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제강점기 충주의 식민통치 연구 : 식민통치 조직과 구조를 중심으로

        전홍식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87

        이 논문은 천년 이상을 중원문화권의 중심도시로 성장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제의 식민지배정책과 통치목적에 의해 지방의 중소도시로 변화한 사례지역 충주를 중심으로 식민지배정책의 전개과정과 영향, 식민지배와 수탈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 이주 일본인과 이들을 위한 식민도시개발 그리고 충주의 식민통치 조직과 구조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선시대 충주는 육상교통과 수상교통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상업이 발달하고 인구가 증가하였다. 조선후기인 정조 13년(1789년)에 충주의 도시지역의 인구가 11,905명으로 전국에서 일곱 번째 도시로 성장하였으며 충주와 인근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1906년 행정구역 정리로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고, 일제 식민정책에 의한 경부선 철도의 개통으로 교통의 중심지로서의 기능 상실과 의병투쟁의 활발한 전개 그리고 식민지배의 효율성을 들어 1908년에는 도청소재지를 충주에서 청주로 이전함으로써 쇠퇴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러일전쟁 이후 한국에서 주도권을 장악한 일제는 전래의 조선의 지방통치 조직을 식민통치와 수탈에 적합한 구조로 변형하거나 기존의 조직을 해체하고 새로운 조직과 제도를 신설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지방수령으로부터 경찰권, 조세권, 재판권 등이 분리 되었고 침략의 시기와 상황 등 여건에 따라 경찰기관과 징세기구 등이 변천을 거듭하였다. 일제의 침략과 함께 일본인의 이주가 이루어졌으며 충주와 제천 그리고 인근지역에서 활발한 의병투쟁이 전개되었다. 1910년 합방과 함께 헌병경찰에 의한 무단통치가 실시되었고 식민통치의 기반조성을 위해 토지조사사업(1911년), 시구개정(1913년), 행정구역개편(1914년)이 이루어 지고, 면제(1917년)가 성립되었다. 일본인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한 충주면에는 이주 일본인들의 안정적인 정착과 생활기반 확립을 위해 총독부의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 졌으며 학교, 도로, 상가, 종교시설, 신사 등의 시설과 각종 행정관청, 경찰서, 법원, 금융기관, 신문지국, 전매지국 등이 밀집하게 됨으로써 식민도시의 면모를 갖추게 되고 일본인을 위한 일본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었다. 이를 토대로 충주면은 1923년에 지정면으로 승격되었다. 1923년에 지정면이 됨으로써 면협의회 선거가 실시되었으나 재산세 납부에 의해 선거권이 극도로 제한됨으로써 충주의 부(富)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 일본인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였고 인구수는 조선인이 일본인에 비해 월등하게 많음에도 불구하고 당선자수에서 조선인과 일본인이 대등하게 되는 이상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경찰의 경우 3ㆍ1운동으로 헌병경찰에서 보통경찰로 전환하였지만 조직과 인원 면에서 1920년대 충주의 경찰조직은 확대되고 인원수도 증가하여 경찰의 억압이 완화되거나 약화된 것은 아니고 오히려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20년대 들어 산미증식계획이 실시되었고 충주에는 충주수리조합(1922)과 대가미수리조합(1929년)이 설립되었다. 충주수리조합의 경우 달천평야 토지의 절반 가량을 소유한 소수의 일본인 지주와 조선인 지주의 쌀 생산 증가와 토지겸병을 촉진하는 결과를 가져왔을 뿐 충주의 조선인 농민은 토지를 잃거나 소작농으로 전락하고 더욱 더 가난해지는 결과를 초래하여 농민은 극도의 빈곤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1930년대 지방제도 개혁에 의해 1931년 4월 지정면인 충주면은 충주읍이 되었다. 읍회회원의 대부분 읍내에서 상업에 종사하거나 지주 등 부유층으로 충주군의 실력자이거나 유력자들 이었다. 지방제도에 참여한 많은 조선인 들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협력하는 새로운 정치세력으로 성장하였으며 이들의 활동은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이후에도 지방의회의원으로 활동하기도 하고 자유당, 공화당 정권하에서도 계속하여 정치에 관여하여 우리나라의 정치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1930년대일제는 황폐해진 조선농촌을 재건한다는 명목으로 농촌진흥운동을 전개했으며, 1931년 만주사변, 1936년 중일전쟁, 그리고 1941년 태평양전쟁으로 침략전쟁을 확대하면서 조선에서 총동원체제를 구축하였다. 일제강점기에 개발과 발전이 있었다면 그것은 일제와 이주 일본인을 위한 것이었고, 식민통치를 위한 것이었다. 일제의 식민통치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제도나 기구가 많은 부분 내용은 변함이 없고 모양만 변형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으며, 일제시대에 성장한 정치세력들의 지속적인 영향력 확대로 내적 모순과 부정적인 영향이 계속되고 있는 등 식민통치의 경험은 일제강점기 뿐 만아니라 행방이후에도 계속해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오늘에 이르고 있다. A Study on Colonial Rule in Chungju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 Centering on Colonial Rule Organization and Colonial structure - This study focused on Chungju as the case region that was changed into the local small town by the colonial control policy and rule objective while passing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e face of having grown as the central city of Jung Won Cultural Area for more than 1,000 years. The study was progressed centering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influence in the colonial-rule policy, Japanese emigrants who performed the role of medium in colonial control and plundering, the colonial urban development for these people, and a change in colonial-rule organization and structure in Chungju. Chungju in Joseon period is situated in the center of the land transportation and the waterborne traffic, thus commerce developed and population increased. The population in urban area of Chungju during the 13th (year of 1789) of King Jeongjo in the latter term of Joseon was 11,905 persons, thereby having grown as the nation's 7th city, and played the central role i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Chungju and the surrounding region. However, as the invasion of Japan began in earnest, the scale steeply reduced due to the arrange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 in 1906. And, due to the loss of function as the center of transportation caused by the opening of Gyeongbuseon Line by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to the active development in patriotic soldiers, and to a reason for efficiency of colonial rule, the location of a provincial office was moved to Cheongju from Chungju in 1908, thereby having entered the way of decline. The Japanese imperialism, which had secured the initiative in Korea since Russian-Japanese War, transformed the transmitted local rule organization in Joseon into the structure suitable for colonial control and plundering, or dissolved the conventional organization, and entered upon the work of newly installing new organization and system. From the local chief magistrate, the police authority, taxation authority, and justice authority were separated. And, according to the given conditions such as the time and situation in invasion, the police institution and the tax agency repeated to be changed. Along with the Japanese invasion, the Japanese emigration was formed, and the brisk patriotic struggle was progressed in Chungju, Jecheon, and the surrounding region. Along with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the military rule was enforced by the military policemen. And, in order to form the foundation of colonial rule, the land-research project(year of 1911), the revision in municipal district(1913), and the administrative-district reorganization(1914) were performed. And, Myeon system(1917) was established. In Chungju-myeon where Japanese people had intensively resided, the diverse supports of the government-general were attained aiming at the stable settlement and the living-basis establishment in Japanese emigrants. And, due to being crowded with facilities such as school, road, shopping street, religious facilities, and shrines, several kinds of administrative government offices, police station, court of justice, financial institution, newspaper branch, and monopoly branch, the appearance of the colonized city came to be possessed, and the Japanese urbanization for Japanese people progressed sharply. Based on this, Chungju-myeon was promoted to the designated Myeon in 1923. As having been the designated Myeon in 1923, the election for Myeon council was carried out. However, the voting right was extremely limited by payment of property tax, thereby having functioned favorably for Japanese people who occupied many portions of wealth in Chungju. And, despite that the number of population was much more in Joseon people compared to the Japanese, the abnormal result was caused, in which the number of elected persons come to be equal in Joseon people and the Japanese. In case of police, it was converted into the common police from the military police in the wak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lst, 1919. However, in the aspect of organization and personnel, the police organization in Chungju in the 1920s was expanded, and was increased even the personnel, thereby being able to be said that the suppression of police was not eased or weakened, but was rather reinforced. Entering the 1920s, the colonial industrial policy was executed. And, in Chungju, Chungju Irrigation Association(1922) and Daegami Irrigation Association(1929) were established. Chungju Irrigation Association just brought about the result that increases the rice production and facilitates the possession of large land in Japanese landowners and Joseon landowners, who had about a half of the land in Dalcheon Plain. On the other hand, it caused the result that Joseon farmers in Chungju lost land, or fell to a tenant farmer, and got poorer further. Thus, the farmers came to be placed in the extreme poor state. By the reform in the local system in the 1930s, Chungju-myeon, which is the designated Myeon, became Chungju-eup in April of 1931. The majority of members of Eup council were wealthy brackets such as landowners who engage in commerce in the town, and were influential and powerful persons. Many Joseon people, who participated in local system, grew as the new political power of cooperating with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se people had been also active as the member of the local council even after liberation follow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y continued to engage in the politics even under the government of the Freedom Party and the Republican Party, thereby having had negative impact on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our country. In the 1930s, the Japanese imperialism developed the rural promotion movement with the title of reconstructing the farm village of Joseon. And,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was

      • 지식경영의 핵심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북지역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박미경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급변하고 글로벌화 되는 신질서의 흐름 속에서 병원 역시 주변의 환경에 적응하고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병원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지식경영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의 핵심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지식경영을 보다 효율적으로 도입, 추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지식경영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지식경영의 핵심요인을 인적자산과 구조적자산으로 파악하고, 인적요인으로는 자기개발, 업무능력, 대인관계를 선정하고, 구조적요인으로는 공유문화, 정보기술, 지식경영전략, 프로세스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조직성과의 세 가지 요인으로는 고객만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충북 북부 지역 종합병원 2곳의 간호직, 의료기술직, 사무직 34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인적·구조적·조직성과 요인들이 인구통계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인적·구조적 요인이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실증 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경영의 인적자산 요인 중에서 업무능력이 성별, 지위, 직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식경영의 구조적자산 요인 중에서 프로세스가 성별, 지위, 직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경영의 조직성과 요인 모두는 성별, 지위, 직종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적자산 요인 중 업무능력과 대인관계는 조직성과 요인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구조적자산 요인 중 공유문화와 프로세스는 조직성과 요인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인적·구조적·조직성과 요인은 인구통계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고, 인적요인과 구조적요인 중 공유문화와 프로세스는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충북 북부지역 의료기관의 지식경영의 핵심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의 대상은 충북 북부 지역의 2개의 병원만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지식경영을 도입한 병원이 아니기 때문에 지식경영과 관계가 없는 표본일 수 있다는 한계가 있고, 2개의 병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충북 북부 지역을 대표한다고 볼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을 도입한 더 많은 병원에서의 표본 선정을 필요로 한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직종과 직위, 성별 등에 불균형이 있었기 때문에 집단 간의 차이에서 다소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표본 수를 좀 더 균형 있게 확보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직성과 변수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이 연구에서는 심리적 성과 변수들만 활용하여 재무적 성과를 분석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재무적 성과변수를 함께 측정하면 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In a flow of globaliztion and rapid changes, hospital needs new paradigm which is called knowledge management to adopt to circumstances and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is study, I tried to suggest a way that make it more easy to introduce, propel and apply knowledge management, by positively verifying the effect that core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affects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vestigating precedent studies, Human capital that includes self improvement, performance (ability), social relation ship and structural resources that contains culture at work,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process are graspped as a core factor of knowledge management. And customer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selected as three factor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the study, I collected 345 data from nurses, medicine technologist and officer who are working in 2 general hospitals in Chung-Buk. we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human·structural·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factor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if human·structural factor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making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followings are result of analysis. Firs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s in a performance (ability) which included in human asset of knowledge management by gender, status at work and type of occupation. Second,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s in a process which included in structural asset of knowledge management by gender, status at work and type of occupation. Third,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s in systemicity and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by gender, status at work and type of occupation. Forth,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ability) and social relationship positively affect to both systemicity and factors. Fifth, it was found that culture at work and process included in structural asset factor, positively affect to both systemicity and factors. To conclude, it was found that haman·structural·organizational performance factors are differen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culture at work and process included in human factors and structure factors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has meaning that the effects core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of medical institutions in Chung-Buk affect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are analyzed almost at first time. but, as you can see followings, there is a limit to this study, so I also suggest future study plan, First,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only 2 hospitals in north region of Chung-Buk that knowledge management was not applied, so they may be not that exact samples related to knowledge management. and these two hospitals can't be a perfect represent of all hospitals in north region of Chung-Buk. Second, there was imbalance in type of occupation, status at work and gender of object of this study, so it can be a problem in group. therefore, more samples needed to analyzed more in balance. Third, establishing systemicity and variable, in this study, only psychological outcome variable are considered, so financial outcome variable was not analyzed. so in future study, considering both psychological outcome variable and financial outcome variable will make more meaningful study.

      • 지식경영요인이 혁신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정옥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essential knowledge management factors which were found in many precedent studies. We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examination and tried to find a relationship or a difference between certain independent variables out of knowledge management success factors and a financial management achievement of an enterprise by methods of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Members' recognition degree against the necessity of knowledge management', 'Companie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level', and 'Recognition level of the manager' against the knowledge management which the members are feeling, 'Knowledge joint ownership degree' in companies, 'Knowledge management introduction level' of companie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attempted to draw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an effective knowledge management. This study carried out both literature research and practical research to attain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from literature research, we described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knowledge management, the composition elements and process of knowledge management. Also we investigated the introduction strategy types of knowledge management. This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precedent studies particularly in order to grasp the core factors of successive knowledge. Based on the concepts and variables drawn from the investigation, we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 research assumption and analyzed the research data collected through survey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dispersion analysis are the analyzing method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search assump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different effects which each knowledge management factors may affect various demographic groups. An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knowledge management factors integrate with innovative management of a company. We expect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companies diagnosing an actual condition related to knowledge management and establishing strategies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오늘날 지식과 그의 효과적인 관리 및 경영은 그야말로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가장 중요한 대안 중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지식경영에 대한 연구가 그 어느 때 보다도 활발하다. 실무에서도 많은 기업들이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필요성 인식과 성과에 대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지식경영시스템을 실질적으로 도입 활용하는 기업들은 그리 많지 않은 형편이다. 이는 지식경영 활용에 대한 개념적 틀을 분명하게 구축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경영요인이 혁신경영성과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은 주로 측정이 용이한 매출, 비용 등 재무적 성과를 주된 지표로 활용해 왔다. 그런데, 재무성과는 과거 활동의 결과이므로 어떠한 활동을 통해 성과를 달성할지에 대한 정보가 미약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 재무적 성과 측정 요소인 혁신성이라는 요인을 도입하여 지표로 삼았다. 즉 선행 연구에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성과 지표들 중에 ‘업무능력 향상’과 ‘핵심기술 증대 수준’, ‘지식시스템 구축’ 정도를 혁신경영성과로 규정하여 종속변수로 하고, ‘조직의 문화’, ‘지식경영의 필요성 인식정도’, ‘경영자의 인식’. ‘지식공유 수준’ 등을 지식경영요인, 즉 독립변수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에 앞서서 본 연구는 지식경영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제반 논리들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지식경영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지식경영의 개념과 필요성, 지식경영의 구성요소와 프로세스 등을 기술하였으며, 지식경영의 도입전략 유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특히 성공적인 지식경영의 핵심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들을 집중 검토하였다. 위 문헌연구에서 분석된 개념 및 변수들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구축 하였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지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한 모집단은 전국에 산재해 있는 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은 국내의 다양한 분야의 기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위한 분석방법으로는 상관관게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각각의 지식경영 요인들을 인구통계 집단 간에 나타날 수 있는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국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함으로서 지식경영요인들이 기업의 혁신경영분야에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였으며, 기업들 스스로가 자신의 지식경영과 관련한 현상을 진단하고 향후 지식경영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방향 및 전략을 수립하는데 시사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 知識經營시스템의 成果에 影響을 주는 要因에 觀한 統合的 硏究 : 個人特性, 組織特性, 그리고 시스템特性을 中心으로

        이재용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지식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조직학습과 지식변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연구들을 살펴보면 시스템특성에 대한 연구, 실행공동체에 대한 연구 등 어느 한 측면에 국한된 연구가 많으나 성공적인 지식경영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 이들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Unified view)에 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지식경영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느 한 요인의 영향이 아닌 다양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효과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중의 하나인 H기업을 대상으로 실제 자료를 확보하여 개인특성, 조직특성, 시스템특성이 지식경영시스템(Knowledge Management System: KMS)활용성과와 만족도 그리고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특성에서 지식내재화능력은 KMS활용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전지식이나 지식활용능력은 활용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특성에서는 스폰서의 지원이 시스템특성에서는 지각된 용이성이 활용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H기업의 KMS특성이 자발적이라기 보다는 비자발적인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KMS활용성과와 만족도는 재사용의도의 선행요인으로 활용성과와 만족을 통해서 재사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용성과와 사용 만족도는 기존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재사용의도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unified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recent times,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knowledge management, and researches 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knowledge change have actively been performed. Considering that existing researches are mostly limited to a certain aspect such as a specific system or CoP(Community of Practice), some substantial study efforts with regard to a unified view on establishing successful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re insufficient.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outcome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re not referred to one particular factor but to diverse and complex effects. For this study, actual data were collected from H, one of the biggest domestic enterprise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ersonal, organizational and systematical characteristics on the outcomes, the satisfaction and the re-using intention of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s) application. The analyse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in term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knowledge institutionalization ability does not influence on the outcomes of KMS application. On the other hand, some preliminary knowledge or the ability to use knowledge is found to directly influence on the outcomes of KMS application. In addition, in term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ponsor's support, and in terms of systematical characteristics, perceived easiness of use do not influence on the outcomes, which suggests the KMS in H company is characteristically operated in a non-voluntary environment rather than in a voluntary one. The outcomes and satisfaction of KMS application are found to directly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re-use the system as preceding factors for the intention through usability and satisfaction. Besides, the outcomes and the satisfaction of application are found to play the most influential roles in decision to re-use the system, which overlaps with existing findings.

      • 지식경영의 성공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진신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시장 환경이 글로벌화 됨에 따라 과거 어느 때보다 변화의 시기가 급격하며 시장은 장기적인 예측가능이 힘들어 졌고 그런 형태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기업도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자 기업의 강·약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대응하여야 하며, 특히 지식이 중요시되는 21세기에는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 지식경영의 실천이 피할 수 없는 현실임을 알아야 한다. 지식경영은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하여 조직 능력을 개발하고 경쟁력을 높이며 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으로 지식을 활용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지식경영의 주요성공요인의 분석을 통하여 각 기업의 특성에 맞는 전략으로 도입·관리·활용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지식경영의 이론 결합 지멘스(Siemens) 삼성 SDS와 Hewlett-Packard 회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3개 기업의 기업환경과 지식공유문화 정보기술의 활용(지식관리 시스템) 최고경영층의 리더십과 측정 (평가) 및 보상 요인들 도출하였다. 이러한 관정에서 본 연구에서 국내기업들이 지식경영을 성공적으로 실천하기 위하여 효율적 실천방안은 ① 정보기술의 효율적 활용 ② 최고경영층의 지식경영에 대한 의지 ③ 지식공유문화 정착을 위한 다양한 활동 ④ 지식경영의 대한 적극적 평가 및 보상 4까지 실천하면 기업은 성공할 수 있다. Faced with rapid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companies is putting their best efforts in continuously introducing management innovation for survival in the age of global competition. From the beginning of 1990s, knowledge has been recognized the most important asset of organization, which also has become an increasing necessary to manage knowledge in the organization effectively. In this course of transform from industrial societies to knowledge-based societies, companies require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in order to deal with environmental change and to remain competitive in the complex market, thus they have been introducing knowledge management gradually. However, not until the last few years has the relative importance been recognized, even which is growing. Knowledge management is the administrate activity and a process of a company to enhance competitive and create additional value such as creating, accumulating, delivering, sharing and recreating knowledge or intellectual capital. Therefore, it newly emerged management paradigm to many companies.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is to intensify the key capacity of a company as well as to increase the additional values created by knowledge.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the success factors by case studies and examination of theories related to a number of success factors for knowledge management. The success factor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Senior executives have to clearly manifest their wills about knowledge management, take the initiative and set examples and support team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s implemented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has flexibility and expandability to implement knowledge management with even less expanse. Technology infra construction can do knowledge administration must attain at the same time. Knowledge sharing is indispensible to success factors and affects to knowledge management. Compensation by assessment affords motive which is continuously in creation of knowledg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stopping to present model on the basis of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actual conditions analysis.

      • 중소기업 품질혁신을 위한 싱글- PPM 적용에 관한 연구 : A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광순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변화하는 기업의 경영환경에서 중소기업의 생존여부는 어떠한 전략으로 비즈니스 경쟁사회에 대처하느냐에 달려있다. 많은 중소기업들이 뛰어난 아이디어와 훌륭한 인재들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실패하거나 도산하는 사례들을 살펴보면 기업이 지닌 장점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지 못했거나 시기적으로 너무 빠르거나 혹은 너무 늦게 진입했기 때문이다. 물론 이외에도 많은 요인들이 기업 도산 및 실패의 이유로서 제시될 수 있으나 대기업과 달리 적은 인원으로 최대의 효율을 달성해야 하는 중소기업에서는 경영환경에 전략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자세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를 위해 많은 중소기업들은 지속적으로 경영기법 개선활동을 실행해왔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생산성 위주의 활동을 벗어나 품질중심적인 활동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품질은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 매우 핵심적인 요소로서 조직의 유형이나 규모 또는 목표에 관계없이 상당히 중요한 전략적 요소이다. 기업과 국가는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ISO9000, 100PPM, 6시그마, 싱글-PPM에 이르기 까지 품질혁신을 위한 경영기법들이 제시하였으며 많은 기업들은 이러한 경영기법들을 기업 내 도입하여 경영개선을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품질혁신을 위한 경영기법 중 싱글-PPM을 실제로 적용하여 활용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적용사례를 통해 중소기업의 품질혁신을 위한 가장 적합한 모델로서 싱글-PPM을 제시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이를 통해 향후 싱글-PPM의 활성화를 기대하고자 한다.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Method), which decides the level of quality of itself enterprises has been changing by the trends of the times and consumer needs. Mos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are having difficulties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new type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their business process to catch up with or lead innovation trends. Especially, Single PPM (parts per million) is a technical terminology that the conventional 100 PPM quality innovation activity is changed into single PPM quality innovation activity. The single PPM activity also means a quality management activity for obtaining zero defect products in long-term perio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everal development possibilities in applying single PPM. To achieve it, we surveyed A company that participate in single PPM quality innovation activity and analyzed its performance on single PPM activities. By the analyzed results, we propose performances to effectively apply single PPM quality innovation activity to the companies. Firstly, this paper studies the whole process of the Single PPM from theoretical backgrounds to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secondly, it researches the influence of existing Single PPM of A company. Quality is a core factor of deciding competitive edge and critical strategic factor. Many companies adopt new management technique. One of management technique methods, Single-PPM has more strict required conditions. Single-PPM is focused o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nd financially supported by Korean government.

      • 병원 경영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 지방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조준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지방 소재 500병상 이상의 병원을 사례 대상으로 하여 경영성과 분석 후 경영개선방안을 제시를 위한 연구이다. 최근에 병원들은 의료시장의 개방이라는 환경과 지속적인 의료수익성의 저하로 병원경영이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사례병원의 경영성과를 분석하여 경영상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적절한 경영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2006년 전국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그 경영성과를 규모별(종합병원, 500병상 이상), 지역별(전국 및 중소도시)과 사례병원과 같은 지역인 경쟁병원의 차이를 비교분석해 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익성 분석 결과를 보면, 사례병원은 적자폭이 확대되어 수익성에 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병원 평균이나 광역시 평균은 물론이고 중소도시 평균 수익성 지표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경쟁병원은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으나 사례병원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건비, 재료비, 관리비 비율을 분석한 결과 사례병원의 관리비 비율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계처리나 급여산정방식에서 비롯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수익성에 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활동성 분석 결과를 보면, 비율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인다. 총자본회전률은 자본잠식으로 인하여 회전율이 높아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착시효과일 뿐이다. 미수금 관리의 경우엔 비교적 양호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의료기기회전율 역시 평균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활동성은 전반적으로 평균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유동성 분석 결과를 보면, 유동성이 경쟁병원보다는 낮지만 산업평균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채권자입장에서는 바람직할 수 있지만, 유동성과 수익성이 상층 되는 효과가 있음을 감안한다면 유동성을 다소 낮추어서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안정성 분석 결과를 보면, 부채비율이 비교대상보다 전반적으로 낮고 특히 고정장기적합률이 낮은 반면 현금보유기간은 상대적으로 길다. 이는 안정성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안정적 경영을 지향하고 있어 유동성 비율과 마찬가지로 수익성을 희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성장성 분석 결과를 보면, 순이익 및 의료수익이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점이 평가할 만하다. 순이익의 경우 전체적이나 경쟁병원 역시 저조 했지만 사례병원은 다소 나은 편이다. 다만 의료수익 증가율이 다소 부진한 것이 문제점으로 보인다. 여섯째, 생산성 분석 결과를 보면, 사례병원은 진료부문(의사)과 스탭부문(직원) 모두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료부문의 생산성이 산업평균보다는 현저히 낮고 경쟁병원 보다도 떨어져 시급한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개선 추세에 있어 향후의 결과가 주목된다. 종합적으로 보면, 사례병원은 안정성 지표를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누적 손실의 증가로 인하여 총자본이 잠식되어 총자본 관련 수치는 높게 나타났지만 실질적으로는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다. 우선 사례병원은 안정적이 성장을 위하여 누적 손실의 감소에 주력해야 하며 전 직원의 위기의식을 고취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로 보다 많은 환자 유치하여 수익성, 성장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사례병원은 의료생산성이 낮은 상황에서 지나치게 안정적인 경영을 하고 있어 수익성이 크게 훼손되어 있는 상태이다. 산업평균적인 활동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이면서 다소 공격적인 경영을 한다면 수익성이 개선될 여지가 충분히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2개년도 재무제표만으로 분석하여 사례병원의 현재의 상황까지 오게 된 원인 분석을 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차후 연구에서는 사례병원의 기간 재무제표 및 내부 자료를 충분히 확보하여 실질적인 문제의 원인을 파악한 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hospital is facing a difficult situation, medical opening of the market and deteriorating patient revenue. This study is aim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management of the hospital by generating major problems and seeking improvement resolution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n management materials of the hospital where the researcher works and that of hospitals in other distri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ofitability revealed that salaries ratio and material costs ratio were favorable. But administrative expenses ratio is worse than the competitor hospital. In general profitability indicators of the sample hospital were very low. This indicates that the sample hospital is very bad at creating profit.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activity, total assets and turn period of inventory were good. However, others were vulnerable. Thir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urrent indicators revealed to be worse than the competitor hospital. But it was higher than industry average.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stability, debt ratio, and fixed assets to long term capital ratio of sample hospital were good. Cash on Hand and Cash to debt ratio were high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stability indicators of the sample hospital was very good. Fifth, the analysis results of the growth indicators revealed to be all worse. Sixth,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oductivity revealed value added ratio to total assets, value added ratio to gross revenue and value added ratio to personnel expenses of the sample hospital were good. Value added per personnel, gross revenues per personnel and gross revenues per physicians were bad. Lastly, Analysis results showed up to commit a fault indicators related total assets because of an accumulated deficit increase.

      • 중소기업 경영자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청북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최홍대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중소기업의 성장은 기술 수준의 향상, 산업 구조의 고도화, 신규 고용 창출 등 중요한 경제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에 큰 관심을 가지고,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각종 정책적·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중소기업이 경영성과나 가치창출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다방면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 대부분은 중소기업 경영자에 초점이 되어 있다. 이는 중소기업의 성공적 역할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경영자 특성 중 어떤 요인들이 경영성과와 관련이 있는지를 실증분석 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중소기업 경영자 특성 요인 중 경영성과와 관련된 요인에 관하여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며, 이러한 선행연구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을 제시한 후,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의 심리적 특성을 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모호함의 인내성향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심리적 특성 요인은 유의적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자의 역량 특성을 의사소통, 의사결정, 경영관리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역량 특성 요인은 유의적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영자의 배경 특성을 연령, 학력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배경 특성 요인은 유의적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영자의 경력 특성을 경영경험, 직장경험, 경영성공경험 유무, 경영실패경험 유무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경력 특성 요인은 유의적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경영성과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최고경영자의 심리적 특성의 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과 역량 특성의 의사소통, 의사결정 그리고 경력 특성의 경영실패경험은 경영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충북 북부지역 중소기업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 북부지역에 있는 중소기업 최고경영자로써 이 표본이 우리나라 전체 중소기업에 대한 결과가 아니므로 모든 중소기업의 경영자 특성을 대표한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기업 규모별, 업종별, 지역별 비교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의 분석에 있어서 경영성과에 대해서 보다 정확한 재무적 비교를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경영성과를 재무적인 부분에서 보다 정확한 정보와 이를 정기적으로 분석하여 비교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모형의 설계에 있어 최고경영자의 특성만을 고려함으로써 경영자 이외의 근로자, 경영환경 등 보다 다양한 독립변수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경영성과에 미치는 다양한 특성을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경영자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통제변수로서 경영자 특성을 기간별로 구분하여, 경영성과를 측정하여 차이를 비교해 볼 필요성이 있다. The growth of medium and small enterprises have much important economic meaning; improment of technical level, higher degree of industrial construction, new creation of employment. So government support in many ways with system and political method to rear this enterprises. Now todays to continuous growth of it , through management result and value creation, researched in mant directions are having done vigorously. Much research have focused on this enterprises manager. It is because that manager is important factor of successful role of this enterprises. The aim of my research is analysis of the true state of what related manager quality to management result. To this AIM, first, i examine generally precedent study about management result of this enterprises's manager quality factor, then propose new study model and set up study assumption and made analysis of true state. The summary of research rest by analysis of the true state is as follows. First, as i analyze this enterprises's psychological quality classified by accomplished desire, peril impression disposion, endure disposion of vague, psychological quality effected profitably and partly. Second, when i analyze manager's quality classified as, idea mutual understanding, idea determination, management administration, the capacity quality effect profitably on that effect. Third, when background quality of manager classified age, scholarship, it effect partly and profitably. Fourth, when the manager's career record classified management success or management failure experience. The career record factor effect on it partly and profitably. In conclusion, this-medium and small enterprises's best manager quality have mutual relation with management result partly, specially accomplishment desire, danger enduring quality, idea mutual understand, idea determination and failure experience of career quality effect on it much. This research have the meaning of analysis done an actual proof condition, which done in short of study about medium and small enterprise's result factor of Chung-buk north area's enterprises. But in spite of this research condition. It has limitation, suppose new study direction henceforth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limited on the best manager of Chung-buk north area's medium and small enterprises. So it's sample is not the result of our whole country, new research is needed in comprision of job are industrial scale. Second, this research do not comparestrict financial comparision about management result, so it needed more periodical comparision and correct information of financial. Third, in study model, it deal with only best manager quality, so it did not deal with employee. Management circumstances and so on then it needed more variable quality effective on management result. Fourth, it takes much time to effect manager quality on the management quality. So my new research needed periodic interval classification of manager quality, measure of management result as variable control and then campare their differences.

      • 인터넷 활용 교육을 통한 학습증진에 관한 연구 : 충북 북부지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김동찬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대 사회를 움직이는 원동력은 정보로써 교육도 단순한 지식의 전달에서 벗어나 새롭게 정보를 생산해 내고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사회적으로 네트워크 세대, 모바일 세대의 등장으로 학생들이 인터넷에 중독될 정도로 인터넷을 가까이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상황을 조절하고 관리하며, 자율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긍정적인 인터넷 이용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급격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도래한 정보화 사회를 맞이하여 충북 북부지역 대학교의 효과적?효율적인 교수-학습 환경 내지는 도구로서 자리 잡기 위해 인터넷 활용한 학습교육이 학교 교육에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이루어지는지 실태를 파악하고, 이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차세대 교육방식이 보다 증진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첫째, 온라인 지원 E-learning서비스의 극대화다. E-learning 및 Blended learning은 “학습효과를 최대화 하고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서로 다른 학습방법을 결합시키는 것”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오프라인과 온라인 교육의 차이점 인식으로 교수자가 적극적으로 학습자들의 학습 활동을 촉진시키려면 많은 시간이 요구되므로 담당할 학습자의 수가 많을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인력이나, 네트워크, 자료의 설계와 관리 및 행정지원체제의 온라인 교육에 필요한 전문 인력의 양성이 요구된다. 셋째, 커뮤니티의 적극 활성화다. 온라인으로 학습을 수행하는 학생들의 외로움을 해소하고 나아가 소속감을 고취하기 위해 On-line 및 Off-line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사이버교육환경 구성 및 면대면 만남의 가치를 공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결론적으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다양한 학습 자료들의 제공 및 학교와 지역교육관과 연계협력의 전담, 교수의 학생 관리의 인센티브 제공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학습자들이 새로운 수행방법을 접함으로써 활동에 피드백을 줄 수 있는 교수자의 지원, 재정적 지원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는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학습시스템 교육방신이 대학수업의 교육목표 달성에 효과적이며,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적합한 방법이라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이 방안이 전면적으로 대체방안이라고는 볼 수는 없다. 가상공간이 현실공간의 장점을 보장해 주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충북북부지역의 대상으로만 조사를 하였으므로 일반화 시킬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학습방식의 전면적 대안이기 보다는 하나의 보완적 방식으로 의미가 있음을 밝혀둔다. Modern society is driven by information, and education should aim to develop learners' ability to create and take advantage of information, instead of merely conveying knowledge. The emergence of the network and mobile generation has spurred students to get closer to the Internet to the extent they are at risk of addiction. Under the circumstances, learners are in want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at allows them to regulate and control their own learning and study voluntarily, and they should learn to capitalize on the Internet in a more ideal man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eight of e-learning in colleges in the northern part of north Chung Buk province as an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setting or tool in today's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emerged by the advance in IT. It's basically meant to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e-learning to provide better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b-enabled e-learning services should be enlarged as much as possible. E-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could b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different learning methods that aims to maximize learning efficiency. Second, it's very time-consuming for educators to get an accurate grasp of differences between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to expedite learner activities. Therefore experts who can be responsible for assisting online education, handling networking, data design,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should be nurtured to lend assistance to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large classes. Third, online and offline communities should be dynamized. A lot of online and offline communities should be set up to improve students' sense of belonging while studying over the Internet so that they couldn't feel lonely. That will contribute to creating better cybereducation environments and making up for the defect of online education that is devoid of fact-to-face teaching. In conclusion, a wide variety of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offered, and a separate task force should be established to beef up collaboration between schools and local education centers. In addition, a supply of appropriate incentive is required. Educators should try to keep offering successful feedback by helping learners apply new teaching methods, and financial aid is required as well. It's suggested in this study that the web-enabled e-learning system is effective in attaining the educational objects of colleges and fits into the new educational paradigm. But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is approach couldn't work miracle all the time across the board, since the cyberspace cannot totally substitute the offline spaces. In addition, the geographic scope of the study was just confined to the northern part of north Chung Buk province, and the findings might not be generalizable.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e-learning is not a perfect solution but just an alternative to supplement existing learning methods.

      • 지역신문 활성화를 위한 경영전략연구 : 지역 주간신문을 중심으로

        이규홍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It is shown that booming the local newspaper is the greatly important part in terms of getting diversity of the newspaper, preparing the decentralization system, or reserving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However, we are now under difficult conditions of the congestion of the National Capital region, centralization of all of the systems, and flooding with mass media. This paper focuses on surveying and analyzing how the CEO of the local newspaper manage their company and how they will manage them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paper performs case studies in the Developed Nations, take professional advice by interviewing the specialists, and uses SWOT Analysis.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local newspaper isn't payed for a subscription fully, has low annual sales and isn't recognized enough by local residents because of the indifference of local residents and other rival mass media, but its influence will be grown in the future. In foreign countries, local residents form the basis of growing the local newspaper and government support the local newspaper systematically, which is shown that there are implications for our government. To boom the local newspaper, First, it must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newspaper and mass media. It must be localized thoroughly, adhering closely to its region, working in perfect harmony with the local residents and making the most of local characteristics. Second, it must do its best to increase the circulation. It must attract subscriber's atten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newspaper through in-depth news coverage, theme reports, exploration reports, and so on. Additionally, it must form relationship with local residents informing them of gatherings, matters for congratulation and consolation and other various events, etc. Third, it must increase advertising revenue at a advertising charges people can afford, create the way the advertisement can be more effective, introduce paper bazaar and discount coupon, inform daily information. It must concentrate primarily on the authenticity,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he advertisement. Fourth, it must create external revenue through publishing, culture, events etc, for example, the production of university bulletins, mini phone books, food magazine and other various prints and joining diverse events, marathon, concert etc. Fifth, the local newspaper companies must be jointly nationwide and improve their influences, share their information, make project reports together, print jointly, create joint advertisements. They must notify their regions by introducing them in rotation. To conclude, the local newspaper can be run with the small staffs and expenses because of working with a small area, therefore, it must reinforce its system by self-monitoring and analyzing its region, raise its capability, and finally be reborn as the newspaper that can harmonize with the local characteristics. 지역신문의 활성화는 신문의 다양성 확보나 지방분권화 대비 또는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본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수도권의 과밀화, 모든 체제의 중앙집중화, 그리고 정보 매체들의 난립 등으로 인해 매우 어려운 실정에 놓여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지역신문을 경영하는 경영자들에게 지역신문의 운영현황과 현장에서 느끼고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발달한 외국의 선진사례들을 정리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의견 개진과 SWOT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구독료 회수비율의 저조함과 연매출액이 아직 기대에 못 미치고 있고 지역신문 발전 저해요인이 지역민들의 무관심과 경쟁매체의 난립이라고 할 정도로 지역신문은 지역민들에게 각인되어 있지 않지만 앞으로의 영향력은 커질 것이라는데 공감을 하고 있었다. 외국사례에서는 지역신문이 커나갈 수 있는 토대가 지역민들로부터 이루어졌다는 점과 정부의 지원 사례 등이 체계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 향후 우리 정부가 해야 할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지역신문을 활성화 하려면, 첫째, 타 신문 및 매체와 차별화를 해야 한다. 지역과 밀착하여 지역민들과 호흡하고 지역의 특성을 부각시키며 철저히 지역화해야 한다. 둘째, 신문부수를 확장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심층취재, 테마보도, 탐사보도 등으로 신문의 질을 높여 구독자의 관심을 끌고 모임, 애경사, 행사 알림 등으로 지역민과 인간관계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 셋째, 광고수입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부담 없는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창출, 지상 바자회, 할인 쿠폰제 도입, 생활정보 등과 광고의 진실성, 신뢰성, 정확성으로 타 매체와 승부해야 한다. 넷째, 출판, 문화, 행사, 이벤트 등으로 외적 수입 창출도 고려해야 한다. 대학학보 제작, 작은 단위의 전화번호부나 상가 전화번호부 제작, 각종 인쇄물, 그리고 역사탐방, 문화기행 등 축제에 참여하는 것과 걷기, 마라톤, 콘서트, 음악회 등으로 수입 창출. 다섯째, 전국 단위 지역신문끼리 공동 연대하여 영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교류 및 공동 기획기사, 공동 인쇄, 공동 광고 창출 그리고 지역을 돌아가며 소개함으로서 지역을 알리는 역할을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지역신문은 작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소규모 인원과 적은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어 신문사 내부의 철저한 자기진단과 지역분석을 하여 사내조직을 강화하여 내부의 역량을 키워 지역 특성에 맞는 신문으로 거듭나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