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도서관에서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이미지와 감성평가 연구 : H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492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신체의 감각을 통해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는데, 로버트 뮈르(Robert Muir)는 인간의 신체 감각기관 중 83%가 시각을 통해 외부정보를 획득한다고 주장한바 있어, 인간의 다섯 가...

      인간은 신체의 감각을 통해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는데, 로버트 뮈르(Robert Muir)는 인간의 신체 감각기관 중 83%가 시각을 통해 외부정보를 획득한다고 주장한바 있어, 인간의 다섯 가지 감각기관(오감) 중 시각이라는 요소는 환경을 지각하는 핵심적인 인간의 수용기관이며, 오감 중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특징적인 지각체계이다. 시각을 통해 공간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감성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시각은 환경을 수용하는 인간의 핵심적인 수용기관으로 주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개되어 나가야 할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인간은 주변 환경의 요소와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며 이로부터 시지각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시퀀스(sequence)의 연구로 이어지게 된다.
      대학도서관은 일반 공공도서관이나 다른 도서관과는 다르게 특정 대학교에 소속되어 있어 대학생이나 교수, 교직원을 대상으로 하며, 그 도서관이 속한 대학의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도서관 자료를 수집, 정리, 보존하여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최근 대학도서관에서는 이용자 중심(서비스 중심)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시스템의 변화가 생겨남에 따라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우선, 디지털 기기와 IT시설의 증가로 인한 멀티미디어 공간, 열람공간의 확대와 개인학습공간인 캐럴, 그룹 스터디룸의 확대로 학습공간 영역이 넓어졌으며, 전시공간, 영화감상공간 등의 복합문화기능 수행공간, 커뮤니케이션이나 휴게공간(북카페, 라운지, 실내․야외테라스 등)이 확대되고 있어 다양한 동선체계(흐름)가 형성되기 마련이다. 동시에 공간을 이루고 있는 벽, 천장, 바닥, 가구 등 환경적 요소에 대한 색채 또한 중요한 영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용자도 교수, 대학생, 교직원에 국한하지 않고, 그 밖의 지역주민들까지 포함하여 이용자층도 확대되고 있다. 이렇듯 대학도서관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 대학도서관들 또한 신축이나 리모델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대학도서관은 과거의 열람 및 보존기능과 현재의 복합문화기능 중심에서의 도서관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있으며, 감성적 측면의 접근 또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감성연구 측면에서 대학도서관에서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공간의 색채이미지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의 중요성과 최근 도서관에서의 소요공간의 다변화와 구조 및 동선체계의 다양화 양상을 고려해 볼 때 공간디자인의 계획에 있어 본 연구의 목적을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지금까지 실내공간의 색채이미지연구가 부분적·특정적인 공간의 환경적 요인인 벽, 천장, 바닥, 가구 등 각각의 환경적 요소에 색 변화를 주어 어떤 이미지평가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H대학교의 도서관을 사례로 공간의 연속성을 기능에 따라 도입부, 전개부, 결말부로 나누고, 공간의 전체적·통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그 일차적 목적이다.
      둘째, 인간의 감각기관 중 시각을 이용하여 공간의 환경에 따른 색채이미지를 발견하고 인식하는 과정에서 인간에게 어떠한 심리적 자극과 결합이 되어 나타나는 반응에 대하여 연구하며, 감성연구에 새로운 방법과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구의 범위와 분석 방법을 세부적인 연구의 진행체계에 따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시각적 연속성과 감성연구의 이론고찰을 통해 시지각의 개념 및 특성과 시각적 연속성 공간의 특성과 공간 환경의 감성이론, 감성연구방법론에 대해 고찰하며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한다. 또한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감성평가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선행연구를 근간으로 구체적인 조사방법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대학도서관의 공간특성과 색채이미지의 특성 중 환경적 측면에서의 이미지에 대하여 고찰한 후 실험대상공간인 H대학교 도서관공간의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평가모형을 통하여 공간의 색채분석이 이루어진다. 또한 환경적 측면에서의 색채이미지평가를 실행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진행된 공간의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이미지를 평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학적 검증을 실행한다. 실험의 기준을 설정한 뒤 추출된 감성어휘로 감성평가를 시행하며 SD법을 이용하여 피실험자의 감성 차이를 비교하고, 설문데이터를 통계프로그램(SPSS 18.0)을 이용하여 타당성 검증을 실시한다. 연구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신뢰도 검증, 각 대상지별 지점에서의 요인을 그룹화하기 위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감성실험에 대한 통계학적 검증과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대학도서관 공간의 통합적 색채이미지연구를 감성평가를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환경심리학 관점인 인지적 이미지가 공간(환경)의 색이나 질감, 형태로 접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감정반응이 인간의 행동(반응, 감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간의 색채이미지가 인간의 감성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대상 공간의 색채이미지평가를 실시해본 결과 도입부의 로비에서는 YR계열과 G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strong)’가 많고, ‘dk(dark)’가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통합서비스센터도 마찬가지로 YR계열과 G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p(pale)’가 많이 나타나며 ‘lt(light)’가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책숲길에서는 GY계열과 YR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b(brigh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s(strong)’의 계열이 적게 분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개부의 서고에서는 YR계열과 G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p(pale)’가 많이 나타나며 ‘s(strong)’가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열람실에서는 PB, B계열과 GY,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p(pale)’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dk(dark)’가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정보검색·과제수행코너에서는 B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p(pale)’, ‘dkg(Dark grayish)’의 계열이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스터디룸에서는 B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dkg(Dark grayish)’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p(pale)’의 계열이 적게 분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말부 북카페에서는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많이 나타나며 ‘p(pale)’가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실내테라스에서는 R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p(pale)’가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야외테라스에서는 G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p(pale)’의 계열이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무대에서는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b(bright)’의 계열이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전시실에서는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p(pale)’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dk(dark)’의 계열이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메모리얼 홀에서는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ltg(Light grayish)’, ‘g(grayish)’, ‘dkg(Dark grayish)’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lt(light)’의 계열이 적게 분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대상지에서의 색채이미지 감성어휘 평가를 실시해본 결과, 로비에서는 ‘따뜻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볍다’는 낮게 나타났다. 인포데스크에서는 ‘조용하다’가 가장 높고, ‘화려하다’가 가장 낮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고에서는 ‘조용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화려하다’는 낮게 나타났다. 열람실에서는 ‘차분하다’가 높고, ‘가볍다’, ‘산뜻하다’가 낮으며, 정보검색코너에서는 ‘따뜻하다’가 높고, ‘단순하다’는 낮게 나타났다. 스터디룸에서는 ‘차분하다’, ‘시원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따뜻하다’는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북카페에서는 ‘화려하다’는 높고, ‘단순하다’는 낮게 나타났다. 실내테라스에서는 ‘따뜻하다’가 높고, ‘조용하다’가 낮으며, 야외테라스에서는 ‘시원하다’가 높게 나타났고, ‘화려하다’가 낮게 나타났다. 무대에서는 ‘따뜻하다’가 높고, ‘화려하다’가 낮고, 전시실에서는 ‘시원하다’가 높고, ‘가볍다’, ‘산뜻하다’는 낮으며, 메모리얼 홀에서는 ‘화려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볍다’, ‘단순하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공간에서의 색채이미지와 감성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인지적 이미지, 감정적 이미지와 감성어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감성을 통해 공간의 색채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문적으로 체계화,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1.1.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
      • 제 1 장 서 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1.1.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2.1 연구의 범위 4
      • 1.2.2 연구의 방법 및 진행 5
      • 1.3 연구 동향 7
      • 1.3.1 대학도서관 공간의 연구 동향 7
      • 1.3.2 시각적 공간의 연속성 연구 동향 8
      • 1.3.3 색채이미지평가 연구 동향 10
      • 제 2 장 시각적 연속성 및 감성연구의 방법설정
      • 2.1 시각적 연속성 공간 특성 14
      • 2.1.1 시지각의 개념 및 특성 14
      • 2.1.2 시각적 연속성 공간 특성 16
      • 2.2 감성이론 및 연구방법론 21
      • 2.2.1 공간 환경의 감성이론 21
      • 2.2.2 감성연구방법론 24
      • 제 3 장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과 색채이미지의 특성
      • 3.1 대학도서관의 개요 및 공간 특성 27
      • 3.1.1 대학도서관의 개요 27
      • 3.1.2 대학도서관의 공간 특성 29
      • 3.1.3 분석대상도서관의 공간 특성 30
      • 3.2 색채이미지의 특성 32
      • 3.2.1 환경심리학의 개념 32
      • 3.2.2 환경적 측면에서의 이미지 33
      • 3.3 분석대상 도서관의 색채이미지요소 34
      • 3.3.1 색채이미지요소 분석 기준 설정 34
      • 3.3.2 색채이미지평가 결과 36
      • 3.4 소결 45
      • 제 4 장 색채이미지에 따른 감성실험 및 결과분석
      • 4.1 실험의 개괄과 방법 및 감성어휘 수집 47
      • 4.1.1 실험의 개괄 및 방법 47
      • 4.1.2 감성어휘 수집 49
      • 4.2 예비실험 및 본 감성실험 결과 분석 50
      • 4.2.1 실험 진행 과정 50
      • 4.2.2 예비실험 및 감성평가 결과 분석 50
      • 4.2.3 본 실험 감성실험 결과 분석 52
      • 4.3 실험결과의 분석 및 연구의 타당성 검증 53
      • 4.3.1 감성척도의 신뢰도 검증 54
      • 4.3.2 공통성 검증을 통한 요인추출 55
      • 4.4 소결 59
      • 제 5 장 결 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