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f the Letters of Korean Seon Master Hanam

        靑高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3 국내석사

        RANK : 234255

        The Seon Master Hanam Sunim was one of several outstanding Seon Masters who appeared in Korea in the turbulent years that characterized the end of the Yi dynasty and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He was influential in encouraging people to develop their spirituality and attain awakening. He encouraged both Seon and Pure Land practice, and taught Sutras as well as meditation. His own life was an example of upholding the precepts and diligent spiritual practice. Despite the role he played sustaining the Seon Buddhism of Korea, there has been very little research on his life or thought in any languag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ose aspects of Hanam Sunim's life and thought that appear in his letters. While his letters may not be able to provide a complete overview, they should be able to provide a reasonable sampling of his life and thought. Any examination of Hanam Sunim's life would be incomplete unless it examined the ending of the Yi dynasty and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For in the space of one generation, Buddhism in Korea went from being officially persecuted by the Confucian government to being permitted by the Japanese, but at the cost of being forced to serve the Japanese occupation. The Japanese installed a hierarchal organization through which they could control or at least strongly influence the activities of the temples and sunims in Korea. With this organization, they also tried to change the precepts, the Vinaya, that governed the lives of monks, by allowing people who were married, ate meat, and drank alcohol to be ordained as monks. Hanam Sunim's Dharma Teacher was the Seon Master Kyo˘ngho˘ Sunim. Kyo˘ngho˘ Sunim was perhaps single-handedly responsible for revitalizing Seon in Korea. Traveling throughout the country,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awakening to one's inherent Buddha-nature. He had five main disciples who carried on his work and ensured that the seeds he had planted were to flourish in the years to come. One of these disciples was Hanam Sunim. Hanam Sunim was born to an upper-class family in 1876 and received a traditional education in the Confucian classics, but at the age of 20, he left home and became a monk. After several years, he came across a passage by the Koryo Dynasty Seon Master, Bojo Jinul, which precipitated his first enlightenment experience. The essence of that passage, "don't search for the Buddha outside of yourself," stayed with Hanam Sunim throughout his life. Hanam Sunim was famous for the diligence of his spiritual practice, and it is often said that during the last 25 years of his life he never once left his temple in the Odae Mountains. Many people, hearing of this, assume that it was because of his spiritual practice that he wouldn't leave. However, a close examination of Hanam Sunim's letters reveals that he actually did leave the Odae Mountains twice between 1926 and 1933. What kept him there in later years was hi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sunims practicing in the Odae mountains, combined with his ill-health. Hanam Sunim repeatedly refused to go to Seoul, where he would have been at the bidding of the Japanese government, and it seems that people confused this as a desire to stay in the Odae Mountains. However, several times in his letters Hanam Sunim talks about moving to Tongdo Temple or to Haein Temple, both of which are in the deep mountains. It seems he just didn't want to go to Seoul. The thread that runs through all of Hanam Sunim's thought about spiritual practice is his emphasis on the need for determination and putting one's understanding into practice. Hanam Sunim taught people to practice using reflective illumination, chanting, and also hwadu's. However, regardless of the method used, Hanam Sunim said that if they practiced diligently, then they would become like a burning flame, where was no place for discriminations or delusions to stick. He also emphasized that the Buddha-dharma exists everywhere, thus there is no need to seek it anyplace else. In his letters can be seen examples of other attitudes and beliefs that Hanam Sunim held. He had great faith in the law of cause and effect and attributed whatever happened to him as the results of his own actions. He was very humble and accepted impermanence as the basic condition of the universe. Hanam Sunim probably would have criticized modern scholars for engaging in the debate about sudden enlightenment versus gradual practice and then tried to harmonize their different perspectives. However, in his letters he did include several valuable cautions about the need for continued practice even after an enlightenment experience. Rather than saying that Hanam Sunim was influenced by the thought of Bojo Jinul on this issue, it may be more accurate to say Hanam Sunim's own experiences were consistent with what Jinul had written about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 Although Hanam Sunim was one of the foremost Seon Masters of his day, he was also known for teaching sutras to the monks during the meditation retreats. This is very unusual but Hanam Sunim felt that the proper time to study the sutras was precisely when one was practicing meditation in earnest. It was then that one would be most likely to perceive the deeper meanings of the sutras. He also viewed the sutras as useful tools to guide one's practice. In his first letter to Kyongbong Sunim, he says how careful study of the sutras can guide and prevent one from going astray in their practice. This study has been confined to only the letters of Hanam Sunim, so it has not been possible to go into depth about many of the themes that appear in Hanam Sunim's thought. However, I hope it has been sufficient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major areas of his thought, and hopefully this will help entice future scholars to more closely examine Hanam Sunim and the other great Korean monks and nuns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한암대선사는 구한말에서 한일합방이라는 한국역사의 대혼란기에 출현했던 가장 뛰어난 선사들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는 사람들이자신들의 영성을 발전시켜 깨달음을 얻도록 하는데 큰 영향력을 미쳤다. 그는 선수행과 정토수행 두가지를 다 독려하였으며 경은 물론이고 참선도 가르쳤다. 그 자신의 삶은 계행을 몸소 실천하고 부단없이 참선을 수행하는 전형 그 자체였다. 한국의 선불교를 지탱해나가는데 그가 행한 역할의 전적에도 불과하고, 그의 삶과 사상의 궤적에 대한연구는 어느 나라의 언어로도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간문에 나타난 한암선사의 삶과 사상을 검토하는데 있다. 서간문이 선사의 삶과 사상의 전체적인 모습을 완벽하게 제공할 수는 없을지 모르지만, 적어도 상당한 부분을 담아낼 수 있으리라고 본다. 한암스님의 삶에 대한 연구는 구한말과 일제 통치기를 검토 하지 않고서는 불완전하게 된다. 왜냐하면 한 세대동안 한국불교는 유교국가에서 공적으로 박해를 받아왔던 상태에서 일본인들에 의해서는용인되는 상태로 바뀌었지만,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강제로 동참한다는 대가를 치르고서 였기 때문이다. 일본은 위계체제적인 조직을 만들어서 한국내의 사찰과 스님들의 활동을 통제하거나 강력히 규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조직을 통해서 일본인들은 승려들의 삶을 지배하는 계를 바꾸려고 시도하여, 계를 받은 승려들이 혼인을 하고, 육식을 하며, 음주을 하도록 허용하였다. 한암스님의 법사 스님은 경허선사였다. 경허선사는 아마도 혼자의 힘으로 한국의 선불교를 다시 일으키신 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경허스님은 온 나라를 이곳 저곳 다니시며, 자성을 깨달음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가르치셨다. 그는 당신의 작업을 이어갈 다섯 명의 제자를 두었는데 당신이 뿌린 씨가 앞으로 올 시대에 번성하리라는 것을 확신하셨으며, 그 제자들 중의 한 사람이 바로 한암스님이시다. 한암스님은 1876년 양반집안에 태어나셨으며, 유학의 고전을 배우는 전통적인 교육을 받으셨지만, 스무살 되던 해에 출가하여 스님이 되셨다. 몇 해 뒤에 스님은 당신의 첫번째 깨달음을 촉발시키는, 고려시대의 선사인 보조 지눌대사의 말씀과 조우하게 된다. 그 말씀의 골자는 "밖에서 부처를 찾지 말라."였으며, 한암스님은 평생동안 이 말씀을 수지하셨다. 한암스님은 당신의 근면한 참선수행으로 유명하였는데, 생의 마지막 25년 동안 오대산에 있는 당신이 머무시던 절에서 한번도 나와 보신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얘기를 듣고 많은 사람들은 당신이 절을 떠나시지 않은 것은 참선 수행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한암스님의 서간문을 자세히 살펴보면, 스님은 1926년과 1933년 사이에 오대산을 두번 떠나신 적이 있음이 드러난다. 생의 말년에 스님이 산에 머무르셨던 이유는 오대산에 수행하고 있는 승으로서의 책임감과 악화된 건강상태 때문이었다. 한암스님은 서울로 가시기를 여러 번 거절하셨다. 서울에 가셨더라면 스님은 일본정부의 뜻대로 움직이실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것을 사람들은 스님이 오대산에 머물기를 바라신다고 여겼던 것 같다. 그러나, 서간문의 곳곳에서 한암스님은 통도사나 해인사로 옮기시는 문제를 말씀하고 계신데, 이 두 사찰 다 깊은 산중에 있다. 스님은 그저 서울에는 가고 싶어하지 않으신 것처럼 보인다. 참선 수행에 관한 한암스님의 사상을 관통해서 흐르고 있는 맥은 수행자의 단호한 결의의 필요성과 수행자가 이해한 바를 실제로 실행에 옮기는 것을 강조하신 점이다. 한암스님은 사람들로 하여금 화두, 묵언수행, 염불을 하도록 가르치셨다. 그러나, 스님은, 방법이 무엇이건 간에 부지런히 수행만 하면 타오르는 불꽃과 같이 되어서, 분별심이나 망상이 붙을 자리가 없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고 말씀하셨다. 그는 또한 불법은 어디에나 있으므로 불법을 찾기 위해 다른 장소를 찾아 다닐 필요가 없다고 강조하셨다. 서간문에서 우리는 한암스님이 가지셨던 믿음과 그 밖의 스님의 마음 가짐을 엿볼 수도 있다. 스님은 인과법을 철두철미하게 믿으셨고, 당신에게 벌어진 일은 무엇이든지 간에 당신그것을 당신이 저질렀던 행의 결과로 돌리셨다. 스님은 매우 겸허하셨고, 일시성(영원한 것이 없음)을 우주의 기본적인 조건으로 받아드리셨다. 한암스님은 아마도 돈오 점수에 관한 논쟁을 벌이는 지금의 학자들을 비판하시면서, 학자들이 지닌 각기 다른 시각들이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하실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의 서간문에는 깨달음의 경험을 한 이후에 조차도 지속적인 수행을 할 필요가 있음을 여러번 강조하여 주의를 주고 계신 것을 볼 수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한암스님이 보조 지눌대사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기 보다는, 한암스님 자신의 체험이 지눌대사가 돈오와 점수에 대해 서술해 놓은 것과 일치했다고 말하는 편이 더 정확하리라고 본다. 비록 한암스님이 당대 최고의 선사중의 한 분이었다고는 하지만, 안거 기간 중에는 승려들에게 경도 가르치셨다는 사실 역시 잘 알려져 있다. 이것은 대단이 이례적인 것이지만, 한암스님은 수행자가 경을 공부해야 하는 최적의 시기는 참선 수행을 진실하게 하고 있을 때라고 느끼셨다. 그 시기야말로 수행자가 경의 깊은 뜻을 파악하기에 가장 좋은 때이기 때문이다. 그는 또한 경은 수행를 이끌어가는 매우 유용한 도구하고 보았다. 경봉스님께 보낸 첫 편지에서 한암스님은 경을 조심스레 공부하는 것이 어떻게 수행자가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며, 잘못된 수행으로 빠지지 않도록 막아주는지를 말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암스님의 쓰신 서간문에만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한암스님의 사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러 주제들을 보다 심도 있게 파고든다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그러나, 필자는 본 논문이 한암스님의 사상의 여러 영역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기에는 충분하며, 이것이 앞으로 다른 학자들로 하여금 한암스님을 비롯하여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의 한국의 다른 위대한 남녀 선사들에 대한 연구로 이어지는 촉발제가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 Effect of Microbial Fertilis on Yield of Young radish (Raphanus sativus L.)

        Kim, Su Jung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1 국내석사

        RANK : 233999

        本 實驗은 土壤改良劑가 열무(Raphanus sativus L.)에 미치는 影響을 알아보기 위해 修行하였다. 土壤改良劑로는 MPK+Husk+Palma, Husk+Palma, MPK+Compost, Compost, Bio Livestock Cattle System(BLCS) Cattle Dropping 및 Tomi를 사용하였다. 實驗結果, 모든 微生物劑 處理區에서 植物體의 生育特性이 無處理에 비하여 收景이 增加하였다. 특히, BLCS Cattle opping處理는 植物 生體重, 葉數, 및 乾物重에서 가장 큰 效果를 보였고, MPK+Husk+Palma는 葉長에서, Husk+Palma는 糖度에서, Tomi處理區는 葉幅에서 各各 效果的이었다. 열무의 化學成分에 대한 土壤改良劑의 效果는 Tomi處理區에서 인산의 含量이 다른 處理區에서보다 훨씬 增加했다. 칼륨의 含量은 모든 處理區에서 無處理區와 비교하여 高度의 有意性을 보였고, Compost處理區에서 가장 높았다. 土壤의 化學成分에서는 處理間에 인산과 칼륨含量이 有意性을 보였다. 인산은 Tomi處理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칼륨은 Husk+Palma處理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omi處理區에서 인산과 칼륨의 含量은 植物體, 土壤 모두 고르게 增加를 보였다. 土壤의 微生物相을 調査한 結果, 總細菌數, Bacillus, 放射線菌類 및 곰팡이류가 有意性을 보였다. 總細菌數는 Tomi處理區에서, Bacillus균과 放射線菌類는 MPK+Husk+Palma處理區에서, 곰팡이류는 Tomi處理區에서 매우 높았으며 다른 處理區에는 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crobial fertilizers on the yields of young radish(Raphanus sativus L.), chemical components of plant and soil, and the microbial floras. Six microbial fertilizers, MPK+Husk+Palma, Husk+Palma, MPK+Compost, Compost, BIG Livestock Clean System(BLCS) cattle dropping, and Tomi were used. The yields of young radish were increased in six microbial fertilizer treatments. The fresh matter weight, the number of leaves, and the dry matter weight of young radish in BLCS cattle dropping treatment, the leaf length in MPK+Husk+Palma treatment, the sugar content in Husk+Palma treatment, and the leaf width in Tomi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amount, respectively. The effects of microbial fertilizers o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young radish and soil were examined. Phosphoric acid amount of young radish in Tomi treatment was much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Potassium amount of young radish showed high significance in all microbial fertilizer treatments compared with control, and showed the highest in Compost treatment. Two components, phosphoric acid and potassium, in soil inoculated by microbial fertilizers showed significant. Phosphoric acid in the Tomi treatment and potassium in Husk+Palma treatment were increased. The microorganic populations in soil inoculated with microbial fertilizers were examined. While the number of Bacillus in soil was increased in MPK+Husk+Palma treatment, the numbers of total bacteria, actinomycetes, and fungi were increased in Tomi treatment.

      • Breeding of superior shrunken-2(sh2) corn inbreds using introduced germplasm

        Cha, Sung Won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1 국내석사

        RANK : 233999

        본 실험은 외국유전자원을 이용하여 국내 초당옥수수 자식계통을 육성하고자 2000년 동국대학교 실험농장에서 S4~S5세대에 3개의 tester로 톱교잡 검정교배 교잡종을 대상으로 포장실험을 실시하였다. 1. 이삭모양과 관능검사, 개화기에 대한 GCA값을 기준으로 20개의 우수 계통을 선발하였다. 2. 선발된 20개의 계통 중 5개 계통은 선발된 계통 내에서 상대적으로 조생계통이며, 5개 계통은 만생계통이었다. 3. 개화기와 이삭길이, 이삭당 열수, 열당 립수, 이삭중, 이삭모양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개화기와 이삭의 직경(r=-0.32**), 간장(r=0.39**), 수장(r=0.57**), 분열(r=-0.28**), 식물모양(r=0.43**), 관능검사(r=0.25*)간에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5. 개화기와 초형(r=0.43**), 초형과 수형(r=0.49**), 수형과 관능검사(r=0.43**)간에는 각각 고도의 유의성이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선발된 우량 계통의 기원은 조생계통으로 Upmost(Breeding line 1, 2), Ia2132(35), UFYS1314(62), HMX2384S(66)이었고, 만생계통으로 Krispy King(22, 54, 56), Prime Time(24), HMX2345BS(51)이었다. Upmost에서 2개의 조생계통이 유래되었고, Krispy King에서 3개의 만생계통이 유래된 것으로 보아 이 유전자원이 각각 조생, 만생계통 육성을 위한 육종재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7. 선발된12개 계통에 대한 발아실험결과, Breeding line 1(40%), 33(67%), 49(77%)는 발아력이 낮았다. 저온하의 발아율은 41%이었고, 정상온도 하에서 평균 발아력은 83%이었으며, 일부 계통은 저온하에서도 6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Collection of germplasm is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breeding work of sweet corn(Zea mays L.). Genetic variation of sweet corn is more narrow and limited than that of field corn. Since most sweet corns are used to consumption for human, quality characters are more important than quantitative characters for the sweet corn breeding; However, the selection effect for the qualitative characters is much lower than that of quantitative characters. Introduced commercial super sweet corn hybrids and populations were selfed and selected according to the phenotypic performance. The selected lines were tested for their combining abilities with 3 testers at th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of the Dongguk University in 2000. Major agronomic characters including ear quality characters such as bite test were observed and superior breeding lin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GCA. And germination tests were performed on selected elite breeding lines.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uperior inbred lines which were shown low GCA for flowering and ear quality characters were selected. 2) Among the selected lines, five lines would be classified to early maturity groups and five lines to late maturity group. 3) GCA for days to tasseling had no trend with number of kernel row, number of kernels per row, ear length, ear aspect, and plant aspect. 4)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howed between days to tasseling and plant aspect(r=0.44**), between plant and ear aspects(r=0.49**), and between ear aspect and bite test(r=0.43**). 5) The origins of selected breeding lines were as follow; Upmost, Ia2132. UFYC1314, HMX2384S, Krispy King, Prime Time, Top Notch, Seneca Apploosa, and HMX2345BS. 6) Mean germination rates were 41% and 83% under low and normal temperature conditions, respectively. Some lines showed good germination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

      • Effect of Do-In (Prunes persica L.BATSCH) water extract (PPE) on concentration of extracellular acetylcholine in the rat hippocampus : 도인 추출액의 아세틸콜린 분해 요소 억제작용에 대한 연구

        공대종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2002 국내박사

        RANK : 233999

        도인은 한의학에서 대표적인 어혈치료제로 쓰여왔으며 치매에도 많이 응용되고 있다. 도인 추출액 (Prunus persica L. BATSCH water extract : 이하 PPE)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강력한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물질이다. 이에 콜린분해효소 억제제로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인 타크린과 비교실험을 통하여 PPE의 약리작용을 규명하였다. 실험용 쥐의 뇌 해마 속의 혈장 아세틸콜린의 농도에 대해서, 경구 투여한 PPE의 효능은 미세투석 기술(microdialysis technique)을 사용하여서 평가하였고, 같은 방법으로 태크린과 PPE의 뇌 AChE에 대한 억제를 측정하였다. PPE는 2.5 g/kg, tacrine은 5 mg/kg의 복용량에서 6시간 이상 유의성있는 효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실험에서 최대의 증가는 PPE는 복용한지 약 1.5시간 후에, 태크린은 약 2시간 정도에서 관찰되었고, 각각 전 단계의 454%와 412%를 기록하였다. 이 결과는, PPE와 태크린의 경구 투여는 주로 AChE 억제를 통해서, 해마의 접합열(synaptic cleft)애서의 아세틸콜린 농도를 증가시킨다는 것과, PPE는 중추 콜린 시스템(central cholinergic system)에 대해서 유용하고 지속적인 효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 Artificial culture of some entomopathogenic fungi and their biological activity : 수종 동충하초균의 인공배양과 생물학적 활성

        Ban, Ki-Won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1999 국내석사

        RANK : 233999

        자연에서 번데기동충하초, 눈꽃동충하초 등의 동충하초를 채집하고 자실체로부터 균을 분리하여 그들의 인공배양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분리된 동충하초균은 25℃, pH 7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탁월하였고, 눈꽃동충하초는 쌀, 번데기, 한약재 등의 기질에서 자실체의 형성이 잘 이루어졌으며 번데기동충하초는 번데기에서 자실체의 형성이 탁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충하초균의 분비효소를 검정하기 위한 효소활성도 조사에서는 인공적인 배양이 가능한 번데기동충하초, 눈꽃동충하초 등의 두 균주에서는 Amylase, Glucosidase 등의 효소활성이 높았으나 인공적인 배양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C. ophioglossoides, C. sinensis 등의 균주에서는 그 활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산 동충하초와 다른 동충하초와의 유전적인 근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RAPD 분석을 시행한 결과, 각각의 동충하초균은 그 유전적 특성이 사뭇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번데기동충하초, 눈꽃동충하초, 중국산동충하초, 중국산동충하초에서 분리한 균사체 등의 약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번데기동충하초, 눈꽃동충하초 등은 자실체를 인공적으로 재배하였고, 중국산 동충하초의 균사체는 액체기내 배양하여 각각으로부터 crude한 다당류를 추출하고 항암활성도를 조사하였다. 5종류의 암세포를 대상으로 분리된 다당체를 실내에서 투여한 결과 각각의 다당류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졌으며 비장에서 분리된 면역세포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CR/SIc 쥐를 대상으로 시행된 항암활성도 조사를 위하여 복수암과 고형암을 유도하고 실험계획에 따라 분리된 다당류를 투여한 결과 복수암에서는 20-40%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고형암에서는 90% 이상의 억제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artificial cultivation, molecular analysis, enzymeaticial analysis and antitumor activity were investigated with some entomopathogenic fungi in this report. Three species of entomopathogenic fungi such as Cordyceps militaris, Paecilomyces japonica and Cordyceps sinensis were isolated from the fruiting body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nature and had been tried to produce fruiting body in artificial condition with isolates. The fruting bodies of P. japonica and C. militaris were produced favorably in silkworm pupae in compare to other substrates such as rice and silkworm at 18℃. In the result of RAPD analysis, genomic band pattern of each entomopathogenic fungus on 1.2% agarose gel seemed to be differentiated among the samples including the anamorph of C. sinensis. Also, the result of general intra and extra cellular enzyme assay which were secreted by some entomopathogenic fungi appeared to indicate that α- amylase was highest among the enzymes and gluosidase and chitinase were followed.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effect of some entomopathogenic fungi such as Cordyceps militaris, Paecilomyces japonica and Cordyceps sinensis in ICR mouse, the fruiting bodies of C. militaris and P. japonica produced in artificial condition and crude polysaccharides were extracted by hot water. Also, the crude polysaccharides were extracted from mycelia of C. sinensis which were incubated in MYG broth media at 18℃ for 90 days with culture filtrate. The each crude polysaccharide was administerd on the basis of an experimental schedule to ICR mice before the tumor implantation, all test samples inhibited the growth of solid and ascites form of sarcoma 180 in various ranges except the fruiting body of C. sinensis. Among the test samples, treatment of the fruiting body of C. militaris showed 51% of high antitumor activity against ascites form of sarcoma 180 at 100mg/kg. However, the mycelial extract of C. sinensis showed 93.3% of antitumor effect in compared with C. militaris against solid tumor form of sarcoma 180. As compared with other test samples, P. japonica showed a relatively low antitumor activity in both forms of sarcoma 180. In the other hand, all test samples didn't show in vitro cytotoxicity activity against 5 types of human cancer cell lines such as human gastric cancer cells(KATO Ⅲ), mononuclear leukemia cells(K-562), human liver cancer cells(Hep-G2), human head and neck cancer cells(HTB-120) and the uterus cancer cells(HeLa). In the test of determination of immunomodulating activity, the mycelial extracts of C. sinensis and fruting bodies of C. militaris showed that polysaccharides from C. sinensis and C. militaris enhanced proliferation of splenetic lymphocytes.

      • Paeng Jo Yeon Nyeon Baek Ja In Hwan(PJBH) attenuates hydrogen peroxide-induced injury and antagonizes calcium dysregulation in PC12 cells : 팽조연년백자인환(彭祖延年柏子仁丸)이 PC12 세포내에서의 과산화수소로 유발된 손상과 칼슘기능저하 억제효과에 관한

        박경수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2002 국내박사

        RANK : 233999

        팽조연년백자인환(彭祖延年柏子仁丸:PJBH)은 18가지 약제로 구성되어 있다. 柏子仁 12.5g, 蛇床子 6.3g, 覆盆子 6.3g, 石斛 1.8g, 巴戟天 2.3g, 杜沖 2.3g, 天門冬 2.3g, 遠志 2.3g, 續斷 1.9g, 桂心 1.9g, 菖蒲 1.5g, 澤瀉 1.5g, 山藥 1.5g, 人蔘 1.5g, 乾地黃 1.5g, 山茱萸 1.5g, 五味子 2.8g, 肉□蓉 4.5g으로 총 52.1g이다. 현재,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퇴행성세포질환이 자유라디칼과 관련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의 신경유래 PC12세포주에 과산화수소로 유발된 지질과산화정도와 항산화효소활성변화에 대한 PJBH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즉, 과산화수소(150 μM)를 30분간 처리한 대조군에서, 세포 생존율과 glutathione peroxidase, catalase 활성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MDA생성물은 증가하였다. 한편, 과산화수소 처리전 PJBH(0.5-10 ug/ml) 전치료군에서는 유의하게 세포생존율과 항산화효소 활성이 증가하고, MDA수준은 감소하였다. 또한, 먼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로 PC12세포독성을 유발한 후, PJBH처리(후처리군)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PJBH는 세포 생존율과 GSH-Px와 탈수소효소(catalase) 활성에 유의성이 있는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PJBH의 세포방어 효과가 H_(2)O_(2)로 유발된 PC12 세포독성을 일으키는 중간 매개체를 저해하는데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PJBH의 신경보호효과는 시판 보호물질인 tacrine의 효과에 상응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은 PJBH가 새로운 신경질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한편, 세포의 산화반응은 세포 Ca^(2+)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세포독성을 유발하는데, 이는 노화로 인한 신경퇴화성 질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과산화수소는 칼슘농도의 기준이상의 증가와 탈분극에 의한 칼슘유입의 감소, 그리고 칼슘수준의 회복능 감소로 PC12 세포에서 칼슘기능저하를 유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PJBH가 PC12세포에서 과산화수소의 칼슘기능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지 검토한 결과, 과산화수소로 유발된의 칼슘기능저하의 억제와 형광도로 측정된 산화자극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PJBH가 과산화수소로 야기된 산화자극과 칼슘기능저하에 대항하여 세포보호활성을 주며 동시에 강력한 항산화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Paeng Jo Yeon Nyeon Baek Ja In Hwan(PJBH) is a dried decoctum of a mixture of 18 herbal, consisting of Semen Biotae(柏子仁) 12.5g, Fructus Torilis seu cnidii(蛇床子) 6.3g, Fructus Rubi(覆盆子) 6.3g, Herba Dendrobii(石斛) 1.8g, Radix Morindae officinalis(巴戟天) 1.8g, Cortex Eucommiae 2.3g, Radix Aspragi(天門冬) 2.3g, Radic Polygalae(遠志) 2.3g, Radix Dipsaci(續斷) 1.9g, Ramulus Cinnamomi(桂心) 1.9g, Rhizoma Acori graminei(菖蒲) 1.5g, Rhizoma Alismatis(澤瀉) 1.5g, Rhizoma Dioscoreae(山藥) 1.5g, Radix Ginseng(人蔘) 1.5g, Radix Rehmanniae preparata(乾地黃) 1.5g, Fructus corni(山茱萸) 1.5g, Fructus Schisandrae(五味子) 2.8g, Herba Cistanches 4.5g in a total 52.1g. Since a number of studies indicate that free radicals are involved in the neurodegeneration in Alzheimer's disease (AD), the present study was mainly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JBH on H_(2)O_(2) induced toxicity in rat pheochromocytoma line PC12 by measuring cell lesion, level of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Following a 30 min exposure of the cells to H_(2)O_(2) (150μM), a marked decrease in cell survival, activities of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as well as increased production of malondialdehyde (MDA) were found.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PJBH (0.5-10μg/ml) prior to H_(2)O_(2) exposure significantly elevated the cell survival,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decreased the level of MDA. The effects of the PJBH on hydrogen peroxide-induced injury in PC12 cells were studied. PJBH provoked remarkable elevating effect on activities of catalase and GSH-Px as well as cell survival, suggesting that cytoprotective effects of the PJBH involved in a stimulation of against intermediate concentrations of H_(2)O_(2)-induced injury PC12 cells injury. The above-mentioned neuroprotective effects are also compared with tacrine effec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se PJBH might be used as a novel neuronal therapeutic agents. Oxidative stress can induce neurotoxic insults by increasing intracellular calcium (Ca^(2+)), which has been implicated in various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 aging. It was shown that hydrogen peroxide induced Ca^(2+) dysregulation in PC12 cells by an increase in Ca^(2+) baselines, a decrease in depolarization-induced Ca^(2+) influx, and a failure to recover the Ca^(2+) levels. We investigated whether a dietary PJBH can antagonize the effects of hydrogen peroxide in the same cell model. PJBH was efficacious in reducing both the H_(2)O_(2)-induced Ca^(2+) dysregulation in cells and oxidative stress assessed via the dichlorofluorescein assay. These data indicated that PJBH provided its strong antioxidant property of protecting cells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and Ca^(2+) dysregulation.

      • Characterization of the cytochrome P450 2E1 gene promoter screened by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in growth challenged OLETE rat : 성장호르몬을 투여한 당뇨쥐로부터 억제적감쇄결합 방법을 이용해 찾은 Cytochrom P450 2E1 유전자의 전사 활성화 부위의 특

        김은희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2002 국내박사

        RANK : 233999

        많은 유전자의 발현이 노화에 의하여 변화되며, 성장호르몬은 항노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늙은 OLETF 쥐의 간에서 성장호르몬을 처리함으로써 변화되는 유전자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정 환경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를 알아내고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억제적감쇄결합법이 사용되었다. 성장호르몬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32개의 유전자 클론을 얻었으나, 각 클론들의 대조군와 실험군 간의 발현 차이는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억제적 감쇄결합법을 이용해 얻은 CYP2E1 유전자는 당뇨가 걸린 개체에서는 그 발현이 증가하며, 성장 호르몬의 처리에 의해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가 되어있다. 실제로 대조군에 비해 성장호르몬을 처리한 쥐의 간에서의CYP2E1 발현이 30-50% 감소해 있는 것을 North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쥐의 CYP2E1의 전사조절 부위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반딧불의 형광물질 유전자가 코딩된 벡터에 전사조절부위를 클로닝시켰다. 이 클로닝된 벡터를 HepG2 세포에 형질전환 시켰다. HepG2 세포의 형광물질 활성은 전사조절부위 -159에서 26까지를 형질전환 시킨 경우에 대조군에 비해 2-5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장호르몬은 CYP2E1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억제함으로써 그 발현을 감소시키며, 비록, 그 효과는 약하게 나타났지만, 전사를 증가시키는 인자가 결합하는 부위는 -159 에서 26 사이에, 그리고 전사를 감소시키는 인자가 결합하는 부위는 -632 에서 -159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expression of many genes is changed by aging, and growth hormone (GH) was reported that has anti-aging effect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genes which changed by GH treatment in liver of old OLETF rat, and the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which is a method for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differently expressed transcripts, was performed. 32clones were obtained from non-treatment OLETF rat subtracted expressed gene of GH treatment group, b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expression between control and GH treatment group can not be identified by dot blot. The CYP2E1 gene, which was screened from old OLETF rat by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was reported that the expression was induced in diabetic condition and reduced the expression level by GH treatment. Actu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hepatic CYP2E1 expression level of GH treated rat decreased 30 to 50% than control by northern blot. To functionally characterize the rat CYP2E1 5'-flanking sequences were cloned in front of PoLuc, the luciferase reporter gene and these recombinant plasmids were transfected in HepG2 cell. The luciferase activity of HepG2 cell with (-159/26) PoLuc was measured higher than negative control about 1.5-5 fold. In conclusion, GH has capacity of down regulation of the CYP2E1 mRNA expression level in OLETF rat liver, and though the effect was weak, it seems that transcription regulatory factor locates within the region-159 to +26 and inhibitory elements locate between -632bp and -159bp in HepG2 cell.

      •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extract on organic hydroperoxide-induced renal cell injury : 黃芩이 신장 상피세포에서 t-butylhydroperoxide에 의해 유도된 인산 이동 저해에 미치는 영향

        이신규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2002 국내박사

        RANK : 233999

        신장 세뇨관 상피세포에서 黃芩이 산화제에 의한 세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신장 세뇨관 상피세포주인 opossum kidney (OK) 세포를 유기산화제인 t-butylhydroperoxide (tBHP)에 노출시킨 후에 세포 손상을 관찰하였다. 세포 손상 정도는 세포막의 통한 능동적인 물질이동계의 변화와 세포 사망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물질이동계의 변화는 Na^(+)에 의존하여 이동하는 인산의 이동계를 측정하여 산정하였다. tBHP는 농도 및 처리 시간에 의존하여 인산의 이동을 억제하였으나 黃芩추출물의 0.005-0.1 mg/ml 농도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방지되었다. tBHP는 ATP 고갈을 일으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黃芩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방지되었다. 동력학적 분석 결과 tBHP는 Na^(+)-phosphate 공동 이동에 대한 최대이동치 (Vmax)를 감소시켰으나, 기질과 운반체간의 친화성을 나타내는 Km 값에는 영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tBHP가 운반체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세포막을 통한 운반체의 turnover rate를 감소시켜 인산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암시한다. 黃芩추출물을 처리했을 때는 Vmax 감소를 거의 정상 수준까지 회복시켰다. tBHP에 의한 인산의 이동은 항산화제인 N,N'-diphenyl-p- phenylenediamine (DPPD)와 deferoxamine에 의해 방지되었으며, 그 효과는 黃芩추출물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黃芩추출물은 DPPD와 더불어 tBHP에 의한 지질의 과산화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tBHP는 세포 괴사 및 apoptosis에 의해 세포 사망을 일으켰으며 이러한 세포 사망은 黃芩추출물에 의해 방지되었다. 유사한 방지 효과가 항산화제인 DPPD, deferoxamine 그리고 flavonoid인 quercetin을 처리한 세포에서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黃芩이 산화제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손상을 항산화제와 유사한 기전으로 방지하며, 黃芩의 작용 효과는 주요 성분으로 알려진 flavonoid들에 기인할 가능성이 많다. 黃芩의 이러한 효과는 산화제에 의해 매개되는 여러 종류의 신부전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하는데 유용한 물질로 이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보였다.

      • Efficiency of Transformation and Regeneration from Mature Embryo and Leaf Base Segment of Korean Oat Genotypes : 한국 귀리 품종의 성숙 배와 잎절편체를 이용한 식물체 재분화와 형질전환 효율성에 관한 연구

        김경희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2003 국내박사

        RANK : 233999

        본 연구에서는 국내 귀리 품종을 대상으로 성숙 배와 잎절편체를 이용하여 호르몬간의 차이에 따른 캘러스 형성 및 재분화 효율성을 검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귀리 품종을 대상으로 Agrobacterium을 이용한 형질전환 효율을 GUS assay를 통하여 검정하였다. 성숙 배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재분화는 품종 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삼한귀리와 말귀리에서 재분화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숙 배와 잎절편체는 picloram 3 mg/l 과 2,4-D 3 mg/l을 포함한 캘러스 배지에서 캘러스 효율성이 높았다. 이는 캘러스 배지가 재분화 형성에도 영향을 주어 재분화 또한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잎절편체의 재분화 형성을 위하여 3주 동안 유기한 캘러스를 TIBA (antiauxin) 1 mg/l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일반 재분화 배지 (NAA 0.2 mg/l과 BA 1 mg/l)에서 배양한 것 보다 재분화 형성 기간이 1∼2주 정도 빨랐으며, 재분화 효율성도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귀리의 성숙 배로부터 Agrobacterium을 이용해서 형질전환 후 GUS assay를 통해 검정한 결과, Agrobacterium strain은 KYRT1에서 GUS expression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sonication 30초와 60초, vacuum infiltration 1시간을 함께 처리했을 때, 삼한귀리와 말귀리 모두 GUS expression 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Mature embryos of five oat genotypes were cultured to establish an efficient method of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The high frequency of callus induction was obtained in Samhangwiri. Percentage of plant regeneration showed high in MS medium containing 0.2 mg/l of NAA and 1 mg/l of BA. Treatment with 3 mg/l of 2,4-D, and 3 mg/l of 2,4-D and 1 or 3 mg/l of kinetin in callus induction media showed high frequency for plant regeneration. The callus induction media affected the subsegment plant regeneration. Mature embryo and leaf base segment in Korean oat were used to improve plant regeneration. Percentage of plant regeneration from mature embryos showed high in callus induction medium containing 3 mg/l of 2,4-D and 3 mg/l of picloram. In leaf base segments, regeneration frequencies of Samhangwiri and Malgwiri showed high in callus media containing 3 mg/l of 2,4-D and 1 mg/l of kinetin, and 3 mg/l of 2,4-D and 3 mg/l of picloram. High regeneration efficiency was obtained on a shoot medium containing 1 mg/l of anti-auxin TIBA and 1 mg/l of BA. To develop a target tissue for transformation, we used mature embryos of Korean cultivars. In comparison of Agrobacterium strains, KYRT1 showed high frequency in Malgwiri and Samhangwiri. Particularly, sonication treatment for 30 or 60 seconds and vacuum infiltration treatment for 60 minutes in Samhangwiri and Malgwiri showed high frequency for GUS activity.

      • Image and Video Watermarking Algorithms : Estimation-based Copyright Protection with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s and invertible semi-fragile authentication = 영상 및 동영상 워터마킹 알고리듬 : LDPC를 이용한 예측 기반 저작권 보호 기술 및 인증을 위한 복원 가능

        임재혁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2003 국내박사

        RANK : 233999

        디지털화된 컨텐츠는 기존 아날로그 컨텐츠와는 다르게 고속의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제작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형태로 컨텐츠의 유통 경로가 변화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망이나 IMT-2000과 같은 고속 무선 통신망 그리고 매우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초고속 인터넷 통신망 등은 21세기 초반 멀티미디어 컨텐츠 유통 구조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아울러 디지털 컨텐츠를 손쉽게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디지털 장비의 보급은 과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소비 구조를 놀라운 속도로 변화시켜 가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PC와 디지털 텔레비전의 빠른 보급은 양질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손쉬운 구매와 소비를 촉진시키는 촉매 역할을 한다. 이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와 같은 개인용 휴대 장비를 이용한 멀티미디어의 소비를 촉발시켜 새로운 멀티미디어 컨텐츠 소비 구조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화된 컨텐츠들은 복사를 진행함에 있어 품질 열화가 생기는 아날로그 데이터와는 달리 대량 복사에 따른 컨텐츠의 품질 열화가 전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무수히 많은 복사 본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3의 사용자에게 불법적인 배포가 가능하다. 또한 과거 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이 전문가들에게 의존하거나 고급 장비들이 있어야만 조작이나 편집이 가능하였으나 이제는 개인용 PC의 성능향상과 관련 기술의 발달로 컴퓨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만을 갖추고 있는 사용자라면 누구나 자신의 환경에 맞도록 쉽게 컨텐츠에 대한 조작이나 운용이 가능해졌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개인의 취향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편집하고 합성할 수 있다는 여러 가지 많은 장점을 제공하였지만 이런 컨텐츠들을 제작하여 배포함으로써 영리를 추구하였던 컨텐츠 제작자나 공급자들의 입장에서는 디지털화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제작하고 배포하는 것을 꺼리는 현상을 낳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가장 주된 이유로 영리 추구를 위해 많은 비용을 들여 제작된 디지털 컨텐츠가 정당한 지불 없이 불법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다시 그 불법 사용자에 의해 재배포 될 수 있는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적인 사용 및 유통이 사회 전반적으로 만연되어 있다면 컨텐츠를 제작하는 사람이나 배포자로서는 커다란 위협이 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정당한 대가를 주고 컨텐츠를 구매하고 사용하고 배포하여야만 한다는 사고를 심어주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겠다. 과거 오랫동안 통신 분야에서 발전해온 암호화 방법이 디지털 컨텐츠를 불법 사용자로부터 접근을 막아주고 저작권을 보호해주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이 암호화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해결책 및 다른 응용을 위해 등장하였다. 디지털 워터마킹은 디지털화된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의 디지털 데이터에 원 소유주를 표시 할 수 있는 코드나 패턴을 사람의 시각이나 청각으로는 구별할 수 없게 삽입하는 기술이다. 만약 정당한 대가나 허락을 얻지 못한 사용자들이 디지털 정보를 불법 복제하여 상업용 혹은 기타 용도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삽입된 코드나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디지털 정보가 원 소유주의 소유임을 밝힐 수 있으며, 저작권 및 지적 재산권 행사에 결정적인 증거로 사용 될 수 있다.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은 기존의 정보 보호 기법인 암호화와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암호화 기법은 보호 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특정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함으로써 해당하는 키를 가진 사용자만이 암호화된 데이터에 접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키를 사용하여 복호화된 데이터에 대한 불법 복제나 유통 등은 암호화의 방법으로는 막을 수가 없다.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에 의해 삽입된 워터마크는 해당 데이터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암호화 기법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은 원본 데이터에 부가적인 정보를 삽입하는 것이므로 원본 데이터의 입장에서 보면 일종의 잡음이나 데이터 왜곡으로 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원본 데이터에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잡음이나 왜곡에 의한 원본 데이터의 변형을 최소화면서 워터마크를 제거하기 위한 의도적, 비의도적 공격에 의해 쉽게 제거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인간의 시각 특성을 적용하며, JPEG, MPEG 등과 같이 영상의 표준안을 고려하여 삽입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워터마킹의 여러 응용 분야 중 저작권 보호와 인증에 대한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우선 저작권 보호의 경우 임의의 모양을 갖는 영상 객체에 적용 가능한 객체 단위 워터마킹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우선 사용자가 워터마크를 삽입하고자 하는 객체를 반 자동 영상분할 기법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객체들에 대하여 일반적인 영상처리뿐만 아니라 기하학적인 변환 등에 강인성을 지니기 위해서 자기참조방법을 사용하여 워터마크를 주기적으로 삽입한다. 워터마크 추출 방법은 삽입된 워터마크의 자기상관 값을 이용하여 영상에 가해진 기하학적인 변환을 찾아내고, 그것을 역 변환 한 다음 워터마크를 추출한다. 또한 워터마크 추출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웨이블릿 도메인에서 워터마크를 예측하였으며, 이렇게 예측된 워터마크를 LDPC 코드를 사용하여 워터마크에 가해진 에러들은 수정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MPEG-4의 VOP와 JPEG2000의 임의의 모양을 가지는 영상 객체에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객체들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기하학적인 조작에 대하여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비디오에 확대 적용하여 객체 단위의 중요성을 워터마크로 사용한 다중 객체 트랜스코딩 방법을 제안하였다. 인증을 위한 워터마킹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의학적 또는 상업적인 용도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컨텐츠를 만든 창작자가 누구인지 확인함과 동시에 그 내용이 조작되거나 수정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기존의 인증 방법의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조작 및 수정뿐만 아니라 압축에 의한 변화에 대해서도 구별 없이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러한 압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할 경우 필수적이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작과는 구별이 되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압축에는 강인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인위적인 조작 및 수정만을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인위적인 조작이 없을 경우 원 영상으로 복원이 가능하며, 조작이 있을 경우 조작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알고리듬 또한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에 확대 적용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듬들은 디지털 미디어 창작물에 대한 불법적인 사용과 인위적인 조작으로부터 소유권과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며, 디지털 컨텐츠의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제작, 관리, 유통에 기여하는 필수적인 핵심 요소 기술이다. 특히 상업적 가치가 높은 VOD, DVD 등의 확산으로 인하여 비디오에 대한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디지털 워터마킹은 저작권을 관리하여 컨텐츠가 보다 활발히 유통되고 컨텐츠 사업자들의 수익 모델 창출에 기여함과 동시에 저작권에 대한 최종적인 확인 기능을 담당하는 사후 저작권 보호 기술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object-based watermarking algorithms for copyright protection, semi-fragile watermarking algorithms for content authentication, and their adaptations. First of all, we present the object-based watermarking algorithm particularly resilient to geometric attacks (i.e., rotation, scaling, translation, etc) by embedding the watermark periodically in the spatial domain. The embedding process is based on a generalized spread spectrum approach. The resulting system is theoretically analyzed and empirically tested. An important difference of the proposed scheme to others is a pre-processing step which computes an estimate of the embedded watermark by an adaptive estimation method with the generalized Gaussian distribution modeling of sub-band coefficients in wavelet domain. Furthermore the usability of M-ary modulation in the context of digital watermarking is investigated. Finally, the proposed algorithm is extended to a video watermarking algorithm, which is also resilient to geometric attacks. The second part proposes an invertible semi-fragile image watermarking algorithm which can prevent malicious manipulation but allow JPEG lossy compression. In our proposed method, two watermarks are embedded into the image. The first one uses the lossless compression of the biased least significant bit streams (LSBs) derived from the quantiz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for the purpose of the image authentication and its invertibility. The second one exploits the invariance propert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quantized DCT coefficients at the same position in the neighboring two image blocks. This property survives from JPEG compression because all DCT coefficients are divided by the same quantization table. The proposed method can classify a test image into three types: authentic, JPEG compressed, and manipulated. If the image is deemed authentic, the distortion due to authentication can be completely recovered to obtain the original data. If the image is classified as manipulated, the position of the intentional manipulation can be identified. Also, it can distinguish malicious manipulation from JPEG compression regardless of the compression ratio. To prevent video data from illegal modifications, the above-mentioned scheme is extended to the compressed video bit stream with a hash function. In the last part we propose two adaptations of watermarking system. First of all, we introduce a video content delivery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detect priority information embedded in the objects of the video using a watermarking technique. The extracted priority for each object can be used to define its relative importance comparing to other objects in the video, enabling selective manipulation of the objects. The second one is to improve the watermarking performance using the following two methods: watermark estimation and 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s. For a blind watermark decoding, the power of a host image, which is hundreds times greater than the watermark power, is the main noise source. Therefore, a technique that can reduce the effect of the power of the host image to the detector is required. To this end, we need to estimate watermark from the watermarked image. In this method, the watermark estimation is done by an adaptive estimation method with the generalized Gaussian distribution modeling of sub-band coefficients in the wavelet domain. Since the watermark capacity as well as the error rate can be improved by adopting optimum decoding principles and error correcting codes (ECC), we employ the LDPC codes for the decoding of the estimated watermark. Knowing the exact watermark power, the channel noise power can be also calculated from the estimated watermark. Note that, in LDPC codes, the knowledge of the noise power can improve the error correction cap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