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생활양식 유형과 거주지역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이미연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주택보급률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름에 따라 주택 수요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짐과 동시에, 고도의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이 주택정책의 방향을 주택의 양적 공급에서 질적 수준 향상으로 전환하게 하였다. 또한 주택에 대한 개념도 주택 자체의 물리적 특성에 국한되었던 과거의 차원을 넘어서 주택이 갖는 사회적, 심리적 특성을 포함하는 보다 복합적인 환경개념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처럼 주택선택 폭의 상대적 증가와 주택의 질 및 주거환경에 대한 중요성 인식 등이 기존의 주택수요 패턴에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므로, 주택시장에서도 이제는 가구 특성에 따른 시장세분화(market segmentation)를 통해 개별 가구의 주거선택을 예측하고,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주거환경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시장을 세분화하고 수요자의 주거선택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단순히 소득이나 연령 등 거주자의 일반적인 특성변수만으로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심리적 특성의 풍부함과 삶의 방식의 다양함을 반영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주생활양식의 개념은 빠르게 변화하는 주택시장의 소비패턴에 대응하기 위한 소비자 차별화전략으로서 유용하다. 본 연구는 시장세분화 개념으로서의 주생활양식과 지역별로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주거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수도권 거주자의 주생활양식을 파악하고, 복합적 주거환경 개념이라는 측면으로서의 주생활양식 유형과 거주지역과의 상관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인터넷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생활양식, 주생활양식, 주거선호, 도시 주거입지의 개념과 특성 등을 파악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주생활양식, 현 거주지역, 희망거주지역, 선호이유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조사도구를 구성하여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로 제한하였고, 조사대상의 표집은 온라인 리서치 업체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위한 설문요청 안내 e-mail을 보낸 후, e-mail을 읽은 사람들이 해당사이트로 자동으로 링크되어 설문에 응답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조사기간은 2003년 4월17일∼22일과 5월1일∼3일에 걸쳐 진행되었고, 유사중복 문항을 통해 신뢰성이 낮은 응답자는 배제하였으며, 그 결과 수집된 표본 311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카이자승 검정,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수도권 거주자의 주생활양식과 거주지역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접근하기 위하여, 주생활양식과 거주지역 각각의 특성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단계가 선행될 필요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거주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어떤 특성의 사람들이 현재 어느 지역에 거주하며, 또한 어느 지역에 거주하기를 희망하는가에 대하여 파악한다. 둘째, 주생활양식 유형은 삶의 다원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변인이므로, 수도권 거주자들의 주생활양식이 어떠한가를 이해하기 위하여 주생활양식을 유형화한다. 셋째, 주생활양식 유형과 거주지역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를 파악한다. 이러한 연구 문제들에 대한 분석결과 중 중요한 부분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수도권 거주자들이 희망하는 거주지역은 서울 인접권의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수도권에 대한 다수의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수도권의 교외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현 거주지역별로 희망하는 거주지역을 분석해 보았을 때, 서울 강남권과 강북권, 그리고 서울 인접권 거주자들은 대체로 자신이 현재 거주하는 지역을 선호하며, 그 다음으로는 서울 인접권을 선호하였다. 이는 대부분 거주자들이 현재 거주지를 가능한 바꾸기 원치 않고 그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장소애착(Place attachment) 경향을 보이며, 전반적인 주거선호 패턴은 자신이 현재 거주하는 지역과 주거환경이 상대적으로 좋은 지역을 선호한다는 기존 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밖의 기타 경기지역 거주자들은 자신이 현재 거주하는 지역보다 서울 인접권을 더 선호하였는데, 이는 현 거주지에 대한 장소애착보다 주거환경이 상대적으로 좋은 지역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상향이동욕구가 더 강하게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학력이나 소득, 가족 수에 따라 현 거주지와 희망거주지가 차이가 있었다. 그 중 학력과 소득이 높은 집단일수록 서울 강남지역에 거주하거나 거주를 희망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수도권의 불균형적인 발전과 위계적 계층의식에 따른 주거지 분리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였다. 각 지역을 선호하는 주요 이유는, 서울 강남권은 교통과 교육환경, 서울 강북권은 교통과 근린시설, 서울 인접권은 자연환경과 지역이미지, 기타 경기지역은 자연환경과 친지와의 근접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도권 각 지역에 대한 거주자들의 인식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주택가격이나 투자전망, 단지의 규모나 주거밀도, 건축연도 등과 같은 이유보다 자연환경, 교통, 지역이미지, 근린시설 등의 이유를 우선적으로 꼽았다는 점은, 거주자들의 주거에 대한 개념이 주택자체나 단지의 범위에서 확대되어 좀 더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주거환경개념으로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둘째, 수도권 거주자의 주생활양식을 보다 간단한 구조로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편의실용 추구성, 여가활동지향성, 개성추구성, 심미추구성, 물질과시 지향성, 적극적생활, 간편추구성, 입지중시성, 보수 전통성, 검소성, 쾌적환경 추구성, 프라이버시 중시성, 휴식지향성, 개방성 등 14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 14가지 요인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쾌적환경 추구형' 39.9%, '도시생활 추구형' 28.0%, '검소 및 여가활동 지향형' 32.2%로 주생활양식 유형이 분류되었다. 이러한 주생활양식 유형은 연령과 소득, 가족수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유의적인 관계가 있었다. 쾌적환경 추구형은 36세 이상의 연령, 4인 가족, 300만원 미만과 400만원 이상의 소득집단에서, 도시생활 추구형은 31∼35세의 연령, 5인 이상의 가족, 300∼400만원의 소득집단에서, 검소 및 여가생활형은 30세 이하의 연령, 2∼3인 가족, 200만원 미만과 400만원 이상의 집단에서 비교적 높은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학력, 직업, 주택 규모, 가족생활주기, 가족구성 등의 변인에 따른 주생활양식 유형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주 목적인 주생활양식 유형과 거주지역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쾌적환경 추구형은 서울 강북권과 기타 경기지역, 도시생활 추구형은 서울 강남권, 검소 및 여가활동 지향형은 서울 인접권과 기타 경기지역에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그리고 거주지역 선호이유에 대해서는, 쾌적환경 추구형은 자연환경, 근린시설, 지역이미지, 교통의 편리성 순으로, 도시생활 추구형은 지역이미지, 교통의 편리성, 직장이나 학교와의 근접성, 근린시설, 교육환경 순으로, 그리고 검소 및 여가생활형은 자연환경, 교통의 편리성, 직장이나 학교와의 근접성, 지역이미지, 친지와의 근접성 등의 순으로 선호 이유를 선택하였다. 즉 주생활양식 유형의 성향과 희망지역 선호이유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주생활양식에 따라 현재 살고있는 지역 및 장래에 거주를 희망하는 지역이 다르다는 결과는 거주자의 삶의 방식을 예측하는데 지역이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거주지역이라는 것은 삶의 방식이 다른 거주자들을 담고있는 하나의 환경적인 세팅이며, 본 연구에서 다룬 네 지역은 그에 따라 각각 다른 방식의 삶을 수용하고 있었다. 또한, 생활양식 뿐만 아니라 소득과 학력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도 거주지역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즉, 거주지역이라는 개념은 우연히 선택하게 된 환경이 아닌, 이러한 변인들과 삶의 방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선택의 결과이다. 둘째, 일부 수도권 거주자들은 상향이동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현재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해 심리적인 애착이나 정착하고자 하는 성향을 보인다. 이와 더불어 신도시로 대표되는 서울 인접권 지역은, 서울지역 거주자들에게는 보다 쾌적한 환경으로서, 그 밖의 경기지역 거주자들에게는 좀 더 편리한 도시적 환경으로서 수도권 거주자들을 끌어들이는 상대적인 흡인력이 있다. 그러므로 주택사업 분야에서 사업대상 지역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생활양식에 대한 분석은, 주택의 기획단계에서부터 분양단계에 이르기까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그 지역에 비교적 많은 분포비율을 보이는 소비자 계층과 주생활양식 유형을 중심으로 하는 제품전략의 개발, 설계, 홍보 등을 시도한다면, 주택 공급자 측면에서는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고, 소비자 측면에서도 자신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주거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As the housing supply ratio reaches the satisfactory level, the user for housing became to have a wide range of sel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 of living by a rapid growth of economy has changed the direction of housing policy from the supply in quantity to the improvement of level in quality. And also, the idea for housing has been changed as more complex environmental concept including soci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the housing contains, beyond the simple concept limited to physical characteristic of housing itself in the past. As the relative increase of the range of housing selection and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for the quality of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bring about the change of the existing housing demand pattern, now in the housing market, the necessity to estimate the housing selection of individual household through market segmentation by the household characteristic and provid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meet various demand of the users is gathering strength. However, there are some restrictions to apply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of residents such as income and age etc. when segmenting the market and estimating the housing selection of the users. Thus, it is useful to apply the concept of housing life style that reflects the richnes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nd various ways of life as well as supplements the weakness of demographical variable, as a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consum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sumption pattern of a rapidly changing housing marke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housing life style as the concept of market segmentation and the importa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shows various changes locally, and based on this necessity, grasp the housing life style of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establish the correlation between residential area and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in the respect of the concept of complex residential environment. As a research method, we used the references study and internet survey, Through references study, we understood the life style, housing life style, residential preferenc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urban residential location etc. while we carried out the internet survey by forming the survey tool with the questions measuring the soci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and housing life style of the survey target, the present residential area, the desired residential area, and the reason of preferences. The survey target is limited to the housewife living in the apartment and sending e-mails with information of the survey for this research to the members of online research institute and letting the ones who read e-mail link to the corresponding site automatically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obtained the sampling of survey target. The research period was carried out from April 17 - 22 and May 1 - 3, 2003 and the respondents with low reliability were excluded through similar duplicated items. As a result of this process, the 311 samples collected were used for this analysis. As a method of analysis, we used Frequency, Crosstabs,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etc. To approach to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o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using life style of resident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residential area, as we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life style and the residential area structurally as a condition precedent, we set the concrete issues of study for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verify which residents who have any characteristics are living in which area at the present, and which area they want to live,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more about the residential area. Second, materialize the housing life style so as to understand what is the housing life style of the residents who are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s the type of the housing life style is the complex factor which shows the plurality of the life. Third, verify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and the residential area. The followings are the important parts of the analysis results for these study issues. First, the residential area desired by the present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s the area adjacent to Seoul that shows the highest ratio. This means that the suburbanization of metropolitan area is continuing as shown on various research for the metropolitan area. When analyzing the desired residential area by the present residential area, most of residents in the Gangnam area and Gangbook area in Seoul and the residents living in the area adjacent to Seoul preferred the area where they are living now, and the next is the area adjacent to Seoul. This shows the tendency of Place Attachment that most of residents don't want to change the present residential area if possible and evaluate it positive, and the fact matching with the results from the existing research that for general pattern of residential preference, people prefers the area where they are living now and the area whe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relatively better. However, the residents living in other Gyunggido area preferred the area adjacent to Seoul more than the area where they are living now which shows the strong upward movement desire that they want to move to the area whe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relatively better than Place Attachment for the present residential area. And also,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nt residential area and the desired residential area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Income, the number of family. Through the result that the group with the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has the higher ratio that they are living or desire to live in Gangnam Area in Seoul, we got to know that the residential area separation phenomena caused by unbalancing development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hierarchical sprit of social grade has deepened. The main reasons why they prefer each area are transportation and education environment for Gangnam area in Seoul, transportation and neighboring facility for Gangbook area in Seoul, natural environment and local image for the area adjacent to Seoul, and natural environment and the vicinity of their relatives for other area in Gyunggido. Such results imply the recognition of the residents for each area in the metropolitan area indirectly. And generally viewing, the fact that the residents selected natural environment, transportation, local image, neighboring facility etc. as the first reason other than housing price, investment prospective, the size of district, residential density, the year of building etc. shows that the idea of the residents for housing has extended from the range of housing itself and apartment development and changed to the concept of wider and more complex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 we made the housing life style of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s simple and typical structure for easy understanding. Through the factor analysis, we have extracted 14 factors such as pursuit of convenience practicality, leisure activity directive, pursuit of individuality, aesthetic pursuit, material showing off directive, active life, pursuit of simplicity, location-oriented, conservational tradition, frugality, pursuit of comfortable environment, privacy-centered, rest directive, openness etc. A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using these 14 factors,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of respondents was classified as "pursuit of comfortable environment" 39.9%, "pursuit of urban life" 28.0%, "frugality and leisure activity directive" 32.2%. These types of housing life style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socio demographical variable factor such as age, income, the number of family etc. The type of "pursuit of comfortable environment" showed relatively a high distribution in the group that contains the age of over 36 years old, 4 persons family, the income below 3 million KRW and more than 4 million KRW, the type of "pursuit of urban life" in the group that contains the age of 31-35 years old, the family having more than 5 persons, the income of 3-4 million KRW, the type of "frugality and leisure life" in the group that contains the age less than 30 years old, 2-3 persons family, the income below 2 million KRW and more than 4 million KRW. But, it showed also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according to the variable factor such a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the size of housing, the period of family life, family composition etc.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and residential area, which i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type of "pursuit of comfortable environment" showed relatively a high distribution in the Gangbook area in Seoul and other area in Gyunggido, the type of "pursuit of urban life" in the Gangnam area in Seoul, and the type of "frugality and leisure activity directive" in the area adjacent to Seoul and other area in Gyunggido. As the reason of preference for residential area, the type of "pursuit of comfortable environment" selected natural environment, neighboring facility, local imag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the type of "pursuit of urban life" selected local imag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the vicinity of business office and school, neighboring facilit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and the type of "frugality and leisure life" selected natural environment,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the vicinity of business office and school, local image, the vicinity of relatives in order. That is, there are close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and the reason of preference for the desired area. Based on the result of these analysis, we propose the conclusion as follows : First, the result that according to housing life style, the present residential area and the desired area to live in the future are different, implies that the area can be an important factor to estimate a way of life of the residents. That is, the residential area is one of environmental setting that contains other residents who have a different way of life, and thus, 4 areas taken in this research also shows the acceptance of such different way of life, respectively. And also, the socio demographical factor such as income and education level etc. can be served as an important variable to the residential area. That is, the concept of residential area is not the environment selected by chance but the result of selection caused by complex reaction of these variables and a way of life. Second, some of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has the desire to upward movement but in general, they shows the psychological attachment and the tendency to settle to the area where they are living now. With these phenomena, the area adjacent to Seoul, represented as New City, has a relative attraction as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to the residents in Seoul area and as more convenient urban environment to the residents in other Gyunggi area except this area. Thus, the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 and housing life style of local consumer in the housing business field, can be applied as a useful data from planning stage to selling stage. That is, if you try to develop, design and promote the product strategy that concentrates the consumer class having a high distribution ratio relatively and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this will be a good opportunity for the housing supplier to enhance the value of product and also in the respect of consumer, this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ge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meet their characteristic and demand.

      • 거주자 중심 스마트홈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중심으로

        이주령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디지털과 정보기술의 발달이 주거공간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재택학습, 재택근무, 재택의료 등과 가사업무를 도와주는 홈쇼핑, 홈뱅킹, 그리고 가정에서 여가생활을 지원하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인간과 사물간의 홈네트워크, 홈오토메이션과 거주자의 요구나 변화를 감지하는 지능형 센스를 갖춘 스마트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거주자의 개성화된 정보의 중요성이 배제된 채 유비쿼터스 기술(Ubiquitous Computing & Network Technology, 이하 uT라고 칭함)이 주거에 도입되어 획일화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uT시스템의 무분별한 도입과 고가의 장비가 사장되어 결국 국가적 낭비를 초래하는 결과를 미연에 방지하기위하여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중심으로 한 거주자 중심의 다양한 스마트홈의 구축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거주자 중심의 스마트홈에 대한 계획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라이프스타일, 주생활양식, uT 시스템 선호도, 스마트홈의 개념과 사례 등을 조사 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및 주생활양식, 라이프스타일, uT 시스템 선호도를 측정하는 질문으로 조사도구를 구성하여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으로 하였고, 조사기간은 2004년 6월11일~14일에 걸쳐 진행되었고, 그 결과 수집된 표본 180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for Win 1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카이자승 검정, F검정,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라이프스타일은 물질출세 지향적 성향, 긍정적 보편성향, 실리적 자기중심 성향, 가정 중심적 성향의 6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실시 한 결과, 여성의 경우 결혼해도 자신의 직장을 갖는 것이 좋으며, 인간의 본성은 착하다고 생각하는 ‘실리보수적 생활형’이 36.7%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실리적이면서도 금전적인 만족 없이는 행복해질 수 없고, 인생의 목표가 출세인 ‘실리물질출세 지향적 생활형’이 24.4%, 물질출세를 지향하면서도 체면 때문에 자신의 생활이 얽매이기 싫어하는 ‘물질출세 지향자기중심적 생활형’이 21.1%, 실리적이면서도 성공을 위해서 개인의 즐거움을 희생하고 싶어 하지 않는 ‘실리자기중심적 생활형’이 17.8% 순으로 나타났다. 2) 주생활양식은 휴식지향성취미추구성프라이버시 중시성, 외부활동물질환경중시성현대성안락성적극성, 편의실용성검소성가족생활중시성, 개성유행 심미추구성 등 4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실시 한 결과,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 주생활형’이 45.6%, ‘휴식여가 주생활형’이 34.4%, ‘개성심미추구 주생활형’이 20.0% 순으로 나타났다. 3) uT 시스템은 안전성정보성건강지향성, 오락성편리성정보성, 효율성에너지 절약성 등의 4개의 요인을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실시 한 결과, ‘에너지절약안정성 시스템’ 유형이 41.1%, ‘안전성건강 지향성 시스템’이 21.7%, ‘에너지절약건강지향성 시스템’이 18.9%,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18.3%의 순으로 나타났다. 4) 라이프스타일, 주생활양식, uT 시스템 유형은 연령과 소득, 학력, 직업, 주택규모, 가족구성 등의 변인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목적인 라이프스타일, 주생활 유형, uT 시스템유형사이의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실리·보수적 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의 경우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유형(47.0%)과‘휴식여가생활형 주생활양식’유형(40.9%)에 대해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실리물질 출세 지향적 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개성심미활동 추구형 주생활양식’유형(47.7%)과 ‘외부활동·물질 추구형 주생활양식’유형(45.5%)에, ‘실리자기중심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유형(59.4%)에, ‘물질출세 지향적자기중심 생활형’인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휴식여가형 주생활양식’유형(52.6%)에 높은 분포를 보였다. 또한 ‘휴식여가형 주생활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에너지절약안전성 시스템’유형(48.4%)과‘안전성건강 지향성 시스템’유형(33.9%)에 높은 선호도를 보이며,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에너지절약안전성 시스템’유형(45.1%)과‘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23.2%)에, ‘개성심미추구 주생활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유형(61.1%)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실리·보수적 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 조사대상자의 경우 ‘안전성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46.2%)과 ‘에너지 절약 시스템’유형(41.9%)에 매우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실리물질 출세 지향형’ 라이프스타일 조사대상자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유형(48.5%)에, 실리자기 중심형’ 라이프스타일 조사대상자는 ‘에너지 절약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26.5%)과‘에너지절약안전성 시스템’유형(21.6%)에, ‘물질 출세지향자기중심형’라이프스타일 조사대상자는 ‘안전성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30.8%)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 ‘실리보수생활형’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소비자는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과 ‘여가휴식 지향형 주생활양식’유형을 지니고 있다. 이들이 선호하는 uT 시스템은‘안전성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과 ‘에너지 절약 시스템’유형이다. 이러한 소비자를 겨냥한 스마트홈을 계획할 때는 주생활양식을 반영하여 교육환경과 취미공간을 고려한다. 네트워크 카메라를 설치하여 아이와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위험사항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방문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시큐리티 시스템을 설치하거나, 재난 시 가스 및 기타 밸브를 자동으로 잠그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건강화장실과 전자건강체크로 가족의 건강을 돌볼 수 있는 건강 지향성 시스템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년층 거주자들의 사고 시 감지기에 의해 관련기관으로 통보되는 지능형 센스 시스템이 있다. 자동난방온수 시스템, 자동 조명등을 이용한 에너지절약 시스템도 예로 들 수 있다. 2) ‘실리물질 출세 지향적 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소비자는 ‘개성·심미활동 추구형 주생활양식’과 ‘외부활동·물질 추구형 주생활양식’유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홈 계획단계에서부터 심미적인 실내 환경과 남녀참여 가능한 공동공간을 계획해야 하며, 쉽게 변형 가능한 공간도 고려해야 한다. 이들이 선호하는 uT 시스템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유형으로써 무엇보다도 집안 곳곳에 CD, DVD, 라디오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 시스템이과 홈씨어터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센서에 의해서 조절되는 환기시스템, 원격교육과 평생교육이 가능한 환경이 계획되어야 한다. 3) ‘실리자기중심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소비자의 경우 ‘외부활동물질 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을 가지고 있고, ‘에너지절약안전성 uT시스템’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그래서 스마트홈 계획 시 교육 공간과 공동 공간을 고려해 설계해야하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수자원시스템, 자동 온도 조절기 및 자동 조명 시스템과 시큐리티 시스템, 자동 가스 차단기 시스템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4) ‘물질출세 지향적자기중심 생활형’인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경우 ‘휴식여가형 주생활양식’유형을 가지고 있고, ‘에너지절약안전성 시스템’유형과‘안전성건강 지향성 시스템에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홈 계획 시 개인의 사생활을 잘 보호할 수 있는 구조와 취미활동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고려해야 하고, 시큐리티 시스템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설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5) 주택 사업 분야에서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에 대한 분석은 주택의 기획 단계부터 분양단계에 이르기까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 유형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스마트홈의 개발, 설계, 홍보 등을 시도한다면, 주택공급자측면에서는 제품의 차별화로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고, 소비자 측에서도 자신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디지털 주거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6)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에 따라 uT 시스템선호는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향후 미래의 스마트홈 계획은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고려해서 계획되어져야 하며 좀 더 다양한 스마트홈을 계획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디자인 지침 마련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Since the development of Digital and IT(Information-Technology) influences to Residential Space, those studies are actively on progress regarding to Study from Home, Telecommuting, Medical Care from Home which are utilizing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Home-Shopping, Home-Banking that assists for home-affairs, and Entertainment System that supports leisure life at home, Home Network and Home Automation between Man and Material, and Smart-Home where equipped with intellectual sense that perceives of the resident''s requirement or any of change. In the meanwhile, there is a problem that provides a unified residential environment by introduction of Ubiquitous Computing & Network Technology (to be written as uT hereinafter) to residence, quite excluding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ed informations of the residents. Also, as because those high-valued equipments become spoiled due to the imprudent introduction of uT System, it is regarded as much meaningful thing that a systematic study on building method for the diversified Smart-Home for which centered on Life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as well as Resident-importance, based on the necessity to prevent in advance from the result bringing such national waste. Therefore, this Study grasps its Life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and on the basis of this, a planning guideline for the resident-centered Smart-Home would be presented. As the studying method, both methods of documentary-study and on-line questionnaire research were used. Through the documentary-study, life style, residential living mode, preferring degree on uT, concept and example-survey of Smart-Home and so on were examined, and internet questionnaire research was also carried out by composition of researching tool with the questioning items about the characteristic and residential living mode in view of socio-population study for questionnaire-object, lifestyle, and measuring of preferring degree on uT, The questionnaire-objects were organized with those people residing in Republic of Korea whose age is more than 18 years old, survey was progressed during June 11~June 14, and then the collected 180 samples as the result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alysis of the Data was practiced about frequency-analysis, crossing-analysis, Chi-Square Test, F-Test, cause-analysis, group-analysis, dispersion-analysis, utilizing of SPSS for Win 10.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hereunder: 1) Lifestyle was extracted into 6 factors such as material·success-aiming propensity, affirmative universal propensity, utilitarian ego-centered propensity, family-importance propensity, etc, and as the result of group-analysis on them, the following patterns were appeared likely as per following order: woman had better to keep her job even though she gets married, ''utilitarian·conservative living style'' who regards that the original nature of human-being is virtuous, was recorded as highest points as 36.7%, ''utilitarian·material, success-aiming life style'' who is utilitarian and thinks it is unable to be happy without monetary satisfaction, whose target of life is success, was figured at 24.4%, ''material, success-aiming·ego-centered living style'' who dislikes to be fastened to his life for honor''s sake while heading towards success, was pointed at 21.1%, ''tilitarian·ego-centered living style'' who does not want to be sacrificed of private pleasure for the sake of success while he is utilitarian, was gotten at 17.8%, respectively. 2) Residential Living Mode was extracted into 4 factors such as rest-purposing charactertaste-pursuing character, privacy-importance character,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character·modernity·comfortableness·positiveness, conveniency, pragmatic character·plainness·family life-importance character, personality·vogue, aesthetic-pursuing character, and as the result of group-analysis on them, residential living mode of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showed up 45.6%, rest·leisure residential living mode was at 34.4%, residential living mode of personality· aesthetic-pursuing was at 20.0%, respectively with above-written order. 3)uT System was extracted into 4 factors such as safety·informative character·health-pursuingcharacter, amusement·conveniency·informatives, efficiency·energy-saving character, and as the sequence of group-analysis on them, the type of ''energy-saving·safety system'' was appeared as 41.1%, ''safety·health-pursuing system'' at 21.7%, ''energy-saving·health-pursuing system'' at 18.9%, and ''entertainment system'' at 18.3%, respectively. 4)Those types among Life 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and uT System have been appeared that have no voluntary relationship with the varying factor such as age, income, academic career, occupation, residential scale, family constitution. However, it had voluntary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f this Research, namely Life 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and uT System. 5)The type of ''utilitarian·conservative living style'' in lifestyle showed high distribution to those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type(47.0%) and ''rest·leisure life typed residential living mode'' type(40.9%), and also high distributions were given to each those of the followings: the type with lifestyle of ''utilitarian·material, success-aiming life type'' is to ''personality·aesthetic activity-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type(47.7%) and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type(45.5%), the type with lifestyle of ''utilitarian·ego-centered living type'' is to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type(59.4%), the type with lifestyle of ''material, success-aiming·ego-centered living type'' is to ''rest·leisure life typed residential living mode'' type(52.6%), respectively. And also, the type of ''rest·leisure life typed residential living mode has showed high preferring degree to the type of ''energy-saving·safety system''(48.4%) and to that of ''safety·health-pursuing system''(33.9%), and also showed up high preferring degree to each those of the followings: the type of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is to ''energy-saving·safety system''(45.1%) and the type of ''health-pursuing system''(23.2%), the type of ''personality·aesthetic activity-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is to ''entertainment system'' type(61.1%), respectively. The type of ''utilitarian·conservative living style'' in lifestyle showed very high preferring degree to the type of ''safety·health-pursuing system''(46.2%) and ''energy-saving system'' type, and also appeared high preferring degree to each those of the followings: The type of ''utilitarian·material, success-aiming life type'' in lifestyle is to ''entertainment system'' type(48.5%), type of ''utilitarian·ego-centered living type'' in lifestyle is to ''energy-saving·health-pursuing system'' type(26.5%) and to ''energy-saving·safety system'' type(21.6%), type of ''material, success-aiming·ego-centered living type'' in lifestyle is to safety·health-pursuing system'' type(30.8%),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above-mentioned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should be produced. 1)The type of ''utilitarian·conservative living style'' in lifestyle holds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and the type of ''leisure·rest-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Also, uT System what they prefer is type of ''safety·health-pursuing system'' and ''energy-saving system'' type. When planning of Smart-Home,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pace for recreation should be considered by reflecting of Residential Living Mode, not only for checking the dangerous matter, watching behavior of kid and pet by installation of network camera, but also installation of security system which enables to identify visitor, and Home Automation System also to be set up which makes the gas to be stopped by itself and all of the valves to be locked out automatically when a fire breaks out. Besides, an Intelligence-type Sense System to be installed which reports by the sensor to the call-center as soon as an old man falls down, and the health-toilet and the health-pursuing system also to be installed which is able to care of family health by electronic medical check up. Automatic Room-Heating Hot Water System, Automatic Lighting also to be set up for energy saving. 2) The type of ''utilitarian·material, success-aiming life type'' in lifestyle holds ''personality·aesthetic activity-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and the type of ''outer activity·material-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Therefore, when Smart-Home is planned, aesthetic indoor environment and common space where able to participate irrespective of man or woman must be planned, also easily convertible space should be considered, too. And, uT System they prefer, as an ''entertainment system'' type, before everything else, a control system which able to enjoy CD, DVD, Radio at everywhere indoor should be placed, and Home Theater circumstance also must be equipped. Moreover, a ventilation system that regulates by intelligence-type sensor, and it should be planned that an environment where remote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can be affordable. 3) The type of ''utilitarian·ego-centered living type'' in lifestyle contains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thereat and its preferring degree to the type of ''energy-saving·safety uT system'' is high. Thereupon, when planning of Smart-Home, education space and common space should be designed, and install energy water resource system and thermostat, automatic lighting system and save energy, also set up security system and automatic gas circuit breaker. 4) The type of ''material, success-aiming·ego-centered living type'' in lifestyle holds ''rest·leisure life typed residential living mode'' type, and it appears its high preferring degree to the type of ''energy-saving·safety system'' and ''safety·health-pursuing system''. When planning of Smart-Home, the structure which able to keep privacy as well as a separate space for tastes have to be considered, and to be installed security system and home-automation system. 5) In the field of Housing Business, Analysis on Life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can be utilized as a useful material throughout from its planning step for housing to the stage of its distribution. So to mention, if some diversified Development, Design, Public Relation for Smart-Home which centered on Life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would be attempted, on the side of House Supplier the Product Value could be enhanced by discrimination of the products, and also on the side of Consumer it could be an opportunity to be provided of Digital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suitable for their own Characteristic as well as Requirement.

      • 아파트 거실 공간의 벽 디자인 특성과 차별화 방향

        김보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87

        현재 우리의 사회는 고도의 경제적 성장에 따라 쾌적한 공간에 대한 요구가 팽배해지면서 주택의 질적인 향상 및 실내공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인간의 생활을 담고 있는 실내공간은 거주자의 욕구를 충분히 수용하여 편리하고 쾌적하게 그리고 개성 있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사람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실내구성 면에서도 개성화, 다양화 현상이 증대되고 있고 주거환경의 방향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구성 특성이나 실내의 전반적인 이미지에 대한 변화경향을 파악하여 실내구성 방향을 세워야 한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끼기 원하고 있고 그런 환경을 요구하는 시대이다. 이에 따라 우리의 주위 환경도 인간의 정신적 요구인 편안함을 느끼도록 해 주는 환경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정신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편안하고, 아름답고, 기능적인 환경을 만들고자 주거공간에서 공동공간인 거실 공간의 벽 디자인 특성과 앞으로의 차별화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거실공간의 벽 디자인은 기능성과 심미성이 동시에 추구되어야 하며 삶의 공간이 매력적이고 개성 있는 실내이면서 품위와 개성이 강조된 거실, 인간 친화적인 거실을 통해 인간의 감성에 호소하는 이미지로 디자인해야 한다. 또한 거주자의 개성에 맞는 실내 공간 조성을 마련해주기 위해 쾌적하고 거주자 개인의 개성에 부합하는 실내주거환경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주택이 삶의 터전으로서 삶을 담는 기능 이외에 자신의 표현과 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 실현의 장이 된다는 관점에서 보면 주거공간의 독창적인 실내연출에 대한 거주자의 관심의 비중은 점점 커져 가고 있지만 최근 주택의 새로운 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는 아파트와 같은 집합주택은 거주자의 이러한 욕구를 실현하기에는 거리가 멀게 획일적인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가변화를 추구하거나 주문 제작 등의 방법으로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하고는 있으나 아주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로 인해 거주자들은 리모델링을 통해 획일적인 평면에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고자하는 노력들을 증가 시키고 있다. 이런 관점이 공동 공간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거실 공간에 요구 되고 거실 공간에서 포인트가 되는 거실 벽 디자인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과거의 획일화 되고 폐쇄적이었던 아파트의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거 차별화 전략을 통해 보다 자유롭고 개방적인 공간개념을 도입하고 아파트마다 독특한 테마와 이미지를 부여하고, 여러 계층을 위한 다각적인 디자인을 하여 폭넓은 시도로 고객 요구를 만족시키는 디자인을 하여야 한다. 누가 아파트를 만들었는가라는 건설사의 신뢰도를 더욱 중시하였던 과거와는 달리 차별화된 디자인 요소와 소비자 요구에 대한 만족도를 중심으로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디자인과 브랜드 경쟁 신 개념 주거인 주택 시장의 명품 바람으로 고급 수요자를 겨냥한 신 개념 주택이 등장하고 있는데 건축가의 이름을 내건 작품 주택을 만들고 메이저 업체와 중견 업체는 기존 브랜드를 고급스러운 느낌의 브랜드로 교체하는 등 브랜드 개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그리고 남들과 다른 주택을 위해 기존 아파트와 차별화된 시설과 컨셉, 독특한 내부 공간과 구조로 랜드마크 아파트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디자인 브랜드 차별화로 교수, 연구원, 건축 디자인 전문가를 중심으로 디자인 경영에 힘쓰고 공간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에 맞추어 적합하게 구성하고 사용목적에 따라 그 기능을 우선으로 하여 아름답고 쾌적한 거실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최근에는 새로운 기술 및 사회변화에 대한 대응과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의 보장, 에너지 및 자원절약, 쾌적한 실내 외 환경의 조성 및 이에 따른 거주자의 쾌적성 보장등과 같은 다양한 요구에 만족시킬 수 있는 지능형 주거, 디지털 홈으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쾌적한 실내 환경에 대한 욕구와 편리한 생활추구에 대한 의식이 날로 늘어나고,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수요도 증가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생활환경의 지능화, 환경 친화적 주거 생활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면서 삶의 질 혁신을 추구하는 지능화된 가정 내 생활환경 및 거주공간에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런 주변 환경에 맞추어 주거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이라 할 수 있는 거실의 실내디자인에서, 가장 쉽게 변화를 줄 수 있는 거실 벽 디자인의 특성을 조사하여 앞으로의 차별화 방향을 모색하였다.거실공간의 벽 디자인 특성을 통해 본 디자인 변화, 거실 마감과 이미지 특성, 조명변화와 인테리어 스타일에 알맞은 차별화 방향을 연구하고 아파트 거실 벽 디자인의 차별화 방향을 제시하여 이 조사 자료가 향후 주택거실의 벽 디자인의 새로운 실내구성의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se days,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our society, demands for pleasant spaces are increasing, giving rise to interests in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houses and indoor spaces. Recently, people's interest in living environments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emphasis on uniqueness and diversity in interior design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 direction of living environments.Most people wish for mental comfort, and this is the age when people demand such comfort. In order to create a comfortable, beautiful and functional environment that satisfies such mental demands,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lls in living rooms, which is the common space in houses, and the direction of differentiation in the future.Wall designs in living rooms must pursue functionality and beauty at the same time, and the living room must be an attractive and unique indoor space - it must have elegance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human-friendliness, appealing to the human emotions. Also, in order to prepare interior designs that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r, there is a need for interest and researches regarding indoor residence spaces that are pleasant and satis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As the residers' interest in unique interior design is growing, some designers are reflecting the preferences of the consumers by pursuing change or offering customization; however, these are limited trials. For this reason, residers are increasingly making efforts to express their identities on uniform level spaces through remodelling. Such aspects are required for the living room, which takes a considerable part of the commonly used spaces, and especially the wall design is becoming most important as the outstanding point of the living room.Designers must induce a more liberal and free spatial concept through various differentiation strategies, endow unique themes and images to each apartment, and conduct diversified designs for various classes,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customers with a variety of trials. Not like in the past, when the credibility of the construction company that built the apartment was most important, designs should be centered on differentiated design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ustomers' demands.With the rise of high-class houses and apartments, based on superior design and brands, new-concept houses are appearing in the market; brand development competition is becoming more severe than ever, with companies building state-of-art apartments under the name of the architect, and major/big construction companies are replacing their existing brands with new ones that have further refined images. Also, these apartments are becoming landmarks with differentiated facilities, concepts, unique interior design and structure. Moreover, to differentiate the brands, companies are focusing on design promotion with the help of professors, researchers, and architects, structuring the spaces to fit the needs of the users. It is becoming important to create a beautiful and pleasant living room environment, placing priority on the func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age.Recently, demands for intelligent houses and digital homes are increasing, in order to respond to new technologies and social changes, guarantee comfortable and safe life, save energy and resources, create a pleasant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and warrant the pleasantness of the residers. As demands for pleasant indoor environments and convenient life increase, as well as demands for entertainment, entailing the rise of people's demands for intelligent and environment-friendly living environments, consumers want intelligent houses and environments that pursue revolutionary improvement of life qualities. In response to this trend, I observ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living room walls, which is part of the most important space in the house, and can be most easily changed. On the basis of such observation, I sought methods of differentiation for the future.By studying design changes observed through living room wall designs, the finishing of living rooms, imagery characteristics, changes in lightings, and differentiation methods that suit the interior design, and propose the directions of differentiation for living room walls, I expect this research to present references and information for future living room wall designs.

      • 최근 유료 노인전문요양시설 사례의 사용후 평가(P.O.E)에 관한 연구

        김남훈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87

        한국은 전통적으로 노인 부양을 가족중심체제에서 해결해 왔으며, 이로 인해 서양에 비해 노인복지시설의 발전이 미비하였다. 그러나 최근 고령화 사회의 위기의식이 고조됨에 따라 노인요양시설이 확대일로에 있으며 이에 대한 경험의 부족으로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되고 있다. 최근에 지어진 노인 관련 요양시설은 대부분이 수요자 조사의 부족과 운영 노하우의 부족 등으로 대부분 입소노인들이 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데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또한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의 관련 전문가가 부족하여 다른 일반적인 사회복지시설과 동일한 개념으로 추진되어 왔기 때문에 노인에 대한 케어운영이 부족할 뿐 아니라 건축 및 인테리어설계, 그리고 노인시설에서 사용되는 제품들이 서로가 따로 개발되어서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않은 채 여러 관련 자원들이 낭비 되어 왔다. 따라서 조사 대상시설에 대한 정확한 건축 환경 파악과 입소노인들의 치유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실질적인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일부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들이 기존의 무료노인요양시설들과 달리 나름대로 중상류층을 유치하기위해 다양한 시도를 한 사례도 등장하고 있고, 이러한 시설이 앞으로 확대일로에 있기 때문에 기 개발된 사례들에 대한 사용 후 평가(P.O.E)를 하는 것은 항후 시설개발 및 보급에 있어 시행착오를 줄여주는 좋은 예제가 될 것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중상층 노인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H社의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사용 후 평가(P.O.E)를 통해서 기존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들이 지니고 있는 장.단점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향후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 계획시 사용자에게 적합하고 치유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시설디자인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2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 환경의 사용 후 평가(P.O.E)로 사용자들이 느끼고 있는 장.단점들을 명확히 하고, 둘째, 치유환경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논제가 되는 다인실(6인실)과 개인실(1~2인실)에 대한 공간의 사용 후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첫째, 요양시설의 사용 후 평가를 위해서 현장 실측조사와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다인실과 개인실에 대한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고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조사 및 직접관찰을 통한 조사를 하였다.조사대상은 전체 입소노인 57명중 다인실과 개인실에 있는 병명이 동일한 환자 각 2명씩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직원은 관리소장 및 상담과장, 간병인 팀장 등 응답이 가능한 사람으로 정하였다.조사도구로는 첫째, 노인의 신체적 기능을 측정하는 일상생활수행(A.D.L)능력조사 도구와 입소환자들의 하루 공간별 이동경로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는 공간별 하루일과 행태조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둘째, 각 공간별 만족도를 5단계 Likert척도로 측정한 시설환경만족도조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셋째, 병실 만족도와 개선점에 대한 조사는 설문조사 도구를 사용하였다.본 연구대상 시설은 서울 근교에 있는 퇴촌에 위치한 대기업이 운영중인 중상류층을 대상을 한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이다. 건축 연면적은 439평으로 A동(목련동)과 B동(백합동) 2동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층수는 지하1층에서 지상4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A동은 노환(고관절)환자, B동은 치매, 중풍 환자로 구분하여 입원시키고 있으며, 각실은 다인실과 개인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다인실(6인실)은 일반 병실과는 달리 벽체의 높이가 1,500m/m인 가구로 설치하여, 각 병실과는 공간을 구획하면서 병실 내부는 개방감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요양시설환경의 사용후 평가에 대하여우선, 요양시설환경에 대한 각 공간별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곳은 A동 1층에 있는 물리치료실, 엘리베이터 홀, 대기실 순으로 나타났으며, 불만족도가 높은 시설환경은 옥상, 조리실, 프로그램실, 화장실, 조리실, 현관, 식당, 병실, 간호사실 순으로 나타났다. 만족하는 공간보다 불만족을 느끼는 공간이 많이 나타났는데, 옥상에 대해서는 거주자들 모두의 불만이 높게 나타난 공간이다. 왜냐하면, 옥상은 건축설계 당시에는 옥상정원을 계획하였으나, 건축비 문제로 옥상정원을 만들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입지조건이 좋은 건물이긴 하나 옥상의 활용을 못함으로써 거주자들의 불만이 높게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현재 요양시설과 향후 건축 계획시에 개선해야 할 부분을 조사한 결과, 첫째, 냉난방 시설 확충, 환기시설 개선, 각 층 간이 주방실 설치, 각 층 오물 처리실 설치, 개인실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냉,난방 시설 확충과 환기시 그리고 병실 수 부족 등은 현재 요양시설에서 나타난 문제점이기도하다.또한, 병실에 대해 6명의 입소환자와 관리자들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첫째, 병실 시설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다인실인 경우 풍부한 자연채광과 각 실의 개방감으로 인해 환자들의 관리가 용이하고 환자들의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서 치유환경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실인 경우는 다인실에 비해 병실 수가 부족하여 환자수요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2개 동에 중증인 중환자와 치매 및 중풍 환자들로 나누어서 운영하고 있으나, 환자의 증세에 따라서 적합한 병실에 입원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 최근에 발생하였는데, 주된 원인이 병실 수 부족이었다.둘째, 병실 만족도에 관한 전반적인 평가를 조사한 결과, 병실 선택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이 입원비였다. 그 다음이 병실 위치, 병실 환경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만족도 결과에서 현재 사용 중인 병실에 대해서 시설환경 및 케어운영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나,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병실의 특성상 성격 불일치에 따르는 입소 노인들간 마찰 및 갈등을 가장 불편하게 느끼고 있었다, 다양한 수요자들이 자유롭고 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운영자 측면에서는 병원비의 부담해소 및 병실 수를 해결해야 할 것으로 조사결과가 나왔다.2) 다인실(6인실)과 개인실(1~2인실)의 비교분석 결과에 대하여입소노인 환자의 치유환경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논제가 되어 왔던 다인실과 개인실에 대한 공간의 사용 후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조사대상 노인들의 경우, 다인실(6인실)이 개인실 보다는 단체생활, 협동심, 그리고 환자들 간에 상호교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으로 서로 의지하는 단체생활 공간이라는 점이 특히 중증 치매환자들에게는 치유환경으로서 알맞은 병실로 나타났으며, 다인실에 있는 입소노인들이 개인실에 있는 입소노인들 보다 입원기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인실은 6명의 환자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므로 서로 성격이 안맞는 환자들끼리 자주 충돌이 발생하여 환자들간에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서로 마음이 맞는 6명의 환자를 함께 배치하는 것은 불가능한 상황이므로, 인지력이 높은 경증의 환자는 개인실에 입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다인실과 개인실의 문제는 상당히 장기간동안 우리나라에서도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서양에서의 유료노인요양시설은 환자별로 여러 가지 다른 조건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덜 통제되고 환자들의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주기 위해서 개인실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운영하는데 반해, 앞에서 언급 했듯이 조사대상인 요양시설에서 거주하는 입소환자들의 거의 대부분이 입원비가 동일한 경우에 개인실로 희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인실의 치유환경에 대한 환경평가는 나쁘게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대부분 노인들이 돈이 있으면 개인실에 가고 싶어 하는 성향이 존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다인실에서는 입소노인 환자들이 고립보다는 활동적으로 바꾸어 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그리고 다인실은 개인실보다는 6명의 환자들이 함께 생활을 하는 단체실 개념이기 때문이며, 또한 해당 요양시설의 다인실의 시설환경 특성이 창의 크기와 건물의 위치가 자연광인 햇빛이 많이 들어오게끔 되어 있어서 환자들의 치유환경에 여러 가지로 좋은 사례로 평가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환경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사람들의 평가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우리라는 의식이 강한 한국인의 생활문화의 관점에서 보면, 다인실이 오히려 개인실보다 더 잘 계획 되었을 경우 총체적인 건강이라는 관점에서 더욱 유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런 시설이 가지고 있는 다인실의 디자인특성을 적절히 살리면서 환자들 상호간에 프라이버시를 확보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자인 아이디어가 필요할 것이다.마지막으로 환자들의 건강증세별 거주 공간 사용실태를 살펴보았다. 좀 더 건강한 환자들이 많이 움직여 활동성이 높다는 평가가 나와야 하지만, 해당 요양시설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그 원인은 건강도가 낮은 환자들의 건강을 유지시키키 위해 간병인의 도움으로 더 많이 움직이도록 스케쥴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건강하지 못한 환자들이 오히려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건강한 환자들 보다 움직임의 횟수가 더 많고 활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개인실에 있는 건강한 환자들이 다인실에 있는 건강한 환자보다도 이동 횟수가 그리 많지가 않았다.아마도 보통 간병인의 서비스가 충분하지 않은 요양시설의 환자인 경우 이동 횟수가 거의 없었을 수도 있으나, 해당 요양시설은 중상층 이상의 환자들이 거주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환자들에 대한 간병인의 서비스가 일대일 간호가 가능하다 보니 이런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행태적 추적은 행태적 추적의 정량적 의미로서 분석할 것이 아니라, 6명에 대해서 행동을 관찰하는 맵으로서는 효과가 있고, 일단 우리가 통계라고 하는 것은 연구자가 판단을 내리는 단지 참고 자료일 뿐 결국 판단은 연구자가 해야 하듯이, 이런 정성, 정량적인 기술도 정량적인 기술 자체로 의미해서는 상당히 노인환자의 경우 상황에 따라서 잘못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따라서 본 연구는 하나의 요양시설을 대상으로 한 조사이기 때문에 질적 분석관계를 일반화 하기는 어렵지만, 노인요양시설의 계획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하는 사람과 공간과의 관계성에 대한 문제 제기는 되었다고 본다. 앞으로 유료노인요양시설들이 더 많이 개발되면 유료노인요양시설 환경에 대한 이론과 실제 거주환경에 대한 특성간의 관계성은 더욱 명료하게 나타날 것이며, 이들의 관계성을 보여주는 연구 사례들도 다양해질 것으로 기대해 본다. Due to the traditional elderly supporting system in Korea, which is to support their own parents within the family, Korea has a relatively insufficient welfare system for old people to compare with other Western countries. However, recently number of nursing facilities is increased with growing concern on aging society, and due to lack of relevant past experience, operational mistakes are expected to be occurred. The users of most of recently built nursing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 have inconvenient experiences because the facilities are lack of research on the user's demand and understanding on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as well as operational know-hows. And the fact that there are not enough specialists for private elderly facilities in Korea has caused lack of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by developing the facilities like other ordinary facilities, and waste of resources by working separately on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and other related products. Therefore, there are various practical improvements are required for accurate investigation on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to increase the user's curing effects. Recently there are some instants of few private elderly facilities trying to attract middle-upper class. As this kind of phenomenon is expected to be grown in the future, P.O.E of exisiting facilities will be good examples to reduce mistakes in future facilities' development and supply.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n existing facility (recently built targeting for middle-upper class by H company) with P.O.E. In order to provide a reliable data for future development,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2 parts.. First is to investigate the private facility's strengths and weaknesses that are experienced by the users with P.O.E, and the second is to analyse the users reaction post using multi bed room and single or twin bed room. The study was carried with several methodologies such as interview and on-the-spot investigations. The interviewees were 2 users with the same illness from the multi bed room and single or twin bed room each, and manager, consultant and chief nurse were selected. The first tool was to investigate abilities for daily life (A.D.L.) and daily routine behaviours in specific spaces and to study relation between to two's. And second was to observe each space satisfaction measurement in 5 Likert units. The third was interview on satisfaction and required improvement in the rooms.The facility studied by this thesis is a private elderly facility marketed for upper-middle class and managed by a conglomerate, located in Twechon outside of Seoul. The area is 439 pyung, and consists of A and B tower with 5 floors frpm basement 1 to 4th floor.Summary of this study is as below...1) P.O.ESpaces with higher satisfaction are in order of physio-therapy room, elevator hall and waiting area on 1st floor of A block, and places with lower mark are in the order of roof top, kitchen, program room, toilet, entrance, dinning room, bed room and nurse room. The roof top was dissatisfied by all users, and this is because there is no garden. And study on current facility and future ones show to improve heating and cooling system and ventilation, allocate kitchen and waste management system on each floor, and increase number of private rooms. Also from the interview with 6 users, the multi bed room help the users recovery because of its good day light and conversation between users in the opened area.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private rooms to meet the demand. Hence, users with more serious illness can not use proper room. Secondly, the result of overall satisfaction of rooms shows that the first consideration to chose the room was the facility charge, location comes next, then room environment. Although the users generally satisfy with their rooms and facility's environment, due to the nature of multi bed room, they feel disagreements and conflicts between each other found the most inconvenient. Therefore, the result shows it i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party need to resolve problems with lack of rooms and facility charge burden to meet more various demands.2) Result on comparison between multi and private roomsThe result shows the users in multi bed rooms has better cooperation and frequent interactions. As the users mentally rely on each other in multi room, this could be a better environment for users with dementia. Also the multi room users show longer stay than the ones in private rooms. However, the multi room users also can get stressed if there are frequent conflicts between disagreed parties. Since it is impossible to allocate well-matched 6 users for one room together, the user with more awareness is recommended to stay in private room.The issues between multi and private rooms required to be studied for longer term. This is because although western private facilities recommend private room for the user's privacy, the multi room shows not negative (as mentioned above) result despite of most users preference is private room when the two different rooms are charged the same. From cultural perspective, multi room could be better in general aspect. So, for multi room, some design idea to decrease the stress level by provide more privacy to work with the positive nature of multi bed room.Lastly, this study took a place in use of space with condition of the users. Even though the healthier users are expected to be more active, the studied facility drew different result which is users with worse condition move more. The reason is because the facility schedules for users with worse condition to move more with nurse's help to maintain their fitness. Also, the healthier private room users move less than those healthier ones in multi room.If it was one of the ordinary private facilities with a few nurses, it could be possible the movement of the worse conditioned users would be rare. However, it is predicted since this facility is an up-marketed, one to one caring service makes this opposite result possible. Thus this kind of result should be not read literally but take as a reference. Therefore, a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one facility, it is difficult to generalise the result for whole, yet it brought up the rel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pace which should be concerned in design elderly facilities. It is expected when the more private elderly facilities are developed, the clearer the relation between private facility's environment and real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be, and the study on the relation also be varied.

      • 감성디자인이 적용된 미래 주거공간 연구 : Murtha and Lee의 사용자 이득기준에 따른 미래주택관 human space 사례분석

        유용우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20세기 전반을 통하여 발전해 온 인위적 환경과 공간은 인간에게 편리함과 안락함을 제공해 왔으며 그와 더불어 실내디자인에 대한 공간적 사고도 함께 발전하였다. 또한 현대 정보화 사회에 들어와 실내공간의 계획에 있어서 인간의 감성까지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공간설계의 필요성이 논의되어지고 있다. 이처럼 인간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인간 지향적인 현대사회에서,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인간의 기호를 반영하는 감성공간의 형성이 21세기 실내공간 설계에 매우 중요한 디자인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에 대두될 감성디자인의 적용범위와 감성디자인의 과학적 분석과정을 통해 향후 개발 될 미래주거공간계획을 위한 디자인제언을 하는 것이며 미래주거공간에 대한 가치전환과 감성디자인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Murtha and Lee의 환경디자인 지침인 사용자 이득기준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고 4개의 사용자이득 범주차원에서 나타난 지원성을 기준으로 D사의 미래주택관 Human space를 각 시대별, 공간별로 적용된 디자인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각 시대별로 소개된 주택에서는 사용자 이득기준인 4개의 범주 차원에서 세부 지원성 항목까지 내부공간의 감성디자인 측면들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면 지각적 유지의 차원이 제일 고르게 분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행동의 용이성, 생리적 유지, 사회적 용이성 순서로 디자인 지침이 설정되었다. 지각적 유지의 범주에서는 환경의 형태와 의미가 사용자에게 적절히 전달되느냐와 관련된 지원성으로 이는 직접적으로는 심리적 편안함과 쾌적함에 영향을 끼치고 간접적으로는 기본적인 행동이나 신체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행동적 유인 차원에서는 진입을 유인하고 연계공간을 인지시켜 다닐 수 있는 기회를 증진시켜 주었으며, 지각적 일치 부분에서는 주거공간의 본질적인 기능을 모색하였다. 또한 각 공간기능별로 기대에 맞게 적용되어 연령별 거주자의 특성에 부합되게 적용되었다. 감각의 유인부분은 시각적 차단과 사물이 명료하게 보이도록 감각을 유지시켜 예술적 정서를 증진시키기 위한 유인을 모색하였다. 감각의 조화는 사용자의 흥미를 지속시켜 줄 수 있는 공간 내의 자극 요소들이 얼마나 조화롭고 적절한가에 대한 것에 대해 나타났다. 행동의 용의성 범주에서 나타난 가변성은 세대간의 프라이버시를 조절, 노인의 생애주기 변화에 따른 기능을 보완해 주는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역동성과 기능적인 다양성을 통하여 가변성의 일치가 나타났다. 기능적 일치부분에서는 다양한 공간구성 요소들이 일상생활 기능의 제반 차원들을 통해 언급되었으며 각 공간에서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기위해서 역동적인 조절 기능들을 보여주었다. 조작적 일치에서는 생활의 변화에 따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특성과 좁은 공간에서 공간을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자극의 일치 부분에서는 조명을 통한 전반적 시각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했다. 생리적 유지 측면은 행동을 수행하는 동안에 사용자의 생리적, 생물학적 쾌적성이나 건강을 지속되게 해주는 환경의 지원성을 말하며 기후적 일치부분에서는 루버식문, 창문, 개구부, 재료, 설비, 공간구성 기법을 통해 기후적인 쾌적성을 추구했다. 자극의 규제 부분은 거실과 현관이 외부와 연결되어있어 각종 자극의 규제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여주었다. 위험의 규제는 환경으로부터 상해나 위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환경적 요소가 없는가 하는 것이며 모든 시대에 걸쳐 부엌과 욕실 등에 고르게 적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사회적 용이성의 범주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조절하여 바람직한 수준으로까지 촉진시키는 환경의 지원성을 강조한 차원이다. 사회적 유인에서는 구성원의 가사 참여를 유도하고 상호간의 사회적 관계를 개선시키기 위해 주로 부엌과 정원에서 이 기능이 중요하게 나타났고 공간의 위치와 공간의 개방을 통하여 사회적 관찰성이 나타났다. 사회적 집중성 부분은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여건을 형성하였고 제품을 통해 공간의 구심점을 만들었다. 사회적 고립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사회적 접촉으로부터 피할 수 있게 공간이 계획되었으며 사회적 편익성은 환경특성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보조해 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 모든 내용분석 항목들이 Murtha and Lee의 사용자 이득기준 체제에 전반적으로 해당됨으로써 Murtha and Lee의 환경 지원성 체제는 환경디자인 분야뿐 만 아니라 감성디자인 분야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포괄적인 틀임이 실증적으로 확인 되었다. 결국 인간의 모든 제반분야를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전반적으로 다룬 이 이론이 감성디자인의 기초가 되어야 할 것이며 사례분석을 통하여 미래주거공간의 시대적 발전과 구체적인 공간별 적용에 있어서도 모든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Murtha and Lee의 사용자 이득기준이 전반적인 주거공간에 적용되는 디자인 방법론의 지침으로 정립되어 향후 개발 될 미래주거공간에서의 적용범위가 좀더 종합적이고 총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측면에서 감성디자인을 이해를 하려고 하는 학생들이나 디자이너, 실무 종사자들에게 하나의 중요한 지침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rtificial environment and space, grown throughout the 20th century, have provided convenience and comfort to human and with that special consideration of interior design have grown. Also, in recent informative society people are even discussing the need for the new space planning that can satisfy the sensitivity of human. In human-oriented modern society where the demands of people are various and complex, understanding of human sense are rising as an important issue in interior design of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way of vision for sensitivity design and changing of value for future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range of sensitivity design and scientific analysis. The method of analysis uses Mutha and Lee s User Benefit Criteria which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s supportive characteristics. Human Space in future residence pavilion of company D of each period and spaces is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is that regarding the residence introduced by each period, the sides of sensitivity design of detailed indoors within four categories level of User Benefit Criteria appear to be various. Considering the results of contents analysis, perceptual maintenance level is evenly distributed and a design guide has been set in order of behavioral facilitation, physiological maintenance, and social facilitation respectively. Within the category of Perceptual Maintenance, how adequately the forms and the meaning of an environment are delivered influence, its users as it also affect its user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While it directly provide psychological comfort and vitality, indirectly it influences basic human behavior and physical health. In physical aspect, such attributes encourage entering to a space and enable a user to be aware of his/her movement through continuous space. Perceptually, it promotes fundamental function of residential space. Moreover, its usage complies to individual spatial function, accordingly applied to different age group residents. In order to keep sensitivity alert, perceptual interruption and distinct presentation of objects are included. Thus, such combination contributes to sustaining the users interest and continuously stimulates their perception accordingly.. Flexibility or changeability of behavioral facilitation can b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privacy of individuals and assisting varying needs for elders life cycle. In functional aspect, various spatial components have been revealed through numerous daily functions of space, and in order to make space more approachable, they promote dynamic controlling function. In terms of fabrication agreement, it enables adjustment and reconstruction of space at times of changes in lifestyle and logical usage of limited space accordingly. Regarding stimulation agreement, light is us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general perception. Physiological Maintenance aspect talks about environmental support that sustains biological vitality and health during an action. Methods involving elements such as louver door, window, opening, material, equipment, space composition are used to promote better refreshing climatic condition. By connecting both living area and entrance to outdoor stimulating effect is somewhat limited. Moreover, on safety level any possible components of danger in an environment are concerned and this can be seen at the kitchens and bathrooms of future decades. The category of Social Facilitation emphasizes environmental support that facilitates spatial of mutual interaction in order to bring it to an ideal level. Through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members in household duties, and their interaction at communal spaces such as kitchen and garden, mutual social relationship is improved and in thus aspect, space location and its openness greatly contributed to social observation. Hence, such social concentration enables gathering of people. For the privacy of an individual, isolated space from the outside is planned and for efficient mutu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social conven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assisting such environment. As for the result of analysis, all the items in contents analysis are assigned comprehensively by user benefit criteria of Murtha and Lee. Therefore environmental support system of Murtha and Lee is actually confirmed for comprehensive form, which can be applied to sensitivity design as well as environmental design. Thus case analysis observes the elements of periodic development of future residential space and its explicit spatial applica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Murtha and Lee s User Benefit Criteria could be used as useful material and applied overall when designing of future residence space based on organized materials. Moreover, this study expects to be used as the one of important guidelines to students, designers and practical workers.

      • 아동발달특성에 따른 아파트 단지 내 아동 커뮤니티 교육시설 계획 방안에 관한 연구

        천윤정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리 사회에서 교육은 간과되어질 수 없는 사회적 이슈다. 교육의 대상이 다양화되고 교육의 개념이 포괄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교육시설 및 환경에 대한 요구도 다양화 되고 있다. 이처럼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아이들의 교육을 좀 더 쉽고 편하게 시킬 수 있는 아파트 단지 내 교육시설이 조성되어 있는 단지가 다시 수요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특히 아동에게 있어 커뮤니티시설은 아동의 성장발달과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환경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아동 커뮤니티 시설은 단순히 놀이공간이 아닌 상호작용의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새로운 공간적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선호하는 아동 커뮤니티 시설을 살펴 본 결과, 교육시설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까지 아동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거의 비슷한 시설과 공간을 구성하고 있으며, 아동 커뮤니티 교육시설에 관한 연구와 아동의 발달 특성에 대해 제대로 파악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그러므로 아동을 위한 교육 시설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발달 특성과 실내공간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때 물리적 환경이 아동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아동의 발달 특성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발달 특성에 따라 아파트 단지 내 아동 커뮤니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아동 커뮤니티 교육시설 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아동발달 특성 관련 이론 및 연구를 바탕으로 아동발달 특성 및 유형을 정리하고, 이에 따른 아파트 단지 내 아동 커뮤니티 교육시설의 계획원리를 4가지로 유형화하고, 각 원리에 따른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아파트 단지 내 아동 커뮤니티 교육시설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들의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아동 커뮤니티 교육시설을 조성하기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위험요소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아동의 신체적 발달을 지원해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인지 발달을 위한 세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논리적인 사고와 창의성을 실현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넷째, 정서적 발달을 위한 세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아동에게 주변과 소통하며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성 발달을 위한 세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아동이 타인과의 적절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아동 커뮤니티 교육시설 계획요소와 위에서 언급한 계획방향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각각의 계획방안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환경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계획원리에 따른 계획요소와 아동발달 특성을 종합하여 계획방안을 제시하므로 이를 토대로 아동 커뮤니티 교육시설의 전반적인 계획방안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계획 방안은 앞으로 아파트 단지 내 아동 커뮤니티 교육시설 계획 시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조성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Education i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matter in our society. Recently, as educational objects are diverse and educational concepts become much broader, many people require divers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ircumstances. Since education concerns us significantly, many people want to live in apartment complexes in which there are educational institutions to easily teach children. Especially, for children, the institutions can become an important circumstance to help the children grow and to develop their sociality. Such children community institutions have changed not only as play spaces, but also as places for interaction so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change of new places. Moreover, as a result observing preferred children community institutions, the preference of educational institution is ranked as the highest one. As reading previous researches about children community institutions, it is lack of the studies which analyze well of children developmental features and children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ions. Thus, in order to pl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constructive study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interior spaces and developmental features of children is necessary. Then, as I think, studies in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developmental features should be performed to actively support children’s physical, perceptual,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in physical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plan of children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ion to develop children community in apartment complexes according to children’s developmental features. For this purpose, firstly, as based on studies and theories of children’s developmental feature, types and children developmental features a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summary, 4 types are categorized as planning principles for children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apartment complexes and then planning elements are drawn. Secondl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residences about planning elements for children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apartment complexes.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can draw conclusions as following. First, previously it should be safe from danger for set educational institution in children communities. Second, the space should be given to support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Third, the educational circumstances are constructed to fulfill creativity and logical thoughts of children, with the purpose of making specific circumstances for cognitive development. Fourth, circumstances should be made to give psychological comfort as interconnecting with children’s surround, as a mean to making specific circumstances for emotional development. Fifth, the circumstance should be ready for giving various chances to have appropriate relationship with others, for making specific circumstances to develop sociality. Finally, it is essential to consider circumstantial plans, concerning each plan method constructively, since planning elements of children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ion is intertwined with planning direction mentioned above. This study suggests planning direction summing up planning elements and children developmental features, according to each planning elements. So, based on this, overall plan method about children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be applied in multiple ways.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plan method which this research suggests contributes to fundamental resource, planning circumstances to help constructive development for children in planning children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ion in apartment complexes.

      • AHP 분석법을 활용한 친환경 실내마감재의 소비자 선호도 분석

        김경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오늘날 산업, 과학의 발달에 힘입어 인간 생활이 매우 편리해졌으나 문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결과물의 하나로 각종 오염의 발생 등 환경오염이라는 심각한 현상을 남기었다. 특히 일상생활의 대부분(90%이상)을 실내에서 보내는 현대인들에게 각종 건축자재에서 나오는 유독성화학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환경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급증하게 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이 최근 50여년 사이에 거의 두 배로 증가한 변화는 단순히 신체적으로 건강해졌음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삶의 질’을 요구하게 되었다. 건축계도 예외는 아니어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건강과 주택디자인이 관련 있다고 생각하며,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Green product''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촉진 시켰다. 이에 친환경시장을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고, 국가적 차원에서도 친환경상품 보급 활성화를 위한 기반의 확충으로 주거환경과 밀접한 친환경상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유행처럼 번지는 친환경상품에 대해 과연 소비자들이 상품의 친환경성에 부여하고 있는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의문에 본 연구는 기초한다. 즉, 똑같은 상품이더라도 일반상품과 친환경 상품이 있을 때 친환경 상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얼마나 더 그 가치를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친환경 마감재의 시장의 현황과 소비자들의 실내마감재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여 보다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며 현실적인 친환경 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 하에 시장조사와 함께 설문조사를 행하였다. 설문조사는 계층화 분석법을 이용하여 실내마감재의 주수요 계층인 인테리어 디자이너와 일반 주부의 두 그룹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응답자들은 벽지, 온돌마루, 수성 페인트의 세 종류 마감재에 대하여 브랜드와 친환경성의 두 요인을 조합한 4개의 보기카드의 선호 순위를 응답하였으며, 이때 시장조사를 통해 산출된 일반마감재와 친환경 마감재의 가격을 참고로 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은 Expert Choice를 이용한 계층화 분석과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SPSS Window Version 1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이들 관계를 수치계수로 확인하여 더 의미 있는 분석을 하고자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문가와 주부, 전체 응답자의 주거공간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실내마감재는 온돌마루, 벽지, 수성페인트 순이었다. 이들의 친환경성 선호도를 살펴보면 벽지는 일반 벽지보다 친환경 벽지가 1.56배의 가치를 나타냈고 수성페인트는 1.63배, 온돌마루는 2.12배를 나타냈다났다. 또한 상관관계와 회귀분석 결과 여성일수록, 고소득일수록, 고학력일수록, 비전문가(주부)일수록 친환경성을 선호하였다. 집단별로는 전문가 보다는 주부들이 친환경성에 가치를 더 부여하였으며 주부들 중 강남 지역, 50대 이상의 주부, 50평형 이상의 주택 규모, 전업주부에게서 친환경성의 가치가 높게 나타나 이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상품을 개발 판매 한다면 건축자재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마감재와 친환경 마감재의 가격 부분에서는 친환경 마감재가 전반적으로 약 2배 정도 비싸게 판매되고 있었으나, 마감재별 친환경성의 선호도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친환경 실내마감재의 가격을 비교해 보면 벽지는 소비자들이 느끼는 친환경성 가치율에 비해 가격이 높게 판매되고 있었으며, 수성 페인트는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고, 온돌마루는 소비자들이 느끼는 친환경성에 비해 낮게 판매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연히 친환경 실내마감재에 대해 비싸다는 인식은 품질의 검증 유무에 다른 신뢰성 부족과 전문가들의 지식 부족, 정부 차원의 홍보와 활성화를 위한 제도의 부족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어지므로 정부 차원에서 전문가와 일반소비자 모두 쉽게 수용할 수 있는 친환경 관련제도 및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건설 자재 업체들은 다양하고 좋은 품질의 친환경 마감재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들이 친환경성의 의미를 ‘건강에 유해하지 않음’ 이라고 생각하고 친환경 실내마감재 선택의 중요 요소를 인체의 유해성 여부를 우선시 하고 있다는 점은 주거 공간에 건강성이란 큰 이슈를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에 발맞춰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제품 개발로 쾌적하고 건강한 친환경 주거 문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테리어 디자이너를 전문가 집단으로 한정 하였지만, 친환경 건축자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타 건설 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여 리모델링만의 개념을 넘어 신규 분양하는 공동 주택에도 적용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고령화와 삶의 질을 우선시하는 경향으로 건강과 주거환경에 대한 새로운 대안과 쾌적성을 요구하는 이 시점에서, 소비자들의 친환경성 가치와 친환경 실내마감재 선택 행동의 특성에 관한 본 연구는 향후 건강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위해, 정부 및 업체, 전문가들에게 기초 자료로써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hile human life has become convenient owing to recent development of industry and science, however it remained a serious situation named as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generates of various pollutions due to such development of civilization. Especially, for those modern people who spending most of their routine life(more than 90%) in indoor, the concern with regard to environment has rapidly increased since the possibility becomes higher to be exposed to poisonous chemical material originated from various building materials. Moreover, as the average span of life in our country has been increased to nearly double during recent 50 years, such change means not only it simply became physically healthy but also being required a healthy quality of life, as well. In view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circle as also with no exception, since consumers consider health and residence-design are mutually connected with, an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social interesting on environmental problem, it has promoted the interesting and preference regarding to ‘Green Product''. Thereby, the enterprise which utilizes environmentally-friendly market as its own marketing strategy is gradually increasing, and by expansion of the foundation for popularizing activation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merchandise also at the national dimension, those the environmentally-friendly commodities closely related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are being rush pouring. However, with reference to such environmentally-friendly commodities that are spreading along likely a fash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estion that how much value is quite investing by consumers to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perty of the merchandise. So to speak, when there are the ordinary commodity and the environmentally-friendly merchandise, respectively even as just same products, how much ready to pay more in purchasing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merchandise, for which it intended to know through this study. Under an object in order to provide the essenti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environmentally-friendly material also in compliance with the requirement of consumer, the questionnaire inquiry together with the market survey has been conducted by grasping of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domestic environmentally-friendly finishing material market as well as the preferential degree of consumers about the finishing material. The questionnaire inquiry used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carried out for the objects of two groups such as those of interior designers and common housewives, the main demanding stratums for interior finishing goods. Those respondents answered their preferential ranking of 4 examples-card combined with two factors in Brand and Environmentally-Friendly Property about the three kinds of finishing material as Wall Paper, Korean Ondol (hypocaust) Floor, Emulsion Paint, and it referred the prices of the ordinary finishing material and the environmentally-friendly finishing material that computed through market survey. Statistical treatment method aims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Variable using of Expert Choice, it analyzed the correlation using of SPSS Window Version 10, and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for more meaningful analysis by means of affirmation these relationships by coefficient of numerical value. The researched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ing likely as follows: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regarded as important in residential space appraised by those experts and the whole housewives group were by the order of Korean Ondol (hypocaust) Floor, Wall Paper, Emulsion Paint, respectively: Environmentally-Friendly Wall Paper appeared its value of 1.56 times than Ordinary Wall Paper, in the same case of Emulsion Paint is at 1.63 times, Korean Ondol (hypocaust) Floor at 2.12 times, respectively. Besides, a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y preferred to environmentally-friendly property by the nearer women, the nearer larger incomes, the nearer highly educated, the nearer non-experts(housewives). By each groups, those housewives-group vested the value more to environmentally-friendly property rather than the experts, and since the value on the environmentally-friendly property has been displayed by those housewives who are living in Kangnam Region, Seoul, aged over than 50s, possessing the house scale of larger than 50 Pyung, the normal housewives, if the diversified merchandises for objecting of those housewives would be developed and sale, it is considered to be able to furnish a vitality for building material market. In the pricing sector of the common finishing material and environmentally-friendly finishing material, while the environmentally-friendly finishing material is selling at the price of almost double level in the whole, when comparing the preferential degree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perty by those finishing materials with the price of the currently circulating environmentally-friendly finishing material, Wall Paper is now selling at higher price compare with the value-ratio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perty what consumers realizing, in case of Emulsion Paint, it is being formed comparatively rational price, Korean Ondol (hypocaust) Floor was selling at lower price compare with the environmentally-friendly property what consumers are sensible. Nevertheless, the vague recognition that the environmentally-friendly finishing material is expensive, is judged as it caused by lack of confidence according to verification on the quality and knowledge shortage of the experts, insufficiency of the system for government dimensional publicity and its activation, therefore, it requires the system and program for which both the specialist and general consumer are able to accept, and the manufacturers of construction materials should propose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finishing material of the diversified and good quality at the reasonable price level. As the result of questionnaire inquiry, consumers think the meaning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property as ''does not harmful to health'', and the important factor of the choice of environmentally-friendly finishing material is treating as the preference for the standard whether it is harmful or not to human body, which furnishes a great issue named as health property to residential space. Accordingly, in compliance with the changing steps of consumer recognition, the delightful and healthy environmentally-friendly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by development of the product what consumers are requiring. In this research, the said ''expert'' was defined as ''interior designer''. It is considered that the information beyond the concept of remodeling which is applicable to also newly distributing associated house could be built, if a study regarding to those employees of other construction industry is run parallel. At this time point where the new alternative proposal and delightfulness concerned with health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re needed because the concern regarding to environment is going higher, advanced aging and the trend to prefer to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researching on the value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perty for consumers and the characteristic of selecting action for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perty,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importantly as a fundamental data for those of government, enterprises and experts for the healthy and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future.

      • 공동주택 친환경 실내마감재 적용현황과 적용 장해요인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경호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건축물에 요구되는 에너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인 고단열화ㆍ고기밀 건축공법은 실내 환기량을 감소시켰고, 최근 들어 많은 내장재들이 새롭게 개발됨으로써 새로윤 실내공기 오염원을 발생시켜 실내공기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특히 건축내장재는 건물 공기환경의 질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건축내장재의 30~50%가 유기화학재료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유기화학재료는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새집증후군(SBS: Sick Building Syndrome), 건물관련 질병(BRI: Building Related Illness), 화학물질 과민증(MCS: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등의 증상을 초래하고 있다.본 연구는 첫째,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 시행에 따른 각 건설사별 적용 마감자재 변화에 대한 분석을 하였으며, 둘째, 건설사 인테리어 담당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친환경 마감재에 관련된 개선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셋째, 친환경 실내마감재 제조 및 유통업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개발현황 및 장해요인 파악을 위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다중 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전후에 분양된 국내 아파트의 마감자재리스트를 분석한 결과는 일반 마감재에서 친환경 마감재로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건설사에 따라 적용범위와 방법에는 다소간에 차이를 볼 수 있었다. 국내 건설사의 친환경 마감재의 적용현황은1. 벽지, 온돌마루판 등의 표면적이 넓은 마감재의 우선적인 적용2. 천연페인트, 친환경 수성페인트, 친환경 시트지의 부분적인 적용3. 도배시공용, 온돌 마루판용 친환경 수성 접착제의 적용4. 가구의 친환경성에 대한 검토 및 제한적인 적용 등으로 나타났다.건설사측 개선요구 사항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로는 마감재 선정시 디자인 및 색상이 친환경성보다는 우선하고 있었고 신제품 및 마감재에 대한 정보 수집은 영업사원 및 협력업체에 많은 부분 의존하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친환경성에 대한 인식은 건강에 유해하지 않아야 하는 건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마감재의 인증제도와 관련하여 인증제도의 필요성은 동의하나 현재의 인증시스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재 등에 대한 개선요구 사항으로는 접착제류의 개선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제작 가구의 친환경성 검증 및 도입, 건식 무늬목의 적용, 벽지의 개선방향 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그리고 디자인 개발 및 신자재의 개발에 관한 요구 또한 나타났다.제조업체측의 친환경 마감재 개발 현황 및 장해요인의 조사의 결과로는가격상승의 문제, 시공성, 대체품의 부재, 현장검증의 어려움, 이 네 가지가 마감재의 종류를 불문하고 공통적인 장해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체품의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연구비의 투자, 개발된 대체품의 시공성 확보를 위한 추가개발 및 시공성 검증기간의 확보, 마감자재리스트에서 정해진 것과 같은 상품을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였는지 검증하기 위한 간이검증방법의 개발, 친환경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가격상승을 건설사가 수용하고 추가비용을 부담하며, 친환경성을 가격으로 환산할 수 있는 환경비용의 개념을 소비자가 가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소비자 환경교육, 이 네 가지가 시급한 개선이 요구되는 사항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 인증기관의 단일화 및 인증 평가시 제출용 시료대신 기성제품에서 시료를 채취해야할 필요성이 있다는 요구도 있었다.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면 아래와 같다.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시행은 우리나라 공동주택 건설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대부분의 건설사에서 법규 시행 이후 친환경 마감재를 적용하고 있었으며, 이는 법규시행의 초기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법규시행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아, 시공성의 검증이 완료되지 못한 상황에서 시장에 제품을 투입하여 하자가 발생한다던가, 업체가 제출용 시료와 시장용 제품을 다르게 제조한다던가, 인증기관의 이원화에 따른 신뢰성 확보의 부족 등이 그러한 부작용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결론적으로, 우리나라 공동주택 내부에 친환경실내마감재의 적용을 향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대체품의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연구비의 투자, 둘째, 개발된 대체품의 시공성 확보를 위한 추가개발 및 시공성 검증기간의 확보, 셋째, 마감자재리스트에서 정해진 것과 같은 상품을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였는지 검증하기 위한 간이검증방법의 개발, 넷째, 친환경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가격상승을 건설사가 수용하고 추가비용을 부담하며, 또한 친환경성을 가격으로 환산할 수 있는 환경비용의 개념을 소비자가 가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소비자 환경교육이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요구 사항으로 나타났다. The efforts to improve the persistence and the capability of housing materials have been causing side-effects such as lack of ventilation and indoor air pollution. Recent studies also indicate that about 30~50% of housing materials consist of the chemical substances and these chemical substances are causing serious diseases such as Sick House Syndrome and Building Related Illnes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analyse the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hat have been used by construction companies since the indoor air regulation were in force (2) to find out the interior designers'' requirements of current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hrough the survey (3) to investigate the current development status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obstacles in applying those materials to apartment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An analysis on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used in apartments indicates that since the indoor air regulation were in force, there has been a clear transition from ordinar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o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However, according to construction companies, there seems to be some differences in scope and methods in using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current applications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hat have been used by construction companies.1. The environment-friendly finishing materials with a large surface area such as wallpaper and Korean Ondol (hypocaust) floor have been used most.2. Natural paint, environment-friendly emulsion paint and environment-friendly decoration sheet have been used by some construction companies.3. Environment-friendly emulsion adhesives for installation, wallpaper and Korean Ondol floor have been used relatively less.4.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friendly furnitures seem to be in the initial stages.The result of the survey indicates that (1) interior designer in construction company consider design and color as more important factors than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when choosing finishing materials, (2) to obtain information on new products and finishing materials, interior designers seem to highly depend on sales personnels and associates. Also,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interior designers perceiv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s 'healthful materials'. The interior designer in construction company agreed that an authentication system for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was necessary but they did not seem to be ful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system. Their requirements on the environment-friendly finishing materials are improving adhesives, wallpapers and design, building an authentication system for the environment-friendly furnitures, using natural wood veneer and developing new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 identifies that there are four common obstacles in applying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o apartments; high price, installation method, lack of substitutes and difficulties in inspecting at the work area whether the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re correctly used as planned. To solve these problems, following requirements were suggested; (1)making an investment in substitutes development and further improvement in the application of those substitutes, (2)developing a simple inspecting system to check whether the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re correctly used as planned, (3)reducing the price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by construct companies''s paying the additional cost, (4)educating customer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environment price'.

      • 유비쿼터스 전시관의 서비스개발에 관한 연구 : 태그기반 상황인지기술을 중심으로

        김태흥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유비쿼터스 전시관의 서비스개발에 관한연구유비쿼터스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찾을 수 있다. 유비쿼터스는 '어디에서나(everywhere)'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유비크(ubique)'에서 파생된 말로 사용자가 이용하기 쉽고 편리한 IT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도입된 새로운 개념이다.유비쿼터스는 일반 사람, 초보자 또는 공학도가 접하기에는 매우 막연한 개념이다. 하지만 해외 연구기관의 유비쿼터스 프로젝트들은 유비쿼터스의 의미를 구체화시키는데 한층 공헌을 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단어는 5c와 5Any 개념이 있다. 5c는 컴퓨팅(Computing),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접속(Connectivity), 콘텐츠(Contents), 조용함(Calm)을 의미하며, 5Any 개념은 언제나, 어디서든, 어떤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다양한 기기로, 다양한 서비스(Anytime, Anywhere, AnyNetwork, AnyDevice, AnyService)를 지향하는 개념이다.유비쿼터스와 디지털정보화 기술로 인해 산업의 전반적인 프로세스가 변화했다. 박물관, 미술관, 전시관, 박람회 같은 전시건축에도 IT기술의 접목이 가속화되고 있다. 유물이나 미술품을 다루는 일은 전문영역이며 전시되어 있는 유물 외에는 일반인이 관람할 수 없는 고유영역이었으나 유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성으로 전국의 주요 박물관의 경우에 유물검색으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그뿐 아니라 디지털 가상공간에 건축한 사이버박물관은 관람객에게 사전관람효과와 현실관람 이후에 중요한 복습효과를 주고 있는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전자인식(RFID)는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을 말한다. IC 칩에 내장된 정보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 비 접촉방식으로 읽어내는 기술이다. 이는 상품, 화물, 자재, 유가증권 등 모든 물건과 동식물 등에 부착하여 생산, 유통, 판매 등에 있어 관리 효율 및 고객만족도 향상을 통해 획기적인 비용 절감을 가능케 하는 기술을 말한다.전시관은 전시라는 특정한 매체를 통하여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관람객을 대상으로전시물을 보여주며,관람객이 전시물과 정신적으로 상호교류작용이 발생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태그를 기반으로 한 상황인지기술은 이러한 전시공간의 상호교류작용을 통하여 인식됨으로써 미래의 유비쿼터스 전시환경의 서비스개발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인지기술을 통하여 급속히 변화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서비스개발 방법론에 대해서 연구해 보고자 하며, 태그기반의 상황인지기술이 유비쿼터스전시관의 가장 중요한 서비스개념으로 변화한다는 가설을 전제로 한다.첫째, 유비쿼터스 환경의 테그기술에 대해 연구 고찰한다.둘째, 전시관에서 전시공간의 불편사항 및 개선사항을 설문조사 분석후, 미래의 유비쿼터스전시관 전시공간의 유비쿼터스기술(전자테그기술 중심)을 통해 개선가능한 서비스개발 방법을 연구 분석 제시한다.\셋째, 전시관 전시물의 전시에 불편사항 및 개선사항을 설문조사 분석후, 미래의 유비쿼터스전시관 전시물의 유비쿼터스기술(전자테그기술 중심)을 통해 개선 가능한 서비스개발 방법을 연구분석 제시한다.넷째, 전시관 사용자 그룹( 관람객, 전시기획자, 관리자)의 불편사항 및 개선사항을 설문조사 분석후, 미래의 유비쿼터스 전시관 사용자그룹의 유비쿼터스기술(전자테그기술 중심)을 통해 개선가능한 서비스개발 방법의 발전과정을 연구분석 제시한다.끝으로 미래의 유비쿼터스전시관에 활용가능한 서비스개발사례를 설문조사분석하여 정리함으로써 급변하는 유비쿼터스전시환경에 활용할 수 있는 태그 기반의 상황인지기술을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제시하고자한다.유비쿼터스전시관의 환경은 다종다양한 현실세계의 디바이스, 사물과 환경 속으로 스며들어 상호연결 되어 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로도 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인간 , 사물, 공간 간의 최적 환경이다.유비쿼터스 서비스는 유비쿼터스 인프라의 구축을 전제로 하고 그에 따른 엄청난 투자비용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하기 때문에 정부 공공부문의 인프라 구축 선행을 통한 트리거링전략의 구현이 가장 합리적이고 점차 민간 사업부문으로 확대를 꾀하여야한다. 즉 유비쿼터스 환경속의 많은 요구로서 편리성의 추구, 고품질의 추구, 개인화의 추구 등이 있다.유비쿼터스기술은 유비쿼터스 기본 철학인 편재성, 내재성, 연결성, 이동성, 상황인지등을 실현하는데 적합한 요소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중에서 상황인지기술은 센싱기술로서 각각의 센싱기술의 집합체이며 이를 통한 추상화된 상황을 도출하는 기술이다.주변의 환경을 센싱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이나 위치, 기호등을 이용해 필요한 서비스를 추론 도출 할 수 있다. 센서는 외부의 환경변화 감지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입력장치를 의미하며, 시청각정보는 물론 빛, 온도, 냄새 등 물리적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스스로 전원이 없는 수동형 센서와 스스로 존원을 가지고 동작하는 능동형 센서로 나눌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테그기반의 상황인지기술을 중심으로 변하는 유비쿼터스전시관의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설문조사 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첫째, 전시공간에 있어 입출구의 단순한 바코드 기능에서 전자인식(RFID)으로 대체 되면 인원의 수, 성별 ,나이별, 학력별, 바이어와 단순 관람객 등으로 구분하여 세분해서 분석할 수 있고, 입장표나 등록서등 전시홍보용인쇄물이 현저하게 줄고, 전자칩으로 모든 것을 결재하면 입구나 로비의 혼잡을 개선 할 수 있으며, 전시 관람중 관심분야의 전시공간이동에 있어 짧은 동선으로 최소의 시간으로 최대의 전시관람을 할 수 있다.둘째, 전시물(전시참가회사나 전시관 관리회사)의 전자인식으로 인해 대량의 정보를 전달 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전시홍보물이나 포스터 등이 사라지게되어 인쇄비의 절감과 더불어 환경개선에 많은 변화를 줄 것이다.셋째, 사용자그룹의 관람객중 아동은 전시관의 이동경로가 파악되어 미아보호에 도움을 줄 것이며, 성인은 성별, 나이별, 학력별, 고객과 비고객, 전문가와 비전문가등으로 구분하여 이동경로 분석 및 현황을 실시간 확인 할 수 있어 전시기획자나 전시관 관리자에게 전시 종료후 영업에 많은 분석자료를 줄 것이다. 장애자는 위치추적이 가능해서 비상사태시 관리 대처하기가 쉬울 것이다.끝으로 전자인식만으로는 능동적인 유비쿼터스 내트워크를 구현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고, USN(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트)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위한 기반기술로서 최적의 방식을 제공하므로 향후 이에 대한 지속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term 'ubiquitous' stems from Latin 'ubique' which means everywhere. It is a newly introduced concept to embody the IT environment which can be easily accessible and convenient to use.Ubiquitous is a sort of ambiguous notion that ordinary people, beginners or engineering students cannot fully grasp. Ubiquitous projects conducted by overseas research institutes, however, play a great part to make 'ubiquious' clearly elucidated. Ubiquitous computing can be defined in a more concrete way with 5c and 5Any; 5c mean Computing, Communication, Connectivity, Contents and Calm, and 5Any involve Anytime, Anywhere, AnyNetwork, AnyDevice, and AnyService.Ubiquitous and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have changed almost all industrial processes. IT technology has been rapidly brought in exhibition buildings such as museums, art galleries, exhibition halls and pavilions. Relics or art works that had allowed only by professionals or experts, keeping out of reach of ordinary people, have come to be open to the public in a form of database through which we can search for relics or remains in any museums across the country. In addition, cyber museums set up in digitally virtual space greatly serve to provide viewers with useful contents, advance information before the viewing, and revision effect afterwards.RFID stands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t is a technology to read information from the IC chip in a non-contact manner by using radio frequency. Attaching it to all kinds of objects, animals and plants, including merchandises, freight, materials, securities, dramatically help to reduce cost as it brings better management efficienc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out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s areas.Pavilions display exhibits to viewers in a specified time and place through a specific media, where viewers can mentally interact with exhibits.Tag-based context-awareness technology will have great influences upon the service development of ubiquitous exhibition environment in the future, through the interaction in such ubiquitous halls. This study explores to methodology for the service development of the rapidly changing ubiquitous environment, on the assumption that the tag-based context-awareness technology turns into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services provided by ubiquitous halls.First, this study delves into tag technology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Second is to conduct surveys into inconveniences and things to improve in ubiquitous halls, relating to exhibition space, and to analyze them. With this result, this study comes up with feasible ways to develop services for exhibition space through ubiquitous technology (based on RFID).Third is to conduct surveys into inconveniences and things to improve in ubiquitous halls, relating to exhibitions, and to analyze them. With this result, this study comes up with feasible ways to develop services for exhibitions through ubiquitous technology (based on RFID).Fourth, surveys are conducted to look into inconveniences and things to improve in ubiquitous halls, relating to user groups of the halls, and analyze them. With this result, this study comes up with feasible process to develop services for user groups through ubiquitous technology (based on RFID).In concluding, this study surveys into practical cases in service development and analyze them, and suggests the tag-based context-awareness technology to be used in rapidly changing ubiquitous environment as a significant paradigm.The environment in ubiquitous halls, where various real-world devices are instilled into objects and environment, provides people, objects and space itself with optimal milieu which they can freely interact and use services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any terminal networks.The ubiquitous service which can be offered only under the ubiquitous infrastructures, requires hugh amount of investment. To solve this problem, Triggering strategy by means of constructing infrastructure in the governmental and public sectors seems to be the most reasonable, and it should be gradually expanded toward private sectors. That is, diverse demands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include convenience, high-quality, and individualized environment.The ubiquitous technology is the most appropriate to translate omnipresence, inherence, connectivity, mobility, and context-awareness, into reality. On top of it, the context-awareness technology is an integration of various sensing technologies, helping to elicit abstracted context.Sensing surrounding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users with their desired services by using their behavioral patterns, locality and signs. A sensor means an input device of ubiquitous computing to detect exterior environmental changes. It can transform visual information and chemical energy such as light, temperature, and smells, into electric signs. Sensors come in two kinds; passive sensors without electric power source, and active sensors with it.This study, focusing on service development of ubiquitous halls transformed into tag-based context awareness technology, comes to conclusion as follows through surveys.The first conclusion elicited from this study is to change the existing simple bar-code at the entrance, into RFID device. For RFID can classify visitors into numbers, sex, age, education level, and even check if they are buyers or simple viewers, and can remarkably reduce printing matters for publicity that include admission tickets and registration forms. Furthermore, payment by a way of IC chip can moderate the bustling at the entrance and lobby, and viewers can make get the best out of the viewing at the least time, making the path of flow shortest as possible.Second, RFID of exhibitions (exhibiting companies and management companies) can deliver hugh amount of information, cutting down printing cost and improving environment in the wake of reduced publicity materials or posters.The third conclusion is that children can be protected from missing as all the visitors' path of flow are checked, and exhibition planners and management companies can get up-to-the-minute information as RFID can analyze visitors' path of flow and present status classifying them into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into customers and non-customers,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s. In addition, RFID can help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s in case of emergency while they are viewing the exhibitions.Finally, the study maintains that active ubiquitous networks cannot be constructed only with RFID. Adn thus, further studies should follows focusing on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an infrastructure technology for ubiquitous network, which can provide optimal process.

      • 결혼예식의 서비스 물리적 환경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호텔, 일반예식장 및 종교 결혼식장 비교를 중심으로

        김경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호텔, 일반 예식장 및 종교 결혼식장의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 적 환경에서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점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결혼 예식 서비스의 물리적 환경이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지역의 20~30대 성인 남, 여를 조사 대상으로 2009년 10월 12일부터 2009년 10월 24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설 문지 400부를 배포하고 이 중 355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 한 유효 설문지 315부(회수율 78%)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은 고객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 예식 유형별 서비스 물리적 환경의 중요도-수행도(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 결과, 제A사분면의 “Focus Here”, 즉 중 요도는 높으나 수행도는 낮아서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부분으로 호텔 결 혼식장은 ‘시설물이 매력적이다’, ‘의자나 테이블의 넓이는 충분하다’가 나타났 으며, 일반 결혼식장은 ‘다른 테이블 간격이 충분하다’가 나타났다. 종교(교회, 성당) 결혼식장에서는 제D사분면의 “Overdone”, 즉 중요도는 낮은 반면 수행도 가 높은 영역에 속해 있는 항목으로 ‘시설물 및 건물 외관의 색채가 매력적이 다’가 나타나 필요 이상으로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결과, Cronbach's alpha 값이 모두 0.7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검증 되었다. 요인 분석 결과 결혼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 중요도 및 수행도는 쾌적도, 매력도, 분위기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고객 만족도는 고객 만족도 1개 요인, 태도적 충성도 는 태도적 충성도 1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항목별 수준 및 순위 분석 결과,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 중요도는 ‘화장실이 청결하다’, ‘실내의 바닥과 통로는 깨끗하다’, ‘실내의 시설 물이 깨끗하다’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 수행도는 ‘실내의 바닥과 통로는 깨끗하다’, ‘화장실이 청결하다’, ‘실내의 시설물이 깨끗 하다’ 순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에서는 깨끗함, 청결 함 등과 관련된 항목이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고객 만족도는 ‘이 웨딩 장소를 이용하여 즐겁다’, ‘이 웨딩 장소는 대체로 만족스럽다’ 순으 로 나타났고, 태도적 충성도는 ‘나는 다른 웨딩 장소보다 이 웨딩 장소가 더 좋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 웨딩 장소를 다른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순 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 예식 유형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 중요도에서 쾌적도 요인은 호텔, 일 반, 종교 결혼식장 순으로 나타났고, 매력도 요인은 호텔, 종교, 일반 예식장 순으로 나타났으며 분위기 요인은 호텔, 일반, 종교 결혼식장 순으로 나타났 다.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 수행도는 쾌적도 요인, 매력도 요인, 분위 기 요인 모두 호텔, 종교, 일반 예식장 순으로 나타났다. 고객 만족도는 호텔, 종교, 일반 예식장 순으로 나타났고, 태도적 충성도도 호텔, 종교, 일반 예식장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결혼 예식 서비스 물 리적 환경 중요도는 한달 총수입에 따라 쾌적도 요인의 중요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 수행도 중 매력도 요 인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평가했고, 기혼이 미혼보다 높게 평가했으며, 관리 /사무직이 가장 높게 평가하고 전문직이 가장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및 충성도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 타내지 않았다. 여섯째,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 만족도 및 충성도를 구성하는 각 요인 간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통계 적으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은 고객 만족도 및 태도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 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결혼 예 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 중 고객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호텔, 일반 예 식장의 경우 분위기, 쾌적도, 매력도 순으로 나타났고, 종교 결혼식장은 분위 기, 매력도, 쾌적도 순으로 나타났다. 태도적 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호 텔 결혼식장의 경우 분위기, 매력도, 쾌적도 순으로 나타났고, 일반 예식장은 쾌적도, 분위기, 매력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종교 결혼식장은 매력도, 분위기, 쾌적도 순으로 나타나 결혼식장 유형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결혼 예식 서비스의 장소별 물리적 환경에서 ‘의자나 테이블 간격의 넓이가 넓다’, ‘화장실이 깨끗하다’, ‘실내 이동시의 통 로가 넓다’ 항목이 공통적으로 지적 되었으므로,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충분 한 공간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 중 분위기, 쾌적도, 매력도 요인은 모두 잘 관리되어야 할 부분이며, 서 비스 물리적 환경은 한번 설정되면 자주 교체 할 수 없고, 비용이 많이 지출 되므로 초기 설계 단계부터 계획적인 수립을 통한 결혼 예식 서비스의 물리적 환경 구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세심한 배려가 결혼 예식 고객의 만족도와 충 성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 개 선을 위한 연구를 거듭해야 할 것이다. 핵심 되는 말 : 결혼 예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Servicescape), 만족도,충성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