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비스디자인과 EEG를활용한 네일 서비스 개선방향 제안

        한유림 조선대학교 대학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소비자들의 경제활동과 문화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아름다움에 대한 美(미)적 욕구는 높아지게 되었고, 미용 산업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양적 성장에 따른 네일 서비스 시장은 경쟁이 치열해 지고 포화상태에 이르게 됐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니즈와 미용지식, 미의식에 전문적으로 대응해야 하며 보다 차별화 되고 우수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서비스 품질 수준의 향상은 소비자의 욕구 충족으로 연결되고 욕구 충족이 될 때 소비자의 만족과 행동의도까지 이어지게 된다. 현재 여러 분야에서 고객 만족도와 서비스 품질, 재방문 의도를 이끌어내기 위한 선행연구들이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수단으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네일미용을 서비스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디자인 방법을 활용하여 서비스 품질 향상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면 소비자가 무형의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평가 할 수 있도록 구체화 가시화하여 혁신적인 서비스의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 안에서 발생하는 소비자들의 주관적인 감정에 따라 모순이 발생하기도 하며, 객관성을 확보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위해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감성적 특징과 무의식적 행동양상을 파악 할 수 있는 EEG 측정 장비를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과 함께 활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숙시기에 들어서 있는 네일 산업의 차별화되고 우수한 품질의 서비스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정성적조사방법과 정량적 조사방법을 함께 활용하였다. 정성적 조사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네일 미용을 서비스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부분적인 문제 뿐 만 아니라 전체적인 네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사항과 문제점들을 도출 하였다. 이후 소비자 요구사항이 가장 높았던 네일 서비스 영역에 대해 EEG측정을 함으로써 소비자들이 표현하지 못하는 생-심리적 문제점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서비스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1차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전체적인 네일 서비스의 행위단계를 규명하였다. 규명된 행위단계는 ‘네일샵&네일디자인 검색 - 전화예약 - 방문 - 상담- 네일관리- 결제- 사후관리 ’로서 총 7단계로 제시하였다. 행위단계에 따른 문제점을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고객여정지도에 통합하여 기록하였으며, 소비자들의 심리적 만족이 가장 낮았던 부분은 ‘네일관리’ 단계였다. 도출된 ‘네일관리’ 행위단계의 심층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관찰 방법을 이용하여 다시 4단계로 재분류 하였으며 ‘네일 관리’가 진행되는 행위요소는 ‘마사지-케어-아트-스킨케어’로 나뉘었다. 2차적으로 재분류된 행위요소에 대한 소비자의 생-심리적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위해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뇌파장비를 사용하였다. 도출된 4단계의 행위요소는 뇌파실험의 자극 유형으로 선정되었으며 실험 전-후의 증감률을 계산하여 뇌파를 분석하였다. 총 7명의 피험자들에 대한 실험자극 단계에 따른 뇌 신경세포의 생리적인 생체신호를 분석하고,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어떻게 느끼고 판단하는지를 생체신호와 비교분석 하기위해 실험이 끝난 후 인터뷰를 간단히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도출한 네일 서비스의 문제단계에 대한 세부요소의 뇌파측정과 분석결과에 따라, ‘아트’단계에서 생-심리적으로 편안함과 안정감이 다른 단계에 비하여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전 후의 증감률에 대한 뇌의 파형별 피험자 7명의 평균값을 도출하면, 알파파가 가장 많이 감소율이 높았다. 또한 4단계의 자극중 ‘아트’단계에서 알파파가 가장 많이 감소한 것을 발견했다. 이는 네일관리 과정에서 아트를 진행할 때 소비자의 편안함과 안정감이 가장 떨어진다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둘째, 색상에 따라 아트와 스킨케어 단계에서 후두엽의 베타파와 감마파의 활성량에 차이가 났다. 이는 1차적인 시각정보를 수용하는 후두엽에서 난색계의 채도가 높은 빨간색이 신경을 흥분시켜 스트레스량을 높이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네일 서비스를 받을 때 지속적으로 색상자극이 가해지는 단계인 ‘아트’단계와 ‘스킨케어’단계에서 색상이 뇌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증명 할 수 있었다. 셋째, 인터뷰 내용과 성격진단을 통해 ‘내향성’,‘외향성’의 그룹을 나눌수 있었으며, ‘내향성’그룹의 피험자들은 뇌파 데이터 해석내용과 인터뷰의 내용이 서로 상이함을 발견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생-심리적 표출방법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넷째, 성격유형으로 본 피험자의 ‘내향성’,‘외향성’ 구분에 따라 ‘내향성’ 피험자 그룹에서 알파파대비 베타파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알파파가 줄어들고 베타파가 높아진 ‘내향성’ 피험자 그룹은 ‘외향성’ 피험자 그룹에 비해 전체적인 시각, 촉각, 기억과 경험에 대한 스트레스에 민감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네일 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기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네일 서비스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그동안 다루어져왔던 전통적인 설문형태의 연구방법은 서비스의 차별화된 개선방안을 위한 근거자료로써 미흡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니즈와 미용지식, 미의식에 전문적으로 대응하기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네일 서비스 개선방향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초적 자료로써 활용되어지길 기대해 본다. Keyword : 네일 서비스,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EEG, 뇌파측정 Consum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beauty cosmetics as their aesthetic awareness of us and younger generation is improving. Among them, the nail service industry attracted attention as a futuristic industry, and the number of startups that occurred in the early days was relatively small. As a result of this quantitative growth, the market for nail services has become fierce and saturated. Therefore,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differentiated services in order to respond professionally to the needs, beauty knowledge, and aesthetics of continuously changing consumers. Companies and companies in various service related fields have been studying using service design methodology which can develop innovative solutions so that customers feel service value higher. In addition, fusion research is now being actively conducted using equipment that can measure biological signals to provide psychological grounds as well as psychological grounds. However, there are very few researches on how to improve the services in the field of nail service, and most of them have used the questionnaire - typ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hich applies the same items to the subjects with the same scores.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service - design methodology and the psychological problems that consumers can not express in the whole nail service process by using EEG equipment that can measure bio - signal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services to solve problems. Therefore, we firstly surveyed the steps of the overall nail service act. The identified stages of action were presented in seven steps as 'Nail Shop & Nail Design Search - Phone Book - Visit - Consultation - Nail Management - Payment - Post Management'.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action stage was integrated and recorded in the customer 's travel guidance using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The part where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consumers was lowest was the' nail management 'stage. In order to grasp the in-depth problems of the derived 'nail care' action stage, we used the observation method to reclassify them into 4 stages. The action elements that proceeded with 'nail care' were divided into 'massage - care - art - skin care' . And then, we used EEG equipment capable of measuring vital signs in order to grasp deeply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consumers about recategorized behavior elements. The derived 4 elements of behavior were selected as the stimulation type of EEG experiment and the EEG ratio was calcula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order to analyze the physiological signals of the brain neuron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stimulation stages of 7 subjects, the interview was briefly performed after the experiment to compare and analyze the psychological feeling and the judgment of the service using the bio signal .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EEG measurement and analysis results of the detail factors of the problem level of the nail service derived from the present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fort and the sense of stability in the 'art' stag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stages. When the mean value of the subjects of each brain wave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as calculated, the rate of decrease was the highest in the alpha wave. In addition, during the stimulation phase of the 4th stage, the 'art' level showed the greatest decrease in the number of egg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omfort and stability of the consumer are the least when performing art in the nail management process. Second, the amount of beta - and gamma - wave activity of the occipital lobe was different in art and skin - care stages depending on the color. This is because it can be seen that the red color with high saturation of the warm color in the occipital lobe accommodating the primary visual information is excited by the excitation of the nerve, thereby increasing the stress level. Thus, the 'art' stage At the 'skin care' stage, we could prove that color affects the brain. Third, we could divide the group of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through interview and personality diagnoses. The subjects of 'introversion' group found that the interpretation contents of EEG data and the contents of interview were different. Therefore,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and psychological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consumers. Fourth,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the increase rate of beta wave in the 'introversion' subjects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alpha wave' according to the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of the subject. The group of 'introverted' subjects with reduced alpha-waves and increased beta-waves was found to be more sensitive to stress on overall visual, tactile, memory and experience as compared to 'outward' subj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direction to improve the nail service. In the previous research on nail servic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earch method of traditional questionnaire type that has been dealt with in the past is insufficient as a basis for differentiated improvement of servi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scientific basis for the professional needs of continuously changing consumer needs, beauty knowledge, and aesthetics, and will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determining the priorities of improving the nail service. I look forward to it. Keywords : nail service; service design; brainwave measurement; electroencephalogram; EEG;

      • 사무기기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 특성 및 동향에 관한 연구 : IT 사무기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장영주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사회의 업무환경에서 필수가 된 사무기기는 끊임없이 발전해왔다. 그에 따라 사무기기에 나타난 디자인 변화도 다양하다. 현대 디자인은 감성디자인이 주를 이루며 사무기기에 적용된 감성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감성디자인을 사회적 변화와 연결하여 분석 연구하였고, 사무환경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던질 것이다. 디자인의 인식 변화에 따라서 ‘감성디자인을 오감 만족에만 국한해서는 안된다’는 문제를 인식하였다. 그래서 인간의 사회성을 결부시켜 감성디자인의 동향과 감성디자인 재정의를 연구하였다. 감성디자인이 나타난 스마트워크 IT사무기기로 안전행정부 고시 행정용 IT 사무기기를 범위로 연구하였다. 스마트 워크와 함께 IT사무기기에서 나타난 감성디자인의 사회적인 구체적인 문제를 연구하였다. 감성디자인은 보다 깊은 개인의 오감만족에 대한 연구와 함께 다각도의 연구를 통해 인간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그에 따른 사회적 역할에 대해 깊이 있게 고심해야한다. 그 고찰에 있어 현대 IT사무기기는 사회적 감성디자인이 적용된 제품들이 존재하고 사용도가 높았다. 결과 도출을 위해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제품 감성디자인에 관한 주요 키워드를 추출 하였고 그 키워드 중 감성디자인의 사회적, 사용에 관한 특성 분류 후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 하였다. 사무기기에 나타난 감성적 특성은 융합성과 공존성, 스토리텔링 세 가지로 크게 나누었다. 동향과 사례 분석을 통해 CMF에 관한 감성디자인 접근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고, 사회적 환경적 공존을 지향하는 착한 사무기기들의 등장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개인의 감성만족과 공동체의 감성만족을 실현시키려는 노력 역시 사무기기 감성디자인으로 나타났다. 디자인의 인식이 변화하여 감성디자인에 대한 인식도 변해야 하고 그 방향은 사회적 배려라는 것이다. 사무기기에서 사회적 약자 혹은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게 될 영향은 크다. 환경에 대한 소재 연구가 집중되어야 하며 스마트 워크의 개별성과 그에 따른 공동체의 중요성을 지향하는 사회적 변화가 특별히 주목해야 할 결과이다. 본 연구는 사무기기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소재에 대한 연구 한계가 있었다. 사회적 감성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관점에서 본 VMD

        서해영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매장 VMD는 현대인의 다양하고 세분화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구매욕구 충족을 위해 다양한 디자인을 선보였다. 이러한 사회 전반의 변화로 인해 고객의 요구를 분석하여 매장 VMD에 적용하는 디자인 접근 방법은 중요한 부분이다. 매장 VMD는 고객의 요구, 기업 경영의 효율화, 수익의 극대화라는 마케팅 전략을 위한 도구이며, 감성 디자인의 중요한 부분이다. 매장에서 VMD에 관련된 종사자는 고객의 시선과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디자인 방법에 대해서 탐구할 것이다. 이렇듯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것은 인간의 욕구와 감성뿐 만 아니라, 인간의 두뇌를 자극하는 것이 중요한 핵심일 것이다. 특히 VMD 연출에 있어서 인간의 두뇌에 관한 지식을 이용한다면 좀 더 효과적인 디자인이 될 것이다. 이러한 감성디자인을 본격적으로 탐색하게 된 계기는 도널드 노먼의 저서 『감성디자인』이었다. 도널드 노먼은 노스웨스턴 대학에서 동료 교수들과 공동으로 수행한 감성연구에서 인간의 속성들이 두뇌의 서로 다른 3가지 차원에서 비롯된다는 「두뇌 작용의 3단계」을 주장했다. 그의 감성 3차원에 관한 관점을 매장에 적용했을 때, 첫째, 고객의 충동구매나 구매욕구가 더 잘 일어날 것이다. 둘째, 매장 이미지의 표현과 구성 그리고 상품을 구분하는데 있어서 더 체계적일 것이라는 연구자의 가설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현장에서 VMD을 표현하는 연출자에게 많은 공감이 될 것이다. 그래서 도널드 노먼의 감성 3차원을 그의 시각과 분석의 틀로 매장 내부 구성에 관해 재해석을 시도했다. 먼저 본능적 디자인은 외형과 관련된 인식단계이다. 인간의 오감은 본능적 디자인에서 주요한 요인이며 VMD 매장에서 컬러가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사례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었다. 행동적 디자인은 전적으로 행동 자체가 중요하며,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기능’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행동적 디자인은 고객의 욕구에 초점을 맞춰 고객을 이해하고 만족시키며, 정확한 피드백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파악되었다. 회고적 디자인은 범위가 포괄적이다. 이 영역은 전반적인 문화의 흐름, 제품과 제품사용에 관련된 모든 것을 의미하는 것들을 포함하고 있다. 매장 내 상품구성이나 디스플레인 된 매장분위기가 주는 감각적인 체험을 통해 느껴지는 만족감과 즐거움은 쾌락적 가치의 차원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도널드 노먼의 감성 3차원을 적용한 매장 VMD는 브랜드 컨셉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브랜드 가치를 확립하여 주는 디자인 요소이기도 하다. 특히 도널드 노먼의 감성 3차원을 적용한 매장 VMD는 고객의 구매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감성적 디자인 요소라고 주장한다. 도널드 노먼의 이론을 매장 VMD에 적용시킨다면, 기업의 수익창출과 효과적인 감성적 디자인 개발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무엇보다도 고객의 감성을 풍부하게 자극함으로써, 고객은 감동을 받고 그 감동은 고객에게 행복을 제공할 것이다. Store’s VMD displayed various design to satisfy purchase desire according to changes of atomized life-style. It is important part for Design access method that analyze customer need and apply to VMD. Store's VMD is a tool of marketing strategy for customer need, efficiency of business management, maximization of profits, and is a important part of emotional design. Personnel concerned with VMD at store may investigate with design way to catch customer's gaze and mind. In catching human's mind it may be an important part to know human's desire and emotion and to stimulate human's brain. In particular, it will be more effective design to use know­how about human's brain in VMD display. A chance to search emotional design really was the Donald Norman's book, 『Emotional Design』. Donald Norman insisted 'third dimension of brain action'. He performed joint work with fellow professors at northwestern university. In this joint work, he proposed that human's attributes are caused in different 3 dimension of brain in emotion research. When the viewpoint about his emotional third dimension was applied to store, first, customer's impulse buying or purchasing desire may happen more. Second, this research was progressed with researcher's hypothesis that store's VMD is more systematic to express store image and composition and to divide goods. This viewpoint will have a lot of sympathies to director who express VMD on the spot. So, I tried to reinterpret Donald Norman's emotion third dimension. This reinterpretation is about store inside composition with his sight. First, instinctive design is awareness stage related to external form. And I could know that color is an important variable at VMD store by case study. In behavioral design, action itself is entirely important, and the 'Function' that can cause behavior is the most important. Behavioral design understands and satisfies customer focusing on customer's desire, and Behavioral design get to know that correct feedback is important factor. Retrospective design is comprehensive extent. This area includes facts which mean everything connected with flowing of general culture, product and product use. Sensual experience by merchandising or store atmosphere in store is linked to dimension of hedonic value. Therefore, store's VMD applying with Donald Norman's emotional third dimension is able to give brand concept effectively and establish brand value. In particular, store's VMD that apply Donald Norman's emotional third dimension is emotional design component that can make effect on customer's buying behavior. If We applied Donald Norman's theory to store's VMD, we will experience positive aspects to have company's generating profit and effective emotional design development. I assert that first of all, customers are moved from stimulating customer's emotion richly and the emotion may offer customers happiness.

      • 보성녹차의 선호도 향상을 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제안

        전효진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보성녹차의 선호도 향상을 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보성녹차 선호도 향상을 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도출하기 위해 디자인 목표와 컨셉을 구상하고 보성녹차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에 대한 3가지 시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디자인 시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존 보성녹차 브랜드의 연상 느낌은 고전적이고, 친근하다는 것이었으며, 보성녹차통합브랜드 로고 디자인에서 느껴지는 키워드는 촌스럽고 고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70%이상의 응답자들이 현 브랜드 로고, 색상, 디자인은 기억이 용이하지 않으며 향후 이용의향이 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현재 보성녹차통합브랜드 로고 디자인은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성녹차 브랜드 선호도 향상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기존의 로고 디자인을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디자인으로 변경하는 것이며 아울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매체를 통해 광고와 홍보를 강화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가 제안한 보성녹차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향후 보성녹차의 선호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보성녹차의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도 지속적이고 활발하게 진행되어 보성녹차 인지도와 선호도 향상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suggests Flexible Identity design tentative plan for preference elevation of Boseong green tea. For this, I conducted survey with theoretical investigation. Contents of these study and sequence are as following. First, I embodied design objectivity and concept to draw Flexible Identity to increase Boseong green tea preference. And I suggested 3 tentative plan about Boseong green tea Flexible Identity design and conducted survey about proposed design tentative plan. This study investigated Flexible Identity preference about proposing in this research. Result of investigation is as following. The feeling of existing Boseong green tea brand is traditional and intimate, the keyword of Boseong green tea integrating logo design is both countrified and traditional. And respondents of more than 70%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memorize present brand logo, color, design and there is no use intention hereafter. Therefore, at the present Boseong green tea integrating logo design did not make positive effect to preference of consumers. And the most needed thing to increase Boseong green tea preference is to change existing logo design to consumer′s preferring design. In addition, Advertize it’s brand in advertisement and public information through consumer preferring media. Boseong green tea Flexible Identity design that this study proposes give positive effect in preference elevation of Boseong green tea hereafter. Finally, study about Flexible Identity of Boseong green tea that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expects to proceeds as continuous and lively hereafter and is used effectively in Boseong green tea awareness and preference elevation.

      • 바이올린 연주곡 해석에 따른 연주복 디자인 연구

        최금희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사회가 발전하고 다양한 문화에 대한 욕구가 늘어나면서 수많은 음악공연에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공연이 많지 않았던 때에는 연주회 자체만으로도 청중들의 만족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연주회가 열리고, 해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연주회를 접하게 되면서 음악 연주회에 대한 청중들의 기대수준은 높아지게 되었다. 높아진 청중들의 기대수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연주회가 되기 위해서는 연주곡 선정, 연주자의 노력뿐만 아니라 이전에는 중요시하지 않았던 무대장치, 연주의상 등에 대한 노력도 매우 중요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연주회에서 연주자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연주곡과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연주복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디자인하고자 한다. 단순히 연주복의 기능성만을 고려하거나 연주자의 선호도만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연주회에서 연주되는 곡과 가장 잘 어울리도록 하기 위하여 연주곡의 해석과 관련하여 청각적 이미지를 시각적 이미지로 전환하여 연주복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에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주곡에 따른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이미지를 연주복 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한 전체적 이미지, 형태, 색상, 소재 등을 도출하여 실제 연주복 디자인에 반영하고자 한다. 첫째, 바이올린의 구조와 발전과정, 그리고 연주곡의 특성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관련 문헌들을 통한 조사를 실시한다. 아울러 무대의상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해서도 문헌들을 통하여 이론적 고찰을 한다. 둘째, 바이올린 연주 공연에서 나타나는 연주의상에 대하여 바이올린 연주자를 비롯한 음악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음악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도록 한다. 셋째, 음악 전문가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바이올린 연주복 디자인을 개발하고 제작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연주복 선호도, 형태, 색상, 소재 등을 추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어낸 결과를 반영하여 연주복 디자인을 개발하여 제작하고자 한다. 연주곡 이미지를 연주복에 표현하기 위하여, 음악 전문가들로부터 세 가지 바이올린 곡을 들려주고 난 후,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이미지, 형태, 색상, 소재 등을 기반으로 디자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바이올린 연주복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기능적인 부분을 고려하되, 각각의 연주곡 해석에 따른 이미지를 최대한 연주복에 반영한 디자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 번째 연주곡인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제 5번 ‘봄’의 시각적 이미지는 따스함, 서정적, 그리고 잔잔함이다. 테마는 꿈이고, 형태는 사선과 곡선, 색상은 노랑과 오렌지 계열, 소재는 쉬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는 세미A라인 실루엣으로, 사선과 곡선을 디자인 포인트로 하여 유사한 면적을 반복하여 통일감과 리듬감을 주었고 비대칭 사선으로 면적을 분할하여 쉬폰 소재의 겹침 효과로써 착시효과를 주도록 구성하여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도록 디자인하였다. 둘째, 두 번째 연주곡 파가니니의 카프리치오 모음곡 중 작품 1번의 시각적 이미지는 화려함, 열정적, 그리고 자극적으로 나타났다. 형태는 소라형, 마름모, 삼각형과 색상은 붉은색계열, 소재는 공단과 비즈망으로 나타났다. 디자인은 착용자의 전체적 실루엣을 잘 살리면서 하체가 길어보이도록 하였고, A라인 실루엣의 드레스로 앞판은 허리부분에만 셔링처리하고 뒤판에 포인트를 주어 시스루 스타일에 레이스망 처리를 하였다. 거기에 은색체인을 연결하여서 화려하게 장식하고 뒤트레일을 바닥에 끌리도록 하여 엘레강스하고 여성적으로 표현하여 시각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으로 완성하였다. 셋째, 세 번째 연주곡인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형용사는 반듯함, 절제됨, 냉정함, 곧음, 단정함으로 나타났다. 형태는 역삼각형, 마름모형이고, 색상은 검정색과 회색이며, 소재는 공단, 새틴실크 그리고 쉬폰으로 나타났다. 연주복의 디자인 색상은 흑과 백의 보색대비로 표현하였고, 상의의 실루엣은 와이셔츠 컬러에 소매가 없는 슬리브리스로, 어깨선을 사선으로 깎아서 홀터넥 스타일로 여성스런 느낌을 조화롭게 연출하였다. 또한 가슴선 밑으로 플리츠 스커트를 A라인으로 연결하여 심플하고 단정한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형상화 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이 가지고 있는 청각적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형상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연주복 디자인을 통하여 나타냈다. 또한 전반적 이미지 이외에도 곡의 심상을 통해 형태, 색상, 그리고 소재 등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하여 향후 연주복을 디자인할 때에, 단순히 기능성이나 표현성을 구체화하는데 그치지 않고, 음악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연주복 디자인 개발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한 연주곡 해석에 따른, 연주곡과 조화를 이루는 연주복이라는 접근법은 향후 바이올린 연주곡 외에, 다른 공연 예술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접근법이 바이올린 연주곡에 그치지 않고 다른 공연예술분야로 퍼져나가 보다 수준 높은 공연문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to figure out the importance of performing dress which form the image of performer and make it in harmony with music, design the performing dress which harmonizes with the music. It just considers the functionality of the dress or preference of performer, but also develops the design for dress which convert auditory image to visual image concerning interpretation of the dress. For express the image of music to performing dress, design the dress basing on image, forming, color, material after let music expert listen three different violin musics. In this process, it has to consider the basic functionality and the following is that reflect the image according to each music to performing dress. First of all, the first music is Beethoven's piano sonatas, "Spring", Chapter 5. It has warm and lyrical, calm images and the theme is "dream". It prefer diagonal and curve line, yellow, orange color and chiffon material. It is designed to gives the unity and rhythm repeating similar area and evokes mystery as giving optical illusion from overlapping chiffon divided asymmetry line. Second, the second music is, the one of Niccolo Paganini’s capriccio, Chapter 1. It shows fancy, passionate, sensational visual images and has conch, diamond, triangle forms with red color and satin and beads net. This design makes the best silhouette of performer and fall nicely so it helps lower body looks longer. The front has A line silhouette with a shirred waist and the back has the point with race net in see through style and decorates magnificently connecting silver chain. As the back trail dress swept the ground, it brings elegant and express feminine, so can be completed to design which is in perfect harmony. Last, the third music is violin sonata without instrumental accompaniment and Partita. It represents neatness, moderation, calmness and uprightness. It has inverted triangle, diamond form and black and gray color and use satin, satin silk and chiffon materials. It shows the contrast between white and black as complementary color and upper silhouette represents feminine impression as like halter neck style with sleeveless cutting diagonal line in shoulder. Also, It connects pleats skirt as A line under chest line, so it figures to simple and neat images visually. Through this study, we can find that the design of performing dress can convert auditory image to visual image. Moreover, we can figure out not only general images but also form, color and materials through the music’s mental image. It is be significant to give opportunity of development for performing dress design which materialize the functionality and the expression, but also, harmonize with music.

      • 도시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광주광역시 전용서체 디자인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여은혜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과거에는 국가를 성장시키고 발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 중심의 브랜드 가치 향상을 가장 큰 목표로 여겨 왔지만, 현재는 ‘지역과 도시의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인식하에 도시가 그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더욱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화에 대응하여 경쟁력 있는 지역의 특성화 전략이 필요한 시대가 도래하였다. 최근, 이 같이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중요한 생존 수단으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전용서체의 개발이 활발하다. 기업을 시작으로 한 전용서체는 기업의 브랜드 정체성을 소비자들에게 각인시킴으로써 경쟁력 강화 수단으로서의 훌륭한 도구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지자체 전용서체는 도시의 브랜드 정체성을 시민들에게 인지시킴으로서 타 도시와는 차별화되는 경쟁력 강화 수단으로의 훌륭한 도구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시민들에게 도시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를 지니며, 결국에는 많은 사람들이 도시를 찾도록 하며, 궁극적으로 도시의 관광효과를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광주광역시는 상징물 개발과정에서 대표 상징물인 심벌마크, 캐릭터 등과 함께 로고타입 형태의 전용서체를 개발하였다. 타 지자체들이 전용서체의 중요도를 미리 파악하고 자신들만의 경쟁력을 갖기 위해 개발 과정에서 진지한 고찰 및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의미있고 다양한 서체를 제작 및 배포하는 반면, 현재 광주광역시 전용서체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부분이 많다. 이에 따라 광주광역시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독창성 및 차별화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용서체을 통해 통합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여 도시 정체성을 높이고,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전용서체 디자인의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National brand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untry's past growth process has a larger goal. Twenty years after the resurgence of local governments, in the 21st century, the global era, regions and cities surprise the world through competition from neighboring countries. As a result, beyond the concept of a nation, the paradigm shifts to recognize the brand value of the city as a more important factor. This has led to the era of the need for a strategy to characterize competitive regions in response to globalization. Everyone is looking for strategies and ways to survive in fierce competition, according to recent trends, one of the components of brand identity, exclusive fonts, has emerged as one of the biggest buzzwords among corporate success strategies to survive in numerous competitive environment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survival. Dedicated typefaces, starting with corporations, play an excellent role as a means of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by engraving the brand identity of the company to consumers. This leads to a desire to purchase by delivering a familiar image to consumers, which in turn leads to an increase in sales of the company. The development of fonts for municipalities also takes place in this context. The fonts for the municipal government play an excellent role as a means of enhancing competitiveness different from other cities by recognizing the city's brand identity to the citizens. This has the effect of positively changing the image of the city to the citizens, and eventually leads to the result that many people seek the city. Ultimately an effective means of promoting the city's tourism effects. In June 2000, Gwangju Metropolitan City developed a special type of logo in the form of a logotype together with symbol mark and character, which are representative symbols in the process of symbolic development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However, the special fonts of Gwangju city were developed in the form of pictograms, which caused the problem that they could not be properly used in the digital device environment. For this reason, in 2017, about 20 years after the year in which the font was developed, it was redeveloped into a digital typeface and redistributed for use by many. Nevertheless,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lack of trends, lack of design of various fonts, lack of symbolism, lack of originality and differentiation. Many municipalitie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dedicated fonts, and clearly distinguish them from those that do not spare investment for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dedicated fonts.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propose design direction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s font design study to enhance urban identity and city brand imag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of the font design for the local government deriv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seven citie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Gyeonggi Province, Jeollanamdo, Suncheon City, , Pocheon City, Asan City, and Goyang City) were selected and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fonts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also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will investigate the problems of font design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propose it as basic data for improvement plan and supplement. With the opening of the Asian Cultural Center, Gwangju Metropolitan City will firmly establish its status as a "cultural capital Gwangju" and aim to become an Asian cultural center. They are also working hard to successfully carry out large-scale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FINA World Swimming Championships Gwangju 2019. I hope that it will be helpful as a basic material to build an integrated urban brand ident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special typeface design and to carry out the effective function to improve the city brand value of Gwangju through this.

      • 유기농 베이비화장품 브랜드차별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현순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급변하는 시장의 상황에서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차별화된 패키지디자인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패키지디자인이라는 효과적인 도구를 통해서 소비자와 설득력 있는 의사소통을 통해 브랜드이미지를 향상시켜야 한다. 유기농 베이비화장품 역시 이와 다르지 않는데, 제품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판매와 연결되고, 소비자에게 강하게 각인된다는 측면에서 브랜드이미지의 확립은 소비자의 구매의식이나 구매시점에서의 행동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심각한 저 출산시대임에도 불과하고 베이비화장품 시장은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고가 유기농 베이비화장품 브랜드 제품들의 매출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는 환경적인 요인인 아토피 피부질환을 격고 있는 영·유아들이 늘고 있으며, 내 자녀에게 안전하고 순수한 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 심리로 인해 유기농 베이비화장품의 시장으로 관심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게 주요 구매층인 부모님들의 취향을 고려하여 프리미엄 유기농 베이비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을 개발이 필요하다. 패키지디자인은 제품이 가지는 물리적이고 기능적인 가치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상품의 핵심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역할이다. 설문조사는 유기농 베이비화장품의 브랜드차별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분석을 위하여 소비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유기농 베이비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인지 정도와 패키지디자인이 브랜드 인지도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기농 베이비화장품 브랜드와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전달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구매 욕구에 근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디자인방법과 브랜드 차별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설문의 조사 대상은 0∼6세의 자녀를 둔 부모를 주요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 내용은 인구통계학적 5문항, 유기농 베이비화장품 이용현황 5문항, 유기농 베이비화장품 디자인에 관한 10문항으로 진행하였다. 조사대상 제품으로는 국내 판매되고 있는 제품 중 육아정보 사이트 베베템의 랭킹 상위권에 위치한 베이비로션들을 선정하였고, 유기농 화장품 인증로고의 기준 중 원료 99% 이상인 천연 혹은 천연유래원료를 사용하여 만든 유기농 베이비로션을 중심으로 국내브랜드 4개, 해외브랜드 4개, 총 8개(몽디에스(한국), 호호에미(한국), 보타니컬테라피(한국), 셀라베이비(한국)로하스베베(호주), 쁘리마쥬(프랑스), 센티폴리아(프랑스), 로고나 베이비(독일) 의 제품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으로는 2018년 10월 31일부터 11월 7일까지 총 8일간 실시하였으며, 총 230부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중 유효 설문지 200부의 분석결과 를 통해 유기농 베이비화장품의 사용실태 및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고, 유기농 베이비화장품의 브랜드차별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의 개선 방향성을 검토하였다.. 유기농 베이비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조형적 요소를 제품의 개성을 담아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표현을 해야 한다. 일반 베이비화장품의 브랜드는 로고타입에 유아의 이미지를 강조한 브랜드들을 쉽게 볼 수 있는데 반해 유기농베이비화장품은 순수하고 간결한 이미지를 표현한 브랜드 로고타입이 많았다. 유기농 베이비화장품의 특징 및 개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로고타입은 서체 크기변화와 자간과 시각적 차이를 통하여 주목성과 가독성을 높이고 친환경 적인 깨끗한 이미지를 강조하여 친근함과 흥미를 줄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패키지디자인의 이미지 개발 또한 획일적인 디자인개발이 아닌 영·유아 화장품의 특징을 강조하되 주요 구매층인 부모님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개성있는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고가의 제품인 만큼 고급스럽고 세련된 패키지디자인이야 말로 유기농 베이비화장품의 브랜드 차별화를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척도 이다. In a rapidly changing market situation, differentiated packaging design that suits consumers' lifestyle is needed m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brand image through persuasi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rough an effective tool called package design. Organic baby cosmetics are no different, as the establishment of a brand image has a huge impact on consumers' purchasing consciousness or behavior at the point of purchase in that the image of the product is linked to sales and strongly recognized by consumers. It is only a serious low birth age, and the baby cosmetics market is skyrocketing every year, and sales of expensive organic baby cosmetics brands are also increasing. This is due to the growing interest in organic baby cosmetics market due to the growing number of infants and infants suffering from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topic skin disease, and consumer psychology wanting to use products that are safe and pure for my children. In line with this tre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emium organic baby cosmetics package considering the tastes of parents who are the main buyers. Package design is the core value of products that deliver the physical and functional value of products to consumers. This is an important long-term role in raising awareness of the brand. The survey collected opinions from consumers to analyze package design for brand differentiation of organic baby cosmetics, and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level of consumers' awareness of the brands of organic baby cosmetics and their impact on brand recogn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company hopes to analyze how organic baby cosmetics brands and package designs are being delivered to consumers to find effective design methods that can approach purchasing needs and package design to differentiate brands. The survey targets parents of children aged 0 to 6, and in order to achieve their research goal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 demographic questions, 5 questions on the use of organic baby cosmetics and 10 questions on organic baby cosmetics design. Among the products to be surveyed, the company selected eight best-selling domestic baby products from Korea, and 4 percent of the total raw materials of organic cosmetics based on domestic organic cosmetics product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eight days from October 31, 2018 to November 7, and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alysis of 200 effective questionnaires collected showed that organic baby cosmetics were used and package design were recognized and examined for improvement in package design for brand differentiation of organic baby cosmetics. In order for organic baby cosmetics package to give positive images to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express the unique elements of the design and express them creatively. While it is easy to see brands that emphasize images of infants with logo type, organic baby cosmetics have many logo types that express pure and simple images. To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ty of organic baby cosmetics, logos types need to develop designs that can enhance visibility and readability through font size changes, spacing, and visual differences, and emphasize clean images that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interesting. The image development of package design also needs to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for infants and infants rather than uniform design development, but also unique design development that can create interest among parents, the main buyers. As it is an expensive product, the luxury and sophisticated package design is the most important measure to differentiate organic baby cosmetics from the brand.

      • 전통식품 젓갈 패키지디자인의 차별화 방안 연구

        천하나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나라를 세계화 시킬 수 있는 우수한 전통문화는 많이 있다. 대표적으로 한복, 한옥, 민속놀이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 전통음식은 빼 놓을 수가 없으며 우리의 음식문화로는 장류, 김치류, 젓갈류 등 발효식품이 해당한다. 우리의 음식인 발효식품은 단백질이나 탄수화물 등 각종 영양성분이 많아 과학적으로 입증이 되어 우리 몸의 건강에 균형을 이루게 한다.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에 접하고 있어 각종 어패류가 풍부해 오래전부터 젓갈이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하지만 판매가 이루어지는 젓갈의 유통과정에서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인식이 남아있어, 깨끗하며 환경 친화적인 패키지로 구매자들에게 신뢰를 주어야 한다. 특히 젓갈의 맛을 유지해주며 저장, 보관을 시키는 식품의 패키지디자인에 소비자들은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감성에 호소하여야 한다. 우리의 오감 중에 시각적 효과가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중요한 결정이 되며 요즘 구매 패턴을 보면 소비자들은 수많은 식품 중에 차별화되는 식품으로 눈길을 사로잡는 디자인을 선택하기 마련이다. 이에 따라 패키지디자인의 차별화 전략은 브랜드의 이미지도 높이고 마케팅의 비용을 줄이면서 기업의 매출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우리의 기업뿐만 아니라 젓갈 시장에서 브랜드의 입지를 강화시켜 세계 시장에서도 우리의 전통음식인 젓갈의 우수성을 보존하며 세계적으로 알리는데 힘을 쏟아야 한다. 이 논문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포장 젓갈을 위주로 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행태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구매할 시점에서 패키지디자인을 보는 관점과 브랜드별 패키지디자인의 요소를 분석하여 차별화 시키는데 어떠한 방안으로 연구해야 하는지 볼 수 있다. There are many excellent aspects of traditional culture that can make this country stand taller on the world stage. Major examples include traditional Korean clothes,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s, and folk games. But among them, traditional foods top the list. Our food culture includes fermented foods such as pastes, kimchi, and salted sea foods. Korean fermented foods are rich in nutritional content, containing all sorts of nutritions such as proteins and carbohydrates. This fact has been verified scientifically. They make our body balanced and healthy. As this country is surrounded by the sea on three sides, it is rich in all sorts of seafood. As a consequence, we have been with many kinds of salted sea foods since a long time ago. But there is the lingering perception that the distribution of salted sea foods for sale is not done in a hygienic way. Therefore, customers' trust needs to be earned by using a green package. Customers react sensitively to the design of the package in which salted sea foods are stored, kept, and their flavor maintained. Therefore it needs to appeal to the customers' sensitivity. Out of our five senses, the sense of vision has a particular impact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customers. Examining their purchasing patterns nowadays, the consumers choose the food product that differentiates itself from countless others by using a design that leaps out at them in a visual sense. Accordingly, differentiation strategy with regards to package design will improve the brand image, reduce marketing costs, and lead to increase in sales. Ultimately, we have to strive in our efforts to preserve the excellence of our traditional food - namely salted sea foods - in the world market and to inform the world about them. To this end, we need to strengthen the brand position not only when it comes to our company but in the salted sea foods market as well. In this paper, a survey is done to find out how consumers make purchasing decisions for packaged salted sea foods currently on the market. Specifically, the ways in which they look at package designs at the point of purchase are analyzed, along with elements of package designs for different brands, in order to find the direction of research for product differentiation.

      • 유니버설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로봇틱스 휠체어에 관한 연구

        윤서앵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A Study on Universal Design-based Robotics Wheelchair yoon, Su-aeng Advisor: Prof. Kim, Myong-Joo Department of Design Desig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Human has the limit of its ability and individuals have big differences depending on an ecological environment. To get over this limitation, human has continued struggling to make up for and maximize physical abilities using a variety of tools. When human suffers from an impairment of physical functions, it leads to disability and social handicap in active daily living. For that reason, durational interest and effort to complement physical functions of handicapped people and provide them with convenience are needed. This study, therefore aims at a wheelchair which is a necessary assisting device for movement. When analyzing wheelchairs used currently, it was found that users could be exposed to danger easily, since majority of manual wheelchairs(15 of domestic products and 15 of foreign products) didn't have storage spaces and safety catches, and even all of them weren't equipped with night safety catches. Also, it was impossible to use lifts of motor wheelchairs(3 of domestic products and 3 of foreign products). On the other hands, when analyzing 'PPP(Product Performance Program) Assessment' of 193 wheelchair users that the 7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and 3 spare Principles were applied to, manual wheelchair users showed high assessment on health and safety, but showed low assessment on convenience. Also, motor wheelchair users showed high assessment on flexibility and health, but showed low assessment on convenience and safety. According to results of each item, their assessment on free operation and sanitariness was high, but assessment on complication excluded and structure easy to use was low. When analyzing results of each scope of wheelchair users, flexibility and heath were highly assessed, but convenience and fairness were lowly assessed, on the whole. Based on analysis results, supplement points of existing wheelchairs by functional requirements of robot were detected by applying a robot using scenario. Robot wheelchair designs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A design which excludes complexity and improves convenience for a simple operation. -. A design which excludes discrimination of use and improves fairness for a favorable impression. -. A design which is able to prevent accidents and secure safety against situations to happen during operations. -. A design which is easy to use and provides information of its structure. In conclusion, further study needs to verify whether the robot wheelchair design proposed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and analysis results can be practical or not, from an universal viewpoint. 유니버설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로봇틱스 휠체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iversal Design-based Robotics Wheelchair 인간은 능력에 한계를 갖고 있으며 생태학적 환경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간은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면서 신체의 능력을 보완하고 극대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였다. 인간은 신체적 기능의 장애(impairment)에 의해서 일상생활(Active Daily Living)을 하는데 능력 장애(disability)를 갖게 되고 사회적 불리(handicap)를 초래하게 되므로 신체적 기능을 보완해주고 편리성을 제공해주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동에 관련된 필수 보장구인 휠체어(wheelchair)를 대상으로 하였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휠체어 제품을 분석한 결과에서 수동휠체어(국내․외 각각 15개 제품)는 수납공간과 안전장치가 없는 경우가 많았으며, 야간 안전장치는 모든 제품들이 없어서 사용자들의 안전에 위험이 노출될 수 있었다. 그리고 전동휠체어(국내․외 각각 3개 제품)에서는 리프트 기능이 불가능하였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조사대상자(193명)들의 유니버설 7원칙과 3부원칙을 적용한 ‘PPP(Product Performance Program) 평가’ 분석한 결과에서 수동․전동휠체어 사용자의 영역별 결과에 따라 수동휠체어 사용자는 보건성, 안전성은 높았으나 편리성은 낮았다. 전동휠체어 사용자는 유연성, 보건성은 높았으나 편리성과 안전성은 낮았다. 그리고 전체 조사대상자의 문항별 결과는 사용법 자유, 위생청결은 높았으나 복잡함 배제, 파악하기 쉬운 사용상의 구조는 낮았다. 영역별 결과는 유연성과 보건성은 높았으나 편리성, 공평성은 낮았다. 분석의 결과에 따른 취약한 영역에 보완해야할 점을 로봇 이용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로봇이 구현하게 될 로봇의 기능적 요구사항에 따른 보완점을 도출하여 로봇 휠체어 디자인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 복잡함을 배제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유도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개선한 디자인 적용. -. 사용상의 차별감 배제와 높은 호감도를 가질 질 수 있는 공평성을 개선한 디자인 적용. -. 사고예방과 사용 중 발생되는 상황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자인 적용. -. 사용하기 쉬운 사용법과 구조에 대한 정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자인 적용. 선행 연구와 분석된 결과에 의해 제안된 로봇 휠체어 디자인을 유니버설관점에서 실용한 제품으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현대실내건축의 비물질성 표현에 관한 연구

        김수현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aims at offering the utility and suggestion for a practical application by understanding the tendency and characteristic of immateriality on the basis of a general concept of immateriality and development of immaterialization in the space for store interior, and by analyzing a method and feature for introducing this on the spot. It was progressed: First, it made inquiries into the concept of immateriality that is newly emerging from architecture and the current of design through the flux of the tim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it made an application of two methods such as literature inquiry that sort out the patterns and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immateriality in design, and case analysis that examine into real characteristics of leaning toward immaterial expression through analysis approached domestic case on the basis of this. The following are the immaterial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expressed from the angle of contemporary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First, it showed that new environment is changing the intentional value of the present age from fixing to un-fixing, from material to de-material, from heaviness to lightness and from clearness to obscurity, due to deconstruction by a technology that free human from a boundary limited physically, or restraint of time and space. Second, it showed th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pace by transparency solve a sense of material by doing a role of dynamic screen as an expressional factor to deliver information interactively, which it imply the possibility of media material and not general construction material. Third, it showed that the pattern of dematerialized expression is widely applied as deconstructive, metaphorical and media expression. And the expressional factors are widely used for lightness, richness, mixture, visual fabrication, and screen and text image. In particular, the deconstructive expression is widely applied by the delivery of visual perceptive experience based on real lightness obtained by the use of reflective surface like glass or metal material, and relative richness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mass. Fourth, it showed that the metaphorical expression is widely applied by the use of different material, which it place a property of matter in a different light through tension-showing mixture and reiteration of material, and light and illumination. In other words, this expression can make an impression of refinement and luxury intended to a high degree as well as temperance and restoration as a result of endless study on methods that not create new material itself, but combine well-known material with new form. It is not in reason to prescribe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nd further factors above as each individual property, but they can be also duplicated each other. Although the immateriality within space cannot be independently in existence as only a characteristic of mixed expression, it has more dominant property in the space. The modern design is developed by many styles in the whole art field of various genres as well as interior design. The immateriality is not on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ncept of modern space design in this pluralism era, but also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future design paradigm. In the resul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related study diversely, given that human can seek another possibility as the aspect of new image and shape in the indoor space, and spatial concept, as the immateriality have close relations with factors such as the outer skin, material, media, light and mo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비물질의 일반적인 개념과 (실내매장 인테리어에서의) 실내공간에서 비물질화의 전개를 토대로 하여 비물질성의 경향과 특성을 파악하며, 현장도입에 대한 방법과 특징을 분석함으로서 실질적인 사용에 따른 유용성과 이를 통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을 갖는다. 본 연구의 진행은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건축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비물질화의 개념과 디자인에서의 시대적인 흐름을 통해 나타나는 흐름을 알아보고, 둘째로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나타나는 현대 디자인에서의 비물질성 유형과 표현특성을 분류해 보는 문헌고찰방법과 이를 토대로 국내사례에 접근되어진 분석을 통해 비물질적 표현 경향의 실질적인 특성을 알아보는 사례분석방법을 적용한다. 이상의 비물질적 특성이 갖는 현대 실내건축디자인 관점에서의 표현된 특징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으로 제한된 경계 즉, 시간과 공간의 속박으로부터 인간을 해방한 테크놀로지에 의한 구축적 탈피로 인해 새로운 환경은 이 시대가 지향하는 가치를 고정적인 것에서 비고정적인 것으로, 물질적인 것에서 탈물질적인 것으로, 육중한 것에서 가벼운 것으로 명확한 것에서 모호한 것으로 변화시키고 있음을 특징적으로 알 수 있다 둘째, 투명성으로 인한 공간의 안팎은 표현요소로서 동적인 스크린 역할을 하여 정보의 상호전달(interactive)로 물질감을 해소하며 이는 일반적인 건축재료가 아닌 미디어적인 재료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셋째, 비물질적 표현 유형에 있어 비구축적 표현, 재료의 은유적 표현, 매체적 표현으로 확장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표현 요소로는 경량성, 부유성, 혼성화, 시각적 허구성, 스크린, 텍스트 이미지에서 높게 나타나며 비구축적 표현은 유리나 금속재와 같은 반사면의 사용으로 인해 얻게 되는 사실적 경량성을 토대로 한 시지각적 경험의 전달과 매스의 열림과 닫힘을 통한 상대적인 부유감의 표현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재료의 은유적 표현은 이질적인 재료의 사용으로 긴장감을 나타내는 혼성화와 재료의 중첩, 빛과 조명을 통해 물성을 다르게 보이게 하는 표현이 많음을 암시한다. 이것은 새로운 재료 자체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잘 알려진 재료를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 노력의 결과로서 표현이 절제되고 환원적이면서도 고도로 의도된 세련되고 화려한 느낌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상의 표현특성과 세부요소들을 각각 하나의 개별적인 속성으로 규정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각 특성과 요소간에 서로 중복되는 범주도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공간 내에 나타나는 비물질성은 혼성적인 표현으로서 하나의 특성으로만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는 없으며, 따라서 공간 내에서 보다 지배적인 속성을 가진다. 현대의 디자인 전개양식은 실내디자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모든 예술분야에서 여러 양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비물질성은 이러한 다원주의 시대에 현재의 공간디자인의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미래의 디자인 패러다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비물질성은 표피, 재료, 미디어, 빛, 움직임 등의 요소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인간이 사용하는 실내공간에의 새로운 이미지와 형태, 공간적 개념의 양상으로서 또 다른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관련 연구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