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허한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청년층의 취업난이 계속해서 어려워지고 있고, 항공사의 취업경쟁률이 높아짐에 따라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취업불안이 더욱 커지고 있다. 대학생들이 스스로 취업불안에서 벗어나 취업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취업준비활동이 필요해 보인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개인이 주변의 타인들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였을 때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와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은 대학교를 선택하기 전부터 전공과 취업 목표가 분명하기에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에게 주변의 중요한 타인으로부터의 지원과 전공에 대한 만족, 그리고 적극적인 취업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실무적인 시사점을 주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개념과 구성 요인을 정의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각 구성개념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학교의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27일부터 2023년 10월 20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집된 202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2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가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평가적 지지는 전공만족도의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만이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사회적 지지의 정서적 지지와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서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학교에서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이 적극적인 취업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정서적인 지원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효율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끝으로는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주요어: 사회적 지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

      •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희은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약 계속되는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대학들의 입시경쟁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입시뿐만이 아닌 재학생 유지에 또한 집중해야 한다. 현재 많은 대학생은 중도이탈, 중도탈락으로 학과몰입에 있어 힘든 상황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졌을 때 전공적합성과 학과몰입이 증가한다는 사실은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적합성,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과몰입 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에게 만족스러운 학업 공부와 학교생활 그리고 교수와의 접점을 통하여 더 나은 진로를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실무적인 시사점을 주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념과 구성요인을 규명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각 구성개념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생이 전공적합성을 인식하면 학과, 학습에 대해 몰입한다는 것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 대학생과 4년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2년 9월 4일부터 실시하여 2022년 9월 15일까지 총 11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집한 자료 202부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하였고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공적합성이 학과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과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상호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둘 다 높을 때 학과몰입이 더 증가한다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학과몰입에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의 학과몰입을 위하여 학교, 학과에서 진행되는 상담 프로그램, 전공 프로그램 등의 추가와 보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확장된 연구의 필요성을 요구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나해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약 현대사회는 정보와 지식이 중심이 되고 있는 ‘지식기반사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경쟁을 갖추기 위해서는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보편적인 선택으로 되고 있다. 이에 맞춰 대학도 변화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으며, 대학은 대학생들에게 인생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과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그 중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 만족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는 교수와의 상호작용이기 때문에 교수는 교내, 외에서 학생에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졌을 때 대학생활만족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대학교와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주요 대상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또한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활만족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도 규명하고자 했다. 문헌고찰을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계하여 2023년 2월 26일부터 10월 20일까지 국내 전문 대학교와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프로그램 SPSS 2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원활할수록 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아지며 그로 인해 대학생활만족도 수준도 증가한다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학교에서는 교수가 학생에게 더욱 관심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소통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확장된 연구의 필요성을 요구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주요어 :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만족도, 자기효능감

      • 프로세스 중심적 활동이 고객만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NS의 활용정도에 따른 조절효과 비교

        정동일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15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 제고는 기업의 과제이다. 고객만족도는 전체와 부분을 생각하는 프로세스 중심적 활동에서 비롯된다. 이음새 없는 제품과 서비스 제공능력이 기업의 핵심역량의 원천이다. 프로세스 중심적 활동은 기업의 경쟁력, 품질경쟁력 등으로 이어진다. 최근 세계적으로 SNS는 놀라운 성장력을 가지고 있으며, PC이외에 스마트폰의 보급화가 확산 되어 국내 기업들도 환경변화에 큰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이런 환경변화에 기업들은 어디서 시작하여 마무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같은 답변을 내놓기 힘들지만, 변화에 맞춰 기업의 움직임도 변화해야 한다는 것은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이것은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기업은 자신의 종합적인 경영메커니즘을 진단하여 변화에 대한 혁신을 추구하기 위한 프로세스경영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또한 SNS활용정도에 따라 가상공간에서의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과 정보공유를 통하여 고객만족도, 재무적인 성과와 브랜드이미지와 같은 비재무적 성과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경영이 기업의 이익창출에 가장 기여하는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결과분석을 통해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SNS의 활용정도를 조절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중심의 경영의 측정도구는 전세계적으로 권위있고 체계적인 말콤볼드리지 품질평가 모형을 사용하였다. SNS의 활용정도의 측정을 위해 실제로 SNS를 사용하고 있는 벤처기업, 중소기업, 대기업을 대상으로 실제 설문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 수집을 하였으며, 통계방법으로 빈도분석, 신뢰성 분석, 타당성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세스 지향적인 리더십은 전략계획 고객 및 시장중심, 정보분석, 인적자원관리, 프로세스에 ɑ = 0.05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전략계획, 고객 및 시장중심, 정보분석은 고객만족도에 ɑ = 0.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자원관리와 프로세스는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노력을 더 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만족도가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유의하게 나타나 인적자원관리와 프로세스를 제외하고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다. SNS의 활용정도에 따라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형을 비교한 결과, SNS의 사용정도가 높은 집단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SNS의 활용정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는 높은 집단보다 약 1.5배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통해 SNS의 활용정도가 성과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 실무, 직원들에게 프로세스 중심적인 활동이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것임을 제공하고 SNS의 활용정도에 따른 비교연구를 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Rais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royalty is the task of operation. Customer satisfaction comes from process-centered activity considering whole and part at the same time. A whole product and service capacity is the main resource of operational ability. Process-centered activity leads to the competence of operation, product competition, etc. Nowadays, SNS is emerging so fast, and growing fast worldwide, supply of smartphone, not just PC got wider, domestic operations are reacting sensitively to the environmental change. According to this change, operations cannot have same opinion where to start and end, but they feel the same that they should change following the change. This means global competition is pretty hard. So, operations pay attention to process operations for pursuing innovation about changes based on analysis of business mechanism. Furthermore, a measure of SNS utiliz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customer in virtual space and sharing information, they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financial monetary success and non-financial success such as brand image. Therefore, this research takes care of how process operation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which gives effect the most in making profit to operation. From analyzing result, I am trying to compare level of utilizing SNS and its effect, and also how it affects financial and non-financial success. In this research, I used worldwide authorized and systematic system, the Malcom Boldridge Quality Evaluating system as a measure of evaluating process-oriented operation. To measure the level of utilizing SNS, I used a venture, small, big business which uses SNS in real as a survey database. To analyze really, we collected data through survey, and used frequency, reliability, reasonability, relatedness, and course analysis to satisfy.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turned out that leadership affects important on strategic planning, customer and market centered information analysis,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rocess, and strategic planning plays on important role in customer satisfaction. We can judge that we have to make more effort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rocess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Moreover, it turned out that customer satisfaction plays a big part in financial and non-financial success, so every assumption turned out to be right excep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rocess. By comparing controlling effect on success based on measure of utilizing SNS, it turned out that high-utilizing SNS group affects positively, but low utilizing SNS group affects 1.5 times less positively. This emphasizes that a level of utilizing SNS affects the factor of success. This research provides employees that process oriented activities decides competitiveness importantly and has a meaning that it did a comparative research based on a level of utilizing SNS.

      • 딥러닝 기반 지진, 화재감지 및 회전체 고장 진단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최수기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문요약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들어서면서 최근 딥러닝과 관련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지진, 화재 감지 및 회전체 고장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지진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딥러닝 기반의 자동 P파 FAP (First Arrival Picking, 첫 번째 도착지점) 감지 모델을 제안한다. 연구 수행을 위해 SMSIM (Stochastic Model SIMulat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양한 지진 신호를 확보하였고,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지진 신호를 모델링 하기 위해 WGN (White Gaussian Noise)를 반영하였다. 이후, STFT(Short Time Fourier Transform)을 적용하여 스펙트로그램 형태로 변환하였고, 이를 U-Net 모델의 Input data에 입력하여 P파의 FAP를 이미지 기반으로 정확하게 검출하도록 딥러닝 훈련 및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지진 신호 P파 FAP 감지 성능이 MSE 0.0059, SSIM 0.943 수준으로 노이즈가 심한 지진 신호에서도 높은 검출 성능을 보였으며, 이는 지진 조기 경보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기반 산불화재감지 모델을 제안한다. 연구 수행을 위해 산불화재 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미지를 수집하고, 기존 산불 화재감지 시스템에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CNN 기반 Mobile-Net 분류 모델을 활용하여 화재감지 정확성, 경량성 등을 고려하여 산불 화재감지 모델 성능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실험 결과를 통해 기존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산불화재 감지 모델이 적용되어 높은 신뢰성과 모델 경량화로 인한 빠른 화재 감지를 기대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딥러닝 기반의 자동 회전체 고장진단 모델을 제안한다. 연구 수행을 위해 실제 광산 및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롤러 소리를 녹음하여, 회전체의 소리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회전체의 소리 신호를 분석하기 위해 STFT 기반의 시간-주파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된 시간-주파수 형태의 Mel spectrogram 이미지를 CNN 모델의 입력으로 활용하여 자동으로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회전체 고장진단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컨베이어 벨트에서의 작업자의 끼임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예방이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딥러닝 기반 지진, 화재 감지 및 회전체 고장진단 시스템은 기존 재난 예방 기술보다 오차, 정확도 등의 측면에서 딥러닝 모델 성능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지진 조기 경보시스템, 화재 조기 감지, 기계장치 고장진단 등의 소방 및 방재 분야에 기여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개발된 모델들의 고도화를 위하여 더욱 다양한 딥러닝 모델을 분석하고, 구조 최적화 등의 실험을 수행하여, 지진, 화재 감지 및 회전체 고장진단 성능 개선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리튬이온 전지 전해질인 디에틸탄소산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전덕재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고 전기자동차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2차 전지로 리튬이온전지를 사용하며, 리튬이온전지는 양극에 전이금속 산화물, 음극에 탄소, 전해질(유기 전해액), 분리막으로 구성되어있다. 디에틸탄소산은 리튬이온전지의 전해질로 사용되고 있다. 리튬이온전지의 손상으로 누기, 누액 될 경우 디에틸탄소산은 공기보다 약 4배 무거워 공기 중에 체류하며, 낮은 인화점, 높은 증기압으로 쉽게 가연성 혼합기를 형성하여 점화원에 의해 화재 및 폭발이 발생한다. 실험을 통해 디에틸탄소산의 인화점, 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여, 폭발범위를 예측, 리튬이온전지의 충전, 방전 시 증기압의 변화 및 리튬이온전지 자체의 온도변화를 관리한다면 화재와 폭발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방식과 밀폐식 두 종류의 장치를 통해 인화점을 측정하였으며, ASTM E659-78 장치를 통해 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디에틸탄소산의 인화점을 측정한 결과 개방식 장치인 Tag는 37 ℃, Cleveland는 35 ℃로 측정되었으며, 밀폐식 장치인 Setaflash에서는 하부인화점은 30 ℃, 상부인화점은 56 ℃로 측정, Pensky-Martens 장치에서는 29 ℃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인화점을 Antoine식을 통해 폭발한계를 계산하였다. Setaflash에서 측정된 값을 통해 폭발하한계/상한계는 2.21 Vol%/7.9 Vol%로 계산되었고, Pensky-Martens의 측정된 값을 통해 폭발하한계는 1.76 Vol%, Tag에서는 2.78 Vol%, Cleveland는 2.48 Vol%로 계산되었다. 디에틸탄소산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410 ℃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자연발화온도를 통해 발화지연시간을 분석, 활성화에너지를 계산한 결과 87.33 kJ/mol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디에틸탄소산의 연소 특성치를 확인하여 화재 폭발을 예방하고, 디에틸탄소산을 저장 취급 하는 사업장의 교육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 무화과(Ficus carica L.) 열매 추출 분획의 피부 항염증 활성 연구

        권희준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무화과는 잎, 뿌리, 줄기, 라텍스 외에 열매 자체에서도 각각 항산화, 미백, 항염증, 항균 효능이 보고된다. 본 연구팀에서는 천연물 기반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해 무화과 열매 latex에 존재하는 ficin 효소의 피부 활성 뿐만 아니라 열매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미백 기능에 대해 연구 결과를 도출하여 화장품 원료로 직접 사용하고있다. 그러나 새로운 공융용매 추출법 개발 수요와 이를 활용한 피부 염증 완화 및 건선 조절 기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융용매 추출법을 적용한 무화과 열매 추출 및 분획물들에 피부 염증 조절 및 건선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무화과 열매를 최적의 공융용매 조건으로 추출한 후 n-hexane(n-HEX), dichloromethane(DCM), ethyl acetate(EA), butanol(BuOH)로 분획한 분획물의 피부 염증 조절 기능을 비교하였다. 먼저,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RAW264.7 세포주에서 nitric oxide(NO) 생성 억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RT-PCR을 이용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 발현 조절을 관찰한 결과, 여러 분획물 중 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와 같은 비극성 용매에서 TNF-α, IL-1α, IL-1β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 발현이 억제되었다. 뿐만 아니라 HaCaT 각질형성세포 모델에서 TNF-α 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후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을 비교한 결과 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분획에서 높은 활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in vitro 인간 건선 세포모델에서 chemokine CC motif ligand 20 (CCL20) 발현을 확인한 결과 유의성 있게 mRNA 발현 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공융용매 추출 후 무화과 열매 분획물 중 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분획에서 높은 항염증 활성 및 CCL20 케모카인 조절 기능이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들은 무화과 열매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과 함께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피부진정 효과가 검증된다면 향후 뛰어난 피부 진정 천연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노유복합 실버타운의 인식과 개발전략 - 남양주 별내, 다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

        문영인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15

        한국은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노인복지시설과 보육시설의 복합화를 통해서 유아들은 노약자를 배려하는 마음과 어른에 대한 공경심을 가질 수 있으며 노인들은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활동에 새로운 활력을 부여하고 세대 간의 교류를 위한 노유복합 실버타운의 상생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유복합 실버타운의 중요한 결정요소인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경제와 경영적 요인에 대한 인식과 견해를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 조사로, 조사 대상의 표본 추출은 집락추출법(cluster sampling)을 사용하여 최근 신도시로 개발된 남양주시의 별내와 다산 신도시를 군집 표집으로 356명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령에서는 50대가 26.4%로 가장 많았으며, 60대, 40대, 30대의 순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에서는 400-500만원이 19.7%로 가장 많았다. 특히, 노유복합 실버타운과 노후 인식은 기존 실버타운보다 노유복합 실버타운의 인기가 더 많게(평균 3.47) 나타났고, 노유복합 실버타운 만남 주선 프로그램 마련 후 참여 의향(3.55)이 있으며, 노유복합 실버타운 유치원 보낼 의향(3.49)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노후에 “자녀와 동거 의향”에서는 2.62로 다소 낮은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유복합 실버타운에 대한 인식 차이는 모든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F=3.375, p<0.05). 사후검증 결과, 30대와 40대에서 인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60대에서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후 주거 선호도 및 입주 경제적 요인분석에서 “노인주거복지시설 중 가장 살고 싶은 곳”에서는 노유복합 실버타운이 48.6%로 가장 많았고, “실버타운이 필요한 이유”에서는 노인이 사는 데 편해서가 41.3%로 가장 많았으며, 자식 부담 싫어도 39.0%로 높게 나타났다. “노유복합 실버타운이 필요한 효과”에서는 고독감 감소가 39.3%로 가장 많았으며, 삶의 질 높임, 스스로 존재가치 인식, 인간관계 폭이 넓어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노유복합 실버타운 프로그램 적절한 실행 횟수”에서는 2회가 41.6%로 가장 많았고, “노유복합 실버타운 방당 사용 인원수”에서는 단독이 48.0%로 가장 많았다. 또한 “노유복합 실버타운 원하는 입주방식”에서는 임대형이 60.1%로 가장 많았으며, “노유복합 실버타운 적절한 보증금과 월세”에서는 1억5천-2억/30-40만원이 36.5%로 가장 많았다. 셋째, “노유복합 실버타운 적당한 위치에서는 도시 근교와 녹지지역 내가 각각 78.7%와 44.7%로 가장 많았고, ”노유복합 실버타운 가장 필요한 부대시설”에서는 운동/체육시설이 33.7%로 가장 많았다. 또한, 노유복합 실버타운의 경영적 요인에 대한 실태는 입주 비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무구조의 건전성, 직원의 친절성, 경영 능력, 전문경영인 운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유복합 실버타운의 경영적 요인 차이는 남자보다 여자가 경영적 요인에 대해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t=2.913, p<0.01). 사후검증 결과, 30대에서 중요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40대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에서와같이 다산, 별내 신도시 거주자들은 노유복합 실버타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 실버세대도 노유복합 실버타운을 선호하고 자녀를 노유복합 실버타운 유치원에 보낼 의향도 높게 나타났다. 입지로써는 도시 근교와 녹지지역 내가 가장 선호하였다. 남양주 별내와 다산 신도시에 대한 입지 분석에서도 노유복합 실버타운이 매우 적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즉, 다산, 별내 신도시의 자연 녹지지역은 도시계획조례에 따라서 1종, 2종 근린생활시설, 의료시설, 교육 연구시설, 노 유자 시설, 수련 시설 그리고 운동 시설 등을 건축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발전략으로 비즈니스 형 노유복합 실버타운을 건축하는데 있어서 다산, 별내 신도시의 녹지지역이 매우 적당한 입지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대입하여 노유복합 실버타운을 민간이나 공공 업체에서 건설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신개념의 노인과 어린이들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노유복합 실버타운 건설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주제어 : 노유복합 실버타운, 입지, 개발전략, 노인, 아동. 남양주 신도시.

      • 금화규 부위별 flavonoid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연구

        남궁송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금화규(金花葵, Abelmoschus manihot L.)는 아욱과(Malvaceae), Abelmoschus(닥풀속)이며 원산지인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PLC를 이용하여 금화규의 부위별 항산화 실험 및 flavonoid 함량분석을 진행하였고 Total polyphenols contents 결과, 금화규 꽃 43.6571±1.7658 mg GAE/g, 줄기 6.4059±0.0949 mg GAE/g, 잎 7.6554±0.1236 mg GAE/g으로 측정되어, 꽃에서 다량의 페놀성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고, DPPH radical assay에서 100 ㎍/mL 농도에서 꽃, 줄기 잎 각각 58.165%, 15.619%, 45.286%를 확인하였다. ABTS radical assay는 농도 100 ㎍/mL에 꽃에서 76.985%, 줄기에서 7.888%, 잎 22.167%의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고, Reducing power 항산화 결과에서도 꽃의 추출물에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다. 항산화 결과를 토대로 세포독성과 NO측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에 대해 CCK-8 assay를 시행한 결과, 금화규의 꽃, 줄기, 잎 추출물의 최대 농도 100 µg/mL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토대로 금화규의 항산화 활성과 flavonoid 함량분석 결과로 천연물 기능성 소재로 의약품, 식품, 화장품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 Abelmoschus manihot L., Different parts, HPLC analysis, Method validation, RAW 264.7 cell

      • 국내 건설회사 기술인력의 직무 스트레스 분석 및 해소방안

        길민욱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현재 국내 사회는 산업화를 거쳐 정보화 사회로 변화하였고, 현대인들에게 다양한 사회 및 생활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 및 생활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현대인들의 걱정, 불안감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현대인들의 직장생활 속 과도한 업무량, 업무성과, 대인관계, 승진 등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로 보편화 되고 있다. 이를 입증하는 자료로서 한국의 직장인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는 OECD 국가 중에 최고수준이라고 알려져 있다(백성욱, 2010)고 제시하였다. 직장인들의 직무 스트레스는 적정한 수준에 있으면 업무수행에 있어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나, 과도한 경우에는 개인과 조직에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높은 기술력과 다양한 업무수행능력을 요구하는 건설회사에서도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건설회사의 기술인력들은 과도한 업무량, 높은 업무 난이도, 업무의 예측 불가능성, 고용형태 등의 다양한 사유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 발생한 침수, 균열, 철근 누락 등의 부실시공문제와 잦은 붕괴사고로 인한 건설회사의 이미지 추락과 각종 정부 정책 및 제도의 변화로 건설기술인력의 과도한 업무량과 압박감으로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건설회사에 종사하고 있는 기술인력들에 대한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향후 건설회사로 유입되어야 할 유능한 젊은 인력들의 기피현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건설회사의 이미지 회복과 붕괴사고 및 부실시공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설기술인력의 직무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문헌에서 제시된 건설회사 대상의 직무 스트레스 영향요인을 기반으로 건설회사 본사 및 현장 기술인력의 직무 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현재 직무 스트레스의 수준을 분석한다. 또한, 건설회사 본사와 현장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을 비교하고, 과거 2015년 선행연구에서 분석한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현재 2023년의 직무 스트레스를 분석한 후, 현재 건설회사 내에서 시행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 해소활동의 종류와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건설회사 기술인력들의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