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수연령가정하에서 탈퇴모형간의 일반 전환 공식에 관한 연구

        배수기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소수연령가정하에서 탈퇴모형간의 일반 전환 공식에 관한 연구 배 수 기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수학과 (지도교수 이 춘 호) 본 논문은 소수연령가정하에서 절대탈퇴모형과 다중탈퇴모형 사이의 일반적인 탈퇴율 전환 공식을 유도하고, 소수연령가정하에서 실제로 데이터를 계산하여 기존 가정의 결과들과 비교하고 차이점에 대하여 연구, 분석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다중탈퇴율 계산의 필요성과 탈퇴 시점에 대한 기본 가정들을 소개한다. 또한 논문을 위한 선행 연구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2장에서는 보험수리학적 개념 및 용어등을 정의하고 소수연령독립가정, 소수연령가정등을 소개한다. 특히 탈퇴율 계산에 필요한 생존율과 사력등의 공식을 유도해 본다. 3장에서는 다중탈퇴모형과 절대탈퇴모형의 정의와 기본 성질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리만-스틸체스 적분을 이용한 확률 표현에 대하여 연구한다. 4장에서는 소수연령가정하에서 절대탈퇴율로부터 다중탈퇴율로 전환하는 공식을 일반화하는 연구를 한다. 또한 연 기준의 전환 공식을 분기 또는 월 기준으로 변환해 본다. 5장에서는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사력과 탈퇴율등을 계산한 뒤 알려진 기존의 결과와 비교하고 차이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전소연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사회적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사회적 지지,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사회적지지가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어떠한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지역에 위치한 A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43명으로, 성별에 따라 남자 126명, 여자 217명이며, 학년에 따라 2학년 98명, 3학년 145명, 4학년 100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Cronbach’s α, t-test, F-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학년)에 따라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사회적 지지,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애착, 모-애착이 여자보다 남자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년에 따라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사회적 지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며, 진로성숙도는 4학년이 2,3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만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 부-애착, 모-애착,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에게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제3자 보관 수사자료의 효과적인 수집방안 연구 : 전자정보의 압수·수색을 중심으로

        박봉균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Data 3 Act’ was revised in 2020. The three data laws refer to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PIPA’), and the Credit Information Act. This revision was enacted to reflect social requests following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special recommenda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s 4th Industrial Revolution Special Committee. As a result of the revision, a legal basis for combining data was provided, and pseudonymous information could be used without the individual’s consent if de-identification measures were taken for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big data. In an effort to innovate regulations to revitalize the data economy, legal systems that overlap or are similar to the PIPA were established. In other word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bligation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stipulated in Chapter 4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were unified into Chapter 6 of the PIPA, and special provision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were provid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As a resul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important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eople always belong to social groups, and social groups have behavioral norms that members must adhere to. The universal essence of crime is violation of behavioral norms. However, in modern life, mobile phones and the Internet have become so difficult to live without even for a single day. Crimes are also committed using the advantages of this civilization, and most criminal investigations are solved through these methods. This is because most of the information used in crimes is communicated through these devices. Currently, the collection of investigation data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is mainly carried out through electronic information seizure and search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Meanwhile, the laws on the basis of electronic information seizure and search are being revised, and new laws are being steadily enacted. The police established investigation rules for 2021 and specified precautions such as methods of seizing and searching electronic information, hash value confirmation, and guaranteeing participation rights stipulated in Article 219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addition, the revised Criminal Procedure Act in 2022 required a copy of the warrant to be issued when executing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in order to substantially guarantee the suspect’s right to defense, and the Criminal Procedure Electronic Documents Act was enacted to require ‘electronic warrants’ in criminal justice procedures from 2024. The system is scheduled to be implemented. Meanwhile, 2023.2.3. The Supreme Court announced the draft for partial r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Rules (Public Notice No. 2023-37), introduced a seizure and search pre-interrogation system, and specified in the warrant the execution plan, including information storage media where electronic information is stored, search words to be used for analysis, and search target period. The main point is what needs to be done. Looking at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legislative notice, ① the introduction of an arbitrary means of face-to-face hearing by judges (newly established in Article 58-2 of the bill), ② the strengthening of participation rights, including the right to express opinions, when participating in the execution of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by suspects, etc. (Articles 60, 62, and 62 of the bill) Article 110), ③ strengthening participation rights such as introducing a system for interrogation of parties before issuing a seizure and search warrant, stipulating information as subject to seizure and search (newly established in Article 60, Paragraph 5 of the bill), ④ requesting a seizure and search warrant for electronic information The execution plan has been added to the items listed (newly established in Article 107, Paragraph 1, Item 2-2). The prosecution immediately objected to this.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said, “if the facts and contents of the request for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requested at the initial stage of a criminal investigation to protect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re made public in advance and interrogation procedures are conducted for those involved in the case, secret actions such as leakage of investigation secrets and destruction of evidence will occur.” “It will be a serious obstacle to quick and strict response to crime, including delays in investigation,” he said. In addition, the Korean Bar Association submitted a written opinion on the bill and opposed it for the same reasons,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also recognized the seriousness and actively opposed it. Accordingly, the Supreme Court has recently been considering a plan to take a step back and reduce the number of subjects, conscious of the severe opposition from related organizations. As such, issues surrounding seizure and search are of utmost interest to criminal justice-related agencies as well as those involved in criminal cases. However, in reality,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structural peculiarities of seizure and search of electronic information stored by third parties, and theories such as seizure and search of suspects are applied without filtering. In addition, the Supreme Court is making rulings that keep some distance from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nd corresponding legislation. In 2017, the Supreme Court denied the admissibility of emails as evidence, saying that in the execution of a seizure and search warrant to obtain content information of emails processed by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 seizure list was not issued and the original copy of the seizure and search warrant was not presented. In addition, in 2019, the investigative agency sent an account tracing warrant to a financial institution by facsimile transmission and denied the evidence of the account transaction details obtained. The Supreme Court’s ruling caused great confusion in the field of criminal investigation. In the meantime, the investigative agency sent a warrant by facsimile transmission without visiting the target company and received the results of the seizure and search by email, omitting the process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defense according to the seizure and search. This practice was common in the pre-hospital investigation stage or in the early stages of the investigation. However, this ruling put the brakes on practices in the field, and the Supreme Court’s position has not changed to date, deepening the gap between the court’s ruling and the field, and continuing confusion in practice. In previous studies, several papers have been published on the topic of seizure and search of information stored by third parties. These studies attempted to solve problems in the field by changing the method of executing warrants. In other words, they advocated adding a facsimile transmission method to warrant execution, introducing an electronic warrant system, or imposing a duty of cooperation in warrant execution. There has also been legislative research on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kept by third parties in criminal investigations. Although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party who stores the information and the suspect, the current legislative system proposes an integrated legal system for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dures without considering the third party. In particular, these studies proposed court permission to expand the warrant doctrine regarding procedural guarantees of basic rights. Court permission is warrant-based in that identity is guaranteed and it is reviewed by a neutral judge. However, the court’s permission is not interpreted as a basis for granting compulsory seizure authority, but rather as a means of demonstrating authority to receive information. Therefore, if there is a suspicion of a crime and the cooperation of the other party cannot be expected, the warrant principle based on coercion is applied. However, if there is no suspicion of a crime, a duty of cooperation can be imposed on a third party with the permission of the court. However, if a third party fails to fulfill its obligations even with the permission of the court, coercive power can be exercised by issuing a warrant rather than imposing fines. In conclusion, compulsory disposition based on the warrant principle is not appropriate for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stored by a third party, so the court’s permission is followed, and information on subjects of investigation such as suspects or witnesses is subject to the warrant principle, and the warrant principle is dualized. Currently,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are complex and encrypted, so when information is stored on a third-party server such as cloud or Internet service, it is difficult for investigative agencies to conduct an investigation without the cooperation of the third party. For these practical reasons, when confiscating digital evidence stored by a third party, the investigative agency effectively requires the third party to actively cooperate with the investigative agency beyond the obligation to confiscate it. However, this reality has the problem of violating warrantism,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so it is advocated that the Criminal Procedure Act stipulate a ‘duty of cooperation’ where a third party cooperates in the execution of a warrant by an investigative agency, and impose sanctions in case of non-compliance. Currently, the acquisition procedures for third-party stored information are regulated in a number of special laws, so the legislative system is sporadic. Therefore, there are problems such as confusion in legal application, limitations in guaranteeing the right to defense, and insufficient typification and inclusion of information.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it was proposed to enact the tentative name ‘Act on Procedures and Methods for Requesting Information Provision in Criminal Investigations’ as an integrated legal system for the acquisition procedures of third-party stored information. In addition, third-party stored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real-time execution and content: ① usage information, ② real-time usage information, ③ content information, and ④ real-time content information. They advocated the introduction of a ‘court permission system’ that would comprehensively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warrant principle as a procedure.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information subject owns personal information, a third party stores personal information, and investigative agencies confiscate electronic information to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i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electron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Supreme Court precedent and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defense in criminal proceedings are presented as theoretical grounds, and the court’s prior control (warrant review) and post-control (trial procedures) in the case of confiscation of electronic information are guaranteed. As this is insufficient, in addition, it was argued that ‘intermediate level control’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the parties’ right to participate, warrant appeals (objection to the judgment on the issuance of a seizure warrant), and quasi-appeals. The police are striving to strengthen digital forensics (electromagnetic wave recording analysis technology and crime proof procedure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ng crimes, and to thoroughly collect objective evidence through appropriate procedures.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mobile phones are widely used and misused in various crimes, and it is essential to analyze electromagnetic records stor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investigations. Additionally, under the jury system, objective evidence must be thoroughly collected so that judges, who are not experts in law and technology, can form accurate evidence. The police are strengthening digital forensics by cooperating with related agencies to analyze and evidence electromagnetic records that are easy to delete or forge through appropriate procedures. In order to prove information needed for criminal investigation stored in electronic devices, etc., it is essential to extract information from electronic devices, convert it into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by humans, such as documents and images, and analyze electromagnetic records. To do so,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extract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from damaged electronic devices or extract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hidden by encryption are required. In addition, because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devices is remarkable and new devices are appearing one after another,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collect and utilize the latest technology and information. Electronic data is acquired and recorded through recognition rather than transfer of possession,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not exercising coercive force on a third party to collect data. Therefore, compared to the seizure warrant targeting physical objects, the introduction of an ‘information search warrant’ or ‘information submission order’ that targets data or information and is issued after review by a judge was advocated. As seen earlier, research on investigative information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warrants and seizures and searches. Therefore, other than the application of the warrant principle and the right to participation to guarantee the right to defense, no interest was shown regarding the confiscated persons and confiscated items. In other words, although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s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that process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subject, it is viewed as a third party that stores the personal items, and by emphasizing the form of evidence, electronic information is viewed as the same concept as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if seizure and search and warrant principle are strictly applied to investigative information collecti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nder the Constitution will be thoroughly guaranteed, and it remains in the abstract concept of ‘seizure and search = warrant principle = human rights guarantee’. Therefore, this study starts from an awareness of the practical difficulties and academic limitations related to investigative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s. In this study, I seek to explore the legal statu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from the perspective of a reference in a criminal investigation and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or, and approach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moral rights. Through this, I looked into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eizure and search as a method of collecting investigative information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and the limitations of warrants as a prior control method, and developed an investigative information collection plan based on the theory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ideology of substantive truth. I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to guarantee the right to defense from the perspective of guaranteeing the content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oday’s highly developed information society,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s accumulated in countries and companies. Personal information exchanged without your knowledge may be used to your disadvantage. Therefore, I came to believe that the right to know what type of self-information is being collected and the right to intervene to prevent it from being used unfairly (the right to control one’s information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regarding inform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privacy rights. Previous research believed that thi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r the right to privacy should be guaranteed as a basic individual right while deriving it from the Constitution. Furthermore, the data subject is understood as the exclusive right holder of electronic information, such as the owner,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is viewed as a third party rather than a suspect. According to this,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is merely a custodian who stores the electronic information entrusted by the information subject (regardless of whether it is personal information or not). The basis for this understanding appears to be the result of applying the theory of confiscation of information storage media kept by the suspect to the investigative agency’s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In this way, if the theory of seizure of storage media stored by suspects is appli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s without filtering,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subject to legal protection will be expanded indefinitely, and the data subject will be accompanied by a lawyer in electronic information seizure and search at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s workplace. It can be interpreted as being appointed to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basic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rights and obligations that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s have with respect to personal information, and consider the concept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electronic information by combining them with seizure and search and digital forensics theories. Previous research proposed methods for collecting information stored by a third party without the consent of the information subject: ① seizure and search, ② imposing a third party’s obligation to cooperate in seizure and search, and ③ an information submission order system by investigative agencies. However, search and seizure is carried out by investigative agencies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destruction of evidence, but there is a problem with using coercive power against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s who are not suspected of a crime. In addition, if investigative agencies are granted the right to order submission of information, in a situation where ample discretion is already recogniz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investigation, the power to order beyond the actual act has a high risk of abuse, and the power to order is not suitable for judicial review. There is a risk that judicial review may become irrelev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ethods other than seizure or order as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s for investigative agencies.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it is natural to apply the warrant principle to the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tored by a third party in order to guarante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said that the court’s permission has the same effect as a warrant and does not simply exercise coercive power. However, the constitutional warrant principle and the legal confiscation system are either equated with each other or the concepts are used interchangeably, so the seizure is based on a warrant and an obligation is imposed on the other party. For example, investigative agencies sometimes understand the court appendix attached to a seizure warrant as a matter of legal practice. In addition, a seizure warrant is issued that lists the other party’s cooperation in addition to essential information such as the seized items and seizure location, and active cooperation in executing the warrant on the spot is reques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nature of warra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 of application and review. This study focuses on the collection of investigative data by investigative agencies. However, the collection of investigative data does not stop at theoretical justification or legality studies. This is becaus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actical difficulties I felt while guarding the crime investigation scene for 30 years. Investigation data is of high value in the field as objective data for the investigative agency to set the direction of investigation or decide whether to initiate an investigation in the pre-booking investigation stage. However, even if a public corporation is requested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Article 199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t is often rejected due to the huge wall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o there is no choice but to use the confiscation procedure. Basically, conducting a search and seizure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Seizure warrants are issued through courts and prosecutors, but manpower and time c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by not confiscating investigation data on intelligence agents on the spot.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of the ‘seizure without seizure’ phenomenon that occurs due to the absence of laws and lack of theory, and to provide a clue to the effective collection of investigative data. This issue is consistent with whether the legal relationship applicable when an investigative agency confiscates storage media owned, possessed, or stored by a suspect can be inferred and appli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If analogy can be applied, it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In other words, the information subject holds ownership of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has the right to use, profit, and dispose of personal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has management obligations and the right to claim costs within the scope of entrustment under a private contract with the information subject. In addition, personal information is an object of ownership and transaction separate from the person, and the information subject has absolute rights based on ownership. So, “Can information be confiscated?” The problem is believed to have been resolved to some extent by the academic debate sparked by the revision of Article 106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2011. However, does this argument apply to situations where electronic information owned, possessed, and stored by a suspect is confiscated, and can it also be applied to situations wher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by a third party is confiscated? It is a problem. Currently, investigative agencies do not directly confiscate electronic information stored by third parties. In other words, the investigative agency does not visit the third party’s workplace, but sends the seizure warrant to the third party by fax or email. Then, its employees check the copy of the seizure warrant, extract the investigation data from the server, and fax it back to the investigative agency. I send it by email. At this time, the employee creates a hash value on his own and sends it to the investigative agency. When electronic warrants are officially implemented in the near future, the legal problems of sending warrants by fax or email for execution will be resolved. However, the fact that investigative agencies confiscate investigation data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it remains unchanged. Therefore, even if the investigative agency sent it to a third party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warrant, can it be evaluated that the legal problem has been resolved in the seizure procedure without the investigative agency even being present at the scene? If an investigative agency can legally delegate the seizure to a third-party employee, should the employee who actually carried out the seizure generate the hash value? There is a problem.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directly operate or lease servers for information processing. However, even if an investigative agency wants to extract information stored on the server by issuing various types of warrants such as seizure warrants, search warrants, and verification warrants,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execute the warrants without active cooperation from affiliated employees due to technical issues such as password settings. Therefore, in preparation for these practical problems and legal problems that may arise, a warrant containing the employee’s encryption statement or decryption act can be issued and presented. If the employee passively refuses, can the employee be forced to take ac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warrant? Or, even if it is a warrant without a description, can it be enforced on the grounds of collateral dispos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In Chapter 2, I examine the basis and derivation process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is a constitutional issue in situations where the state collects personal information, and obtain implications regarding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held by third parties. ① Systems regarding investigative procedures, ②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③ the systems of Japa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 were reviewed overall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protection for special information.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principles of protection and limitation of personal rights, the concept and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legal status of information business operators, I considered whether personal information could be the subject of ownership and transaction. Finally, by distinguishing criminal evidence from national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and classifying criminal evidence in digital form into ① investigation data, ② electronic information, and ③ digital evidenc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riminal procedure,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held by a third party is classified as criminal procedure. I considered that the level of percep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ge of progress. Chapter 3 compares and examines the principles of general freedom of action and restrictions on physical freedom under the Constitution, and explains that the act of an investigative agency requesting a third party to provide information restricts the general freedom of action of the third party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it was examined that the execution of a seizure warrant could potentially infringe on the physical freedom of a third party employee (personal information handler). In addition, I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vestigation compared to a trial and the factual nature of the investigation, and considered that an investigation that does not involve coercion but restricts basic rights can be evaluated as a coercive investigation. Next, I looked at the problems with the laws and recent precedents regarding the collection and seizure of third-party electronic information, and considered that even if the electronic warrant system was implemented, problems with the execution of seizure warrants still remained unresolved. Lastly, as an overseas case, the issue of data copying through remote access in response to cybercrime was examined in light of Japanese precedents. In Chapter 4, as an overseas case, the acquisition of cloud data by investigative agencies i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① submission orders (seizure of record orders) and ② cross-border access, and trends in Japanese precedents related to infringement of national sovereignty and violation of warrant principles. and academic discussions were reviewed. Next, I compared the warrant issued by a judge and the court’s permission, and considered that the confusion that arises in the seizure of third-party electronic information can be resolved through legalism rather than warrantism. Lastly, among the legal principles regarding national information collection through third parties in the United States, I examine the Third Party Doctrine, led by Dr. Orin S. Kerr, and the debate on the degree of privacy protection surrounding electronic surveillance, the applicability of these theories to Korea was considered. Chapter 5 summarizes the research and proposes a revision to Article 199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ich newly establishes information providers, requests for provision, and court permission.

      • 대학도서관에서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이미지와 감성평가 연구 : H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함유진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인간은 신체의 감각을 통해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는데, 로버트 뮈르(Robert Muir)는 인간의 신체 감각기관 중 83%가 시각을 통해 외부정보를 획득한다고 주장한바 있어, 인간의 다섯 가지 감각기관(오감) 중 시각이라는 요소는 환경을 지각하는 핵심적인 인간의 수용기관이며, 오감 중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특징적인 지각체계이다. 시각을 통해 공간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감성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시각은 환경을 수용하는 인간의 핵심적인 수용기관으로 주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개되어 나가야 할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인간은 주변 환경의 요소와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며 이로부터 시지각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시퀀스(sequence)의 연구로 이어지게 된다. 대학도서관은 일반 공공도서관이나 다른 도서관과는 다르게 특정 대학교에 소속되어 있어 대학생이나 교수, 교직원을 대상으로 하며, 그 도서관이 속한 대학의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도서관 자료를 수집, 정리, 보존하여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최근 대학도서관에서는 이용자 중심(서비스 중심)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시스템의 변화가 생겨남에 따라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우선, 디지털 기기와 IT시설의 증가로 인한 멀티미디어 공간, 열람공간의 확대와 개인학습공간인 캐럴, 그룹 스터디룸의 확대로 학습공간 영역이 넓어졌으며, 전시공간, 영화감상공간 등의 복합문화기능 수행공간, 커뮤니케이션이나 휴게공간(북카페, 라운지, 실내․야외테라스 등)이 확대되고 있어 다양한 동선체계(흐름)가 형성되기 마련이다. 동시에 공간을 이루고 있는 벽, 천장, 바닥, 가구 등 환경적 요소에 대한 색채 또한 중요한 영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용자도 교수, 대학생, 교직원에 국한하지 않고, 그 밖의 지역주민들까지 포함하여 이용자층도 확대되고 있다. 이렇듯 대학도서관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 대학도서관들 또한 신축이나 리모델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대학도서관은 과거의 열람 및 보존기능과 현재의 복합문화기능 중심에서의 도서관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있으며, 감성적 측면의 접근 또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감성연구 측면에서 대학도서관에서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공간의 색채이미지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의 중요성과 최근 도서관에서의 소요공간의 다변화와 구조 및 동선체계의 다양화 양상을 고려해 볼 때 공간디자인의 계획에 있어 본 연구의 목적을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지금까지 실내공간의 색채이미지연구가 부분적·특정적인 공간의 환경적 요인인 벽, 천장, 바닥, 가구 등 각각의 환경적 요소에 색 변화를 주어 어떤 이미지평가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H대학교의 도서관을 사례로 공간의 연속성을 기능에 따라 도입부, 전개부, 결말부로 나누고, 공간의 전체적·통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그 일차적 목적이다. 둘째, 인간의 감각기관 중 시각을 이용하여 공간의 환경에 따른 색채이미지를 발견하고 인식하는 과정에서 인간에게 어떠한 심리적 자극과 결합이 되어 나타나는 반응에 대하여 연구하며, 감성연구에 새로운 방법과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구의 범위와 분석 방법을 세부적인 연구의 진행체계에 따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시각적 연속성과 감성연구의 이론고찰을 통해 시지각의 개념 및 특성과 시각적 연속성 공간의 특성과 공간 환경의 감성이론, 감성연구방법론에 대해 고찰하며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한다. 또한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감성평가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선행연구를 근간으로 구체적인 조사방법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대학도서관의 공간특성과 색채이미지의 특성 중 환경적 측면에서의 이미지에 대하여 고찰한 후 실험대상공간인 H대학교 도서관공간의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평가모형을 통하여 공간의 색채분석이 이루어진다. 또한 환경적 측면에서의 색채이미지평가를 실행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진행된 공간의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이미지를 평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학적 검증을 실행한다. 실험의 기준을 설정한 뒤 추출된 감성어휘로 감성평가를 시행하며 SD법을 이용하여 피실험자의 감성 차이를 비교하고, 설문데이터를 통계프로그램(SPSS 18.0)을 이용하여 타당성 검증을 실시한다. 연구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신뢰도 검증, 각 대상지별 지점에서의 요인을 그룹화하기 위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감성실험에 대한 통계학적 검증과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대학도서관 공간의 통합적 색채이미지연구를 감성평가를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환경심리학 관점인 인지적 이미지가 공간(환경)의 색이나 질감, 형태로 접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감정반응이 인간의 행동(반응, 감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간의 색채이미지가 인간의 감성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대상 공간의 색채이미지평가를 실시해본 결과 도입부의 로비에서는 YR계열과 G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strong)’가 많고, ‘dk(dark)’가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통합서비스센터도 마찬가지로 YR계열과 G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p(pale)’가 많이 나타나며 ‘lt(light)’가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책숲길에서는 GY계열과 YR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b(brigh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s(strong)’의 계열이 적게 분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개부의 서고에서는 YR계열과 G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p(pale)’가 많이 나타나며 ‘s(strong)’가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열람실에서는 PB, B계열과 GY,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p(pale)’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dk(dark)’가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정보검색·과제수행코너에서는 B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p(pale)’, ‘dkg(Dark grayish)’의 계열이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스터디룸에서는 B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dkg(Dark grayish)’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p(pale)’의 계열이 적게 분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말부 북카페에서는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많이 나타나며 ‘p(pale)’가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실내테라스에서는 R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p(pale)’가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야외테라스에서는 G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p(pale)’의 계열이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무대에서는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b(bright)’의 계열이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전시실에서는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p(pale)’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dk(dark)’의 계열이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메모리얼 홀에서는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ltg(Light grayish)’, ‘g(grayish)’, ‘dkg(Dark grayish)’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lt(light)’의 계열이 적게 분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대상지에서의 색채이미지 감성어휘 평가를 실시해본 결과, 로비에서는 ‘따뜻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볍다’는 낮게 나타났다. 인포데스크에서는 ‘조용하다’가 가장 높고, ‘화려하다’가 가장 낮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고에서는 ‘조용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화려하다’는 낮게 나타났다. 열람실에서는 ‘차분하다’가 높고, ‘가볍다’, ‘산뜻하다’가 낮으며, 정보검색코너에서는 ‘따뜻하다’가 높고, ‘단순하다’는 낮게 나타났다. 스터디룸에서는 ‘차분하다’, ‘시원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따뜻하다’는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북카페에서는 ‘화려하다’는 높고, ‘단순하다’는 낮게 나타났다. 실내테라스에서는 ‘따뜻하다’가 높고, ‘조용하다’가 낮으며, 야외테라스에서는 ‘시원하다’가 높게 나타났고, ‘화려하다’가 낮게 나타났다. 무대에서는 ‘따뜻하다’가 높고, ‘화려하다’가 낮고, 전시실에서는 ‘시원하다’가 높고, ‘가볍다’, ‘산뜻하다’는 낮으며, 메모리얼 홀에서는 ‘화려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볍다’, ‘단순하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공간에서의 색채이미지와 감성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인지적 이미지, 감정적 이미지와 감성어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감성을 통해 공간의 색채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문적으로 체계화,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중국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가치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런쓰위안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중국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자기가치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중국 대학생의 자기가치감, 회복탄력성, 주관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중국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가치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중국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를 위해 중국 랴오닝(辽宁)성, 광동(广东)성, 장시(陕西)성, 장쑤(江 苏)성, 길림(吉林)성 5개 성의 4년제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방식(애정적 양육방식, 거부적 양육방식, 과보호적 양육방식), 자기가치감, 회복탄력성, 주관적 행복감 척도에 대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해 최종적으로 대학생 422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구조방정식 분석은 SPSS 26.0과 Mplus 8.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방식,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방식, 자기가치감, 회복탄력성이 중국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방식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가치감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방식이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영향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가치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회복탄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주관적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중국 대학생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가치감,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국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대학은 어떻게 하면 자기가치감과 회복탄력성를 높일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매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풍부히 하였다는 연구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ill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yle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analyze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self-wort and resilience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reas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maternal parenting style, self-wort and resilience of Chinese college students affect their subjective well-being? Secondly, does the sense of self-wort play an mediating role in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ing style on subjective well-being? Third, Does resilience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influence of the maternal parenting style on subjective well-being in Chinese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aking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Liaoning, Guangdong, Shanxi, Jiangsu and Jil n provinces in China as the research objects, this paper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n maternal parenting style (emotional warmth parenting style, rejection parenting style and over protection parenting style), self-wort ,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finally analyzed the materials of 422 college student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rograms SPSS26.0 and Mplus8.2.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maternal emotional warmth parenting style, maternal rejection parenting style, self-wort , and resilience have a direct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otional warmth parent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self-wort has an intermediation effect. This means that maternal emotional warmth parenting style can not only directly affect subjective well-being, but also indirectly through a sense of self-worth. Third,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This means that maternal parenting style can directly not only affect subjective well-being, but also indirectly through resilience. This study confirmed that feelings of self-wort and resilience have media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t may be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diversified social support, but also how to improve the sense of self-wort and resilience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his study enriches the mechanistic study of maternal parenting style on subjective well-being, which has certain research significance.

      • THE PSYCHOLOGICAL BASES OF LLIBERAL-CONSERVATIVE: FOCUSED ON TESTING A DUAL PROCESS MODEL

        볼레메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진보- 보수의 심리적 토대: 이중 과정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최근 한국에는 10여 년 간의 진보 정권 이후에 보수정권이 출범하여 진보와 보수 간의 갈등을 겪고 있다. 특히 지나간 10여 년 간을 잃어버린 세월로 간주하고 정치적, 사회적 개혁을 시도하는 보수 정권에 맞서 전직 대통령의 자살을 계기로 진보진영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정치적 진보-보수의 갈등에 대한 심리학적인 연구는 일천한 상태에 있다. 한국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들도 진보와 보수는 단일 차원 상의 양극이라기보다는 이원론 내지는 분야별 진보와 보수가 상이한 입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더구나 진보와 보수의 지형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자주 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미국 등 다른 나라에서도 진보와 보수는 고정된 개념이 아니며, 시간과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그리하여 정치적 진보-보수주의에 대응하는 심리적 진보-보수주의에 대한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정형화된 진보-보수의 특징을 찾기보다는 내재되어 있는 안정된 심리적 특징을 찾으려는 시도들이 이어져 왔다. 편견, 자민족 중심주의, 집단 간 적대감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접근 방법으로 진행되어왔다. 하나는 집단 현상으로서 편견과 자민족 중심주의를 보고 집단 간 역동과 집단 간 과정으로 설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편견을 개인적인 현상으로 보고, 집단 간에서 자민족 중심적 태도를 가지려는 경향성에서의 개인차로 설명하려는 것이었다. 어느 한 외집단이나 소수집단에 대하여 비호의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다른 집단에 대해서도 비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기 쉽다는 편견의 일반화는 개인의 성격이나 신념과 같은 안정된 속성들을 가정하는 것인데, 경험적으로 권위주의적 성격 차원으로 우익 권위주의(Right Wing Authoritarianism: RWA) 척도로 전통주의, 권위적 공격성, 권위적 복종 등의 세 가지를 포함하는 것과 집단 간 관계에서의 일반적 태도 지향으로서, 평등한 관계나 위계적 관계 중 어느 하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자신의 집단이 다른 집단 보다 상위에 군림하기를 바라는 정도인 사회적 지배 지향성(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DO)로 측정되어왔다. RWA와 SDO는 정치적, 이념적, 집단 간 현상을 폭넓게 설명해 왔으며, 국수주의적 자민족 중심주의와 일반화된 편견을 잘 예언해 왔지만, 이들 두 척도들은 비교적 서로 독립적이거나 상호간에 낮은 상관만을 보여, 이들 두 척도들은 상이한 두 가지 종류의 권위주의적 성격을 재는 것이라고 여겨져 왔다. 그런데, RWA 척도나 그 이전의 F scale에 들어 있는 문항들에는 성격 특성과 행동은 포함되지 않고, 광의의 이념적 성질의 사회적 태도와 신념을 담은 것이란 비판을 받아왔고, SDO 척도도 사회적 태도와 신념을 담은 것으로, 이 척도도 안정적인 신념을 재는 것으로 나왔다. 그렇다면, RWA와 SDO 척도는 모두 성격 보다는 사회적 태도이거나 이념적 신념을 재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적당하다. 이는 사회정치적 태도와 사회문화적 가치의 구조가 대략 하나는 RWA와 다른 하나는 SDO에 대응되는 직교적 구조라고 볼 수 있다. RWA와 유사한 차원은 한 쪽 극단은 사회적 보수주의, 전통주의, 또는 집단주의를 다른 극단은 개인적 자유, 개방성, 또는 개인주의라고 부를 수 있다. SDO와 유사한 차원은 한 극단은 경제적 보수주의, 불평등과 권력 거리에 대한 생각을, 다른 극단은 사회복지, 사회적 배려, 평등주의, 보편주의, 또는 인본주의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척도들을 써서 사회정치적 태도와 사회적 가치의 구조를 밝혀왔지만, 이념적이고 집단 간 현상을 예언하는 데는 RWA와 SDO 척도가 가장 강하고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RWA와 SDO가 사회적 이념적 태도와 가치를 재는데 더 적절하다면, 편견을 일으키는 성격 차원은 무엇인지는 밝혀지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일반화된 편견과 RWA와 SDO의 두 이념적 차원을 연결하는 심리적 구조를 찾으려는 연구들이 나오게 되었다. 심리인류학자들에 의하여 사회관에 대한 이론적 구성개념이 모색되었고, 사회적 세계관과 성격이 합쳐져서 이념적 태도와 일반화된 편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보이는 모형을 검증한 결과, 개인의 사회적 가치와 태도는 동기적 목표도식(motivational goal schemas)라고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고, 이 도식은 특정한 사회 도식이 활성화되거나 사회적 현실을 지각하면 개인에게 명료해진다는 것이다. 개인에 중요한 동기적 목표는 그들에게 아주 접근 가능한 사회적 도식으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제안되어왔다. 각 개인의 세계관은 그들의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지만, 그들의 성격이나, 일반화된 행동 소인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그리하여, 개인들이 사회적 현실을 해석하는 데에도 성격이 영향을 준다. 개인의 성격은 세계관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개인의 동기적 목표에 영향을 줄 뿐아니라, 개인들에게 명료해지는 동기적 목표에도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다. 개인에게 시간적으로 명료하거나 중요한 동기 목표들은 그들의 사회적 태도와 가치로 직접 나타나 개인이나 문화적 집단에 동기적 목표로서 중요한 것으로 직접 표현되는 것이 사회문화적 가치이다. 이러한 개념적 틀은 두 차원들이 대립적인 동기적 목표들의 짝인 RWA와 SDO라는 사회적 태도 차원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 높은 RWA는 위험하고 위협적인 세계관이 활성화되면 사회적 통제와 안전이라는 동기적 목표, 낮은 RWA는 정반대의 동기 목표인 안전하고, 안정된 세계관이 활성화된 개인적 자유와 자율로서 나타난다. 소인적 성격 차원은 사회적 동조 대 자율이다. 사회적 동조 소인이 높을수록, 기존의 사회 질서에서의 위협을 빨리 지각하고 사회적 세계를 위험하고 위협적인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 사회적 동조가 높으면, 사회적 통제, 안전, 개인에게 명료한 안정의 동기적 목표를 만들어 직접 권위주의적 태도에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에, SDO는 완고함 (toughmindedness) 과 부드러움 (tendermindedness) 의성격차원들과연결된다.완고한격은 이 세상을 강자만 살고 약자는 죽는 무자비한 경쟁적 정글로 보고, 권력, 지배, 남들보다 우월한 동기적 목표를 활성화시켜, 높은 SDO를 보이게 된다. 반면에 부드러운 성격은 사람들이 서로 배려하고, 협동하는 세계로 보아, 이타적 사회적 배려라는 동기목표가 명료해지고, 낮은 SDO로 나타난다. 위에서와 같은 논리에 따라 성격, 세계관, 이념적 태도, 그리고 자민족 중심주의 간의 인과모형을 상정할 수 있다. 이 모형에서는 RWA와 SDO라는 두 이념적 태도 차원들은 각각 대응되는 성격과 세계관으로 결정되리라고 보는 것이다. 나아가, 두 성격 차원, 두 세계관 차원, 그리고 두 이념적 태도 차원 들 간에도 인과 관계를 상정한다. 우선, 완고함은 사회적으로 일탈되고,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보다 사회적으로 동조적인 사람은 완고한 정도가 덜 할 것이다. 완고하거나 경쟁적 세계관에서의 높은 반응 보인 사람들은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전통적이지 않으므로 사회적 동조로부터 완고함으로의 인과 경로를 그릴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세계를 무지비한 경쟁적 정글로 본다면, 불가피하게 세상을 위험하고 위협적으로 볼 것이다. 반대로 사회적 세계를 경쟁적으로 본다 해도 위험하거나 위협적으로 보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경쟁적 세계관에서 위험한 세상으로 화살표를 그릴 수 있으나 그 반대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단일한 좌(낮은 RWA와 낮은 SDO) 대 우(높은 RWA와 높은 SDO) 차원 상 정치가 조직화된, 적어도 보다 이념적인 사회에서는 RWA와 SDO가 서로 정적, 상호적, 인과적 영향을 가져, RWA와 SDO에서의 인지적 일관성의 압력을 받는다. RWA과 SDO간 상관은 미국보다 유럽이나 뉴질랜드보다 높게 나왔는데 이는 이들 나라에서의 강한 노조 운동으로 더 큰 이념적 정치조직이 형성된 때문이고, 젊은 층보다 나이 든 층에서 더 강한 상관이 나온 것은 사춘기 이후에나 정치적인 사회화가 일어난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렇게, RWA와 SDO 상호간의 강도는 특정한 사회정치적 맥락에서 어떤 이념이 더 지배적이냐에 달렸다. 권위주의-보수주의가 일찍이 사회화되고 더 강화되었다면, RWA와 SDO의 이념적 일관성 압력은 RWA가 SDO로의 영향이 그 반대보다 더 강하게 된다. 따라서, RWA와 SDO 사이의 영향의 방향과 존재는 그 사회에서 어떤 이념적인 정치가 지배적인지의 맥락에 따른다. 이 논문에서는 위에서 상정한 인과모형이 내외 집단에 대한 태도에서 RWA와 SDO가 모두 친 내 집단적이고 반 외집단적인 태도를 증가시킨 것처럼 특정한 태도대상에 대한 예언도 가능한지를 검증하려고 하였다. 즉, 북한에 대한 태도, 부자에 대한 태도, 그리고 기업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RWA와 SDO가 예언하는 방향과 그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응답자들의 인구학적인 변인들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통하여 어떤 예언을 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사회적 동조가 RWA와 위험한 세상에는 정적 상관을, 완곡함과는 부적 상관을, 완고함은 경쟁적 세계관과 정적 상관을, 경쟁적 세게관은 다시 SDO와 위험한 세상과 정적 상관을, RWA와 SDO는 각기 외집단에 대한 태도와 내집단에 대한 태도에 상관을 주고, RWA와 SDO 사이에는 특정 사회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서 방향성이 결정되리라고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경로들을 확인하되, 한국의 이념적 지향성이 강화된 점에서 RWA로부터 SDO로의 경로 예언을 하였다. 아울러 특정한 내외집단보다는 대 북한에 대한 태도, 기업인에 대한 태도, 그리고 부자에 대한 태도 등에 대한 상관에 주목하여, 정치적, 경제적, 전통적 분야에서의 상이한 보수주의와 집보주의가 연결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RWA는 전통이나 사회적 보수주의와 강한 상관을 보이는데 비하여, SDO는 경제적 보수주의나 불평등과 간한 상관을 보이는지도 관심이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499명의 응답자들에게, 순종하는, 변덕스러운 등 사회적 동조성을 묻는 14개 문항, 냉정한, 완고한 등 완고성을 재는 23개 문항, 위험한 세상을 지각하는 정도인 “요즘 우리 사회는 점점 더 위험하고 무질서하게 변하고 있다” 등 5개 문항, 경쟁적 세계관을 읽는 “자신의 목표를 위해서라면 냉혹한 방법이라도 쓸 필요가 있다” 등 20개 문항, “ 여성들은 사회적 관습과 과거 전통적 여성관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 RWA를 재는 16개 문항, “과정보다는 결과가 중요하다” 등 SDO를 재는 6개 문항, 북한에 대한 태도를 재는 8개 문항, 부자에 대한 태도를 재는 8개 문항, 기업인에 대한 태도를 묻는 8개 문항, 라이프스타일을 재는 12개 문항, 그리고, 국가보안법과 FTA 등 진보와 보수가 극명하게 갈리는 사회적 이슈를 재는 5개 문항을 포함한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아울러 응답자들은 자신의 성별, 경제적 수준, 교육적 수준, 건강 수준, 직업과 건강, 자신이 지각한 진보-보수의 위치 등을 포함한 인구학적 문항에도 응답하게 하였다. 분석 결과, RWA 척도에서는 .83의 신뢰도 계수를 SDO 척도에서는 .74의 신뢰도 계수를 얻었으며, 사회적 이슈를 묻는 척도 중 북한에 대한 척도는 .75, 부자에 대한 척도는 .85, 기업가에 대한 척도는 .85, 라이프스타일 척도는 .85로 나왔고, 동조 문항은 .65, 완고성 문항은 .92, 위험한 세계관은 .83, 경쟁적 세계관은 .80을 얻었다. 사회적 이슈에 관련한 분석에서 RWA와 SDO 간에는 약하지만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여 상호 인과적인 영향을 준 것을 보였다. RWA는 북한, 기업인, 부자에 대한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SDO는 RWA보다 더 높은 상관으로 북한, 기업인, 그리고 부자에 대한 연결을 나타냈다. 응답자 중 행복하다고 지각한 사람들이 부자와 기업인에 대하여 더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사회적 보수주의와 RWA 그리고 경제적 보수주의와 SDO가 특히 높은 관련을 갖는 것으로 나왔다. 예상대로 사회적 동조성이 높은 사람들일수록 완고성은 덜한 것으로 나왔는데, 사회적 동조가 높을수록 SDO 보다는 RWA를 더 보이는 경향을 보였다. 동조성이 높은 응답자들은 기업가들과는 낮은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완고성이 높은 사람들은 RWA와는 약한 부적 상관을 보이고, 경쟁적 세계관과는 높은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동조성에서처럼 완고성은 SDO와는 아무런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완고성과 경쟁적 세계관 사이에는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경쟁적 세계관을 가질수록 더 높은 SDO를 보였으나, 경쟁적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보이는 RWA와는 낮은 상관을 보였다. RWA와 SDO가 높은 남성과 달리 여성들은 외국 영화나 외국 음식에 대한 선호가 더 높았다. 부자, 기업인, 사회질서의 유지, 전통적 가치의 중시 등 보수적인 성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았다. 보수성은 연령이 더 높을수록 더 지지되었는데, 젊은 층에서의 비종교성, 외국 문물 선호가 두드러졌다. 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보-보수의 경향성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경제적 수준이 높은 응답자일수록 부자, 기업인, 외국 문물에 대한 선호가 두드러졌으나, 예상과 달리 경제적 수준이 높은 응답자들이 덜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다. 결혼 여부도 영향을 주었는데, 기혼자들이 RWA, 사회적 동조, 사회질서 유지를 더 강조하였고, 미혼자들은 경쟁적 세계관, 외국문물 선호, 비종교성을 더 강조하였다. 교육 수준이 낮은 응답자들일수록 외국 문물에 대한 선호, 문신을 지지하였고, 더 경쟁적 세계관을 갖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낮은 교육 수준은 진보적인 성향으로 연결되었다. 자신을 진보-보수 중 어디로 정향화 하는지도 흥미로운 결과를 내었다. 보수적으로 자리매김을 한 응답자들은 더 RWA, SDO를 선호하였고, 기업가, 사회질서 유지, 노부모 봉양, 전통적 문화의 유지에 관심을 보였다. 보수적인 응답자들은 또, 국가 보안법, 미국의 한반도 정책을 지지하였고, 반대로 진보적인 응답자들은 반문화적 가치를 더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구조방정식 검증 결과, 사회적 동조와 RWA를 제외한 모든 경로들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동조와 위험한 세계 모두 RWA와 SDO에 모두 유의한 경로를 보였으나, 사회적 동조와 위험한 세계관 사이에는 유의한 경로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동조는 완고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경쟁적 세계관은 위험한 세계관과 유의한 정적 경로로 나타났다. RWA-SDO 사이에는 약한 정적 경로로 나왔지만 각각 북한, 기업가, 부자와는 유의한 경로로 추정되었다. 북한과 관련하여 SDO가 직접적인 정적인 경로를 유지하였으나, RWA는 그렇지 못하였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구조방정식의 결과는 GFI, AGFI, NFI, CFI, RMSEA 등 적합도 지표상 모두 용납될 수 있는 수준을 넘는 것으로 나왔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Duckitt(2002)의 모형과 약간 다르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선행 모형을 지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차이를 보인 것은 선행 연구들이 미국, 뉴질랜드 등 개인주의적 문화권을 주로 다룬데 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집단주의적 문화권을 다뤄 RWA와 SDO간에 약하지만 정적인 상관을 얻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외집단에 대한 편견 대신에 북한, 기업인, 부자 등 사회 계층을 다루어 성격 변인과 진보-보수의 지향성을 탐색한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선행 연구들이 제시한 경제적 수준, 교육적 수준, 남녀의 성별, 종교 유무 등이 진보-보수의 차이를 가져 온 상황적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RWA, SDO, 경쟁적 세계관, 사회적 동조성 등의 개념을 재기 위하여 제한된 측정치를 한국 실정에 맞는지 사전에 검증하지 못한 점이 제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경쟁적 세계관을 잰 문항 중 가장 높은 부하를 보인 문항들이 타인에 대한 냉소적인 점을 부각시킨 것인데, 이것이 SDO와의 낮은 관련을 가져왔을 수도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이 진보-보수의 심리적 기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원되기는 했으나, 실험이나 장기적 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인과성은 설명할 수 없었던 점도 이 연구의 큰 제한 점이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에 포함되는 관련 변인들에 대한 적절성을 확인하고, 폭넓은 표집을 대상으로 한 진보-보수의 심리적 기저를 확인하는 작업을 통하면 보다 확실한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fill the lack of psychological exploration on the study of ideological trends in Korea. So, referring to researches by Duckitt, Birum, Wangner, and Plessis (2002) in Canada, USA, England, New Zealand and South Africa, we set out to test the generality of the theoretical model relating personality and world views to ideological trends (conservative-liberal), prejudice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rich people, and enterprisers), and life styl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ith latent variables in a sample of Korean students and adults living in Cheonan and Seoul. 499 persons, 237 (47.5%) male and 262 (52.5%) female with an average age of 35 years old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based on authoritarianism, social dominance, social conformity, life style, social attitudes and social world views. Sixteen randomly sampled items from Altemeyer’s (1996) RWA scale and six sampled items from Pratto, Sidanius, Stallworth, & Malle’s (1994) scale to test the general attitudinal orientation toward North Korea, Rich people and entrepreneurs. With an alpha coefficient of .83 for RWA and .74 for SDO, we discovered that both RWA and SDO were moderately significant and reciprocal. RW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North Korea, attitude toward entrepreneurs and has a weak relation with the attitude toward rich people. SDO, in the other word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North Korea, attitude toward entrepreneurs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attitude toward rich people was higher than for RWA. Notice that specific items were used to set the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8 items with an alpha equals .75), rich people (9 items, α=.78), entrepreneurs (7 items. α=.69), and life style (18 items, α=.85). The measures of different personality construct were also done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 degree to which personality trait adjectives characterized or not their personality and behavior. So, 14 traits representing social conforming scale with an alpha of .65, and tough mindedness versus tender mindedness scale containing 24 items with an alpha of .92 demonstrated that Socially conforming persons reported also to be more RWA than SDO. They also had a weak relation with attitude about enterprisers; tough mindedness was weak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RWA and, as social conformity, tough mindedness had no relation with SDO. In the same way, 5 items derived from the dangerous world view with an alpha equals .83 and a balanced 20-item of competitive jungle world scale (α= .80) (Duckitt, 2001) were used to analyze the belief in social world view. The analysis showed that a competitive jungle world was highly correlated with tough mindedness, persons higher in a competitive jungle world view favored more SDO, but not RWA which was favored by persons higher in dangerous world view. And, unexpectedly, the correlation both dangerous world view and competitive jungle world view was positively weak, and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social conformity and dangerous world view. The goodness of fit statistics revealed likely high indices, but the path coefficients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nexpectedly weak for almost all the variabl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presents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prejudice, dual process model, psychological bases.

      • Sprague-dawley 랫드를 이용하여 28일 동안 결정질 실리카의 반복 흡입노출에 의한 폐 섬유화 식별

        김회빈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나노 물질 중 SiO2 (silica dioxide)를 결정질 실리카라고 하고 일반적으로 실리카라고 하는데, 실리카는 천연으로 존재하는 각종 규산염속의 성분으로 이산화규산을 말한다. 실리카는 석영, 부싯돌, 인규석, 옥수, 수정, 마노, 규사 및 홍연석등에 결정 또는 비결정으로 존재하며 석영은 장석류 다음으로 풍부하며 지구상의 여러 곳에 분포하며 지각의 12%를 차지한다. 실리카는 유리공장 등 널리 사용되고 있고 SiO2가 함유된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 및 근로자에 흡입 노출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결정질 실리카 (SiO2)를 이용해 개정된 OECD TG412 아급성 흡입독성시험 방법을 채택하여 28일 노출 후 회복기 1일(PEO-1; 기관지 폐포 세척액과 폐 내 침착량) 및 회복기 14일(PEO-2; 기관지 폐포 세척액 및 폐 내 침착량)의 폐 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 시험은 OECD Guideline 412 "Subacute Inhalation Toxicity: 28-Day Study" (2017.10)에 준하여 실시하였고 고농도를 100 mg/m3로 설정하고 공비 4배수로 하여 중농도는 25 mg/m3, 저농도는 6.25 mg/m3로 설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Atomizer라는 발생기를 통해 노출된 SiO2의 각 노출 농도에서 PC(Poly-carbonate) 필터를 이용한 저, 중 및 고농도 군의 중량농도(mass concentration, mg/m3)는 각각 5.94 ± 0.26, 28.15 ± 2.11, 및 102.82 ± 1.59 mg/m3이었다. 노출하는 동안 SiO2의 물질에 대해 MMAD (Mass median aerodynamic diameter)와 G.S.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는 저농도는 651 nm, 1.43이고 중농도는 688 nm, 1.94, 고농도는 674 nm, 1.85여서 호흡성 분진의 OECD TG 412 노출 기준에 적합하였다. SiO2 노출 결과 육안적 이상은 없었지만, 장기중량 측정결과 폐에서 유의적인 확률이 보여 시험물질에 의한 폐의 무게 증가로 관찰이 되고 혈액학적 분석, 생화학적 검사 및 혈액 응고 검사 결과 몇몇 항목에서 유의적인 확률이 관찰되었으나 생물학적 정상 변동 범위에 해당이 되었다. BAL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의 전체 혈구수 (Total cell count)와 백혈구 감별검사 (Different cell count) 결과 회복기 1일과 14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가 되어 시험물질에 노출이 되지 않는 시점에서도 지속적인 독성학적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BALF의 생화학적 검사 항목인 LDH, mALB 및 mTP가 회복기 1일과 14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cytokine 검사 항목 중 암컷 회복기 1일에서 TNF-α와 IL-1β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SiO2 28일 노출 후 회복기 1일의 암, 수 5마리와 회복기 14일 암컷 5마리와 수컷 2마리의 폐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하였다. 시험물질 농도 군별로 다양한 병변이 보였으나 유의적으로 판단되는 병변은 폐포대식세포 응집 (alveolar macrophage aggregation)이 관찰되었다. 노출 후 회복기 1일의 암, 수 5마리와 회복기 14일 암컷 5마리와 수컷 5마리의 비강 (nasal cavity)의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특별한 병변은 나타나지 않았다. 폐 조직 병리 결과 흡입독성시험에서 SiO2가 선택적으로 노출된 것으로 보아 시험물질에 의한 병변이라고 추정되며 독성학적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폐 내 침착량 분석 결과, 저농도군에서 회복기 1일의 폐 내 침착량은 0.257 ± 0.012, 회복기 14일은 0.251 ± 0.023이었다. 중농도군에서 회복기 1일의 폐 내 침착량은 1.082 ± 0.094, 회복기 14일은 1.067 ± 0.097이었으며 고농도군에서 회복기 1일의 폐 내 침착량은 3.307 ± 0.200, 회복기 14일은 2.680 ± 0.141이었다. 고농도군에서 회복기 1일 비교 회복기 14일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감소 (*p<0.05)가 관찰되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본 결과, SiO2물질의 28일 아급성 흡입독성의 NOAEL (No Observed Effect Level) 값은 수컷의 경우에는 5.93 mg/m3, 암컷의 경우에는 5.93 mg/m3 이하를 NOAEL (No Observed Effect Level)로 결정하였다. The OECD Test Guideline (TG) 412 and 413 for inhalation studies are revised in 2018. To evaluate inhalation toxicity of poorly soluble nanomaterials, main and satellite (recovery) group in the revised version contain analysis on MMAD/GSD (≤ 2 ㎛ / 1-3), BALF and lung burden etc.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applicability assessment using on OECD Guideline 412 "Subacute Inhalation Toxicity: 28-day Study" (2018.06) and the toxicity effect in SD rats exposed to SiO2 was evaluated at PEO-1 (post-exposure 1-day) and PEO-2 (post-exposure 14 days). Rats were separated into four concentration groups: control (clean air), low- (5.94 ± 0.26 mg/m3), middle- (28.15 ± 2.11 mg/m3) and high- (102.82 ± 1.59 mg /m3). SiO2 in nose-only chambers was generated by the atomizer and the agitator. The mass concentrations for analytical method were measured gravity analysis on filter and the real-time monitoring was measured using OPC (Optical Particle Counter). The characterization of generated SiO2 was analyzed using FE-SEM. The aerosol particle distributions were measured MMAD (Mass Median Aerodynamic Diameter) and G.S.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using cascade impactor. The inflammatory biomarkers for BLAF and lung burden were analyzed in right lung. The lung burden was analyzed using ICP-OES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in male rats exposed to SiO2 (PEO-1 and PEO-2). As a result, the relative lung weigh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exposure groups as compared with control. BALF (total cell count, neutrophil, LDH, micro albumin, total protein) and histopathology (macrophage aggregation) in lun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t exposed groups in a dose-dependent manner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at all periods. Collectively, we suggested that the LOAEL value of SiO2 on the 28-day subacute inhalation was 5.94 mg/m3 for lung weights, total blood count, inflammation biomarkers in BALF and histopathology in lung.

      • 베이비부머의 퇴직관련 요인이 노후생활계획에 미치는 영향

        정장석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31

        ABSTRACT The Effects of Retirement Factors on the Baby Boomer’s Retirement Planning Jang-Suk Jeong Department of Social for the Elderly, The Graduate School Hoseo University As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yun-Sik Par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tirement factors on the baby boomers’ retirement planning. This study analyzed how retirement anxiety and retirement attitude affect retirement life planning. The subjects were 300 baby boomers living in Cheonan and Asan area.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Google Survey program and 225 copies of the collected 26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except for 35 copies that were unresponsive or untru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 7.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tirement anxie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and education level. There was a difference in retirement anxiety according to the work organization, and the subjects working in public institutions felt more anxious about life after retirement than those working in other (self-employed). Secon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tirement attitude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uate education and under graduate schoo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tirement attitude according to the work organiz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aby boomers working at public institutions and the baby boomers working at othe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tirement attitude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aby boomers having own their house and the baby boomers living in the lease house. Thir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difference of the retirement life planning according to the work organization,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ublic institution, general enterprise and other working organizations. Fourth,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correlation between retirement anxiety, retirement attitude and retirement life planning.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ub-variable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attitude and negative attitude among sub-factors of attitude, and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conomic retirement life planning and leisure retirement life planning. The retirement ten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ositive attitude and negative attitude among the sub-factors of retirement attitud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conomic retirement life planning and leisure retirement life planning. Positive attitude of retirement at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conomic retirement life planing and leisure retirement life planing and negative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conomic retirement life planing and leisure retirement life planing. Fif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tirement related factors on baby boomers’ retirement life planing. The results showed that retirement anxiety and retirement attitud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retirement life plan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discussed how to prepare for the successful retirement by reducing the retirement anxiety and improving the attitude of retirement by providing a training and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retirement life planning of the baby boomers.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퇴직관련 요인이 노후생활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퇴직불안, 퇴직태도가 노후생활계획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천안과 아산지역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Google 설문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60부의 설문지 중에서 미응답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35부를 제외한 225부를 최종분석자료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퇴직불안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연령과 학력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고졸이하와 대졸의 학력과 대학원 이상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관에 따라서 퇴직불안에 차이가 있었으며,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대상자들이 기타(자영업 등)에 근무하는 대상자들보다 퇴직 후 생활에 불안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퇴직태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학력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고졸이하와 대졸의 학력과 대학원 이상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관에 따라서 퇴직태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베이비부머와 기타에서 근무하는 베이비부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거형태에 따라서 퇴직태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자가를 가진 베이비부머와 전세로 살고 있는 베이비부머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노후생활계획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근무기관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으며, 공공기관과 일반기업, 기타 근무기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은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퇴직불안은 퇴직태도, 노후생활계획 간에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하위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살펴본 결과, 퇴직불안의 하위요인 중 퇴직 자신감은 퇴직태도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태도, 부정적 태도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노후생활계획 중 경제생활계획, 여가생활계획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퇴직 긴장감은 퇴직태도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노후생활계획 중 경제생활계획, 여가생활계획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퇴직태도 중 긍정적 태도는 노후생활계획 중 경제생활계획, 여가생활계획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부정적 태도는 노후생활계획 중 경제생활계획, 여가생활계획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퇴직관련요인이 노후생활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퇴직불안과 퇴직태도는 노후생활계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베이비부머의 노후생활계획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퇴직불안을 낮추고 퇴직태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성공적인 노후준비를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Generalized L-R smash biproduct bialgebras

        이근창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31

        가 체 상에서 겹대수 일 때 가 여대수이고 가 여대수라 하자. 본 논문에서 일반화된 여곱 를 새로이 정의하고 가 coassociative 여대수가 됨을 보였다. 가 대수이며 여대수이고 D가 대수이며 여대수라하자. 본 논문에서는 대수로서 일반화된 곱 의 구조를 가지고 여대수로서 일반화된 여곱 를 동시에 가지는 겹곱을 정의하였다. 나아가 일반화된 곱대수 구조와 일반화된 여곱 여대수 구조가 겹대수가 되는 필요조건을 찾았다. (이 경우에 를 일반화된 admissible 쌍이라 하고 결과의 겹대수를 라 적는다.) 또한 본 논문에서 겹대수 가 Hopf 대수가 되는 필요조건을 찾았다. 나아가 이 admissible mapping system이 됨을 보였다. 나아가 주요 정의들에 관한 예들을 찾아보았고 겹곱 겹대수 의 예와 일반화된 겹곱 겹대수 의 예를 찾았다. Let be a bialgebra over a field and suppose is an -bicomodule coalgebra and is an -bimodule coalgebra. In chapter 4, we introduce generalized L-R smash coproduct and show that is a coassociative coalgebra. Suppose is an -bicomodule algebra, -bimodule coalgebra and is an -bimodule algebra, -bicomodule coalgebra. In chapter 5, we define biproduct with generalized L-R smash product as algebra and generalized L-R smash coproduct as coalgebra. We find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generalized L-R smash product algebra structure and the generalized L-R smash coproduct coalgebra structure on to afford a bialgebra structure. (In this case we say that is a generalized admissible pair and let denote the resulting bialgebra.) We give Hopf algebra structure on bialgebra . Furthermore we show that for bialgebra , is an admissible mapping system. We also find examples about definitions and L-R smash biproduct bialgebras and generalized L-R smash biproduct bialgebra .

      •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장벽이 운동스트레스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종길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장벽이 운동스트레스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자료 수집은 2023년 수도권 및 충청권 소재 4년재 대학의 운동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유의표집법을 활용하여 250명을 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sion 26.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장벽의 하위요인인 자기명확성 부족, 직업정보 부족, 우유부단한 성격, 외적장애는 진로 불확실성 및 정보부족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 미치며, 우유부단한 성격, 직업정보 부족은 경기 내용 및 기능불만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외적장애, 필요성 인식부족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장애, 우유부단한 성격, 직업정보 부족은 진로고민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필요성 인식 부족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장벽의 하위요인인 외적장애는 실천적 노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우유부단한 성격은 부적 영향을 미치며, 도구구비 활동 진로준비행동과 정보수집 활동 진로준비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학운동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경기 내용 및 기능불만은 실천적 노력 진로준비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기 내용 및 기능불만은 도구구비 활동 진로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진로 불확실성 및 정보부족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기 내용 및 기능불만은 정보수집 활동 진로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진로 불확실성 및 정보부족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장벽이 운동스트레스 및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대학 스포츠 현장에서 대학운동선수들의 진로준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해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f university athletes on exercise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2023, athlete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 area were selected as populations, and 250 people were sampl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dow version 26.0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ck of self-clarity, lack of job information, indecisive personality, and external disabilities, which are lower factors in career barriers for university athletes, were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career uncertainty and information deficiency stress. While indecisive personality and lack of job inform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stress of competition content and functional dissatisfaction, external disabilities and lack of awareness of necessity have a negative effect. External disabilities, indecisive personalities, and lack of job inform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nxiety stress, while lack of awareness of necessity has a negative effect. Second, external disabilities, a subordinate factor in college athletes' career barri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practical efforts, while indecisive personality has an inappropriate effect, which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competition content and functional dissatisfaction, a subordinate factor of exercise stress among university athlet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practical eff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career uncertainty and lack of inform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senting basic data necessary for college athletes' career preparation at university sports sites by providing information that career barriers of university athletes affect exercise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