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MF 디자인 개발에서의 효과적인 지식재산 보호

        박승진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2719

        본 논문에서는 CMF 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의 개발, 기존의 소재 또는 새로운 소재를 활용한 CMF 디자인을 개발하는 과정이나 개발 이후에 디자이너와 엔지니어들로 하여금 스스로 보다 효과적인 지식재산 권리화를 위해서 체크해볼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품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이용되는 소재뿐만 아니라 제품의 표면을 장식하기 위한 채색, 표면처리 등을 위해서 적용되는 재료나 방법들은 매우 다양하다. 나아가, 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소재의 개발이나 신제품 개발을 위한 CMF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경쟁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소비자의 이목을 더욱 끌 필요가 있는 소비 제품 분야에서의 CMF 디자인 소재의 개발이나 각종 소재를 활용한 CMF 디자인 개발을 더욱 부추기며, 나아가 소비제품 산업분야뿐 아니라 전반적인 산업분야에서의 CMF 디자인 개발의 확대를 이끄는 긍정적 측면을 제공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디자이너와 엔지니어들이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거나, 개발된 소재를 활용하여 새로운 방식의 CMF 디자인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파생될 수 있는 지식재산권 제도와 그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들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삼성과 애플의 특허전쟁이 시작된 이후부터 시작된 몇몇 IP 융합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들에 따른 IP 융합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제시하고 있는 CMF 디자인의 개발과 IP 융합을 통한 선행 디자인의 조사, 지식재산권의 확보를 위한 출원과 등록 등 매우 기초적이고 단편적인 방법과 순서 등만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CMF 디자인 개발과정에서의 선행조사의 필요성 또는 디자인 출원의 필요성 등 단편적인 보호방식의 제시는 지식재산권의 권리화 과정에서 효과적이지 못함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삼성과 애플의 특허전쟁이 시작된 2011년 이후에는 한국 특허청에 제출된 디자인 출원 건수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 특허청 자료에 따르면, 감성 소재·부품 연구센터의 설립 등 대한민국 정부의 본격적인 지원이 있은 이후인 2013년 이후에는 감성금속 기술에 대한 출원의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CMF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나 방식의 결과물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인 권리화를 위해서 CMF 디자인의 창작자 또는 개발자로 하여금 자신이 가질 수 있는 지식재산권의 종류, 보호받을 수 있는 방식 등에 대해서 스스로 검토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물론, 권리확보 과정에서의 전문적인 절차 등에 대해서는 지식재산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것은 당연한 것이겠지만, CMF 디자인의 개발과정에서 디자이너나 엔지니어들 자신이 사용하는 컬러, 소재, 마감공정에서 권리확보에 필요한 점들에 대해서 스스로 체크할 수 있다면 더욱 효과적인 권리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CMF 디자인의 개발과정에서 디자이너 또는 엔지니어가 스스로 체크해볼 수 있는 모델의 제시를 통해서 보다 효과적인 지식재산 권리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디자인 역량이 R&D기업의 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굿디자인 선정 기업을 중심으로

        김선하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2719

        기존 다수의 연구에서 R&D 기업이 비R&D기업에 비해 높은 사업화 성과를 창출하고, 디자인 역량을 갖춘 기업은 그렇지 못한 기업에 비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고 실증하였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이 둘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디자인 역량이 R&D 기업에 미치는 성과의 관계를 규명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R&D 기업에서 연구개발비 투자와 디자인 역량은 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과 ‘R&D 기업에서 연구개발비 투자와 디자인 역량이 동시에 높을수록 보다 높은 사업화 성과를 창출할 것이다’는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정부지원 R&D사업(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혁신개발사업)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디자인역량이 연구개발투자와 R&D기업의 사업화 성과(매출액 증가율)의 관계에 어떤 조정효과를 갖는지를 다중회귀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i) R&D 집약도와 디자인역량은 매출액 증가율에 대해 (+)의 유의한 결과를 보여, R&D 집약도가 높을수록, 디자인 역량이 높을수록 매출액 증가율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였으며, (ii) R&D 집약도와 디자인 역량을 동시에 보유한 기업의 조정효과가 높게 나타나, 두번째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R&D기업의 사업화 성과는 디자인역량에 따라 더욱 향상될 수 있으므로, R&D와 동시에 디자인 투자를 강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Previous empirical studies in general have reported that more R&D-intensive firms showed higher economic performance, and that more design-capable firms created higher value-added. However, few have considered both R&D and design capabilities of the firms in an integrated way, thus failing to highlight the impact of design capabilities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R&D-intensive firms. This research, therefore, in order to fill the gap in the previous research, built two hypotheses to test : first, R&D investment and design capabilities individually will impact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 firm. Second, building upon the first hypothesis, R&D investment and design capabilities will interact to create higher economic value for the firms. These two hypotheses were tested for the Korean companies that have conducted Government-backed R&D projects.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whether and how R&D and design capabilities of the firms interact to impact on their performance. Empirical test results supported both hypotheses: First, R&D-intensiveness and design-capabilities in each showed positive relations with economic performance, implying that the more R&D-intensive and the higher the design-capabilities of the firms, the higher would be their economic performance. Second, the interaction term of R&D-intensiveness and design-capabil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economic performance of the firm, which implies that firms deploying both higher R&D and design capabilities at the same time can outperform other firms. This research, with strong empirical supports on the interaction effects of R&D and design capabilities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 firm, suggests that firms should be ambidextrous – be able to develop and deploy both R&D and design capabilities in effective ways – in order to create and sustain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 제조업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툴킷 연구 : 나노카본 자전거 제조공정 중심으로

        박성희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2719

        Recent designs have shifted from producer-centered to user-centered product development. This has led to a rapid rise in the field of service design, which has mainly been designed for products and has now been designed for all environments used. Although it i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nd researching about the user experiences and thoughts, it is experiencing various problems in the product development phase as the experiences and ideas of stakeholders who ar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products are not shared actually. It applied the service desig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I have encountered during this product development phase, and I am going to describe the toolkit and its processes. In addition, this paper aims to apply the service design to a new point of view, rather than just for users or consumers, and combined the context of the service design with "Service Design f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SDFMA)" which recognizes the unique and important interrelationships between manufacturing and assembly to propose service designs for the designers who develop the products for the economic production, not for product users. 최근 디자인은 생산자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변화되어 사용자 경험 중심의 제품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서비스 디자인이라는 분야의 급부상으로 이어졌으며, 주로 제품만 디자인해왔던 것에서 이제는 사용하는 모든 환경까지 디자인하게 되었다. 사용자의 경험과 생각들을 조사, 연구하여 얻어진 결과물이지만 정작 제품을 개발하는 단계에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경험이나 생각들은 공유되지 않아 제품개발 단계에서는 다양한 문제들을 겪고 있다. 이 제품개발 단계에서 겪었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서비스 디자인을 적용해 보았고, 이에 대한 툴킷과 그 과정에 관해 서술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은 서비스 디자인이 사용자 혹은 소비자를 위한 것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관점에 서비스 디자인을 적용하여 보고자 하였으며, 서비스 디자인의 맥락을 제조 및 조립 간의 고유하고 중요한 상호관계를 인식하는 “제조 및 조립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SDFMA)”으로 결합하여 서비스 디자인의 대상이 제품사용자가 아닌 경제적 생산을 위한 제품개발 디자이너들을 위한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 우수산업디자인상품 선정 기업의 주식시장 성과 연구

        최정숙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2719

        Design is the critical component of business management. But, previous empirical studies in general have difficulty of measuring design value in quantity. BSC method offers the core factors of Design-management are sales, net income, brand value, stock price, ROI. So in this study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Good-Design firms, awarded from 2011 to 2017.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that a group of 44 companies identified to be out performed KRX50 index. The companie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ir winning Good-Design awards. The companies grouped into two portfolios- the leading design companies and design companies- respectively. Over 7 years, the leading design companies and design companies are consistently higher performance at all stages of in the economic cycle. 산업디자인통계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디자인 산업은 2013년 조사 이래 연평균 9%의 큰 성장을 보여 주고 있다. 2016년도 디자인 산업의 경제적 가치는 103조 8,436억원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 하였다. 이러한 디자인의 가치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관심을 가지고 진행되어 왔으나, 디자인의 효율성을 정량화된 수치로 산출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 하여왔다. 또한 디자인 경영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디자인의 측정모델이 제시되기도 하였는데 디자인은 매출, 이익, 브랜드가치, 주가, 투자자본수익률의 증가를 위한 요소임을 정의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1 ∼ 2017년 우수산업디자인(GD) 상품 인증을 받은 기업 중 공개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주식가치변화, 주식의 시장총가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스피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디자인수상 점수가 분석기업의 평균 이상으로 높은 디자인선도기업과 평균이하인 디자인신흥기업으로 분류하여 두 그룹을 비교 시 기업의 성과를 나타내는 주식의 주식가치지수, 시장총가치자수 모두에서 코스피50 지수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여 주었다. 코스닥상장기업 또한 주식시장 급등기를 제외 한 분석 전 기간에 걸쳐 코스피제조지수지수보다 높은 성장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기업의 주가 지수와 디자인에 비중을 두고 경영한 기업의 주가 지수를 비교한 결과, 디자인에 지속적으로 투자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자본 가치가 크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기업운영에 있어 디자인의 중요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청동의 납 함량에 따른 표면 색상 변화 연구

        이희성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2703

        Bronze is the alloyed material of copper and tin, and shows the difference of corrosion product in accordance with the corrosion environment and alloy ratio. Specially, the bronze artifacts exposed to outdoor is, different from the artifacts excavated in buried state, having the different corrosion aspect by the atmospheric environment change. This research manufactured the bronze sample of binary system(Cu-Sn) and ternary system(Cu-Sn-Pb) on the basis of alloy ratio of bronze relic, and grasped the surface color change of corrosion product generated through artificial corrosion experiment with visual inspection and analyzer. Also, the researcher executed Raman and SEM-EDS analysis of corrosion product and graspe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 of corrosion product according to the main corrosion factor of alloy element and outdoor bronze artifacts. The artificial corrosion experiment executed the atmospheric corrosion and salt corrosion that are the main corrosion factor of outdoor bronze artifacts, and analyzed the corrosion product and color change. In the experiment result and in most of bronze sample, the change of color was generated, and as a result of SEM-EDS and Raman, if the corrosion factor is S, it was generated in the mixed state of Tenorite and Cuprite and generated dark with yellowsis strongly. If the corrosion factor is C1, Cuprites were most generated, and the corrosion product and crystallization were much generated. Also, in the case of the salt spray test sample, the disintegrated corrosion product of light green was much in the local part, and the faster corrosion than the outdoor exposure experiment was progressed. As a result of experiment in accordance with the alloy ratio, in the binary system alloy, with the higher ratio of Cu, the color change of yellow and red was generated after the corrosion, and the change value of color is much, and the color of corrosion product observable in microscopic was appeared in variety. With the higher ratio of Sn, the less change of color, and the result of it relatively stable to the corrosion was confirmed, and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binary alloy was shown in similar aspect to ternary system alloy. The color change of binary system bronze and ternary system bronze showed the mixed spectrum of Cerussite and Cuprite of brown corrosion product. The yellow corrosion product is likely to be litharge, and it is judged to be careful as Ph had different corrosion product from the sample not alloyed. Also, in the alloyed sample of Ph, much of dispersive rust was generated due to its skewed phenomenon of Ph, and the tissue was appeared relatively unbalanced. Only with the limited alloy ratio and short-term artificial corrosion experiment, it is hard to clarify the corrosion aspect of outdoor bronze artifacts, but grasping the main corrosion factor or product of bronze relic surface and color through the visual inspection and scientific analysis, it is judged to be helpful to establish the plan of conservation management. 청동은 구리와 주석의 합금물로서, 부식 환경과 합금 비율에 따라 부식 생성물의 차이를 나타낸다. 특히 야외 노출된 청동유물은 매장된 상태에서 출토된 유물과 달리 대기 중의 환경변화에 의해 부식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동 유물의 합금비를 기준으로 이원계(Cu-Sn), 삼원계(Cu-Sn-Pb)의 청동 시편을 제작하여 인공 부식 실험을 통해 발생한 부식생성물을 육안관찰과 분석기기를 활용한 표면의 색상변화를 파악하였다. 또한, 부식 생성물에 대해 Raman, SEM-EDS 분석을 실시하여 합금 성분과 야외 청동 유물의 주요 부식인자에 따른 부식생성물의 특성과 종류를 파악하였다. 인공 부식 실험은 야외 청동 유물의 주요 부식 요인인 대기 부식과 염 부식을 시행하고 부식 생성물과 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대부분의 청동 시편에서 색상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SEM-EDS와 Raman 촬영 결과, 부식인자가 S인 경우 Tenorite와 Cuprite가 혼재된 상태로 생성되어 어둡고 황변이 강하게 발생하였다. 부식인자가 Cl인 경우는 Cuprite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전체적으로 부식생성물과 결정화가 많이 생성되었다. 또한 염수 분무 실험 시편은 Light green계열의 분상화 된 부식생성물이 국소부위에서 다수 관찰되어 야외폭로실험 보다 더 빠른 부식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금 비율에 따른 실험 결과, 이원계 합금에서는 Cu의 비율이 높을수록 부식 후에 전체적으로 황색과 붉은색의 색상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색차의 변화 값이 크고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 부식 생성물의 색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Sn의 비율이 높을수록 색상변화가 크게 없어 비교적 부식에 안정적인 결과가 확인되었으며, 이원계 합금에서 나타나는 부식 특성은 삼원계 합금에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원계 청동과 삼원계 청동의 색상변화는 Brown계열의 부식 생성물이 Cerussite와 Cuprite가 혼재된 스펙트럼이 나타났다. Yellow계열의 부식 생성물은 Litharge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Pb이 합금되지 않은 시편과는 부식 생성물이 다르게 나타나 유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Pb이 합금된 시편에서는 Pb의 편중 현상으로 인해 산발적인 녹이 다수 발생하였으며 조직이 비교적 불균일하게 나타났다. 한정적인 합금 비율과 단기간의 인공 부식 실험만으로 야외 청동 유물의 부식양상을 전체적으로 규명하기엔 어려움이 있으나 청동 유물 표면의 상태와 색상을 육안관찰 및 과학적 분석방법을 통하여 주요 부식 요인이나 부식 생성물을 파악하여 보존 관리에 대한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조선궁궐단청 머리초양식 연구

        박수민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2703

        단청은 목조 건축의 내구성 강화와 동시에 권위의 상징 및 종교적 장엄에 목적을 둔다. 아울러 조선시대 궁궐의 단청은 양식적으로 웅건하면서도 절제된 장식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바, 이는 권위와 부귀, 장수를 상징하는 문양채색이 주류를 이루며, 간결하면서도 조화로운 채색을 통하여 그 품격이 더해짐을 알 수 있다. 한편 현전하는 조선시대 궁궐의 단청은 한국단청양식의 전모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므로, 조선의 5대 궁궐 중 경희궁을 제외한 나머지 4대 궁궐은 그 영역이 각기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조선궁궐 건축물 중 역사성과 예술적 가치가 인정된 국보 · 보물의 지정 문화재는 25건에 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단청이 전해지는 총 21동 조선시대 궁궐 건축의 주요 단청머리초를 대상으로 하여 조선궁궐 건축단청의 머리초양식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서, 시대적 변천에 따른 양식 특성 및 건축 품계에 따른 등급별 단청머리초 양식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는데 있는 바, 그 내용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존하는 조선궁궐 단청유산을 제 1기(17~18C), 제 2기(19C), 제 3기(20C 전반)의 3기의 시기로 구분하고, 이들 약 3백 년 동안 영건된 건축단청 유물을 분석해 봄으로서, 조선궁궐단청의 각 시기별 변천 및 양식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조선궁궐의 각종 건축의 위계에 따른 머리초양식의 변화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궁궐의 건축은 정전 · 편전 · 내전 · 궐내각사 · 누각 · 대문 등 위계에 따른 건축의 품계가 상이하다. 이에 따라 궁궐건축의 등급별로 장식된 머리초구성의 양식차이가 명확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조선궁궐의 단청머리초 양식은 각 시대마다 당대의 불교사찰 단청머리초 양식과 기조를 같이 하면서도 창의성이 다분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19세기 중반 이후 조선궁궐의 상징성과 특수성이 반영된 창의적인 양식의 머리초가 창출된 점이 조선궁궐 단청머리초양식의 대표적인 특징이라 결론지을 수 있다. Dancheong aims to strengthen the durability of wooden architecture and to symbolize authority and religious majesty. In addition, the dancheong of the Joseon Dynasty palac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tylistically majestic and restrained decoration, which shows that the color of patterns symbolizing authority, wealth, and longevity is mainstream, and its dignity is added through simple and harmonious coloring. Meanwhile, the Dancheong of the Joseon Dynasty palaces is very important for grasping the full picture of the Korean Dancheong style, so the remaining four palaces except Gyeonghui Palace were designated as historic sites, and 25 of the Joseon palace buildings as national treas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oricho style of Dancheong in Joseon Dynasty palace architecture in a total of 21 buildi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ncheong according to the times and architectures. First, the existing Dancheong Heritage Site of Joseon Palace was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as follows: the first (17-18C), the second (19C), and the third (20C overall), and by analyzing the relics of the Dancheong, which were built for about 300 years, the changes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of Joseon Palace Dancheong could be clearly identified. Second, we looked at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oricho style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various architectures of the Joseon palace. The architecture of the Joseon palace differs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the architecture, such as the Main Hall of Royal Palace(正殿), pyeonjeon(便殿), the inner palace(內殿), Gueolnaegaksa(闕內各司), pavilion, and palace gate. Through this, the difference in style of the meoricho composition decorated by grade of palace architecture could be clarified. Consequently, the Dancheong meoricho style of the Joseon palace has a lot of creativity in each era along with the Buddhist temple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reation of unique styles which reflected the symbolism and distinctiveness of Joseon palaces after the mid-19th century was the representative feature of the Dancheong meoricho style of Joseon palaces.

      • 안면도 고남리 B-3 패총의 청동기시대 패류 채집 양상에 관한 연구

        김현수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2703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shell layers of Bronze Age at the Shell Mound B-3 in Gonam-ri, Anmyeon Island, examining the shellfish that the Bronze people gathered and their gathering activities and dietary life patterns along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Gonam-ri area on the Anmyeon Island during the age. The shell layers of Gonam-ri, Anmyeon Island are the first shell layer relic from the Bronze Age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 Korea. They show a unique livelihood type of farming combined with active hunting, gathering, and fishing activities in the unique environment of a coastal area. Shell Mound B-3, which was examined in Rounds 4~8, especially helps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process from New Stone Age to Bronze Age based on its overlapping shell layers from the late New Stone Age and the Bronze Age. There are previous studies on the shell layers from the New Stone Age as part of researches on Shell Mound B-3,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but no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hell layers from the Bronze Age. The present study thus decided to analyze the shell layers of Bronze Age in Shell Mound B-3. Analyzing the shell layers of Bronze Age in Shell Mound B-3 in Gonam-ri, the investigator used total 27 samples collected from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Rounds 6 and 7. For the analysis of shell layers, the investigator washed and classified by the component the samples with experimental sieves of 2.8㎜, 1.0㎜, and 0.5㎜ in the mark size and calculated the specific gravity of their classified components in the gravimetric method. In addition, the oyster, which is one of the major shellfish in the shell layers, was analyzed in size to figure out their gathering intensity. The composition analysis results of the shell layers show that they were comprised of shellfish, gravels, soil sediments, other components(barnacles, charcoal, pottery, and animal bones). The average content of shellfish by the layer was 49.7~56.9%, which was relatively high.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rate of sedimentation was relatively fast in the shell layers with the active gathering of shellfish. The average content of shellfish by the layer was 85.2%, 20.7~86.9%, 67.8~91.1%, and 50.7~70.4% in Shell Mounds A-1, B-1, B-2, and B-4, respectively, from the Bronze Age in Gonam-ri. Their average content was higher than that of Shell Mound B-3.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hell Mounds A-1, B-1, B-2, and B-4 had a faster rate of sedimentation in the shell layers and more active gathering of shellfish than Shell Mound B-3. The average content of shellfish by the layer was 78.6~82.4% and 39.7~58.1% in Shell Mounds A-2 and B-3, respectively, from the New Stone Age in Gonam-ri. Shell Mound A-2 was higher than the shell layers of Bronze Age, and the shell layers of New Stone Age in Shell Mound B-3 was rather lower than those of Bronze Age, which suggests that the shell layers of Bronze Age had a faster rate of shell sedimentation and more active shellfish gathering than those of New Stone Age. Given the fact that they stayed there only for a while for shellfish gathering during the New Stone Age and made them their sedentary residence throughout the year during the Bronze Age, however, the Neolithic people of Gonam-ri were more active to gather shellfish than the Bronze people. The average content of shellfish by the layer was 33.6~50.6% at the nearby shell mound of Sosong-ri, Boryeong. The numbers indicate a lower content of shellfish in the shell mound. Given these patterns of shell layers, it is estimated that the sedimentation of shellfish happened gradually instead of fast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low content of shellfish is related to a relic where they stayed for a while only to gather shellfish, but the diverse types and amounts of artifacts excavated in the shell mounds suggest that they were sedentary relics all the year round and that shellfish gathering was not active there despite it. Compared with Gonam-ri, Anmyeon Island where farming land was limited, Sosong-ri, Boryeong with favorable farming conditions and good geographical locations must have had high dependence on agriculture. There were total 19 species of edible shellfish that made up the shell layers of Bronze Age in Shell Mound B-3 including nine species of pelecypods and ten species of gastropods. The pelecypods include the oyster, Manila clam, Cyclina sinensis, Meretrix petechialis, Keen’s gaper, mussel, ark shell, Sinnovacula constricta, and Gomphina veneriformis. The gastropods include Rapana venosa, Reishia bronni, Lunella coronata coreensis, Cerithidea rhizophorarum, Thais clavigera, Ceratostoma rorifluum, abalone, top shell, olive shell, and Batillaria multiformis. Most of the confirmed edible shellfish lived in rock areas in the intertidal zone or mud under rocks and in bays, which suggests that the Gonam-ri area must have been the intertidal zone or rock area during the period. They must have gathered shellfish during the ebb tide when the mud flat was exposed in the intertidal coast. Given its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oyster, one of the good examples of rock shellfish, must have been gathered between autumn and spring. In most of the samples, however, the consolidated amounts of the oyster, Manila clam and Purple whelk accounted for 90% of edible shellfish or higher, which shows the concentration of shellfish gathering on the oyster, Manila clam and Purple whelk. This pattern was commonly found in the shell mounds of New Stone Age and those of Bronze Age in Gonam-ri and the shell mounds of Sosong-ri, Boryeong. Other than the oyster, they mainly gathered pelecypods such as Cyclina sinensis and cockle during the New Stone Age and gastropods such as Reishia bronni, Thais clavigera, and Ceratostoma rorifluum during the Bronze Age. The analysis results of oyster size show that all the layers of Ⅱ-Ⅵ were distributed within the shell height of approximately 4.5~6.5㎝. This distribution of oyster size in Shell Mound B-3 indicates that it was similar to or rather bigger than other shell mounds from the Bronze Age including A-1, B-1, B-2, and B-4 in Gonam-ri. Shell Mounds A-2 and B-3 from the New Stone Age, on the other hand, had a smaller oyster size by 1cm or more than Shell Mound B-3 from the Bronze A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gathering intensity of the oyster was lower in Bronze Age than New Stone Age and led to the improvement of oyster resource conditions. That is, it shows an aspect of changes to the subsistence economy in which the percentage of gathering was lower in Bronze Age due to the settlement of farming than in New Stone Age. 본 연구에서는 안면도 고남리 B-3 패총의 청동기시대 패각층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당시 청동기인들의 채집 대상 패류 및 채집 활동, 식생활 양상과 안면도 고남리 지역의 자연환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안면도 고남리 패총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굴조사된 청동기시대 패총 유적이면서, 해안지역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농경과 더불어 수렵ㆍ채집ㆍ어로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진 독특한 생계유형을 보여준다. 특히 4~8차에 걸쳐 조사된 B-3 패총은 신석기시대 후기 패각층과 청동기시대 패각층이 중복되어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의 이행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유적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주목되는 B-3 패총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신석기시대 패각층에 대한 선행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청동기시대 패각층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환경 및 생업경제 연구에 목적을 두고 B-3 패총의 청동기시대 패각층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고남리 B-3 패총의 청동기시대 패각층 분석은 6차와 7차 발굴조사 당시 채집된 시료 가운데 총 27개의 시료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패각층 분석을 위해 눈금크기 2.8㎜, 1.0㎜, 0.5㎜의 실험실용 체를 이용하여, 세척 및 성분별 분류작업을 진행하였고 분류된 성분은 중량법을 기준으로 비중을 산출하였다. 이어서 패각층을 구성하는 주요 패류인 굴에 대한 채집강도를 살펴보기 위해 굴의 크기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패류 함량은 다른 청동기시대 고남리의 A-1 패총(85.2%), B-1 패총(20.7~86.9%), B-2 패총(67.8~91.1%), B-4 패총(50.7~70.4%)과 비교했을 때, 유사하거나 낮은 편이다. 청동기시대의 고남리 A-1, B-1, B-2, B-4 패총은 전반적으로 패류 함량이 높은 혼패층으로 나타나며, 패류 함량이 80% 이상인 순패에 가까운 것도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는 A-1, B-1, B-2, B-4 패총이 B-3 패총보다 패각의 퇴적속도가 전반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패류 채집 또한 활발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B-3 패총 청동기시대 패각층의 패류 함량은 앞선 신석기시대의 고남리 A-2 패총(78.6~82.4%), B-3 패총 신석기시대층(39.7~58.1%)과 비교할 때 비슷하거나 뚜렷하게 낮은 편이다. 즉, 고남리의 신석기시대 패총과 신석기시대 패각층의 형성은 B-3 패총의 청동기시대 패각층보다 패각의 퇴적속도가 빠르게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B-3 패총을 포함한 고남리의 청동기시대 패총의 패각 함량은 앞선 신석기시대에 비하여 뚜렷하게 낮거나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고남리 일원에서는 농경이 정착된 청동기시대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수렵과 채집활동이 높은 비중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고남리 패총과 인접한 위치에 있는 보령 소송리 패총은 고남리 B-3 패총에 비해 패각 함량이 낮은 양상을 보인다. 보령 소송리 패총은 평균 패류 함량이 33.6~50.6%로 토양 함유량이 높은 혼패층의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패각층의 양상은 패각의 퇴적이 단시일 안에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고 비교적 서서히 이루어졌음을 말해준다. 이처럼 높은 토양의 함량은 패류 채집 시기에만 머물렀던 유적과 연관성이 있으나. 소송리 패총은 다양한 유물의 종류와 양을 감안했을 때, 연중 정주성 유적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이 패류 함량이 낮은 것은 패류 채집이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B-3 패총 청동기시대 패각층을 구성하는 식용패류는 부족류 9종, 복족류 10종 등 총 19종이 확인되었다. 부족류는 굴, 바지락, 가무락조개, 말백합, 왕우럭조개, 홍합, 살조개, 가리맛조개, 대복이 확인되었다. 복족류는 피뿔고둥, 두드럭고둥, 눈알고둥, 동다리, 대수리, 맵사리, 전복, 보말고둥, 대추고둥, 갯고둥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식용패류는 대부분이 조간대의 암초지대 혹은 바위와 내만의 진흙에 서식하는 종으로 구성되었다. 당시의 고남리 인근 지역은 조간대나 암초지대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패류 채집은 조간대 해안에서의 갯벌이 노출되는 간조시기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암초성 패류의 대표적인 굴의 경우, 생태학적인 특성을 미루어 볼 때, 가을에서 봄 사이에 채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대부분의 시료에서 굴ㆍ바지락ㆍ피뿔고둥 3종 패류의 합이 식용패류의 90% 이상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여 패류 채집이 굴ㆍ바지락ㆍ피뿔고둥에 집중된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양상은 고남리의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 패총, 보령 소송리 패총 등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굴을 제외한 주요 채집대상은 신석기시대에는 가무락조개, 꼬막 부족류 위주의 패류가 확인되었으며, 청동기시대에는 두드럭고둥, 대수리, 맵사리 등 복족류 위주의 패류가 확인되었다. 굴 크기 분석 결과, Ⅱ-Ⅵ층 모두 각고 약 4.5-6.5㎝ 사이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B-3 패총의 굴 크기 분포는 고남리 A-1ㆍB-1ㆍB-2ㆍB-4 패총 등 다른 청동기시대 패총과 유사하거나 다소 큰 양상을 보인다. 반면, 신석기시대 패총인 A-2 패총과 B-3 패총은 B-3 패총 청동기시대 굴 크기 분포에 비해 약 1㎝ 이상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신석기시대에 비하여 굴의 채집 강도가 약화됨에 따라 굴의 자원 여건이 개선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청동기시대에 이르러, 농경의 정착으로 인해 신석기시대에 비해 채집의 비중이 낮아지게 되는 생업경제에서 발생한 변화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 경복궁 경회루 단청양식 고찰

        김정현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2703

        Gyeonghoeru Pavilion, which is South Korea’s National Treasure number 224, stands in the center of a square lotus pond in the western section of Gangnyeongjeon, the sleeping chamber of Gyeongbokgung Palace. It is the largest pavilion in Korea. It was built to receive diplomatic delegations, host events for the royal family, and host meetings between the king and vassals, and was rebuilt in 1867(the four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Gyeonghoeru Pavilion, which has retained its original appearance since the rebuilding of Gyeongbokgung Palace, is a valuable research subject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spatial organization, planning principles, and traditional paintwork patterns (dancheong). In particular, its style of traditional paintwork has unique pattern characteristics compared not just to palaces, but for all types of royal buildings across the country. However, existing research on Gyeonghoeru Pavilion has focused primarily on architecture, with little research existing on the style of traditional paintwork on the building.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paintwork style and pattern elements of Gyeonghoeru Pavilion and observe its symbolism and the intention behind its decorative elements. The research approach to Gyeonghoeru Pavilion’s paintwork style consisted of a field survey for carrying out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paintwork patterns on each major element of the structure. Humanistic research was carried out by looking at historical documents and academic papers to better infer the historical context around the creation of the Gyeonghoeru Pavilion’s paintwork. As there is currently no formal research on the Gyeonghoeru Pavilion’s paintwork, no drawing of the paintwork pattern has ever been officially produced. Therefore, the drawings of each paintwork pattern of the Gyeonghoeru Pavilion were illustrated on Korean hanji paper using ink. These pattern drawings made from ink are basic line drawings which serve as a base for colored drawings. Thus, this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patterns for the study of the paintwork on the Gyeonghoeru Pavilion as well as the applications for this research. The paintwork patterns of Gyeonghoeru Pavilion were studied according to pattern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elements, which revealed three different types of patterns of paintwork on the pavilion. First, the main element of the Gyeonghoeru Pavilion’s paintwork patterns was the form of the peony flower patterns. For the sake of comparison, the peony flower patterns which appear on the meoreocho (the pattern which appears only at the end of crossbeams, purlin, and rafte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he results of this showed that peony flower patterns were in almost all cases limited to use on large meoreocho only. Like the paintwork on Gyeonghoeru Pavilion, it is very rare to have many peony flower patterns used as constitutive elements decorating a variety of meoreocho on the major timber elements of a structure. Peony flower folding screens, which were mostly produced during the later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ithin the court and were known as gungmoranbyeong (宮牡丹屛), were examined as a case study. Gungmoranbyeo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were ceremonial items used not just for memorial services of the court, but also for funeral rites, burial ceremonies, and rites of passage. Thus, the peony flower is not just a simple sign of the wealth and the king, as it also serves as a consciousness raising device which wishes for the wealth of the people and a peaceful reign—showing that we can deduce that it had a larger meaning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Second, the unique deco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hoeru Pavilion can be found in the scale shapes of the giryongmun (虁龍紋) pattern and the wave pattern. Giryong refers to the original shape of a dragon. It is used to depict a simplified form of the dragon or to use the dragon as a decorative pattern. The giryongmun of Gyeonghoeru Pavilion is one solid color, yet it has an outstanding decorative effect which fills the view in tune with the foliage patterns. On one hand, the rafter extensions and indoor checkered ceiling of Gyeonghoeru Pavilion with Giryongmun are neat and beautiful. On the other hand, the patterns give the feeling of every structural element being exuberant. The wave pattern which is featured on the scales is another unique feature of the paintwork of Gyeonghoeru Pavilion. By applying the expression of waves found in Buddhist and folk paintings to the scale paintwork, one can glimpse the creativity of the royal palace painters who completed the paintwork of Gyeonghoeru Pavilion. The pattern is applied the edges of all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structure, with the pattern being inscribed on the meoreocho of the outer main purlin support, outer main lintel, inner main purlin support, and the inner main lintel. Third, generally the style of Korean paintwork patterns combines the schematization of a variety of sculptural elements. Yet, it can be said that the Gyeonghoeru Pavilion paintwork pattern consists of the use of structural elements which are literal illustrations of flowers, leaves, and lotus seeds. The paintwork of Gyeonghoeru Pavilion maintains a consistent pattern on each section, yet the constituting elements of each pattern utilize a combination of different plant shapes, displaying a very unique aesthetic sense of beauty. Hence, when considering the playful characteristic of this structure's architectural space, it can be seen that it displays an abundance of pictorial elements. Unfortunately,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despite being a national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 has not been recorded in yeonggeonuigwe, the Joseon Dynasty construction reports. The only existing record on the types of coloring materials used for the paintwork of the Gyeonghoeru Pavilion is beonjuhong and noerok based on the Gyeongbokgung Architectural Record. Therefore, the royal records of various construction projects on the royal palace occurring before and after the reconstruction of Gyeonghoeru Pavilion can be used to indirectly study the use of various color pigments used on the paintwork of Gyeonghoeru Pavilion. In consequence, it can be inferred that dangjuhong, beonjuhong, juto, seokganju, danghwangdan, sanghwangdan, pyeonyeonji, noerok, hayeop, samnok, seongnok, cheonghwa, icheong, samcheong, cheonghwamuk, seokjahwang, donghwang, seogunghwang, jinbun, jeongbun, and songyeon were used as pigments for the paintwork of Gyeonghoeru Pavilion Gyeonghoeru Pavilion of Gyeongbokgung Palace, as a place for banquets and for amusement, features playful and amusing pattern elements in its paintwork which differ from the authoritative elements of grandeur of the paintwork of the royal palace. These research findings are meaningful for art history as we uncovered a unique and magnificent aesthetic sense of beauty in the paintwork patterns which conform to the function of this building. 현재 국보 제224호 경회루는 경복궁의 침전인 강녕전 서측 방형 연지 안에 세워진 한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누각건축이다. 외교사절의 접대나 군신의 회합, 왕실관련 행사 등을 베푸는 연회를 위해 건축된 건물로 지금의 경회루는 1867년(고종 4)에 중건된 것이다. 경복궁 중건 당시의 원형이 유지되고 있는 경회루는 전통 건축의 구조, 공간구성, 계획원리, 단청문양 등 여러 측면에서 연구조사의 가치가 풍부하다. 특히 경회루의 단청양식은 궁궐뿐만 아니라 국내 모든 전각의 단청을 통틀어 독특한 문양의 특징이 존재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경회루에 대한 선행연구는 건축학 위주로 이루어졌으며, 단청양식에 대한 것은 미진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회루의 단청양식 및 문양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상징성과 장식의도에 대하여 고찰하는데 있다. 경회루 단청양식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먼저 현장답사를 통해 각 부재의 단청문채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경회루 단청의 조성배경을 추론할 수 있는 각종 사료와 관련 문헌, 논문 등을 조사하였다. 그런데 이제까지 경복궁 경회루 단청양식에 대한 선행 연구가 미미했기 때문에 문양초본 역시 제작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경회루 단청의 각 문양에 대한 도면을 한지바탕에 먹선으로 작성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이것으로 경회루 단청연구를 위한 문양의 정확한 이해와 본 연구의 심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경회루 단청양식의 독특한 특성과 조형요소의 상징성을 바탕으로 고찰한 결과 크게 세 가지로 분석되었다. 첫째, 경회루 단청문채의 핵심적인 요소는 모란화문의 구성이다. 이것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단청에서 머리초 부분에 모란화문이 장식된 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회루 이외의 사례에서는 모란화문이 거의 대량머리초의 구성 요로써 한정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경회루와 같이 다양한 체목부재의 머리초 구성에 모란화문이 장식되었거나 다양한 양식으로 채색된 사례는 경회루가 유일무이한 것이다. 이러한 장식의 의도를 조선후기 궁중화의 소재로 크게 유행했던 이른바 ‘궁모란병’의 상징배경에서 찾고자 하였다. 특히 궁중에서 모란을 소재로 하는 채색화 병풍이 많이 제작되었는바, 이것을 ‘궁모란병’이라고 한다. 모란도는 단순히 감상용의 차원을 넘어서 국가적 염원을 담은 의식에도 사용되었다. 이른바 궁모란병은 궁중의 길례뿐만 아니라 상·장례 등의 흉례까지 모든 의례에 필수적인 의례품으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이것으로 모란화문이 단순한 부귀와 군왕의 상징성을 넘어 백성의 부귀와 태평성대를 염원하는 의식화(儀式花)로서 조선후기 국태민안의 상징의미로까지 확산된 것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모란화문이 경회루 단청문양의 다양한 곳에 장식되었다는 점에서 궁모란병의 고귀한 상징성이 심오하게 반영된 장식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둘째, 경회루 단청문양의 또 하나 독특한 소재로써 부연개판과 반자에 장식된 기룡문(虁龍紋)을 들 수 있다. 기룡문은 용의 형태를 간략하게 형상화한 도안을 말한다. 기원전 고대 중국의 청동기부터 장식사례가 나타난다. 그 후로 도자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기물의 장식에 사용된 도안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선후기까지 각종 기물에 기룡문의 장식사례가 다분히 나타난다. 경회루의 기룡문은 머리가 간략히 표현되었고, 몸통이 덩굴무늬 형태이며, 사지의 묘사는 생략된 모습이다. 이를 두고 『경복궁 영건일기』에서 ‘초룡(草龍)’이라 하였음은 형태가 당초양식과 유사하기 때문에 붙인 이름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초룡은 고래로부터 이어지는 근원적 도상이나 명칭이 전무하다. 따라서 경회루 용문양의 도안은 기룡문에 근원을 두는 것으로 보아 마땅하다. 셋째, 일반적으로 한국단청양식의 각 문양들은 각종 조형요소들이 도식화된 특징으로 조합·구성된다. 그런데 경회루 단청문양에서는 연꽃 ․ 이파리 ․ 연밥 등의 실물형상이 부분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즉 도식화되지 않은 실물의 조형이 장식요소로 표현된 것이다. 각 부재에서 단청구획의 패턴은 유지하면서도 문양의 구성요소에 실물의 형상이 조합되어 사실주의(寫實主義)의 미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경회루 단청양식은 유희적 건축공간의 특성을 감안하여 회화적 요소가 다분히 발휘된 장식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19세기 경복궁의 재건은 국가적 대공사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영건의궤는 전하지 않는다. 경회루 단청에 소요된 각종 채색재료에 대한 정보는『경복궁영건일기』에 나온 번주홍, 뇌록 색상뿐이었다. 그래서 경회루 재건시기를 전후로 궁궐에서 시행된 각종 영건사업의 의궤를 통하여 경회루 단청에 사용된 각종 채색재료를 간접적으로 파악했다. 19세기 단청에 사용된 안료는 당주홍, 번주홍, 주토, 석간주, 당황단, 상황단, 편연지, 뇌록, 하엽, 삼록, 석록, 청화, 이청, 삼청, 청화묵, 석자황, 동황, 석웅황, 진분 정분, 송연 등이다. 따라서 이러한 채색재료들이 경회루 단청안료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복궁 경회루 단청에서는 궁궐 정전 단청의 권위적 장엄요소와는 확연히 다른 양식특성이 파악된다. 즉 유희와 기복을 상징하는 문양요소를 다분히 구사함으로써 연회나 유희의 장소에 부합되는 경회루 단청장식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 국립무형유산원 공예분야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연구

        주가은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2703

        Cultural assets hold cultural heritage worth preservation efforts as they have been passed down along the history of people. Some of cultural heritage assets have no visible forms but still contain the living joy and style of the people. Such music, dance, and craft skills are called intangible cultural assets. One of their characteristics is transmission from people to people, from mouths to mouths, and from hands to hands over generations.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 civilization, however, they were at a huge risk of being extinct or altered. Since the enactment of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in 1962, the central government and municip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had made efforts to protect, keep and transmit the archetypical form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Following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03, South Korea enacted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hereinaft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in March, 2016 and made a shift from a focus on the preservation of their archetypes to a focus on the preservation of their entire forms to make many changes to its transmission policies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 government set up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Jeonju City, Jeollabuk Province in 2013. The goal of the center is to vitaliz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its specialization and advancement. The center runs a professional curriculum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bring up professionals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reinforce the teaching capabilities of instructors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center also runs a social curriculum to expand the group enjoy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ncrease demand for future transmitt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programs on the edu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e field of crafts at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and compare and analyze it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raditional Crafts and Architecture School under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proposing their activation plan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vered the historical change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craft skill categories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education for their transmission, analysis of the center's educational programs and their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the programs of the Traditional Crafts and Architecture School, and activation plans for them in four chapters. First, the history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was examined in four major periods. The study examined changes to their categories and craft skills during each of the periods. Period 1 spanned from 1962 whe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was enacted to 1982 when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was established. This period witnessed the central, municip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identifying and designating many categories of skills with huge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 and recognizing many individuals possessing such skills as artisans. The artisans taught their functions of their craft categories to their sons or daughters through apprenticeship to pass them down to later generations. In Period 2, there was interest in transmission education by artisans with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Asset Protection Foundation and the Transmission Education Center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1983. Quasi-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set up to replace apprenticeship education between artisan fathers and their sons at their personal workshops. In Period 3,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was expanded and reorganized int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1999. In 2003, the central, municip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pushed forward actively the establishment of transmission education centers dedicated to the systematic transmission edu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ound the nation. Period 4 saw the enact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in 2015 an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in 2013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s for the transmission edu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Secondly, the study classified the traditional craft categories and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their education. Traditionally, crafts were categorized into metal, ceramic, wooden, and textile craf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handling materials at college. Based on these categories, the present study classified the materials further into paint, bamboo, jade and stone, and fur and bone crafts and added clothes, musical instrument, and painting crafts based on uses. Based on these categories, the study examined the number of artisans in the traditional craft categories, teaching assistants for transmission education, and graduates of such education along with their relative rela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blood tie-based apprentice education approach was adopted in most cases of traditional crafts with the artisans as parents teaching their children as bearers. In the categories of many pupils and active transmission efforts, the masters taught students rather than their children. The findings raise a need to convert the awareness of education on traditional crafts from the approach of artisans teaching their children at their personal workshops to public education in which artisans teach their pupils at public transmission education institutions. Thirdly, the study analyzed all sorts of programs implemented by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and found that the center opened and managed many programs during the short period of five years. Unlike artisans' personal workshops where they passed their skills to their children scattered around the nation, the center made active use of teaching assistants or graduates of transmission education for each category. The center's educational programs were, however, not distributed in balance among the categories. The programs were still concentrated in activated categories in certain fields. A good number of the programs were ultra-short or short, being completed in a day or week or in a month. The duration of such programs would not last more than six months. These programs were designed to reinforce the capabilities of the transmitt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ut they lacked much in the curriculums to motivate them to participate. As the process of motivation was omitted to induce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in education, the number of programs was limited which motivated them to take voluntary part in through academic achievement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re were poor effort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it for the students by the stage and level. These problems prevented the programs from being vitalized. Furthermore, given that at least three to five years will be required for the apprenticeship education by artisans,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need to develop and run mid- and long-term craft skill programs of three to five years to fulfill its long-term goal of bringing up artisans. Finally,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and those of Traditional Crafts and Architecture School, trying to find their activation plans. When their educational programs were compared by the category, it was found that they were similar overall. Both of them supported the categories of high demand and activation in most cases instead of the stagnant ones that were at a risk of immediate extinction and needed urgent supports. In the future, they will need to diversify the categories they support. When they were compared in terms of period, the center provided short-term courses in most cases as its history was only five years. The school, on the other hand, made and implemented mid-term plans of one or two years based on its long history of over 40 years.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needs to draw a long-term road map for new mid- and long-term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activ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ly. In addition, it needs to grant the new graduates of its specialized curriculum the status of participation in its projects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s well as its projects and an opportunity of utilizing their specialized capabilities in the field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so that they can make use of the educational content after completing a course and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s. The social curriculum needs programs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general public rather than experiential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also needs to activate the programs on weekends by highlight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Jeonju.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programs by the stage through the activation of college-linked education so that college students specializing in related areas can enter the transmission programs by the category or continue their specialized curriculum after completing their credits. If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develops and promotes mid- and long-term educational programs, they will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education on the craft categories in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o the further development and greater excellence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문화재는 우리의 역사와 함께 전해 내려 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이다. 이러한 문화유산 중에서 형체가 없어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 민족의 흥과 멋이 살아 숨 쉬는 음악이나 무용 및 공예기술 등을 무형문화재라고 한다. 무형문화재는 여러 세대를 거치며 사람이 사람으로, 입에서 입으로, 손에서 손으로 전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현대 문명의 영향으로 사라지거나 변형될 위험성이 커 1962년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한 이후, 국가나 시도는 이것들을 보호하고 원형적 형태를 유지 전승시킬 기반을 마련하고자 노력하였다. 이후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 따라 2016년 3월, 『무형문화재 보존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무형문화재법’)을 제정하면서, 무형문화재의 원형보존 중심에서 전형 보존의 중심으로 변화하는 등 무형문화재의 전승 정책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이에 국가에서는 2013년 전라북도 전주시에 문화재청 산하 국립무형유산원을 설립하여, 무형유산의 전문화와 고도화를 통해 무형유산의 활성화를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무형유산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과정을 개설하여 무형유산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무형유산 강사의 교수역량을 강화하며, 사회 교육과정을 통해 무형유산의 향유계층을 확대하고, 무형유산의 미래 전승자를 확산시키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공예 분야 무형문화재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그것을 문화재재단 산하 한국공예건축학교의 교육프로그램과 비교 분석하여 그것의 활성화 방안을 밝히는 데 그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크게 3장으로 나누어 무형문화재의 역사적 변천, 무형문화재 전통 공예기술 종목의 분류와 전수교육, 국립무형유산원 교육프로그램의 분석과 한국공예건축학교 프로그램과 비교 분석해서 그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았다. 첫째, 무형문화재의 역사는 크게 4시기로 구분하여 시기별로 공예 분야 종목의 지정과 보유자의 인정 등에 대한 시기별 변천 내용을 살펴보았다. 1기 태동기는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한 이후 문화재관리국에서 1982년까지이며, 이 시기에는 국가와 시도에서는 역사적이나 학술적으로 가치가 큰 기술을 종목으로 다수 발굴하여 지정하였고, 그 기능을 지닌 사람을 보유자로 다수 인정하였다. 공예 종목 보유자의 기능을 다음 세대에게 전승하기 위해 전통적인 방식을 따라 보유자들이 아들이나 딸에게 도제식으로 교육하였다. 2기 정착기는 보유자의 전수 교육에 관심을 갖고 1983년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을 설립하고 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을 설치하여 보유자의 개인 공방에서 가족간의 도제식 교육을 대신하는 준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3기 발전기는 1999년 문화재관리국이 문화재청으로 확대 개편된 이후 2003년 국가나 시도 무형문화재의 전수교육을 체계적으로 전담할 전수교육관을 전국적으로 설립을 적극 추진하던 시기였다. 4기 도약기는 2015년에는 무형유산법을 제정하였고 2013년 국립무형유산원을 설립하여 무형문화재 전수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하였다. 둘째,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공예 분야의 종목을 재료와 용도에 따라 분류하고 그 전수실태를 살펴보았다. 전통적으로 공예는 재료를 다루는 기술적 특성에 따라 대학에서는 크게 금속공예, 도자공예, 목공예, 섬유공예로 나뉜다. 본고에서는 이를 토대로 재료를 좀 더 세분해서 칠공예, 죽공예, 옥석공예, 피모골각공예로 나누었고, 용도를 감안해서 복식, 악기공예, 채화공예를 추가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11분야로 전통공예의 종목을 분류한 것을 토대로 종목별로 보유자와 전수교육조교의 관계 및 이수자의 숫자를 통해 전수의 활성화 여부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보유자와 전수자는 대부분 부모와 자녀였고, 그들의 교육방법은 혈연에 의한 사제 전승이 대부분이었다. 다만 이수자가 많고 전승이 활성화된 종목일수록 가족 전승보다 스승과 제자의 관계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공예 종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유자의 사적인 개인 공방보다는 개방적이고 공적인 전수교육관에서 교육을 하는 방향으로 문화재 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하고, 보유자 또한 가족보다는 일반 제자를 가르치는 공교육 방식으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었다. 셋째,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각종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설립된 지 5년의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유산원에서는 많은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전국에 설치된 종목별 전수교육관에서는 보유자가 개인 공방처럼 부자 전승으로 교육이 진행되었던 반면, 유산원에서는 해당 종목의 전수교육조교나 이수자를 적극 활용한 점이 주목되었다. 다만 교육프로그램은 종목별로 균형 있게 안배되어 있지 않고 특정 분야에 활성화된 종목에 여전히 집중되어 지원되는 양상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의 상당수가 1일에서 1주일 이내의 초단기간이거나 길어도 1달 이내의 단기간이었고 길어도 6개월 미만이었다. 무형유산 전승자들의 역량 강화하고자 했지만, 참여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교과과정이 많이 부족하였고, 자발적인 교육 참여를 유도한 동기 유발 과정이 생략되어 학업 성취도와 지속적 참여를 위한 자발적 동기 유발 프로그램의 미흡하였으며, 교육대상에 적합한 단계별 수준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미흡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 활성화가 되지 못했다. 더욱이 장인의 도제식 이수 교육은 아무리 짧아도 3년에서 5년 이상이 요구된다고 본다면, 향후 유산원에서 공예기술 프로그램의 추진 목표는 보유자 양성이라는 장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3-5년에 이르는 중장기 프로그램을 발굴 운영될 필요가 있었다. 넷째, 국립무형유산원과 한국공예건축학교의 교육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도출해 보았다. 그 결과 국립무형유산원과 한국공예건축학교의 교육프로그램을 종목별로 비교해보면 양자는 대체로 유사하였다. 곧 사라질 위기에 처하여 긴급하게 지원할 침체된 종목보다는 수요가 높고 활성화된 종목이 대부분이어서 향후 종목의 다변화가 요구되었다. 기간별로 보면 전자는 설립된 지 5년 밖에 되지 않아 대부분 단기 강좌 위주로 편성되었는데, 후자는 1년 이상 3년까지의 중장기 계획이 개설되어 운영되었다. 이에 국립무형유산원은 중장기 교육프로그램의 신규 개설과 이에 따른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장기 로드맵이 마련되어야 할 것 같다. 아울러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전문교육과정의 신규 이수자 이수자들이 전 과정 수료 후 교육받은 내용을 활용할 수 있도록 문화재청이나 국립무형유산원의 사업에 참여자격을 부여하는 방안이나 무형문화재 현장에서 전문역량을 활용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요구되었다. 한편 사회교육과정은 초중고 학생들의 체험 교육이 아닌 일반인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였다. 아울러 전주라는 지역적 특성상 주말을 이용한 프로그램의 활성화 또한 요구되었다. 그리고 대학연계교육의 활성화를 통해 전공 관련 대학생들이 학점 이수 후에 종목별 전수프로그램으로 진입하거나 전문교육과정을 계속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단계별 개발도 요구되었다. 이처럼 국립무형유산원에 중장기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추진을 통해 무형문화재 공예 종목의 교육 활성화가 가능하고, 우리의 전통문화 또한 더욱 발전하게 되면 그 우수성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