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Korean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aning Negotiation in Task-based CMC

        金昭姈 Graduate School of TESOL Sookmyung Women's Univers 2005 국내석사

        RANK : 135711

        This study examines task-based, synchrono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among 18,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specifically explores whether task type has an effect on (a) encouragement of meaning negotiation, (b) selection of meaning negotiation devices, and (c) student participation and response. Two experiments, drawing on differing forms of CMC, were performed for this purpose. In experiment I, three groups, each consisting of 3 students, completed 3 conversational tasks using a chat room. In experiment II, another three groups of 3 students each completed 3 jigsaw tasks and 3 decision-making tasks using messenger. All tasks were designed by the researcher and were based on lessons from the school authorized English textbook. The data from the chat logs, the participants' post-chat reports, the interview, the pre and post surveys, and the researcher's journal were all examin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in CMC, decision-making task types are a more productive stimulus in CMC for inducing active student meaning negotiation. Among the 5 meaning negotiation devices set forth by Long (1983a), students seemed to be heavily dependent on clarification requests and self-repetitions. In regard to their attitudes toward each task type, students seemed to enjoy tasks involving cognitive challenge, as demonstrated by their preference for conversation and decision- making tasks over jigsaws. Finally, the degree of student preparation and particip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task types. 본 연구는 과제중심 문자기반 영어 의사소통 환경에서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과제의 형태에 따른 의미협의(meaning negotiation) 정도와 사용된 의미협상도구(meaning negotiation devices), 의사소통모습에의 영향이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2004년과 2005년에 걸쳐 실시된 두 번의 실험에서 참여아동은 3명씩 한 조의 형태로 채팅활동에 참여하였다. 과제의 형태는 모두 세 종류였으며, 실험단원에 따른 교과서의 주제와 학습목표를 바탕으로 연구자에 의해 제작되었다. 첫 번째 실험에서 9명의 학생들은 ‘대화 과제 (conversational tasks)’에 참여하였으며, 두 번째 실험의 9명의 학생들은 ‘직소 과제 (jigsaw tasks)’와 ‘의사결정 과제 (decision-making tasks)’에 참여하였다. 이 실험의 분석을 위하여 모든 대화 내용은 저장되었으며, 참여자들은 일정한 형식에 의해 채팅 참여 후기를 작성하였다. 조사자 역시 채팅 과정에 참여하여 개개 참여자의 행동에 대해 기록 자료를 남겼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아동들의 행동에 대해 파악하고자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채팅과정에 앞서, 그리고 모든 채팅이 끝난 후에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의미협의의 정도는 과제의 형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으며, ‘의사결정 과제’가 아동의 의미협의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과제의 형태에 따라서 아동들이 사용하는 의미협의도구나 참여태도 또한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의미협의도구의 사용에 있어서는 조사방법으로 제시된 ‘명료화 요구(clarification request)’, ‘확인 점검(confirmation checks)’, ‘이해 점검(comprehension checks)’, ‘자신의 말 반복(self-repetitons)’, ‘타인의 말 반복(other-repetitions)’을 모두 사용하였으나, ‘명료화 요구’와 ‘자신의 말 반복’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과제에 참여하는 태도에 있어서는 아동들은 자신들의 사고활동을 바탕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도전적인 과제를 선호하였으며, 참여에 임하는 준비자세 역시 주어지는 과제의 유형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