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esarean Myomectomy as a reasonable choice: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이영은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Objective: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myoma size, single vs multiple, location, weight) in Cesarean myomectomy (CM) and to demonstrate the additional advantage of CM by subgroup analysis. Methods: Retrospective data was collected from 292 women with uterine myomas who had undergone Cesarean section (CS) in Hallym University Kangnam Sacred Heart Hospital between January 2007 and March 2019. Information about uterine myomas (type, diameter, weight, and number) was collected from the preoperative ultrasonography or the operation records. The types of myoma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cluding subserous & pedunculated (SS), intramural (IM), and submucous (SM). The weight of myoma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250g, 250-500g, ≥500g). The number of myomas was categorized as single or multiple. The diameter of the myoma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5cm, 5-10cm, ≥10cm). Results: 119 of 292 had a CM and 173 of 292 had CS only(CSO). A statistically increase in postoperative hospitalization and operation time were observed in women undergoing myomectomy compared with those who had CSO. The estimated blood loss, differences of hemoglobin, postoperative transfusion rate of CM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CSO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intra/post-operative complication between two groups. No case of cesarean or postpartum hysterectomy was reported among the 119 parturient women who underwent CM. In subgroup analysis, the larger the myoma (both size and weight) increased the risk of bleeding that leads to transfusion. The estimated blood, differences of hemoglobin, postoperative transfusion we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myoma size. There was a similar increasing trend for the myoma weights. A statistically increase in postoperative hospitalization was observed in women with larger myoma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operative outcomes between three types of myoma (SS, IM, SM). Conclusion: There are 2 factors that affect operation risk (especially Transfusion rate) including size and weight of myoma, but the number and type of myoma are unrelated to the prognosis of surgery. Although CM group needed more transfusion, the safety of CM is not inferior to that of CSO, considering the positive effects such as gynecological symptom relief and avoidance of next surgery.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제왕절개 중 근종제거술에서 다양한 인자(자궁근종의 크기, 개수, 위치, 무게)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고 제왕절개 중 근종제거술의 추가적인 이점을 찾아내기 위하여 하위 그룹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에서 2007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제왕절개술을 받은 292명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자궁근종에 대한 자료(종류, 직경, 무게, 개수)는 수술 전 초음파 또는 수술 기록지를 조사하였다. 자궁근종의 종류는 장막 하&유경성, 벽내, 점막 하 근종으로 세가지로 구분하였다. 자궁근종의 무게는 250g 미만, 250-500g, 500g 이상의 세군으로 나누었고 근종의 개수는 하나 또는 다수로 분류하였다. 근종의 직경은 5cm 미만, 5-10cm, 10cm 이상의 세군으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 292명 중 119명에게 제왕절개술 중 근종제거술을 시행하였고 173명은 제왕절개술 단독으로 시행하였다. 제왕절개술 중 근종제거술을 받은 환자군에서 수술 후 입원 기간과 수술 시간 증가가 관찰되었다. 수술 중 혈액 손실, 수술 전 후 혈색소 변화, 수술 후 수혈 비율도 근종제거술을 받은 환자군에서 좀 더 높게 관찰되었다. 하지만 임상적으로는 의미가 적은 정도의 변화였으며, 수술 전 후 수술적 합병증은 두 군 사이 차이가 없었다. 119명의 근종절제술 환자군에서 수술 중 또는 수술 후 자궁절제술을 하게 되는 경우는 없었고 오히려 대조군에서는 4명의 환자에서(2.31%) 자궁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하위 그룹 분석을 하였을 때, 근종이 크고 무거울수록 출혈의 위험이 높았고 그로 인한 수혈의 가능성도 올라갔다. 더 큰 근종을 제거할수록 수술 후 재원기간이 길어졌으나 근종의 종류에 따라서는 모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 근종제거술의 수술적 위험성(특히 수혈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2가지인데, 그것은 자궁 근종의 크기와 무게이다. 자궁근종의 개수나 종류는 수술의 예후와 관계가 없었다. 제왕절개 중 근종제거술 계획 시 크기가 클수록 수혈의 위험성에 대하여 심층적인 상담이 필요하겠다. 제왕절개 중 근종제거술이 수혈의 위험을 높인다 하더라도, 안정성은 제왕절개술 단독과 크게 차이가 없으며, 자궁근종으로 인한 증상 경감 효과와 추후 있을 수 있는 이차적인 수술을 피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는 임산부는 수술 방법과 예후에 대하여 숙련된 산과 의사와 상담이 필요하겠다.

      • 노년군의 자극음 유형, 분리 각도, 배경 소음에 따른 청각장면분석과 청취노력 연구

        곽찬범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the daily listening situations, the target sound and background noise are presented simultaneously. In most cases, it is hard to selectively listen the target sound and mask the noise by the listeners. If the auditory system is deteriorated by either hearing loss or aging, they experience much difficulty. The term Auditory Scene Analysis (ASA) refers to the process of grouping and segregating sensory data into metal representations. Also, especially for the speech sounds, listening effort which regarded as the mental exertion required to attend to, and understand, an auditory message is necessary to conversation with others. Although factors such as aging, background noise, and degree of segregation are negatively affected to the ASA and listening effort of the listeners, there are little or a lack of studies related.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ype of stimuli, degree of segregation, and level of background nose on the ASA and to compare the listening effort required to the ASA while seeing aging effect. Methods: A total of 50 participants (25 old adults and 25 young adults) participated in a series of the experiments. To examine the frequency detection ability, tones of four frequencies consisted of two for low-frequency (i.e., 250 and 500 Hz) and two for high-frequency (i.e., 4000 and 8000 Hz) were presented in the Exp. Ⅰ. For the Exp. Ⅱ, the ability of sentence detection was measured using Korean Standard Sentence Lists for Adults (KS-SL-A). Both Exp. Ⅰ and Ⅱ was presented by eight spatially segregated speakers. On the other hand, Exp. III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background noise and spatial segregation while having two levels of background noise and nine degrees of spatial segregations. After completing each experiment, a subjective five-scale question was applied to measure the listening effort for each experiments. Finally, K-SSQ (Korean version of the Speech, Spatial, and Qualities of hearing Scale) which designated to measure and to assess the binaural hearing advantages was measured. Results: In Exp. Ⅰ, the o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than the young group. Accuracy between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high-frequency, but not for low-frequency. While the right-side position (270°) was the highest difference of accuracy between two age groups, the back position (180°) showed the smallest difference of accuracy than the other directions. The Exp. Ⅱ demonstrated that old group showed poorer accuracy than their young counterparts. In the directionality, the differences of accuracy between old and young group were the highest at 180° (back position) and the lowest at 45° (front-left side). With the background noise, accuracy of the sentence recognition was decreased in both old and young groups. However, the old group had significantly much decreased accuracy as the level of background noise increased, compared to the young group. The front-back confusion was dominant in the differences of accuracy as the aging effect. As expected, the amounts of listening effort required to all experiments for old group showed higher than those of the young group.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all experiments, the aging had negatively affected the ASA and listening effort. That is, aging deteriorate the individuals’ sensory, perceptual, and cognitive functions of the auditory system in both peripherally and centrally. In terms of the increased quality of life and better communication situation for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ging and its possible problems (i.e., poor localization ability and speech perception in the presence of background noise) and to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s and rehabilitations for them. 목적: 일상생활에서의 청취 환경은 청자가 듣고자 하는 자극음과 소음이 동시에 제시되기 때문에 특정 자극음을 선택적으로 집중해서 듣고 이해하는 것은 무척 도전적이다. 이러한 청취 과정에서 요구되는 청자의 분석 기능 및 정신적 노력을 각각 청각장면분석, 청취노력이라 한다. 청각장면분석과 청취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노화, 배경 소음의 유무, 자극음의 분리 각도 등이 있으며 조건에 따른 정확도의 차이는 몇몇 보고되었으나, 자극음의 유형, 분리 각도, 배경 소음의 정도 및 이를 노화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종합적으로 결론을 내린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부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과 성인을 대상으로 자극음 유형과 분리 각도, 그리고 배경 소음의 강도에 따른 청각장면분석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노화로 인한 청각장면분석에 요구되는 청취노력의 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정상 청력을 가진 총 50명의 대상자 (노인 25명, 성인 25명)를 대상으로 총 1회의 설문 조사와 3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청각장면분석의 방향성 환경을 위해 총 8개의 스피커가 대상자를 기준으로 1m 떨어진 위치에서 45°의 간격으로 위치하였다. <실험 1>은 방향성에 따른 주파수 별 정확도와 청각장면분석 측정을 위해 순음을 제시하고 제시되는 순음에 대한 위치분별의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순음은 자극음 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250 Hz와 500 Hz의 저주파수 순음과 4000 Hz와 8000 Hz의 고주파수 순음으로 구분하여 총 4개의 순음을 적용하였다. <실험 2>는 문장을 사용하여 방향성에 따른 문장 탐지의 정확도를 통한 청각장면분석을 확인하였다. 문장은 한국표준어음청각검사 도구 중 문장표를 사용하였다. <실험 3>에서는 2 가지의 배경 소음 강도와 9 가지 분리 각도 시 소음과 분리 각도에 따른 청각장면분석의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각 실험 별 청취노력은 7점 척도 설문지를 사용하여 주관적으로 확인하였고, 대상자의 평소 양이청취 혜택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K-SSQ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결과: 방향성에 따른 주파수 별 정확도를 측정한 <실험 1>의 결과는 노년군이 청년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저주파수에 대한 노년군과 청년군 간 정확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고주파수에 대한 정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방향성에 따른 <실험 1>의 정확도 결과는 우측면인 270°에서 연령 그룹 간 차이가 가장 컸으며, 후면인 180°에서 정확도의 차이가 가장 작았다. <실험 2>의 방향성에 따른 문장 탐지의 정확도 분석 결과, 노년군은 청년군에 비해 낮은 정확도를 보였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방향성에 따른 <실험 2>의 정확도는 후면인 180°에서 가장 큰 연령 그룹 간 차이를 보였으며, 좌측면인 45°에서 연령 그룹 간 차이가 가장 작았다. <실험 3>의 0 dB 와 -6 dB의 신호대잡음비 조건과 0° ~ 360°의 방위각 조건에서 정확도는 모든 조건에서 노년군이 청년군에 비해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방위각에 대한 연령 그룹 간 정확도의 차이는 후면인 180°와 전면인 360°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별 청취노력에 대한 연령 그룹 간 결과는 노년군이 청년군에 비해 모든 실험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청취노력을 보였다. 결론: 주파수 탐지 능력, 문장 탐지 능력, 소음 상황에서의 문장 인지 능력을 통해 확인한 청각장면분석과 이에 요구되는 청취노력은 노화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는 말초 및 중추신경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는 감각기관과 인지적 능력의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원활한 의사소통이라는 측면에서 노화로 인한 특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방향성 탐지 능력의 저하와 배경 소음 상황에서의 어음 인지 능력 저하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인 중재와 재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 뇌졸중 환자의 활동성 증진이 보행기능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은경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7

        Purpose: : It intends to find the effect that the activity change of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produces on the gait and cardiopulmonary functions and further reveal the importance of the activity increase and physical activity of stroke patients. Method: First, selected 50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fit for the selection criteria, then made them wear the pedometer, and lastly conducted the experiment after classifying them into two groups of high activity and low activity. Each training group participated five times per week for eight weeks in total. Due to the discharge or withdrawal, finally 45 patients completed the experiment. The test items included the gait capacity (step length, stride length, step width, stance phase, double stance, cadence, step time, stride time) and functional gait capacity (10 meter walking test, 6 minute walking test, timed up and go), and cardiopulmonary capacity using peak-flow meter, which were measured three times totally at the 0th week, 4th week, and 8th week. Result: After the 8 week experiment, in the gait components, namely, step time, stride time,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5), in the functional gait components such as 10 m WT, 6MWT, and TU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p<.05), and lastly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e cardiopulmonary capacity (p<.05). Among two groups, the high activity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p<.05).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high activity group is more influential than the low activity group in the gait and functional gait capacities, and cardio pulmonay function.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for the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the efficiency of the gait and cardiopulmonary functions can be enhanced by increasing their activity through the method besides the medical treatment.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으로 입원중인 재활병원에 입원중인 환자의 활동성 증진의 차이가 보행기능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활동성을 증진시키고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독립적 보행이 가능한 뇌졸중 환자 50명을 선발하여 1일당 만보기의 숫자를 기반으로 활동량이 많은 군과 활동량이 적은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각 환자군은 8주간 만보기를 착용하였으며 퇴원, 중도포기로 인하여 최종적으로 45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각 환자군은 0주, 4주, 8주 총 3회 보행능력(step length, stride length, step width, stance phase, double stance, cadence, step time, stride time)와 기능적 보행능력(10 m WT, 6MWT,TUG), Peak-flow meter를 사용한 심폐능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8주간의 실험 후 보행요소 step time, stride time, step length, stride length에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기능적 보행 요소에서는 10 m WT, 6MWT, TUG 모 두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심폐능력 또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에서는 활동성이 많은 군이 활동성이 적은 군보다 보행능력, 기능적 보행능력 그리고 심폐기능에서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 의 기능적 보행능력 및 심폐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치료외적으로 활동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보다 더 효율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 상호 작용식 메트로놈 중재가 발달적 실행 문제가 있는 아동의 운동기능, 주의집중력 및 타이밍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연구

        박소현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에 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상호 작용식 메트로놈을 중재하였을 때 운동기능, 주의 집중력, 타이밍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단일 사례 연구 중 ABA' 설계를 하였다. 연구는 기초선 과 중재 후 대. 소근육의 협응 및 균형의 효과는 BOT-2, 주의집중의 변화는 Digit span test(DST) forward, backward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중재 기간에는 IM을 15회기로 4주 동안 회기당 30분간 중재하며, 1회기 때 Long Foam Assessment(LFA) 전체 평가 후, 2회기 부터 16회기까지 Short Foam Assessment(SFA)로 평가하였다. 17회기에 LFA를 재평가 후, IM의 타이밍에 대하여 중재 전후를 비교하였다. 결과: BOT-2를 활용하여 운동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Fine motor precision, Fine motor integration을 제외한 나머지 평가항목에 대해서는 최소 3에서 최대 17 범위로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향상된 변화가 있었다. 숫자 따라 말하기 검사를 (DST) 활용하여 주의집중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Forward와 Backward 모두 1점 향상된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IM 전체형 검사(LFA) 적중률(SRO %)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측정한 결과, 초기 중재 전 측정점수는 3.50점의 적중률을 보였고, 중재 후 측정점수는 18.79점으로 15.29의 퍼센트포인트(% p) 향상된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IM의 SFA 적중도의 변화는 과제1의 피드백 안내음이 없을 때 1회기 1점에서 15회기 16점 변화가 있었고 과제2의 피드백 안내음이 있을 때 1회기 1점에서 15회기 9점으로 변화된 향상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IM의 Task average의 변화는 과제1의 피드백 안내음이 없을 때 1회기 209.30에서 15회기 56.10, 과제2의 피드백 안내음이 있을 때 1회기 293.12에서 15회기 47.30으로 변화된 향상을 확인하였다. 작업 프로파일을 토대로 보호자 면담을 진행한 결과, 환경적인 요인에 대한 변화는 없었다. 개인 요인에서 아동의 만족도나 자신감에 향상이 있었다고 하였다. 결론:본 연구는 실행에 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상호 작용식 메트로놈을 중재하였을 때 운동기능, 주의집중력, 타이밍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17회기 중 15회기의 중재기 동안 30분의 IM 훈련을 실시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2년 9월부터 10월까지였고 연구 설계는 단일 대상 연구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IM을 적용했을 때, 운동기능과 주의집중력과 타이밍에 모두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운동기능 속도와 민첩성, 손의 기민성, 균형, 협응에서 중재 전과 큰 차이의 점수를 보였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실행에 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IM이 운동기능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IM 타이밍의 정확도 역시 향상된 점수를 보여줌으로써 IM 훈련이 실행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위해 임상적 중재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근거가 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vene an interactive metronome to children with dyspraxia. We want to find out if there is an effect on motor function, attention, and timing. Method: This study performed ABA' design among single case studies. The study measured the effects of gross motor, fine motor coordination and balance at baseline and after intervention using the BOT-2 and the change in attention using the Digit span test (DST).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IM was intervened for 30 minutes per session for 4 weeks with 15 sessions, and after the overall evaluation of Long Foam Assessment (LFA) in session 1, Short Foam Assessment (SFA) was evaluated from session 2 to session 16. After reassessing the LFA at the 17th session, the timing of IM was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motor function using BOT-2. For the rest of the evaluation items except fine motor precision and fine motor integration, there were improved changes after the intervention than before the intervention, ranging from a minimum of 3 to a maximum of 17. Changes in attention were examined using the Number Speech Test (DST). There was a change of 1 point in both Forward and Backward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ccuracy using the IM Total Test (LFA) hit rate (SRO %) in this study, the initial measurement score before intervention showed a hit rate of 3.50 points, and the measurement score after intervention was 18.79 points, a percentage point of 15.29 ( % p) There was an improved change. In this study, there was a change in the SFA accuracy of IM from 1 point in 1 session to 16 points in 15 sessions when there was no feedback sound in Task 1.When there was a feedback guide sound in Task 2, an improvement was confirmed from 1 point in the first session to 9 points in the 15th session. In this study, the change in IM's task average was 209.30 in the 1st session when there was no feedback guide sound for task 1, 56.10 in the 15th session, and 293.12 in the 1st session when there was a feedback guide sound for task 2.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with the guardian based on the work profile, there was no change in environmental factors. It was said that there was an improvement in children's satisfaction or self-confidence in individual factors.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interactive metronome on motor function, attention, and timing in children with performance problems. As a result, motor function, attention concentration, and timing all showed improved results. In particular, the scores of motor function speed, agility, hand dexterity, balance, and coordination showed a big difference from before the intervention. In other word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IM is effective for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execution problems. In addition, the accuracy of IM timing also showed an improved score, which will be the basis that IM training can be applied as a clinical intervention method for children with performance problems.

      • 코로나 팬더믹 시대에 응급실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동료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영란 한림대학교 특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ed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emergency room nurses' job stress and peer support on burnout in the era of COVID-19 pandem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emergency room nurses working at emergency medical centers of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do. Prior to data collec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consent of the developer and the adaptor via e-mail about the research approval of the IRB of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and the use of the research too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fter the researcher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PASW 21.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job stress, peer support, and burnout.,The burnou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and peer support was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 Scheffe test post-hoc test was conducted.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peer support, and burnout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peer support on burnout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mong the subjects, 81.9% were women, 67.6% were in their 20s, 27.1% were in their 30s, and 5.3% were in their 40s or older. As for marital status, 84.6% were unmarried, 75.8% had bachelor's degree, 45.8% had less than 3 years of working experience, and 52.6% had less than 3 years of working experience in the emergency room. Most of the nurses in the emergency room participated i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infectious disease education and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79.3% of emergency room nurses nursed COVID-19 patients for more than one year, and 73.4% of COVID-19 patients nursed were gastric and severe.Covid-19 confirmation and self-isolation experience of emergency room nurses accounted for more than 80%. 2) Job stress was 2.54 on average, peer support was 4.05 on average, and burnout was 3.23 on average. 3)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re as follows. gender (t=-2.274, p=.024),  age (F=6.823, p=.001), Total clinical experience (F=4.558, p=.004), Work experience in emergency room (F=4.243, p=.006), position (t=-2.148, p=.033), Detachment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t=-2.227, p=.027), COVID-19 Patient Care Period (F=4.463, p=.013), Severity of patients with COVID-19 who were nursed (F=11.027, p=.000),Self-isolation experience (t=-2.450, p=.018). The difference in peer suppor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otal clinical experience (F=3.194, p=.025). The difference in burnou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found in the subject's gender (t=-3.085, p=.002), marital status (t=2.007, p=.046), and position (t=2.155, p=.032).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4)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job stress, peer support, and burnout, the job stress and burnout of emergency room nurses who cared for patients with COVID-19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214, p=.003), peer support and burnou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236, p=.001). 5) Looking at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variables that job stress and peer support affect burnout of the subject, female (β=.209, p=.002) in gender and unmarried (β=.145, p=. .037) And in position, general nurse (β=.149, p=.035), job stress (β=.228, p=.001), and peer support (β=-.251, p=.000) were exhausted. appeared as a factor influencing (F=9.000, p=.000). In other words, job stress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positive (+) variable for burnout, and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burnout. Peer support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negative (-) variable for burnout,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peer support, the lower the burnout.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3 was 17.6%, which was 5.8% higher than that of Model 2 (11.8%).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job stress and peer support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emergency room nurses in the corona pandemic era. Based on these results,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o find job stress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the burnout of emergency room nurses, to prepare countermeasures, and to establish consensus programs to increase peer support for the preparation of new infectious diseases.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더믹 시대에 응급실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동료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강원도 소재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에 근무하는 응급실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 전에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IRB의 연구 승인과 연구 도구 사용에 대해 이메일을 통하여 개발자와 번안자의 동의를 받아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10월 17일부터 11월 4일까지이었다. 시행 전 해당 병원 간호부와 응급의료센터 부서장에게 연구 목적과 방법 및 대상자의 권리 등을 설명하고 협조를 얻어, 연구자가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를 얻은 후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 시 비밀보장을 위하여 상자 수거함으로 밀폐 회수하였다.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문항, 직무스트레스 32문항, 동료지지 20문항, 소진 16문항의 총 8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PASW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직무스트레스, 소진, 동료지지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 편차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t-test, one-way ANOVA로 분석 후 Scheffe test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동료지지, 소진 간 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동료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연구대상자 중 여성이 81.9%였고, 연령은 20대 67.6%, 30대 27.1%, 40대 이상이 5.3%였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84.6%이며, 최종 학력은 학사 75.8%였으며 총 근무 경력은 3년 이하가 45.8%였으며, 응급실 근무 경력은 3년 미만이 52.6%였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96.8%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대부분의 대상자가 감염병 교육 참여 경험과 착탈의 교육 참여 경험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환자 간호 기간은 1년 이상이 79.3%였으며, 주로 경험한 COVID-19 환자의 중증 정도는 위. 중증이 73.4%였다. 대상자의 80% 이상이 COVID-19 확진 경험과 자가 격리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2.54(±0.45)점, 동료지지의 정도는 4.05(±0.54)점, 소진 정도는 3.23(±0.56)점 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대상자의 성별(t=-2.274, p=.024), 연령(F=6.823, p=.001), 총 임상경력(F=4.558, p=.004), 응급실 근무 경력(F=4.243, p=.006), 직위(t=-2.148, p=.033), 착탈의 교육 참여 경험(t=-2.227, p=.027), COVID-19 환자 간호 기간(F=4.463, p=.013), 주로 경험한 COVID-19 환자의 중증도(F=11.027, p=.000), 자가 격리 경험(t=-2.450, p=.018)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동료지지의 차이는 총 임상 경력(F=3.194, p=.02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는 대상자의 성별(t=-3.085, p=.002), 결혼상태(t=2.007, p=.046), 직위(t=2.155, p=.03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동료지지, 소진의 상관관계를 보면 COVID-19 환자를 간호한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r=.214, p=.003)를 나타냈고, 동료지지와 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r=-.236, p=.001)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동료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성별에서 여성(β=.209, p=.002)과 결혼 상태에서는 미혼(β=.145, p=.037) 그리고 직위에서는 일반간호사(β=.149, p=.035), 직무스트레스(β=.228, p=.001), 동료지지(β=-.251, p=.000)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F=9.000, p=.000). 즉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소진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동료지지는 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으로 나타나 동료지지가 높을수록 소진은 감소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모형3의 설명력은 17.6%로 모형2 11.8%보다 5.8%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응급실 간호사가 신종감염병 유행 시 환자를 간호하면서 직무스트레스, 동료지지는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정의 상관관계를 이루었고, 동료지지와 소진은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응급실간호사의 소진 감소를 위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업무 분담과 체계적인 감염 지침 수렴 및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하며, 동료지지를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정책적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더믹 상황에서 응급실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동료지지 및 소진의 관계 규명을 통해 효과적인 업무 개선 및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인지적 탈융합 처치가 우울경향 대학생의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경험회피 및 정신건강 변인들에 미치는 효능

        한아람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of cognitive defusion treatment on mental health variables(depressive symptoms, functional impairment, mental well-being), cognitive content variables(frequency and believability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emotional discomfort and believability of self-referential thoughts), and the process variable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experiential avoidance, rumination, decentering) among undergraduates with depressive symptoms. Forty two undergraduates who showed a score of at least 16 on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ree conditions: cognitive defusion(n=15), distraction(n=15), non-treatment control conditions(n=12). Two active treatment conditions, cognitive defusion and distraction conditions, consisted of three weekly 60 or 90 minute long sess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ating scales of depressive symptoms, functional impairment, mental well-being, frequency and believability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emotional discomfort and believability of self-referential thoughts, experiential avoidance, rumination, and decentering at pre-treatment, three days, and two weeks after treatment completion. Participants in the cognitive defusion treatment condition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reductions in believability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experiential avoidance and rumination, and greater increase in decentering than those of the two comparison conditions. In addition, the cognitive defusion treatment showed a greater tendency to improve emotional discomfort and believability of self-referential thoughts, compared to the distribution treatment. These improvements were maintained at 2-week follow-up. However, changes in depressive symptoms, functional impairment, mental well-being, and frequency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condition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defusion treatment is a promising intervention for improving treatment process variables and cognitive variables among undergraduates with depressive symptoms, although not effective in some variables.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인지적 탈융합 처치가 우울경향 대학생의 정신건강변인(우울증상, 적응기능곤란, 정신적 웰빙), 인지내용변인(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빈도 및 이를 사실로 믿는정도, 자기-참조적 사고에 대한 정서적 불편감 및 이를 사실로 믿는 정도), 수용전념치료의과정변인(경험회피, 반추, 탈중심화)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울경향 대학생을 선별하고자 한국판 역학연구센터용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를 사용하여 16점 이상인 대학생 42명을 인지적 탈융합 처치조건(n=15), 주의분산 처치조건(n=15), 무처치 통제집단(n=12)에 무선 할당하였다. 인지적 탈융합, 주의분산 처치조건은 3회기(주 1회, 회기 당 60-90분)로 진행되었다. 모든 참가자들에게 사전, 종결 후 3일 시점, 그리고 종결 후 2주 시점에 우울증상, 적응기능곤란, 정신적 웰빙,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빈도 및 이를 사실로 믿는 정도, 자기-참조적 사고에 대한 정서적 불편감 및 이를 사실로 믿는 정도, 경험회피, 반추, 탈중심화의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들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적 탈융합 프로그램 집단의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를 사실로 믿는 정도, 경험회피, 반추 수준이 주의분산 프로그램 집단과 무처치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탈중심화 수준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또한 자기-참조적 사고에 대한 정서적 불편감 및 이를 사실로 믿는 정도는 주의분산 프로그램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효과는 종결 후 2주 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증상, 적응기능곤란, 정신적 웰빙,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빈도에서는 측정시기에 따른 세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집단 간 차이가 일부 변인들에서 발견되지 않았음도 인지적 탈융합 처치가 우울경향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치료과정 변인들과 인지변인들을 개선하는 데 대체로 유망한 개입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비교적 짧은 3회기 처치만으로도 인지적 탈융합의 효과가 치료 종결 후 일정기간까지 유지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입증한 점과 같은 본 연구의 의의 및 충분한 참가자를 확보하지 못한 제한점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 골수성 혈액종양의 발현 단계에 따른 DNMT3A 유전자 변이의 발생 빈도와 임상적 의의

        전기범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07

        DNMT3A (DNA methyltransferase 3A) 유전자의 변이는 혈액종양의 발현에 있어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골수성 혈액종양인 골수형성이상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s, MDS)과 급성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에서 변이의 빈도와 예후와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임상적의의를 알아보고자 했다. 방법: 2012년에서 2016년까지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서 진단된 28명의 MDS 환자와49명의 AML 환자를 대상으로 Sanger 시퀀싱으로 DNMT3A 변이를 검출하고 CBC, 검사소견, 임상적 양상 및 예후에 대한 정보를 EMR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결과: MDS에서는 DNMT3A 변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AML환자에서는 6명(12.2 %)에서 확인이 되었다. AML 환자 중 DNMT3A 변이군에서 65세 이상 환자의 비율이 변이가 없는 군에 비해 작은 경향을 보였으며(33.3% vs 48.8% ,P=0.671) 백혈구 수가 높았다 (24.4 vs 3.3 P=0.030). 변이군은 모두 단구계열의 AML에 해당하였고, 반복 유전자재배열을 보인 예는 한 예도 없었으며,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정상핵형을 보였었다. 변이군은 변이가 없는 군에 비하여 완전 관해 비율이 높았고 (50% vs 27.9%, p=0.353), 완전 관해에 도달하는 기간이 짧았으며(1.1 개월; 95% C.I 1.1 – 1.2 vs 1.2 개월; 95% C.I 1.0 – 2.8, P=0.613), 완전 관해 후 재발되는 비율이 낮았지만 (0% vs. 41.7%, P=0.505) 통계적인 유의함은 없었다. 생존분석에서 변이군의 총생존기간은 29.0개월 (95% C.I 5.5–52.4)이고 변이가 없는 군은 10.8개월(CI 0.5 – 21.0)이었다. 무재발생존기간은 DNMT3A 변이군은 29.0 개월(CI 5.5 – 52.5)이고 wild-type 군은 8.0개월 (CI 0.0 – 16.3)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변이군이 변이가 없는 군에 비해 총생존기간과 무재발생존기간이 긴 경향을 보였다. (P =0.951, P =0.612). 결론: 변이는 MDS에서는 한 예도 관찰되지 않는 반면 AML에서는 12.2%에서 관찰되어 골수성 혈액종양에서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변이의 발생빈도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DNMT3A 변이는 백혈구 수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으나, 연령의 증가나 AML에서의 예후와는 뚜렷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변이는 노화에 따른 유전자 이상이나, 예후를 결정하는 인자일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Mutation in DNMT3A (DNA methyltransferase 3A) has been identified as a key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hematological malignancy. We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DNMT3A gene mut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and prognosis in Korean AML and MDS patients. Methods: From 2012 to 2018, we enrolled forty-nine patients diagnosed with AML and twenty-eight MDS. We performed Sanger sequencing to analyze DNMT3A mutation using residual bone marrow samples. We also collected other laboratory data and clinical information via electronic medical records. Results: In MDS patients, there was no DNMT3A mutations. We found DNMT3A mutations in 6 out of 49 AML patients (12.2%). The portion of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was smaller in DNMT3A mutation group (33.3% vs. 48.8%, P=0.671). DNMT3A mutation group showed higher rate of complete remission (CR) (50% vs. 27.9%, P=0.353), shorter period to CR (1.1 months; CI 1.1 – 1.2 vs. 1.2 months; CI 1.0 – 2.8, P=0.613), and lower relapse rate after CR (0% vs. 41.7%, P=0.505) than wild-type DNMT3A group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rvival analysis, the median overall survivals (OS) were 29.0 (CI 5.5 – 52.4) months for DNMT3A mutation group and 10.8 (CI 0.5 – 21.0) months for wild-type group. The median Relapse free survivals (RFS) were 29.0 months (CI 5.5 – 52.5 months) for DNMT3A mutation group and 8.0 months (CI 0.0 – 16.3 months) for wild-type group. However, the effect of DNMT3A mutation on OS and RF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951, P =0.612). Conclusion: While no mutations were observed in patients with MDS, DNMT3A mutation was observed in AML at 12.2%. It suggested the frequency of mutation was increased as the disease progressed in myeloid neoplasm. DNMT3A mutations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 of WBC counts but not associated with age or the prognosis of AML. Considering all our results, DNMT3A mutation does not seem to be associated with aging or a factor determining prognosis of AML.

      • DISCERN 평가 도구를 이용한 치주 질환 인터넷 의료 정보의 질 평가

        김혜선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revalence rates of periodontal disease are high and the medical expenses have been on the rise in Korea. High Internet penetration rates and its popularity in Korea make consumers search for the health information by using Internet search engine to find out the proper medical treatment.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websites offering the information on periodontal disease in Korea and assessed the quality of the health information. The study understood the current status of these websites and was aimed at providing quality health information in order for consumers to choose the proper medical treatment. In order to assess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six keywords including “periodontitis”, “gum disease”, “periodontal disease”, “my gums are aching and bleeding”, “my tooth is loose”, “my teeth hurt” were entered on Korea’s three most popular search engine(Naver, Daum, Zum). The result from the keywords limited the search ads, websites, blogs, cafes(Korea’s online community sites) to 3 pages each and the final 385 websites were evaluated. To compare the quality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websites for health information provided by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Canada and Australia were selected. Four keywords(“periodontitis”, “gingivitis”, “gum disease”, “periodontal disease”) were entered to evaluate the sites searched by them. The DISCERN Instrument develop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consists of 16 items and 5 Point Likert Scale. Three dental hygienists evaluated the websites by making good use of the DISCERN translated by Park Jae Hyun and others. The result based on Internet health information provided by website administrators showed that the DISCERN Score was 1.9 for the personal websites, 2.0 for the dental clinic websites, 1.6 for the general medical clinic, 1.6 for general and university hospitals, and 1.4 for others in the category of reliability. The DISCERN Score was also 1.5 for the personal websites, 1.6 for the dental clinic websites, 1.3 for the general medical clinic, 1.3 for general and university hospitals, and 1.4 for others in the category of information quality. The Score was 1.1 for the personal websites, 1.2 for the dental clinic websites, 1.1 for the general medical clinic, 1.2 for general and university hospitals, and 1.1 for others in the category of overall information quality. These scores speak volumes about serious shortcomings as health information. The result on Internet health information provided by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and other nations revealed that the DISCERN Score was 2.8 for Korea, 3.5 for the United States, 3.1 for United Kingdom, 2.2 for Canada, and 2.9 for Australia in the category of reliability. The DISCERN Score was also 2.3 for Korea, 2.8 for the United States, 2.5 for United Kingdom, 1.7 for Canada, and 1.8 for Australia in the category of information quality. The Score was 2.6 for Korea, 3.2 for the United States, 2.8 for United Kingdom, 2.0 for Canada, and 2.4 for Australia in the category of overall information quality. The scores showed that Korea did not even partially meet the evaluation criteria. As a result of the level of agreement among three raters(dental hygienists), the assessment on Internet health information provided by website administrators showed that Fleiss' kappa was 0.17(“poor”). the assessment on Internet health information provided by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and other nations revealed that Inter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64(“good”). The study showed a clear indication of the fact that all the health-related websites can provide consumers with the quality information so that they could choose the correct medical treatment.

      • 강원지역 교무행정사의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원은주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7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work-related stress of school administrators workers in Gangwon-do .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community site joined by more than 400 members out of 1,192 school administrative workers. Theses administrators work in the Education Support Center,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junior high schools, high schools, and special school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months, June to September 2016 and the in-person survey was conducted for one month, June to July 2016, using snowball sampling method. The Korean version of the Job Stress Assessment Tool was used as a short form, and a multivariate logarithm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 tried to capture the factors of work-related stress in greater detail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school administrators. RESULTS: In the group of respondents over 40 years ol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demands (OR = 1.77, 95% CI = 1.02 ~ 3.06) and organizationl system (OR = 1.64, 95% CI = 1.00 ~ 2.69) among 7 detail factors of job stress. For respondents below 40 years of age, there 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insecurity (OR = 0.56, 95% CI = 0.32 ~ 0.98). Also, in the low job satisfaction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ganizational system (OR = 6.07, 95% CI = 3.56 ~ 10.35) and lack of reward (OR = 7.98, 95% CI= 4.74 ~ 13.45). CONCLUSION: To improve work-related stress for school administrators, organizations should try to find solutions to job demands, organizational systems, job insecurity, and lack of reward, and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 Applica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Febrile Young Infants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in the COVID-19 Pandemic Era

        박아영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Introduction Fever is a common chief complaint in young infants in the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ED). Febrile infants are at a high risk of developing severe and invasive bacterial infections (SBI/IBI), including urinary tract infections, bacteremia, and bacterial meningitis. Therefore, extensive evaluation, including lumbar puncture, accompanied by hospitalization and administration of parenteral antibiotics has been routinely implemented by many institutions. Numer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PGs) to identify low-risk patients who can be sent home without intravenous antibiotic treatment. As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NPIs)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era, identifying low-risk febrile infants and ensuring that medical resources are more frequently used for high-risk infants have become even more important during the pandemic. Therefore, we retrospectively applied various protocols and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guidelines to identify febrile infants at a low risk for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ccuracy of these protocols. Method We retrospectively collected the clinical data of febrile infants aged 8–60 days who were admitted to our institution the ED between January 1 and December 31, 2021. Demographic variables (age and sex); body temperature; and results of the blood, urine, and cerebrospinal fluid (CSF) analyses and their culture results were collected. Various CPGs (step-by-step, Lab-score, Pediatric Emergency Care Applied Research Network, Febrile Young Infant Research Collaborative, and AAP guidelines) were applied in each case, and the performance accuracy was evaluated. We additionally collected the clinical data of febrile infants aged 8–60 days admitted to the ED of this institution between January 1 and December 31, 2016, and compared the data with the 2021 cohort data. Results Sixty-three patients were enrolled; of these, 27 (42.9%) were diagnosed with SBI, including four patients with IBI, with three patients having bacteremia and one having bacterial meningitis. No patient with SBI was classified as a lowrisk case according to each protocol, except for the Lab-score CPG.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of the AAP guidelines were 30.6%. 100%, and 1.00, respectively. Two (3.2%) patients for whom hospitalization was not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AAP guidelines were hospitalized, and 27 children for whom oral antibiotics were recommended received intravenous antibiotics instead. Compared to the 2021 data, the incidence rate of SBI was lower in 2016,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easonal fluctuation in non-SBI cases observed in 2016 was not present in 2021. Conclusion The AAP guidelines revealed a high specificity and PPV for identifying low-risk SBI cases among febrile infants. It could be a useful tool in the ED, as it reduces the performance of invasive procedures and unnecessary hospitalization. Given that one case of bacterial meningitis was missed when using one CPG, clinicians should apply CPGs with caution and actively use newly developed diagnostic tools to identify the causative pathogen. 목적 어린 영아의 발열은 응급실로 흔하게 내원하는 주소이며, 다른 연령에 비하여 요로감염, 균혈증, 뇌수막염을 포함한 중증세균감염의 위험이 높다. 전통적으로 혈액배양 검사, 소변검사, 요추천자를 시행 후 적극적인 입원 치료, 항생제 치료를 하였다. 발열이 있는 어린 영아에서 정주용 항생제 및 입원치료가 불필요한 저위험군을 선별하려는 노력으로 여러 진료지침이 발표되었으나, 실제 임상에서는 널리 활용되지 않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2021 년 8 월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에서 생후 8-60 일 사이의 발열이 있는 영아에 대한 증거 기반의 평가 및 진료지침을 발표하였다. 또한 2020 년 2 월부터 코로나바이러스-19 대유행으로 선제 격리 등의 이유로 의료자원이 제한된 상황에서, 발열이 있는 영아에서 저위험군을 선별하여 불필요한 입원 제한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어 이러한 지침 활용의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였다. 이 연구는 AAP 진료지침의 실제 임상 진료에서의 타당성 평가를 위하여, AAP 진료지침과 이전에 제시되었던 저위험군 선별 진료지침을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2021 년 1 월 1 일부터 2021 년 12 월 31 일까지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응급실에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였거나, 내원 당시 발열이 확인된 생후 8 일에서 60 일 사이 영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학적 특징, 체온,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뇌척수액 검사, 기타 미생물학적 검사 결과를 전자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얻었으며, 이를 기존의 다양한 발열 영아의 위험도 평가 지침과 AAP 진료 지침을 후향적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2016 년 1 월 1 일부터 2016 년 12 월 31 일 까지 자료를 추가로 분석하여, 호흡기 감염 차단을 위한 비약물적 개입이 시행되었던 2021 년도와 비교하였다. 결과 총 63 건이 포함되었으며, 27 (42.9%) 건이 중증세균감염으로 확인되었다. 그중 4 6.3%) 건이 침습성세균감염이었고, 3 건이 균혈증, 1 건이 세균성뇌수막염이었다. 5 개의 진료지침을 적용하였을 때, Lab-score 를 제외하면, 저위험군으로 선별되었으나 중증세균감염으로 분류된 환아는 없었다. AAP 진료지침의 민감도는 30.6%, 특이도는 100.0%, 양성예측도는 1.00 이었다. 2016 년과 2021 년을 비교하였을 때, 중증세균감염의 발생률은 2016 년도에 더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2021 년에, 2016 년도에 비하여 호흡기 감염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2016 년도에 보였던 계절에 따른 비중증세균감염의 변동이 2021 년에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AAP 진료 지침을 포함한 최근에 개발된 진료지침들은 발열 영아에서 저위험군을 선별하는데 높은 특이도와 양성예측도를 보였다. 따라서 진료지침들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입원과 비경구 항생제 사용, 침습적인 시술의 빈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1 건의 세균성뇌수막염이 Lab-score 진료지침을 적용하였을 때 저위험군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진료지침을 주의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