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의료장비 알람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제경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Abstract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for medical devices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Lee, Je Kyung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Ulsan Supervised by Prof. Jang, Aele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edical device alarms, alarm fatigue, patient safety culture, and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for medical devic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February 2, 2021 to February 28, 2021.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6 ICU nurses at two tertiary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one tertiary general hospital and on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U City, South Korea,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Committee (IRB) at U University. This study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consists of a total of 118 items, including 10 item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items regarding alarm-related characteristics, 18 items regarding perception of alarms, nine item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larm-related issues, eight items regarding alarm fatigue, 44 items regarding patient safety culture, and 22 items regard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y gender,10.3% were men and 89.7% were women. The average age was 28.89±5.90 years old, with 69.2% in their 20s, 24.4% in their 30s, and 6.4% in their 40s. In terms of marital status, 27.6% were married, and 72.4% were unmarried. In terms of education level, 78.8% had an associate's degree, 16.7% had a bachelor's degree, and 4.5% had a master's degree or higher. In terms of hospital size, 64.1% were tertiary hospital nurses, and 35.9% were general hospital nurses. In terms of working department, 48.1% were nurses working in internal medicine ICU, 34.0% in surgical ICU, and 17.9% in cardiovascular ICU. The average clinical career length was 5.83±6.25 years, with 39.7%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 3 years, 22.4%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3 to 5 years, 21.8%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5 to 10 years, and 16%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 10 years.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one nurse was in charge of was 2.85±0.64. In terms of shift patterns, 96.8% were three-shift workers, and 3.2% were two-shift workers. The average level of physical fatigue in the past one week was 7.41±1.43 out of a total of 10 points. 2. With regard to the alarm-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medical devices that emit alarms included ventilators (98.1%), infusion pumps (96.8%), physiological monitors (93.6%),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equipment (80.1%), and the hemodialyzer (66.7%). With regard to alarm management, 92.3% reported that when a medical device sounded an alarm, the causes of the alarm were solved. The medical device with the highest alarm fatigue was physiological monitors (48.8%), followed by ventilators (24.4%),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equipment (18.6%), and infusion pumps (5.1%). In the recent two years, 80.1% received education on how to use medical devices, and 64.7% received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 management. As for the education methods on how to use medical devices, 76.8% were given a brief explanation in the ICU while on duty, and the medical devices in which they were educated included ventilators (83.2%), fluid infusion pumps (62.4%),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equipment (61.6%), and physiological monitors (52.8%). As for the education method on alarm management, 70.3% of the participants were briefed in the ICU while on duty, and the medical devices in which they were educated included ventilators (79.2%), infusion pumps (68.3%),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61.4%), and physiological monitors (55.4%). In addition, 37.8% experienced medical device alarm-related patient safety accidents, of whom 10.9% had direct experiences and 26.9% had indirect experiences. Among those who had experienced such accidents, 67.8% received feedback such as recommended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s or guideline changes. The mean score for the need for alarm-related regular education was 4.05±0.76 out of 5 points. 3. The mean score for the perception of medical device alarms among the participants was 3.48±0.30 out of 5 points. Among alarm-related issues, the perceived most important issue was that “Frequent false alarms, which lead to reduced attention or response to alarms when they occur.” The score for alarm fatigue among the participants was 3.58±0.50 out of 5 points. The score for patient safety culture was 3.39±0.23 out of 5 points. The score for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the participants was 2.66±0.37 out of 4 points.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larm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F=3.897, p=.022) among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larm-related characteristics. 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arm fatigu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eriencing patient safety accidents (F=3.730, p=.026). 6.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safety 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how to use medical device (t=3.492, p=.001)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 management (t=3.148, p=.002). 7.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hospital size (t=-3.482, p=.001),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how to use medical devices (t=3.295, p=.001),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 management (t=3.788, p=<.001). 8. The alarm management activit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nurses (r=-.283, p=<.001), alarm fatigue (r=-.173, p=.031), and the perceived third-most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that “Over-reliance on alarms to call attention to patient problems.” (r=-.283, p=.048). Patient safety culture (r=.251, p=.002)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ninth-most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that “Difficulty in hearing alarms when they occur.” (r=.224, p=.005). 9.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the participant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inputting the participants’ alarm-related characteristic variables in the first stage, alarm perception and alarm fatigue variables in the second stage, and patient safety culture variables in the third stage. The most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 was the perceived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Difficulty in hearing alarms when they occur.” (β=-.254, p=.001), followed by patient safety culture (β=.174, p=.025), and hospital size (β=.226, p=.028).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alarm management activities was 23.0% (F=6.773, p<.001, adj.R2=.230). In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the levels of perception of medical device alarms, alarm fatigue, patient safety culture, and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ICU nurses, and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included a perceived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that “Difficulty in hearing alarms when they occur.”, patient safety culture, and hospital siz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ducation to reduce alarm fatigue among ICU nurses and promote their alarm management activities. 국문 초록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의료장비 알람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는 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장비에 대한 알람인식, 알람피로, 환자안전문화, 알람관리 활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알람관리 활동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2월 2일부터 2월 28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은 B광역시 소재 2개 상급종합병원, U시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과 1개 종합병원에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집중치료실 간호사 156명으로 U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10문항, 알람 관련 특성 7문항, 알람인식 18문항,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순위 9문항, 알람피로 8문항, 환자안전문화 44문항, 알람관리 활동 22문항이며 총 1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목적에 따라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남자가 10.3%, 여자가 89.7%였으며, 평균연령은 28.89±5.90세로 20대가 69.2%, 30대가 24.4%, 40대가 6.4%였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27.6%, 미혼이 72.4%였다. 학력은 학사가 78.8%, 전문학사가 16.7%, 석사이상은 4.5%였고, 병원규모에 따른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는 64.1%, 종합병원 간호사는 35.9%였다. 근무부서는 내과계 집중치료실이 48.1%, 외과계 집중치료실이 34.0%, 심혈관계 집중치료실이 17.9%였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5.83±6.25년으로 3년 미만이 39.7%, 3년에서 5년 미만이 22.4%, 5년에서 10년 미만이 21.8%, 10년 이상이 16%였다. 집중치료실 근무경력은 평균 4.54±4.66년으로 3년 미만이 47.4%, 3년에서 5년 미만이 21.2%, 5년에서 10년 미만이 21.2%, 10년 이상이 10.3%였다. 간호사 한명이 평균적으로 담당하는 환자의 수는 평균 2.85±0.64명이었으며, 근무형태는 3교대가 96.8%, 2교대는 3.2%였다. 최근 1주일 내 신체적으로 느끼는 피로의 정도는 총 10점 만점에 평균 7.41±1.43점이었다. 2. 대상자의 알람 관련 특성 중 알람을 유발하는 의료장비는 인공호흡기가 98.1%, 수액주입펌프 96.8%, 생리학적 모니터 93.6%,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 80.1%, 혈액투석기 66.7%였다. 의료장비 알람유발 시 관리방법으로 알람의 원인을 해결한다는 응답이 92.3%였고, 알람피로도가 가장 높은 의료장비로는 생리학적 모니터가 48.8%, 인공호흡기가 24.4%,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가 18.6%, 수액주입펌프는 5.1%였다. 최근 2년 이내 의료장비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은 80.1%가 받았고, 최근 2년 이내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은 64.7%가 받았다. 의료장비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방법은 근무 중 짧은 집중치료실 내 설명이 76.8%였고, 교육받은 의료장비는 인공호흡기 83.2%, 수액주입펌프 62.4%,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 61.6%, 생리학적 모니터 52.8%였다. 알람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방법 역시 근무 중 짧은 집중치료실 내 설명이 70.3%였고, 교육받은 의료장비는 인공호흡기 79.2%, 수액주입펌프 68.3%,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 61.4%, 생리학적 모니터 55.4%였다. 의료장비 알람 관련 환자안전사고는 37.8%가 경험했으며 그 중 직접 경험은 10.9%, 간접 경험은 26.9%였다. 경험자 중 67.8%는 의료장비 알람과 관련된 개선교육이나 지침변경 등의 피드백을 받았다. 알람과 관련하여 정기적인 교육의 필요성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4.05±0.76점이었다. 3. 대상자의 알람인식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3.48±0.30이었다. 알람과 관련된 문제 중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1위는 ‘자주 발생하는 위양성 알람으로 인해 알람에 대한 경각심과 대처가 감소한다.’였다. 대상자의 알람피로는 총 5점 만점에 3.58±0.50이었고, 환자안전문화는 총 5점 만점에 3.39±0.23점이었다. 대상자의 알람관리 활동의 정도는 총 4점 만점에 2.66±0.37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알람인식은 교육정도(F=3.897, p=.02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알람피로는 환자안전사고 경험여부(F=3.730, p=.026)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는 의료장비 사용방법 교육 유무(t=3.492, p=.001),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 교육 유무(t=3.148,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알람관리 활동은 병원규모(t=-3.482, p=.001), 의료장비 사용방법 교육 유무(t=3.295, p=.001),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 교육 유무(t=3.78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알람관리 활동은 간호사의 평균 담당 환자 수(r=-.283, p=<.001)와 알람피로(r=-.173, p=.031),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3위인 ‘환자상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알람에 과도하게 의존한다.’(r=-.283, p=.048)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환자안전문화((r=.251, p=.002)와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9위인 ‘알람 소리가 잘 안 들린다.’(r=.224, p=.005)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9. 대상자의 알람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첫 번째 단계에는 대상자의 알람 관련 특성 변수를, 두 번째 단계에는 알림인식과 알람피로를, 세 번째 단계에는 환자안전문화를 입력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개별 변수로는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중 ‘알람소리가 잘 안 들린다.’(β=-.254, p=.001), 환자안전문화(β=.174, p=.025), 병원규모(β=.226, p=.028)의 순서로 유의한 설명변수였으며, 이 변수의 알람관리 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23.0%였다(F=6.773, p<.001, adj.R2=.230).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집중지료실 간호사의 의료장비에 대한 알람인식, 알람피로, 환자안전문화, 알람관리 활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중 ‘알람소리가 잘 안 들린다.’, 환자안전문화, 병원규모가 알람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알람피로를 줄이고 알람관리 활동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과 교육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임상간호사의 의료장비 알람관리 수행 영향요인

        이수정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43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clinical nurse’s alarm fatigue, alarm percepti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formance of alarm management. A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enhance nurse’s performance of alarm management by identifying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ing factors of the performance of clinical alarm management.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21 to September 10, 2020 using self reported questionnaire. Study participants were 116 nurses who working in a tertiary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SPSS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larm managem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test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among alarm fatigue, alarm percepti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formance of alarm manag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nurses. Scheffé test was used to analyze post-test. The relationships among four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factors influencing on Performance of alarm management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 mean age was 28.04 year-old, women accounted for 94.0%, Bachelor's degree in nursing accounted for 75.9%, staff nurses accounted for 87.1%, medical general ward accounted for 18.1%, surgical general ward accounted for 22.4%,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ccounted for 31.0% and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accounted for 28.4%. In addition, the total clinical career was 5.71 years on average and the current department's work career was 4.28 years on average. One nurse had a mean of 7.93 patients. Regarding to the latest one-week working hours, a mean was 36.67 hours. 2. Regarding alarm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 mean the number of medical equipment type in use was 6.96 types. regarding of subjects. The experience of setting the alarm range of an ECG monitor accounted for 75%. In the last two years, there are 94.0% nurses who had trained on how to use medical equipment and 78.4% nurses who had trained on how to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alarm. The case that authority to set alarm range was not determined accounted for 65.7% and the case that authority to deactivation alarm was not determined accounted for 76.7%. There are 0.9% nurses who had dedicated staff to medical equipment alarm and there are 6.9% nursed who had an alarm management multidisciplinary team. There are 38.8% nurses who had experience accident related to medical equipment alarm. After patient safety accident related to medical equipment alarms, there are 88.9% nurses who had experienced in improvement education or changing guidelines related to medical equipment alarm. The most important issue related to alarms was frequent false alarms that reduced attention or response when alarm occurred. 3. A mean grade of total five points was 3.50±0.50 regarding alarm fatigue of subjects. A mean grade of total five points was 2.87±0.42 regarding alarm perception. A mean grade of total four points was 3.61±0.31 regarding patient safety culture. A mean grade of total four points was 2.77±0.30 regarding performance of alarm management. 4. Alarm fatigu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larm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t=2.45, p=.016), position (t=-1.99, p=.049), the experience of setting the alarm range of an ECG monitor (t=2.04, p=.045), an authority to set alarm range (F=4.61, p=.012) and the number of medical equipment type in use (F=3.55, p=.032). 5. Alarm percep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larm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ent weekly working hours (F=3.16, p=.046) and an authority to set alarm range (F=4.79, p=.010). 6. Patient safety cultur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larm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F=3.08, p=.031), an authority to set alarm range (F=4.57, p=.012) and the number of medical equipment type in use (F=3.58, p=.031). 7. Performance of alarm manag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larm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wed in gender (t=-2.05, p=.043), position (t=-2.37, p=.020), working department (F=2.82, p=.042), recent weekly working hours (F=4.01, p=.021) and the experience of accident related to medical equipment alarm (t=2.11, p=.037). 8. Performance of alarm management of subjects showe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alarm perception (r=-.20, p=.033) and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tient safety culture (r=.29, p=.001). Alarm perception of subject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larm fatigue (r=.59, p=<.001). 9.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of alarm management of subjects included gender (β=-.24, p=.006), position (β=-.18, p=.031), working department (β=.27, p=.005), recent weekly working hours (β=-.21, p=.012), alarm perception (β=-.18, p=.034) and patient safety culture (β=.29, p=.001). Explanation power on performance of alarm management of these above variables turned out 26.7% (F=5.65, p<.001, Adj R²=.267). Conclusion: As shown above, gender, position, working department, recent weekly working hours, alarm perception and patient safety cultur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of alarm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a patient safety culture and a positive perception of medical equipment alarms. 목적: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의료장비 알람피로, 알람인식, 환자안전문화 및 알람관리 수행 정도와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알람관리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알람피로를 줄이고 알람관리 수행을 증진시켜 환자안전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0년 8월 21일부터 9월 10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 소재의 1개 상급종합병원과 1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서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최종 116부의 설문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알람관리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관리 특성에 따른 알람피로, 알람인식, 환자안전문화, 알람관리 수행 간의 차이 분석은 t-test, ANOVA,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다. 네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알람관리 수행 영향요인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평균 28.04세였으며, 24세 이하가 18.1%(21명), 25~29세가 52.6%(61명), 30~34세가 23.3%(27명), 35세 이상이 6.0%(7명)였다. 성별은 여성이 94.0%(109명), 남성이 6.0%(7명)였다. 학력은 전문학사가 21.6%(25명), 학사가 75.9%(88명), 석사 이상이 2.6%(3명)였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87.1%(101명), 선임간호사가 12.9%(15명)였다. 근무부서는 내과계 일반병동 18.1%(10명), 외과계 일반병동 22.4%(26명), 내과계 중환자실 31.0%(36명), 외과계 중환자실 28.4%(33명)이었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5.71년이었으며, 현재부서 근무경력은 평균 4.28년이었다. 간호사 1인당 담당 환자 수는 전체 평균 7.93명이었으며, 부서별로 나누었을 때 일반병동은 평균 14.36명, 중환자실은 평균 3.55명이었다. 최근 1주일 근무시간은 평균 36.67시간이었다. 2. 대상자의 근무부서에서 사용하는 의료장비의 유형은 전체 평균 6.96개였다. 생리학적 모니터의 알람범위를 직접 설정한 경험은 75%(87명)가 있었고, 최근 2년 이내 의료장비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은 94.0%(109명)가 받았고, 최근 2년 이내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은 78.4%(91명)가 받았다. 의료장비의 알람범위 설정의 권한이 정해져 있지 않음이 65.7%(75명), 의료장비의 알람을 비활성화할 권한이 정해져 있지 않음이 76.7%(89명)이었다. 의료장비 알람만을 감시하는 전담직원이 있는 경우가 0.9%(1명), 의료장비 알람관리를 위한 다학제팀이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6.9%(8명)이었다. 의료장비 알람과 관련된 안전사고는 38.8%(45명)가 경험을 하였고, 이 중 88.9%(40명)에서 환자안전사고 이후 의료장비 알람 관련 개선교육이나 지침 등의 변경이 있었다. 알람과 관련된 문제 중 자주 발생하는 위양성 알람으로 인한 알람에 대한 경각심과 대처 감소가 가장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었다. 3. 대상자의 알람피로는 5점 만점에 평균 3.50±0.50점이었다. 알람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2.87±0.42점이었다. 환자 안전문화는 5점 만점에 평균 3.61±0.31이었다. 알람관리 수행은 4점 만점에 평균 2.77±0.30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관리 특성에 따른 알람피로는 성별(t=2.45, p=.016), 직위(t=-1.99, p=.049), 생리학적 모니터의 알람 범위를 직접 설정한 경험(t=2.04, p=.045), 의료장비 알람 범위 설정 권한자(F=4.61, p=.012), 사용 중인 의료장비 유형 개수(F=3.55, p=.03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관리 특성에 따른 알람인식은 최근 1주일 근무시간(F=3.16, p=.046), 의료장비 알람 범위 설정 권한자(F=4.79, p=.0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관리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는 연령(F=3.08, p=.031), 의료장비 알람 범위 설정 권한자(F=4.57, p=.012), 사용 중인 의료장비 유형 개수(F=3.58, p=.0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관리 특성에 따른 알람관리 수행은 성별(t=-2.05, p=.043), 직위(t=-2.37, p=.020), 근무부서(F=2.82, p=.042), 최근 1주일 근무시간(F=4.01, p=.021), 알람과 관련된 안전사고 경험(t=2.11, p=.03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대상자의 알람관리 수행은 알람인식(r=-.20, p=.033)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환자안전문화(r=.29,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알람인식은 알람피로(r=.59,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9. 대상자의 알람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24, p=.006), 직위(β=-.18, p=.031), 근무부서(β=.27, p=.005), 최근 1주일 근무시간(β=-.21, p=.012), 알람인식(β=-.18, p=.034), 환자안전문화(β=.29, p=.001)였다. 즉 여성보다는 남성이, 일반 간호사보다는 선임간호사가, 내과계 중환자실보다는 내과계 일반병동에서 알람관리 수행정도가 높았다.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알람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환자안전문화가 높을수록 알람관리 수행정도가 높았다. 이들 변수의 알람관리 수행에 대한 설명력은 26.7%였다(F=5.65, p<.001, Adj R²=.267). 결론: 이상에서 임상간호사의 성별, 직위, 근무부서, 최근 1주일 근무시간, 알람인식, 환자안전문화가 알람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알람관리 수행을 향상하기 위해 의료장비 알람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및 실무적인 중재가 필요할 것이며, 환자안전문화를 높이고 알람과 관련된 환자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료장비 알람에 대한 인식과 피로가 알람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유선영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294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료장비 알람에 대한 인식, 알람피로와 알람관리 수행을 확인하고, 중환자실 간호사의 알람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알람관리 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선전략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소재 일 상급종합병원의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87명을 대상으로 SPSS/WIN 2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분산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의료장비 알람에 대한 인식에서 ‘성가신 알람이 자주 발생한다’는 5점 만점에 3.53±0.72점이었고, ‘성가신 알람은 알람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고 알람을 다시 설정하기보다 부적절하게 끄도록 한다’는 3.66±0.85점이었다. 알람 관련 문제로 중요도가 가장 높은 문제는 ‘자주 발생하는 위양성 알람으로 인해 알람에 대한 경각심과 대처가 감소한다’였다. 2. 대상자의 알람피로는 100점 만점에 72.68±11.06점이었다. 알람피로의 6문항 중 노력은 77.73±13.37점으로 가장 높았고, 시간적 요구는 76.26±15.17점, 좌절은 74.84±16.78점, 정신적 요구는 72.57±16.43점, 수행은 70.32±15.40점, 신체적 요구는 64.39±19.89점이었다. 3. 대상자의 알람관리 수행은 4점 만점에 2.92±0.28점이었다. ‘근거에 기반하여 환자상태에 따라 적정 알람범위를 설정한다’는 3.37±0.66점이었고, ‘환자상태가 변하면 알람범위를 변경한다’는 3.30±0.66점이었으며, ‘간호활동 수행 전 일시적으로 알람을 음소거한다’는 2.26±0.82점이었다. ‘심전도 전극(electrode)을 붙이기 전 부착부위 피부를 물과 비누로 닦는다’는 1.62±0.74점으로 가장 낮았고, ‘산소포화도 알람설정 시 필요한 경우 알람이 감지(trigger)되는 속도를 15초 지연시킨다’는 1.72±0.93점이었으며, ‘심전도 전극을 매일 교환한다’는 1.75±0.63점이었다. 4. 알람관리 수행은 근무부서와 총 임상경력, 중환자실 임상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내과계 중환자실의 알람관리 수행은 3.01±0.28점으로, 소아/신생아 중환자실의 2.86±0.31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4.107, p=.018). 중환자실 임상경력 10년 이상의 알람관리 수행은 2.99±0.26점으로, 중환자실 임상경력 3년 미만의 2.83±0.32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4.711, p=.003). 5. 알람시스템의 목적과 적절한 사용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고 답한 대상자의 알람관리 수행은 2.95±0.27점으로, 교육을 받지 않았다고 답한 대상자의 2.72±0.31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6.701, p=.002). 6. 알람관리 수행은 알람피로의 문항 중 수행(r=.273, p<.001), 노력(r=.23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7. 알람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부서(β=.281, p<.001), 중환자실 임상경력(β=.212, p=.005), 알람시스템에 대한 교육(β=.250, p=.00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무부서, 중환자실 임상경력, 알람시스템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알람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알람관리 수행의 증진을 위해 근무부서에 따른 알람관리 전략을 수립하여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