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생활 부적응 학생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심성개발 수련 program의 연구 동향과 효과에 대한 고찰

        이하중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심성개발 수련program의 연구동향과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학교 현장에서 실제 직접 지도 연구한 결과의 산물인 전국 주요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 도서관에서 검색된 심성개발 수련에 관한 전국 주요 (교육)대학원의 석사학위 논문 46편을 연구 주제별, 연구대상별, 연구연도별, 연구 (교육)대학원별 연구방법별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분석 고찰하였다. 그리고 심성개발 수련 program에 대한 효과는 인성, 자아개념, 자아 정체감, 자아 존중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 첫째, 연구동향은 전국 주요 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의 연구 결과 주제별로는 자아개념의 연구, 심성개발 수련 program의 개발 연구, 자아 존중감의 연구, 사회성 연구, 인성 연구, 교우관계 연구, 적응연구, 자아 정체감의 연구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별로는 중·고등학교 학생, 초등학교 학생을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연도별로는 1996∼2000년대, 1991∼1995년대, 1986∼1990년대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교육)대학원별로는 울산대(교육)대학원, 건국대(교육)대학원, 동아대(교육)대학원, 명지대(교육)대학원, 아주대(교육)대학원 순으로 수도권과 지방 대학원이 거의 비슷하였다. 연구방법별로는 심성개발 수련 program이 미치는 효과, 심성개발 수련program이 미치는 영향 순으로, 심성개발 수련 program이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둘째, 심성개발 수련 program은 긍정적인 인성의 변화와 자아개념과 자아 존중감을 형성시키고, 자아 정체감도 확립시켰다. 이것은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생활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부적응 예방과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적응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rend and of the mind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for the maladjustment students' adjustment ability improvement in school life. One is to analyze and to contemplate the study trend through the 46 masters' theses about the mind development training to be searched in the National library and the Library of the National Assembly, being classified by the subjects, the objects, the years, and the graduate schools' study methods. The other is to analyze and contemplate the effect for the mind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tries to analyze the personality, the self, the identity, and the self-esteem. The results about the study trend have been done like fallowing; first, as the study for the subjects, it has been done in the order of the studies about the self, the self-esteem, the mind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the sociality, the personality, the friendship, and the adjustment second, as the study for the objects, it has been done in the order of the studies about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as the years, it has been done in the order of the studies about from 1996 to 2000, from 1991 to 1995, from 1986 to 1990 firth, as the graduate schools' study methods, it has been done in the order of the studies abou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Ulsan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Konkuk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Donga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Myongji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Ajoo University to be located o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and the provinces finally, as the study methods, it has been done in the order of the studies about the effect and the influences of the mind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and there are much study about its effect. The mind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formed the change of the affirmative personality, the self, and the self-esteem. The program also built up the identity. It made the maladjustment students' adjustment ability in school life change desirably. It has the effect of the precaution and cure against adjustment in their school life.

      •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정책 분석을 통한 한국어교육기관의 운영 개선 방안

        김수현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정책 분석을 통한 한국어교육기 관의 운영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와 법무부 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정책을 분석을 토대로 유학생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탐색하여 한국어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 운영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외국인 유학생 정책의 문제점?개선방안에 대하여 논 의한 연구 및 정책보고서를 살펴보았다. 공통적으로 한국유학 홍보 부족, 국내 수학 여건의 취약을 외국인 유학생 정책의 문 제점으로 지적하였다. 그러나 구체적인 개선 방안이 아닌 정부차원 혹은 대학들의 지속적인 노력을 제고하는데 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장에서는 교육부와 법무부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정책을 정리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유학 홍보 및 정보 부족,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사후 관리 부족, 셋째, 국내생활의 여건 취약으로 나타났다. 3장에서는 교육부?법무부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 분석을 토대로 외국 인 유학생 및 한국어교육기관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먼저 서울 소재 4년 제 인증 대학?대학원 및 한국어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55명의 외국인 유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유학 생들이 한국유학에 대한 정보 부족을 겪은바 있으며 한국문화 적응, 학 교생활 등의 어려움 또한 겪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국어 교육기관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역별 2곳의 한국어교육기관을 임 의 선정하여 사이트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국어교육기관의 현황을 분 석한 결과 외국인 유학생에게 시간제 취업(아르바이트) 제도, 유학생 보 험 등 한국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상담, 장학금 지원 등도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4장에서 외국인 유학생 정책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한 국어교육기관의 운영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SNS를 활용한 한 국유학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생활 적응 및 한국어 학습을 위 한 1:1 멘토ㆍ멘티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상 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한국유학 생활에 필요한 정보(시간제 취업, 보험)를 제공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 정책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실질 적으로 한국어교육기관이 수행할 수 있는 운영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노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국내의 많은 한국어교육기관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 한다. This is the research dealing with the operation improvement plan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ttraction&management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operation improvement plan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exploring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international students’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ttraction&management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Justice. In chapter 1, it illuminat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explores researches and policy reports discussing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the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y say in common that problems of the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are the lack of promotion and the weakness of studying conditions in Korea. However, they don't suggest specific improvement plans, but they only raise consistent efforts by government and universities. In chapter 2, it analyzes and organizes the attraction&management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dividing the international student-related-government in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Justice in respect. It shows that problems of the policy are the lack of promotion and information regarding studying in Korea, the poor follow-up servic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vulnerable conditions living in Korea. In chapter 3, based on above problems, it conducts a survey and explore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olicy and Korean Language Institute. Those who questioned are 55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in a four-year-course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in Seoul. The result shows most of them have difficulty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studying in Korea and they also have difficulty in adjusting Korean culture and school life while studying in Korea. After analyzing the current condition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based on the survey, many of them do not inform necessary information required for living and studying in Korea such as insurance, part-time job and etc. In chapter 4, based on problems of the current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it suggests the following four things as operation improvement plans by Korean Language Institute; first,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studying in Korea through SNS, second, one-to-one mentor&mentee program for adjusting Korean life, third, mandatory counselling, and fourth, providing information required for living in Korea(part-time job, medical insurance). Based on problems of the current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it makes an effort to suggest practical operation improvement plan by Korean Language Institute. Therefore, this research expects to hopefully help many Korean Language Institutes operate smoothy for international students.

      • 설화 교육을 통한 창의력 신장 방안 : 안양 설화를 중심으로

        이정희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고는 설화 교육이 문학의 갈래에 따른 한 범주로 교육적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현재 학교 교육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창의력 신장에 효율적인 제재로 적용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는 문학교육과 설화교육이 창의력ㆍ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 것이다. 최근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초ㆍ중ㆍ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를 제재로 한 설화교육의 교육적 효과 및 기능을 강조하는 연구와 전래동화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는 많았으나 지역설화를 제재로한 연구 및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였으므로 지역설화를 제재로 한 설화 수업의 학습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작업으로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제6차∼7차 교육과정은 '교육 과정 운영의 효율화' , '지역 교육 과정 및 학교 교육 과정의 편성ㆍ운영', '지역화 자료 및 지역 교과서의 편찬' 등을 강조하고 있다. 지역화를 통한 교육 과정의 재구성이 현재 시행하고 있는 '사회과'에만 국한할 것이 아니라 국어과에도 가능하다. 특히 지역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두루 갖춘 지역 설화를 교육한다는 것은 바로 교육이 일어나고 있는 그 지역의 설화를 향유하고, 교육 그 자체가 설화를 전승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설화의 지역화는 절실하게 필요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 설화가 이러한 교육적 가치뿐만 아니라 창의력 신장의 학습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설화 교육의 바람직한 학습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밝혀 보았다. 이 글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화를 통한 창의력의 신장 방안에 대하여 알기 위해 창의력의 개념, 변인,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설화의 성격과 특성을 연구하여 교육의 의의와 목표를 정립하였다. 설화는 공동체의 삶 속에서 무한한 상상력으로 창작되고 구전되어온 형태로 그 속에는 민족의 정서와 지혜와 교훈이 담겨 있다. 학습자는 설화를 통하여 자기가 체험하지 못한 이야기 속의 내용에 흥미와 호기심을 느끼고 몰입하여 이야기 속의 주인공과 자신을 동일시하면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해 가는 동안에 상상력이 싹트고 창의력이 신장되는 것이다. 둘째, 각 시기별 교육과정에 수록된 설화 제재 수록 상황을 분석하고 검토하여 통시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한 설화 제재 수록의 문제점을 밝히고 사고력 신장을 위한 새로운 제재의 계발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셋째, 안양 지역 설화의 내용을 소개하고 유형별로 분류 분석하여 설화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지역 설화가 가지는 교육적 의미는 학습자가 살고 있는 지역에 전승되기 때문에 그 설화가 형상화하고자 하는 의미를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어 교육적인 효과가 크다고 말할 수 있다. 넷째, 창의력 신장을 위한 설화 교육의 교수 모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창의력 신장을 위한 설화 교육의 지도 방법과 설화 교육의 실제 및 지역 설화의 운영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지역설화 의 실제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전개안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지역 설화의 활용방안이 어느 정도 밝혀졌으리라 생각된다. 설화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육 지도 방법이 활발히 진행되어 설화교육이 본 궤도에 오를 것을 바라면서 본고에서 논의된 문제들이 교육현장에 반영되어 설화 교육에 보탬이 될 것을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the folk tale education, a category of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possesses not only the educational value but also the material value applicable to the efficient growth of the creative power in the course of the present school education with the prerequisite that both literature and folk tale education is helpful for increasing the creative power and the imaginative power. In the consideration of the latest preceeding researches, there were many researches emphasizing the educational effect, function of the folk tale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application method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 by means of tale material recorded in th text for a preliminary school, a middle school, high school. However, there was no satisfactory research turning our attention to the materialized and systematized methodology of education by means of tale material contained in the local folk tale.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search into the studying methodology of the local folk tale by means of the local tale material comes to search for the new direction. The 6th, 7th curriculum gives emphasis to the organization , efficient management of region education curriculum, schoo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compilation of the material, text suitable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etc. The reconstruction of education curriculum by means of the localization is not only limited to the social studies under the present operation but also should be extended to the various applicable studies. Especially, the local folk tale education endowed with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universality far and wide is enabled to possesses the local folk tale on the schooling spot and pass it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y means of the education in itself. Therefore, the need for the localization of the folk tale is considered to be keenly felt. The local folk tale possesses not only the educational value but also the applicable value to the study course for increasing the creative power so that how to apply the folk tale education to the desirable study method is showed in the research. The main point discussed in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st, For coming to the knowledge of the method increasing the creative power by means of folk tale, we will look into the conception, component, change factor of the creative power and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k tale and fix the significance, object of the folk tale education. The folk tale has been constituted by the limitless imaginative power breathed among the life of community and handed down orally so that the racial emotion, wisdom, morality have been borne by it. The learner is interested, curious, absorbed to feel what is listened to the unexperienced tales so that while the confront question come to be solved by the identification of the hero with his own, the imaginative power begins to grow and the creative power is increased. 2nd, Regarding the folk tale material contained i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each period,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for the recorded situation was considered through the time period. By this, the problem during the course recording the fork tale material is revealed and the need for enlightening the new material is indicated for the growth of the creative power. 3rd, The contents of the local folk tale in An Yang is introduc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ical classification and looked into educational effect. It can be said that the local folk tale is handed down at the learner's residence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effect is greater because the understanding , sympathetic feeling for the significance forming the folk tale may be much more materialized. 4th, The teaching model of folk tale education for increasing the creative power is searched. The guidance method of folk tale education for increasing the creative power, the actual running plan of local folk tale are searched. For the purpose of the actual teaching of the local folk tale, professor-learner's development draft is made and showed. It is thought that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local folk tale is somewhat clarified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guidance method teaching folk tale would be gradually developed for increasing the creative power and the teaching curriculum would be positioned in the normal condition. It is our hope that the agenda discussed in this research will be reflected in the teaching spot and be helpful for the actual application to the growth of the creative power.

      • 초등학교 민주적인 학급경영을 위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기대 및 양해사항 분석

        조수현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학급경영에 있어서 교사, 학생, 학부모의 학급에 대한 기대사항과 양해사항 분석을 통한 민주적인 학급경영 방안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지법에 의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동부교육청관내 초등학교 교사. 학생, 학부모 778명이다. 본 연구의 핵심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학생, 학부모는 교과지도 영역의 공부하는 분위기 조성에서 교사의 융통성을 기대하였으며, 교과지도의 학습진도 수준에서 보다 많은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중간수준에 맞추기를 기대하였고, 교과지도의 수업시간에 발표자의 선정에 있어서는 학생의 자발적 참여를 존중하기를 기대하였으며, 교과지도의 숙제제시에 있어서는 친구와의 상호 협력하고 생각할 수 있는 숙제제시를 기대하였고, 교과지도의 학습평가수준 설정에 있어서는 보통 수준의 학생의 수준에 맞추기를 기대하였으며, 교과지도의 성적결과처리에 있어서는 학생과 학부모가 알 수 있도록 처리하기를 기대하였다. 즉, 학급의 주요구성원은 교과지도 영역에서 융통성, 대다수의 만족, 자발적 참여, 의미성, 공개성을 기대하였다. 둘째, 교사, 학생, 학부모는 교과지도 영역의 공부분위기 조성, 학습진도 수준 결정, 발표자 선정, 숙제제시, 학습평가 수준의 결정, 성적결과처리에서 학급의 주구성원의 기대차가 있을 때 최종결정을 학급담임교사에게 위임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는 교사, 학생, 학부모 등 학급의 구성원은 교과지도 영역에서 결국은 담임교사의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교사, 학생, 학부모는 특별활동 지도영역의 학생 생활지도에서 학부모와 의견을 나눌 때 가정에 전화나 핸드폰으로 연락하기를 기대하였으며, 학생의 건강지도에서는 질병지도와 운동지도를 기대하였고, 학생의 장래 진로 지도에서는 학부모와의 의논이나 학생의 선택을 존중하기를 기대하였으며, 학생의 안전사고 지도에 있어서는 장난 싸움, 불량교우의 유혹 경계를 기대하였고, 교우관계 지도에 있어서는 다양한 친구집단과의 사귀도록 배려하기를 기대하였으며, 여가선용지도에 있어서는 아동의 자유의사결정을 존중하도록 기대하였고, 학급청소구역 결정에 있어서는 역할분담을 기대하였으며, 학급회 운영에 있어서는 자율적인 진행을 기대하였고, 학급비품관리에 있어서는 개인별 혹은 분단별 관리를 기대하였으며, 학급 학예회나 오락시간 지도에 있어서는 학생간의 토론을 통한 자율결정을 지원해줄 것을 기대하였고, 청소년 단체활동입단에 있어서는 학생의 희망을 존중하기를 기대하였다. 이것에 비추어볼 때, 교사, 학생, 학부모는 특별활동지도 영역에서 간편성, 건강우선, 학생과 학부모의 존중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였다. 넷째, 교사, 학생, 학부모는 특별활동지도 영역에서 학급구성원간의 차이가 있을 때는 학생의 여가선용지도, 학급학예회 및 오락시간 지도, 청소년 단체활동입단의 영역에서는 최종적으로 학생의 입장을 존중해야 한다고 지각하였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교사의 입장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였다. 다섯째, 교사, 학생, 학부모는 재량활동 지도영역의 학습부진아 지도에서 방과후 시간활용을 기대하였으며, 기본생활 습관형성은 준법과 질서교육을 우선으로 지도하고 환경교육과 성교육은 시청각자료(TV, CD, 슬라이드, 실물화상기, 그림 등)를 활용하여 지도하며, 통일교육의 접근방식은 남북한이 같은 민족임을 알도록 우선으로 지도하고 인성교육은 학교와 가정과 연계하여 지도하며 정보화교육은 컴퓨터실 우선으로 활용하여 지도하고 창의성교육은 학급에서 '창의성활동코너' 설치활용을 우선으로 지도하며 봉사활동은 청소, 질서, 생활지도를 우선으로 지도하고 현장체험학습 장소로는 체험학습장이나 수련원으로 가는 것을 우선으로 지도하기를 기대하였다. 즉, 학급의 주요구성원은 재량활동 영역에서 활동성, 현실성, 융통성, 대다수의 만족, 자발적 참여, 자료활용을 기대하였다 여섯째, 교사, 학생, 학부모는 재량활동 지도영역의 학습부진아 지도, 기본생활습관형성, 환경교육, 학생의 성교육, 인성교육, 정보화교육, 창의성교육, 통일교육, 봉사활동, 현장체험학습에서 학급의 주구성원의 기대차가 있을 때 최종결정을 학급담임교사에게 위임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는 교사, 학생, 학부모 등 학급의 구성원은 재량활동 지도영역에서 결국은 담임교사의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일곱째, 교사, 학생, 학부모는 기타 영역의 인간성 교육에서 인간의 도리와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갖도록 더 지도하고 학생 생활지도 시 체벌은 경우에 따라 필요로 하는 지도를 하고 학생 좌석배치는 주 1회나 월 1회정도 바꿔가며 앉도록 지도를 하며 학생이 착한 일을 했을 때는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지도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은 착한 일을 했을 때만은 칭찬을 선물로 받기를 기대하고 있다. 여덟째, 교사, 학생, 학부모는 기타 영역의 인간성 교육, 체벌, 좌석배치, 칭찬 지도에서 학급의 주구성원의 기대차가 있을 때 최종결정을 학급담임교사에게 위임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는 교사, 학생, 학부모 등 학급의 구성원은 기타 영역에서 결국은 담임교사의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아홉째, 교사, 학생간의 기대 경향일치에서 교사와 학생은 성적처리에서 학생까지만 알게 한 후 처리하고, 기본생활습관도 준법 질서를 우선 지도하며 현장체험학습은 체험학습장이나 수련원을 기대하는 경향일치가 엿보인바 이는 당사자인 교사와 학생이 같은 학교생활을 하므로 제3자와 학교문화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열째, 교사, 학생간의 양해 경향일치에서 교사와 학생은 학급 학예회나 오락시간지도에서 집단 간의 견해가 다를 때 결국 학생의 생각에 따라야 한다고 양해하는 경향일치가 엿보인바 이는 당사자인 교사와 학생이 같은 학교생활을 하므로 제3자와 학교문화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열한째, 교사, 학부모의 기대 경향일치에서 교사, 학부모는 공부를 지도할 때 보통으로 하는 학생수준에 맞춰서 하며 발표는 교사의 지적이나 학생 스스로하게 하고 숙제는 깊이 생각하고 자료를 찾아 처리하는 것을 내 주며 건강은 운동에 더 관심을 갖고 장래진로는 부모와 상의하며 교우는 학급의 모든 친구를 골고루 사귀도록 하고 착한 일을 했을 때는 피부접촉을 요하는 머리 쓰다듬어주기(악수, 등스다듬어 주기)를 기대하는 경향일치가 엿 보인 바 이는 교사, 학부모가 같은 성인의 생활이므로 학생과의 세대간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열둘째, 교사, 학부모의 양해 경향일치에서 교사, 학부모는 학생이 여가선용과 정보화 교육이 집단간의 견해가 다를 때 결국 교사의 생각에 따르기로 양해하는 경향일치가 엿 보인 바 이는 교사, 학부모가 같은 성인의 생활이므로 학생과의 세대간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열셋째, 학생, 학부모의 기대 경향일치에서 학생, 학부모는 학급에서 학생의 안전사고는 나쁜 청소년 꾀임에 빠지지 않게 하며 학급 비품은 분단별로 분담하여 관리하고 기대하는 경향일치가 엿 보인 바 이는 학생과 학부모가 같은 가정 생활을 하므로 학교 교사와 가정문화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열넷째, 교사, 학생, 학부모의 양해사항 분석에서 학생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하는 사항은 학생의 진로지도, 교우관계지도, 청소년 단체활동지도, 여가선용지도이였고, 교사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하는 사항은 학생의 숙제지도, 청소지도, 기본생활습관지도, 학급비품관리지도 등 대부분이었다. 이것으로 볼 때 학급경영은 결국 교사의 책임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일반적인 견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actual proving document, for democratic class management method which is analysis on expectation and comprehension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in class management. Methods of study are by investing on books and questionnaire method. Objects of this study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778 in the East Educational Government Office of In-Choen.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se: First : Expectation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in the part of subject instruction. To be teacher's flexibility in making study atmosphere. To take a medium state for more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curriculum progression. To stimulate volunteer to select presenting student in class. To assign homeworks which are interactive and thinkable. To take medium students ability state in study estimation. To know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in assessing grade. In short, in the part of subject instruction, main class components expect flexibility, satisfaction of majority, spontaneous participation, meaningful assignment and publicity. Second,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concur with committing final decision to the class teacher in charge when opinion is different in making studying atmosphere, making decision on curriculum progression, selecting presenting student, assigning homework, deciding degree of study estimation and assessing grade. This means that in the part of subject instruction, class component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and so on, are acknowledged they are in authorities of class teacher in charge. Third : Expectation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in the par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struction. To call when teacher discuss with parents of students in student's life instruction, To be instructed about disease and exercise. in student's health instruction. To be esteemed discussion with parents of students and choice of student, in student's future course instruction. To be instructed of alerting sever kidding fight and attraction of gang, in student's safety accident instruction To be instructed of various friend group relationship in friend relationship instruction To be esteemed children's free decision-making in recreation instruction. To be divided of work in deciding class cleaning section. To be instructed autonomous progression in the managing class conference. To be instructed individual or squad management in class item maintenance. To be supported autonomous decision through discussion among student in class-art festival or recreation time. To be esteemed student's hope in entering adolescence company activity. These indicate; in the par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struction, most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take it main touchstone to be simplicity, prior to health, expectation of students and student's parents opinion. Forth, most of teachers, students and student's parents think : at last, they should esteem student's thought when they don't meet their opinion in recreation instruction, class-art festival or recreation time and entering adolescence company activity. But they should respect teacher's opinion in the other section. Fifth, Expectation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in the part of self-activity To use after school time, in the introduction of a dull student. To be instructed observance and sequence education prior to anything in shaping basic life habit. To use audio-visual document(TV, CD, slide, projector, device and drawing), in environment and sex education. To be instructed in making acknowledge North and South Korean are same people prior to anything in approaching unification education. To instruct to link school and home in character education. To use computer room and instruct prior to anything in information education. To instruct to install and use·Creative Activity Corner·at class prior to anything in creativeness education. To instruct cleaning, sequence, and life instruction prior to anything in service activity. To instruct going to experience learning zone or training institution prior to anything in position of the actual place experience learning. These indicate: in the part of self-activity, class main components expect activity, reality, flexibility, satisfaction of majority, spontaneous participation and to utilize data. Sixth, in the part of self-activity, most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concur with committing final decision to the teacher in charge when there is difference of expectation in the introduction dull student, shaping basic life habit, environment education, student's sex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information education, creativeness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service activity and actual place experience learning. These show that the main component member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and so on, understand themselves belonged to the teacher in charge's authorities. Seventh, Expectation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in the part of etc. To be more instructed human being's right principle, healthful body and sound spirit in humanity education. To be instructed that body punishment is need in reasonable time in students life insturuction. To be instructed student's seat should be in rotation every week or month. To be instructed student to smooth head with the hand when students have done good job, but student want to be presented when they have done good job. Eighth, in the part of etc., most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concur with committing final decision to teacher in charge when there is difference of expectation in humanity education, body punishment, arrangement of seat and instructing of compliment. These show that in the part of etc. the main component member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and so on, understand themselves under the teacher in charge's authorities. Ninth, the teacher and students expectation tendency concurrence. In process and management, the grade is only known to student. In observance and order prior to anything in the basic life habit. In experience learning zone or training institution in actual place experience learning. These are thought be difference of between third people and school culture because both teacher and students are same school life. Tenth, the teacher and students comprehension tendency concurrence. In following students thought when there is difference of group's view in the class-art festival or instructing recreation time These are thought be difference of between third people and school culture because both teacher and students are same school life. Eleventh, the teacher and parents of students' expectation tendency concurrence. In taking a medium student ability, when teacher instructing study. In instructed presentation by teacher's advice or for themselves. In instructed homework which is thinkable and found data, filed. In interested exercise is prior to anything in heath. In consultation with parents about future course. In keeping company with every classmate. In expecting to instruct them to smooth head with the hand, which is need of touching (shaking hands, smoothing back with the hand), when students have done good job. These are thought to be generation gap because both teacher and parents of students are grown-up. Twelfth, the teachers and parents of students' comprehension tendency concurrence In finally following teacher's opinion when there are different with spending leisure and information education against other group. These are thought to be generation gap because both teacher and parents of students are grown-up. Thirteenth, the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expectation tendency concurrence. In students not being allured from gang in the class security accident In management of class item by each squad, These show difference of teacher and home culture because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are in the same home life style. Fourteenth, in the analysis on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comprehension, students' opinion must be reflected, in instruction of students course, friend relationship, adolescence company activity and spending leisure. And teachers' opinion must be reflected, in instruction students' homework, cleaning, basic life habit, management of class item and most of things. These show; teacher,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have a general opinion that teacher must be in charge of class management.

      • 유아체육교사와 학부모의 유아체육 인식 연구

        정관영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유아체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아교육 기관의 유아체육에 대한 운영 실태, 인식, 교육과정, 발전 방향에 관하여 교사 97명과 학부모 101명의 인식 차이를 <부록 1, 2>와 같이 설문지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각각 자료화하여 측정 검사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유아체육을 지도하는 교사는 체육전공자가 대부분이며, 관련 자격증도 유아체육지도자 자격증이 가장 많았다. 유아체육시간의 주당 평균 수업 횟수와 수업시간은 1.22회와 37.06분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체육을 위한 시설은 대부분이 보유하고 있었다. 유아체육프로그램도 각종 전문지 프로그램이나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구를 위한 놀이와 동작교육, 공놀이, 체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유아체육에 관련된 연수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체육의 이해와 필요성은 전체적으로 대부분 이해하고 있으나, 교사가 학부모보다 많이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와 학부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체육의 필요성의 이유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지덕체의 조화로운 발달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셋째, 유아체육의 우선 시 되어야 할 교육내용은 교사는 신체를 인식하고 움직이기, 학부모는 신체활동에 참여하기가 가장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신체를 인식하고 움직이기가 가장 많았고,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창의적 교육과 기본동작을 소홀히 하고 있는 유아체육은 유아교사와 분담하고 협의하여 서로의 전문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업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넷째, 유아체육의 활성화 방안은 전체적으로 유아체육에 필요한 프로그램 개발 보재 및 시설의 확충, 학부모나 원장님의 인식변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에 유아체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현장교사 뿐만 아니라 교육학자, 체육학자, 일반인에게 재인식시키는 것이 요구되어지며, 체육시설이 부족한 기관은 충분한 유아체육을 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교육부는 유아교육의 예산편성 확보를 마련하여 확충 운영실시하는 것이 요구되어지며, 발달적 체육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유아체육이 평생체육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 되어진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of cognition about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running situation, understanding, curriculum and vision performed by young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97 teachers and 107 parents were surveyed on paper as shown in <appendix 1, 2> and the analyzed conclusion from the data is following. First, most of teachers instructing the young children in young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majored physical science and they have the licences related with young children education teaching. The average frequency of lesson and time for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are 1.22 times and 37.06 minutes a week. And most of the institutes has facilities for the education. The young children education are perfored with their own program or programs from several magazines related. The programs consist of play with gears or ball games and physical exercise and most of teachers have taken the related training course. Second, teachers have more understandings than parents though both of them basically understand the necessity of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They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understanding. The reason for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is said the harmony of intelligence, virtue and good health. Third, the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prime teaching contents needed first. Understanding body and moving by teachers, participating physical activities by parents. Teachers and parents should share the tasks and have conference with young children teachers who need creativ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basic movement to organize teaching contents for maximizing the specialty of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Forth, the programs to activate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and text should be developed and facilities should be equipped. the cognition shift of principal. also There ar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to the pedagogists, physical educators and common people besides teachers in the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institute. Institute which needs more facilities should manage with secured budget from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better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Various program based on developmental physic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link you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to lifelong physical education. New institutes to train the physical education leaders should be established.

      • 교육용 코스웨어 구조도 종류에 따른 스피디 웹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의 구현 연구

        김종권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 논문은 짧아진 컴퓨터 사용주기처럼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 속에서 교육현장의 여러 사용자(교사)들에게 훨씬 더 빠르고, 쉬운 코스웨어를 저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작도구(authoring tool)를 구현하는데 있다. 예전에 비해 훨씬 더 좋은 환경의 여러 저작 도구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빠른 변화와 짧은 주기에 맞는 코스웨어를 제작한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으며, 다양하고 짧은 주기에 길들여진 신세대처럼 잡무에 시달리고 있는 열악한 우리 교육 환경에서 빠르고 손쉬운 여러 코스웨어 제작이라는 자체가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지금까지 국내에 소개된 코스웨어들과 대표적인 교육용 저작도구를 분석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에 의해 컴퓨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교사들에게 빠르고 효율적인 코스웨어(Speedy Authoring Tool : 이하 'STA'라고 하겠음) 제작할 수 있는 저작도구의 기능들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 소개된 코스웨어들의 저작 유형과 구조도 종류 등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들의 특징과 저작에 따른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설계·구현하고자 하였다. 개발한 저작도구가 갖는 주요 특징으로는 애매한 아이콘이 아닌 한글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저작, 다양하고 편리한 애니메이션 저작 방식, 스크립트 언어의 지양, 다양한 매체의 삽입 용이 및 객체 편집 관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코스웨어 구조도 종류에 따라 빨리 저작하는 기능이 큰 장점이다. 본 연구 논문에서 설계·개발된 저작도구가 교육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된다면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들이 있을 것이다. 기능키 사용의 일관성에 의한 제작의 용이성, 스크립트의 사용 자제에 의한 코스웨어 저작하는 즐거움, 다양한 유형의 화면 표현 구사, 웹에디터 기능과 꼭 같은 웹상에서의 활용 확대 저장 기능 그리고 컴퓨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코스웨어에 대한 복잡한 설계없이 곧바로 사용하는 쉽고 빠른 코스웨어 저작 기능 등이 있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provide the kind of authoring tool for quicker and easier courseware writing to the users(teachers) of diverse educational nature in the fast-moving information society with the short computer life-span Althought there appear many different authoring tools much better than the ones in the past, it seems very difficult to write a suitable courseware to cover quick changes and short usage spans. What is worse is that, as opposed to young generation people, the teachers with too much administrative duties en our under-developed education environment, have almost no time for writing a fast and easy courseware. In this study, through analysis of major courseware and educational arthoring tools introduced to date on Korea, we will try to locate the real try to identify the functions of authoring tools necessary for teachers with no professional computer knowledge as they want to write speedy and effective courseqares(Speedy Authoring Tool) This study will sort out authoring types and structural forms of coursewares introduced in Korea, thereafter, design and create user interface convenient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authoring tools. The main features of authoring tool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ncludes the user interface dominant with Korean alphhabets without icon ambiguity, various user-friendly animation authoring methods, minimized script language, easy function to insert different objects and easy control of editing. Specially, the function of speedy authoring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diagrams of coursewares is going to be a great advantage for user. The following achievements can be made if the authoring tool designed and developed by this study is successfully launched in the educational sites: The following achivements can be made if the authoring tool designed and developed by this study is sucessfully launched in the educational sites: Convenient writing with consistent user key functions, pleasure giving to courseware writing work with minimized script language, application of diverse screen types, WEB editors and speedy courseware authoring function requiring no expect computer knowledge or complicated courseware design.

      •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홍향표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교육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해 보고, 이를 근거로 하여 진로 상담을 통해 학생들에게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도록 돕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Y고등학교 1학년학생 300명(실험집단 150명, 통제집단 150명)이며, 실험집단 학생은 8주에 걸쳐 주 1∼2회씩 11회 동안 매회 50분씩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진로성숙도 검사와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으며, 진로성숙도 검사는 한국교육개발원(1992)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 검사는 김정숙(2001)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적용이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인문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선택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한 진로성숙과 진로선택의 시도와 실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다양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실시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o high school students and to testify the effects on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Counseling based on this study was expected to lead students to explore their own future care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first-grade students (150 experiment group, 150 control group) of Y high school located in Y city of Kyunggi-do.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carried out to the experiment group 11 times in total, once or twice a week for 50 mins and lasted for 8 weeks. The control group was not exposed to any treatmen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test and post-test included the Test of Career maturity by Korea Education Development Association(1992) and the Test of Self-efficacy by Jung-suk Kim(200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erms of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group. This implies tha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has played a considerable role in improving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eems to be important to apply various kind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They will play a leading role in attempting and practicing Career maturity and career selection which can be helpful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o perceive and explore their future career.

      • 영·미 문화 교육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차은숙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s a means of acquistion not only of the linguistic features and knowledges, but also of a new culture. In addition, becoming bilingual is important in that it effects on a learner's way of life, especially, a way of expressing or communicating feeling or thought or idea in comparison with another cultural system. In this aspect, learning the practical use of English as one of the international languages becomes an instrument of understanding another culture other than the learner's culture, because a language is related inseparably with the social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This thesis is to study on an improvement scheme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culture education in teaching English at elementary school. This research goes on as follows: In chapter 2 followed by the preface, I present that culture teaching must be composed of illuminating the relation with communication ability and the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In chapter 3, I compare and analyze the culltural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n describe about the differences of language phenomena caused by the cultural differences. In chapter 4, I present various methods of culture education, and then in chapter 5, I diagnose some problems of teaching English by analyzing learner's and teacher's actual conditions. In this chapter I discuss about the improvement scheme. As an early analystic result, culture education was hardly made in the field of teaching English, and the congnition about necessity of culture education was not high. To improve this,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must be emphasized on teacher's research process, and in this point of view the guide book for English teachers must be consist of the systematic and detailed culture education guidance. In chapter 6, establish culture teaching plan apply English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sting of culture education, and analyze the result. As the result, first, the effect of culture education is to improve learner's communication competence. Second, it brings some affirmative changes in behavior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and accommodate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and gives an opportunity which students can elevate interest about the culture. So I convince that culture education is important in that it makes sure that the learners of the target language can understand and communicate cosmopolitan and live together as family of global village, and it can make learners rear wholesome view of the world which can see the world wider to our children of the globalization age. Finally, I could that culture education is not optional but essential in teaching English, and I hope that culture education will be activated under the teacher's right comprehension in the field of eaching English, and the purposeful result of it will be achieved. In addition, I expect that constant research on culture education method will be developed and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culture education will be made.

      • 전기실습을 위한 사이버 교실 구축에 관한 연구

        한범덕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예서는 "타이머를 사용한 전등 한시 점멸 회로"와 이에 관련된 학습을 중심으로 실습회로도의 각 동작사항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애니메이션을 사용한 시뮬레이션 자료 및 동작사항을 제공함으로써 이해가 쉽고 학습 의욕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웰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연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학습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학습자가 접속을 할 때 자신의 진도 및 평가점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빈도가 높은 질문사항에 대찬 답변을 등록하여 학습자가 의문점을 해결 할 수 있도록 하였고, 관련 지식에 관한 정보 검색 및 관련인물에 대한 자료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 후 평가를 통하여 자신의 학습능력에 대한 성적확인과 email에 의한 학습요약으로 수업의 연속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월과 데이터배이스 시스템의 연동을 위하여 Access 2000을 사용하였고, ASP(Active Server Page)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lesson of "The circuit of the on/off light using a timer", we build a cyber class which explains motion sequences of current through electric circuit. The system is designed to help learners to understand easily and make themselves motivated to study. When learners log in, they are able to check their progress and score. Besides, to respond 0 the learners'curiosities, the answers for the questions stored in the database and data about the related knowledge and figures are given, and added if necessary. Learners can evaluate their progress on the spot. Moreover, the summary of what they have studied is sent. We use Access 2000 to build the database system, and ASP(Active Server Page)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to inteface the database to the we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