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udies on the taxonomy of genera Suillus and Tylopilus in Korea

        김경숙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93 국내석사

        RANK : 234285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자생되고 있는 버섯 중 비단그물버섯속과 쓴맛그물버섯속에 대한 종을 밝히고 발생상태, 시기, 장소, 서식처 등을 조사하고, 버섯의 형태적 특정, 포자, 담자기 등을 관찰하여 한국산 비단그물버섯속과 쓴맛그물버섯속에 대한 분류체계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버섯자원개발을 위한 기초 학술분야, 식품분야, 의약분야, 응용균학분야 에서 기초자료로 이용함으로서 임산부존자원의 활용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1984년부터 1992년까지 서울 구룡산, 서오릉등 3개지역, 경기도 광릉, 성남, 수원등 4개지역, 강원도 치악산, 오대산등 7개지역, 충청북도 속리산등 3개지역, 충청남도 계룡산, 칠갑산등 3개지역, 전라남도 백양산, 내장산, 지리산, 해남 등 전국 24개 지역에서 버섯을 채집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분류동정방법은 주로 Moser, Singer와 Hongo의 분류체계에 준하였다. 한국산 비단그물버섯속과 쓴맛그물버섯속을 분류 동정한 결과 총 17종이었고, 비단그물버섯속은 8종, 쓴맛그물버섯속은 9종이었다. 국내의 문헌상에는 18종이 보고되어 있으나, 그 중 S. piperatus는 1990년에 Chalciporus piperatus(매운그물버섯)으로 호칭되었으며, S. aeruginascens는 S. laricinus와 동일종임이 밝혀졌으나, S. sibricus, T. alboater, T. eximus, T. nigerrimus와 함께 표본 부재로 분류, 동정할 수 없었다. 그 중 한국 미기록종은 노른자비단그물버섯(Suillus americanus), 황소쓴맛그물버섯(Tylopilus ballouii), 끈적쓴맛그물버섯(Tylopilus castaneiceps), 회갈색대쓴맛그물버섯(Tylopilus ferrugineus)으로 4종이었고 이에 대한 한국명을 신칭하였고, 한편 한국산 비단그물버섯속과 쓴맛그물버섯속의 분류키를 작성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axonomist basis for the genera of Sullens and Tylopilus through collection of mushrooms native in Korea, as well as collection of data on environmental conditions, period, location, and identifica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orocarps, spores or microstructures. In this paper the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uillus and Tylopilus made generally reference to those of Moser, Singer and Hongo. These genera were ectomycorrhizal and they are several valuable edible fungi. Mushrooms were collected from 1984 to 1992 from total 24 locations thought the country. Total 17 species in Sullens and Tylopilus were identified ; S. americans, S. bovines, S. glanulatus, S. grenvillei, S. luteus, S. pictus, S. placidus, S. viscidipes in the genus Suillus and T. ballouii, T. castaneiceps, T. chromapes, T. felleus, T. ferrugineus, T. fumosipes, T. neofelleus, T. plumbeoviolaceus, T. virens in the genus Tylopilus. Among the 17 species classified in this study, 4 tax were unrecorded species in Korea and were listed as follows with new Korean common names: Suillus americannus(Peck) Snell in Slipp & Snell "노른자 비단그물버섯", Tylopilus ballouii(Pk.) Sing. "황소쓴맛그물버섯", Tylopillus castaneiceps Hongo "끈적쓴맛그물버섯", Tylopilus ferrugineus(Frost) Sing. "회갈색대쓴맛그물버섯".

      • Inorganic element analysis approaches for discriminating the geographic origin of perilla seeds and red pepper powder

        이정은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4271

        Perilla seeds and red pepper powder are very important plant foods in Korea. The Chinese perilla seeds and red pepper powder which are intentionally labeled as Korean products frequently appear in the Korean markets, because the retail price of Korean perilla seeds and red pepper powder products are much higher than that of Chinese products. The aim of the first study was to discriminate between Korean and Chinese perilla seeds using element content data obtained by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EDXRF)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ICP-OES), in combination with orthogonal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OPLS-DA). The element content data were obtained from 29 samples of Korean perilla seeds and 11 samples of Chinese perilla seeds distributed in Korea. Using EDXRF, 11 species of elements (Mg, P, S, K, Ca, Mn, Fe, Cu, Zn, Rb, and Sr) were detected in perilla seed samples and their content values were measured. The content value of Rb was selected as the variable that best discriminate between Korean and Chinese perilla seeds using the S-plot generated by OPLS-DA. A blind trial using 22 samples of perilla seeds demonstrated that Korean perilla seeds with added ≥ 40 w/w% of Chinese perilla seeds could be distinguished by applying the range of the content value of Rb (≤ 7.6 mg/kg) measured by ICP-OES in the Korean perilla seed samples. The aim of the second study was to discriminate between Korean and Chinese red pepper powder using element content data obtained by EDXRF and ICP-OES, in combination with OPLS-DA. The element content data were obtained from 31 samples of Korean red pepper powder and 31 samples of Chinese red pepper powder distributed in Korea. Using EDXRF, 11 species of elements (Mg, P, S, Cl, K, Ca, Mn, Fe, Cu, Zn, and Rb) were detected in red pepper powder samples and their content values were measured. The content value of Rb was selected as the variable that best discriminate between Korean and Chinese red pepper powder using the S-plot generated by OPLS-DA. When a total of 31 samples of Chinese red pepper powder was reclassified using the range of the content value of Rb (≤ 15.9 mg/kg) measured by ICP-OES in the Korean red pepper powder samples, 24 of the samples were classified to the correct production site. A blind trial using 20 samples of red pepper powder demonstrated that 100 w/w% of Chinese red pepper powder could be distinguished by applying the range of the content value of Rb measured by ICP-OES in the Korean red pepper powder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b content analysis is a possible approach to discriminate Chinese perilla seeds or red pepper powder from Korea products. 들깨와 고춧가루는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식재료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국내산 들깨와 고춧가루에 대한 선호도가 절대적으로 높고, 수입산 들깨와 고춧가루에 비해 국내산 제품의 가격이 훨씬 높아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한 들깨와 고춧가루가 유통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 국내에서 유통되는 수입산 들깨와 고춧가루는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기원소 정량분석법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유통되는 들깨와 고춧가루의 원산지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첫번째 연구에서는 에너지 분산 X 선 형광분석기(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EDXRF)와 유도 결합 플라즈마 분광분석기(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ICP-OES)를 이용하여 얻어진 무기원소 함량과 다변량 통계분석법의 일종인 직교부분최소제곱 판별분석법(orthogonal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OPLS-DA)을 활용하여 국내산과 중국산 들깨를 구별하였다. EDXRF를 이용하여29점의 국내산 들깨와 11점의 중국산 들깨의 무기원소 조성을 분석한 결과11종의 무기원소 (Mg, P, S, K, Ca, Mn, Fe, Cu, Zn, Rb, Sr)가 검출되었고, OPLS-DA의 S-plot를 이용하여 루비듐(Rb)이 국내산 들깨와 중국산 들깨를 구별할 수 있는 판별지표로 선정되었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국내산 생들깨 2점과 중국산 생들깨 2점을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한 맹검시료 22점의 Rb 함량을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산 들깨시료의 Rb 기준범위(≤ 7.6 mg/kg)를 이용하여 판별한 결과, 중국산 들깨가 40 w/w% 이상 혼입된 국내산 들깨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EDXRF와 ICP-OES를 이용하여 얻어진 무기원소 함량을 OPLS-DA를 활용하여 국내산 고춧가루와 중국산 고춧가루를 구별하였다. EDXRF를 이용하여31점의 국내산 고춧가루와 31점의 중국산 고춧가루의 무기원소를 분석한 결과11종의 무기원소 (Mg, P, S, Cl, K, Ca, Mn, Fe, Cu, Zn, Rb)가 검출되었다. OPLS-DA의 S-plot를 이용하여 Rb이 국내산 고춧가루와 중국산 고춧가루를 구별할 수 있는 판별지표로 선정되었다. 국내산 고춧가루의 Rb 기준범위(≤ 15.9 mg/kg)를 이용하여 중국산 고춧가루 31점의 원산지를 재분류한 결과, 24점이 중국산으로 정확하게 판별되었다. 국내산 고춧가루 2점과 중국산 고춧가루 2점을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한 맹검시료 20점의 Rb 함량을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산 고춧가루 시료의 Rb 기준범위를 이용하여 판별한 결과, 100 w/w% 중국산 들깨가 판별 가능하였다. 본 Rb 함량 분석법은 원산지를 허위 표시한 국내 유통 들깨와 고춧가루를 구분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Histone H3 Arg-2 dimethylation by PRMT6 guides chromosomal passenger complex to chromosome arms for chromosome integrity during mitosis

        김슬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34271

        Chromosomal passenger complex (CPC)는 세포 분열 동안에 일어나는 여러 현상과 과정에 관여하고 있으며 염색체의 분리를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로 잘 알려져 있다. 세포 분열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염색체를 압축시키는 과정과 kinetochore-microtubule (KT-MT) 사이의 부착, spindle assembly checkpoint (SAC)의 활성화 그리고 세포 분열의 마지막 과정인 cytokinesis까지 전반에 걸쳐 각 과정에서 구분된 역할을 하고 있다. CPC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세포가 분열되는 과정에서 세포 내 위치에 따라 기능이 달라지는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S/G2 phase 부터 염색체에 위치하고 있고 세포 분열 초기에 염색체의 centromere에 자리잡고 있으면서 방추사와 염색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한다. 염색체가 분리 되어 mitosis를 빠져나가는 단계에서는 centromere에 위치하던 CPC가 spindle midzone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기능과 기작이 달라진다. 세포분열 초기에 염색체의 분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추적인 기능을 하고 세포분열의 후기로 이어지면서는 세포질이 분리되는 현상에 집중적으로 기능을 한다. CPC를 염색체의 centromere로 불러오는 기작은 epigenetic modification에 의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그 중 첫 번째로 알려진 주요 인자는 heterochromatin protein 1 (HP1)이 다. HP1의 N-terminal region에는 histone H3 lysine 9 di- or tri methylation (H3K9me2/3)을 인식하는 domain을 갖고 있으면서 CPC의 Borealin과 INCENP와 결합 할 수 있는 motif 또한 포함하고 있어 CPC를 염색체로 모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후에 차례로 histone H3 serine 10 phosphorylation (H3S10ph)과 histone H3 threonine 3 phosphorylation (H3T3ph)에 의해 centromere에 CPC가 집중되고 유지된다. 이처럼 CPC가 centromere로 모이는 기작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나 centromere로 이동하기 전에 chromosome arm으로 모이는 기작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CPC의 위치 변화는 그 기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연구되어야 하는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protein arginine methyltransferase 6 (PRMT6)에 의한 histone H3 arginine 2의 asymmetric dimethylation (H3R2me2a)이 CPC를 chromosome arm으로 불러오는 데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연구하였다. 세포 내에서 CPC의 위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주로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를 이용하여 시각화하였고 그 양을 정량화하여 분석했다. CPC 구성단백질은 염색체와 밀접하게 상호작용 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chromosome spreading과 chromosome fractionation 실험을 이용했다.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 또는 그 발현양을 확인하는 것은 western blotting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주로 siRNA와 선택적 저해제를 처치하여 세포 내에서 PRMT6를 결핍시키거나 작용하지 못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었고, 이때 CPC 구성단백질의 동태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세포 내에서 H3R2me2a가 결핍되면 CPC가 chromosome arm에 모이는 양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centromere에서도 부족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3T3ph이 이루어지기 전에 H3R2me2a이 선행 되어야 하고 H3T3ph과는 독립적으로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 진다는 것을 추가적인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즉, H3R2me2a가 결핍되면 mitosis동안 CPC 구성단백질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고, CPC 구성단백질을 결핍 시켰을 때 생기는 mitotic defect가 H3R2me2a을 결핍 시킨 세포에서도 동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PRMT6에 의한 H3R2me2a가 CPC를 chromosome arm으로 유도하는 새로운 histone mark임을 강력하게 뒷받침하고 있다. Chromosomal passenger complex (CPC) acts as a key regulator in whole time of cell division from initiation to termination that cells are finally separated. The function of CPC during mitosis has been studied a lot in relation to mitotic chromosome condensation, chromosome segregation, spindle dynamics, error correction of KT-MT attachment, activation of SAC and cytokinetic abscission. It is noteworthy that CPC exhibits the dynamic localization in the progression of division. CPC localizes on chromatins from interphase and is concentrated in centromeric region of chromosomes by H3T3ph in early mitosis. After chromosome segregation, the localization of CPC transfers to spindle midzone and midbody during late mitosis to fulfill pivotal roles for cytokinesis. Considering the obvious differences of CPC localization during cell cycle, its recruitment is a critical event in accordance with its function. Nonetheless, the recruitment of CPC on chromosome arm before relocation to inner centromere remains obscure. In this study, PRMT6 is suggested that it generates the essential marker for gathering CPC on chromosome arms. PRMT6 is a nuclear enzyme catalyzing asymmetric dimethylation of histone H3R2me2a which is known as a major repressive mark in transcriptional regulation. However, its influence on mitotic chromosome is unknown. Here, this study showed that depletion or inhibition of PRMT6 decreased H3R2me2a and disrupted the recruitment of CPC on chromosome arm as well as centromeres, and impinged on even CPC translocation from the centromeres to the central spindle during late mitosis. That effect concomitantly influenced H3S10ph in chromosome condensation and integrity independently with H3T3ph. H3R2me2a by PRMT6 guides Aurora B to chromosome arms for faithful chromosome segregation via correlation with H3S10ph and H3T3ph.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3R2me2a is a key histone mark for CPC recruitment onto mitotic chromosomes, and indispensable for appropriate CPC levels in dynamic translocation throughout mitosis.

      • A STUDY OF ENGLISH MODALS

        Shin, Yeo-Su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ll 1983 국내석사

        RANK : 234255

        영어의 조동사 중에서 화자의 마음 상태를 나타내는 modals와 semi-modals는 비슷한 의미와 용법을 갖고 있어서 서로 대치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져왔다. 즉 BE GOING TO는 WILL대신에 HAVE TO는 MUST 대신에, BE ALLOWED TO는 MAY대신에, BE ABLE TO는 CAN 대신에 사용해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왔다. 그러나 이들의 의미와 용법에는 서로 대치되어 쓰이면 안될 만한 차이점이 있다. 바로 이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접근방법으로는 이제까지 대부분의 연구가 통사론적인 면과 의미론적인 면에서만 이 문제를 다루었는데, 화자, 청자, 문맥, 상황등을 분석요인으로 삼는 화용론적인 면에서도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되어 이 방법을 적용하였다. Chapter 2에서는 modals와 semi-modals의 차이점을 살펴보기 위한 준비로써 먼저 modals(WILL, MUST, MAY, CAN)의 특성, 의미, 용법을 각각 다루었다. modals의 의미분석에서 MAY와 CAN은 Permission과 possibility를 공통으로 포함하여 모호성이 나타나므로 그들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들 의미의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대 단편 희곡에서 예문을 골라 용법을 살펴보았으며, 또 실제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이들이 modals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질문지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Chapter 3에서는 semi-modals의 통사론적 특성을 먼저 살펴본 후에 modals와 semi-modals의 차이점을 비교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 역시 현대 단편희곡에서 예문을 뽑아 살펴본 결과 modals와 semi-modals의 용법이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서 확연히 구별되고 있음을 알아 볼 수 있었다. 이들 차이점 중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화자가 modal이 나타내는 의미에 동의할 때는 WILL, MUST, MAY 등을 사용하고 동의하지 않고 의미만을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BE GOING TO, HAVE TO. BE ALLOWED TO 등의 Semi-modals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단, CAN과 BE ABLE TO의 경우에는 이러한 특성을 확인해 주는 예문을 발견할 수 없었다. 영어를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로 익힌 필자로서 영어의 조동사가 지닌 섬세한 의미문제를 다룬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러나 이 작은 시도를 계기로 앞으로 다른 modals도 연구해 보는 것이 바람이다.

      • Lichens of Mt. Sorak in Korea

        문광희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97 국내박사

        RANK : 234255

        雪嶽山의 低地帶에서 頂上部에 이르는 自然林과 2次林內의 地衣類相 現地調査를 1995年 10月부터 1996年 9月까지 20개 地点을 基点으로 約 30일간 實施한 結果, 32科 78簇 236種 1亞種 1變種 1品種 總 239 分類群이었다. 이중 89種은 韓國 未紀錄種이었고, Lempholemma omphalarioides(Anzi)Zahlbr.는 아시아에서 처음 報告되는 簇이며, Pertusaria psedamara Moon & Shibuichi는 新種으로서 記載命名하였다. 그리고 종래 Myelochroa coreana Y. S. Park는 M. aurulenta(Tuck.) Elix & Hale의 異名으로 處理하였다. 雪嶽山에 自生하는 地衣類는 주로 植生垂直分布에 對應하여 변화하고 있다. 특히 海拔 1600 m以上의 Abies mariesii가 주로 서식하고 있는 山林에서는 alpine帶에서 出現하는 種이 적었지만 자생하고 있었으며, 海拔 1000-1600 m 附近의 Quercus cripula가 주로 서식하는 山林에서는 Cosmopolitan種과 北方性種이 많았고, 海拔 600-1000 m 附近 落葉闊葉樹林에서는 溫帶地方에 넓게 分布하는 種이 주로 出現하였고, 海拔 50-600 m 地域에서는 Pantropical種도 出現하였다. 植物地理學的으로 본 雪嶽山의 地衣類는 Cosmopolitan element, Boreal element, Temperate element, Tropical-subtropical element로 보여지는 種으로 構成되어 있다. 分布型 特性으로부터 Boreal element는 Typical boreal element, Amphi-Beringian element, Eurasian element로, Temperate element는 Pantemperate element, Disjunctive element, Himalyan element, Koreo-Japanese element(新記載)와 같은 下位分類群으로 區分하였다. Extensive explorations for lichens have been made in semi-natural vegetation, outcrops of exposed rocks, and secondary forests of Mt. Sorak. As the results, 32 families, 78 genera, 236 species, 1 subspecies, 1 variety and 1 form (239 taxa) are reported from Korea. Of these lichens, 89 species are new to the lichen flora of Korea and Lempholemma omphalarioides is new to Asia. Pertusaria pseudamara Moon et Shibuichi is newly discribed. Myelochroa coreana Y. S. Park is reduced to synonym with M. aurulenta (Tuck.) Elix & Hale. Even though more field surveys and more detailed taxonomic studies are evidently required before the final analysis of the lichen flora of Korea, phytogeographical features are outlined in the present paper.

      • The development of the new mutagenicity tester strains

        Kwon, In Sook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ll 1983 국내석사

        RANK : 234255

        Salmonella typhimurium LT-2의 histidine 영양요구 변이주중 base substitution mutant인 TA1535와 frameshift mutant인 TA1538에 돌연변이 유발빈도를 TA1535보다 더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다고 알려진 plasmid pKM101 돌연변이체인 pSL4를 도입시키고 pKM101이 도입된 TA100과 TA98을 control로 하여 표준돌연변이원인 MNNG, MMS, EMS, AAF, 그리고 환경성 돌연변이원으로 알려진 ornidazole과 furazolidone을 처리하여 돌연변이 유발빈도를 조사하여 새로운 돌연변이 유발성 시험균주로의 전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시험결과 이 TA1535/pSL4 균주는 MNNG, MMS, EMS, ornidazole, furazolidone에 대하여 control 균주인 TA100에서보다 훨씬 돌연변이 유발빈도가 높았으며 microsomal enzyme activation system을 병용한 TA1538/pSL4 균주에서도 AAF에 대하여 control인 TA98에서보다 돌연변이 유발빈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histidine 영양요구변이주인 TA1535 와 TA1538에 pSL4를 도입한 TA1535/pSL4와 TA1538/pSL4 균주는 TA1535와 TA1538에 pKM101을 도입한 control인 TA100과 TA98 균주보다 돌연변이 유발에 대한 예민도가 훨씬 높았으므로 새로운 돌연변이 유발성 시험균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mutant plasmid of pKM101, pSL4, which was modified in its ability to enhance mutagenesis was introduced into TA1535 and TA1538 strains. TA1535 and TA1538 strains were the base substitution and the frameshift mutant of histidine auxotroph of Salmonella typhimurium LT-2. To check the usefulness of the new mutagenicity tester strains, TA1535/pSL4 and TA1538/pSL4, the mutabilities of the new mutagenicity tester strains on MNNG, MMS, EMS, and AAF as standard mutagens, and ornidazole and furazolidone as environmental mutagens were tested. The TA100 and TA98 strains which were constructed by introducing the pKM101 into TA1535 and TA1538 strains were used as the control strains. The TA1535/pSL4 strain was more sensitive to the mutagenesis by MNNG, MMS, EMS, ornidazole, and furazolidone than TA100 which was used as a control strain. On AAF-mutagenesis with microsomal enzyme activation system, the TA1538/pSL4 strain was more sensitive to the mutagenesis than TA98 strai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TA1535/pSL4 and TA1538/pSL4 strains can be recommended as new mutagenicity tester strains.

      • Influence of low pathogenic Escherichia coli on inflammation, cell proliferation, oxidative stress, and angiogenesis in intestine

        이지연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34255

        The composition of the commensal gut microbiota is important in maintaining homeostasis in the intestine. When the homeostasis is disrupted by pathogenic bacteria, several inflammatory reactions and diseases can occur. Colorectal cancer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worldwide, and the association between colorectal cancer and gut microbiota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ow pathogenic intestinal bacteria in the intestine, especially Escherichia coli (E. coli), and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bacteria and colorectal cancer. To select low pathogenic intestinal bacteria that affect intestinal homeostasis, the concentrations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prostaglandin E2 (PGE2) were measured in Raw 264.7 (a mouse macrophage cell line) cells infected with six kinds of bacteria (E. coli, Clostridium perfringens, Bacteroides fragilis, Clostridium difficile,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 coli, C. perfringens, and B. fragilis had an effect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PGE2. These three bacteria were then used in a further study.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control) or the three bacteria (treatment) were orally injected into BALB/c mice (eight-month-old, male) every 1-2 days for a total of 50 times. After sacrifice, the weight and length of the organs were measured. Moreover, aberrant crypt foci (ACF) counting, histopathological analysis, gene analysis, and protei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orectum. The large intestine was found to be shortened in the E. coli 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 0.05). There were no ACF in all the groups, whereas mucous cell hypertrophy and eosinophil infiltration were observed in the colonic mucosa of all the bacteria treated groups.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mRNAs encoding IL-12, IL-18, VCAM-1, SOD1, CAT, and iNO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 coli treated group (p < 0.05). At the protein level, both IL-1β and HMGB1 were highly expressed in the E. coli treated group, whereas HMGB1, PCNA, and SOD2 were highly expressed in the C. perfringens treated group (p < 0.05). Based on these data, it is considered that E. coli is most likely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he intestine. Finally, to identify variations between strains and the risk factors related with pathogenicity for E. coli on intestine, a preliminary experiment and RNA sequencing were performed. As a result, variations between strain was observed for E. coli, with the enterotoxigenic E. coli NCCP14037 having a strong effect on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creasing the levels of cell proliferation related factors, and cancer related factors in the intestine. The risk factors for E. coli NCCP14037 associated with pathogenicity were analyzed, and curli, flagellar, and fimbriae were found to be highly expressed in E. coli NCCP14037. The principal animal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two groups (PBS, control; E. coli NCCP14037, treatment). As a result, the large intestine was shortened in the E. coli NCCP14037 treated group. These data suggest that an inflammatory reaction occurred in the intestine due to the infection by E. coli NCCP14037 (p < 0.05). There were no ACF or histopathological findings in the E. coli NCCP14037 treated group. From the gene analysis, SOD1 and CAT mRNA levels were decreased in the E. coli NCCP14037 treated group relative to the control group (p < 0.05). At the protein level, IL-6, IL-12, PCNA, COX-2, and iNOS were all increased in the E. coli NCCP14037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 0.05). Taken together, E. coli strain variation, and curli, flagellar, and fimbriae related to biofilm formation, motility, and adhesion to the host are involved in the E. coli pathogenicity.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genes and proteins related to inflammation, cell proliferation, oxidative stress, and angiogenesis were all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 coli NCCP14037 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 0.05). In conclusion, the influence of low pathogenic intestinal bacteria in the intestine was characterized in this study. Among low pathogenic intestinal bacteria, E. coli has shown that it is more likely to have a greater influence in intestine by promoting an inflammatory reaction, cell proliferation, oxidative stress and the production of angiogenesis related molecules. Although the development of colorectal cancer was not observed visually, this study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has shown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colorectal cancer and low pathogenic intestinal bacteria, especially E. coli. 장내 상존세균의 구성은 장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항상성이 병원성 세균에 의하여 깨지게 되면 다양한 염증반응과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대장암은 공중보건에 주요한 문제로 알려져 있으며, 대장암과 장내 세균에 대한 상관성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 coli를 중심으로 저병원성 장내 세균이 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나아가 장내 저병원성 세균과 대장암의 잠재적 상관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장내 저병원성 세균 후보군을 선정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인Raw 264.7 cell에 6개의 저병원성 장내 세균(E. coli, C. perfringens, B. fragilis, C. difficile, S. aureus, S. Typhimurium)을 감염시킨 뒤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PGE2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E. coli, C. perfringens, B. fragilis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PGE2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세 가지 세균을 추후실험에 사용하였다. PBS(대조군)와 세 가지의 세균 투여군(실험군)을 8개월령의 수컷 BALB/c mice에 1-2일 간격으로 50회 경구투여 하였으며, 부검 후 장기의 무게와 길이를 측정하고 대장조직을 이용하여 이상선와(aberrant crypt foci) 계수, 조직병리, 유전자 발현, 단백질 발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장 길이는 E. coli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짧아진 것을 발견하였다(p < 0.05). 모든 그룹에서 이상선와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E. coli, C. perfringens, B. fragilis 투여군에서 점액세포의 비대와 호산구 침윤이 관찰되었다. 또한 IL-12, IL-18, VCAM-1, SOD1, CAT, iNOS의 mRNA는 E. coli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발현되었다 (p < 0.05). 단백질 수준에서 살펴보았을 때, IL-1β와 HMGB1는 E. coli 투여군에서, HMGB1과 PCNA는 C. perfringens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E. coli가 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E. coli 균주 간 차이와 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E. coli의 위험요인을 조사하였다. 예비실험 결과, 균주 간 차이가 존재하며 E. coli NCCP14037이 장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세포 증식, 암 관련 인자의 발현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RNA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하여 병원성과 관련된 E. coli NCCP14037의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curli, flagellar, fimbriae가 E. coli NCCP14037에서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실험은 두 그룹(PBS; 대조군, E. coli NCCP14037; 실험군)으로 진행되었다. 대장의 길이는 짧아졌으며, 이는 염증반응이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p < 0.05). E. coli NCCP14037 투여군에서 이상선와와 병리학적 소견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SOD1과 CAT의 mRNA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 < 0.05), 단백질 수준에서 IL-6, IL-12, PCNA, COX-2, iNOS의 발현량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E. coli NCCP14037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 < 0.05).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E. coli의 균주 간 차이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물막 형성, 운동성, 부착, 숙주로의 침투와 관련 있는 curli, flagellar, fimbriae가 E. coli의 병원성에 관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저병원성 장내 세균이 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저병원성 장내 세균 중 E. coli가 염증반응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며,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인자와 혈관신생 관련 인자의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써 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장에서의 종양 생성, 대장의 정상세포의 비정상화와 같은 변화가 가시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저병원성 장내 세균, 특히 E. coli와 대장암 간 잠재적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어 매우 의미 있는 연구결과로 사료된다.

      • Effects of water deprivation for 48 hours on the behavioral changes, and stereoselective absorption and disposition of Ofloxacin after intravenous and oral administration of (±)-Ofloxacin or (S)-(-)-Ofloxacin to rats

        한순영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94 국내박사

        RANK : 234028

        수분제한이 랫드의 혈액, 혈청 및 요생화학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48시간 수분을 제한시킨 랫드와 대조랫드에 대하여 혈액학적, 혈청생화학적 분석 및 요분석을 실시하였고, 자발운동량 (activity monitor) 시험, hot plate 시험, 수동회피 (passive avoidance) 시험 및 rotarod 시험등 행동시험을 실시하였다. 수분제한으로 인하여 적혈구수, 헤모글로빈의 농도, 적혈구 침층용적%, 총단백 및 알부민농도가 증가하였으며, glucose, 총 bilirubin, creatinine, 혈중요소질소 및 Cl^-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수분제한랫드에서 자발운동량이 감소하였고 hot plate에 대한 반응이 지연되었으며, 수동회피시험에서 소리에 대한 반응이 지연되었다. Rotarod 시험에서도 운동조합능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대조랫드와 수분제한랫드에 20mg/kg의 (±)-ofloxacin을 정맥 및 경구투여하여 입체이성체의 체내동태를 알아보고, 입체이성체중 주활성형인 (S)-(-)-ofloxacin도 10mg/kg의 용량으로 정맥 및 경구투여하여 그 체내동태를 비교 관찰하였다. (土)-Ofloxacin을 정맥주사하였을때 (S)-(-)-ofloxacin은 수분제한에 의하여 AUMC, MRT 및 반감기가 증가하였고, X_u, CL_R 및 위장관 잔존량은 감소하였으나 CL_NR은 증가하였다. (R)-(+)-Ofloxacin의 경우도 V_ss의 증가와 함께 (S)-(-)-ofloxacin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Ofloxacin을 경구투여하였을 때에는 (S)-(-)-ofloxacin은 X_u 및 CL_R의 감소만을 (R)-(+)-ofloxacin은 X_u및 CL_R의 감소와 함께 AUC의 증가를 보였다. (S)-(-)-Ofloxacin을 10mg/kg의 용량으로 정맥주사했을때 수분제한에 의해 AUMC, MRT 및 반감기가 증가하였으나 경구투여했을 때에는 유의성있는 변화가 없었다. 대조랫드에 (±)-ofloxacin을 정맥주사했을때 (R)-(+)-ofloxacin은 (S)-(-)- 이성체보다 높은 혈중농도를 보이며 AUC, AUMC, MRT, X_u 및 반감기가 컸고 CL_NR 및 위장관 잔존량은 적었다. 수분제한에 의해서도 반감기 및 X_u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 외에는 대조랫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수분제한된 랫드에 (±)-ofloxacin을 경구투여하였을 때에도 (R)-(+)-ofloxacin이 AUC 및 X_u가 크며 CL_NR 및 위장관 잔존량은 (S)-(-)- 이성체보다 적었다. 대조랫드에 경구투여할 경우에도 위장관 잔존량은 (R)-(+)- 이성체가 (S)-(-)- 이성체보다 적었다. Ofloxacin과 랫드 혈장단백과의 결합율은 (s)-(-)- 및 (R)-(+)- 이성체가 각각 52.4% 및 54.2%로서 (R)-(+)- 이성체가 (S)-(-)- 이성체보다 유의성 있게 컸다. 수분제한에 의해서는 (s)-(-)- 이성체의 단백결합만이 유의성있게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율은 3.4%에 불과하였다. 수분제한 상태에서의 pharmacokinetic parameter들의 변화는 수분 제한에 의해 신기능이 저하되므로써 신장배설량이 감소하여 CL_R이 감소하는 반면 CL_NR은 증가함으로써 CL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며, 대사과정중에서는 glucuronidation의 증가가 주원인일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앞으로 이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Effects of water deprivation for 48 h on the pharmacokinetics of (S)-(-)-ofloxacin and (R)-(+)-ofloxacin were investigated after intravenous (i.v.) and oral administration of (±)-ofloxacin, 20 mg/kg, and (S)-(-)-ofloxacin, the mainly active enantiomer, 10 mg/kg to the control and water deprived rats. Effects of water deprivation for 48 h on behavioral changes were also investigated in rats. The 24 h urinary excretion of (S)-(-)-ofloxacin decreased significantly (1720 vs 927 μg) in the water deprived rats (n=12)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rats (n=9) after i.v. administration of (±)-ofloxacin, and it could be due to the significantly reduced kidney function in the dehydrated rats. This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 in CL_R (10.8 vs 5.76 ml/min/kg) in the water deprived rats. However, CL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water deprived rats due to the significantly increased CL_NR (7.29 vs 12.8 ml/min/kg). Similar results were also obtained from (R)-(+)-ofloxacin after i.v. administration of (±)-ofloxacin. Similar trends for both (S)-(-)-ofloxacin and (R)-(+)-ofloxacin were also obtained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ofloxacin. After i.v. administration of (±)-ofloxacin to the control rats, AUC (537 vs 625 ㎍·min/ml), MRT (31.0 vs 42.2 min), t_½ (57.2 vs 62.8 min), X_u,0-24h (1720 vs 2490 ㎍) and CL_NR (7.29 vs 1.57 ml/min/kg) of (R)-(+)-ofloxaci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m those of (S)-(-)-ofloxacin. Similar tendencies were observed in the water deprived rats. After i.v. administration of (S)-(-)-ofloxacin to the water deprived rats (n=9), t_½ (55.5 vs 85.6 min) and MRT (21.7 vs 30.5 min)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rats (n=8). In water deprived rats, the plasma protein binding of only (S)-(-)-ofloxacin increased by 3.4%. Water deprivation for 48 h also caused lower locomotor activity, and lower sensitivity to hot stimulation than those of the control rats. In water deprived rats, a significantly increased latency from sound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was observed. There was a decreasing tendency in motor-coordination of water deprived rats.

      • West Germany's public diplomacy towards the national unification

        손지은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4015

        The term ‘Public Diplomacy’ was first introduced in 1965. However, the concept and practice of public diplomacy has existed for quite some time. In international politics, public diplomacy has been carried out in various forms. There are three main areas of public diplomacy: 1) Culture; 2) Knowledge; and 3) Policy. Practices of public diplomacy are conducted in different areas considering key interests and resources. Also, Nicholas J. Cull established the taxonomy of public diplomacy by dividing its practices into five elements: 1) Listening; 2) Advocacy; 3) Cultural Diplomacy; 4) Exchange Diplomacy; and 5) International Broadcasting. This taxonomy of public diplomacy is set out to inform respective sources and explains key features of each element. It could help us to draw a scenario to apply it in practices of public diplomacy. This study tries to figure out how West Germany actively used the powerful tool of public diplomacy to achieve the goal of national unification in different periods. West Germany persuaded other countries to promote mutual relationships and to provide support for national unification of Germany. Consequently, Through the mutual cooperation and diverse exchange programs, West Germany was able to accelerate national unification of Germany before the window of opportunity closed. Germany’s national unification has become a precedent for Korea which remains to be the only-divided country in the world. This study could help Korea understand the important role of public diplomacy in the process of national unification. ‘공공외교’라는 용어는 1965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처음으로 정의되었다고 해서, 그 이전에는 공공외교를 하지 않았거나 공공외교가 미국의 전유물인 것은 아니다. 이미 오래 전부터 많은 나라들이 그 이전부터 공공외교에 해당하는 활동과 노력을 해 왔고, 공공외교 활동의 대표적인 분야는 3가지 (문화, 지식, 정책)로 설명될 수 있다. 니콜라스 컬(Nicholas Cull, 2008)은 공공외교의 수행에 있어, 중요 구성요소와 그 관계에 따라 다음의 다섯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1. 청취 2. 지지 3. 문화외교 4. 교류 5. 국제방송) 위 공공외교의 기본 분류를 통해, 다양한 행위자들과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공공외교의 접근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다음 두 가지의 연구 목적을 가진다. 1) 공공외교의 대표적인 3가지 분야(문화, 지식, 정책)를 사용하여, 통일 전후의 서독의 공공외교를 시대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2) 니콜라스 컬(2008)이 제시한 공공외교의 5가지 구성요소(청취, 지지, 문화외교, 교류, 국제방송)를 통해 공공외교가 독일 통일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살펴보고, 여기에 맞는 사례를 찾아 제시해보고자 한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 이후, 독일은 전쟁의 과오에서 벗어나 국제 사회의 일원이 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는데, 주변 국가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성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서독은 다른 국가들이 독일에 가지고 있는 불신과 불안함을 없애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극복하기 위해서, 평화적인 유럽 내 안보와 협조를 통해, 주변국을 설득시키는 정책을 수행하였다. 서독의 공공외교는 어느 한 쪽의 국가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국가에 대하여 안정적이고 신뢰 있는 국가의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정책 기조를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유럽 안보체제 하에서 독일통일에 대한 지지를 얻어낼 수 있었다. 위 서독의 선례를 통해, 한국은 공공외교를 통한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상호교류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장래 통일과정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변정민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34015

        This thesis examines how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NESTs affect satisfaction levels in their current learning environment in both quantitative study with some qualitative data. While many previous studies reported negative aspects of NESTs,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generally have positive perceptions towards NESTs. However, different opinions and perceptions were revealed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der, school, school year, the duration of English education with or without NESTs, and whether they had lived abroad.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nts’ perceptions had been significantly impacted by their own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in the classroom as well as that of their teachers. The study concludes with the participants’ individual opin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