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천광역시 유아국악교육 실태조사 연구 : 서구지역 국·공립 유치원을 중심으로

        이영숙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In this essay, I focus on researching about the case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located in Inchon-gwangyoksi, Seo-Gu. Above all, it would be contributed to offer the preliminary data in order to promote and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National &Private Kindergarten in Inchon-gwangyoksi, Seo-Gu in the future. I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I would suggest the conclusions and debates in the following cases. Firstly, most of teachers of the kindergarten placed in Inchon-gwangyoksi, Seo-Gu approved in above the average of Korean Music Education. Also all of them suggested about the necessity of Korean Music Education.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necessity of Infants Korean Music Education for infants considered about that the ways of enhancing the creativity of infants to become a grown-up in the society by recovering the characteristic cultural identity of Korea in the succession of broken spirit of traditional culture. The main purpose of Korean Music Education is to recover the historicity through putting Korean Music on the right place and the creative succession.  Secondly, more than ninety percent of teachers working at the kindergarten teachers in Inchon-gwangyoksi, Seo-Gu had experienced learning about the Korean Music. Majority of them had taken training at private institutes, some had completed cultural studies or specialty courses at the university, and the others touched Korean Music through their hobby like an association. The subjects of the induction courses were mostly about percussion instruments like Samulnori and integrated activities or transmitted children's song and played rhythms, songs, plays and dances. The 45% of teachers considered their knowledge about Korean Music was insufficient, 45% thought they were average, and none of them thought that they had adequate amount of knowledge. 0.9% of teachers even said that they had no knowledge at all.  Thirdly, the teachers in charge of Infants Korean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s placed in Inchon-gwangyoksi, Seo-Gu were mostly a class teacher, the 0.9% in which was employed visitor special lectures. Most kindergartens, by 82%, had lessons less than once a week and 18% of kindergartens had lessons twice a week. When the time spent in Korean Music Education was divided in a unit of per week, large numbers of kindergartens offered less than 60 minutes of Korean Music lessons per infant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each kindergarten. The priority that Korean Music possessed in Infants Music Education was 82% in less than 10% of kindergartens and less than 30% of kindergartens possessed 18%.  Fourthly, in all of the kindergartens placed in Inchon-gwangyoksi, Seo-Gu, the subject of Infants Korean Music Education were focused on the practical skills, and it was related with the themes of daily life. The instruments used for Infants Korean Music Education were small drums, and instruments of Samulnori such as a Changgu, drum, and gong, but none of kindergartens used string instruments or wind instruments. In large numbers of kindergartens, playing instruments were the biggest component and more than 60% kindergartens took the subjects such as singing Traditional Korean Children's Song, Physical Exercise, Folk play, and Transmission Play. The rhythms introduced for infants were Goodkeori and Jajinmori in large numbers with more than 80% of kindergartens, and about 36% of kindergartens were teaching Semichi. Only 0.9% of kindergartens teached Byuldalgeori and Danmori. In kindergartens, 'the physical activity with songs' as physical exercise through Korean Music was largest in numbers and the physical activity using Goodkeori and Jajinmori was used in 0.9% of kindergartens. Fifthly, more than 90% of kindergartens placed in Inchon-gwangyoksi, Seo-Gu possessed Changgu and more than 68% possessed drum and small drums. 69% possessed a gong where as none of the kindergartens possessed a bamboo flute and Kayakum. There were insufficient materials such as music records, DVDs, videos and picture data to apply for the teachers in relation to Korean Music Education. For the references for Korean Music Education, 0.9% of teachers responded as being satisfactory, 45% as average, 18% as unsatisfactory, and 0.9% not satisfactory at all. Sixthly, the infants of kindergartens placed in Inchon-gwangyoksi, were generally interested in Korean Music in general, which is similar to the Western music. The teachers mentioned that the children especially liked transmitting play, playing Instruments, and folk play in the activities for Infants Korean Music Education, where on the contrary, less preferred to take the drama play and Korean music appreciation.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hievements to what extent infants understand about Korean Music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more than two third of infants understand what they have been learning about Korean Music. 본 연구자는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의 국악교육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인천광역시 서구 국·공립 유치원 국악교육의 질적 수준을 개선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본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분석에 기초하여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 및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의 교사들은 유아국악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모든 교사들이 긍정적이었다. 유아국악교육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에 대해서는 단절된 전통문화의 맥을 이어 한국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하고 이를 통해 세계 속에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국악교육의 첫 번째 목표로는 국악의 올바른 자리매김과 창조적 계승을 통한 역사성 회복이라고 하였다. 둘째,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의 교사들은 90%이상이 국악을 배운 경험이 있었는데 이들은 대학교(교양과목)에서 연수를 가장 많이 받았다고 하였고 동호회와 같은 취미활동을 통해 국악을 접한 교사들도 있었다. 연수의 내용으로는 사물놀이 등의 타악기에 대한 연수가 가장 많았으며 노래, 무용, 장단, 놀이 등의 통합적 활동이나 전래동요와 민요 등의 가창 활동에 대한 연수들도 많았다. 교사들은 자신의 국악에 대한 지식 정도에 대해 45% 이상이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0.9%의 교사들은 전혀 모른다고 응답한 교사도 있었다. 셋째,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에서 유아국악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는 주로 담임교사였으며, 0.9%정도는 외부 특기 강사를 채용하고 있었다. 교육은 주1회 만 하는 곳이 82%로 가장 많았으며, 18%는 주2회로 실시하고 있었다, 국악교육을 하는 시간을 주 단위로 나누었을 때 한명의 유아가 60분미만으로 교육을 받는 유치원이 가장 많았고 유치원마다 교육시간에 차이가 있었다. 유아음악교육에서 국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미만이 82%로 가장 많았다. 넷째,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의 유아국악교육 내용은 대부분의 유치원이 실기(100%)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생활주제와 관련이 있는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었다. 유아 국악교육에 사용되고 있는 악기는 소고와 사물악기(장고, 북, 꽹과리, 징)가 가장 많았으며, 60%이상의 유치원들이 국악동요, 전래 동요 부르기, 신체표현, 민속놀이, 전래놀이를 교육하고 있었다. 유아들에게 교육되고 있는 장단으로는 굿거리장단과 자진모리장단이 80%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두 번째로 는 세마치장단이 36%를 차지하고 있었다. 단 모리, 별 달거리는 0.9%만이 교육되고 있었다. 유치원에서는 국악을 통한 신체표현 활동으로 ‘노래에 맞춘 신체표현 활동’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으며, 0.9%는 굿거리장단과 자진모리장단에 맞춘 신체표현을 한다고 하였다. 다섯째,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들의 90%이상이 장구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고, 68%이상이 소고와 북을 보유하고 있었다. 꽹과리와 징은 60%이상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반면 국악교육관련 음반, DVD, 비디오, 그림 자료는 교사들이 활용하기에 많이 부족하다고 하였다. 국악교육 참고도서는 0.9%가 만족하다, 45%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였고, 0.9%가 전혀 만족스럽지 않다고 하였다. 여섯째,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의 유아들이 국악에 대한 흥미도 는 대체로 높았으며, 교사들은 유아들이 유아국악교육활동 중에서도 전래놀이, 악기연주, 민속놀이 등을 좋아한다고 하였고 극 놀이와 국악 곡 감상을 가장 적게 선호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유아들이 국악교육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는지에 대한 성취도를 교사를 통해 알아본 결과 절반정도이상의 유아들이국악교육을 이해하고 익히고 있다고 하였다.

      • 創意的 表現生活 伸張指導 方案 : 傳來童謠 프로그램을 中心으로

        강경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은 활동중심의 통합교육을 적용하고 있다. 유아교육에서 국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유아들에게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국악을 접해보고, 알고 즐기며 우리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있다. 유아들의 국악교육은 유아중심, 경험중심, 창의중심의 교육으로 노래, 놀이, 동작, 악기, 감상 등의 통합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국악교육은 보다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으며 유아들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여 국악에 대한 애착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전래동요를 주제로 하여 노래, 악기, 신체활동, 언어, 미술, 역할극, 집단놀이 등을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활동할 수 있으며 다양한 주제 활동과 연관되어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표현적 경험과 지능발달의 변화가 중요한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국악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연간교육계획의 생활주제에 적합한 전래동요 8곡을 중심으로 표현생활의 통합적 접근법에 대한 학습지도방안을 작성, 과정 안을 전개하였다. 학습 지도안의 모형은 학습목표를 정한 다음 한곡씩 그 곡에 따른 학습단계, 학습내용, 교사들이 지도할 학습활동, 학습내용에 따른 활동과정, 자료 및 유의점으로 구분하고 학습단계로는 도입, 전개, 정리의 세단계로 나누어 그에 따른 학습내용과 지도방법, 유의점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학습지도안에 따라 지도하였다. 이러한 전래동요를 활용한 다양한 표현활동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유아들이 표현활동에 즐겁고 적극적인 참여로 인하여 전래동요를 보다 신명나게 부르고 전통문화를 자연스럽게 체험하게 되었다. 둘째, 유아들의 표현능력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도함으로 유아들의 표현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셋째, 이러한 표현능력의 향상이 창의적 표현하려는 태도로 형성되어가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전래동요를 활용하여 유아들의 표현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학습과정 지도안을 시행한 결과, 보다 나은 학습지도안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유아국악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강조되어야하며 현장학습과 교육, 경험을 통해 수정 보완해야 할 것이며 앞으로 유아국악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기 때부터 전통음악의 장단, 시김새, 운율 등 특징이 담긴 노래를 놀이와 함께 실제 현장에서 유아교육과정에 명시된 목적과 함께 통합교육이 가능하도록 수업모형의 개발과 교재교구의 기본 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본다. 둘째로 유아들의 표현능력 수준을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셋째, 국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심층적 이해와 유아국악교육에 대한 다양한 연수가 이루어져서 교사들이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확고한 정립이 되었을 때 제대로 된 국악교육의 미래가 있다고 본다. 유아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이 우리 장단을 알지 못하고 연주하지 못하는 현실이었는데 최근 들어 대학의 유아교육과 과목에 `전통음악`과목이 선택된 것은 국악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아국악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현장에 많이 쓰이지 못하는 현실이므로 이에 대한 논문이나 연구가 계속되어져서 유아국악교육현장에 알맞도록 세부적인 통합적 접근방법의 실제적 활동 계획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 서울시 보육시설 보육교직원 국악활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최선훈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suggests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survey from 98 child care teachers who are currently unde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nd taking "Rank 1 Child Care Teacher Certificate Course" from MyongJi College and teachers who are under "Rank 1 Child Care Teacher Certificate Course", but have more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as a child care teacher. Also solution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y on toddlers are suggested after an analyzation and investigation, based on 20 toddlers, who are registered at Geulim-Nara child care center in Seoul, on an actual condi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y. First, present condi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y child care teachers, who are belonged to Seoul city, is examined and 76% of child care teachers have never receive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lso, 77% of child care teachers showed no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us, it proves that child care teachers who have never received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less interest in the subject than teachers who have actually received education on Korean traditional music. Second, there aren't enough opportunities for toddlers to encounter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y, because 70% of child care teachers do not include those activities in their annual education plan, even though they've answered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y is important on toddler's emotional development. Even though child care teachers are awa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s importance, it is not actively taught in child care centers. As a result, most toddlers who did not receiv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 child feels uncomfortable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when they become an adult and it will remain as a vicious circle if proper action is not taken. Third, 43% of child care centers are equipped with teaching tool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such as,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audio equipment, imagery data and many others, but the utilization rate of those equipments are very low since most child care teachers feel uncomfortable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urth, 83% of teachers, who teaches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guest teachers and 88% of them are expert instructor, who receive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us, it is somewhat difficult for child care teachers to provide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y and the preception is that only teachers who are major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an provide such education. Fifth, child care teacher who belongs to Seoul city can receiv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rom three different internet based education centers and fiv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rganizations which provides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but 25 child care education centers did not provide any kind of education on such subject. Therefore, it is extremely difficult for child care teachers to find an organization which provides education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ven if they have the willingness to learn about them. Sixth, toddlers showed interest on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y just by appreciating the music and they showed positive reaction when physical, language and art is integrated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y. Thus, it proves that educating toddler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is possible because they do not have fear or feel difficulty when lear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ead they actually enjoy it.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following solutions to improv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y by child care teacher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Korean culture and tradition program as a mandatory clas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students and child care teacher institute students. Thus, changing the perception towards Korean traditional music being something that is very difficult. Second, 25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s which is operated by Seoul city offers art, book art, ukulele, and variety of other educations to child care teachers but if they create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 it will bring many positive effects. In order to do that, variety of musics,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nd teaching tools must be prepared and utilized. Third, if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program's teaching method besides language, art, melody, physical, hand operation, and science area is offered in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to child care teachers, they can easily approach to Korean traditional music. 본 연구는 보육 교직원의 영유아 국악교육 실태를 조사하는 것으로 보육시설 1급 승급 교육 중에 2년 이상의 경력 보육 교직원과 보육 시설을 대상으로 명지전문대학 보수교육과정 중 1급 승급 과정의 보육교직원 98명이 설문지를 토대로 통계 분석 후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서울시 소재의 구로구 그림나라 어린이집의 영아 20명과 국악활동과 일반 교육을 공존하게 하였을 때 영아의 반응을 관찰하여 분석하여 국악활동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영유아 국악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후 문제점을 도출 후 개선방안을 파악해 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서울시 보육교직원의 국악교육현황을 보았을 때 76%가 국악교육을 학습한 적도 없고, 보육 교직원 재교육 시 국악교육의 관심도 역시 77%는 관심이 없다. 따라서 보육교직원이 국악활동을 학습하지 않았으며 관심도 적다. 둘째, 영유아 교육에 국악활동이 정서발달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보육교직원이 71%이지만 연간교육계획에 70%는 국악활동을 포함하지 않아 영유아일수록 접할 기회가 적다. 따라서 보육교직원이 국악활동의 중요성은 잘 알고 있지만 영유아 교육 역시 국악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 영유아가 성인이 되었을 때 국악의 어려워하는 악순환이 지속이다. 셋째, 보육시설 국악 관련 교구는 43%로 구비되어 있거나 국악기, 음향기기, 영상자료 등 상당수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보육교직원이 쉽게 국악교육을 하지 못하여 교구(국악기, 음향기기, 영상자료)등 있어도 활용도가 다소 떨어졌다. 넷째, 국악특기 활동은 외부강사가 83%이며 88% 국악교육을 받은 전문 강사였다. 따라서 국악활동은 보육교직원이 하기 힘들다, 국악전문 전공자만 교육을 해야 한다는 인식으로 국악교육자체를 어럽게 생각하였다. 다섯째, 시울시 보육 교직원이 쉽게 국악학습을 할 수 있는 기관이 사이버 교육 3곳 국비지원 국악교육 기관이 5곳이며 보육 정보센터에서 받을 수 있는 곳은 25곳중 한 곳도 없었다. 따라서 국악교육을 학습하고 자 하는 보육 교직원은 기관을 찾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찾아도 거주지 및 직장 근처가 아니면 학습에 어려움이 있다. 여섯째, 영유아 국악활동 관심도를 볼 때 음악 감상만으로도 흥미를 보였으며 신체활동과 미술영역, 언어영역 활동에 접목했을 때 긍정적이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영유아가 국악활동을 어려워하거나 힘들어하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즐거워하며 다른 교육프로그램과도 잘 어울릴 수 있는 것을 볼 때 영영아부터 충분히 국악활동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으로 보육교직원 국악활동의 질적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교육과 및 보육교사교육원 강의 중 음률과 동작 학습 안에 전통프로그램을 전공필수로 수강하여 국악 인식이 어렵거나 딱딱함에서 부드럽고 편안한 인식으로 바꿔야겠다. 둘째, 서울시 25곳 보육 정보센터에는 구청 지원으로 미술, 북아트, 우크렐라등 다양한 보육교직원 교육이 있는데 영유아에게 쉽게 알려줄 수 있는 국악을 개설한다면 다른 기관보다 긍정적인 반응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 음악과 국악기 및 다양한 교구 활용을 프로그램한다면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보육 교직원 보수교육과정 중 영유아 프로그램 중 언어영역, 미술 영역, 음률영역, 신체영역, 수·조작영역, 과학영역 외 전통교육프로그램 교수방법을 학습하면 보육 교직원도 쉽게 접근 할 것이다.

      • 교과통합방법을 적용한 효과적인 국악감상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김미진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study was to propose the lesson plan for traditional Korean music appreciation aimed on enjoying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making it a way of life for 8th graders with increasing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ppreciation on music doesn't need prior knowledge and difficult theory. In addition, it's an activity to be directed firstly in many areas of the music and an basic behavior not to be separated into musical experience such as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creation Traditional Korean music which includes the spirit and history of our nation can be called the core of the culture. However, today traditional Korean music became difficult, tedious and unfamiliar to us. The reasons why traditional Korean music was unfamiliar to us is that the opportunity to learn traditional music was lack compared to western music and school also didn't educate traditional Korean music properly. This researcher focused on appreciation that was the basi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easy to learn, explored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applying curriculum integration. In the body,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the effect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on youth(middle students) people and the implication of integration educ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For specific teaching-learning methods research,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that we now have oriented were improved and many scholars' theory on measures for integrated teaching plan led to the growth of the whole person was examined. Ten integration types of R. Fogarty among them were treated in depth. Chosen music and reference music that corresponded to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ppreciation in 8 textbooks in 8th grade class by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for selecting appreciation music were analyzed and their frequency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Sujeocheon(court music), Suryongeum(scholar music) and Shinawi(folk music) could be addressed. The specific lesson plan applying affiliated, shared, integrated among 10 integration types of R. Fogarty to Korean language, art and physical education based of three music songs. As a result,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in Korea needs obligations and accountability of the teacher so teachers should not neglect the effort for their boundless affection and broader understanding in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it's necessary that students who are familiar with western music make traditional Korean music feel more easy and appreciation instructional methods which can do various experience step by step, systematically to reach efficiently are required. Third, the appreciation lesson plan by integrated learning between textbooks had an effect on attracting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rather than only that of traditional Korean music, traditional Korean music's concept learning was focused and it was worth trying various integrated teaching methods of other textbooks. Any music, only once learning can not be better. If you listen to music repeatedly, have interest in it and if you have interest in music, want to know it and like to learn it later. Thus, if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n traditional Korean music are suggested, when students grow up, they find and enjoy it for themselves and furthermore traditional Korean music will settle as life music. Finally, better teaching methods will be developed and research will be continued by applying the researches on teaching-learning method of traditional Korean appreciation to practical instruction and by modifying and analyzing them depending on actual education.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국악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여 국악을 즐기고 생활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둔 국악감상지도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음악에 있어 감상행위는 선행 지식이나 어려운 이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음악의 여러 영역 중 가장 우선적으로 지도되어야 하는 활동이며 가창, 기악, 창작 등의 음악적 경험들과 분리되어 생각할 수 없는 기본적 행위이기도 하다. 우리 민족의 정신과 역사가 녹아있는 국악은 문화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국악은 우리에게 어렵고 지루하며 낯선 것이 되어버렸다. 국악이 이렇게 우리에게 낯선 음악이 되어버린 이유는 어려서부터 서양음악에 비해 전통 음악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으며, 학교 교육 역시 제대로 된 국악 교육을 하지 못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국악의 기본이 되며 그 접근이 쉬운 감상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였다. 본문에서는 국악 감상 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국악 감상교육이 청소년기(중학생)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현행 교육과정에서 통합 교육이 갖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 연구를 위해 현재 우리 교육이 지향하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켜 전인적 성장으로 이끄는 통합 지도 방안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고찰하였다. 그 중 포가티의 10가지 통합 유형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었다. 감상곡 선정을 위해서 개정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2학년 검인정 8종 교과서의 국악 감상 영역에 해당하는 제재곡과 참고곡을 분석하고 그 빈도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제천(궁중음악 영역), 수룡음(선비음악 영역), 시나위(민속음악 영역)가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세 곡을 바탕으로 포가티의 10가지 모형 중 계열형, 공유형, 통합형을 국어, 미술, 체육교과에 적용한 구체적인 학습지도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본 연구자가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서의 국악교육은 교사의 의무와 책무성을 필요로 하기에 교사 스스로 국악에 대한 무한한 애정과 폭넓은 이해를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둘째, 서양음악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국악을 좀 더 친근하고, 효율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이며, 다양한 체험이 가능한 감상학습 지도방법의 계발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 간 통합 학습에 의한 감상지도 방안은 국악만 감상하는 지도법보다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국악의 개념 학습에 초점을 두고 타 교과와의 다양한 통합 지도 방법을 시도해 볼만 하다. 어떤 음악이든 단 한번 듣고 좋아질 수는 없다. 반복해서 듣다보면 관심을 가지게 되고 관심을 가지게 되면 그 곡을 알고 싶어 하고 나중에는 배우고 싶어 한다. 이처럼 국악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제시한다면 학생들이 성장했을 때 스스로 국악을 찾고 즐기며, 나아가 생활 음악으로 국악이 자리 잡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악감상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연구들을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 및 응용해보고 교육실정에 맞게 수정 및 분석함으로써, 더 나은 지도방법을 계발하고 향유하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幼兒期 國樂感想法 硏究 : 創作國樂曲을 중심으로

        윤경욱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창작 국악곡을 중심으로 유아기 국악감상법지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하였다. 유아들의 경우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배경으로 살펴보면 감각운동기(0세~2세)를 거쳐 전조작기(2세~7세)의 단계를 거쳐 형성된다. 이 시기 유아들의 개념획득에 가장 결정적인 것은 다양한 언어활동과 신체적 활동을 통한 경험이 매우 중요하므로 유아기 국악감상법을 유아들에게 보다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활동으로 접근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유아 국악 감상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유아 음악 감상법연구, 유아 국악 교육 연구, 초등 및 중등 음악교과서 중심의 국악감상법연구 등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검토, 이론적 고찰, 실제적인 유아기국악감상과 관련된 문헌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이 유아기의 감수성 발달에 목표를 두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안을 제시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악 감상 지도를 통해 유아기 정서의 효과적 발달과 음악적 감수성 및 심미감 증진은 물론 유아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 교수-학습 방안의 구체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도입, 전개, 마무리, 확장활동, 평가의 단계를 거치며 하나의 국악곡을 감상하더라도 악기연주하기, 노래부르기, 음악극놀이, 신체표현, 미술활동 등 여러 가지 연계활동을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국악곡 감상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은 세 가지의 재료적 요소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는데, 음악 구성 재료를 활용한 국악감상지도안, 극적 표현 재료를 활용한 국악감상지도안, 음악 도구를 활용한 국악감상 지도안을 만 5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작성하였다. 광범위한 국악곡의 쟝르를 유아들에게 모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창작국악은 현 시대의 사회·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음악적 표현이기 때문에 창작국악곡감상에 범위를 한정 지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 수록된 교수-학습지도안을 유아교육현장에서 적용한 후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전통음계의 기본 5음계를 알게 되었다. 둘째, 그림악보를 만들어 손으로 느낌을 표현하는 활동으로 유아들에게 시․청각적 감각을 자극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창의적으로 신체표현 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의 창의성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넷째, 음악극놀이 활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통합 교육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다섯째, 사물놀이악기의 종류를 알고 탐색하며, 음악을 감상하면서 직접 연주 해 보는 경험은 유아들에게 리듬감과 음악적 감각을 갖추는데 도움이 되었다. 여섯째, 선율악기의 아름다운 선율을 감상을 감상하고 탐색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의 심미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본 연구가 유아교육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기를 바라며, 21세기를 살아갈 유아들에게 우리의 음악을 알고 사랑하는 참된 한국인으로 성장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reschoolers should be taught to listen to Korean classical music, especially creative traditional music. According to 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young children undergo a sensorimotor period at the age of 0 to 2, and then experience a preoperational stage at ages between 2 and 7. As verbal activities and physical experiences have a decisive impact on their conceptual learning, the focus of this study was placed on how to let preschoolers listen to Korean classical music in a more concrete and diverse manner. Earlier studies on early childhood Korean classical music appreciation were reviewed in three aspects: how to listen to music, how to provide preschool educa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how to offer textbook-centered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s a result of analyzing earlier studies, relevant theories and literature on preschool traditional music listening, most of them were found to aim to develop the sensitivity of preschoolers, but they weren't far-reaching enough to offer feasible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Korean classical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in a bid to lay the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emotional development, musical sensitivity and aesthetic sense of preschoolers and providing specific and practical teaching-learning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procedure of introduction, development, wrapping up, enrichment and evaluation. Lesson plans were prepared to have young children listen to traditional music in various ways by linking different sorts of relevant activities such as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inging, music drama, physical expression and even art activities. Three different sorts of lesson plans that catered to young children of five in Western age were presented, which respectively utilized the components of music, dramatic materials and music tools. As it's not advisable to have preschoolers exposed to extensive genr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cope of the study was confined to creative traditional music that was a mirror of contemporary socioculture. After the lesson plans were applied in clas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the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came aware of a traditional pentatonic scale. Second, the activities to make musical picture notes and express feelings by hands served to stimulate their visual and auditory sense. Third, the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had an impact on their creativity development. Fourth, the application of music drama activities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receive integrated education. Fifth, the experiences to learn and explore the types of Samulnoli instruments, listen to the music and play the instruments served to improve their rhythmic and musical sense. Sixth,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ir aesthetic sense in the course of listening to and exploring beautiful melodies produced by melodic instru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some contribu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eschoolers who will be the mainstay of future society are expected to grow into Koreans who enjoy and love traditional music.

      • 제주지역 유아국악교육 실태 조사 : 제주시 유치원을 중심으로

        고승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s in the city of Jeju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 a bi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The state of kindergarten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the awareness of teachers on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the state of their reeducation and the state of education provided by outside lecturers skilled in national classical music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state of college national classical music courses in the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state of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training courses offered by teacher reeducation institutions were checked to figure out the state of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local institutions that nurtured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ut of 66 kindergartens in the city of Jeju, the number of the kindergartens that provide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once or more per week didn't reach even a half, and national classical music accounted for 50 percent or less of overall music education in 80 percent of the kindergartens. The prevalent educational activities were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inging, rhythmic movement and dance. Preschoolers were found to have a lot of interest in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and the kindergartens were in possession of a sufficient number of Jangu. The teachers viewed national classical music relatively favorably, and they considered it very necessary to provide that education. In terms of the state of re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ever took training courses in national classical music, and deemed the training courses to be effective. But the courses leaned toward instrumental music, and the length of the courses wasn't long enoug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areer of outside instructors who were skilled in national classical music, many didn't major in national classical music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eachers found the instruction of outside instructors to be satisfactory. Second, just one college offered national classical music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mong the colleges located in this area. And only two reeducation institutions provided training related to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revitalize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this region: First, there should be consensus among lo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bout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Second, competent local human resources who can take the initiative in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should be fostered.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소재한 유치원의 국악교육 실태를 조사하여 제주지역의 유아국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유치원의 국악교육 현황, 교사의 국악교육에 관한 인식 및 재교육 현황, 국악 외부특기강사의 교육 현황을 조사하여 유치원의 국악교육 실태를 파악하였고 또한, 제주지역 유아교사 양성 과정에서의 국악교육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대학 유아교육과의 국악 교과 개설 현황, 교사 재교육 기관의 유아국악 강좌 개설 현황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제주시 내 66개 유치원 중 주 1회 이상 국악교육을 시행하는 유치원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고 전체 음악교육에서 국악의 비중이 50% 이하인 유치원이 80%로 나타났다. 주된 교육활동은 악기연주, 노래부르기, 율동․춤이었으며 유아들의 국악교육에 대한 흥미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장구 보유수량은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교사들의 국악에 대한 호감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국악교육에 필요성에 대해서도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재교육 현황 조사에서는 대다수의 교사가 국악 연수의 경험이 있고 연수의 효과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용이 기악활동에 치우쳐 있고 연수시간도 다소 부족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어, 국악 외부특기강사의 이력을 조사한 결과 국악이나 유아교육 관련학과를 전공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고 외부특기강사에 대한 교사의 수업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주지역 대학 유아교육과에서 국악 교과를 개설한 대학은 1개교에 불과하였으며 유아국악교육과 관련한 연수를 시행하는 재교육 기관 역시 단 두 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제주지역의 국악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네 가지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내의 유아교육기관이 국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교육 실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 내에 유아국악교육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 역량을 가진 인재를 키워내야 한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유아국악 전문교육시설을 설치하여 교육 소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넷째,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구체적인 유아국악교육 활성화 대안들이 교육 현장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국악교육가들이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공동 해결의지를 모아내는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

      •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국악놀이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 중심으로

        이연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03

        Korean music play is one of educational methods about national traditional music that could step up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musicality and creativity by using interesting play an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raditional children's songs have been embellished, created and sung by children without being stereotyped. Children represent their ideas and feelings in diverse ways by sing songs, and thereby create new songs and new play culture. And they are able to create new Korean culture in the course of soaking up the basic styles of Korean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gure extensive teaching- learning methods about traditional music play and to examine their effect on the creativity development of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2 students in Nuweon Elementary School in Seoul. Out of them, 23 students who belonged to a traditional music play club, one of after-school classrooms,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 traditional music play program was provided to them in 20 sessions for 13 weeks after school. The other 29 students who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music instruction just in class titled 'Merry Life' according to a teacher's manual. The traditional music play program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a variety of activities to which various teaching methods for modern music were applied: acquiring Sigimsae and rhythmic patterns by using traditional Gujeonsimsubeop(referring to teaching through spoken language and heart), singing according to Kodaly music method's musical measure reading, physical sign, hand sign and finger sign, composition/improvisation based on Orff approach, impromptu expression according to Dalcroze's eurhythmics, and listening/improvisation/ discussion based on MMCP's conceptual approach. To find out the consequence of the experiment, multidimensional evaluation was implemented in an inclusive manner. Whether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ir values and attitude toward Korean classical music was checked, and it's found that the children underwent a positive change in the two regards. Their interest in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play programs was evaluated in every session,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were utilized to get a feedback. It's found that the children had much interest in the national traditional music play, and participated in it a lot. They became confident of the play, and were actively engaged in the activities. In terms of musical creativity, various evaluation methods were put to use, such as self-evaluation, performance assessment, portfolio and observation method, to assess their fundamental and creative expressiveness, and it's confirmed that they made progress in that aspect. As for general crea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tested by using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Cognitive Creativity(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eness) Inventory and Affective Creativity Inventory.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fluency, flexibility and elaborateness in general. The former's high score seemed to be attributed to their creative expressiveness acquired during the interesting play activities, their improved learning attitude and permissive learning atmosphere. However, originality couldn't be developed on a short-term basis, and long-term education and inborn factors might have a greater impact on that. Creative people will take the lead in future society. One of top priorities elementary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s faced with will be to provide early education for lower graders to be well-grounded in Korean tradition and have plenty of musicality and creativity. Inclusive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infants and kindergarteners, and more energetic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developing a systematic curriculum by linking preschool education and third-grade elementary education and preparing comprehensive teaching-learning methods. 국악놀이는 전래동요를 소재로 재미있는 놀이를 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음악성과 창의성 개발에 도움을 주는 국악교육 방법이다. 전래동요는 고정화된 노래가 아니라 아이들로 인하여 끊임없이 다듬어지고 창작되면서 불려져 온 노래로 그들의 생각과 느낌을 노래 속에서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노래와 놀이문화를 만들어낸다. 또한 우리나라의 기초적인 음악어법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새로운 우리음악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에 국악놀이 활동의 포괄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고 적용함으로써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누원초등학교 방과후 취미교실 <국악놀이부> 23명을 실험 반으로 하여 국악놀이 프로그램을 적용한 교수-학습 활동안으로 방과 후에 총 13주 20차시 수업을 하였다. 통제집단인 비교 반 29명은 교사용 지도서에 의한 교수-학습 활동안으로 ‘즐거운 생활’ 교과 시간에만 국악수업을 하였다. 실험반에 적용한 국악놀이 활동은 전통적 구전심수법(口傳心授法)으로 시김새와 장단을 익혔고 코다이 교수법의 리듬음절 읽기와 신체기호, 손기호, 손가락 기호로 노래 부르기, 오르프 접근법의 신체표현을 통한 창작과 즉흥연주, 달크로즈의 유리드믹스를 통한 즉흥표현활동, MMCP의 개념적 접근법에 의한 감상·즉흥연주 및 토의 등의 다양한 현대음악 교수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창의성의 통합적 접근의 입장에 기초하여 다차원적인 평가를 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국악에 대한 태도 및 가치관 변화>를 연구 전후의 취득점수로 평가하여 국악놀이 활동이 어린이들의 국악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국악놀이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도>는 매 차시별로 진단하여 평가는 물론 교육활동의 피드백자료로 활용하였다. 어린이들의 국악놀이 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흥미도는 매우 높았고 쉽고 즐거운 놀이 활동에 자신감을 갖고 매우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음악적 창의성>은 음악의 기초적 표현력과 창작활동을 통한 창의적 표현력을 자기평가, 수행평가, 포트폴리오, 관찰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 전후에 평가하여 발전한 신장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한국교육개발원의 인지적 창의성(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검사지와 정의적 창의성 검사지로 실험반 어린이들의 창의성과 비교반 어린이들의 창의성을 검사하였다. 대체적으로 비교 반 어린이들에 비해 실험 반 어린이들의 유창성, 융통성, 정교성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흥미로운 국악놀이 활동에서 체득된 창의적 표현력과 적극적이고 의욕적인 학습 태도 및 허용적인 학습 분위기가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여 진다. 단, 독창성은 단기간 개발되지 않는 창의성 요소로서 지속적인 교육활동과 선천적인 요인이 더욱 영향을 미치는 듯 하다. 미래의 주역은 창의성이 풍부한 사람이다. 국악의 조기교육을 통해 한국적 정서를 바탕으로 한 음악성 및 창의성이 풍부한 어린이들을 육성함이 초등학교 저학년 국악교육의 과제일 것이다. 특히 유아-유치원의 통합적 국악교육과 3학년의 음악교과가 연계될 수 있는 교육과정의 체계화와 포괄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가 앞으로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겠다.

      • 포괄적인 민요 지도 방안 연구 : 6학년을 중심으로

        조수미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03

        Every Korean has an enthusiastic sentiment and musical sensitivity, which are the unique features of Korean people. Korean classical music is a unique mental heritage of the nation, and in order to step up its development as part of cultural heritage, learners should understand the culture first of all, and a variety of new educational attempts are desperately required to let them create new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integrative and comprehensive sixth-grade teaching methods about folksongs, part of national classical songs, by covering all the comprehension and activity areas including singing, instrumental music, composition and appreciation without leaning toward singing. It's ultimately meant to help improve the learning capabilities of children and to spark their interest in national classical music.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which involved earlier studies and books on inclusive instructional methods and teaching methods for folksongs, part of national traditional songs, and what type of inclusive instruction would be feasible was determined. And then sixth-grade lesson plans were mapped out and appli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lesson plans, a survey was conducted. In addition, what caused the 7th elementary music curricula to be revised was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classical music course and the folksongs of the sixth-year curriculum were analyzed. Five folksongs we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Dungdanggi- taryeong,' 'Ssireum,' 'Geomundo Basnorae,' 'Pungnyeonga,' and 'Qwaeginachingchingnane.' The concept of folksong and general teaching methods were investigated, and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 in it were check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six teaching stages were selected: listening/exploring, acquiring the lyrics of folksongs, singing by playing up Sigimsae, acquiring rhythmic patterns/playing musical instruments,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nd presentation/appreciation. Inclusive activities were especially accentuated in the final two stages that mostly consisted of group activities, and six themes of group activities were selected: ① singing folksongs without any changes by playing up Sigimsae, ② singing folksongs after rephrasing the lyrics, ③ moving the body rhythmically, ④ playing musical instruments, ⑤ making stories and giving presentation about them, ⑥ making a music drama. After all the inclusive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group, they gave presentation and were engaged in appreciation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ctivities about six different themes urged the learners to gradually find national classical music less boring. As they got more interested in it, they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it, and made progress in various basic skills such as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while they performed the activities with pleasure. Second, they learned folksongs in diverse ways, and they got to find it more delightful to take the music lessons than singing-centered instruction, and took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folksongs. Third, they became more confident of singing and improved in expressiveness in the course of mingling with one another through the comprehensive group activities. Especially, they became active enough to give presentation in front of others, and showed an improvement in improvising skills as well. Fourth, they had growing interest in national classical music by gaining diverse experiences, and that served as a chance for them to enjoy Korean songs in daily routine life. In order to produce more sustainable results, teachers should try to be knowledgeable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and improve their teaching ability, and steady research efforts should be dedicated to providing better comprehensive folksong education by coming up with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우리나라 사람이면 누구나 한민족의 핏줄 속에 흐르고 있는 한국인 특유의 신명과 음악적 감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한민족 고유의 정신적 유산인 국악을 우리의 문화유산으로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낼 수 있는 다양하고 새로운 교육적 시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 6학년 국악 가창 제재 중 민요를 지도하는 데 있어 가창 위주의 민요수업이 아니라 이해영역과 활동영역인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네 영역을 모두 고려한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민요수업을 위한 지도방안을 구안하고, 이를 현장 수업에 적용하여 아동들의 학습력을 신장시키고 국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국악가창 제재 중 민요곡만을 선정하여 포괄적인 수업방법 및 민요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과 관련한 선행연구 및 관련서적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한 후, 실제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수업의 형태를 구안하고,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현장 수업을 실시한 후 그 결과는 여러 결과물과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내었다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제 7차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국악교과의 특성을 알아보고 교육과정 속의 6학년 민요 제재곡을 분석하였다. 6학년 민요 제재곡은 「둥당기타령」,「싸름」,「거문도 뱃노래」,「풍년가」,「쾌지나칭칭나네」이다. 다음으로 민요의 개념 및 일반적 지도방법을 알아보고 포괄적인 지도방안의 구안을 위하여 포괄적 음악교육의 개념과 국내외 동향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포괄적 민요의 지도 단계를 민요 감상과 탐색 → 가사 익히기 → 시김새를 살려 노래 부르기 → 장단 및 악기 다루기 → 신체 표현 활동하기 → 발표회와 감상으로 구안하였다. 특히, 신체 표현 활동하기 단계와 발표회와 감상 단계는 포괄적 활동영역이 강조된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주로 모둠활동을 통하여 전개되는데 이를 위한 모둠활동 주제로 ① 시김새를 살려 원래대로 부르기 ② 가사 바꾸어 부르기 ③ 율동으로 만들어 표현하기 ④ 악기로 표현하기 ⑤ 이야기로 꾸며 발표하기 ⑥ 음악극으로 꾸미기의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모둠활동으로 자연스럽고 즐겁게 포괄활동이 끝나면 발표회 및 감상의 시간을 가짐으로써 민요의 포괄적인 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첫째, 여섯 가지 주제의 모둠활동을 통하여 ‘국악은 지루하다’ 라는 생각이 서서히 사라지고, 흥미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악에 대한 이해도가 상승되었고, 즐겁게 활동하는 과정 속에서 가창, 기악 등의 여러 기초기능들이 신장되었다. 둘째, 다양한 방법으로 민요를 표현함으로써 가창 중심의 수업에 비해 학생들이 즐겁게 음악수업에 참여하게 되었고, 민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여럿이 함께하는 포괄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노래 부르기에 자신감이 생기고 함께 어울리면서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특히, 여러 사람 앞에서 발표할 수 있는 적극성과 순간에 발휘되는 즉흥성이 개발되는 모습도 보였다. 넷째, 다양한 국악적 경험을 통해 국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생기고, 생활속에서 우리 노래를 즐길 줄 아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론이 지속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국악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의 습득과 지속적인 기능 연마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포괄적인 민요 지도를 위한 다양한 활동들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제주 무악(巫樂)의 초등가창교재 개발 연구 : 천지왕, 멩감, 영감본풀이를 중심으로

        강영아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우리 문화와 전통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으로써 국악교육을 어느 때보다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국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국악과 관련된 제재곡이 비중 있게 다뤄지고 있다. 하지만 제재곡이 대부분 민요, 전래동요, 창작국악동요에 국한되어 있다. 제7차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음악과의 목표를 ‘다양한 악곡을 경험하여 음악 개념을 이해하고 가창, 기악, 창작, 감상 활동을 통하여 창의적인 표현력과 사고력을 길러 음악에 대한 심미적인 안목과 바람직한 가치관을 기르는 데 있다.’라고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현 제재곡 이외에 더 다양한 국악곡을 접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기존의 연구는 효과적인 음악 제재곡 지도 방안이나, 국악기 기능 습득을 중심으로 연구된데 대하여 본 논문은 국악 교육의 다양성을 위하여 음악 교육화 연구가 전무했던 무악, 그 중 제주의 무악을 초등가창교재로 개발하여 학습자가 다양한 음악적 경험하고 음악성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제주 무악의 초등가창교재 개발을 모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째, 제주 무악의 종류와 특성을 살펴보고 제주 무악의 교육적 의의를 파악하였다. 둘째,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국악의 방향과 특성 및 국악과 관련된 학습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기준으로 제주 무악의 초등가창교재의 개요를 설정하였다. 셋째, 초등가창교재 개발을 위한 선율 추출의 방향과 원칙을 밝히고 제주 무악의 천지왕, 멩감, 영감본풀이의 선율을 추출하였다. 넷째, 추출한 선율을 음악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 그 원칙을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제재별 수업 지도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학습 내용을 기준으로 짜여졌으며, 효과적인 가창 학습을 위해 가창 활동과 그 이외의 기악, 창작 활동을 병행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다른 학년을 대상으로 교육하고자 하면 교재의 재구성이 불가피하다. 본 연구에 의해 개발된 제주 무악의 초등가창교재를 통해 학생들이 제주 무악에 대한 관심을 높여 제주 음악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고, 다양한 음악 경험을 통해 음악적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한다.

      • 멀티미디어를 통한 유아국악 교육연구

        김경신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National classical music had long been enjoyed by our ancestors as part of their life to represent their feelings in daily routine life. Preschoolers are able to feel and enjoy exciting melodies when they have a chance to learn, but few studies have ever attempted to seek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in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How to provide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should urgently be dev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ultimedia-aided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to develop lesson plans by utilizing multimedia,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esson plans of inclusive approach through observation. It's ultimately meant to make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more accessible to preschoolers. After the concept of multimedia was defined,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were explored, and then how to offer inclusive education by taking advantage of software was considered. Multimedia refer to technology that uses graphics and VCR to improve the usability of characters, signs and sound. That is a combination of composite words, and its definition depends on the way of combining different media and the purpose of its use. In terms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multimedia, multimedia make it possible for students to engage in individualized learning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And that can satisfy the curiosity of learners by making them exposed to diverse media and enables them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ir own studies. After two preschool boys and two preschool girls were selected, their interest in computer was tested. The two preschool boys respectively got 21 and 24 out of possible 30 points, and the two preschool girls respectively got 25 and 20. In the first stage of the lesson plan, they made an inquiry into creative national classical children's songs. After they listened to the songs, their teacher talked with them about the creative national classical children's songs. When they listened to the songs in optional class, it's found that they were curious about the words of the songs, and they asked their teacher about the words of the songs and attempted to sing the songs little by little. In the second stage, they sang the creative national classical children's songs that they had learned, and learned about the words of the songs. Some found it difficult to do that at first but acquired the words of the songs through repeated learning. Although every preschooler acquired the words of the songs through repeated learning, there were some individual variances, and they eventually practiced singing a lot. In the third stage, they engaged in inclusive learning. They learned about rhythmic movement while they sang the creative national classical children's songs. They were taught to move their body rhythmically according to the songs, and they became able to move in diverse rhythmical ways. In the beginning, they faced pressure about rhythmic movement, but they gradually got to copy their teacher's movement and then moved their body in diverse rhythmical way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multimedia-aided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s effective. Second, preschoolers show more interest when they search websites by utilizing characters. Third, multimedia learning is one of effective educational activities to spark the interest of preschoolers in national classical music.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ith information on how to plan and provide multimedia-aided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in-depth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국악은 우리 조상들이 오랜 세월 일상의 희노애락을 표현하며 함께 즐겼던 생활음악이다. 유아도 교육의 기회를 주면 흥겨운 가락을 느끼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유아국악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가 아주 드물다. 따라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합한 유아국악 교육 방안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국악을 쉽게 받아들이고자, 멀티미디어를 통한 유아국악 교육 연구를 하였고, 그것에 따른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 · 적용하고 그 결과 관찰과 통합학습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문에서는 멀티미디어의 개념에 기초한 유아국악교육 발전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통합교육의 개발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멀티미디어(Multi-Media)는 문자, 기호, 음성 등에 그래픽과 비디오를 도입하여 사용하도록 해주는 기술을 말한다. 멀티미디어는 복합적인 단어의 조합으로 어떤 매체를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사용목적에 따라 정의가 달라진다.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기능에는 개인의 개별학습이 가능하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매체와 대화를 통해 학습자의 호기심을 충족시켜주는 촉매의 역할을 담당 하고, 학습자 스스로 주체적인 역할을 한다. 컴퓨터 흥미도 검사에서는 남1은 총 30점 만점에 21점을, 여1은 25점을, 남2는 24점을, 여2는 20점을 분포하였다. 지도안의 적용 결과 첫 번째로는 창작국악동요를 탐색하는 과정에 도입을 하였다. 청각적인 도입을 하고, 유아들과 이야기를 통하여 창작국악동요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자율활동시간에 유아들에게 창작국악동요를 들려주고, 서로 노랫말에 대해서 궁금해 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선생님에게 물어보고 노래를 조금씩 따라 부르려고 시도를 하는 모습이 보였다. 두 번째로는 지난 시간에 배웠던 창작국악동요를 불러보고, 노랫말에 대한 언어영역을 공부하였다. 노랫말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는 유아도 있었으나, 반복학습을 통해 노랫말을 습득하였다.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서 유아는 노랫말을 습득하였지만, 개인적인 차이를 보여서 함께 따라 부르는 연습을 많이 하였다. 세 번째로는 통합학습을 하도록 지도하였다. 창작국악동요를 부르면서 율동영역에 통합을 하였다. 노랫말에 맞춰서 율동을 하도록 지도를 하였더니, 유아들의 행동에 움직임이 다양하였다. 처음에는 움직임에 대한 부담감을 갖고 있었으나, 점차적으로 선생님의 움직임을 따라 하거나, 그것에 따른 다양한 율동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최종적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를 통한 유아국악 활동영역에는 효과적이다. 둘째, 웹사이트의 영역별 검색은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이 교육의 흥미를 유도한다. 셋째, 유아국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하는데 유용한 교육활동으로 멀티미디어를 통한 학습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멀티미디어를 통한 유아국악교육을 계획할 때 고려할 부분과 교육 방법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유아국악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