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캉스의 확장된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가치와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화정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ing diversification of people's lifestyle and consumption power, peopl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leisure and entertainment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fe than before, and they are starting to pursue a moderat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the consumer desire to enjoy vacation comfortably in hotels and other tourist lodging facilities, the new words and concepts such as ‘Staycation’ and ‘Hocance’ have emerged in the marketing field of the tourism industry which combining the two concepts of leisure and tourism. Nowadays, Hocance is becoming a new type of hotel, and has been widely concerned by consumers and the hotel industry. As a new type of hotel, Hocance has a positive impact on attracting tourists, creating added value, increasing revenue and improving service quality, and also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ful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hotel industry. Servicescape is an important concept for evaluating service quality and service environment. Its importance is continuously increasing as an important means to establish differentiated experiential marketing and sensory marketing strategies in the hotel industry, where consumer needs are becoming increasingly diversified and competition increasingly fierce. Customer engagement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are emerging in various research fields because they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subsequent behaviors such as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es, behavioral intentions, word of mouth, and recommendation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extended servicescape of extended servicescape of hocance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based on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theory by injecting the concept of customer engagement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into the servicescape and perceived value that hotel marketers have valued as the core of service quality evaluation. And focusing on the indirect effect and multi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and customer engagement in this causal relationship. In order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among ordinary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in using hocance. SPSS 27.0 and AMOS 26.0 statistical packag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pecific verific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the use of the hocance, the number of hocance users was mainly married women, and the age group was mainly among 20~40 years old. The respondents are mainly graduate students and university graduates, with a high education level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m are more than 3 million to 4 million yuan, indicating that hocance users have higher spending power and are high-quality customer with high education, high income, high quality and high visibilit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ill be of great help in positioning the target consumers of hocance in the future and can provide practical data for research of hocance.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extended servicescape of the hoc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perceived value and customer engagement. High-quality extended servicescape not only makes customers feel valuable, but can also establish customer engagement in terms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to the brand. In addition, the higher the extended servicescape of the hocance is the higher the customer engagement will be, and consumers will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hocance brand and will have a positive tendency to share products, services, and events which related to the hocance to family friends and people around.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engage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value of the hocance, the more likely the cognition, affection, satisfaction, and attachment of consumers will be transfer to the hocance brand that can strengthen the customer engagement. Fourthly,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feedback behavior and advocacy behavior, but it has not been verified that it directly affects help behavior. The reason why the perceived value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helping behavior is that whether to actively help the hocance may greatly depend on the type and personality of the consumers. Fifthly, it was found that the customer eng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customer engagement of a consumer, the more likely they are to voluntarily and actively take feedback behavior, advocacy behavior, and help behavior on the hocance. Sixthly, it was found that the customer engagement played a simpl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ded servicescape of hocance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physical, social, and symbolic servicescape of hocance can indirectly promote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feedback behavior, advocacy behavior, help behavior) through strengthening customer engage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value and customer engagement both played multiple mediating roles in the impact of the extended servicescape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although it could not be verified that the perceived value played a simple mediating role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physical, social, and symbolic servicescape of the hocance can further promote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by inducing customer engagement through strengthening perceived value.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ed that researchers or marketers in the field of hotel management should not only focus on the role of perceived value, but also focus on the core role of customer engagement in the impact of hotel’s servicescape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basic data for hocance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high-end positioning and differentiation strategy, brand strengthening and brand asset construction,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nd value-added creation in the future. It also will provide important inspi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new economic growth points and patterns of the hocance or hotel industry to explore sustainable and high-yield development paths. This dissertation hopes that through the study on the evolution of the hotel structure to make academic innovation, while systematically inducing the hocance development paths in the hotel industry chain, provide references for the government and the investors. 최근 몇 년 동안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날로 다양해지고 소비 능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은 이전보다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저 및 오락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일과 생활의 적절한 균형(Work-life balance)을 추구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호텔 등 숙박시설에서 편안하게 머물면서 휴가를 즐기고자 하는 소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관광 산업의 마케팅 분야에서 레저와 관광의 두 가지 개념을 접목시킨 스테이케이션(Staycation)과 호캉스(Hocance)라는 신조어와 새로운 개념이 생겨나면서 호캉스가 새로운 호텔 형태로 떠오르고 있다. 호캉스가 새로운 호텔 형태로서 관광객 유치, 부가가치 창출, 수익 증대 및 서비스 품질 향상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호텔 산업의 성공적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스케이프는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환경을 평가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소비자 니즈가 날로 다양해지고 경쟁이 격화되는 호텔 산업에서 차별화된 체험 마케팅과 감각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중요한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고객 인게이지먼트와 고객시민행동은 소비자 의사결정과정, 행동의도, 구전 및 추천과 같은 후속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호캉스, 고객 인게이지먼트 및 고객시민행동의 개념을 호텔 마케터 입장에서 서비스 품질 평가의 핵심으로 중시해온 서비스스케이프와 지각된 가치에 투입하여 ‘자극-유기체-반응(SOR)’이론 기반으로 호캉스의 확장된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와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와 다중매개효과 등과 같은 간접효과 검증에 초점을 두었다. 실증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호캉스 이용 경험이 있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27.0 및 AMOS 26.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해 데이터 분석을 하였다. 구체적인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의 인구통계학 특성과 호캉스의 이용 실태에 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호캉스 이용자는 기혼 여성을 위주였으며 연령대는 주로 20대~40대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주로 대학원 졸업과 대학 졸업으로 교육 수준이 높고 월평균 소득이 300만~400만 위안 이상에 집중되어 있어 이들은 호캉스 소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학력, 고소득, 고품격 및 고유도력을 가진 양질의 고객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호캉스의 타깃 소비자를 포지셔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며 호캉스에 대한 연구를 위해 실무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호캉스의 확장된 서비스스케이프가 지각된 가치와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품질의 확장된 서비스스케이프는 고객으로 하여금 가치 있음을 느끼게 할뿐만 아니라 브랜드와 인지, 감정 및 행동 측면의 고객 인게이지먼트를 확립할 수 있다. 또한, 호캉스 확장된 서비스스케이프가 높을수록 고객 인게이지먼트도 높아지는 것으로 소비자들은 해당 호캉스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점점 많아지고 호캉스에 관련된 상품, 서비스 및 이벤트를 적극적으로 주변 사람에게 공유하는 경향을 있을 것이다. 셋째, 지각된 가치가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호캉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소비자의 인지, 감정, 만족 및 애착 등이 호캉스 브랜드로 전이되어 고객 인게이지먼트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가치가 피드백 행동과 옹호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이는 도움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지 못하였다. 지각된 가치가 도움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호캉스를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도와주는지 여부가 소비자의 유형과 성격에 크게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고객 인게이지먼트가 고객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소비자의 고객 인게이지먼트는 높을수록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호캉스에 대한 피드백 행동, 옹호 행동 및 도움 행동을 수행하는 경향이 큰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호캉스의 확장된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고객 인게이지먼트는 단순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호캉스의 물리적·사회적·상징적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 인게이지먼트를 강화하는 것을 통해 간접적으로 고객시민행동(피드백 행동, 옹호 해동, 도움행동)을 촉진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 또한, 확장된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지각된 가치는 단순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검증하지 못하지만 지각된 가치와 고객 인게이지먼트는 호캉스의 확장된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모두 다중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호캉스의 물리적·사회적·상징적 서비스스케이프가 지각된 가치를 강화하는 것을 통해 고객 인게이지먼트를 유도함으로써 나아가 고객시민행동을 촉진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 상술한 연구 결과는 호텔 관리 분야의 연구자나 마케터들이 지각된 가치의 역할에만 초점을 맞출 뿐만 아니라 호텔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핵심 역할을 중시해야 함을 시사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호캉스의 프리미엄 포지셔닝 및 차별화 전략, 브랜드 강화 및 브랜드 자산 구축, 서비스 품질 개선 및 부가가치 창출 등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실문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호캉스 및 호텔 산업의 새로운 경제 성장 포인트와 모델을 구축하여 지속 가능하고 고수익적인 발전 경로를 모색하는 데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세법교육과 세제 공평성 인지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박수종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대전지역의 전문대학과 종합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세법교육과 세제 공평성 인지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 소재의 전문대학 2곳과 종합대학 2곳의 회계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를 제시하여 최종적으로 249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기법으로는 Pearson 상관관계 분석방법과 T-test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첫 번째, 세법교육에 따른 전반적인 세제 공평성 인지도의 차이 분석에서는 세법을 수강한 학생이 수강하지 않은 학생보다 현행 세제에 대하여 불공평하다는 인식을 보였으며, 전문대학과 종합대학 학생 간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세법을 수강한 학생과 수강하지 않은 학생 간의 세제 공평성 인지도에 대한 차이 분석에서는 필요경비, 소득공제, 세액공제, 비과세 항목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세법을 수강한 학생이 수강하지 않은 학생보다 세제 공평성 인지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세 번째, 세법을 수강한 전문대학 학생과 종합대학 학생 간의 세제 공평성 인지도에 대한 차이 분석에서는 필요경비, 소득공제 항목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세액공제와 비과세 항목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전문대학의 학생과 종합대학의 학생 간에는 세제 공평성 인지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법교육과 세제 공평성 인지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현행 조세정책에 대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세제 공평성 인지도를 증대시키려는 정책입안자들에게 기존의 정책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이들 정책에 대한 타당성이나 문제점의 보완 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paper, we take student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Daejeon area as subject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ax law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tax fairness. For this research, we issued a total number of 400 questionnaires to the accounting students in 2 colleges and 2 universities in Daejeon area and 249 of these questionnaires can be used. The analysis benchmark of this researcher is th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irstly, for the general awareness of the fairness of the tax system in tax law education, the awareness of student who have had tax law education recognised the system of taxation more unfair than the student who haven't the education.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on the general awareness of the fairness of the tax system. Secondly, about the requirement of the funds, income credit and tax credit and tax-free projects on the awareness of the fairness of the tax system, it's nearly the same before and after the tax law education. The awareness about the fairness of the tax system is higher in the educated groups. Thirdly, about the requirement of the funds, income credit and tax credit and the tax-free projects on the awareness of the fairness of the tax system, there'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of tax law colleges and the students of comprehensive universities, but there's no big difference on tax-free. In the first part of the results, there's no big difference on the awareness of the fairness of the tax system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This paper can not only helps those policy draftsm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base police accurately but also explain the awareness of the tax law through the theories like practicability assurance at the same time when increasing the awareness of the fairness of the tax law.

      •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낙인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인실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낙인과 사회적 지지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병원 정신과를 이용 중인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총 114부의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낙인은 3.23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2.87점으로 가족의 지지, 전문가의 지지, 친구의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응은 3.02점의 보통 수준으로 약물․증상관리, 개인위생, 가족 내 역할, 여가활동, 직업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척도는 모두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지각하는 낙인, 사회적 지지, 사회적응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지각하는 낙인은 병명에서, 사회적 지지는 결혼상태, 의료보장, 증상․약물교육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응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에서는 가족의 지지는 증상․약물교육 여부가, 친구의 지지는 결혼상태가, 전문가의 지지는 증상․약물교육 여부와 의료보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응에서는 약물․증상관리는 증상․약물교육 여부가, 직업기능은 연령이, 가족 내 역할은 결혼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낙인과 사회적 지지, 사회적응과의 상관관계에서 낙인은 사회적 지지, 사회적응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응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지각하는 낙인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낙인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사회적응을 잘 한다고 할 수 있다.

      • 상실경험이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은순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거주 65세 이상 남녀노인 411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과 주요 상실경험, 스트레스 대처방법이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실천에서 자살생각을 가진 노인들에 대한 사회복지학적 개입의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고 도출해 보고자 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과 전체 상실경험의 차이를 살펴보면, 주거형태가 전세인 노인일수록, 혼자 사는 노인일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노인일수록, 질병이 있는 노인일수록, 월 용돈이 20~30만원 미만인 노인일수록, 그리고 유서를 써 본적이 있는 노인일수록 상실경험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법의 차이를 살펴보면, 연령이 적은 노인일수록, 학력이 높은 노인일수록, 종교가 기독교/천주교인 노인일수록, 배우자가 있는 노인일수록, 노부부끼리 사는 노인일수록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자살생각과의 차이를 살펴보면, 주거형태가 월세 및 기타인 노인일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노인일수록, 월 용돈이 10만원 미만인 노인일수록, 유서를 써본 적이 있는 노인일수록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건강 상실과 경제적 상실, 소중한 이의 상실, 그리고 전체 상실경험은 자살생각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들은 건강 상실과 경제적 상실, 소중한 이의 상실, 그리고 전체 상실경험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노인들의 자살생각에는 상실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들은 상실경험이 많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의 주요 변인은 상실경험으로 확인되었으며, 사회복지실천에서 자살생각을 가진 노인들에 대한 사회복지학적 개입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ajor loss experience and stress-coping patterns of senior citizens on their suicide intention in a bid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for elderly people with an intention of suicid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11 senior citizens in the city of Daeje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4.0 program, and a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procedures were emplo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influ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overall loss experience, the senior citizens who paid a key money for their houses, who lived alone, who were in bad health, who suffered from more diseases, whose monthly mean allowance was less than 200 to 300 thousand won and who had ever made their will had significantly more loss experiences. Second, concerning link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ess-coping pattern, those who were less older, who were better educated, who were Christian or Catholic, who had spouses and who lived with their spouses only coped their stress significantly better. Third, regar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icide intention, the senior citizens who paid monthly rent for their houses, whose housing form was unspecified in the survey, who were in bad shape, whose monthly mean allowance was less than 100 thousand won and who had ever made their will had a significantly more intention to commit suicide. Fourth, loss of health, economic loss, loss of a significant person and overall loss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suicide intention. More experiences of losing health, money and a significant person and more overall loss experience were concomitant by a stronger suicide intention. The loss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ir suicide intention, which signified that those who had more loss experiences had a stronger intention to commit suicide.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loss experience was one of major variables to affect the suicide intention of the elderly, and laid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social welfare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a suicide intention.

      • 일상사물에 투영된 데페이즈망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현보경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20세기 문명의 발달로 예술의 미적표현의 변화는 각종 오브제 및 새로운 예술 개념의 등장으로 그 형식의 틀을 깨고 있다. 속도와 변화의 관성 하에서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현대 사회의 거대한 틀과는 대조적으로 우리 개개인의 삶을 실질적으로 구성하는 일상은 매일매일 반복적이고 단조로울 뿐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러한 일상 속의 무료한 대상들로부터 의외의 놀라움 또는 낯설음의 감정을 느낄 때가 있다. 대상들은 분명 평소와 같은 모습으로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전혀 다른 대상을 보는듯한 거리감을 느끼는 것이다. 그렇듯 대상은 현재의 단순한 사물로써 주어진 딱딱한 존재의 성격 뿐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일반적 시각에서 독립적 시각과 의식을 갖추고 있다. 또한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고 익숙한 형상을 통해 그 대상을 끊임없이 표현하고, 연구하며 작가에 의한 주관적 이념에서 대상이 갖는 의미나 내재의 세계를 평면화된 공간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 본 논문을 통해 본인은 일상적 대상을 통한 특별한 경험의 발생을 짚어 봄으로써 일상사물을 보는 시각의 변화와 고정관념에 대한 의문을 일으키는 새로운 발상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초현실주의(Surrealism)의 완성에 가깝다고도 할 수 있는 데페이즈망 기법(Depaysement)을 통해 평범한 일상 곳곳에 잠재되어 있을 새로운 경험의 가능성을 이야기함으로써 일상의 의미를 재발견 하고자 한다. 또한 표현된 사물과 익숙한 일상사물과의 공간해석을 통해 일상사물이 일반적 현실상황에서 멀리 벗어나 어떠한 형태로 표현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본인작품 세계의 이론적 기반을 체계화 시키고, 일상적 대상 속 ‘끈’이라는 주제를 데페이즈망 기법을 응용한 작업을 통해 대상과 표현의 방법적 전개를 구축하여 본인의 미의식 세계에 깊이를 가져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에 대한 연구논문으로 대학원 연구기간 동안의 작업의 연구배경 빛 목적, 방법 등을 전개 및 서술한 것이다.

      • 노인의 약물 오·남용에 관한 연구

        박수현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21세기에는 의학 기술의 발전, 생활수준의 향상,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평균 수명의 연장 등으로 노인들은 노화에 따른 질병 치료와 증상 완화를 위해 약물에 의존하게 된다. 노인은 노화에 따른 다양한 만성질환으로 인해 평생 동안 약물을 복용하게 되는데, 약물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와 지식은 잘못된 복용을 유도해 노인에게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으며, 질병과 약물의 중요성에 대해 노인의 인식 결여 및 인내심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올바른 약물 복용을 위해 약물복용 여부, 약물에 대한지식, 약물구매 정보습득 경로가 약물 오·남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노인이 정확한 약물지식을 통해 올바른 약물 복용과 편안한 노후 건강증진을 돕고자 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전광역시 종합복지관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40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 1:1 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χ2와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상관관계분석), Multiple Regression(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노인과 배우자가 없는 노인, 혼자 사는 노인,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노인, 정부의 생활보조금으로 용돈을 마련하는 노인일수록 약물 복용 여부가 높았다. 둘째, 노인들은 약물에 대한 지식이 높지 않았으며, 남자 노인과 79세 이하인 노인, 학력이 높은 노인, 배우자가 있는 노인,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노인, 월 용돈이 많은 노인, 연금이나 퇴직금으로 용돈을 마련하는 노인일수록 약물에 대한 지식이 높았다. 셋째, 남자 노인과 약물 복용 여부가 높을수록, 약물 구매 정보를 의사로부터 얻지 않을수록, 약물에 대한 지식이 낮을수록 약물 오·남용행위가 높음을 알 수 있고, 성별, 약물복용 여부, 약물 구매정보 습득경로, 약물에 대한 지식이 약물 오·남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약물에 대한 지식과 약물정보가 부족한 노인들에게 정확한 약물정보와 올바른 지식을 제공해 안전하게 약물을 복용할 수 있도록 노인 당사자들은 물론이고 가족구성원들에게도 사전 사후교육이 필요하며, 건강문제를 약물로만 해결하려는 생각을 변화시켜 건강생활 실천을 통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나아가 노인들의 올바른 약물복용을 위한 사회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The elderly increasingly rely on drug to treat their aging-related diseases and alleviate relevant symptoms in the 21st century due to advanced medicine, improved living standard, growing concern for health and extended life span. Elderly people should continue to take medicine in their lifetime since they suffer from a variety of chronic diseases because of aging, and the spread of incorrect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drug is likely to have an adverse impact on them by having them take the wrong medicine. Furthermore, elderly people are usually unaware of the importance of diseases and dru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state of drug use among elderly people and their relevant knowledg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route on their drug abuse in a bid to assist them to get the right knowledge, take the right medicine, promote their health and live a comfortable lif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5 elderly people who used welfare agencies and senior centers in the city of Daejeon. An one-one-on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A frequency analysis, x2-tes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procedures were utili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edicine taking was more prevalent among the elderly people who were female, who had no spouses, who lived alone, who found themselves not to be in good shape and who depended on government subsidy for allowance. Second, the elderly people weren't knowledgeable about drug. A better knowledge on drug was owned by those who were male, who were at the age of 79 and down, who were better educated, who had spouses, who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good health, whose monthly allowance was larger and who relied on pension or retirement grant for allowance. Third, drug abuse was more common among those who were male, who took more medicine, who didn't get information on drug purchase from doctors and who had a less knowledge on drug. Drug abuse was under the influence of gender, medicine taking, information acquisition route on drug purchase and drug knowledge.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not only elderly people but their families should receive education to get the right information to ensure drug-related safety, as the elderly are usually devoid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drug.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promote their health in diverse ways instead of merely depending on drug, and social welfare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stir up the right medicine taking among elderly people.

      • 수동형 태그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RFID 리더 구현

        김재준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논문에서는 수동형 태그에 대한 식별정보(Identification) 뿐만 아니라 수동형 태그의 실시간 위치 정보(방향각, 거리)까지 제공하는 900㎒ 대역의 RFID 리더를 구현하였다. 구현된 리더는 일반적인 RFID 리더 설계 및 제작 기술, 임의의 방향에서 도래하는 전파의 도래방향각을 탐지하는 고해상도 방향 탐지 알고리즘(MUSIC)을 탑재한 방향 탐지 기술을 융합하여 설계 및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기술을 융합하기위하여 일반적인 RFID 리더의 동작원리와 900㎒ 수동형 태그의 무선인터페이스 표준인 ISO/IEC 18000-6C(or EPC Class1 Gen2)를 분석하였다. 또한 방향 탐지 장치의 종류별 동작원리를 알아보고 통신 밴드에서 사용하는 알고리즘 중에서 방향 탐지 정확도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고해상도 MUSIC 알고리즘을 분석하였다. 두 기술을 융합한 RFID 리더는 일반적인 리더와 구분하기위해 RFID DF 리더 로 표현하였으며, RFID DF 리더는 선형 배열 안테나, DF 리더, 호스트 컴퓨터로 구성하여 목표 성능을 설정하고 무선인터페이스 표준인 ISO/IEC 18000-6C 규정을 따라 설계 및 제작하였다. 구현된 RFID DF 리더 시스템의 목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능시험을 수행하고 분석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성능시험은 크게 무선인터페이스 표준 검증시험, 인식거리 측정 시험, 인식률 측정 시험, 방향 탐지 정확도 측정시험 그리고 거리 정확도 측정 시험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시험 종류에 따라 측정환경, 측정 방법, 측정 도구를 결정하고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측정 결과 목표성능을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다. 구현된 RFID DF 리더는 야외 주차장의 빈자리 안내 서비스, 큰 사무실이나 공장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도구 관리 및 추적 서비스 등 실시간 위치서비스용으로 사용이 가능 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인식되는 태그를 태그의 방향과 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 및 인식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교회 노인복지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류재룡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631

        급격한 고령사회화로 나타난 노인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학계와 기독교계에서 교회 노인복지사업에 대한 실태조사와 변인분석 등 연구를 하여 교회노인복지사업의 토대를 마련하였지만 아직은 교회 노인복지사업은 활성화되지 못했다. 지금까지 실태조사와 요인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노인복지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실태조사나 부분적인 변인연구 보다는 실제로 영향을 주는 변인을 모두 찾아내고 변인간 영향력 수준와 상호관련성을 밝히는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논문은 교회 노인복지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변인을 찾아내어 변인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목회자 영역, 교회영역, 지역영역 3개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별 변인들 중에서 유의미한 변인과 영향력 수준을 밝히고, 모든 변인 중에 최적화 모델이 될 수 있는 변인을 찾아내며, 3개 영역을 단계별로 투입하여 변인간의 상호관련성을 찾아내는 데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목회자 영역 변인 중에서 노인복지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은 노인복지관련활동, 가족지지, 수혜자수, 동료영향. 가족전공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교회 영역의 변인 중에서 노인복지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은 전담기구유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은 교회평수, 사회복지예산, 교인정책참여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지역사회 영역의 변인 중에서 노인복지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은 협력하고 있는 노인복지시설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목회자의 사회복지시설 참여여부, 노인문제의 심각성 인식, 교회 주위에 존재하는 사회복지시설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교회 노인복지사업의 모든 변인들을 Stepwise 방식으로 최적화 모델을 찾아낸 변인들은 가족전공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동료영향 노인복지관련활동 복지전담기구유무, 복지인식, 전담사역자 유무, 지역노인문제심각성, 교회평수, 교인경제수준, 교회개방, 부서간협력, 부임년수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 노인복지사업에 미치는 3개 영역 안에 있는 변인들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목회자 영역을 투입했을 때는 목회자 노인복지관련활동이 큰 영향을 주고 수혜자수, 동료영향, 복지인식, 가족지지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로 목회자 영역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교회영역 변인을 투입한 2단계 모델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면 동료영향, 노인복지관련활동, 가족전공, 노인복지전담기구유무, 복지인식, 교인 경제수준, 교회 복지시설개방, 사회복지전문가유무 순으로 영향을 끼쳤다. 목회자영역 변인과 교회영역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지역사회영역 변인을 투입한 3단계 모델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면 동료영향, 노인복지관련활동, 교회복지시설개방, 가족전공, 전문가유무, 부임기간, 노인복지시설협력여부, 교인경제수준, 복지인식, 노인복지심각성 순으로 나타났다 실천적 함의를 보면 다음과 같다. 목회자 영역에서는 목회자의 연령이나 부임년수, 목회자 인식보다는 목회자가 얼마나 노인복지관련활동을 하며 지역사회 노인복지관련시설과 협력하고 실천하려고 하는가에 대한 노력이 교회 노인복지사업에 더 큰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자는 지역사회 안에 있는 노인문제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주변에 있는 가족이나 친척이나 지역사회 노인복지시설관련 전문가와 접촉하면서 노인복지사업에 대한 이해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목회자는 교회 내에서 노인복지에 대한 설교, 교인에게 자원봉사자 권장, 노인복지예산 증액 노력, 교인들에게 노인복지관련 정책에 참여를 시키면서 교인들의 공감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교회영역에서는 교회의 자원영역이라 할 수 있는 재정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 조성과 사회복지예산을 늘려야 하며 인적자원으로 전문가 채용을 해야 하고 조직자원으로 사회복지전담 조직을 해야 하며 시설자원으로 복지를 위한 교회시설 개방을 해야 한다. 지역사회영역에서는 지역 노인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역에 있는 노인복지관련시설이나 사회복지시설등과 협력하거나, 참여하여 노인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지역사회와의 유대관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elderly problems such as care giving burdens, lack of welfare budgets, and minishing societal ability of care giving roles. Even though a number of researches and administrative measures have been performed by social parties and churches in order to resolve elderly social problems in this aging society, there has not been successful social work activated by churches. Main reasons of not proving reasonabl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problem and church's roles are explained by lack of multi dimensional model analyses. Reflecting previous researches, there is a remarkable attention to the one dimensional relationship among various factors between churches and elderly social works, and it is advised that in order to prove relationships among influencing factors and church leading social works, a hierarch of three main dimensions needs to be categorized as the leading independent variables. The three dimensions are exampled as pastor's roles including their religious associates and family supports, church's atmosphere including the members and their welfare service works, and finally the society factors including neighborhood and community assistances. In this study, the three dimensions of influential factors have been analyzed within structural relationships of cause, results, and intervening elem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hat a comprehensive pathway model of stepwise mult-stages relating acts should be reviewed among the three dimensional variables. In this study, 650 religious workers such as pastors and missionaries among 12 churches in Korea have been interviewed in 2008, and their perceptions on influential factors for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inly five variables within the category of pastors; pastor's activities, family supports, welfare benefit receivers, influences of the associates, and family's expert. Second, there are four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within the category of the church; existence of expert welfare organization in the church, physical size of the church, amount of the budget, and participations in the welfare services. Third, there are four orderly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within the category of the community such as cooperating elderly welfare facilities, pastor's participation in the social welfare services, seriousness of the elderly problems, and existence of nearby welfare facilities. As for the optimal stepwise influential model,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s family-related variables, and rest influential factors are orderly proven as impacts of the associates, existence of elderly welfare team, perception of the welfare, welfare expert missionary, seriousness of the welfare, physical size(in area) of the church, openness of the church, cooperation among teams, and pastor's years of services. Explaining influential mechanism among these categorized variables, the more active needs their families have, the more involvements their related social institutions have with them, the fewer welfare beneficiaries they have, and the higher their perception with proper budget allocations for the elderly welfare works, the more influences their families' associations have on the success of the church social works for the elderly. Regarding community influences, the influences are more significantly positive as the churches cooperate with many active social institutions, church members deeply perceive seriousness of the elderly problems, and there are many elderly care facilities around the churches. Within the church area, the influences are more significantly positive as there are adequate number of church members and amount of budget supporting the elderly welfare. As for the church resource system, the influences are positively significant if they have expert role department for the elderly welfare with higher budget and proper living spaces for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Even though their perceptions for needs of the church welfare performances are high, there is little impact of program system for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overall, but a few cases of mission serving extended periods show significant influences. Regarding the stepwise influential factor analysis after controlling other impacts, there are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such that education of the pastor is meaningfully important, they have saved budget for the services, and they need to be in cooperative with community welfare institutions. In many aspects, financial resources are most influential, because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are performed only when a church's allocated budget is higher than their debt and therefore the church can afford to open a service program from their own financial plan. Finally, this study draws a condensed conclusive paradigm for welfare practices as follows: First, the pastor's role is very important in a way that he or she has been conducting practical role of delivering welfare services with comprehensive cooperation with associates, families, community leaders, and budget ability, regardless of duration of his church services and welfare perception level. Second, the church's role is also important in a way that the church has its own expertised welfare team, proper independent budget amount, willful and experienced members for the welfare services, and adequate physical space allocated for the welfare services. Third, the community factor is important in a way that community residents also perceive the seriousness of the elderly problems, nearby welfare facilities and institutions are in cooperation with the church, and the church also participates in community welfare issues i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residents.

      •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연주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조직 및 직무특성이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전문가로서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의 의료기관,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에 근무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 2급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8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차이는 연령, 정신보건영역에서 종사한 총 경력,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높을수록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총 경력은 5년 이상~10년 미만, 그리고 직위는 팀장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및 직무특성과 전문직업적 정체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직특성의 권위의 위계, 분업, 규칙은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 내에서 엄격한 위계질서가 존재하고 그에 따른 권위가 존재 할수록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낮아지지만, 조직 내의 업무가 잘 분업되어 있고 규칙을 가지고 있을수록 전문직업인으로 느끼는 정체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직무특성의 기술다양성, 과업중요성, 역할모호성도 역시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자신의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다양한 기술과 능력이 필요하다고 느끼며 그것이 발휘될 때, 그리고 자신의 직무수행에 있어 하는 수행하는 일에 대한 의미와 역할이 명확할수록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기관유형 즉 의료기관,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에 따른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각 기관 조직특성과 직무특성에 따라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처음 생각과는 다르게 기관에 따른 환경과 제공되는 서비스의 형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차이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특성과 직무특성으로 두 요인 모두 정(+)적인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요인 중 직무특성이 조직특성 보다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의 환경 또는 구조 보다는 조사대상자가 직접 수행하는 직무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것에 따른 다양한 기술과 능력을 발휘하는 요인이 높은 영향을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채널 브랜드 개성에 형성된 이미지에 대한 CATV Station ID 구성요소의 인지효과 : 시지각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임효영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범람하는 CATV 채널에서 Station ID의 시지각 인지요소와 채널 브랜드 개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현재 노출되고 있는 채널브랜드의 Station ID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서 효과적인 인지적 효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선Station ID에 대한 정의와, 현재 그래픽 표현방법의 다양화로 인한 시각적인지의 변화, Station ID가 갖는 모션그래픽요소 등에 대해 검토하고, 채널브랜드의 의미분석을 시작으로 시각적인지의 변화로 인한 수용자 태도변화에서 미디어 발전에 의한 표현방법의 변화와 TV채널 브랜딩요소를 정의하여 Station ID에 나타난 시지각인지적 요소들을 종합하였다. 그 결과 ‘카메라의 역동성’, ‘커트 연결에 의한 시간변화’, ‘조명의 지향성’, ‘화면의 색상’등이 선정된 Station ID 선호의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브랜딩 모델을 가진 CATV Station ID의 제작방향을 제언함으로 시지각인지의 형태적 요소를 제한적으로나마 예측해 볼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search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elements in Station ID of overflowing CATV channels and the channel brand personality, and focused on researching the effective recognition effect through preceding analysis on the exposed Station ID of the channel brand.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exact definition of Station ID, the change in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due to the diversity of graphic expressing method, and the Motion graphic element of Station ID. Starting on analyzing the meaning of channel brand, we connected the reaction of the audience due to the change of the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and the visually perceptional expressing element showed on the Station ID. We were able to find out the represented form of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by focusing on the visually perceptional expressing elements which are dynamic of camera, times by scene connection, directivity of light, and hue of screen. Also, by proposing the manufacturing direction of CATV Station ID which has an effective branding model, we were able to make a limited prediction on the formal element of the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