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廢棄物 燒却餘熱을 利用한 産業團地 集團 에너지 事業에 關한 硏究

        이범우 全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전라남도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자원화로 효율적인 에너지 수급체계를 구축하고 폐기물 소각여열을 이용한 산업단지 집단에너지 사업을 확대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선, 전남의 생활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을 전국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전남의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2001년 기준 1일 1,911톤으로 전국 48,499톤 대비 3.9% 를 차지하고 있고 처리실태는 매립 1,230톤(64.4%), 소각 104톤(5.4%), 재활용 577톤(30.2%)을 차지하고 있어 전국의 매립비율 43.3%보다 21.1%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특히, 광양만권 주요도시인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의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853.5톤이고 이중 565.5톤(66.3%)을 매립처리하고 있고 소각은 6.5톤(0.8%), 재활용은 281.5톤(32.9%)에 불과하여 앞으로 매립량을 현저히 줄이고 소각·재활용량을 증대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향후 폐기물 소각치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소각여열 에너지 자원화를 위한 광양만권 산업단지 집단에너지 사업을 분석하였다. 기존산업단지인 여수국가산업단지와 광양국가산업단지내 광양제철소에 대한 산업단지 집단에너지사업 현황을 분석하고 신규 조성중인 율촌 제1산업단지의 폐기물 소각여열을 이용한 집단에너지사업 추진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산업단지는 자체 열원을 활용하여 집단에너지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신규 수요창출에 의한 폐기물 소각여열 집단에너지 사업 보급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율촌 제1산업단지는 개발계획 수립시 집단에너지 사업계획을 반영 추진함으로써 신규조성 산업단지의 폐기물 소각여열 집단에너지사업 도입이 기존산업 단지에 비해 용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동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게 됨으로써 LNG등 기존 연료에 비해서 상대적 저가인 지역난방 에너지를 공급하고 폐기물 에너지 자원화로 지역경제활성화 및 주민복지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effective energy supply and demand system by making wastes from Jeollanamdo a resource and offend community energy system using remaining heat after waste incineration at industrial complex. First, it analyzes living wastes and their disposal in Jeonnam through the national comparison. The amount of living wastes from Jeonnam occupies 3.9% of the national amount (48,499 tons) as 1,911 tons a day as of 2001 and their disposals are landfill of 1,230 tons (64.4%), incineration of 104 tons (5.4%) and recycling of 577 tons (30.2%) and it shows higher rate by 21.1% than the national landfill rate of 43.3%. In particular, the amount of living wastes a day at Yosu, Suncheon and Gwangyang which are major cities of the Gwangyang Bay Circle is 853.3 ton and of these wastes, 565.5 tons (66.3%) are landfilled, 6.5 tons (0.8%) are incinerated and 281.5 tons (32.9%) are recycled. Therefore the necessity of reducing the landfill and increasing incineration and recycling is proposed. As it is expected that incineration o( wastes is increased, this study analyzes the community energy system at, Gwangyang Bay Circle industrial complex for making energy of remaining heat after waste incineration a resource. It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energy system of Yosu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Gwangyang Iron Manufacturing Company within Gwangyang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community energy system development using the remaining heat after waste incineration at the 1st Yulchon Industrial Complex under construction. As a result of analysis, existing industrial complex have limitation in distributing community energy system using the remaining heat after waste incineration by creating new demand and the 1st Yulchon Industrial Complex reflects community energy system in establishing development plan and it is easy to introduce community energy system using the remaining heat after waste incineration for new industrial complex compared to of other industrial complex. Accordingly, it is found that an effective development of this project will contribute to the supply of low local heating energy compared to existing fuels like LNG and the activation of local economy and the improvement of residents' welfare by making wastes an energy resource.

      • 건설산업 선진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추진전략 중심으로

        김철웅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건설산업은 국가 주요시설물을 비롯한 사회 인프라 및 주거·편의시설의 확충을 이끌어온 국가 중추 산업으로써 생산효율의 극대화를 통한 부가가치가 높은 성장산업이다. 그러나 국내 건설산업의 여건은 낙후된 제도와 환경, 노동집약적 1차 산업이라는 낮은 인식수준으로 인하여 선진화 도약을 위한 준비와 노력이 필요한 단계로서, 세계 건설업 시장의 개방에 따른 경쟁력 확보와 미래지향적이며 글로벌 스탠다드화 측면에서 국내 건설산업의 선진화 전략수립과 이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선진화를 위한 추진전략의 수립 및 분석을 위하여 정부 및 민간주도 부분으로 구분하여 필요 전략항목들을 선정하고, 각 항목들에 대한 AHP분석을 통한 가중치를 산정하여, 중점 추진전략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향후 건설선진화를 통한 경제위기 극복, 글로벌 스탠다드화 및 국가경쟁력을 증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건설선진화를 위한 정부주도 추진전략의 제도 및 발주 시스템 혁신부문에서는 일괄․대안입찰공사 설계심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와 공공발주기관의 사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부문에서는 건설과정 투명화와 정보공개 확대, 부패방지 노력의 실천전략과 건설이미지 개선이 중점전략으로 분석되어 해외시장에서 적용 가능한 글로벌 스탠다드화 된 공공발주제도 정립방향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민간주도 추진전략의 책임경영 부문에서는 구성원의 혁신 역량과 지식경영을 위한 전략, 정보기술이 중점전략으로 도출되어 관리자의 책임경영 의식과 경영합리화의 노력 및 전 직원의 참여 등을 도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민간주도 추진전략의 관리 및 사업운영 부문에서는 사원 능력 계발을 위한 노력과 근로 및 보건․복지 지원 노력 중점전략으로 분석되어, 기업내부의 재무구조나 원활한 조직운영 등 최고관리계층으로서 경영정책, 경영전략 등의 의사 결정 문제에 대한 역량강화 및 핵심주력기능 위주의 사업관리와 성과물 등의 중요성을 재정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공동주택 공종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정배분에 관한 연구

        진병길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제도의 정의는 「 건설공사를 타인에게 도급하는 자와 이를 자체사업으로 영위하는 자는 도급계약을 체결하거나 자체사업계획을 수립 할 경우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도급금액 또는 사업비에 계상 하여야 한다. 또한 이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건설사업장 및 본사 안전전담부서에서 산업재해의 예방을 위하여 법령에 규정된 사항의 이행에 사용하도록 하는 제도」이며 계획서에 의거하여 공사의 공정 율에 따라 일정비율 이상을 집행하도록 의무화 되어있다. 그러나, 현 공동주택공사에서 집행되고 있는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공종별 배분 기준이 모호 할 뿐더러 시공 원청업체별로 그 적용기준이 다르므로 공종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적정 배분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장 안전관리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건설 재해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를 근거로 공동주택공사에서 공종별 재해현황에 따라 그 위험도를 5단계로 가중치를 두어 분석하였고, 건설회사 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공종별 재해위험도를 도출하여, 현행 시행하고 있는 공동주택현장에서의 공종 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실태를 파악하여 비교 분석 하였고, 건축공사에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합리적 운영을 위한 공종별 적정 배분을 제시하였다. 공종별 건설재해 잠재위험성으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현황에 따르면 골조공사에서 39.97%, 도장공사에서 11.84%, 기계설비공사에서 7.0%, 그 밖의 마감공사에서는 4% 이내로 나타났으며, 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 현황 자료와 유사하게 골조공사에서 12.98%, 유리. 수장. 전기 공사에서 6%, 그 외 공종 에서는 5% ∼ 3%로 나타났다. 조사한 건설재해 잠재 위험성으로 공 종 별 재해현황(%)과 설문조사 현황(%)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연구결과 공 종 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적정 배분이 골조공사에서 26.48%, 도장공사에서 8.38%, 기계공사에서 6.25%, 그 밖의 공 종 에서는 5% 이내 이었으며, 기타 공사에서는 8.04%로 나타났다. 시공 원 청 업체 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정 사용 분은 공동주택공사현장에서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실태와 사용기준에 근거하여 집행되고 있는 총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대비 55% 한도라는 금액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난 공 종 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적정 배분은, 최종 도출된 공 종 별 적정 배분을 바탕으로, 건설재해 위험도가 높은 공 종 에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타 공 종 보다 높게 책정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안전관리를 통한 건설재해를 예방 하고자 한다.

      • 네트워크 공정표에 기반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배분에 관한 연구

        유기순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산업안전보건법 상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공사종류 및 공사금액에 따라 계상하고 공사의 공정률에 따라 일정비율 이상을 집행하도록 의무화 되어 있다. 이러한 현행기준은 사용항목별 사용내역이 다양하지 못하고, 가설공사와 안전시설비의 명확한 구분이 없어 각 공정 및 세부 작업에 내포한 위험요소를 반영하기에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내역은 현대 건축 기술 및 공법의 발전으로 인해 갈수록 복잡해지고 다양해지고 있는 건설공사의 특성 및 제약요소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현행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실태와 문제점을 조사하고, 건축공사 현장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실태 및 현장 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제 건설현장에 적합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배분기준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즉, 건축공사 네트워크 공정표를 기반으로 분류된 각 세부 단위작업 요소의 투입시간, 노동력, 재해발생지수에 따른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적정배분 원칙을 설정하고, 실제 공사가 완료된 현장의 투입인력 및 투입시간을 산출하여, 각 작업 요소별 안전관리를 실행하는데 소요되는 적정비율을 산출함으로써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효율적인 집행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산업안전보건관리비가 건설안전 확보 및 예방에 미치는 영향도 평가 결과 응답자의 68%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바 근로자의 경험 및 인지도를 기반으로 살펴볼 때, 건설재해 예방 측면에서 그 활용도 및 중요성이 높은 필수적 제도장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사용항목 및 투입내역 등 집행의 투명성 측면에서 제기된 근로자의 부정적인 인식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적절한 제도적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2) 공사금액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만족도 분석 결과, 총 공사금액이 증가할수록 응답자들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집행 및 활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소규모 공사현장에 비하여 공사현장이 대형화 될수록 전담 안전조직 및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배정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집행기준 및 사용내역의 적정성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세부적인 사용내역 및 기준에 대한 인지도 분석 결과, 과장급 이상의 직책에서는 인지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실무를 담당하는 주임, 기사, 사원들의 경우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효율적인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정착을 위해 현장 및 공사특성에 적합한 제도의 실무내용 수립과 함께 적극적인 홍보대책의 마련, 사내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집행 기준 및 교육의 강화를 통한 개선점을 보완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자율공정률에 따른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 만족도 평가 결과, 응답자의 49%가 만족, 51%가 보통 이하의 결과를 보여 응답의 편차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현행과 같은 공정률에 따른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집행의 일정한 기준이나 근거가 없는 상황에서는 각 현장별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집행이 부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염려에서 비롯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에 공사의 특수성과 현실성을 감안한 가변 산정식 및 기준의 적용을 유도하고, 자율적 공정률에 의거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집행 최소한도의 지정, 적용 방침과 공정률 체계의 다변화 및 개선이 요구된다. (5) 1992년부터 2004년까지의 총 13년간 공정별 재해발생 건수를 조사한 결과, 거푸집공사, 가설공사, 기초공사 순으로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재해 발생률이 높은 공정에 대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비례배분 원칙을 수립하고 재해 발생률을 재해발생지수로 환산하여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배분에 반영하였으며, 종합적으로 공사의 각 공정별 재해 발생지수, 투입인원, 투입시간을 반영하여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공정별로 배분하였다. (6) 연간공사 수주액이 가장 높은 공동주택 공사를 대상으로 공사규모 및 기간, 공사금액이 비슷한 2곳을 선정하여 공사에 투입된 인원과 시간, 공정별 재해발생지수를 고려하여 산출한 공정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산정비율을 이용한 결과, 기초공사, 거푸집공사, 미장 및 타일공사에 각각 38.21%, 17.61%, 10.72%의 비율로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배분하는 것이 바람직 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7) 기초공사의 경우 투입시간이 1.51로 상대적으로 짧은 공기 안에 공사를 완료함에도 불구하고, 재해발생지수와 투입인원이 각각 9, 5186.5로 산출되어 다른 공정에 비해 더 많은 비중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가 배분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8) 공정별로 배분한 네트워크 공정표 기반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집행기준에 대한 각 현장의 안전관리자와 면담조사 실시 결과, 해당 공정의 특성을 반영한 배분방법과 안전관리자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편의성, 공사참여자에 대한 안전경각성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검증, 분석되었다. (9) 공정비율 및 공사기간에 따라 분할 합산하여 산정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집행 예상 누적 값을 현행 네트워크 공정표상의 집행기준과 비교한 결과, 두 누적비율이 공정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현장의 특수성 및 공사특성의 차이에 따른 결과로써 해석할 수 있으며 현행 일률, 포괄적 적용 기준이 갖는 한계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현행기준 대비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공사 특수성을 반영한 집행기준은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새로운 대안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LED照明産業育成政策에 관한 硏究

        손항환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구의 모든 생명체에게 있어서 빛은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빛을 제어하기 위해 인공 광원으로 백열전구, 형광램프, HID 등이 개발되었으나,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에너지절감 뿐만 아니라 친환경 효과를 추구하면서 LED가 조명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최근 LED는 Nichia, Cree, Lumileds 등이 150 lm/W(백열전구 효율의 10배) 고효율 LED 광원을 개발되어 경관조명, 가로등, 실내조명 등에 생활 조명산업에 급속히 침투하고 있으며, 또한 초박형, 소형·경량화, 장수명, 수십 나노(~10-8)초 단위의 고속응답 속도, 광색의 시인성 및 색재현성 등은 IT, BT, NT 기술과 융합되어 의료, 농업, 환경, 디스플레이, 정보가전 등의 넓은 응용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미국, 일본, 유럽 등은 LED 조명 분야를 육성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수행하여 자국의 업체들이 에너지절감 및 경쟁력을 갖추어 세계 시장을 선점하도록 하고 있고, LED 조명은 LED 광원, 회로, 방열/광학기구, 회로 등 부품 관련 산업이 동반 육성되어야 LED 조명 및 응용 제품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으므로 해외 선진사들은 자체 M&A를 통해 거대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이러한 다양한 요소기술에 대한 차별화 핵심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업체 육성을 통해 다양한 산업적 밸류체인(Value Chain)을 형성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상생관계 수립을 해야 한다. 미래에는 인간 및 생물에 대한 친환경 및 친화적인 형태의 LED 조명에 의해 우리의 생활에 일대 변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국가적으로 반도체를 뛰어넘는 신성장 산업인 LED조명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어 연구하게 되었다.

      • 광주지역 정보문화산업 육성전략에 관한 연구 : 문화콘텐츠산업을 중심으로

        곽현미 全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문화산업은 앞으로 각 국가간의 경쟁이 치열해질 가능성이 큰 분야이다. 코펜하겐 미래학 연구소장 롤프 에센같은 이는 "이제 정보화 시대는 지났고 앞으로는 소비자에 꿈과 감성을 제공해주는 것이 차별화의 핵심이 되는 드림 소사이어타의 시대"가 온다고 전망하고 있기도 하다. 또 프랑스의 문화비평가이자 경제학자인 기소르망은 한국이 외환 위기에 처하자 "한국이 겪는 위기는 단순한 경제문제가 아니라 세계에 내세울 만한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 상품이 없다는 데서 비롯됐다"고 평가하면서 문화의 시대가 곧 도래할 것이라고 일찍이 내다 본 바 있다. 최근 들어 우리는 문화산업이란 말 대신 문화콘텐츠산업이란 말을 자주 듣는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향후 성장주도 산업으로 평가되는 정보산업에서 가장 커다란 과실을 맺을 분야가 콘텐츠산업이라고 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매력적인 분야가 문화콘텐츠이다. 세계 정보산업에서 문화산업에서 대부분 업종을 포함하늘 콘텐츠 창출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4년 37%에서 2005년 44%로 높아지는 반면, 콘텐츠의 보급과 기기생란 부문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줄어들 전망이고 보면 문화콘텐츠산업의 활약상을 미루어 짐작할 만하다. 현재 국내 콘텐츠산업은 그 중요성과 막대한 시장파급효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초보적 단계에 머물고 있다. 이는 정보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가 맞은 수준이며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을 위한 제반 인적. 물적. 제도적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못한 결과이기도 하다.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들이 문화산업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는 추세에 있으며, 문화산업의 육성에 대한 정책과 전략 연구에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문화산업의 육성에 대한 논의만큼 실효성 있는 문화산업 육성 전략의 마련이나 장기적인 투자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주지역의 경우 첨단기술과 콘텐츠 및 고급인력이 상호결합되는 문화산업지구 조성을 통해 효율적이고 집중적인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문화콘텐츠산업은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산업 육성에 관한 이론적 접근을 검토한 후 외국 사례의 특징 및 기존 연구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정책적 합의점을 도출하였다. 광주시의 문화산업 육성 계획 및 추진과정 등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 방향, 지원 전략 및 지원분야 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e cultural industry is a field that has possibility that there will be severe competition among the nations hereafter. Rolf Essen, a head of institute for futuristics in Copenhagen, prospects that "Now, the era of information was passed, and the era of a dream society that it has a core of differentiation that it supplies a dream and sensitivity to the consumers in the future." will come." Also, Guy Sorman, a cultural critic and economist in France, had an early insight into the future that the era of culture will come soon while he analyzed it as "The crisis of Korea has originated from the absence of Korean products with a cultural image shown off to the world, not simple economic Problems." Recently, we often hear a word like the industry about the cultural contents instead of the culteral industry. According to the various researches, a field that bears the largest fruit in the information industry evaluated as a growth-drive industry hereafter will be a contents industry. Among them, the most attractive field is cultural contents. The relative importance that the contents creating part including most of industries in the cultural industry of the world information industry has increased from 37% in 1994 to 44% in 2005. But the diffusion of content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part of equipment Production will be relatively decreased. From 진1 things considered, the activity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can be guessed. Recently, the domestic contents industry still remains at the elementary step in spite of its importance and the vast market diffusion effect. It might be a result that the general personal, material, and systematic infrastructure for creating digital contents was not constructed. It is in the trend that the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the contral government start to be interested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it is in the situation that they make efforts in the research on a policy and strategy for rearing the cultural industry. However, it is in the situation that the preparation of viable strategy for rearing the culturla indusoy as well as the discussion for rearing the cultural industry does not come true. In Gwang Ju,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seems to secure the world wide competitive force when the effective and intensive support is accomplished tough the fostering of cultural industry zone that the advanced technology, contents, and high-class manpower are commonly connected. This study is to reach a political mutual agreemen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ses of foreign country and the existing research after investigating the theoretical approach about the industrial zone in Gwang ju. Also, it is to reach at the direction for the support, the strategy for the support the demand of cultural industries, the plan for rearing the cultural industry in Gwang ju, and the process of promotion, etc

      • 정부출연(연)의 특허성과와 논문성과 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 K 연구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재현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과학기술환경은 과거와는 다르게 대단히 급변하고 있다. 정부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순응하여 국가과학기술전략을 새롭게 정립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기회의 창출과 선진국과 경쟁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국가 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과학기술분야를 확대하고 정부연구개발체계 및 기반을 재정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정부와 함께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출연(연)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수행하여 세계적 수준의 역량 확보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는 출연(연)의 고객지향적, 실용적 R&D 수행을 통해 개발한 기술이 관련기업에 사업화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출연(연)의 산업지원 시스템 개선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출연(연)의 정의 및 역할, 현황, 발전과정 및 주요 추진성과, 산업지원 정책 및 선행연구를 개괄하였다. 아울러, 정부의 산업지원 정책의 핵심지표라고 할 수 있는 특허성과와 출연(연)의 연구활동의 주요 성과지표인 논문성과 간의 상호관계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특허활동과 연구활동 사이의 관계는 개념적으로 크게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보완적 관계(complementary relationship)는 출연(연)의 특허활동이 활발해지면 출연(연)의 연구 자금 확보와 연구자의 동기부여 등으로 그와 비례하여 연구활동도 촉진되어질 수 있다는 논의이다. 둘째, 대체적 관계(substitutive relationship)는 출연(연)의 특허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산업지원 중심으로 출연(연)의 역할이 변질된다면 출연(연)의 연구활동이 위축될 가능성에 대한 논의이다. 또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직접적으로 활용 가능한 연구에 치중하다보면 결과적으로는 출연(연)의 연구 과제 선정과 연구 방향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K연구기관의 성과관리 DB를 활용하여 출연(연)의 특허성과와 논문성과 간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두고 2003년부터 2012년까지 K연구기관의 개별연구자를 대상으로 특허활동과 연구활동에 대한 패널분석을 pooled estimation, random effect model, fixed effect model등 3가지 형태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pooled estimation의 경우, 모든 모형에서 특허성과가 논문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andom effect model을 활용한 추정결과도 pooled estimation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특허는 논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fixed effect model을 활용한 추정결과에서도 앞서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개발 연구자 수준에서의 특허활동이 연구활동에 긍정적인 보완적 관계로 기여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 정부의 산업지원 정책과 출연(연)의 연구활동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한국의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 방안 : 한국의 색, 모양, 소리를 중심으로

        박승호 全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산업의 발전방안에 대해서 논한다. 문화산업 중에서도 애니메이션 산업은 정부의 본격 육성분야중 하나로서 최근들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분야는 그 발전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이에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정부의 화려한 구호에 비해 제작여건 그다지 나아지지 않고 있으며, 국민들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경시 풍조가 만연해있다. 이 글은 그 원인이 어디에서부터 파생된 것인가 하는 의문점을 제기하며, 기존의 애니메이션 산업의 현황과 발전 전략이 선진국의 하청생산 구조로 출발하여 창작적인 생산구조를 이루지 못하였다는 점을 지적하며 출발하고 있다. 즉 기존의 접근 방식은 창작적인 생산을 고려할 만한 경제적 여건이 주어지지 못하여 선진국의 하청생산의 측면에 중심을 두었기 때문에 산업으로서 소비자에 대한 고려, 애니메이션 업계의 생산성 제고, 그리고 애니메이션 산업 전반의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분석에 있어서 미흡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콘텐츠는 다양한 장르의 애니메이션 작품이 거의 없고 주로 어린이 위주의 작품을 만들어 애니메이션 인구의 저변 확보에 실패했다. 실질적으로 애니메이션의 토대가 되는 만화는 대중문화의 최하층으로 취급되어 어린이나 보는 단순한 매체로 인식이 되어 문화적 대우를 받지 못했고, 사회의 엄숙주의나 도벽주의 관념이 자유분방하고 통속적인 속성을 수용하지 못하는 사회분위기는 애니메이션 산업이 성장하는데 걸림돌이 되었다. 또한 선진 애니메이션산업의 하청제작만을 수년 동안 수행한 결과 정작 우리의 문화정신을 소계로 한 애니메이션을 만들지 못 하는 창작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이 처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한국의 색, 모양, 소리를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그 발전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study about the animation industry development using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The animation industry is recently being focused as one of key fields by the government. However it does not follow this kind of expectation. The working situation still stays and people think light of animation. This paper brings up a question that where the reason is derived from. And this paper starts that our animation industry did not make a creative production structure because it stalked from subcontract from the developed countries. The past approach method left analysis abilities of consideration of customers, production of animation businesses and problems of animation industry to be desired because it focused on just subcontract works from the developed countries. Specially, we feiled to collect population of animation because our animation industry just focused on not works for variable genre but works for children. The comic strip is substantially the basic element for making an animation film, but it was treated as the naive lower level item for children and not be considered as the high quality cultural production. A conventional way of thinking and morality of society don't accept liberal and populaire character was an obstacle to progress animation industry. as a result of many years' OEM production of major production in the world, we can't make our creative and unique animation based on our cultural tradi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national animation industry and find the method of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Korean Color, Korean Shape, Korean Sound.

      • 無機性産業副産物을 利用한 슬러지 脫水性向上에 關한 硏究

        노광직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하수처리장 소화슬러지를 대상으로 무기성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특성을 분석하고 산업부산물의 재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행하였다. 부산물의 비표면적 측정결과 폐주사물 30.6~31.7㎡/g, 도시쓰레기 소각재 0.21~0.22㎡/g, 보크사이트는 9.47~9.589㎡/g로 조사되었다. 소화슬러지에 산업부산물을 응집보조재로 투입하여 TTF 분석결과 도시쓰레기 소각재 9g에서 원시료 보다 10배이상 탈수가 우수한 것 조사되었으며, 폐주물사는 4g 주입시 원시료 보다 약 1.5배정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화슬러지에 산업부산물을 응집보조재로 투입한 결과 여과 비저항 값이 가장 낮은 것은 도시쓰레기 소각재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폐주물사, 보크사이트 순으로 분석되었다. 도시쓰레기 소각재와 폐주물사를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여과비저항계수가 작아져 탈수가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보크사이트는 6g 이후에서 탈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향후 폐기물의 재활용 측면에서 도시쓰레기 소각재(MSW Ash)는 소화슬러지의 탈수성 증진을 위한 개량제로서 충분히 재활용성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know recycling possibility of inorganic industrial by-products and analyzed dehydration characteristics of digested sludge from sewage wastewater plant with inorganic industrial by-products. The measured specific surface areas of foundry sand, MSW ash, and bauxite were 30.6~31.7㎡/g, 0.21~0.22㎡/g and 9.47~9.589㎡/g, respectively. TTF analysis showed that the dehydration efficiency of digested sludge with 9g of MSW ash was 10 times better than original sample and with 4g of Foundry sand was 1.5 times better than original sample. The measured SRF at the bauxite was higher than foundry sand and MSW ash had the lowest value. As the amount MSW ash and Foundry sand in digested sludge increased, the value of SRF decreased and the hydration efficiency increased. The improvement of hydration efficiency was observed when more than 6g of bauxite was added into digested sludge. As the result, inorganic industrial by-products studied can be used as conditioners for the improvement of dehydration efficiency of digested sludge.

      • 외국의 사례와 비교한 우리나라 공공직업훈련의 문제점 분석

        최민아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1967, public vocational training program begun, and now it's quantity and quality increased dramatically. many engineer trained and they did great job to make industrial nation. When there was currency crisis, many person loose their job and they have chance to receive retread program and have a new job. Nowaday, the public vocational training system have two kind of problems. First, when considering environment,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fixed idea about training program and there is no long-term plan about labor problem. Second, when check inside of the system, there is exhaustive competitive between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loose to chase up training content compare to the technique developed. This make identification of public vocational training become dilute. Basically, public vocational training should focus on the core technique and SOC related, high-end technology. and private vocational training is apt to focus on where investment need less. eventually, privat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number is 50 times bigger than public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Cause, training subsidy is just depend on student quantity and training times, between public vocational training and private vocational training have no difference at all. Now, both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try to gather student more in popular topic and their difference is about to disappeared. In this paper, progress of the vocational training system in Japan, America, Germany, Australia will be researched for example and suggest this target for next generation's vocational training system. Ⅰ. In the high school, they should learn basic skill, and In the vocational training system, they should be learn high-technical skill, separately. Ⅱ. Company should involved to the vocational training system, and should educate student as their need. Ⅲ. Subsidy should decided by quality, and proper evalu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degree. Ⅳ. Public training institute should enlarge training area involve the vocational training, and make possible to support information and technology for system training for small company. Ⅴ. Predict engineer demand by efficiency system, will be helpful to establish long term vocational training plan. Ⅵ. SOC or high-end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will specialize public vocational training system. Ⅶ. Student have to learn positive value about the training program, and it will make complete education program. Problem of vocational training system is not solved by just one department. Government should make plan for long-term education and support enough subsidy and company have to take part in and invest for training program together.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have to research about adequate program by situation change, and student should choose their major and do best for their future. Each part have to do their own role and it will make future of training system better. 1967년 처음 우리나라에서 공공직업훈련이 태동 된 후 현재까지 공공직업훈련은 양적으로 질적으로 엄청난 팽창을 거듭해 왔다. 그에 따라 많은 수의 기능 인력들을 배출하여 산업사회를 이끌어나가는 훌륭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특히 1997년의 외환위기에 의해 대량 발생한 실업자들을 위해 실업자 재취직과정을 운영하여 많은 실업자를 다른 직종으로 변환, 노동시장에 복귀시켜 사회적 안정에 큰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공공직업훈련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과 학력위주의 교육 풍토, 노동 정책의 비계획성 등의 외적 요인과 직업훈련 기관들 간의 소모적 경쟁, 기술의 발전에 따른 훈련 직종의 변환 실패, 공공직업훈련의 정체성 상실 등의 내적인 요인들로 인하여 공공직업훈련은 위기를 맞게 되었다. 공공직업훈련은 산업별 공통 수요, 기간산업, 첨단 및 신수요 직종 등 민간직업훈련에서 실시하기 어려운 직종을 중심으로 훈련을 실시하는 반면 민간직업훈련은 지역별 자체 수요를 반영하는 직종이나 공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설 및 장비의 투자비용이 작게 드는 직종을 중심으로 훈련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직업훈련기관이 공공직업훈련기관에 비해 수적으로 50배 이상 증가하였고, 훈련의 내용과는 상관없이 인원수와 시간에 비례한 훈련비 산정 정책으로 공공과 민간 모두 모집이 쉬운 직종만을 선호하게 되어 특정 직종에서 과잉․중복 투자가 발생하고, 서로의 훈련과정과 직종의 경계가 모호해짐에 따라 공공직업훈련은 고유의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직업훈련의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일본, 미국, 독일, 호주의 산업사회 변화에 따른 직업훈련의 정책 변화를 통해 우리나라의 공공직업훈련의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개선방안을 요약해 보았다. 첫째,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은 기능 중심으로 그 이후의 직업훈련에서는 첨단 기술 중심으로 운영하여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차별화를 시켜야 한다. 둘째,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훈련개발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훈련과정에 자율성을 확보하여 산업수요에 적합한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셋째,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재정지원 방법을 훈련생 인원수나 시간에 근거하는 것보다 훈련의 질이나 훈련과정 평가, 기여도에 근거하는 방법을 병행함으로써 소모적 경쟁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공공직업훈련이 양성훈련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던 것에서 탈피하여 재직자들의 직무능력향상훈련을 확대시킴으로 공공직업훈련이 훈련정보의 개발 및 보급, 기업체 교육, 중소기업 기술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종합적인 인력수요 예측 시스템을 갖추어 직업훈련 과정개발과 정책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여섯째, 사회 기간산업이나 첨단 신기술 중심의 훈련과정을 운영하고 새로운 과정을 끊임없이 개발함으로써 공공직업훈련의 정체성을 지켜나가야 한다. 일곱째, 훈련생들에게 올바른 직업의식과 능동적인 생활 태도를 고취시킴으로써 훈련 중 중도탈락을 예방하고 적극적인 훈련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공공직업훈련의 위기상황은 어느 한 부분의 노력에 의해 극복되지는 않는다. 정부는 정확한 예측과 적절한 지원을, 사업자는 적극적인 훈련과정 개발 참여와 인력양성에 대한 투자를, 훈련기관은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수준에 맞는 교육을, 훈련생은 신중한 선택과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이 모든 부분의 결합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