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반영구화장 시술자의 보건위생인식이 보건위생실천에 미치는 영향

        정재은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에서는 반영구화장 시술자의 보건위생인식이 보건위생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반영구화장 시술자와 피시술자의 보건위생 예방을 도모하여안전한 반영구화장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반영구화장 시술자의 보건위생인식이 보건위생실천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경력 1년 이상의 반영구화장 시술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 270명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 90부를 제외한 180부의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보건위생인식은 위생환경인식, 위생인식, 위생중요성의인식, 위생교육필요성인식 네 가지의 하위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보건위생실천은 개인위생, 기구소독, 환경위생 세 가지의 하위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보건위생인식이 보건위생 실천에 상관이 있는 9가지의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 1인 “보건위생인식이 개인위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1항은 부분 채택되었다. 보건위생인식 하위요인의 위생환경인식, 위생중요성인식, 위생교육필요성인식은 개인위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 2, ”보건위생인식이 기구소독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는 연구가설 2항은 부분 채택되었다. 보건위생인식의 하위요인의 위생환경인식, 위생중요성인식, 위생교육필요성인식은 기구소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생인식의 경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 3, ”보건위생인식이 환경위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는 연구가설 3항은 부분 채택되었다. 보건위생인식의 하위요인의 위생환경인식, 위생인식은 기구소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하여 반영구화장 시술자들의 보건위생인식이 보건위생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반영구화장 위생교육이 의무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영구화장 위생교육필요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세부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반영구화장 보건위생 분야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반영구화장 시술자의 보건위생 관련 선행 연구가 부족하여, 보건위생인식이 보건위생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반영구화장 시술시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에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핵심 되는 말 : 반영구화장, 보건위생, 기구소독, 개인위생, 환경위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ublic health hygiene awareness of semi-permanent make-up practitioners on health hygiene management practices, and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ealth hygiene management of practitioners and subjects in the field and to create a safe work environment for semi-permanent make-up. In order to fulfill the goals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70 random semi-permanent make-up practitioners with at least one year of experience, and 180 survey data were analyzed, excluding 90 insincere data.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effects of semi-permanent make-up artist’s health hygiene awareness on health hygiene practices, Health hygiene awareness was derived into four sub-factors: 1) awareness of a hygienic environment, 2) hygiene knowledge, 3)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ygiene, and 4)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hygiene education. Health hygiene practice was derived into three sub-factors: 1) personal hygiene, 2) equipment disinfection, and 3) environmental hygiene. From correlation analysis with nine factors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how health hygiene awareness is related to health hygiene practice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research hypothesis 1 "Health hygiene awareness does not have an effect on personal hygiene." was partially adopted. It was found that three of sub-factors of health hygiene awareness the awareness of a hygienic environment,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ygiene, and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hygiene education had a meaningful effect on personal hygiene. Second, hypothesis 2 “Health hygiene awareness does not have an effect on equipment disinfection." was partially adopted.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health hygiene awareness the awareness of a hygienic environment,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ygiene, and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hygiene education had a meaningful effect on equipment disinfection, and personal hygiene did not. Third, hypothesis 3 "Health hygiene awareness does not have an effect on environmental hygiene." was partially adopted.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health hygiene awareness the awareness of a hygienic environment, the awareness of hygiene had a meaningful effect on equipment disinfection. From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semi-permanent make-up practitioners’ awareness of the health hygiene influences their health hygiene practices. Currently, education on hygiene for semi-permanent make-up practitioners is not mandatory, so detailed follow-up research on the necessity of hygiene education for them will be helpful to level up health and hygiene in field of semi-permanent make-up. Due to the lack of previous studies on health hygiene of semi-permanent make-up practitioners, this study, which reveals the impact of health hygiene awareness on health hygiene practices, is expected to be a baseline to bring safety of semi-permanent make-up practitioners and on the creation of a safe working environment for subjects. Key words : Semi-Permanent Make-Up, Health Hygiene, Equipment Disinfection, Personal Hygiene, Environmental Hygiene

      • 뷰티경영자의 앙트러프러너십이 뷰티헬스산업관심도를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수연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뷰티경영자의 앙트러프러너십이 뷰티헬스산업관심도를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헬스케어 영역이 질병에 대한 치료에 전념하던 의료영역에서 벗어나 삶의 질을 높이는 건강관리 측면으로 급성장함에 따라 뷰티케어와 헬스케어가 결합된 뷰티헬스산업도 등장하였다. 그러므로 뷰티경영자는 기술력 뿐만 아니라, 경영능력, 전문성, 민첩성 등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을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는 뷰티경영자의 앙트러프러너십이 뷰티헬스산업관심도를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뷰티경영자의 직무성과에 직결되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뷰티경영자가 융복합시대에도 목표한 직무성과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미용사국가자격증이 있는 헤어, 피부, 네일, 반영구, 기타 분야의 소상공인 뷰티경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소상공인은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이하의 사업자를 말한다. SNS채널인 밴드에 가입된 소상공인 뷰티경영자 2600명 중 자발적으로 설문의 의사를 밝힌 무선표집에 의해 수렴된 184명이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여 2021. 10. 1. ~ 10. 18.까지 18일 동안 온라인 설문지로 설문조사가 시행되었다. 앙트러프러너십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뷰티헬스산업관심도를 매개로 직무성과의 하위요인인 과업성과와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경영자의 뷰티헬스산업관심도,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은 과업성과, 혁신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경영자의 앙트러프러너십은 위험감수성, 혁신성 순으로 뷰티헬스산업 관심도에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뷰티경영자의 앙트러프러너십은 위험감수성, 혁신성 순으로 과업성과에 영향이 나타났다. 넷째, 뷰티경영자의 앙트러프러너십은 위험감수성, 혁신성 순으로 뷰티헬스산업관심도를 매개로 과업성과에 영향이 나타났다. 다섯째, 뷰티경영자의 앙트러프러너십은 혁신성, 위험감수성 순으로 혁신행동에 영향이 나타났다. 여섯째, 뷰티경영자의 앙트러프러너십은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순으로 뷰티헬스산업관심도를 매개로 혁신행동에 영향이 나타났다. 뷰티경영자의 위험을 감수하고 새로운 사업기회에 도전하는 성향은 뷰티 산업을 기반으로 피부과학, 모발과학 등의 보건분야와 노화예방, 운동처방의 건강분야가 결합하여 파생된 새로운 분야에 대한 관심도를 자극할 것으로 사료된다(위희정, 2020). 그리고 뷰티헬스산업에서는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에 필요한 시스템을 도입하고 실행하는 것과 모험으로 새로운 사업을 창출하는 것이 기업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뷰티경영자가 뷰티산업을 기반으로 파생된 새로운 융복합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조직의 목표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되는 말. 혁신성, 위험감수성, 뷰티헬스산업관심도, 과업성과, 혁신행동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f Beauty CEO on Job Performance through Beauty Health Industry Interest Su Yeon Jo Major in Medical Beauty Industry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Industry, C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ea-Ju, Hwang, Ph.D) As the healthcare sector has grown rapidly in terms of health care, which means healthy life and prevention, away from the medical field that focused on treating diseases, the beauty health industry that combines beauty care and healthcare has also emerged. Therefore, beauty managers are required not only to have technical skills, but also to adapt to changes in management ability, expertise, and agility. This study aims to help beauty CEO achieve their target job performance even in the era of convergence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beauty CEO' Entrepreneurship on job performance through the medium of beauty health industry intere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mall business beauty CEO in hair, skin, nails, semi-permanent, and other fields with national qualifications for hairdressers nationwid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mall business beauty managers, and small business owners refer to businesses with less than 5 full-time workers. Among the SNS channels, 184 out of 2,600 small business beauty managers who joined the band were sampled wirelessly. Using the self-written survey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as an online questionnaire for 18 days from October 1, 2021 to October 18, 2021. The components of Entrepreneurship consisted of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taking, and it was confirmed how they affect task performance and innovation behavior, which are sub-factors of job performance through beauty health industry interest.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terest in the beauty health industry,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taking of beauty CEO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ask performance and innovative behavior. Second, the Entrepreneurship of beauty CEO showed an effect on the interest in the beauty health industry in the order of risk sensitivity and innovation. Third, Entrepreneurship of beauty CEO showed an effect on task performance in the order of risk sensitivity and innovation. Fourth, the Entrepreneurship of beauty CEO showed an effect on task performance through the medium of interest in the beauty health industry in the order of risk sensitivity and innovation. Fifth, the Entrepreneurship of beauty CEO showed an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in the order of innovation and risk sensitivity. Sixth, the Entrepreneurship of beauty CEO showed an influence on innovation behavior through the medium of interest in the beauty health industry in the order of innovation, risk sensitivity, and initiative. The tendency of beauty managers to take risks and challenge new business opportunities is expected to stimulate interest in new areas derived by combining health fields such as anti-aging and exercise prescriptions with health fields such as dermatology, hair science, and health care. And in the beauty health industry, introducing and executing new product production processes and organizational systems, and creating new businesses through adventures can be essential elements for corporate survival.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higher the interest of beauty managers in new convergence industries derived based on the beauty industry, the more they can help achieve the organization's goals. Key words. Innovation, risk sensitivity, beauty health industry interest, task performance, and innovation behavior

      • 반영구화장사의 혈행성감염에 관한 보건위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기향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Recently, as the semi-permanent makeup market has grown significantly, various discussions on promoting legalization are taking place. Semi-permanent make-up is a sophisticated technology that can fulfill one’s satisfaction not only in a cosmetic purpose but also medical purpose. However, since semi-permanent make-up is achieved with invasive procedures, more thorough education on hygiene concepts and infections should be conducted. It is so important and essential to develop a health 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Bloodborne infections of semi-permanent cosmetic specialists before they start their own bus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waken alertness of the importance of infections and hygiene; secondly, to present a plan to proceed the procedure safely in detail. Third, it is aim to minimizes infection by cultivating the hygiene practice of semi-permanent make-up industry. Fourth, by presenting detailed process plans as an educational program, semi-permanent specialists can be safely proceed their work in the actual field.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health hygiene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New Delphi technique as a research method and the items were organized as the operator area, the subject area, the environment area, and the tool area. The operator area and the subject area were divided into sub-regions before, during, and after work respectively to construct the sub-item questions. In sequence, a group of experts were select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3 times in tot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cruitment model for health and hygiene education programs was presented to the group of experts; resulting in a total of 207 items in the operator area, 134 items in the subject area, 168 items in the environment area, and 93 items in the tool area. Through the survey,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composition of this program were deduced by gathering the value of CVR, consensus, and convergence. Second, the 2nd Delphi survey showed a value of average between 4.20-5.00 and a standard deviation between 0.35-0.99, indicating differences of opinion between the expert panels.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was found to be distributed between 0.47 and 1.00. As a result, validity has been secured in the operator area. The following questions 2-2: (2)-① Do not treat customers with high-positioned legs, 1-1: (1)-① Keep away from waters for 2-3 days, 1-1: (1)-④ Put your finger on the inside of the wrist of the glove with your bare hand and take it off upside down, 1-2: (1)-② Use new toothbrush without toothpaste were excepted in the subject area. In the tool area, 2-2: (5) sodium hypochloride ① Use as a powerful oxidant for disinfection, ② It is the raw material for the lacquer, which is used mainly for cleaning; also it has bleaching effect, ③ cheap, high-effective, ④ use for cleaning the environment ⑤ do not use for cleaning on tool or machine due to Corrosive ⑥ Check the expiration date and dilute it when used because long-term storage reduces disinfection effect were excepted in the tool area. In the environment area,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excepted; third items of 1-1: (1)-③ 300 lux or higher, 2-1: (2)-② construction waste, 2-3: (3) collect and transport with a dedicated vehicle, 2-3:(4) disposal at incineration facility or sterilization facility. Except those questions, consensus was 0.63 to 1.00 and convergence was 0.00 to 0.75 in average. Third, the 3rd Delphi survey showed a value of average between 4.00-4.93 and a standard deviation of 0.35-1.16, indicating differences of opinion between the expert panels.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was found to be distributed between 0.60 and 1.00. As a result, validity has been secured in the operator area. The following questions third items of 2-2: (2)-① Do not treat customers with high-positioned legs, 1-2: (1)-② Use new toothbrush without toothpaste of the subject area, the first items of 1-1: (1)-③ 300 lux or higher, 2-1: (2)-② construction waste, 2-3: (3) collect and transport with a dedicated vehicle, 2-3: (4) disposal at incineration facility or sterilization facility were excepted in the environment area. Except those questions, consensus was 0.75 to 1.00 and convergence was 0.00 to 0.50 in average. Fourth, the cross-analysis of results of the 2nd and 3rd survey were conducted to ensure homogeneity. The results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items, so the validity has been secured in the operator area and the subject area. In tool area, 1-1: (1)-④ Put your finger on the inside of the wrist of the glove with your bare hand and take it off upside down of the subject area, 2-2, 2-2: (5) sodium hypochloride ① Use as a powerful oxidant for disinfection, ② It is the raw material for the lacquer, which is used mainly for cleaning; also it has bleaching effect, ③ cheap, high-effective, ④ use for cleaning the environment ⑤ do not use for cleaning on tool or machine due to Corrosive ⑥ Check the expiration date and dilute it when used because long-term storage reduces disinfection effect were excepted(p>.05). Theses findings indicate that the set-ups for education program were well-organized and thus,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has developed a health 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Bloodborne infections of semi-permanent cosmetic specialists that is currently absent, although it must be implemented specifically. 최근 국내의 반영구화장 시장이 크게 성장하면서 합법화 추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영구화장은 단순히 사람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미용 시술을 넘어서서 메디컬 측면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고차원적인 미용 기술이다. 하지만 반영구화장은 침습적 행위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그 어떤 미용 분야보다 위생관념과 감염에 대한 철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산업 양성에 앞서 반영구화장사들의 혈행성감염에 관한 보건위생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하다 생각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반영구화장 전문가 즉 반영구화장사들의 혈행성 감염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으로써 혈행성 감염과 공중위생의 중요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둘째,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보건위생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셋째, 이를 통해 국내 반영구화장의 위생 실천도를 함양하여 감염을 최소화하는 안전한 반영구화장 문화에 이바지하고, 넷째,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구체적 실천 방안을 제시하여 실제 현장에서 반영구화장과 감염 교육이 안전하게 이행될 수 있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뉴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보건위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타당성을 얻고자 하였다. 시술 영역, 피시술 영역, 도구 영역, 환경 영역으로 구성영역을 구분하였고 시술자 영역과 피시술자 영역은 하위영역을 작업 전, 작업 중, 작업 후로 각각 구분하여 세부항목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후, 전문가 집단인 패널을 선정하여 1차, 2차, 3차에 걸쳐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수의 의견으로부터 벗어난 반응이 있을 시 그 이유를 제시하도록 하였다. 내용 타당도 검증은 CVR값, 합의도, 수렴도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혈행성 감염에 관한 보건위생 교육프로그램의 구인화 모형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시술자 영역을 총 207문항, 피시술자 영역을 총 134문항, 도구영역을 총 168문항, 환경영역 총 9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본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내용 타당도 비율(CVR) 값, 합의도, 수렴도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둘째, 2차 조사 결과 시술자 영역의 이하문항을 총 207문항, 피시술자 영역의 이하 문항을 총 134문항, 도구영역의 이하 문항을 총 168문항, 환경영역의 이하 문항을 총 9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평균 4.20∼5.00, 표준편차 0.35∼0.99으로 나타나 델파이 패널 간 의견차가 나타났다. CVR 0.47∼1.00 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술자 영역에서는 모두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피시술자 영역의 작업 전 문항의 2-2번 (2)-① 이하 첫 번째 문항 고객의 다리를 높이는 자세로 시술하지 않는다, 작업 후 문항의 1-1번 (1)-① 2~3일간 물 세안 하지 않을 것을 권장, 1-1번 (1)-④ 장갑을 벗은 손으로 장갑의 손목 안쪽 부분에 손가락을 넣어 뒤집어 벗는다, 1-2번 (1)-② 새로운 칫솔로 치약 없이 양치(치약의 구성 성분 중 계면활성제가 포함), 도구 영역의 이하 문항 중 2-2번 (5)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de), ① 강력한 산화제로 소독에 사용, ② 살균 작용 외에 표백효과도 있다. 주로 청소용으로 사용하는 락스의 원료이다, ③ 가격이 싸고, 살균 효과가 신속하다, ④ 환경소독에 이용, ⑤ 부식성이 강해서 기구나 도구 소독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⑥ 장기간 보관하면 소독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사용할 때 유효기간을 확인하고 희석한다. 환경영역의 이하문항 중 1-1번 (1)-③ 이하 첫 번째 문항 정밀 작업 300럭스 이상, 2-1번 (2)-② 건설폐기물, 2-3번 (3) 전용 차량으로 수집·운반, (4) 소각시설(또는 멸균시설)에서 처분 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합의도는 0.63∼1.00, 수렴도는 0.00∼0.75로 나타나 전문가들의 의견 일치가 이루어졌으며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차 델파이 조사 결과는 평균 4.00∼4.93, 표준편차 0.35∼1.16로 나타나 델파이 패널 간 의견차가 나타났다. CVR은 0.60∼1.00 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술자 영역에서는 모두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피시술자 영역의 작업 전 문항의 2-2번 (2)-① 이하 세 번째 문항 고객의 다리를 높이는 자세로 시술하지 않는다, 피시술자 영역의 작업 후 문항의 1-2번 (1)-② 새로운 칫솔로 치약 없이 양치(치약의 구성 성분 중 계면활성제가 포함), 환경영역의 이하문항 중 1-1번 (1)-③ 이하 첫 번째 문항 정밀 작업 300럭스 이상, 2-1번 (2)-② 건설폐기물, 2-3번 (3) 전용 차량으로 수집·운반, (4) 소각시설(또는 멸균시설에서 처분) 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합의도는 0.75∼1.00, 수렴도는 0.00∼0.50으로 나타나 전문가들의 의견 일치가 이루어졌으며 3차 검사에 대한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넷째, 2차와 3차 델파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집단들의 동질성 확보를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술자 영역에서는 모두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피시술자 영역의 이하문항 1-1번 (1)-④ 장갑을 벗은 손으로 장갑의 손목 안쪽 부분에 손가락을 넣어 뒤집어 벗는다, 도구영역의 이하문항 2-2번 (5)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de), ① 강력한 산화제로 소독에 사용, ② 살균 작용 외에 표백효과도 있다. 주로 청소용으로 사용하는 락스의 원료이다, ③ 가격이 싸고, 살균 효과가 신속하다, ④ 환경소독에 이용, ⑤ 부식성이 강해서 기구나 도구 소독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⑥ 장기간 보관하면 소독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사용할 때 유효기간을 확인하고 희석한다 를 제외하고 전반적인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본 교육 프로그램이 혈행성 감염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적절히 구성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반영구 화장사들에게 필수적으로 이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부재하고 있는 혈행성감염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MZ세대 여성의 반영구화장에 대한 사회·심리적 기대효과가 외모 스트레스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미리내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MZ세대 여성을 대상으로 반영구화장에 대한 사회·심리적 기대효과가 외모스트레스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실증적 자료를 통하여 반영구화장 분야의 폭넓은 학문적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반영구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의 MZ세대 여성을 대상으로 구글 플랫폼 온라인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최종 268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왜도와 첨도, 탐색적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으로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연령은 M세대 연령층인 35∼42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최종학력은 대학교 재학 및 졸업에서, 직업은 직장인이 가장 많았으며, 월 소득에서는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반영구화장 이용실태에서 방문경로는 지인의 추천이, 시술장소는 반영구화장 전문샵을 선택하였으며, 시술이유로는 화장시간 절약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술시 견해의 중요도에 대해 시술자와 나의 공통적인 견해를 많이 선택하였고, 반영구화장 연간 이용에서는 1년 이상 2년 미만으로, 반영구화장 시술후 추천의향은 그렇다의 긍정적인 응답으로 나타났다. 반영구화장의 시술 부위에 대해서 눈썹이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반영구화장의 사회·심리적 기대효과, 외모스트레스 및 대인관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에서 연령에 따른 외모스트레스의 차이와 대인관계의 의사소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반영구화장에 대한 사회·심리적 기대효과의 자신감보완과 대인관계의 의사소통, 개방성, 이해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반영구화장에 대한 사회·심리적 기대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반영구화장에 대한 사회·심리적 기대효과의 하위요인인 적극성 상승, 변화의 즐거움과 자기가치표현은 외모스트레스에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영구화장에 대한 사회·심리적 기대효과의 모든 하위요인과 대인관계 하위요인인 의사소통, 개방성, 이해성, 신뢰성에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반영구화장에 대한 사회·심리적 기대효과가 외모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반영구화장에 대한 사회·심리적 기대효과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신감보완과 적극성상승은 대인관계의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자신감보완은 대인관계의 개방성, 이해성,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보면 반영구화장에 대한 사회·심리적 기대효과는 외모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적극적인 사회생활을 하는 MZ세대 여성의 대인관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반영구산업의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적 변인과 시술에 관련 사례를 적용한 연구의 확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how the social-psychological expectation effect of semi-makeup affects appearance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t women from the generation MZ have, to suggest a wide range of research direction of semi-permanent makeup on the basis of empirical data, and to provide a fundamental material for the semi-permanent makeup industry. To achieve them, this researcher conducted a Google platform based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ith women from the generation MZ liv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s. A total of 268 data were used finally for analysis. For the data analysis, SPSS 25.0 program was appli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skewness, kurto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for verification was p<.05.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garding age, those aged 35∼42, the age range of the generation M,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regarding education, those attending and graduating from college amounted to the highest rate; regarding occupation, employees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regarding monthly income, those earning between 2 million and 3 million KRW amounted to the highest rate. According to the actual state of semi-permanent makeup, regarding a path of visit, acquaintances’ recommendation amounted to the highest rate; regarding an operation place, semi-permanent professional shop was selected much; regarding a reason for operation, makeup time saving was selected much;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n opinion in operation, common opinion between me and an operation was selected much; a use period was mainly between 1 year and 2 years; regarding recommendation intention, positive answer was selected much; regarding the preferred skin region for operation, eyebrows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ocial-psychological expectation effect of semi-permanent makeup, appearance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stress and communication as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age. Confidence supplementation as a subfactor of the social-psychological expectation effect of semi-permanent makeup, and communication, openness, and understanding as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education. The social-psychological expectation effect of semi-permanent makeup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occupation. Third, as subfactors of the social-psychological expectation effect of semi-permanent makeup, positiveness increase, pleasure for changes, and self-expression were partially correlated with appearance stress. All subfactors of the social-psychological expectation effect of semi-permanent makeup were partial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openness, understanding, and reliability as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urth, the social-psychological expectation effect of semi-permanent makeup was not influential on appearance stress. Fifth,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social-psychological expectation effect of semi-permanent makeup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fidence supplementation and positiveness increase significantly affected communication as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fidence supplementation was found to influence openness, understanding, and reliability as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ive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ocial-psychological expectation effect of semi-permanent makeup was not influential on appearance stress, but was positively influential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women from the generation MZ, who were living in social life actively.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research the cases concerning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operations practically applicable to the semi-permanent makeup industry. Keywords: Generation MZ, semi-permanent makeup, social-psychological expectation effect, appearance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청구데이터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한 청구데이터 자료 활용연구 상의 한계점 고찰 연구

        김다슬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빅 데이터의 활용이 최근 화두가 되어 지고 있는 가운데, 보건의료 분야에서도 빅 데이터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2012년부터 “보건의료 개방시스템“을 통하여 빅 데이터를 연구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Case Study를 예시로 이러한 보건의료 개방 시스템의 빅 데이터를 이용 하여 분석 연구를 진행할 시에 건강보험 청구데이터의 기본적인 자료의 구성에 대한 제약으로 인하여 분석 결과의 해석상에서 연구자들이 범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하여 고찰을 해 보았다. Case Study를 위한 연구 대상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청구데이터 상의 건강검진을 한번이라도 받은 성인남성을 대상자로 하여, 남성 불임에영향을 미치는 위해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가설로 설정한 위해요인으로는 선행된 연구 결과에 따라 만성질환, 고환장애, 음경장애, 우울증, 성병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Case Study상의 분석 결과 만성질환과 고환장애는 불임에 영향을 끼쳤으며, 나머지 음경장애와 울증, 성병은 불임과 연관성이 없었다. 또한 만성질환은 불임에 영향을 주지만 설정한 가설과는 다르게 남성불임이 있는 환자일수록 만성질환 환자의 수가 낮았다. 이러한 Case Study를 바탕으로 고찰을 해본 결과 연구자들은 건강보험 청구데이터의 특성 상 진단 시점에서부터 데이터가 누적 된다는 점, 대상자 개인의 생활습관과 인구 사회학적 요소들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오류를 범 할 수 있으며 복용약을 통제하지 않을 경우 오류가 일어 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것들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얻 었다. 본 연구는 보건의료계에서 이러한 빅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가 증가하고있는 가운데 빅 데이터로써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청구데이터를 흔히 사용 하고 있는데, 연구자들이 이를 이용한 연구를 설계하고 진행할 시에 범할 수 있는 오류를 하나의 Case Study를 통하여 고찰해 보았다는 것에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많은 연구자들에게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 연구 진행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s the use of Big Data has become a hot topic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using big data have been under way in the field of health care. Since2012,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HIRA) Service has been opening the "Big Health Data Open System" for various uses in research.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errors that researchers could make when analyzing research using big data of this health care open system as an example of case study. For the case study, we analyzed the risk factors affecting male infertility by considering the adult male who has ever received health examination on the claim data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ypotheses were defined as chronic diseases, testicular disorders, penile disorders, depression,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Chronic diseases and testicular disorders had an effect on infertility, while the rest of the penile disorders, depression,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were not associated with infertility. In addition, chronic illness affects infertility, but unlike hypothese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was lower in patients with male infertility. Althoug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o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it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risk disease affecting the disease empirically using the claims data of the NHIC. This study examines the errors that can be occurred when designing Big Data Analysis Research through the use of Big Data in case of healthcar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many researchers reduce the errors that may arise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health data analysis. Keywords : Big Data, Health care Big Data ,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Institute's Data , Male infertility, Infertility, Infertility Risk Factor

      • 타투이스트의 직업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보란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job selection motives and work values of tattooists on job satisfaction. It researched a way to improve occupational professions and job satisfaction,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new occupations by maximizing the pride of their job, social awareness, and the effectiveness of enacting legislation. For thes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surveyed 180 tattooists who had acquired the 'Tattooist private certificat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No. 2019-001895)'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election motives and work values on job satisfaction of tattooists. With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job selection motives and work values on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marital status, age, and career),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esented hypothesis 1 that is “motives for choosing a job depending on the gender of tattooists will not affect job satisfaction. It was partially adopted. Indeed,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is study found that both social and personal motiv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men and women, ap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motivation for both men and women, and remune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motivation for both men and women. Second, this study presented hypothesis 2 that is “motives for choosing a job depending on the marital status of a tattooist will not affect job satisfaction. It was partially adopted. Indeed,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election factors, this study found that social and person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cognition only for married people, whereas only social motivation for sing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cognition. Ap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motivation for both married and single people, and remune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motivation for both married and single people. Third, this study presented research hypothesis 3 that is “motives for choosing a job depending on the age of a tattooist will not affect job satisfaction. It was partially adopted. Indeed,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election factors, this study found person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cognition in those in their 20s, 30s, and 50s, whereas both social recognition and personal motivation in their 40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cognition. Also, person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ptitude in all of those in their 20s, 30s, 40s, and 50s, and soci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muneration at all ages. Fourth, this study presented research hypothesis 4 that is “motives for choosing a job depending on the career of a tattooist will not affect job satisfaction. It was partially adopted. Indeed, this study found that both social and personal motives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election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cognition depending on experience years for 2-3 years, 3-5 years, 5-10 years, and 10+ years, whereas social motiv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muneration depending on experience years for 2-3 years, 3-5 years, and 5-10 years. Fifth, this study presented research hypothesis 5 that is  “work values of tattooists depending on gender will not affect job satisfaction. It was partially adopted. Indeed, this study found that the pursuit of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work valu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cognition and aptitude for both males and females, and female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males. Sixth, this study presented the research hypothesis 6 that is “work values depending on the marital status of tattooists will not affect job satisfaction. It was partially adopted. Indeed, this study found that the pursuit of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work valu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cognition and aptitude for both married and single tattooists. Seventh, this study presented the research hypothesis 7 that is “work values depending on the age of tattooists will not affect job satisfaction. It was partially adopted. Indeed, the pursuit of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work values showed that both tattooists in their 20s and 50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cognition and aptitude, and those in their 50s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Eighth, this study presented the research hypothesis 8 that is “work values depending on the career of a tattooist will not affect job satisfaction. It was partially adopted. Indeed, this study found that the pursuit of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work valu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cognition and aptitude for all tattooists in their 20s and 50s, and job satisfaction was high for tattoo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job selection motives and work values of tattooists have an significance on job satisfaction, and this relationship would be influenced by that gender, marital status, age, and experience. Therefore, if a follow-up study on job stress depending on job satisfaction is conducted specifically based on the detailed classification of the job selection motives and work values, it will help create new jobs by improving the self-efficacy and social recognition of the job as a tattooist. 본 연구는 타투이스트의 직업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타투이스트의 전문 직업성과 직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자신의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사회적 인식 및 법제화촉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신직업 창출에 이바지 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타투이스트의 직업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타투이스트 민간자격증(보건복지부 등록번호 제2019-001895호)’을 취득한 타투이스트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로 일반적 특성(성별, 결혼여부, 연령, 경력)에 따라 타투이스트의 직업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 1인 “타투이스트의 성별에 따른 직업선택 동기는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즉, 직업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동기와 개인적 동기 모두 남, 여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성은 남, 여 모두 개인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보수는 남, 여 모두 사회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 2인 “타투이스트의 결혼여부에 따른 직업선택 동기는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즉, 직업선택 요인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동기와 개인적 동기는 기혼에게 사회적 인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미혼은 사회적 동기만 사회적 인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적성은 기혼, 미혼 모두에게 개인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보수는 기혼, 미혼 모두 사회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 3인 “타투이스트의 연령에 따른 직업선택 동기는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즉, 직업선택 요인의 하위요인 중 개인적 동기는 20대, 30대, 50대가 사회적 인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40대는 사회적인정과 개인적 동기 모두 사회적 인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개인적 동기는 20대, 30대, 40대, 50대 모두 적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모든 연령에서 사회적 동기는 보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 4인 “타투이스트의 경력에 따른 직업선택 동기는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즉, 직업선택요인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동기와 개인적 동기는 경력 2∼3년, 3∼5년, 5∼10년, 10년이상 모두 사회적 인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적 동기는 2∼3년, 3∼5년, 5∼10년, 10년이상 모두에게 적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반면 사회적 동기는 2∼3년, 3∼5년, 5∼10년,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타투이스트들은 보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 5인 “타투이스트의 성별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즉,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추구는 남자 여자 모두 사회적인정과 적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보다 여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 6인 “타투이스트의 결혼 유무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즉,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추구는 기혼과 미혼 타투이스트 모두 사회적인정과 적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 7인 “타투이스트의 연령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즉,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추구는 20대∼50대 타투이스트 모두 사회적인정과 적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50대가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 8인 “타투이스트의 경력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즉,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추구는 20대에서 50대 타투이스트 모두 사회적인정과 적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타투이스트의 직업선택 동기와 직업 가치관이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성별, 결혼유무, 연령, 경력 또한 타투이스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직업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을 세분화한 것에 따라 직업만족도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후속연구가 세부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타투이스트라는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여 신직업 창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핵심역량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나도연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beauty educators on Core Competence and Job Enthusiasm. Identification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can be used as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the qualifications and skills of beauty educators. To conduct the research, the literature such as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rofessionalism awareness, core competency, and job enthusiasm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is,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16 beauty education workers who obtained national beauty qualifications (hair, skin, makeup, nail art)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answered data, the effect of professional perception of beauty educators according to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marital status, age, and experience) on core competencies was examined. Professionalism Awareness was divided into 5 sub-factors and the effect of these sub-factors on core competency and job enthusiasm was analyzed. Core competencies were subdivided into four sub-fac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situational cop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rofessionalism. Job Enthusiasm was subdivided into three sub-factors: vitality, commitment, and commitmen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beauty educators partially affected core competencies.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beauty educa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which are core competencies. In this case, the influence appeared in the order of systematic instruction, intellectual ability, social status, work ethic, and social service. In addition, Professionalism Aware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situation coping factor, which is a core competency, and the influence was found in the order of professional ethics, systematic instruction, social service, and social status. Also,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interpersonal factors, which are core competencies, and the influence was found in the order of social service, social status, and systematic instruction.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professionalism factor, which is a core competency, and the influence was found in the order of social status, social service, systematic instruction, and intellectual ability. However, intellectual ability, a sub-factor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did not affect coping with situa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so,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ethics did not aff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rofessionalism. Second,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beauty education workers had an effect on job enthusiasm.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ism Aware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vitality of job enthusiasm. The influence appeared in the order of systematic instruction, social service, work ethic, social status, and intellectual ability. Also,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ism Aware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dedication. In this case, the influence appeared in the order of social service, social status, systematic instruction, work ethic, and intellectual ability. Professionalism Aware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immersion, and in this case, the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social status, systematic instruction, work ethic, intellectual ability, and social service. Through the above study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beauty educators affects core competencies and job enthusiasm.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sub-factors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examined, and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the results with previous studies. In order for the beauty industry to create high added value and merge with other industries, high-level beauty experts must be nurtured.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education industry is very importan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competency and enthusiasm of beauty educators are very important variables in beauty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by increasing the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beauty educators, core competencies and job enthusiasm were improve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needed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beauty education industry. Key words: beauty educators, professional awareness, core competency, individual competency, organizational competency, job enthusiasm,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 본 연구는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Professionalism Awareness)이 핵심역량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핵심역량(Core Competence) 및 직무열의(Job Enthusiasm)의 향상을 통해 뷰티 교육종사자로서의 자질을 높이고 체계적인 지식과 기술 향상 및 습득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전문성인식과 핵심역량, 직무열의와 관련한 이론 및 선행연구 등 문헌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핵심역량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도권 지역의 미용 국가자격증(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아트)을 소지하고 있는 뷰티 교육종사자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로 일반적 특성(성별, 결혼 여부, 연령, 경력)에 따라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전문성인식을 다섯 가지 하위 요인으로 나누어 각각 핵심역량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핵심역량을 개인적 특성, 상황대처, 대인관계, 전문성의 하위 요인으로 나누어 전문성인식의 영향력을 제시하였고 직무열의는 활력, 헌신, 몰입의 하위 요인으로 나누어 각각에 대한 전문성인식의 영향력을 제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핵심역량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직업윤리, 지적 능력, 사회적 지위, 체계적 지시, 사회적 봉사 순서로 핵심역량 중 개인적 특성 하위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체계적 지시, 직업윤리, 사회적 봉사, 사회적 지위 순서로 핵심역량의 상황대처 하위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사회적 봉사, 사회적 지위, 직업윤리의 순으로 핵심역량의 대인관계 하위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사회적 지위, 사회적 봉사, 직업윤리, 지적 능력의 순으로 핵심역량의 전문성 하위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성인식 하위 요인 중 지적 능력은 핵심역량의 하위 요인인 상황대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전문성인식의 하위 요인 중 체계적 지시는 핵심역량의 하위 요인인 대인관계와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쳤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직업윤리, 사회적 봉사, 체계적지시, 사회적 지위, 지적 능력의 순으로 직무열의 활력 하위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사회적 봉사, 사회적 지위, 직업윤리, 체계적 지시, 지적 능력의 순으로 직무열의 헌신 하위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사회적 지위, 직업윤리, 체계적지시, 지적 능력, 사회적 봉사의 순으로 직무열의 몰입 하위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핵심역량과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역량과 직무열의에 전문성인식이 미치는 영향력을 영향력이 큰 순으로 정리하였으며 각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선행연구와 비교 및 고찰함으로써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뷰티 산업이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고 융복합 산업이 되기 위해서는 수준 높은 뷰티 전문가를 육성해야 하고 뷰티 교육 산업의 발전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뷰티 교육종사자의 높은 역량과 열의는 필수적 조건이다. 본 연구는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을 높임으로써 핵심역량, 직무열의를 고취하여 뷰티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세부 요인들의 영향력 관계를 반영하여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미래지향적인 뷰티 사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핵심 되는 말 : 뷰티 교육종사자, 전문성인식, 핵심역량, 개인역량, 조직역량, 직무열의, 뷰티 교육기관

      • 국내 디지털치료제 활성화 방안

        정유섭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알약 혹은 주사와 같은 형태의 의약품 그리고 전통적인 치료법에 대한 부작용, 만성 정신질환자의 증가로 인한 보건의료 비용이 급증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도입 초기에 있는 디지털치료제를 활성화하는 방안 3가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의약품을 환자에게 적용하여 나타나는 부작용과 위험성 그리고 개발 시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 비용 및 시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서, 비대면 방식인 디지털치료제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시장 조사를 통해 디지털치료제의 영향력과 효과성을 입증하고 디지털치료제를 위한 국내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디지털치료제 실습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병원 내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사용성의 측면에 있어 각 연령층에 맞는 디지털 도구 및 소프트웨어 형태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치료제에 적절한 규제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치료제 개발 기업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정책제언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영역 확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This study proposed revitalizing digital therapeutics in the early introduction to solve the social issues such as healthcare cost increases caused by increasing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side effects of applying the conventional treatment or medication such as a pill or an injection in South Korea. Describing the side effects of using the generic medication to patients, the cost and time of economic loss incurred during development in detail, it was confirmed that the digital therapeutic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improve these problems. In addition, while conducting market research focusing on foreign cases, the influence and effectiveness of the digital therapeutics were demonstrated, and this paper proposed plans to revitalize the digital therapeutics in South Korea as follows. First, the space to practice digital therapeutics for patients’usability should be established in hospital. Second, appropriate digital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 VR headset, a tablet and the types of software on usability should be provided for each age group. Third, a regulatory system of digital therapeutics should be established focusing on foreign cases.

      • 간호사의 조직 의사소통 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미정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39

        현대사회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고자 병원의 의료 환경은 더욱 전문화되고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병원 조직은 복잡하고 다양한 의료 환경 속에서 그들만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여 조직의 목표를 실현하고자 하는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오석홍, 2005). 한편, 병원 에서 일하는 간호사는 고도의 스트레스 상황에 놓여 있으며 신체적,정신적 소모가 크다. 이는 개인의 삶의 질 뿐만 아니라 환자 간호 서비스의 질, 그리고 업무성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간호사의 신체적, 정신적 안녕 상태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Ryff와 Keyes(1995)는 개인의 삶의 질을 반영하는 척도로 심리적 안녕감을 설명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설명 또는 예측하기 위해 조직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의사소통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직 의사소통 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여 간호 조직 문화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간호 조직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간호사의 조직 의사소통 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 향을 미칠 것이다.’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상자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하였으며, 2019년 9월 25일(IRB 승인일) 이후부터 4주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189부를 회수하였으나 누락 및 극단치를 제거하고 최종 183부를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WIN(버전.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순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Independent t-test, F-test(One-Way ANOVA), 단순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로 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 만족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도 간호사 동료들 간의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자유로운 의사소통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그리고 조직에서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정보전달 매체의 효과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조직 구성원이 업무를 수행하면서 개인 또는 부서 간의 정보 교환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조직에서는 동료와의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고 상호간에 균형있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하며, 간호사들의 바쁜업무를 감안하여 조직 내 주어진 상황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의사소통 매체를 선택하여 활용해야한다. 또한 조직 분위기에 대한 만족을 높이기 위 해 조직 구성원들 상호간의 상황을 서로 이해하며,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Modern society is developing rapidly and the medical environment of hospitals is becoming more specialized and striving to meet consumer needs. Hospital organizations are constantly striving to achieve their own goals in a complex and diverse medical environment, in which communication plays a critical role (Oh Seok-hong, 2005). Meanwhile, a nurse working in a hospital is under high stress and consumes a lot of physical and mental energy.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he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of nurses because this can affect the quality of patient nursing services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ir lives and performance. Ryff and Keyes(1995) explain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measure refl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individual, an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with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at is important in the organization to explain or predi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for nurses working in hospital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to operate the nursing organization in a stable manner.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ill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was set and surveyed using research tools to verify it. The target was to be a nurse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data was collected for four weeks from Sept. 25,2019(When the IRB was approved). The questionnaire collected a total of 189 copies, but the omissions and extremes were eliminated and the final 183 par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are simple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imple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version.21) program.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of nurses,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m,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formal or informal free communication among nurses colleague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effect of the information transfer medium used for communication in the organization, and the higher satisfaction of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individuals or departments as members of the organization perform their duties,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rganizations should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formal or informal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can be smoothly conducted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balanced manner, and select and utilize the most efficient communication medium according to the given circumstances given to the nurses.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satisfaction with the organizational atmosphere, we will need to develop institutional mechanisms to understand each other's situations and form a consensus. Keywords : Nurs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Quality of life, Communication, Hospital, Organization

      • SNS 콘텐츠 정보특성이 건강식품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적 특성을 중심으로

        임현진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건강식품 시장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라 SNS 콘텐츠 정보 특성이 건강식품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건강식품 시장에서 효과적인 SNS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SNS를 통해 건강식품 정보를 본 경험이 있는 20~60대 전국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4일~14일까지 설문지 기법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조사는 2019년 11월 21일~27일까지 7일간 실시하였으며, 총 260부 배포, 회수된 설문지 230부 설문 중에 ‘SNS를 통해 건강식품 정보를 본 경험이 없다’는 응답 48부, 설문 중 일정 응답 란에 연속적으로 응답 18부, 결측값이 있는 불성실한 응답 14 부을 뺀 150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SNS 콘텐츠 정보특성의 구성요소는 정보제공성, 정보유희성, 소비자간 상호작용성, 소비자와 콘텐츠간 상호작용성, 정보신뢰성으로 구성하였으며, SNS 콘텐츠 정보특성이 성별, 연령별, SNS채널에 따라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콘텐츠 정보특성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정보신뢰성이 성별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연령별로는 20대, 50대, 60대이상, SNS채널별로는 카카오스토리, 밴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블로그 순으로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와 콘텐츠간의 상호작용성은 20대와 밴드, 페이스북이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정보제공성은 카카오스토리만이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콘텐츠 정보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정보신뢰성이 성별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연령별로는 20대, 50대, 60대이상, 40대 순으로 나타났고 SNS채널별로는 페이스북, 블로그,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유튜브 순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와 콘텐츠간의 상호작용성은 여성에게, SNS채널별로는 밴드, 블로그, 유튜브,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순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SNS 콘텐츠 정보특성 중 정보제공성과 소비자와 콘텐츠간의 상호작용성, 정보신뢰성이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소비자와 콘텐츠간의 상호작용성과 정보신뢰성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결론적으로 건강식품시장에서 기업이 SNS 활동을 함에 있어 정보특성을 잘 활용하여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업은 소비자에게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유용한 정보, 믿음이 가는 정보를 제공하여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SNS에서 형성되는 브랜드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로 연결되며, SNS를 통해 구매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자와 콘텐츠간의 상호작용성과 정보신뢰성이 핵심요인이 된다. 소비자들이 SNS에서 의견 교환을 할 때 신뢰가 필수적이며, 구매 행동은 제품 정보 신뢰에 의해 결정되고 신뢰가 높을수록 제품구매, 구전의 활동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