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찰홍보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호 순천향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초 록 최근에 주요 언론보도를 살펴 보면 대부분의 기사가 경찰이나 정치인과 관련되어 있다. 지난 해에 정국을 휩쓸었던 촛불집회와 관련된 경찰의 과잉진압 보도, 어청수 경찰청장과 관련된 불교탄압 보도, 어청수 경찰청장 경질과 신임 경찰청장후보에 올랐던 김석기 경찰청장후보 기사, 재개발과 관련된 용산참사 기사, 이와 관련 낙마한 김석기 서울경찰청장 기사, 최근 빈발하고 있는 경찰관 비리와 자체 사고로 인한 보도 등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경찰관련 기사가 넘쳐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와 관련하여 경찰홍보활동은 그 동안에 해왔던 단순히 보도자료 제공 이외에 새로운 홍보전략 및 전술의 개발이 필요하며, 언론담당 전문가를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고, 이와 관련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009. 6. 13. 예정되어 있는 정책홍보 평가를 앞두고 각 부처 대변인실은 비상이 걸렸다. 특히 이번 평가는 ‘기관장’에 대한 평가지표로 활용할 방침인 되다가 7월 개각설과 관련하여 부처마다 평가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행정안전부는 이와 관련하여 최근 홍보전문관(부대변인)을 채용하여 지방언론· 행정 담당으로 역할을 분담시키는 등 타부처와 다른 홍보 체계를 선보이기로 하였고, 대전청사에 자리 잡은 한 외청에선 전임 담당자를 긴급히 출장 형식으로 데려와 일을 맡기기도 하였다. 이번 평가는 이명박 대통령의 정책홍보 강화 지시에 따라 국무총리실에서 총리실· 감사원 등을 제외한 39개 중앙행정기관을 상대로 상· 하반기(6월· 12월) 두차례에 거쳐 실시할 계획이다. 총리실 관계자는“국민, 언론, 부처간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예전처럼 언론대응을 어떻게 하는지, 보도자료 건수를 얼마나 채우는 지 등의 기계적 평가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위의 내용은 ‘서울신문’5월 8일자 25면의 내용으로 홍보처를 앞세워 각 부처의 국정홍보를 통제했던 참여정부와는 달리 이명박 정부는 작은 정부를 지향하여 국정홍보처를 폐지하고 해외홍보기능을 문화체육관광부로 흡수해 정부홍보기능은 각 부처의 자율에 맡겼었는데 자율에 맡긴지 1년 2개월(국정홍보처폐지:2008.2.29.)만에 타율로 돌아선 것이 아닌가 싶다. 그동안 촛불집회 등을 통하여 국정홍보의 중요성을 이명박 정부에서 깨달고 각 부처에서 적극적으로 국정을 홍보하게 하려고 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각 부처에서 행하는 각 시책을 국민에게 정확히 알리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미국 소고기 수입 업무와 관련하여 초기에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지 못한 것이 촛불집회의 빌미가 되어 2008년 1년은 그야 말로 광우병 광풍이 휘몰아 쳤고 서울 도심이 분노한 시민들에 의해 3개월간 점거되는 사태가 발생한 것을 살펴 본다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인 경찰업무에 있어서도 홍보활동은 중요할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경찰홍보활동의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경찰관 기동대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김주혁 순천향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경찰관 기동대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로 경제발전을 이루었다.경제발전을 이루는 동안 정 부의 저 출산 정책으로 출산율 감소와 인구의 급속한 노령화로 인하여 향후 노동 력 부족 문제가 예상 되어,노동력 부족 문제에 따른 인적자원의 효율성을 위하여 병역제도의 재검토를 통한 복무기간의 단축에 대하여 활발한 논의가 있었다.이러 한 정부의 방침에 따라 경찰청은 전·의경을 감축하게 되었고 2008년부터 전․의 경을 대체하여 경찰관으로 구성된 경찰관기동대가 창설되기 시작하였다. 경찰관 기동대는 기존의 전・의경부대가 주로 수행하던 집회・시위관리,경호경 비,혼잡경비,재난관리 등 경비경찰의 업무를 보다 전문적이고 책임감 있게 수행 할 수 있게 되었다.경찰관 기동대는 경비경찰의 업무 중 집회・시위관리를 주로 수행하며 집회・시위현장에서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위협하는 사람들에 엄정한 법집행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군사정권시절 부당한 공권력에 맞서 투쟁으로 민주화를 달성하여 집회・시위현장에서 어느 정도의 불법행위가 용인되었고 지금까지도 집회・시위 현장에서 불법행위가 지속되었다.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사회는 더 이상의 불법행 위를 용인하지 않으며 불법행위에 대한 엄정한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과거 전・의경부대는 불법행위의 엄정한 대응에 한계가 있었지만 경찰관기동대 는 직업 경찰관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엄정한 법집행이 가능하다.또한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집회・시위도 다양한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어 신속 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과거 전·의경부대와 달리 경찰관 기동대는 직업 경찰관 으로 구성되어 보다 전문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었다. 경찰관 기동대가 창설되면서 집회·시위 관리 및 경비경찰의 업무를 보다 효율적 으로 수행하고 민생치안업무 등 국민들에게 보다 낳은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경찰관 기동대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법률적·제도적인 한계와 비효율적인 운영으로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경찰관 기동대의 주 임무인 집회·시위 관리 및 경찰관 기동대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보다 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경찰관 기동대를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ng Control of riot police Ju–Hyeok Kim DepartmentofPoliceAdministration GraduateSchoolofPublicUniversity SoonchunhyangUniversity Asan,Korea (SupervisedbyProfessorHyun-BinJo) Korea has achieved economic advancementalong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During the realization ofeconomic advancement,itwas anticipated thatthe laborforceofthefuturewouldbeinadequateowingtoareductioninthebirth ratecausedby thegovernment-ledlow birth ratepolicy andspeedy aging of the population.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s in accordancewiththeinadequatelaborforce,therehavebeenactivediscussions overa reduction ofthe military service period through a re-review ofthe militaryservicesystem.Inaccordancewithsuchagovernmentdirective,since 2008theNationalPoliceAgencyhasreduceditsauxiliarypoliceandbeganto establishariotpoliceforcecomposedofpolicemeninplaceofauxiliarypolice. Theriotpolicehavebeen abletoundertakethedutiesofdefensepolicemore professionally with increased responsibility such as assembly/demonstration management, body guarding and defense, confusion defense, and disaster management,allofwhichhadbeenperformedmainlybytheexistingauxiliary police.The riot police conduct mainly assembly/demonstration management among thedutiesofdefensepolice,and they areabletocarry outstrictand fairexecutionofthelaw forthosewhothreatenpublicsafetyandpublicorder atthesiteofanyassembly/demonstration. Koreaobtained democratization through strugglesagainstunfairgovernmental authority during themilitary regime;thussomeextentofillegalaction atthe site ofan assembly/demonstration has been approved,and illegalaction has continued to date at the site of any assembly/demonstration; however, currentlyKoreansociety nolongerapprovesanyillegalactionsandrequiresa strictandfairreactiontosuchillegalaction. Therewasalimitation in thepastforauxiliary policein responding strictly andfairlytoanyillegalactionwhereasitispossibleforriotpolicetoexecute strictand fairlawssincethey arecomposed ofprofessionalpolicemen.Also, sincetoday’ssociety isquickly changing and assemblies/demonstrationshave becomevariedintermsofmethods,apromptresponseisrequired.Unlikethe auxiliary police of the past,the riot police are composed of professional policemen;thus ithas become possible to respond more professionally and quickly. Sincethefounding oftheriotpolice,ithasbecomepossibletoperform more efficiently assembly/demonstration managementand theduties ofthe defense policeandtoofferbetterpublicsecurityservice,suchaspublicsecuritywork, tothepeople. Meanwhile,during theoperationoftheriotpolice,manyproblemshavearisen owing to legaland institutionallimitations and inefficient operations.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roblems in assembly/demonstration management, whichisthemaindutyofthecurrentriotpolice,aswellasintotheoperation oftheriotpolice,andtoproposedetailedimprovementsolutionsforthemore efficientandsystematicoperationoftheriotpolice.

      • 양육수당 제도의 확대로 인한 부모의 보육형태 및 보육인식에 미친 영향 : 아산시 미취학자녀의 부모와 어린이집 원장을 중심으로

        김두연 순천향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15

        ABSTRACT The impact of the Childcare allowance expansion on child care type and awareness of parents - Focused on parents of the pre-school and director of the day care center in Asan city- Du - Yeon Ki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ve Graduate School of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un Hu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arching for the effect that childcare allowance expansion to all the levels allowed parents to change their childcare type and needs of childcare polices. The specific study issu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effect of childcare allowance expansion on parents childcare type? Second, what is the improvement direction about childcare policy?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san city from April to May in 2014. The target groups are 8 parents who had experience application between childcare allowance and childcare subsidy and 4 director of day care center. The method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are indepth inerview and reco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ws. First, the effects of the expansion of childcare allowance on parents childcare type are as follows. With the childcare allowance, it is possible to relieve the alienation and equity issues from the govement support policy which is focused on childcare center and gave emotional compensation mentality. According to both homecare and daycare is free, the choice that option depends on their circumstances and characteriestis are guaranted. Second,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childcare policies are as follows. The amount of childcare allowance is lower than the cost of realistic child supporting payments so that it has negative side effects and when it is compared to the childcare subsidy it need to be reorganizationed. And, when plan the childcare policies, for 0~2 years of age, homecare such as the childcare allowance, and for 3~5 years of age, like childcare facilities should be reflect. In case of 0~2 year age, the homecare is positive in terms of the infants emotional development and when it comes to for the 3~5 year age, the group activities can develop social skills which are good for them. Howev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amilies situa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there is necessity to arrange the institutional strategy for the infant growing up healthy. In addition, to impact on the employment rate and fertility of parents, the restudy of the policy for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childcare policy is necessary.

      • 아동대상 성폭력범죄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이한일 순천향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일반적으로 성폭력범죄는 그 피해자에게 육체적인 상처와 더불어 정신적인 고통을 장기간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다른 범죄와는 구분되어야 한다. 특히 성폭력범죄의 피해대상의 경우 사회적 약자에게 발생하는데 그 중 가장 큰 문제는 아동에 대한 성폭력범죄이다. 성인 여성뿐만 아니라 성장하는 아동에게 성폭력범죄는 평생 지울 수 없는 상처이기 때문이다. 그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범죄는 다른 어떠한 범죄보다도 엄벌위주의 양형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아동 대상의 성폭력범죄 가해자의 경우 재범률이 상당히 높다는데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형벌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책을 적용시킨다 해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범죄는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범죄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세계 주요 국가의 경우와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사회의 인식 측면, 사회적 구조 측면, 제도적 장치 측면, 그리고 피해자 보호 측면 등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이상에서 도출된 성폭력범죄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국에서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처방안을 고찰한 후, 성폭력범죄에 강력히 대처하면서도 동시에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였다. 끝으로 성폭력범죄로 말미암아 고통 속에 신음하게 되는 피해자들을 근원적으로 보호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 경찰 지구대장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민상 순천향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15

        현대 사회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해가는 방식에 있어서 과거와는 달리 새로운 가치와 행동이 요구되고 있다.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독자적인 리더의 지시와 개인의 무조건적인 희생의 감수를 요구하는 과거의 방식은 이제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다. 이에 변화하는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고 성공적인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해 새로운 리더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최일선에서 치안을 담당하고 있는 경찰지구대에서 근무하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경찰지구대장의 리더십 유형에 대하여 파악해 보고, 조직효과성의 하위 요소라 할 수 있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경찰지구대장 리더십 유형에 따라 경찰공무원의 조직효과성은 어떠한 영향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효과적인 경찰지구대장의 리더십 유형을 파악하여 조직효과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제2장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리더십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리더십과 관련된 이론으로 특성이론, 행동이론, 상황이론에 대하여 이론적 배경과 경찰지구대장의 리더십을 살펴보았다. 또한 조직효과성과 관련하여 개념과 측정 기준,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과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고, 제3장에서는 연구의 모형을 제시하고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분석과 결과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Modern society are required new value and action to achieve objective of organization unlike past. New leader's role is emphasized to Correspond properly in changed environment and successful objective of organization for achiev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executed investigation to police public official who work in police patrol division that is forming the closest connection in local community police activity and take charge of public peace of area. The police are doing continuous effort for offer of suitable public peace service in local community. This study investigated realization abou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bout police division head's leadership pattern who they are recognizing to police public official. Police division head's leadership divided b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ls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vided and executed investigation b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olice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alyzed whether some effect appears according to police division head's leadership type on the basis of this. There is the purpose to look for plan that can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grasping effective police division head's leadership pattern ultimately. Upon investigation, police public official of this study was shown difference about realiz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bout police division head's leadership generally. And they were displaying difference according to work form, area, police station, rank, period in realization abou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exerting bigger effect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in result job satisfaction which examine effect abou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police division head's leadership type. But, transactional leadership appeared by thing which exert bigger effect i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taking a serious views trust and motivation with patrol division header about job satisfaction and taking a serious view provides new method about troubleshooting. However, leadership is exercising bigger influence on police public official Transactional leadership i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is thought to be preferring leadership that taking a serious views compensation by performance on the job and compensation the condition. This displays to police public official who should serve to citizen that change urgently need. I wish to present strengthening plan about Police division head'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the basis of result construed in this study. First, need to education and training to strengthen Police division head's leadership. Also, need to knowledge executive system and fairness insurance of business processing so that studied contents can be applied effectively. Second, need to fairness security of work merit rating for strengthening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need to attention the distinction about an elevation and work system of Patrol Division need to improvement. Ultimately, must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trengthening Police division head's leadership b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change. Now, the police must be interested to internal satisfaction as well as external satisfaction about police public official.

      • 천연발효 베이커리의 선택속성과 구매의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원영 순천향대학교 기술경영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문요약 천연발효 베이커리의 선택속성과 구매의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본 논문은 천연발효 베이커리 상품의 선택속성을 파악하고 어떤 선택속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제과, 제빵 산업의 분야로 성장하고 있는 천연발효 베이커리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신제품이 개발되고 있는 시점에서 마케팅 전략과 소비자들의 이용행태를 파악하여 향후 업계 발전의 초석이 되는 자료를 제시하는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효과적인 연구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천연발효 베이커리를 선택하는 중요한 선택속성을 제시하고 구매의도와 고객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병행하여 구조적 인과관계를 모델화 하기위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또한 베이커리, 천연발효 선택속성, 구매의도, 고객충성도에 대한 문헌적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핵심적인 개념을 파악하고 영향관계를 밝혀줄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간적 범위는 2018년 3월 1일부터 2018년 4월 15일까지 6주를 설정하고, 공간적 범위는 서울, 경기 거주 천연발효 베이커리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총 515부의 유효한 표본을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확보된 자료는 통계분석프로그램인 SPSS 22.0과 AMOS 22.0을 통해 설계된 가설을 검증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성 검증(Cronbach's alpha 계수),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베이커리 점포를 방문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고객들이 베이커리 점포를 어떠한 속성에 의해 선택하게 되는지를 상품 속성, 서비스 속성, 환경 속성, 마케팅 속성으로 나누었고 이러한 속성들을 통해 구입하게 된 상품의 구매의도를 파악하며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행동적충성도와 태도적충성도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베이커리 상품의 상품 속성, 서비스 속성, 환경속성, 마케팅 속성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베이커리 상품 속성은 모두 소비자의 구매의도 향상을 위해 관리되어져야 할 속성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품속성은 고객들의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속적인 상품개발과 고객들의 요구를 반영한 상품에 대한 개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며, 베이커리 상품의 상품 속성은 행동적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나 태도적 충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속성은 행동적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태도적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속성은 행동적 충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태도적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케팅 속성은 행동적 충성도와 태도적 충성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행동적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품속성과 마케팅 속성을 강화시키고 태도적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 속성, 환경속성, 마케팅 속성을 강화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상품속성과 마케팅 속성을 살펴보고 이를 어떻게 강화시킬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고객들의 구매력을 향상시키는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고객이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쾌적하고 아늑한 환경, 고객의 기대를 반영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제공한다면 고객들의 태도에 우호적 관계가 형성될 것이며 이는 장기적 고객 유치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베이커리 상품 속성의 하위 요인인 상품 속성, 서비스 속성, 환경 속성, 마케팅 속성과 고객충성도에 대한 관계에서 구매의도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는 경로로 나타났으며 상품속성이 가장 높은 직 간접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주목하여, 무엇보다 고객충성도,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하여서는 핵심이 되는 상품의 품질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 천연발효 베이커리, 상품속성, 행동의도, 고객충성도

      • 치안서비스 향상을 위한 민간경비 역할에 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안준모 순천향대학교 기술경영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15

        현대사회는 지식과 기술이 급변함에 따라 전반적인 경제적 성장 및 정보화의 발전을 가져왔으며 결과적으로 시민들의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해주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에 따라 범죄 및 사회문제 역시 과거의 고전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점차 흉폭화, 지능화되어 다양한 형태의 신종범죄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각종 신종범죄들의 증가와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이 대두됨에 따라 시민들의 불안감을 확산시키고, 안전에 대한 의식을 증대시켰다. 시민들의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치안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증가한 반면에, 경찰은 업무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시민들 개개인에게 치안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경찰력의 한계에 도래하게 되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민간경비업이 등장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 민간경비업무의 영역을 확대하여 국가의 전유물로 생각하던 과거의 사고에서 벗어나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자원봉사까지 포함한 전 사회적인 총체적이고 집단적인 대응의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의 변화에 따라 민간경비의 역할이 점자 확대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현직 경찰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여 경찰무원들이 민간경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후 치안서비스 향상을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 분석을 병행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의 민간경비에 대한 현황 및 법·제도, 교육실태 등을 살펴보고, 해외 민간경비 선진국들의 민간경비와 경찰과의 관계를 비교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정리하고, 정리된 자료를 토대로 민간경비 이용원에 대한 인식, 민간경비 운용에 대한 인식, 치안서비스 향상을 위한 민간경비 활용방안 등에 대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은 Nvivo 10.0을 사용하여 범주화 과정을 거쳐 Node를 구성하였고, 구성된 Node를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도출된 분석결과로는 첫째, 민간경비 전문자격증 제도의 도입, 둘째, 민간경비 교육훈련 제도의 개선, 셋째, 경찰 내 민간경비 전담부서 편성 및 확대, 넷째, 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시스템 구축과 같이 결과를 도출하였다.

      •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홍성군을 중심으로

        이훈 순천향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15

        우리나라의 양극화 심화로 인하여 빈곤층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가정해체등의 이유로 아동빈곤율은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아동의 빈곤율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문제점으로 빈곤아동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인 박탈감의 복합적인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빈곤아동에 대한 보호에 사회적 관심이 늘어났으며, 특히 아동기의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인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대하여 많은 개입의 필요성을 인지하였고, 현재 저소득층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사회적 개입으로 지역아동센터가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소득층 아동의 일반적 변수가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지역아동센터가 저소득층 아동들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저소득층 아동들중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들과 이용하지 않는 아동들을 비교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저소득층 아동의 나이는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가족의 유형은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지역아동센터는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SPSS (사회과학 통계분석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기법으로는 기술 통계(descriptive analysis), 평균비교분석(t-test, ANOVA)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발견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아동들의 나이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면, 나이가 많을수록 사회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유형에 따라 비교하면, 사회성의 경우, 조손가정 및 친척거주 아동들이 일반가정 아동들보다 사회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아동센터가 저소득층 아동들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사회성은 지역아동센터의 이용 유무와 상관없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지역아동센터가 미치는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 볼 수가 있는데,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의 경우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점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가정적 자아존중감의 경우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사회성의 경우, 지역아동센터를 통해 향상되기보다는 학교집단내의 또래집단을 통해 습득되어져, 지역아동센터를 통해 사회성 향상이 크게 나타나지는 않는 것으로 보였다. 지역아동센터가 이용아동들에게 지역의 위험요소로부터 보호해주는 울타리 역할 외에도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등 내적갈등 및 사회문제로부터 아동을 보호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지역아동센터의 역할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많은 전문 인력이 지역아동센터로 투입되어야 할 것이며, 지역아동센터와 지역사회간의 원활한 협력을 통해 아동들이 전문적이며 지속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