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체장애를 가진 크리스천 여성의 우울경험에 대한 기독교상담 사례연구

        임윤희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신체장애를 갖고 있는 크리스천 여성의 우울경험에 관한 기독교 상담 사례연구로서 연구주제에 부합되는 두 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한 질적연구방법의 다중사례 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목적은 ‘성경말씀과 기도’가 신체장애를 가진 크리스천 여성이 호소하고 있는 우울의 문제에 어떠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지, 또한 그들의 삶의 변화에 개입하시는 하나님은 어떠한 성경말씀으로 인도하고 계신지에 대하여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기독교 관점의 상담접근이 필요하였고, 이에 성서를 기초로 한 해결중심 라이프웨이 상담코칭 방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신앙발달단계의 분석과 심리검사, 가계도 분석 등 세부적이고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우울의 형성에 기여한 체계들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두 사례에 대한 ‘차이와 유사성’의 특성을 비교하면서 유의미한 결과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신체장애를 가진 크리스천으로서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성인여성 내담자 상담에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피는 하나의 실제적인 사례이다. 더 많은 연구들이 축적되어 신체장애를 가진 크리스천 여성의 우울증에 대한 근거기반 접근들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ase study of Christian counseling on depressive experiences of Christia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It was conducted as a multi-case study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which two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at matched the research top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power 'The Word of the Bible and Prayer' exerts on the problem of depression that Christia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e complaining about.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approach counseling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nd God, who intervenes in the change of their lives, was to confirm what kind of Bible he was leading. Therefore, detailed and in-depth data such as analysis of the stage of faith development, psychological test, and family tree analysi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rough the Bible-based solution-oriented lifeway counseling coaching method. And, we looked for systems tha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depression. As a result, meaningful results could be deriv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and similarity' characteristics of the two cases who experienced depression. This study is a practical case of examining the role of God's Word and prayer in counseling adult female clients who are experiencing depression as Christia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t is expected that more studies will be accumulated to establish evidence-based approaches to depression in Christia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 라이프웨이 코칭상담을 적용한 목회자 사모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예비연구

        최윤주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목회자 사모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예비연구로 라이프웨이 코칭상담을 적용하여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라이프웨이 코칭상담을 적용한 목회자 사모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목회자 사모의 스트레스 감소시킬 것이다. 둘째, 라이프웨이 코칭상담을 적용한 목회자 사모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목회자 사모의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를 위해 스트레스를 인식하고 관리하기를 원하는 충남 지역의 목회자 사모로 상담 과정을 이수하고 있거나 상담 관련 직업을 가지고 있는 5명의 사모를 대상으로 총 8회기의 라이프웨이 코칭상담을 적용한 목회자 사모 스트레스관리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요구도 조사를 통해 선정된 목회자 사모의 스트레스로는 소명, 정서적 어려움, 의사소통, 대인관계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전체 평균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웨이 코칭상담을 적용한 목회자 사모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은 목회자 사모의 스트레스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라이프웨이 코칭상담을 적용한 목회자 사모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은 목회자 사모의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목회자 사모의 스트레스 관리에 라이프웨이 코칭상담 3가지 구조화 프로그램인 ‘생기이완호흡, 이중성찰묵상, 광야동행 공동체’가 유용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예비연구를 바탕으로 목회자 사모의 스트레스 관리에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이 검증될 수 있도록 심화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of the pastor's wife’s stress management program, and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to confirm by applying lifeway coaching counseling. First, the pastor wive’s stress management program applied with Lifeway coaching counseling will reduce the stress of pastor’s wives. Second, the pastor wive’s stress management program applied with Lifeway coaching counseling will improve the self-identity of pastor's wives. To this end, a total of eight sessions of life-way coaching counseling were applied to five pastors who are taking counseling courses or have counseling-related jobs in Chungcheongnam-do, who want to recognize and manage stress. As for the stress of pastor's wife selected through the demand survey, the overall average was measured and compared through re-post-test to confirm changes in callings, emotional difficulties,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stor wive’s stress management program which applied Lifeway coaching counseling, had the effect of reducing the stress of pastor's wives. Second, the pastor wive’s stress management program applied with Lifeway coaching counseling resulted in improving the self-identity of pastor's wive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three structured programs of lifeway coaching counseling, "Breathing relaxation, Double reflection meditation, and Wilderness companion Community," are useful for the stress management of pastor's wives. Based on this preliminary study, it is hoped that in-depth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programs effective in managing the stress of pastor's wives.

      • 상담자의 성인애착 문제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

        고희은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성인애착 문제와 심리적 소진,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자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인애착 문제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인애착 문제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성인애착의 하위유형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를 구분하여 개별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기관의 상담 종사자들 중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중 273명의 상담자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성인애착(애착불안/애착회피) 척도(ECR-R), 심리적 소진 척도(MBI), 지각된 사회적지지 척도, 자기자비 척도(SC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3.5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성인애착 문제와 심리적 소진,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자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담자의 성인애착 문제,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자비는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상담자의 성인애착 문제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 문제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자의 성인애착 문제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problems and psychological burnou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and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problems and psychological burnout. To examine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problems on psychological burnout in more detail,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which are subtypes of adult attachment, were separated and set as individual model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01 counseling workers at institutions nationwide, and 273 of them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the measurement tools of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Revised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Scales (ECR-R), Maslach Burnout Inventory Scales (MBI),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s, and Self-Compassion Scales (SCS)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PROCESS MACRO 3.5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unselor's adult attachment problem, psychological burnou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unselor's adult attachment problem,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re variables that affect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it w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adult attachment problem and psychological burnout. Third, it was found that self-compass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problems and psychological burnou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adult attachment problem and psychological burnout.

      • 기독대학생의 불안애착과 영적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감사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정형준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에서는 기독 대학생의 불안애착과 영적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불안애착 척도(ECR), 영적안녕감 척도(SWB), 감사성향 척도(K-GQ-6), 자존감 척도(SES)로 구성되어 있고 설문에 응했던 대상자는 362명이지만 결측치가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3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에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4.0을 통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간접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은 영적안녕감, 감사성향, 자존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 영적안녕감은 감사성향과 자존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감사성향과 자존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불안애착과 영적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불안애착과 영적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나타나는 것은 기독 대학생의 불안애착이 감사성향과 자존감을 매개하여 영적안녕감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검증했으므로 불안애착을 경험하고 있는 기독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자존감에 개입하여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입은 영적안녕감 수준이 높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기독 대학생의 전인적안녕 수준을 높이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ppreciation propensity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he anxiety attachment scale,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the appreciation propensity scale, and the self-esteem scale, and 362 peopl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but the final 300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the questionnaire with missing values.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SPSS 21.0,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SPSS PROCESS Macro 4.0. In addition, bootstrapping verification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First, anxiety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nsitivity, sensitivity, sensitivity, and spiritualHello, and spiritual Hi, and spiritual well-being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nd self-esteem and self-esteem.Also, audit and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iveness of gratitud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piritual well-being.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piritual well-being.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has been verified that Christian college students' anxiety attachment influences spiritual well-being by mediating appreciation propensity and self-esteem, so by intervening in the appreciation propensity and self-esteem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anxiety attachment, the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can be raised and furthermore helpful for holistic well-being.

      •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가드닝 마음챙김 프로그램 개발의 예비연구

        박성실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gardening mindfulness program for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Study participants(n=8) were selected from alternative education center. Based on program development model, this study conducte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conducted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18 session program.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loneliness, vitality, and life satisfaction scale were used. As a result, depression(Z=-2.521b, ρ=.012), anxiety(Z=-2.240b, ρ=.025), loneliness(Z=-2.521b, ρ=.012) and Stress(Z=-2.521b, ρ=.012)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n the other hand, vitality (Z=-2.536c, ρ=.011) and life satisfaction (Z=-2.316c, ρ=.021)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effective in reducing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in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and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and vitality through a program combining gardening and mindfulness. Since the program’s effectiveness has been verified in this preliminary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evidence for psychological support for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드닝 마음챙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를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모형을 통해 총 18회기의 내용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S시 소재의 위탁형 대안교육센터와 연계하여 연구 참여자 8명을 선정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우울, 불안, 스트레스, 외로움, 활력, 삶의 만족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이용하였고, 사전-사후 검사 점수 차이에 대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참여 전과 비교할 때 우울(Z=-2.521b, ρ=.012), 불안(Z=-2.240b, ρ=.025), 외로움(Z=-2.521b, ρ=.012), 스트레스(Z=-2.521b, ρ=.012)는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활력(Z=-2.536c, ρ=.011)과 삶의 만족도(Z=-2.316c, ρ=.021)는 프로그램 참여 전과 비교할 때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가드닝과 마음챙김을 결합한 집단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우울, 불안 등의 심리적 문제를 경감시키고, 삶의 만족도 및 활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예비연구에서 효과성이 검증되었으므로 연구결과를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지원을 위한 근거 자료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가정 내 아동기 외상경험이 청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실존불안의 순차매개효과

        김미진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국내 청년의 자살예방을 위해 아동기 외상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실존불안을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구조적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 업체를 통해 아동기 외상경험이 있는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07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 v3.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자살생각, 사회부과 완벽주의, 실존불안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청년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자살생각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셋째, 실존불안은 청년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자살생각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넷째, 청년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실존불안은 순차적으로 매개하였으며, 아동기 외상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직접효과 역시 유의함으로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어 이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아동기 외상경험을 지난 청년에게 사회부과 완벽주의, 실존불안과 더불어 자살생각 예방과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in order to prevent suicide among young adults in Korea, and analyzed the effects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of suicidal ide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social perfectionism and existential anxiety. To this end, a survey of young adults aged 19 to 34 who had experienced childhood trauma through an online survey company, and the data of 307 participants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v3.5.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icidal ideation, social perfectionism, and existential anxiety were significantly and statistically related to childhood trauma. Second, social perfectionis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in young adults. Third, existential anxie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in young adults. Fourth, social perfectionism and existential anxiety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in young adults, and the direct effect between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was also significant,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and confirming the existence of a dual mediation effec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uicidal ideation in young adults who have experienced childhood trauma, along with social perfectionism and existential anxiety.

      • 20대 자녀의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불안과 기본심리욕구 좌절의 이중매개효과

        조민정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and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NS addiction tendency.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an online survey panel through an external research company, and data from 300 people was ultimately used. The measurement tools in this study are the SNS addiction tendency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short form of the My Memory of Parenting Scale (EMBU), the Korean vers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K-SIA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Phobia Scale (K-SPS). The Korea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Scale (K-BPNSFS) was us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3.5 (Hayes, 2013).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SNS addiction tendency, social anxiety, and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econd, social anxie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ird,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NS addiction tendency. Lastly,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is study expanded existing previous studies by using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s a mediating variable, and can be viewed as a basic study that suggests a therapeutic approach to reduce SNS addiction tendencies.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기본심리욕구 좌절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 전문 업체를 통해 온라인 서베이 패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0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대학생용 SNS중독경향성 척도, 양육에 대한 나의 기억 척도(EMBU) 단축형,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K-SIAS)와 한국판 사회공포증의 척도(K-SPS)의 단축형, 한국판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좌절 척도(Korea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Scale: K-BPNSFS)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22.0와 PROCESS macro v3.5(Hayes, 2013)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와 SNS중독경향성, 사회불안, 기본심리욕구 좌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불안은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기본심리욕구 좌절은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와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기본심리욕구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본심리욕구 좌절을 매개변인으로 사용하여 기존의 선행 연구들을 확장하였으며, SNS중독경향성을 낮추기 위한 치료적 접근 방식을 제시하는 기초연구로 볼 수 있다.

      • 부부친밀감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조망수용의 매개효과

        정영상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아동을 양육하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부부친밀감, 양육효능감, 자기자비, 조망수용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부부친밀감과 양육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조망수용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6세 이하 미취학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부부친밀감척도, 양육효능감척도, 자기자비척도, 조망수용척도 구성하였으며, 남녀 150명씩 동일한 인원으로 표집하여 총 3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2.0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rson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3.5(Hayes, 2013)을 통해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친밀감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조망수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부친밀감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조망수용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부부친밀감은 양육효능감과 깊은 관계가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부부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불어 부부친밀감은 양육효능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자기자비와 조망수용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부부친밀감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조망수용이 매개효과를 입증하고, 현대사회의 부모의 양육효능감 증진을 심리교육과 상담전략,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 축적과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자녀의 연령 및 부모의 성별에 따른 변인 효과 양상이나 매개변인 간의 효과를 비교하고 검증을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연구 타당성 확보와 기초자료축적을 위한 다양한 연구적 시도가 있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arital intimacy, parenting efficacy, self-compassion, and perspective-taking in fathers and mothers who are raising preschool-age children,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perspective-ta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parenting efficacy. The study targeted parents raising children under the age of 6 and utiliz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the Marital Intimacy Scale, Parenting Efficacy Scale, Self-Compassion Scale, and Perspective-taking Scale. A total of 300 parents, 150 from each gender,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2.0,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study also conducted a medi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3.5 (Hayes, 2013) and performed bootstrap validation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served.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parenting efficacy, with self-compassion and perspective-taking playing mediating roles in this relationship.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perspective-ta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parenting efficacy were confirmed. This suggests that efforts to enhance marital intimacy may be crucial in improving parenting efficacy, and these effects are mediated indirectly through self-compassion and perspective-taking.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arital intimacy in relation to parenting efficacy and emphasize the need for various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aimed at enhancing marital intimacy in modern society.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accumulation of foundational data that can be useful for psychological education, counseling strategies, and program development to enhance parenting efficacy among contemporary parents. However, it's important to acknowledge certain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ing the inability to examine variations in the effects of variables based on the age of children and the gender of parents.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securing research validity, and further exploration is necessary to accumulate diverse research efforts and foundational data collection.

      •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자살사고의 관계 :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이중매개효과

        정인영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uicide ideation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im is to explore the impact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mediated by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on suicidal ideation. For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company, surveying 305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programs. Data from 293 students were utiliz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statistical analyses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3.5.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mplicit narcissism, suicide ideation, loneliness, an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Second, loneli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mplicit narcissism and suicide ideation. Thir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mplicit narcissism and suicide idea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nternalized narcissism and suicidal ideation, loneliness an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ies sequentially served as double mediators. Additionally, the direct effect between internalized narcissism and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 and partial mediation effects were verified, confirming the existence of double mediation effec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impact of loneliness an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ies on university students with internalized narcissism.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자살예방을 위해 내현적자기애와 자살사고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과 구조적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업체를 통해 4년제 대학교에 등록되어 있는 대학생 30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293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Process Macro 3.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자살사고, 외로움, SNS중독경향성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외로움은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자살사고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SNS중독경향성은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자살사고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넷째,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이 순차적으로 매개 하였으며, 내현적자기애와 자살사고 간의 직접효과 역시 유의하여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어 이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내현적자기애를 지닌 대학생에게 외로움, SNS중독경향성 변인과 더불어 자살사고 예방과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기독 청년의 거절 민감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 이중매개효과

        임동승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기독 청년의 거절 민감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D시와 S시에 있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인 기독 청년들을 대상으로 구글 폼(Google form)을 통한 온라인 설문지와 대면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척도는 거절민감성척도(RSQ), 사회적상호작용척도(SIAS), 사회공포증척도(SPS), 내면화된수치심척도(ISS), 정서표현양가성척도(AEQ)를 사용하였고 최종 21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Hayes(2014)의 Process Macro 6번 모델을 사용하여 이중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고, 간접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 청년들의 거절민감성, 사회불안, 내면화된수치심, 정서표현양가성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기독 청년의 거절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은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기독 청년의 거절민감성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을 이중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