말러의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로서의 특징과 고전주의의 특징 모두를 다 찾아볼 수 있다.

      • 김순남의 가곡집 『자장가』에 대한 분석적 고찰

        최은경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62

        지금까지의 한국 양악사를 살펴보면, 정치적인 이데올로기 문제로 인하여 비중있는 음악가와 작품들이 사장되어 있었고, 남겨져야 할 기록에도 배제되는 등 미완의 역사를 낳게 했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한 월북 작곡가 김순남 역시 '시대의 비운아'라 할 수 있다. 김순남은 해방 · 분리공간기에서 창작활동을 편 대표적인 인물로서, 우리나라 최초의 민족주의적인 현대음악 작곡가로 알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의 연구는 그러한 중요한 역사성을 지닌 김순남의 작품중에서 시대성과 예술성을 아울러 해방전후의 그의 정신사적 일면을 알 수 있는 작품들을 수록한 가곡집『자장가』를 분석·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각종 문헌을 통하여 그 당시의 사회적인 배경과 음악사적인 흐름을 살펴보고, 김순남의 작품과 음악사상 및 한국 음악사에서의 김순남의 영향에 관해 알아본 다음, 가곡집 『자장가』에 수록된 총8곡의 작품들을 구조적인 측면에서 총괄적으로 분석 · 고찰한다. 연구 · 분석의 결과, 대부분의 작품들이 한국전통음악적인 색채와 요소, 그리고 현대20세기의 서양음악적 기법이 절충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평조, 계면조 등의 민요음계와 선법, 장2도와 완전 4·5도의 선율적 진행, 가사에 종속된 음악, 증감2·4·5도의 음정에 의한 화음체계와 부가화음 및 불협화음, 무조성적인 흐름 등 인상주의적 기법 및 바르톡 등을 위시한 민족주의 음악적 특징들, 4·5도 상·하행의 시작과 종지, 반복적이고 불규칙한 리듬과 민요장단 및 변박과 비대칭 구조, 변주적 기법, 관현악적인 반주의 색채 등의 특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김순남의 민족음악의 길은 한국의 다른 작곡가들과 달리 서양음악적 기능성을 배제시킨데서 찾아야하고, 바로 이점이 김순남의 한국적 민족음악의 고유함과 탁월함이다. 월북 작곡가 김순남은 서양음악을 공부했지만, 그 작품을 표현함에 있어 우리의 전통음악에 뿌리를 두고 과학적이고도 진실성을 갖춘 민족주의 음악수립을 위해, 민족정서를 통하여 민중·민족을 위한 음악실천으로 하나의 통일 음악을 이룩하려 했다. 음악속에 갇히지 않고 해방공간에 있는 모든 민중에게 음악을 되돌려 줌으로써 민족음악을 정립하려 했던 것이다. 김순남, 그는 분명 이데올로기 시대의 희생양이었다고 생각된다. 늦게나마 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또, 이루어지고 있지만 앞으로도 그에 대한 위대성은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고 논자는 말하고 싶다. 본 연구를 통해서 논자는 민족주체의식을 가지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음악세계를 구축함으로써 한국 양악사에 새 장을 개척한 민족음악의 선구자로서 음악사적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는 월북 작곡가 김순남을 알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 본다. Considering the history of Korean western music, it is found that influential musicians and their works have been isolated and unrecorded because of ideological problems, that is, remained as an unfinished part of the history. As a composer discussed in this study. Soon Nam Kim who went to North Korea can be seen as a victim of this nation's ideology-oriented period. He was one of those who made creative activities during the period from national liberation to separa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He was the first national composer of modem music in Korea.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composer's collection of songs titled 「Lullaby」 which makes it possible to look into his spiritual facets around the period of national liberation by getting together his historical works with periodic and artistic qualities. For the purpose, the study examined social backgrounds and musical trends of his contemporary period, reviewed the composer's works, musical ideas and influences on the history of Korean music, and then analyzed and reviewed totaled eight works contained in 'Lullaby, from a view of structur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eight works combined colors and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echniques of western music of the 20th century. His works were characterized by folk scales such as plain and interfacial keys, melodies such as major second and augmented and diminished second, fourth and fifth, additive chords and dissonance, impressive techniques including non-composition, features of national music including bartok, start and cadence with upward and downward four and five degrees, repetitive, irregular rhythms, folk song times, irregular times and asymmetrical structure, variation, orchestral accompaniment. Unlike other Korean composers, Soon Nam Kim made his own way to national music avoiding the functionality of western music. This makes him look remarkable and excellent. Soon Nam Kim, who defected to North Korea, studied western music, but he expressed his works to establish scientific, realistic national music based on our traditional music. He tried to set up an unified music by practicing his works for the public and the nation considering national sentiment. In other words, Soon Nam Kim attempted to establish national music by returning music to all people of this nation under the space of liberation. He was assumedly a victim of the era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caused by the sepa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is researcher would like to say that the composer's greatness should not be ignored, although studies of his works have been made later and are now being made. Finall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help know about and understand the composer Soon Nam Kim who established his own world of music with a subjective national consciousness and who pioneered to open a new arena in the history of Korean western music,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figure in the history of music.

      • 휴고 볼프의 <이탈리아 가곡집> 분석 연구 : 제1, 4, 20, 46곡을 중심으로

        이해경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62

        19세기 후반의 대표적 '리트'(독일 예술가곡) 작곡가 휴고 볼프는 피아노 반주가 동반된 구조를 가진 독일 예술가곡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가사 선택에 있어서는 당대의 리트 작곡가들에 비해 훨씬 더 철저하고 독자적인 편이었고, 당대의 많은 작곡가들이 사용했던 민요적인 선율과 특히 브람스 가곡의 특징인 장절 형식 등과도 거리가 멀었다. 그는 근본적으로 오페라를 통해 가사와 음악의 결합을 추구했던 바그너의 음악철학으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아 이를 '리트'에서 실현해보고자 했는데, 따라서 성악 성부는 대부분 낭송적이거나 아리오소 양식으로 작곡되었고, 반주에서는 반음계적 성부 진행, 전타음, 선행음, 갑작스러운 전조, 모호한 조성 체계 등의 음악어법이 두드러진다. 본 논문에서는 휴고 볼프가 작곡한 <이탈리아 가곡집> 중에서 제 1, 4, 20, 46곡을 중심으로 그 곡들에서 드러나는 선율적인 특징, 반음계적인 화성 및 전조 형태, 피아노 반주, 통절 형식(Through-composed Form)의 사용 방식 등을 분석 고찰한다.

      • 김순남 가곡집 <산유화>, <자장가>의 음악언어에 대한 종합적 고찰 : 석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김윤경 동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62

        본 연구는 현재 우리의 음악적 상황에 대한 반성적 시각에서 서양음악문화의 무차별 수용으로 인해 지금의 대중음악과 예술음악이 지나치게 서양음악적이다라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역사적 비판으로 지금의 음악적 상황을 깊이 반성하고 그 방향과 전망을 조금이나마 밝게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1980년대부터 논의되기 시작한 민족음악은 해방공간의 음악활동을 통해 민족음악이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그 역동적 공간속에 김순남을 찾을 수 있었다. 그는 서구적 기법과 전통과의 대화를 통해 자주적 민족주의 음악으로 민중-민족을 위한 음악을 실천하였으며 민족음악어법을 누구보다 절실해 추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순남을 중심으로 연구된 석사학위 논문들의 종합적 인 고찰을 통해 현재 한국의 음악적 상황에 대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방법적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민족음악에 대한 정통성과 민족음악이론 정립에 대한 방향의 근거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에서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율에서는 전통적 음계인 평조와 계면조에 의한 민요선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4도진행의 빈번한 사용으로 선율의 중심음을 잡아 한국적 정서를 표현하였으며 현대적 기법에 의한 확대, 축소에 의한 다양성과 반복, 대위적인 병행진행을 이루면서 선율을 진행시키고 있었다. 거문고·가야금의 쌀갱·싸랭주법, 스르렁 주법과 대금의 떠이어와 같은 시김새를 사용하는 등 한국전통음악의 연주법 응용과 서양음악의 현대적 기법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었다. 가사에 있어서는 모든 악곡들이 가사의 내용에 충실하게 만들어졌다. 일제치하의 시련과 압박 속에서도 사회적·정치적인 현실을 직접적으로 묘사한 것은 없지만 은유와 암시를 통해 어두운 현실을 표현하였으며 가사 중심으로 음악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성과 화성적인 면에서는 전통음악적 특성과 서양음악적 기법들이 절충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장·단조 화성의 기피와 증·감화음의 구조는 현대적 화성기법으로 불협화음 및 조성의 불분명함은 화성의 색채를 흐리게 하고 있었다. 4·5도 화성과 부가화음을 수직적·수평적으로 처리하면서 음의 절약성을 시도하였고 부분적인 민요선법을 도입하여 조성감을 주었다. 셋째, 박자와 리듬에 있어서는 한국전통적 장단과 복합박자를 엿볼 수 있었다. 변박을 사용하여 다양한 리듬변화를 추구하였고 복합박자는 서구의 현대음악양식의 하나로 우리의 전통음악에서도 찾아 볼 수 있는 형태였다. 느린 굿거리 장단의 응용과 농악에서 나타나는 타악기적 분위기, 장고의 리듬을 피아노로 묘사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며 액센트를 통한 리듬의 변화 등에서 비대칭적 구조와 다양성을 엿볼 수 있었다. 가사에 따른 강약을 조절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넷째, 악곡의 시작과 종지는 4·5도 음정의 상·하행 진행 및 강박에서 여리게 시작되어 약박으로 끝나는 현상은 우리 전통음악적 특징인 민요, 시조, 가곡 등 성악곡과 대부분 합치되며 대부분 악곡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다섯째, 피아노 반주는 가곡의 한계를 넘으려는 듯한 관현악적인 색채를 나타내고 있었다. 격동적이고 반복적인 리듬, 변주적 기법, 아르페지오, 4·5도 구성화음의 진행은 전통음악적 장단과 음계를 형성시키고 현대기법과 절충되어 가사의 내용에 따른 분위기를 보다 잘 표현하기 위한 노력이 엿보였다. 이상과 같이 김순남 가곡에서 나타난 음악적 특징은 김순남이 음악을 통해 서구의 음악양식과 대결하면서 한국전통음악과의 대화로써 한국전통음악의 창조적 계승과 서양음악의 자주적 수용에 의한 민족주의음악을 추구했던 실천적 결과였다. 김순남은 한국양악사에서 최초의 새로운 민족음악 수립을 위해 새 활로를 개척한 해방·분리공간에서의 대표적인 음악가로 해방전후의 암담한 현실에서 고민한 민족주의 음악가였다. 서구의 기법과 일본의 방법론을 극복하고 민족 전래의 장단과 선법을 예술가곡에서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였으며 치밀한 구도력과 서정적인 세련미로 한국민족주의 음악의 실체를 이룩하였다. 이는 일제 식민지시대와 해방공간에서 활약한 다른 작곡가들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던 수준높은 작품들이었다. 이는 수용된 양악의 미적인 경험과 양식으로 민족음악을 추구하는 '만남의 과정'이 아니라 한국 고유의 문화권 안으로 들어와 한국인의 미적 경험과 양식으로 창출하는 '대화와 수정의 과정'을 통해 올바른 민족음악을 정립하는데 공헌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민족음악에 대한 정통성과 민족음악이론 정립을 위해 많은 부분들에서 김순남에 대한 새로운 평가와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a way of self-criticism on our musical circumstance, that is, Korean Pop-music as well as Art-music is too much affiliated to Foreign-music as a result from unlimited acceptance of Western-music itself and its culture, the study begins to help make better and eventually overcome the situation. Major studies on National-music was started in 1980s and in the studies, it was found that works in National-music were very active before and right after liberalization from Japan, and that it was Soon-Nam Kim who staged on the center. He tried communication between Western technique and National one, and pursued music for Public and Nation as independent National-music. He tried National-music expression harder than anybody else. The study is, accordingly, for gaining tool to resolve problems in musical situation in which Korea is now placed. And the job was mainly through perspective on theses especially centered on Kim, Soon Nam. Also, it is to set up for orthodox National-music and ground for desirable way to National-music theory. Main conclusion from major studies is as follows; First, in Rhythm, traditional scale Pyungcho and Kyemyeoncho which is all folk- song, was used. Frequent use of 4˚ was main stream to express Korean Feeling and the technique was harmonized again with Modern one by adding variety from magnifying and shrinking and by matching and coordinating of that Rhythm. The techniques were expressed in variety and it was seen in tuned playing of Korean traditional Ssalgaeng', Ssarang'and 'Srrreung'rendering of 'Keomoon-Ko'and 'Kaya-Kuem' and in the use of 'Shikimsae' like 'Ddoeo' of Daekuem and modern technique of Western-music. In words of song, all music wa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of words. Under the rep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ere was nothing that directly depicted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but tried to describe gloomy situation through metaphor and indication and all the trend is found to have centered on words. Second, in the aspect of Key and, Harmony character of Traditional-music was mixed with Western technique. That is, avoidance of Major· Minor harmony and structure of increase or decrease of chord were modern technique of harmony, and disharmony and uncertainty of key made harmony blurred. Furthermore, by using 4˚·5˚ harmony and additive chord, there was a trial to economize tones and help to build feeling of key through taking folk-song. Third, Korean traditional rhythmic pattern and mixed meter is seen. Beat-rotating was used to help change of various Rhythm. Mixed meter, which is one of modern forms of music in the West, is also found in our traditional music. And also, way of slow 'Koot-keory rhythm', mood of Percussion in Farm-music(Nong-Ak), and Rhythm of 'Chang-go'were described by piano. Additionally, structure way out of symmetry and variety are hinted in change of Rhythm with accent. Control of accents for each song of words was also used. Forth, with up and down of 4˚·5˚ Interval, the point that music starts faintly with strong beat and ends with weak one is found in and complies with most our traditional music like folk song, 'See-cho', Lied. Fifth, piano playing shows orchestra-like color was likely to overcome the limit of Lied powerful and repeated Rhythm, technique of Figurative Variation or Characteristic Variation, Arpeggio and 4˚·5˚ chord seem to have tried to form Duration and scale of traditional music and harmonize with modern technique to express better according to contents of song's word. As a conclusion, musical characteristics in Soon-Nam Kim's song can be defined as a result of his trying to make harmony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Western through independent and selective acceptance of outer music. Thus, in Western music history in Korea, he is a representative of all national musicians right before and after liberalization from Japan who tried first to build and develop new field of national music. Overcoming western techniques and Japanese theoretical tools, successfully making image in detail nation's traditional Duration and mode and furnishing with tightly located construction and deliberate emotion, he achieved realization of Korean National Music. His music is definitely differentiated from others of same age in that point. Not like other composers', in which national music was mostly pursued with the artistic experience and form of already adopted western music, his music was from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rectification between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in the genuine Korean Culture and descended artistic experience with its own form. It gives, therefore, the ground that in order to build and develop orthodox national music and theory of national music, we have to study and evaluate his music and effort again and continuously.

      • Francis Poulenc 의 가곡집「Airs Chantes」에 대한 연구 : 음악 작시법을 중심으로

        김미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61

        This thesis is based on the studies of 「Airs Chantes」of Francis Poulenc(1899-1963). Poulenc is one of the remarkable song composer of France in 20th century. As the youngest and outstanding composer among Les Six of Neoclassicism, he displayed his talents to the full in vocal music. By virtue of his unusual sense for French declamatory style, the number of his works reached 146, making it revitalized the faded world of French song. His song collection「Airs Chantes」consists of four different songs:「Air Romantique」,「Air Champetre」,「Air Grave」, and 「Air Vif」. These songs were originally poems of Jean Moreas, which were gathered in 7 volumes of <Le Stance(1927)>, then selected and titled by Poulenc. In this study,「Air Chantes」is observed in terms of its form, tonality, melody, and rhythm. The study particularly covers how the cadence and rhyme structure are musically manifested, and how the mute e is being handled. In addition, the role of the accompaniment has been examined how it creates melodies in connection with content and form of the poems. As results, it is found out that the songs except「Air Grave」own the very regular rhymes and the quite regular rules of versification. Poulenc differentiates masculine rhyme from feminine one, using the note value as well as ascending and descending progress. The composer also applied the same tone figure to the same rhyme of words in order to provide the uniformity. For the mute e, the composer did not put any individual phone to the liaison while expressed mute e itself if there is no liaison. At the verse where the rules of versification is strongly alive, he put emphasis on the part using the longer phone or ascending progress. In other words, Poulencs music deeply reflects both substantial and structural aspects of a literature. The accompaniment plays an important and supportive role in expressing the accented melodies and poetic nuance. It also replaces the unoccupied vocal melodies and links between melodies. Tonality often changes according to the poeticcontents. 6times of phonetic key changes in the 1st song, 4times in the 2nd song, 9times in 3rd song, and 8times of changes in 4th song can be found out and most of them occur between major and minor depending on the poetic feelings. Especially in 3rd song, 7times of tonality changes happen within 8phrases, and this could be more like an example of the harmony for coloristic effect rather than modulation. However, Poulenc tried to give the harmony by realizing the same phonetic key for both beginning and ending of a song. The melody is simple but artistic. The rhythm is exceedingly laconic and clear as the frequent use of quarter note and eighth note can be seen. And lastly, repeating of rhythms fills a song with uniformity. Through the analytical approach to Poulencs works, his distinguished talent in the「Air Chantes」has been verified. The beauty of this melody collection must have induced such a great number of musicians to get impressed and play. 본 논문은 프랑시스 풀랑크(Francis Poulenc,1899-1963)의 가곡집「노래들(Airs Chantes)」에 대한 연구이다. 풀랑크는 프랑스 예술 가곡에 있어서 20세기에 가장 주목받은 작곡가이다. 신고전주의 경향을 가진 프랑스 6인조 중 가장 젊고 뛰어난 작곡가인 그는 성악곡에 가장 좋은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프랑스적인 낭독법에 비범한 감각을 가지고 있던 풀랑크는 146곡에 달하는 많은 가곡을 작곡하여 퇴색되어 가는 프랑스 가곡을 새롭게 하였다. 가곡집인「노래들」은「낭만적인 노래(Air Romanitque)」,「전원적인 노래(Air Champetre)」,「장중한 노래(Air Grave)」,「활기찬 노래(Air Vif)」이렇게 총 4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1927년 장 모레아스(Jean Moreas, 1856-1910)의 시집 <스탕스(Le stance)>의 7권 중 각각 다른 책에 수록되어있던 이 시들은 풀랑크에 의해서 선택되어지고 제목이 만들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노래들」을 형식적인 면과 조성?선율?리듬 등의 측면에서 분석 연구 하였다. 특히, 시가 갖고 있는 운율과 각운 구조가 음악적으로 어떻게 표현되어 졌는지와 무음e의 처리에 주목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뿐 아니라 반주부의 역할이 시의 내용과 시의 구조와 어떻게 연관되어 선율과 함께 표현 되어졌는가 연구 하였다. 그 결과 이 4개의 시는「장중한 노래」를 제외하면 모두 규칙적인 각운과 비교적 규칙적인 율격을 지니는데 풀랑크는 남성운과 여성운으로 나타나는 시의 각운을 음가의 길이와 상?하행 진행으로서 나타냈으며 같은 각운을 지닌 단어에는 같은 음형을 사용하여 통일감을 주어 작곡하였다. 무음e의 경우 연독이 되는 부분에서는 음가를 주지 않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에서는 음가를 주어 무음e를 표현하였다. 율격이 살아있는 시행의 경우에는 긴 음가나 상행진행으로 강세를 표현하였다. 즉, 그는 시의 내용과 구조적인 모든 면을 음악 안에 깊이 투영시켜 작곡하였다고 볼 수 있다. 반주는 화성적 이면서도 선율의 강세와 시어의 뉘앙스를 돕는 등 적극적인 보조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성악 선율이 비어 있을 때는 선율을 대신하기도 하고, 선율과 선율을 이어주기도 한다. 조성은 시의 내용에 따라 변화되어지는 경우가 많다. 1곡에서 6번, 2곡에서 4번, 3곡에서 9번, 4곡에서 8번의 조성변화가 나타나는데 이는 대부분 시어들의 분위기에 따라 장?단조로 변화한다. 특히 3곡에서는 8마디 내에서 7번의 조성변화가 나타나는데 이는 조성의 변화라기보다는 화성을 색채적으로 사용한 예라 할 수 있겠다. 풀랑크는 이런 빈번한 변화 안에서도 곡의 처음과 끝을 같은 조성으로 하여 조성감을 부여하고자 했다. 선율은 단순하지만 아름답고, 리듬은 매우 간결하고 단순한 것으로 4분음표와 8분음표를 자주 사용하였고, 같은 리듬의 반복으로 곡에 통일감을 주었다. 이렇게 가곡에 있어서의 풀랑크의 뛰어난 재능은 「노래들」에서도 어김없이 나타났고, 이것이 주는 아름다움이 많은 연주자로 하여금 이곡을 접하게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