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인의 도항 연구

        전은자 濟州大學校 通譯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三災の島として知られる濟州では、早くから生存のための渡航が始まった。濟州の人々は窮余の一策として交易を必要とし、勞動力の交換が唯一の代案であった。日本は地理的に済州に近いというだけでなく、より重要なことは、日本には朝鮮半島より先進的な産業が活発に稼働しており、済州の人々にとって、現金を得ることのできる魅力的な労働市場であった。このため、済州の人々の多くが日本に渡航、定着し、あるいは帰郷したのである。 本稿は、既に長い歴史を持つ済州の人々の日本渡航に焦点を当て、これを水面下から引き上げることに意義を置いている。研究の方法としては試験的な要素を基本とし、日本に渡航し、帰郷した調査対象者を通して、彼らがどのような理由で、どのような経路で渡航したのか、また、日本での生活と、帰国後の済州での生活にどのような変化があったかについて考察した。 日本に渡航し、帰郷した対象者20人に直接会い、インタビューを実施、その中から最終的に16人を研究対象とした。16人のうち日帝時代に渡航した経験のある8人を「合法的渡航者(Aグループ)」とし、1945年の解放から90年代にかけて渡航した8人を「非合法的渡航者(Bグループ)」として分類した。 済州の人々の渡航が日帝時代に多い理由はいくつかの観点から考えられるが、第1次世界大戦の特需で好況が続いた当時の日本が、労働力を確保するために労働力誘引策を取ったことが挙げられる。経済的な貧窮から逃れようと渡航した済州の人々にもたらした現金所得の効果は、さらに多くの労働力を再誘引する根拠になった。 インタビューを通して、Aグループの渡航者は両親や兄弟が既に日本で生活しており、職業を持っている場合や留学中であったことが分かった。Aグループははっきりとした目的を持たず、両親や兄弟の勧めで渡航していた。これに対してBグループは「金を稼ぐ」という目的を持って渡航している。彼らの多くは経済的な困難から密航した不法滞留者であったため、職務質問や密告で逮捕され送還されるまで長期間滞留することを目的に渡航した。 渡航地としては、16人のうち12人が大阪であった。その理由は、1945年の解放以前から相当な数の済州の人々が大阪で生活しており、その縁故で多くの人が大阪に渡航したためである。言い換えれば、済州と大阪の間には解放前から既に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Social Network)が形成されており、これを通して円滑なコミュニケーションが取られていたことが分かる。 Aグループは家族をつてに渡航しているが、Bグループはブローカーの仲介で渡航し、渡航後、日本に住む親戚と連絡を取っていた。主に密航というルートで渡航したBグループは、密航に成功すると日本に住む親戚の助けを借りて寝泊まりする場所を見つけ、職に就くことになるが、彼らは劣悪な労働環境と不当な勤務条件にさらされていた。同じ時間、同じ仕事をしても日本人や在日韓国人より安い賃金が支払われた。しかし、密航者という立場では、不当な勤労時間や賃金を訴えることもできず、黙々と働くより他に方法はなかった。 Aグループは学業及び先進文明の修得という効果を得たが、一方で日本人の「朝鮮人軽視」に対する深い記憶を残していた。「非合法的渡航者」であるBグループは、子供の教育費や住宅購入費など、ある程度の経済的効果を得るに至ったが、日本での言葉の問題や密告に苛まされた。言葉の問題は時間が経つにつれ少しずつ解決されるが、密告は渡航から帰郷まで常につきまとう影のような不安要素であった。 調査した対象者のほとんどが、在日済州人の助けと自らの努力で当初の目的を達成した。帰郷後、Aグループは、農業および商業に従事、あるいは政治家や敎師になり濟州社会に貢献して来た。Bグループもやはり農業、商業、観光業に従事、または学業を続け、現在はボランティア活動をしながら生活をしている。濟州の社会において相当な比重を占める彼らの目に見えない苦労は、今日の豊かな済州を築く糧となった。渡航は個人の問題であると同時に、済州社会の問題でもあるのだ。 在日済州人がこれまで故郷に多くの物質を寄贈し、また日本で渡航者に援助、協力した事実は、済州と在日済州人の連帯、そして済州の人々と在日済州人とのパートナー関係を維持する重要な機制の役割を果たして来た。 形態こそ異なるものの、先進文化に憧れ、または高い外貨を求めて資本主義市場に進出するという渡航の本質は今日も変わりはない。済州の人々が、今も経済的に豊かな日本へ渡航し続けるのも、このような理由からではないだろうか。 삼재(三災)의 섬으로 알려진 제주에서는 일찍부터 생존을 위한 도항이 시작되었다. 제주사람들은 어떻게든 궁여지책으로 삶을 위해 교역을 해야만 했고 노동력을 교환하는 것이 유일한 대안이었다. 일본이 제주에 가깝다는 것은 지리적인 측면만이 아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일본은 한반도 본토보다 선진적인 산업이 활발하게 가동되고 있었으므로 제주사랍들에게는 현금획득을 할 수 있는 매력적인 노동시장이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수많은 제주사람들이 일본으로 도항하여 그 곳에 정착하기도 하고 귀향하기도 했다. 본 논문은 이미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제주사람들의 일본도항을 물밑에서 떠오르게 한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시작했다. 비록 실험적인 연구적 성격을 내포하고는 있지만 도항했다가 귀향한 조사대상자를 통해서 그들이 어떤 이유 때문에, 어떤 경로를 통해서 도항을 했는지, 그들의 일본에서의 생활과 귀국한 후 제주에서의 생활상의 변화는 어떠했는지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나는 일본으로 도항했다 귀향한 제주사람들을 직접 만나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도항했다 귀향한 2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나 결과적으로 16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그 가운데 일제강점기에 도항경험이 있는 8명을 ‘합법적 도항자(A그룹)’로, 해방 후에서 90년대에 걸쳐 도항경험이 있는 8명을 ‘비합법적 도항자(B그룹)’로 분류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제주사람들의 도항이 많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1차 세계대전의 세계정세에 의해 호황을 누리고 있던 일본이 부족한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취한 정책적 노동력 유인(誘引)이 있었다. 경제적인 궁핍으로 도항한 제주사람들에게 현금 소득의 효과는 더 많은 노동력을 재유인 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면담을 통해서 A그룹의 도항자들은 이미 부모나 형제자매가 일본에 체재하고 있었으며 일본에서 직업을 갖고 있거나 유학중에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A그룹은 어떤 목적의식을 갖고 도항했다기보다는 부모나 형제자매의 권유에 의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B그룹은 ‘돈을 벌기 위해서’라는 목적을 가지고 도항을 했다. 그들은 대부분 경제적 어려움으로 밀항하여 불법체류자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불심검문이나 밀고 등에 의해 체포돼 송환되지 않을 때까지 장기체류할 것을 목적으로 도항했다. 도항지로는 16명 중에서 12명이 오사카(大阪)이다. 이는 해방 전부터 상당수의 제주사람들이 오사카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그 연고로 인해 많은 제주사람들이 오사카로 도항했기 때문이다. 즉 제주와 오사카 간에는 이미 해방 전부터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이를 통해서 원활한 커뮤니티가 이루어져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A그룹이 부모형제를 매개로 하여 도항한 반면 B그룹은 브로커를 통해서 도항하여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친인척과 연결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밀항이라는 루트를 통해 도항한 B그룹이 일단 도항에 성공하게 되면 일본에 있는 친인척의 도움으로 숙소와 일자리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B그룹의 도항자들은 열악한 근무환경과 부당한 근무조건 하에서 일을 했다. 같은 시간동안 같은 일을 하면서도 일본사람이나 재일교포에 비해 저렴한 임금을 받았다. 아무리 억울해도 밀항자 신분으로는 드러내놓고 근로시간이나 실질임금의 부당성에 대해 항변을 할 수 없었고, 말없이 열심히 일하는 수밖에 달리 도리가 없었다. A그룹은 학업과 선진문물 견학이라는 효과를 얻은 반면, 일본사람들의 ‘조선인 무시’에 대한 기억이 강하게 남아 있다. ‘비합법적 도항자’인 B그룹은 자녀교육비 마련, 주택마련 등 어느 정도 경제적 효과를 거둔 반면, 일본에서의 언어소통문제와 밀고문제로 시달림을 받았다. 언어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해결되는 문제이지만 밀고는 도항해서 귀향할 때까지 늘 불안한 요소로서 그림자처럼 그들을 따라다녔다. 면담대상자 대부분은 재일제주인의 도움과 자신의 노력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귀향해서 A그룹은 농업, 상업에 종사하거나 정치인, 교사가 되어 제주사회에 공헌하며 살아왔다. B그룹 역시 농업, 상업, 관광업에 종사하거나 학업을 계속하고 있는 경우도 있고 현재 사회봉사활동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제주사회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그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노고는 오늘날 풍요로운 제주사회의 밑거름이 되었다. 도항은 개인의 문제인 동시에 또한 제주사회의 문제이기도 하다. 재일제주인의 제주에 대한 물적 기증과 일본에서의 도항자에 대한 협력은 제주와 재일제주인과의 연대 그리고 제주사람들과 재일제주인과의 동반자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기제로 작용해 왔다 도항은 오늘날 형태만 다를 뿐 여전히 선진문물을 동경하거나 환율이 높은 자본주의 시장으로 진출하는 내용에는 변함이 없다. 지금까지도 제주사람들이 경제적으로 보다 나은 일본으로 끊임없이 도항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원인이 작용하는 것이다.

      • 심금을 울리는 편지

        이미정 제주대학교 통역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15

        나는 소통의 삶을 살아왔다. 삼십 년이 넘는 동안, 마음에서 우러나온 생각들을 내 얘기를 듣거나 내 글을 읽는 사람들의 가슴에 전달하는 기술을 완벽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소통능력은 우리가 습득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술들 중 하나이다. 소통은 인생에서 가슴깊이 소중히 여기는 사람들과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 가정을 이루고 미래를 만들어가고자 노력하며 살아가지만, 배우자, 자녀들, 그리고 친구들에게 얼마나 깊이 사랑하고 소중하게 여기고 있는지 여전히 명확하게 전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이 책을 쓴 이유이다. 내 세대의 많은 남자들과 마찬가지로, 나 역시 좋은 아버지 밑에서 자랐으며, 아버지의 행동과 가족 부양에 대한 헌신을 통해 아버지는 나를 향한 사랑을 확실히 보여주셨다. 그러나 사랑표현을 말로도 거의 하지 않으셨고 글로도 결코 한 적이 없으셨다. 감사하게도, 인생의 끝 무렵에 아버지는 사랑한다는 말과 함께 내가 이루어 놓은 것들이 자랑스럽다는 표현을 말로 할 수 있게 되었고, 나는 그 선물에 감사함을 느낀다. 하지만 내가 어린아이 혹은 십대였을 때, 모든 것이 혼란스럽고 어른이 되어가는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을 때 아버지로부터 그런 감정표현을 듣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라도 해드렸을 것이다. 내 딸들만큼은 그러한 알 듯 모를 듯한 사랑을 겪지 않게 하리라 마음먹었고, 그래서 아이들이 어렸을 때부터 이 세상에 존재해 주어서 기쁘고 흐뭇하다는 편지를 쓰기 시작했다. 이 편지들은 딸들에게 “소중한 기념품”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종이위에 쓴 단순한 글들 덕분에 두 딸과 각별한 기쁨을 나누는 사이가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금은 아이들이 결혼을 해서 각자 가정이 있지만, 아직까지도 두 딸과 잘 지내고 있다. 이런 생각을 사람들과 나누기 시작했을 때 반응이 좋았는데 특히 남성들로부터 열렬한 호응을 얻었다. 그래서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평범하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편지를 어떻게 쓰는지 가르쳐 줄 입문서로써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이것만은 장담할 수 있다. 분명 당신은 사랑하는 사람들의 삶에 영원히 영향을 끼칠 것이다. 이제 “심금을 울리는 편지”를 써보자.

      • 버릇없는 아이들을 바로잡는 빠른 방법

        정혜진 제주대학교 통역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15

        This thesis is a translation of the book, How to Unspoil Your Child Fast by Richard Bromfield. Traditional books on parenting are long, dense, and require parents to read through many substantive chapters of background and theory before getting to the punch line, a final chapter of advice.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are overworked and overextended. A majority of the single parents are even more overworked and overextended. The parents who need this kind of book have the least time, energy, and attention to read books about parenting or anything else. This book presents what’s important in a format that goes down fast and easy. The strategies of this book are clear and doable. They are based on a solid and deep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parents. While the method works quickly, it in no way represents fast-food-style parenting. In addition to improving home life, the methods herein can transform children’s insides, promoting their capability and resilience in handling life today and tomorrow.

      • 교실학습관리 : 시험점수 향상을 위한 지침서

        변은정 제주대학교 통역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book does research on why some students are highachievers while others fail in the school setting, presents aconceptual theory for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 introduces thepractical methods, and deals with integrated plans for improvingacademic performances coupled with strategies for improvingstudent motivation techniques for structuring learningexperiences ways for using external resources. In the educational theory a conceptual model is provided, themodel focuses on six variables which educators can have aninfluence on, and interactive effects among the factors onacademic performance is studied. In regard to the six factorsaffecting academic performance the three variables that is, ability,effort, and external resources(human resources and materialresources) each influences academic activities directly. Ability andeffort are, in turn, influenced by other factors. Ability is theprodu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herited capacity to learn andeducational experiences. Inherited capacity to learn is beyond theinfluence of schooling. Meanwhile effort, in turn, is influenced bydesire and self-concept of ability. Among the two variablesdesire to achieve academic task is influenced by students'attitudes towar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s' values andexpectations of academic performance, and perceptions of thefuture utility of academic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ss fourvariables are presented as targets for strategies to motivatestudents to achieve in school in the following integrated planlater as they are affected by schooling experiences. Regarding structuring learning experiences, inherited potential tobenefit from experience and learning experience are necessary inorder for academic accomplishments to occur. The inheritedcapacity to learn is beyond the influence of education and so thethesis identifies logical structures for the experiences(structuringof instructions) to be provided to students. Students shouldmaster basic information before applying cognitive processingstrategies using the basic information. Logical structures includethose in which foundational skills and concepts are taught first.Appropriate structures for learning experiences begin withdiagnosis of the deficiencies that exist in the current abilities ofstudents and then proceed with prescriptive instruction based onthese deficiencies. In relation to using human resources andmaterial resources(external resources) there is little doubtexternal resources enhance learning. The potential benefits ofusing external resources were understood and the firm basis forthe selection and effective use of resources was translated. Ifexternal resource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effectively thecontent of textbooks and other material resources must becongruent with test content. With the strategies to motivatestudents the motivations of students to achieve in school isaffected by socialization experiences. Therefore the ways tomotivate students are found through human relations, interactions,and leadership direction and the techniques to improvemotivations are explored by means of developing positiveself-concepts of ability. Since instructional leadership has aninfluence on the desire of students to achieve in school, positiveteacher-student relations are maintained and students believetheir teachers have moderately high expectations of them. Whenstudents believe what is taught in school will be useful to themoutside of the school setting they will be motivated to learn what their teachers teach. As a result for the purpose of academicimprovement a plan integrating systematically the six variablesmentioned earlier can be established. On the process of the set-up of an integrated plan for academicachievement the book tries to understand the proceeding ofintegrating the six variables(activities for structuring learningexperiences, using external resources, developing positiveattitudes toward teachers, teacher expectations, self-concept ofability, future utility) into one comprehensive plan.

      • K-pop; K in Conflict and Pop

        이희정 제주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15

        저자 이규탁은 K-pop이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경험을 정리하였다. 특히,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 산업이자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음악 장르로서 K-pop이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국제 관계 속에서 대내외적으로 경험하는 갈등과 성장통을 역사의 흐름과 세대 간의 변화 속에서 사례로 소개하고 있다. 기존의 대중이 익숙하게 알고 있던 ‘한류'와 K-pop 1세대와 2세대와는 확연히 달라진 K-pop 3세대 이후 벌어지는 희귀한 현상들을 소개하면서 ‘한류'라는 단어가 무색할 정도로 확장된 K-pop의 개념을 재정립하려고 시도 한다. 그러나 K-pop이 지역의 특수성과 글로벌 보편성 모두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케이팝에서 케이를 떼어 낼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Author Lee Kyu-tak summarized various experiences that K-pop experiences in establishing its identity. In particular,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industry in Korea and a music genre that is gaining worldwide popularity, K-pop introduces conflicts and growth pains experienced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cultural, social, economic,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s examples in the flow of history and changes between generations. Introducing the rare phenomena that take place after the third generation of K-pop, which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K-pop, which the public was familiar with, attempts to redefine the concept of K-pop, which is so expanded that the word "Hallyu" is overshadowed. However, even though K-pop has both regional specificity and global universality, it suggests that K-pop's K-pop cannot be removed y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