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lection and Functions of the Residents’ Committee in China : Focusing on Shanghai

        Xinyu Wang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879

        Residents’ committee in China is a grassroots mass organization with self- governing functions of democratic election, democratic consultation, democratic decision-making, democratic management, and democratic supervision. At the same time, the residents’ committee is the lowest level of China's urban social management system, which is the main body of urban grassroots social management, undertaking the administrative functions of management and service. In the authoritarian political system and the single-party rule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the residents’ committee is also a tool used by the CCP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regime and improve the legitimacy of governance, undertaking political functions such as stability maintenance, mobilization, and education. Shanghai is the city with the highest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At the same time, since the found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hanghai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the urban grassroots management system reform, and has undertaken many pilot tasks, forming a representative "Shanghai Model."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the status and functions of Shanghai residents’ committee provide an entry point for observing the dynamic interaction and changes in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society and predicting the future growth space of China's society under the party-state political system dominated by the CCP. This paper first introdu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esidents' committee, and then analyzes the participants’ behavior in the various processes of the residents' committee democratic election through specific cases. Next, this paper explores the autonomous,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functions of residents' committees in reality. Then, it analyzes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e residents' committee’s democratic election being a mere ‘democratic show,’ and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violations of their self-governing functions. In conclusion, this paper asserts that compared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grassroots autonomy,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residents' committees actually reflect that the state power is penetrating and occupying the grassroots level of urban society, continuously squeezing grassroots autonomous space, strengthening the state control over society. Lastly, this paper provides prospects for the potential direction of the election and the functions of the residents’ committee in the future. 중국의 거민위원회는 민주적 선거, 민주적 협상, 민주적 의사결정, 민 주적 관리, 민주적 감독 등의 자치 기능을 가진 기층 대중 조직이다. 이 와 함께 거민위원회는 중국 도시사회관리 체계 중 최하위의 관리·서비 스등의 행정 기능을 맡고 있다. 권위주의적 정치체제인 중국공산당 (CCP)의 일당통치에서도 거민위원회는 안정유지·동원·교육 등 정치 기능을 맡아 정권의 안정을 유지하고 통치의 정당성을 높이기 위해 중국 공산당이 사용하는 도구다. 상하이시는 중국에서경제 발전 수준이 가장 높은 도시이다. 이와 함께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상하이는 도시 기층 사회 관리 시스템 개혁의 선두에 서서 많은 시범 임무를 맡아 대표적인 ‘상하이 모델’을 형성되었 다. 상하이시 거민위원회의 지위와 기능의 발전과 변화는 중국에서 국가 와 사회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작용과 변화를 관찰하고 중국 공산당이 지 배하는 당-국가 정치 체제 하에서 중국 사회의 미래 성장 공간을 예측 하는 진입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먼저 거민위원회의 역사적 배경을 소개한 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거민위원회 민주선거의 다양한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행동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현실에서 거민위원회의 자치기능, 정치기 능, 행정기능을 탐구한다. 이어 거민위원회의 민주선거가 단순한 ‘민주 쇼’에 그친 원인과 결과, 자치기능의 정치적·행정적 침해 등을 분석한 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사회 기층 민주와 자유의 발전보다, 거민위원 회의 발전과 변화는 사실 국가 권력이 도시 사회의 기층에 침투하여 점 유하고 있으며, 기층 사회 자유 공간을 지속적으로 옥죄고 있으며, 정부 에 대한 국가 통제를 강화하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선거의 잠재적 방향과 향후 거민위원회의 기능에 대한 전망을 제공한다.

      • 중국 농민공의 개발공헌 지위와 복지 수급 : 광동성 사례의 분석과 함의

        윤종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874

        Since its reform and opening, China's rapid economic growth and social change have been carried out in an experimental and progressive manner centered on local governments. This process led to the spread of nationwide reform and opening through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some regions with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the pragmatic reforms under "developmental pluralism" brought about the exclusion and stratification of very complex patterns in the daily lives of ordinary people as socialist emulsion and marketization became intertwined not only individually. Practical reforms have greatly expanded the opportunities for ordinary people to pursue better life opportunities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in the development process, but also, in the process, various complaints and anger over the discriminatory and differential citizenship that accompanies development pluralism have accumulated within individuals and groups. Welfare is at the heart of that complaint, and it has begun to emerge as a major social issue. This paper looks at how it has been localized around the Guangdong region, which has the largest scale of peasant work, on the "welfare expansion" for the peasant masses, which has been promoted at the Chinese national level since the early and mid-2000s. The concept of development citizenship as a development contribution right, which described the developmentist experience of Korean society, can be defined as an effective and/or just demand for national and social resources, opportunities and/or respect (Chang, 2014: 175) for citizens' accumulated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purpose of a country or society, and this paper applies to the issue of 'welfare' that is made around the development contribution of local countries and urban owners of Chinese society. In the early 2000s, in the process of the Chinese state attempting various institutional and policy transitions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the local state was given function as the main actor of development and also as a major enforcer in the welfare sector. The issue of "welfare" has generated much attention both at home and abroad, especially in China, where urban migrants represented by farmers' communists are the biggest contributors to the reform-and-open system but have been the most excluded victims from its development achievements. Guangdong was the first place for reform and opening up, the region with the most urban migration along with the fastest economic growth, and in the developed cities of Zhu River Triangle, much of the actual population (especially the labor force) consisted of peasants. By the 1990s, however, urban migrants in Guangdong had become the most marginalized between the continuation of the welfare system centered on the Hogu system and the marketized welfare since its reform and opening. In this regard, China's reform and opening-up system effectively excluded more than 200 million peasant-public reserve forces from the city's various services and education systems, creating an "efficient" system in which Chinese states and businesses are not responsible for the cost of their social reproduction. In this regard, the context of expanding the "welfare" of farmers' communists in Guangdong since the early and mid-2000s carries significant significance for the sustainability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system. In addition to the recognition of the "development contribution" to the peasantry at the national level, local governments in Guangdong have rediscovered the peasant public by new socioeconomic needs. In particular, as the sustainability of existing policy preferential treatment and speciality-based development methods was seriously questioned in the wake of intensifying regional/local competition following the nationwide expansion of reform and opening in the early and mid 2000s, the peasantry emerged as a major issue as the actual population in Guangdong. Local governments in Guangdong have begun to recognize the "development contribution" of urban migrant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workers, residents, consumers, taxpayer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not only "new workers," but also "new citizens," but also "advanced people," "gentlemen" and "new zealots" were raised, along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welfare system encompassing them, as well as the cumulative degree of development contribution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n the 2010s, a "study-based welfare system" that allows for a certain degree of survival. The scoring system is a representative form of local social citizenship in Guangdong, functioning as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provide farmers with a significantly improved form of "welfare" to the peasants, along with residence in Guangdong. Based on stable employment and residence in Guangdong, mid- to long-term cumulative development contributions in the province were officially approved through various scoring indicators established by the local government (education, functional/technical qualifications, tax and social insurance payments, investment/starting, residence, social participation, etc.) and provided a path for obtaining full citizenship of the province in a more comprehensive, standard and transparent manner than in the past. Although it is not comparable to those enthusiastically attracted by local governments, in some cases it has bee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ense that stable welfare can be expected in the future through the acquisition of their own educational and technical qualifications, or in the mid- to long-term employment and residence in the provinces. In doing so, the local government has prepared a system to quickly attract the necessary talent, as well as a major institutional and policy means to nurture and manage the farming public as an internal "actual population." In this process, farmers who have no slogan but already have a "middle class" status were able to acquire urban districts, and farmers with such aspirations were able to secure institutional channels to acquire new urban estates through self-development, such as enhancing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cquiring technical qualifications and improving their work experience. But the single-city-based local social citizenship still suffers from many institutional flaws and social controversies. Development contributions based on socio-economic needs have been transformed every year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s, and the institutional threshold,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peasants, has generated many social controversies due to its differential and discriminatory nature based on human capital. The most basic problem was the lack of a welfare ideological base and the nature of the integrated nationalization policy as a selective and selective 'welfare' rather than a social right. Despite policy initiatives at the central and Guangdong levels, efforts to expand welfare for farmers as "real residents" face a number of challenges in reality. First of all, the expected high cost of welfare risks causing social backlash from city government officials and existing residents, while low incentives lacked incentives to lead to the active execution of local officials on the base, even in the actual execution process. Next, the issue of the inclusion in the existing welfare system and the transfer of insurance to workers with stable jobs over a medium- and long-term period was also a condition to reduce the participation rate of farmers. In addition, the most necessary and most marketable education and housing welfare are not meeting the welfare demand of the peasants due to various socioeconomic thresholds and lack of infrastructure, while the achievements of th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context of urban modernization on the other hand tend to cause the peasants to lose their living base in cities and be pushed further to the suburbs. Finally, the problem that 'welfare' as a developmental nature does not justify 'welfare' as a universal right in national-citizen relations is also a big problem, assuming that it is as much of a burden on the welfare of the family. Generation and gender division within the peasantry family have important characteristics as their survival strategy and livelihood strategy, but as a result, whether the integrated localization strategy can make these families a kind of 'middle class' family that can enjoy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life in cities (or rural areas) remains an important issue. As migration has become family, long-term and active migration in Guangdong, broad-based areas have been formed at the Guangdong Province level in terms of the supply of welfare, including economic environment and social security, as well as the living base and areas of farmers' commune. Recent strategies for integrated development of large areas and urban and rural areas, such as Yuigangao, may have an improved effect on the farmers' commune as an actual resident of Guangdong, in that it can realize not only the achievements of development but also the flavour of development and welfare, by making development contributions more extensive and transferable than in the past. In addition, the equivalence of basic public services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services in the social management level provide conditions for not only existing urban residents, but also for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farmers' communes and for enjoying a certain amount of welfare accordingly. Efforts to expand the people's livelihoods and welfare at the Chinese national level are still facing many challenges, with somewhat improved effects on the welfare exclusionary aspects of the existing peasantry after all. In this regard, welfare as a "developmental contribution" in Chinese society is a process of realizing the people's livelihood and welfare represented by the Xiaokang society at the national level, while strengthening or justifying the new differential and discriminatory civil rights character.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사회변화는 지방정부 중심의 실험주의적·점진주의적 방식으로 이뤄져왔다. 이러한 과정은 한편으로 정치경제적 조건을 갖춘 일부 지역의 빠른 경제성장을 통해 전국적인 개혁개방의 확산으로 이어졌지만, 다른 한편으로 "개발다원주의"(developmental pluralism)에 따른 실용주의적 개혁은 사회주의적 유제와 시장화가 개별적으로뿐만 아니라 서로 얽혀가면서 일반 인민들의 일상 생활에서 매우 복잡한 양태의 배제와 계층화를 불러일으켰다. 실용주의적인 개혁은 일반 인민들로 하여금 개별, 집단적으로 개발과정에 참여하면서 더 나은 삶의 기회를 추구할 수 있는 기회를 크게 확대했지만, 또한 그 과정에서, 개발다원주의에 동반하는 차별적·차등적 시민권(differential citizenship)에 대한 다양한 불만과 분노가 개별·집단 내 축적되어왔다. '복지'는 그 불만의 핵심으로서, 사회적으로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2000년대 초중반 이래 중국 국가 차원에서 추진되어왔던 농민공에 대한 '복지 확대'에 대해 가장 많은 농민공 규모를 갖는 광둥 지역을 중심으로 어떤 방식으로 주민화되어왔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한국 사회의 개발주의 경험을 설명했던 개발공헌적 권리로서의 개발시민권 개념은, 국가 또는 사회의 개발적 목적에 대한 시민들의 누적되어온 공헌에 대한, 국가 및 사회적 자원, 기회, 그리고/또는 존중에 대한 효과적 그리고/또는 정당한 요구"(Chang, 2014: 175)로서 정의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중국 사회의 지방 국가와 도시이주자간의 개발공헌을 둘러싸고 이뤄지는 '복지'의 문제에 대해 적용한다. 2000년대 초반 중국 국가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해 다양한 제도적·정책적 전환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지방 국가는 개발의 주요 행위자인 동시에, 복지 분야에서도 주요한 집행자로서 기능을 부여받았다. '복지' 문제는 가장 주요한 이슈이자 중국 국내외적으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는데, 특히 농민공으로 대표되는 도시이주자들은 개혁개방 체제의 최대공헌자이지만 개발성과로부터 가장 배제된 희생자로서 주목받아왔다. 광둥 지역은 개혁개방의 1번지로서, 가장 빠른 경제성장과 더불어 가장 많은 도시이주자를 갖는 지역이었고, 특히 주강삼각주의 발전된 도시들에서 실제 인구(특히, 노동력)의 상당수는 농민공으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까지 광둥 지역 도시이주자들은 호구제도를 중심으로 하는 복지 제도의 지속과 개혁개방 이후 시장화된 복지 사이에서 가장 주변화되어왔다. 이런 측면에서 중국의 개혁개방 체제는 2억 이상의 농민공 예비군을 도시의 각종 서비스와 교육시스템에서 사실상 배제시킴으로써, 중국 국가와 기업이 이들의 사회적 재생산의 비용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 '효율적' 시스템을 탄생시켰다고도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2000년대 초중반 이래 광둥 지역에서 농민공의 '복지' 확대의 맥락은 중국 개혁개방 체제의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국가 차원에서 농민공에 대한 '개발공헌'에 대한 인정과 더불어, 광둥 지역의 지방정부들은 새로운 사회경제적 필요에 의해 농민공을 재발견해왔다. 특히 2000년대 초중반 개혁개방의 전국적 확대에 따른 지역/지방간 경쟁의 심화에 따라 기존 정책적 특혜와 특수성에 기반한 발전방식의 지속가능성에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광둥 지역 내의 실제 인구로서 농민공은 주요한 이슈로 등장했다. 광둥의 지방정부들은 노동자, 주민, 소비자, 납세자, 사회적 참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도시이주자의 '개발공헌'을 새롭게 인정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신노동자', '신시민' 뿐만 아니라 '선전인', '신동관인', '신광둥인' 등 새로운 지역 정체성을 갖춘 발전담론이 제기되었고, 이들을 포괄하는 복지체계의 재편과 더불어 2010년대 지방정부 차원에서 개발공헌의 누적된 정도에 따라 완전한 시민권으로서의 '복지'로부터 일정정도의 생존적 복지까지를 허용하는 점수적립식의 '층차화된 개발공헌적 복지 체계'(stratified developmental contributory system)가 형성되었다. 점수적립식 호구제도는 광둥 지역의 대표적인 지방 사회적 시민권의 한 형태로서, 광둥성 거주증과 더불어 과거에 비해 상당히 개선된 형태의 '복지'를 농민공에게 제공하는 제도적 틀로서 기능했다. 광둥지역에 안정적인 취업과 거주를 기반으로, 해당 지방에서의 중장기간 누적된 개발공헌은 지방정부에서 제정한 다양한 점수적립 지표(학력, 기능/기술자격, 납세 및 사회보험 납부, 투자/창업, 거주, 사회참여 등)를 통해서 공식적으로 승인되었으며, 과거에 비해 보다 종합적이고 표준적이며 투명한 방식으로 해당 지방의 완전한 시민권을 획득할 수 있는 경로가 마련되었다. 비록 지방정부에서 열성적으로 유치하는 인재와 비견할 수는 없지만, 일부의 경우 자신의 학력과 기술자격의 취득을 통해서, 또는 해당 지방에서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취업과 거주할 경우 향후 안정적인 복지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개선적인 조치였다. 이를 통해 지방정부는 한편으로는 필요한 인재를 빠르게 유치할 수 있는 제도적 경로와 더불어, 내부적인 '실제 인구'로서의 농민공에 대한 중장기적인 육성과 관리를 할 수 있는 주요한 제도적·정책적 수단을 마련했다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호구는 없지만 이미 사실상 사회경제적으로 '중산층'적 지위를 가진 농민공들은 도시호구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런 열망을 가진 농민공들은 학력 증진, 기술자격 취득, 업무경험 향상 등 자기계발을 통해서 새롭게 도시 호구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적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단일 도시 기반의 지방 사회적 시민권은 여전히 많은 제도적 결함과 사회적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사회경제적인 필요에 기반한 개발공헌은 지방정부에 따라 매년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되었고, 일반 농민공에 비해 높은 제도적 문턱은 인적자본에 기반한 차등적·차별적 성격으로 인해 많은 사회적 논란을 낳기도 했다.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사회적 권리가 아닌 선별적, 선택적 성격의 '복지'로서 갖는 편입적 주민화 정책의 성격과 복지 이데올로기적 기반의 부재에 있었다. 중앙 및 광둥성 차원의 정책의지에도 불구하고, '실제 주민'으로서의 농민공에 대한 복지 확대 노력은 현실적으로 여러 도전에 봉착해있다. 우선, 예상되는 높은 복지 비용부담은 도시 정부관료 및 기존 주민들의 사회적 반발을 불러일으킬 위험이 있고, 낮은 인센티브는 실제 집행과정에서도 기층의 지방관료들의 능동적인 집행을 이끌 인센티브가 부족했다. 다음으로, 중장기간 안정적인 취업을 한 노동자에게 더욱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기존 복지제도로의 편입과 보험의 이전 문제는, 농민공들의 참여율을 떨어뜨리는 조건이기도 했다. 또한 가장 필요하면서도 가장 시장화된 교육 및 주거 복지는 한편으로 여러 사회경제적 문턱과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농민공의 복지 수요에 못미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 도시 현대화의 차원에서 벌어지는 개발프로젝트의 성과로 인해 오히려 농민공은 도시에서의 생활기반을 잃어버리고 외곽지역으로 더욱 밀려나는 경향 또한 발견된다. 마지막으로, 개발공헌적 성격으로서의 '복지'가 국가-시민관계에서 보편적인 권리로서 '복지'를 정당화하지 않는 문제는, 그만큼 가족의 복지에 대한 무거운 부담을 전제로 한다는 점 또한 커다란 문제이다. 농민공 가족 내부의 세대별, 성별분업은 그들의 생존전략이자 생계전략으로서 중요한 성격을 갖지만, 결과적으로 편입적 주민화 전략이 이들 가족을 도시 (또는 농촌에서) 일정수준 이상의 삶을 향유할 수 있는 일종의 '중산층' 가족으로 만들 수 있느냐가 중요한 쟁점으로 남아있다. 이주가 가족화, 장기화되고 광둥 지역내 이주 또한 활발해지면서, 농민공의 생활기반, 활동영역 뿐만 아니라 경제환경 및 사회보장재정 등 복지 공급 측면에서도 광둥성 차원에서의 광역화된 권역이 형성되어가고 있다. 최근 위에강아오(粤港澳) 등 광역 및 도농 일체화 발전전략은 과거에 비해 농민공의 개발공헌을 광역화하고 이전가능하게 함으로써, 개발의 성과뿐만 아니라 개발공헌적 복지의 향유를 적어도 광둥성 내에서 일부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둥성의 실제주민으로서의 농민공에게는 개선적인 효과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기본공공서비스의 균등화와 사회관리 차원에서의 사회서비스의 발전은 기존 도시주민뿐만 아니라 농민공의 개발과정에의 참여와 그에 따른 일정정도의 복지를 향유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해주는 바이기도 하다. 중국 국가 차원의 민생과 복지 확대 노력은 결국 기존 농민공의 복지 배제적 측면에 대해 다소 개선적 효과와 함께, 여전히 많은 도전에 봉착해있다. 이런 측면에서 중국 사회에서의 '개발공헌'으로서의 복지는, 국가 차원의 샤오캉 사회 등으로 대표되는 전인민적인 (민족·국가적 차원의) 민생·복지의 실현의 하나의 과정인 동시에, 새로운 차등적·차별적 시민권적 성격을 강화 또는 정당화하는 다소 모순적인 성격을 갖는다.

      • 고령화에 대비한 아파트 부대복리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윤아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858

        As apartments become established as a representative housing type, the problems regarding the public nature of apartments are becoming more prominent, and common service facilities with physical space possessing public characteristics that can strengthen the community within apartment complexes are receiving attention. Also, because Korea’s unprecedented aging population is resulting in the aging residents of apartments, the demand for an apartment complex environment as residential space for the elderly, especially common service facilities is increasing as well. However, existing apartments’ common service facilities have in many cases been designed without considering the elderly, thu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approach and use the facilities, and expanding beyond that, to contribute to society and form their community.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tain basic data for planning common service facilities in apartments that can respond to the ageing of the apartment constituents, and examine and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inside the most recent apartment complexes, as well as their usage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 residents.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First, in order to discover the current condition of common service facilities in the most recent apartment complexes, eight complexes were used as subjects and their main common service facilities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facilities related to the community life of the elderly within the complex and specialized facilities aimed at the elderly were lacking in terms of their types, and their installment ratio to each household. In order to respond to the ageing of the apartment constitu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obtain quality facilities for the elderly living inside the complex, along with a plan that will make the existing facilities promote their use by the elderly.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usage situation of the main common service facilities using the elderly residing in the target complexes as subjects show that the usage of most facilities are low, and elderly community halls were used most widely as gathering space. In particular, the elderly tended to concentrate on using the elderly community halls as the facility for gathering space more as they became older, and it showed a need for a plan that would make it possible for the elderly to have various interchanges among the households within the complex by allowing the elderly residents to easily use not only the elderly community halls but other facilities as well. Third, the result of examining satisfaction level showed that the elderly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 general common service facilities. Also, the general satisfaction level of the relatively young elderly people regarding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was shown to be low, which confirmed that the demand and expectation of the elderly for facility quality is gradually increasing.Fourth,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most needed by the elderly residents were shown to be resting facilities and the elderly community halls, and the relatively young elderly people showed more need for interior exercise facilities. Furthermore, it was judged through survey results that the types of facilities the elderly need and want to use within the complexes will become more diversified, and there is also a ne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elderly during the planning stage for facilities other than the elderly community halls.Fifth,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ratio of associating with neighbors through common service facilities and the level of interchange, the higher the level of usage for most facilities wa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change within the complex, the more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were judged to contribute to the interchanges within the complex.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activation of interchanges within the complex can be planned through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Accordingly, the activation of interchanges within the complex for the elderly can be hoped for through the planning,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as a more comfortable and pleasant space for the elderly.This paper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within apartment complexe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housing form in Korea, so that it could respond to the ageing of the apartment constituents that is coming soon. For this, literature studies were conducted, as well as on-site examinations of common service facilities of apartments, and surveys with the elderly residents, and thus the current condition of common service facilities, their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them could be discover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terchanges among the elderly residents could be activated through the common service facilities in the complexe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triangulate a detailed plan for common service facilities planning of apartments that can respond to the coming ageing of the apartment constituents. In order to do this, future research must be conducted on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s well as on the satisfaction level, preferences, and need of the elderly residents regarding the specific planning directions and detailed elements of common service facilities. 아파트가 대표적인 주거 유형으로 자리 잡아감에 따라 공동주택으로서의 공공성에 대한 문제가 점차 부각되면서 단지내 공동체를 강화시켜줄 수 있는 물리적인 공간으로서 공적인 성격을 지닌 부대복리시설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유례없이 빠른 고령화는 아파트 구성원들의 고령화로 이어지고 있어, 고령자의 주거공간으로서 단지환경 특히 공유공간인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아파트의 부대복리시설은 고령자를 고려하지 않고 계획한 경우가 많아, 고령자의 접근과 이용을 힘들게 하며, 더 나아가 고령자의 사회 참여 및 공동체 형성을 저해할 수 있다.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구성원의 고령화에 대응할 수 있는 아파트 부대복리시설을 계획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최근 아파트의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의 현황과 함께 고령 거주자의 이용실태와 만족도, 요구도를 조사,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최근 아파트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8개 단지를 대상으로 주요 부대복리시설의 설치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령자의 단지 내 공동체 생활과 관련이 있는 시설과 고령자를 대상으로 특화된 시설은 시설의 유형도, 세대 당 설치비율도 낮아, 아파트 구성원들의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령자의 단지 내 생활을 위한 시설의 양적인 확보와 함께 기존의 시설이 고령자의 이용을 지원해줄 수 있도록 계획할 필요가 있다.둘째, 조사대상 단지에 거주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주요 부대복리시설의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시설에 대해 이용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류장소로서는 노인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교류장소로 사용하는 시설이 노인정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정 이외의 시설에 대해서도 고령 거주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단지 내에서 다양한 세대 간의 교류가 가능하도록 계획할 필요가 있다.셋째, 만족도 조사결과, 부대복리시설 전반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적 젊은 고령자의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고령자들의 시설 수준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넷째, 고령 거주자에게 가장 필요한 부대복리시설은 휴게시설과 노인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젊은 고령자가 실내 운동시설을 더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조사결과를 통해 앞으로 고령 거주자가 단지 내에서 필요로 하고, 이용하고자 하는 시설의 종류도 다양화될 것으로 판단되어, 노인정 이외의 시설 계획 시에도 고령자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다섯째, 부대복리시설을 통해 이웃을 사귀는 비율이 높고, 교류수준이 높을수록 대부분의 시설에 대한 이용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단지 내 교류수준이 높을수록 부대복리시설이 단지 내 교류에 기여한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대복리시설을 통한 단지 내 교류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가 사용하기에 보다 편안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시설을 계획하고 유지, 관리하는 것을 통해 고령 거주자의 단지 내 교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거유형인 아파트의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이 앞으로 다가올 아파트 구성원의 고령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계획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과 아파트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현장 조사와 고령주민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부대복리시설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을 통해 고령주민의 교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아파트 구성원의 고령화에 대응할 수 있는 아파트 부대복리시설의 계획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추후에 고령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에 대한 연구와 함께 부대복리시설의 구체적인 계획 방향과 세부 요소에 대한 고령 거주자의 만족도와 선호도, 필요도에 대한 연구를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Research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hina's Sports Industry

        하 오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844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modern economy and the enhancement of residents' health consciousness, sports participation has gradually become one of the main choices for people's daily leisure and entertainmen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sports industry has also become a topic that cannot be ignored in China's overall economic development.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wo issues in the development of the sports industry in China. Part I: The impact of residents' sports consumption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green economy.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consumption behavior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always been controversial. As a key project suppor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for the development of green economy, the green transformation of sports consumption has received more attention at this stage. This part collects panel data from 30 provinces in China, calculates the green GDP Index and sports consumption level of each province, describes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explores the effect of residents' sports consumption on the regional green economy development. This study further divided the samples according to the geographic east-west location and initial Green GDP Index level, focusing on the heterogeneity between different regions. In terms of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GGDP index shows a gradually decreas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 from the southeast to the northwest. While the sports consumption level does not show an obvious step-by-step pattern of decreasing from the southeast to the northwest like the GGDP index. Th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sports consumption lev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GGDP Index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hole country. In terms of regional differences, this effect is not significant in the western and poor initial foundation regions. While in the eastern and good initial foundation regions, promoting residents' sports consumption has become an effective way to develop the green economy, a 10% increase in sports consumption level can raise the green GDP Index by more than 0.3 percentage points. While continuing to promote green sports consumption, the rational distribution of sports resources and the cooperation of sports markets among different regions should be the key points for future development. Part II: The impact of physical exercise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China's aging trend continues to deepen, and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are getting more serious. As one of the treatment methods to deal with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new empirical evidence for the effect of physical exercise on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Based on the cross-sectional data of the China Longitudinal Aging Social Survey 2016, this part constructed an economic model of mental health score according to the depression dependence scale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physical exercise as the main explanatory variable. This study further studied that among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exercise, how the frequency, intensity, and items of physical exercise impacts their mental health. The results show that physical exercis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for the vigorous elderly in 60-74 years old, but not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aged 75 and above. The frequency of physical exercise has no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Compared with low-intensity physical exercise, the impact of high-intensity physical exercise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is significantly negative. Among the sports items, square danc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than walking. The frequency of physical exercise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while low-intensity physical exercise and square dance are more conducive to promoting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 Reading ordinariness through a TV program featuring foreign residents in Korea : an audience study of KBS 1's My Neighbor, Charles

        이건미 Korea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622

        As the population of foreign residents grows, the number of foreigners appearing on Korean television programs is also increasing. The genre of programs that feature foreigners is diversifying, as well. Despite the continual expansion, programs have shown the limited interaction between foreigners and Koreans in everyday life. Rather, foreign residents have been represented in different reality, being separated from the normal Korean society, deprived of commonness. Because media constructs reality, such representation reinforces existing stereotypes which often leads to rationalization of the structural problems that cause individual, institutional, and political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toward foreign residents in Korea. The primary purpose of the thesis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audience discourse regarding the representation of ordinariness of foreign residents and see if such change has a distinct point from the previous traditional ideology where foreign residents were separately represented from the mainstream society, or whether it simply reproduces the discriminative ideology. Taking a form of explorative research, the study carried out FG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episodes from KBS1’s My Neighbor, Charles, focusing on the episodes that depict ordinariness and daily lives of foreign residents as the main text. It was concluded that the representation of ordinarines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Koreans and foreign residents did not produce different or counter-discourse, with audiences reading the episodes of MNC within the boundaries of internalized stereotypes and social exclusion. Audiences interpreted multicultural society under the influence of subtle prejudice. They were not yet familiar with the representation, calling it “ideal,” or apart from real life. Also, audiences considered foreign residents as potential competitors in the job market who locate to advantageous positions rather than a group who exist in the site of social struggles. This finding implies that, while criticizing the polarized representation of Korean media and the customs of Korean society in a way to recognize political correctness, audience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strive to maintain the homogeneity and nationalism of Korean society by locating foreigners outside of the Korean society, rather than imagining the life with foreigners in harmony.

      • 지방자치단체 다문화정책 한·일 비교연구 : 다문화공생사회 실현을 위하여

        김영화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71

        세계화의 진행과 함께 각국마다 국제적인 인구이동이 빠르게 활성화 되고 있으며, 수천 년간 단일민족의 신화를 간직해온 한국사회도 급속도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 들어오는 외국인에 대한 선별만큼이나 기존 국내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을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하는 것이 지방자치단체나 국가의 핵심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의 현황과 실태, 다문화정책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다문화사회에 먼저 진입한 일본의 다문화공생정책과의 비교를 통하여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정책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두고 있다. 국내거주외국인의 증가는 우리사회가 다양한 민족과 인종,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사회로의 이양을 의미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그에 따른 적절한 정책을 요구한다. 다문화공생은 국적과 민족 등이 상이한 사람들이 상호간의 문화의 차이를 인정하고, 대등한 입장을 구축하고자 노력하면서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거주외국인 중에서도 외국인근로자와 결혼이주여성을 주요대상으로 선정하여 거주외국인 현황과 사회에서 겪는 갈등사례를 심층인터뷰방식을 통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의 다문화정책과 일본의 다문화공생정책에 대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각종 외국인정책을 집중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이나 일본에서 외국인들의 겪는 갈등은 인권차별, 정착과정에서의 언어적 소통문제, 문화적 차이, 사회편견, 2세의 교육문제, 정책의 부족 등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었다. 정책면에서는 한국이나 일본 모두 과거의 외국인력 활용중심의 차별배제정책이나, 동화정책에서 탈피하여 거주외국인을 손님이 아닌 함께 살아가는 지역주민의 일원이라는 인식하에서 다문화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는 2007년“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을 시작으로 “다문화가족지원법”, “지방자치단체 거주외국인 지역사회 정착지원 업무편람” 등 여러 가지 외국인관련 다문화정책을 제시함으로써 정부의 주도하에 다문화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일본은 일찍이 시민단체와 지방자치단체가 주도가 되어 오래전부터 외국인에 대한 풀뿌리 지원정책을 실시해오고 있어서 단순한 지원책에서 벗어나 외국인도 함께 살아가야 하는 지역주민이라고 인식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사회의 분위기와 지방정부, 시민단체, 경제단체의 제언에 의하여 2006년에는 총무성에서 “지역의 다문화공생추진플랜”을 책정하기에 이른다. 문제는 우리나라가 현재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일련의 다문화정책이 아직은 걸음마단계로서 직접적인 수혜대상인 외국인들의 입장에서 볼 때는 정책의 중복, 보여주기 위한 행정 등 미흡한 면이 많이 존재한다. 더욱이 이는 다문화주의가 지향하는 ‘거주외국인을 손님이 아닌, 더불어 살아가는 지역주민으로 받아들이기 위한’ 정책과는 거리가 멀고, 여전히 기존의 동화정책, 일방적인 문화강요정책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는 것이 우리의 다문화정책의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로 생활터전이 되고 있는 지역사회,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현재의 단순한 지원책에서 벗어나 공생의 정책으로 나아가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앞으로의 사회를 저 출산, 고령화, 국제적인 인재획득의 경쟁사회로 생각할 때, 외국인을 위한 다문화정책은 반드시 필요한 정책이며 중장기적인 시책추진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특히 우리가 필요해서 외국인노동자, 외국인 신부를 들였으면, 그에 걸 맞는 정책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상호간의 국적과 문화를 인정하는 지역사회분위기 조성과 지역주민의 인식개혁이 가장 중요하다. 다문화사회를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장기적인 이민정책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중앙, 지방정부, 지역사회, 기업, 지역주민, 시민단체, 학교와의 유기적인 커버넌스체계의 구축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여야 한다. 특히 행정서비스의 직접적인 주체가 되는 지방정부에서는 지원프로그램의 다원화를 통하여 외국인의 입장에서 출발한, 외국인의 의견을 반영한 행정서비스의 정비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