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반의약품 광고의 유머소구가 관여도에 따라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 2012년 우루사 TV광고를 중심으로

        김진형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From November 15, 2012, it has become possible to purchase non-prescription medicine in convenience stores and supermarkets. After announcing the reclassification of medicine agenda,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gathered public opinion and consulted the Central Pharmaceutical Affairs Council. As a result, 242 drugs that were purchasable only when prescribed by physicians have been reclassified as non-prescription drugs, and are now available in pharmacies, convenience stores, and supermarkets without prescriptions. Among these, 20 kinds of household drugs including refrigerants, cold medicine, and digestives can be found in convenience stores as non-prescription drugs. As consumers have increased opportunity to acquire these non-prescription drugs, dangers of drug abuse and misuse has increased as well, and information on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is more important than ever. In the past, pharmaceutical and medical advertisements traditionally focused on message factors, as communicating product quality was considered most crucial. However, message factors tend to have less importance nowadays with the rise of emotional factors. When deciding the purchase of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that have direct effect on the consumer's health, advertisements play a key role. Consumers may respond to the clinical experience of the doctor or other acquaintances, but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advertisement such as the medical product's function and effectiveness also play an important part. Thus, this research has examined the effect of non-prescription drug advertisements that employ the emotional factor, specifically the humor appeal, on consumer attitude according to product involvement. This will hopefully be a step forward in non-prescription drug advertising activitie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the effect of humor appeals in non-prescription drug advertisements to consumer attitude according to product involvement: focusing on the 2012 television advertisement of Ursa.' The scop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ated as the following. Secondary data was gathered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graduate dissertations, specialized magazines, published books, and websites. Basic theories regarding types of advertisement appeals and product involvement, general opinions on non-prescription drug advertisements, and the current status of non-prescription drug advertisements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Primary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n general consumers past their twenties,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and was conducted through filling out a questionnaire after watching the TV commercial of Ursa. This research hypothesized that a difference of product involvement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purchasing a product, and will thus produce a difference in the effect it has on the consumer. Considering the result, when a consumer is more involved with the product, the humor appeal in non-prescription drug advertisement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consumer attitude.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ho were less involved with a product had less confidence in it, and were thus cautious in purchasing the produc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research will aid the employment of strategic and differentiated methods in non-prescription drug advertisem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direction for further development. 2012년 11월 15일을 시작으로 편의점 및 슈퍼에서도 일반의약품 구매가 가능하게 되었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의약품 재분류(안) 발표 이후, 의견수렴 및 중앙약사심의위원회를 거쳐 기존 병·의원 처방을 통해서만 구입 가능했던 전문의약품 242개를 일반의약품으로 분류하여 약국 및 일반 편의점, 슈퍼에서 의사 처방전 없이 안전상비의약품을 구입 가능하게 되었다. 그 중 해열제와 감기약, 소화제 등 20개의 일반의약품목의 가정상비약을 편의점에서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소비자들이 일반의약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남에 따라 의약품 구매에 따른 약물 오남용의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의약품에 대한 정보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과거 제약 및 의료 업종 광고는 제품의 성능을 전달해야 하는 카테고리 특성상 메시지요인이 전통적으로 광고에서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 그러나 점차 메시지요인의 비중이 낮아지고 있고, 반대로 감성요인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소비자들의 건강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의약품품의 선택에 있어서는 광고가 큰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소비자는 자신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의약품의 선택에 있어서 의사나 주변인 등의 임상경험 등에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광고에 담겨진 내용, 즉 의약제품의 기능과 효능에 대한 정보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감성적 요인 중 유머소구를 사용한 일반의약품 광고가 제품에 대한 관여도 차이에 따라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앞으로 일반의약품 광고 활동에 있어 작은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는 ‘일반의약품 광고의 유머소구가 관여도에 따라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2012년 우루사 TV광고를 중심으로’이며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범위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설정하였다. 2차 자료 조사는 국내외 학술지, 학위논문, 업계 전문지, 단행본, 웹사이트 등을 통하여 광고 소구 유형 및 관여도의 기본적인 이론부터 일반의약품 광고에 대한 일반적 고찰, 일반의약품 광고의 현황에 관한 연구를 조사하고 정리하였다. 1차 자료 조사 대상은 20대 이상의 성별 및 연령에 상관없이 일반적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먼저 우루사 TV광고를 본 후 설문지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여도의 차이가 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변인이 될 것으로 가정하였고, 이에 따라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품에 대해 고관여로 인식하는 소비자 일수록 일반의약품 광고의 유머소구는 소비자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저관여로 인식하는 소비자는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낮았고, 제품 구매에 있어 조심스러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의약품 광고 활동에 있어 보다 전략적이고 차별화된 방식으로 홍보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발전 방향 수립에 본 연구가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 현대 디지털 미디어에 나타난 여성 복식을 활용한 작품 연구 : 중국 당나라 무협장르를 중심으로

        Li Ailin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Wuxia(무협) is a Chinese popular culture which is unique in the world. In wuxia culture, chivalrous spirit is described and encouraged through major characters such as chivalrous fighters with providing various literary interests in marvelous martial art skills. Wuxia movies, originated from Chinese wuxia culture, are a movie genre which solely China dominates in the global movie market. Wuxia movies represent entertaining factors, graphics technology, and commercial potential of Chinese movies. So, Wuxia has been prevalent for a considerable period in internet games and digital media including various images and videos. Wuxia story is always based on Chinese history where Tang Dynasty was the most active period of cultural exchange among the ancient dynasties in a position of a global leader. A history document says that ‘Tang Dynasty featured splendid culture as well as significant impact on descendants of the dynasty with its strong national power, righteous politics, prosperous economics, and peaceful society.' In the period, many other nations were highly interested in Tang Dynasty, of which culture and technologies accordingly affected the nations through their ambassadors. Economics and culture of Tang Dynasty reached the highest level based on Chinese feudal society. Because of the dynasty’s global impact, today’s Chinese living in foreign countries are called “Tang people”. Tang Dynasty’s complicated and dynamic history as well as broad and various culture exchange are the main reason to provide abundant background for wuxia stories and female garment designs in wuxia genre. Digital media, to propagate social culture, have accelerated cultural exchange and contributed to the shaping of wuxia which reflects Chinese traditional ideas. Digital media have much stronger visual impact than traditional graphic media. Also, models of digital media have broader advertisement range, larger impact, longer duration, reduced marketing cost compared to traditional graphic models. Considering such advantages of digital media,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as an indispensable cultural element. Sinc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can be effectively introduced to the world by means of the digital media, this study aims to analyze female wuxia garment in Tang Dynasty which was described by the modern digital media. Through the analysis, this paper purses to propose new designs inspired by the female garment in Tang Dynasty. Specifically, formative features of female garment in Tang Dynasty are analyzed through investigating garment designs expressed in dramas, movies, and games after 2000. Noticeably, female garment in Tang Dynasty spans various styles and shows splendid and feminine features in silhouette and delicate designs while male garment is confined to only traditional Han Chinese clothing despite its various design types. This study categorized target digital media as Chinese historic dramas, movies, and games where historic people are appeared in background of Tang Dynasty. As a result, a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win of Brothers” and “Datang women, Fan Lihua” in Chinese TV historic drama, “House of Flying Daggers” and “The Assassin” in Chinese movie, and “Legend of the Swordsman” and “Tang unparalleled zero” in Chinese game. Based on the case study, it was analyzed that formative features in Tang dynasty’s traditional garment were considerably reflected to character’s garment created in wuxia genre, especially Uim, Taiim, chest exposure style, short sleeves, tightened waist tie, and female’s wearing male’s garment. By add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leather, metal, and weaving, originally luxurious female garment in Tang Dynasty changed to valiant style in a basis of elegance and tidy. Such designs correspond to modern people’s aesthetic appreciation and reflect designer’s understanding and recreation on traditional Asian aesthetic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In the same aesthetic philosophy, eight pieces of real garment were created and exhibited in the name of “succession” in the course of study.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analyzing female wuxia garment described in Tang Dynasty’s media and sharing Asian aesthetic with the world through a recreation process where the traditional aesthetic is combined with modern fashion designs. To specifically raise the value of Asian aesthetic, novel and creative garment was actually designed in the basis of Tang Dynasty’s garment style and spirit.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n Tang Dynasty’s female garment and enhancing insight on Chinese garment culture. Additionally, development and succession of Chinese garment culture can benefit by this study by offering design inspiration and conception to researchers interested in this area. 무협은 중국인의 세계의 독특한 유행문화이다. 무협문화는 각종 협객과 같은 주요 인물들을 통해, 매우 신기한 무술 스킬을 특징으로 하여, 협객정신을 묘사하고 선양한다. 무협영화는 중국 무협문화에서 태어난 것으로 중국 영화가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영향력을 보유한 영화 장르이며, 동시에 중국 영화의 오락 요소, 시각 표현력 그리고 상업적 가치의 잠재력을 가장 크게 내포한 유형이다. 따라서, 중국에서 무협은 인터넷 게임, 각종 영상 등의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상당한 기간 동안 유행하고 있다. 무협 이야기는 언제나 역사를 배경으로 하며, 중국 역사에서, 당나라는 중국 고대문명의 교류가 가장 활발한 시기였으며, 세계적으로도 앞서 나가는 위치에 있었다.'후세에게는 강대한 국력, 맑고 깨끗한 정치, 번창한 경제와 태평천하의 사회로 깊은 인상을 남길 뿐만 아니라 찬란한 문화도 당나라의 두드러지는 장점이다.' 라는 자료가 있다. 중국의 봉건 사회를 바탕으로 당조의 경제와 문화는 최고봉을 달성했다. 그 영향이 때문에 현재에도 해외에서 살고 있는 중국 사람을 '당인'라고 부르다. 당나라 역사가 비교적 복잡하고 변화가 많으며, 문화 교류 역시 광범위하고 다양하여 무협 소재로써 풍부한 스토리 배경을 제공하고, 또한 무협 장르의 여성 복식에도 풍부한 소재 요소를 제공해 준다. 디지털 미디어는 사회문명의 전파 매체로써, 문화의 교류를 가속화시켰으며 중국 전통 사상을 담는 무협 역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더욱 형상화되었다. 시각적인 충격은 전통 그래픽 미디어가 비교할 수 없으며, 전통 그래픽 모델과 비교해 보면, 디지털 미디어의 모델은 홍보 범위가 넓고, 영향력이 크며, 지속 시간이 길고 마케팅 원가가 더욱 낮은 등의 장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미디어는 갈수록 하나의 필연적 요소로 되고 있다. 또한 중국의 전통 문화는 이러한 운반체를 통해 세계로 진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디지털 미디어에 나타난 당나라 여성 무협 복식을 연구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여성 복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 디자인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2000년 이후 드라마, 영화, 그리고 게임에 나타난 당나라 복식디자인을 통하여 당나라 시대 여성 복식 조형 특성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를 나타난 것은 당나라의 남성 복식은 디자인 양식은 풍부하지만 전통 한복(汉服)을 계속하여 사용했던 반면에 당나라의 여성 복식은 양식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실루엣, 디테일 등이 과거보다 화려하고 여성스러워졌다. 연구 대상으로는 역사적 인물들이 등장하는 중국의 역사 드라마, 영화, 게임 캐릭터로 당나라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중국 TV 역사 드라마 중 <대당쌍용전(大唐双龙传)> <대당여장번리화(大唐女将樊梨花)>,중국 영화에서는 <연인(十面埋伏)><작객섭은낭(刺客聂隐娘)>,그리고 중국게임에서는 <검협정연3(剑侠情缘3)><대당무쌍2(大唐无双2)> 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상의 사례 분석을 통해, 무협 장르의 재창조에서 우임, 대임(对衽), 가슴 노출 스타일, 반팔, 허리를 졸라매기, 남자 옷을 여자가 입기 등과 같은 당나라 전통 복장의 많은 조형 특징이 여전히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 복장에서 가죽, 금속 그리고 직조 재료 등 다른 소재를 추가하여 원래 고급스러운 당나라의 여성 복식의 우아함과 단정함을 기초로 하여 용맹한 기개를 더하였다. 이는 현대인의 심미에 더욱 부합되는 것이며, 또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디자이너가 전통 동양미에 대한 이해와 재창작을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승이라는 실물작품 8벌을 제작하였고 2016년 5월 16일부터 5월 20일까지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에서 전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당나라를 배경으로 이야기중에 나타난 여성 무협 복식을 통해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창작을 통하여 현대 패션디자인과 그 시대의 미를 융합하고 동양적 미를 다시 세계에게 전달하고자 한다. 동양미의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당나라 복식 이미지와 정신을 바탕으로 새롭고 독창적인 의상을 디자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당나라 시대 여성 무협 복식에 대해 분류하고 종합함으로써 해당 측면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일부 자료를 제공하고, 중국 복식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또한 향후 이 영역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디자인 영감과 구상을 제공함으로써 중국 복식 문화를 발전시키고 계승하는 데에도 기여를 하길 바란다.

      • 키치(Kitsch) 문화콘텐츠가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보람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 of reaction on kitsch contents. The study was carried with total of two tests. Specifically STUDY 1,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separate groups where one group was exposed to general cultural contents whereas the other group was exposed to kitsch cultural contents. Having done so, the diffusion of contents information and positive feeling toward contents information of both groups were measured,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need for uniqueness in these direct effects. STUDY 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separate groups where one group was exposed to positive country situation whereas the other group was exposed to negative country situation. Having done so, the positive feeling toward country cultural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country when they see a kitsch contents of both group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analytical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udience have an more affirmative reaction(diffusion of information/positive feeling toward information) on kitsch contents than general contents. Second, Audience's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need for uniqueness plays a moderating role diffusion of information. but we did not fou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feeling toward information between cultural contents types and audience reaction. Third, If the images of the country is negative in advance, kitsch contents is a negative impact on each positive feeling toward country cultural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country. on the contrary if the images of the country is positive in advance, kitsch contents is a positive impact on each positive feeling toward country cultural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country. 연구에서는 우리의 일상에 빠르게 침투하고 문화현상인 키치에 대한 수용자 반응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키치문화콘텐츠의 파급효과를 확인한 다음, 글로벌 문화콘텐츠 전략으로서 키치문화콘텐츠의 수용자 인식이 국가의 문화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방문의도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2번의 실험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문화콘텐츠 유형(일반/키치)에 따른 수용자반응(정보확산의도/정보호감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그 외에 수용자반응의 조절변수로 수용자성향(감각추구성향/독특성욕구)을 고려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사전에 형성된 국가이미지의 호의성 여부에 따라 키치문화콘텐츠에 대한 국가문화이미지 및 방문의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과제 1에서 키치문화콘텐츠는 수용자반응(정보확산의도/정보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화콘텐츠유형과 수용자성향(감각추구성향/독특성욕구)의 조절효과에서, 키치문화콘텐츠와 정보확산의도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반면, 정보호감도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연구과제 2에서는 사전 국가이미지가 나쁠 경우에는 키치문화콘텐츠가 국가문화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전 국가이미지가 좋을 경우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첫째, 키치문화콘텐츠가 일반문화콘텐츠에 비해 파급효과가 크고 정보호감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키치문화콘텐츠의 정보확산의도는 감각추구성향이나 독특성욕구가 높은 수용자에게 크게 작용하지만 정보호감도와는 상호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다른 국가의 키치문화콘텐츠를 접할 때는 사전에 해당 국가에 대한 호의적인 인식이 있을 경우에만 키치문화콘텐츠가 국가문화이미지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고 방문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전에 비호의적인 인식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키치문화콘텐츠가 국가문화이미지 및 방문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

      •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을 위한 상징색채에 관한 연구 및 공간디자인 : 유기농 푸드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혜림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현대사회의 Well-Being이라는 메가 트랜드와 먹거리에 대한 불안전함으로 인해 새로운 식(食)문화의 필요성이 반영된 유기농 푸드 브랜드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건강한 삶이 라이프 스타일의 핵심으로 여겨지면서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게 되고, 건강식품, 친환경 식품, 유기농 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이러한 식품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해 브랜드들과 소비자들의 원활한 이미지 소통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소비자들이 구매결정에 긴 시간과 노력을 들이는 고관여 상품을 구매하는 것에 대한 차별적인 기대치가 있으며 이와 같은 상품을 다루는 브랜드들의 명확한 아이덴티티가 요구되어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 푸드 브랜드들이 이미지를 보여주는 수단으로 색채마케팅을 한다는 점을 고려해 브랜드가 사용하는 상징 색채와 브랜드 아이덴티티(BI)의 적합성 여부를 사례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실제 공간 제안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려 한다. 연구의 진행방법은 유기농 푸드 브랜드의 개념 및 아이덴티티, 상징 색채의 개념, 유기농 푸드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위한 공간구성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선행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색채 팔레트를 구성하였다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IRI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과 배색 이미지 스케일의 대입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의 상징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컬러 팔레트가 적용된 공간디자인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웰빙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유기농전문 매장들이 한국에 경쟁력 있는 사업으로 부상하고 있어 보다 심도 있는 브랜드 이미지 및 아이덴티티 연구가 필요함을 인지할 수 있었다. 둘째. 사례 분석을 통해 유기농 푸드 브랜드들은 자연에서 추출된 색채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분석되었으며 추구하는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연상이 가능한 자연적인, 네추럴함 뿐 아니라 일반적 식료품 매장과의 차별적인 상징색채를 위해 친환경적이면서도 고급스럽고, 세련되며 점잖은 이미지를 부여하여 고객들과 커뮤니케이션 하고 있음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유기농 푸드 브랜드를 위한 공간디자인 색체 제안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일반 브랜드들과는 다르게 좀 더 친환경적인 분위기와 고급스럽고, 세련되며, 점잖은 이미지를 반영하는 채도가 낮은 녹색(Green), 갈색(Brown), 회색(Grey)을 주조색으로 인용한 색채계획을 진행하였다. 향후에는 실제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객관적이고 설득력이 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 뿐 아니라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안의 공간디자인을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 또한 폭넓게 요구되어진다. Riding on the mega-trend of well-being and the anxiety about unsafe food, organic food brands have appeared, signaling the necessity of a new food culture these days. As healthy life is regarded as the core of lifestyle, consumers pay more attention to health and consequently the demands of healthy, environment-friendly and organic foods are rapidly growing. However, it is true that there exists difficulty of communication between such brands and consumers due to the lack of consumers’ awareness of those foods. Consumers tend to spend longer time and more efforts in making a decision and have differential expectation on high-involvement products. Therefore, umbrella brands over these products need establishing clear-cut ident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color marketing is employed for organic food brands to express their brand images, the present paper will carry out a study with success cases where a brand color well matches brand identity (BI) and attempt to make an actual space proposal, which is followed by conclusion.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theoretical review and precedent literature review regarding the concept of organic food brand, symbolic color and space composition for organic food brand identity and conducted case studies to makes suggestion of color palettes. For a deeper analysis, IRI Adjective Image Scales and Coloring Scale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symbolism of brand image and eventually propose spatial design applied with color palet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ores that deal with organic foods are surfacing as business with competitiveness in Korea, reflecting wellbeing trend in consumers and thus it was known that deeper research on brand image and identity are needed. Second, it was found in the case study that organic food brands use natural colors and they pursue environmental, exclusive, sophisticated and gentle images to form color symbolism, which can differentiate one brand from those of general grocery stores as well as natural colors of general associations to nature. Third, a proposal of spatial coloring for organic food brands was made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above. To give more environment-friendly, exclusive, sophisticated and gentle images, such main colors with low chroma as green, brown and grey were included in the proposed color scheme. And it is expected that following studies will be more objective and persuasive when they bring force more specific and practical space design for organic food brands. It will require additional and wider research.

      • 製造物責任에 關한 比較法的 考察

        송준석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31

        과학기술의 고도화와 공업의 발달로 제품의 대량생산·대량소비의 시대가 到來하여 인류에게 편익을 제공함과 동시에 새로운 위험·위해에 노출되는 상황이 되었다. 새로운 경제체제는 果實責任을 원칙으로 하는 기존의 法制에서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로서, 기존법제의 새로운 해석을 통한 해결로는 그 한계가 있어서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한 상황이 되었다. 따라서 급속한 사회의 진전과 결함상품으로 인한 피해문제에 법과 사회가 어떻게 대응하여야 하는가가 세계 각국의 공통적인 중요과제가 되었다. 제조물책임은 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하여 생명·신체 또는 재산상의 손해를 입은 경우, 그 缺陷있는 제조물의 제조자 또는 판매자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지우고자 하는 법리이다. 우리나라는 제조물책임에 관한 연구가 그간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해외 각국의 입법화의 영향을 받아 1999년 12월 제조물책임법이 제정되어, 2002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제조물책임법은 민법의 특별법으로서 8개조문과 부칙 2개조문으로 구성된 민사책임에 관한 법률이다. 우리나라의 제조물책임법은 소비자기대기준을 판단기준으로 하여, 소비자가 기대했던 안전성을 결여함으로 인해 초래된 부당하게 위험한 상태인 缺陷을 책임의 근거로 한다. 불법행위책임의 過失要件이 제조물의 缺陷이라는 객관적 요건으로 전환된 것이다. 책임요건이 과실에서 결함으로 전환됨으로서 제품의 性狀에 기준을 두게 되었고 이는 책임을 보다 객관화시켜 결함제조물로 인한 피해구제의 진일보한 계기를 제공하게 되었다. 모든 법제도가 그렇듯이 제조물책임에 있어서도 소비자와 제조자라는 대립하는 양당사자가 조화될 수 있도록 공평과 정의를 고려한 최선의 제도를 갖추고, 시행하며 개선해 나가야 한다. 따라서 제조물책임법은 결함제조물로 인한 피해자구제를 최우선으로 달성하고, 나아가 제조자와 국가의 경쟁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조화를 이루어 나갈 수 있는 해석론적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先進諸外國들의 製造物責任法理의 比較·考察 및 우리나라 製造物責任法理와의 比較·分析을 통하여 製造物責任法理의 沿革과 槪念, 그리고 그 法的 性質을 살피고, 제조물에 있어서의 缺陷槪念과 그 判斷基準, 缺陷의 立證 등에 관하여 살피며, 아울러 우리나라의 製造物責任法의 解釋論을 포함하여 製造物責任의 主體와 適用對象, 免責事由, 損害賠償의 範圍 등에 대해 考察하고있다. 美國, 프랑스는 기본적으로 製造業者와 供給者를 동일시하고 있어 그 책임은 제조업자나 공급자나 차이가 없다. 이는 제조업자의 無資力危險을 회피할 수 있다는 점에 타당성이 있다. 獨逸, 英國 그리고 EU는 제조물책임을 기본적으로 제조업자에게 인정하고 있으며, 결함제조물의 제조업자 또는 輸入業者를 확정할 수 없을 때에 한하여 공급자에게 제조물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제조물책임은 제조업자가 부담하여야 한다는 기본적인 관점에 입각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EC지침을 중심으로 하는 獨逸의 입법 태도를 따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제조물책임법상 제조물책임은 기본적으로 제조업자가 부담한다. 그러나 그 제조업자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제조물의 공급자가 제조물책임을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제조물책임법의 구체적인 내용은 각국의 산업정책과 소비자보호정책의 우선순위, 法制 또는 法文化上의 차이로 인하여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결함상품으로 인한 소비자의 확대손해를 효과적으로 구제하기 위하여 결함상품을 제조·판매한 기업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기업과 소비자와의 사이에서 발생한 사고에 있어서 사고처리비용을 가장 잘 소화하고 사회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기업에 책임을 집중시키는 것이 사회전체의 효율성달성에 비추어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 대한 기업의 우월적인 지위를 보정·해소하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책임원칙인 果實責任을 무겁게 하고,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果實責任으로부터 이탈하여 적극적으로 嚴格責任을 인정하게 되었다. 製造物責任은 어떠한 경우에도 책임을 면할 수 없는 소위 結課責任이나 絶對責任이 아니라 일정한 免責事由를 인정하는 제한된 無過失責任이다.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첨단기술시대의 到來와 그러한 제품의 量産에 기인하여 인간의 생명·신체 그리고 재산피해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앞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에 봉착할 것이 염려되므로 선진각국의 제조물책임법을 참고하여 우리의 제조물책임법 시행에 따른 문제점에 대비하고 한층 더 심층적인 연구·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제조물책임법리는 그 목적이 기본적으로 소비자보호에 있으며 이와 더불어 기업 등 제조자보호 또한 중요한 과제이므로 양자의 이익이 조화될 수 있도록 법제를 운용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고 필요한 일일 것이다. Product liability is a new type of liability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e old form of civil liability. It is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Therefore liability for contract and liability for tort which are old form of civil liabilities can not succeed in maintaining product liability's solid position. In the case of private law, the civil liability based its foundation on the accidental liability. If he or she behaves himself or herself blamelessly as an average, ordinary and reasonable citizen, his or her free activities will not be subject to any limitations forced by law. Like that, the freedom of personal business activities will be guaranteed, too. But highly advanced scientific technology and expertise, from which modern economy system and structures were born, have made mass-produced goods general industrial process and ordinary life patterns. It was not considered by the old form of civil liabilities. As a result, the market places are filled with machinery facilities, cars, airplane, foods, medicine, etc. And some of them are hazardous and defective. The modern industrialized society has been become characterized by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They are causing a lot of unexpected damages to the consumers. The product liability problem basically deals with issues related to such damages on life, body and property. It provides legal compensations for the damaged party as well as legally charging damaging party. Old form of civil liability can not handle this situation well as this phenomenon was not expected at all in those days. Of course, for the people who have contractual relationships with producers, the problems derived from defective and hazardous goods can be settled by the application of the liability for contract. But, considering current economy system where lots of people take part 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between the producers and the consumers, liability for contract will not be applied frequently. The possibility that there will be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and producer is very low or rare. Applying torts for the person who suffers from defective goods is also not a safeguard for the victims of those goods as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sufferer from defective goods to establish producer's negligence which was plaintiff's responsibility according to conventional principles of torts. In addition, the manufacturers often find that it is very ease to skillfully escape the liability for special misconduct in the liability of torts such as the liability of a supervisor over a person under disability(Article 755 of the Civil Code) or the liability of the possessor of animal(Article 759 of the Civil Code). These liabilities are not adequate to the product liability. To get over these limitations of traditional law's liability and to protect victims of defect goods properly, the legal principles of product liability have continued to be developed through studies and cases for a long time. As a result, the abandonment of contractual privity elements, recognition of implied warranty, Res Ipsa Loquitur for defect and negligence, and alleviation of causation proof have been steadily developed. These have supported tides of modern civilization strongly to protect the consumer and to overcome the traditional principles of civil law and other legal principles. It has become liability for manufacturer of defective products that establish the institutional devices to compensate victimized consumers by the product defect through these developments. And it has been realized through Product Liability Act by many nations, including our country, in these days. Now, the consumer has come to impose liability on the manufacturer by proving damage, defect of product and casual relationship of defect and damage, not manufacturer's negligence through the Product Liability Act. In Korea, study on product liability has been conducted for a long time, more than decades. And at last, The Product Liability Act was enacted in December 1999 by the influence of many legislations around the world. And The Product Liability Act has been enforced from July 2002. The Product Liability Act is composed of total 8 articles. The addenda seem similar to those of Japan and the definition of defect, the core provision of Product Liability Act, is close to that of the America Restatement of Product Liabil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rengthen compensation for the victimized consumers and to support developing systematic devices that our society must realize in near future in order to enforce The Product Liability Act properly and to compensate victims in social account. In the thesis, each country's product liability including the U.S.A, Germany, France, Japan, other EU nations and our country has been studied. The early forms of liability regulation for manufactured goods were examined in the view of the contract-tort dichotomy an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roduct liability law. Liability without negligence which is mainly related to strict liability and danger liability has been acknowledged on the part of manufacturer with regard to the damage caused by defective goods. Regarding proof reduction, the proof liability to the damage derived from defective goods would have to be placed on the part of victims. But technical things had to be helped by consumer associations or national agencies. As a result, the victim of defective goods could more easily prove what he or she needs to prove in order to be compensated. The meaning and subject of the product liability have been classified as design defect, manufacturing defect, and defect in warning and notice. The basic principles for establishing the product liability which are the result of comparative method of study on foreign laws and the product liability of our country have been provided.

      • 멀티미디어 콘텐츠 라이선스 계약에 관한 연구

        주소연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한국의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 창작물을 세계 시장에 안정적이고 합법적으로 유통시키기 위한 라이선서의 입장과 해외 콘텐츠를 도입 활용하여 개발하고자 하는 국내 개발자인 라이선시, 양 당사자들의 입장을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의 활발한 이용을 위한 저작권 국제 라이선스 계약과 계약유형, 실사, 협상전략, 계약에 내포된 저작권과 각종 지적재산권관련 라이선스 계약 쟁점, 손해배상 책임, 계약위반에 대한 방어 등의 실질적인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멀티미디어 환경과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과정, 유통시장에 따른 다양한 경로의 지적재산권 침해에 따른 법적보호와 범위, 저작권의 이용 한계를 분명히 하고 그 문제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원소스 멀티유즈 특성으로 인해 저작권 소유자나 각 작품의 적절한 라이선서로부터 이용 허락을 받을 경우, 각 작품에 포함되어 있는 퍼블리시티권, 저작권, 상표권과 더불어 저작물 이용허락의 주체, 저작재산권, 저작인격권, 저작인접권, 캐릭터권, 머천다이징 권리 등의 침해문제와 이용료의 지급 및 그 배분 등에 대한 문제점 등 보호되고 있는 모든 권리와 요소를 찾아 이용 가능한 허락을 받아야 하는 법적요소에 포커스를 맞추었다. 결론적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라이선스 계약이 수익 창출뿐만 아니라, 신상품의 시장진입 수단이나 새로운 지역에서 시장을 개척하는 수단으로도 사용 될 수도 있으며, 잠재적 침해자를 권리자편으로 끌어들이는, 즉 잠재적 침해자를 이용권자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통해서도 얻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저작권과 다수 저작재산권의 복잡한 문제의 궁극적 목적이 이익의 분배에 있고, 합법적인 경로와 체계만이 공정한 분배를 보장한다는데 있으며, 따라서 저작권 이용관계는 저작권법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관련된 합법적인 시장의 활성화만이 콘텐츠의 지속적인 발굴과 활용의 발전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지적재산권 보호를 통한 저작물 창작자와 이용자의 상호이익증진을 추구하는 국제적 수준의 저작권 거래를 위한 노력을 촉구하고, 융·복합형 콘텐츠 개발에 대한 법적 보호와 미디어 및 산업전반에 빠르게 확산되어 가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육성방안 및 제작기술 혁신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ultimedia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and the legal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and scope based on the distribution markets and consider the problems by looking at the practical aspects for active use of digital contents for multimedia copyright international licensing agreement and contract types, due diligence, negotiation strategy, copyright and other intellectual property license agreement issues contained in contracts, liability, breach of contract defense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both parties, the licensor who is to distribute various South Korea’s multimedia content creation stably and legitimately to the world market, and the licensee who is to develop multimedia contents using the contents from abroad. Due to the nature of the One Source Multi Use multimedia conten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legal elements which to be permitted by the copy right owner or the appropriate licensor of each piece such as the right of publicity, copyright, trademarks and intellectual property of the subject, work license, moral right, neighboring right, right of character. Consequently, revenue-generating Multimedia content license agreement can be used as well as Means of market entry of new products or new markets in the region and to carve and bringing for potential infringers to the owners. In other words, with the potential to transform the infringer using the owner can be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The ultimate goal of the copyright and a number of complex issue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intended the distribution of the profits and only legitimate paths and system guarantee a fair distribution. Thus, it confirms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use of copyright is not only copyright issues but also the activation of related the legitimate market is the only way to achieve continued content discovery and utiliz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promoting the effort to urge the international level copyright trade that promotes the mutual benefit of creators and users through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under the Multimedia environment and stimulating legal protection 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type contents and stable and systematic measures to promote technological innovation of digital contents which quickly spread throughout the media and industry in general. Key words : Copyright, Intellectual Property Right, Multimedia, Digital Contents, International License Agreement, Licensee, Licensor, Convergence Media, One Source Multi Use, Negotiating Tips, Moral Right, Neighboring Right, Trademark Right, Right of Character, Right of Publicity, Royalty, Derivative work, Merchandising.

      • 미술작가 프리미엄이 미술품 판매여부와 판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최단비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문화예술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미술시장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 과거 화랑과 경매를 통해 미술품을 거래하던 방식에서 새로운 아트페어 미술시장이 등장함에 따라 미술품 거래는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선행된 미술시장연구는 경매자료에 국한되어 있으며 아트페어에 관한 통계분석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작가 참여방식 아트페어 마니프를 중심으로 작가의 프리미엄이 미술품 판매여부와 판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상위권대학은 아트페어 마니프에서 미술품 판매와 판매가격 모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따라서 출신대학은 작가 프리미엄으로 작용했다. 둘째, 아트페어에 연속출품 한 작가 중 미술품이 미술은행에 소장되어 있는 경우 판매가격에서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셋째, 아트페어에 연속출품 한 작가 중 작가의 출신대학이 상위권일 경우 판매가격에서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다음과 같은 결과로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했다. 먼저 기존 미술품에만 집중된 연구를 미술작가 프리미엄 연구로 확대시켰다. 다음으로 아트페어에 관한 통계적 연구는 현재 전무한 실정이었으므로 아트페어 데이터를 통한 연구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신진작가 프리미엄 요인을 밝혀 작가의 발전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rtist’s premium increases the price of artworks and its possibility to sales by using Art Market data base. Artist’s premium was categorized as whether artist’s artwork included Korean Art Bank or not, artist’s education level, college of graduation and consecutive submitting Art Market. Also we investigated interaction between consecutive submission and other premium. As a result, we found that artist’s Korean Art Bank career, education level and consecutive submission do not have effects on either sales possibility or art price. But artist’s college of gradua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both sales possibility and art price. Artist’s college of graduation was measured by college’s fine art level. In interaction case, there are some interactions between consecutive submission and artist’s Korean Art Bank career, consecutive submission and artist’s college of graduation on art price only. These results imply that artist’s Korean Art Bank career, educational level, consecutive submitting Art Market do not impact on artist’s premium. While college level has effect on artist’s premium. Also art price of artists who submitting Art Market consecutively is very high when their artwork was included in Korean Art Bank and they graduated a high level college.

      • 독서매체이용성이 독서매체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새롬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Books have been a media for the longest time as it is the very first media to be created. After the year 1455 when Gutenberg has printed the bible in Mainz, typography being valued as a revolution in reading based on printed papers, printed matter has developed as an independent province for the individuals who possessed reading. But in the 1990’s when internet has penetrated deeply into our lives, circumstances to read contents without paper have been arranged. February 2011, based on Association of American Publishers(AAP) the sales of electronic books has over pass the sales of paper books for the very first time and a world famous futurist Nicholas Negroponte, professor of MIT media lab, has predicted that “Paper books are dead.” At this present point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existence of both paper books and electronic books. Therefore I have taken notice on the use of reading media by the readers to study whether the preference on paper books and electronic books effect on the use of reading media. As for the use of reading media the following factors has been deduced. Readability, Ease of Use, Familiarity, Flow possibility and Possession. The subject was decided on finding the effect on the preference of reading by the usability of reading media. The first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y hand out surveys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be precise on the test of hypothesis. The probes were conducted from 4th of May 2012 until the12th of May 2012. Intotal of 200 surveys being collected and 3 invalid surveys were left out,197surveys have been used for the research.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ver12.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of all, the reading media has changed along with the change of information media an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which was able to fuse with Information Technology (IT). Also a trend in the contents of the media and the severe being combined was also shown. These matters are not much different in the case of publication. In the media environment, digital technology has made e-communication a routine and made interactive communication possible as the wall cracked between the supplier and the offerer of information. Even the change in role can be the biggest distinction of the era of paper books and electronic books. Though it is not much different in the aspect of essentialness where the value of knowledge is intended or whether having conservatory and creating culture. Secondly, the result on analyzing the use of reading media in preference to the reading media, it has verified that in paper books were preferred the most in the use of reading media. Considering it had a high marks in familiarity in precedent thesis,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internet and smart phone, it can be analogized that electronic books are changing into a more familiar media feeling less difficulties in using it. Therefore it doesn’t show much difference in the convenience of its use compared to paper books. Last of all, the result on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n the preference of the reading media depended on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the reading media shows two factors, mobility and possession, gives a posi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on paper books but gives a nega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on electronic books. On the other hand in efficiency it showed positive (+) effect on the preference on electronic books and a negative (-) effect on the preference on paper books. Therefore to those readers who prefer paper books show importance in the factor of mobility and possession whereas for those who prefer electronic books show importance in the factor of convenience. Through this study, it has partially confirmed that the preference of the reading media effects the use of reading media. Domestic market of electronic books is in its beginning stage and in a stage where nationwide schools are attempting to use electronic schoolbooks by the year 2015,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suggesting is very important. Following the flow of time and its changes, I hope this study will do much to help on the existence and development on paper books and electronic books. 책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미디어인 동시에 가장 최초의 미디어이다. 1455년경 구텐베르크가 마인츠에서 성경을 인쇄, 출간한 이래로 인쇄술은 독서혁명으로 평가 될 만큼 종이를 기반으로 한 인쇄물은 독서를 향유하는 독자(讀者)들에게 독자적(獨自的)인 영역을 유지하며 발전해 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인터넷이 생활 깊숙이 들어오면서 종이 없이도 컨텐츠를 읽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이 되었다. 독서가 광의의 개념으로 무엇인가를 읽는 행위라고 볼 때 우리는 학교와 직장을 오가면서 틈틈이 남는 휴식시간을 이용해 쉽게 스마트폰을 이용해 신문을 읽거나 웹 검색을 하여 지식을 습득하고 만화나 웹툰을 보고 읽으면서 오락적인 즐거움을 얻기도 하기 때문이다. 2011년 2월 미국출판협회(AAP)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전자책의 판매량이 종이책을 처음으로 넘어섰으며 세계적인 미래학자 니컬러스 네그로폰테 MIT 미디어랩 교수는"종이책은 죽었다"라고 예언하기도 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시점에서 종이책과 전자책의 존립에 대하여 고민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책’이 활자를 담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면 그 기능을 가장 편리하고 충실하게 수행 해줄 매체를 소비하는 것이 당연하나 인터넷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소설이나 카툰 등이 종이책으로 인쇄되어 출판되기도 하고 전자책은 종이책의 질감이나 책 넘기는 소리, 느낌, 책장까지 그대로 재현하려 하는 것을 볼 때 독자에게 ‘책’은 활자를 담아 전달하는 도구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는 독자가 독서매체를 이용하는 이용성에 대하여 주목하여 독서매체이용성이 종이책과 전자책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가를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독서매체이용성에 대해서는 가독성, 이용 편리성, 친숙성, 몰입 가능성, 소장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독서매체이용성이 독서매체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주제를 정하였으며, 1차 자료 조사는 설문지를 통한 서베이조사를 하였으며 대상은 종이책과 전자책을 둘 다 자주 이용할 수 있는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이들 매체를 모두 수용하는 사람을 대학생이라고 규정하고 신촌 인근 4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선정, 이들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가설 검증을 명확히 하기 위해 표본 추출 시 유층 표본추출법과 단순 무작위 표본 추출법을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2년 5월 4일부터 5월 12일 사이에 수행하였으며, 설문지는 각 대학교에 50부씩 총 200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하지 않은 3부를 제외하고 197부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독서 매체는 정보매체의 변천과정에 따라 변화하여 왔으며 기술의 발전에 따라 IT(Information Technology)의 융합이 실현되고 매체의 콘텐츠와 서버가 통합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출판의 경우도 다르지 않다. 미디어 환경 속에서 디지털 기술은 전자커뮤니케이션을 일상화로 만들었고 인터랙티브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면서 정보의 공급자와 제공자의 벽은 허물어 졌고 그 역할도 달라진 것이 종이책시대와 전자책 시대의 가장 큰 차별점이라고 할 수 있으나 본질적인 면에서 지식가치 지향적이라던가 보존성이 있고 문화창조를 한다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다. 둘째, 독서매체이용성에 대하여 선호하는 독서매체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독서매체이용성에서 종이책을 선호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선행논문에서 종이책이 친숙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던 것을 고려하면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일반화로 인하여 전자책 역시 점 점 친숙한 매체로 변해간다고 유추해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질감이 낮아 이용편리성에서 역시 종이책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생각 된다. 또한 독자성향에 따라서 독서매체이용성에 대하여 선호하는 독서매체가 다를 것인가에 대해서도 자기중심가치 추구형은 가독성, 이용 편리성, 친숙성, 몰입 가능성, 소장에 대하여 종이책의 선호를 보였으며, 자기중심가치 추구 성향이 낮은 집단과 비교하여 몰입가능성과 소장요인는 종이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최신트렌드 추구형은 소장, 가독성, 몰입 가능성에서 종이책을 선호한다고 응답하였으나, 최신트렌드 추구 성향이 낮은 집단과 비교하면 모든 요인에서 전자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어 최신트렌드 추구형이 독서매체이용성에 대하여 선호하는 독서매체에 대한 선호가 뚜렷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독서매체이용성 중요도에 따라 선호하는 독서매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가독성과 소장요인에 따라서는 종이책 선호에 양의(+)영향을 미치지만 전자책 선호에 대하여 음(-)의 영향을 미치며 이용편리성에 따라서는 전자책 선호에 양의(+)영향을 미치며 종이책 선호에 대하여 음(-)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종이책을 선호하는 독자들에게는 독서매체 선호에 있어 가장 뚜렷이 중요시 되는 독서매체이용성은 가독성과 소장요인이며 전자책을 선호하는 독자들에게 가장 뚜렷이 중요시 되는 독서매체이용성은 이용편리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독서매체이용성에 대하여 독서매체 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있음을 부분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국내 전자책 출판시장이 초기에 머무르고 있고 2015년 전국 모든 학교의 전자교과서의 상용화를 시도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가 시사하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시대적 흐름과 변화에 맞춰 종이책과 전자책의 존립과 발전 있어 본 연구가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 21세기초 패션에 나타난 Body Deformation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데페이즈망 기법을 중심으로

        강현숙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the socially confused stage at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people depend on artistic imagination for obtaining the spiritual world's comfort by transcending actualities and awareness. Based on it, before and after the First World War, there was surrealism which rejects the existed artistic style, is not bounded to tradition, expresses the world of artists' inner dream and unconsciousness freely and finds spiritual comfort in there. The society at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showed similar points with 1930's surrealism which intends to innovate existed values and reorganize conceptualized realities. The surrealism was pursued by complicated characteristics combined by human simplicity and multiplexity as a method to escape from illogical and sensational thinking system. Realistic reenacting method of surrealism thought causes the confirmation of various artistic areas because of the effects of cutting-edge technology in daily life. Fashion and artists' collaboration show the surrealism caused by artistic and consumption cultural code at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is reenacted in the fashion simultaneously. The surrealism was show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xpansion and exaggeration, imprisonment and suppression, openness and circulation and inversion and paradox, based on the theories of painting works and French theorists variously. At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the surrealism expresses conceptual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with several styles, so draws variety and peculiarity of fashion with new and radical sense by breaking from the existed unified fashion. In other words, the fashion of new and radical sense was drawn by applying various materials as objet and drawing the change to structural form of fashion after breaking from the existed concept of clothing style resolu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creative clothing design by body's objet focused by modern people's concerns by applying Depaysement, among the various methods of surrealism expressing in the fashion at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It's significant to break from the existed concept of fashion with Depaysement resolutely, suggest problems through the clothing at the fundamental level such as body and society, cultural identity, ideology's reflection and expression, etc. and reenact the clothing with metaphorical reenacting by new combination. For the study on the trend of art, reflected by Depaysement, from 1920s proposed by surrealism to 1930s vitalized by it was observed and based on it, example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works of fashion designers of Body deformation, through the Depaysement magnified from 1980s. For the fashion, distinctive expression style of Body Deformation applying Depaysement are divided as followed. The first, the intention defining human by applying exaggeration and distortion of Depaysement reflecting in modern fashion was expressed. Body size expressed twofold appearance and realistic absence of human character through the exaggerative metaphor and it showed the illusion of material civilization spreaded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clothing. The second, among the Depaysement of Body Deformation, it showed the packing characteristic of modern people with imprisonment and suppression. By compressing the body, it bound the frame of ideal body. It suppressed the gender and expressed the messages of unification, imprisonment and limitation through the clothing. The third, openness and circulation suggest uncertainty of clothing type through the irregular and atypical arrangement breaking from the existed structural method and creative method. By ignoring the body form, it found new image of body through the sense of dissolution and by expressing the structure of body with the metho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ed clothing-manufacturing methods, the possibility of new design was suggested. The forth, the existed clothing was dissolved and reorganized and formativeness of Depaysement was expressed by reversal and paradox. It expressed the situation breaking from the stereotype, becoming uncertain the boundary between disappearance and appearance and using the sexual identity mixed. And it is dissolved and recombined through the Body Deformation and expresses reversal and paradox. By obtaining the aspiration from the formativeness and expressing style of Body Deformation applying the Depaysement, it is recreated with modern clothing under the subjective standpoint and 8 women clothing which has particular aesthetic characteristics were manufactured. Through the creative works, it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ody Deformation applying the Depaysement made the traditional beauty insignificant, gender and style were liberated by the form and beauty of amorphousness was created. It makes the situation that each factors which are divided and excluded one another are not in harmony as a new trial of beauty and expresses experimental and shocking dissolved style. It created peculiar fashion with genre's collapse and various styles' coexistence because of the cultural diversity and expressed humorous beauty feeling amusement through the fashion. In addition, by breaking from the cultural obsession, the decentration tendency expressing natural individual peculiarity was show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new beauty of Body Deformation with Depaysement. So it was an opportunity to verifying the significant of human identity and body meaning in diversified modern society newly. In addition, the role of clothing was expanded as a body space drawn by body discussion including social judging message. 20세기 초 사회적 혼란기에 사람들은 현실과 의식을 초월하여 정신세계의 위안을 얻기 위해 예술적 상상력에 의지하게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기존의 예술 양식을 부정하며 전통에 얽매이지 않고 작가 내면의 꿈과 무의식의 세계를 자유로이 표현하여 그 안에서 심적 위안을 찾는 초현실주의가 대두되었다. 21세기 초 사회는 기존 가치의 혁신과 개념화된 현실을 재구성하려는 1930년대의 초현실주의와 유사한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의 단순성과 다중성이 혼합된 복잡한 특성을 비논리적이고 감각적인 사고체계의 탈출 방안으로 초현실주의를 추구하게 되었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첨단 기술의 영향으로 초현실적 사고의 현실적 재현 방법이 다양한 예술적 영역의 확정을 초래하였다. 패션과 예술가들의 콜라보레이션은 21세기 초 예술과 소비문화 코드에서 비롯된 초현실주의가 패션에서도 동시에 재현됨을 보여주고 있다. 초현실주의는 회화작품과 프랑스의 사상가들의 이론을 토대로 확대와 과장, 구속과 억압, 개방과 유동 그리고 반전과 역설적 특성으로 다양하게 났다. 21세기 초 초현실주의는 이념과 조형적 특성을 여러 가지 양식으로 표현하여 기존의 획일화된 패션에서 탈피하여 새롭고 전위적인 감각으로 패션의 다양화와 개성화를 가져왔다. 즉, 기존 복식의 형태개념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다양한 사물들을 오브제로 활용하여 패션의 구조적인 형태에 변형을 가져다줌으로써 새롭고 전위적인 감각의 패션을 유추해 내었다. 본 연구는 21세기 초 패션에 표현되는 초현실주의의 다양한 기법 중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하여 현대인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신체의 오브제화를 통해 독창적인 의상 디자인을 창작하는데 목적이 있다. 데페이즈망 기법으로 기존 패션 개념에서 과감히 탈피하고 의상을 통해 신체와 사회, 문화적 정체성, 이데올로기의 반영과 표출 등과 같은 근본적인 차원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의상을 새로운 결합에 의한 은유적 재현으로 보는데 의의가 있다. 데페이즈망 기법이 반영된 예술사조의 연구를 위해 초현실주의가 대두된 1920년대부터 활성화 된 1930년대까지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1980년대부터 부각된 데페이즈망 기법을 통한 Body Deformation의 패션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패션에 있어서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한 Body Deformation의 특징적 표현 양식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첫째, 현대 패션에 반영된 데페이즈망 기법의 과장과 왜곡을 활용하여 인간을 규정하는 의도를 표현하였다. 신체 사이즈를 과장적 은유를 통해 인간상의 이중적 모습과 실질적인 부재를 표현하였으며 이는 현대사회에 만연한 물질문명의 허상을 의상을 통해 표현한 것이다. 둘째, Body Deformation의 데페이즈망 기법 중 구속과 억압으로 현대인의 포장성을 나타냈다. 신체를 압축시켜 이상적인 신체 틀 안에 얽매이게 하였는데 이는 성을 억압시키며 획일화, 구속과 제한이라는 메시지를 의상을 통해 표현한 것이다. 셋째, 개방과 유동은 기존의 구성 방식과 착장 방식에서 벗어난 불규칙, 비정형적인 배열을 통해 의상 형태의 불확실성을 제시한 것이다. 신체의 형태를 무시하고 해체감각을 통해 인체의 새로운 이미지를 발견하였으며 기존의 의상 제작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인체구성을 표현하여 새로운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반전과 역설을 통해 기존의 의복을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데페이즈망 기법의 조형성을 표현하였다. 이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가려짐과 드러남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성 정체성이 혼용되는 것을 Body Deformation을 통해 해체하고 재결합하여 반전과 역설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한 Body Deformation의 조형성과 표현양식에서 영감을 얻어 주관적 관점에서 현대의상으로 재창조하여 독특한 미적 특성을 가진 8점의 여성복을 제작하였다. 독창적인 작품을 통하여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한 Body Deformation의 특성이 전통미를 무의미하게 만들고 성과 스타일을 형식으로부터 해방시켜 무정형의 미를 창조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새로운 미의 시도로 서로 분리되거나 배척하여 통일되지 않는 각 요소가 부조화한 상황을 만들어 실험적이고 충격적인 해체적 양식을 표현한 것이다. 이는 문화의 다원화로 인한 장르의 붕괴와 다양한 양식의 공존으로 개성적 패션을 창조하였으며 패션을 통해 유희를 느끼는 해학적 미도 표하였다. 뿐만 아니라 문화적 강박관념을 탈피하여 자연스러운 개개인의 개성을 표현한 탈 중심적 성향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Body Deformation을 데페이즈망 기법으로 새로운 미를 제시하고자 하여 다원화된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정체성과 신체의 의미를 새롭게 검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의상이 사회적 비판 메시지를 담고 있는 신체 담론들이 도출된 신체공간으로서의 역할이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지하공간을 활용한 문화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 홍익대학교 캠퍼스 지하공간을 활용한 뮤직 창작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한채원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구와 기능이 도시로 집중화되며 도시는 대규모로 커지고 이러한 급격한 도시의 발달로 제한된 국토로 가용토지의 부족 및 지가폭등 등의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 새로운 공간 자원으로 주목받는 지하공간을 활용 토지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 안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심 내 인구문제와 지형적인 제한 그에 의해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서 지하공간의 다양한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디자인 유형 제안에 관한 연구로 지하공간 계획 시 고려할 디자인 요소를 제안하고 합리적인 기능을 갖춘 실내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지하공간의 활용 형태 및 방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지하공간의 개념 및 시대적 활용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합리적인 지하공간 계획 방향을 제안하였고, 도심 내 지하공간을 활용한 국내외 지하시설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공간은 경제적, 기술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을 위한 생활기반시설인 여러 가지 목적으로 발전해왔다. 지하공간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지하공간에 대한 배경지식을 연구하는 개념으로 지하공간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물리적,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였다. 지하공간의 특성을 바탕으로 용도에 따른 분류를 정리해보았으며, 앞으로 현 시대에서 지하공간의 개발의 필요성과 효용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지하시설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지하공간 계획 시 고려해야할 필요요소를 도출하고 디자인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도출된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국내외 2000년 이후 설립된 지하공간을 활용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셋째, 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계획대상지에 적용시킨다. 먼저 계획의 배경 및 목적 그리고 개발의 타당성에 대해서 언급한다. 그리고 계획 대지의 현황분석과 주변 대지의 지리적, 문화적 특성을 분석한다. 이에 따른 결과를 통해 지하공간의 이점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지하공간 문화시설로서의 디자인 유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대안의 제시에 국한된 한계점을 지니고 있어 향후 지하시설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분석이 더욱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이론적 근거를 통한 지하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제안을 기대하는 바이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he population and function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cities, and the cities have increased in size,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se cities has led to various problems such as a shortage of available land and the spike of land prices. As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the use of underground spac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space resource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limitations of l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sign type to activate the various utilization of underground space by taking advantage of underground space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s caused by the population problem in the inner city and the problems caused by the geographical limitation. And focus on interior space design with reasonable function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underground space and utilization trends of underground space through a review of underground space utilization method and suggest a reasonable direction of underground space planning and analyze cases of underground facilities in and around the city. The progres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underground space has been developed for various purposes as a living infrastructure for people as it develops economically and technically.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various uses of underground space, we studied the historical process of underground space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a concept to study background knowledge of underground spa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ground space,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has been summarized and the necessity and utility of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in the present era was discussed. Secondly, we analyze the limit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derive necessary factors to consider in underground space planning and summarize design elements. Based on the derived design factors, we analyzed cases using underground space established since 2000. Third, it is applied to plan site based on the above contents. First, we talk about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plan and the feasibility of development. We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lanned land and analyze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land. As a result, the design type as a reasonable underground space culture facility was suggested according to the topography and location in the urban area. This study has limitations limited to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alternatives, so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will be studied more continuously and the new proposal for the activation of the underground space through the theoretical basis will be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