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변혁에 영향을 미친 웨슬리 부흥운동의 신학적 특징

        김귀춘 亞細亞聯合神學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0655

        Wesley's revivalism is called 'the Revival of the Holy Spirit' or 'Spiritual Awakening.' This Revival of the Holy Spirit is the best card of God. In the Bible we could witness that men were so totally corrupted not to be recovered by themselves that God intervened into men's history in two ways. The one is the judgement of God. For example, God rained down burning sulfur on Sodom and Gormorrah to destroy them. The other is the mercy of God. In other word, God allowed men to avoid formidable judgement by His mercy and grace. For example, although Nineveh's wickedness was come up before God, He sent Jonah to them to let them repent. Finally, they were not judged, but forgiven.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rationalism was prevailing through Europe. Accordingly Wesley' contemporary lived under of the rationalism's influence. Prominent rationalist such as John Locke and Immanuel Kant argued that human being can understand God by their reasons. This rationalism does not allow the Bible and God's sovereign which could not be understood by reason, which leads to deism which denies the living God working through human history. This rationalism attracted intellectual elites and a number of people departed from God, but church had no spiritual power which could persuade them to turn to God. This spiritual powerlessness led to the moral corruption. There were too many robbers and rioters, and people could not be out of their houses without bearing arms. It can be said that this period is the dark age of England. However, God always wants His people to be recovered through spiritual revival at the moment when waves of wickedness is too strong for human to overcome. At that time, God also did want to recover England which was about to be destroyed owing to their corruption, by God's holy fire through John Wesley prepared by God Himself. God provoked people to turn to God through John Wesley and Jonathan Eswords. The former led the Evangelical Revival in England in 1740s, and the latter 'the Great Awakening' in New England, the colony of the North England. Especially, the revival movement, lasting for about 50 years from 1726 to 1776 in which United States War of Independence began, is called 'the first Great Awakening,' which has influence on every social aspects such as religion, culture, politic. True reformation is of holistic salvation, namely total transformation. And true revival should be a action for saving individuals, families, societies, and whole world, that is, whole university. Wesley reformed Christian organizations on the basis of church for world mission and sought to reform society apart from church itself. This movement was extended to all over the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this movement, churches emphasized on the transformation and personal devotion to God, and saint was provoked to spread gospel through the world. Subsequently, many mission groups were organized, and so many missionaries are sent to world. Besides, churches not only took care of the young, the poor, and the old, who wanted caring, but also took part in social reformation such as campaign for the abolition of slavery. Wesley activated the Sunday School movement to protect children from overwork. Apart from it, campaign for the abolition of slavery led by Wesley made Parliament pass the bill which prohibited slavery in 1807. Wesley's these movement not only was instituted as Methodist Church, but also had influence on all aspects in England. The reason Wesley's revival movement has great influence on all over the world is that he has sound and confirmed theology. His theology can be described as 'Evangelical Synergism', 'Sanctification,' through which, he stresses the 'dual commendment of Love' which means 'love God and your neighbours.' He tried to practice his theology of 'Sanctification,' his ethical purpose for life, which has influenced on his country and then has been extended to all over the world. The concept of Sanctification which Wesley understand is not restricted to the one's personal mental aspect, but expressed by he or her behaviour in the society to which he or she belongs. Furthermore, Christian should participate in the social activity, and serve as a light and salt, which has powerful influence to reform society as well as personal sanctification.

      • 현대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개혁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 선교교육 방안 연구

        방인성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title of this article is ‘A study on understanding of missionary education for modern youth on the Basis of Reformed Theology'. This study discusses how to instruct youth, who wonders about the truth of orthodox faith in this time of truthles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Theology of the Reformation of 16th century Reformation, which proclaimed the Bible and the Cross-gospel of Jesus Christ are the only truth, was suggested as the alternative option. Modern youth are growing in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emotional, physical and social. But Korean Church have failed to evangelize them. This study provides some examples that mass-media based on Reformed Theology as a tool to reach to youth culture. These could be an alternative options for youth missionary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Chapter Ⅱ and Ⅲ defines general understanding about youth and problems in youth culture in deeper level. After that, the problems and necessity of youth missionary was suggested. Chapter Ⅳ suggests the importance of using media based on Reformed Theology as a realistic tool to reach to youth missionary. This chapter also suggests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s of Reformed, the Five Points of Calvin, Institute of the Christian Religion, and 12 Creeds as the alternative methods of youth missionary and education. Chapter Ⅴ introduces a youth missionary conference, the author has ministered for 13 years, that is based on 12 creeds, the Institute of Christian Religion and the five points of Calvin as another method of the youth missionary. This conference applies these to youth mission cultural with media. Chapter Ⅵ is a brief of the study and comments of the author. This article analyzes documents of the principle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provides the experiences of author’s 13 years of ministry work of youth mission.

      • 요한 웨슬레의 그리스도인의 완전과 성령님의 사역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

        전소란 亞細亞聯合神學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655

        18세기의 영국은 정치, 경제, 사회, 철학 등이 다양하고도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기였다. 철학으로는 이신론이 사회를 지배하고 있었고, 산업 혁명이라는 거대한 경제적 변화는 영국을 새롭게 하고 있었다. 정치적인 혼란과 사회의 도덕적 혼돈으로 사람들은 방향을 상실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교회는 사회에 대한 제 역할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었다. 신앙을 단순히 도덕적인 차원으로만 이해한 교회는 시대의 변화에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이런 역사적인 상황 속에서 웨슬레는 1703년에 사무엘 웨슬레와 수잔나 사이에서 태어나게 되었다. 사무엘은 청교적인 집안의 목사로서 성경 연구와 선교에 대한 관심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의 어머니 수잔나는 청교적인 집안에서 성장하여 의지가 강하고 교육에 대한 열정이 강한 사람이었다. 수잔나의 엄격한 교육은 웨슬레가 경건의 생활을 하는데 기초가 되었다. 1720년에 웨슬레는 옥스퍼드 대학에 입학해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대한 개념을 접하게 된다. 목사로서 헌신하는 웨슬레는 세릴 커햄을 통해 신앙의 고전 서적들을 알게 된다. 제레미 테일러, 토마스 아 켐퍼스, 월리엄 로우의 책들을 통해 웨슬레는 그리스도인 완전 개념을 접하게 되는 것이다. 제레미 테일러의 「거룩한 생활의 죽음을 위한 규칙과 실습」을 읽고 웨슬레는 모든 생활, 생각, 행위를 하나님께 받치기로 결심하게 된다. 그의 삶에 있어서 헌신은 부분적인 것이 아니라 삶의 모든 것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다. 토마스 아 켐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에서 웨슬레는 참 종교는 마음과 관계 있다는 것을 알았다. 웨슬레는 마음을 하나님께 드리지 않으면 아무런 유익이 없는 것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월리암 로우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웨슬레로 하여금 절반의 그리스도인이 아닌 하나님께 전적으로 자기 자신을 드리는 완전한 그리스도인을 추구하게 하였다. 웨슬레의 이런 신학적인 배경은 그의 삶에 있어서 엄격한 생활을 추구하게 되었다. 그런 중에 웨슬레는 조지아 선교와 모라비안과의 만남을 통해 인생의 있어 중요한 체험을 하게 된다. 웨슬레는 신앙 생활의 함양을 위해 1735년에 그의 동생 찰스 웨슬레와 함께 시몬즈 호를 타고 인디언 선교사로 가게 된다. 웨슬레는 그 배에서 모라비안 사람들과 만나 신앙적인 교제를 하는 중에 폭풍을 만나면서 그의 신앙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웨슬레는 거대한 폭풍 가운데에서도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모라비안을 통해 자신의 신앙을 살펴보게 되는 것이다. 이 사건을 경험한 후에 웨슬레는 선교지에 도착을 하게 되었다. 웨슬레는 열정과 성실한 태도로 여러 가지 사역을 감당하지만, 자신의 신념을 강조한 나머지 선교의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조지아에서의 소피아 합키와의 관계에서 통한 시련은 웨슬레를 영국으로 귀국하게 만들었다. 영국에 귀국한 웨슬레는 경건주의 영향 아래 있었던 모라비안과의 만남을 통해 그의 인생에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웨슬레는 뵐러와의 만남을 통해 회심이 즉각적으로 되어지는 것을 깨닫게 될 뿐 아니라 올더스케이트 집회에서 마음이 뜨거워지는 체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웨슬레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라비안의 신앙이 수동적인 것을 깨닫게 된다. 모라비안들은 사람이 중생한 순간에 완전한 성화가 완성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성화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웨슬레는 수동적인 성화의 개념을 반대하며 성화의 과정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결국 이런 신학적인 입장의 차이로 웨슬레는 1741년에 진젠도르프와의 성화론에 대한 토론을 마지막으로 모라비안과의 결별을 하게 된다. 이런 다양한 인생의 경험 가운데 웨슬레는 성서와 전통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구약에서 말하는 완전은 첫째로 인간에게 있어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상대적인 것을 의미한다. 둘째로 완전은 하나님과 관계를 맺는 마음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로 구약에서 말하는 완전은 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신약에서 있어 완전은 온전한 상태를 향한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것은 끝없이 지속되는 과정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웨슬레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의 개념을 성서의 교리에만 이해하고자 하지 않고, 기독교 전통 속에 있는 완전의 개념을 새롭게 해석하였다. 웨슬레는 동방 교회의 점진적인 성화의 교리와 서방 교회의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의 신학적 입장을 새롭게 조명하였다. 또한 웨슬레는 종교 개혁자들인 루터와 칼빈의 성화 개념과 로마 카톨릭의 성화 개념을 창의적으로 종합 발전시켰던 것이다. 루터가 이해한 성화는 지속적인 과정 속에서 죽음 이후에나 가능한 것으로 보았다. 칼빈은 성화를 육체가 존재하는 동안에는 불가능한 것으로 보아 죽음 이후에 가능하다고 하였다. 반면에 웨슬레는 종교 개혁자들의 신학을 종합적으로 발전시켜 이 지상에서도 성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웨슬레가 지상에서의 성화의 가능하다고 본 것은 인간의 노력이 아닌 성령의 역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웨슬레의 성화의 단계는 관계적 성화, 초기적 성화, 점진적 성화, 온전한 성화로 이해할 수 있다. 관계적 성화인 칭의는 그리스도의 의를 입는 것이지만,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성령의 사역인 것이다. 칭의는 그리스도 역사에 대한 성령의 사건으로 우리를 위해 우리 밖에서 하나님과 관계를 맺는 것이며 상대적이고 관계적 변화인 것이다. 초기적 성화는 중생과 관련이 있다. 천지 창조와 사람의 창조 과정을 통한 사람은 매우 선하게 창조되었지만 하나님의 명령을 불복종하여 타락하게 되었다. 타락한 인간은 도덕적 형상을 상실하여 죄와 죽음의 길을 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영적으로 완전한 소경이 된 자는 그 길에서 스스로 벗어날 수 없다. 그것은 사람의 능력이 아닌 성령의 사역으로 가능한 것이다. 중생에 있어 성령의 역사는 타락한 본성을 하나님이 우리 안에서 우리를 변화시키는 행위인 것이다. 칭의가 상대적이고 관계적 변화라고 한다면, 중생은 우리의 속 사람이 변화는 실제적인 변화인 것이다. 웨슬레는 칭의와 중생의 관계를 고찰하면서 성화의 점진적인 과정을 주장하였다. 먼저 웨슬레는 칭의와 중생의 관계에 있어 시간적인 것과 논리적인 차이를 구분했다. 칭의와 중생을 논리적으로 본다면 칭의는 중생보다 선행하고, 시간적으로 본다면 칭의와 중생은 동시적인 사건인 것이다. 웨슬레는 칭의와 중생을 완전한 성화로 이해하지 않고 성화의 입구로 이해한 것이다. 웨슬레는 순간적으로 경험하는 온전한 성화를 위해 모든 그리스도인은 지속적인 과정 속에서 그것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것은 중생한 사람 속에도 아직은 죄가 아직 남아 있기 때문이다. 비록 믿고 회개하여 중생 했지만, 그 속에는 아직도 죄가 남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점진적인 성화의 과정 속에서 그리스도인은 영적인 전쟁을 무수히 경험하며 온전한 성화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노력에 의해 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능력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웨슬레는 온전한 성화를 제2의 축복, 제2의 은혜, 두 번째 변화, 온전한 구원, 기독자의 완전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온전한 성화는 중생한 다음에 체험하는 것이다. 중생은 믿지 않는 자가 회개하고 신앙으로 얻는 순간적인 체험이지만, 온전한 성화는 그리스도인이 자신의 무능과 남아 있는 죄를 깨닫고 신앙으로 성결을 받는 체험인 것이다. 그러나 온전한 성화가 순간적으로 경험하였다 하더라도, 그것은 완전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경험되어지는 온전한 성화는 성령의 역할로 인해 사랑으로 충만해 지는 것이다. 그 사랑의 충만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다. 웨슬레가 주장한 온전한 성화에 있어 사람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차원까지 이해했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우리가 이해한 성화는 웨슬레의 일생과 신학의 산물이었다. 웨슬레는 성서와 기독교 전통 속에 있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연구하였을 뿐 아니라 평생동안 삶 가운데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추구하였다. 신학과 체험의 한쪽만을 강조하기 쉬운 상황에서 웨슬레의 이런 신학과 체험의 균형적인 발전은 높이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있어서 웨슬레는 그리스도 중심뿐만 아니라 성령의 역할을 강조하여 역동적인 신앙을 추구하게 하였다. 그것은 성령의 사역으로 인한 개인뿐만 아니라 이웃까지 사랑할 수 있는 삶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것은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있어 개인과 교회 중심적인 사고를 넘어 사회에서의 성화를 가능하게 하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 린드벡의 후기자유주의 신학비판

        이윤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지금까지 1980년대 이후 모더니즘적인 자유주의 세계관에 대한 회의론의 확산과 함께 등장한 포스트모니즘 사상의 신학적 표현 중 하나인 린드벡의 후기 자유주의 신학(Postliberal theology)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난 10여 년간 미국 신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린드벡의 후기 자유주의신학은 ‘현재 상황’과 ‘성경’ 즉 다른 말로 하자면 ‘자유’ 혹은 ‘보수’라는 양단논법에 의해 ‘복음’의 순수한 의미가 상실되어 있는 상황 속에서 ‘새 시대를 위한 복음’이라는 딜레마에 대한 흥미로운 해답을 시도하고 있는 신학이다. 후기 자유주의 신학은 특별히 예일 대학교 신학부와 관련이 있는데, 그 대표적인 공로자가 바로 역사 신학교 교수인 조지 린드벡이다. 그는 그의 책 “교리의 본질”에서 자신의 접근 방식을 기술하는데, 이제까지의 잘못된 종교 이론 즉, 종교에 대한 인지적 접근과 경험-표현적 접근을 비판하면서 현대철학, 사회학, 심리학, 종교학 등의 이론적 지평 아래 문화-언어적 적 접근(culture-language approach)이라는 새로운 종교이론과 이를 기초한 새로운 교리 이론 곧 규칙이론(rule theory of the doctrine)을 제시했다. 사실 린드벡은 “교리의 본질”에서 자신이 조심스럽게 밝히듯이 후기 자유주의 신학 자체를 정립하여 펼쳐 보이는 대신 그것을 “향한”(toward a postliberal theology) 가능성을 타진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린드벡이 이 책을 통해 의도한 것은 루터교 역사신학자로서 린드벡은 교회사에 나타난 여러 다양한 교리들을 연구해왔고, 또 카톨릭과의 대화에 앞서 왔었다. 이러한 경험의 배역에서 과연 기독교 안의 여러 상이한 “교리”들을 어떻게 이해해야지만 그들간의 “대화”를 가능케 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를 고심하게 된 것이다. 먼저 린드벡의 후기 자유주의의 사상적 배경을 다시 재고해보면, 먼저 그 명칭 자체가 포함하고 있는 것처럼, 린드벡의 후기 자유주의 신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적 영향을 받았다. 특별히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 특징인 근대성의 통합성과 토대주의를 거부하고 상대적, 파편적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영향으로 린드벡의 후기 자유주의 신학은 기독교 신앙의 특수성을 강조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또 하나의 영향은 누구나 동의하는 보편타당한 지식 체계나 진리의 틀을 거부한다는 것이다. 린드벡의 신학방법론에는 포스트모더니즘 뿐 아니라 예일대학의 여러 교수들의 신학 방법론을 받아들이고 있는데, 특별히 동료인 한스 프라이의 이야기 신학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 즉 린드벡은 한스 프라이의 성경 이야기에 대한 접근 방식을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채용한다. 그리고 린드벡의 후기 자유주의 신학의 대표적 신학방법론인 문화-언어적 접근에서의 언어 문제는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게임에 이해의 근간을 두고 있다. 기어츠의 문화 인류학에 대한 견해 조차 린드벡은 자신의 교리 연구에 적용함으로 프라이의 본문 내적 접근 방식을 확장시켰다. 린드벡의 후기 자유주의 신학의 문화-언어적 종교론과 규칙 이론적 교리관은 진리에 관한 전통적 견해들과 완전히 다른 새로운 진리관, 즉 ‘체재 내적 진리관’을 지시한다. 그에게 있어서 진리는 어떤 공동체의 체재 내에서만 참일 수 있다. 즉 어디서나 통용될 수 있는 객관적인 진리는 없고 내부적인 나름대로의 한계를 지닌 진리가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언어와 문화도 마찬가지이다. 린드벡에게 있어 존재론적 진리(the ontological truth)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체재내의 진리인 행위적진리(perfor- matory truth)가 의미를 가질 뿐이다. 이런 점에서 복음주의자인 맥그래스는 린드벡이 어떤 객관적인 실재를 다루는 체계 외적인 측면은 간과했다고 비판한다. 예를 들어 성부와 성자의 동일본질 교리는 단순히 기독교 공동체의 언어 규칙을 제공하는 2차적 진술일 뿐 아니라 실재를 지칭하는 1차적 언어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는 실제로 기독교 교리들은 신앙의 내용을 지적으로 표현해 놓은 진리주장들로서 그것의 실재적 진위가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체재내적 진리관을 신학에 적용할 때 등장하는 개념이 “본문내재성” (intratextuality)이다. 여기서의 ‘본문’(text)는 경전을 뜻하는데, 종교들 나름대로 자신들의 경전을 가지고 있으며, 신자들은 그 안에서 그들의 삶을 살고 실재를 이해하기 위해 추구하는 해석적 기틀을 마련해 주고자 했다. 그러나 이러한 그의 주장은 철저하게 거대담론을 거부하고 파편화된 이야기 거리를 찾아다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논리에서 나오는 영속적인 진리와는 상관없이 표현적 이야기에 불과하다. 이 점에서도 맥그래스는 린드벡의 잘못을 지적하는데, 린드벡의 체계 속에서는 왜 성경에서 출발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주지 않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한다. 즉 린드벡은 종교적인 공동체의 중심에는 항상 정경이 존재하고 이러한 정경이 공동체의 세계관을 형성하는 권위를 가지고 있다는 형상학적인 분석에서 출발하여, 기독교 공동체의 경우에는 성경이 그러한 정경의 권위를 가지고 있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riticize George A. Lindbeck's postliberal theology, an important postmodernism theology that appeared with commenting both traditional evangelism and liberalism. His theology try to provide a theological possibility in order to explain some important issues in dispute between liberal theology and evangelical theology. This thesis deals with a intimate understanding of Lindbeck's postliberal theology, influence of his theological thought, his theological methodology, the important theological issues of his postliberal theology, the theological criticism for his ideological background and presuppositions by the Evangelism. First of all,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thesis, I investigated the essences, characteristics,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on Lindbeck's postliberal theology through the documents written by Lindbeck. Specifically, it discussed both Problems of postliberal theology and a counterproposal to them by using method that examined Lindbeck's documents that criticized postliberal theology. Also, it inspected cultural-linguistic model of both religion and doctrine through methological access of postliberal theology in order to study postliberal theology thoughts of Lindbeck. Lindbeck is a postmodern theologian who received what postmodernists insisted. He understands religion as a cultural-linguistic model that influenced by Wittgenstein and some Hns Frei. For his theology, Human is existence that express and understands oneself by language. In addition, his language forms his society. In this sense, Lindbeck claims that human religious experience is possible because of language. And thus Lindbeck emphasizes that Christians must not start from human experience and interpret the bible though it. It is to exchange Bible language for human language, and as a result, the Bible becomes not God's Word but human word. Lindbeck claims to let the Bible speak to human with own language. this is according to Barth's teaching. It means that the Christianity should not be judged by the viewpoint of modernism and rather that modern society be defined by biblical language and the meaning of human lives be found in it. Lindbeck's postliberal theology emphasizes on the distinctiveness of christianity and as a principle refuses to follow the liberalism that rushes headlong into danger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Gospel with the cultural norms of American liberal late in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postliberal theology insists that the Scripture is the supreme sourse of Christian thoughts and values, and that recommends the bible languag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Christianity from becoming post-Christianity in these days, and that has strong points to make confirmation of Jesus Christ as a central figure in thoughts and lives of Christian church.

      • 印度 狀況 神學의 批判的 硏究 : 救援論 中心으로

        조범연 亞細亞聯合神學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50655

        This Thesis is written as an effort to criticize the Indian Contextual Theology and develop effective methods to evangelize the Hindus in Indian area according to evangelical central truth. For this purpose I first studied the evangelical theology in ACTS Theological Synopsis as criterion of truth. In this investigation, we can infer the main concepts just like "reality of sin and universality of perdition", "seriousness of salvation", recovering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justification by faith as the basis of works righteousness", "a living faith" as central truth through the research of Calvin's and Wesleyan theology. Secondly, I researched the theory of Hinduism focused on soteriology(ways of salvation) and evaluated and criticized the reincarnation, yoga, caste system and pantheistic and syncretic salvation as preunderstanding of Indian Contextual Theology. Thirdly, I investigat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formation of Indian Christian Contextual Theology. I proposed the basis, meaning, direction, logics and trait of Indian Theology. In this chapter I proved that Indian Theology has been interwinded with Hinduism. Fourthly, I studied soteriology of Indian Contextual Theology based on four main theologians that are Brahmabandhab Upadhyaya - "jnana marga", A. J. Appasamy - "bhakti marga", P. Chenchia - "Theology of New Creation", M. M. Thomas - "karma marga" and classified their theologies into 8 subjects as soteriological subjects(authorities, man and sin, God, Christology, pneumatology, grace and sacrament, eternal life and conversion) and criticized their theology according to evangelical central truth. Fifthly, I evaluated their syncretic disposition and divided their syncretism into four parts just as inclusivism centered cosmic Christ, fulfillment, plural parallelism and hinduistic syncretism. Lastly, I proposed missiological points of contacts for the Indian Mission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Bible and Sanskritan Books(Vedas and Upanishads). For this Study I researched comparing the theories in the 7 parts which are God, World, Human, Sin, Sanctification, Savior, Power Encounter. One fact has emerged from the survey of Indian Theology that is the existence of two main 'strands' of thought, the advaita strand represented especially by Upadhyaya, and the personalist or theistic strand seen Appasamy, with the two strands tending to have mutually exclusive 'clusters' of ideas. Thus Upadhyaya's outlook inclines toward monism in which the transcendent unity of God is not impaired. He rejects the idea of avatara, which comes from the theistic strand, favours mysticism of the 'monistic Trinitarian' pattern rather than simple bhakti, and finds the distinction between God and the world in a version of maya rather than in a firm doctrine of creation. Appasamy on the other hand thinks of God primarily in personal terms, encourages Christian bhakti, welcomes the avatara idea as applied to Christ, and see the world as real. Indian Theology is being driven to an interwinding of two strands, a synthesis of jnana marga and bhakti marga, and indeed in their different ways Upadhyaya and Appasamy both seem to admit this possibility. Signs of this mingling can be seen in the interpretation of Saccidananda-Brahman as Trinity, leading to a development of the Logos-Cit idea; in the dialectical treatment of the nirguna-saguna polarity; in maintaining the equality of Brahman and Isvara while at the same time identifying Isvara with Christ. I proposed the Indian Christian Theology has to need two chief concerns. The first is to remain faithful to his experience and knowledge of Jesus Christ. Secondly, we must be concerned to interpret and proclaim ou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in such a way that other men may come to the same knowledge. In order to do this we must proclaim Christ and the significance of Christ in such a way that our contemporaries and compatriots may fully understand the message, and this involves us in the problems of effective communication and persuasive proclamation. I propose we need to make the biblical message so relevant to the Hindu's preunderstanding that he hears what the God has to say to him through the word. The some of the special emphases needed in India are Religious Authority(sruti, yukti, anubhava), Hindu-Advaita system(monistic), World and Reality(stemming from maya), Community Consciousness(stemming from Caste), Power Evangelism. I, however, assert that there are three aspects involved in any valid contextual theology. (1) Contextual Theology is the Contextualization of the biblical revelation - human fallenness and God as trustworthy. (2) Contextual Theology Depends on the Power and Presence of the Holy Spirit. (3) The Ultimate Goal of Evangelical Theology is Worship and the Glorification of God. Lastly, in the context of the Hindu notion kharma and the total lack of assurance of salvation, I believe the recovery of "justification by faith" and "central truth" is one of the greatest needs in the formulation of an Indian Christian Theology.

      • 칼 바르트의 구원론에서의 사죄이해

        이헌주 亞細亞聯合神學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기독교의 구원은 구원과 ‘사죄’의 은총 속에서 이루어지고 완성된다. ‘사죄’없이는 인간의 ‘죄’를 해결할 길이 없다. 다른 길은 없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죄 사함 받아 의롭다 인침을 받고 거룩함 입어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에 후사가 되어 아바 아버지라 부를 수 있는 축복 속에서 영생을 얻는 것이다. 이 한 가지 길을 위하여 매진하고 달려가는 것이 바로 구원론이고 ‘사죄’의 은총이다. 그러나 바르트의 신학과 그의 구원론은 ‘사죄’없는 사죄에 전력을 다하고 철학적 논리와 칸트의 이성중심의 한계성 안에서 기독교를 바라보는 잘못을 저질렀다. 바른 신학은 생명을 살린다. 신학의 모든 부분이 이 한 가지 열매인 구원을 위하여 매진해야한다. 바르트의 ‘사죄’이해는 말씀의 신학에 근거한다. ‘사죄’를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먼저 인간의 전적 부패를 인정하고 ‘하나님’의 절대적 도우심을 구해야만 한다. 우리의 사죄는 ‘하나님의 심판’을 두려워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의지하는데 있다. 바르트에게는 ‘사죄’의 은총이 아니라 윤리학 만 남았다. 바르트는 ‘사죄’ 이전에 ‘하늘나라’를 부인한다. 참다운 ‘사죄’는 복음과 은혜 가운데에 존재한다. ‘사죄’는 우리의 ‘회개’가 수반 되어야 하는 것이다. 회개는 우리를 살린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죄악을 감찰하신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참된 ‘화해자’가 되신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 참 생명이 있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받아들일 때 주님은 우리의 모든 ‘죄’를 대속하시고 이미 사하셨고 우리를 구원하시어 주님의 나라로 인도하신다. 바르트는 인식론적 논리와 칸트 철학의 범주 내에서 기독교 구원과 그 내용인 ‘사죄’를 이해했다. 그의 신학은 철학적 뼈대를 지니고 있을 뿐 참 다운 기독교 구원의 진리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올바른 ‘사죄’를 이해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그 후대의 모든 이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였다. 그의 ‘사죄’는 구원 없는 사죄이다. 사죄 없는 사죄이며 생명과 능력을 지니지 않는 ‘사죄’이해이다. 바르트의 잘못된 ‘사죄’이해를 극복하고 기독교 신학의 바른 길을 열어가야 하겠다. 올바른 구원론적인 ‘사죄’는 ‘하나님’의 ‘예정’ 가운데 부르심을 받아 회개하고 죄 사함 받아 ‘칭의’를 얻어 성령으로 거룩함 입고 의로운 가운데 성화구원을 이루어 가는 것이다. ‘요한 칼빈’은 ‘하나님’의 절대주권 속에서 ‘사죄’를 이해했고 ‘요한 웨슬레’는 오직 한 가지 구원을 위해 생명을 다했다. 이러한 믿음의 선배들의 토대위에 앞으로의 기독교 신학을 바로 세우고 참된 복음으로서 구원 얻는 올바른 ‘사죄’관을 확고히 해야 하겠다. 바르트의 ‘사죄’에는 인식론은 있으나 생명은 없다. ‘사죄’없는 ‘사죄’만이 관념 속에서 말해질 뿐이다. 바르트의 ‘사죄’는 기독교의 ‘사죄’이해가 아니며 성경 말씀에 입각한 ‘사죄’가 아니다. 그의 ‘사죄’에는 ‘사죄’가 없다.

      • 예방의학에 대한 영성 신학적 접근

        이종웅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50655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Christian spirituality as a way of living a healthy life, taking it for granted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Christian spirituality and physical health, because a human being is not only a physical and psychological being, but also a spiritual being. This research is, therefore, composed of two variables, one being the preventive medicine and the other being the theology of spirituality. Chapter two dealt with the theological discussions of Christian spirituality, presenting its Biblical foundations in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The history of catechism and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spirituality and life were also discussed. Chapter three presented the Biblical foundations of the preventive medicine, integrating theology and medical science in the Biblical view on health. This chapter discussed the concept of the preventive medicine, conducting its historical research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modern age. Chapter four attempted to do a theological approach to psychological principles on health, integrating psychology and theology. The fact that a human being is a spiritual being as well as a psychological being brings about the necessity of this integration. Chapter five was dealing with the "spiricho-somatic" principle that is a new term coined by Tack Joe Kwon. The term "spiricho" is composed of spirit and psyche(mind), and "spiricho-somatic" means that spirit, mind, and body are inseparable in its nature. As a belief that a human being is not only a physical being, but also a psychological being, is reasonable, so a belief that a human being is not only a physical and psychological being, but also a spiritual being is reasonable as well. This chapter also dealt with immunology, presenting the fact that spirituality promotes health by strengthening the immune system which is very crucial for preventing diseases. Chapter five discussed the preventive medicine and the theology of Christian spirituality, applying brain science to theology, using new terminologies such as "God Spot", "brain triad", and "brain triad-neuroimmunology." The integration of theology into brain science is reasonable and necessary, because spirituality is not isolated or separated from human brain. Chapter six was presenting the practical issues on the preventive medicine in view of the theology of spiritualty, employing such theories as "learning therapy" and "forgiveness therapy." These theories formulated by integrating educational psychology, brain science, and theology enabled this study to be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health in the Biblical and medical perspectives, suggesting us to develop spirituality for preventing illnesses and diseases. The fact that God the Creator who created a human being as a whole being composed of spirit, mind, and body and God the Sustainer who wants us to be healthy is a strong foundation of making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흔히들 현대 의학은 건강을 증진하고 생명을 연장한다고 주장하는데, 의사 프랭클린은 현대 의학을 “죽음의 체계”라고 했다. 그는 ‘부담스러운 임신’에 대한 현대 의학의 해결책이 무엇인가? 라고 묻는다. 현대 통계학이 인간의 평균 수명이 길어진다고 보고하는데, 의사들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은 그것을 현대 의학의 공로라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현대 의학이 죽음의 체계인 이유를 프랭클린은 왜곡된 통계학 때문이라고 했다. 만약 낙태된 아이들이 예상 수명 계산에 포함된다면 즉 수태된 때로부터 예상 수명을 계산해 볼 때, 예상 수명은 43년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그런 의미에서 현대 의학을 죽음의 체계라고 했다. 우리 기독교인들은 죽음의 체계인, 현대 의학에게만 인간의 치유를 맡길 수는 없다. 인간의 전인건강을 영, 육, 혼의 건강으로 볼 때, 현대 의학은 죽음의 체계인 것을 배제하고, 온전한 치유가 일어난다 할지라도 1/3의 치유를 담당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현대의학이 감당치 못하는 2/3 부분인 영과 혼의 치유와 현대 의학으로서 해결할 수 없는 부분까지 모두 포함한 전인치유를 위하여 “예방의학에 대한 영성 신학적 접근”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전서 6장19-20절에서 “너희 몸은 너희가 하나님께로부터 받은바 너희 가운데 계신 성령의 전인 줄을 알지 못하느냐 너희는 너희의 것이 아니라 값으로 산 것이 되었으니 그런즉 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고 했다. 몸은 가장 성스러운 곳이며, 신자들 안에 성령이 거하시는 가장 거룩한 성전이다. 따라서 몸은 단순히 죽어서 사멸되는 육체적 실재만은 아니다. 그러므로 인간은 몸의 건강과 함께 전인적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한다. 1장에서 세계보건기구를 비롯한 현대의학은 영성의 요소가 반드시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음을 논하면서, 그렇다면 기독교 영성과 건강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물었다. 이 물음에 권택조의 영성, 지성, 감성의 삼성일체교육으로 인한 영성발달은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논지로 삼성일체신경면역학(BNI)을 제안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첫째, 영성은 심리학과 깊은 관계가 있다. 둘째, 심리학과 의학을 통합한 심신의학과 영성은 관계가 있다. 셋째, 면역학과 영성을 접목하여 영성이 심신에 영향을 주어 신경계와 면역계를 활성화 하여 인간을 전인적으로 건강하게 할 것이라는 논지를 본 연구는 증명할 것이라고 했다. 2장에서는 영성과 건강한 삶을 논하기 위하여 성서에 나타나 있는 영성의 개념이 영혼과 육체가 분리된 이원적 개념이 아니라 전인적인 개념임을 살피고, 역사적으로 사용된 영성의 개념이 상황적으로 때로는 지성적인 측면이, 때로는 감성적인 측면이, 때로는 하나님과의 관계적인 측면만 강조되어 적용되었음을 지적했다. 이는 본 연구가 영성에 대하여 삼성일체 중심으로 접근한 것이 올바른 방향이었음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과거의 이원적 영성의 일상 삶과의 분리는 현대에 와서 이원적 구조를 극복하고 전인적 영성의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논했다. 현대의 영성에 대하여, 루터의 영성을 본받아 하나님의 은혜 아래서는 수동적이고 이웃사랑 안에서는 적극적인 형태를 취하는 건강한 삶을 사는 일상적이며 전인적인 타자중심적인 삶을 제안했다. 3장에서 예방의학을 논하면서 예방의학은 역사적으로 볼 때 영적인 면을 항상 요구하고 있으며, 성서적 관점으로 볼 때에도 영적인 삶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한 결론은 영적인 삶인 예배, 기도, 성경공부, 찬양 등이 신자로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가장 직접적인 수단이기 때문에 건강에 필수적인 구성요소가 됨을 논하였다. 성서에서는 육체를 튼튼하게 하는 훈련 보다는 영적 훈련이 더 건강에 중요하다고 말씀 하신다. 특히 구약성서의 예방의학적 측면을 연구하면서 일상생활의 영적인 삶이 질병을 예방하는데 절대적임을 논했다. 4장 전반에서 영성신학과 심리학의 접목을 논한 것은 다음에서 논할 심신상관학과 영성신학의 관계를 정립하는데 영성심리학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심리학은 프로이드의 영향으로 정신분석을 중심으로 하였다. 그러나 현대 심리학에서 심리학의 제4물결이라고 부르는 정신종합을 주장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정신을 분석하지만 말고 종합하여 심리적 상처의 치유뿐만 아니라 영적인 절정경험, 창조성, 하나님과의 관계 등의 영적인 문제를 다루어 정신분석학의 한계를 넘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이를 학자들은 영성심리학이라고 부른다. 영성과 심리학의 접목에서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지금까지 심리라고 부르던 지성과 감성은 영성이 결여된 것이라는 결론이다. 그러므로 건강에 영향을 주는 심리학이란 영성심리학이어야 하며, 심신상관학은 영성이 포함된 영적-심신상관의학(Spirit-Mind-Body Medicine)이어야 한다. 4장 후반에서 영성과 심리학의 접목에서 얻은 영적-심신상관의학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세우기 위하여 몸과 마음의 관계를 연구하면서 의학 분야에

      • 가톨릭신학의 神上祭祀 이해에 관한 선교학적 비판

        김정훈 亞細亞聯合神學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theolog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allows its laity to participate in the worship of their ancestors. The Roman Catholic church insists on its theology of purgatory, teaching that people on earth can communicate with those in purgatory and they can instrumental in mitigate in a dead person?s pain in purgatory by providing masses and merit for the dead. According to the Roman Catholic church's theory of revelation, they can not condemn those who worship their ancestors "sinners". This is because the church says that God's revelation can be seen in all creatures, traditional cultures, and even in other religions. The Catholic church believes that even those who failed to believe in God during their life time can be saved by another way but no one except God knows this method of salvation. So they think that there is no inconsistency between their ancestor worship and saying masses for the dead and their theology. The church's only condition for its permission to pray for the dead is that such masses are not to be religious. Therefore, masses and any kinds of worship for ancestors are acceptable "as long as they are not religious". At the early stage of its mission to China, the Roman catholic church experienced confusion related to the worship of ancestors. The Vatican first took a generous approach to contextualized communication but at the beginning changed to prohibiting Chinese traditional ancestral worship due to the receiving of the report from the Dominicans and Franciscans which said that ancestor worship was smixed with superstition and religion. This prohibition caused enormous persecution in China so that the mission in China failed to achive it goal. Nevertheless, the Vatican prohibition of ancestors worship continued and even brought percecution on missionaries across the border in Korea. Consequently, it resulted in huge number of martyrs in Korea where ancestral worship had been observed and their traditions related to belief were preserved. Due to the long period of persecution prior to World WarⅡ, after World WarⅡ the Vatican eventually changed its attitude and proclaimed that ancestor worship would be acceptable if it is not religious or superstitious. The permission allowed the worship of Confucius in China and the worship at Shintohinese in Japan. The Chinese and Japanese christian changed their view of ancestral worship from being religious and superstitious to a mere traditional custom free of religious and superstitious beliefs and so avoided any conflicts within their theology. For them, it was the best decision they could have made because they saw worship and masses for ancestors as compatible and consistent with their theology "as long as such practices are not religious and superstitious". This concession resulted in the spread and growth of Roman catholic dogma in China driven by their missionary theology summarized in the word ?Accomodation.? It is possible to see the hidden political motivation and occidental attitude of superiorlty in relation to the orient when the Vatican's shift regarding accommodation is scrutinized. The current theology, principles and policies of Catholic mission were produced second Vatican Council, and this helps us to understand the theological stance of Romanism regarding the church's permission for ancestral worship. In the new mission polocy, the Vatican criticized in retrospect their previous concepts, goals, and theory of mission. It recommended that the Catholic church should respect all cultures and customs of different peoples and try to expose God's hidden revelation which exists within these cultures. This position is quite different from what they previously held, so the principles of mission in sections 37 to 40 of the council give detailed explanations of their idea of "accommodation." It described their stance concerning their mission of propaganda as evangelists and denied their role of messengers among different cultures and peoples. The council highly recommended that Catholics should accept the valuable customs and traditions of many different cultures into the Catholic church by using adaptation and filtering methods because these practices should be cultivated and preserved. The truth and reservation must be in them. But, this Catholic position granting permission for ancestor worship contradicts the theology of evangelism, because the evangelical perspective holds that the worship of ancestors is obviously incompatible with the biblical view of worship. When it comes to the possibility of being linked with the idea that people can save themselves by their own efforts, the worship of ancestors necessarily is religious, especially in China and Korea where pantheism prevails. One more important thing is the fact that the ancestral worship is apparently inconsistent with tparental respect advocated in the Bible because evangelcals hold that the worship based on the idea of the filial piety in which the dead communicate with the living. It is not acceptable. According to the Bible, evangelicals believe that disembodied spirits should go either to heaven or hell and such spirits have nothing to do with man on earth. Due to that reason, evangelicals can not justify the worship of ancestors as being evangelical and biblical. And also according to the evangelical view of culture, all cultures should be judged and reformed by the Bible because all dultures are already contaminated by sin. Based on this stance, evangelicals have to expose unbiblical traditions and then criticise and reform them using standards found in the Bible. As is seen above, the Vatican's theology in regard to the worship of ancestors is not compatible with the evangelical theology because evangelical hold that the continuity of nature and human reason supported by Roman catholic theology is non-biblical. Also evangelicals oppose the theory of purgatory because it is justified not by the Bible but by tradition. All the believers who believed and received Jesus Christ as their Saviour, the only son of God and yearn for everlasting paradise as new creatures have to set their faith on a firm basis which is founded i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revelation, salvation in Christ alone, and the nature of life after death. The right approach to the issue of the worship of ancestors can be found only by correct understanding. It can be criterion to judge and reform current cultures of different peoples in the light of the Good News. The issue for all believers is the right view of the Bible and its theology to achieve the mission of God for the healing the world and to extend God?s sovereignty in this world. Otherwise all our faith and effort will only be building on the sand.

      • “과학적” 신학 방법론을 위한 칼빈 신학의 과학성 연구

        박욱주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50655

        Scientific theological methodology embraces fundamental principles and criteria of scientific theological methods. These theological methods are engaged with continuing attempts to guarantee internal coherence of system of theology and to enable the cognition and verification of transcendent reality written in the Scripture. In the light of these aspects of scientific theological methodology, it is incontrovertible that Calvin's theological methodology is of voluminous significance in arguments concerning the definition, legitimacy, and intellectual coherence of scientific theology; his theological methodology, not only satiates criteria for scientificity of theology, but also explicitly allows insights into legitimate future prospect for scientific theology. Calvin's theology, properly responding to the demands for internal coherence of system and cognition of transcendent reality, determinately engages the scientific nature of Christian theology with the central purpose(scopus) of Christianity, the salvation of human soul. But, it is apparent that an exact articulation of Calvin's insights into the scientificity of Christian theology requires deliberate definition of 'science' and 'scientificity'. 'Science'(scientia; Wissenschaft) originally was a term which meant an entity of coherent system of knowledge; scientificity(Wissenschaftlichkeit) was consequently defined as the nature of a scientia-an academic discipline-which principally hinged on coherent methods and system in a scientia itself. But in the modern ages, such traditional definition of scientia was substituted for the definition of scientia as 'φύσις', a term which had signified natural philosophy. This transition was induced by an impetuous emergence of Enlightened scientific view, which grounded its ultimate foundation in mathematical and geometric reasoning and empirical positivism. These methods were successfully enunciated by Descartes, Newton, and Comte. The Enlightened scientific view presently evolved into materialism and developed into logical positivism which renounced to acknowledge the intellectual legitimacy of reflections on metaphysical and transcendent reality; the Enlightened scientific view unfolded its scientistic nature, induced the emergence of dogmatic scientism, and overpowered the minds of people. Eventually and broadly, all sorts of knowledge, except for that of natural science, were envisaged to be meaningless. However, it was gradually ascertained that this scientism will frustrate the creative prospects of all academic disciplines, including natural sciences; scientism itself was also an ideology and all human academic endeavors have no choice but to hinge on some ground motives or foundational beliefs. On account of its obvious and critical limitation, scientistic view has been the subject of continual intense discussion; on the parts of thinking people, the arbitrary definition of science and scientificity on the basis of methods of natural science is increasingly being adjudicated to be a false reduction of meaning. Therefore, for an objective investigation on the meaning and legitimacy of scientific theology, it must be favorably assented that 'science' signify scientia, a coherent entity of knowledge which comprehends not only natural but also transcendent cognition, and that scientificity be approved by the presence of coherent method appropriate for the object of cognition. Yet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Enlightened scientific view prevailed in the Western world. Kant's moral theology and Schleiermacher's anthropologized and positive theological method signaled the deep impact of the notion of intellectual legitimacy and coherence constructed by Enlightened view of natural science on theological methodology. Both Kant and Schleiermacher were committed to theological studies 'from below' and from human perspective; both the philosopher and the theologian deemed their main object of cognition to be the humane, and not as "the Divine". But Barth, through the celebrated debate against Scholz, initiated an attempt of apology for the 'specific' scientificity of theology; he insisted that "the Divine" be the specific object of theological studies, and that Christian theology can be a scientific discipline merely by following its particular method of cognition. Since Barth, due to his exemplary way of apology for scientific theology, theologians who devoted themselves to the justification of scientific theology have shared the consensus that "the Divine" is the ultimate and the essential object of cognition in theological studies. They attempted to investigate and verify the statements on transcendent reality written in the Scripture with methodological premises somewhat universal and somewhat particular simultaneously. Among them, Dr. Chul-ha Han indicates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theologians who have advocated the legitimacy of scientific theology have had a markedly ambivalent attitude towards central truth-the salvation of human soul through gospel faith-of the Scripture. He claims that three decisive fallacies-fallacies of conceptual approach, rationalistic criticism of the Scripture, and scholastization-underlie the methods of modern Western rationalistic theology, and that those fallacies influenced scientific theological methodology to pretermit the soteriocentricity of itself in its recent history. Concerned about this problem, Dr. Han, analyzing the scientificity in the soteriocentric theology of Calvin, sets three methodological criteria of theological scientificity. Dr. Han asserts that a scientific theology should, firstly, summarize(summa) all parts(pars) of the Scripture soteriocentrically. As the central truth-salvation of human soul through gospel faith-comprehends the existential and transcendent reality of salvation, summa of the Scripture will hinder the microscopization of biblical and theological pars. Secondly, a scientific theology should completely and gen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