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역할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미옥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역할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전공 이미옥 지도교수 신원우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직무역할스트레스와 자기 효능감이 매개효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경기도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 으로 7월 24일부터 8월 1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424부가 회수되었고, 그중 349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분석 을 위해 SPSS Window version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 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평균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을 실시하였으며, 직무역할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을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검증방법의 매개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추가로 실시 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방법을 근거로 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의 표면행위가 이직의 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는 직무역 할스트레스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즉, 감정노동의 표면행위가 직무역할스트레스 하위요인인 동료 갈등, 역할과다, 역할모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의 내면행위는 자기효 능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의 표면행위가 이직의 도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직무역할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역할스트레스 의 하위요인인 동료갈등, 역할과다, 역할모호는 감정노동의 표면행 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정 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에 따른 이직의도를 낮추는 방안, 직무역할스트레스의 동료갈등, 역할 과다, 역할모호로 인한 이직의도가 발생하지 않기 위한 방안, 직무 역할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외에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 는 변인들의 후속연구에 대한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감정노동, 이직의도, 직무역할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아동양육시설 보육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슈퍼비전의 조절효과 검증
남현주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Center Nurturers’ Job Stres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 Test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and Supervision Nam Hyun Joo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Hyupsu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hin, Won W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ildcare center nurturers’job stres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duced the factors of the job stress and thereby, empirically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job resources-model and the social suppor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preceding studies just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not handl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other variable on turn-over intention in-depth. In such circumstances, in order to analyze the childcare nurturers’ job stres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factors of the job stress were divided into excessive role, ambiguous role and role conflicts. The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and the supervision are verified additionally.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ampled the nurturers from the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t the end of 2019. A total of 300 nurturers were randomly sampled to be subject to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rvey. Thus, 300 copies of a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them, and 252 responses were selected finally for this study, excluding those insincere 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anticipated that subjects’ job stress would have direct effect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As anticipated, their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statistically. The sub-variables of the job stress such as excessive role, ambiguity of role, and role conflict had direct effects on subjects’ turn-over intention. To be more specific, if they perceived excessive role, ambiguity of role, and role conflict more, feeling more for job needs, their job burnout would increase, affecting their turn-over intention. Such finding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the job needs-resource model was used for the verification. Secondly, it was anticipa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subjects’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would be moderated by the social support.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ir job stress affected their turn-over intention negatively, which was signficant statistically. As a result of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b-factors of the social support, it was found that only the informative and assessing supports have negative effects on subjects’ turn-over intention, which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Such findings may well suggest that in relations between subjects’ 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informative and assessing support have some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In short, the buffering effect model of the social support were positive in reducing subjects’ turn-over intention. Thirdly, it was anticipa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subjects’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would be moderated by their supervision. As anticipated, the supervision affected the turn-over intention negatively, but not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uch sub-factors of supervision as administrative, eductional and emotional functions, it was found that their moderating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short, any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ion were not found in the relation between subjects’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needs-resource model and social support buffering model.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childcare center nurturers’ job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S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conducive to enhancement of their welfare as well as the efficiency of the childcare center services and the qaulity of the services for the clients. Key words: nurturer,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social support, supervision 국 문 초 록 아동양육시설 보육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슈퍼비전의 조절효과 검증 -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남 현 주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보육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도출하고, 보다 세부적으로 직무자원-모델, 사회적 지지의 완충모델과 관련해서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들은 단순한 상관관계 연구에 머물러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들은 다루지 못했다. 이러한 현실에서 아동양육시설 보육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기 위해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과다, 역할모호, 역할갈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를 조절하는 변수로 사회적 지지와 슈퍼비전을 추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증적 분석을 위한 모집단은 2019년 말 기준 아동양육시설 서울·경기·인천 지역의 아동양육시설 보육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모집단을 설정하여 임의표집하여 자기보고식 응답방법을 설정하였고,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52명의 설문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앞서 제시한 연구문제별로 정리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양육시설 보육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별로 역할과다, 역할모호성, 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보여줌으로써 직무요구의 수준이 증대되면 직무소진이 증가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측면을 강조하는 직무요구-자원모델에 따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아동양육시설 보육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는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될 것이라는 예측 결과,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로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효과로 검증한 결과,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만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이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동양육시설 보육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정보적, 평가적 지지는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인과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모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함의를 제공한다. 셋째, 아동양육시설 보육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는 슈퍼비전에 의해 조절될 것이라는 예측 결과,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슈퍼비전의 하위요인으로는 행정적·교육적·정서적 기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아동양육시설 보육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보육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무요구-자원모델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모델을 검증하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더욱이 아동양육시설 보육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고 개인의 복리를 증진하는 것뿐만 아니라 아동양육시설 현장의 서비스 전달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인다.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 질을 개선하여 사회복지의 실천영역을 확대하고,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주제어: 보육사,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사회적 지지, 슈퍼비전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우영숙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복지서비스경영학과 우 영 숙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의 삶 의 질과 행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실증연구이다. 우리나라는 2025년에는 고령인구 비중이 20.6%로 예상되어 초고 령사회에 진입을 앞두고 있다(통계청, 2023).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 가는 정부의 노인들에 대한 사회적 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들의 삶의 질과 행복감의 추구를 위한 노후보장을 정부가 책임져야 하는 노인복지정책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삶의 질과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지역 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 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노인에 대 한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영향을 주기 위한 매 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실증을 통하여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과 분석방법으로 경기도에 위치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287부의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목적 에 부합하도록 SPSS 26.0 Package를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함께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 석(Multiple Regression)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세부요인인 직원 요인 과 시설환경 요인, 프로그램 요인 모두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구체적 하위요인인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도구적), 평가적 지지 모두에게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삶과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노인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노인들 은 삶에 대한 질의 향상과 행복감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질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에서는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 에서 부분채택 되었다. 이것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삶 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결국 노인복지관의 직원 요인과 시설, 환 경요인. 프로그램 요인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평 가적 지지의 정서적인 안정감과 타인으로부터의 인정 등이 매우 중 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와 노인의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의 가설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요소인 평가적 지지의 요소에서 부분채택 되었다. 이것은 대부분의 노인들 이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평 가적 지지에서 정서적인 안정감, 정보제공과 지식, 경험의 공유, 경 제적 지지와 상대방으로부터의 인정 등의 필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음을 말해 주고 있는 것이다. 즉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이 자신의 행위를 받아 들여주고 스스로 평가를 통해 타인으로부터 인 정받고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노인들이 훨씬 더 삶의 질이 향상되고 행복을 누리게 됨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를 높여서 노인 들의 삶의 질과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로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를 높여서 노인의 삶의 질과 행복감 을 높이는 방향으로 노인복지관 인적요인과 시설 및 환경, 프로그램 이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노인복지관 운영을 노인의 삶과 행복에 기준하여 직원 관리, 시설 및 환경관리, 프로그램의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즉 노인들이 원하는 삶의 질을 철저히 파악 분석하여 맞춤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노인복지관 운영 및 관 리 정책을 추진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로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노인들을 위한 사회적 지지 구축과 개발 및 강화가 요구된다. 특히, 노인복지 관 운영의 목표를 이용노인의 정서적 안정감의 추구에 두어야 하며 각종 정보와 지식, 경험의 제공, 경제적 지지, 노인들 자신의 인정욕 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복지관의 운영 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하여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한 사회적 지지 기반시스템의 구축과 적절한 물질적인 사회적 지 지의 지속적인 제공, 노인을 인정하는 취지의 각종 노인의 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필요할 것이 다. 넷째로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요인 에서 노인들이 자신의 행위를 인정해 주는 자기평가 즉 인정과 긍 정적 평가 등이 이루어지도록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을 개편하여야 할 것이다. 손용진(2004)은 사회적 지지가 미비한 것이 노인들에게 는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라고 하였다. 사회적 지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향후 노인복지관 운영프로그램을 이용노인의 인정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변화시켜야 하며, 프로그램의 다양성 의 추구, 프로그램 만족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 노인들의 삶의 질 제고와 행복감의 추구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도입과 실천 등이 필요할 것이다. 주제어 : 노인복지관, 이용만족도, 삶의 질, 행복감, 사회적 지지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강현주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조직효과성, 교사 효능감, 의사소통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조직효과성, 교사 효능감, 의사소통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자료는 경기도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 600명의 데이터를 수집해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대상의 빈도분석과 연구 변인의 기술 통계량, 변인 간 평균 차이, 변인 간 상관관계 및 주요 변인에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과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조직문화, 조직효과성, 교사효능감, 의사소통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보육교사들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수준은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며, 조직효과성의 하위 항목을 보면 조직헌신, 직무만족, 조직적응, 직무성과의 순으로 나타났고,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조직문화는 집단문화를 높게 지각하였고, 의사소통은 신속성이 가장 높은 인식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은 학생참여, 교수전략, 학급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조직효과성, 교사효능감, 의사소통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간에는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조직문화, 교사효능감, 의사소통이 조직효과성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어린이집에서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조직문화 유형과 영유아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 향상 방안을 모색하여 어린이집 조직 환경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조직성과를 증진 시킬 수 있는 보육교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어린이집 운영 개선 및 효과성 제고 방향을 위한 정책 수립에 실증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daycare center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general trends in child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daycare center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For the data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hildcare teachers of day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and Seoul, and data from 600 finalists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s to analyze the frequency of study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of study variables, mean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major variables.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was confirmed. Next, the effects between variables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we look at the general trends of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the level of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higher than the average. When looking at the sub-item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adaptation, and job performance were found in the order of, and generally perceived positively. In organizational culture, group culture was perceived as high, communication showed the highest recognition level of promptness, and teacher efficacy was found in the order of student participation, teaching strategy, and class manage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of daycare centers, all correlation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in enha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hildcare teachers who can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effective operation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by seeking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daycare centers and ways to improve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considered to be an empirical data for policy establishment for the direction of raising children's education and improving the operation of daycare centers and enhancing effectiveness.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상훈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국 문 초 록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상훈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요양기관 및 요양보호사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요양보호사에 대한 보상체계 및 근무 환경은 열악하고, 요양보호사의 잦은 이직은 곧 요양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를 파악하여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보상체계의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에서 직무갈등이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를 개선하여 직무갈등을 최소화하고 이직을 방지하여 장기요양기관의 운영활성화에 기여하고 장기요양 서비스의 질적 수준향상을 도모하며, 장기근속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의 장기요양기관 중 노인요양시설 및 재가방문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53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자료분석은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에서 직무갈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과 비화폐적 보상체계인 복리후생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과 비화폐적 보상체계인 복리후생은 직무갈등 요인 중 직무환경의 부적절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는 기관장과의 불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검증한 결과,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 비화폐적 보상체계인 교육훈련과 복리후생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는 수급자와의 갈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검증 결과,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 비화폐적 보상체계인 교육훈련과 복리후생은 직무갈등 요인 중 수급자와의 갈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는 동료와의 부조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검증 결과,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 변수만 직무갈등 요인 중 동료와의 부조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갈등의 하위 요인들 중, 수급자와의 갈등, 직무환경의 부적절성, 동료와의 부조화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갈등 중, 직무환경의 부적절성, 수급자와의 갈등, 동료와의 부조화는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 직무갈등, 이직의도는 서로간의 관계성이 있었고, 그 중에서도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급여적절성 보상체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4가지의 직무갈등은 모두 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혔고, 요양보호사의 복리후생 보상체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기관장과의 불화의 직무갈등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직무갈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를 확충하고 직무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관련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장기요양보험 급여수가 인상율을 매년 5% 미만 수가반영으로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실질적 급여가 현저히 낮은 원인이고, 처우개선비도 급여수가에 포함하여 지급되므로,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직접적으로 요양보호사에게 인건비를 지급하는 형태로 개선하고 관리·감독할 수 있는 요양보호사 관리지원센터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미국은 저임금 근로자에게 적정임금제도를 통해서 근로자들에게 최저임금 피해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여 주고 있다. 셋째,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가 쉴 수 있는 별도의 휴게 공간의 설치를 법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 주제어 :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 보상체계, 이직의도, 직무갈등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성평등의식, 성역할정체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박근양 협성대학교 일반 대학원 2018 국내박사
국 문 초 록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성평등의식, 성역할정체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근양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성평등의식, 성역할정체감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인이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여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을 도울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문제는 총 세 가지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지각하는 성평등의식은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지각하는 성역할정체감은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남편으로부터 폭력피해를 당한 여성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피해 여성들이 가해자인 남편으로부터 벗어나 자립의지를 향상시켜 주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피해 여성들이 성평등의식, 성역할정체감, 사회적 지지가 어느 정도인지 살펴봄으로써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가에 대해 접근하는 데 의미를 두고자 하였으며, 피해여성들의 자립의지에 증진시키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해당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지역, 일부 지방 소재 가정폭력상담소, 보호시설, 1366센터에 거주하고 있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성평등의식이 높을수록 자립의지가 높을 것이다’에 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평등의식 하위요인 중 비가정생활(직업생활)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2인 ‘양성적인 성역할정체감을 가진 가정폭력 피해여성은 그렇지 않은 가정폭력 피해여성에 비해 자립의지가 높을 것이다’. 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양성적인 성역할정체감은 자립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3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립의지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 함의를 고찰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성평등의식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를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폭력 상담소, 보호시설에서 성평등의식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성평등의식은 사회의 관습화된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로도 내재화되어 사회전반에서 성평등한 사회문화가 조성되어야 하는 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기독교 청소년 스포츠 캠프 연구 : 기획과 운영을 중심으로
정 현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This study is an interesting attempt of combining sports, which are becoming a part of our everyday lives, with Christian camps and it presents a practical model as a Christian youth sports camp. As sports have become popular, church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oviding what the Christian youth desire in line with the current trend. As such, in Chapter 1, this study looks into whether there have been any sports camps among the current Christian camps targeted at youth through prior research, with a focus on Christian youth camps. In Chapter 2, the definition of youth, and their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re studied. The issues experienced by youth today are also studied, from social, environmental, and family perspectives. In Chapter 3, the meaning of general camps as well as the advantages/disadvantages and meaning of Christian youth camps are studied and the two camps are compared. In Chapter 4, a practical model of the Christian Youth Sports Camp is presented by combining leisure sports and Christian Youth Camps that have not existed up until today. In Chapter 5, a summary of each chapter and the Camp’s strengths and area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are proposed. 본 연구는 삶의 일부로서 자리잡아가는 스포츠가 기독교 캠프와 융합하는 흥미로운 시도이며, 기독교 청소년 스포츠 캠프로서 하나 의 실제적인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제1장에서는 스포츠가 대중화된 시기에 교회에서는 세상에 발맞 추어 기독교 청소년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것을 제공해주는데 어려 움이 있기에 기독교 청소년캠프에 초점을 맞춰서 현재 기독교 캠프 에서 청소년을 주제로 한 스포츠 캠프가 있는지 선행연구를 통해서 알아본다. 제2장에서는 청소년의 정의와 심리적, 신체적 특징들을 알아보고 오늘날 청소년들이 갖는 문제점을 사회적, 환경적, 가정적 방향에서 알아본다. 제3장에서는 일반캠프의 의미와 기독교 청소년 캠프의 장단점과 의미를 알아보고 두 캠프를 비교해 본다. 제4장에서는 아직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던 레저스포츠와 기독교 청소년 캠프를 융합해서 기독교 청소년 스포츠 캠프의 실제적인 모 델을 제시한다. 제5장에서는 각 장별 요약과 캠프의 좋은 점과 보완해야할 부분 들을 제언으로 다룬다.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와 가족관계성의
김희연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와 가족관계성의 매개효과 김희연 복지서비스경영학과 협성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 미와과 가족관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중년기 위기감, 자살생각, 삶의 의미, 가 족관계성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2.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삶의 의미가 중년기 위기감과 자살생각에 있어 매개효과가 있 는가? 4. 가족관계성이 중년기 위기감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 있어 매 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중년기 위기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삶 의 의미와 가족관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와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년기 성인을 비확률표본추출 방법 중 하나인 편의표집 하여 자기보고식으로 측 정하였다. 설문은 설문조사의 목적과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고 설문 항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응답 내용의 신뢰성을 확보를 위해 직접 배부·회수하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8월 16일부터 9월 18일까 지 수집·회수된 344부 자료 중 주요변인에 대한 불성실한 설문지의 결측값을 제외하고 33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 함의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 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년기 위기감의 하위 요인 중 자녀관계 불만족도가 자살생각과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다는 사 실이 밝혀졌다. 이는 중년기의 사람들이 겪는 감정적 어려움 중에서 도 자녀와의 관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중년 기는 생명주기의 중심에 위치하여 과거의 삶을 반성하고 미래의 삶 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에 개인들은 자신 의 삶에 대한 만족도와 지난 삶의 선택,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 등 다양한 감정적 도전을 겪게 된다. 이러한 감정적 도전 중에서도 자녀와의 관계가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을 지지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인엽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국문초록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의 삼위일체론 연구 이 인 엽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신학과 조직신학 전공 지도 교수 김 영 선 삼위일체는 그리스도교의 매우 중요한 교리이며 알아야 할 지침인데도 너무나 소홀히 다루어진 면이 많다. 무시되거나 어렵다고 취급되어졌던 이유는 초대 교회부터 현재까지 많은 논쟁과 하나님의 역사와 계시로서만 이해할 수 있는 추상적이며 사변적이었기 때문이며 유한인 인간이 무한인 삼위일체 하나님을 이해한다는 한계성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비밀로 남겨 두었기 때문이다. 판넨베르크는 그의 신학을 역사적으로 그리고 과학적으로 숙고 될 수 있는 바탕 위에서 건설하기를 시도한다. 그러므로 많은 동시대의 요구의 분위기를 자극한다. 그러므로, 판넨베르크의 신학은 새로운 신학적인 종합의 지향을 목표한다. 합리성의 토대 위에서 판넨베르크의 새로운 신학적 종합의 논점을 제공하려는 것이 논문의 목적 가운데 하나이다. 판넨베르크에 있어서 전체성과 다양성 안에서 동시대의 신학과 세속적 세계에 중요한 도전을 야기시킨다. 왜냐 하면 그의 목표는 신앙을 수립함에 있어서 이성의 역할을 포함하여 균형적인 이해를 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판넨베르크는 신학을 다른 어떤 지적인 작업으로부터 축소시키는 것을 거부하며, 판넨베르크의 세계는 매우 이성적인 세계이다. 이 세계는 자유의지에 의해서 움직이는 세계이며 이성으로 충분하게 성장할 수 있는 신학이다. 결론적으로 판넨베르크는 역사적 예수의 본성으로부터가 아닌 예수의 인격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역사적 예수로부터의 출발과 부활을 통하여, 판넨베르크는 아들로서 의식하는 예수의 의식을 언급한다. 그 다음 두 본성의 교리의 영역에서가 아닌 아들과 아버지의 관계성 영역에서 예수를 하나님과 관계시킨다. ‘아래로부터 위로’의 판넨베르크의 기독론과 삼위일체 교리는 발전시킨 계시의 개념이라는 전제 조건 위에서 적용되어지고 있다. 기독론과 삼위일체론에서 계시는 역사 안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간접적인 자기 계시로서와 그리스도의 부활 속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궁극적인 자기 계시의 개념의 토대 위에서 전개되어 진다는 사실이다. 판넨베르크가 주장하듯이 현대의 삼위일체 하나님 이해 역시 끊임없이 발전하는 과학과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이성을 포함하여 균형 있는 이해로 연구되어진다면 앞으로도 더욱 더 확장되고 실제적이며 구체화 되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세상의 종말까지 끝없이 연구하며 나아갈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NCS기반 생애설계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진희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Korea, which is showing the fastest aging due to the extension of its average life expectancy, is increasing the need for life design at the social and educational level as it provides knowledge to independently prepare and meaningfully expand one's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In addition, rapidly changing industrial sites require talented people with competitiveness in knowledge, technology, and information, which strengthens the need and importance of fostering professionals in various fields and increases NCS-based programs to narrow the gap between learning and work required by the industry. In this dimension, in order for current college students who have to live in a super-aged society to prepare more actively and proactively for their careers, a curriculum is needed to help them decide their own career path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However, despite the need to revitaliz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is a practical and specific behavioral dimension, research on NCS-based career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is still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NCS-based life plann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process of college students finding life career topics and planning and implementing career paths. Therefore, “First, will the NCS-based life planning program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Second, will the NCS-based life planning program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is was confirmed by establishing a research question of. In order to structure the program, the program was reorganized based on NCS Life planning Consult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areer design for college students and the existing life design program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A preliminary program was implemented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planned program, and the program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after verification by 4 experts to compose this program. In this study, the NCS-based life planning program divided the competency units into life planning needs assessment and life planning support consulting. In the life design needs assessment stage, based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theory, and theoretical basis for life plan establishment according to life transition, one can choose a career based on one's own competence, and make behavioral preparations. In the life planning support consulting stage, it supports the establishment of an action plan by identifying the status of the six applicable life areas, and supports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prepared life plan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and reflect them in real life. The six major areas of life are divided into an individual's selective life, or an area of individual daily life and social expansion. The areas of personal daily life are self-establishment, health, leisure, etc. as issues of individual change, and the areas of social expansion are divided into financial, social participation (job, career) relationships related to issues such as family, friends, social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s.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program are students enrolled in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nd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Class A and Class B are targeted for students taking career planning courses at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The NCS-based life planning program was conducted with 32 people in class A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life planning program by 32 people in class B as a comparison group. Thirty-two students in class C taking other subject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 post-, and post-test periods of class A and class B while conducting the subject. The program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conducted directly by this researcher, and from August 30 to October 19, 2021, a total of eight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and 90 minutes per session. As for the colected data, used the SPSS 24.0 program, perform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etc.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argets and level of each variable. To verify homogeneity among groups, a one-way ANOVA and a corresponding Mixed ANOV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CS-based life plann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group.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NCS-based life plann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NCS-based life planning programs are effective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suggesting the effectiveness of life planning programs applying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life goals in the areas of daily life and social expans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life process, including career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and to continuously develop and implement life planning programs suitable for college students. Key words: Life Planning,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based Life Planning Program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가장 빠른 고령화를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는 개인고령화와 인구고령화로 인하여 전 생애의 관점에서 자신의 삶을 자립적으로 준비하고, 의미 있게 확장시키는 지식제공으로서 사회적 차원과 교육적 차원에서 생애설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급변하고 있는 산업현장에서는 지식, 기술, 정보의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강화되며 산업계가 요구하는 학습과 일 사이의 격차를 줄이는 NCS기반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초고령사회를 살아가야 할 현재의 대학생들이 진로준비를 보다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준비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기 스스로 생애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과정을 통해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인지, 태도적인 차원과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행동차원인 진로준비행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NCS기반 생애진로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대상으로 진로를 전생애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진행하여 대학생들이 생애진로 주제를 찾아가며 진로를 설계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NCS기반 생애설계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첫째, NCS기반 생애설계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둘째, NCS기반 생애설계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의 종합 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설계 및 기존의 생애설계프로그램을 NCS생애설계컨설팅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NCS기반 생애설계프로그램은 능력단위를 생애설계 욕구사정과 생애설계지원 컨설팅으로 구분하였다. 생애설계욕구사정 단계에서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특성, 진로발달이론, 생애진로사정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생애전환에 따른 생애계획수립의 탐색과 욕구를 파악하여 진로에 필요한 역량을 토대로 진로를 선택하고 진로계획을 세워 행동적 준비를 할 수 있다. 생애설계지원 컨설팅 단계에서는 적용 가능한 인생 6대 영역에 대해 상태를 파악하여 실행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작성한 생애설계 내용을 결과에 따라 수정·보완하고 실생활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인생 6대 영역은 개인의 선택적 삶이나 이를 개인일상 영역과 사회성 확장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개인일상 영역은 개인의 변화에 대한 문제로 자아정립, 건강, 여가 등이며, 사회성 확장의 영역은 가족, 친구, 사회적 책임과 의무 등에 대한 문제와 연관된 재무, 사회참여(직업, 경력), 관계로 구분하였다.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K대학교 재학 중인 진로설계 교과목을 수강하는 A반, B반을 대상으로 A반 32명을 실험집단으로 NCS기반 생애설계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B반 32명을 비교집단으로 생애설계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다른 교과목을 수강하는 C반 32명은 교과목을 진행하면서 A반, B반의 사전·사후·추후 검사시기에 맞추어 같은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으며 2021년 8월 30일부터 10월 19일까지 주 1~2회, 회기당 9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기술통계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 및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기반 생애설계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NCS기반 생애설계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NCS기반 생애설계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며,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적용한 생애설계프로그램의 효과를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 지원을 포함하여 생애과정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일상생활 영역과 사회성 확장의 영역에서 생애목표를 설정하고, 실생활에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대학생에게 알맞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적용한 생애설계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