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대학의 지식경영 추진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홍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식경영은 조직의 성과 향상 및 가치 창조를 위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조직 구성원들이 서로 공유하고 활용함으로써 조직의 성과를 생성해내는 과정으로 오늘날 조직의 생존을 좌우하는 전략으로 등장하였다. 이에 일반 기업을 중심으로 하여 지식경영을 활용하여 경쟁력을 강화하는 조직이 증가하고 있다. 고도산업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오늘의 현실에서 대학은 과거와 달리 그 규모에 있어서나 기능면에 있어 매우 복잡해지고 있고, 그만큼 대학조직관리에 있어 합리적이고 조직적인 운영이 요청되고 있다. 또한 대학은 조직 구성원들의 특성이나 조직의 업무 특성상 타 조직과는 구별되는 집단이다. 대학은 교수와 직원,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활동이나 연구활동, 산학연 협동, 교육·행정 서비스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대학은 일반 기업과는 달리 고도의 전문적이고 광범위한 분야의 지식이 존재하는 지식복합체이다. 따라서 지식의 중요성이 높고, 특히 최신의 유용한 지식을 지속적으로 흡수하고 갱신해야 한다. 더욱이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의 하나의 사회적 존재로서의 대학이 생존·발전하기 위해서는 학문의 전당으로서의 상아탑에 안주할 수 없으며, 보다 적극적으로 지역사회, 전체사회, 국제사회에 참여하고 기여하려는 자기 쇄신이 필요하다. 따라서 오늘의 대학조직은 미래지향적인 발전계획과 더불어 대학 내의 모든 조직과 그 조직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뒷받침으로 지식경영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입이 필요하다. 현재까지의 지식경영에 대한 연구나 실천방안들은 대부분이 기업의 활동에 국한되어 진행되어왔고, 최근에서야 의료부분이나 군대 등으로 그 적용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학의 경우 도서관 시스템의 전산화나 행정부분에서의 정보화 정도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 지식경영의 도입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지식경영 도입을 위한 추진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대학에서의 지식경영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이전에 먼저 전 구성원에 대해 초기 변화관리 작업으로 홍보와 교육활동을 진행해야 한다. 그리고 각 대학의 목표와 비전에 맞는 지식경영 전략을 설계하고 단계별 추진전략을 세운다. 세 번째로 대학의 지식요소에 대한 지식지도를 작성한다. 이때 대학의 3주체인 교수, 교직원, 학생 각각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지식지도를 작성하여야 한다. 지식경영을 추진할 전담 조직을 만든다. 부총장 또는 처장 수준의 CKO를 임명하고, 지식경영 추진 조직을 만들어 지식경영 전략과 실무를 총괄하게 하며, 각 부서차원의 지식관리자를 육성한다. 대학 내의 지식경영 정착을 위한 교육과 홍보를 진행하고 제도를 마련하는 등의 변화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하여야 하며, 대학의 구성원인 교수, 교직원,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보상 방안을 설계하여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지식경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현재 대학에서의 정보화 인프라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구성원들이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지식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여야 한다. 이러한 추진방안에도 불구하고 K대학의 사례에서처럼 지식경영을 단순한 지식관리 시스템의 도입으로 생각하고, 변화관리나 제도적인 뒷받침에 대해 소홀해지기 쉽다. 그러나 지식경영은 단순히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조직 문화를 만들어 가는 것이며, 지식관리 시스템이 완성되는 순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와 변화를 통하여 정착되는 것이므로 앞에서 제시한 추진전략에 대해 어느 한 부분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본 연구는 현재 기업에서 많이 도입되고 있는 지식경영을 대학에 적용하고자 그 추진방안을 연구하였다. 대부분의 대학이 21세기의 비전으로 세계화와 정보화를 내세우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의 지식정보화를 위해서는 지식경영 도입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의 내용이 앞으로 지식경영을 도입하고자 하는 대학에 전체적인 틀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식경영 추진전략 각각의 부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표본사례 연구를 통하여 자료수집을 체계화하고 신뢰도 확보차원에서 관련 대학이나 부서의 인원에 대한 면담 및 설문응답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보다 실증적인 자료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our present conditions advancing toward high-level industrial society, the scale and functions of the present university is much more complex than those of the past university. Therefore, reasonable and systematic operation of university organization is needed. Korean universities just have computerized their library systems or informationalised their administrative systems, but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is wholly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implement strategies to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as a new management paradigm of the university as follows; First, publicity and education for the whole members should be performed as management schemes for change before the university performs knowledge management projects. Second,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suitable for the object and vision of the university should be designed, and promotion strategies by step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he knowledge map for the university's knowledge elements should be drawn up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university's 3 main elements of professors, staffs and students. Fourth, the organization that assumes full charge of knowledge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CKO(Chief of Knowledge Officer) of the vice-president or office head level should be appointed, the knowledge management promotion organization should be instituted to wholly control knowledge management strategies and business, and knowledge managers by departments should be cultivated. Fifth, management plans for change should be prepared and promoted to settle knowledge management in the university, such that publicity and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and the related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university's members - professors, staffs and students - in knowledge management should be promoted by designing assessment and reward plans in considera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Finally, on the basis of measurement of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 the present university,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the members to conveniently use should be designed. Despite the above plans, knowledge management is easily regarded just as introduction of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like the previously mentioned K University, and management for change or systematic support is usually neglected. But, knowledge management is not just to establish a system but form an organizational culture. It should not be finished when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s completed, and should be settled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and changes. Therefore, any of the above plans should not be disregarded. Implement strategies to apply knowledge management, which is being much introduced in enterprises, to the university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Under the condition that most universities aim at the globalisation and informationalisation as their 21C vision, introdu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is essential.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d an overall framework to the university to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Further detail studies on knowledge management promotion strategies by parts should be performed in future. Also, studies based on more positive data should be advanced by systematizing data collection through sample case study and applying interview and questionnaire for the related university or department's staffs to guarantee reliability.

      • 지속가능경영 지표와 재무성과 지표간의 연관관계 연구 : 아시아 은행산업을 중심으로

        김지윤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Since Rio Conference(1992), Sustainable management is a special issue among governments, companies and NGOs. Sustainable management in financial sector have rapidly grown last decade with the social needs. But, former studies have lack of documents and do not provide clear explanation for the status of Sustainable management in Korea. This study provides the definition of Sustainability,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stainable management. This study also focuses the Sustainable management in financial sector, especially banks and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Sustainability performance and financial one. The sample is 22 commercial banks in Asia. For sustainability performance, prevailing sustainability performance indexes, guidelines for Sustainability Report and Innovest IVA™ are used. For financial performance, ROA in 2005 annual report are used.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이네로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위한 지속가능경영(Sustainable Management)과 사회책임투자(Sustainable & Responsibility Investment)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후 지난 10여 년간 기업에게 사회, 환경 등 비재무요소에 대한 책임이 강조되고 이해관계자와의 조화로운 미래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지속가능경영은 산업군의 특성과 관계없이 기업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지속가능경영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은행산업의 지속가능경영은 외부의 공익적 기대역할과 내부의 수익적 목적이 만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 공익적 기대역할은 은행의 자금중개기능을 활용하여 기후변화협약 같은 지구환경문제 해결이나 정부의 환경, 사회 정책의 실현을 위한 유인수단으로 은행의 역할이 기대됨을 의미한다. 또한 은행은 기업시민이자 대기업으로써 지역사회와 환경에 대한 책임을 인식하고 존경받는 기업으로 성장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국제금융공사(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는 지속가능경영과 재무성과, 고용 창출, 깨끗한 환경, 사회적 명성간의 상관관계가 성립한다고 보고 있으며, 특히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목표의식이나 동기부여가 금융기관과 금융시장을 통해서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고 하였다. 유엔환경계획금융기관이니셔티브(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Financial Initiative; UNEP FI)에서도 지속가능 발전을 정부와 기업, 개인의 집단적인 책임이자 건전한 기업경영의 근간으로 인식하고 시장메커니즘을 통하여 지속가능경영을 실행시키는 협력자로서 은행의 선도적인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수익적 측면에서는 금융리스크 감소, 내부 자원 효율성 증대 등으로 인한 비용 절감, 시장 확장에 따른 수익창출 등의 요인과 투자대상으로 은행을 평가함에 있어 지속가능성을 반영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요구에서 지속가능경영 도입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중요시 여기는 지속가능경영은 공급자와의 관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며 적절한 훈련을 통해 임직원들의 직장 만족도를 높이고 경영효율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일자리 창출, 지역교육 및 능동적인 사회공헌활동을 통해서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앞장서는 한편 고객의 충성도를 높이기도 한다. 환경, 사회적 개선운동을 통한 원가절감효과도 주요한 효과이다. 금융활동 측면에서 지속가능경영은 은행의 운영 및 신용위험의 저감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탄소시장, 그린펀드, 친환경대출 등으로 인한 신사업기회 창출 및 수익성 확보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미 탄소시장에서는 세계은행의 Prototype Carbon Fund가 구성되어 약 1억 8,000만 달러의 예산이 구성되어 있으며, 일본의 비와코은행은 환경은행을 내세워서 2005년도 환경손익계산에서 1억엔의 경상이익을 달성하였다. 반면 지속가능경영 도입단계에 있는 국내 은행들은 아직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조차 부족한 실정으로 지속가능경영을 단순한 사회공헌이나 보고서 발간으로만 간주하기도 한다. 지속가능경영은 비재무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중시하는 만큼 한가지 지표나 절대적인 결과로 설명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속가능경영 활동 과정보다는 결과론적으로만 분석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지속가능경영 도입에 대한 수익적 기대효과나 고찰 없이 공익적 기대역할을 통한 도입 요구가 오히려 은행의 적극적 지속가능경영 도입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지표 분석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은행에 요구되는 지속가능경영과 지속가능경영 지표를 정의하고 지속가능경영 지표와 수익성 지표간의 분석을 통하여 수익성 측면에서 은행산업에 적합한 지속가능경영의 모습을 그려보고자 한다. 연구는 국내 은행산업의 경우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평가가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내 은행산업과 유사한 아시아 지역의 은행을 대상으로 지속가능경영 활동과 수익성간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지속가능경영 지표는 기업 지속가능성 평가 전문기관인 Innovest의 IVATM 평가를 바탕으로 자발적 협약 가입이나 외부 공개지표 등을 활용하였고 수익성 지표로는 각 은행별 연차보고서에 공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자산수익률(ROA)를 활용하였다. 또한 분석 대상 은행들은 해외 영업을 하고 있는 은행들로 선정하여 자국내 특수한 영향을 줄이고 지속가능경영 도입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외부활동 및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선도군과 도입군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도입군에 비하여 선도군의 은행들이 수익성과 보다 밀접한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5개의 지속가능경영 지표 중에서 지속가능경영 조직 및 전략의 구축이 수익성 지표와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지속가능금융과 인적자본도 수익성과 양의 관계를 보인다. 이는 지속가능경영 도입 시기에는 일정한 초기비용이 요구되는 만큼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지속가능경영이 체화될 수록 지속가능상품을 통한 새로운 시장가치 창출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라고 분석 할 수 있다.

      • DEA를 이용한 국내 통신서비스업에서의 경영효율성 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장혜숙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다수의 투입으로 다수의 산출을 생산하므로 정확한 생산함수 추정이 어려운 비영리조직, 공공부문 및 서비스분야의 효율성 측정을 위하여 경영과학의 새로운 기법으로 등장한 DEA(Data Envelopment Analysis:자료포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통신서비스업의 경영 효율성을 측정해보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통신서비스 기업의 효율적인 영업점 경영을 위한 전략적인 제안을 하고자 한다. 통신서비스업계의 효율성 평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된 이유는 통신시장의 개방, IMT-2000(차세대 영상 이동통신) 사업자 선정, 위성방송사업자 선정 등 무한 경쟁적 구도 때문에 외부적으로는 조직의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대두되었고, 내부적으로는 회사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비효율적인 부분들을 파악하고 이들을 효율적이 되도록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등이 시급하게 요구되는 시대적 상황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통신서비스업계의 대표격인 A회사의 서울지역에 위치한 18개 영업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그 영업점들의 1999년과 2000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분석시 사용한 투입변수로는 종업원수, 업무용 고정자산, 운용비용이며 산출변수로는 가입자수, 영업이익, 전략지표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Warwick대학교에서 개발한 Warwick Window DEA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DEA분석을 시도하였으며, DEA분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기업에서 수행해 오던 경영성과 평가결과와 DEA방법에 의한 평가결과를 비교·분석하여 그 차이분석을 행하였고 매트릭스분석도 병행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영업점들 중에서 효율적으로 평가되는 영업점의 비율이 어느 정도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2년간 연도별로 각 영업점의 DEA 효율값을 구하였다. 분석결과 18개 영업점 중 2년 연속 효율적인 영업점은 6개로 33.3%를 차지하고 있으며 1999년도와 2000년도에는 각각 8개의 영업점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대적 효율성 측정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준거집단에 대한 분석으로 비효율적 영업점별로 준거집단을 알아보고, 비효율적인 영업점이 효율적인 영업점으로 변신하기 위하여 목표로 삼아야하는 기준치를 제시함으로써 구체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셋째, 비효율적인 조직의 비효율부문의 크기를 측정하여 각 투입과 산출 측면에서 나타나는 비효율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본 논문의 DEA분석 결과와 영업점의 상위 조직에서 수행한 경영평가 결과를 매트릭스분석을 통하여 상호 비교·분석한 결과 조직의 효율성 평가 모형으로서 임의적 가중치를 배제한 DEA분석 방법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DEA기법에 의한 국내 통신서비스업체의 효율성 분석은 적용상 약간의 한계는 있으나 유용한 방법임이 밝혀졌으므로 A기업에서 향후 조직의 경영성과를 평가할 때는 DEA기법과 기존의 사용하던 비교성과분석법을 종합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Non-profit organizations, organizations in public sectors and business units in service industry have a common characteristics such that they use multiple inputs to produce multiple outputs which make it difficult to accurately estimate the production functions. For such organizations, however, a method called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has been used to evaluate their relative efficiencies. This paper applies DEA in evaluating the efficiencies of 18 operation units of a local telecommunication service company in Korea. The data for the two years, 1999 and 2000, are used for the analysis. The number of employees, fixed assets and operational costs are selected to be used as the input variables for DEA, whereas the number of subscribers, sales profit and some strategic index are chosen to be used as the output variables. The computer program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is the Warwick Window DEA program developed by Warwick University. The results of DEA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so called the previous method, the evaluation method which the company has been using in recent years. The comparison shows some consistency in evaluating the efficiencies of more than half of the 18 operation unit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valuation results by DEA and those by the previous method for some operation units are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First, DEA takes into consideration both the input and output variables whereas the previous method deals only with outputs. Second, the previous method incorporates weight for each evaluation factor that are determined subjectively in a strategic level. The final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it is not apparent which of the two methods is superior to the other. Thus, the two methods, DEA and the previos method, should be combined in a systematic way and be used together in order to evaluate more accurately operation units of the company.

      • 지식경영시스템 성공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integrated approach

        송민자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피터 드러커 교수는 하버드 대학 강연에서 다가오는 21세기를 지금의 산업화 시대와는 전혀 다른 급격한 변확와 신기술의 등장, 심화되는 경쟁환경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초경쟁 환경(Hyper - Competition)으로 정의하고 있다. 피터 드러커 교수 뿐만 아니라 많은 지식인들이 향후에는 기업경영에 있어 지식이 무엇보다도 큰 경쟁요소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학계와 업계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로 지식경영이다. 사실 지식경영에 대한 관심은 우리나라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 보다도 구미 선진국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이미 1990년대 이후 선진국의 많은 학계에서 지식경영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실시하였고, 기업들도 이를 기업경영과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왔었다. 우리나라도 IMF 한파 이후 시장 자율화와 외국자본/기술의 도입이 더욱 가속화 됨으로써 지적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 및 기업차원의 경쟁력 확보가 매우 시급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식경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많은 기업들이 지식경영 구축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가 지식경영의 이론적모형 구축 관점과 정보기술 측면의 지식관리시스템으로 양분화되어 학문적으로 완벽한 체계를 구축하지 못한 상황이며, 실제 기업에의 적용에 있어서도 우리의 기업 실정과는 차이가 많이 나 지식경영의 구축에 혼선을 빚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경영과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합적 관점으로 파악하여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정의하고, 문헌상 지식경영시스템의 성공요인으로 리더십과 전략, 조직과 문화, 프로세스, 정보기술, 성과평가 및 보상의 5개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 5개 요인을 성공요인으로 삼은 이유는 지식경영시스템이 조직 전체의 전략과 연계될 필요가 있고, 조직 구성원들의 지식창출 및 공유활동이 자생적이고 자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가능케 하는 학습문화가 조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지식경영시스템 활동이 일상적인 업무 프로세스체 내재되어야 할 뿐 아니라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와도 전략적으로 연계될 수 있어야 하며, 지식창출 및 공유과정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요소로서 정보기술을 적절히 활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지식경영 활동을 지속시키기 위해 구성원들의 성과평가 및 보상이 필수적으로 따라야 한다. 이렇게 문헌상으로 도출된 5가지 성공요소에 대해 실제 기업에서 어떤 요인이 가장 중요하며 각 성공 요인간의 상관관계, 각 성공요인의 세부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수 기업의 여러 계층의 지식경영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회귀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을 등을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한 결과, 측정항목의 한 요인(리더십과 전략)만이 유의적인 값을 가졌으며, 나머지 요인들은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가 지식경영시스템을 도입했거나 또는 도입을 추진 중에 있는 기업에 대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식경영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여 그 시행 착오을 줄이는데 연구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함에 있어 설문의 이해를 높일 수 있게 함에 따라 연구결과가 다소 피상적이고, 유연한 사고의 의견 접근이 불가능하며, 설문대상의 제한으로 인해 연구의 한계성이 있으나, 이를 바탕으로 향 후 확대된 지식경영시스템의 심층적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Prof. Peter Drucker defines the 21st century as Hyper competition characterized as the advent of radical change and new technology, which are totally different from the industrial era, and deepened competition environment in his lecture at Harvard University. Many more intellectuals predict that knowledg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as a competition factor of enterprise management bigger than anything else. On the basis of these demands of times, all the academic and business fields have interest in knowledge management. In fact, it is advanced countries of the West which first started to have interest in knowledge management rather than developing countries like Korea. Since the 1990's, lots of academic fields of developed countries have already conducted theoretical studies on knowledge management, and also companies have also been groping for a plan to apply it to enterprise management. In Korea, self-control of market and introduction of foreign capital/technology has been accelerated since the IMF crisis, and securing competitive power in the level of country and enterprise based on intellectual ability is appearing as a very urgent task. Accordingly, interest in knowledge management has increased with quite a few of companies establishing knowledge management. However, those studies so far have been divided into knowledge control system in the aspect of building theoretical model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to companie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actual situation of our companies. Hereby, this study defines knowledge management and knowledge control system a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y grasping them by an integrated approach, and extracted five factors of succes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literature, which are leadership and strategy, organization and culture, process, information technology and accomplishment evaluation and compensation. The reason why this study takes these five factors as the key to success is that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to be linked to the strategy of the whole organization and learning culture should be made to make members of an organization create knowledge and share it on a voluntary basis. Also, it is becaus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ctivity should be included in daily work process, it should be strategically linked to core business project and information technology should be properly used as the factor that activates the process of creating knowledge and its share. Also, to maintain this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accomplishment assessment and compensation for organization members must follow. To examine which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in a company among those five factors written above and also which factor occupies most in correlation of each success point and detailed categories of each success point, I conducted a survey with the subject of workers related to knowledge management in various positions of many companies. As an analysis method, I inspected it through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only factor of a certain category(leadership and strategy) has meaningful value, and other factors turned out not meaningfu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ims at reducing trial errors by finding actual success factors of companies that have introduced or are introduc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survey,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rather surface, and it is possible that this study makes an approach to flexible thinking difficult. In spite of all these limits, I think this study will enable us to have further study on expand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 ISO 9000 인증기업의 제품안전경영시스템 구축 방안

        황희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에 제조업의 경영자들은 2002년 7월1일 시행예정인 "제조물책임(PL)법"의 제정으로 말미암아 구체적인 대응 방향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조물책임법은 결함 제품에 관한 법적 책임을 일컫는 것으로 소비자의 재산 및 신체상의 피해를 구제하려는 소비자 보호의 인식에서 출발하여 궁극적으로는 안전한 제품이 시장에 유통되어 건전한 사회 질서와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목적을 갖고 제정된 사회법적 성질의 법률 내용이다. 기존에도 결함 제품에 의한 피해는 민법에 의해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는 구제 조항이 있으나 제조물책임법은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이 결함 개념을 도입하여 피해 구제를 쉽게 받을 수 있게 한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 제조물책임법은 1963년 미국의 그린맨 사건에서 법원이 제조업자의 무과실책임을 인정한 이후 각종 판례로 정착되었으며, 현재 EU 모든 국가들과 일본, 필리핀, 중국을 포함한 27개국에서 시행중이다. 이는 경제의 글로벌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세계 소비자의 요구 즉 글로벌 스탠다드(Global Standard)를 충족시키는 기업만이 생존할 수 있는 시대가 전개되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 따라서, 제조물책임법의 도입이 가져올 경제적 영향은 크게 소비자 피해구제와 제조물책임 강화에 따른 제조원가 상승 및 소송증대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증가로 대변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이 제조물의 설계, 제조, 판매 등의 모든 경영단계에서 소비자의 생명과 안전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관심을 더 기울이게 됨으로써 국내기업이 글로벌 스탠다드에 걸 맞는 체질개선을 이루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는 ISO 9000 인증기업을 중심으로 제조물책임에 관한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여 ISO 9000 시스템 하에서 제조물책임에 대응하기 위한 제품안전경영시스템(PSMS : Product Safety Management System)으로의 전환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기업이 제조물책임 대응체계의 수립 시 활용 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ISO 9000 인증을 획득한 국내 300여개 기업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02년 7월에 시행예정인 제조물책임법에 많은 기업이 무방비 상태로 있음이 나타났으며, PL대응체제구축을 위해 최고경영자의 PL에 대한 관심, 안전한 제품을 개발/제조하기 위한 제조업체의 제품안전 기술의 개발, 정부 및 관련기관의 제조업체 지원이 중요한 과제로 도출되었다. 특히 자금력과 기술력이 미약한 중·소기업의 PL대응상태가 대기업보다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조물책임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국내 기업의 취약한 대응체계를 효율적인 대응체계로의 전환을 위해 제품 안전에 대한 인식 전환과 전사적 대응조직을 구축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였다., - 제조물책임법의 의미 및 기업의 환경 변화에 대한 연구 - 국내 ISO 인증 기업의 제조물책임 대응 현황 연구 - 제조물책임 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PSMS 요구사항 연구 - PSMS 요구사항의 ISO 9000 규격화 연구 - 기존 시스템과 PSMS의 통합 방안에 대한 연구 이에 근거하여 제조물책임법 대응 체계 구축을 준비하고 있는 기업에서 기존 시스템을 활용하여 PSMS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ISO 9000 요구사항을 PSMS요구사항으로의 전환과정을 제시하였지만 PSMS실시에 따른 비용(COST) 부분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managers of manufacturing industry just haven't known what to do about the law of product liability(PL) that is due to put into operation in July 1, 2002. The law of PL is a public law about defective products, which was established in order to compensation consumer damages of property and body caused by products, to build sound society by the distribution of saf쇼 products and to tak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ut the existing civil law has been having clause that compensation consumers from defective products with limitations. PL is resolving this limitations and is characterized by the easy relief from demages of defective products. The decision in the event of Green-man case has been a precedent since the court sentenced the manufacturer to liability. It has been in force in 27 countries, including all of the EU countries, Japan, Philippines and China. It has been shown that the corporations which meet the Global Standard, could survive in global competition. The economic effects by the law of PL are the increase of consumers relief production cost and public cost by the lawsuits. It will make the domestic corporation be improvement in the plan, manufacture and sale of products to meet the Global Standard. The objective of this paper shall be to offer domestic corporations a guide to deal with the law of PL by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change of present quality system to the Product Safety Management System(PSMS) of company certified by the ISO 9000 system. The investigation of 300 corporations certified by the ISO 9000 shows that many of them are in a defenseless state. The important problems are the indifference of CEO, the need of technical development for safe products and the lack of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particular, there are serious problem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hich are weak in financial and technological side. This paper give a guide to shift from weak correspondence to effective one, to change the awareness of safety of products and to establish the corresponding system by the followings. -- the research about the meaning of PL and the environment change of corporations, -- the investigation about the correspondence of domestic corporations certified by the ISO, -- the demand of PSMS for PL, -- the research about the standardization of ISO 9OOO in PSMS, -- the research about the integration of the existing system and PSMS. This paper also gives an approach for effective building of PSMS and integration of existing system and PSMS to the corporations which are preparing corresponding system for the law of PL. We present the conversion process of the demand of ISO 9000 in PSMS, but the further research about the cost of it is needed.

      • 은행의 대출심사 시 기업의 환경회계 정보 활용 현황 연구

        박인정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31

        환경은 인류의 존립을 위한 세계 공통의 관심사이며 환경개발 뿐만이 아니라 환경보전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서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지금까지 성장과 발전에만 몰두해 온 전통적 경영에서 기업의 수익성과 환경성은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었으며 환경파괴나 자원고갈 등은 성장위주의 사회분위기 속에서 관심 밖의 이슈였다. 그러나 전 지구에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의식이 변하기 시작하였고 수익성과 환경성을 조화시키는 환경경영에 대한 패러다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과거에는 기업의 안정성 여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되었던 요인들로, 기업의 부채비율, 레버리지 비율, 현재 생산중인 제품의 안전성과 수익성 등이 거론되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이들보다도 환경훼손 내지 건강훼손 여부가 더 중대한 요인으로 등장하고 있다. 특히 환경훼손과 건강문제로 소송을 당한 기업들이 투자자로부터 외면당하고 주가 폭락과 거액의 보상금 등으로 파산에 이르는 사례는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에 기업의 이해 관계자들은 기업의 환경활동에 관한 정보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고, 다양한 정보 습득 방법 중에 기업 활동을 계량화하여 보여주는 회계 분야에서 기업의 환경비용 반영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국제화 세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 요소가 되고 있는 환경회계에 관한 이론적 정의와 선진국의 연구 동향 및 도입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인식과 활용 실태는 어떠한지를 국내에서 영업하고 있는 국내외 은행의 기업대출 심사 평가자들을 상대로 한 설문을 통해 연구 조사해 보고, 나아가 발전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은행은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이며 대출금의 안전한 회수를 위해 그 어느 이해관계자보다 기업 활동을 철저히 평가하므로, 본고에서 그들의 기업 환경 활동 감시 정도와 기업의 환경 위험 관리를 연구하는 것은 국내에 환경 경영 및 환경회계를 보다 빨리 정착시키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Environment is the worldwide common interest in order to keep the existence of man and it increased gradually an importance as the responsibility of enterprise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 well as environmental development. The profit of the enterprises an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have a coordinate concept to each other upon a traditional operation methods pushing on only a development and growing up to the present. Most people who are in such a atmosphere of growing society have not an interest in a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s of a drain on the resources. However, they began to change gradually their consciousness and began to form a paradigm for the environmental operation capable of harmonizing profit and environment as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earth were felt more an more keenly. It made it a subject of discussion about the debt rate, leverage rate, safe, and profit of the products which is manufacturing at the present etc., as a factors judged to have been an important affect upon safety of enterprises since the past, but the damage of the environment and health was appeared as amore important factors recently. Especially, we could find easily the cases that they went bankrupt due to falling of stocks and numerous recompense etc., as well as the enterprises which was started a suit to collect damages for environmental and health were turned the cold shoulder on investors. Hereby, the persons interested in the enterprises also are interested in an information for an activity of an environment, and they have requested that an environmental cost should be reflected through an account method capable of being clear at a glance in order to measure an enterprise's activity as the way to acquir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introduced actual condition and a study trend that is made researches actively centering around an advanced countries of U.S.A, Europe and Japanese etc., together with a theoretical definition of an account of environment which is a necessary condition in order to live in the international world. Also, the thesis is to investigate a domestic recognition and a type of practical use through making up a question to the loan examiners of the banks which conducts business in the country. The thesis expects that a study on the degree of enterprise environmental activities and the environmental danger management of enterprises will be quickly established an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accounting as a bank has an important interest in the enterprises and estimates an enterprise activity throughly more than any interested parties.

      • 주문 생산 방식 하에서 SCM과 ERP의 효과적인 통합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화학 산업의 생산 계획 스케쥴링 시스템을 중심으로

        고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경영기법인 공급망 관리 (Supply Chain Management; SCM) 시스템을 많은 기업들이 도입하고 있다. 여기서 공급망이란 고객 - 소매상 - 도매상 - 제조업 - 부품, 자재 공급자(Supplier) 등의 공급활동의 체인구조를 말한다. 그러나 공급망 관리를 실제 적용하는 과정에서 기업내부의 최적화라는 전사적 자원 관리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시스템의 기능과 프로세스의 겹침으로 인해 두 시스템간의 통합운영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학산업의 주문 생산 방식 체제를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ERP 시스템에 새롭게 SCM을 도입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SCM 시스템과 ERP 시스템간의 데이터의 통합과 프로세스의 통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SCM 시스템의 정의와 시스템의 모듈 구성, 각 모듈의 기능 및 이를 사용한 계획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기존의 실행과 계획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ERP 시스템의 생산 - 주문 - 출하에 관련된 모듈의 기능과 이를 사용한 계획 및 실행 프로세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화학 산업의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ERP 시스템과 SCM 시스템간의 데이터의 통합 방안과 프로세스 통합 방안을 제시하였다. and Planning to optimize the whole of Supply Chain over optimizing within an enterprise Here Supply Chain means the sequence of functions required to accept a customer's order, produce the desired product and deliver it But, In the process of applying Supply Chain Management in practice, the Issues of an how to consolidate with Enterprise-Wide Resource Planning applications, which was already implemented to optimize within an enterprise, have suggested because of mixture of functionality between both of applications. In this paper, I propose how to consolidate with data and process between Supply Chain Management applications and Enterprise-Wide Resource Planning applications through the Case Study, which shows implementation case of an efficient Integration System betwee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Enterprise-Wide Resource Planning applications using Order-based Production System of Chemical Industry. To do this, I have studied the defini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and Planning, its module components and function, and planning process using the its system and also studied the function of modules related with Order - Production - Goods Issue in the Enterprise-Wide Resource Planning applications and planning & execution process using the its system. And the last, I propose logical as well as physical integration method of each data & process to consolidate effectively between Enterprise-Wide Resource Planning and Supply Chain Management applications through the Case study.

      • 실시간 기업(RTE)의 준비도(Readiness)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노현주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Today's business environment is changing so fast that we can't compare to the past. Only enterprise that can sensitive to and deal with this ever-changing environment will survive. As a strategy that enterprises survive and hold a dominant position in competition in this environment, the idea that they should be the Adaptive Enterprise, which senses changes in external environment, responds to them and changes voluntarily, is suggested. In line with this requirement, Garner Group made public on RTE(Real-Time Enterprise), which is a future model of enterprise recognizing and coping with changes in market, needs from customers, problems within organization. Although the as is analysis of organizations before RTE is important, there is no study on the readiness for RTE. This study reports o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designed to measure the readiness of an organization for RTE. Strating with the literature, 4 dimensions-strategy, people and culture, process and technology- and 16 factors were identified. Then, a questionnaire for measuring readiness was created. Finally, the instrument was pilot tested to prov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Following the pilot test, the factors all demonstrated acceptable levels of reliability. Their validity was checked using factor analysis. The result is 15 factors instrument comprising 4 dimensions which provide a useful measuring the readiness for RTE. 오늘날 기업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예측하기도 힘든 상황에 처해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은 경쟁우위를 차지하고 그것을 오래 지속하기가 어려워졌으며, 이와 같은 환경 변화에 민첩하고 적절하게 대응하며 적응할 수 있는 체질을 갖춘 기업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기업이 이러한 환경 속에서 생존하고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 적응하면서 스스로 변화하는 실시간 기업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Haeckel,1999; Gartner,2002). Gartner는 실시간 기업(Real-Time Enterprise ;RTE)을 “기업의 성공과 직결된 명시적 사건이 발생하는 즉시 그 사건의 근본 원인과 사건 자체를 파악, 모니터링,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불행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며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지연을 최소화하는 기업이다. 또한 그렇게 확보한 정보를 활용하여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관리 및 이행 지연을 점진적으로 줄임으로써 핵심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기업이다” 라고 정의한다(Gartner, 2004). 실시간 기업은 기업 내부와 외부를 포괄하여 지속적으로 정보를 습득, 해석하여 그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실행함으로써,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련부서나 담당자에게 전달하여, 업무 지연을 최소화하고 의사결정 스피드를 극대화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한 차원 끌어올릴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렇듯 실시간 기업으로의 전환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간혹 가트너의 자료나 기타 솔루션 벤더들의 접근 방식의 인지를 통해 실시간 기업을 단순히 IT 솔루션의 구축으로 인식하는 기업과 사람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실시간 기업의 연구를 살펴보면 실시간 기업이 갖추어야 할 피상적인 구성요소와 전략 방향에 관한 제시에만 그치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 기업을 기업 전반의 문화와 체질 개선으로 인식하기 보다 새로운 정보 기술의 등장이라는 인식에 그치고 있으며 실시간 기업으로의 전환을 이루기 위해 기업 전반적으로 어떠한 준비가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측정하고 진단하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실시간 기업이 단순한 IT의 구축이 아닌 기업 체질 개선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시간 기업에 대한 문헌분석을 거쳐 실시간 기업과 관련된 차원 및 각 차원 구성 세부요인을 파악하고 조직의 실시간 기업 준비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실시간 기업의 준비도를 측정하는 자원과 요인을 밝힌 최초의 연구라는 의의가 있다. 국내의 경우 실시간 기업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는 시기이기도 하고 동시에 기업들이 실시간 기업을 도입하고자 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실시간 기업의 연구들을 총괄해 보고 실시간 기업에 필요한 요소들을 살펴봄으로써 실시간 경영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추후 각 요소들이 실시간 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 BtoC 이러닝 시스템의 성공적 런칭을 위한 위탁 기관의 요인 연구 : 한국어 이러닝 아웃소싱 사례 연구

        전혜원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교육하는 대학기관 중 한국어 이러닝 프로젝트를 수행한 두 기관이 프로젝트의 배경, 진행 과정 등에서 유사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프로젝트의 결과에 있어서는 한 사례는 런칭에 성공하였으나 다른 사례는 컨텐츠를 모두 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런칭하지 못했다는 차이점을 발견하고 그 이유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하였다. 두 사례에 대한 자료를 검토하던 중 이러한 차이점이 아웃소싱에서 온 것임을 착안하였고 두 사례가 외주 업체와 위탁 기관과의 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어떠한 요인이 아웃소싱 프로젝트 런칭의 완성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연구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관계 요인과 조직 내부 요인의 관점에서 모형을 도출하였는데, 관계 요인으로는 의사소통의 강도, 신뢰, 협력을, 조직 내부 요인으로는 프로젝트 관리, 최고 경영자의 지원을 각각 설정하였고 아웃소싱 프로젝트의 런칭은 프로젝트의 완성도로 측정하여 ‘완성’과 ‘미완성’으로 결과를 구분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 한국어 이러닝 아웃소싱을 시행한 적이 있는 두 대학 기관을 대상으로 문서 기록을 수집하고 2차에 걸친 인터뷰와 설문 조사를 각각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모형에서 설정한 요인과 관련된 내용으로 분류하고 각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관리 요인은 프로젝트의 완성도에는 영향을 끼치지만 아웃소싱 프로젝트의 런칭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또한 최고 경영자의 지원은 프로젝트 예산의 성격에 영향을 받으며 원활한 프로젝트의 진행에는 도움이 되었으나 역시 아웃소싱 프로젝트의 런칭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는 정보 시스템과 이러닝 프로젝트 아웃소싱의 성공 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둘째, 아웃소싱의 성공을 위하여는 협력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프로젝트 단계 중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점에서의 협력은 런칭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의사소통의 강도가 높은 조직이 아웃소싱 프로젝트의 런칭을 완성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의사소통이 신뢰와 협력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성공요인이 웹 서비스 성격의 이러닝 프로젝트의 런칭에도 같은 영향을 미침을 의미하기도 한다. This study about an outsourcing project is started from this question: what are the key factors for the success in the Korean e-Learning project? There were two Korean e-Learning cases. One had successfully launched their project through the Internet but the other could not even though they had finished their website. Primary research was to find the factors that made the difference. Based on the preparative interview, I hypothesized that the outsourcing circumstances and the management of the project led to their different consequences. This study moved forward to the primary factors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vendors and the effects of project management on the final product. From the previous studies, a model was drawn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i.e communication intensity, trust and cooperation) and the internal factors (i.e. project management and support from their executive). Finally, outsourcing project launching was evaluated by the level of completion. Two sets of data were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and the surveys with the participants who had been involved in the Korean e-Learning pro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ased on my model.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1. The project management and a support from the chief of the executive had not significant impacts on the outsourcing project launching. However, the project management influenced a level of completion. The characteristics of budget in the project had effects on the support from the chief of the executiv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ere different factors for the success of outsourcing project between in information system and in website launching project. 2. The primary factor, in the successful outsourcing project, was cooperation. It was especially critical when the project faced a serious momentum in the launching process. 3. An organization, which had a good quality of communication intensity, had a better chance to succeed in outsourcing project because communication strengthened the trust and the cooperation in the organization.

      • 항공사의 전략적 제휴 효과 분석을 통한 국내 항공사의 향후 경쟁력 제고에 관한 연구 : 아시아나 항공을 중심으로

        황규희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31

        1979년 미국 항공업계의 규제완화 이후 과열되기 시작한 항공사들 간의 경쟁은 항공사들의 민영화를 가속화시켰으며, 이러한 항공사들의 세계화 열망은 점점 커져가고 있다. 이미 미주지역 및 유럽지역의 거대 항공사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세계화를 추진하고 있고, 뒤늦게 세계화에 동참하고자 하는 세계 주요 항공사 및 각국의 후발 제휴 항공사들의 도전도 만만치 않다. 특히 항공사들의 세계화에 대한 움직임은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하는 제휴를 통해 활발히 진행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제휴의 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과 같이 포괄적인 마케팅 제휴나 자본제휴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전에는 비교적 단기적인 노선별 제휴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이 항공사들 간의 제휴가 활발한 이유는 첫째, 제휴를 통해 네트워크 범위를 확대하고자 하는 것이며, 둘째, 운항회수를 증가시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셋째, 기자재 등 자원의 공유를 통하여 운영상의 효율을 달성함으로써 경영합리화 및 비용절감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며, 넷째, 타 항공사와의 경쟁적 행동을 사전에 통제하거나 수정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렇듯 지금까지 이루어진 항공사들간의 제휴를 통한 세계화 전략은 주로 누적되는 재정 적자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경영합리화와 비용절감의 차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항공사들의 제휴는 code share1) 등 항공사 양사 간의 제휴형태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Star Alliance, One World, Sky Team 등 글로벌 항공사 그룹 형태의 다자간 제휴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항공운송업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생존전략의 대세인 항공사의 전략적 제휴의 의의, 유형, 현황과 그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특히 2003년 글로벌 항공사 그룹인 Star Alliance에 가입한 아시아나 항공의 사례를 통해 가입 전과 가입 후를 비교하여 항공사의 전략적 제휴의 효용성과 효과를 확인해 보았고, 향후 추진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and competitive global market, most of airlines are building the international network system through the strategic alliance, for example, Star alliance , One World, and Sky Team have the predominant position in that field. This strategic alliance provides the positive effect like the extension of market, cost reduction, and building the new technology for the joining airline group. In addition, the customers can get easy access to flight the schedule and enjoy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 1. To find out the concept of strategic alliance, motivation, and the coalition type with the preceding studies. 2. To reali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trategic alliance. 3. To analyze the qualification for the successful strategic alliance between the airlines company. 4. Finally, based on the above studies, to suggest the proper way of 'Strategic Alliance' through Asiana Airlines. To succeed the Strategic Alliance among major airlines. they have to build trust and play an important role to each of them. In addition, by developing common joint system through coalition of airlines, they could share information. These days, Asiana Airlines is belong to Star Alliance which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alliance in airline industry. Nevertheless, it has still some problems such as stock exchang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elationship for cooperation among airlines. After jointing up Star Alliance, Asiana Airlines has obtained the positive effect. Based on that, the followings are what the Asiana Airlines need to develope for Strategic Alliance between airlines. First, the members of airlines in the Star Alliance need to strengthen their relation through the code sharing, FFT(Frequent Flyer Program), as well as marketing, advertisement, and competition cost, etc. Second, Star Alliance should promote to affiliate major airlines of China such as Air China, China Eastern Airlines, etc. because it is based on the huge market. Third, under the cooperation of Star Alliance, it could develope the variety of the portfolio of customer. Fourth, by constructing high quali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Star Alliance could secur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Fifthly, through acquiring know-how of administration from advanced leading airlines, it could get high productivity and competitive price. Sixth, there should be clear vision to have legal regulation about Strategic Alliance. Lastly, to keep up the reliance between member of Star Alliance, it should maintain security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