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의 EBS 교육방송의 활용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종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03

        고등학생의 EBS 교육방송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학과 박 종 찬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EBS 교육방송의 활용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장유지역 고등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으로는 EBS 교육방송의 시청실태, 수강동기, 만족도, 개선사항들에 대해 살펴보았고, 조사된 설문데이타는 SPSS win 1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및 변인별 수강동기와 만족도간에 차이가 있는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EBS 교육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학생이 전체의 78.1%로 나타나 많은 학생이 EBS 교육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전체의 59.1%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서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했고, 19.9%가 다운로드 하여 PMP로 시청한다고 응답했다. EBS 교육방송 활용 정도에 대해 주2-3회 이용한다는 응답이 59.1%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강 동기에 대해서는 다른 사교육보다 비용적 측면이 가장 부담이 적어 이용한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고, 만족도 부분에서도 비용대비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추가적으로 학습의 편리성이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셋째, 학생들의 교육방송 프로그램의 참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해야하며 학교 현장에서의 학생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학교 학습현장에서 교육방송 프로그램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시스템 환경을 조성해야할 것이다.

      •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과 발전방향

        안유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4303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교육대학원 2급 양성과정의 발전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문 상담교사 8명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Braun과 Clarke의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2개의 영역에 따른 14개 의 하위범주와 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이 전문상담교사로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담교사로서의 역량 강화’,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 증진’에 도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실무 역량에 대한 교육 부족’, ‘다양한 역할에 대한 교육 부족’, ‘실습 교육 체계의 미비’로 인해 도움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대학원 2급 양성과정이 전문상담교사로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의 실습체계의 보완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였으며, 전문상담교사에게 교육해 야 하는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전문상담교사들에게 교육해야 할 구체적인 실무역량에 대해 심층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 second-level training course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 counselors on the second-level training course for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professional counselors to analyze the data through the method of Braun and Clarke's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14 subcategories and 5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wo area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econd-level training course for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elped to "strengthen their competence as counseling teachers" an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school site" in performing their duties as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helped due to 'lack of education on practical competencies', 'lack of education on various roles', and 'lack of practical education system'.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how the second-level training cours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he job as a professional counselor, discussed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s, and presented basic data. Specifically, the need to supplement the practice system of the second-level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training cours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suggested, and the role of teaching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was specifically present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esent in-depth data on specific practical competencies to be educated to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 7차교육과정하의 고교 영어듣기평가 문항분석 : 2005년 시·도교육청 주관 듣기평가(고3)와 수능듣기평가문향분석과 비교를 중심으로

        정승덕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4303

        본 연구는 교육청 주관 듣기평가의 문항들이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취기준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고 이와 더불어 수능 듣기평가 문항과의 비교를 통해 수능 듣기와 관련성 정도를 연구하여 실제 수업시간에 교육청 주관듣기평가를 수능과 관련시켜 그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루고 있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의 중점목표인 '의사소통기능의 신장'과 교육청 주관듣기 평가의 문항이 잘 부합하는가? 둘째, 의사소통기능 중심으로 교육청 주관 듣기 평가에서는 의사소통 기능이 한쪽으로의 치우침 없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가를 살펴본다. 셋째, 언어처리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교육청 주관 듣기 평가는 어떤 문장의 빈도수가 높고 낮은지를 분석해 본다.(상향식, 하향식, 상호 작응적 과정) 넷째, 교육청 주관 듣기평가 문항과 수능듣기문항의 문항별 비교를 통해 교육청 주관 듣기 평가의 문항이 수능 듣기 문항과 얼마나 부합하는가를 살펴본다. 본 연구를 위해 2005학년도 시,도 교육청 주관 듣기 평가 4회분(고3용)문제 및 대본 그리고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듣기평가 문제 및 대본들의 내용을 분석 비교하였고 Peterson의 상향식, 하향식, 상호 작용식 언어처리과정을 한국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수능 듣기 문항들에 있어서의 언어사용 기술들을 참고하여 10개의 범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모든 통계는 백분율을 중심으로 비교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청 듣기와 수능 듣기 모두 그 세부적 항목의 빈도수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기능 중심의 교육목표에 충분히 부합하는 문항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둘째, 그러나 위 41개 반영된 항목들의 구성이 3개영역 - 친교활동, 사실적 정보 교환, 감정표현- 에 60% 이상 치우쳐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기능을 기르기 위해서는 나머지 빈도수가 적은 항목들의 문항들도 더 많이 개발하고 활용해서 듣기 지도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언어처리 과정에 따라 각 교육청 듣기 문항을 상향식, 하향식, 상호 작용적 과정으로 분류해서 살펴본 결과 하향식(51.25%), 상향식(37.5%), 상호 작용적(11.25%) 순서로 그 빈도가 나타났다. 그러나 단일한 한 회 별 수능 및 교육청 듣기 평가에서는 아직도 상향식 언어 처리 과정인 특정 정보 찾기에 많은 문항이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앞으로 듣기 문항의 개발에 있어서 좀 더 배경 지식을 이용하고 논리적이고 추론적인 사고를 요하는 듣기 활동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넷째, 각 교육청 듣기 문항과 수능 문항의 비교를 통해 교육청 듣기 평가 문항과 수학능력시험의 듣기 평가 문항이 그 내용적인 면이나 문항 구성 면에서 상당히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analys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2005 National SAT and Regional listening proficiency tests. On top of it, this study analyzes listening items in SAT in terms of relevance with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wo aspects: communicative functions and language processing modes & activities. We expect the results of the present analysis to be put to good use in highschool English classrooms to help improve students' SAT scores.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well do the Regional SAT listening items reflect one of the main purpose of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functions'? Second, what kinds of communicative functions are more frequently used in regional SAT listening, and what kinds are less frequently used? That is, what kinds of communicative functions are there in common between example sentences of each communicative function in the 7th curriculum and the scripts of the regional SAT listening items? Third, which language processing mode is most frequently used, among the bottom-up, top-down, and interactive processes? Fourth, by comparing the listening test items between National SAT and Regional SAT, we try to find out how closely two tests items correspond with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ripts of Regional SAT listening items have a lot in common with the example sentences of each func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is shows that the regional SAT listening items well reflec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analysis of regional SAT listening items according to seven categories of communicative functions proposed in the 7th curriculum shows that the expressions of intimacy activity(24.58%) appear most frequently and those of moral attitude(2.2%) appear least frequently. Third, the top-down processing(51.25%) is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the bottom-up processing(37.5%) and interactive processing(11.25%). Fourth, comparison of the listening test items of National SAT with those of Regional SAT reveals that the two SATs closely correspond in both contents and structures.

      • 토끼전 교육 방안 연구

        박세정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는 고전소설 <토끼전>의 원형적인 이야기에서 다양한 이본들이 파생되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하여, 이를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토끼전>은 백여 개의 이본이 전하고 있는데, 이본의 수가 다양한 만큼 작품의 유래와 작품의 제명, 작품의 결말 구성 등 매우 다양한 변모의 모습을 보여 준다. 따라서 이러한 <토끼전>의 이본은,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던 기존의 교육현장에, 다양한 자료와 다양한 사고를 바탕으로 한 획기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기에 충분한 역사적 산물이라 하겠다. 지금까지 고전이라고 하면 진부한 것이라 하여 폄하하거나 어렵다고 하여 가까이 하지 않으려 했던 학생들에게 다양한 사고와 함께 태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은,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만드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고전교육이 드러낸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역사 속에서 구전되면서 적층된 문화적 성과를 교육에 최대한 활용한다는 점에서 의의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서론에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고, 이어서 <토끼전>의 이본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본의 검토에 근거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내용에 맞는 학습모형으로 역할극을 통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토끼전>형성의 역사적 배경, <토끼전>의 서사적 구조 등 <토끼전>과 관련된 개괄적인 내용을 고찰하고, 이어서 <토끼전>이 다양한 이본으로 변모하는 양상, 그리고 그러한 변모의 시대적 배경과 의미를 <토끼전>의 변모 시기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이어서 기존의 제6차 교육과정과 개편된 제7차 교육과정의 방안의 비교를 통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 <토끼전>의 이본을 수록한 의미를 중시하여, 이에 적절한 실질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 모형의 중심은 학생들이 참여하는 역할극에 있으며, 이를 통해 교사는 고전에 대해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지식을 전달해 주어야 한다. 그와 함께 구비 전승된 고전문학은 고정되지 않고 시대적 배경과 창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는 영역임을 또한 상기시켜 주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각자의 창의적인 사고력과 현대적 감각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토끼전>의 내용과 형식과는 달리 결말부를 새롭게 한 <토끼전)을 재구성하고, 이를 역할극이라는 실제적인 활동을 통해 표현해 보도록 유도해야 한다. 각자가 개작한 내용을 재현해 보는 방법으로 여기에서는 역할극을 제시하였다. 역할극은 학습과 관련된 여타의 표현 활동보다 뛰어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여건이라는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몇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하였다. 따라서 본고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까지 함께 제시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여기에서 구안한 수업 모형에서는 이러한 개작과 재현 활동을 시종 다른 학생들과 토의·토론을 하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학생들 스스로 의견을 조정하는 능력을 고양할 수 있다는 모둠 학습이 주는 긍정적인 학습효과도 함께 기대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제시된 수업 모형은 학생들의 참여도와 열의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변수를 교사가 미리 예상하고, 이것이 전체적인 흐름에서 일탈하지 않도록 발문을 미리 준비하여 보조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토끼전>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준비를 교사가 갖추고 있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여기에서 제시된 <토끼전>의 이본 학습은 교육현장에서 역동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을 이끌어 낼 것이며, 고전작품의 기본적인 골격 위에 학생들이 발 딛고 있는 현재의 시대적 요소를 더함으로써, 학습자가 고전작품에 대한 흥미와 의욕을 가지고 이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서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이 학습 모형이 앞으로 더 큰 효과를 낳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검증 과정을 통해 더욱 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a purpose of seeking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n Toggi-jeon to students following the 7th curriculum, based on the fact that Toggi-jeon has variant texts. Toggi-jeon has had approximately 100 variant texts. Due to such diversified texts Toggi-jeon shows us different aspects in terms of its origin, name, construction of conclusion, etc. Therefore these variant texts of Toggi-jeon provide us with an effective teaching model, considering our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text centered learning takes place heavily. It is my belief that we should make a teaching model of the classic such as Toggi-jeon for the students who have thought the class as a trite subject or difficult one to understand to actively and interestingly participate. Thu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eeking a method enough to cope with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classic education and to fully utilize cultural achievement transmitted orally in a long history. In Preface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are provided examining the variant texts of Toggi-jeon. And a teaching method of Toggi-jeon is provided in role play which fits with the 7th Curriculum.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onstucting Toggi-jeon, epic structure of Toggi-jeon, and general contents related with Toggi-jeon are also examined. Followed by them the changing aspect of Toggi-jeon into variant texts 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meaning of its change into variant texts are examined on the basis of changing time of Toggi-jeon. And a practical teaching model of Toggi-jeon is presented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variant texts of Toggi-jeon are included in the 7th Curriculum, while comparing the 6th Curriculum with the 7th Curriculum. The focus of the teaching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on role play in which students are participated Through the role play a teacher should provide the students with an appropriate level of knowledge of the classic. Also the teacher should remind them that the orally transmitted classic is not fixed to a certain period but that it is changeable to a specific period or a story teller. On the other hand students should reconstruct the final part of Toggi-jeon with their creativity and modem sense and express it in role play. Role play has some realistic limitation in educational environment although it has more strength than any other expressive activities related with learning. A solution to overcome these limitation is also suggested in the last part of this study. Above all, a total leaning is possible in role play because students can recreate a Toggi-jeon and play it and discuss it with each other all the time. Therefore students' participation and willingness are critical to role play and they can make learning a totally different result. To prepare various possible results of the students, teachers should fully understand Toggi-jeon and be ready to all sorts of interpretation of Toggi-jeon as an assistant to students' role play. The teaching method of variant texts of Toggi-jeon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approach the classic with interest and willingness and elicit their learning of the classic actively and creatively, adding the modernity of the students to the classic. And the method should be reexamined or modified continually to gain a better effect to teaching Toggi-jeon.

      • 중학교 토론 교육에 대한 연구

        김종광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4287

        이 글은 학교 수업에서 일반적인 토론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되 토론 수업 방법의 변화를 통해 학생들 사이에 보다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사회인으로 성장할 학생들에게 토론의 정신을 이해시키고, 그 방법을 익히도록 하여 토론의 유용한 쓰임새를 알게 한다. 토론 교육은 도구 교과인 국어과 듣기 · 말하기의 하위 영역으로서 그 학습내용이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학급당 학생 수의 과다와 같이 제대로 교육할 수 없는 교수-학습 상황의 문제점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미비로 인한 문제점 등 제대로 된 토론 교육을 위하여 극복해야 할 문제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토론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교과서 토론 교육 내용이 더욱 구체적이고 풍부하게 바뀌어야 하며, 다양한 시청각 자료의 개발 등이 필요하다. 최근의 토론에 대한 관심에 힘입어 토론에 대한 연구서들이 조금씩 나오고 있으나, 아직은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어 당장 학교 현장에 적용할 만한 연구 결과는 찾기 어려운 설정이다. 이에 이 글은 토론 교육의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의 제시와 학교에서 바로 수업할 수 있는 지도 방안의 실제를 보이기 위해 연구되었다. Ⅱ장에서는 말하기, 듣기, 토론 교육에 대한 앞선 연구를 검토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 글이 나아갈 바를 확인 ·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중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과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여 토론의 자리 매김과 교수-학습 여건에서의 문제점은 없는 지 살펴보았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피면서, 토론과 관련하여 제시된 국어과 교육 과정 내용을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그러면서 현행 중학교 교육 과정에서 토론에 대해서 교육하는 단원이 한 단원밖에 없고, 그 단원마저도 목표와 하위 영역 제시가 부적절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국어 교과서 편찬의 기본 방향에 국어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 구성이 상당수 일치하지 않음을 분석 · 제시하였다. 또 『생활국어』 의 '학습 활동'에서 자주 제시되고 있는 '토론하기' 활동을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가 절실함을 강조하였다. Ⅳ장에서는 토론의 개념과 일반 원리를 살피면서 토론 학습과 일반적 학습의 모형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토론 수업 시간에 '소집단 학습'과 '역할놀이 학습', 그리고 '창의성 계발 학습'을 함께 활용할 수 있는 토론 교육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중학교 2학년(8학년)의 『생활국어』 1학기 2단원에 해당하는 지도 방안을 구성해봄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토론 수업의 한 모습을 보였다. This thesis follows the principal a general discussion from school study but the objective of this writing which is to help middle students to be communicate more positively than previously. Discussional education is a subordinate position in educa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Learning material is given in text book. But it doesn't to be taught to students properly because of overcrowded class and lower teacher' teaching-learning method study. Therefore this thesis were researched a special study of development of the new discussion teaching-learning model and the example of the teaching plan it will be able to use from the school. This model were applied educational discussion learning, small group learning, role playing learning, development of creativity learning.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Ⅱ. To decide a subject of this thesis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research which precedes. Chapter Ⅲ. To know a problem of discussional education through analyzing into curriculum and text book. Chapter Ⅳ. To develop of the new discussion teaching-learning model and To apply actually to discussion grade unit in middle schools.

      • 유아교육기관 유형이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점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는 취학전 유아교육경험이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아교육기관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성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취학전 교육의 효율성과 초등학교 1학년의 입학 초기 부적응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지도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아래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취학전 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나. 아동의 성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남 김해시에 소재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 설치되어 있는 15개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교사용 아동 행동적응 조사도구로 조사하였다. 질문지는 교사 1인당 1부씩 총 15부를 매부하고 학급 재적 인원수를 행동 평정일람표에 작성하도록 하여 학생 489명의 자료를 회수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선행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를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취학 1년 전에 다닌 기관과 1학년 아동의 정의적 행동 특성, 사회적 특성, 지적 특성을 묻는 교사용 질문지이며 모두 25문항으로 되어 있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연구문제의 성격에 따라 평균, 표준편차, t검증,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정도에 있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인다. 즉 유아가 학습하는 교육환경이 유아의 행동에 영향을 주어 교육의 성과로 나타나게 되고 그러한 학습효과가 유치원 교육과정을 떠나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적응하는데 바탕이 되는 것이다.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 지적 영역으로 구분된 적응요소들은 그러한 아동들의 수준을 측정하고 출신 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병설 유치원인 학교 시설내의 유아교육기관과, 유치원 교육을 전담하는 독립된 기관인, 사립유치원에서의 적응 차이는 크지 않으나 사립유치원과 어린이집, 사립유치원과 학원과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입학 후의 생활에 적응하는데 있어서 사립 유치원에서 학습한 아동이 유리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둘째, 성별에 의한 적응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교 교육에 있어서 동년배, 즉, 같은 나이의 학습자를 한 공간에서 한 교사가 교육하고 평가하는 현 실정에서 교사들은 가끔 성별에 의한 차이를 간과한다. 성별에 의한 차이는 발달상의 특징이며, 청년기까지의 발달이 여성이 빠르게 나타난다. 남아보다 여아가 학교생활 적응에 있어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물론 교사의 평가가 완전히 객관적일 수는 없겠지만 선행연구와 일치되는 결과는 객관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학교생활 적응지도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를 두지 않고 지도하는 것은 효율적인 지도가 되지 않으며 아동의 특성을 무시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취학전 유아교육 경험은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공립유치원인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사립유치원, 어린이집, 학원에 따라 취학후 아동의 정의적 사회적 지적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 어린이보다 여자어린이들이 학교생활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of preschool education and to the guidance of being adapted to school life for children who are not adapted in the early period of entering a school as to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by examining which difference there is by type of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 and whether there is difference even by gender, as to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 for preschool education before entering a school on the adaption to school life for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study matters established under this goal are as follows. A. Which difference is there in the degree of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depending on a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before entering a school? B. Which difference is there in the degree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depending on the gender of children? This study targeted the first grade of 15 elementary schools where a kindergarten as an annex to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imhae-si of Gyeongnam, is installed, and surveyed, using the research tool of children's behavioral adaptation for a teacher. Total 15 sheets of questionnaires were widely distributed by one sheet for one teacher, and collected to utilize data of 489 students, by allowing the number of class persons on the register to write out on the list of behavioral rating. As to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tudy, it was utiliz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test tool used for the preceding study, through receiving an expert's guidance, and is a questionnaire for a teacher, which asks an institution that was attended one year before entering a school, and asks a defi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 social characteristic, and intellectual characteristic of children for the first grade, and comprises totally 25 items. As to a method of data processing, it used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analysis of variance)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a study matte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s shown in the degree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depending on a type of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 In other word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the infant is learning, has influence on an infant's behavior, thus the result of education is shown, and such learning effect becomes the ground in being adapted after leaving the process of preschool education and entering elementary school. Factors of adaptation that were divided into definitive sphere, social sphere and intellectual sphere, measure the level of such children, and show difference depending on a type of a nativ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difference of adaptation in the dimension of the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 within the school facilities, as the annexed kindergarten, and of a private kindergarten, which is an independent institution that is exclusively in charge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 is not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between private kindergarten and Children's home and the difference between private kindergarten and an institute were shown significantly. Accordingly, in being adapted to living after entering a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 was obtained that children who learnt at the private kindergarten are advantageous. Second, the difference of adaptation by gender was shown significantly. As to school education, in a real situation that one teacher educates and evaluates the same age bracket, namely, learners with same age. In one place, teachers occasionally overlook the difference by gender. The difference by gender is a characteristic in the aspect of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up to adolescence is shown to be faster in women. A female child shows better level than a male child i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course, a teacher's evaluation cannot be completely objective, but the result corresponding to the preceding study shows the objectivity. Accordingly, as to the guidance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it can be said that directing without the difference by gender, does not become effective guidance, and comes to cause the result of ignoring a child's characteristic. Given trying to synthesize the abov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experience of preschool education before entering a school, has influence on a child's adaptation of school life, depending on a type of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 and has an effect on a child's definitive, social and intellectu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fter entering a school, depending on a kindergarten as an annex of elementary school where is the public kindergarten, private kindergarten, Children's home, and an institute, and female children's level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is higher than male children, depending on the gender.

      • 인터넷을 활용한 효과적인 초등영어 지도 방안 연구

        변정환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4287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영어 교육에도 인터넷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점차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전문적인 지식과 활용 능력의 부족 및 시설의 미비 등으로 인해 실행상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초등 영어 교육 과정 분석과 초등 영어 교육에서의 인터넷 활용 가능성을 살펴본 다음 초등학교 5학년 영어를 중심으로 인터넷을 활용한 효과적인 초등 영어 지도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제 2장에서 초등 영어 교육 과정을 분석하여 초등 영어 교육의 특징과 중요한 제반사항을 점검한다. 제 3장에서는 컴퓨터와 인터넷이 컴퓨터 보조 언어학습(CALL)의 도구로서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탐색한 다음 인터넷의 특성,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및 교사의 역할도 살펴본다. 제 4장에서는 효과적인 초등 영어 지도를 위해 5학년 영어를 중심으로 수업 활동을 돕는 인터넷 자료의 활용 사례를 제시한다. 그리고 한 단원을 설정하여 수업계획안을 작성하여 인터넷 활용 수업을 한 다음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수업의 결과를 확인한다. 교사들이 새로운 수업 보조 매체인 인터넷 조작과 활용에 능숙하고 초등 영어에 맞는 인터넷 자료를 선정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되어야만 인터넷 활용 수업이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은 인터넷 활용 수업에서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된다. 이는 학생들이 인터넷 활용 학습에서 심리적 부담을 덜 느끼며 흥미롭고 적절한 피드백이 있는 인터넷 자료가 학생들의 특성에 잘 맞아 나타난 결과인 것 같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인터넷 조작 능력에 따라 수업의 집중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하지만 인터넷 조작에 대한 교사의 사전지도와 학생들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자료를 잘 선정한다면 해결될 것으로 본다. 앞으로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의 완비와 이러한 수업 보도 도구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는 교사가 늘어간다면 초등 영어 교육의 목표를 제대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rapid growth of population using the Internet, various attempts to make the most of the Internet as an English teaching method are being gradually increas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Courses, and then to find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5th grade English course using the Internet. For this purpose in chapter 2, I examine th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Course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other important factors as well. In chapter 3, I discuss the phased developments of a computer aided language learning tool (CALL) via the computers and the Intern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and the three important roles of teachers using the Internet for educational purpose. In chapter 4, I introduce a model teaching method of using the Internet for the 5th grader effectively. And I set up a class, makeup an agenda, and teach the class using the Internet, and then make a conclusion about the class with questionnaires that the students fill in. Using the Internet will have good effects only when the teachers become very familiar with the Internet, and the new teaching aid media, and are able to select proper materials on the Internet for the enjoyment of learning. And students tend to be more interested and confident in English when they use the Internet. The reason seems to be that the students feel less stressful when using the Internet in the classroom and they can get interesting and proper feedbacks from the Internet. Finally, depending on the students' ability to operate and search the Internet, students show different concentration powers. However, if the teachers teach students how to operate computers, and they select proper materials, such a problem can be dealt with. If more teachers are well trained for a new teaching method of the Internet Age, the goal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will be achieved more easily and effectively.

      • 조기 영어 교육이 초등학교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배미영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42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early English education and its problem to analyze our English education. This would lead us to find out the solution of efficient early English education. I also discussed about the necessity of early English education and in order to do that I researched the current situation of early English education in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In the first chapter, I explaine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nd its purpose, method and the limit of this research. In the second chapter, I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opinions from supporting and opposite view to analyze the theory of early English education. In the third chapter, I discussed the current on going situa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early English education. In the fourth chapter, I mapped out the subject of this study, its procedure, its period and its constitution factors. In the fifth chapter, I analyzed the results and in the final chapter, I made some suggestions the improvement plan for early English education. In this study, I did tests which include speaking and listening, and alongside of survey analysis proceeded from 4th grade students, I could analyze the problem of current English education given to elementary school and I tried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that.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조기영어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영어교육을 분석하여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효과적인 영어 교육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의 조기영어교육 현실을 알아보고 시행되고 있는 영어교육의 고찰을 통해 조기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위하여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방법,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설명하고, 제2장에서는 조기영어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찬성론과 신중론의 입장을 알아보았다. 제3장에서는 국내·외의 조기영어교육실태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제4장에서는 연구대상, 연구절차 및 기간, 연구 구성 요인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분석하고 제6장에서 조기영어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결과분석과 듣기, 말하기 영역의 테스트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조기 영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교사, 부모의 교육신념과 유아의 자아개념의 연구

        정인경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는 부모와 교사의 교육신념의 일치여부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자아개념 하위요소들 간의 관계, 부모 및 교사의 교육신념과 유아의 자아 개념의 관계, 부모 교사 간 교육신념의 일치 여부와 유아의 자아개념 관계가 있는지 밝혀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부모와 교사, 그리고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부모와 유아는 각각 200명, 교사는 12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Bently와 Yeatts(1974)가 공동 제작한 유아의 자아개념 검사를 임춘금(1995)이 번역, 수정한 도구와 교사의 교육신념 검사도구인 Perters, Neisworth, Yawkey(1985)의 Belief Test Inventory를 최윤정(1990)이 번역 수정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대상 유아에게는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고 해당 부모와 교사에게 교육신념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이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개념 하위요소를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신체자아 점수는 교사의 성숙주의 신념 점수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교사의 행동주의 신념 점수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부모와 교사 간 교육신념이 일치한 집단과 일치하지 알은 집단 간 유아의 자아개념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pupil's self-concept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00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located in Chang-won city, Kyungnam, Korea and 200 their parents and 12 their teachers. The Children's self-concept was measured with the scale which Im Chun-gum(1995) has translated Bently and Yeatts(I974)'s(Self-Concept Test for Children) into Korean. The educational beliefs of parents and teacher were measured with the scale which Choi Youn-jung(1990) has translated Perters, Neisworth, Yawkey(1985)'s(Educational ?) Belief Test Inventory into Kore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mponents of self concepts. Second, children's body self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teacher's maturationism belief,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teacher's behaviorism belief. Finally,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cept between the group, in which there was correspond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the other group, in which parents' educational beliefs didn't correspond with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